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227B1 - Managing system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gpr detector - Google Patents

Managing system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gpr de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227B1
KR102399227B1 KR1020190177684A KR20190177684A KR102399227B1 KR 102399227 B1 KR102399227 B1 KR 102399227B1 KR 1020190177684 A KR1020190177684 A KR 1020190177684A KR 20190177684 A KR20190177684 A KR 20190177684A KR 102399227 B1 KR102399227 B1 KR 102399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pr
data
information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5053A (en
Inventor
이효진
심재민
김성모
채휘영
김윤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주)코아텍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주식회사 지오비전
재단법인 공간정보품질관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주)코아텍,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주식회사 지오비전, 재단법인 공간정보품질관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177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227B1/en
Publication of KR2021008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0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2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38Processing data, e.g. for analysis, for interpretation, for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conom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은 GPR 탐사장치를 이용하여 탐사지역의 GPR 탐사 데이터를 수집하고, GPR 탐사데이터를 학습된 딥러닝 네트워크에 의해 분석하고, GPR 탐사데이터의 처리방법에 의해 가상의 지하시설물을 생성한 뒤, GPS-AR 장치를 통해 작업자에게 공사 현장 내 지하시설물의 위치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GPR exploration data of an exploration area using a GPR exploration device, analyzes the GPR exploration data by a learned deep learning network, and provides a method for processing GPR exploration data. After creating a virtual underground facility by means of a GPS-AR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n the construction site to the worker through the GPS-AR device.

Description

GPR 탐사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MANAGING SYSTEM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GPR DETECTOR}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GPR exploration {MANAGING SYSTEM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GPR DETECTOR}

본 발명은 GPR 탐사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설 현장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관, 가스관 등 지하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GPR 탐사를 통해 수득하고, 수득한 지하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굴착 공사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GPR exploration. Specifically, information on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water pipes and gas pipes buried underground at a construction site is obtained through GPR exploration, and information on the obtained underground facilities is obtained. It relates to a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managed so as not to be damaged during the excavation construction process by using it.

1995년 대구 지하철 공사 현장의 가스 폭발사고는 101명의 사상자라는 참혹한 결과를 낳았다. 지하철 굴착 공사중에 가스관이 파손되면서 누출된 가스가 폭발한 참사이다. 대구 지하철 사고 이후, 상하수도관, 가스관, 전력케이블 등 이른바 라이프라인들의 지하 매설 위치를 사전에 확인하고 굴착공사시 주의를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지하시설물 파손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더욱이 라이프라인들의 매설위치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고, 있더라도 지각변동이나 잘못된 기술로 인해 정확하지 않다. A gas explosion at the Daegu subway construction site in 1995 resulted in a disastrous result of 101 casualties. The gas pipe was damaged during the underground excavation work and the leaked gas exploded. After the Daegu subway accident, although the underground location of so-called lifelines such as water and sewage pipes, gas pipes, and power cables is checked in advance and attention is paid to the excavation work, underground facility damage accidents still occur frequently. Moreo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buried locations of lifelines, and even if there is, it is not accurate due to tectonic shifts or incorrect descriptions.

현재 지하시설물에 대한 위치파악은 종이도면이나 전자도면을 이용하고 있다. 각 지하시설물 운영기관에서 파악하고 있는 관로의 위치 정보를 종이도면 또는 2D 전자도면 형태로 받아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각 운영기관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의 정확성 여부를 떠나 이 위치 정보를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Currently, paper drawings or electronic drawings are used to locate underground faciliti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pipelines identified by each underground facility operating organization is received and utilized in the form of paper drawings or 2D electronic drawings. However, regardless of the accuracy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each operating organization, it is not easy to apply thi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eld.

더욱이 최근 이용되는 전자 태그 방식의 경우, 각 운영기관에서 제공하는 전산화된 위치정보를 현장에서 인식하기 위하여 전자 태그(RFID, QR코드)를 지상시설물에 부착하고, 사용자가 단말기를 태그에 접근시키면 위치정보가 단말기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이러한 마커 기반의 지하시설물 인식 시스템은 마커를 제작하여 지상매설물에 부착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공사 현장의 어느 지점에서나 지하시설물 위치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마커 인근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recently used electronic tag method, an electronic tag (RFID, QR code) is attached to a ground facility in order to recognize the computerized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each operating organization in the field, an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tag, the location It is a system in which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However, such a marker-based underground facility recognition system has the inconvenience of manufacturing a marker and attaching it to an underground facility. In addition, since the loc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s not displayed on the terminal at any point on the construction site, but only near the mark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 efficiency is also lowered.

결국 굴착공사시 지하시설물 파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하시설물의 정확한 매설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나아가 지상의 작업자가 공사 중에 지하시설물의 매설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In the en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underground facilities during excavation work, it is important to know the exact loc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above all else, an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for workers on the ground to easily check the loc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dur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GPR 탐사를 수행하고, GPR 탐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GPR 탐사 데이터의 처리방법을 통해 가상의 지하시설물을 생성한 뒤, GPS-AR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공사 현장 내 지하시설물의 위치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fter performing GPR exploration, analyzing the GPR exploration data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nd creating a virtual underground facility through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GPR exploration data, the GPS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vide workers with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in the construction site using AR devices.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other objects not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작업자에게 공사 현장 내 지하시설물의 위치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지표 아래의 지하시설물을 탐지하기 위해 지표에 대해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가 지표 아래의 지하시설물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GPR 탐사장치; 상기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GPR 원시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보정한 후, 노이즈가 제거된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평면도, 횡단면도, 종단면도 및 3D-GPR 데이터로 이미지화 하고, 상기 3D-GPR 데이터에 가상의 지하시설물을 생성하는 GPR 데이터 처리장치; 및 GPS모듈, IMU센서, 동영상카메라, 디스플레이부 및 AR 모듈을 탑재한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가상의 지하시설물이 생성된 3D-GPR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3D-GPR 데이터와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실사화면에 가상의 지하시설물을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굴착공사에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GPS-AR 장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worker with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n the construction site. The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of an embodiment generates a signal to the surface to detect the underground facility below the surface, and the signal is a GPR exploration device that generates GPR exploration raw data by receiving a signal reflected by the underground facility below the surface ; After receiving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and removing and correcting the noise of the received GPR raw data, the noise-removed GPR exploration raw data is imaged as a plan view, a cross-sectional view, a longitudinal cross-section and 3D-GPR data, and the 3D- GPR data processing device that creates a virtual underground facility in GPR data; and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GPS module, an IMU sensor, a video camera, a display unit, and an AR module to receive the 3D-GPR data generated by the virtual underground facility, and use the 3D-GPR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GPS-AR device that implements a virtual underground facility in augmented reality on the actual screen displayed on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loc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n real time during excavation work.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GPR 탐사장치는 인도나 차가 다닐 수 없는 좁은 도로의 지표 아래에 위치하는 관로를 탐사하기 위한 핸디형 GPR 탐사장치로서: 탐사지역을 이동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표에 대해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가 지표 아래의 물질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지표 아래에 위치하는 관로를 탐사하는 GPR 유닛;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전방의 지표를 촬영하는 전방촬영유닛;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양 측의 주변을 촬영하는 측면촬영유닛; 및 상기 GPR 유닛과, 상기 전방촬영유닛과, 상기 측면촬영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 유닛이 수집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촬영유닛에서 수집한 영상을 상기 GPR 유닛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대하여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를 지연시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GPR exploration apparatus is a handy type GPR exploration apparatus for exploring a conduit located below the surface of a narrow road that cannot be passed by sidewalks or vehicles: a main body capable of moving the exploration area; a GPR unit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a signal to the ground surface, and to receive a signal reflected by a material below the ground surface, the GPR unit detecting a pipe located below the ground surface; a front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photographing an indicator in front of the main body; a side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photographing the periphery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GPR unit,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and the side photographing unit and receiving data collected by each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mage collected by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to the GP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ollected by the unit is stored by delaying a certain time or a certain distan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GPR 데이터 처리장치는, (a)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한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노이즈를 제거하고 보정하는 단계; (c) 노이즈가 제거된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다음의 단계를 통해 이미지화하는 단계, (c-1) 전체 채널의 n번째 심도의 트레이스를 모아 평면도를 생성, (c-2) 전체 채널의 전체 심도의 m 번째 트레이를 모아 횡단면도를 생성, (c-3) l 번째 채널의 전체 심도의 모든 트레이스를 모아 종단면도를 생성, 및 (c-4) 생성된 평면도,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를 이용하여 3D GPR 데이터를 생성; (d) 상기 3D GPR 데이터 상에 다음의 단계를 통해 가상의 관로를 생성하는 단계, (d-1) 상기 평면도,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중 하나에 관로로 결정된 제1위치를 생성, (d-2) 상기 평면도,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중 하나에 관로로 결정된 제2위치(제1위치와 다른 위치임)를 생성, 및 (d-3) 상기 3D GPR 데이터 상에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를 연결하는 가상의 관로를 생성, (e) 가상의 관로가 생성된 GPR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GPR data processing apparatus, (a) receiving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b) removing noise and correcting the received GPR exploration raw data; (c) Imaging the noise-removed GPR exploration raw data through the following steps, (c-1) generating a plan view by collecting the nth depth traces of all channels, (c-2) Full depth of all channels (c-3) Gather all traces of the entire depth of the l-th channel to generate a cross-sectional view, and (c-4) 3D GPR using the generated plan view, cross-section and longitudinal section generate data; (d) generating a virtual conduit on the 3D GPR data through the following steps, (d-1) generating a first position determined as a conduit in one of the plan view, cross-sectional view, and longitudinal section view, (d-2) ) create a second position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determined by the conduit in one of the plan view, cross-sectional view, and longitudinal section view, and (d-3)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n the 3D GPR dat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including; generating a virtual pipe connecting the , (e) outputting the GPR data generated by the virtual pip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GPR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가상의 지하시설무을 생성할 때 3D-GPR 데이터에서 지하시설물을 탐지하도록 학습된 딥러닝네트워크를 구비하는 분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석장치는 딥러닝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석장치는, 관측의 시작점인 제1지점의 위치와, 관측의 종료점인 제2지점의 위치에 관한 정보와, 관로의 직경에 관한 정보를 알고 있는 관로에 대하여 지표 투과 레이더를 이용하여 수집된 GPR 3D-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수집된 GPR 3D-데이터를 전달 받아 정답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답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정답데이터를 딥러닝 네트워크에게 제공하여 학습시키는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답데이터 생성부는 수집된 GPR 3D-데이터에서의 제1지점과 제2지점의 관로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직선을 생성하고, 제1지점의 생성된 직선에 수직한 제1면과 제2지점의 생성된 직선의 수직한 제2면을 생성한 뒤, 제1면 및 제2면 사이의 공간과 생성된 직선 및 직경에 관한 정보로 생성된 원통형의 공간의 교집합에 위치하는 GPR 3D-데이터의 픽셀을 정답상태로 라벨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GPR data processing device generates a virtual underground facilit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nalysis device having a deep learning network trained to detect underground facilities from 3D-GPR data. At this time, the analysis device is configured to learn the deep learning network, and the analysis device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first point,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observ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second point, which is the end point of observation, and the diameter of the pipe. A storage unit for storing GPR 3D-data collected by using the surface penetration radar for a pipeline for which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is known; a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that receives the GPR 3D-data collected from the storage unit and generates correct answer data; and a learning unit for learning by providing the correct answer data to the deep learning network, wherein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use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pipeline at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n the collected GPR 3D-data A straight line is generated, a first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generated straight line at the first point and a second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generated straight line at the second point are generated, and the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nd the gener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xels of the GPR 3D-data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cylindrical space created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straight line and the diameter are labeled as the correct stat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GPS-AR 장치의 사용자단말기는, 굴착공사가 이루어지는 공사영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실사화면을 획득하는 동영상카메라와, 촬영된 화상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영상모듈; 상기 영상모듈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PS모듈; 상기 영상모듈의 방위 및 각도에 대한 자세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자세센싱모듈;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와 교신하는 통신모듈; 굴착공사 지역의 외곽경계에 대한 경계정보 및 상기 외곽경계의 내측을 통과 하는 가상의 지하시설물에 대한 상기 3D-GPR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GPS모듈과 자세센싱모듈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와 자세정보 및 상기 동영상카메라의 화각정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나타난 영역의 위치를 탐지하고, 상기 상기 3D-GPR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가상의 지하시설물을 증강현실로 표출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AR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of the GPS-AR device includes: an image module including a video camera for capturing a real-time image of a construction area in which excavation construction is performed to obtain a live-action scree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a GPS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module in real time; a posture sensing module for acquiring posture information about the orientation and angle of the image module in real time;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 database storing data including boundary information on the outer boundary of the excavation area and the 3D-GPR data for the virtual underground facility passing inside the outer boundary;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creen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postur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module and the posture sensing module and the angle of view information of the video camera, and using the 3D-GPR data, the display unit and an AR module that performs processing to display virtual underground facilities i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은 GPR 탐사장치를 이용하여 탐사지역의 GPR 탐사 데이터를 수집하고, GPR 탐사데이터를 학습된 딥러닝 네트워크에 의해 분석하고, GPR 탐사데이터의 처리방법에 의해 가상의 지하시설물을 생성한 뒤, GPS-AR 장치를 통해 작업자에게 공사 현장 내 지하시설물의 위치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GPR exploration data of an exploration area using a GPR exploration device, analyzes the GPR exploration data by a learned deep learning network, and provides a method for processing GPR exploration data. After creating a virtual underground facility by means of a GPS-AR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n the construction site to the worker through the GPS-A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핸디형 GPR 탐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핸디형 GPR 탐사장치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4는 핸디형 GPR 탐사장치를 이용하여 GPR 탐사를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레이저 가이드가 설치된 핸디형 GPR 탐사장치로 전방촬영유닛의 촬영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레이저 가이드가 전방촬영유닛의 촬영영역의 지표에 격자 형태의 그리드를 생성하여 GPR 탐사가 수행되는 영역의 표면의 굴곡을 시각화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GPR 데이터 처리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8은 GPR 데이터의 처리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9는 GPR 데이터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사용자에게 GPR 데이터를 제공하는 화면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GPR 3D-데이터로부터 관로를 찾기 위한 분석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1은 시작점인 제1지점의 위치와, 종료점인 제2지점의 위치와 직경을 알고 있는 관로의 일 예이다.
도 12는 도 11의 관로에 대하여 지표 투과 레이더를 이용하여 GPR 3D-데이터를 획득한 것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획득한 GPR 3D-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답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4는 시작점인 제1지점의 위치와, 종료점인 제2지점의 위치와, 꺽이는 부분인 제3지점의 위치와, 직경을 알고 있는 관로의 일 예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획득한 GPR 3D-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답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GPS-AR 장치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파손 예방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지하시설물 파손 예방을 위한 GPS-AR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지하시설물 파손 예방을 위한 GPS-AR 장치가 적용되는 공사 현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증강현실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구현된 일 예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handy type GPR exploration device used in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handy type GPR exploration devic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GPR exploration is performed using a handy type GPR exploration device.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of a photographing area of a front photographing unit with a handy type GPR exploration device installed with a laser guide.
6 is a reference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at the laser guide creates a grid in the form of a grid on the index of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to visualize the curvature of the surface of the area in which the GPR exploration is performed.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PR data processing apparatus used in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of processing GPR data.
9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creen on which the display module of the GPR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vides GPR data to the user.
10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nalysis device for finding a pipeline from GPR 3D-data used in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ample of a pipeline in which the position of a first point, which is a starting point, and a location and diameter, of a second point, which is an end point, are known.
FIG. 12 shows GPR 3D-data obtained by using the surface penetration radar for the pipeline of FIG. 11 .
1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generation of correct answer data using the GPR 3D-data obtained in FIG. 11 .
14 is an example of a pipelin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as a starting point,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int as the end point, the position of the third point as the bending part, and the diameter are known.
1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generation of correct answer data using the GPR 3D-data obtained in FIG. 14 .
16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to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a GPS-AR device used in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GPS-AR device for preventing damage to underground facilitie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shown in FIG. 16 .
18 schematically shows a construction site to which a GPS-AR device for preventing damage to underground facilities is applied.
19 is an example in which augmented reality is implemented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 It is reveal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exemplified as a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function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시스템"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서버,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과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system” means operated by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For example, the system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such as a server, PC, tablet PC, smartphone,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nagement system for an underground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관리시스템(1000)은 GPR 측정장치(A100), GPR 데이터 처리장치(B100), 분석장치(C100), 및 GPS-AR 장치(D100)로 구성된다. 1, the management system 1000 of an underground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PR measuring device (A100), a GPR data processing device (B100), an analysis device (C100), and a GPS-AR device ( D100).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관리시스템(1000)의 각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1000 for an underground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GPR 측정장치GPR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의 GPR 탐사장치(A100)로는 인도나 차가 다닐 수 없는 좁은 도로의 지표 아래에 위치하는 관로를 탐사하기 위한 핸디형 GPR 탐사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As the GPR exploration apparatus (A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y type GPR exploration apparatus for exploring a conduit located below the surface of a narrow road that cannot be passed by sidewalks or cars can be used.

자동차가 지나다니는 도로 등을 대상으로 하는 GPR 탐사장치는 차량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그 크기와 무게에 제한이 적다. 특히, 차량에 의해 이동되는 차량용 GPR 탐사장치는 충분한 높이에 촬영유닛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라인카메라를 이용하여 GPR 유닛이 측정하고 있는 위치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GPR 탐사장치의 탐사결과는 GPR 측정결과와 촬영유닛이 촬영한 영상을 서로 매칭하여 제공함으로써 관로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탐사할 수 있다. Since the GPR probe, which targets a road through which a car passes, is moved by a vehicle, there are few restrictions on its size and weight. In particular, since the vehicle GPR exploration device moved by the vehicle can install the photographing unit at a sufficient height, it is possible to acquire an image of the position measured by the GPR unit using the line camera. Therefore, as the result of the GPR exploration for the vehicle, the GPR measurement result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recording unit are matched and provided, so that the location of the pipeline can be more accurately explored.

하지만 인도나 차가 다닐 수 없는 좁은 도로에 대해서는 차량용 GPR 탐사장치를 이용할 수 없고, 크기가 충분히 작은 핸디형 GPR 탐사장치를 이용하여야 한다. However, the GPR probe for vehicles cannot be used on sidewalks or narrow roads where cars cannot pass, and a handy GPR probe with a sufficiently small size must be used.

핸디형 GPR 탐사장치는 사람이 직접 밀어서 이동시킬만큼 크기가 작기 때문에 차량용 GPR 탐사장치와 달리 충분한 높이에 촬영유닛을 설치할 수 없다. 더욱이 인도나 차가 다닐 수 없는 좁은 도로의 불규칙한 표면 상태로 인한 진동으로 인해 라인 카메라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Since the handy GPR probe is small enough to be moved by a human push, it cannot be installed at a high enough height, unlike the GPR probe for a vehicle. Moreo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ne camera cannot be used due to vibration caused by the irregular surface condition of sidewalks or narrow roads where cars cannot pass.

본 발명의 핸디형 GPR 탐사장치(A10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The handy type GPR exploration device (A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도 2은 핸디형 GPR 탐사장치(A100)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핸디형 GPR 탐사장치(A100)의 개략적 구조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handy-type GPR exploration apparatus A100, and FIG. 3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the handy-type GPR exploration apparatus A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GPR 탐사장치(100)는 본체(10), GPR 유닛(20), 촬영유닛(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Handy-type GPR explor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 a GPR unit 20 , a recording unit 30 , and a control unit 40 .

핸디형 GPR 탐사장치(100)에서는 사람이 직접 핸디형 GPR 탐사장치(100)를 콘트롤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체(10)는 사람이 직접 밀 수 있도록 바닥에 적어도 3개 이상의 바퀴(11)가 설치된다. 본체(10)의 후방에는 핸들(15)이 설치된다. 핸들(15)의 높이는 성인남성이 서있는 상태에서 조정가능하도록 1 m 내지 1.5 m 높이에 위치한다. 핸들(15)은 핸들 지지대(13)에 의해 본체(10)와 연결된다. 핸들 지지대(13)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힌지(16)에 의해 본체(10)와 연결된다. 핸들 지지대(13)의 각도를 조절하여 핸들(15)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핸들(15)에는 노트북 거치대(17)가 설치될 수 있다. In the handy-type GPR exploration apparatus 100 , a person should be able to directly control the handy-type GPR exploration apparatus 100 . Accordingly, 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t least three or more wheels 11 on the floor so that a person can directly push it. A handle 15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 The height of the handle 15 is located at a height of 1 m to 1.5 m so that an adult male can be adjusted in a standing state. The handle 15 is connected to the body 10 by a handle support 13 . The handle support 13 is connected to the body 10 by a hinge 16 to enable angle adjustment. The height of the handle 15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handle support 13 . A laptop holder 17 may be installed on the handle 15 .

본체(10)에는 전동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10)는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탐사지역을 이동한다. 핸들(15)에는 전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레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본체(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An electric mot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 and the main body 10 moves in the exploration area by driving the electric motor. A lev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may be installed on the handle 15 , and the body 10 moves forward or backward as the user operates the lever.

본체(10)의 하부에는 GPR 유닛(20)이 설치된다. GPR 유닛(20)은 광대역의 임펄스 파형을 이용하여 지표면 아래를 탐사하는 레이더이다. GPR 유닛(20)은 광대역 전자기파를 지표면이나 구조물의 표면에 입사시킨 후, 연속적으로 매질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파를 수신하여 매질 특성을 영상화한다. 즉, GPR 유닛(20)을 이용하면 지표 아래에 매설되어 있는 관로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GPR 유닛(20)은 지표에 대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21)와, 신호발생부(21)에서 발생된 신호가 지표를 일정깊이 투과하여 반사되어 돌아온 것을 감지하는 신호수신부(22)로 구성된다. The GPR unit 20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 The GPR unit 20 is a radar that probes below the earth's surface using a broadband impulse waveform. The GPR unit 20 injects a broadband electromagnetic wave onto the ground surface or the surface of a structure, and then receives a wave that is continuously reflected from the medium interface and returns to image the medium characteristics. That is, by using the GPR unit 20, it is possible to find a pipeline buried under the surface. To this end, the GPR unit 20 includes a signal generator 21 that generates a signal with respect to the indicator, and a signal receiver 22 that detects that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21 has passed through the indicator to a certain depth and is reflected back. ) is composed of

본체(10)에는 GPS가 설치되어 GPR 유닛(20)에서 취득하는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다만, GPS가 제공하는 위치정보에는 오차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 GPS가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보완하기 위해서 영상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A GPS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data acquired from the GPR unit 20 . However,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PS is inevitably accompanied by an error. Image information can be used to supple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GPS.

즉, 본 발명의 핸디형 GPR 탐사장치(A100)는 촬영유닛(30)을 이용하여 핸디형 GPR 탐사장치(A100)가 측정하는 지표의 표면과 주변을 촬영한다. That is, the handy type GPR exploration apparatus (A1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hotographing unit (30) to photograph the surface and the periphery of the ground surface measured by the handy type GPR exploration apparatus (A100).

촬영유닛(30)은 촬영유닛 지지대(33)에 의해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촬영유닛 지지대(33)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촬영유닛(30)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킨다. 예컨대 촬영유닛(30)은 본체(10)를 기준으로 1 m 내지 1.2m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recording unit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by the recording unit support (33). The recording unit support 33 is formed to be long in the height direction to position the recording unit 30 at a predetermined height. For example, the recording unit 30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of 1 m to 1.2 m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

촬영유닛(30)은 본체(10)의 전방의 지표를 촬영하는 전방촬영유닛(31)과 본체(10)의 양측의 주변을 촬영하는 측면촬영유닛(32)으로 구성된다. 촬영유닛(30)으로는 에어리어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라인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 GPR 탐사장치를 이동시키면서 GPR 유닛이 탐사하는 위치에 대한 영상을 직접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그런데 라인 카메라는 진동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충분한 촬영거리를 확보해야만 한다. 핸디형 GPR 탐사장치는 크기가 작아 충분한 촬영거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핸디형 GPR 탐사장치(A100)는 촬영유닛(30)으로 에어리어 카메라를 이용한다. 또한, 전방촬영유닛(31)이 GPR 유닛(20)이 측정하는 위치를 바로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도 4와 같이 본체(10)의 전방, 예컨대 2 m 이상의 앞을 촬영하여 촬영거리를 확보한다. 이와 달리 측면촬영유닛(32)은 본체(10)의 양측면을 촬영한다. The photographing unit 30 is composed of a front photographing unit 31 for photographing an indicator in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a side photographing unit 32 for photographing the periphery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 An area camera may be used as the recording unit 30 . In the case of using a line camera, an image of the location that the GPR unit probes can be directly obtained while the GPR probe is moved. However, the line camera has a problem that it is vulnerable to vib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ufficient shooting distance. The handheld GPR prob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shooting distance due to its small size. Accordingly, the handy type GPR exploration device (A1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area camera as the photographing unit (30). In addition,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31 secures a photographing distance by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2 m or more, as shown in FIG. 4 , rather than directly photographing the position measured by the GPR unit 20 . On the other hand, the side photographing unit 32 photographs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

본 발명의 핸디형 GPR 탐사장치(A100)는 촬영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전방촬영유닛(31)이 GPR 유닛(20)이 일 시점에서 측정하는 위치가 아닌 2 m 이상의 앞을 촬영한다. 즉, 일 시점에서 GPR 유닛(20)이 데이터를 수득하는 위치(S1)와 전방촬영유닛(32)이 영상을 수득하는 위치(S2)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40)는 전방촬영유닛(32)에서 수집한 영상을 GPR 유닛(20)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대하여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를 지연시켜서 저장한다. 일정거리를 지연시키는 경우 제어부(40)는 DMI(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주행거리측정장치)를 이용하는데, DMI에서 전방촬영유닛(31)에서 수득한 영상의 수득위치에 관한 정보를 라벨링하고, GPR 유닛(20)에서 수득한 데이터의 수득 위치에 관한 정보를 라벨링한다. 제어부(40)는 전방촬영유닛(31)에서 수득한 영상과 GPR 유닛(20)에서 수득한 데이터를 매칭할 때 각각의 수득 위치를 기준으로 매칭하되, 전방촬영유닛(31)에서 수득한 영상의 수득위치를 일정 거리 지연시켜서 이용한다. 예컨대, 전방촬영유닛(31)이 GPR 유닛(20)이 일 시점에서 측정하는 위치가 아닌 2 m의 앞을 촬영하는 경우라면, 제어부(40)는 전방촬영유닛(31)에서 수득한 영상의 수득위치를 2 m 지연시켜서 GPR 유닛(20)의 측정위치와 일치시킨다. 한편, 측면촬영유닛(32)은 GPR 유닛(20)과 측정위치가 동일하므로 전면촬영유닛(31)과 달리 GPR 유닛(20)에 대해 일정시간이나 일정거리만큼 지연시킬 필요가 없다. Handy-type GPR exploration device (A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cure a shooting distance, the front shooting unit 31, the GPR unit 20 is not the position measured at one point, but more than 2 m in front. That i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at which the GPR unit 20 obtains the data (S 1 )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32 obtains the image (S 2 ) at one time poi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trol unit 40 stores the image collected by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32 by delay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GPR unit 2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delaying a certain distance, the control unit 40 uses a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DMI). In DMI, information about the acquisition position of the image obtained from the front imaging unit 31 is labeled, and the GPR unit Label th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where the data obtained in (20) was obtained. When match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image obtained from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31 and the GPR unit 20, the control unit 40 is matched based on each obtained position, but the image obtained from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31 is It is used by delaying the acquisition position by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if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31 is to photograph the front of 2 m rather than the position measured by the GPR unit 20 at one point in time, the control unit 40 obtains the image obtained from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31 The position is delayed by 2 m to match th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GPR unit 20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ide photographing unit 32 has the same measurement position as the GPR unit 20 , there is no need to delay the GPR unit 20 by a certain time or a certain distance, unlike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31 .

촬영유닛(30)은 짐벌에 의해 촬영유닛 지지대(33)에 고정될 수 있다. 짐벌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GPR 탐사장치(100)는 인도 같은 탐사지역에 대해 탐사를 수행하는데, 자동차가 다니는 잘 포장된 도로와 달리 인도는 그 표현이 울퉁불퉁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GPR 탐사시에 촬영유닛(30)에서 수집되는 영상이 진동으로 인해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핸디형 GPR 탐사장치(A100)는 촬영유닛(30)을 짐벌에 의해 촬영유닛 지지대(33)에 고정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The recording unit 30 may be fixed to the recording unit support 33 by a gimbal. As a gimbal, a commonly known gimbal can be used. Handy-type GPR explor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exploration for an exploration area such as India, and unlike a well-paved road on which cars travel, the expression of India is often uneve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of the image collec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0 during GPR exploration is lowered due to vibration. Handy-type GPR exploration device (A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due to vibration by fixing the recording unit 30 to the recording unit support 33 by a gimbal.

한편, 본 발명의 핸디형 GPR 탐사장치(A100)의 본체(10)에는 레이저 가이드(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 가이드(60)는 전방촬영유닛(31)이 촬영하고 있는 지표의 촬영역역을 표시한다. 이처럼 레이저 가이드(60)가 있는 경우 전방촬영유닛(31)에서 수집한 영상에서 GPR 유닛(20)이 탐사를 수행하는 위치(LP1)를 정확히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aser guide 60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of the handy type GPR exploration apparatus A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guide 60 displays a photographing area of the index that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31 is photographing. As such, if there is a laser guide 60,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specify the position (LP 1 ) at which the GPR unit 20 performs the exploration in the image collected by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31 .

나아가 레이저 가이드(60)가 촬영영역의 지표에 도 6과 같이 격자 형태의 그리드(LP2)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격자 형태의 그리드를 생성할 경우 지표의 표면의 굴곡에 따라 그리드가 찌그러지게 되는데, 이로써 GPR 탐사가 수행되는 영역의 표면의 굴곡을 시각화 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laser guide 60 may generate a grid LP 2 in the form of a grid as shown in FIG. 6 on the index of the imaging area. When a grid-type grid is created, the grid is distort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surface of the earth's surface.

상술한 GPR 탐사장치(A100)를 통해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수집하면, GPR 데이터 처리장치(B100)에서 보정하고 이미지화 시킨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지하시설물 중 관로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나, 본 발명의 대상이 관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지하시설물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When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is colle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GPR exploration apparatus A100, the GPR data processing apparatus B100 corrects and images the data. Hereinafter, for clarity of explanation,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pipelines among underground facilities, bu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pipelines and may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underground facilities.

GPR 데이터 처리장치GPR data processing devi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GPR 데이터 처리 장치(B100)의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8은 GPR 데이터의 처리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PR data processing apparatus (B100) used in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GPR data processing metho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GPR 데이터의 처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7 and 8, the GPR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GPR 데이터 처리장치(B100)은 데이터 수신모듈(B10), 데이터 분석 및 이미지 생성 모듈(B20), 저장모듈(B30) 및 출력모듈(B40)로 구성된다. The GPR data processing device (B100) is composed of a data receiving module (B10), a data analysis and image generation module (B20), a storage module (B30) and an output module (B40).

수신모듈(B10)에 의해 GPR 탐사장치(A100)로부터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0)가 수행된다. GPR 탐사 원시 데이터에는 GPS에 의해 획득되는 탐사 위치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GPR 탐사장치(A100)가 신호발생기로부터 지표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한 경우라면, GPR 탐사 원시 데이터에는 신호발생기로부터 지표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A step (S10) of receiving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from the GPR exploration apparatus A100 by the receiving module B10 is performed.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exploration location obtained by the GPS. On the other hand, if the GPR exploration apparatus A100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signal generator to the surface,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istance from the signal generator to the surface.

수신모듈(B10)이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수신한 후, 데이터 분석 및 이미지 생성모듈(B20)이 수신한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S20)가 수행된다. GPR 탐사 원시 데이터에는 불필요한 노이즈가 포함되며, 무엇보다 심도에 따라 신호감쇠가 발생하므로 보정이 요구된다. 이에 보정하는 단계(S20)에서는 Dewow, Time-Zero Correction, Background removal, Bandpass filtering, Gain 등의 기법을 통해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심도에 따른 신호감쇠를 보정한다. After the receiving module B10 receives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a step S20 of correcting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received by the data analysis and image generation module B20 is performed. GPR exploration raw data contains unnecessary noise, and above all, since signal attenuation occurs according to depth, correction is required. In the correcting step (S20), unnecessary noise is removed through techniques such as Dewow, Time-Zero Correction, Background removal, Bandpass filtering, and Gain, and signal attenuation according to depth is corrected.

한편, GPR 탐사장치(A100)가 탐사지역을 탐사할 때, 탐사지역의 표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특히, 인도는 포장된 도로와 달리 굴곡이 심하다. 이와 같은 탐사지역의 표면의 요철은 GPR 탐사 원시 데이터의 정확성을 감소시키는 요소가 된다. 이에 GPR 탐사장치(A100)에 거리측정 센서를 설치하고, 신호발생기로부터 지표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수득하여 보정하는 단계(S20)에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신호발생기로부터 지표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R 탐사 원시 데이터의 최상부의 높이를 정렬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GPR 탐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GPR exploration device (A100) explores the exploration area, the surface of the exploration area is often not flat. In particular, unlike paved roads, sidewalks are highly curved.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exploration area is a factor that reduces the accuracy of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Accordingly, it can be used in the step (S20) of installing a distance measuring sensor in the GPR exploration device (A100) and obtaining and correcting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from the signal generator to the surface. That is, by aligning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using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from the signal generator to the surface, the GPR exploration data can be analyzed more accurately.

보정하는 단계(S20)가 완료되면, 데이터 분석 및 이미지 생성모듈(B2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이미지화 하는 단계(S30)가 수행된다. When the correction step (S20) is completed, the step (S30) of imaging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from which the noise has been removed in the data analysis and image generation module (B20) is performed.

GPR 탐사 원시 데이터는 신호의 세기에 관한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신호의 세기에 관한 정보만 보고 관로를 탐색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이미지화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3D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PR exploration raw data consists of information about signal strength. It is virtually impossible for a user to search for a pipeline by looking only at information about signal streng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age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and it is particularly desirable to provide it in 3D form.

이에 본 발명의 GPR 데이터의 처리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통해 GPR 데이터를 이미지화하여 가시성을 향상시켜 제공한다.Accordingly, the GPR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mproved visibility by imaging the GPR data through the following steps.

먼저, 전체 채널의 n번째 심도의 트레이스를 모아 평면도를 생성(S31)한다. GPR 탐사장치(A100)의 신호발생기와 신호수신기는 복수의 채널로 구성된다. 채널은 GPR 탐사장치(A100)가 탐사하는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즉, 복수의 채널에 의해 GPR 탐사장치(A100)가 소정의 폭을 가지고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때, 탐사하는 이동방향의 동일 채널은 하나의 트레이스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트레이스는 신호가 송신되었다가 다시 수신하는 시간 차이에 의해 심도가 결정된다. First, a plan view is generated by collecting the nth depth traces of the entire channel (S31). The signal generator and the signal receiver of the GPR exploration device A100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nnels. The channel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that the GPR probe A100 searches. That is, the GPR exploration apparatus A100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collects GPR exploration raw data through a plurality of channels. At this time, the same channel in the moving direction to be explored constitutes one trace. In addition, the depth of the trace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in time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gain.

평면도를 생성하는 단계(S31)에서는 전체채널의 n번째 심도의 트레이스를 모아서 평면도를 구성하게 된다. 즉, 하나의 평면도를 구성하는 이미지는 모두 동일한 심도의 트레이스가 표시된다. 이미지는 신호의 세기가 색의 농담으로 표현될 수 있다.In the step S31 of generating a plan view, a plan view is formed by collecting traces of the nth depth of all channels. That is, in all images constituting one plan view, traces of the same depth are displayed. In the image, the signal strength may be expressed as a shade of color.

다음으로 횡단면도를 생성하는 단계(S32)가 수행된다. 횡단면도를 생성하는 단계(S32)는 전체 채널의 전체 심도의 m번째 트레이스를 모아서 생성하게 된다. m번째 트레이스만 모아서 생성하는 것이므로, GPR 탐사장치(A100)의 이동방향의 단면이 횡단면도로 표현된다. Next, a step (S32) of generating a cross-sectional view is performed. In the step S32 of generating the cross-sectional view, the m-th trace of the total depth of the entire channel is collected and generated. Since only the m-th trace is collected and generated, the cross-section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GPR probe A100 is expressed as a cross-sectional view.

다음으로 종단면도를 생성하는 단계(S33)가 수행된다. 종단면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l번째 채널의 전체 심도의 모든 트레이스를 모아 생성하게 된다.Next, a step (S33) of generat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s performed.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longitudinal section, all traces of the entire depth of the l-th channel are collected and generated.

한편, 상술한 S31 단계 내지 S33 단계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거나,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order of steps S31 to S33 described above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cessary, or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마지막으로 생성된 평면도,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를 이용하여 3D GPR 데이터를 생성(S34)한다. Finally, 3D GPR data is generated using the generated plan view, cross-sectional view, an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34).

만약 GPR 탐사장치(A100)가 일 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는 제1트랙에 대한 GPR 원시데이터를 수집하고, 제1트랙에 인접하는 제2트랙에 대해 GPR 원시데이터를 수집할 경우 제1트랙과 제2트랙을 한번에 이미지화하는 것이 관로를 탐색하는데 더 도움이 된다. 여기서 트랙이라고 하는 것은 GPR 탐사장치(A100)가 1회 이동하면서 탐사하여 생성되는 탐사영역을 의미한다. GPR 탐사장치(A100)가 복수개의 트랙에 대해 수행된 경우, 제1트랙에 대한 평면도와 제2트랙에 대한 평면도를 생성한 후에 제1트랙에 대한 평면도와 제2트랙에 대한 평면도를 서로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양자를 비교하여 오버랩되는 영역을 검출하고, 오버랩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제1트랙에 대한 평면도와 제2트랙에 대한 평면도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트랙을 하나의 3D-GPR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다. If the GPR exploration device (A100) collects GPR raw data for a first track configur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and collects GPR raw data for a second track adjacent to the first track, the first track and the second Imaging the tracks at once is more helpful in navigating the conduit. Here, the track refers to an exploration area generated by the GPR exploration device A100 moving one time. When the GPR exploration apparatus A100 is performed for a plurality of tracks, after generating a plan view for the first track and a plan view for the second track, the plan view for the first track and the plan view for the second track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process is carried out. A plurality of tracks can be provided as one 3D-GPR data by comparing the two to detect an overlapping area, and connecting the plan view of the first track and the plan view of the second track based on the overlapping area.

3D-GPR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를 수행한 후 데이터 분석 및 이미지 생성모듈(B20)은 3D-GPR 데이터에 가상의 관로를 생성하는 단계(S40)가 수행된다. After performing the step (S30) of generating the 3D-GPR data, the data analysis and image generation module (B20) generates a virtual conduit in the 3D-GPR data (S40) is performed.

사용자가 또는 딥러닝 네트워크가 3D-GPR 데이터를 직접 기초로 하여 관로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It is not easy for users or deep learning networks to find a route based on 3D-GPR data direct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R 데이터의 처리 방법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 보다 쉽고 간편하게 가상의 관로를 생성한다.The GPR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virtual conduit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먼저, 평면도,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중 하나에 관로로 결정된 제1위치를 생성(S41)한다. 3D-GPR 데이터가 아닌 평면도, 횡단면도, 종단면도 중 하나에 관로로 판단되는 형상을 가지는 부분에 제1위치(P1)를 표시한다. 예컨대 횡단면도에 제1위치(P1)를 표시하면, 동일한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종단면도에도 제1위치(P1)가 표시된다. 만약 평면도와 종단면도 상에서 제1위치(P1)가 잘못된 위치에 표시되었다면 평면도 또는 종단면도상에서 제1위치(P1)를 다시 지정할 수 있으며, 이때 횡당면도 상에서의 제1위치(P1)는 이동하지 않는다. First, a first position determined as a conduit is generated in one of a plan view, a cross-sectional view, and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41). The first position (P 1 ) is displayed in a portion having a shape determined to be a conduit in one of a plan view, a cross-sectional view, and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rather than 3D-GPR data. For example, when a first position (P 1 ) is indicated in a cross-sectional view, the first position (P 1 ) is also displayed in a plan view and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same position. If the first position (P 1 ) is displayed in the wrong position in the plan view and the longitudinal section view, the first position (P 1 ) can be designated again in the plan view or the longitudinal section view, and in this case, the first position (P 1 ) in the transverse view is do not move

다음으로 평면도,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중 하나에 관로로 결정된 제2위치(P2, 제1위치와 다른 위치임)를 생성(S42)한다. 제2위치를 생성(S42)는 과정은 제1위치를 생성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Next, a second position (P 2 ,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determined as a conduit is generated in one of a plan view, a cross-sectional view, and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42).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second position ( S42 ) is performed in the same way as generating the first position.

마지막으로 3D-GPR 데이터 상에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를 연결하는 가상의 관로를 생성(S43)한다. Finally, a virtual conduit connecting the first position (P 1 ) and the second position (P 2 ) on the 3D-GPR data is generated ( S43 ).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를 생성하는 것은 매우 간편하고 쉬운데, 특히 딥러닝 네트워크를 이용할 때 그 효율이 극대화 된다. 딥러닝 네트워크는 정답 데이터를 통한 학습을 통해 이미지화된 GPR 데이터에서 관로를 찾아내게 된다. 다만, GPR 데이터는 전체 데이터에서 관로가 극히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에 데이터 비대칭(Class Imbalance) 문제가 있으며, 3D 형태로 데이터가 제공될 경우 연산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를 생성할 경우 최대 3개의 이미지만으로 하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을 최소 두번 반복하여 가상의 관로를 생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가상의 관로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t is very simple and easy to create the first position (P 1 ) and the second position (P 2 ), and in particular, the efficiency is maximized when using a deep learning network. The deep learning network finds a pipeline in the imaged GPR data through learning through the correct answer data. However, there is a problem of data asymmetry (Class Imbalance) because GPR data has only a small part of the conduit in the entire data,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utational burden is large when the data is provided in 3D form.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position (P 1 ) and the second position (P 2 ) are created, one position can be determined only with a maximum of three images, and by repeating this process at least twice to create a virtual condui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reate a virtual pipeline.

한편, 가상의 관로가 생성되면 가상의 관로의 직경, 재질 및 목적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라벨링 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생성된 가상의 관로에 관한 정보는 저장모듈(B30)에 저장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irtual pipe is created, the step of labeling any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diameter, material, and purpose of the virtual pipe may be further performed. Furthermore, information about the generated virtual pipeline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B30.

출력모듈(B40)은 가상의 관로가 생성된 GPR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이때, 도 9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평면도, 횡단면도, 종단면도 및 3D-GPR 데이터가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평면도, 횡단면도, 종단면도 및 3D-GPR 데이터를 통해 한번에 가상의 관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 output module (B40) performs a step (S50) of outputting the GPR data generated by the virtual condui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 a plan view, a cross-sectional view,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nd 3D-GPR data may be provided on on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Users can accurately check virtual pipelines at once through plan, cross-section, longitudinal cross-section and 3D-GPR data.

한편, GPR 탐사장치(A100)는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에 평면도, 횡단면도, 종단면도 및 3D-GPR 데이터를 구성하는 X축, Y축, Z축 중 GPR 탐사장치의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축이 매우 길수 밖에 없다. 모든 축을 동일한 배율로 디스플레이 할 경우 상대적으로 GPR 탐사장치의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축 외에 다른 축은 너무 작거나, GPR 탐사장치의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축이 너무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GPR 데이터의 처리 방법은 GPR 탐사장치의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축의 배율을 축소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3D-GPR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GPR probe (A100) collects data while moving in one direction, it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GPR probe among the X-axis, Y-axis, and Z-axis constituting the plan view, cross-sectional view, longitudinal section, and 3D-GPR data. The axis must be very long. When all axes are displayed at the same magnific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xes other than the axis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GPR probe are too small, or the axis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GPR probe is too large. The GPR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magnification of the axis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GPR exploration device,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check 3D-GPR data.

나아가 출력모듈(B40)은 가상의 관로가 생성된 GPR 데이터를 AR에 이용가능한 형태 또는 CAD에 이용가능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output module B40 may output the GPR data generated by the virtual conduit in a form usable to AR or a form usable to CAD.

GPR 데이터 처리방법(B100) 중 정답 데이터를 통한 학습을 통해 이미지화된 GPR 데이터에서 관로를 찾아내는 단계는 딥러닝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분석장치(C100)를 이용할 수 있다. In the GPR data processing method (B100), the step of finding a conduit in the imaged GPR data through learning through the correct answer data may use an analysis device (C100) including a deep learning network.

분석장치analysis device

지표 투과 레이더(GPR)를 이용하여 지표에 신호를 송신하고, 지표내에 있는 물질에 반사되어 돌아온 신호를 수신하여 GPR 데이터가 생성된다. GPR 데이터는 일반적인 사진처럼 명확하지 않다. GPR data is generated b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ground using a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and receiving a signal that is reflected back from a material in the ground. GPR data is not as clear as a normal photograph.

더군다나 지표 투과 레이더(GPR)을 이용하여 관로를 찾기 위해서는 평면, 종단면, 횡단면을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즉, 관로를 찾기 위해서 GPR 3D-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n order to find a pipeline using the surface penetration radar (GP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ll planes, longitudinal sections, and cross sections. That is, it is preferable to use GPR 3D-data to find the pipeline.

그런데 GPR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영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강도가 약하다. 또한, GPR 3D-데이터에는 관로가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으며, 전체 데이터에서 관로가 극히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에 데이터 비대칭(Class Imbalance)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비대칭인 데이터에 loss 함수인 cross entropy 함수를 딥러닝 네트워크의 학습에 이용하는 것은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cross entropy 함수가 아닌 dice loss 함수를 사용한다. However, the GPR data basically has a weak intensity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In addition, there is no information on where the pipeline is located in the GPR 3D-data, and the data asymmetry (Class Imbalance) problem occurs because the pipeline is only a small part of the entire data. In particular, using the cross entropy function, which is a loss function for asymmetric data, for training of a deep learning network has a problem of poor performanc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ce loss function is used, not a cross entropy function.

딥러닝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딥러닝 네트워크에게 정확한 정답데이터를 충분한 양으로 제공하여 학습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정답데이터란 딥러닝 네트워크에게 정답과 오답이 무엇인지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경우 관로의 위치와 직경 등의 정보를 알고 있는 곳에서 수집한 GPR 3D-데이터에 관로가 있는 곳을 정답으로 라벨링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 deep learning network,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a sufficient amount of accurate answer data to the deep learning network for training. Correct answer data means data to provide the deep learning network with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eans data in which the location where the pipe is located is labeled as the correct answer in the GPR 3D-data collected from a place where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diameter of the pipe is known.

그런데 GPR 3D-데이터는 수많은 GPR 2D-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모아서 생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GPR 2D-데이터의 정답데이터를 생성하는 것보다 GPR 3D-데이터의 정답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현저히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However, since GPR 3D-data is generated by continuously collecting numerous GPR 2D-data, it takes significantly more time and effort to generate correct answer data of GPR 3D-data than generating correct answer data of GPR 2D-data. .

이에 본 발명의 GPR 3D-데이터로부터 딥러닝 네트워크를 학습하는데 필요한 관로를 찾는 분석장치 (이하, "분석장치"라 한다.)를 통해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GPR 3D-데이터의 정답데이터를 생성한다. GPR 3D-데이터는 (x, y, z) 좌표를 가지는 복수개의 픽셀로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correct answer data of the GPR 3D-data is generated more easily and efficiently through the analysis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alysis device”) that finds the pipeline required to learn the deep learning network from the GPR 3D-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GPR 3D-data consists of a plurality of pixels having (x, y, z) coordinate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R 3D-데이터로부터 관로를 찾기 위한 분석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10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nalysis system for finding a conduit from GPR 3D-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석장치(C100)은 저장부(C10), 정답생성부(C20) 및 학습부(C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 the analysis device C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C10 , an answer generating unit C20 , and a learning unit C30 .

먼저, 직선인 관로를 대상으로 생성된 GPR 3D-데이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분석장치(C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each configuration of the analysis device C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GPR 3D-data generated for a straight pipe.

도 11는 관측의 시작점인 제1지점의 위치와, 관측의 종료점인 제2지점의 위치와 직경을 알고 있는 관로의 일 예이며, 도 12은 도 11의 관로에 대하여 지표 투과 레이더를 이용하여 GPR 3D-데이터를 획득한 것이다.11 is an example of a pipeline in which the position and diameter of the first point,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observation, and the position and diameter of, the second, point, which is the end point of observation are known. 3D-data was obtained.

먼저, 도 11과 같이 위치와 직경을 알고 있는 관로에 대하여 시작점인 제1지점(P1)으로부터 종료점인 제2지점(P2)까지 지표 투과 레이더(GPR)에 의한 관측을 수행한다. 지표 투과 레이더(GPR)에 의해 수집된 GPR 3D-데이터는 저장부(C10)에 저장된다. First, as shown in FIG. 11 , the observation by the ground penetration radar (GPR) is performed from the first point (P 1 ), which is the starting point, to the second point (P 2 ), which is the end point, for a pipeline whose position and diameter are known. The GPR 3D-data collected by the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C10.

한편, 지표 투과 레이더(GPR)에 의해 수집된 GPR 3D-데이터는 도 12와 같이 표시된다. 도 12에는 2개의 관로가 관측되었는데, 여기에서는 일단 하나의 관로에 대해서만 정답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GPR 3D-data collected by the surface penetration radar (GPR)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2 . In FIG. 12 , two pipelines were observed. Here, the generation of correct answer data for only one pipeline will be described.

정답데이터 생성부(C20)는 저장부(C10)로부터 수집된 GPR 3D-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저장부(C10)로부터 전달받은 수집된 GPR 3D-데이터에는 아직 정답인 픽셀이 라벨링(labelling)되어 있지 않다.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C20 receives the GPR 3D-data collected from the storage unit C10. In the collected GPR 3D-data received from the storage unit C10, the correct pixel is not labeled yet.

정답데이터 생성부(C20)는 수집된 GPR 3D-데이터를 특정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정답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정답데이터를 딥러닝 네트워크에게 제공시키는 학습부(C30)로 전송한다.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C20 processes the collected GPR 3D-data in a specific way to generate correct answer data,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rrect answer data to the learning unit C30 that provides the data to the deep learning network.

본 발명의 분석장치(C100)는 정답데이터 생성부(C20)에서 수집된 GPR 3D-데이터로부터 효율적인 방법으로 정답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The analysis apparatus C100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correct answer data in an efficient way from the GPR 3D-data collected by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C20.

이를 위해 먼저 정답데이터 생성부(C20)는 수집된 3D-데이터에서의 제1지점(P1)과 제2지점(P2)의 관로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직선(L)을 생성한다. 직선은 두 점을 지나되 양측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선을 의미한다. To this end, first,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C20 generates a straight line L using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pipeline at the first point P 1 and the second point P 2 in the collected 3D-data. . A straight line is a line that passes through two points and extends continuously to both sides.

먼저, GRP 3D-데이터에서 관측된 관로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결정하여야 한다. First,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of the pipelines observed in the GRP 3D-data should be determined.

예컨대, GRP 3D-데이터에서 관측의 시작점인 제1지점(P1)과 종료점인 제2지점(P2)에 대응하는 위치로 각각 관로의 제1최상단 위치(P1')와 관로의 제2최상단 위치(P2')를 결정한다. 처음에는 GPR 전문가에 의해 최상단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딥러닝 네트워크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학습된 이후에는 제1최상단 위치(P1')와 제2최상단 위치(P2')를 결정하는 것은 GPR 2D-데이터를 딥러닝 네트워크에 의해 분석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지점(P1)의 종단면에 관한 GPR 2D-데이터와 제2지점(P2-)의 종단면에 관한 GPR 2D-데이터를 관로의 최상단 위치를 찾도록 학습시킨 딥러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최상단 위치(P1')와 제2최상단 위치(P2')를 찾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GRP 3D-data, the first uppermost position (P 1 ') of the pipeline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pipeline ar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int (P 1 ) and the second point (P 2 ), which are the starting point of observation, respectively. Determine the uppermost position (P 2 '). Initially, the top position may be determined by a GPR expert. However, after the deep learning network has been train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determining the first uppermost position (P 1 ') and the second uppermost position (P 2 ') is a method of analyzing GPR 2D-data by a deep learning network. can be performed by That is, using the deep learning network trained to find the uppermost position of the pipeline by GPR 2D-data 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first point (P 1 ) and GPR 2D-data on the longitudinal section at the second point (P 2 -) The first uppermost position (P 1 ′) and the second uppermost position (P 2 ′) may be found.

제1최상단 위치(P1')와 제2최상단 위치(P2')의 (xn, yn, zn) 좌표를 이용하여 직선(L)의 방정식을 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관로의 직경에 관한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제1최상단 위치(P1')와 제2최상단 위치(P2')에서 높이방향에서 아래쪽으로 관로의 반경만큼 내려간 위치를 각각 제1중심(P1'') 및 제2중심(P2'')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중심(P1'') 및 제2중심(P2'')의 (xn, yn, zn) 좌표를 이용하여 직선(L)의 방정식을 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1중심(P1'') 및 제2중심(P2'')을 이용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It is also possible to derive the equation of the straight line L by using the (x n , y n , z n ) coordinates of the first uppermost position (P 1 ′) and the second uppermost position (P 2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formation about the diameter of the pipe is known, the position lowered by the radius of the pipe from the first uppermost position (P 1 ') and the second uppermost position (P 2 ') in the height direction to the first center (P) 1 '') and the second center (P 2 '') may be determined.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derive the equation of the straight line L using the (x n , y n , z n ) coordinates of the first center (P 1 '') and the second center (P 2 ''). Hereinafter, a method using the first center P 1 '' and the second center P 2 '' will be mainly described.

정답데이터 생성부(C20)는 제1중심(P1'') 및 제2중심(P2'')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에 의해 직선(L)이 생선된다.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C20 generates a straight line L by the equation of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center P 1 '' and the second center P 2 ''.

직선(L)이 생성되면 정답데이터 생성부(C20)는 생성된 직선(L)의 제1지점(P1)에 대응하는 위치, 즉 제1중심(P1'')에서 생성된 직선(L)에 수직한 제1면(S1)을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정답데이터 생성부(C20)는 생성된 직선(L)의 제2지점(P2)에 대응하는 위치, 즉 제2중심(P2'')에서 생성된 직선(L)에 수직한 제2면(S2)을 생성한다. 제1면(S1)과 제2면(S2)을 생성하는 것은 직선(L)의 방정식과 제1중심(P1'')의 좌표 및 제2중심(P2'')의 좌표를 이용하여 제1면(S1)의 평면의 방정식과 제2면(S2)의 평면의 방정식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When the straight line L is generated,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C20 generates the straight line L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int P 1 of the generated straight line L, that is, the first center P 1 ''. )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S 1 ) is created. Similarly,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C20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int P 2 of the generated straight line L, that is, a second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L generated at the second center P 2 ''. Create a surface (S 2 ). Generating the first surface (S 1 ) and the second surface (S 2 ) is the equation of the straight line (L) and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center (P 1 '') and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center (P 2 '') It means to generate the equation of the plane of the first surface (S 1 ) and the equation of the plane of the second surface (S 2 ) by using it.

그 다음 정답데이터 생성부(C20)는 제1면(S1)과 제2면(S2) 사이의 공간(이하 "Va"라 한다)과 직선(L)을 축으로 하며 관로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공간(이하 "Vb"라 한다)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GPR 3D-데이터의 픽셀을 정답상태로 라벨링한다. 즉, Va와 Vb의 교집합의 GPR 3D-데이터의 픽셀이 정답상태로 라벨링하는 것이다. Then,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C20 use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urface S 1 and the second surface S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V a ") and the straight line L as axes, and the diameter and The pixels of the GPR 3D-data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of a cylindrical space having the same diame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V b ") are labeled as correct. That is, the pixel of the GPR 3D-data of the intersection of V a and V b is labeled as the correct state.

GPR 3D-데이터의 픽셀이 정답상태로 라벨링하는 과정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labeling the pixels of GPR 3D-data in the correct state is as follows.

GPR 3D-데이터를 구성하는 i 번째 픽셀이 있다. i 번째 픽셀은 (xi, yi, zi) 좌표를 가진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면(S1)은 좌측에 위치하고 제2면(S2)은 우측에 존재한다. There is an i-th pixel that makes up the GPR 3D-data. The i-th pixel has (x i , y i , z i ) coordinates. As shown in FIG. 13 , the first surface S 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second surface S 2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제1면(S1)의 평면의 방정식에 i 번째 픽셀의 (xi, yi, zi) 좌표를 대입한다. 이때, 제1면(S1)의 평면의 방정식에 i 번째 픽셀의 (xi, yi, zi) 좌표를 대입하여 나온 값이 음수가 아닌 경우에는 정답이 아닌 것으로 분류한다.The (x i , y i , z i ) coordinates of the i-th pixel are substituted into the equation of the plane of the first surface S 1 . In this case, if the value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x i , y i , z i ) coordinates of the i-th pixel into the equation of the plane of the first surface S 1 is not negative, it is classified as not correct.

다음 제2면(S2)의 평면의 방정식에 i 번째 픽셀의 (xi, yi, zi) 좌표를 대입한다. 이때, 제2면(S2)의 평면의 방정식에 i 번째 픽셀의 (xi, yi, zi) 좌표를 대입하여 나온 값이 양수가 아닌 경우에는 정답이 아닌 것으로 분류한다.Next, the (x i , y i , z i ) coordinates of the i-th pixel are substituted into the equation of the plane of the second surface S 2 . At this time, if the value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x i , y i , z i ) coordinates of the i-th pixel into the equation of the plane of the second surface S 2 is not a positive number, it is classified as not correct.

마지막으로 직선(L)의 방정식과 i 번째 픽셀의 (xi, yi, zi) 좌표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때, 직선(L)의 방정식과 i 번째 픽셀의 (xi, yi, zi) 좌표의 거리가 관로의 반경보다 큰 경우에는 정답이 아닌 것으로 분류한다. Finally,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equation of the straight line (L) and the (x i , y i , z i ) coordinates of the i-th pixel. At this tim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quation of the straight line L and the (x i , y i , z i ) coordinate of the i-th pixel is greater than the radius of the pipe, it is classified as not correct.

결국, 제1면(S1)의 평면의 방정식에 i 번째 픽셀의 (xi, yi, zi) 좌표를 대입하여 나온 값이 음수이고, 제2면(S2)의 평면의 방정식에 i 번째 픽셀의 (xi, yi, zi) 좌표를 대입하여 나온 값이 양수이고, 직선(L)의 방정식과 i 번째 픽셀의 (xi, yi, zi) 좌표의 거리가 관로의 반경보다 작은 경우 i 번째 픽셀을 정답상태로 라벨링한다. After all, the value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x i , y i , z i ) coordinates of the i-th pixel into the equation of the plane of the first surface (S 1 ) is a negative number, and in the equation of the plane of the second surface (S 2 ) The value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x i , y i , z i ) coordinates of the i-th pixel is a positive numb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quation of the straight line (L) and the (x i , y i , z i ) coordinates of the i-th pixel is the conduit. If it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 the i-th pixel is labeled as the correct state.

정답데이터 생성부(C20)는 이와 같은 과정을 GPR 3D-데이터의 모든 픽셀에 대하여 반복함으로써 정답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C20 generates correct answer data by repeating this process for all pixels of the GPR 3D-data.

도 14는 시작점인 제1지점의 위치와, 종료점인 제2지점의 위치와, 꺽이는 부분인 제3지점의 위치와, 직경을 알고 있는 관로의 일 예이며, 도 15 는 도 14에서 획득한 GPR 3D-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답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14 is an example of a pipeline that knows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as the starting point,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int as the end point, the position of the third point as the bending part, and the diameter, and FIG. 15 is a GPR obtained in FIG. It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generation of correct answer data using 3D-data.

도 14 및 도 15는 분기점을 가지거나 꺽이는 부분을 가지는 관로를 이용하여 정답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14 and 15 are for generating correct answer data using a pipe having a branching point or a bent part. Descriptions of the same parts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저장부(10)에는 관측의 시작점인 제1지점의 위치와, 관측의 종료점인 제2지점의 위치와, 관로의 분기점 또는 꺽이는 점인 제3지점(단,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에 위치함)의 위치에 관한 정보와 관로의 직경에 관한 정보를 알고 있는 관로에 대하여 지표 투과 레이더를 이용하여 수집된 GPR 3D-데이터가 저장된다. In the storage unit 10,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observati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int, which is the end point of observation, and the third point, which is a branching or bending point of the pipeline (provided that i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The GPR 3D-data collected by using the surface penetration radar for the pipeline for which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dam) and the information on the diameter of the pipeline is known is stored.

정답데이터 생성부(C20)는 수집된 GPR 3D-데이터에서의 제1지점(P1)과 제3지점(P3)의 관로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직선(L1)을 생성한다. 제1지점(P1)의 생성된 제1직선(L1)에 수직한 제1면(S1)과 제3지점(P3)의 생성된 제1직선(L1)의 수직한 제2면(S2)을 생성한다. 정답데이터 생성부(C20)는 제1면(S1) 및 제2면(S2) 사이의 공간과 생성된 제1직선(L1) 및 직경에 관한 정보로 생성된 원통형의 제1공간의 교집합에 위치하는 GPR 3D-데이터의 픽셀을 정답상태로 라벨링한다.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C20) generates a first straight line (L 1 ) using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pipeline at the first point (P 1 ) and the third point (P 3 ) in the collected GPR 3D-data do. A first surface (S 1 ) perpendicular to the generated first straight line (L 1 ) of the first point (P 1 ) and a second perpendicular to the generated first straight line (L 1 ) of the third point (P 3 ) Create a surface (S 2 ).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C20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surface (S 1 ) and the second surface (S 2 ) and the generated first straight line ( L 1 ) and the cylindrical first space creat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diameter The pixels of the GPR 3D-data located at the intersection are labeled with the correct state.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답데이터 생성부(C20)는 수집된 GPR 3D-데이터에서의 제3지점(P3)과 제2지점(P2)의 관로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직선(L2)을 생성한다. 제3지점(P3)의 생성된 제2직선(L2)에 수직한 제3면(S3)과 제2지점(P2)의 생성된 제2직선(L2)의 수직한 제4면(S4)을 생성한다. 제3면(S3) 및 제4면(S4) 사이의 공간과 생성된 제2직선(L2) 및 직경에 관한 정보로 생성된 원통형의 제2공간의 교집합에 위치하는 GPR 3D-데이터의 픽셀을 정답상태로 라벨링한다. In this way,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C20) use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pipeline at the third point (P 3 ) and the second point (P 2 ) in the collected GPR 3D-data to the second straight line (L) 2 ) is created. The third surface S 3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traight line L 2 generated at the third point P 3 and the fourth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traight line L 2 generated at the second point P 2 . Create a surface (S 4 ). GPR 3D-data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third surface (S 3 ) and the fourth surface (S 4 )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 L 2 ) and the cylindrical second space creat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diameter Label the pixels in the correct state.

문제는 것은 도 15에 표시된 D 영역(빗금친 영역)이다. D 영역은 관로가 꺽이는 부분인데, 실제로는 관로가 정확하게 어떠한 형태로 꺽여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학습하는 딥러닝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낮추는 문제가 될 수 있다. The problem is area D (hatched area) shown in FIG. 15 . Area D is the part where the pipe is bent, but in reality, it can be a problem to lower the reliability of the deep learning network to learn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know exactly how the pipe is bent.

따라서 본 발명의 분석장치(C100)은 원통형의 제1공간과 원통형의 제2공간의 교집합에 위치하는 공간 중에서 정답상태가 아닌 픽셀을 보류상태로 라벨링한다. 원통형의 제1공간은 제1직선(L1)을 축으로 관로의 반경내에 있는 점들의 집합이며, 원통형의 제2공간은 제2직선(L2)을 축으로 관로의 반경내에 있는 점들의 집합이다. Therefore, the analysis device C100 of the present invention labels pixels that are not in the correct state among the space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cylindrical first space and the cylindrical second space as the pending state. The first cylindrical space is a set of points within the radius of the conduit with the first straight line (L 1 ) as the axis, and the second cylindrical space is a set of points within the radius of the conduit with the second straight line (L 2 ) as the axis. am.

이처럼 보류상태의 픽셀이 있는 경우 학습부(30)에서는 보류상태의 픽셀은 딥러닝 네트워크가 정답 또는 오답으로 학습하지 않음으로써 딥러닝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학습부에서 보류상태의 픽셀은 딥러닝 네트워크가 정답 또는 배경으로 학습하지 않는다.As such, when there is a pixel in the pending state, the learning unit 30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deep learning network by not learning the pixel in the pending state as the correct or incorrect answer by the deep learning network. That is, the deep learning network does not learn the correct answer or background for the pixels in the pending state in the learning unit.

상술한 방법을 통해 학습된 딥러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석장치(C100)가 이미지화 된 GPR 데이터, 즉 GPR 3D-데이터로부터 관로의 위치를 추출하게 되고, GPR 데이터 처리장치(B100)가 가상의 관로를 생성하게 된다. GPR 데이터 처리장치(B100)에서 생성된 가상의 관로에 관한 정보(AR data 또는 CAD data 등)는 GPS-AR 장치(D100)로 전달되어 작업자에게 공사 현장 내 지하시설물의 위치 및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Using the deep learning network learned through the above method, the analysis device (C100) extracts the position of the conduit from the imaged GPR data, that is, the GPR 3D-data, and the GPR data processing device (B100) runs the virtual conduit. will create The information (AR data or CAD data, etc.) about the virtual pipeline generated by the GPR data processing device (B100) is transmitted to the GPS-AR device (D100) to provide the worker with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n the construction site. .

GPS-AR 장치GPS-AR device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GPS-AR 장치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파손 예방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16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to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a GPS-AR device used in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 및 17b는 도 16에 도시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지하시설물 파손 예방을 위한 GPS-AR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7A and 17B schematically show an example of a GPS-AR device for preventing damage to underground facilitie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shown in FIG. 16 .

도 18은 지하시설물 파손 예방을 위한 GPS-AR 장치가 적용되는 공사 현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8 schematically shows a construction site to which a GPS-AR device for preventing damage to underground facilities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GPS-AR장치는 영상모듈, GPS모듈, 자세센싱모듈, 통신모듈, AR모듈, 버켓위치센싱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The GPS-A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module, a GPS module, an attitude sensing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an AR module, a bucket position sensing module, and a database.

도 17a의 GPS-AR 장치는 버켓위치센싱모듈을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가 사용자단말기에 통합 구현된 형태의 예이다. 물론 사용자단말기에 위 요소들이 모두 통 합되지 않고 모듈들이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사용자단말기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단말기는 테블릿 PC나 스마트폰 등을 채용할 수 있다.The GPS-AR device of FIG. 17a is an example of a form in which all components except for the bucket position sensing module are integrated into the user terminal. Of course, not all of the above elements are integrat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modules may be provided individually, but it is preferable to be integrated into the user terminal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s the user terminal, a tablet PC or a smartphone may be employed.

또한, 사용자단말기에는 영상모듈, GPS모듈, 자세센싱모듈, 통신모듈만을 포함하고, AR모듈과 데이터베이스는 별도의 서버에 탑재되어 프로세싱을 진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모듈에서 획득한 데이터가 모두 서버에 송신되고, 서버의 AR 모듈에서 프로세싱을 진행한 후, 결과물을 다시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여 증강현실이 구현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예에서는 사용자단말기에 모듈들이 통합 구현된 형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includes only an image module, a GPS module, an attitude sensing module, and a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AR module and the database may be mounted on a separate server to perform processing. In this case, all data obtained from each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after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AR module of the server,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gain to display an image in which augmented reality is implemented. In this example, a form in which modules are integrated and implemented in a user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한편, 도 17b와 같이, 굴착공사시 복수의 굴착장비가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를 구비하여 시스템을 운영할 수도 있다. 이 때에도 마찬가지로 각 모듈들이 사용자단말기에 통합구현되거나, 또는 각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입수하여 서버에서 AR 증강현실 프로세싱을 진행하여 각 단말기에 결과물을 송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7B , when a plurality of excavation equipment is used during excavation work, the system may be operat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 this case as well, each module may be integrated into the user terminal, or data may be obtained from each terminal and AR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may be performed on the server to transmit the result to each terminal.

도 17b을 참고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GPS-AR 장치(D100)은 서버(D10), 데이터베이스(D20), 사용자 단말기(D30) 및 굴삭장비(D40)에 장착된 GPS 모듈을 구비한다. 서버(D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D30) 및 지하시설물 운영기관(D91, D92, D93)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7B , a GPS-AR device D100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module mounted on a server D10 , a database D20 , a user terminal D30 , and an excavator D40 . The server D1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D30 and the underground facility operating organizations D91, D92, and D93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설명의 편의상 서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기 등으로 구분하였지만, 이는 단지 기능 설명을 위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보면 서버, 데이터베이스가 개별 사용자 단말기에 모두 통합 구현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서버와 데이터베이스가 별도로 존재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서버와 통신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물리적 독립성을 중심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특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 단위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이 모두 사용자 단말기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역할만하고 모든 정보의 처리 및 프로세스를 서버에서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첨언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rver, database, and user terminal have been divided, but this is only for function descrip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at is, th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functional unit that implements a specific function, rather than focusing on physical independence. In other words, all elements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can only serve as a display and the analysis devic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processing and processing all information in the server. add to

각각의 모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Each module is briefly described.

영상모듈은 굴착공사가 이루어지는 공사영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실사화면을 획득하는 동영상카메라와, 촬영된 화상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 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단말기로 사용하는 테블릿 PC의 경우 카메라와 디스플레 이 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태블릿 PC에 의하여 영상모듈이 구현될 수 있다The image module includes a video camera that captures a construction area in which excavation work is performed in real time to obtain a live-action screen,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captured image. In general, a tablet PC used as a user terminal has a camera and a display panel, so an image module can be implemented by the tablet PC.

사용자단말기(D30)는 영상모듈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하, '제2위치정보'라고 함)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PS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단말기 영상 모듈의 방위 및 놓여진 각도에 대한 자세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기 위한 자세센 싱모듈을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자세센싱모듈로는 IMU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세정보는 영상모듈의 카메라가 어느 한 지점에서 어느 방향(XY평면상 방위)을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한 방위정보 및 XZ축 및 YZ축 상에서의 기울기 정보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동영상카메라가 입체 공간에서 어느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30 includes a GPS module that acquir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image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 attitude sensing module for acquiring attitude information about the orientation and placed angle of the user terminal image module in real time. In this embodiment, an IMU sensor may be used as the attitude sensing module. Here, the posture information includes azimuth information about which direction (direction on the XY plane) the camera of the image module is looking at at any one point and inclination information on the XZ and YZ ax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direction the video camera is facing in a three-dimensional space.

사용자단말기(30)에는 AR 모듈이 장착된다. AR 모듈은 GPS 모듈과 자세센싱모듈로부터 획득한 제2위치정보 및 자세정보와 함께, 동영상카메라의 화각 정보를 통해 사용자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촬영되는 영역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에 나타난 각 공사영역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AR모듈은 가상의 관로가 생성된 3D-GPS 데이터로부터 지하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이하, '제1위치정보'라고 함)를 확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지하시설물을 증강현실 형태로 표출한다.The user terminal 30 is equipped with an AR module. The AR module may check the location of the area being photograph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ngle of view information of the video camera together with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postur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module and the posture sensing modul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coordinates of each construction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In addition, the AR module confirm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underground faci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3D-GPS data in which the virtual pipeline is created, and displays the underground facility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on the display panel.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는 먼저 공사 현장의 외곽 경계선(1)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전통적 방식으로 측량을 하거나, GPS 모듈 등을 이용하여 공사 구역 경계선(1)의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선(1)이 절곡되는 지점(A, B~F)의 좌표를 측정한 후, 이를 기초로 경계선(1) 전체에 대한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GPS 모듈에서 획득한 위치좌표 또는 측량 후 디지털 변환된 위치좌표를 시스템 서버(D10)에 입력하고, 시스템 서버(D10)는 경계선(1) 전체에 대한 좌표를 데이터베이스(D20)에 저장한다. 물론 앞에서도 말했지만,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단말에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outer boundary line 1 of the construction site is acquir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ordinates of the construction zone boundary line (1) by performing a survey in a traditional way or using a GPS module or the like. As shown in FIG. 18 , after measuring the coordinates of the points A, B to F at which the boundary line 1 is bent, coordinates for the entire boundary line 1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is. The position coordinates obtained from the GPS module or digitally converted position coordinates after surveying are input to the system server D10, and the system server D10 stores the coordinates for the entire boundary line 1 in the database D20. Of course, as I said before, it can also be entered directly into the user terminal without going through the server and database.

공사 현장의 외곽 경계선(1)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에는 이 경계선 내 지하시설물(2, 3)이 매설된 제1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제1위치정보는 각각의 지하시설물에 대한 각각의 운영기관(D91, D92, D93)으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예컨대 가스관에 대해서는 한국가스공사를 통해, 전력선에 대해서는 한국전력을 통해, 수도관 등은 지자체를 통해 확보할 수 있다. 전산화된 데이터가 없고 종이도면에 기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하시설물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위치정보가 데이터가 없는 경우라면, 본 실시예에서는 공사현장에 대하여 GPR 탐사장치(A100)로 탐사를 수행하여 GPR 데이터 처리장치(B100) 및 분석장치(C100)를 이용하여 제1위치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제1위치정보가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확보되면 이를 시스템 서버(D10)에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D20)에 저장한다. 또한 운영기관으로부터 제1위치정보를 제공받은 경우에도 추가적으로 GPR 탐사를 통해 위치정보의 정확성을 검증함으로써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After ob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outer boundary line (1)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underground facilities (2, 3) are buried within the boundary line is obtained.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in the form of digital data from each operating organization (D91, D92, D93) for each underground facility. For example, gas pipes can be secured through Korea Gas Corporation, power lines can be secured through KEPCO, and water pipes can be secured through local governments. Even if there is no computerized data and it is written on a paper drawing, it can be converted into digital data and used. If the underground facility clearly exists but there is no location information, in this embodiment, the GPR exploration device (A100) is used to explore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GPR data processing device (B100) and the analysis device (C100) are used to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can be secured. Whe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secured in the form of digital data, it is input to the system server D10 and stored in the database D20. In addition, even whe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operating organization, safety can be strengthened by additionally verifying the accuracy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R exploration.

한편,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 속성정보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국가나 지자체의 통합관리시스템이 있는 경우 개별기관이 아닌 통합시스템으로부터 위 정보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that manages location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in an integrated manner, the abov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the integrated system rather than the individual institution.

제1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활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보안 관리이다. 가스관, 전력케이블 등은 국가 주요 시설로서 철저한 보안관리가 요청된다. 엄격한 절차에 따라 지하시설물의 위치 정보가 제공되지만, 일단 정보가 제공된 후에는 그 활용과정에서 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안관리를 위하여 지하시설물 위치 정보를 공사 구역에 한정하여 AR 모듈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2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파손 예방 시스템 서버(D10)에서 공사 구역의 경계선(1)에 대한 위치정보를 운영기관(D91, D92, D93)에 제공하면, 운영기관에서는 지하시설물(2, 3)의 위치를 경계선(1) 내측으로 제한해서 제공하는 방법이다. 보안 측면에서는 가장 유리한 방법이다. 다만 이 방법은 운영기관에서 데이터를 가공해서 제공해야 하므로 운영기관별 데이터 제공 형태가 위의 방법을 따르기 어려울 수 있다. 다른 방법은 운영기관(D91, D92, D93)에서 공사구역 내측으로만 제한하여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하고, 공사구역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이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버(D10)에서 지하시설물의 제1위치정보와 경계선(1)의 좌표를 조합하여 교점을 찾아내고,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 중 공사구역 내측에 배치된 정보만 별도로 분리하여 데이터베이스(D20) 및 AR모듈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공사 관계자 및 AR모듈 사용자들은 공사구역 내측에 국한하여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most important point in acquiring and utiliz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security management. Gas pipelines and power cables are major national facilities, requiring thorough security management. This is because, although location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is provided according to a strict procedure, once the information is provided, management may be neglected in the process of using 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to an AR module by limiting it to a construction area for security management. There are two ways to choose. When the server (D10) of the underground facility damag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boundary line (1) of the construction area to the operating organizations (D91, D92, D93), the operating organization uses the underground facilities (2, 3) It is a method to provide by limiting the position to the inside of the boundary line (1). From a security point of view, this is the most advantageous method. However, in this method, it may be difficult to follow the above method in the form of data provision for each operating institution because the data must be processed and provided by the operating institution. Another method is that the operating agency (D91, D92, D93) cannot provide data by limiting it to the inside of the construction area, and if a wide range of location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construction area is provided, this data is not used as it is. , in the system server (D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nd the coordinates of the boundary line 1 are combined to find the intersection, and only the information placed inside the construction area amo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s separated separately It is provided to the database (D20) and the AR module. Through this, construction personnel and AR module users can check the loc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by limiting them to the inside of the construction are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information on national important facilities from being leaked to the outside in the process of utilizing location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한편, 지하시설물에 대한 속성정보도 운영기관으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예컨대 관로의 형상, 크기, 재질 등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D20)에 저장한다. 여기서 시스템 서버는 지하시설물의 속성정보에 근거하여 지하시설물의 증강현실 표현 형태를 3D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2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D20)에는 2D 형태로 정보를 저장해 놓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를 상기한 3D 형태로 변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ttribute information on underground facilities can also be transmitted from the operating organization. For example, the shape, size, material, etc. of the pipe are receiv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D20. Here, the system server may store the augmented reality expression form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n the database D20 in 3D form based o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lternatively,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D20 in a 2D form, and the user terminal may convert it to the above-described 3D form.

이에 따라, 추후 지하시설물을 증강현실 형태로 디스플레이에 구현할 때 속성정보에 맞추어 보다 사실적으로 지하시설물에 대한 표현이 가능하다. Accordingly, when implementing the underground facility on a display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underground facility more realistically accor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지하시설물에 대한 제1위치정보가 확인되면, 제1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위험영역(6)을 설정한다. 위험영역(6)은 지하시설물(2, 3)을 기준으로 양옆으로 대략 수십~수백cm 범위로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지하시설물의 심도를 기준으로도 결정된다. 예컨대 가스관을 기준으로 좌우 및 상방 1m로 위험영역(6)을 설정한다. 이렇게 위험영역(6)이 설정되면 서버(D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D20)에 저장한다. Whe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underground facility is confirmed, the dangerous area 6 is set based 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he danger zone 6 can be determined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tens to hundreds of cm on both sides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2 and 3, and is also determined based on the depth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For example, the danger zone 6 is set to the left and right and 1 m above the gas pipe. When the dangerous area 6 is set in this way, it is stored in the database D20 through the server D10.

위험영역을 설정하는 것은 GPS 정밀도 및 증강현실 구현의 정밀도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GPS 시스템은 최근 정밀도가 향상되었지만, GPS 수신기에 따라서 정밀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고정밀 GPS 수신기의 경우 고가이므로 사용상 제한이 있다. 또한 GPS 정밀도가 높다고 하여도 증강현실로 구현시에 정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오차의 문제를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비용의 측면에서 또한 현재 기술적 수준의 측면에서 단기간에 해결이 불가능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오히려 지하시설물 주변까지 위험영역으로 확장하여 정밀도의 문제를 역으로 해결하였다. Setting the danger zone is to supplement the precision of GPS precision and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Although the GPS system has recently improved its precision, there may be differences in precision depending on the GPS receiver. In addition, since the high-precision GPS receiver is expensive, there is a limitation in its use. In addition, even if the GPS precision is high, the precision may be lowered when implemented in augmented reality. Approaching such an error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precision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cannot be sol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terms of cost and the current technical leve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precision was reversely solved by extending to the dangerous area around the underground facility.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D30)를 굴삭장비(D40)의 운전자석 주변에 장착한다. 사용자 단말기(D30)는 주로 태블릿 PC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D30)에는 GPS 모듈, IMU센서, AR 모듈, 동영상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패널이 탑재되어 있다. GPS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즉 제2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AR 모듈로 전송한다. 물론 사용자 단말기에 기본 탑재된 GPS 모듈이 정밀하지 않은 경우라면, 사용자 단말기 근처에 정밀한 GPS 모듈을 별도로 장착하고,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D30 is mounted around the operator's seat of the excavator D40. The user terminal D30 may be mainly a tablet PC. In this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D30 is equipped with a GPS module, an IMU sensor, an AR module, a video camera module, and a display panel. The GPS module detec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AR module. Of course, if the GPS module installed by default in the user terminal is not precise, a precise GPS module may be separately mounted near the user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IMU 센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자세정보를 파악한다. IMU 센서는 3차원 공간에서 앞뒤, 상하, 좌우의 3축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피치(pitch), 롤(roll) 및 요(yaw)의 3축 회전을 검출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로 이루어진다. IMU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정면이 향하고 있는 방향, 각도 등의 자세정보를 검출하여 실시간으로 AR 모듈로 전송한다. The IMU sensor detects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IMU sensor consists of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movement in three axes of front, back, up, down, left and right in three-dimensional space, and a gyroscope sensor that detects three-axis rotation of pitch, roll, and yaw. . Posture information such as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front of the user terminal is detected using the IMU sensor and transmitted to the AR module in real time.

또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영상 카메라 모듈에서는 실사화면을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In addition, the video camera module of the user terminal acquires the actual screen and acquires it in real time.

AR 모듈에서는 경계선에 대한 위치정보 및 지하시설물에 대한 제1위치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에서 실시간으로 얻어지는 실사 화면을 통합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여,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D30)의 디스플레이에 표출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자세, 그리고 카메라 모듈의 화각 정보를 활용하면 공사 영역에서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구역의 경계(위치좌표)를 파악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의 세부위치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 지하시설물의 제1위치정보와 위험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지하시설물과 위험영역을 증강현실로 표출하게 된다.In the AR module, augmented reality is implemented by integ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boundary line and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nderground facilities and the actual screen obtained from the camera module of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and as shown in FIG. 19, the user terminal (D30)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at is, by utilizing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angle of view information of the camera module, the boundary (location coordinates) of the area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in the construction area can be grasped, and the detailed position within the display screen can also be accurately identified. can Here, by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dangerous area, the underground facility and the dangerous area are expressed in augmented reality on the display screen.

AR모듈은 앱 등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증강현실 구현 기술은 공지의 기술인 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R module is generally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uch as an app, and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technology is a well-known technology, so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증강현실로 지하시설물과 위험영역이 표출되는 것 이외에, 지하시설물의 종류, 배치 심도 등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express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dangerous areas in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n the types of underground facilities, the depth of arrangement, etc. may be displayed on the user's terminal.

위와 같은 증강현실 구현 프로세스는 실시간으로 계속 이루어지므로, 굴삭장비가 이동하면 그에 맞게 새롭게 데이터를 갱신하여 사용자는 공사 구역 전 영역에서 굴삭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Since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process as above is continuously performed in real time, when the excavator moves, the data is updated accordingly so that the user can safely perform excavation work in the entire construction area.

도 19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기(D30)의 디스플레이에는 공사 영역의 지면에 지하시설물(2)과 위험영역(6)이 실사화면에 중첩되어 증강현실로 표현되어 있다. 굴착 기사는 운전자석 옆에 놓인 사용자 단말기를 확인하면서 위험영역(6)에서의 굴착 작업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의도치 않은 지하시설물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D30, the underground facility 2 and the danger area 6 are superimposed on the actual screen and expressed in augmented reality on the ground of the construction area. By paying attention to the excavation work in the danger area 6 while checking the user terminal placed next to the driver's seat, the excavator can prevent unintentional damage to underground facilities.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보다 직접적으로 굴착 공사에 의한 지하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capable of more directly preventing damage to underground facilities due to excavation work.

본 발명에서는 굴삭장비(D40)의 굴삭부, 예컨대 포크레인의 경우 버켓의 제3위치정보 및 고도정보를 확인하여, 버켓이 위험영역(6)에 위치하는 경우 알람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를 송출하고, 더 나아가 굴삭장비의 제어부와 연동하여 굴삭부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avator of the excavation equipment (D4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ork crane, check the third position information an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bucket, and send a warning to the user through an alarm when the bucket is located in the danger area 6,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excavat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of the excavator.

구성으로 보면, 굴삭부에 GPS 모듈을 별도로 부착하여 굴삭부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또는 굴삭부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상대 거리를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한 후 사용자 단말기에 부착된 GPS의 위치정보와 조합하여 굴삭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컨대 굴삭부에 마커를 부착하고 굴삭기 본체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하면서 마커의 이동을 통해 굴삭부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상대 거리를 산출하고, 제2위치정보와 조합하여 굴삭부의 정확한 제3위치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카메라로 마커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동을 추적하는 기술은 지능형 CCTV 기술에 의하여 구현되며, 이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erms of configuration, a GPS module attached to the excavator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excavator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excavator, or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excavator and the user terminal is detected using a separate sensor and t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PS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and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excavator in combination. For example, by attaching a marker to the excavator and shooting with a camera mounted on the body of the excavator,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excavator and the user terminal is calculated through movement of the marker. can be obtained The technology of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marker with a camera and tracking the movement is implemented by the intelligent CCTV technology, which is a widely used technology,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3위치정보가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제3위치정보가 위험영역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알람음을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와 굴삭장비의 HUD(head up display) 모듈과 연동시켜서, 알람을 굴삭기의 전면 패널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When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the user terminal may check whether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is within the danger area and display an alarm as shown in FIG. 4 or transmit an alarm sound. In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larm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panel of the excavator by interwork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head up display (HUD) module of the excavator.

특히 버켓의 심도(고도)가 위험 영역 내에 있으면 굴삭장비의 제어부에 신호를 송출하여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if the depth (altitude) of the bucket is within the danger zone, the operation can be stopped by sending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of the excavator.

이에 따라 굴삭장비의 사용자가 굴삭부의 위치를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굴착 작업에 의한 지하시설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underground facilities due to excavation work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of the excavation equipment does not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excavator.

기존의 GPS-AR 기술은 위치정보와 증강현실 구현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대상물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하여만 연구가 이루어졌다면, 본 발명에서는 GPS-AR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게 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즉 사용자의 부주의는 '변수'가 아닌 '상수'로서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조건에서도 굴착 작업에 의한 지하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본 발명과 같이 굴삭장비의 제어장치와 GPS-AR 장치를 연동하여 굴삭장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마련하였다. Existing GPS-AR technology has been researched only on a method of expressing an object on a user terminal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ugmented reality realization technology. focus on doing In other words, the user's carelessness can exist as a 'constant' rather than a 'variable', and even under these conditions, a method to prevent damage to underground facilities due to excavation work has been studie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xcavation equipment by linking the GPS-AR device was prepared.

본 발명에 의하여 지하 굴착 공사시 의도치 않게 지하시설물을 파손하는 위험이 대폭 감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isk of inadvertently damaging underground facilities during underground excavation construction will be significantly reduced.

이상에서 설명한 관리시스템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management system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mobile application) including an executable algorith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The program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and can be read by a device.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added once again tha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laims (6)

작업자에게 공사 현장 내 지하시설물의 위치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으로서:
지표 아래의 지하시설물을 탐지하기 위해 지표에 대해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가 지표 아래의 지하시설물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GPR 탐사장치;
상기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GPR 원시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보정한 후, 노이즈가 제거된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평면도, 횡단면도, 종단면도 및 3D-GPR 데이터로 이미지화 하고, 상기 3D-GPR 데이터에 가상의 지하시설물을 생성하는 GPR 데이터 처리장치; 및
GPS모듈, IMU센서, 동영상카메라, 디스플레이부 및 AR 모듈을 탑재한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가상의 지하시설물이 생성된 3D-GPR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3D-GPR 데이터와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실사화면에 가상의 지하시설물을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굴착공사에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GPS-AR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GPS-AR 장치는 굴삭장비에 설치되며, 상기 굴삭장비의 굴삭부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상기 굴삭부가 상기 지하시설물의 일정 범위 내로 근접하는 경우 알람을 송출하며,
상기 GPR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가상의 지하시설물을 생성할 때 3D-GPR 데이터에서 지하시설물을 탐지하도록 학습된 딥러닝네트워크를 구비하는 분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장치는 딥러닝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석장치는,
관측의 시작점인 제1지점의 위치와, 관측의 종료점인 제2지점의 위치에 관한 정보와, 관로의 직경에 관한 정보를 알고 있는 관로에 대하여 지표 투과 레이더를 이용하여 수집된 GPR 3D-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수집된 GPR 3D-데이터를 전달 받아 정답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답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정답데이터를 딥러닝 네트워크에게 제공하여 학습시키는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답데이터 생성부는 수집된 GPR 3D-데이터에서의 제1지점과 제2지점의 관로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직선을 생성하고, 제1지점의 생성된 직선에 수직한 제1면과 제2지점의 생성된 직선의 수직한 제2면을 생성한 뒤, 제1면 및 제2면 사이의 공간과 생성된 직선 및 직경에 관한 정보로 생성된 원통형의 공간의 교집합에 위치하는 GPR 3D-데이터의 픽셀을 정답상태로 라벨링하고,
상기 정답데이터 생성부가 직선을 생성할 경우에 수집된 GPR 3D-데이터에서의 관로의 제1지점과 제2지점을 각각 관로의 제1최상단 위치 및 제2최상단 위치로 결정하고, 제1최상단 위치 및 제2최상단 위치에서 높이방향에서 아래쪽으로 관로의 반경만큼 내려간 위치를 각각 제1중심 및 제2중심으로 결정하며, 생성되는 직선은 제1중심 및 제2중심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에 의해 생성되는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As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vide workers with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within a construction site,
GPR exploration device for generating GPR exploration raw data by generating a signal on the surface to detect the underground facility below the surface and receiving the signal reflected by the underground facility below the surface of the surface;
After receiving the GPR exploration raw data, and removing and correcting the noise of the received GPR raw data, the noise-removed GPR exploration raw data is imaged as a plan view, a cross-sectional view, a longitudinal cross-section and 3D-GPR data, and the 3D- GPR data processing device that creates a virtual underground facility in GPR data; and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GPS module, an IMU sensor, a video camera, a display unit and an AR module receives the 3D-GPR data generated by the virtual underground facility, and uses the 3D-GPR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 GPS-AR device that implements a virtual underground facility in augmented reality on the actual screen displayed on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loc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n real time during excavation work; includes;
The GPS-AR device is installed in the excavation equipment,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cavator of the excavator in real time, and sends an alarm when the excavator approaches within a certain range of the underground facility,
Further comprising an analysis device having a deep learning network trained to detect underground facilities from 3D-GPR data when generating virtual underground facilities in the GPR data processing device,
The analysis device is configured to train a deep learning network,
The analyzer is
The GPR 3D-data collected using the ground penetration radar for a pipeline for which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which is the start point of observation, the location of the second point, which is the end point of observ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diameter of the pipeline is known stored storage;
a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that receives the GPR 3D-data collected from the storage unit and generates correct answer data; and
A learning unit for learning by providing the correct answer data to the deep learning network;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generates a straight line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positions of the pipelines at the first and second points in the collected GPR 3D-data, and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perpendicular to the generated straight line at the first point GPR 3D-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nd the cylindrical space creat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created straight line and diameter after generating the second vertical surface of the straight line created at two points Label the pixels in the data as correct states,
When the correct answer data generating unit generates a straight line, the first and second points of the pipeline in the collected GPR 3D-data are determined as the first and second uppermost positions of the pipeline, respectively, and the first uppermost position and The positions descending from the second uppermost position by the radius of the pipeline downward in the height direction are determined as the first center and the second center, respectively, and the generated straight line is the underground generated by the equation of the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center and the second center.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PR 탐사장치는 인도나 차가 다닐 수 없는 좁은 도로의 지표 아래에 위치하는 관로를 탐사하기 위한 핸디형 GPR 탐사장치로서:
탐사지역을 이동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표에 대해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가 지표 아래의 물질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지표 아래에 위치하는 관로를 탐사하는 GPR 유닛;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전방의 지표를 촬영하는 전방촬영유닛;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양 측의 주변을 촬영하는 측면촬영유닛; 및
상기 GPR 유닛과, 상기 전방촬영유닛과, 상기 측면촬영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 유닛이 수집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촬영유닛에서 수집한 영상을 상기 GPR 유닛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대하여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를 지연시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GPR probe is a handy type GPR probe for exploring a pipeline located below the surface of a narrow road that cannot be driven by sidewalks or cars:
a body capable of moving the exploration area;
a GPR unit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a signal to the ground surface, and to receive a signal reflected by a material below the ground surface, the GPR unit detecting a pipe located below the ground surface;
a front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photographing an indicator in front of the main body;
a side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photographing the periphery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PR unit,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and the side photographing unit and receiving the data collected by each unit; includes;
The control unit is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image collected by the front photographing unit by delaying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data collected by the GP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PR 데이터 처리장치는,
(a)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한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노이즈를 제거하고 보정하는 단계;
(c) 노이즈가 제거된 GPR 탐사 원시 데이터를 다음의 단계를 통해 이미지화하는 단계,
(c-1) 전체 채널의 n번째 심도의 트레이스를 모아 평면도를 생성,
(c-2) 전체 채널의 전체 심도의 m 번째 트레이를 모아 횡단면도를 생성,
(c-3) l 번째 채널의 전체 심도의 모든 트레이스를 모아 종단면도를 생성, 및
(c-4) 생성된 평면도,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를 이용하여 3D GPR 데이터를 생성;
(d) 상기 3D GPR 데이터 상에 다음의 단계를 통해 가상의 관로를 생성하는 단계,
(d-1) 상기 평면도,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중 하나에 관로로 결정된 제1위치를 생성,
(d-2) 상기 평면도,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중 하나에 관로로 결정된 제2위치(제1위치와 다른 위치임)를 생성, 및
(d-3) 상기 3D GPR 데이터 상에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를 연결하는 가상의 관로를 생성,
(e) 가상의 관로가 생성된 GPR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GPR data processing device,
(a) receiving GPR exploration raw data;
(b) removing noise and correcting the received GPR exploration raw data;
(c) imaging the denoised GPR exploration raw data through the following steps;
(c-1) create a plan view by collecting the nth depth traces of the entire channel;
(c-2) create a cross-sectional view by collecting the m-th tray of the full depth of the entire channel;
(c-3) gathering all traces of the full depth of the l-th channel to create a longitudinal section, and
(c-4) generating 3D GPR data using the generated plan, cross-section and longitudinal section;
(d) generating a virtual conduit through the following steps on the 3D GPR data,
(d-1) creating a first position determined by a conduit in one of the plan view, cross-sectional view, an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d-2) creating a second location determined by the conduit (a loca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location) in one of the plan view, cross-sectional view and longitudinal section view, and
(d-3) creating a virtual conduit connecting the first loc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on the 3D GPR data;
(e) outputting the GPR data generated by the virtual pipeline;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includ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PS-AR 장치의 사용자단말기는,
굴착공사가 이루어지는 공사영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실사화면을 획득하는 동영상카메라와, 촬영된 화상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영상모듈;
상기 영상모듈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PS모듈;
상기 영상모듈의 방위 및 각도에 대한 자세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자세센싱모듈;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와 교신하는 통신모듈;
굴착공사 지역의 외곽경계에 대한 경계정보 및 상기 외곽경계의 내측을 통과 하는 가상의 지하시설물에 대한 상기 3D-GPR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GPS모듈과 자세센싱모듈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와 자세정보 및 상기 동영상카메라의 화각정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나타난 영역의 위치를 탐지하고, 상기 상기 3D-GPR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가상의 지하시설물을 증강현실로 표출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AR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of the GPS-AR device,
an image module including a video camera for capturing a real-time image of a construction area in which excavation work is performed to obtain an actual imag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a GPS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module in real time;
a posture sensing module for acquiring posture information about the orientation and angle of the image module in real time;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 database storing data including boundary information on the outer boundary of the excavation area and the 3D-GPR data for the virtual underground facility passing inside the outer boundary; and
The position of the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creen is detected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postur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module and the posture sensing module and the angle of view information of the video camera, and the 3D-GPR data is us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scree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an AR module that performs processing to express virtual underground facilities in augmented reality.
KR1020190177684A 2019-12-30 2019-12-30 Managing system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gpr detector KR1023992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84A KR102399227B1 (en) 2019-12-30 2019-12-30 Managing system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gpr 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84A KR102399227B1 (en) 2019-12-30 2019-12-30 Managing system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gpr det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053A KR20210085053A (en) 2021-07-08
KR102399227B1 true KR102399227B1 (en) 2022-05-17

Family

ID=7689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684A KR102399227B1 (en) 2019-12-30 2019-12-30 Managing system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gpr de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2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402B1 (en) 2022-07-20 2022-11-2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Underground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QR c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6844A1 (en) * 2021-03-18 2022-09-22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y comprising gpr-ar device
KR102357870B1 (en) * 2021-09-09 2022-02-09 (주)조은공간정보 Unmanned automation system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KR102420578B1 (en) * 2022-03-02 2022-07-13 지케이엔지니어링(주)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cavity using noise reduction filter
KR102420571B1 (en) * 2022-03-02 2022-07-13 지케이엔지니어링(주)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cavity based on deep learning
KR102420573B1 (en) * 2022-03-02 2022-07-13 지케이엔지니어링(주)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cavity using signal amplifiers and filters
KR102420580B1 (en) * 2022-03-02 2022-07-13 지케이엔지니어링(주)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cavity through local average subtract
KR102474883B1 (en) * 2022-05-16 2022-12-06 케이엠아이에스 주식회사 Device and Mehtod for measuring underground facility location
KR102596013B1 (en) * 2022-09-19 2023-10-31 (주)베이시스소프트 3D underground information construction and generation method
KR102519104B1 (en) * 2022-09-28 2023-04-06 셀파이엔씨 주식회사 A method of collecting GPR image dat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and a method of diagnosing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it
KR102525894B1 (en) * 2022-10-19 2023-04-28 (주)조은공간정보 System for detecting underground facilities
CN116594011B (en) * 2023-07-18 2023-09-26 中地华北(北京)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Combined detection method based on underground disease body remote sensing and geological rada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733B1 (en) * 2016-07-13 2016-12-09 (주)대동지앤에스 underground precision geodetic systems for Interactive mapping based on the observation underground facility using GPS
US20180251961A1 (en) * 2017-03-03 2018-09-06 Caterpillar Trimble Control Technologies Llc Augmented reality display for material moving machines
KR101917374B1 (en) * 2017-02-10 2018-11-0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3d ground penetrating radar signal
US10234552B1 (en) * 2018-06-27 2019-03-19 University Of South Florida Precise infrastructure mapping using full-waveform inversion of ground penetrating radar signals
KR101999158B1 (en) * 2018-12-24 2019-07-11 지케이엔지니어링(주) Cart-type surface transmission radar prob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24B1 (en) * 2017-10-24 2019-01-3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cessing data of ground penetrating rada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733B1 (en) * 2016-07-13 2016-12-09 (주)대동지앤에스 underground precision geodetic systems for Interactive mapping based on the observation underground facility using GPS
KR101917374B1 (en) * 2017-02-10 2018-11-0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3d ground penetrating radar signal
US20180251961A1 (en) * 2017-03-03 2018-09-06 Caterpillar Trimble Control Technologies Llc Augmented reality display for material moving machines
US10234552B1 (en) * 2018-06-27 2019-03-19 University Of South Florida Precise infrastructure mapping using full-waveform inversion of ground penetrating radar signals
KR101999158B1 (en) * 2018-12-24 2019-07-11 지케이엔지니어링(주) Cart-type surface transmission radar prob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402B1 (en) 2022-07-20 2022-11-2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Underground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QR c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053A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227B1 (en) Managing system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gpr detector
EP2098820B1 (en) Geographical data collecting device
JP6381100B2 (en) Three-dimensional subsurface diagnosis system and three-dimensional subsurface diagnosis method
Ribeiro et al. Non-contact structural displacement measurement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video-based systems
EP3062066A1 (en) Determination of object data by template-based UAV control
KR101674071B1 (en) Railway facilities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CN104380137A (en) Method and handheld distance measurement device for indirect distance measurement by means of image-assisted angle determination function
KR101944823B1 (en) Underground Facilities Detec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CN105512646A (en) Data processing method, data processing device and terminal
CN109556569B (en) Topographic map surveying and mapping method and device
EP3244371A1 (en) Augmented image display using a camera and a position and orientation sensor unit
KR101886932B1 (en) Positioning system for gpr dat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road surface image
JP6201252B1 (en)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and position measuring method
CN102224523B (en) Stereo matching process system, stereo matching proces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7923744A (en) Surface construction based on a cloud
RU2571300C2 (en) Method for remote determination of absolute azimuth of target point
Tang et al. Surveying, geomatics, and 3D reconstruction
KR101674073B1 (en) Railway facilities spatial information bulid system and method
US11513524B2 (en) Three-dimensional analytic tools and methods for inspection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2252607B1 (en) System for preventing damage of underground facilties from excavating in construction field using gpas-ar technology
CN111179349B (en) Integrated laser target indicator and target indicating method
Javadnejad Small unmanned aircraft systems (UAS) for engineering inspections and geospatial mapping
CN116012336B (en) Tunnel intelligent geological sketch and surrounding rock grade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KR101730296B1 (en) Mobile mapping system for generating buried object 3D space information data and method for generating buried objects 3D space information data using the mobile mapping system
KR102205080B1 (en) Method for process of gpr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