KR102407481B1 - Diving Equalization Training Device - Google Patents

Diving Equalization Trai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481B1
KR102407481B1 KR1020200159487A KR20200159487A KR102407481B1 KR 102407481 B1 KR102407481 B1 KR 102407481B1 KR 1020200159487 A KR1020200159487 A KR 1020200159487A KR 20200159487 A KR20200159487 A KR 20200159487A KR 102407481 B1 KR102407481 B1 KR 102407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rame
training device
training
equa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2171A (en
Inventor
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서브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브원 filed Critical (주)서브원
Priority to KR1020200159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481B1/en
Publication of KR2022007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1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4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0Swimming instruction apparatus for use without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10Athl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는,
콧구멍에 접촉되어, 코에서 내뱉는 공기를 감지하는 훈련장치부(100); 및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퀄라이징 훈련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단말부(200); 를 포함하되,
상기 훈련장치부(100)는 외형을 이루는 바디모듈(110), 상기 바디모듈(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모듈(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모듈(120),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30),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모듈(140) 및 상기 각 모듈과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고, 상기 훈련장치부(100)와 상기 단말부(200)는 무선통신기술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contact with the nostrils, training device unit 100 for detecting the air exhaled from the nose; and a terminal unit 200 capable of monitoring equalizing training based on the data of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including,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includes a body module 110 forming an outer shape, a sensor module 120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module 110 to sense the pressure of air flowing into the body module 110, and the A communication module 130 for transmitting the data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20, a power supply module 140 for providing power for driving the training device 100, and a control module connected to each module to control it Including (150),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and the terminal unit 200 can be configured,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escription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 {Diving Equalization Training Device}Diving Equalization Training Devic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콧구멍에서 나오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이퀄라이징 훈련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capable of monitoring equalizing training by sensing the pressure of air coming out of the nostrils using a pressure sensor.

스쿠버다이빙은 수중에서 압축 공기통을 사용하여 호흡하며 수중 환경을 관찰하고 관광하는 대표적인 수중 레포츠이고, 프리다이빙(Freediving)은 수중에서 무호흡으로 하는 모든 활동을 총칭하는 것으로, 프리다이빙의 형태로는 수면무호흡(static apnea), 수평잠영(dynamic apnea), 수직다이빙(constant weight/free immersion) 등의 형태가 있다.Scuba diving is a representative underwater leisure sport that observes and tours the aquatic environment while breathing using compressed air in the water. (static apnea), horizontal diving (dynamic apnea), vertical diving (constant weight/free immersion), etc.

이러한 다이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퀄라이징(equalizing, 압력평형)으로 '귀 막힘을 해결하는 기술'이며, 일반적으로 손으로 콧구멍을 막고 숨을 강하게 코로 내뱉는 것이 보편적이다. 원리는 고막 뒤의 중이가 코와 연결되어 있는데 코를 막고 숨을 내쉬면 정상적으로는 콧구멍으로 나가야할 공기가 나가지 못하고 대신 중이 쪽으로 보내서 고막이 눌리는 것을 풀어주는 것이다. 다이빙 시 잠수하며 생기는 기압차를 조절해야 더 깊은 잠수를 할 수 있으므로 이퀄라이징은 다이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The most important thing in such diving is equalizing (pressure equalization) to 'resolve ear blockage', and in general, it is common to close the nostrils with your hands and exhale strongly through the nose. The principle is that the middle ear behind the eardrum is connected to the nose. When you exhale with the nose closed, the air that should normally go out through the nostrils cannot go out. Instead, it is sent to the middle ear to relieve pressure on the eardrum. Equalizing is the key to diving because you need to control the pressure difference that occurs during diving to make a deeper dive.

이퀄라이징 방법으로는 코를 잡고 흥하고 바람을 부는 방식인 '발살바'와 코를 잡고 침을 삼키는 방식의 '토인비'가 있으나 이들은 깊은 수심에서는 적용하기가 어려워, 혀뿌리의 근육으로 입안의 공기를 미는 '프렌젤'이 추천되는 방법이다.As an equalizing method, there are 'Valsalva', a method of holding the nose and blowing wind, and 'Toinbee', a method of holding the nose and swallowing saliva, but these are difficult to apply in deep water. Frenzel' is the recommended method.

한편,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로는 풍선이 장착되는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를 통해 코로 풍선을 불어 풍선의 크기를 조절하며 훈련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equalizing training device, a device for training while controlling the size of the balloon by blowing a balloon through the nose through the equalizing training device to which the balloon is mounted is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훈련장치는 이퀄라이징이 올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모니터링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rain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onitor whether equalization is being performed correctly.

KRKR 102135407102135407 B1B1 KRKR 10201700179641020170017964 AA KRKR 101474223101474223 B1B1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reated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콧구멍에서 나오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기량을 수치로 분석함으로써 이퀄라이징 훈련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aims to provide a diving equalizing training device that can monitor equalizing training by detecting the pressure of air coming out of the nostrils using a pressure sensor and analyzing the amount of air numerically based on this.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는,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콧구멍에 접촉되어, 코에서 내뱉는 공기를 감지하는 훈련장치부(100); 및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퀄라이징 훈련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단말부(200); 를 포함하되,In contact with the nostrils, training device unit 100 for detecting the air exhaled from the nose; and a terminal unit 200 capable of monitoring equalizing training based on the data of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including,

상기 훈련장치부(100)는 외형을 이루는 바디모듈(110), 상기 바디모듈(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모듈(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모듈(120),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30),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모듈(140) 및 상기 각 모듈과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고,The training device unit 100 includes a body module 110 forming an outer shape, a sensor module 120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module 110 to sense the pressure of air flowing into the body module 110, and the A communication module 130 for transmitting the data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120, a power supply module 140 for providing power for driving the training device 100, and a control module connected to each module to control it (150);

상기 훈련장치부(100)와 상기 단말부(200)는 무선통신기술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raining device unit 100 and the terminal unit 200 may be configured,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nnec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상기 훈련장치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가 발현되는 사운드모듈(160)을 더 포함하되,In addition,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further comprises a sound module 160 in which at least one sound is expressed,

상기 사운드모듈(160)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압력구간에 대해서 압력값에 따라 발현되는 사운드의 음량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module 16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volume of the sound expressed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for a predetermined pressure section is set in advance.

또한, 상기 훈련장치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가 발현되는 사운드모듈(160)을 더 포함하되,In addition,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further comprises a sound module 160 in which at least one sound is expressed,

상기 사운드모듈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압력구간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운드가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modul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different sounds are expressed according to a preset pressure section.

또한, 상기 훈련장치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이 발현되는 LED모듈(170)을 더 포함하되,In addition,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further includes an LED module 170 in which at least one color is expressed,

상기 LED모듈(170)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압력구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ED module 17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different colors are expressed according to a preset pressure section.

또한, 상기 훈련장치부(100)는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모듈(180)을 더 포함하되,In addition, the training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switch module 180 capable of turning on/off the power of the training device 100,

상기 스위치모듈(180)은 상기 사운드모듈(160) 또는 상기 LED모듈(170)의 전원만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witch module 18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turn on/off only the power of the sound module 160 or the LED module 170 .

또한, 제5항에 있어서,In addition, according to claim 5,

상기 바디모듈(11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원뿔 형상의 부재가 상하로 결합된 형태의 제1 프레임(111)과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일측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 형상의 부재가 결합된 형태의 제2 프레임(112)을 포함하되,The body module 110 includes a first frame 111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conical-shaped members are vertically coupl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11, and at least one cylindrical member is coupled thereto. Including a second frame 112 in the form,

상기 제1 프레임(111)과 상기 제2 프레임(112)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have a flow path formed therein,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유로와 상기 제2 프레임(112)의 유로는 연결되며,The flow path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flow path of the second frame 112 are connected,

상기 제1 프레임(111)과 상기 제2 프레임(11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1)의 관통공은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유로와 통하고, 상기 제2 프레임(112)의 관통공은 상기 제2 프레임(112)의 유로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frame 111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2 The through hole of the frame 112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of the second frame 112 .

또한, 상기 단말부(200)는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210)이 구비되되,In addition, the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210 that can monitor the diving equalizing training,

상기 어플리케이션(210)은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데이터를 전송받고 분석하여 상기 훈련장치부(100)에 유입된 공기량의 수치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21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analyze the data of the training device 100 to calculate and display the numerical value of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training device 100 .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210)은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데이터와 연동되는 게임 형식의 이퀄라이징 훈련 컨텐츠(21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2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qualizing training content 211 in the form of a game interlocked with the data of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is included.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는,Accordingly, the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퀄라이징 훈련을 수중이 아닌 육상에서 사전 학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퀄라이징 훈련 시 시각적 알림 또는 청각적 알림을 통해 실시간으로 훈련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훈련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equalizing training can be pre-learned on land instead of underwater, and training concentration can be increased by receiving training feedback in real time through visual or audible alerts during equalizing training.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퀄라이징 훈련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aining effect can be increased because the equalizing training data can be integrated through the application.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바디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바디모듈의 제1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바디모듈의 제2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바디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LED모듈 결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부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를 통한 훈련 모니터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od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view showing a first frame of the bod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frame of the bod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view for specifically explaining a bod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ED module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pplication screen driven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raining monitoring through the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is is for easier understand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s to the element.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바디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바디모듈의 제1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바디모듈의 제2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바디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LED모듈 결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부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를 통한 훈련 모니터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od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first frame of the bod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frame of the bod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od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 detail, Fig. 6 is an embodiment of the LED module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pplication screen driven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raining monitoring through the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는 훈련장치부(100) 및 단말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8 , the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training apparatus unit 100 and a terminal unit 200 .

상기 훈련장치부(100)는 콧구멍에 접촉되어, 코에서 내뱉는 공기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디모듈(110), 센서모듈(120), 통신모듈(130), 전원공급모듈(140) 및 제어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raining device 100 is in contact with the nostrils and is for detecting air exhaled from the nose, as shown in FIG. 1 , a body module 110 , a sensor module 120 , a communication module 130 , and a power supply module. 140 and the control module 150 may be included.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모듈(110)은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제1 프레임(111) 및 제2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o 5 , the body module 1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training device 100 and may include a first frame 111 and a second frame 112 .

제1 프레임(111)은 훈련 시 사용자의 콧구멍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원뿔 형상의 부재가 상하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111)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111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ser's nostrils during training, and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cone-shaped members are vertically coupled as shown in FIG. 3 , and the first frame ( 111) At least one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move may be formed therein.

상기 원뿔 형상의 부재는 각각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111)의 길이방향으로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어린아이에서 어른의 경우까지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 시 기밀효과를 높임으로써 훈련 모니터링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e-shaped members are each formed differently in size and gradually become small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111, thereby reducing the use of the training device 100 from children to adults. It is possible, and the accuracy of training monitoring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confidentiality effect when used.

상기 제2 프레임(112)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 형상의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프레임(112)은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112)의 유로는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유로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112 may be configured by coupling at least one memb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4 , and the second frame 112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11 . It is coupled and a flow path is formed therein, and the flow path of the second frame 112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low path of the first frame 111 .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11)과 상기 제2 프레임(11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111)의 관통공은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유로와 통하고, 상기 제2 프레임(112)의 관통공은 상기 제2 프레임(112)의 유로와 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may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frame 111 may include the first It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of the frame 111 ,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frame 112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of the second frame 112 .

즉, 상기 제1 프레임(111)의 관통공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제2 프레임(112)의 관통공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코에서 내뱉은 공기는 상기 바디모듈(110)의 제1 프레임(111)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후술될 센서모듈(120)에 의해 감지된 후 상기 바디모듈(110)의 제2 프레임(112)의 관통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frame 111 , the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frame 112 , whereby the air exhaled from the user's nose is discharged from the body.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frame 111 of the module 110 and being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2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frame 112 of the body module 110 . can b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프레임(111)의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원뿔 형상 부재의 꼭지점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프레임(111) 내부에 길이방향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유로(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1)의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원뿔 형상 부재의 옆면에서 관통하여 상기 제1 프레임(111) 내부에 원뿔 형상 부재의 모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유로(미도시)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는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t least one of the through holes of the first frame 111 is connected to a first flow path (not shown) that passes through the vertex of the conical member to form a longitudinal flow path inside the first frame 111 , , at least one of the through holes of the first frame 111 penetrat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ical member and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us bar of the conical member inside the first frame 111. A second flow path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and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gral body.

상기 제1 프레임(111)의 관통공은 4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원뿔 형상 부재의 모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rame 111 have four or more through-holes, and the second flow path is preferably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us bar of the conical mem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상기 센서모듈(120)은 상기 바디모듈(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모듈(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2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module 110 to sense the pressure of air flowing into the body module 110 .

상기 센서모듈(120)로 PVDF 센서(Poly Vinyldienfluoride Sensor)를 이용할 수 있는데, PVDF 센서는 압전형 센서로서 탄성체에 발생한 변위나 변형에 따른 전압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코에서 내뱉은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센서모듈(120)은 압력감지범위가 300에서 1100hPa이고, 상대 정확도가 플러스 마이너스 0.12hPa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PVDF sensor (Poly Vinyldienfluoride Sensor) may be used as the sensor module 120 . The PVDF sensor is a piezoelectric sensor and may detect a voltage change according to displacement or deformation occurring in the elastic body. That is, it is possible to sense the pressure of the air exhaled from the user's nose and convert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sensor module 120 preferably has a pressure sensing range of 300 to 1100 hPa and a relative accuracy of plus or minus 0.12 hPa,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센서모듈(120)은 이산화탄소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와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산소포화도는 호흡 순환의 중요한 지표로서, 전체 혈색소 중에서 산소로 포화되어 있는 혈색소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산소포화도(%)=산화혈색소/전체혈색소 X 100 으로 산출될 수 있다. 산소포화도의 정상범위는 95%~100%이고 90%~95%는 저산소증에 해당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or module 120 may include a carbon dioxide sensor for detecting carbon dioxide and a sensor for measuring oxygen saturation. Oxygen saturation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respiratory circulation. It refers to the ratio of hemoglobin saturated with oxygen among total hemoglobin, and can be calculated as oxygen saturation (%) = oxidized hemoglobin/total hemoglobin X 100. The normal range of oxygen saturation is 95% to 100%, and 90% to 95% may correspond to hypoxia.

구체적으로 산소포화도는 생체조직에 적색광과 적외광을 투과시켜 파장별 흡광도를 구하고 그 값의 비율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는데, 인체에 조사된 빛은 일정한 투과경로를 갖는 뼈, 생체조직 등의 비 맥동성분에 의하여 대부분 흡수되고, 조사된 빛의 대략 1 내지 2% 정도가 동맥혈의 맥동성분에 의해 흡수된다. 이때, 투과광의 세기로부터 각 파장별 맥동성분에서 흡수된 입사광의 양과 비 맥동성분에서 흡수된 입사광의 양을 구할 수 있다. 적색광 및 적외광의 두 파장에서 비 맥동선부에 의해 흡수된 입사광의 양과 맥동성분에 의하여 흡수된 입사광의 양의 비는 동맥혈 속에 존재하는 헤모글로빈에 대한 빛의 흡수를 나타내고, 두 파장의 입사광이 흡수된 양의 비율로부터 산소포화도가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산소포화도 측정방식의 일 례에 불과하고,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oxygen saturation can be calculated by transmitting red light and infrared light through a living tissue to obtain absorbance for each wavelength and using the ratio of the value. Most of it is absorbed by the component, and about 1 to 2% of the irradiated light is absorbed by the pulsating component of arterial blood. In this case,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absorbed by the pulsating component for each wavelength and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absorbed by the non-pulsating component for each wavelength can be obtained from the intensity of the transmitted light. The ratio of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absorbed by the non-pulsating line part to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absorbed by the pulsation component at two wavelengths of red light and infrared light represents the absorption of light by hemoglobin in arterial blood, and Oxygen saturation can be determined from the positive ratio.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of the oxygen saturation measurement method, and can be measured in various known methods.

상기 통신모듈(130)은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후술될 단말부(2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통신모듈(130)을 통해 상기 훈련장치부(100)와 후술될 단말부(200)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30 is for transmitting the data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120 to the terminal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and the terminal unit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 20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이러한 통신모듈(130)로 BLE(Bluetooth Loe Energy) 모듈을 사용하여, 배터리 소모를 절약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use a BLE (Bluetooth Loe Energy) module as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to save battery consump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needed.

상기 전원공급모듈(140)은 상기 바디모듈(110)의 내부에 탑재되어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module 140 may be mounted inside the body module 110 to provide power for driving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

이러한 전원공급모듈(140)은 상기 바디모듈(1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별도 충전하거나 펌프 몸체에 구비된 실장된 상태로 충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소형 고용량 배터리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This power supply module 140 is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body module 110 to be charged separately or to be charged in a mounted state provided on the pump body, and various types of small high-capacity batteries sold on the market. Any one selected from among may be used.

또한, 상기 전원공급모듈(140)은 USB type C 커넥터에 의해 5w이상 고속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차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module 1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ttery charger capable of high-speed charging of 5w or more by a USB type C connector.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각 모듈과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5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module of the training device 100 to control it.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130)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후술될 단말부(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150 may classify and store the data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20, and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data to the terminal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have.

또한,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전원공급모듈(140)을 제어하여 각각의 모듈에 전원이 효율적으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5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module 140 so that power is efficiently provided to each module.

한편, 상기 제어모듈(150)은 더욱 정밀한 감지를 위해 상기 센서모듈(120)과 연동되는 노이즈제거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odule 150 may include a noise removal unit (not shown) interlocked with the sensor module 120 for more precise detection.

예를 들어 상기 노이즈제거 유닛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노이즈가 포함된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데이터에 대해 그 직전에 샘플링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값들간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후에 샘플링된 데이터를 채택하고, 상기 값들간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그 직전에 샘플링한 데이터를 채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ise removal unit samples data including nois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compares the sampled data with data sampled immediately before that, and late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may be configured to adopt the sampled data, and to adopt the data sampled immediately before tha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의 범위를 A라고 하는 경우, 샘플링된 데이터의 차의 절댓값이 A보다 작은 경우에는 후에 샘플링된 데이터는 노이즈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채택하나, 샘플링된 데이터의 차의 절댓값이 A보다 큰 경우에는 후에 샘플링된 데이터는 노이즈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여 채택하지 않고 전에 샘플링된 데이터를 채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샘플링 시간 간격과 데이터의 차의 절댓값은 변경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신호 처리에 쓰이는 밴드패스 필터 등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when the predetermined range is A,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d data is smaller than A, the data sampled later is determined to be noise-free and adopted, but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d data is larger than A In this case, it may be configured to adopt the previously sampled data rather than determining that the data sampled later contains noise.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mpling time interval and the data may be changed, and may be configured to remove noise using a bandpass filter generally used for signal processing.

한편,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장치부(100)는 사용자에게 청각적 알림을 제공하는 사운드모듈(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and 8 , the trai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sound module 160 that provides an auditory notification to the user.

상기 사운드모듈(16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가 발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운드모듈(160)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압력구간에 대해서 압력값에 따라 발현되는 사운드의 음량이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ound module 160 is configured to generate at least one or more sounds, and the sound module 160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volume of the sound expressed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for a preset pressure section.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150)은 소정의 압력구간에 따라 출력되는 음량값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구비하고,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공기의 압력이 속하는 압력구간에 따라 상기 사운드모듈(160)에서 발현되는 사운드의 음량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150 includes data on the volume value out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ssure section in advance, and the sound module 160 according to the pressure section to which the air pressure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20 belongs. )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volume of the sound expressed in the.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이퀄라이징 훈련 시 상기 사운드모듈(160)에서 발현되는 사운드 음량을 바탕으로 이퀄라이징 훈련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 훈련 집중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monitor the equalizing training based on the sound volume expressed in the sound module 160 during the equalizing training, thereby increasing the training concentration.

또한, 상기 사운드모듈(160)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압력구간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의 사운드가 발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module 16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sounds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a preset pressure s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150)은 소정의 압력구간에 따라 출력되는 사운드의 주파수값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구비하고,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공기의 압력이 속하는 압력구간에 따라 상기 사운드모듈(160)에서 발현되는 사운드의 주파수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압력구간에서 발현되는 사운드는 사용자가 변화를 인식하기 쉽도록 주파수값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150 is provided with data on the frequency value of the sound out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ssure section in advance, and the sound module according to the pressure section to which the pressure of the air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20 belongs.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requency of the sound expressed in 160 is controlled, and the sound generated in the adjacent pressure sec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so that the frequency value differ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change.

이에 의해서도, 사용자는 이퀄라이징 훈련 시 상기 사운드모듈(160)에서 발현되는 사운드를 바탕으로 이퀄라이징 훈련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 훈련 집중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monitor the equalizing training based on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module 160 during the equalizing training, thereby increasing the training concentration.

한편,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장치부(10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알림을 제공하는 LED모듈(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and 8 , the train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n LED module 170 that provides a visual notification to the user.

상기 LED모듈(170)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상기 바디모듈(110)의 제2 프레임(112) 하부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2 프레임(112) 하부면 소정의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모듈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The LED module 170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112 of the body module 110 as shown in FIG. 6 , and for this purpose,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112 . At least one LED module coupling groove may be provided.

이러한 LED모듈(17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이 발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LED모듈(170)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압력구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 발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ED module 17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express at least one color, and the LED module 170 may be configured to express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a preset pressure s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150)은 소정의 압력구간에 따라 출력되는 LED 색상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구비하고,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공기의 압력이 속하는 압력구간에 따라 상기 LED모듈(170)에서 발현되는 색상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150 is provided with data on the LED color out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ssure section in advance, and the LED module 170 according to the pressure section to which the pressure of the air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20 belongs. )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color expressed in the.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이퀄라이징 훈련 시 상기 LED모듈(170)에서 발현되는 색상을 바탕으로 이퀄라이징 훈련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 훈련 집중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monitor the equalizing training based on the color expressed in the LED module 170 during the equalizing training, thereby increasing the training concentration.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장치부(100)는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모듈(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위치모듈(180)을 통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 , the train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module 180 capable of turning on/off the power of the training device 100 . , through this switch module 180, the user will be able to easily control the power of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또한, 상기 스위치모듈(180)은 상기 후련장치부(100) 전체의 전원을 제어하는 것 이외에도, 전술한 사운드모듈(160) 또는 전술한 LED모듈(170)의 전원만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module 180 can selectively turn on/off only the power of the above-described sound module 160 or the above-described LED module 170, 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entire power supply of the follow-up device unit 100 . It can be configured to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모듈(180)은 1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버튼을 소정 시간동안 계속 누르는 것에 따라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전원이 온/오프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에 따라 상기 사운드모듈(160)의 전원이 온/오프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버튼을 두번 누르는 것에 따라 상기 LED모듈(170)의 전원이 온/오프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witch module 180 may be configured with one button, and may be configured to turn on/off the power of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as the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he power of the sound module 160 may be configured to be turned on/off by pressing the button once, and the power of the LED module 170 may be configured to be on/off by pressing the button twice.

이러한 스위치모듈(180)에 의해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전술한 사운드모듈(160)만을 사용해서 훈련을 하거나 전술한 LED모듈(170)만을 사용해서 훈련을 하거나 전술한 사운드모듈(160)과 전술한 LED모듈(170)을 함께 사용하여 훈련을 할 수 있을 것이다.By such a switch module 180, the user is trained using only the sound module 160 through a simp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trains using only the LED module 170 described above, or the sound module 160 described above. It will be possible to train by using the above-described LED module 170 together.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장치부(100)는 상기 제어모듈(150)의 이상상태를 진단하는 이상진단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i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not shown) for diagnosing an abnormal state of the control module 150 .

상기 이상진단모듈은 상기 제어모듈(150)의 소비전력의 패턴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상패턴 또는 이상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제어모듈(150)의 이상상태를 진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attern of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module 150 and compare it with a normal pattern or an abnormal pattern based on this to diagnose an abnormal state of the control module 150 .

이를 위해, 상기 이상진단모듈을 상기 제어모듈(150)이 정상상태일 경우의 정상소비전력패턴과 상기 제어모듈(150)이 이상상태일 경우의 이상소비전력패턴을 학습하여 저장하는 패턴저장유닛(미도시)과, 상기 제어모듈(150)의 소비전력을 측정시간의 변화의 추이에 따라 측정하는 소비전력측정유닛(미도시)과, 상기 소비전력측정유닛에서 측정된 소비전력을 상기 패턴저장유닛의 정상소비전력패턴 또는 이상소비전력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제어모류(150)의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를 판단하는 상태분석유닛(미도시) 및 상기 소비전력측정유닛에서 측정된 소비전력과 상기 상태분석유닛에서 분석된 상태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어모듈(150)의 이상 유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본 개시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의 유지 및 보수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To this end, the abnormal diagnosis module is a pattern storage unit ( (not shown), a power consumption measuring unit (not shown) that measur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module 150 according to a change in measurement time, and the pattern storage unit for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d by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unit A state analysis unit (not shown) that determines a normal state or an abnormal state of the control motor 150 by comparing with the normal power consumption pattern or abnormal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put unit (not shown) for outputting a result of the state analyzed in the unit. Thereby,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ontrol module 150, which will be helpful in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또한, 상기 이상진단모듈의 데이터는 전술한 통신모듈(130)을 통해 후술될 단말(200)로 전송되어 모니터링 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ata of the abnormal diagnosis module may be transmitted to and monitored by the terminal 2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described above.

상기 단말부(200)는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퀄라이징 훈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말부(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unit 200 is for monitoring equalizing training based on the data of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and the terminal unit 2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또한, 상기 단말부(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terminal unit 20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smart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 phone, smart pad ( smartpad), and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tablet PC.

상기 단말부(200)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210)이 구비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210)은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데이터를 전송받고 분석하여 상기 훈련장치부(100)에 유입된 공기량의 수치를 산출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어플리케이션(210)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 unit 200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210 that can monitor diving equalizing training, and the application 210 receives and analyzes the data of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It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and display the numerical value of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training device 100 .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210 .

상기 어플리케이션(210)에서는 사용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로그인이 가능하고, 상기 센서모듈(120)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210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log in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to receive and output the data of the sensor module 120 in real time.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210)은 각 사용자의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훈련 성과가 모니터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210 may be configured to classify and store each user's data, and to monitor the user's training performance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ata.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210)은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데이터와 연동되는 게임 형식의 이퀄라이징 훈련 컨텐츠(211)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훈련 컨텐츠(211)는 상기 센서모듈(12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210 may include equalizing training content 211 in the form of a game that is linked with the data of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 and the training content 211 is based on the data of the sensor module 120 . It can be configured in a way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haracter.

한편, 상기 훈련 컨텐츠(211)의 결과 데이터 또한 각 사용자 마다 분류되어 저장되고,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장의 훈련 성과가 모니터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흥미와 경쟁심을 유발시켜 이퀄라이징 훈련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result data of the training content 211 may also be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user, and the training performance of the user field may be monitored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ata. Thereby, it will be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equalizing training by inducing interest and competitive spirit in the user.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는,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퀄라이징 훈련을 수중이 아닌 육상에서 사전 학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퀄라이징 훈련 시 시각적 알림 또는 청각적 알림을 통해 실시간으로 훈련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훈련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equalizing training can be pre-learned on land instead of underwater, and training concentration can be increased by receiving training feedback in real time through visual or audible alerts during equalizing training.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퀄라이징 훈련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aining effect can be increased because the equalizing training data can be integrated through the application.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는 프리다이빙을 대상으로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쿠버다이빙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for freediv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scuba diving as a matter of course.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make various application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ontents. will be.

1000 :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
100 : 훈련장치부
110 : 바디모듈
111 : 제1 프레임
112 : 제2 프레임
120 : 센서모듈
130 : 통신모듈
140 : 전원공급모듈
150 : 제어모듈
160 : 사운드모듈
170 : LED모듈
180 : 스위치모듈
200 : 단말부
210 : 어플리케이션
211 : 훈련 컨텐츠
1000: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training device unit
110: body module
111: first frame
112: second frame
120: sensor module
130: communication module
140: power supply module
150: control module
160: sound module
170: LED module
180: switch module
200: terminal
210: application
211: training content

Claims (8)

콧구멍에 접촉되어, 코에서 내뱉는 공기를 감지하는 훈련장치부(100); 및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단말부(200); 를 포함하되, 상기 훈련장치부(100)는 외형을 이루는 바디모듈(110), 상기 바디모듈(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모듈(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모듈(120),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30),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모듈(140) 및 상기 각 모듈과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모듈(11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원뿔 형상의 부재가 상하로 결합된 형태의 제1 프레임(111)과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일측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 형상의 부재가 결합된 형태의 제2 프레임(11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111)과 상기 제2 프레임(112)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유로와 상기 제2 프레임(112)의 유로는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111)과 상기 제2 프레임(11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1)의 관통공은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유로와 통하고, 상기 제2 프레임(112)의 관통공은 상기 제2 프레임(112)의 유로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훈련장치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가 발현되는 사운드모듈(16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운드모듈(160)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압력구간에 대해서 압력값에 따라 발현되는 사운드의 음량이 변화되거나, 미리 설정된 소정의 압력구간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운드가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훈련장치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이 발현되는 LED모듈(170)을 더 포함하되, 상기 LED모듈(170)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압력구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훈련장치부(100)는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모듈(18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모듈(180)은 상기 사운드모듈(160) 또는 상기 LED모듈(170)의 전원만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훈련장치부(100)와 상기 단말부(200)는 무선통신기술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
In contact with the nostrils, training device unit 100 for detecting the air exhaled from the nose; and a terminal unit 200 capable of monitoring diving equalizing training based on the data of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Including, but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is a body module 110 forming an outer shape, a sensor modul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module 110 to sense the pressure of air flowing into the body module 110 ( 120), a communication module 130 for transmitting the data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20, a power supply module 140 for providing power for driving the training device 100, and each module connected to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150 to control,
The body module 110 includes a first frame 111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cone-shaped members are vertically coupl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11, and at least one cylindrical member is coupled thereto. Including a second frame 112 in the form of, wherein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has a flow path formed therein, the flow path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 112) are connected,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frame 111 is formed in the first frame 111.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of,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frame 112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of the second frame 112,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further includes a sound module 160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r more sounds, wherein the sound module 160 changes the volume of the sound expressed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for a predetermined pressure section set in advance.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sounds are express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ssure section set in advance,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further includes an LED module 170 in which at least one color is expressed, wherein the LED module 170 i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colors are expressed according to a preset pressure section,
The training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switch module 180 capable of turning on/off the power of the training device 100, wherein the switch module 180 includes the sound module 160 or the LED module ( 170),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power source can be selectively turned on/off,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and the terminal unit 200 is a diving equalizing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200)는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210)이 구비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210)은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데이터를 전송받고 분석하여 상기 훈련장치부(100)에 유입된 공기량의 수치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unit 200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210 that can monitor the diving equalizing training,
The application 210 receives and analyzes the data of the training device 100, and calculates and displays the numerical value of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training device 10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210)은 상기 훈련장치부(100)의 데이터와 연동되는 게임 형식의 이퀄라이징 훈련 컨텐츠(21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빙 이퀄라이징 훈련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pplication 210 is a diving equalizing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equalizing training content (211) in the form of a game that is linked with the data of the training device unit (100).
KR1020200159487A 2020-11-25 2020-11-25 Diving Equalization Training Device KR1024074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487A KR102407481B1 (en) 2020-11-25 2020-11-25 Diving Equalization Trai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487A KR102407481B1 (en) 2020-11-25 2020-11-25 Diving Equalization Trai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171A KR20220072171A (en) 2022-06-02
KR102407481B1 true KR102407481B1 (en) 2022-06-10

Family

ID=8198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487A KR102407481B1 (en) 2020-11-25 2020-11-25 Diving Equalization Trai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48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1304A (en) 1975-05-19 1976-11-09 Hillsman Dean Respiratory biofeedback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JP2005349167A (en) 2004-06-11 2005-12-22 Masahiko Okuno Apnea awaking device
JP2015507511A (en) 2012-01-20 2015-03-12 キルスクフ ドイエテル Inhalation aids and methods for assisting inhalation
US20180325422A1 (en) * 2016-02-01 2018-11-15 Advanced Ventilation Appl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spiratory health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223B1 (en) 2013-04-17 2014-12-1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ensing sleep apnea and method using the same
EP3089657A4 (en) * 2014-02-24 2017-09-27 Sony Corporation Smart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with attention level and workload sensing
KR20170017964A (en) 2017-02-01 2017-02-15 한국과학기술원 An appratus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using a portable terminal, a method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and a portalbe terminal thereof
KR102135407B1 (en) 2019-10-10 2020-07-17 충남대학교병원 Apparatus for measuring respi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1304A (en) 1975-05-19 1976-11-09 Hillsman Dean Respiratory biofeedback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JP2005349167A (en) 2004-06-11 2005-12-22 Masahiko Okuno Apnea awaking device
JP2015507511A (en) 2012-01-20 2015-03-12 キルスクフ ドイエテル Inhalation aids and methods for assisting inhalation
US20180325422A1 (en) * 2016-02-01 2018-11-15 Advanced Ventilation Appl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spiratory health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171A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6837B1 (en) Portable system with telemetric data transmission for the measurement of metabolic parameters
KR101246726B1 (en) Protecting case for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interworking the same
US201402348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otion interaction based on biological signals
US201701201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neural network to provide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using activity monitoring devices with biometric sensors
KR101132595B1 (en) Portable Spiro meter
RU2764678C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on movement of rotary razor performed by user
EP2346387B1 (en) Blood analysis
KR101030887B1 (en)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
CN106456025B (en) Optics vital sign sensors
CN107920786A (en) Pulse oximetry
CN110300543B (en) Wireless vital sign monitoring
US20170216673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exertion as a measure of accumulated exercise intensity
KR102407481B1 (en) Diving Equalization Training Device
US104204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athering and interpreting heart rate data from an activity monitoring device
Ramdhan et al. An early drowning detection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s
KR102444598B1 (en) Sleep apnea measurement system
CN110353641A (en) Vital sign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20150330893A1 (en) Physiological parameter analysis assembly
KR101238402B1 (en) A CoronaryIntervention automatic realization and the most measurement location revision system for a heart beat
KR101198677B1 (en) A CoronaryIntervention automatic realization and the most measurement location revision system for a heart beat
KR20180017392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leeping state monitoring service
KR1023006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the Amount of Exercise and Strength to Muscles
JP2005329149A (en) Method and instrument for respiratory information measurement
KR102443679B1 (en) Apparatus for Analyzing Sleeping Using Estimation of Electrocardiogram
KR201700649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