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964B1 - 동적 전송 프로토콜을 갖는 스타일러스 - Google Patents

동적 전송 프로토콜을 갖는 스타일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964B1
KR102397964B1 KR1020177018804A KR20177018804A KR102397964B1 KR 102397964 B1 KR102397964 B1 KR 102397964B1 KR 1020177018804 A KR1020177018804 A KR 1020177018804A KR 20177018804 A KR20177018804 A KR 20177018804A KR 102397964 B1 KR102397964 B1 KR 102397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digitizer sensor
display
outpu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285A (ko
Inventor
아리에 거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9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receiv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ransmitted by the digitiser, e.g. tablet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시스템은 디지타이저 센서와 통합된 디스플레이, 규정된 프로토콜에 기초해 디지타이저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핸드헬드 디바이스, 전력 공급 장치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 출력을 샘플링하고, 디스플레이와 전력 공급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잡음을 특징화하는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잡음 환경을 특징화하며, 잡음 환경에 기초해서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전송 프로토콜을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동적 전송 프로토콜을 갖는 스타일러스{STYLUS WITH A DYNAMIC TRANSMISSION PROTOCOL}
예컨대, 능동 스타일러스와 같은 신호 방출 스타일러스는 디지타이저 시스템과 사용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공지되어 있다. 스타일러스의 위치 검출은 디지타이저 시스템과 연관된 컴퓨팅 디바이스로의 입력을 제공하고 사용자 명령(command)으로서 해석된다. 종종, 디지타이저 시스템은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통합된다. 스크린 위의 스타일러스의 위치는 스크린상에 묘사되는 가상 정보와 상관된다.
스타일러스에 의해 방출된 신호를 추적하는 디지타이저 시스템은 또한 손가락 또는 전도성 물체(object)를 사용해 제공된 입력을 통상적으로 추적한다. 상호(mutual) 용량성 센서는 이러한 디지타이저 시스템을 위한 디지타이저 센서의 한 유형이다. 상호 용량성 센서는 행들과 열들 사이에 형성된 중첩 및/또는 접점 구역(junction area) 주위에 형성된 용량성 연결부를 가지며 행들과 열들로 배열된 병렬의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매트릭스(matrix)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손가락 또는 전도성 물체를 디지타이저 센서의 표면에 근접하게 가져오는 것은, 국부적 정전기장을 변경시키고 그 근처에 있는 접점 구역들 사이의 상호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킨다. 커패시턴스는, 결합된 신호를 검출하도록 다른 축상에 출력을 샘플링하는 동안 매트릭스의 한 축을 따라 신호를 적용함으로써 결정된다. 상호 용량성 검출은, 다수의 손가락들, 손바닥들, 또는 전도성 물체들이 동시에 추적될 수 있는 멀티 터치 동작을 허용한다. 스타일러스 입력은, 스타일러스 신호가 포착되는(picked-up) 매트릭상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센서의 양쪽 축들을 따라 출력을 샘플링함으로써 추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의 개시는, 터치 가능형(touch enabled) 컴퓨팅 디바이스가, 스타일러스 상호작용과 관련된 잡음 환경을 동적으로 평가하고 이 평가에 기초해서 스타일러스의 전송 프로토콜에 대한 갱신(update)을 제안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시스템 및 방법은, 정보를 가능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관련된 잡음 환경을 동적으로 평가하고 이 평가에 기초해서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전송 프로토콜에 대한 갱신을 제안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고 있는 동안 컴퓨팅 디바이스는 측정값을 취하고 보고를 온 더 플라이(on the fly) 수집하며, 신호를 디지타이저 센서에 송신하기 위한 향상된 전송 프로토몰을 동적으로 제안하도록 이 정보를 사용한다. 이 정보는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 샘플링된 출력으로부터 검출된 잡음과, 컴퓨팅 디바이스의 전력 공급 장치와 전자 디스플레이의 현재 활동과 관련된 보고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송 프로토콜의 갱신은 추적되는 스타일러스 팁(tip) 위치 내의 지터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해서 개시된다.
다르게 규정되지 않는 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또는 과학적 용어들은,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비록 본 개시에 설명된 방법 및 재료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실행 또는 테스트에 사용될 수 있지만, 예시적인 방법 및/또는 재료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상충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특허 명세서는 제어될 것이다. 또한, 재료, 방법, 및 예시는 단지 예증적이고 필수적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동반하는 도면들을 참조해서 단지 예시로서만 본 개시에서 설명된다. 이제 상세히 도면을 특별히 참조해서, 도시된 세부사항들은 예시에 의해,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예의 예증적 논의를 위한 것이다. 이 측면에서, 도면과 함께 취해진 설명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어떻게 실행될 수 있는지를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스타일러스 가능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디지타이저 센서와 상호작용하는 스타일러스의 검출에 영향을 주는 잡음의 소스를 도시하는 간략화된 그래픽 표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를 위한 잡음 환경을 동적으로 평가하고, 이 평가에 기초해 그 자신의 전송 프로토콜을 갱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간략화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샘플링된 출력에 기초해 잡음 환경을 동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간략화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팁 지터(tip jitter)의 검출에 응답해서 전송 프로토콜을 갱신하는 것을 개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간략화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스타일러스의 전송 프로토콜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전력 공급 장치의 활동,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활동, 그리고 예를 들면,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지타이저 센서의 샘플링된 출력으로부터 검출된 추가적인 잡음에 기초해 동적으로 갱신된다. 스타일러스를 둘러싸는 잡음 환경은 특히 동적이다. 컴퓨팅 디바이스의 리프레시 주기 내의 특정 시간에 잡음의 발생뿐만 아니라 잡음의 빈도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이미지의 유형, 이미지 콘텐츠가 변하는 속도(rate), 전력 공급 장치의 충전 활동, 그리고 전력 공급 장치의 접지 상태(ground state)에 기초해서 변한다.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와 전력 공급 장치의 현재 활동을 규정하는 파라미터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보고에 기초해서, 그리고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 샘플링된 출력에 기초해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통상적으로 디지타이저 센서에 대해 그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 Vsync) 및 그 수평 동기(horizontal synchronization; Hsync)에서 강한 임펄스 잡음을 강제한다(impose). 잡음은 또한 서브픽셀 리프레시 기간 동안 나타나고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컬러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al processing unit; GPU)으로부터의 입력은 이들의 발생의 타이밍 및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획득된다. 선택적으로,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은 LCD로부터 잡음 패턴을 검출하기 위해 또한 사용된다.
전력 공급 장치와 연관된 상당한 에너지는 통상적으로 50 KHz와 300 KHz 사이에 있을 수 있고, 그 자신의 현재 활동에 따라 이 범위 내에서 매우 빠르게 변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의 컴퓨터 프로세싱 유닛(computer processing unit; CPU)은 그 자신의 작동 주파수에 영향을 주는 전력 공급 장치의 활동에 관한 정보를 온 더 플라이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전력 공급 장치의 반복적 거동은, CPU로부터 보고된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그리고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 샘플링된 축적된 출력에 기초해서 학습된다.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의 잡음은, 컴퓨팅 디바이스와 사용자간의 접지 부정합에 기인해서 디지타이저 센서에 통상적으로 강제된다. 디지타이저 센서상에서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은 잡음 진폭과 주파수 응답을 또한 변경시킨다.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샘플링된 출력은 잡음에 대해 주기적으로 분석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 전자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다른 소스 중 각각으로부터 유래하는 잡음은 샘플링된 출력으로부터 식별된다. 통상적으로, 전력 공급 장치의 잡음은 손가락 또는 손의 터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구역으로부터의 출력에서 식별되고, 전자 디스플레이에 기인한 잡음은 어떠한 사용자 상호작용도 없는 디지타이저 센서의 구역으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지타이저 센서 제어기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는 현재 잡음 환경에 기초해 갱신된 전송 프로토콜을 요청하기 위해 스타일러스와 통신한다. 전송 프로토콜에서의 갱신은, 전송하기 위한 주파수, 전송할 기간, 심볼 크기, 심볼 타이밍, 심볼 변조, 보율(baud rate) 및 코딩을 규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갱신은 스타일러스 팁의 추적된 위치에서 지터링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스타일러스 가능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간략화된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 1이 이제 참조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디지타이저 센서(50)와 통합되는 디스플레이(45)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지타이저 센서(50)는, 그리드 기반 센서의 그리드 라인들을 형성하는 행 및 열 전도성 스트립들(58)로 형성된 그리드 기반 용량성 센서이다. 통상적으로, 전도성 스트립(58)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전도성 스트립들 각각은 적어도 한 끝에서 디지타이저 회로(25)에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전도성 스트립(58)은, 예를 들면, 행과 열 사이에 형성된 접점부(59) 주위에 행과 열 전도성 스트립들 사이에 용량성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열된다. 행과 열 전도성 스트립들 사이에 형성된 용량성 결합은 전도성 물체와 유전체 물체의 존재에 민감하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전도성 스트립(58)은, 통상적으로 스타일러스의 와이어링 팁을 경유해 전자기 신호를 송신하는 스타일러스(120)에 의한 입력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손가락 끝(140) 또는 손(142)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동작한다. 디지타이저 회로(25)는, 손가락 끝(140)의 터치(또는 호버링)으로부터 터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상호 커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 검출 또는 자기-커패시턴스(self-capacitance)를 적용한다. 통상적으로, 상호 커패시턴스와 자기-커패시턴스 검출 동안에, 디지타이저 회로(25)는 트리거링 신호, 예컨대, 펄스를 디지타이저 센서(50)의 하나 이상의 전도성 스트립(58)에 전송하고, 트리거링 및/또는 질의(interrogation)에 응답해서 전도성 스트립(58)으로부터의 출력을 샘플링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리드 기반 센서의 하나의 축을 따라 전도성 스트립들(58)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시에 또는 연속적 방식으로 트리거링되고, 각각의 트리거링에 응답해서, 다른 축상의 전도성 스트립(58)으로부터의 출력이 샘플링된다. 통상적으로, 이 절차는 동시에 센서(50)를 터치하는 (멀티-터치) 다수의 손가락 끝들(140)의 좌표들을 검출하는 것을 제공한다. 디지타이저 회로(25)는, 통상적으로 트리거링 신호를 관리하기 위해, 터치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해, 그리고 하나 이상의 손가락 끝들(140)의 좌표들을 추적하기 위해 손가락 검출 엔진(26)을 포함한다. 디지타이저 회로(25)는 또한 통상적으로, 스타일러스(120)와 동기화시키기 위해, 스타일러스(120)에 의해 수신된 입력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스타일러스(120)의 좌표들을 추적하기 위해 스타일러스 검출 엔진(27)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행과 열 전도성 스트립들(58) 모두로부터의 출력은 스타일러스(120)의 좌표들을 검출하기 위해 샘플링된다. 스타일러스(120)에 의해 수신된 입력은 스타일러스 아이덴티티와 같은 정보와 스타일러스(120)의 팁(20)상에 인가되는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스타일러스 검출 엔진(27)은 스타일러스(1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코딩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디지타이저 회로(25)는, 센서상에서 샘플링된 출력으로부터의 잡음의 특성을 동적으로 검출하는 잡음 검출 엔진(28)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잡음 검출 엔진(28)은 손가락 검출 엔진(26)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컴퓨팅 디바이스(100)를 구동하는 전원(24)과 연관된 잡음은 예를 들면, 손가락 입력의 위치에서 검출된 입력에 기초해서 손가락 검출 엔진(26)으로부터의 입력을 사용해서 특징화된다. 선택적으로, 전자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잡음은, 어떠한 사용자 상호작용도 없이 전도성 스트립(58)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특징화된다. 선택적으로, 잡음 검출 엔진(253)은, 디지타이저 센서(50)상의 현재 잡음 환경을 특징화하기 위한 호스트(22)에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 샘플링된 출력을 주기적으로 보고한다.
통상적으로, 디지타이저 회로(25)로부터의 출력이 호스트(22)에 보고된다. 통상적으로, 디지타이저 회로(25)에 의해 제공된 출력은 잡음을 특징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손가락 끝들(140)의 좌표들, 스타일러스(120)의 기록 팁(writing tip)(20)의 좌표들, 및 잡음 검출 엔진(28)으로부터의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디지타이저 회로(25)는 디지타이저 센서(50)를 사용해 검출된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해 아날로그 프로세싱과 디지털 프로세싱 둘 다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엔진들(26, 27, 및 28)의 기능들 중 일부 및/또는 전부는 디지타이저 센서(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 내에 통합된다. 선택적으로, 디지타이저 회로(25), 엔진들(26, 27 및 28)의 기능들 중 일부 및/또는 전부가 호스트(22) 내에 통합되고 그리고/또는 포함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120)는, 컴퓨팅 디바이스(100)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유닛(30), 예컨대, 호스트(22)의 블루투스 통신을 갖는 업링크 채널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채널은, 위치 추적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전용 전도성 스트립 또는 전도성 스트립(58)을 경유해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를 포착하는 스타일러스(120)의 팁(120)을 경유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호스트(22) 또는 회로(25)는 스타일러스(120)에게, 회로(25) 및 호스트(22)로부터의 분석 및 보고에 기초해 그 자신의 전송 프로토콜을 갱신하도록 지시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디지타이저 센서와 상호작용하는 스타일러스의 검출에 영향을 주는 잡음의 소스를 도시하는 간략화된 그래픽 표현을 도시하는 도 2가 이제 참조된다. 스타일러스(120)는 센서(50)의 전도성 스트립(58)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220)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전도성 스트립은 전압(223)으로 바이어싱된다. 통상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의 동작 동안에, 전도성 스트립(58)은 동작 중인 전력 공급 장치(24), 전자 디스플레이(45)와, 주변 환경(66) 내의 다른 소스로부터의 잡음뿐만 아니라 신호(220)를 포착한다. 통상적으로, 상이한 소스들로부터의 잡음은 스타일러스 신호(220)와 결합되고, 회로(25) 내의 수신기(250)에 의해 검출된 신호(225)는 낮은 신호 대 잡음비를 가진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송 프로토콜은 잡음을 완화시키기 위해 갱신된다. 잡음 완화는, 스타일러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 내의 데이터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예컨대, 전송 프레임을 위해 비트 에러율(bit error rate; BER) 또는 프레임 에러율(frame error rate; FER)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120)의 팁 위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송 프로토콜은 필요하다면, 현재의 잡음 환경의 온 더 플라이 평가에 기초해서 소수의 전송 프레임들마다 또는 스타일러스의 반복 사이클로, 또는 심지어 매 프레임마다 갱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를 위한 잡음 환경을 동적으로 평가하고, 이 평가에 기초해 그 자신의 전송 프로토콜을 갱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간략화된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 3이 이제 참조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지타이저 센서(50)로부터의 주기적인 샘플링된 출력은 디지타이저 센서(50)에 의해 포착된 잡음을 특징화하기 위해 분석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스트립(58)으로부터의 출력은 잡음 및 잡음 특성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스타일러스 입력 근처에 있는 것으로 식별되는 전도성 스트립(58)은 잡음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타일러스 입력의 위치는, 이 출력에 기초해서 그리고 또한 스타일러스의 알려진 이전 위치에 기초해서 결정되거나 추정될 수 있다. 추정된 위치와 연관된 전도성 스트립들(58)이 식별되고, 이웃하는 전도성 스트립들(58)로부터의 출력은 스타일러스(120) 근처의 잡음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손가락(140) 또는 손(142) 터치 입력을 포함하도록 결정되는 전도성 스트립들(58)로부터의 출력은 잡음 및 잡음 특성을 검출하도록 분석된다. 잡음을 특징화하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샘플링된 출력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블록 310). 회로(25)와 호스트(22)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특징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디지타이저 센서(50)로부터의 출력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예시적인 파라미터는 잡음이 나타나는 프레임 타이밍과 주파수를 포함한다.
잡음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는 호스트(22)로부터 획득된다. 선택적으로, 전자 디스플레이(45)로부터의 잡음을 규정하는 파라미터는 GPU로부터 보고된다(블록 315). 선택적으로, 동기 타이밍, 예컨대 LCD에서 Vsync와 Hsync는 GPU에 의해 보고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 예컨대, 컬러가 GPU에 의해 보고된다. 대부분 흰색인 디스플레이상의 이미지는 컬러가 풍부한 이미지와는 상이한 잡음을 강제한다. 추가적으로, 서브픽셀 리플레시 레이트가 GPU에 의해 보고되고 잡음 환경을 특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전력 공급 장치의 현재 동작을 규정하는 파라미터는 호스트(22)의 CPU에 의해 보고된다(블록 320). 전력 공급 유닛은 현재 프로세스에 따라 그 자신의 거동을 변화시키는데, 예컨대 검출되는 현재 배터리 상태, 휴지(idle), CPU 스테이지 및 획득된 잡음에 기초해서 개시되는 배터리 충전이 변한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를 크레이들(cradle)상에 위치시키거나 컴퓨팅 디바이스를 콘센트(outlet) 내로 플러깅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변경시킬 수 있다. 전력에 기인한 잡음 파라미터는 배터리의 현재 상태에 기초해 예측될 수 있고, 디지타이저 시스템에 의해 샘플링된 출력의 모니터링에 기초해 학습될 수 있다. 검출된 잡음 파라미터는 현재의 통신 프로토콜의 알려진 파라미터와 비교된다(블록 325). 이 비교에 기초해서, 스타일러스 전송 프로토콜을 갱신하는 것과 관련된 논의가 도달된다(블록 330). 향상된 프로토콜이 수집되고 샘플링된 입력에 기초해서 제안될 수 있다면, 전송 프로토콜을 갱신하기 위한 제안이 스타일러스에 송신된다(블록 335). 이 제안은 스트라일러스에 의해 검증될 필요가 있을 수 있고(블록 340), 승인된다면 적절한 갱신이 스타일러스 회로와 디지타이저 회로(25) 둘 다에 의해 수행된다(블록 345). 갱신된 전송 프로토콜의 파라미터는 미래의 참조를 위해 저장될 수 있다(블록 350).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샘플링된 출력에 기초해 잡음 환경을 동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간략화된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 4가 이제 참조된다. 디지타이저 센서는 상호작용을 검출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샘플링된다(블록 410). 통상적으로 상호 커패시턴스 검출 또는 자기 커패시턴스 검출이 손가락 또는 손에 의한 입력을 식별하기 위해 적용된다(블록 420).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신호에 축적된 잡음은, 잡음을 야기하는 전력 공급 장치의 활동, 예컨대, 배터리 충전과, 전력 공급 소스들간의 스위칭을 특징화하기 위해 분석된다(블록 425). 추가적인 잡음은 어떠한 상호작용도 없는 라인상에서 검출된 출력으로부터 특징화될 수 있다(블록 430). 잡음의 또 다른 소스는 예컨대, LCD와 같은 전자 디스플레이다. 선택적으로, 전자 디스플레이로부터 도출된 잡음은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포함하지 않는 라인상에서 검출된다(블록 430).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잡음을 특징화하는 파라미터가 결정된다(블록 435). 또한, 스타일러스 신호를 포착한 전도성 스트립(58)이 식별된다(블록 440).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손가락 또는 손의 터치 입력으로부터 결정된 전력 공급 잡음 파라미터와 결정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보고를 고려해 더 분석된다(블록 445). 이 정보가 프로세싱되고(블록 335) 잡음을 회피하거나 SNR을 증가시키거나 수신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갱신된 프로토콜이 제안된다(블록 350).
전송 프로토콜은 검출된 잡음 환경의 특징화에 따라 복수의 방식들로 갱신될 수 있다. 송신의 주파수는 잡음 주파수를 회피시키기 위해 갱신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송신의 주파수는 100 KHz에서 200 KHz로 변경될 수 있다. 반복 주기는 LCD 주기적 임펄스 잡음을 회피하기 위해 단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반복 주기는 15 ms to 14.5 ms로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신된 정보의 심볼 크기는 현재 잡음 환경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파수 시프트 키잉(frequency shift keying; FSK) 심볼 길이는 SNR이 낮다고 결정될 때 150 ㎲에서 300 ㎲로 증가되거나 대안적으로 SNR이 높다고 결정될 때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BER은 이진 FSK(binary FSK; BFSK) 변조 방식으로부터 다중 FSK(multiple FSK; MFSK) 변조 방식으로 이동함으로써 향상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심볼 타이밍이 시간적 잡음을 회피하기 위해 갱신되는데, 예를 들면, 심볼은 프레임의 중앙에서 대신에 프레임의 시작에서 송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율은, 복제(replication) 또는 코딩을 위한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고 SNR 레이트가 높을 때 데이타 레이트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정된다. 선택적으로, 코딩은 BER 대 전력 및 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갱신된다. 해밍 또는 골레이, 인터리빙, 및 스크램블링과 같은 코딩 기술은 현재 잡음 환경에서 잡음을 완화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대로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팁 지터의 검출에 응답해서 전송 프로토콜을 갱신하는 것을 개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간략화된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 5가 이제 참조된다. 통상적으로, 스타일러스의 팁 좌표는 컴퓨터 디바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 동안에 추적된다(블록 510).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간에 따라 팁 위치의 지터링 및 정확도가 검출된다(블록 520). 선택적으로, 지터의 측정값 및 정확도는, 실제 위치 대 측정된 위치(선택적으로 0.1 mm 단위로)로부터 시간상 거리의, 움직임 중과 정지 상태에서의 통계적 계산에 의해 결정된다. 팁 지터의 측정값이 미리 규정된 팁 지터 문턱값을 초과할 때(블록 530), 디지타이저 시스템 또는 호스트(22)는 잡음에 대한 현재 정보에 기초해서 대안적인 전송 프로토콜을 제안함으로써 응답한다(블록 540). 선택적으로, 잡음 환경은, 디지타이저가 스타일러스 입력을 수신하지만 팁 디터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해서 프로토콜에서의 변화를 요청하는 동안에만 계속해서 모니터링된다. 대안적으로, 전송 프로토콜을 변경하라는 요청은 팁 지터에 기초해서뿐만 아니라 검출된 잡음에 기초해서 개시된다. 선택적으로, 팁 지터 검출은 그렇지 않으면 구현되지 않는, 잡음을 제거하라는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촉구한다.
일부 실시예의 양상에 따라, 디지타이저 센서와 통합된 디스플레이; 규정된 프로토콜에 기초해 신호를 디지타이저 센서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핸드헬드 디바이스; 전력 공급 장치;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며, 제어기는,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샘플링하고; 디스플레이와 전력 공급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잡음을 특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해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잡음 환경을 특징화하며; 잡음 환경에 기초해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전송 프로토콜을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는,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al processing unit; GPU)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위한 동기 타이밍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동기 타이밍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는 디스플레이의 동기 타이밍에 기초해 핸드헬드 디바이스 송신의 프레임 크기를 변경시키라는 명령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는 디스플레이의 동기 타이밍에 기초해 핸드헬드 디바이스가 심볼을 송신하는 타이밍을 변경시키라는 명령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는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al processing unit; GPU)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위한 현재의 서브픽셀 리플레시 레이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서브픽셀 리플레시 레이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는, 사용자 상호작용을 포함하지 않는,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의 일부분을 식별하고 출력의 그 일부분에 기초해 디스플레이로부터 유래하는 잡음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는 디스플레이상의 이미지의 콘텐츠에 대한 GPU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콘텐츠에 대한 입력과 연관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는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 샘플링된 출력에 기초해 임펄스 잡음의 고조파를 식별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디지타이저 센서의 리프레시 주기에서 임펄스 잡음의 타이밍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는, 손가락 또는 손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의 일부분을 식별하고 출력의 그 일부분에 기초해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유래하는 잡음을 특징화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는, 전력 공급 장치의 활동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와, 손가락 또는 손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과의 상관에 기초해 이 정보와 연관된 잡음 환경을 학습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는 시스템의 활동을 규정하는 보고의 상관에 기초해 그리고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의 주기적 샘플링에 기초해 시스템의 활동과 연관된 잡음 환경을 학습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검출된 위치에서 지터 및/또는 정확도를 검출하고, 규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는 지터를 검출한 것에 기초해 전송 프로토콜을 변경시키라는 명령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의 양상에 따라, 컴퓨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상에 통합된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샘플링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와 전력 공급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잡음을 특징화하는 적어도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해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잡음 환경을 온 더 플라이 특징화하는 단계; 및 잡음 환경에 기초해 디지타이저 센서와 상호작용하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전송 프로토콜을 변경시키라는 명령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동기 타이밍이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사용자 상호작용을 포함하지 않는,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의 일부분을 식별하는 단계와, 출력의 그 일부분에 기초해 디스플레이로부터 유래하는 잡음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디스플레이상의 이미지의 콘텐츠에 대한 GPU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 샘플링된 출력에 대해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고조파의 타이밍이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손가락 또는 손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의 일부분을 식별하는 단계와, 출력의 그 일부분에 기초해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유래하는 잡음을 특징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전력 공급 장치의 보고된 활동과, 손가락 또는 손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과의 상관에 기초해 전력 공급 장치의 잡음 환경과 연관된 활동을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송 프로토콜을 변경시키는 단계는, 송신을 위한 주파수, 프레임 타이밍, 심볼 크기, 변조, 심볼 타이밍 보율 및 코딩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명확함을 위해 별도의 실시예들의 상황에서 설명된, 본 개시에서 설명된 예시들의 특정 특징들이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역으로, 간략함을 위해 단일 실시예의 상황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예시들의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별도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서브조합으로, 또는 본 개시의 임의의 다른 설명된 실시예에서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황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은, 실시예가 그러한 요소 없이는 동작하지 않는다면, 이들 실시예들의 필수적인 특징이라고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0)

  1.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타이저 센서와 통합된 디스플레이;
    규정된 프로토콜에 기초해 신호를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핸드헬드 디바이스;
    전력 공급 장치; 및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 출력을 샘플링하고,
    사용자 상호작용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영역으로부터 수신된 출력에 기초해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유래하는 잡음을 검출하고 - 상기 검출은 상기 식별된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전도 라인에 의해 수신된 제 2 신호에 대해 상기 식별된 영역에서 수신된 제 1 신호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함 - ,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전력 공급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잡음을 특징화하는(characterizing)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상기 식별된 영역으로부터 수신된 출력으로부터 검출된 잡음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해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잡음 환경을 특징화하고,
    상기 잡음 환경에 기초해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전송 프로토콜을 변경(alter)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al processing unit; GPU)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한 동기 타이밍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동기 타이밍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기 타이밍에 기초해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 송신의 프레임 크기를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기 타이밍에 기초해 심볼을 송신하도록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위한 타이밍을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al processing unit; GPU)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한 현재의 서브픽셀 리프레시 레이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서브픽셀 리프레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이미지의 콘텐츠에 대한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al processing unit; GPU)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입력과 연관된 것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 샘플링된 상기 출력에 기초해 임펄스 잡음의 고조파를 식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의 리프레시 주기에서 상기 임펄스 잡음의 타이밍을 포함한 것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전력 공급 장치의 활동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와, 손가락 또는 손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과의 상관에 기초해 상기 정보와 연관된 상기 잡음 환경을 학습하도록 구성된 것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시스템의 활동을 규정하는 보고의 상관에 기초해 그리고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의 주기적 샘플링에 기초해 상기 시스템의 활동과 연관된 상기 잡음 환경을 학습하도록 구성된 것인,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검출된 위치에서 지터 및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규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는 지터를 검출한 것에 기초해 상기 전송 프로토콜을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시스템.
  11. 방법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상에 통합된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샘플링하는 단계;
    사용자 상호작용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영역으로부터 수신된 출력에 기초해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유래하는 잡음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검출은 상기 식별된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전도 라인에 의해 수신된 제 2 신호에 대해 상기 식별된 영역에서 수신된 제 1 신호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함 - ;
    상기 디스플레이 및 전력 공급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잡음을 특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영역으로부터 수신된 출력으로부터 검출된 잡음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해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잡음 환경을 특징화하는 단계; 및
    상기 잡음 환경에 기초해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와 상호작용하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전송 프로토콜을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한 동기 타이밍인 것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이미지의 콘텐츠에 대한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al processing unit; GPU)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 규정된 것인,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 샘플링된 출력에 대해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고조파의 타이밍인 것인,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손가락 또는 손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과, 상기 전력 공급 장치의 보고된 활동과의 상관에 기초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의 상기 잡음 환경 연관된 활동을 학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로토콜을 변경시키는 것은, 전송을 위한 주파수, 프레임 타이밍, 심볼 크기, 변조, 심볼 타이밍 보율(baud rate) 및 코딩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타이저 센서와 통합된 디스플레이;
    규정된 프로토콜에 기초해 신호를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핸드헬드 디바이스;
    전력 공급 장치; 및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 출력을 샘플링하고,
    손가락 또는 손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손가락 또는 손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상이한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손가락 또는 손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상이한 영역에서 경험되는(experienced) 신호를 잡음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상이한 영역으로부터 수신된 출력에 기초해 상기 잡음을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 특징화하고,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유래하는 잡음에 기초해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전송 프로토콜을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al processing unit; GPU)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한 동기 타이밍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동기 타이밍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기 타이밍에 기초해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 송신의 프레임 크기를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시스템.
  20. 방법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상에 통합된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샘플링하는 단계;
    손가락 또는 손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 또는 손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상이한 영역의 전도 라인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 또는 손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상의 검출된 상기 상이한 영역에서 경험되는 신호를 잡음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이한 영역으로부터 수신된 출력에 기초해 상기 잡음을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 특징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유래하는 잡음에 기초해 디지타이저 센서와 통합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전송 프로토콜을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18804A 2014-12-09 2015-12-09 동적 전송 프로토콜을 갖는 스타일러스 KR102397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89283P 2014-12-09 2014-12-09
US62/089,283 2014-12-09
PCT/IB2015/059480 WO2016092489A1 (en) 2014-12-09 2015-12-09 Stylus with a dynamic transmission protoc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285A KR20170095285A (ko) 2017-08-22
KR102397964B1 true KR102397964B1 (ko) 2022-05-12

Family

ID=5508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804A KR102397964B1 (ko) 2014-12-09 2015-12-09 동적 전송 프로토콜을 갖는 스타일러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88982B2 (ko)
EP (1) EP3230836B1 (ko)
KR (1) KR102397964B1 (ko)
CN (1) CN107003755B (ko)
WO (1) WO2016092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3755B (zh) 2014-12-09 2020-04-10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具有动态传输协议的触控笔
KR102390595B1 (ko) * 2017-09-18 2022-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564741B2 (en) 2017-10-19 2020-0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tive stylus pairing with a digitizer
US10948980B2 (en) * 2019-05-10 2021-03-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controllers
EP4127882A1 (en) 2020-03-25 2023-02-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plink channel compensation for touchscreen devices
CN113220144B (zh) * 2021-03-15 2022-06-07 荣耀终端有限公司 触控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0298A1 (en) * 2013-02-25 2014-08-28 N-Trig Ltd. Stylus for a digitiz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7124A (en) 1951-11-21 1955-09-06 Thomas Robinson & Son Ltd Roller mill with pneumatic discharge-material conveyor
US6476798B1 (en) 1994-08-22 2002-11-05 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Reduced noise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EP1735770A4 (en) 2004-02-27 2012-04-25 N trig ltd NOISE REDUCTION IN A DIGITIZER SYSTEM
US20080158171A1 (en) * 2006-12-29 2008-07-03 Wong Hong W Digitizer for flexible display
US8040326B2 (en) 2007-06-13 2011-10-18 Apple Inc. Integrated in-plane switching display and touch sensor
US7876311B2 (en) 2007-06-13 2011-01-25 Apple Inc. Detection of low noise frequencies for multiple frequency sensor panel stimulation
US8482545B2 (en) * 2008-10-02 2013-07-09 Wacom Co., Ltd. Combination touch and transducer input system and method
US9036650B2 (en) 2009-09-11 2015-05-19 Apple Inc. Automatic low noise frequency selection
US9786254B2 (en) * 2010-02-26 2017-10-10 Synaptics Incorporated Sensing during non-display update time to avoid interference
US10435746B2 (en) * 2010-10-21 2019-10-08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ethods for selecting medications for treating patients having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KR20140043299A (ko) 2010-10-28 2014-04-09 사이프레스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용량성 감지 어레이와 스타일러스의 동기화
US9086745B2 (en) 2011-10-28 2015-07-21 Atmel Corporation Dynamic reconfiguration of electrodes in an active stylus
US9013429B1 (en) 2012-01-14 2015-04-2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stage stylus detection
CN202815746U (zh) 2012-08-31 2013-03-20 深圳市汇顶科技有限公司 电容屏触控笔
JP5984259B2 (ja) * 2012-09-20 2016-09-0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GB2506849A (en) 2012-09-26 2014-04-16 Light Blue Optics Ltd A touch sensing system using a pen
US9256301B2 (en) * 2012-10-10 2016-02-09 Atmel Corporation Active stylus with noise immunity
US9158393B2 (en) 2012-12-18 2015-10-13 Logitech Europe S.A. Active stylus for touch sensing applications
US20140267184A1 (en) 2013-03-14 2014-09-18 Elwha Llc Multimode Stylus
US9811214B2 (en) 2013-03-15 2017-11-07 Tactual Labs Co. Fast multi-touch noise reduction
US9086749B2 (en) 2013-08-30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processing of touch sensor data
KR20150052481A (ko) * 2013-11-06 2015-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9436325B2 (en) 2013-12-20 2016-09-06 Synaptics Incorporated Active pen for matrix sensor
EP3100145B1 (en) * 2014-01-27 2018-12-19 Tactual Labs Co. Decimation strategies for input event processing
WO2015120081A1 (en) * 2014-02-04 2015-08-13 Tactual Labs Co. Frequency conversion in a touch sensor
US10019079B2 (en) * 2014-12-07 2018-07-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ylus for operating a digitizer system
CN107003755B (zh) 2014-12-09 2020-04-10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具有动态传输协议的触控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0298A1 (en) * 2013-02-25 2014-08-28 N-Trig Ltd. Stylus for a digitiz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3755B (zh) 2020-04-10
WO2016092489A1 (en) 2016-06-16
US10488982B2 (en) 2019-11-26
US20160162118A1 (en) 2016-06-09
EP3230836A1 (en) 2017-10-18
EP3230836B1 (en) 2018-09-26
CN107003755A (zh) 2017-08-01
KR20170095285A (ko)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964B1 (ko) 동적 전송 프로토콜을 갖는 스타일러스
CN108780369B (zh) 用于触控笔的软触摸检测的方法和设备
US9772697B2 (en) Touch down detection with a stylus
US11204655B2 (en) Active stylus communication with a digitizer
TWI537814B (zh) 顯示,觸碰及觸控筆同步化
US10095361B2 (en) Stylus detection with capacitive based digitizer sensor
KR101030001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상기 구동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338950A1 (en) Touch screen for stylus emitting wireless signals
US20150301577A1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t mitigated sensitivity in a touch sensitive device
JP2014512606A (ja) 容量型タッチスクリーンの干渉検出及び動作
US9495052B2 (en) Active input device support for a capacitive sensing device
US10564741B2 (en) Active stylus pairing with a digitizer
EP3676692B1 (en) Selective scanning for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GB2531372A (en) Electronic apparatus
TW201638763A (zh) 電子裝置及觸控偵測方法
CN111759299A (zh) 电容式心电图感测电子显示器及相关方法
TW201545029A (zh) 電容式觸控面板之操作方法和電容式觸控感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