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830B1 - Notif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Notif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830B1
KR102406830B1 KR1020200089925A KR20200089925A KR102406830B1 KR 102406830 B1 KR102406830 B1 KR 102406830B1 KR 1020200089925 A KR1020200089925 A KR 1020200089925A KR 20200089925 A KR20200089925 A KR 20200089925A KR 102406830 B1 KR102406830 B1 KR 10240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iving space
information
time
t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9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1038A (en
Inventor
박진기
심원규
김정민
최종근
심준범
박나현
오충신
권혜빈
진현웅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9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830B1/en
Publication of KR2022001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0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8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조건하의 시각에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할 일의 정보를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할 일을 수행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시간을 할애하도록 유도하는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활공간 내부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출입감지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시점 이후에 상기 사용자가 할 일의 종류와 수행시각을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스케줄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전자기기, 상기 출입감지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활공간에 들어오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활공간에 있는 상태에서 특정 시각이 되면 해당 시각으로부터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서버 및 상기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tification system inducing a user to spend more time effectively performing a task by notifying the user's to-do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tatus at a time under specific conditions, and is installed in the user's living space access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user's access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side the living space to the outside, an electronic device that transmits th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utside,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from the access detection means, receives and stores the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and stores the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a server that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output information on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from the corresponding time when the user enters into the living space or at a specific time while the user is in the living space, and is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and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server When receiv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otification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to do.

Description

알림 시스템{Notification System}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특정 조건하의 시각에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할 일의 정보를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할 일을 수행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시간을 할애하도록 유도하는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tification system inducing a user to spend more time performing a task by notifying the user's to-do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at a time under a specific condition.

바쁜 현대인들에게 가사 업무는 하나의 짐이며, 퇴근 후 가중되는 또 다른 업무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매일 출근하는 일상의 직장인에게는 아침 출근 전 시간과 퇴근 및 귀가 후 시간의 가사업무는 특히 힘든 업무로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사 업무 자체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각종 기기가 소개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오래 전에 개발되어 점점 기능이 강화되고 있는 세탁기 및 청소기 뿐 아니라, 최근에는 스타일러 및 건조기와 같은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은 사용자의 가사를 획기적으로 단순화시킬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해당 기기를 조작하는 등의 노력은 필요하며, 이러한 최소한의 노력조차 힘들어해, 할 일을 뒤로 미루는 사용자가 대부분이었다.For busy modern people, housework is a burden and is recognized as another task that is aggravated after work. In particular, for daily office workers who go to work every day, housework in the morning before and after work and after returning home is perceived as particularly difficul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devices that can simplify housework itself have been introduced, and recently, devices such as stylers and dryers have been developed, as well as washing machines and vacuum cleaners, which were developed relatively long ago and have been gradually strengthened. . These devices can dramatically simplify the user's housework, but the user needs to operate the device, etc., and even this minimal effort is difficult, so most users procrastinat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5288호(“사용자의 할 일 목록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공개일 2019.11.06.)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125288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for a user's to-do list,” published on November 6, 201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알림 시스템의 목적은, 특정 조건하의 시각에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할 일의 정보를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할 일을 수행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시간을 할애하도록 유도하는 알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ify the user of the task to be To provide a notification system that induces you to spend more time effectively performing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알림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활공간 내부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출입감지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시점 이후에 상기 사용자가 할 일의 종류와 수행시각을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스케줄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전자기기; 상기 출입감지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활공간에 들어오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활공간에 있는 상태에서 특정 시각이 되면 해당 시각으로부터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서버; 및 상기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nstalled in the user's living space to detect the user's entrance and exit,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side the living space access detection means for transmitting to the outside; an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 type and execution time of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after the input time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h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utside;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from the access detection means, receives and stores the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and when the user enters the living space or a specific time comes when the user is in the living space a server that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output information about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from the time of day; and a notif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and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when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server.

또한, 상기 출입감지수단은 상기 생활공간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cess detection means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living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user's entry.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전자기기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tif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상기 알림부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tif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user to do visually or audibly.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사용자가 할 일의 종류와 수행시각을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tif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the user to do and the execution time is output together.

또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기기이며, 상기 생활공간 내부에 무선인터넷을 제공하는 공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감지수단은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공유기에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지 여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활공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is a smart device carried by the user, and further comprises a router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inside the living space, and the access detect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provided by the router by the smart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the living space based on whether or not there is.

또한, 상기 사용자의 수면여부를 센싱하고, 상기 사용자의 수면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수면 센싱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기상했을 경우, 상기 알림부로 상기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leep sensing means for sensing whether the user is sleep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is sleeping to the server, wherein the server sends the operation signal to the notification unit when the user wakes up It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또한, 상기 수면 센싱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수면위치를 지속적으로 촬영하며, 영상처리기법으로 상기 사용자의 수면여부를 판단하는 촬영수단이거나, 상기 사용자의 수면위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수면시 하중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수면여부를 판단하는 압력감지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leep sensing means is a photographing means for continuously photographing the user's sleeping posi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sleeping by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or is installed under the user's sleeping position to load the user's sleep during slee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ressure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sleeping by detecting the pressure by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알림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생활공간으로 복귀하거나, 사용자가 기상하거나, 사용자가 생활공간에 있는 상태에서 특정 시각이 되었을 경우, 알림부가 사용자가 이후에 할 일에 대해서 상기시켜 주므로, 사용자의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returns to the living space, the user wakes up, or a specific time arrives while the user is in the living space, the notification unit tells the user what to do next. As a reminder, there is an effect of inducing the user to use the user's time mor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알림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알림 시스템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알림 시스템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알림 시스템의 개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알림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알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들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이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Since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and then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알림 시스템은 출입감지수단(100), 전자기기(200), 서버(300) 및 알림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1 , the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ccess detection means 100 , an electronic device 200 , a server 300 , and a notification unit 400 .

출입감지수단(100)은 사용자의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한다. 출입감지수단(100)은 사용자의 재실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일종의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감지수단(100)은 유/무선 인터넷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재실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출입감지수단(100)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세한 출입감지수단(100)의 종류에 관해서는 후술한다.The access detecting means 100 is installed in the user's living space to detect the user's access.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may generate information on whether a user is present and transmit it to the outside, and may include a kind of communication module for this purpose.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present to the outside using a method such as wired/wireless Internet. The access detecting means 1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nd the detailed types of the access detecting means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전자기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시점 이후에 사용자가 할 일의 종류와 수행시각을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입력받는다. 전자기기(200) 또한 출입감지수단(100)과 마찬가지로 입력받은 스케줄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통신모듈 또한 유/무선 인터넷과 같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기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 즉 스케줄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으면 어떠한 종류의 기기라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크게 사용자가 가지고 다니지 않고 생활공간에 놓고 사용하는 태블릿과 같은 전자기기와, 사용자가 가지고 다니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자기기(200)의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평상시에 해야 할 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해야 할 일에 대한 항목과, 해당 일을 수행해야 할 시각을 선택하여, 스케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200 receives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of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and the execution time from the user after the input time.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also transmit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utside like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this purpos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also use the same method as wired/wireless Internet.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be any type of device as long as it can receive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at is, receive schedule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outside.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carried by users will be described. In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information on tasks to be performed in normal times may be stored so that a user can input information on tasks to be performed in a one-touch manner. The user may input schedule information by selecting an item for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and a time for performing the task.

서버(300)는 출입감지수단(100)과 전자기기(200) 각각으로부터 사용자가 생활공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와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해 서버(300)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에 포함되는 상기한 통신모듈은 유/무선 인터넷과 같은 방식을 이용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가 생활공간에 들어오거나, 사용자가 생활공간에 있는 상태에서 특정 시각이 되거나, 사용자가 생활공간에 있는 상태에서 수면 중인 사용자가 기상하면, 해당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동작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은 통신모듈이 담당한다. 서버(300)는 동작신호와 함께 후술할 알림부(400)가 출력할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The server 300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is in a living space and schedule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 To this end, the ser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server 300 may receive information using a method such as wired/wireless Internet. When the user enters the living space, when the user is in the living space at a specific time, or when the sleeping user wakes up while the user is in the living space, the server 300 allows the user to An opera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output information about work,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The server 300 may transmit together with the operation signal information about the user's task to be output by the notification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서버는 미리 정해진 특정시각에 동작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스케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가 할 일이 수행되어야 하는 각각의 시각에 동작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스케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가 할 일이 수행되어야 하는 각각의 시각 이전에 동작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erver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at a predetermined specific time, or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at each time at which the user's task included in the schedule information should be performed, or the user's task included in the schedule information should be per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before each time.

알림부(400)는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어, 서버(300)로부터 동작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알림부(400)는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거나, 청각적으로 출력하거나, 시각 및 청각 두 개의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알림부(400)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알림부(400) 또한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별도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400)는 상술한 전자기기(100)와 일체화될 수 있는데, 이는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는 시각적 출력수단과 청각적 출력수단을 일반적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알림부(400)가 출력하는 스케줄 정보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할 일의 종류와, 해당 일이 수행되어야할 시각이 출력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and when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server 300 , outputs information about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The notification unit 400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a user's task visually, audibly, or output in two ways: visual and auditory. The notification unit 40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output means, and the notification unit 400 may als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ting a separate signal. The notification unit 400 may be integra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described above, because a smart device such as a tablet or a smart phone generally includes a visual output means and an audible output means. In the schedule information output by the notification unit 400, the type of task input by the user and the time at which the task is to be performed may be output.

이때 상기 알림부(400)는 서버로부터 동작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시각 이후에 사용자가 할 모든 종류의 일과 수행시각을 함께 출력하거나 또는 수신한 시각 이후부터 가장 가까운 시간에 사용자가 할 일의 종류와 수행시각만 출력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notification unit 400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server, it outputs all kinds of tasks and execution times of the user after the received time, or the types of tasks to be performed by the user at the closest time after the received time and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only the execution time.

또한 상기 알림부는 서버로부터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시각 이후부터 가장 가까운 시간에 사용자가 할 일의 종류와 수행시각만 출력하는 경우, 출력을 1회만 할 수도 있고 일정시간을 주기로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notification unit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server and outputs only the type of task and the execution time of the user to the nearest time after the received time, the output may be output only once or may be output repeatedly at a certain period of time. have.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출입감지수단(100), 전자기기(200) 및 알림부(400)는 사용자의 생활공간(10)에 설치될 수 있고,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서버(300)는 생활공간(10)의 바깥에 설치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서버(300)가 설치되는 위치를 생활공간(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버(300)가 생활공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in this embodiment,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notification unit 400 may be installed in the user's living space 10 , and are not shown in FIG. 2 . However, the server 30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living space 1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location where the server 300 is installed to being installed outside the living space 10 , and there may also be embodiments in which the server 300 is installed inside the living space 10 . have.

출입감지수단(100)은 생활공간(10)의 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한다. 출입감지수단(100)은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한 센서로 구현되거나, 생활공간(10)의 입구에 설치되는 일종의 도어로 구현될 수 있다. 출입감지수단(100)이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한 센서로 구현될 경우,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송신하는 송신부와, 송신부에서 송신하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신부와 송신부 사이를 지나가면, 출입감지수단(100)은 사용자의 이전 위치(사용자가 수신부와 송신부 사이를 지나가기 이전)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생활공간(10)을 나갔는지 또는 생활공간(10)에 들어왔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living space 10 to detect the user's entrance.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may be implemented as a sensor using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or may be implemented as a kind of doo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living space 10 . When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is implemented as a sensor using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it may include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and a user can use between the receiver and the transmitter. When passing,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left the living space 10 or entered the living space 10 based on the user's previous location (before the user passes between the receiver and the transmitter) informa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and the 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

출입감지수단(100)이 도어로 설치될 경우, 해당 도어는 지하철의 개찰구에 설치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출입을 체크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is installed as a door, the corresponding door can be used for checking the user's access, such as installed in a ticket gate of a subwa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전자기기(200)는 사용자(20)가 가지고 다는 종류의 전자기기가 아닌, 생활공간(10)에 놓고 사용하는 태블릿과 같은 전자기기이며, 알림부(400)는 전자기기(200)와 일체화된다.As shown in FIG. 2 ,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ablet used in the living space 10 , not the type of electronic device that the user 20 has, and a notification unit 400 is integra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

사용자(20)가 생활공간(10)에서 외출했다가 귀가하면, 출입감지수단(100)은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20)가 생활공간(10)에 다시 들어왔다는 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한다. 서버(300)는 출입감지수단(10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시점 이후에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와 함께, 동작신호를 알림부(400)에 전송한다. 이때. 퇴근한 사용자에게 내일 할 일에 대한 정보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서버(300)가 전송하는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는 출입감지수단(10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날짜의 할 일에 대해서만 제한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서버(300)가 전송하는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의 종류를 상술한 시간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서버(300)가 전송하고 알림부(400)에서 출력하는 사용자가 이후에 해야 할 일에 대한 정보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user 20 goes out and returns home from the living space 10 ,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detects this and transmits information that the user 20 has re-entered the living space 10 to the server 300 . . The server 300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notification unit 400 along with information on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after the point in time when th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 At this time. Since information on tomorrow's to-dos is not required for the user who has left work, the information on the user's to-dos transmitted by the server 300 may be limited only to the to-dos on the date when th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ha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type of information about the user's task transmitted by the server 300 to the above-described time period, and the user transmitted by the server 300 and output from the notification unit 400 is later Information about to-dos may change depending on settings.

알림부(400)는 서버(300)로부터 동작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청각적으로 출력한다. 알림부(400)에서 사용하는 출력수단은 태블릿인 전자기기(2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스피커일 수 있다.When the notification unit 400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server 300 , it visually/auditively outputs information about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The output means used in the notification unit 400 may be a display means and a speak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0 that is a tablet.

서버(300)는 상술한 경우 뿐 아니라, 사용자가 생활공간(10)에 있을 경우 특정 시각에 동작신호와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알림부(400)로 송신하고, 알림부(400)는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시각은, 사용자가 기상한 이후의 시각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서버(300)는 특정 시각을 사용자의 기상시각으로 저장하고, 해당 시각에 동작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ase, the server 300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and information on a task of the user at a specific time when the user is in the living space 10 to the notification unit 400, and the notification unit 400 You can print this out. In this case, the specific time may be a time after the user wakes up, and for this purpose, the server 300 may store the specific time as the user's wake up time and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at the corresponding tim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알림 시스템은, 상술한 출입감지수단(100), 전자기기(200), 서버(300) 및 알림부(400)에 더해, 사용자의 기상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수면 센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ccess detection means 100, the electronic device 200, the server 300 and the notification unit 400, sleep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akes up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means.

수면 센싱수단은 사용자의 수면여부를 센싱하고, 사용자의 수면여부에 대한 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수면 센싱수단은 이를 위해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모듈은 유/무선 인터넷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300)는 수면 센싱수단으로부터 사용자가 기상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신호와 해당 시각 이후에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알림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leep sensing means serves to sense whether the user is sleeping and transmit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is sleeping to the server 300 . The sleep sensing means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this purpos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use a wired/wireless Internet method. When the server 300 receives a signal that the user has woken up from the sleep sensing means, the server 300 may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s task after the corresponding time to the notification unit 400 .

수면 센싱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leep sensing mean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도 3은 수면 센싱수단이 촬영수단(510)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3 shows a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leep sensing means is implemented as the photographing means 510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센싱수단으로써의 촬영수단(510)은 사용자가 주로 수면하는 위치를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현재 사용자가 수면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 사용자가 단순히 수면위치(예를 들어 침대)에 위치한다고 해서, 사용자가 현재 자고 있는지에 대해 판단하는 것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촬영수단(510)을 통해 지속적으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해 사용자가 현재 수면 중인지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촬영수단(510)을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 중, 소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일정 기준치 이하일 경우, 수면 센싱수단으로서의 촬영수단(510)은 현재 사용자가 수면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가 기상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photographing means 510 as a sleep sensing means may continuously photograph a location where the user sleeps mainly, and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user is in a sleeping location. However, just because the user is located in a sleeping position (eg, a bed), it may not be accurat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sleep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sleeping on image data continuously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means 510 using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More specifically, among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means 510, if the user's mov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reference value, the photographing means 510 as a sleep sensing means can determine that the user is sleeping, If the reference value is exceed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woken up.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서 수면 센싱수단이 다른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4 shows a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leep sensing means is implemented in a different form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수면 센싱수단은 사용자의 수면위치(침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수면시 하중에 위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520)일 수 있다. 압력감지수단(520)은 다수개의 압력센서가 사용자의 수면위치 하부에 2차원적으로 배열되고, 각각에 설치된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면위치에서 얼마나 움직이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만약 일정 기준시간 이내에, 일정 기준치 이하의 움직임을 보인다면, 압력감지수단(520)은 현재 사용자가 수면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정 기준시간 이내에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움직임을 보인다면, 사용자가 현재 깨어있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in this embodiment, the sleep sensing means may be a pressure sensing means 520 that is installed under the user's sleeping position (bed) and senses pressure for a load during the user's sleep. The pressure sensing means 520 is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arranged two-dimensionally below the user's sleeping position, by sen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installed in each, information on how much the user is moving in the sleeping position can be obtained If the user shows a movement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the pressure sensing means 52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sleeping, and if the user shows a movement exceeding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currently awake.

상술한 출입감지수단(100)은 생활공간(10)의 입구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고, 만약 출입감지수단(100)이 도어의 형태일 경우 생활공간(10) 내의 부피를 점유하게 되므로, 공간 활용상 효율적이지 않으며, 본 발명은 출입감지수단(100)이 다른 형태로 구현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Since the above-described access detecting means 100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living space 10, there is a problem that installation cost is required, and if the access detecting means 100 is in the form of a door, the volume in the living space 10 is reduced. Since it is occupied, it is not efficient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at the access detection means 100 is implemented in a different form.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5는 상기한 출입감지수단이 공유기(600)를 이용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FIG. 5 shows a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ccess detection means is implemented in a manner using the router 600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기(600)는 생활공간(10)에 설치되어 생활공간(10)내에서 무선인터넷을 제공한다. 사용자(20)는 전자기기(200)로의 스마트폰을 소지한 상태로 생활공간(10)을 출입한다. 스마트폰의 특성상, 공유기(600)에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에 최초로 접속하면, 공유기(600)에 접근만 하더라도 자동으로 공유기(600)에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에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을 소지한 사용자가 공유기(600)에 근접하여 무선인터넷에 접속하게 되면, 출입감지수단은 사용자가 생활공간(10)에 근접하거나 들어왔다고 판단하고, 서버(300)로 사용자가 현재 생활공간(10)에 들어왔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router 600 is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10 to provide wireless Internet in the living space 10 . The user 20 enters and exits the living space 10 while holding the smart phone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phone, when first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provided by the router 600 , even accessing the router 600 automatically connects to the wireless Internet provided by the router 600 .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ith a smartphone approaches the router 600 and accesses the wireless Internet, the access detection means determines that the user approaches or enters the living space 10 , and sends the user to the server 300 . may transmit a signal that has entered the current living space 10 .

상술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알림 시스템은, 출입감지수단이 전자기기(200)에 내장되어, 공유기(600)에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의 접속유무로 현재 사용자가 생활공간(10)에 재실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재실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detection means is built-in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 and the current user is connected to the living space 10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provided by the router 600 . Since it is determined whether occupancy is present, there is an effect that a separate device is not required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user is occupant in a relatively simple manner.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0 : 생활공간
20 : 사용자
100 : 출입감지수단
200 : 전자기기
300 : 서버
400 : 알림부
510 : 촬영수단
520 : 압력감지수단
600 : 공유기
10: living space
20 : user
100: access detection means
200: electronic device
300 : server
400: notification unit
510: photographing means
520: pressure sensing means
600: router

Claims (7)

사용자의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활공간 내부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출입감지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시점 이후에 상기 사용자가 할 일의 종류와 수행시각을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스케줄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전자기기;
상기 출입감지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활공간에 들어오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활공간에 있는 상태에서 특정 시각이 되면 해당 시각으로부터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서버;
상기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알림부; 및
상기 사용자의 수면여부를 센싱하고, 상기 사용자의 수면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수면 센싱수단;을 포함하는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입감지수단은 상기 생활공간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센서이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생활공간에 들어오거나 사용자가 생활공간에 있는 상태에서 특정 시각이 되면, 해당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동작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서버는 생활공간에 있는 수면 중인 사용자가 기상하면, 해당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할 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동작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알림부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할 일의 종류와 수행시각을 함께 출력하며,
상기 수면 센싱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수면위치를 지속적으로 촬영하며, 영상처리기법으로 상기 사용자의 수면여부를 판단하는 촬영수단이거나, 상기 사용자의 수면위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수면시 하중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수면여부를 판단하는 압력감지수단이고,
사용자가 생활공간에 있는 상태에서 특정 시각이 되었을 경우, 상기 알림부는 사용자가 이후에 할 일에 대해서 상기시켜 주므로, 사용자가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생활공간에 있는 수면 중인 사용자가 기상하면, 상기 알림부는 사용자가 이후에 할 일에 대해서 상기시켜 주므로, 사용자가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시스템.
an access detection means installed in the user's living space to detect the user's entrance and to transmit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the living space to the outside;
an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 type and execution time of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after the input time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h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stored from the access detection means, and the schedul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stor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and when the user enters the living space or a specific time comes when the user is in the living space, the corresponding time a server that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output information about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a notif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and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when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server; and
In a notification system comprising a; sleep sensing means for sensing whether the user is sleep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is sleeping to the server,
The entrance detection means is an entrance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living space to detect the user's entrance,
When the user enters the living space or when the user is in the living space at a specific time, the server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user's task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corresponding time,
When the sleeping user in the living space wakes up, the server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user's task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corresponding time,
The notification unit outputs the type and execution time of the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visually or audibly,
The sleep sensing means continuously captures the user's sleeping position, and is a photograph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sleeping by using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or is installed under the user's sleeping position and the pressure caused by the load during sleep of the user. It is a pressure sensing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is sleeping,
When the user is in the living space and a specific time arrives, the notification unit reminds the user of what to do in the future, so that the user utilizes the time efficiently,
When the sleeping user in the living space wakes up, the notification unit reminds the user of the task to be done later, so that the user efficiently utilizes the ti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전자기기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notification unit is a no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기기이며,
상기 생활공간 내부에 무선인터넷을 제공하는 공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감지수단은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공유기에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지 여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활공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is a smart device carried by the user,
It further includes; a router that provides a wireless Internet in the living space;
The access detection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the living space based on whether the smart device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provided by the router.
삭제delete
KR1020200089925A 2020-07-20 2020-07-20 Notification System KR1024068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925A KR102406830B1 (en) 2020-07-20 2020-07-20 Notif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925A KR102406830B1 (en) 2020-07-20 2020-07-20 Notif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038A KR20220011038A (en) 2022-01-27
KR102406830B1 true KR102406830B1 (en) 2022-06-08

Family

ID=8004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925A KR102406830B1 (en) 2020-07-20 2020-07-20 Notif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83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868B1 (en) * 2015-11-03 2017-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047500B1 (en) 2014-11-27 2019-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do-list of us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794B1 (en) * 2010-08-24 201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chedule notice information based location of mobile device
KR20150070744A (en) * 2013-12-17 2015-06-25 고승표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mobile handsets using Classification factors
KR102299427B1 (en) 2017-03-28 2021-09-07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about a user's to-do lis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500B1 (en) 2014-11-27 2019-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do-list of user
KR101736868B1 (en) * 2015-11-03 2017-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038A (en)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0276B2 (en) Monitor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main control device thereof, and method and program for registering terminal device
EP1743307B1 (en) Situation monitoring device and situation monitoring system
EP3217251B1 (en) Control devic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8019549B2 (en) Event-based power management for seismic sensors
US20210183406A1 (en) Embedded audio sensor system and methods
CN110574355B (en) Alarm clock remind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901272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aking medicine
US20080094202A1 (en) Method for conditional scheduling of security system events
KR102406830B1 (en) Notification System
JP2011120098A (en) Intercom system
JP5759202B2 (en) Intercom device
JP5107866B2 (en) Nurse call system
KR101519841B1 (en) System for managing Care-Object person with user orientation
KR20140007118A (en) Security and emergency reporting device based on smart phone and system having the same
WO2017092038A1 (en) Lock monitor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lock
JP2009033660A (en) Interphone system for housing complex
KR20120060413A (en) Alarm Bed having weight sensor and method for generating alarm signal using the same
JP2014063250A (e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access management device
US20200242917A1 (en) Car seat system for reducton of false alarms, reduction of power dissipation and its relevant operation
JPWO2019142566A1 (en) Monitored person monitoring support system and monitored person monitoring support method
KR100689360B1 (en) Method of executing snooze function of motions recogni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CN214381420U (en) Camera module and intelligent device
JP2019159496A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information notification server, and automatic door system
KR102428541B1 (en) Device and system for voice notifications
JP2022080326A (en) Detection device, detection method, occupancy management system and detec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