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915B1 - System for predicting the automatic driving road sec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edicting the automatic driving road sec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915B1
KR102401915B1 KR1020160079190A KR20160079190A KR102401915B1 KR 102401915 B1 KR102401915 B1 KR 102401915B1 KR 1020160079190 A KR1020160079190 A KR 1020160079190A KR 20160079190 A KR20160079190 A KR 20160079190A KR 102401915 B1 KR102401915 B1 KR 102401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nomous driving
driving
autonomous
driving mod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0910A (en
KR102401915B9 (en
Inventor
이정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915B1/en
Publication of KR2018000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10A/en
Priority to KR1020200164980A priority patent/KR1023716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915B1/en
Publication of KR10240191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915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Preparing f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7Predicting future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3Handover processes from vehicle to occupa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4Vehicle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0Longitudi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은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중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인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 정보를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으로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와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자율주행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edicting a possible autonomous driving section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the system for predicting an autonomous driving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about a road section to which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from among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intends to enter. A server that determines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and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to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and a server provided in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the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to the server, checks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ility determ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considers the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and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desired road section and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Description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for predicting the automatic driving road section and method thereof}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System for predicting the automatic driving road sec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율주행차량의 전방 주행 도로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예측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edicting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on a road ahead of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최근 차량 관련 기술 중 운전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주행하는 무인 운전 기능을 갖는 자율주행차량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율주행차량은 차량에 탑재된 위성 항법 장치, 관성 항법 장치, 레이더, 초음파 측정기, 레이저 스캐너, 카메라 등 각종 센서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분석하여 도로의 형태와 장애물을 파악한다. 아울러, 자율주행차량은 파악된 도로의 형태와 장애물에 따라 차량의 조향 및 속도를 제어하여 장애물을 회피하며 주행을 한다. Recently, among vehicle-related technologies, interest in self-driving vehicles having an unmanned driving function that automatically drives without a driver's manipulation is increasing. The autonomous vehicle analyzes the data obtained through various sensors such as satellite navigation system, inertial navigation system, radar, ultrasonic measuring instrument, laser scanner, and camera mounted on the vehicle to identify the shape of the road and obstacles. In addition, the autonomous vehicle drives while avoiding obstacles by controlling the steering and speed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road shape and obstacles.

그러나 간혹 도로의 형태 및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자율 주행이 불가능하여 운전자의 조작을 요하는 환경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다차선 도로이지만 공사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해 주행 도로에 차선이 그려져 있지 않은 환경, 차선 도색 변경 등의 이유로 기존 차선이 제대로 지워지지 않아서 차선이 중복으로 그려져 있는 환경, 전방에 사고 발생 또는 일시적인 공사 진행 등의 우발적으로 발생한 주행 환경 변화 및 차량이 많아 도로가 정체되는 환경 등에서는 비록 자율주행차량이지만 운전자의 차량 조작이 필요할 수 있다.Howeve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oad and the location of obstacles, autonomous driving is sometimes impossible, so there may be an environment that requires a driver's manipulation. For example, in an environment in which lanes are not drawn on the driving road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construction or other reasons even though it is a multi-lane road, or where the existing lanes are not properly erased due to changes in the lane paint, etc. In an environment where the road is congested due to accidental changes in the driving environment, such as an accident or temporary construction progress, etc.

이에 대하여,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기존의 지도 시스템의 경우, 현재 주행 도로에서의 과속 카메라 정보, 교통사고 빈발 구간 정보 등의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는 일부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지도 시스템은 일정 주기마다 업데이트 되는 방법으로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사고 및 공사, 도로 정체 상황에 대하여 실시간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의 경우 자율주행차량이 실제로 그 지역에 진입하여야 자율주행이 불가능함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율주행이 불가능 지역에 진입한 후 운전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바로 자율주행 동작이 정지됨에 따라, 운전자가 수동운전을 준비할 시간이 충분치 않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In contrast, in the case of an existing map system such as a naviga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provide some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such as speed camera information on the current driving road, information on sections with frequent traffic accidents, etc. . However, such an existing map system is updated at regular intervals and does not guarantee real-time for accidents, construction, and road congestion that occur suddenl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system, since autonomous driving can be detected only when the autonomous vehicle actually enters the area, the autonomous driving operation is stopped immediately after entering the area where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and the driver is notified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accident may occur because the driver does not have enough time to prepare for manual driving.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율주행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해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미리 예측하는 서버 및 예측 결과에 따라 자율주행차량을 제어하는 자율주행장치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nomous driving section prediction system including a server for predicting in advance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a road section to which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tends to enter, and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diction result, and the An operation method is provided.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은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중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인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 정보를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으로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와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자율주행장치를 포함한다.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determines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a road section to which any autonomous driving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intends to enter, and the determination A server that transmits resultant autonomous driving possibility determination information to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and a server provided in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a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to the server; Check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ility determ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desired road section It includes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that selectively controls.

상기 주행모드는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자의 핸들,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에 따라 주행하는 수동주행모드, 또는 상기 운전자의 조작 없이 주변환경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는 자율주행모드를 포함한다. The driving mode may be a manual driving mode i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according to a manipulation of at least one of a steering wheel, an accelerator pedal, and a brake pedal of a drive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or an autonomous driving mode in which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driven accor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without the driver's manipulation. includes mod.

상기 서버는 상기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에 구비된 자율주행장치로부터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상기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의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들의 주행모드를 분석한 주행현황 분석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주행현황 분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해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The server includes a transceiver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n a driving mo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utonomous vehicles in an arbitrary road section from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utonomous vehicles, and in the arbitrary road sec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storage unit in which driv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that analyzes driving modes of driving autonomous vehicles is constructed as a database, and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desired road section using the driv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include

상기 저장부의 주행현황 분석정보에는 상기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수동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변경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In the driv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of the storage unit,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arbitrary road section,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manual driving mode, and changing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ehicles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included.

상기 판단부는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주행한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를 고려하여,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considers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hat change the driving mode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en in the desired road section, and autonomously drives the desired road section determine whether it is possible

상기 판단부는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주행한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를 유지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 대비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비율이 기설정된 설정 비율보다 높으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며, 산출된 상기 비율이 상기 설정 비율보다 낮거나 같으면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calculates the ratio of the number of autonomous vehicles driving by chang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compared to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while maintain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desired road section And, if the calculated ratio is higher than the preset ratio, it is determined that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and when the calculated ratio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atio, it is determined that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상기 판단부는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주행한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를 고려하여,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desired road section.

상기 판단부는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주행한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비율이 기설정된 설정 비율보다 높은 경우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비율이 상기 설정 비율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when the ratio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en in the desired road section is higher than a preset ratio, and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f the ratio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t ratio, it is determined that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상기 자율주행장치는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거나,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현재의 주행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함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to the server,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from the server;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driving vehicle is the manual driving mode,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or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o notify the driver that the current driving mode can be switch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어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할 것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린 후,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지 않을 시,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조향 및 속도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안전 구역에 정차시킨다.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and commands the driver to switch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After notifying to, it is checked whether the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when the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not convert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for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 control the steering and speed of the autonomous vehicle to stop in a preset safe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거나,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현재의 주행모드를 유지할 것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린다. When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the manual driving mod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or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driving mod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the driver is notified to maintain the current driving mode.

한편,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에 구비된 자율주행장치로부터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상기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의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들의 주행모드를 분석한 주행현황 분석정보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중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인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 정보를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operating a server in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devices are used in an arbitrary road section from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driving mode of each driving vehicle, constructing driv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by analyzing driving modes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arbitrary road sec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mong the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etermining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a road section to which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tends to enter; and transmitting autonomous driving possibility determination information, which i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o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상기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수동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변경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주행현황 분석정보를 구축한다. The building step includes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arbitrary road section,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manual driving mode, and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hanging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Builds the driv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ehicles.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주행한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를 유지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 대비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비율이 기설정된 설정 비율보다 높으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며, 산출된 상기 비율이 상기 설정 비율보다 낮거나 같으면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determining step, the ratio of the number of autonomous vehicles driving by chang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compared to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while maintain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desired road section and determining that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when the calculated ratio is higher than a preset ratio, and determining that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when the calculated ratio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atio.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주행한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비율이 기설정된 설정 비율보다 높은 경우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비율이 상기 설정 비율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In the determining step, it is determined that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when the ratio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desired road section is higher than a preset ratio, and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f the ratio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driving with the .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t ratio,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한편,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에서 자율주행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자율주행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의 자율주행 가능 여부의 판단을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와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in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wants to enter is performed by the server. requesting, receiving information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rom the serv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checking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checking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desired road section and the autonomous driving and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vehicle.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현재의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함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현재의 자율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것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controlling step,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in the manual driving mod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the current manual driving mode is switched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notifying the driver that it is possible;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while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current autonomous driving mode is set to autonomous and notifying the driver to switch to the driving mode.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의 자율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것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린 후,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지 않을 시,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조향 및 속도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안전 구역에 정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controlling includes notifying the driver that the current autonomous driving mode is to be switched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nd then checking whether the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controlling the steering and speed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o stop in a preset safe area when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not switch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for the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거나,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현재의 주행모드를 유지할 것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린다.In the controlling step,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a manual driving mode,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or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in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the driver is notified to maintain the current driving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의 주행모드를 분석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전방의 도로구간에 대해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그에 따라 자율주행차량의 자율주행모드 또는 수동주행모드를 유지하거나,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함을 운전자에게 알리거나, 수행주행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운전자에게 알리고 경우에 따라서 자율주행차량의 조향 및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자율주행모드로 주행 중 전방에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이 존재 시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자에게 미리 알릴 수 있으며,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자율주행 시 자율주행차량을 안전 구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고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a road section in front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by analyzing the driving mode of each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and accordingly, the autonomous driving mode or manual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while driving in autonomous driving mode, by notifying the driver that switching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possible, or notifying the driver that switching to the performing driving mode is necessary If there is a section in front of which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the drive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an be notified in advance, and when autonomous driv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in an area where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can be reduced by movi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o a safe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도로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도로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의 자율주행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방법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가능 여부에 따른 자율주행장치의 동작 흐름도.
1 is a diagram exe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edicting a possible autonomous driving section for a driving road of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driving apparatus of a system for predicting an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on a driving road of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edicting a possible autonomous driving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an autonomou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stated elements, steps, acts and/or elements.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nd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d known components or functions are given. If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도로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edicting an autonomous driving section for a driving road of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도로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은 서버(100) 및 자율주행차량(200)의 자율주행장치(21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for the driving road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cludes the server 100 and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여기서,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차량(200)에 구현되어 운전자의 조작 없이 차량을 제어하여 자율주행 하는 장치로써, 서버(100)와 통신이 가능하다. 이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겠지만, 서버(100)는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에 장착된 자율주행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임의의 구간에 대해 자율주행 가능, 불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자율주행장치(210)는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자율주행차량(200)의 자율주행장치(21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is a device that is implemented in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o control the vehicle without a driver's manipulation to autonomously drive, an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100 .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or impossible for an arbitrary section of a road u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unless otherwise noted,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is an example of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of any on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among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listen and explain

서버(100)는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자율주행차량의 자율주행장치(210)로부터 주행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기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가능 구간인지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주행모드 정보를 전송한 자율주행장치(210)로 전송한다.The server 100 receives driving mode information from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of any one autonomous driving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refers to the established database, and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enter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sired road section is a section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that has transmitted the driving mode information.

이를 위해, 서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부(110), 판단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server 100 includes a transceiver 110 , a determination unit 120 , and a storage unit 130 as shown in FIG. 1 .

먼저, 송수신부(110)는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에 구비된 자율주행장치와 V2X 통신(Vehicle to Everything, 차량-사물 간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110)는 V2X를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으며,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에 구비된 자율주행장치에도 V2X을 위한 통신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V2X는 차량과 인프라 간 무선통신(V2I, Vehicle to Infrastructure)일 수 있다. 나아가, V2X에는 차량과 차량 간 무선통신(V2V, Vehicle to Vehicle), 차량 내 유무선 네트워킹(IVN, In-Vehicle Networking), 차량과 이동 단말 간 통신(V2P, Vehicle to Pedestrian)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First, the transceiver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V2X communication (Vehicle to Everything, vehicle-to-thing communication) with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o this end, the transceiver 11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for V2X,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V2X may also be mounted on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Here, V2X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n infrastructure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Furthermore, V2X may includ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 (V2V, Vehicle to Vehicle), in-vehicle wired/wireless networking (IVN, In-Vehicle Network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 and mobile terminal (V2P, Vehicle to Pedestrian), etc. .

송수신부(110)는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자율주행차량(200)의 자율주행장치(210)로부터 주행모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주행모드란 운전자의 핸들,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 조작에 따라 주행하는 수동주행모드, 또는 운전자의 조작 없이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주행하는 자율주행모드일 수 있다.The transceiver 110 receives driving mode information from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of any on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among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Here, the driving mode may be a manual driving mode i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according to the driver's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or an autonomous driving mode i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accor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without the driver's manipulation.

또한, 송수신부(11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시, 자율주행차량(200)의 위치 정보 또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는 GPS 좌표값일 수 있다. 아울러, 송수신부(11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해 설정된 주행경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속도 정보 또한 더 수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the transceiver 110 may als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a GPS coordinate value. In addition, the transceiver 110 may receive driving route information set for the autonomous vehicle 200 to reach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nd may further receiv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peed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

판단부(12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자율주행장치(2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향하는 도로구간(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가능 구간인지 판단한다. 이를 위해, 판단부(12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판단부(12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자율주행장치(210)로부터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자율주행차량(200)이 향하는 도로구간에 대해 자율주행 가능구간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판단부(120)는 주행모드 정보를 전송한 자율주행차량(200)이 아니더라도,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을 요청한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해 자율주행 가능구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headed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n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do. To this end, the determination unit 120 may determine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 For example, when the determining unit 120 receives driving mode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from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through the transceiver 110 , the determination unit 120 is autonomous with respect to a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headed. Determining whether the driving range is possible. Alternatively, the determin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is available for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hat has requested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ility determination is to enter, even if it is not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hat has transmitted the driving mode information. can judge

여기서,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은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소정 거리(예컨대, 1Km) 전방의 도로구간일 수 있다. 또한, 판단부(12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경로정보를 더 고려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may be a road section ahead of a predetermined distance (eg, 1 Km)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120 may further consider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o identify a road section in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ntends to enter.

또는,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은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 속도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소정 시간(예컨대, 5분) 후에 도달하는 도로구간일 수 있다. 이때, 판단부(12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경로정보를 더 고려하여, 소정 시간 후에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는 도로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may be a road section reach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g, 5 minutes) that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peed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120 may further consider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and check the road section in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enters after a predetermined time.

한편, 판단부(120)는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의 자율주행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주행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00)의 저장부(130)에는 일정 기간 동안 모든 도로구간에서 주행하는 다수의 자율주행차량의 자율주행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주행모드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 모든 도로구간에서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현황을 분석한 정보가 누적되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자율주행차량의 주행현황은 일정 기간 동안 모든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수동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etermination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a road section in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ntends to enter, based on driving mo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 To this end, the storage unit 130 of the server 100 uses the driving mo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apparatuses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raveling in all road sectio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formation analyzing the driving status of the autonomous vehicle may be accumulated and constructed as a database. In this case, the driving status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may include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all road sectio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manual driving mode, and the like.

또한, 저장부(130)에는 요일별 및 시간대별로 다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현황이 분석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30)에는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이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변경되는 도로구간위치 및 자율주행차량수가 분석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analyze the driving status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vehicles for each day and time zone. Furthermore, in the storage unit 130 , the loc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and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in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chang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may be analyzed and stored.

판단부(120)는 이와 같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다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의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a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intended to enter by using the driving status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

일 예로서, 판단부(12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를 파악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지 불가능한 구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2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진입하는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를 유지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 대비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의 비율(수동주행모드 전환 비율)을 산출한다. 판단부(120)는 산출된 수동주행모드 전환 비율과 기설정된 비율(제1 설정비율)을 비교하여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설정비율은 시스템 설계자 등과 같은 자율주행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값은 변경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e number of vehicles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hat changes the driving mode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in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and determines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ction of the road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or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120 set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compared to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maintain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nd driving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entering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The ratio of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hat change and drive (the ratio of switching to manual driving mode) is calculated. The determination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by comparing the calculated manual driving mode conversion ratio with a preset ratio (first set ratio). In this case, the first setting ratio may be preset by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administrator such as a system designer, and this value may be changed.

예컨대, 판단부(12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진입한 자율주행차량들의 수동주행모드 전환비율이 제1 설정비율보다 높으면, 상기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은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자율주행모드로 주행중인 자율주행차량의 자율주행장치 또는 운전자에 의해 현재 구간은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자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when the manual driving mode conversion ratio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entering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to enter is higher than the first set ratio. It can be judged that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on a road section. This is because the driver may have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by determining that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in the current section by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or the drive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runn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예컨대, 자율주행 시 주행 조향 보조 시스템(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과 같이 카메라를 통해 차선을 인식해야 횡방향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차선이 그려져 있지 않은 환경에서는 자율주행이 불가능하다. 또한, 차선 도색을 새로 하였으나, 기존 차선이 제대로 지워지지 않아 차선이 중복으로 그려져 있으면 정확한 차선 인식이 불가능하여 자율주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차량 내 자율주행장치 또는 운전자 스스로가 해당 구간에서는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IC/JM 등의 분기로의 분기 차선이 정체 중이면, 자율주행으로 정체중인 분기 차선으로 끼어들기가 어려우며, 전방에 돌발 사고 또는 일시적인 공사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기존의 내비게이션 맵이 실시간으로 제공하지 못하며, 운전자의 능동적인 차량 조작으로 사고 또는 공사 현장에서 벗어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에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환경일 수 있다. 아울러, 정밀지도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시 GPS 음영 지역의 경우, 시간대별로 변동 가능성이 있지만 대부분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일 수 있다.For example, in autonomous driving, 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 such as 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ateral direction only when the lane is recognized through a camera, so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in an environment in which lanes are not drawn. In addition, if the lanes have been repainted, but the existing lanes are not properly erased and overlapping lanes are drawn, accurate lane recognition is impossible and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can do. In addition, if the branch lane to a branch road such as IC/JM is congested, it is difficult to cut into a branch lane that is congested by autonomous driving. Since it is safe to get out of an accident or construction site with the driver's active vehicle manipulation, it may be an environment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GPS shadow area during autonomous driving based on the precision map,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change by time period, but it may be a section where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in most cases.

덧붙여, 판단부(120)는 최근 소정 기간(예컨대, 최근 1주일) 동안 상기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모드를 유지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 대비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하는 자율주행차량수의 비율의 통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통계치와 상기 제1 설정비율을 비교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해당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지 또는 불가능한 구간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20)는 요일별, 시간별로 나누어 상기 임의의 구간에서의 수동주행모드 전환 비율을 산출하여 해당 도로구간의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hat change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compared to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hat mainta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road section for a recent predetermined period (eg, the last one week)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statistical value of the ratio of , and compare the calculated statistical value with the first set ratio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or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the corresponding road section by calculating the manual driving mode conversion ratio in the arbitrary section by dividing by day and time.

다른 예로서, 판단부(12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를 확인하여 상기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2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주행중인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비율이 기설정된 비율(제2 설정비율)보다 높은 경우, 해당 도로구간은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설정비율은 사전에 개발자 등에 의해 설정된 값이며, 제1 설정비율과 동일한 값일 수도 있으며, 다른 값일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the road section by checking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runn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a predetermined ratio (second set ratio) of the ratio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If high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road section is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Here, the second setting ratio is a value set in advance by a developer or the like, and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setting ratio or a different valu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해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판단부(12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판단 결과(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주행모드정보를 전송한 자율주행장치(210)로 송신한다.Through this process, the determination unit 120 that determines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200 wants to enter drives the determination result (information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through the transceiver 110 . The m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that has transmitted it.

즉, 서버(10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을 주행한 다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를 분석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 가능구간인지 불가능구간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정보를 자율주행차량(200)의 자율주행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analyzes the driving modes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hat have driven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so that the road section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is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ection is an unrecognizable section,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한편, 자율주행차량(200)의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하며,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해 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하며,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의 자율주행 가능 여부에 따라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자율주행차량(200)의 조향(진행 방향) 및 속도(제동) 제어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o the server 100, and a road section in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ntends to enter. information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s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and a message is output depending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the road section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or the steering (progress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performed. direction) and speed (braking) control operations are selectively performed.

이를 위해, 자율주행차량(200)의 자율주행장치(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1), 제어부(213) 및 출력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1 , a control unit 213 , and an output unit 215 as shown in FIG. 2 .

통신부(211)는 기설정된 일정주기마다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 또는 수동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부(211)는 V2X를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1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urrent driving mode (autonomous driving mode or manual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o the server 100 every predetermined period.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211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for V2X.

아울러, 통신부(211)는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위치 정보(GPS 좌표 정보) 또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1)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해 설정된 주행경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의 속도정보 또한 더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1 may also transmi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GP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1 may transmit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set for the autonomous vehicle 200 to reach the destination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server 100, and the current speed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may also be further transmitted. have.

한편, 통신부(211)는 서버(100)로부터 임의의 도로구간(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211 may receive information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an arbitrary road section (a road section in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ntends to enter) from the server 100 .

제어부(213)는 통신부(211)를 통해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확인하고, 자율주행 가능 여부에 따라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자율주행차량(200)의 조향 및 제동 제어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213 checks the information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1, and outputs a message according to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or the autonomous vehicle 200 ) to selectively perform steering and braking control operations.

이때, 제어부(213)는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의 주행모드에 따라 자율주행 가능 여부에 따른 동작을 달리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213 may differently perform an operation depending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먼저,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case in which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the manual driving mode will be described.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통신부(211)를 통해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확인한 결과,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13)는 현재의 주행모드(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함을 출력부(215)를 통해 자율주행차량(200)의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In the manual driving mode,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1,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Then, the control unit 213 may notify the drive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hrough the output unit 215 that it is possible to switch from the current driving mode (manual driving mode)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여기서, 출력부(215)는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운전자에게 청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일 수 있다.Here, the output unit 215 may be at least one of a display device that visually provides information to the driver and a speaker de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audibly to the driver.

일 예로서, 제어부(213)는 출력부(215)를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자율주행 전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213)는 출력부(215)를 통해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음(예컨대, 비프음, 음성안내 등)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213)는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와 알림음을 출력부(215)를 통해 동시에 출력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것을 유도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controller 213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autonomous driving transition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e output unit 215 that the switch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possible, thereby notifying the driver that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possible. can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13 outputs a notification sound (eg, beep sound, voice guidance, etc.) notifying that the switch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possible through the output unit 215, so that the driver can drive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can indicate that it is possibl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213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witch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possible and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output unit 215 at the same time to switch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can induce

한편,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 불가능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13)는 현재의 주행모드(수동주행모드)를 유지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부(21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자율주행장치(210)는 아무런 동작(메시지 또는 알림음 출력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수동주행모드로 유지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계속적으로 수동주행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is the manual driving mod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the autonomous driving impossible section, the controller 213 maintains the current driving mode (manual driving mode). A message informing of this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15 . Alternatively,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induce the driver to continue manual driving by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manual driving mode without performing any operation (eg outputting a message or a notification sound).

이하,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will be described.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통신부(211)를 통해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확인한 결과,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13)는 현재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를 유지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알림음을 출력부(21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3)는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자율주행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s a result of checking the information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1 ,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f it is confirmed that , the control unit 213 may output a message or a sound for notifying that the current driving mode (autonomous driving mode) is maintained through the output unit 215 .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213 may continuously mainta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without performing any operation.

만약,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13)는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수동주행모드 전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3)는 출력부(215)를 통해 수동주행모드 전환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3)는 출력부(215)를 통해 수동주행모드 전환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음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If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the control unit 213 commands to switch the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A notification message (manual driving mode change notification message) can be outpu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13 may induce the driver to change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o the manual driving mode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message notifying that the manual driving mode change is required through the output unit 215 . have.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213 may induce the driver to change the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sound indicating that the manual driving mode change is required through the output unit 215 .

한편, 자율주행장치(210)는 수동주행모드 전환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수동주행모드 전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 후,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213)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운전자에 의해 핸들,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 등의 조작됨이 감지되면, 자율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3)는 자율주행차량(200) 내 주행모드 전환을 위해 구비된 버튼(예컨대, 주행모드 전환 스위치) 조작이 여부를 확인하여 주행모드의 전환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manual driving mode change notification message) notifying that manual driving mode switching is required, and then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chang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by the driver's manipulation. Make sure it is converted to At this time, if the control unit 213 detects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accelerator pedal, brake pedal, etc. by the driver while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t is confirmed that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can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13 may confirm the change of the driving mode by checking whether a button (eg, a driving mode change switch) provided for switching the driving mode in the autonomous vehicle 200 is operated.

만약, 출력부(215)를 통해 수동주행모드 전환 알림 메시지 또는 알림음을 출력한 후 기설정된 제1 설정 시간(예컨대, 3분) 이내에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213)는 수동주행모드로의 전환을 재촉하는 메시지(수동주행모드 전환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출력부(215)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수동주행모드 전환 경고 메시지는 운전자에게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하지 않을 시 위험함을 경고할 수 있도록 알림 메시지와 다른 형태의 메시지 또는 소리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f, after outputting a manual driving mode change notification message or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output unit 215 ,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within a first preset time (eg, 3 minutes) If not, the control unit 213 outputs a message prompting the transition to the manual driving mode (manual driving mode change warning message) or a warning sound through the output unit 215 . In this case, the manual driving mode switching warning message may provide a message or sound different from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driver visually or audibly to warn the driver of danger when not switching to the manual driving mode.

아울러, 제어부(213)는 수동주행모드 전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 후, 기설정된 제2 설정 시간(예컨대, 1분) 이내에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제2 설정 시간은 제1 설정시간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outputting the manual driving mode change warning message, the control unit 213 checks whether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within a second preset time (eg, 1 minute). In this case, the second set time may be the same value as the first set time.

만약, 수동주행모드 전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 후 제2 설정시간 이내에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213)는 자율주행차량(200)의 조향 및 속도(제동)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 후 제2 설정 시간 이내에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213)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전방 주변의 안전 구역(예컨대, 갓길, 쉼터, 휴게소, 주차장 등)에 정차하도록 자율주행차량(200)의 조향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안전 구역은 사전에 기설정된 위치일 수 있으며, 제어부(213)는 자율주행차량(200)의 조항 및 속도를 제어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전방에 가장 가까운 안전 구역에 자율주행차량(200)을 정차시킬 수 있다.If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not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within the second set time after outputting the manual driving mode switching warning message, the control unit 213 controls the steering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and You can control the speed (braking). For example, if the manual driving mode is not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within the second set time after outputting the warning message, the control unit 213 is located in a safe area around the front (eg, shoulder, shelter, rest area, parking lot, etc.)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Steering and speed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may be controlled to stop. At this time, the safety zone may be a preset location, and the control unit 213 controls the provisions and speed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to move the autonomous vehicle 200 to the safe zone closest to the front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can be stopped.

한편, 제어부(213)는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할 것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 또는 알림음을 출력한 후 제1 설정 시간 이내에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동작을 생략하고 바로 안전 구역에 정차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차량(200)의 조향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is not convert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within the first set time after outputting a notification message or a notification sound informing that the control unit 213 to switch to the manual driving mode, a warning message or a warning sound is output. The steering and speed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operation is omitted and the vehicle stops immediately in a safe area.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의 주행모드를 분석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전방의 도로구간에 대해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그에 따라 자율주행차량의 자율주행모드 또는 수동주행모드를 유지하거나,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함을 운전자에게 알리거나, 수행주행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운전자에게 알리고 경우에 따라서 자율주행차량의 조향 및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자율주행모드로 주행 중 전방에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이 존재 시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자에게 미리 알릴 수 있으며,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자율주행 시 자율주행차량을 안전 구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고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a road section in front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by analyzing the driving mode of each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and accordingly, the autonomous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or Autonomous driving mode by maintaining the manual driving mode, notifying the driver that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or notifying the driver of the need to switch to the performing driving mode, and in some cases controlling the steering and speed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f there is a section in front of which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during driving, the drive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an be notified in advance. hav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방법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edicting a possible autonomous driving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자율주행차량(200)에 구비된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를 확인한다(S301). 여기서, 주행모드란 운전자의 핸들,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 조작에 따라 주행하는 수동주행모드, 또는 운전자의 조작 없이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주행하는 자율주행모드일 수 있다. First,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provided in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checks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S301 ). Here, the driving mode may be a manual driving mode i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according to the driver's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or an autonomous driving mode i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accor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without the driver's manipulation.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해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을 서버(100)에게 요청한다(S302). 이때, 자율주행장치(210)는 단계 S301에서 확인된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해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자율주행장치(210)는 별도의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 요청 신호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시,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위치 정보 또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는 GPS 좌표값일 수 있다. 아울러,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해 설정된 주행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속도 정보 또한 더 전송할 수도 있다.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requests the server 100 to determine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a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 S302 ). In this cas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request to determine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a road section to be entered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driving mode confirmed in step S301 . Alternatively,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transmit a separate autonomous driving possibility determin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rver 100 . In this case, when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also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a GPS coordinate value. 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transmit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set for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o reach the destination from the starting point, and may further transmit the current speed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서버(100)는 자율주행장치(21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향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지 판단한다(S303). 이때, 서버(10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The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the road section to which it is head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us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S303). In this case, the server 100 may make a determin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

여기서,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은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소정 거리(예컨대, 1Km) 전방의 도로구간일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경로정보를 더 고려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may be a road section ahead of a predetermined distance (eg, 1 Km)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 In addition, the server 100 may further consider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o identify a road section in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ntends to enter.

또는,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은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 속도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소정 시간(예컨대, 5분) 후에 도달하는 도로구간일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경로정보를 더 고려하여, 소정 시간 후에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는 도로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may be a road section reach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g, 5 minutes) that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peed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 In this case, the server 100 may further consider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and check the road section in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enters after a predetermined time.

한편, 서버(100)는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의 자율주행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주행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00)에는 일정 기간 동안 모든 도로구간에서 주행하는 다수의 자율주행차량의 자율주행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주행모드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 모든 도로구간에서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현황을 분석한 정보가 누적되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자율주행차량의 주행현황은 일정 기간 동안 모든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수동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a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ntends to enter, based on driving mo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 To this end, the server 100 uses the driving mo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s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all road sectio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driving status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in all road sectio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formation analyzed may be accumulated and built into a database. In this case, the driving status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may include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all road sectio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manual driving mode, and the like.

또한, 서버(100)에는 요일별 및 시간대별로 다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현황이 분석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서버(100)에는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이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변경되는 도로구간위치 및 자율주행차량수가 분석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driving status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vehicles for each day and time zone. Further, the server 100 may analyze and store the location of the road section and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is chang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서버(100)는 이와 같이 구축된 다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의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The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a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ntends to enter by using the driving status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constructed in this way.

일 예로서, 서버(10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를 파악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지 불가능한 구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진입하는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를 유지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 대비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의 비율(수동주행모드 전환 비율)을 산출한다. 서버(100)는 산출된 수동주행모드 전환 비율과 기설정된 비율(제1 설정비율)을 비교하여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설정비율은 시스템 설계자 등과 같은 자율주행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값은 변경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rver 100 determines the number of vehicles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hat changes the driving mode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in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ntends to enter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or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Specifically, the server 100 change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compared to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while maintain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entering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to calculate the ratio of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he ratio of switching to manual driving mode).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by comparing the calculated manual driving mode conversion ratio and a preset ratio (first preset ratio). In this case, the first setting ratio may be preset by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administrator such as a system designer, and this value may be changed.

예컨대, 서버(10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진입한 자율주행차량들의 수동주행모드 전환비율이 제1 설정비율보다 높으면, 상기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은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자율주행모드로 주행중인 자율주행차량의 자율주행장치 또는 운전자에 의해 현재 구간은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자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For example, 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when the manual driving mode conversion ratio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entering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is higher than the first set ratio. It can be judged that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on road sections. This is because the driver may have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by determining that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in the current section by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or the drive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runn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덧붙여, 서버(100)는 최근 소정 기간(예컨대, 최근 1주일) 동안 상기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모드를 유지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 대비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하는 자율주행차량수의 비율의 통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통계치와 상기 제1 설정비율을 비교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해당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지 또는 불가능한 구간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요일별, 시간별로 나누어 상기 임의의 구간에서의 수동주행모드 전환 비율을 산출하여 해당 도로구간의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0 determines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hat change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compared to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hat mainta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road section for a recent predetermined period (eg, the last one week). A statistical value of the ratio is calculated, an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statistical value with the first set rati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or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In addition,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the corresponding road section by calculating the manual driving mode conversion ratio in the arbitrary section by dividing by day and time.

다른 예로서, 서버(10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를 확인하여 상기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주행중인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비율이 기설정된 비율(제2 설정비율)보다 높은 경우, 해당 도로구간은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설정비율은 사전에 개발자 등에 의해 설정된 값이며, 제1 설정비율과 동일한 값일 수도 있으며, 다른 값일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the road section by checking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runn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Specifically, 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ratio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is higher than the preset ratio (the second setting ratio). If it is high,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road section is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Here, the second setting ratio is a value set in advance by a developer or the like, and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setting ratio or a different valu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해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서버(100)는 판단 결과(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주행모드정보를 전송한 자율주행장치(210)로 송신한다(S304).Through this process, the server 100, which has determined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autonomous driving possibility information) to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that transmits the driving mode information It transmits to (210) (S304).

자율주행장치(21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확인하고, 자율주행 가능 여부에 따라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자율주행차량(200)의 조향(진행 방향) 및 속도(제동) 제어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S305).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checks the information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outputs a message according to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or controls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direction) and speed (braking) control operations are selectively performed (S305).

이때,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의 주행모드에 따라 자율주행 가능 여부에 따른 동작을 달리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perform an operation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이에 대해서는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가능 여부에 따른 자율주행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an autonomou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자율주행장치(21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확인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지 확인한다(S401). First,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checks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and confirms whether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S401).

단계 S401의 확인 결과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경우, 자율주행장치(210)는 현재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지 확인한다(S402).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401, if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is a section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checks whether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the manual driving mode. (S402).

단계 S402의 확인 결과,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면, 자율주행장치(210)는 현재의 주행모드(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함을 자율주행차량(200)의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S403). 즉,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면, 자율주행차량(200)은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운전자에게 청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자율주행모드로 전환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of step S402,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the manual driving mod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can switch from the current driving mode (manual driving mode)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driver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may be notified ( S403 ). That i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is a section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in the manual driving mode,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ncludes a display device that visually provides information to the driver and the driver.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driver that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rough at least one device among the speaker devices that audibly provide information to the driver.

일 예로서, 자율주행장치(21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자율주행 전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자율주행장치(210)는 스피커 장치를 통해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음(예컨대, 비프음, 음성안내 등)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와 알림음을 동시에 출력하여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것을 유도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switching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possible (autonomous driving conversion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display device to notify the driver that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possible. can As another exampl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outputs a notification sound (eg, beep sound, voice guidance, etc.) notifying that the switch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possible through the speaker device, so that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recommended to the driver. can indicate that it is possible. Preferably,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induce the switching of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by simultaneously outputting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switching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possible and a notification sound. .

만약, 단계 S402의 확인 결과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면, 자율주행장치(210)는 현재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를 유지할 것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S404). 즉,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면, 자율주행장치(210)는 현재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를 유지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자율주행장치(210)는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자율주행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in step S402,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notify the driver to maintain the current driving mode (autonomous driving mode) ( S404). That is, if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sets the current driving mode (autonomous driving mode). ) can be outputted with a message or a notification sound indicating that the Alternatively,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continuously mainta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without performing any operation.

만약, 단계 S401의 확인 결과 자율주행차량(200)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경우, 자율주행장치(210)는 현재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지 확인한다(S405).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1 that the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wants to enter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the manual driving mode. Confirm (S405).

단계 S405의 확인 결과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면, 자율주행장치(210)는 현재의 주행모드(수동주행모드)를 유지할 것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S406). 즉,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 불가능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면, 자율주행장치(210)는 현재의 주행모드(수동주행모드)를 유지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자율주행장치(210)는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수동주행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the manual driving mode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405,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notify the driver to maintain the current driving mode (manual driving mode) (S406) . That is, when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200 is the manual driving mod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the autonomous driving impossible section,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sets the current driving mode (manual driving mode). You can output a message or a sound to inform you to keep the . Alternatively,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continuously maintain the manual driving mode without performing any operation.

만약, 단계 S405의 확인 결과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면, 자율주행장치(210)는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수동주행모드 전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407). 이때, 자율주행장치(21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수동주행모드 전환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자율주행장치(210)는 스피커 장치를 통해 수동주행모드 전환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음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405 that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send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driving mode is chang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manual driving mode change notification) message) can be output (S407). At this tim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induce the driver to change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o the manual driving mode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manual driving mode change is requir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 Alternatively,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induce the driver to change the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sound indicating that manual driving mode change is required through the speaker device.

이후, 자율주행장치(210)는 수동주행모드 전환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수동주행모드 전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 후, 기설정된 설정 시간 이내에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는지 확인한다(S408). 이때,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차량(200)이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운전자에 의해 핸들,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 등의 조작됨이 감지되면, 자율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차량(200) 내 주행모드 전환을 위해 구비된 버튼(예컨대, 주행모드 전환 스위치) 조작이 여부를 확인하여 주행모드의 전환을 확인할 수 있다.After that,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manual driving mode change notification message) notifying that manual driving mode switching is required, and then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chang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within a preset time. Check whether it is converted to (S408). At this time, when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detects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accelerator pedal, and brake pedal by the driver while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can confirm. Alternatively,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may confirm the change of the driving mode by checking whether a button (eg, a driving mode change switch) provided for switching the driving mode in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operated.

만약, 수동주행모드 전환을 알린 후, 설정 시간 이내에 자율주행차량(2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차량(200)를 안전 구역에 정차시킨다(S409). 예컨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 후 설정 시간 이내에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전방 주변의 안전 구역(예컨대, 갓길, 쉼터, 휴게소, 주차장 등)에 정차하도록 자율주행차량(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안전 구역은 사전에 기설정된 위치일 수 있으며, 자율주행장치(210)는 자율주행차량(200)의 조항 및 속도를 제어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전방에 가장 가까운 안전 구역에 자율주행차량(200)을 정차시킬 수 있다.If, after notifying the manual driving mode change,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s not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within a set tim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stops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in a safe area. make it (S409). For example, if the manual driving mode is not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within a set time after outputting the warning messag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sets a safe area around the front (eg, shoulder, shelter)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 , a rest area, a parking lot, etc.) can control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o stop. At this time, the safety zone may be a preset location, and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210 controls the provisions and speed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200 to place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 200) can be stopp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의 주행모드를 분석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전방의 도로구간에 대해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그에 따라 자율주행차량의 자율주행모드 또는 수동주행모드를 유지하거나,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함을 운전자에게 알리거나, 수행주행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운전자에게 알리고 경우에 따라서 자율주행차량의 조향 및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자율주행모드로 주행 중 전방에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이 존재 시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자에게 미리 알릴 수 있으며,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자율주행 시 자율주행차량을 안전 구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고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a road section in front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by analyzing the driving mode of each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and accordingly, the autonomous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or Autonomous driving mode by maintaining the manual driving mode, notifying the driver that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or notifying the driver of the need to switch to the performing driving mode, and in some cases controlling the steering and speed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f there is a section in front of which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during driving, the drive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an be notified in advance. hav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e cont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specific form other than the abov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서버 110 : 송수신부
120 : 판단부 130 : 저장부
200 : 자율주행차량 210 : 자율주행장치
211 : 통신부 213 : 제어부
215 : 출력부
100: server 110: transceiver
120: judgment unit 130: storage unit
200: autonomous vehicle 210: autonomous driving device
211: communication unit 213: control unit
215: output unit

Claims (19)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중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인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 정보를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으로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와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자율주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일정 기간 동안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들의 주행모드를 분석한 주행현황 분석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의 주행현황 분석정보에는,
상기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수동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변경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
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a server that determines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a road section to which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to enter among a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o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It is provided in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to the server, checks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ility determ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and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desired road section;
The server includes a storage unit in which driv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that analyzes driving modes of autonomous vehicles driving in an arbitrary road sec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built as a database,
In the driv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of the storage unit,
At least among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manual driving mode, and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changing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in the arbitrary road section one is included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주행모드는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자의 핸들,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에 따라 주행하는 주행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자율주행모드는 상기 운전자의 조작 없이 주변환경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는 주행모드를 포함하는 것
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ual driving mode includes a driving mode i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according to a manipulation of at least one of a steering wheel, an accelerator pedal, and a brake pedal of a driver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ithout the driver's manipulation. Including driving modes that automatically drive according to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에 구비된 자율주행장치로부터 상기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상기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의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주행현황 분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해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rver,
a transceiver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n a driving mo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utonomous vehicles in the arbitrary road section from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utonomous vehicles; and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desired road section by using the driv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주행한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를 고려하여,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termination unit,
Considering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hat change the driving mode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en in the desired road s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desired road section. to judge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주행한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를 유지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 대비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비율이 기설정된 설정 비율보다 높으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며, 산출된 상기 비율이 상기 설정 비율보다 낮거나 같으면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
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etermination unit,
Calculating and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number of autonomous vehicles driving by chang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compared to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while maintain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desired road section If the calculated ratio is higher than the preset ratio, it is determined that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and when the calculated ratio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atio, it is determined that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주행한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를 고려하여,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autonomous driving mode among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raveling in the desired road section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주행한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비율이 기설정된 설정 비율보다 높은 경우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비율이 상기 설정 비율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
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termination unit,
If the ratio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higher than the preset ratio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en in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t is determined that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and the autonomous driving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determined. Determining that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when the ratio of vehicles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t ratio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장치는,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거나,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현재의 주행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함을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to the server and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from the server; and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is the manual driving mode,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or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controlled to notify the drive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hat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current driving mode. a control unit;
An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that includes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어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할 것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린 후,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지 않을 시,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조향 및 속도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안전 구역에 정차시키는 것
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and after notifying the driver to switch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 check whether the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when the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does not change to the manual driving mode for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Controlling the steering and speed of the driving vehicle to stop it in a preset safe area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거나,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현재의 주행모드를 유지할 것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
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is the manual driving mode,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or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rbitrary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informing the driver to maintain the current driving mode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에 구비된 자율주행장치로부터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상기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각각의 주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들의 주행모드를 분석한 주행현황 분석정보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중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인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 정보를 상기 임의의 자율주행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수동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변경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주행현황 분석정보를 구축하는 것
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receiving information on driving mo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utonomous vehicles in an arbitrary road section from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utonomous vehicles;
constructing driv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by analyzing driving modes of autonomous vehicles driving in the arbitrary road sec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etermining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a road section to which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intends to enter; and
transmitting self-driving possibility determination information, which i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o the arbitrary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building step is
At least among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manual driving mode, and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changing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in the arbitrary road section Building the driv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one
A method of operation of a server in an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주행한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를 유지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 대비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수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비율이 기설정된 설정 비율보다 높으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며, 산출된 상기 비율이 상기 설정 비율보다 낮거나 같으면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etermining comprises:
calculating a ratio of the number of autonomous vehicles driving by chang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compared to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while maintain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raveling in the desired road section; and
determining that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if the calculated ratio is higher than a preset ratio, and determining that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f the calculated ratio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atio
Method of operation of the server in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 주행한 자율주행차량들 중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비율이 기설정된 설정 비율보다 높은 경우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비율이 상기 설정 비율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
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etermining comprises:
If the ratio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higher than the preset ratio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en in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t is determined that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and the autonomous driving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determined. Determining that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when the ratio of vehicles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t ratio
A method of operation of a server in an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자율주행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서의 자율주행 가능 여부의 판단을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주행현황 분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자율주행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율주행 가능 여부 판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자율주행 가능 여부와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현황 분석정보에는, 임의의 도로구간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수동주행모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변경되는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에서 자율주행장치의 동작 방법.
requesting a server to determine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in a road section to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intends to enter;
receiving, from the server, information on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based on driv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quest; and
checking the autonomous driving possibility determination information, and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consideration of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for the desired road section and a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cluding,
The driv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a certain road section, the number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iving in the manual driving mode, and autonomous driving changing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ehicles is included
Operation method of autonomous driving device in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현재의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함을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현재의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할 것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에서 자율주행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ling comprises: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the manual driving mod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current manual driving mode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forming the driver of the driving vehicle; and
When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notifying the driver to switch the current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step;
A method of operating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in an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comprising a.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의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할 것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린 후,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되지 않을 시,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조향 및 속도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안전 구역에 정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에서 자율주행장치의 동작 방법.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에서 자율주행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ling comprises:
checking whether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notifying the driver that the current autonomous driving mode is to be switched to the manual driving mode; and
when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does not change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manual driving mode for the predetermined time, controlling the steering and speed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o stop it in a preset safe area;
A method of operating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in an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comprising a.

Operation method of autonomous driving device in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거나,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이 자율주행이 가능한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현재의 주행모드를 유지할 것을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
인 자율주행 가능구간 예측 시스템에서 자율주행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ling comprises: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the manual driving mode,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in which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or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Informing the driver of the autonomous vehicle to maintain the current driving mod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oad section to be entered is a section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in an autonomous driving possible section prediction system.
KR1020160079190A 2016-06-24 2016-06-24 System for predicting the automatic driving road se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4019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190A KR102401915B1 (en) 2016-06-24 2016-06-24 System for predicting the automatic driving road se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0200164980A KR102371690B1 (en) 2016-06-24 2020-11-30 System for predicting the automatic driving road sec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190A KR102401915B1 (en) 2016-06-24 2016-06-24 System for predicting the automatic driving road section and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980A Division KR102371690B1 (en) 2016-06-24 2020-11-30 System for predicting the automatic driving road sec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10A KR20180000910A (en) 2018-01-04
KR102401915B1 true KR102401915B1 (en) 2022-05-26
KR102401915B9 KR102401915B9 (en) 2023-05-11

Family

ID=6099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190A KR102401915B1 (en) 2016-06-24 2016-06-24 System for predicting the automatic driving road sec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9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344A (en) * 2019-04-19 2021-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Vehicl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WO2022097869A1 (en) * 2020-11-05 2022-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v2x vehicle by first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delink, and device therefor
KR102588983B1 (en) * 2022-03-29 2023-10-17 포티투닷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vehicle interface
CN115497317B (en) * 2022-09-13 2024-04-12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Target road section determining method, device, equipment, 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oduc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690A (en) 2001-02-23 2002-09-06 Toshiba Corp Automatic guidance and control system
JP2003141676A (en) * 2001-11-02 2003-05-16 Pioneer Electronic Corp Automatic vehicle guide system, controller in automatic vehicle guide system, automatic vehicle guide method, and processing program for automatic vehicle guide
JP2015153048A (en) 2014-02-12 2015-08-24 株式会社デンソー Drive support device
JP2015157604A (en) 2014-02-25 2015-09-0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Automatic driving assisting system, automatic driving assis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6045856A (en) 2014-08-26 2016-04-04 株式会社ゼンリン Automatic driving system and data structure
JP2016050901A (en) 2014-09-02 2016-04-1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Automatic driving support system, automatic driving suppor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144B1 (en) * 2012-02-09 2017-0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690A (en) 2001-02-23 2002-09-06 Toshiba Corp Automatic guidance and control system
JP2003141676A (en) * 2001-11-02 2003-05-16 Pioneer Electronic Corp Automatic vehicle guide system, controller in automatic vehicle guide system, automatic vehicle guide method, and processing program for automatic vehicle guide
JP2015153048A (en) 2014-02-12 2015-08-24 株式会社デンソー Drive support device
JP2015157604A (en) 2014-02-25 2015-09-0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Automatic driving assisting system, automatic driving assis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6045856A (en) 2014-08-26 2016-04-04 株式会社ゼンリン Automatic driving system and data structure
JP2016050901A (en) 2014-09-02 2016-04-1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Automatic driving support system, automatic driving suppor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10A (en) 2018-01-04
KR102401915B9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3610B (en) Accountability and agreement acceptance of vehicles to form a fleet of vehicles
EP29161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on of time available for autonomous driving, in a vehicle having autonomous driving cap
JP6422812B2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KR1017031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US95943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establishing a boundary for autonomous driving availability and an automotive vehicle comprising such an apparatus
CN108091155B (en) Traffic flow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Internet of vehicles
JP4524673B2 (en) Self-propelled vehicle safe traffic management system, self-propelled vehicle safe traffic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thereof
US20170031364A1 (en) Navigation device for autonomously driving vehicle
KR102401915B1 (en) System for predicting the automatic driving road section and method thereof
WO2019031407A1 (en)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9036339A (en) Driving support device
CN110968092A (en) Automatic driving assistance device
CN108058707B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information display program
US11548508B2 (en) Driving assist method and driving assist device
US11970159B2 (en) Vehicle control system
CN114111819A (en) Trajectory planning for vehicles using route information
JP7054667B2 (en) Road traffic control system
JP5640576B2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system
US11491976B2 (en) Collision warning system for safety operators of autonomous vehicles
JP6195293B2 (en) Electronic device, road traffic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road traffic information display program
KR102371690B1 (en) System for predicting the automatic driving road section and method thereof
US11919540B2 (en) Remote support system and remote support method
US20220223038A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server device
JP2020153781A (en) Automatic drive support device
JPWO2020136893A1 (en) Communication systems, communication terminals, control methods, programs, and storage media for storing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