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021B1 - System and method for HTML5 map updat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HTML5 map upd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021B1
KR102395021B1 KR1020150092894A KR20150092894A KR102395021B1 KR 102395021 B1 KR102395021 B1 KR 102395021B1 KR 1020150092894 A KR1020150092894 A KR 1020150092894A KR 20150092894 A KR20150092894 A KR 20150092894A KR 102395021 B1 KR102395021 B1 KR 102395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layer
display
area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2938A (en
Inventor
권진영
정현도
김홍석
서선미
박연희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021B1/en
Publication of KR2017000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0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2Guidance using simplified or iconic instructions, e.g. using arr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지도 표시 제공 단말장치 및 지도 표시방법을 제공한다.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속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의 프레임별로 지도화면을 다시 그려 표시하는 대신에, 지도 표시 레이어를 2개 이상 설정하고, 차량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표시 레이어 외의 다른 교체 레이어를 미리 드로잉한 후, 차량의 진행시 미리 드로잉한 교체레이어와 전환하여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하여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속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거두는 웹 지도 표시 단말장치 및 지도 표시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b map display providing terminal device and a map display method. In order to efficiently use system resources and improve speed, instead of redrawing and displaying the map screen for each frame in the prior art, two or more map display layers are set, and a replacement layer other than the display layer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s moving direction. A web map display terminal that uses system resources more efficiently and improves speed compared to the prior art by providing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y drawing in advance and then switching to a previously drawn replacement layer when the vehicle is in progress A device and a map display method are provided.

Description

HTML5 화면 지도 갱신 방법 및 장치{System and method for HTML5 map update}HTML5 screen map update method an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HTML5 map update}

본 발명은 웹을 이용한 지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환경하에서 인터넷을 통해 웹 브라우저 상에서 지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웹 지도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p service system using the web,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web map service system capable of using a map service on a web browser through the Internet under a mobile environment, and a terminal device for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웹 지도 환경은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더하여 오프라인 상으로 장치에 지도를 저장해 놓은 상태로 이를 그대로 읽어들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bile web map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ad the map stored in the device offline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as it i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온 오프라인 웹 지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웹 지도를 화면에 렌더링 함에 있어서 그 속도를 향상시키고 리소스 점유율을 낮추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uch an on-offline web map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peed of rendering a web map on a screen and reducing the resource occupancy.

전통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위치안내, 나아가 경로를 안내하는 기술은 차량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단말에서 차량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져 왔다. 그런데, 최근 스마트폰 기술의 발달 및 보급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를 가능하게 하고 있고, 이와 같은 모바일 위치 기반 서비스는 전통적인 차량 설치 네비게이션 단말과 결합되어 차량 설치 네비게이션 단말에서도 모바일 OS(예: Windows, Android) 기반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raditionally, a technology of displaying the user's location on a screen to determine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guiding the location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and further guiding a route has been used to display the location of the vehicle on a map in a navigation terminal installed in a vehicle. However, the recent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martphone technology enables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LBS)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users, and such mobile location-based services are combined with traditional vehicle-installed navigation terminals to provide vehicle Mobile OS (eg, Windows, Android)-based location-based services can be provided in installed navigation terminals.

모바일 환경하에서 위치 기반 지도 서비스는 크게 네이티브 앱(native-app), 모바일 웹(mobile web),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분류에 따라 모바일 환경하에서의 위치기반 지도 서비스 역시 네이티브 앱 지도, 모바일 웹 지도, 하이브리드 앱 지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Location-based map service in a mobile environmen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native-app, mobile web, hybrid app, etc., and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location-based map service in a mobile environment It can be divided into native app maps, mobile web maps, and hybrid app maps.

네이티브 앱 지도의 경우 다양한 모바일 단말 별로(차량의 네비게이션 단말을 포함) 별도의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서, 각 단말의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기능을 구현하고 최적화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네이티브 앱 지도는 각 단말의 모델/사양별로 최적화되고 특화된 별도의 개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설치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지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유지보수 비용이 중복되며, 통일된 사용자 환경(UI, UX)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native app map, a separate map program is developed and installed for each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vehicle's navigation terminal). However, such a native app map needs to be developed and installed with a separate and specialized program optimized for each device model/specification, and accordingly,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cost of the map program is duplicated, and a unified user environment (UI, UX) is required. ) is difficult to implement.

이에 비하여 모바일 웹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를 통하여 지도정보를 내려받아 사용자 위치기반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접근성이 용이하고, 스마트폰의 종류 혹은 차량 설치 네비게이션의 하드웨어 종류에 상관없이 혹은 설치된 OS에 상관 없이 하나의 웹 서비스 연동 환경을 구축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단말에서 동일한 사용자 환경 혹은 사용자 경험을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contrast, in the case of a mobile web map application, the user's location-based map service is provided by downloading map information through a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using a web browser, so it is easy for users to access, and the type of smartphone or hardware for vehicle-installed navigation Regardless of the type or installed O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ame user environment or user experience can be implemented and provided in various terminals just by building a single web service interworking environment.

또한, 유지 보수 혹은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서버측의 지도 데이터 및 각종 POI(point of interest) 등의 정보만을 갱신함으로써 최신의 지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스마트폰, 차량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위치 기반 지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계정 설정만으로도 다양한 단말에서 동일한 연계 지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maintenance or update is required, only the server-side map data and information such as various points of interest (POI) are updated to maintain the latest map data, and furthermore, the user can locate the location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smartphones and vehicle navigation. When using the base map ser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ame linked map service can be used in various terminals only by setting a user account.

한편, 이와 같은 모바일 웹 지도는 현재의 HTML 기술만으로는 단말에 내장된 GPS 정보를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지도상에 다양한 정보(멀티미디어 정보 등)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하여 브라우저 별로 별도의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 서비스 이용시 항시 3G/LTE 등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음에 있어서 과도한 통신비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mobile web map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utilize the GPS information built into the terminal using only the current HTML technology, an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multimedia information, etc.) There are problems such as installation problem and excessive communication cost in downloading map data because it must always be connected to a mobile data network such as 3G/LTE when using the service.

또한, 종래의 웹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지도 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웹 지도 정보를 메모리에서 읽어들여 표시하여야 하고, 단말은 웹 애플리케이션 구동 뿐만 아니라 서버와의 각종 데이터 통신 등을 수행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웹 지도 정보 및 각종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렌더링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시스템 점유율이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원할한 서비스 제공이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web map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read and display not only map data but also various web map information from a memory, and the terminal not only drives the web application but also performs variou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and the web map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And since various data are rendered and displayed in real time, the system occupancy is increas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rovide a smooth service.

한국등록특허 제10-107119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71194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HTML5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웹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엡 지도는 온라인 연결시 혹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 및 소정의 설정한 주면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아 화면에 표시하거나, 네이티브 앱에서와 같이 미리 다운로드 받은 지도 데이터를 웹에서 읽어 들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병행하도록 네이티브 앱 지도 애플리케이션과 웹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하이브리드 형태로 구성되어 제공된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location-based map service using a hybrid web map using HTML5. The hybrid app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downloads map data of an area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 predetermined main surface area when connected online or according to user settings from the server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or is downloaded in advance as in a native app. It is provided in a hybrid form of a native app map application and a web map application so that map data is read from the web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parallel.

또한, 본 발명은 웹 지도 및 각종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서 잦은 화면 갱신으로 인한 시스템 점유율이 높아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olving a problem in which a system occupancy rate increases due to frequent screen updates when a web map and various data are displayed on a scree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지도 표시용 단말장치는, 지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메모리부; 지도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및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및 연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1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는 표시 레이어 드로잉 수단;상기 제1 지도 레이어를 교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제2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는 교체 레이어 드로잉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표시 레이어 드로잉 수단에서 드로잉한 제1 지도 레이어를 저장하는 표시 레이어 저장부;상기 교체 레이어 드로잉 수단에서 드로잉한 제2 지도 레이어를 저장하는 교체 레이어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표시용 단말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a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ap; memory unit; a control and calculation unit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map; wherein the control and calculation unit includes: display layer drawing means for drawing a first map lay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replacement layer drawing unit for drawing a second map layer to be displayed, wherein the memory unit includes: a display lay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irst map layer drawn by the display layer drawing unit; and a replacement lay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rawn second map layer.

본 발명에서 상기 상기 제1 지도 레이어에 대응되는 지도영역은,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 현재 위치영역;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소정의 제1 인접 진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지도 레이어에 대응되는 지도영역은,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 현재 위치영역;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소정의 제2 인접 진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현재 위치영역은 상기 제1 인접 진행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지도 영역;이며, 상기 제2 인접 진행영역은 상기 제1 인접 진행영역보다 소정의 추가 영역을 더 포함하는 지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표시용 단말장치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p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p layer includes: a predetermined first current location area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predetermined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map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p layer includes a second predetermined current location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rea; a map area including a predetermined second adjacent progress area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wherein the second current location area includes a part or all of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The adjacent progress area is a map area further including a predetermined additional area than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이때, 상기 제어 및 연산부는, 현재 차량의 위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지도 레이어와 제2 지도 레이어를 상호 교체할 것을 결정하는 표시 레이어 교체 결정수단; 상기 제1 지도 레이어를 상기 제2 지도 레이어로 교체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교체레이어 저장부로부터 제2 지도 레이어를 읽어들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표시 레이어 교체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and calculation unit may include: display layer replacement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to exchange the first map layer and the second map layer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location data of the current vehicle; display layer replacement means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replacing the first map layer with the second map layer for display, reading a second map layer from the replacement layer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second map layer on the display unit; can b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비하는 수단으로, 지도 표시용 단말장치,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지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지도 표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는, 지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지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지도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및 연산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지도 데이터 갱신 선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 및 연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1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는 표시 레이어 드로잉 수단; 상기 제1 지도 레이어를 교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제2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는 교체 레이어 드로잉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표시 레이어 드로잉 수단에서 드로잉한 제1 지도 레이어를 저장하는 표시 레이어 저장부; 상기 교체 레이어 드로잉 수단에서 드로잉한 제2 지도 레이어를 저장하는 교체 레이어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부는, 지도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도 데이터 갱신 선택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선택값을 설정한다.In addition, as a means ha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map display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a map, and a server for transmitting map data to the termina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ap;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map; a control and arithmetic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map;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receives data to/from the server; map data update selection unit; and a display layer drawing unit for drawing a first map lay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replacement layer drawing means for drawing a second map lay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replacing the first map layer, wherein the memory unit stores the first map layer drawn by the display layer drawing unit a display layer storage unit; and a replacement lay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cond map layer drawn by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means, wherein the memory unit includes a map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map data, the map data The update selection unit sets a selection value for whether to update the map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또한, 상기 제1 지도 레이어의 지도영역은,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 현재 위치영역;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소정의 제1 인접 진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지도 레이어의 지도영역은,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 현재 위치영역;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소정의 제2 인접 진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현재 위치영역은 상기 제1 인접 진행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지도 영역;이고, 상기 제2 인접 진행영역은 상기 제1 인접 진행영역보다 소정의 추가 영역을 더 포함하는 지도 영역이다.In addition, the map area of the first map layer may include: a predetermined first current location area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predetermined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map area of the second map layer includes: a second predetermined current location area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 map area including a predetermined second adjacent progress area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wherein the second current location area includes a part or all of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The adjacent progress area is a map area that further includes a predetermined additional area than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본 발명에서 제어 및 연산부는, 현재 차량의 위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지도 레이어와 제2 지도 레이어를 상호 교체할 것을 결정하는 표시 레이어 교체 결정수단; 상기 제1 지도 레이어를 상기 제2 지도 레이어로 교체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교체레이어 저장부로부터 제2 지도 레이어를 읽어들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표시 레이어 교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지도 데이터 갱신 선택부의 설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and calculation unit includes: display layer replacement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o exchange the first map layer and the second map layer based on current vehicle location data; display layer replacement means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replacing the first map layer with the second map layer for display, reading a second map layer from the replacement layer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second map layer on the display unit; and the map data storage unit requests map data from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a setting value of the map data update selection unit.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표시를 위하여 구성하는 지도는 웹 지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HTML5로 구현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p configured for display display is preferably a web map, and is implemented in HTML5.

본 발명에 의한 지도 표시 방법은, 지도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 표시를 위한 제1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는 제1 지도 레이어 드로잉 단계; 드로잉한 상기 제1 지도 레이어를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1 지도 레이어 표시 단계; 지도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 표시를 위한 상기 제1 지도 레이어 표시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1 지도 레이어와 교체하여 상기 드로잉한 제2 지도 레이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지도레이어 교체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화면 표시 방법이다.A map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ap layer drawing step of drawing a first map layer for display display from map data; a first map layer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drawn first map layer on a display of a terminal device; a map layer replacemen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display the drawn second map layer on a display by replacing the first map layer displayed on the display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first map layer for display display from map data; A map data screen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지도 레이어를 표시한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말 현재 위치 검출 단계;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가 제1 지도 레이어에 표시되는 지도 좌표상의 소정의 경계지점에 이르렀는지를 확인하는 경계지점 도달 여부 확인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경계지점 도달 여부 확인 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제1 지도 레이어에 표시되는 지도 좌표상의 소정의 경계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지도레이어 교체 결정 단계에서 제2 지도 레이어를 제1 지도 레이어와 교체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current location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displaying the first map layer;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has reached a boundary point on the map coordinates displayed on the first map layer; an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boundary point has been reached,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reaches a predetermined boundary point on the map coordinates displayed on the first map layer, the second map layer in the map layer replacement determination step A map data screen display method is provided, comprising: determining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by replacing it with the first map lay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지도 레이어는 제1 지도 레이어와 상이한 것이고, 상기 제1 지도 레이어의 지도영역은,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 현재 위치영역;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소정의 제1 인접 진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지도 레이어의 지도영역은,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 현재 위치영역;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소정의 제2 인접 진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현재 위치영역은 상기 제1 인접 진행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지도 영역;이고, 상기 제2 인접 진행영역은 상기 제1 인접 진행영역보다 소정의 추가 영역을 더 포함하는 지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화면 표시 방법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ap layer is different from the first map layer, and the map area of the first map layer includes: a predetermined first current location area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predetermined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map area of the second map layer includes: a second predetermined current location area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 map area including a predetermined second adjacent progress area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wherein the second current location area includes a part or all of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The adjacent progress area is a map area that further includes a predetermined additional area than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지도 레이어 드로잉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제2 지도 레이어 드로잉을 시작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2 지도 레이어 드로잉 시작 판단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ap layer draw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ap layer drawing start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start drawing a second map layer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본 발명은 HTML5로 구현된 하이브리드 웹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통신비를 절약하는 동시에 효율적인 화면 전환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점유율을 낮춤으로써, 저사양의 시스템에서도 효과적인 웹 지도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성능이 향상된 네비게이션 지도 단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져온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ybrid web map service implemented in HTML5, thereby saving communication costs and providing an efficient screen switching method, thereby lowering the share of system resources, and thus providing an effective web map even in a low-spec system By displaying ,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navigation map terminal with improved performance.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도표시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지도표시 단말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부(200)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지도표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연산부(300)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지도표시 방법에 있어서, 화면 교체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지도표시 방법에 있어서, 제1 지도 레이어 및 제2 지도 레이어의 드로잉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지도표시 방법에 있어서, 제2 지도 레이어의 드로잉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지도표시 방법의 절차에 대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ap display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memory unit 200 in the map display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arithmetic unit 300 in the map display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creen replacement process in the map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drawing process of a first map layer and a second map layer in the map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drawing area of a second map layer in the map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the procedure of the map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provided in the respective drawings indicate member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지도표시 단말 장치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표시부를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플렉서블 장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일 수 있다.The map display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any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such as a touch screen,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communication terminal, a portable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smartphone, a mobile phone, a navigation device, a vehicle head unit,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computer, a flexible device, 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the like.

1. 본 발명의 지도 화면 표시방법의 개요1. Overview of the map screen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4도를 들어 본 발명의 지도 화면 표시 방법의 개요를 설명한다.First, an outline of the map screen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위치기반 서비스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에 있어서, 단말장치(또는 단말장치를 휴대한 사용자, 단말장치가 탑재된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단말장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영역 또한 달라져야 한다. 단말장치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새로운 지도 영역이 그려져야 하고, 단말장치가 이미 지나간 영역은 단말장치의 화면 바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In display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map screen on a display, as a terminal device (or a user carrying a terminal device, a vehicle equipped with a terminal device) moves, the area of the map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screen must also change. A new map area must be draw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moves, and the area that the terminal device has already passed moves out of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종래기술의 경우, 단말장치가 이동함에 따라 표시되는 지도의 영역이 달라지는 경우,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지속적으로 지도화면의 새로운 영역을 그리면서, 이전 프레임에서 표시되었던 지도 영역을 삭제하고, 다시 그린 지도영역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뿌려주었다. 즉, 기존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같은 경우 화면에 표출할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영역에 그려주고(drawing) 화면이 변경될 경우 화면을 지우고 다시 그려주는(drawing)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웹을 이용하여 지도화면을 그려주는 Web Navigation System 에서는 위와 같은 방 식의 경우 화면의 깜박임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when the area of the displayed map changes as the terminal device moves, a new area of the map screen is continuously draw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rame rate, the map area displayed in the previous frame is deleted, and the map area is drawn again. The map area was spread on the display screen. That i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navigation service, data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drawn on one screen area, and when the screen is changed, the screen is erased and drawn again. However, in the case of the web navigation system that draws a map screen using the web, in the case of the above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reen flickers severely.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보이는 것과 같이, 2개의 서로 다른 레이어를 사용하여, 소정의 제1 시점에서 제1 지도 레이어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동안, 단말장치가 이동하는 지도영역을 포함하는 제2 지도 레이어를 미리 그려주고, 화면의 변경이 필요하게 되는(단말장치가 제2 지도 레이어 표시 지도 영역을 벗어나게 되는 혹은 그보다 소정의 시간동안 앞선) 제2 시점에서 제1 지도 레이어를 미리 그려둔 제2 지도 레이어로 전환하여 표시하여 줌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4 , using two different layers, the terminal device moves while the first map lay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t a predetermined first time point. A second map layer including a map area for displaying This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converting the map layer to the previously drawn second map layer and displaying it.

본 발명의 지도화면 표시방법은 이와 같이 제1 시점에서 표시되고 있는 제1 지도 레이어를 제2 시점에서는 미리 그려준 제2 지도 레이어로 교체하여 표시하고, 다시 단말장치가 이동하여 제2 지도 레이어에 그려진 지도 영역으로 단말장치의 위치 및 필요 지도 영역을 충분히 표시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그 이동하는 방향의 추가 지도 영역을 포함하는 지도 영역을 다시 제1 지도 레이어에 미리 그려준후, 다시 제2 지도 레이어의 표시 대신에 제1 지도 레이어를 표시하여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1 지도 레이어와 제2 지도 레이어를 번갈아 가면서 화면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map screen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ap layer displayed at the first point of view is replaced with the second map layer drawn in advance at the second point of view, and the terminal device moves again to display the second map layer. I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required map area cannot be sufficiently displayed with the drawn map area, the map area including the additional map area in the moving direction is drawn again on the first map layer in advance, and then the second map layer is displayed again Instead, the first map layer is displayed. Through this process,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can be solved by alternately displaying the first map layer and the second map layer on the screen.

2. 본 발명의 단말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2. Configuration of terminal device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1. 시스템 전체구성2.1.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도 1을 들어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의 기본 구조 및 전제 구성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basic structure and the pre-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도 1에 보듯이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하고, 외부 기기 및 지도 데이터, 지도 표시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400), 지도 데이터 및 지도 표시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00), 제1 지도 레이어 및 제2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고 상기 레이어들간의 화면표시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연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설명하지 않은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에 포함되는 GPS 수신 모듈과 같은 공지의 구성은 본 발명에서 통상의 기술자의 기술수준에서 볼 때 당연히 포함될 수 있는 구성이라 할 것이어서 그 도시와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 ,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500 for displaying a map screen, and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server (not shown) that provides map data and map display information data. A communication unit 400, a memory unit 200 for storing map data and map display information data, and a control/arithmetic unit 300 for drawing the first map layer and the second map layer and controlling screen display switching between the layers. is comprised of A known configuration such as a GPS receiving module included in a terminal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at has not been described above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naturally included in view of the technical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present invention, so a separate description from the illustration is provided. omit

전체적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자면, 메모리부(200)는 통신부(400)를 통해서 수신되는 지도 데이터 및 지도 표시정보 데이터 등 제1, 2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연산부(300)는 메모리부(200)로 수신되어 저장된 상기 각종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1, 제2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고, 제1, 제2 지도 레이어의 화면표시전환을 결정하고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overall system, the memory unit 200 stores data necessary for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map layers, such as map data and map display information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 The control/arithmetic unit 300 draws the first and second map layers using the various data received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200 , and determines and executes screen display switching of the first and second map layers. carry out

2.2. 메모리부(200)의 구체적인 구성2.2.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memory unit 200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단말장치의 메모리부(20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230), 지도상에 표시되는 각종 데이터(관심지점 정보, 사용자 지정지역 정보 등)를 저장하는 지도 표시정보 저장부(240), 제어/연산부(300)에서 드로잉한 제1, 제2 지도 레이어를 저장하는 제1, 제2 지도 레이어 저장부(210, 22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 the memory unit 200 of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p data storage unit 230 for storing map data more specifically, and various data displayed on the map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The map display information storage unit 240 for storing designated area information, etc.), and the first and second map layer storage units 210 and 220 for storing the first and second map layers drawn by the control/arithmetic unit 300 . is composed of

본 발명의 메모리부(200), 지도 데이터 저장부(230) 및 특히 지도 표시정보 저장부(240)는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전에 전체 데이터를 저장하여 놓고 오프라인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혹은 주기적으로 서버(미도시)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임시 저장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라인/오프라인 방식을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사용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200)는 SSD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휘발성 메모리와의 공지의 복합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200, the map data storage unit 230, and in particular the map display information storage unit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the hybrid method location-based service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by storing the entire data in advance. It can be placed and used offline, and when a user wants to use it online,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update data from a server (not shown)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nd configure it as a temporary storage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online/offline method as a hybrid method, the memory unit 200 may have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n SSD or a known complex structure with a volatile memory.

2.3. 제어/연산부(300)의 구체적인 구성2.3.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ntrol/arithmetic unit 300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어/연산부(300)는 표시 레이어 교체수단(310); 현재 위치 및 진행방향 검출부(321), 지도 경계영역 결정부(322), 경계영역 접근 검출부(323)의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시 레이어 교체 결정수단(320); 교체 레이어 드로잉 시작점 검출부(331), 교체레이어 드로잉 영역 결정부(332)의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체레이어 드로잉 제어부(330); 표시레이어 드로잉 수단(341), 교체레이어 드로잉 수단(3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도 레이어 드로잉부(340); 지도데이터 갱신 선택부(350);의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 the control/arithmetic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layer replacement unit 310 ; a display layer replacement determining unit 320 configured to include some or all of the current position and moving direction detecting unit 321 , the map boundary area determining unit 322 , and the boundary area approach detecting unit 323 ; a replacement layer drawing control unit 330 including some or all of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starting point detection unit 331 and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area determining unit 332; a map layer drawing unit 340 comprising a display layer drawing unit 341 and a replacement layer drawing unit 342; The map data update selection unit 35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rt or all of.

2.3.1. 지도데이터 갱신 선택부(350)2.3.1. Map data update selection unit 350

지도 데이터 갱신 선택부(350)은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를 오프라인 모드 혹은 온라인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The map data update selection unit 350 allows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perate in an offline mode or an online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manipulation.

지도 데이터 갱신 선택부(350)가 온(ON)되어 있는 경우, 단말장치(100)의 통신부(400)는 단말장치(100)의 외부(서버)로부터 지도 데이터 및/혹은 지도 표시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 혹은 소정의 주기로 수신하여 각각 지도 데이터 저장부(230), 지도 표시정보 저장부(240)에 저장함으로써, 단말장치(100)가 온라인 모드(모바일 웹 지도 애플리케이션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When the map data update selection unit 350 is turned on, the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map data and/or map display information data from the outside (serv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real time. Alternatively, the terminal device 100 is operated in an online mode (mobile web map application mode) by receiving it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storing it in the map data storage unit 230 and the map display information storage unit 240 , respectively.

지도 데이터 갱신 선택부(350)가 온(OFF)되어 있는 경우, 단말장치(100)의 제어/연산부(300)는 사전에 혹은 단말장치(100)가 온라인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지도 데이터 저장부(230), 지도 표시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장치(100)가 오프라인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 경우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를 하지 않고 오프라인 모드로 동작하는 것일 뿐, 단말장치(100)가 종래의 네이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것은 아니며, 온라인 모드에서와 동일하게 웹 지도 방식으로 동작이 가능하다.When the map data update selection unit 350 is turned on, the control/arithmetic unit 300 of the terminal device 100 controls the map data storage unit ( 230), the terminal device 100 operates in an offline mode by drawing a map layer using data stored in the map display information storage unit 240 . In this case, it is only operating in the offline mode without updating the map data, and the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operate in the conventional native mode, and can be operated in the same way as in the online mode in the web map method.

2.3.2. 지도레이어 드로잉부(340)2.3.2. Map layer drawing unit (340)

지도 레이어 드로잉부(340)는 표시 레이어 드로잉 수단(341)과 교체 레이어 드로잉 수단(3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p layer drawing unit 340 includes a display layer drawing unit 341 and a replacement layer drawing unit 342 .

표시 레이어 드로잉 수단(341)은 제1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여 메모리부(200)의 표시 레이어 저장부(210)에 저장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한다. 표시 레이어 드로잉 수단(341)은 단말장치(100)의 동작 초기에만 동작하고, 이후에는 후술하는 교체 레이어 드로잉 수단(342)에서 드로잉한 제2 지도 레이어를 그대로 이전의 제1 지도 레이어와 교체하여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제어/연산부(300)이 제어할 수 있다.The display layer drawing unit 341 draws the first map layer, stores it in the display layer storage unit 210 of the memory unit 200 ,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500 . The display layer drawing means 341 operates only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 and thereafter, the second map layer drawn by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means 342 to be described later is replaced with the previous first map layer and stored. and the control/arithmetic unit 300 may control it in a manner tha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0 .

교체 레이어 드로잉 수단(342)는 상기 제1 지도 레이어와 교체하여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는 제2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여 메모리부(200)의 교체 레이어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한다.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unit 342 draws a second map lay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0 by replacing the first map layer, and stores it in the replacement layer storage unit 220 of the memory unit 200, and displays it. It is indicated in part 500.

2.3.3. 교체레이어 드로잉 제어부(330)2.3.3. Replacement layer drawing control unit (330)

교체레이어 드로잉 제어부(330)는 교체레이어 드로잉 시작점 검출부(331) 및/또는 교체레이어 드로잉 영역 결정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교체레이어의 드로잉 시기 및 드로잉 영역을 결정하고 제어한다. 시스템 설정에 따라서 교체레이어 드로잉의 시기를 따로 제어하지 않고 소정의 주기별로 자동적으로 교체레이어의 드로잉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control unit 330 includes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starting point detection unit 331 and/or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area determining unit 332 to determine and control the drawing timing and drawing area of the replacement layer. Depending on the system setting, it may be set to automatically perform drawing of the replacement lay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out separately controlling the drawing time of the replacement layer.

교체레이어 드로잉 시작점 검출부(331)는, 교체레이어 드로잉을 시작할 지점을 검출하여 제2 지도 레이어 생성 시점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단말장치(100) 혹은 단말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의 현재 위치가 제1 현재 위치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이는 후술하는 '현재 위치 및 진행방향 결정부(321)'에서 검출이 가능하다), 단말장치(100)의 위치가 점선으로 표시된 'k'의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에 도달하여 '제1 인접 진행영역'에 오는 경우 교체레이어 드로잉을 시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지도 레이어 드로잉부(340)의 교체 레이어 드로잉 수단(342)에서 제2 지도 레이어의 드로잉을 시작한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제2 지도 레이어(교체레이어)의 드로잉 시점은 교체레이어 드로잉 시작점 검출부(331)의 결정에 의존하지 않고 소정의 주기별로 자동으로 교체레이어의 드로잉을 수행하도록 단말장치(100)를 설정할 수도 있다.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starting point detection unit 331 determines a second map layer creation time by detecting a starting point for drawing the replacement layer. For example, in FIG. 5 ,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or the vehicle on which the terminal device 100 is mounted exists in the first current location area (this is a 'current location and traveling direction determining unit 321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whe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reaches th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k' indicated by a dotted line and comes to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a control signal to start drawing the replacement layer can occur At this time, the drawing of the second map layer is started by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means 342 of the map layer drawing unit 340 described above. As mentioned above, the drawing time of the second map layer (replacement layer) does not depen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start point detection unit 331, and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raw the replacement lay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You can also set

교체레이어 드로잉 영역 결정부(332)는 제2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할 지도영역을 결정한다. 도 6을 참조하여 교체레이어 드로잉 영역 결정부(332)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area determining unit 332 determines a map area in which to draw the second map layer. An operation of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area determining unit 33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단말장치(100)의 위치가 3x3 구역 지도영역에서 중앙구역(A')에서 전방으로 진행하고 있는 경우,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A로 표시된 영역은 제1 현재 위치영역이 되고, B로 표시된 영역은 제1 인접 진행영역이 된다. 이때, 후술하는 현재 위치 및 진행방향 결정부(321)에서 단말장치(100)의 진행방향을 전방방향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교체레이어(제2 지도 레이어)에서 버리는 영역은 A'로 표시된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A로 표시된 영역이 되고, 프리드로우 영역은 C로 표시된 전방영역이 되는 것으로 결정되어 교체레이어 드로잉 수단(342)은 C로 표시된 영역을 교체레이어로 미리 드로잉하게 된다. 만일 현재 위치 및 진행방향 결정부(321)에서 단말장치(100)의 진행방향을 좌회전 혹은 우회전 방향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프리드로우 영역은 C'로 표시된 영역들 중 일부/혹은 전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되어 교체레이어 드로잉 수단(342)은 C로 표시된 영역을 교체레이어로 미리 드로잉하게 된다.Whe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moves forward from the central zone A' in the 3x3 zone map area, the area marked A becomes the first current location area, and the area marked B is the same as in FIG. 5 . It becomes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At this time, when the current location and direction determining unit 3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etermines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s the forward direction, the area discarded in the replacement layer (second map layer) is from the area indicated by A'. It is sequentially determined that the area marked with A and the predraw area become the front area marked with C, so that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means 342 pre-draws the area marked with C as the replacement layer. If the current position and proceeding direction determining unit 321 determines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s a left or right turn, the pre-draw area includes some/or all of the areas indicated by C'. It is determined that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means 342 draws the area marked C in advance as the replacement layer.

2.3.4. 표시 레이어 교체 결정수단(320)2.3.4. Display layer replacement determining means (320)

표시 레이어 교체 결정수단(320)은 현재 위치 및 진행방향 결정부(321), 지도 경계영역 결정부(322), 경계영역 접근 검출부(3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 진행방향을 결정하고, 단말장치(100)이 표시된 지도 영역의 어느 영역에 도달하였는지, 표시 레이어를 교체하여야 하는 시점이 되었는지를 결정한다.The display layer replacement determining unit 320 includes a current position and progress direction determining unit 321 , a map boundary region determining unit 322 , and a boundary region approach detecting unit 323 ,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 , a moving direction is determined, and it is determined which area of the displayed map area the terminal device 100 has reached, and whether it is time to replace the display layer.

현재 위치 및 진행방향 결정부(321)는 GPS 기술 등 공지의 위치파악 기술을 적용하여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 및 진행방향을 소정의 주기적으로 검출한다.The current position and moving direction determining unit 321 detects the current position and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applying a known position finding technology such as GPS technology.

지도 경계영역 결정부(322)는 단말장치(100)의 도달위치 및 진행방향에 따라 표시 레이어를 교체하여야 하는 시점을 판단하기 위하여 기준점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제1 인접진행영역의 끝 경계지점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단말장치(100)가 도달하는 경우 경계영역 접근 검출부(323)에서 표시 레이어 교체시점이 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지도 경계영역 결정부(322)는 제1 인접 진행영역, 제1 현재 위치영역의 가장자리의 좌표값을 산출하여 경계영역 접근 검출부(323), 전술한 교체레이어 드로잉 시작점 검출부(331) 등에 제공한다.The map boundary area determining unit 322 sets a reference point in order to determine when the display layer should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arrival posi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 For example, in FIG. 5 ,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arrives at a loca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boundary point of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the boundary area access detection unit 323 determines that the display layer replacement time has come. To this end, the map boundary area determination unit 322 calculates coordinate values of the edges of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and the first current location area, and the boundary area approach detection unit 323 and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start point detection unit (331) et al.

2.3.5. 표시 레이어 교체수단(310)2.3.5. Display layer replacement means (310)

표시 레이어 교체수단(310)은 전술한 표시 레이어 교체 결정수단(320)이 표시 레이어를 교체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는 지도화면 데이터를 제1 지도레이어(표시 레이어)에서 교체레이어 드로잉 수단(342)이 드로잉한 제2 지도레이어(교체 레이어)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한다.When the display layer replacement determining unit 320 determines to replace the display layer, the display layer replacement means 310 converts the map screen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0 from the first map layer (display layer).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means 342 is converted to the drawn second map layer (replacement layer) and displayed.

이와 같이 표시 레이어 교체수단(310)이 표시 레이어를 교체한 경우, 제2 지도레이어가 제1 지도레이어로 전환되며, 이후 단말장치(100)가 진행을 계속함에 따라 전술한 교체레이어 드로잉 수단(342)이 제2 지도레이어를 드로잉하고, 표시 레이어 교체 결정수단(320)이 표시 레이어의 교체를 결정하여 다시 제1 지도 레이어(표시 레이어)가 제2 지도 레이어(교체 레이어)로 교체되는 과정이 위치 기반 정보 제공서비스를 종료할 때까지 반복된다.In this way, when the display layer replacement means 310 replaces the display layer, the second map layer is switched to the first map layer, and then, as the terminal device 100 continues the process,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means 342 described above ) draws the second map layer, the display layer replacement determining means 320 determines to replace the display layer, and the first map layer (display layer) is replaced with the second map layer (replacement layer) again. This is repeated until the bas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is terminated.

3. 본 발명의 지도 표시 제공 방법3. Map display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도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도 표시 방법은 웹 기술, 특히 HTML5 기술을 적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지도 표시 단말장치 및 시스템을 활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HTML5 기술을 적용한 웹 지도 구현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A map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The map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map display terminal device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web technology, particularly HTML5 technology. It is not limited.

먼저, 지도 표시 서비스를 시작하면, 전술한 지도데이터 갱신 선택부(350)의 설정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한다(s10 ~ s12).First, when the map display service is started, map data is received and stored or updat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above-described map data update selection unit 350 (s10 to s12).

다음으로, 제어 및 연산부(300)는 제1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고 이를 표시 레이어 저장부(210)에 저장하고 표시한다(s20~s30). 제1 지도 레이어의 표시는 표시 레이어 저장부(210)에 저장된 제1 지도 레이어를 읽어 표시할 수도 있다.Next, the control and calculation unit 300 draws the first map layer, stores it in the display layer storage unit 210 and displays it (s20 to s30). The display of the first map layer may be displayed by reading the first map layer stored in the display layer storage unit 210 .

다음으로 단말장치(차량)(100)의 현재 위치/진행방향을 검출하고, 교체 레이어인 제2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고 이를 저장한다(s40, s50). 제2 지도 레이어 드로잉 시작 여부 및 드로잉 영역은 전술한 교체레이어 드로잉 제어부(330)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진행한다. 도 5, 6에 도시하고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지도 레이어의 지도 영역은 제1 지도 레이어에서 제1 현재 위치영역의 전부 혹은 일부는 기 진행영역으로 삭제하고, 제1 인접 진행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제2 현재위치영역으로 드로잉하고, 교체레이어 드로잉 영역 결정부(332)에서 추가 지도 영역으로 결정한 프리드로우 영역(C)을 드로잉하여 제2 지도 레이어의 지도 영역을 완성한다.Next, the current position/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vehicle) 100 is detected, a second map layer that is a replacement layer is drawn, and the second map layer is stored (s40 and s50). Whether to start drawing the second map layer and the drawing area proceeds as in the description of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control unit 330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described above, in the map area of the second map layer, all or part of the first current location area in the first map layer is deleted as a pre-progress area, and a part of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is deleted. Alternatively, the entire area is drawn as the second current location area, and the predraw area C determined as the additional map area by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area determining unit 332 is drawn to complete the map area of the second map layer. .

다음으로, 표시 레이어 교체 결정 수단(320)에서 표시 레이어 교체결정(s60)이 이루어지면, 제1 지도레이어를 제2 지도레이어로 교체하고(s70), 표시한다(s30). 이때, 교체된 제1 지도레이어를 다시 표시레이어 저장부(210)에 저장할 수 있다(s21).Next, when the display layer replacement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to replace the display layer ( s60 ), the first map layer is replaced with the second map layer ( s70 ) and is displayed ( s30 ). In this case, the replaced first map layer may be stored again in the display layer storage unit 210 (s21).

이와 같이 단말장치(차량, 100)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서비스가 종료할 때까지 단말장치(차량, 100)의 진행에 따라 반복적으로 제2 지도레이어를 드로잉하고, 제1 지도레이어와 교체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되풀이함으로써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여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레이어 교체 지도 화면 표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cond map layer is repeatedly draw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terminal device (vehicle, 100) until the terminal device (vehicle, 100) reaches the desired location and the service is terminated, and displays it by replacing it with the first map layer By repeating the proces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isplay layer replacement map screen display method that achieves the intende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nables efficient use of system resources.

앞서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2개의 표시 레이어를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지도 표시 레이어를 3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적용 가능하며, 지도 표시 레이어를 필요시 3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적용 가능한 것임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므로 그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and method using two display layer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y configuring three or more map display layers, and three map display layers if necessary. Sinc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nd apply more than one,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hereto will be omitted.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히 청구항에서(예를 들어, 청구항의 본문) 일반적으로 "개방적인" 용어로 의도된다(예를 들어, "포함하는"은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으로, "가지다"는 "적어도 그 이상으로 가지다"로, "포함하다"는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로 해석되어야 함). 도입된 청구항 기재에 대하여 특정한 개수가 의도되는 경우, 이러한 의도는 해당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되며, 이러한 기재가 부재하는 경우 이러한 의도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generally are intended to be "open-ended" terms, particularly in claims (eg, the body of claims) (eg, "comprising" mean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 "have" should be construed as "have at least more than that" and "include"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Where a specific number is intended for an introduced claim recitation, such intent is expressly recited in that claim, and in the absence of such recitation, such intent is understood to be non-existent.

본 발명의 특정 특징만이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당업자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청구항은 본 발명의 사상 내에 속하는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점이 이해된다.Only specific feature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단말장치 200: 메모리부
300: 제어 및 연산부 400: 통신부
500: 디스플레이부
100: terminal device 200: memory unit
300: control and calculation unit 400: communication unit
500: display unit

Claims (11)

지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메모리부;
지도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및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및 연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1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는 표시 레이어 드로잉 수단;
상기 제1 지도 레이어를 교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제2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는 교체 레이어 드로잉 수단;
소정의 주기로 교체레이어의 드로잉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교체 레이어 드로잉 제어부;
현재 차량의 위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지도 레이어와 제2 지도 레이어를 상호 교체할 것을 결정하는 표시 레이어 교체 결정수단;
상기 제1 지도 레이어를 상기 제2 지도 레이어로 교체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교체레이어 저장부로부터 제2 지도 레이어를 읽어들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표시 레이어 교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 지도 레이어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2 지도 레이어를 미리 그려주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표시 레이어 드로잉 수단에서 드로잉한 제1 지도 레이어를 저장하는 표시 레이어 저장부;
상기 교체 레이어 드로잉 수단에서 드로잉한 제2 지도 레이어를 저장하는 교체 레이어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도는 웹 지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표시용 단말장치.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ap;
memory unit;
Including; a control and calcul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map;
The control and calculation unit,
display layer drawing means for drawing a first map lay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replacement layer drawing means for drawing a second map lay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replacing the first map layer;
a replacement layer drawing control unit controlling to automatically perform drawing of the replacement layer at a predetermined cycle;
display layer replacement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to exchange the first map layer and the second map layer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location data of the current vehicle;
display layer replacement means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replacing the first map layer with the second map layer and displaying it, reading the second map layer from the replacement layer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second map layer on the display unit; ,
while the first map lay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econd map layer is drawn in advance,
The memory unit,
a display lay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irst map layer drawn by the display layer drawing means;
and a replacement lay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cond map layer drawn by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means;
the map is a web map;
A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a map, characterized in tha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도 레이어에 대응되는 지도영역은,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 현재 위치영역;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소정의 제1 인접 진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지도 레이어에 대응되는 지도영역은,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 현재 위치영역;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소정의 제2 인접 진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현재 위치영역은 상기 제1 인접 진행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지도 영역;이고, 상기 제2 인접 진행영역은 상기 제1 인접 진행영역보다 소정의 추가 영역을 더 포함하는 지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표시용 단말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p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p layer,
a predetermined first current location area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predetermined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map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p layer,
a second predetermined current location area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Doedoe configured to include a predetermined second adjacent progress area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he second current location area is a map area including a part or all of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the second adjacent progress area includes a map area further including a predetermined additional area than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A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a map,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지도 표시용 단말장치,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지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지도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지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지도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및 연산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선택값을 설정하는 지도 데이터 갱신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 및 연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1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는 표시 레이어 드로잉 수단;
상기 제1 지도 레이어를 교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제2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는 교체 레이어 드로잉 수단;
소정의 주기로 교체레이어의 드로잉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교체 레이어 드로잉 제어부;
현재 차량의 위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지도 레이어와 제2 지도 레이어를 상호 교체할 것을 결정하는 표시 레이어 교체 결정수단;
상기 제1 지도 레이어를 상기 제2 지도 레이어로 교체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교체레이어 저장부로부터 제2 지도 레이어를 읽어들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표시 레이어 교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 지도레이어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2 지도레이어를 미리 그려주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지도 데이터 갱신 선택부의 설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
상기 표시 레이어 드로잉 수단에서 드로잉한 제1 지도 레이어를 저장하는 표시 레이어 저장부;
상기 교체 레이어 드로잉 수단에서 드로잉한 제2 지도 레이어를 저장하는 교체 레이어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도는 웹 지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도 표시 시스템.
A mobile map display system comprising: a map display terminal device; and a server for transmitting map data to the termina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map display system comprising:
The terminal device i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ap;
a memory unit for storing map data;
a control and calcul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map;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receives data to/from the server;
and a map data update selection unit configured to set a selection value for whether to update the map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control and calculation unit,
display layer drawing means for drawing a first map lay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replacement layer drawing means for drawing a second map lay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replacing the first map layer;
a replacement layer drawing control unit controlling to automatically perform drawing of the replacement layer at a predetermined cycle;
display layer replacement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to exchange the first map layer and the second map layer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location data of the current vehicle;
display layer replacement means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replacing the first map layer with the second map layer and displaying it, reading the second map layer from the replacement layer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second map layer on the display unit; ,
drawing the second map layer in advance while the first map lay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memory unit,
a map dat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map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a setting value of the map data update selection unit;
a display lay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irst map layer drawn by the display layer drawing means;
and a replacement lay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cond map layer drawn by the replacement layer drawing means;
the map is a web map;
A mobile map display system featur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도 레이어의 지도영역은,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 현재 위치영역;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소정의 제1 인접 진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지도 레이어의 지도영역은,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 현재 위치영역;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소정의 제2 인접 진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현재 위치영역은 상기 제1 인접 진행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지도 영역;이고,
상기 제2 인접 진행영역은 상기 제1 인접 진행영역보다 소정의 추가 영역을 더 포함하는 지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도 표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p area of the first map layer comprises:
a predetermined first current location area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predetermined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map area of the second map layer may include: a predetermined second current location area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Doedoe configured to include a predetermined second adjacent progress area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he second current location area is a map area including a part or all of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and the second adjacent progress area is a map area further including a predetermined additional area than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도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 표시를 위한 제1 지도 레이어를 드로잉하는 제1 지도 레이어 드로잉 단계;
드로잉한 상기 제1 지도 레이어를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1 지도 레이어 표시 단계;
지도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 표시를 위한 제2 지도 레이어를 소정의 주기로 자동으로 드로잉하되, 상기 제1 지도레이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동안 미리 드로잉하는 제2 지도 레이어 드로잉 단계;
상기 제1 지도 레이어 표시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1 지도 레이어와 교체하여 상기 드로잉한 제2 지도 레이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지도레이어 교체 결정 단계;
상기 제1 지도 레이어를 표시한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말 현재 위치 검출 단계;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가 제1 지도 레이어에 표시되는 지도 좌표상의 소정의 경계지점에 이르렀는지를 확인하는 경계지점 도달 여부 확인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지점 도달 여부 확인 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제1 지도 레이어에 표시되는 지도 좌표상의 소정의 경계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지도레이어 교체 결정 단계에서 제2 지도 레이어를 제1 지도 레이어와 교체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지도는 웹 지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화면 표시 방법.
a first map layer drawing step of drawing a first map layer for display display from the map data;
a first map layer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drawn first map layer on a display of a terminal device;
a second map layer drawing step of automatically drawing a second map layer for display display from map data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drawing in advance while the first map layer is displayed on a display;
a map layer replacement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display the drawn second map layer on a display by replacing the first map layer displayed on a display in the first map layer display step;
a terminal current location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displaying the first map layer;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has reached a boundary point on the map coordinates displayed on the first map layer; including,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boundary point has been reached,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reaches a predetermined boundary point on the map coordinates displayed on the first map layer, the second map layer is combined with the first map layer in the map layer replacement determination step decide to replace it and show it on the display,
the map is a web map;
A map data screen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도 레이어는 제1 지도 레이어와 상이한 것이고,
상기 제1 지도 레이어의 지도영역은,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 현재 위치영역;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소정의 제1 인접 진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지도 레이어의 지도영역은,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 현재 위치영역;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소정의 제2 인접 진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현재 위치영역은 상기 제1 인접 진행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지도 영역;이고,
상기 제2 인접 진행영역은 상기 제1 인접 진행영역보다 소정의 추가 영역을 더 포함하는 지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화면 표시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map layer is different from the first map layer,
The map area of the first map layer is
a predetermined first current location area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predetermined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map area of the second map layer may include: a predetermined second current location area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Doedoe configured to include a predetermined second adjacent progress area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he second current location area is a map area including a part or all of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and the second adjacent progress area is a map area further including a predetermined additional area than the first adjacent progress area.
삭제delete
KR1020150092894A 2015-06-30 2015-06-30 System and method for HTML5 map update KR1023950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894A KR102395021B1 (en) 2015-06-30 2015-06-30 System and method for HTML5 map upd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894A KR102395021B1 (en) 2015-06-30 2015-06-30 System and method for HTML5 map upd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38A KR20170002938A (en) 2017-01-09
KR102395021B1 true KR102395021B1 (en) 2022-05-06

Family

ID=5781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894A KR102395021B1 (en) 2015-06-30 2015-06-30 System and method for HTML5 map upd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0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47674B (en) * 2018-02-09 2019-01-1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different navigation pictu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7243A (en) * 2012-06-13 2013-12-26 Honda Motor Co Ltd Map creation system, map creation device, map crea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200B1 (en) * 2003-03-07 200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guiding route of vehicle using partial map
KR101071194B1 (en) 2009-06-10 2011-10-10 (주)시터스 Method for selectively providing text messag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phone
KR20110060546A (en) * 2009-11-30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Navigation system for updating map layers partly,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720975B1 (en) * 2010-08-23 2017-04-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image in navigation system
KR101863191B1 (en) * 2011-06-30 2018-05-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Real-time map data update managing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7243A (en) * 2012-06-13 2013-12-26 Honda Motor Co Ltd Map creation system, map creation device, map crea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38A (en)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84822A1 (en) Input/Output Functions Related to a Portable Device In An Automotive Environment
US103035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grating virtual machine for improving mobile user experience
CN110069580B (en) Road marking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8788203B2 (en) User-driven navigation in a map navigation tool
KR1020996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an application displayed split view in portable terminal
US9684947B2 (en) Indicating availability of indoor content on a digital map
KR20170046675A (en) Providing in-navigation search results that reduce route disruption
EP2741205B1 (en) Display system, display controller, program and method
US20140152562A1 (en) Display controller, display system, storage medium and method
AU2017268643B2 (en) Menu modification based on controller manipulation data
CN105224337B (en) A kind of desktop starter dynamic addition floating window method
CN109726368B (en) Map marking method and device
CN105373534B (en) List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list display terminal
KR1023950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HTML5 map update
US103388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US10901549B2 (en) Program, computer apparatus, program execution method, and system
CN111596875B (en) Screen expans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5964995A (en) Document content updat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365635B1 (en) Map coordination movement and rotation method and implementing device thereof
JP6834253B2 (en) Map display operation system, display device and map display operation program
KR102418054B1 (en) Contents displaying method wjithin navigation map through mirroring of smart devices
KR20150110558A (en) Computing system with content access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413962B2 (en) In-vehicle apparatus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JP2017116441A (en) Guide system, guide method, and guide program
JP6143871B2 (en) Map display system, map display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