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175B1 -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Apparatu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 Google Patents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Apparatu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175B1
KR102398175B1 KR1020170126039A KR20170126039A KR102398175B1 KR 102398175 B1 KR102398175 B1 KR 102398175B1 KR 1020170126039 A KR1020170126039 A KR 1020170126039A KR 20170126039 A KR20170126039 A KR 20170126039A KR 102398175 B1 KR102398175 B1 KR 102398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ster
communication module
line communication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6753A (en
Inventor
전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넷
Priority to KR102017012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175B1/en
Publication of KR2019003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7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1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6Circuits for coupling, blocking, or by-passing o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33Remote me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66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three phases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전기선로의 위상을 식별함으로써 각 상 별로 설치된 수용가 정보를 구분하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분배 및 측정관리할 뿐만 아니라,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를 통해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전력량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lin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nd more specifically, by identifying the phase of each electric line, it distinguishes information about customers installed for each phase and efficiently distributes and measures and manages power, 3 Phase identification of electric lines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that enables more efficient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by displaying the phases for each group (R, S, T) in real time through the 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and enabling remote real-time monitoring It's about the device.

Description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Apparatu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Apparatu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전기선로의 위상을 식별함으로써 각 상 별로 설치된 수용가 정보를 구분하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분배 및 측정관리할 뿐만 아니라,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를 통해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전력량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lin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nd more specifically, by identifying the phase of each electric line, it distinguishes information about customers installed for each phase and efficiently distributes and measures and manages power, 3 Phase identification of electric lines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that enables more efficient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by displaying the phases for each group (R, S, T) in real time through the 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and enabling remote real-time monitoring It's about the device.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발전과 송전 및 배전과 판매의 단계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단방향 전력망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수요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가리킨다. 발전소와 송전/배전 시설과 전력 수요자를 정보통신망으로 연결하고 양방향으로 공유하는 정보를 통하여 전력시스템 전체가 한몸처럼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기본 개념이다.Smart grid is an 'intelligent power grid that optimizes energy efficiency by exchanging real-time information between power suppliers and consumers in both directions by combining IT technology with the existing one-way power grid, which consisted of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and sales. ' refers to The basic concept is to connect power plants, power transmission/distribution facilities, and power consumers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and to operate the entire power system efficiently as one body through information shared in both directions.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 인프라에 지능형 능력이 추가되어 전력의 생산에서부터 소비까지의 전 과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능률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전력 인프라에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기술들의 적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전력 그리드에 통신 기술을 접목시킴으로써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전력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양방향 전력정보 교환을 통하여 합리적 에너지 소비를 유도하고, 고품질의 에너지 및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하여 에너지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으로 각광 받고 있다.Smart grid is a technology that is actively applying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ies to power infrastructure in order to more efficiently and efficiently manage and control the entire process from generation to consumption by adding intelligent capabilities to the power infrastructure. In particular, by grafting communication technology to the power grid, suppliers and consumers can exchange real-time power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so it induces rational energy consumption through bidirectional power information exchange and provides high-quality energy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for energy efficiency It is in the spotlight as a next-generation power grid that optimizes

자동원격검침(AMR: Automatic Meter Reading)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집중장치(DCU: Data CollectingUnit)(100a, 100b,...100n)는 전기전송을 위한 전주, 특히 변압기가 위치하고 있는 변대주 상에 설치되고 있다. The concentrator (DCU: Data Collecting Unit) (100a, 100b,...100n) installed for Automatic Meter Reading (AMR) is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for electric transmission, especially on the substation where the transformer is located. is becoming

한국 특허공개 제10-2014-0087827(2014년07월09일)호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도 1을 참조하면서, 위 공개된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간략히 설명한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4-0087827 (July 09, 2014)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a concentrator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Referring to FIG. 1 ,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isclosed technology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1은 공개된 기술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a concentrator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도 1에 있어서, 공지된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전력과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선을 포함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10)과 상기 전력선의 중단에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분산되어 복수개가 설치되어 수용가의 자동 원격 검침(AMR) 데이터를 수집하고 일정범위 이내에 위치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이 구비된 집중장치(DCU)(100) 및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10)과 연결되어 복수개의 집중장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 간의 통신 거리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공간정보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Fig. 1, the known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is installed in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10 including a power line for transmitting power and communication signals, and the power line, and is distribut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them are installed so that the customer's automatic It collects remote meter reading (AMR) data and is connected to a concentrator (DCU) 100 and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10 equipped with a wireless mod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a plurality of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the concentrator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device (300).

그러나, 상술한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집중장치(DCU)(100)를 채용하고 있어 중앙 서버의 제어에 의해 하위 수용가의 전력량계를 관리하는 구성을 갖추고는 있지만 각 상(R,S,T)(Phase)으로 구분되는 수용가의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 및 분석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However,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described above employs the concentrator (DCU) 100 and has a configuration to manage the watt-hour meter of lower consumers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server, but each phase (R, S, T) (Phase ),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formation of the consumers classified by the

도 2 내지 도 6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식별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2 to 6 are explanatory view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lectric lin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generally used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도 2 내지 6을 참조하면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식별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lectric lin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그리드의 기반이 되는 지능형 원격검침 시스템(AMI)장치에 있어서는, 전력량계와 변압기의 데이터를 PLC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원격 서버(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원격 서버(1)의 명령에 의해 하위 전력량계를 관리하고 있다. 이때, 데이터 집중장치(20)를 이용하여 각 상(R,S,T)별로 구분된 수용가 그룹의 전력량을 수집하고 측정하였다. Referring to FIG. 2 , in the intelligent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MI) device, which is the basis of a generally used smart grid, the data of the watt-hour meter and the transformer are collected using the PLC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it to the remote server 1 indicates performing At this time, the subordinate power meter is managed by the command of the remote server 1 . At this time, using the data concentrator 20, the amount of electricity of the group of consumers divided by each phase (R, S, T) was collected and measured.

이때,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대부분의 전기선로는 단상 및 3상 4선식(R,S,T,N)으로 구분된다. 이 중 3상(위상)일 경우 각 상 별로 부하(load)를 분배하여 수용가에 설치하게 되는데 현장 전력선 망 구분이 어려워 실제로는 고루 분포하기 어렵고, 망별 사용 전력량 및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구분 및 측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3 , most electric lines are divided into single-phase and three-phase four-wire type (R, S, T, N). Among them, in the case of three phases (phase), the load is distributed for each phase and installed at the customer. there was

또,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자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장치에서는 전력선통신 모듈(PLC Module)을 사용하지만, 3상을 구분하여 연결하는 경우에도 실제 고유의 네트워크 ID(Network ID)는 하나만 존재하는 구성이므로, 칩을 3개 사용하는 경우나 1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돌아오는 결과값은 동일함을 알게 되었다. In addition, while referring to FIGS. 4 to 6 , the present inventor uses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PLC Module) in an electric line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Since there is only one network ID of , it was found that the returned result value is the same even when using 3 chips or 1 chip.

도 6의 (a)는 1개의 칩을 통해 DC신호를 전달받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3개의 칩을 통해 DC신호를 전달받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지만, 어느 경우에나 모두 동일한 결과값을 검출하게 되는 회로를 예시한 것이다. Fig. 6 (a) shows a state in which a DC signal is received through one chip, and (b) shows a state in which a DC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ree chips, but in any case, the result is the same A circuit that detects .

이에 따라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장치에서는 어디에서 보낸 신호인지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Accordingly, in an electric line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a signal from where it is trans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장치는 한 개의 통합된 전력선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위상(phase)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용가별 특성 및 차이를 구분할 수 없게 되어 전기관리와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곤란해진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since the generally used electric line device using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is connected to one integrated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for each consumer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different phases There was a big problem that electricity management a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became difficult because it was not possible to distinguish them.

따라서, 한국전력 등의 전기공급회사에서는 각 전력선 통신모듈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분석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electricity supply companies such as Korea Electric Power cannot precisely measure and analyz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each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또, 본원의 발명가는 전력선통신을 이용하는 상태에서 특정 위상에 연결되는 수용가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고장 발생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없게 되고, 또 검사를 위해 전력선통신 모듈을 전체적으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에 따른 원가가 증가되며, 고장발생시 수리시간이 길어진다는 커다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In addition,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not accurately detect the location of the failur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ustomer connected to a specific phase while using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ust be replaced as a whole for inspection. A major problem was found that the cost of maintenance increases and the repair time becomes longer when a failure occurs.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력선 통신 모듈의 각 위상을 분리 구성함으로써 각 위상별 소비 전력량 및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separate and configure each phase of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thereby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and data for each phase. An electric lin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It is to provide a phase iden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를 통해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수치로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필요시에 입체적으로 수용가의 해당 에너지 부하기기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면서도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에너지 부하기기의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역율, ID, 검침 시간이 자동으로 표시되어 모니터링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전력량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phase for each group (R, S, T) in real time through the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so that it is possible to monitor as a number in real time from a remote location, and three-dimensionally when necessary.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that enables more efficient energy measurement and analysis by automatically displaying and monitoring the active power, reactive power, power factor, ID, and meter reading time of the energy load device measured in three dimensions while showing the corresponding energy load device in three dimensions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공급회사에서 각 전력선 통신모듈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recisel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each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in an electricity suppli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선통신을 이용하는 상태에서 특정 위상에 연결되는 수용가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고장 발생위치를 정확히 검출하고, 유지관리 시간을 단축하며 고장발생시 수리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detect the location of the failur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ustomer connected to a specific phase in the state of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shorten the maintenance time, and dramatically reduce the repair time when a failure occu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shortenabl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는, 수용가에 제공되는 전력량을 측정 및 분석하기 위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에 있어서, 원격 서버(remote server)(1)에서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되는 전력량을 집중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집중장치(DCU; Data Concentrate Unit)(20);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에 집중되는 전력을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으로 구분하여 통제 및 관리하기 위한 허브 스위치(Hub Switch)(30); 상기 허브 스위치에 연결되어 위상 그룹(R,S,T)별로 전력을 구분하여 제어하기 위한 커플러(Coupler)(40); 및 상기 커플러(40)에 연결되어 각 그룹(R,S,T)별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 the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apparatus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provided to the consumer, the remote server (remote server) (1)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 data concentrator (DCU) 20 for intensively collecting the amount of power connected and used; a hub switch 30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power concentrated in the data concentrator by dividing it into phases for each group (R, S, T); a coupler 40 connected to the hub switch to classify and control power for each phase group (R, S, T); and a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80 connected to the coupler 40 to monitor power usage for each group (R, S, T).

여기서, 상기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상에 입체적으로 수용가의 해당 에너지 부하기기기가 디스플레이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displays the corresponding energy load device of the consumer three-dimensionally on the display monitor.

또한, 상기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는 해당 에너지 부하기기의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역율, ID, 검침 시간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되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displays information on the active power amount, reactive power amount, power factor, ID, and meter read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energy load device in real time.

또한, 상기 커플러(Coupler)(40)는,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을 구분하여 전력량을 처리하기 위해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를 구분하여 구비하되, 각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원격 서버(1)의 제어에 의해 분할 및 통합전력을 측정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upler (Coupler) 40,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A (45A), master power line in order to process the amount of power by dividing the phase (phase) for each group (R, S, T) A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B (45B), and a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are provided separately, each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is each independently controlled, the remote server (1) It is preferable to measure the divided and integrated power under the control of

또한,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은, 그 하부에 접속되는 개별 수용가의 사용 전력을 수집하기 위한 복수 개의 슬레이브전력선통신 모듈(Slave PLC Mocule)(71a,72a,73a,...)을 연결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A (45A),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B (45B), and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the lower It is preferable to connect a plurality of slav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s (Slave PLC Mocule) (71a, 72a, 73a, ...) for collecting the power used by the individual consumers to be connected.

또한,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은, 각 상별 네트워크 ID(Network ID)를 상이하게 부여하고, 상호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선로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수집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A (45A),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B (45B), and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each phase network It is desirable to assign different IDs (Network IDs) and collect data by classifying communication line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또한,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은, 각 선로 상에 연결된 상기 슬레이브전력선통신 모듈(Slave PLC Mocule)(71a,72a,73a,...)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후 고유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이후에 연결하여 개별 수용가와 통신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A (45A),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B (45B), and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on each line After sequentially connecting the slave PLC Mocule (71a, 72a, 73a,...) connected to the It is preferable to connect later to communicate with individual consum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선 통신 모듈의 각 위상을 분리 구성함으로써 각 위상별 소비 전력량 및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ely configuring each phase of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the effect of providing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and data for each phase is realized.

또한,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를 통해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수치로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필요시에 입체적으로 수용가의 해당 에너지 부하기기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면서도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에너지 부하기기의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역율, ID, 검침 시간이 자동으로 표시되어 모니터링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전력량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phase of each group (R, S, T) is displayed in real time through the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enabling remote, real-time numerical monitoring, and three-dimensionally when necessary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more efficient wattage measurement and analysis by automatically displaying and monitoring the real-time active wattage, reactive wattage, power factor, ID and meter reading time of the energy load device, which is measured in three dimensions.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전기공급회사에서 각 사용가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ffect of providing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recisel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consumed by each user in the electric supply compan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전력선통신을 이용하는 상태에서 특정 위상에 연결되는 수용가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고장 발생위치를 정확히 검출하고, 유지관리 시간을 단축하며 고장발생시 수리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를 제공하는 획기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a customer connected to a specific phase in the state of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the location of the failure is accurately detected, the maintenance time is shortened, and the repair time when a failure occurs is dramatically reduced.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pochal effect of providing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be shortened to

도 1은 공개된 기술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식별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의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를 통한 뷰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에 있어 시분할 또는 주파수분할 처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그래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하고 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세부구성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에 있어서, 각 위상 별 전력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a concentrator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2 to 6 are explanatory view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lectric lin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generally used.
7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n exemplary view of a viewer through a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of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graph for explaining a state of time division or frequency division processing in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are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s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explain its operation;
11 to 15 are circuit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measuring power for each phase in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briefly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in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technical spirit or main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mprises", "have"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describe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는 수용가에 제공되는 전력량을 측정 및 분석하기 위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로서, 원격 서버(remote server)(1)에서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되는 전력량을 집중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집중장치(DCU; Data Concentrate Unit)(20);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에 집중되는 전력을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으로 구분하여 통제 및 관리하기 위한 허브 스위치(Hub Switch)(30); 상기 허브 스위치에 연결되어 위상 그룹(R,S,T)별로 전력을 구분하여 제어하기 위한 커플러(Coupler)(40); 및 상기 커플러(40)에 연결되어 각 그룹(R,S,T)별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기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amount of power provided to consumers, and a remote server (1) to a communication network (10) ) connected through a data concentrator (DCU; Data Concentrate Unit) 20 for concentrating the amount of power used; a hub switch 30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power concentrated in the data concentrator by dividing it into phases for each group (R, S, T); a coupler 40 connected to the hub switch to classify and control power for each phase group (R, S, T); and a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80 connected to the coupler 40 to monitor the power usage for each group (R, S, T).

또한, 상기 커플러(Coupler)(40)는,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을 구분하여 전력량을 처리하기 위해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를 구분하여 구비하되, 각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원격 서버(1)의 제어에 의해 분할 및 통합전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upler (Coupler) 40,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A (45A), master power line in order to process the amount of power by dividing the phase (phase) for each group (R, S, T) A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B (45B), and a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are provided separately, each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is each independently controlled, the remote server (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ivision and integrated power can be measured under the control of

상기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80)는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수치로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The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80 displays the phases for each group (R, S, T) in real time, so that it is possible to monitor as a numerical value in real time from a remote location.

또한, 상기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80)는 통합 입체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원격의 디스플레이 모니터 상에 입체적으로 수용가의 해당 에너지 부하기기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면서도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에너지 부하기기의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역율, ID, 검침 시간이 자동으로 표시되어 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80 is capable of integrated three-dimensional monitoring, so that the effective power amount of the energy load device measured in real time, invalid Power amount, power factor, ID and meter reading time can be displayed automatically.

또한, 상기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80)를 통해 해당 에너지 부하기기의 소비 전력이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나타나고, 또한 해당 에너지 부하기기의 가동 시간과 일간 및 월간 전력 소비량의 수치로서 제공되어 질 수 있다.(도 7b 참조)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rresponding energy load device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bar graph through the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80, and it can also be provided as a numerical value of the operating time and daily and monthly power consumption of the corresponding energy load device. There is (see Fig. 7b).

더욱이 상기 전력 소비량은 해당 에너지 부하기기의 일간, 월간, 및 연간 소비량뿐만 아니라, 전체 에너지 부하기기의 에너지 소비량을 포함한 분석 정보를 보존하여 일, 월, 년 단위로 정기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최적 운전을 위한 운영 정보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도 7b 참조)Moreover, the power consumption is determined for optimal operation by preserving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not only the daily, monthly, and annual consumption of the corresponding energy-loaded device, but also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entire energy-loaded device and regularly providing it on a daily, monthly, and yearly basis. Make it usable as operational information (see Fig. 7b).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6 .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에 있어 시분할 또는 주파수분할 처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그래프를 각각 도시한다. First,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example graphs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ime division or frequency division processing in the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module is show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에서 사용되는 통신망(10)은 유선 또는 무선의 다양한 통신수단을 통해 구현되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망을 기반으로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해서 확장된 개념의 2.5세대 이동통신 표준으로써, 무선 인터넷과 영상통신의 서비스가 추가된 개념이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0 used in the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wired or wireless, and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is GSM (Global System for As a 2.5G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with an extended concept to transmit data traffic ba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t is a concept in which wireless Internet and video communication services are added.

*또, PON (Passive Optical Network, 수동 광가입자망)은 광 수동소자에 의한 가입자구간용 광 통신망 (즉, 광 가입자망)으로 별도의 전원공급이 불필요한 광수동소자 만으로 구성된다. *In addition, PON (Passive Optical Network) is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for subscriber section (ie, optical subscriber network) by optical passive devices, and consists only of optical passive devices that do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supp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은, 그 하부에 접속되는 개별 수용가의 사용 전력을 수집하기 위한 복수 개의 슬레이브전력선통신 모듈(Slave PLC Mocule)(71a,72a,73a,...)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A (45A),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B (45B), and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lav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s (Slave PLC Mocule) (71a, 72a, 73a, ...) for collecting power used by individual consumer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또한,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은, 각 상별 네트워크 ID(Network ID)를 상이하게 부여하고, 상호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선로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A (45A),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B (45B), and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each phase networ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IDs (Network IDs) are assigned and data are collected by classifying communication line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또,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은, 각 선로 상에 연결된 상기 슬레이브전력선통신 모듈(Slave PLC Mocule)(71a,72a,73a,...)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후 고유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이후에 연결하여 개별 수용가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A (45A),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B (45B), and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on each line After sequentially connecting the slave PLC Mocule (71a, 72a, 73a,...) connected to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afterward to communicate with individual consumers.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하고 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세부구성도이고,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에 있어서, 각 위상 별 전력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를 각각 도시한다. 9 to 10 are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s illustrat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explain its operation, and FIGS. 11 to 15 are In the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measuring power for each phase, and FIG. 16 is a power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each of the explanatory drawings for briefly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show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방법은,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방법으로서, 원격 서버(remote server)에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되는 전력량을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집중장치(DCU; Data Concentrate Unit)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에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으로 구분하여 통제 및 관리하기 위한 허브 스위치(Hub Switch)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허브 스위치(Hub Switch)는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을 구분하여 전력량을 처리하기 위해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구분된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은 해당 라인에 연결되는 수용가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슬레이브전력선통신 모듈(Slave PLC Mocule)을 복수개 설치하는 과정;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Next, the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by being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a remote server A hub switch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by dividing the data concentrator (DCU) into phases for each group (R, S, T) in the data concentrator ) and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hub switch is a master PLC module A (45A), a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in order to process the amount of power by dividing the phase for each group (R, S, T) PLC Module) B (45B), and the process of separately installing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The divided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이때,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은, 각 상별 네트워크 ID(Network ID)를 상이하게 부여하고, 상호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선로를 분할하여 데이터를 수집 및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A (45A),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B (45B), and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each phase networ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IDs (Network IDs) are assigned, and data are collected and measured by dividing communication line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더욱이, 상기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80)를 통해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수치로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필요시에 입체적으로 수용가의 해당 에너지 부하기기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면서도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에너지 부하기기의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역율, ID, 검침 시간이 자동으로 표시되어 제공되어 보다 효율적인 전력량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해진다. Furthermore, by displaying the phase for each group (R, S, T) in real time through the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80, it is possible to monitor it remotely in real time as a numerical value, and when necessary, three-dimensional acceptance is possible. While showing the corresponding energy load device of the energy load device in three dimensions, the real-time amount of active power, reactive power amount, power factor, ID, and meter reading time of the energy load device measured in real time are automatically displayed and provided, enabling more efficient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1: 원격 서버(remote server)
10: 통신망
20: 데이터 집중장치(DCU; Data Concentrate Unit)
30: 허브 스위치(Hub Switch)
40: 커플러(Coupler), 전력선 통신부
50: 데이터 처리부
70: 수용가 그룹
80: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
1: remote server
10: network
20: Data Concentrate Unit (DCU)
30: Hub Switch
40: coupler,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50: data processing unit
70: audience group
80: 3-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Claims (7)

수용가에 제공되는 전력량을 측정 및 분석하기 위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에 있어서,
원격 서버(remote server)(1)에서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되는 전력량을 집중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집중장치(DCU; Data Concentrate Unit)(20);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에 집중되는 전력을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으로 구분하여 통제 및 관리하기 위한 허브 스위치(Hub Switch)(30);
상기 허브 스위치에 연결되어 위상 그룹(R,S,T)별로 전력을 구분하여 제어하기 위한 커플러(Coupler)(40); 및
상기 커플러(40)에 연결되어 각 그룹(R,S,T)별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80)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Coupler)(40)는,
각 그룹(R,S,T)별 위상(phase)을 구분하여 전력량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원격 서버(1)의 제어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분할 및 통합전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를 구분하여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은, 각 상별 네트워크 ID(Network ID)를 상이하게 부여하고, 상호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선로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
In the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amount of power provided to consumers,
a data concentrate unit (DCU) 20 for intensively collecting the amount of power used by being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n a remote server 1;
a hub switch 30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power concentrated in the data concentrator by dividing it into phases for each group (R, S, T);
a coupler 40 connected to the hub switch to classify and control power for each phase group (R, S, T); and
It is connected to the coupler 40 and includes a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80 for monitoring the power usage for each group (R, S, T),
The coupler (Coupler) 40,
A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separately control each group (R, S, T) by the control of the remote server 1 to measure the divided and integrated power in order to process the amount of power by dividing the phase (R, S, T) Master PLC Module A(45A), Master PLC Module B(45B) and Master PLC Module C(45C) are separately provided,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A (45A),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B (45B) and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each phase network ID (Network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that assigns different IDs and collects data by classifying communication line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상에 입체적으로 수용가의 해당 에너지 부하기기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is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ergy load device of the consumer is displayed three-dimensionally on the display moni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상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부는 해당 에너지 부하기기의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역율, ID, 검침 시간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hree-phase power usage monitoring unit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n the active power amount, reactive power amount, power factor, ID, and meter read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energy load device is displayed in real tim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은, 그 하부에 접속되는 개별 수용가의 사용 전력을 수집하기 위한 복수 개의 슬레이브전력선통신 모듈(Slave PLC Mocule)(71a,72a,73a,...)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A (45A),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B (45B), and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is connected to the lower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lav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s (Slave PLC Mocule) (71a, 72a, 73a, ...) for collecting power used by individual consumers.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A(45A),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B(45B), 및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Master PLC Module) C(45C)은, 각 선로 상에 연결된 상기 슬레이브전력선통신 모듈(Slave PLC Mocule)(71a,72a,73a,...)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후 고유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상기 마스터전력선통신 모듈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이후에 연결하여 개별 수용가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A (45A),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B (45B), and the maste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ster PLC Module) C (45C) are connected on each line After sequentially connecting the slave powerline communication modules (Slave PLC Mocule) 71a, 72a, 73a,... A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nects and communicates with individual consumers.
KR1020170126039A 2017-09-28 2017-09-28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Apparatu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KR1023981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039A KR102398175B1 (en) 2017-09-28 2017-09-28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Apparatu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039A KR102398175B1 (en) 2017-09-28 2017-09-28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Apparatu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753A KR20190036753A (en) 2019-04-05
KR102398175B1 true KR102398175B1 (en) 2022-05-17

Family

ID=6610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039A KR102398175B1 (en) 2017-09-28 2017-09-28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Apparatu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1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2185A (en) * 2019-08-20 2019-12-13 武汉群岚电子有限责任公司 intelligent household energy real-tim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HPLC technolog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284B1 (en) * 2009-01-09 2009-08-06 대승기전(주) The wattmeter upon phases
KR101104319B1 (en) * 2011-01-04 2012-01-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Data collecting unit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the phase of wires in watt hour me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34B1 (en) * 2013-03-15 2015-03-03 (주)로엔케이 Method for upgrading firmware of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KR101588090B1 (en) * 2013-12-11 2016-01-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eter reading having a dual communica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284B1 (en) * 2009-01-09 2009-08-06 대승기전(주) The wattmeter upon phases
KR101104319B1 (en) * 2011-01-04 2012-01-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Data collecting unit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the phase of wires in watt hour 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753A (en)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ngor et al. A survey on smart grid potential applications and communication requirements
US8290635B2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network by detecting electrical signatures of appliances
CA28894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faults and control in an electrical power grid
US10585125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transmission over a communication media using modular connectors
US20230051528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utility submetering
Naamane et al. Towards a smart grid communication
KR100635700B1 (en) System for integration of the internet and amr by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US20170292999A1 (en) Transformer monitoring and data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CN106655483A (en) Support interactive power use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CN202794361U (en) District automatic identification tester
Rengaraju et al. Communication networks and non-technical energy loss control system for smart grid networks
US91295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data from automatic meter reading for smart power grid
KR102398175B1 (e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Apparatu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CN203435002U (en) Novel practical low-voltage transformer area switch instrument
CN102956096A (e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 and wireless ad hoc network technology-based electricity consump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Khazaee et al. Distribution loss minimization: A case study in a commercial section in Mashhad
KR101835858B1 (en) Electric Line Phase Identification Apparatu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CN105141039A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omputer metering control system
CN209265679U (en) Communication converter for resident's electric energy centralized meter-reading system
KR20120114625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networks
CN104122482A (en) System and method of line recognition adopting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Donuk et al. Metering and data processing in a micro-scale area for smart grid applications
CN110994787A (en) Low-voltage distribution network automation equipment and system
CN209373090U (en) The on-line monitoring system of voltage transformer secondary voltage drop
CN207301202U (en) Low-voltage distribution network circuit health status monitors device on-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