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513B1 - Wide angle picturing device and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de angle picturing device and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513B1
KR102399513B1 KR1020150094998A KR20150094998A KR102399513B1 KR 102399513 B1 KR102399513 B1 KR 102399513B1 KR 1020150094998 A KR1020150094998 A KR 1020150094998A KR 20150094998 A KR20150094998 A KR 20150094998A KR 102399513 B1 KR102399513 B1 KR 102399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wide
bracket
coupled
photograp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4532A (en
Inventor
최용복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4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513B1/en
Publication of KR20170004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5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5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H04N5/23238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광각 촬영장치의 일 실시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방향인 제1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s: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camera module about an axis parallel to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rst direction that is an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and a base in which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camera module and the driving part is formed.

Description

광각 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Wide angle picturing device and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Wide angle photographing device and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파노라마 영상, 사진 등을 촬영할 수 있는 광각 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photographing a panoramic image, a photo, and the like, and a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최근 캠핑, 레저, 익스트림스포츠 등 야외스포츠 또는 야외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능동적이고 액티브한 활동을 사진 또는 영상으로 남기는 경우가 많다.Recently, outdoor sports or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leisure, and extreme sports are increasing. Therefore, these active and active activities are often left as pictures or images.

특히, 익스트림스포츠의 한 장면, 자연경관 등을 더욱 훌륭한 사진 또는 영상으로 남기기 위해, 액션카메라의 수요가 증가하고, 보통의 영상보다 넓은 시야각을 가진 카메라 장비를 사용한 파노라마 영상, 사진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demand for action cameras is increasing in order to leave a scene of extreme sports or a natural landscape as a better photo or video, and the demand for panoramic video and photos using camera equipment with a wider viewing angle than normal video is also increasing. there is.

한편, 스마트폰, 타블릿 PC 등 휴대용 모바일 기기는 촬영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러한 촬영장치는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를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는 액션카메라가 아니다.On the other hand, portable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equipped with a photographing device, but such a photographing device is not an action camera capable of accurately photographing a fast-moving subject.

또한,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렌즈는 광각렌즈가 아니므로, 상기 촬영장치를 사용하여 파노라마 영상, 사진 등을 촬영할 수 없다.In addition, since the lens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not a wide-angle lens, it is impossible to photograph a panoramic image or a photo us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따라서, 실시예는, 파노라마 영상, 사진 등을 촬영할 수 있는 광각 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 relates to a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photographing a panoramic image, a photo, and the like, and a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광각 촬영장치의 일 실시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방향인 제1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s: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camera module about an axis parallel to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rst direction that is an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and a base in which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camera module and the driving part is formed.

상기 구동부는, 일면이 상기 카메라 모듈에 결합하는 브라킷; 및 상기 브라킷의 타면에 결합하고 상기 브라킷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bracket having one surface coupled to the camera module; and a rotation motor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rotating the bracket.

상기 회전모터는, 스핀모터(spin motor), 스핀들모터(spindle motor) 스텝모터(step motor) 또는 압전모터(piezoelectric motor)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rotation motor may be provided as a spin motor, a spindle motor, a step motor, or a piezoelectric motor.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브라킷과 결합하여 상기 브라킷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결합하고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rotation motor may include: a rotating unit coupled to the bracket to rotate the bracket; and a support part coupl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supporting the rotating part.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2방향과 평형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The rotating part may rotate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상기 브라킷은 양단으로부터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측면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The bracket may include a pair of bent portions bent from both ends, and the bent portions may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상기 구동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카메라 모듈의 양측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amera module, respectively.

상기 카메라 모듈 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수용부에는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A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amera module,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first receiving part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through hole. can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2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결합돌기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camera module may rotate around a cen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방향인 제1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광각 촬영장치를 구비하고, 후면에 상기 베이스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camera module about an axis parallel to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rst direction that is an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A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a base on which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camera module and the driving part is formed may be provided,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base may be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는, 전면에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상기 광각 촬영장치를 작동시키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표면을 드래그(drag)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각각의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 display unit for operating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s the user adjusts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module by dragg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the subject Each part of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촬영되는 상기 피사체의 일부분의 영상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촬영되는 피사체의 다른 일부분의 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피사체의 전체영상을 완성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n image of a portion of the subject photographed by rotating the camera module in one direction is combined with an image of another portion of the subject photographed by rotating the camera modul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It may be to complete the entire image of the subject.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의 시야각은 일정하지만, 카메라 모듈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광각 촬영장치는 상기 시야각보다 넓은 범위의 촬영각도를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사체를 넓은 각도 범위에서 촬영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although the viewing angle of the camera module is constant,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module,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can acquire a photographing angle of a wider range than the viewing angle, and thus an image captured in a wide range of angles can get

또한, 카메라 모듈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카메라 모듈의 촬영각도를 넓힘으로써 모바일 기기에서도 광각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module to widen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module, it is possible to shoot a wide-angle image even in a mobile devic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촬영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촬영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카메라 모듈의 광축방향이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방향 즉, 지면(paper)에서 측방향과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방향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4b는 카메라 모듈의 광축방향이 도 4a로 배치된 경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부에 도시되었다.
도 5a는 카메라 모듈이 지면에서 좌측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축방향도 지면에서 좌측으로 회전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b는 카메라 모듈의 광축방향이 도 5a로 배치된 경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부에 도시되었다.
도 6a는 카메라 모듈이 지면에서 우측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축방향도 지면에서 우측으로 회전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6b는 카메라 모듈의 광축방향이 도 6a로 배치된 경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부에 도시되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촬영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A to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operations of a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A shows a case in which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perpendicular to or close to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paper.
In FIG. 4B, whe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is arranged in FIG. 4A, the state of the subjec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is shown on the display unit.
5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amera module rotates to the left on the ground, and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also rotates to the left on the ground.
In FIG. 5B, whe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is arranged in FIG. 5A, the state of the subjec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is shown on the display unit.
6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amera module rotates to the right on the ground, and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also rotates to the right on the ground.
In FIG. 6B , whe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is arranged in FIG. 6A , an image of a subjec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is shown on the display uni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icture taken by a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re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up (up)" or "below (on or under)" of each element, on (on or under) ) includes both elements in which two elem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elements are disposed between the two elements indirectly.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on or under)”,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may be included.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Also, as used hereinafter, relational terms such as "upper/upper/above" and "lower/lower/below" etc. do not necessarily require 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It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x, y, z) may be used in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x-axis and y-axis mea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convenience, the optical-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a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s the third direction. .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촬영장치(1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ing unit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휴대용 단말기는,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타블릿 PC 기타 휴대가 가능하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although a smartphone is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ny device as long as it is portable and capable of capturing images, such as a tablet PC.

또한, 실시예에서는 사진 즉,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실시예의 광각 촬영장치(10) 및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of taking a picture, that is, a still image has been described in the embodiment,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embodiment may be used even when shooting a moving picture.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는 광각 촬영장치(10), 제2수용부(20) 및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도 4b, 도 5b 및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wide-angle photographing device 10 , a second accommodating unit 20 , and a display unit 30 . The display unit 3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unit 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B, 5B, and 6B.

제2수용부(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각 촬영장치(1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수용부(20)는 상기 광각 촬영장치(10)의 베이스(300)를 수용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중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수용부(20)는 베이스(30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may serve to accommodate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10 . Specifically,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ccommodate the base 300 of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10 . Accordingly,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base 300 .

광각 촬영장치(10)는 카메라 모듈(100), 구동부(200) 및 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각 촬영장치(10)는 카메라 모듈(100)을 회전시켜, 카메라 모듈(100)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보다 피사체를 더 넓은 각도로 촬영할 수 있다.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00 , a driving unit 200 , and a base 300 .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10 may rotate the camera module 100 to photograph a subject at a wider angle than when the camera module 100 does not rotate.

카메라 모듈(100)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부위이다.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와 상기 렌즈와 대향되는 부위에 이미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렌즈를 통해 입사하는 광의 축방향 즉, 제1방향으로 복수의 렌즈들이 배열되어 광학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camera module 100 is a par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The camera module 100 may include a lens and an image sensor in a portion facing the lens. The lens may be provided as one, but a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to form an optical system.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상기 광축방향으로 렌즈가 이동하도록 하는 오토포커싱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100 may include an auto-focusing function for moving the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focus on a subject, and a hand-shake correction function for correcting shake caused by a user's hand shake.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결합홈(1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10)은 카메라 모듈(100) 측면에 형성되고, 베이스(300)의 제1수용부(31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1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11)에 삽입되는 카메라 모듈(100)은 상기 결합돌기(311)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10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110 . The coupling groove 11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amera module 100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311 formed in the first receiving part 310 of the base 300 . The camera module 100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311 may rotate around the cen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311 .

구동부(2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광축방향인 제1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0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구동부(2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을 상기 결합돌기(311)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200)는 브라킷(210), 회전모터(220) 및 관통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00 may serve to rotate the camera module 100 about an axis parallel to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rst direction that is an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00 . That is, the driving unit 200 may rotate the camera module 100 about the cen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311 as an axis. The driving unit 200 may include a bracket 210 , a rotation motor 220 , and a through hole 230 .

상기 브라킷(210)은 일면이 상기 카메라 모듈(100)에 결합하고, 타면에는 회전모터(220)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브라킷(210)은 절곡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211)는 상기 브라킷(210)의 양단으로부터 절곡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11)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bracket 210 may be coupled to the camera module 100 ,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a rotation motor 220 . The bracket 210 may include a bent portion 211 . The bent part 211 is bent from both ends of the bracket 210 , and the bent part 211 may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100 .

상기 브라킷(210)은 상기 카메라 모듈(100)에 결합하는 경우, 절곡부(211)가 카메라 모듈(100)을 잡아주므로, 절곡부(211)가 회전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10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킷(210)은 회전모터(220)에 결합하고, 회전모터(220)가 회전하면 브라킷(2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When the bracket 210 is coupled to the camera module 100, the bent part 211 holds the camera module 100, so when the bent part 211 rotates, the camera module 100 also rotates. can do. Meanwhile, the bracket 21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motor 220 , and when the rotation motor 220 rotates, the bracket 210 may also rotate.

이때, 상기 브라킷(210)은 회전모터(220)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회전모터(2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브라킷(210)과 회전모터(220)의 결합부위에는 브라킷(210) 또는 회전모터(220)의 어느 하나에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홈이 형성되어, 브라킷(210)과 회전모터(220)가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bracket 210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motor 220 by being adhered to the rotation motor 220 with an adhesive. In another embodiment, a protrusion is formed in either one of the bracket 210 or the rotation motor 220 and a groove is formed in the other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racket 210 and the rotation motor 220 , the bracket 210 . And the rotation motor 2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따라서, 회전모터(220)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브라킷(210)이 회전하고, 브라킷(210)이 회전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도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rotation motor 220 rotates, the bracket 210 rotates accordingly, and as the bracket 210 rotates, the camera module 100 may also rotate.

회전모터(220)는 상기 브라킷(210)의 타면에 결합하고 상기 브라킷(2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220)는 소형이며, 회전각도의 제어가 용이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The rotation motor 22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racket 210 and serve to rotate the bracket 210 . The rotary motor 220 is small, and it is appropriate to use a motor that is easy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따라서, 상기 회전모터(220)는, 예를 들어, 스핀모터(spin motor), 스핀들모터(spindle motor) 스텝모터(step motor), 압전모터(piezoelectric motor)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otation motor 220 may be, for example, a spin motor, a spindle motor, a step motor, a piezoelectric motor, or the like.

상기 회전모터(220)는 회전부(221)와 지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21)는 상기 브라킷(210)과 결합하여 상기 브라킷(2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221)는 브라킷(210)과 결합하고, 회전부(221)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브라킷(210)이 회전하고, 브라킷(210)이 회전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도 회전할 수 있다.The rotation motor 220 may include a rotation unit 221 and a support unit 222 . The rotating part 221 may serve to rotate the bracket 210 by being coupled to the bracket 210 . That is, the rotation unit 221 is coupled to the bracket 210, and when the rotation unit 221 rotates, the bracket 210 rotates accordingly, and as the bracket 210 rotates, the camera module 100 can also rotate. there is.

지지부(222)는 상기 제1수용부(310)와 결합하고 상기 회전부(2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2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21)를 둘러쌈으로써 상기 회전부(221)가 지지부(222)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222 may serve to be coupl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0 and support the rotation part 221 . That is, as shown in FIG. 3 , the support part 222 may surround the rotation part 221 so that the rotation part 22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222 and rotates.

따라서, 상기 회전부(221)는 상기 지지부(222)에 대하여 상기 제2방향과 평형한 축 즉, 상기 결합돌기(311)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물론, 회전부(221)는 회전하지만 지지부(222)는 회전하지 않는다.Accordingly, the rotating part 221 may rotate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222 , that is, the cen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311 . Of course, the rotating part 221 rotates, but the support part 222 does not rotate.

관통홀(230)은 회전축이 되는 결합돌기(311), 상기 결합돌기(311)가 삽입되는 상기 결합홈(1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311)는 상기 관통홀(230) 및 결합홈(1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230)은 회전부(221)의 회전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23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 coupling protrusion 311 serving as a rotation shaft and the coupling groove 110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11 is inserted. Accordingly, the coupling protrusion 311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30 and the coupling groove 110 .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230 may be formed 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ng part 221 .

따라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 측면에는 결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결합홈(110)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관통홀(230)이 구비되며, 상기 제1수용부(310)에는 상기 결합홈(110) 및 상기 관통홀(230)에 삽입되는 결합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referring to FIGS. 2 and 3 , a coupling groove 11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amera module 100 , and the driving unit 200 has a through hole 230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110 . is provide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11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0 and the through hole 230 may be formed in the first receiving part 310 .

한편, 상기 구동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양측에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를 형성하는 브라킷(210), 회전모터(220)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결합돌기(311)도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unit 200 is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amera module 100 ,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bracket 210 and the rotation motor 220 forming the driving unit 200 may be provided as a pair, respectively,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11 may also be provided as a pair.

베이스(3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 및 상기 구동부(200)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300)는 모바일 기기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2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는 제1수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300 may accommodate the camera module 100 and the driving unit 200 , and the base 3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unit 20 formed in the mobile device. The base 300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310 .

제1수용부(310)는 상기 베이스(30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수용부(310)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 및 상기 구동부(20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용부(310)에는 결합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0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base 300 , and the camera module 100 and the driving part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0 . In addition, a coupling protrusion 311 may be form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0 .

결합돌기(31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구동부(200)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11)는 상기 제2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311)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결합홈(110)이 삽입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상기 결합돌기(311)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311 is provided as a pair, so that the driving unit 200 provided as a pair can be coupled thereto. The coupling protrusion 311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ly, the coupling groove 110 of the camera module 10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311 , and the camera module 100 may rotate around the cen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311 .

실시예에서, 결합돌기(311)에는 회전모터(220), 브라킷(210) 및 카메라 모듈(100)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모터(220), 브라킷(210) 및 카메라 모듈(100)은 결합돌기(311)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rotating motor 220, the bracket 210 and the camera module 100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311, and the rotating motor 220, the bracket 210 and the camera module 100 are the coupling protrusions. The center of (311) can be rotated as an axis.

이때, 회전모터(220)에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회전모터(220)는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220)에 결합하는 브라킷(210)도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킷(21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도 회전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rotation motor 220 , the rotation motor 220 may rotate, and accordingly, the bracket 210 coupled to the rotation motor 220 may also rotate, and the bracket 210 . The camera module 100 supported by the may also rotate.

도 4a 내지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촬영장치(10) 및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A to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a는 카메라 모듈(100)의 광축방향이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방향 즉, 지면(paper)에서 측방향과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방향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4b는 카메라 모듈(100)의 광축방향이 도 4a로 배치된 경우, 카메라 모듈(100)을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부(30)에 도시되었다.4A shows a case in which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00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perpendicular to or close to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paper. In FIG. 4B , whe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00 is arranged in FIG. 4A , the appearance of the subjec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00 is shown on the display unit 30 .

디스플레이부(30)는 휴대용 단말기 전면에 구비되고,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30)의 조작에 의해 상기 광각 촬영장치(10)가 작동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30)에 사용자(U)가 터치스크린 기능을 통해 상기 광각 촬영장치(10)의 카메라 모듈(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display unit 3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may have a touch screen function. In an embodiment,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10 may be operated by manipulation of the display unit 30 . That is, the user U on the display unit 30 may rotate the camera module 100 of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10 through a touch screen function.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의 시야각(θ)은 일정하지만, 카메라 모듈(1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광각 촬영장치(10)는 상기 시야각(θ)보다 넓은 범위의 촬영각도를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사체를 넓은 각도 범위에서 촬영한 영상 즉, 파노라마 영상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although the viewing angle θ of the camera module 100 is constant,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module 100,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10 can obtain a wider range of photographing angles than the viewing angle θ.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mage of the subject in a wide angle range, that is, a panoramic image.

구체적으로, 사용자(U)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0) 표면을 드래그(drag)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각각의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the user U adjusts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module 100 by dragg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30 , each part of the subje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 can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사용자(U)가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100)을 회전시키는 방식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in which the user U rotates the camera module 100 through the display unit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6B .

도 5a는 카메라 모듈(100)이 지면에서 좌측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광축방향도 지면에서 좌측으로 회전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b는 카메라 모듈(100)의 광축방향이 도 5a로 배치된 경우, 카메라 모듈(100)을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부(30)에 도시되었다.5A shows a case in which the camera module 100 rotates to the left on the ground, and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00 also rotates to the left on the ground. In FIG. 5B , whe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00 is arranged in FIG. 5A , the appearance of the subjec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00 is shown on the display unit 30 .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b의 상태에서 사용자(U)가 디스플레이부(30)의 표면을 지면에서 우측방향으로 드래그하여 도 4b에는 나타나지 않는 피사체의 좌측부분이 도 5b에 나타날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 in the state of FIG. 4B , the user U drags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30 from the ground in the right direction, so that the left part of the subject not shown in FIG. 4B may appear in FIG. 5B .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디스플레이부(30)의 표면을 지면에서 우측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100)은 지면에서 좌측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4b에는 나타나지 않는 피사체의 좌측부분이 디스플레이부(30)에 나타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A , when the user U drags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30 from the ground to the right, the camera module 100 rotates to the left on the ground and does not appear in FIG. 4B . The left part of the subject may appear on the display unit 30 .

도 6a는 카메라 모듈(100)이 지면에서 우측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광축방향도 지면에서 우측으로 회전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6b는 카메라 모듈(100)의 광축방향이 도 6a로 배치된 경우, 카메라 모듈(100)을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부(30)에 도시되었다.6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amera module 100 rotates to the right on the ground, and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00 also rotates to the right on the ground. In FIG. 6B , whe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00 is arranged in FIG. 6A , the appearance of the subjec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00 is shown on the display unit 30 .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b의 상태에서 사용자(U)가 디스플레이부(30)의 표면을 지면에서 좌측방향으로 드래그하여 도 4b에는 나타나지 않는 피사체의 우측부분이 디스플레이부(30)에 나타날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 in the state of FIG. 4B , the user U drags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30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ground so that the right part of the subject not shown in FIG. 4B appears on the display unit 30 . can

이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디스플레이부(30)의 표면을 지면에서 좌측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100)은 지면에서 우측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4b에는 나타나지 않는 피사체의 우측부분이 도 5b에 나타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A , when the user U drags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30 from the ground to the left, the camera module 100 rotates to the right on the ground and does not appear in FIG. 4B . A right part of the subject may appear in FIG. 5B .

상기한 바와 같이 광각 촬영장치(10)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1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조합함으로써, 광각의 영상 즉, 파노라마 영상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10 can obtain a wide-angle image, that is, a panoramic image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camera module 100 to capture images from different angles and combining them.

즉,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10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촬영되는 상기 피사체의 일부분의 영상과, 상기 카메라 모듈(100)을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촬영되는 피사체의 다른 일부분의 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피사체의 전체영상을 완성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embodiment, an image of a portion of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rotating the camera module 100 in one direction, and an image of another portion of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rotating the camera module 1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can be combined to complete the entire image of the subject.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촬영장치(10) 및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사진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Hereinafter, a process of obtaining the panoramic ima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7 is a view showing a picture taken by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icture shown in FIG. 7 can be obtain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먼저, 도 4b, 도 5b 및 도 6b에 디스플레이되는 피사체의 각 부분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도 4b, 도 5b 및 도 6b의 각 영상은 순서에 상관없이 촬영하여도 무방하다.First, an image of each part of the subject displayed in FIGS. 4B, 5B and 6B is captured. In this case, the images of FIGS. 4B, 5B, and 6B may be photographed regardless of the order.

다음으로,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는 이미지프로세싱 장치(미도시)에 의해 촬영된 도 4b, 도 5b 및 도 6b의 각 영상을 조합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프로세싱 장치는 각 영상들을 조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연속된 영상을 완성할 수 있다.Next, each image of FIGS. 4B, 5B, and 6B captured by an image process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the portable mobile device may be combine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combine each image to complete one continuous image as shown in FIG. 7 .

이때, 카메라 모듈(100)이 여러 각도로 회전하여 촬영되는 영상들이 서로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미지프로세싱 장치에서 이러한 겹침을 인식하여 하나의 연속된 영상으로 조합할 수 있다.In this case, even if a portion in which images captured by rotating the camera module 100 at various angles overlap each other,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recognize such overlap and combine them into one continuous image.

또한, 카메라 모듈(100)이 여러 각도로 회전하여 촬영되는 영상들이 불연속적인 부분 즉, 누락되는 부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미지프로세싱 장치에서 이러한 누락되는 부분을 인식하여 조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누락된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그 누락된 부분은 완성된 영상에서 누락되어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a discontinuous part, that is, a missing part, occurs in images captured by rotating the camera module 100 at various angle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recognize and combine the missing part. Of course, if there is such a missing part, the missing part may appear missing from the finished image.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촬영각도를 넓힘으로써 모바일 기기에서도 광각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module 100 to widen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camera module 100, a wide-angle image can be photographed even in a mobile device.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only a few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new embodiment through this.

10: 광각 촬영장치
20: 제2수용부
30: 디스플레이부
100: 카메라 모듈
110: 결합홈
200: 구동부
210: 브라킷
211: 절곡부
220: 회전모터
221: 회전부
222: 지지부
230: 관통홀
300: 베이스
310: 제1수용부
311: 결합돌기
10: Wide-angle camera
20: second receiving unit
30: display unit
100: camera module
110: coupling groove
200: driving unit
210: bracket
211: bend
220: rotation motor
221: rotating part
222: support
230: through hole
300: base
310: first receiving unit
311: coupling protrusion

Claims (12)

수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수용홈 내에 배치되고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상기 수용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결합하는 제1 브라킷;
상기 수용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결합하는 제2 브라킷;
상기 제1 브라킷과 결합되고 상기 제1 브라킷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브라킷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브라킷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킷은 상기 제1 회전부와 결합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1 측면과 결합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 측면의 반대면인 제2 측면과 결합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킷은 상기 제2 회전부와 결합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1 측면과 결합되는 제3 절곡부, 및 상기 제2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2 측면과 결합되는 제4 절곡부를 포함하는 광각 촬영 장치.
a base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a camera module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configured to photograph a subject;
a first bracket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camera module;
a second bracket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camera module;
a first rotat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rotating the first bracket; and
and a second rotat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and rotating the second bracket;
The first bracket includes a first body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part, a first bent part bent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coupled to the first side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bent and a second bent part coupled to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of the camera module,
The second bracket includes a second body coupled to the second rotating part, a third bent part bent from one end of the second body and coupled to the first side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bent A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a fourth bent part coupled to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킷과 상기 제2 브라킷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광각 촬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camera module as a center of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내지 제4 절곡부들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1 내지 제4 절곡부들 각각의 회전 방향은 서로 동일한 광각 촬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module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to fourth bent parts,
A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in which a rotation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and a rotation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bent parts are identical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제1 내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광각 촬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supporting the first rotat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광축 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광각 촬영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rotates the rotating part about an axis parallel to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rst direction that is an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제2 내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광각 촬영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econd support part coupled to a second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supporting the second rotating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3 측면에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라킷은 상기 제1 결합홈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제1 결합홈 및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광각 촬영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a third side connecting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camera module,
The first bracket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a first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hole formed in the receiving reces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3 측면의 반대면인 제4 측면에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킷은 상기 제2 결합홈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제2 결합홈 및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2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광각 촬영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second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a fourth side opposite to the third side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The second bracket includes a second through hol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the second coupling groove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 돌기들은 광축 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결합 돌기들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광각 촬영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protru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rst direction that is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camera module rotates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as an axis for wide-angle photography Devic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각 촬영 장치;
상기 광각 촬영 장치의 베이스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wide-angl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a accommodating unit accommodating the base of the wide-angle photographing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전면에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상기 광각 촬영장치를 작동시키는 디스플레이부롤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표면을 드래그(drag)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각각의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휴대용 단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It includes a display unit roll that operates the wide-angle photographing device in a touch screen method on the front side,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each part of the subje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a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module is adjusted by dragging a surface of the display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촬영되는 상기 피사체의 일부분의 영상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촬영되는 피사체의 다른 일부분의 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피사체의 전체영상을 완성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Portable to complete the entire image of the subject by combining the image of a portion of the subject photographed by rotating the camera module in one direction and the image of another portion of the subject photographed by rotating the camera modul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terminal.
KR1020150094998A 2015-07-03 2015-07-03 Wide angle picturing device and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3995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998A KR102399513B1 (en) 2015-07-03 2015-07-03 Wide angle picturing device and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998A KR102399513B1 (en) 2015-07-03 2015-07-03 Wide angle picturing device and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32A KR20170004532A (en) 2017-01-11
KR102399513B1 true KR102399513B1 (en) 2022-05-19

Family

ID=5783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998A KR102399513B1 (en) 2015-07-03 2015-07-03 Wide angle picturing device and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5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68A1 (en) * 2018-01-05 2019-07-11 이종선 Terminal having movable built-in camera
KR102052597B1 (en) * 2018-01-05 2019-12-10 이종선 Terminal for driving inner camera
CN112714237B (en) * 2019-10-24 2023-03-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Terminal device, lens adjusting method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10072351A (en) 2019-12-09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tating camera and method for taking pictures in 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220040935A (en) * 2020-09-24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The method for displaying preview image and the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2162A (en) * 2003-03-12 2004-10-07 Minolta Co Ltd Camera, and monitoring system
JP2007318648A (en) * 2006-05-29 2007-12-06 Fujifilm Corp Panoramic photograph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6858A (en) * 1994-08-02 1996-02-16 Secom Co Ltd Camera system
KR100842495B1 (en) * 2006-11-14 2008-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camer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2162A (en) * 2003-03-12 2004-10-07 Minolta Co Ltd Camera, and monitoring system
JP2007318648A (en) * 2006-05-29 2007-12-06 Fujifilm Corp Panoramic photograph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32A (en)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242B2 (en) Method and electric device for taking panoramic photograph
KR102399513B1 (en) Wide angle picturing device and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38186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ple cameras for digital photography
US9007431B1 (en) Enabling the integration of a three hundred and sixty degree panoramic camera within a consumer device case
JP5620036B1 (en) Digital camera for panoramic photography and panoramic photography system
US20150109475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a rotatable camera
US20180052308A1 (en) Optical lens accessory for wide-angle photography
US1061650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tical device thereof
CN105827903A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CN108495016B (en) Camera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image acquisition method
WO2022040951A1 (en) Image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image collec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5007399B (en) Double-camera mobile terminal
US10234660B2 (en) Optical lens accessory for panoramic photography
US10212341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cameras
US20170119135A1 (en) Frame for Portable Electronic Media Device
CN112822415B (en) Camera module and terminal equipment
US9667869B2 (en) Camera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horizontality and method for the same
WO2017092261A1 (en) Camera module, mobile terminal, and image shoo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WO2018227670A1 (en) Intelligent electronic projection device
WO202025896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0581959A (en) Multiple imaging apparatus and multiple imaging method
US10698300B2 (en) Apparatus for mobile phone photography
TWM508859U (en) Panoramic imaging portable device
TWM495530U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camera module
JP2011249877A (en)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