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993B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free charging ticket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free charging ti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993B1
KR102394993B1 KR1020200090431A KR20200090431A KR102394993B1 KR 102394993 B1 KR102394993 B1 KR 102394993B1 KR 1020200090431 A KR1020200090431 A KR 1020200090431A KR 20200090431 A KR20200090431 A KR 20200090431A KR 102394993 B1 KR102394993 B1 KR 10239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free
information
use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4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0708A (en
Inventor
박정원
박윤호
이재성
김현
최선아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0641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38851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200090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993B1/en
Publication of KR2020009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7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9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콘텐츠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를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자 테이블에 매핑 결과를 기록하며, 매핑 결과가 기록된 사용자 테이블에 기초하여, 매핑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연관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을 포함한 이용권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transmit, to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tent is the content subject to the applica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that is charged for free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table of the database including meta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Receive an activation request for starting charging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for the content subject to the charging use right from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activation request is received, the user and the content for which the activation request is received are mapped to a user of the database a free charg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that records a mapping result in a table, and starts charging of the free charge use ticket with respect to the mapped content based on the user table in which the mapping result is recorded; And upon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check the use right information including the free charging use right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and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comprising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reques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It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free charging vouch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free charging voucher performed by the system.

Description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FREE CHARGING TICKET}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free charging vouchers

본 발명은 이용권 기반으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 및 작품이 비약적으로 증가함에 따른 서버 부하를 낮출 수 있고, 또한 무료 충전 이용권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content to a user based on a usage righ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erver load as the number of users and works dramatically increases in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based on a free charging voucher that is charg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granted to the user. , and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free charging pass that can efficiently provide a free charging pass, and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free charging pass through which the method is performed.

바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인터넷을 통한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만화, 드라마, 영화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It is common for modern people who live busy lives to receive various contents such as cartoons, dramas, and movies by using smart phone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rough the Internet.

스마트 폰을 통한 콘텐츠 제공은 일반적으로 상기 콘텐츠들을 서비스하는 플랫폼을 통해 실시된다. 콘텐츠 소비자들은 스마트 폰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플랫폼에 접속하고, 스마트 폰은 해당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다운받아 소비자에게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 Content provision through a smart phone is generally performed through a platform that serves the contents. Content consumers access a platform that provides desired content with their smart phone, and the smart phone downloads data used to execute the content and provides the content to consumers.

이러한 플랫폼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우선, 무료로 콘텐츠를 제공하여 플랫폼 사용자를 증가시키고, 증가한 사용자를 기반으로 광고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무료 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그리고 콘텐츠를 유료로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유료 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이 있다. These platforms generate revenue in two main ways. First, there is a free-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that increases platform users by providing content for free, and generates revenue through advertisements based on the increased users, and a paid-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that generates revenue by providing content for a fee. there is.

예전에는 콘텐츠를 소비하는데 있어 유료에 대한 거부감이 매우 큰 것이 일반적인 온라인 소비 환경이었다. 그 때문에 무료 콘텐츠 제공 플랫폼이 더 우세하였다. In the past, it was a general online consumption environment where the objection to paying for content was very high. Because of that, platforms that provide free content have been more dominant.

그러나, 무료 콘텐츠 제공 플랫폼은 수익이 광고 등과 같은 간접적 수단에 의해 창출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힘들고, 고성능의 콘텐츠 제공 환경을 구비하는 것이 제한적이다. 특히, 수익의 극대화를 위해 광고가 남발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free content providing platform generates revenue by indirect means such as advertisements, it is difficult to stably provide various contents, and it is limited to provide a high-performance content provid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user convenience is greatly reduced because advertisements may be excessively used to maximize profits.

한편, 유료 콘텐츠 제공 플랫폼의 경우, 많은 소비자들이 콘텐츠를 유료로 구매한 이후에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할지 여부에 대한 의심 때문에 콘텐츠의 유료 구매를 꺼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aid content providing platform, many consumers are reluctant to purchase content after paying for it, due to doubts about whether it will satisfy consumers' needs.

이러한 상황에서, 본 출원인은 이른바 기다리면 무료라는 비즈니스 모델을 웹툰, 웹소설 등의 콘텐츠 서비스 제공에 도입하였다. 소정 시간 기다리면 무료로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은 플랫폼 내로 사용자들의 유입을 크게 증가시키고 사용자들의 자연스러운 유료 콘텐츠 소비를 가능하게 하여 웹툰, 웹소설 등의 유료 콘텐츠 시장 및 관련 생태계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In this situation, the present applicant introduced the so-called wait-free business model to provide content services such as webtoons and web novels. The method of allowing users to watch content for free after waiting a certain amount of time greatly increases the influx of users into the platform and enables users to consume paid content naturally, leading to the growth of the paid content market such as webtoons and web novels and related ecosystems. Non-Patent Document 1).

2015. 12. 20. 브릿지 경제 인터넷 기사 [카카오페이지 '기다리면 무료', 콘텐츠 결제 문화 이끈다] 2015. 12. 20. Bridge Economy Internet Article [Kakao Page 'wait free', leading content payment culture]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되어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free charging voucher for more efficiently performing a service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based on a free charging voucher that is charg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granted to the user suggest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일 측면에서, 개별 사용자 및 개별 콘텐츠 별로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여부 등이 다르고 충전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와 콘텐츠 수가 늘어날수록 데이터 베이스와 서버의 부하가 비약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other aspect,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load on the database and server dramatically increases as the number of users and content increases because the application of free charging vouchers for each user and individual content is different, and the charging time is different. It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free charging vouchers that can be sol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은, 콘텐츠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를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매핑 결과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 결과가 기록된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매핑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free charging use ticket performed by a server is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content information table of a database including meta-information about content, in which content is charged for fre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content is subject to charging use right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an activation request for starting charging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for content subject to the free charging voucher; when the activation request is received, mapping the user and the content for which the activation request is received, and recording the mapping result in a user information table of a database; and initiating charging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for the mapped content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able in which the mapping result is recor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dable by a computer and can store program instructions operable by the computer. Here, when the program instruction i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he processor may perform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the free charging use vouch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동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동영상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를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자 테이블에 매핑 결과를 기록하며, 매핑 결과가 기록된 사용자 테이블에 기초하여, 매핑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연관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을 포함한 이용권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based on a free charging pass including a server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based on a free charging use ti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 content information table of a database including meta information about conten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tent is subject to the applica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that is charged free of char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an activation request for starting the charging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for the content subject to the free charging use voucher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activation request is received, the mapping result is recorded in the user table of the database by mapping the user and the content received with the activation request, and based on the user table in which the mapping result is recorded, the mapped content is a free charging usage right management unit that starts charging of the free charging usage vouchers;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upon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provision from the user terminal, confirms use right information including the free charging use ticket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content information of the reques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ca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되어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에 있어서, 무료 충전 이용권 활성화 신호를 개별 사용자 단말 측으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사용자에 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의 부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free charging vouch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based on a free charging voucher given to the user after being charg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activated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an individual user terminal side, it is possible to grant a free charging use right to a user, thereby minimizing the load on the server.

또한, 무료 충전 이용권에 연관된 콘텐츠 관련 정보를 기록한 테이블, 무료 충전 이용권에 연관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기록한 테이블로 각각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특정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에 대해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를 요청한 경우에 상기 테이블을 매핑함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 베이스 관리와 동시에 신속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database is made into a table recording content-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free charging vouchers and user-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free charging vouchers, and when a specific user requests activation of a free charging voucher for specific content, the table is By mapping, efficient database management and rapid data processing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이에 따라 사용자와 콘텐츠 수가 크게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사용자에게 무료 충전 이용권에 기반하여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서비스를 효율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플랫폼 만족도와 충성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users and contents increases significantly, contents can be efficiently provided to users based on free charging vouchers. can increase profits.

아울러, 상기 시스템의 사용자 측면에서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 여부, 충전 완료 여부는 사용자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빈도, 시각에 따라 다른 사용자들보다 더 많은 무료 충전 이용권이 사용되도록 개별화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 제공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 충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from the user side of the system, since the activa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and whether the charging is completed can be individually set for each user, it can be individualized so that more free charging vouchers are used than other users according to the access frequency and time. ca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er's reliance on and loyalty to the free charging voucher provision servi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이 활성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공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과정을 상황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은 단지 설명(illustration)의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묘사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 및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 free charging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charging of a free charging voucher is activ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isplaying free charge usage right information o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user receives content by using a free charging p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process based on a free charging use voucher according to situa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depic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at alternative embodiments of the structures and methods described herein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실시예들은 여기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원리들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로 제한되어 생각되지 않아야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잘 알려진 특징 및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실시예의 특징을 불필요하게 불명확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생략될 수도 있다.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inciple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eatures and techniques may be omitted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features of the embodiments.

용어 정의Term Definition

본 명세서에서,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는 웹툰, 웹소설, 디지털 서적, 영화, 방송 등에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를 지칭한다. 여기서, "제공자"는 사용자(또는 가입자들)에게 돈을 받고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를 의미한다. 콘텐츠 제공자는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VOD(Video On Demand) 사업자, AOD(Audio On Demand)사업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정보 또는 개별 정보 요소를 지칭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하는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로서, 텍스트 (예컨대, 웹소설, 그 외 디지털 서적), 텍스트와 이미지의 조합 (예컨대, 웹툰), 동영상 등과 같이 특히 부하가 큰 콘텐츠에 유용하다. As used herein, "content provider" refers to a subject that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webtoons, web novels, digital books, movies, broadcasts, and the like. Here, "provider" means an "online service provider" that receives money and provides information to users (or subscribers). The content provider may include a TV broadcasting station, a radio broadcasting station, a video on demand (VOD) provider, an audio on demand (AOD) provider, and the like. As used herein, “content” is a concept that refers to information or individual information elements that can be provided to a user by being implemented in text, image, video, audio,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provided through a platform accessed by a plurality of users,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content with a high load, such as text (eg, web novel, other digital book), a combination of text and image (eg, webtoon), and moving picture. useful.

본 명세서에서,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를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되고 이용권에 기반하여 콘텐츠 제공을 요청 및/또는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장치(예컨대, 사용자 단말)는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콘텐츠를 장치에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 정보는 단일 종류의 미디어(monomedia), 복수 종류의 미디어(multimedia) 및/또는 그 부분 집합(subset)인 동영상 컴포넌트의 집합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동영상 정보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 트랙 정보, 코덱 계층 정보(예를 들어, 기본 계층(base layer), 향상 계층(enhancement layer)), 또는 자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data and/or information used to implement content. A device (eg, a user terminal) that is serviced by a usage right-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that requests and/or receives content provision based on a usage right receives content information, implements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device and provides content to the user can do.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is a moving picture, the moving picture information means set information of a single type of media (monomedia), a plurality of types of media (multimedia), and/or a moving picture component that is a subset thereof, and the moving picture information may include image and/or audio track information, codec layer information (eg, a base layer, an enhancement layer), or subtitle information.

본 명세서에서, “메타 정보”는 콘텐츠에 연관된 정보로서, 서버 주소, 콘텐츠의 ID, 제목, 순서, 구간 길이, 용량 등과 같은 기초 메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정보에 접근 가능한 URL,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판단 값 등과 같은 상세 메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콘텐츠의 속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ta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and includes basic meta information such as a server address, ID of the content, title, order, section length, capacity, and the like. In addition, detailed meta information such as a URL that can access content information and a judgment value used to determine whether a free charging pass is applied,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operties of the content may be included. .

본 명세서에서, “기본 콘텐츠”는 아래의 서브 콘텐츠로 이루어진 상위 콘텐츠로서,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가 제작하거나 서비스로 제공하는 서비스 대상을 지칭한다. As used herein, “basic content” refers to a service target produced by a content provider or provided as a service as upper content composed of the following sub-contents.

일 예에서,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기본 동영상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라고 지칭되는 동영상을 나타낸다 (예컨대, 방송사에서 방영하는 시리즈 물에서, 한 회 차의 방송분(프로그램)이 기본 동영상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는, 한편의 영화 역시 기본 동영상으로 지칭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when the content is a moving picture, the basic moving picture represents a moving picture generally referred to as a program (eg, in a series aired by a broadcasting company, a broadcast portion (program) of one episode may be referred to as a basic moving picture) . Alternatively, one movie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basic moving picture.

다른 일 예에서, 콘텐츠가 소설(웹소설), 만화(웹툰), 그 외 디지털 서적 (웹툰, 웹소설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이하 동일하다) 등 권 단위로 서비스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인 텍스트 콘텐츠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 조합 콘텐츠인 경우, 기본 소설, 기본 만화, 기본 서적은 한 권의 소설, 만화, 서적을 나타낸다. 물론, 기본 소설, 기본 만화, 기본 서적은 아직 완결이 안되고 연재가 진행중인 경우도 포함한다.In another example, it is common that the content is provided in units of volumes, such as novels (web novels), cartoons (webtoons), and other digital books (a concept excluding webtoons and web novels.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In the case of a combination of and image content, the basic novel, basic cartoon, and basic book represent a single novel, comic, or book. Of course, basic novels, basic comics, and basic books are not yet completed and serialization is in progress.

본 명세서에서, “서브 콘텐츠”는 기본 콘텐츠의 전체 구간을 복수 개의 서브 구간으로 구획한 콘텐츠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서브 동영상”은 기본 동영상의 전체 구간을 시간 별로 복수 개의 서브 구간으로 구획한 동영상을 의미한다. 각 구간의 서브 동영상들은 그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과 이어져 전체 동영상 재생 구간을 형성한다. 통상 '클립'으로 알려진 동영상의 일부 단편은 서브 동영상과 다르다. In this specification, “sub content” refers to content in which the entire section of the basic cont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sections. In one example, when the content is a video, “sub video” means a video in which the entire section of the basic video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sections by time. The sub-videos of each section are connected to the sub-videos of the next section to form the entire video playback section. Some fragments of a video, commonly known as 'clips', are different from sub-movies.

한편, 콘텐츠가 예컨대 복수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웹툰, 웹소설이거나, 복수의 장(chapter)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서적과 같이 복수의 회 차로 이루어진 경우, 복수의 회 차로 이루어진 작품 전체가 기본 콘텐츠에 대응되고, 개별 회 차가 서브 콘텐츠에 대응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consists of a plurality of episodes, such as a webtoon or a web nove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episodes, or a digital book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hapters, the entire work consisting of the plurality of episodes corresponds to the basic content, and each The episode may correspond to the sub content.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는 임의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며, (예컨대, “재생”과 같은) “실행”은 콘텐츠의 구성요소(예컨대, 동영상의 경우 프레임과 같은 이미지)가 연속되어 사용자에게 콘텐츠로 인식되게 하는 것을 나타낸다.In this specification, “display” refers to allowing arbitrary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and “execution” (eg, “playback”) means that a component of content (eg, an image such as a frame in the case of a moving picture) is continuous This indicates that the content is recognized by the user.

본 명세서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이란 사용자가 소정 시간을 기다리면 결제 없이 무료로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이용권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free charging voucher” refers to a voucher given to a user for free without payment when the user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 예컨대 모바일, PC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erms such as “unit,” “module,” “device,” “terminal,” “server,” or “system,” are intended to refer to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riven by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hardware may be a dat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CPU or other processor, such as a mobile, PC. In addition, software driven by hardware may refer to a running process, an object, an executable file, a thread of execution, a program, and the like.

실시예들의 설명Description of embodiments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이용권 기반 동영상 제공 시스템(1)은 네트워크(2)를 통하여 서버(3)와 사용자 단말(4)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1)은, 상기 서버(3)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용권 결제를 위한 금융기관 서버(5) 및/또는 콘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 free charging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usage right-based video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configured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3 and the user terminal 4 through the network 2 . In some embodiments, the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5 and/or a content providing server (not shown)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3 , for payment of a usage right.

서버(3)는 네트워크(2)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과 같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4)와 통신한다. 네트워크(2)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 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2)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rver 3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client devices 4 such as user terminals via a network 2 . The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network 2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which the object and the object can network, and may be wired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3G, 4G, 5G wired Internet or wireless Internet, and in addition to this, a wired public network , may be a core network integrated with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mobile Internet, Name System),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 etc. may be an open computer network,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network 2 may b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GSM), an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DGE),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 -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Bluetooth (Bluetooth), Zigbee, Wi-Fi (Wi-Fi),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ltrasound-based communication It can refer to a communication network b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부 실시예에서, 객체 간의 기능, 특성 등에 따라 사용되는 네트워크(2)의 종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와 서버(3) 간에는 FTP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 있지만, 서버(3)와 사용자 단말(4) 간에는 WiFi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도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type of network 2 used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functions,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between objects. For example, an FTP network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the server 3 , but a WiFi network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erver 3 and the user terminal 4 .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서버(3)는 콘텐츠 제공부(31), 및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를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관련 정보(예컨대, 콘텐츠 정보 등을 포함함)를 포함하는 콘텐츠 테이블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테이블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를 더 포함한다. 서버(3)의 다른 실시예들은 추가적이거나, 더 적거나, 또는 상이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3)는 콘텐츠 생성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server 3 includes a content providing unit 31 , and a free charg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33 . 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database storage unit 37 for storing a content table including content-related information (eg, including content information, etc.) and a user table including user-related information. Other embodiments of the server 3 may include additional, fewer, or different elements. For example, the server 3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generating unit 35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4) 및 상기 서버(3)와, 이에 포함된 각 부(unit)[또는 모듈(module)]와 같은 구성요소[예컨대, 콘텐츠 제공부(31),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 콘텐츠 생성부(35) 중 하나 이상]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specification, the system and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entirely hardware, or may have aspects that are partly hardware and partly software.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4 and the server 3, and components such as each unit (or module) included therein (eg, the content providing unit 31 ,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management unit 33 ) ), the database storage unit 37, and the content generation unit 35] may collectively refer to hardware and related software for processing and/or exchanging data of a specific format and content in an electronic communication method.

도 1을 참조하면, 서버(3)의 각 구성요소(31-37)는 상호간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나, 반드시 물리적으로 집적된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위치하는 개별 서버 또는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각 부(31-37)는 이들이 구현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하는 동작에 따라 장치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서로 분리된 별개의 소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부(31) 및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반드시 분리된 별개의 소자를 의미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1 , each of the components 31 to 37 of the server 3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does not necessarily constitute one physically integrated device. For example, the database storage unit 37 may be separate servers or computing devices located communicatively with each other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In addition, each of the units 31 to 37 is only function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in which they are implemented,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separate elements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unit 31 and the free charging use right managing unit 33 do not necessarily mean separate separat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버(3)는, 사용자 단말(4)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과 통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서버(3)는 사용자 단말(4)에 저장에 저장될 수 있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상기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 기반의 서비스를 운영한다. The server 3 is configured to enable execution of a function of the application by communicating with an application (or an app) executed on the user terminal 4 . Specifically, the server 3 operates a server-based service that supports any applications tha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in the user terminal 4 and/or a terminal application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usage right.

특히, 서버(3)는 이용권 여부에 따라 웹툰, 웹소설, 디지털 서적, 동영상 등 과 같은 콘텐츠의 배포가 사용자에게 가능하도록 만들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4)에 설치된 단말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서버(3)에 전송하고 서버(3)로부터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즉, 서버(3)로부터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rver 3 makes it possible for the user to distribute content such as webtoons, web novels, digital books, videos, etc.,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has a right to use, and accordingly, the termina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4 is automatically or In response to the request, a request for provision of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 and the content may be provided from the server 3 (ie, data and/or information for executing the content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3 ). there is].

도 2를 참조하면, 서버(3)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로부터 콘텐츠 제공 요청 신호 또는 콘텐츠 구매 신호(이 신호는 자동 구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를 수신하고, 이용권과 같은 열람 권한 정보를 확인하며, 구매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콘텐츠 정보, 및/또는 메타 정보, 추가적으로 (이용권 소진 알림과 같은) 열람 권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 the server 3 receives, for example, a content provision request signal or a content purchase signal (this signal may include an automatic purcha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4 , and reads such as a use ticket. It is configured to check the right inform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urchased content [content information, and/or meta information, additionally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ading right (such as a notice of exhaustion of use rights)] to the user terminal 4 .

콘텐츠 제공부(31)는 콘텐츠 관련 정보의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할 경우, 이에 응답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content-relate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4 , the content providing unit 31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4 in response thereto.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부(31)는 아래에 서술된 바와 같이, 사용 가능한 이용권이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부(31)는 콘텐츠 제공 AP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described below, the content providing unit 31 may be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available usage right, and to perform a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that provides content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there is. 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unit 31 may include a content providing API module.

콘텐츠 제공부(31)는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서비스 중인 콘텐츠에 연관된 정보로서, 사용자가 콘텐츠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를 제공 받고, 기본 콘텐츠 및/또는 서브 콘텐츠를 선택 가능한 콘텐츠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가 서비스 제공 중인 콘텐츠의 메타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unit 31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serviced for the user's selection, and is information used to display a content home screen in which the user is provided with a basic introduction to the content and selects the basic content and/or sub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 . For example, the server 3 may transmit meta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provided as a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4 .

또한, 콘텐츠 제공부(31)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한 뒤, 제공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에서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함)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unit 31 receives a request for provision of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nd then provides content information (eg, including information used for implementation in the user terminal 4 ) of the content requested to be provide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

상기 정보 제공은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예컨대, 임의의 정보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의 이용권 여부 등을 포함함) 수행된다.The provision of the information is performed based on various conditions (eg, whether or not the user has the right to use any information requesting).

본 명세서에서, '이용권'이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 권한을 의미하며,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내 가상 화폐로 표현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use right' means a right to use content, and may be expressed as virtual currency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 free charging use right.

여기서, 사용자가 지불하는 현금/카드는 서버 내의 전자 화폐로 변환되고, 이 전자 화폐가 각 동영상을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ticket)으로 바뀔 수 있다. 그러나, 이용권은 반드시 실제 화폐를 이용하여 결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화폐 등을 이용하여 결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권을 구매하는 수단은 즉시 결제, 정기 결제 또는 전자 상품권(voucher)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용권은 전체 기본 콘텐츠 이용권으로도 구매할 수 있지만, 개별 서브 콘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낱개의 이용권으로도 구매할 수 있다. Here, the cash/card paid by the user is converted into electronic money in the server, and the electronic money can be converted into a ticket for viewing each video. However, the usage righ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paid using real money, and may be paid using electronic money or the like. For example, the means for purchasing the voucher may be made in various ways, such as immediate payment, regular payment, or an electronic voucher (voucher),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ethod. Such a usage right can be purchased as an entire basic content usage ticket, but can also be purchased as a single usage ticket corresponding to each individual sub-content.

이용권의 사용 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콘텐츠가 복수의 회 차로 된 시리즈물의 동영상인 경우, 이용권을 구매 시 시리즈물의 각 회 차의 동영상, 및/또는 각 회 차별 서브 동영상에 대해 상기 이용권을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컨대 특정 회 차의 하나 이상의 서브 동영상 등을 열람 시 이용권(ticket)을 하나씩 사용할 수 있다.The scope of use of the voucher may be set in various ways. In one example, when the content is a moving picture of a series with a plurality of episodes, when purchasing a usage right, it may be set so that the usage right can be used for a moving picture of each episode of the series and/or a sub-video differentiated for each time. The user may use, for example, one or more tickets when viewing one or more sub-videos of a specific episode.

일 실시예에서, 이용권은 전자 화폐 또는 실물 화폐에 기초한 결제 이용권, 비결제 기반 이용권을 포함한다. 여기서, 결제 이용권은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예컨대, 열람 및/또는 접속 가능한) 일시적 이용권(예컨대, 대여권 등), 상기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비일시적 이용권(예컨대, 소장권 등)을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voucher includes a payment usage right based on electronic money or real money, and a non-payment based usage right. Here, the payment use right is a temporary use right (eg, rental right, etc.) that allows the user to use (eg, read and/or access) cont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 non-temporary right that allows the user to use the cont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eg, collection volumes, etc.).

비결제 기반 이용권은 미리 설정된 개수의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하게 하는 초기 이용권(예컨대, 특정 웹툰의 1화부터 5화까지 무료 이용권), 서비스업자에 의해 랜덤한 시점에 제공되거나, 제3자에 의해 제공되는 선물 이용권, 및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부여되는 이벤트 이용권을 포함한다. Non-payment-based usage rights are initial usage rights that allow a preset number of contents to be used for free (eg, free usage rights from episodes 1 to 5 of a specific webtoon), provided at random by a service provider, or provided by a third party Includes gift vouchers provided, and event vouchers granted when certain conditions are met.

이벤트 이용권은 소정 미션을 충족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미션 이용권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소정 미션은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 특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The event use right includes a mission use right granted to the user when a predetermined mission is satisfied. In one example, a given mission includes sending a particular message to one or more other users.

또한, 이벤트 이용권은 소정 주기(즉, 충전 시간)가 경과하면 충전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event voucher includes a free charging voucher that is charged when a predetermined period (ie, charging time) elapses and is granted to the user.

일 실시예에서, 이용권 정보 확인 결과, 사용 가능 이용권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콘텐츠 제공부(31)는 사용자 단말(4)에 이용권 구매 필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result of checking the usage right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re is no usable usage right, the content providing unit 31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user terminal 4 to display a screen requiring purchase of a usage ticket to the user terminal 4 . there is.

또한, 콘텐츠 제공부(31)는 이용권 구매 필요 화면을 통한 이용권 구매 요청이 수신된 경우, 이용권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 요청을 카드사 또는 금융기관 서버(5)로 전송하여, 일련의 대금 결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과금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4)로부터 신용카드 정보 또는 금융기관 계좌 정보 등과 같은 결제에 필요한 개인 금융 정보가 수신되면, 콘텐츠 제공부(31)는 수신된 개인 금융 정보를 기초로 카드사 또는 금융기관 서버(5)에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금융기관 서버는 금융 업무를 취급하는 모든 기관을 통칭하며, 예를 들면, 은행, 증권사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unit 31 transmits a payment request for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urchase request to the card company or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5 when a request for purchase of a use ticket is received through the use ticket purchase required screen, and a series of payment is made process can be performed. When personal financial information necessary for payment, such as credit card information or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4 for billing processing, the content providing unit 31 is configured to provide a card company or a financial institution based on the received personal financial information. A payment may be requested from the server 5 . Here,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collectively refers to all institutions handling financial busines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ll banks, securities companies, and the like.

카드사 또는 금융기관 서버(5)로부터 결제 완료 알림이 수신되면, 콘텐츠 제공부(31)는 사용자 단말에 연관된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When a payment completion notification is received from the card company or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5 , the content providing unit 31 may generate usage right information in the user account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일부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부(31)는 이용권 구매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대금 결제 및 이에 응답하여 전자화폐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화폐 정보는 이용권으로 바뀔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ent providing unit 31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generate electronic money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payment even when there is no request to purchase a use ticket. Electronic money information can be converted into a voucher.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사용자 단말(4)이 액세스한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대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전송하는 동작, 및/또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동작과 같은 무료 충전 이용권과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management unit 33 transmits targe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ontent accessed by the user terminal 4 is subject to the application of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which is charged for free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to the user terminal 4; and / or perform various operations related to the free charging voucher, such as the operation of initiating charging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일 실시예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 가능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는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 AP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ree charging use right management unit 33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capable of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For example, the server 3 may include a free charge usage right management API module.

또는,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각각 부분적으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의 기능을 구현하는, 복수의 API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기능을 활성화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활성화 API, 및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 기능을 구현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사용 API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는 예를 들어 무료 충전 이용권 활성화 API 모듈 및 무료 충전 이용권 사용 API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management unit 33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plurality of APIs, each partially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management unit 33 . In an embodiment, the free charging use voucher management unit 33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free charging voucher activation API for activating the charging func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and a free charging voucher usage API implementing the free charging voucher usage function. . In this case, the server 3 may include, for example, a free charging use voucher activation API module and a free charging use voucher use API module.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한다.The free charging voucher management unit 33 transmits to the user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tent is subject to a free charging voucher that is charged for fre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nd charges the free charging voucher for the content subject to the free charging voucher Upon receiving an activation request for initiating from the user terminal, charging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star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이 활성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charging of a free charging voucher is activ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은 콘텐츠 관련 정보를 서버(3)에 요청한다(S310).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요청은 특정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에 대한 소개 및/또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한 앱 페이지(예컨대, 콘텐츠 홈)에 사용자 단말(4)이 액세스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은 액세스된 콘텐츠 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서버(3)에 요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4 requests content-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3 ( S310 ). In some embodiments, the request may be performed in a specific st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when the user terminal 4 accesses an app page (eg, content home)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content and/or introduce the content, the user terminal 4 ) may request the server 3 for content-related information used to display the accessed content home.

서버(3)는 사용자 단말(4)로부터 콘텐츠 관련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한다(S330). 상기 콘텐츠 홈 액세스 시 전송한 요청에 대한 응답은 콘텐츠 관련 정보 이외에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server 3 receives a request for content-relate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4, the server 3 transmits the content-rela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4 in response to the request (S330). The response to the request transmitted when accessing the content home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o content-relate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콘텐츠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베이스 저장부(37)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한다(S330). In one embodiment, the server 3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is the content subject to the applica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which is charged for fre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table of the database storage unit 37 including meta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 (S330).

여기서, 콘텐츠 정보 테이블은 (예컨대, 작품 ID와 같은) 콘텐츠 식별자,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 지를 나타내는 무료 충전 이용권 대상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콘텐츠 정보 테이블은 (예컨대,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할 수 없는 회차수, 및/또는 개수와 같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 중에서 사용이 제한되는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information table includes a content identifier (eg, a work ID), information on a free charge usage ticket indicating whether the content is a target of the free charge usage right, and the like. In some embodiments, the content information table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which use is restricted among contents to which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applied (eg, the number and/or number of times the free charging voucher cannot be used).

사용자 단말(4)은 단계(S330)의 응답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은 수신한 서비스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 콘텐츠 항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예능 콘텐츠 시리즈에 대하여, 8회의 제4 서브 동영상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콘텐츠 홈을 액세스한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4 may receive the response of step S330, and may induce the user's selection by providing content-related information to the user. The user terminal 4 may display a service content item to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service content information to induce the user to select a content to be u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for an arbitrary entertainment content series, eight fourth sub-movies may be select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whether the content accessed to the content home is subject to the applica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to the user.

콘텐츠 홈에 액세스한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이고, 아직 사용자에 대하여 충전이 개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4)은 콘텐츠 홈의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 부여의 활성화 요청을 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If the content accessed to the content home is subject to the application of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and charging has not yet been started for the user, the user terminal 4 sends an activation request for granting the user's free charging use right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content home to the server (3) can be transmitted.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의 활성화 요청은, 조건이 부여된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여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활성화 요청은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예컨대, 초기 무료 이용권과 같은) 이미 부여된 비결제 기반 이용권을 모두 소진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활성화에 연관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는 사용자 단말(4)에서 수행된다. In an embodiment, the activation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4 may be performed only when a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when a condition is given. In one example, the activation request may be performed when all non-payment-based usage rights (eg, initial free usage rights) already granted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are exhausted. Whether a condition related to activ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satisfied by the user is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4 .

이와 같이, 개별 콘텐츠(개별 작품)가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인지 여부 자체는 서버 측에서 조정하도록 하지만, 그 결과 무료 충전 이용권 대상으로 정해진 콘텐츠에 대한 활성화 수신 요청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이때 조건 (예컨대 첫 편부터 5편 무료와 같이 초기 무료 이용권을 다 소진하는 조건)이 부여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료 충전 이용권 부여의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의 수가 늘어나더라도 서버(3)는 조건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rver itself controls whether individual content (individual work) is subject to the free charging voucher, but as a result, the activation reception request for the content set as the subject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if a condition (for example, the condition of exhausting the initial free ticket, such as the first to five free episodes) is granted at this time, an activation request for granting a free charging pass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that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For this reason, even if the number of contents subject to application of the user and the free charging voucher increases, the server 3 can reduce the burden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dition is satisfied.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의 개시에 대한 요청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활성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S350).In some embodiments, the request for initiation of charging may include a command for calling a charging activatio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of a free charging voucher (S350).

단계(S350)의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 서버(3)(또는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의 부여 기능을 활성화한다. 즉, 단계(S350)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이 개시된다.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은 무료 충전 주기(시간)가 경과하면 부여 가능하다. Upon receiving the activation request of step S350, the server 3 (or the free charging use right management unit 33) activates a function of granting the user's free charging use right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at is, the charging of the user's free charging usage right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started in step S350. The free charging voucher can be given when the free charging period (time) has elapsed.

일 실시예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를 매핑하여 매핑 결과를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록한다(S370). In one embodiment, when the activation request is received, the free charging use right management unit 33 maps the user and the content for which the activation request is received and records the mapping result in the user information table ( S370 ).

여기서, 사용자 정보 테이블은 사용자 식별자,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 식별자, 매핑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 충전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활성화 값 및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을 포함한다. Here, the user information table includes a user identifier, a content identifier for which an activation request is received, an activation value indicating whether the user activates charging of a free charging voucher for the mapped content, and a charging completion time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상기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 간의 매핑은 콘텐츠 정보 테이블의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한다. The mapping between the user and the content for which the activation request is received is based on the content identifier in the content information table.

일 실시예에서, 충전 완료 시각은 충전 시작에 응답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에 의해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매핑된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부여의 활성화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S390). In an embodiment,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may be recorded in the user information table by the free charging use right management unit 33 in response to charging start. Based on the mapped user information table, information on whether to activate the grant of the free charging use right for the content is provided to the user (S390).

또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상기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최초 무료 충전 이용권을 즉시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단계(S53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In addition, upon receiving the activation request,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management unit 33 may immediately grant the user's first free charging usage right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tep S535 below.

사용자 단말(4)은 단계(S390)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여부 및 충전까지 남은 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390, the user terminal 4 may display whether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charged and the remaining time until charging.

이와 같이, 단계(S310 내지 S390)에 의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은 사용자 개개인의 활성화 요청 시각에 따라 개별적으로 활성화되고, 이 사실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In this way, the user's free charging use right for the content according to steps S310 to S390 is individually activated according to the activation request time of each user, and this fact is stored in the database.

따라서, 서버(3)가 (예컨대, 이전에 유료 결제가 설정된 콘텐츠(A)의 특정 회차(B)에 대하여, x월 xx일 13:00에 무료 결제로 수정하는 것과 같은) 일정 시간 별로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권한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다. Therefore, the server 3 (eg, for a specific episode (B) of the content (A) for which paid payment was previously set, to change to free payment at 13:00 on the xxth day of x month, all users for a certain time period It is not intended to grant the right to view specific content.

이와 같이 해당 무료 충전 콘텐츠에 연관된 정보는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록하고, 해당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록하여 테이블을 이원화한 뒤 매칭시킴으로써, 사용자 개개인 별로 상이하고, 동일 사용자의 콘텐츠 별로 상이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개시 및 충전 상황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ree charging content is recor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table,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is recorded in the user information table, and the table is dualized and then match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charging start and charging status of the charging vouch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isplaying free charging use right information o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은 콘텐츠 관련 정보를 서버(3)에 요청한다(S410). 상기 콘텐츠 관련 정보는 단계(S310)에서의 콘텐츠 관련 정보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user terminal 4 requests content-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3 ( S410 ). Since the content-related information is similar to the content-related information in step S3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서버(3)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된 콘텐츠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전송할 수 있다(S450). 또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은 (예컨대,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 여부, 충전 완료 시각, 추가로 이용권 정보 등을 포함한) 사용자 관련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이 활성화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에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 여부, 충전 완료 시각 등을 포함시킨다.The server 3 may transmit the requested content-rela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4 in response to the request (S450). In addition, the response to the request may further include user-related information (eg, whether a free charging voucher is activated, charging completion time, and additionally usage voucher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free charging use voucher management unit 33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free charging use voucher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activated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able, and in response to the request, whether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activated, charging completion time, etc. include

사용자 단말(4)은 단계(S450)에서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여부, 충전 완료 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별로 자신의 사용 패턴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가 개시된다. 따라서, 충전 완료 시각 또한 사용자 마다 상이할 수 있다.Based on the response received in step S450, the user terminal 4 may display whether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charged and the time remaining until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activa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according to the user's own usage pattern is started. Accordingly,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may also be different for each user.

충전 주기가 경과하면 사용자는 충전 완료된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하여 도 3 또는 도 4의 단계(S310 또는 S410)에서의 요청에 연관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단계(S310 또는 S410)에서의 요청에 연관된 콘텐츠는 동일 범주 내 콘텐츠를 포함한다. When the charging period has elapsed,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content related to the request in step S310 or S410 of FIG. 3 or 4 by using the charged free charging pass. Here, the content related to the request in step S310 or S410 includes content within the same category.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공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user receives content by using a free charging p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서버(3)는 (기본 콘텐츠 또는 서브 콘텐츠와 같은)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한다(S510). 상기 제공 요청은 사용자 단말(4)에서 감지되는 입력 신호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으나, 상기 사용자 단말(4)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은 콘텐츠 제공 API 호출 명령 또는 이용권 사용 API 호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 the server 3 receives a request for providing content (such as basic content or sub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4 ( S510 ). The provision request may be caused by an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user terminal 4 , or may be caused by a command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4 . In an example, the content provision request may include a content provision API call command or a usage right use API call command.

또한, 서버(3)는 콘텐츠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의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이 활성화 상태인지 확인한다(S530).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3)는 해당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 및 열람 권한을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In addition, the server 3 checks whether the free charging use voucher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content provision is activated (S530).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the server 3 determines whether to provide content information and viewing right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a user can use a free charging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공 요청된 콘텐츠와 관련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 충전이 활성화된 경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 가능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When the charging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activated in relation to the content requested to be provided, availability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may be checked.

일 실시예에서, 서버(3)의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이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한다(S531). 상기 확인은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판단 값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도중에 무료 충전 이용권이 활성화된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경우, 상기 판단 값이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면, 충전 도중인 무료 충전 이용권에 한해서는 아래의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과 관련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management unit 33 of the server 3 checks whether the charging of the free charging usage voucher for the content is activated ( S531 ). The confirma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a determination value indicating activation of a free charging voucher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table. In some embodiments, if the content for which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activated during charging is exclud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and the determination value indicates the active status, use the following free charging voucher only for the free charging voucher during charging An operation related to may be performed.

단계(S531)에서 활성화 상태로 확인된 경우,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S533). 충전 완료 여부의 확인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 및 현재 시각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S535). If it is confirmed in step S531 that the activation state is active, the free charging use voucher management unit 33 checks whether the charging of the free charging use voucher is complete ( S533 ). Checking whether the charging is complete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and the current time of the free charging use voucher. For example, the free charging use right management unit 33 determines that charging is complete when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 S535 ).

[수학식 1][Equation 1]

Tpresent ≥ TCC T present ≥ T CC

여기서, Tpresent 는 현재 시각, Tcc는 충전 완료 시각(Charge Completion Time)을 나타낸다.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충전 완료 시각이 현재 시간과 동일하거나, 과거가 되면 충전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S535). 즉, 충전 시작과 동시에 완료 시각을 기록함으로써 시간을 보고 충전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Here, Tpresent represents the current time, and Tcc represents a charge completion time.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management unit 33 determines that charging is complete when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is the same as the current time or in the past (S535). That is, by recording the completion time at the same time as charging starts, it is determined whether charging is complete by looking at the time.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활성화 요청에 의해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최초로 충전 완료 시각이 기록되는 경우, 현재 시각을 충전 완료 시각으로 기록하면 무료 충전 이용권은 충전이 완료된 상태로 설정된다. 이로 인해, 무료 충전 이용권의 부여 기능을 활성화하면서 사용자에게 최초 무료 충전 이용권을 바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when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is first recorded in the user information table by the activation request, if the current time is recorded as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set to the charging completion stat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provide the user with the first free charging voucher while activating the granting func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thereby further maximizing user convenience.

그 후,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충전시킨 무료 충전 이용권을 소진시키면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열람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한다. 또한, 소진 결과를 이용권 소진 테이블에 기록한다(S537). Thereafter, the free charging use right management unit 33 grants the user the right to read the content while exhausting the charged free charging use ticket. In addition, the exhaustion result is recorded in the ticket exhaustion table (S537).

또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다음의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 가능한 충전 완료 시각을 업데이트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주기를 상기 충전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에 더함으로써, 추가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을 업데이트한다(S590). 상기 업데이트 결과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더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management unit 33 updates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at which the following free charging usage vouchers can be used. In an embodiment, the free charging use voucher management unit 33 updates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of the additionally charged free charging voucher by adding the charging cycle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to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of the charged free charging voucher (S590) ). The update result may be further recorded in the user information table.

또한, 해당 콘텐츠와 연관된 다른 콘텐츠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이 계속 충전되어 사용되도록,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 상태를 계속해서 활성화 상태로 유지한다. In addition,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management unit 33 continuously maintains the activation state of the user's free charging usage voucher so that the user's free charging voucher is charged and used for other content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5b에 서술되지 않은 동작들이 추가, 변형, 제외되어 더 수행될 수 있다. In other embodiments, operations not described in FIG. 5B may be added, modified, or excluded to be further performed.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단계(S531) 이전에, 사용자에게 부여된 기타 비결제 기반 이용권(예컨대, 무료 선물 이용권 등을 포함한다)이 모두 소진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또는 제공 요청된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제한된 콘텐츠인지 확인하는 단계 (예컨대, 최신편으로부터 소정 회차 이내의 회차인지 여부)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for example, the free charg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33 checks whether all other non-payment-based usage rights (eg, including free gift vouchers, etc.) granted to the user are exhausted before step S531, and / Alternatively,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content requested to be provided is content whose use is restricted despite the charging activa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eg, whether the content is within a predetermined number of episodes from the latest edition) and the like may be further performed.

일 실시예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가 소진 여부를 판단하는 비결제 기반 이용권에서 초기 무료 이용권은 제외된다. 초기 무료 이용권 사용 여부 조건은 사용자 단말이 충족하도록 한 후, 사용자 단말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 활성화 요청을 보내게 된다. In one embodiment, the initial free use right is excluded from the non-payment-based use ticket that the free charging use right management unit 33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exhausted. After the user terminal satisfies the condition of whether to use the initial free pass, the user terminal sends a request to activate the free charge pass.

이와 같이,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하여야 충전된 무료 충전 이용권이 소진되며, 다시 충전이 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한 시간 내에 최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을 많이 사용하고자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대한 충성도, 의존성 등이 높아질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used, the charged free charging voucher is exhausted, and charging is started again. Therefore, the frequency of using the voucher-based content providing service increases in order to use as many free charging vouchers as possible within the same time period. As a result, the user's loyalty to, and dependence on,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based on the right of use may increase.

또한, 무료 충전 이용권을 많은 콘텐츠에 대해 사용한 경우, 사용자는 경험한 콘텐츠에 대해 구매 여부를 보다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의 합리적인 소비를 도와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ree recharge voucher is used for a lot of content, the user can more reliably decide whether to purchase the content experienced. In the end, it can help the rational consumption of the user.

다시 도 5a를 참조하면, 서버(3)가 제공 요청 대상인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용권이 사용자에게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제공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한다(S550).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소진된 이용권의 유형, 남은 이용권 수 등을 포함한) 이용권 소진 결과, 및/또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다음 충전 완료 시각을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해당 콘텐츠의 상세 메타 정보 및/또는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한다. Referring back to FIG. 5A , when the server 3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the right to provide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content requested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 , the server 3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content requested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 . ) is provided (S550). In an embodiment, the server 3 transmits to the user terminal 4 the result of exhaustion of the vouchers (including the type of vouchers that have been exhausted, the number of remaining vouchers, etc.) and/or the next charging completion time of the free charging vouchers. In addition, detailed meta information and/or conte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 so that the content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 .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콘텐츠 생성부(35)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을 상술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 , in an embodiment, the server 3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generating unit 35 and/or a database storage unit 37 . Each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detail.

콘텐츠 생성부(35)는 기본 콘텐츠의 전체 실행 구간을 복수 개의서브 구간으로 구획한 서브 콘텐츠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기본 동영상의 전체 재생 구간을 복수 개의 서브 구간으로 구획하여 서브 동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The content generation unit 35 generates sub content by dividing the entire execution section of the basic content into a plurality of sub sections. For example, sub-video information is generated by dividing the entire playback section of the basic video into a plurality of sub sections.

또한, 콘텐츠 생성부(35)는 기본 콘텐츠에 대한 메타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개별 서브 콘텐츠에 대한 메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콘텐츠에 대한 메타 정보도 생성할 수 있다. Also, the content generating unit 35 generates meta information for basic content, and may generate meta information for individual sub content. In addition, meta information about basic content may be generated.

콘텐츠 생성부(35)는, 각 서브 구간을 균등 및/또는 비균등하게 구획하는 것과 같이 다양하게 서브 구간을 구획하여 하나의 기본 콘텐츠로부터 다양한 실행 시간을 가지는 복수의 서브 콘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로 하여금 부분적으로 심리상태, 환경, 자산 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구매 당시의 의도와 달리 예기치 못한 원인으로 인해 콘텐츠 전체의 감상을 할 수 없거나, 흥미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기본 콘텐츠에 대한 구매를 해야만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The content generation unit 35 may divide sub-sections in various ways, such as equally and/or unequally partition each sub-section, and generate a plurality of sub-content information having various execution times from one basic content. . As a result, it allows the user to make reasonable consumption in part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psychological state, environment, and asset sta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purchase the entire basic content despite the possibility that the user cannot enjoy the entire content due to an unexpected cause, or may lose interest, unlike the intention at the time of purchase.

콘텐츠 생성부(35)는 서브 콘텐츠를 암호화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생성부(35)는 상기 시스템(1) 접속이 승인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 또는 이용권이 없는 사용자 단말에서 서브 콘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ntent generating unit 35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encrypt the sub content. The content creation unit 35 may prevent the sub content from being reproduced in a user terminal that is not authorized to access the system 1 (eg,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or a user terminal that does not have a usage right.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생성부(35)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처리되어 열람 권한(라이선스) 정보를 갖도록 서브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권 정보는 암호화된 서브 콘텐츠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권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호화 권한은 DRM 복호화 권한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는 콘텐츠 암호화를 위한 하나의 예시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암호화 처리를 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ent generation unit 35 may generate sub content so that it has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processing to have reading right (licens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usage right information includes a decryption right for decrypting the encrypted sub content. For example, the decryption authority includes the DRM decryption authority. However, the above embodiment is an example for content encry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encryption processes.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대량의 정형, 비정형 또는 반정형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하며, 과거에 이미 진행된 경매에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예컨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프레드쉬트 등이 있다. 또한, 비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데이터로서, 예컨대, 텍스트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성 데이터 등이 있다. 또한, 반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지만 메타데이터나 스키마를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예컨대, XML, HTML, 텍스트 등이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는 사용자 계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저장소,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 받은 콘텐츠 또는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서브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database storage unit 37 may store various databases. Here, the database means a set of a large amount of structured, unstructured, or semi-structured data, and may store data related to an auction that has already been conducted in the past. Here, the structured data is data stored in a fixed field, for example, a relational database, a spreadsheet, or the like. In addition, the unstructured data is data that is not stored in a fixed field, and includes, for example, text documents, images, moving pictures, and voice data. In addition, semi-structured data is data that is not stored in a fixed field but includes metadata or schema, for example, XML, HTML, text, and the like. The database storage unit 37 may include a user storage including user account information, a content storage for storing content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sub-content divided into one or more.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의 각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 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와 연관되어 있다. 사용자 계정 정보는 상기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에 관한 서술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계정 정보는 다수의 데이터 필드(data fields)를 포함하고, 각각은 해당 시스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속성(attributes)을 설명한다. 사용자 프로필에 저장된 정보의 예들은, 사용자의 신원(ID), 사용자 단말 정보 및 이용권 정보와 같은 서술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Each user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based on a free recharge voucher is associated with user account information stored in a user information storage. The user account information includes descriptive information about a user registered in the system. In one embodiment, the user account information includes a number of data fields, each describing one or more attributes of a user of the system in question. Examples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profile include descriptive information such as a user's identity (ID), user terminal information, and usage right information.

사용자 계정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권 기반 서브 동영상 제공 시스템(1)에 액세스하는 권한을 주는 소스들(예를 들어, 패스워드, 액세스 코드,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 등)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The user account information may also include sources (eg, password, access code, network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etc.) that give the user access to the sub-video providing system 1 based on the usage right.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자와 관련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자 정보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는 사용자 식별자,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이 요청된 콘텐츠 식별자,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 콘텐츠에 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판단 값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an embodiment, the database storage unit 37 may store the user information table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in relation to the user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The user information table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 user identifier, a content identifier for which use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requested,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a determination value indicating whether to activate the free charging voucher for the content, and the like.

서버(3)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과 관련한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하게 하는 동작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When the server 3 receives a request related to the use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from the user terminal 4, the server 3 can quickly process the operation of using the free charging vouch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able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

이용권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 보유 여부 또는 보유한 이용권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용권이 있는 경우 1, 이용권이 없는 경우 0으로 라벨링될 수도 있거나, 보유하고 있는 이용권의 수를 이진수 등과 같은 데이터 형식으로 나타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The usage righ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has a usage right that can be used or the number of the usage right that the user has. For example, it may be labeled as 1 when there is a usage right and 0 when there is no usage right, or the number of licenses held in a data format such as a binary number or the like, or a combination thereof.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은 서버(3)에서 콘텐츠의 사용자에게 해당 콘텐츠에 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을 부여할지 여부가 활성화된 이후에 부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활성화 동작은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에 의해 수행된다. In one embodiment, the free charging use right may be granted after the server 3 activates whether to grant the free charging use right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user of the conten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activa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free charg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33 .

일 실시예에서, 이용권 정보는 범주 정보(category informa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범주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이용권 정보를 구비한 사용자는 해당 이용권에 연관된 범주 내 콘텐츠 만을 시청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범주는 하나의 시리즈 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에서, 상기 범주는 하나의 기본 콘텐츠 전체로 설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usage righ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category information. When category information is further included, the user having the usage right information can view only content within the category related to the usage right. In one example, the category may be set to one series of water. In another example, the category may be set to all of one basic content.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는 결제, 이벤트, 선물 및/또는 무료 충전에 따른 부여 결과가 기록되는 이용권 충전 테이블, 그리고 이용권의 사용, 및/또는 소멸에 따른 소진 결과가 기록되는 이용권 소진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atabase storage unit 37 includes a voucher charging table in which grant results according to payment, event, gift and/or free charging are recorded, and a voucher in which exhaust results according to use and/or expiration of the voucher are recorded. Exhaust tables can be saved.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저장소는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한 콘텐츠를 나타내는 오브젝트(objects)를 저장하고, 또는 이용권 기반 서브 동영상 시스템(1)의 운영자가 제작한 서브 콘텐츠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저장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storage stores objects representing content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objects representing sub-contents produced by the operator of the usage right-based sub-moving system 1 .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저장소는 무료 충전 이용권이 적용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콘텐츠 정보 테이블을 저장한다. 콘텐츠 정보 테이블은, 예를 들어 콘텐츠 식별자, 해당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를 나타내는 판단 값,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 사용자가 충전 완료 시각까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 내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이 제한되는 조건 정보(에컨대, 가장 최근에 서비스 업로드된 최신작으로부터 소정 회차 내에서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이 제한되는 조건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storage stores a content information table in which information about content to which a free charging voucher is applied is recorded. The content information table may include, for example, a content identifier, a determination value indicat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a target of the applica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and the time the user must wait until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conditions for restricting the use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within the content subject to the free charging voucher (for exampl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use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restricted within a certain number of episodes from the most recently uploaded service) may include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에는 무료 충전 이용권에 연관된 콘텐츠 관련 정보를 기록한 테이블, 무료 충전 이용권에 연관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기록한 테이블로 각각 이원화되어 있다. 각각의 테이블은 특정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에 대해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를 요청한 경우에 매핑된다. 이로 인해, 무료 충전 이용권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및/또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 콘텐츠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사용자별 및/또는 콘텐츠별 무료 충전 이용권의 부여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사용자에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개별 콘텐츠 각각에 대해 각기 다른 (예컨대, 충전 완료 시각이 서로 상이한)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즉, 부여 및/또는 충전)가 적용될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사용자의 개별 콘텐츠에 대해서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즉, 부여 및/또는 충전)가 동일하게 적용됨으로써, 사용자별로 고유하게, 그리고 동일 사용자의 개별 콘텐츠별로 고유한 무료 충전 이용권을 이용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database storage unit 37 is divided into a table in which content-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 free charging voucher is recorded and a table in which user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 free charging voucher is recorded. Each table is mapped when a specific user requests activation of a free recharge voucher for specific content. For this reason, even if th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use the free charging voucher and/or the content subject to the free charging voucher increases, whether to grant the free charging voucher for each user and/or each content can be efficiently managed. In particular, for a plurality of contents associated with one user, different activation (ie, granting and/or charging) of a free charging voucher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individual contents (eg, different charging completion times are different), while multiple Activation (i.e., granting and/or charging) of free charging vouchers is equally applied to the individual content of users of .

이상에서 설명한 도 1의 콘텐츠 생성부(35)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1과 상이한 구조로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ent generating unit 35 and/or the database storage unit 37 of FIG. 1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e usage right-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1 operates in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at of FIG. 1 in other embodiments. can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생성부(35) 및/또는 저장부(37)는 서버(3)와 원격으로 위치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생성부(35) 및/또는 저장부(37)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버(3)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종류의 장치일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generating unit 35 and/or the storage unit 37 may be a computing device located remotely from the server 3 . In this case, the content generating unit 35 and/or the storage unit 37 may be a type of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y accessing the server 3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한편, 사용자 단말(4)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phone)의 형태로 구현되며, 사용자 단말(4)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버(3)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 또는 이용권 결제 요청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4)의 형태는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4)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컴퓨터, 태블릿(tablet),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 4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smartphone,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3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4 . Through such communication, various operations such as a request for provision of a sub video selected by the user or a payment request for a usage right are performed. However, the shape of the user terminal 4 is not limited to a smartphone, and the user terminal 4 is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and an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various computing devices.

서버(3)가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이용권을 사용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 process in which the server 3 provides content to the user who has used the vouch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과정을 상황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에 있어 요청 및 제공되는 콘텐츠의 유형은 동영상으로 지칭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서로 중복되는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6 to 7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right of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 the type of content requested and provided is referred to as a moving picture,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overlapping steps may be omit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하나의 콘텐츠에 대해 이용권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user is provided with content by using a usage right for on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서버(3)는 복수의 서브 동영상 중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한다(S610). 상기 제공 요청은 사용자 단말(4)에서 감지되는 입력 신호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으나, 상기 사용자 단말(4)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은 콘텐츠 제공 API 호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server 3 receives a request to provide a first sub-video among a plurality of sub-videos from the user terminal 4 ( S610 ). The provision request may be caused by an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user terminal 4 , or may be caused by a command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4 . In some embodiments, the content provision request may include a content provision API call command.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요청을 수신 받기 이전에 기본 동영상을 복수 구간으로 구획한 복수의 서브 동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S600). In an embodiment, the server 3 may generate a plurality of sub-videos in which a basic video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before receiving a request (S600).

단계(S610) 이후, 서버(3)는 하나 이상의 서브 동영상에 대하여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의 이용권 정보를 확인한다(S620).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3)는 해당 서브 동영상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After the step (S610), the server 3 checks the usage right information of the user who has requested the provision of one or more sub-videos (S620).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the server 3 determines whether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sub-video information.

서버(3)가 제공 요청 대상인 제1 서브 동영상의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용권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제공 요청된 서브 동영상의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S640). 서버(3)는 해당 서브 동영상의 상세 메타 정보 및/또는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한다. 또한, 서버(3)는 해당 서브 동영상의 복호화 권한과 같은 라이선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는 상세 메타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세 메타 정보와 더불어 기초 메타 정보(예를 들어, 구간 정보) 또한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server 3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4 has the right to use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first sub video, which is the object of the provision request, it provides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requested sub video to the user terminal (S640). The server 3 transmits detailed meta information and/or conte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ub video to the user terminal 4 . In addition, the server 3 may provide license information such as a decoding right of the corresponding sub-video. In this case, the server 3 is not limited to providing only detailed meta information, but may additionally provide basic meta information (eg, sec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detailed meta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각 서브 동영상 정보는 단일 프레그먼트(fragment) 파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운 로드 방식인 경우 각 서브 동영상 정보는 단일 프레그먼트 파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통신 성능 및 단말 성능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In an embodiment, each sub-movie information may consist of a single fragment file. In the case of the download method, it can be said that each sub-video information consists of a single fragment file. In this case, there is a relative advantage in terms of communication performance and terminal performance.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스트리밍 방식 또는 프로그래시브 다운 로드 방식의 경우, 각 서브 동영상 정보는 복수 개의 프레그먼트(fragment) 파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 동영상 정보는 예컨대 10초 단위의 수십 또는 수천 개의 프레그먼트(fragment) 파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프레그먼트(fragment) 파일의 간격은 10초뿐만 아니라 1초, 4초 등과 같이 설정 값에 따라 임의로 다양하게 변동 가능하다. In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treaming method or a progressive download method, each sub-movie information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fragment files. For example, one piece of sub-movie information may consist of, for example, tens or thousands of fragment files in units of 10 seconds. Of course, the interval of the fragment file can be varied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setting value such as 1 second, 4 seconds, etc. as well as 10 seconds.

각 서브 동영상 정보가 복수 개의 프레그먼트 파일들로 이루어지는 경우, 콘텐츠 생성부(35)는 구획된 각 서브 구간에 대응하는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함께 생성한다.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는 각 프레그먼트(fragment) 파일에 대한 파일명 및 포맷 등을 포함하는 목록이다. 일 예에서, 콘텐츠 생성부(35)는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1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2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 …, 제n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n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본 동영상에 대한 전체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가 필요한 경우 전체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도 생성할 수 있다.When each sub-movie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gment files, the content generating unit 35 generates a fragment list corresponding to each divided sub-section together. The fragment list is a list including a file name and format for each fragment file. In an example, the content generator 35 includes a first fragment list for a first sub-video, a second fragment list for a second sub-video, . . . , an n-th fragment list for the n-th sub-movie may be generated, respectively. Alternative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entire fragment list for the basic video is required, the entire fragment list may also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rver 3 provides a fragment list (fragment list) for the first sub-video.

그 결과, 사용자 단말(4)은 제1 서브 동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서브 동영상을 재생한다(S645).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이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4)은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재생 목록에 저장한다. 그 후,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에 포함된 프레그먼트 파일의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그먼트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제공받아 제1 서브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terminal 4 reproduces the first sub-video by using the first sub-video information (S645).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4 receives a fragment list, the user terminal 4 stores a fragment list for the first sub-video in a playlist. Thereafter, the first sub-movie may be reproduced by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fragment file using meta information of the fragment file included in the fragment list.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4)로부터의 제공 요청이 있어야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가 사용자 단말(4)에 제공되므로, 사용자 단말(4)의 메모리에 저장해야 하는 정보가 상대적으로 적어, 어플리케이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since a fragment list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 only when there is a request for provision from the user terminal 4 , the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user terminal 4 is relatively small, and the applic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콘텐츠에 대해 하나 이상의 이용권을 각각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in which a user receives content by using one or more usage rights for one or more content,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서버(3)는 복수의 서브 동영상 중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한다(S710). Referring to FIG. 7 , the server 3 receives a request for providing a first sub-video among a plurality of sub-videos from the user terminal 4 ( S710 ).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요청을 수신 받기 이전에 기본 동영상을 복수 구간으로 구획한 복수의 서브 동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S700). In one embodiment, the server 3 may generate a plurality of sub-videos in which the basic video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before receiving the request (S700).

단계(S610) 이후, 서버(3)는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하여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이용권 정보를 확인한다(S720). 확인 결과 제1 서브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용권 정보가 있다고 결정한 경우 제공 요청된 제1 서브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하고(S740), 사용자 단말(4)은 제1 서브 동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서브 동영상을 재생한다(S745). After the step S610, the server 3 checks the usage righ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 account that has requested the provision of the first sub video (S7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use right information that can provide the first sub video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4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first sub video information requested to be provided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 (S740), and the user terminal 4 plays the first sub moving picture by using the first sub moving picture information (S745).

서버(3)는 다음 구간을 포함하는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서버(3)는 제1 서브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완료되기 전, 즉 제1 서브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되기 이전에 다음 구간을 포함하는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750). 단계(S750)에서,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은 자동으로(예를 들어, 사용자의 별도 동의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는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이용권 정보에 상기 다음 구간을 포함하는 제2 서브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이용권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760). The server 3 may receive a request to provide a second sub video including the next sec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4 .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rver 3 sends a request for provision of the second sub video including the next section before the provision of the first sub video is completed, that is, before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sub video is completed, to the user terminal. It can be received from (4) (S750). In step S750,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second sub video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eg, without the user's separate consent). In this case, the server 3 checks whether the usage righ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 account includes the usage right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second sub video including the next section (S760).

서버(3)가 확인 결과 제2 서브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4)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용권 정보가 있다고 결정한 경우, 제2 서브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한다(S780). 예를 들어,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server 3 determines that there is use right information that can provide the second sub video to the user terminal 4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second sub video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 (S780). For example, a fragment list for the second sub-movie may be provided.

이 경우, 사용자 단말(4)은 제1 서브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된 이후 끊김 없이 제2 서브 동영상을 재생시키기 위해,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에 추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서브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된 이후에 제2 서브 동영상이 프레임이 끊김 없이 연속하여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의 서브 동영상들을 이어서 시청하는 경우에도 끊김 없는(seamless) 재생이 가능하여 높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4 creates a fragment list for the second sub-video to reproduce the second sub-video without interruption after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sub-video is completed. You can add it to the fragment list. Accordingly, after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sub-movie is completed, the second sub-movie may be continuously reproduced without interruption of frames. Accordingly, even when the user continuously watches a plurality of sub-videos, seamless playback is possible, thereby providing high user convenience.

또한, 제1 서브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제2 서브 동영상에 관한 이용권 정보가 확인된 경우 제2 서브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함과 동시에, 이용권 정보가 갱신되었다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4)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age right information regarding the second sub video is confirmed while the first sub video is being played, the second sub video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 and a screen indicating that the usage right information is updated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4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 signal that causes it to be displayed on the .

예를 들어, 제2 서브 동영상의 재생이 시작됨과 동시에 “이용권 1개가 소모되었습니다”와 같은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 signal that causes a pop-up window to be displayed such as “1 ticket has been consumed” may be transmitted as soon as playback of the second sub video starts.

한편, 상기 이용권 정보 확인 시, 다음 구간을 구매할 수 있는 이용권이 없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용권 정보 확인 시, 다음 구간을 재생할 수 있는 이용권이 없으나, 추가 동의를 요구하지 않고 다음 구간의 이용권을 구매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을 서버(4)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 구매에 관한 노티스를 자동 구매 전 또는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자동 구매 전 사용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이용권이 자동으로 구매되어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이 제공된다는 노티스를 제공하고, 자동으로 구매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에게 구매가 완료를 알리는 정보성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when checking the usage right information, even if there is no usage right to purchase the next section, the sub-video of the next section can be automatically provided. In one embodiment, when checking the usage right information, there is no right to play the next section, but it is possible to purchase the right to use the next section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consent. As a result, the sub-video of the next sec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server 4 . Here, the notice regarding the automatic purchas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before or after the automatic purchase. In other words, if the user does not take any action before automatic purchase, a notice is provided that the pass is automatically purchased and a sub-video of the next section is provided, and if an automatic purchase occurs, an informational screen notifying the user of the completion of the purchase is provided can do.

일부 경우에서, 서버(3)는 재생 중인 제1 서브 동영상에 연속되지 않는 구간을 포함하는 제3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에 제3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가 추가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추가되는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는 재생되는 서브 동영상에 연속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In some cases, the server 3 may receive a request for provision of a third sub video including a section that is not continuous with the first sub video being played, and even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for the first sub video A fragment list for the third sub video may be added and provided to the fragment list. That is, the added fragment list is not limited to being continuous with the sub-movie being played.

또한, 서버(3)는 이용권 확인 단계(S720)에서, 제공 요청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3 may check whether the user has a free charge usage right for the content requested to be provided in the usage right checking step ( S720 ).

일 실시예에서, 결제에 의해 부여된 이용권에 기초하여 제1 서브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완료되기 전, 서버(3)는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예컨대,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추가 제공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before the provision of the first sub video is completed based on the usage right granted by payment, the server 3 requests additional provision of the sub video (eg, the second sub video) of the next sec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그 후, 제1 서브 동영상의 제공을 시작한 이후, 그리고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추가 제공 요청을 수신하기 이전에 무료 충전 이용권이 완료된 경우, 서버(3)는 사용자에게 무료 충전 이용권을 부여한다. 그 후, 새롭게 부여된 무료 충전 이용권에 기초하여 추가 제공 요청된 제2 서브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After that, when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is completed after starting to provide the first sub video and before receiving a request for additional provision of the second sub video, the server 3 grants the free charging usage right to the user. Thereafter, based on the newly granted free charging use right, the second sub video requested to be additionally provide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 범주에 대하여 기존에 충전 완료된 무료 충전 이용권에 기초하여 서브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완료되기 전에, 서버(3)는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에 대한 추가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서버(3)는 사용자의 이용권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제공 요청된 서브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이용권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사용자가 결제 이용권, 및/또는 다른 무료 이용권을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이용권에 기초하여 추가 제공 요청된 서브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before the provision of the sub-video based on the previously charged free charging voucher for the category to which the free charging voucher is applied is completed, the server 3 requests additional provision of the sub-video of the next section. It can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4). Thereafter, the server 3 checks whether the user has the right to provide the additionally requested sub-video based on the user's use right information. If the user has a payment usage right and/or other free usage rights, the sub-video requested to be additionally provided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 based on the usage right the user has.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4)로부터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요청되지 않은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파일을 포함하는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4)로부터 별도의 요청이 없는 구간에 대한 프레그먼트 파일을 미리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erver 3 generates a fragment list and receives a provis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4, a fragment including a fragment file for an unsolicited sub-video You can provide a fragment list. That is, the fragment file for a section without a separat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4 may be provided in advance.

일 예에서, 상기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는 전체 구간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일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fragment list (fragment list) may be a fragment list (fragment list) for the entire section.

그 결과, 제공 요청 이전에 사용자 단말(4)에 전체 구간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가 등재되어 있어, 순차적으로 자동적으로 재생하거나, 끊김 없이(seamless) 재생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As a result, since the fragment list for the entire section is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4 before the provision request, it may be easier to automatically reproduce in sequence or to reproduce seamlessly. .

상기 도 6 내지 도 7에서 서술된 단계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서버(3) 및/또는 단말(4)의 설정 상태에 따라 순서가 상이할 수도,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steps described in FIGS. 6 to 7 are merely exemplary, and the order may be different or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setting state of the server 3 and/or the terminal 4 .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기본 동영상을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획한 서브 동영상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구매 가능하므로, 전체 재생 구간 중 일부만이 사용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동영상에 대해서 사용자의 선택적이고 능동적인 소비 형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서브 동영상의 완료 전에 다음 서브 동영상을 요청하고 프레임을 끊김 없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seamless 재생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right of u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artially purchase a sub-video in which one basic video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so that only a part of the entire playback section may arouse user interest. It is possible to enable a user's selective and active consumption pattern for the video. In addition, by requesting the next sub-movie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displayed sub-movie and displaying frames without interruption, seamless playback without disturbing the user's viewing flow is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The operation by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right of u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t least partially as a computer program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 컴퓨터는 퍼스널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고 통합될 수도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대체적이고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공간, 및 네트워킹 구성요소(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장치다.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와 호환되는 운영 체제, 애플 OS X 또는 iOS, 리눅스 배포판(Linux distribution), 또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OS와 같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실행할 수 있다. The computer may be any device that may be incorporated into or may be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desktop computer, laptop computer, notebook, smart phone, or the like. A computer is a device having one or more alternative and special purpose processors, memory, storage, and networking components (either wireless or wired). The computer may run,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compatible with Microsoft's Windows, Apple OS X or iOS, a Linux distribution, or an operating system such as Google's Android OS.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 세트로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의 형태에 따라 그 명칭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의 형태가 스마트 폰인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앱으로 지칭될 수 있다. The computer program is composed of a set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above-described computer, and the nam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mputer. For example, when the form of the computer is a smart phone, the computer program may be referred to as an app.

실시예들에 따른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프레그먼트(fra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operation by the usage right-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recorded and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computer-readable data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fra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However,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9)

서버가 수행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는 회 차 또는 서브 구간이 포함된 콘텐츠에 대하여 판단되고, 하나 이상의 회차에 관한 정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구간에 관한 정보가 서브 콘텐츠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됨;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를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매핑 결과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매핑 결과 및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에 연관된 충전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의 하나 이상의 회 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구간에 대응하는, 서브 콘텐츠에 대해서 활성화 요청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free charging voucher performed by the serve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content is the content subject to the applica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that is charged for free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 the free charging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table of the database including the meta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Whether the application of the right of use is determined for the content including the episode or sub-section, information on one or more episodes or information on one or more sub-sections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s sub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an activation request for starting charging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for the content subject to the free charging voucher;
when the activation request is received, mapping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to the content to which the activation request is received and to which the free charging use ticket is applied, and recording the mapping result in a user information table of a database; and
Based on the mapping result recorded in the user information table and the charging cycle associated with the free charging voucher application target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tabl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rounds or one or more sub-sections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application target content , Initiating the charging of the user's free charging use voucher of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quested activation for the sub content; free charging use voucher-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제1항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and storing program instructions operable by the computer, wherein when the program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a processor of the computer, the processor is based on the free charging voucher according to claim 1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콘텐츠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는 회 차 또는 서브 구간이 포함된 콘텐츠에 대하여 판단되고, 하나 이상의 회차에 관한 정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구간에 관한 정보가 서브 콘텐츠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됨 -,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를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자 테이블에 매핑 결과를 기록하며,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매핑 결과 및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에 연관된 충전 주기에 기초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의 하나 이상의 회 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구간에 대응하는, 서브 콘텐츠에 대해서 활성화 요청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연관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을 포함한 이용권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As a free charging voucher-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server performing a free charging voucher-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table of the database including meta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tent is the content subject to the application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that is charged for free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 the free charging voucher Whether or not the subject of application of i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content including the episode or sub-section,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episodes or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sub-sections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s sub content information -, free charging voucher Receives an activ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o start charging of the free charging voucher for the content subject to application of The mapping result is recorded in the user table of the database by mapping, and based on the mapping result recorded in the user information table and the charging cycle associated with the free charging voucher application target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table, the free charging voucher application target a free charg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for starting the charging of the free charge usage right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quested activation for the sub content,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times or one or more sub-sections of the content; and
Upon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provis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checks the usage right information including the free charge usage right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and based on the check result,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reques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 content provision system based on a recharge vouc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90431A 2018-09-06 2020-07-2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free charging ticket KR1023949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431A KR102394993B1 (en) 2018-09-06 2020-07-2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free charging ti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14A KR102138851B1 (en) 2018-09-06 2018-09-0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free charging ticket
KR1020200090431A KR102394993B1 (en) 2018-09-06 2020-07-2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free charging ticke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414A Division KR102138851B1 (en) 2018-09-06 2018-09-0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free charging ti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708A KR20200090708A (en) 2020-07-29
KR102394993B1 true KR102394993B1 (en) 2022-05-06

Family

ID=8158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431A KR102394993B1 (en) 2018-09-06 2020-07-2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free charging ti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9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307B1 (en) * 2021-02-17 2023-02-06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Digital currency payment method an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973B1 (en) * 2014-01-29 2016-06-01 주식회사 레진엔터테인먼트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918A (en) * 2013-09-11 2015-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of synchronizing contents in a cloud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distributed serv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973B1 (en) * 2014-01-29 2016-06-01 주식회사 레진엔터테인먼트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708A (en)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0400B2 (en) Consuming paid media of a content platform
US10079872B1 (en) Subscription levels in an internet-based content platform
US8645398B2 (en) Cross-platform content popularity rankings
KR10218117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through efficient database architecture for individualized time managment
US20110246661A1 (en) Streaming playback and dynamic Ad insertion
US9307042B2 (en) Orchestration server for video distribution network
US9111305B2 (en) Personal remote storage for purchased electronic content items
US20140337139A1 (en) Channel-level advertising attributes in an internet-based content platform
US9509798B1 (en) Subscriptions to paid channels of an internet-based content platform
KR201600606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tionships associated with content provisioning
JP7004821B2 (en) Content provis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free charge usage rights
JP2010522377A (en) Advertising funding data access service
US100738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web documents
US9356829B1 (en) System for internet protocol based outage handling
US9946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ervices capable of pasting document stored on a cloud-based cross-clipboard
KR1023949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free charging ticket
US20110219366A1 (en) System and method of advertising for use on internet and/or digital networking capable devices
US20180285932A1 (en) Method to match video ad duration to video content duration
KR102084962B1 (en)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a contents streaming service and managing user data statistics using qr code
JP2014123318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method for distributing electronic content use charge
KR10189905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ving picture based on ticket
US8842973B2 (en) Providing services using data on blu-ray disc
US9936264B1 (en) Method of restricting offline video playback to include advertisements
KR20190038263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ving picture based on ticket
US10002355B1 (en) Licensed media in a remote storage media consumption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