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564B1 - Rescuer input personnel calculation system for the scene of a fire - Google Patents

Rescuer input personnel calculation system for the scene of a f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564B1
KR102398564B1 KR1020210110804A KR20210110804A KR102398564B1 KR 102398564 B1 KR102398564 B1 KR 102398564B1 KR 1020210110804 A KR1020210110804 A KR 1020210110804A KR 20210110804 A KR20210110804 A KR 20210110804A KR 102398564 B1 KR102398564 B1 KR 10239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escue
rescuers
information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현
이성우
정종진
김보섭
Original Assignee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소방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1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5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5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06K9/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현장에서 인명 구조를 위해 구조대원 및 구조장비를 투입하는 작업이 해당 화재의 규모 및 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요구조자의 수효 및 상태가 고려된 정략적 산출 방식을 통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은 요구조자 측위부,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 및 구조용 투입정보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조용 투입정보 산출부는 화재현장의 요구조자 움직임을 기반으로 구조 대원의 투입 인원수 및 구조 장비의 투입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구조조건 분석엔진이 탑재됨에 따라, 상기 요구조자 측위부에서 획득되는 요구조자 수효 및 개별 위치 그리고 상기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요구조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구조조건 분석엔진에서 구조 대원의 투입 인원수 및 구조 장비의 투입 개수를 산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that enables the input of rescuers and rescue equipment to save lives at the site of a fire very efficiently through a strategic calculation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re and the number and status of the people who need it. It relates to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cuers input for saving lives on the site, and the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people input for rescuers for saving lives at a fire 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cue worker positioning unit, a rescue worker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nd a rescue input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The rescue input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is equipped with a rescue condition analysis engine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rescuers and rescue equipment input based on the movement of rescuers at the fire scene, The rescue condition analysis engine calculates the number of rescuers and rescue equipment on the basis of the number and individual positions and movement data of rescuers acquired from the rescue worker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Description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Rescuer input personnel calculation system for the scene of a fire}Rescuer input personnel calculation system for the scene of a fire

본 발명은 화재 현장에서 인명 구조를 위해 구조대원 및 구조장비를 투입하는 작업이 해당 화재의 규모 및 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요구조자의 수효 및 상태가 고려된 정략적 산출 방식을 통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that enables the input of rescuers and rescue equipment to save lives at the site of a fire very efficiently through a strategic calculation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re and the number and status of the people who need it. It relates to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personnel input by rescuers for the rescue of people at the scene.

화재는 상당한 규모의 인적 피해 및 물적 피해를 낳으면서도 완전한 대응이 어려워 그 피해를 경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화재는 발생 빈도는 낮으나 발생의 예측이 어렵고 최근 들어 발생 양상이 다각화되고 발생 규모도 커지는 추세에 있다.Although fire causes considerable human and material damage,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the damage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spond completely. Although the occurrence of fires is low,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ir occurrence, and in recent years, the pattern of occurrence has been diversified and the magnitude of the occurrence has been increasing.

최근 정부는 화재 및 다양한 재난들에 대해서 컨트롤타워 역할에 대한 요구에 힘입어 재난안전처를 신설하였다.Recently,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Ministry of Disaster and Safety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the role of a control tower for fires and various disasters.

화재 발생시에, 화재의 규모 및 화재로 인한 요구조자의 위치를 알 수 있다면, 초기 대응으로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In the event of a fire, if the size of the fire and the location of the person in need of the fire can be known, the damage caused by the fire can be reduced by taking an initial response.

따라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efficiently providing guide information for the rescue of a person in need due to a fire.

특히 화재 현장에서 요구조자의 분포 상황, 요구조자별 부상 정도 내지 신체적 특이성 등을 고려하여 구조 대원의 투입 인원 수를 효율적으로 운용/관리할 필요성이 있다.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operate/manage the number of rescuers in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of rescuers at the scene of the fire, the degree of injury or physical specificity of each rescuer.

한국 공개특허 제10-2021-0085323호(2021.07.08.공개), “재난 현장에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21-0085323 (published on Aug. 8, 2021),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evacuation routes to victims at disaster sites” 한국 등록특허 제10-2094609호(2020.03.27.공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94609 (2020.03.27. Announc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scue of people in need of fire”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124462호(2014.10.27.공개), “화재 대피자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4-0124462 (published on October 27, 201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tuation information for fire evacuee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화재 현장에서 인명 구조를 위해 구조대원 및 구조장비를 투입하는 작업이 해당 화재의 규모 및 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요구조자의 수효 및 상태가 고려된 정략적 산출 방식을 통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을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putting in rescuers and rescue equipment to save lives at the fire site can be done very efficiently through a strategic calculation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re and the number and status of the demanders. It provides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cuers put in to save lives at the fire si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3층 이상의 복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재가 발생한 층 및 그 위쪽에 위치한 층들에 설치된 고정식의 비콘 통신모듈이 자동 작동되면서 각 층별로 해당 층에 진입하는 구조대원들에게 해당 구조대원의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이동식 비콘 통신모듈을 매개로 해당 층의 요구조자 위치 및 움직임 관련 상태 정보를 음성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반복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이렇게 제공되는 음성정보가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속적으로 업데이트 된 정보로써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ccurs in a multi-story building with three or more floors,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he floors located above it is automatically operated and rescuers entering the corresponding floor for each floo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rescue worker's wearable terminal and its mobi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as a medium to repeat the location and movement-related status information of the person on the floor in real time through voice information. It provides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people put into the rescue team for lifesaving at the fire site so that it can be provided as continuously update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복층 건물의 화재가 발생한 층으로 진입한 들것들의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가 각 구조대원들의 웨어러블 단말기를 통해 음성정보로써 제공되게 함으로써, 구조대원들이 서로 다른 층 내지 동일한 층 내의 들것 사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로 공유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들것을 분배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usage status of stretchers that have entered the floor where the fire of the above-described multi-story building occurred as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wearable terminal of each rescuer, so that rescuers can use different floors or It provides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people put in by rescuers for the rescue of people at the fire scene, which allows for more efficient distribution and use of stretchers while sharing information on the use of stretchers in the same floor in real tim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은, 화재현장의 요구조자 수효 및 개별 위치를 해당 요구조자들이 휴대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통신 전파를 통해 획득하는 요구조자 측위부와,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기타 관성 센서의 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외부 전송하도록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관성신호 송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별 해당 요구조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해당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는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와, 화재현장의 요구조자 움직임을 기반으로 구조 대원의 투입 인원수 및 구조 장비의 투입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구조조건 분석엔진이 탑재되며, 상기 요구조자 측위부에서 획득되는 요구조자 수효 및 개별 위치 그리고 상기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요구조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구조조건 분석엔진에서 구조 대원의 투입 인원수 및 구조 장비의 투입 개수를 산출하는 구조용 투입정보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cuers input for saving lives at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cuer positioning unit that acquires the number of people who need to be rescued and their individual locations at the scene of a fir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radio waves of smart mobile devices carried by the rescuers. And, by the inertial signal transmission application mounted on the smart mobile device to externally transmit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gyro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and other inertial sensors of the smart mobile device in real time, the movement data of the requestor for each smart mobile device is corresponding A rescuer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obtained from a smart mobile device and a rescue condition analysis engine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rescuers and rescue equipment input based on the movement of rescuers at the fire site are mounted, and the rescuer positioning unit acquires A rescue input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number of rescuers and rescue equipment in the rescue condition analysis engine based on the number and individual locations of rescuers and the movement data of rescuers acquired from the rescuer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an

또한, 상기 요구조자 측위부는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GPS정보를 통해 해당 요구조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구조조건 분석엔진은 화재현장의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 상기 요구조자 측위부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에 변화가 있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각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요구조자에 한 명의 구조 대원을 할당하고, 화재현장의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 상기 요구조자 측위부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가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각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요구조자에 두 명의 구조 대원 및 하나의 들것을 할당하며, 사전 설정된 기준면적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요구조자 측위부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에 변화가 있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들 및 그 요구조자들을 대상으로 한 명 이상의 구조 대원을 할당하는 방식에 따라 구조 대원의 투입 인원수 및 구조 장비의 투입 개수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laimant positioning unit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question through the GPS information of the smart mobile device, and the structural condition analysis engine changes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laimant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smart mobile devices at the fire scene. For smart mobile devices with A smart mobile device that allocates two rescue workers and a stretcher to each smart mobile device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mart mobile device, and is located within a preset reference area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change in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scuer positioning unit According to a method of allocating one or more rescuers to the rescue workers and their rescuers, it may be to calculate the number of rescuers and the input of rescue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은, 화재현장이 3층 이상의 복층 건물(이하 ‘복층 건물’이라 함)일 때 상기 복층 건물의 각 층에 복수로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휴면 모드로 작동하고 외부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고정 비콘 통신모듈과, 상기 복층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며, 화재를 감지 시 화재 감지 신호에 해당 복층 건물의 식별정보 및 설치된 층에 대한 식별정보를 각각 포함시켜 원거리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화재 감지 모듈과, 상기 복층 건물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들 중 해당되는 일부 고정 비콘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키는 비콘 제어부와, 상기 화재 감지 모듈의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로부터 해당 복층 건물의 식별정보 및 해당 화재 감지 모듈이 설치된 층에 대한 식별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층에 대한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층 및 그 위쪽에 위치한 층들의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들이 활성화되게 하는 비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콘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와,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비콘 통신모듈 및 상기 이동 비콘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비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층 건물의 층들 중 현재 위치한 층의 요구조자 정보를 음성정보로써 출력하는 무선이어폰 모듈을 포함하며, 구조 대원이 착용하는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와, 상기 들것에 눕혀지는 요구조자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상기 들것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서 및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결합되어 무게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감지 신호에 상기 들것의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무선 전송하는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과, 상기 요구조자 측위부 및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요구조자의 위치 및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들 중 상기 비콘 제어부를 통해 활성화된 고정 비콘 통신모듈에서 수신하도록 사전 설정된 발신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들것의 사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발신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에 전송하는 화재 현장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cuers input for saving lives at a fire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story building with three or more stor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ulti-story building'). A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plurality, which normally operates in dormant mode and activ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i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multi-story building, and when a fire is detected, the fire detection signal identifies the corresponding multi-story building A fire detection module that includes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installed floor, respectively, and transmits it to a remote reception target, and a part of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s installed in the multi-story building according to a beac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 beacon control unit that activates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module is receiv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story building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fire detection module is installed are detected from the received fire detection signal, ,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hat generates a beacon control signal that activates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s of the corresponding floor and the floors located above i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etected floor and transmits it to the beacon control unit, and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 beacon signal from A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worn by a crew member, a weight sensor installed on the stretcher to detect the weight of a person lying on the stretcher, and the weight sensor are combined to transmit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eight sensor to an external receiving target and a rescue equipment use status notif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retcher by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retcher i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eight sensor; One of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s while receiving data on position and movement in real time Transmits periodically according to a preset sending cycle to be received by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activated through the beacon control unit, and information on the use of the stretcher received through the rescue equipment usage status not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sending cycle It may further include a fire site terminal that periodically transmits to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상기 화재 현장 단말기는 상기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들것의 식별정보가 사전에 등록되고, 화재현장에 현재 투입된 상기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 및 들것 간의 매칭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을 통해 현재 미사용 중인 것으로 확인되는 상기 들것을 대상으로 그와 매칭된 상기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에 구조장비가 필요한 다른 요구조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e sit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retcher are registered in advance, and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the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and the stretcher currently put into the fire scene is stored, and the rescue equipment is used It may be to periodicall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other rescuers who need rescue equipment to the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matched thereto through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stretcher, which is confirmed to be currently unused through the status notification module.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재 현장에서 인명 구조를 위해 구조대원 및 구조장비를 투입하는 작업이 해당 화재의 규모 및 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요구조자의 수효 및 상태가 고려된 정략적 산출 방식을 통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putting in rescuers and rescue equipment to save lives at the fire site is very efficient through a strategic calculation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re and the number and status of the demanders. can be done

또한, 3층 이상의 복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시에 화재가 발생한 층 및 그 위쪽에 위치한 층들에 설치된 고정식의 비콘 통신모듈이 자동 작동되면서 각 층별로 해당 층에 진입하는 구조대원들에게 해당 구조대원의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이동식 비콘 통신모듈을 매개로 해당 층의 요구조자 위치 및 움직임 관련 상태 정보를 음성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반복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이렇게 제공되는 음성정보가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속적으로 업데이트 된 정보로써 제공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 fire occurs in a multi-story building with three or more stories,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he floors located above it is automatically operated, and the wearable Through the terminal and its mobi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the location and movement-related status information of the requestor on the floor can be repeatedly provided in real time through voice information, and in addition, the provided voice information is continuously updated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can be provided as information.

또한, 상술한 복층 건물의 화재가 발생한 층으로 진입한 들것들의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가 각 구조대원들의 웨어러블 단말기를 통해 음성정보로써 제공됨에 따라, 구조대원들이 서로 다른 층 내지 동일한 층 내의 들것 사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로 공유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들것을 분배 및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information on the usage status of the stretchers that entered the floor where the fire of the above-mentioned multi-story building occurred is provided as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wearable terminal of each rescuer, rescuers use stretchers on different floors or on the same floor.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and use the stretcher more efficiently while sharing it with each other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을 화재현장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cuers inputted for lifesaving at a fire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cuers input for saving lives at a fire si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entered on a fire site;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cuers inputted for lifesaving at a fire si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and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n by way of example of the embodiment.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escrib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n the whole,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 wealth", "… The term “module”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cuers input for saving lives at a fire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cuers input for saving lives at a fire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cuers inputted for lifesaving at a fire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은 요구조자 측위부(100),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200) 및 구조용 투입정보 산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rescue crew input number calculation system for lifesaving at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cue worker positioning unit 100 , a rescue worker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0 , and a rescue input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300 . ) is included.

요구조자 측위부(100)는 화재현장의 요구조자 수효 및 개별 위치를 해당 요구조자들이 휴대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무선통신 전파를 통해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조자 측위부(100)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GPS정보를 통해 해당 요구조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The claimant positioning unit 100 performs a function of acquiring the number and individual location of the person in need of the fire sit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radio wave of the smart mobile device 10 carried by the person in charge. In addition, the requestor positioning unit 100 may be to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questor through the GPS information of the smart mobile device 10 .

그리고 요구조자가 휴대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관성신호 송출 애플리케이션(14)을 탑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성신호 송출 애플리케이션(14)은 요구조자가 휴대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자이로센서(11), 가속도센서(12) 및 기타 관성 센서(13)의 감지 신호가 실시간으로 외부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nd the smart mobile device 10 carried by the requestor is equipped with an inertial signal transmission application 14, and this inertial signal transmission application 14 is a gyro sensor 11 of the smart mobile device 10 carried by the requestor, It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 and other inertial sensors 13 to be transmitted externally in real time.

이에 따라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200)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관성신호 송출 애플리케이션(14)에 의해 전송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관성 신호에 따라 해당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및 그 요구조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획득한다.Accordingly, the requestor status information obtain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inertia signal of the smart mobile device 10 transmitted by the inertial signal transmission application 14 of the smart mobile device 10, the corresponding smart mobile device 10 and the requestor to acquire motion data.

구조용 투입정보 산출부(300)는 화재현장의 요구조자 움직임을 기반으로 구조 대원의 투입 인원수 및 구조 장비의 투입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구조조건 분석엔진(310)이 탑재된다. 이에 따라 구조용 투입정보 산출부(300)는 요구조자 측위부(100)에서 획득되는 요구조자 수효 및 개별 위치 그리고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요구조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조조건 분석엔진(310)에서 구조 대원의 투입 인원수 및 구조 장비의 투입 개수를 산출하게 된다.The rescue input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300 is equipped with a rescue condition analysis engine 310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rescue workers and rescue equipment input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rescuers at the fire site. Accordingly, the rescue input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300 is rescued from the rescue condition analysis engine 310 based on the number and individual positions of the victims obtained from the rescuers positioning unit 100 and the movement data of the rescuers acquired from the requesters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e number of crew members and the number of rescue equipment will be calculated.

여기서, 구조조건 분석엔진(310)은 화재현장의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들 중 요구조자 측위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에 변화가 있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대상으로 각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및 그 요구조자에 한 명의 구조 대원을 할당하고, 화재현장의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들 중 요구조자 측위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가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대상으로 각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및 그 요구조자에 두 명의 구조 대원 및 하나의 들것(S)을 할당하며, 사전 설정된 기준면적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요구조자 측위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에 변화가 있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들 및 그 요구조자들을 대상으로 한 명 이상의 구조 대원을 할당하는 방식을 통해 구조 대원의 투입 인원수 및 구조 장비의 투입 개수를 산출한다.Here, the structural condition analysis engine 310 targets each smart mobile device 10 with a change i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quester positioning unit 100 among the smart mobile devices 10 of the fire scene. (10) and one rescuer are assigned to the rescu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scuer positioning unit 100 among the smart mobile devices 10 of the fire scene does not change for a preset time. 10) for each smart mobile device 10 and its rescuer, two rescuers and one stretcher S are assigned, located within a preset reference area, and at the same time a location obtained through the rescuer positioning unit 100 Through a method of allocating one or more rescuers to the smart mobile devices 10 with change in information and those who need them, the number of rescuers and rescue equipment are calculated.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화재 현장에서 인명 구조를 위해 구조대원 및 구조장비를 투입하는 작업이 해당 화재의 규모 및 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요구조자의 수효 및 상태가 고려된 정략적 산출 방식을 통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ration of putting in rescue workers and rescue equipment to save lives at the fire site can be performed very efficiently through a strategic calculation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re and the number and status of the demanders. there will be

다음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cuers input for saving lives at a fire si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을 화재현장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scue crew input number calculation system for lifesaving at a fire si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entered on a fire site, and FIG. 3 is a fire si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people put into a rescue team for the rescue of people.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은 도 1의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한 요구조자 측위부(100),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200), 구조용 투입정보 산출부(300) 및 요구조자의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동일한 구성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 화재 감지 모듈(500), 비콘 제어부(600, 통합관리서버(1000),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800) 및 화재 현장 단말기(900)를 더 포함하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의 실시 예에 추가되는 구성인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 화재 감지 모듈(500), 비콘 제어부(600, 통합관리서버(1000),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800) 및 화재 현장 단말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rescue crew input number calculation system for lifesaving at the fire sit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e rescuer positioning unit 100, the rescuer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0, and the rescue input informatio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 of FIG. 1 . The calculation unit 300 and the requestor's smart mobile device 10 are includ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nd in addition,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the fire detection module 500, the beacon control unit 600,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0 , a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700, a rescue equipment usage status notification module 800, and a fire site terminal 900, and thus a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 400), the fire detection module 500, the beacon control unit 600,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0, the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700, the rescue equipment usage status notification module 800, and the fire site terminal will be mainly described.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은 화재현장이 3층 이상의 복층 건물(B, 이하 ‘복층 건물’이라 함)일 때 이러한 복층 건물(B)의 각 층(F)에 복수로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휴면 모드로 작동하고 외부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다. 부연 설명하면,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은 후술되는 비콘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활성화된다.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is installed in plurality on each floor (F) of the multi-story building (B) when the fire site is a three-story or more multi-story building (B,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ulti-story building'), and is usually dormant It operates in mode and is activ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In more detail,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is activ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beacon control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화재 감지 모듈(500)은 복층 건물(B)의 각 층(F)에 설치되며, 이러한 화재 감지 모듈(500)은 화재를 감지 시 화재 감지 신호에 해당 복층 건물(B)의 식별정보 및 설치된 층(F)에 대한 식별정보를 각각 포함시켜 원거리의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부연 설명하면, 화재 감지 모듈(500)은 화재 감지 신호를 후술되는 통합관리서버(1000)에 전송한다.The fire detection module 500 is installed on each floor (F) of the multi-story building (B), and when the fire detection module 500 detects a fi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story building (B) and the installed floor are included in the fire detection signal. Each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F) is included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receiving target. In more detail, the fire detection module 500 transmit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0 to be described later.

비콘 제어부(600)는 복층 건물(B)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제어신호에 따라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들 중 해당되는 일부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을 활성화시킨다.The beacon control unit 600 is installed in the multi-story building B, and activates some of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s 400 corresponding to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s 400 according to a beac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통합관리서버(1000)는 화재 감지 모듈(500)의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로부터 해당 복층 건물(B)의 식별정보 및 해당 화재 감지 모듈(500)이 설치된 층(F)에 대한 식별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층(F)에 대한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층(F) 및 그 위쪽에 위치한 층(F)들의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들이 활성화되게 하는 비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비콘 제어부(600)에 전송한다.When the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module 500 is receive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story building (B) from the received fire detection signal and the floor (F) on which the fire detection module 500 is installed. A beacon control signal that detec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nd activates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s 400 of the corresponding floor (F) and the floors (F) located above i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etected layer (F)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beacon control unit 600 .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는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비콘 통신모듈(710) 및 이러한 이동 비콘 통신모듈(710)을 통해 수신된 비콘 신호에 따라 복층 건물(B)의 층(F)들 중 현재 위치한 층(F)의 요구조자 정보를 음성정보로써 출력하는 무선이어폰 모듈(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는 구조 대원이 착용하는 것이다.The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700 is a mobi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710 that receives a beacon signal from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and a multi-story building (B) according to the beac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obi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7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ireless earphone module 720 for outputting the requestor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located floor (F) as voice information among the floors (F) of the. That is, the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700 is worn by rescue workers.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800)은 들것(S)에 눕혀지는 요구조자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들것(S)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서(810) 및 이러한 무게감지센서(810)와 결합되어 무게감지센서(810)의 감지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8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800)은 무게감지센서(810)의 감지 신호에 들것(S)의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무선 전송하게 된다.Rescue equipment usage status notification module 800 is a weight sensor 810 installed on the stretcher (S) to detect the weight of a person lying on the stretcher (S), and this weight sensor 810 is combined with the weight sens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20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of 810 to an external reception target. At this time, the rescue equipment usage status notification module 800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retcher (S) i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eight detection sensor 810 and transmits it wirelessly.

화재 현장 단말기(900)는 요구조자 측위부(100) 및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200)를 통해 획득되는 요구조자의 위치 및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들 중 비콘 제어부(600)를 통해 활성화된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에서 수신하도록 사전 설정된 발신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또한, 화재 현장 단말기(900)는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800)을 통해 수신되는 들것(S)의 사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발신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e site terminal 900 receives in real time data on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person in question, which is obtained through the requester positioning unit 100 and the requester status information obtaining unit 200, while receiving the beacon control unit among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s 400. Transmits periodically according to a preset transmission period to be received by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activated through 600 . In addition, the fire site terminal 900 periodically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use or absence of the stretcher S received through the rescue equipment usage status notification module 800 to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according to the sending cycle. perform the function

그리고 화재 현장 단말기(900)는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의 식별정보 및 들것(S)의 식별정보가 사전에 등록되고, 화재현장에 현재 투입된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 및 들것(S) 간의 매칭 정보가 저장되며,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800)을 통해 현재 미사용 중인 것으로 확인되는 들것(S)을 대상으로 그와 매칭된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에 구조장비가 필요한 다른 요구조자의 위치정보를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을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한다.And in the fire site terminal 9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7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retcher (S) are registered in advance, and the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700 and the stretcher (S) currently put into the fire scene are registered in advance. The matching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location of other rescuers who need rescue equipment in the rescuer wearable terminal 700 matched with the stretcher (S) that is currently confirmed to be unused through the rescue equipment usage status notification module 800 Information is periodically transmitted through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3층 이상의 복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한 층 및 그 위쪽에 위치한 층들에 설치된 고정식의 비콘 통신모듈이 자동 작동되면서 각 층별로 해당 층에 진입하는 구조대원들에게 해당 구조대원의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이동식 비콘 통신모듈을 매개로 해당 층의 요구조자 위치 및 움직임 관련 상태 정보를 음성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반복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이렇게 제공되는 음성정보가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속적으로 업데이트 된 정보로써 제공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multi-story building with three or more floors,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he floors located above it is automatically operated, and the Through the use of the wearable terminal of the rescuer and its mobi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the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and movement of the person on the floor can be repeatedly provided in real time through voice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voice information provided in this way is continuously provided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to be provided as updated information.

또한, 상술한 복층 건물의 화재가 발생한 층으로 진입한 들것들의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가 각 구조대원들의 웨어러블 단말기를 통해 음성정보로써 제공되게 되므로, 구조대원들은 서로 다른 층 내지 동일한 층 내의 들것 사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로 공유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들것을 분배 및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information on the usage status of the stretchers that entered the floor where the fire of the above-described multi-story building occurred is provided as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wearable terminal of each rescuer, rescuers can use stretchers on different floors or on the same floor.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and use the stretcher more efficiently while sharing it with each other in real time.

그리고 본 실시 예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의 구상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 1에 따른 실시 예의 작용을 기본 작용으로 발휘하며, 이에 더하여 상술한 작용들을 추가로 더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And since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concept of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it is,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 is exhibited as a basic operation, and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are further exhibited.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descrip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No,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written,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the modifications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described below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11 : 자이로센서
12 : 가속도센서 13 : 관성센서
14 : 관성신호 송출 애플리케이션 100 : 요구조자 측위부
200 :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 300 : 구조용 투입정보 산출부
310 : 구조조건 분석엔진 400 : 고정 비콘 통신모듈
500 : 화재 감지 모듈 600 : 비콘 제어부
700 :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 710 : 이동 비콘 통신모듈
720 : 무선이어폰 모듈 800 :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
810 : 무게감지센서 820 : 무선통신모듈
900 : 화재 현장 단말기 1000 : 통합관리서버
S : 들것 B : 복층 건물
F : 층
10: smart mobile device 11: gyro sensor
12: acceleration sensor 13: inertial sensor
14: inertial signal transmission application 100: requestor positioning unit
200: requestor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0: rescue input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310: structural condition analysis engine 400: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500: fire detection module 600: beacon control unit
700: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710: mobi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720: wireless earphone module 800: rescue equipment usage status notification module
810: weight sensor 82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0: fire site terminal 1000: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S : Stretcher B : Multi-story building
F: floor

Claims (2)

화재현장의 요구조자 수효 및 개별 위치를 해당 요구조자들이 휴대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무선통신 전파를 통해 획득하되,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GPS정보를 통해 해당 요구조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요구조자 측위부(100);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자이로센서(11), 가속도센서(12) 및 기타 관성 센서(13)의 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외부 전송하도록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탑재되는 관성신호 송출 애플리케이션(14)에 의해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별 해당 요구조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해당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획득하는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200);
화재현장의 요구조자 움직임을 기반으로 구조 대원의 투입 인원수 및 구조 장비의 투입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구조조건 분석엔진(310)이 탑재되고, 상기 요구조자 측위부(100)에서 획득되는 요구조자 수효 및 개별 위치 그리고 상기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요구조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구조조건 분석엔진(310)에서 구조 대원의 투입 인원수 및 구조 장비의 투입 개수를 산출하되, 상기 구조조건 분석엔진(310)은 화재현장의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들 중 상기 요구조자 측위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에 변화가 있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대상으로 각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및 그 요구조자에 한 명의 구조 대원을 할당하고, 화재현장의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들 중 상기 요구조자 측위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가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대상으로 각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및 그 요구조자에 두 명의 구조 대원 및 하나의 들것(S)을 할당하며, 사전 설정된 기준면적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요구조자 측위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에 변화가 있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들 및 그 요구조자들을 대상으로 한 명 이상의 구조 대원을 할당하는 방식에 따라 구조 대원의 투입 인원수 및 구조 장비의 투입 개수를 산출하는 구조용 투입정보 산출부(300);
화재현장이 3층 이상의 복층 건물(B, 이하 ‘복층 건물’이라 함)일 때 상기 복층 건물(B)의 각 층(F)에 복수로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휴면 모드로 작동하고 외부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
상기 복층 건물(B)의 각 층(F)에 설치되며, 화재를 감지 시 화재 감지 신호에 해당 복층 건물(B)의 식별정보 및 설치된 층(F)에 대한 식별정보를 각각 포함시켜 원거리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화재 감지 모듈(500);
상기 복층 건물(B)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들 중 해당되는 일부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을 활성화시키는 비콘 제어부(600);
상기 화재 감지 모듈(500)의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로부터 해당 복층 건물(B)의 식별정보 및 해당 화재 감지 모듈(500)이 설치된 층(F)에 대한 식별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층(F)에 대한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층(F) 및 그 위쪽에 위치한 층(F)들의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들이 활성화되게 하는 비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콘 제어부(600)에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1000);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비콘 통신모듈(710) 및 상기 이동 비콘 통신모듈(710)을 통해 수신된 비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층 건물(B)의 층(F)들 중 현재 위치한 층(F)의 요구조자 정보를 음성정보로써 출력하는 무선이어폰 모듈(720)을 포함하며, 구조 대원이 착용하는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
상기 들것(S)에 눕혀지는 요구조자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상기 들것(S)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서(810) 및 상기 무게감지센서(810)와 결합되어 무게감지센서(810)의 감지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820)을 포함하며, 상기 무게감지센서(810)의 감지 신호에 상기 들것(S)의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무선 전송하는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800); 및
상기 요구조자 측위부(100) 및 요구조자 상태정보 획득부(200)를 통해 획득되는 요구조자의 위치 및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들 중 상기 비콘 제어부(600)를 통해 활성화된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에서 수신하도록 사전 설정된 발신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800)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들것(S)의 사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발신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에 전송하는 화재 현장 단말기(900)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 현장 단말기(900)는 상기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의 식별정보 및 상기 들것(S)의 식별정보가 사전에 등록되고, 화재현장에 현재 투입된 상기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 및 들것(S) 간의 매칭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구조장비 사용현황 통보모듈(800)을 통해 현재 미사용 중인 것으로 확인되는 상기 들것(S)을 대상으로 그와 매칭된 상기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에 구조장비가 필요한 다른 요구조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을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3층 이상의 복층 건물(B)에서 화재 발생시, 상기 복층 건물(B)의 화재가 발생한 층(F) 및 그 위쪽에 위치한 층(F)들에 설치된 상기 고정 비콘 통신모듈(400)이 자동 작동되면서 각 층(F)별로 해당 층(F)에 진입하는 구조대원들에게 해당 구조대원의 상기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 및 그 이동 비콘 통신모듈(710)을 매개로 해당 층(F)의 요구조자 위치 및 움직임 관련 상태 정보를 음성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반복 제공하는 동시에 제공되는 음성정보가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속적으로 업데이트 된 정보로써 제공되고, 상기 복층 건물(B)의 화재가 발생한 층(F)으로 진입한 들것(S)들의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가 각 구조대원들의 상기 구조대원 웨어러블 단말기(700)를 통해 음성정보로써 제공되어 구조대원들은 서로 다른 층(F) 내지 동일한 층(F) 내의 들것(S) 사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로 공유하면서 들것(S)을 분배 및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
A requestor who obtains the number and individual location of the person requesting the fire sit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radio wave of the smart mobile device 10 carried by the requester, and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requesting through the GPS information of the smart mobile device 10 positioning unit 100;
An inertial signal transmission application mounted on the smart mobile device 10 to externally transmit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gyro sensor 11, the acceleration sensor 12 and other inertial sensors 13 of the smart mobile device 10 in real time ( 14), the requestor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0 for acquiring the movement data of the corresponding requestor for each smart mobile device 10 from the corresponding smart mobile device 10;
A rescue condition analysis engine 310 is mounted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rescuers and rescue equipment based on the movement of rescuers at the scene of the fire, and the number and individual positions of rescuers obtained from the rescuers positioning unit 100, and The rescue condition analysis engine 310 calculates the number of rescuers and rescue equipment input on the basis of the rescue worker's movement data obtained from the rescue worker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but the rescue condition analysis engine 310 generates a fire. Among the smart mobile devices 10 in the field, for each smart mobile device 10 and the requestor for the smart mobile device 10 with a change i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questor positioning unit 100, one person Allocating rescuers and targeting the smart mobile devices 10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scuer positioning unit 100 among the smart mobile devices 10 of the fire scene does not change for a preset time, each smart Allocating two rescuers and one stretcher S to the mobile device 10 and its rescuer, while being located within a preset reference area,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scuer positioning unit 100 has a change in the smart a rescue input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300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cuers and rescue equipment input according to a method of allocating one or more rescue workers to the mobile devices 10 and the rescuers;
When the fire site is a three-story or more multi-story building (B,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uble-story building'), a plurality of installations are made on each floor (F) of the multi-story building (B). a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activated according to a signal;
It is installed on each floor (F) of the multi-story building (B), and when a fire is detect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story building (B)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installed floor (F) are included in the fire detection signal, respectively, to receive remote reception Fire detection module 500 for transmitting to the target;
a beacon control unit 600 installed in the multi-story building (B) and configured to activate some of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s 400 corresponding to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s 400 according to a beac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When the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module 500 is receiv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story building (B)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F) on which the fire detection module 500 is installed is detected from the received fire detection signal. The beacon control unit generates a beacon control signal that activates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s 400 of the corresponding layer F and the layers F located above it according to the det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layer F.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0 for transmitting to (600);
The floors (F) of the multi-story building (B) according to the beac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obi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710 and the mobi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710 for receiving a beacon signal from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Rescuer wearable terminal 700 that includes a wireless earphone module 720 that outputs the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need of the currently located floor (F) as voice information, and is worn by rescuers;
The weight sensor 810 and the weight sensor 810 installed on the stretcher S to detect the weight of the person lying on the stretcher S are coupled to the weight sensor 810 to transmit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eight sensor 810 to the outside. Rescue equipment usage status notification module 800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20 for transmitting to the receiving target of the weight detection sensor 810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retcher S i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eight detection sensor 810 ; and
The beacon control unit 600 among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s 400 while receiving data on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requester obtained through the requestor positioning unit 100 and the requestor status information obtaining unit 200 in real time Transmits periodically according to a preset transmission cycle to receive from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activated through the and a fire site terminal 900 that periodically transmits to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according to the sending cycle,
In the fire site terminal 9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7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retcher (S) are registered in advance, and the rescue worker wearable terminal 700 and the stretcher (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S) is stored, and rescue equipment is stored in the rescuer wearable terminal 700 matched with the stretcher S, which is confirmed to be currently unused through the rescue equipment usage status notification module 800 . Periodical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other requestors who need it through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When a fire occurs in a multi-story building (B) with three or more stories, the fixed beacon communication module 400 installed on the floor (F) on which the fire occurred and the floors (F) located above the multi-story building (B) is automatically operated while To the rescue workers entering the corresponding floor (F) for each floor (F), the rescue worker's wearable terminal 700 and the mobi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710 of the rescue worker are given the location of the rescuer on the corresponding floor (F) via the mobi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710 And motion-related state information is repeatedly provided in real time through voice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provided voice information is provided as continuously upd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Information on the usage status of the entered stretchers (S) is provided as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rescuer wearable terminal 700 of each rescuer, so that rescuers can use the stretchers in different floors (F) to the same floor (F) ( S) Rescuer input number calculation system for lifesaving at a fire si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and use the stretcher (S) while sharing usa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real time.
삭제delete
KR1020210110804A 2021-08-23 2021-08-23 Rescuer input personnel calculation system for the scene of a fire KR1023985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804A KR102398564B1 (en) 2021-08-23 2021-08-23 Rescuer input personnel calculation system for the scene of a f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804A KR102398564B1 (en) 2021-08-23 2021-08-23 Rescuer input personnel calculation system for the scene of a f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564B1 true KR102398564B1 (en) 2022-06-08

Family

ID=8198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804A KR102398564B1 (en) 2021-08-23 2021-08-23 Rescuer input personnel calculation system for the scene of a f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56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623A (en) * 2013-01-16 2014-07-24 (주)링커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rescue using the space web
KR20140124462A (en) 2013-04-17 2014-10-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Fire Evacuees'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 System therefor
KR20150136917A (en) * 2014-05-28 2015-12-08 김명규 Disaster rescue system using Disaster rescue robot
KR101602469B1 (en) * 2015-07-21 2016-03-21 김춘오 Emergency rescue system using mobil
KR102094609B1 (en) 2018-08-10 2020-03-27 김예림 System and method for rescue of victims due to fire
KR20210085323A (en) 2019-12-30 2021-07-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evacuation route to persons to be rescued in disastrous si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623A (en) * 2013-01-16 2014-07-24 (주)링커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rescue using the space web
KR20140124462A (en) 2013-04-17 2014-10-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Fire Evacuees'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 System therefor
KR20150136917A (en) * 2014-05-28 2015-12-08 김명규 Disaster rescue system using Disaster rescue robot
KR101602469B1 (en) * 2015-07-21 2016-03-21 김춘오 Emergency rescue system using mobil
KR102094609B1 (en) 2018-08-10 2020-03-27 김예림 System and method for rescue of victims due to fire
KR20210085323A (en) 2019-12-30 2021-07-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evacuation route to persons to be rescued in disastrous si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9786B1 (en) Automated sensing of firefighter teams
US7327252B2 (en) Emergency rescuer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20080068267A1 (en) Cost effectiv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or location sensing
RU2472226C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location of individuals
CA3050639C (en) Tracking and accountability device and system
US10028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emergency exit
US20200334784A1 (en)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KR102043460B1 (en) A Safety Management and Live Ember Detection System for Forest Disaster Extinguishing Crew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101513896B1 (en)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sensing emergency situation and system for managing thereof
KR102398564B1 (en) Rescuer input personnel calculation system for the scene of a fire
KR20030017597A (en) Firema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102410646B1 (en) Smart Name Tag Systewm Attached on Firefighter's Oxygen Tank
JP2008015659A (en) Situation detection terminal and situation reporting system using the same
TWI494901B (en) Intelligent disaster prevention and guiding device and rescue system
US20170110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fighters imminent warning
KR10209460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cue of victims due to fire
TW201633264A (en) Wearable firefighting reminding equipment and escape reminding system
US11388544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assisted mustering
WO2023205337A1 (en) System for real time simultaneous user localization and structure mapping
KR20220050264A (en) Device and system for emergency call service
Tayeh et al. A Personal LPWAN Remote Monitoring System
KR20230123759A (en) Augmented reality-based indoor disaster monitoring system
KR20230150233A (en) Firefighter tracking device and system for tracking firefighters in need of rescue including the same
TWM505942U (en) Wearable fire-fighting reminding apparatus and escape reminding system
KR20230059660A (en) Fire solution using beac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