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691B1 - 홈 형성된 푸시 부재 세그먼트를 갖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 - Google Patents

홈 형성된 푸시 부재 세그먼트를 갖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691B1
KR102393691B1 KR1020197000129A KR20197000129A KR102393691B1 KR 102393691 B1 KR102393691 B1 KR 102393691B1 KR 1020197000129 A KR1020197000129 A KR 1020197000129A KR 20197000129 A KR20197000129 A KR 20197000129A KR 102393691 B1 KR102393691 B1 KR 102393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distal
push member
groove
in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479A (ko
Inventor
코너 오도노반
Original Assignee
메드트로닉 바스큘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드트로닉 바스큘러, 인크. filed Critical 메드트로닉 바스큘러,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15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2Insertion or introduction using an inner stiffening member, e.g. stylet or push-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e.g. stylets, mandrils, rods or wires to reinforce or adjust temporarily the stiffness, column strength or pushability of catheters which are already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61M2025/0681Systems with catheter and outer tubing, e.g. sheath, sleeve or guide tu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는 푸시 부재(108) 및 원위 샤프트(110)를 포함한다. 푸시 부재는 제1 표면(118) 및 제1 표면 반대편의 제2 표면(112)을 갖는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세그먼트는 제1 표면 내에 홈(128)을 포함한다. 제2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다. 원위 샤프트는 푸시 부재에 결합되고 통로(132)를 포함한다. 홈을 포함하는 푸시 부재의 세그먼트는 원위 샤프트에 인접한다.

Description

홈 형성된 푸시 부재 세그먼트를 갖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2016년 6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347,115호의 출원일의 35 U.S.C. § 119(e)하의 이익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가이드 카테터(guide catheter) 및 중재 관상 동맥 장치(interventional coronary device)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연장 카테터(guide extension catheter)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푸시 부재(push member) 내에 홈을 갖춘 가이드 연장 카테터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홈은 중재 관상 동맥 장치를 가이드 연장 카테터의 원위 샤프트(distal shaft) 내로 안내한다.
심장의 동맥, 및 보다 구체적으로 관상 동맥은 때때로 죽상경화판 또는 다른 병변에 의해 폐색되거나 좁아질 수 있다. 이들 병은 일반적으로 관상 동맥 심장 질환 또는 협착으로 지칭되며, 원위 동맥 및 조직으로의 불충분한 혈류를 초래한다. 심장 우회 수술이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을 앓는 소정 환자를 위한 실행가능한 외과 시술일 수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개심술은 상당한 환자 외상 및 불편함을 가하고 긴 회복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술의 침습적 특성과 그러한 수술 동안의 심장 정지에 대한 필요성으로 인해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들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최소 침습적 기법을 사용하여 중재 심장 시술을 수행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예에서, 중재 관상 동맥 장치의 경피 경관(또는 경혈관) 전달 및 이식이 전통적인 개심술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채용된다. 그러한 시술에서, 가이드 카테터가 우선 절개부를 통해 환자의 대퇴(경대퇴) 또는 요골(경요골) 동맥 내로 삽입된다. 예를 들어, 셀징거 기법(Seldinger technique)이 가이드 카테터를 경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양쪽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에서, 가이드 카테터는 대동맥을 통해 전진되고, 관상 동맥의 소공의 개구 내로 삽입된다. 가이드와이어, 또는 다른 중재 관상 동맥 장치, 예를 들어 카테터 장착 스텐트 및/또는 벌룬 카테터가 가이드 카테터를 통해 도입되고, 병든 관상 동맥의 협착부와 혈관구조를 통해 조종/전진될 수 있다. 그러나, 어려운 협착부를 통과하려고 시도할 때, 또는 작은 직경의 가이드 카테터를 사용하여 요골 중재를 수행할 때, 가이드 카테터는 충분한 후방 지지를 받지 못할 수 있고, 중재 관상 동맥 장치를 협착부를 통해 전진시키기 위한 힘의 지속적인 인가는 가이드 카테터의 원위 단부가 관상 동맥의 소공의 개구로부터 이탈되게 하여, 주위 조직에 대한 잠재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가이드 카테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재 심장전문의는 때때로 가이드 카테터를 관상 동맥 내로 심재(deep seating)시킬 것이다. 용어 "심재시키다" 또는 "심재"는 가이드 카테터가 관상 동맥 내로 더 멀리 하류로 밀어내질 것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가이드 카테터를 심재시키는 것은 가이드 카테터가 관상 동맥 벽을 손상(절개 또는 파열)시켜, 관상 동맥을 폐색시키고 관상 동맥으로의 혈류를 방해할 위험이 있다.
가이드 카테터에 추가의 지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용인된 하나의 시도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의 사용이다. 가이드 연장 카테터는 가이드 카테터의 루멘(lumen) 내에서 전개되고, 가이드 카테터의 원위 단부로부터 관상 동맥 내로 원위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카테터에 비해 그것들의 더 작은 크기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가 더 적은 잠재적 손상을 갖고서 관상 동맥 내에 더 깊이 안착될 수 있게 한다. 가이드 연장 카테터는 가이드 카테터에 추가의 지지를 제공하여 중재 관상 동맥 장치의 전달을 돕는다. 어려운 협착부 또는 요골 중재가 있는 경우에, 가이드 연장 카테터의 사용은 처치 중에 가이드 카테터가 관상 동맥의 소공의 개구로부터 이탈될 위험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그것들의 더 작은 크기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의 원위 샤프트의 통로 내에 중재 관상 동맥 장치를 수용할 때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예로서, 스텐트가 벌룬의 외측 표면 상에 장착된 카테터와 같은 중재 관상 동맥 장치가 가이드 연장 카테터의 원위 샤프트의 진입 포트에서 끼이거나, 걸리거나, 달리 잡히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원위 샤프트의 통로 내로의 더 용이한 진입을 제공하고 통로 내로 전진하는 중재 관상 동맥 장치의 끼임, 걸림, 또는 잡힘을 감소시키는 개선된 가이드 연장 카테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푸시 부재 및 원위 샤프트를 포함하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푸시 부재는 제1 표면 및 제1 표면 반대편의 제2 표면을 갖는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세그먼트는 제1 표면 내에 홈을 포함한다. 세그먼트의 제2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다. 원위 샤프트는 푸시 부재에 결합되고 통로를 포함한다. 원위 샤프트에 인접한, 홈을 포함하는 푸시 부재의 세그먼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가이드 연장 카테터, 가이드 카테터, 및 중재 관상 동맥 장치를 포함하는 관상 동맥 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이드 연장 카테터는 푸시 부재 및 원위 샤프트를 포함한다. 푸시 부재는 제1 표면 및 제1 표면 반대편의 제2 표면을 갖는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세그먼트는 제1 표면 내에 홈을 포함한다. 홈 반대편의 세그먼트의 제2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다. 원위 샤프트는 푸시 부재에 결합되고, 중재 관상 동맥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통로를 포함한다. 푸시 부재의 홈은 중재 장치를 원위 샤프트의 통로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카테터는 루멘을 포함하며, 루멘은 그것을 통해 가이드 연장 카테터 및 중재 관상 동맥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과 이점이 첨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은 또한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 및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은 일정한 축척으로 작성된 것은 아니다.
도 1은 관상 동맥 처치 시스템이 내부에 배치된 대동맥과 관상 동맥의 단면 절단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연장 카테터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가이드 연장 카테터의 일부분의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가이드 연장 카테터의 푸시 부재의 중간 세그먼트의 일부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선 4-4에서 취해진 가이드 연장 카테터의 푸시 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선 5-5에서 취해진 푸시 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선 6-6에서 취해진 푸시 부재의 단면도.
도 7은 푸시 부재 내의 홈의 중심선을 따라 취해진 도 3의 가이드 연장 카테터의 원위 부분의 종단면도.
도 7a는 푸시 부재 내의 홈의 중심선을 따라 취해진 푸시 부재의 중간 및 원위 세그먼트의 종단면도.
도 8은 푸시 부재의 원위 단부로부터 취해진 도 2의 푸시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도 2의 가이드 연장 카테터의 예시적인 원위 샤프트의 분해 사시도.
이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며,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시한다. 용어 "원위(distal)" 및 "근위(proximal)"는 처치 임상의에 대한 위치 또는 방향에 관하여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다. "원위" 및 "원위방향으로"는 임상의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 또는 임상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를 지칭한다. "근위" 및 "근위방향으로"는 임상의에 가까운 위치 또는 임상의를 향하는 방향으로를 지칭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응용 및 용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이 관상 동맥과 같은 혈관의 처치의 맥락에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또한 그것이 유용하다고 간주되는 임의의 다른 신체 통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분야', '배경기술', '발명의 내용', 또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명시적 또는 묵시적 이론에 의해 구애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 가이드 카테터(104), 및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를 포함하는 관상 동맥 처치 시스템(100)을 예시한다. 가이드 카테터(104)와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는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를 원하는 처치 위치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하는 처치 위치는 대동맥(AA)을 통해 접근되는 관상 동맥(CA) 내에 있다.
가이드 카테터(10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동맥(AA)에 접근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이드 카테터(104)는 보조 장치 또는 장치들(예컨대,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 및/또는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된 루멘을 포함한다. 가이드 카테터(104)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 및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와 같은 보조 장치(들)를 원하는 처치 위치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는 협착과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관상 동맥의 비정상 상태를 처치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의 비제한적인 예는 가이드와이어, 벌룬 카테터, 스텐트 카테터, 및 FFR 카테터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를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는 원위 샤프트(110)에 결합된 푸시 부재(108)를 포함한다. 푸시 부재(108)는 전이 조인트(transition joint)(112)에서 원위 샤프트(110)에 결합된다. 실시예에서,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는 길이가 대략 150 cm일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의 원위 샤프트(110)는 길이가 20 cm 내지 40 cm이다. 그러나, 이는 설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 및/또는 그것의 원위 샤프트(110)는 더 길거나 더 짧을 수 있다.
근위 샤프트 또는 푸시와이어(pushwire)로 또한 지칭되는 푸시 부재(108)는 근위 단부(114)와 원위 단부(116)를 포함한다. 푸시 부재(108)는 근위 단부(114)에 적용되는 모션을 원위 단부(116)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푸시 부재(108)는 근위 단부(114)에 적용되는 모션을 푸시 부재(108)에 결합된 결합된 원위 샤프트(11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더 간단히 말하면, 푸시 부재(108)는 푸시 부재(108)의 움직임이 또한 원위 샤프트(11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푸시 부재(108)는 근위 세그먼트(122), 중간 세그먼트(124), 및 원위 세그먼트(126)를 포함한다. 근위 세그먼트(122)는 푸시 부재(108)의 근위 단부(114)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위 세그먼트(126)는 푸시 부재(108)의 원위 단부(116)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간 세그먼트(124)는 근위 세그먼트(122)와 원위 세그먼트(126) 사이에 배치된다. 푸시 부재(108)는 스테인리스강, 니켈-티타늄 합금(예컨대, 니티놀(NITINOL)), 코발트, 크롬, 몰리브덴 및/또는 니켈 기반의 고성능 합금(예컨대, MP35N, L605, 엘질로이(ELGILOY)),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목적에 적합한 다른 재료와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부재(108)의 중간 세그먼트(124)는 단면이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제1 표면(118)과 제1 표면(118) 반대편의 제2 표면(120)을 포함한다. 제1 표면(118)과 제2 표면(120)은 둘 모두가 실질적으로 평평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평평한"은, 평평한 표면이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경우, 평평한 표면과 테이블 표면이 평행하도록 표면이 수평이거나 만곡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특히 용어 "평평한"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실질적으로" 또는 "대체로"는 정상 제조 허용오차 내에 있음을 의미한다. 근위 세그먼트(122)는 중간 세그먼트(124)와 유사하게 단면이 대체로 직사각형일 수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근위 세그먼트(122)는 단면이 대체로 원형, 난형, 장방형,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목적에 적합한 다른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부재(108)의 중간 세그먼트(124)는 제1 표면(118) 내에 형성된 홈(128)을 포함한다. 홈(128)은 원위 샤프트(110)의 연장된 중심 종축(LA1)을 향한다. 홈(128)은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를 원위 샤프트(110)의 통로(132)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홈(128)은 근위 단부(136)를 포함하고, 원위방향으로 원위 단부(138)까지 연장된다. 홈(128)은 원위 단부(138)로부터 근위 단부(136)까지 테이퍼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테이퍼 형성된다"는 홈(128)이 원위 단부(138)로부터 근위 단부(136)까지 점진적으로 더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홈(128)은 근위 단부(136)로부터 원위 단부(188)까지 점진적으로 더 커진다. 도 3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홈(12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단부(136)에서 제1 깊이(D1)와 제1 폭(W1)을,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단부(138)에서 제2 깊이(D2)와 제2 폭(W2)을 갖는다. 제1 깊이(D1)는 제2 깊이(D2)보다 작고, 제1 폭(W1)은 제2 폭(W2)보다 작다. 이에 따라, 푸시 부재(108)의 중간 세그먼트(124)의 단면 예시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8)은 제1 폭(W1)과 제1 깊이(D1)를 갖는 근위 단부(136)에서 시작되고, 홈(128)은 홈(128)의 길이를 따라 원위방향으로 넓어지고 깊어진다. 이에 따라, 도 5는 홈(128)이 각각 제1 폭(W1) 및 제1 깊이(D2)보다 크지만 각각 제2 폭(W2) 및 제2 깊이(D2)보다 작은 제3 폭(W3) 및 제3 깊이(D3)를 갖는, 근위 단부(136)와 원위 단부(138) 사이의 중간 지점을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홈(128)은 홈(128)이 원위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선형적으로 넓어지고 깊어진다. 그러나, 이는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홈(128)은 비-선형 프로파일을 비롯한 다른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홈(128)의 제1 깊이(D1)는 0.001 인치 내지 0.005 인치(이들 값이 포함됨)일 수 있고 제2 깊이(D2)는 0.005 인치 내지 0.02 인치(이들 값이 포함됨)일 수 있다. "이들 값이 포함됨"이라는 것은 그 범위의 각각의 끝에 있는 값들이 그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홈(128)의 제1 폭(W1)은 0.001 인치 내지 0.005 인치(이들 값이 포함됨)일 수 있고 제2 폭(W2)은 0.005 인치 내지 0.03 인치(이들 값이 포함됨)일 수 있다.
홈(128)은 스카이빙(skiving)/스웨이징(swaging) 공정, 레이저 제거 공정, 다른 기계적 제거 공정,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목적에 적합한 다른 공정과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방법에 의해 푸시 부재(108)의 중간 세그먼트(124)의 제1 표면(118)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8)의 표면(130)은 홈(128)의 원위 단부(138)에서 원위 샤프트(110)의 인접 부분의 내측 표면(142)과 정렬된다. 이러한 정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시예가 도 7,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다. 특히, 푸시 부재(108)의 원위 세그먼트(126)는 중간 세그먼트(124)의 원위 단부(139)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된다. 원위 세그먼트(126)는 중간 세그먼트(124)의 원위 단부(139)에 맞닿는 근위 단부(146), 및 원위 단부(150)를 포함한다. 도 7,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위 세그먼트(126)는, 홈(128)의 표면(130)과 원위 세그먼트(126)의 상부 표면(127) 사이에 쇼울더(shoulder)(134)가 형성되도록, 중간 세그먼트(124)의 원위 단부(139)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된다. 달리 말하면, 쇼울더(134)는 중간 세그먼트(124)의 원위 단부(139)가 원위 세그먼트(126)의 근위 단부(146)와 만나는 곳에 형성된다. 도 7, 도 7a 및 도 8의 실시예에서, 중간 세그먼트(124)의 제2 표면(120)과 원위 세그먼트(126)의 하부 표면(129) 사이에 쇼울더(135)가 또한 형성된다. 푸시 부재(108)의 원위 세그먼트(126)는 중간 세그먼트(124)에 부착된 별개의 피스(piece)에 의해, 또는 레이저 제거 공정, 기계가공,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목적에 적합한 다른 공정과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원위 세그먼트(126)가 도 8에 중간 세그먼트(124)보다 작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설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원위 세그먼트(126)의 다른 단면 형상 및 폭이 이용될 수 있다. 제한으로서가 아닌 예를 들어, 원위 세그먼트(126)는 원위 샤프트(110)의 곡률과 정합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푸시 부재(108)의 근위 세그먼트(122), 중간 세그먼트(124), 및 원위 세그먼트(126)가 단일 구성요소로서 기술되었지만, 이는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근위 세그먼트(122), 중간 세그먼트(124), 및/또는 원위 세그먼트(126)는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고 함께 결합되어 푸시 부재(108)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원위 샤프트(110)는 근위 단부(140)와 원위 단부(152)를 포함한다. 원위 샤프트(110)는 도 2, 도 3,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관형이고 벽(148)과 통로(132)를 포함한다. 통로(132)는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원위 샤프트(110)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것의 비제한적인 예는 중합체 및 편조 중합체(braided polymer)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푸시 부재(108)와 원위 샤프트(110) 사이의 전이 조인트(112)는 푸시 부재(108)의 원위 세그먼트(126)와 원위 샤프트(110)의 근위 부분(144)을 포함한다. 전이 조인트(112)는 푸시 부재(108)의 원위 세그먼트(126)와 원위 샤프트(110)의 근위 부분(144)을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원위 세그먼트(126)가 원위 샤프트(110)의 층들 사이에 배치된다. 전이 조인트(112)는 이에 따라 푸시 부재(108)를 원위 샤프트(110)에 결합시키도록, 그리고 푸시 부재(108)의 모션을 원위 샤프트(11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푸시 부재(108)의 원위 세그먼트(126)는, 원위 세그먼트(126)의 상부 표면(127)이 원위 샤프트(110)의 벽(148)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도록, 또는 원위 세그먼트(126)의 하부 표면(129)이 벽(148)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도록, 원위 샤프트(110)에 부착될 수 있다. 원위 세그먼트(126)는 기계적 접합(예컨대, 접착제, 용접, 열 접합, 클립 등)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목적에 적합한 다른 접합부를 통해 벽(148)에 부착될 수 있다.
도 9는 원위 샤프트(110)의 예를 예시하며, 여기서 원위 샤프트(110)는 내측 라이너(liner)(154), 외측 재킷(jacket)(156) 및 지지 구조체(158)를 포함한다. 내측 라이너(154)는 대체로 관형의 형상을 갖고, 원위 샤프트(110)의 내측 표면(160)을 형성한다. 내측 라이너(154)는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가 원위 샤프트(110)의 통로(132)를 통해 용이하게 전진/후퇴될 수 있도록 저마찰 내측 표면을 갖는 원위 샤프트(110)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내측 라이너(154)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PFA), 고밀도 폴리에틸렌(HDPA),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목적에 적합한 다른 재료와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재킷(156)은 대체로 관형의 형상을 갖고, 원위 샤프트(110)의 외측 표면(162)을 형성한다. 외측 재킷(156)은 원위 샤프트(110)에 가요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외측 재킷(156)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예컨대, 페백스(PEBAX)(등록상표), 베스타미드(VESTAMID)(등록상표)), 나일론,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목적에 적합한 다른 재료와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와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58)는 대체로 관형의 나선형으로 권취된 와이어 부재(164)(필라멘트로 또한 알려짐)이다. 지지 구조체(158)는 내측 라이너(154)와 외측 재킷(156) 사이에 매립된다. 지지 구조체(158)는 원위 샤프트(110)에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구조체(158)는 열, 융합, 접착제,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과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방법에 의해 내측 라이너(154)와 외측 재킷(156) 사이에 접합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58)는 스테인리스강, 니켈-티타늄 합금(예컨대, 니티놀),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목적에 적합한 다른 재료와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중재 관상 동맥 장치를 원하는 처치 위치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 기술될 수 있다. 가이드 카테터(104)가 대동맥(AA) 내로 전진되고, 가이드 카테터(104)의 원위 단부가 관상 동맥(CA)의 소공(OS)의 개구 내에 배치된다.
원위 샤프트(110)의 원위 단부(152)가 가이드 카테터(104)의 원위 단부(105)의 원위에, 그리고 원하는 처치 위치의 근위에 있는 관상 동맥(CA) 내에 배치될 때까지,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가 가이드 카테터(104)를 통해 전진된다.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의 푸시 부재(108)에 인접하게 또는 그것과 나란히 가이드 카테터(104)를 통해 전진된다.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가 원위방향으로 전진됨에 따라,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의 원위 부분이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의 푸시 부재(108)의 홈(128)(도 1에서는 보이지 않음, 그러나 도 3에 도시됨)을 타고 간다. 홈(128)은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를 원위 샤프트(110)의 근위 단부(140) 내로 안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도 1에서 보임)의 외측 표면이 홈(128)의 표면(130)을 따라 타고 갈 수 있다.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의 외측 표면(106)은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가 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홈(128)과 유사하게 형상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위에서 기술되었지만, 그것들은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단지 본 발명의 예시 및 예로서 제시되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기술된 실시예에서 형태 및 세부 사항에 있어서의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및 범주는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것의 등가물에 따라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각각의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각각의 참고문헌의 각각의 특징이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특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모든 특허 및 공보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Claims (23)

  1. 가이드 연장 카테터(guide extension catheter)(102)로서,
    제1 표면(118) 및 제1 표면 반대편의 제2 표면(120)을 갖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푸시 부재(push member)(108) - 세그먼트는 제1 표면 내에 홈(128)을 포함하고, 제2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함 -; 및
    푸시 부재에 결합되고 통로를 포함하는 원위 샤프트(distal shaft)(110)
    를 포함하고,
    푸시 부재는 근위 세그먼트(122), 중간 세그먼트(124), 및 원위 세그먼트(126)를 포함하고, 홈을 갖는 세그먼트는 중간 세그먼트이고, 푸시 부재는 쇼울더(shoulder)가 중간 세그먼트의 제1 표면과 원위 세그먼트의 상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중간 세그먼트의 원위 단부와 원위 세그먼트의 근위 단부 사이에 배치된 쇼울더(134)를 추가로 포함하고, 홈을 포함하는 푸시 부재의 중간 세그먼트는 원위 샤프트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표면 내의 홈은 제1 깊이를 갖는 근위 단부(proximal end) 및 제2 깊이를 갖는 원위 단부(distal end)를 포함하고, 제1 깊이는 제2 깊이보다 작은, 가이드 연장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홈의 근위 단부는 제1 폭을 갖고 홈의 원위 단부는 제2 폭을 가지며, 제1 폭은 제2 폭보다 작은, 가이드 연장 카테터.
  4. 제3항에 있어서, 홈의 제1 깊이는 0.001 인치 내지 0.005 인치(이들 값이 포함됨)이고 제2 깊이는 0.005 인치 내지 0.02 인치(이들 값이 포함됨)인, 가이드 연장 카테터.
  5. 제3항에 있어서, 제1 폭은 0.001 인치 내지 0.005 인치(이들 값이 포함됨)이고 제2 폭은 0.005 인치 내지 0.03 인치(이들 값이 포함됨)인, 가이드 연장 카테터.
  6. 제1항에 있어서, 제1 표면 내의 홈은 제1 폭을 갖는 근위 단부 및 제2 폭을 갖는 원위 단부를 포함하고, 제1 폭은 제2 폭보다 작은, 가이드 연장 카테터.
  7. 제6항에 있어서, 제1 폭은 0.001 인치 내지 0.005 인치의 범위(이들 값이 포함됨)이고 제2 폭은 0.005 인치 내지 0.03 인치의 범위(이들 값이 포함됨)인, 가이드 연장 카테터.
  8. 제1항에 있어서, 푸시 부재의 홈의 원위 단부는 원위 샤프트의 내측 표면의 인접 부분과 정렬되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
  9. 제1항에 있어서, 중간 세그먼트의 원위 단부는 원위 샤프트의 근위 단부와 정렬되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
  10. 제1항에 있어서, 원위 세그먼트는 원위 샤프트의 근위 부분과 중첩되어 전이 조인트(transition joint)를 형성하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
  11. 관상 동맥 처치 시스템(coronary treatment system)으로서,
    중재 관상 동맥 장치(106);
    가이드 연장 카테터(102); 및
    루멘(lumen)을 포함하는 가이드 카테터(104) - 루멘은 루멘을 통해 가이드 연장 카테터 및 중재 관상 동맥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고,
    가이드 연장 카테터는,
    제1 표면(118) 및 제1 표면 반대편의 제2 표면(120)을 갖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푸시 부재(108) - 세그먼트는 제1 표면 내에 홈(128)을 포함하고, 제2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함 -; 및
    푸시 부재에 결합되고 통로를 포함하는 원위 샤프트(110)
    를 포함하고,
    푸시 부재는 근위 세그먼트(122), 중간 세그먼트(124), 및 원위 세그먼트(126)를 포함하고, 홈을 갖는 세그먼트는 중간 세그먼트이고, 푸시 부재는 쇼울더가 중간 세그먼트의 제1 표면과 원위 세그먼트의 상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중간 세그먼트의 원위 단부와 원위 세그먼트의 근위 단부 사이에 배치된 쇼울더(134)를 추가로 포함하고, 홈을 포함하는 푸시 부재의 중간 세그먼트는 원위 샤프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원위 샤프트는 중재 관상 동맥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푸시 부재의 홈은 중재 장치를 원위 샤프트의 통로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관상 동맥 처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홈은 제1 깊이를 갖는 근위 단부 및 제2 깊이를 갖는 원위 단부를 포함하고, 제1 깊이는 제2 깊이보다 작은, 관상 동맥 처치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홈의 근위 단부는 제1 폭을 갖고 홈의 원위 단부는 제2 폭을 가지며, 제1 폭은 제2 폭보다 작은, 관상 동맥 처치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홈의 제1 깊이는 0.001 인치 내지 0.005 인치의 범위이고 제2 깊이는 0.005 인치 내지 0.02 인치의 범위인, 관상 동맥 처치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제1 폭은 0.001 인치 내지 0.005 인치의 범위이고 제2 폭은 0.005 인치 내지 0.03 인치의 범위인, 관상 동맥 처치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푸시 부재의 홈의 원위 단부는 원위 샤프트의 내측 표면의 인접 부분과 정렬되는, 관상 동맥 처치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원위 세그먼트는 원위 샤프트의 근위 부분과 중첩되어 전이 조인트를 형성하는, 관상 동맥 처치 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97000129A 2016-06-08 2017-06-06 홈 형성된 푸시 부재 세그먼트를 갖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 KR102393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7115P 2016-06-08 2016-06-08
US62/347,115 2016-06-08
PCT/US2017/036233 WO2017214209A1 (en) 2016-06-08 2017-06-06 Guide extension catheter with grooved push member seg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479A KR20190015479A (ko) 2019-02-13
KR102393691B1 true KR102393691B1 (ko) 2022-05-04

Family

ID=5907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129A KR102393691B1 (ko) 2016-06-08 2017-06-06 홈 형성된 푸시 부재 세그먼트를 갖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485956B2 (ko)
EP (1) EP3468651A1 (ko)
JP (1) JP6920355B2 (ko)
KR (1) KR102393691B1 (ko)
CN (1) CN109310846B (ko)
AU (1) AU2017277398B2 (ko)
BR (1) BR112018075382A2 (ko)
RU (1) RU2018142995A (ko)
WO (1) WO20172142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5512B2 (en) 2013-12-23 2016-02-23 Silk Road Medical, Inc. Transcarotid neurovascular catheter
JP2017533012A (ja) 2014-11-04 2017-11-09 オーバスネイチ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累加柔軟性カテーテル支持フレーム
US10617847B2 (en) 2014-11-04 2020-04-14 Orbusneich Medical Pte. Ltd. Variable flexibility catheter support frame
EP3253437B1 (en) 2015-02-04 2019-12-04 Route 92 Medical, Inc. Rapid aspiration thrombectomy system
US10426497B2 (en) 2015-07-24 2019-10-01 Route 92 Medical, Inc. Anchoring delivery system and methods
US11065019B1 (en) 2015-02-04 2021-07-20 Route 92 Medical, Inc. Aspiration catheter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10392591B (zh) 2017-01-10 2022-06-03 92号医疗公司 抽吸导管系统和使用方法
AU2019269606A1 (en) 2018-05-17 2020-12-03 Route 92 Medical, Inc. Aspiration catheter systems and methods of use
JP2021526041A (ja) 2018-06-05 2021-09-30 メドトロニック・ヴァスキュラ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医療用カテーテル
WO2019236735A1 (en) 2018-06-05 2019-12-12 Medtronic Vascular, Inc. Medical catheter
WO2019236737A1 (en) * 2018-06-05 2019-12-12 Medtronic Vascular, Inc. Catheter including slidable push grip
CN112689525A (zh) * 2018-08-21 2021-04-20 美敦力瓦斯科尔勒公司 引导延伸导管组件、系统和使用方法
EP3943143A3 (en) * 2018-09-10 2022-03-02 Orbusneich Medical Pte. Ltd Variable flexibility catheter support frame
US11660420B2 (en) 2018-09-17 2023-05-30 Seigla Medical, Inc. Catheter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200086089A1 (en) 2018-09-17 2020-03-19 Seigla Medical,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guiding and supporting catheters such as stent delivery catheters
US11547835B2 (en) 2018-09-17 2023-01-10 Seigla Medical,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guiding and supporting cathet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1813417B2 (en) * 2019-08-13 2023-11-14 Medtronic Vascular, Inc. Catheter modification device
US11547786B2 (en) 2020-04-03 2023-01-10 Tufts Medical Center, Inc. Expandable ECMO extension cannula system
US11738131B2 (en) 2020-04-03 2023-08-29 Tufts Medical Center, Inc. Expandable ECMO extension cannula system
US11331421B2 (en) 2020-04-03 2022-05-17 Tufts Medical Center, Inc. Expandable ECMO extension cannula system
WO2023220724A1 (en) 2022-05-12 2023-11-16 Tufts Medical Center, Inc. Expandable cannula system for ecm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50271A1 (en) 2010-12-09 2012-06-14 Svelte Medical Systems, Inc. Buddy wire for the coronary arteries
US20150151090A1 (en) 2012-06-08 2015-06-04 GMedix, Inc Coaxial guide coil for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0417A (en) 1994-07-07 1997-04-15 Cardiovascular Imaging Systems Incorporated Rapid exchange delivery catheter
AU1958301A (en) * 1999-12-08 2001-06-18 Durect Corporation Catheter with stylet lumen
JP2006087643A (ja) * 2004-09-24 2006-04-06 Terumo Corp 血管内異物吸引装置
AU2013215036B2 (en) * 2012-01-31 2015-11-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Guide extension catheter
JP5403712B2 (ja) * 2012-03-08 2014-01-29 株式会社グツドマン 挿入補助具、カテーテル組立体及びカテーテルセット
US9486611B2 (en) * 2012-08-17 2016-11-0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Guide extension catheter
US20150257785A1 (en) * 2013-03-15 2015-09-17 Shay Kent Seitz Cuffed Fluid Line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on of Tissue Ingrowth Cuffs and Fluid Lines from a Body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WO2014152191A1 (en) * 2013-03-15 2014-09-25 Qxmedical, Llc Boosting cathet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50271A1 (en) 2010-12-09 2012-06-14 Svelte Medical Systems, Inc. Buddy wire for the coronary arteries
US20150151090A1 (en) 2012-06-08 2015-06-04 GMedix, Inc Coaxial guide coil for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8142995A (ru) 2020-07-09
WO2017214209A1 (en) 2017-12-14
JP6920355B2 (ja) 2021-08-18
AU2017277398B2 (en) 2021-10-14
US10485956B2 (en) 2019-11-26
US20170354800A1 (en) 2017-12-14
CN109310846A (zh) 2019-02-05
AU2017277398A1 (en) 2019-01-03
JP2019520891A (ja) 2019-07-25
BR112018075382A2 (pt) 2019-03-19
KR20190015479A (ko) 2019-02-13
CN109310846B (zh) 2021-10-15
EP3468651A1 (en)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691B1 (ko) 홈 형성된 푸시 부재 세그먼트를 갖는 가이드 연장 카테터
US11547834B2 (en) Guide extension catheter with helically-shaped entry port
US10661049B2 (en) Elastic introducer sheath
EP2911729B1 (en) Elastic introducer sheath
US11712544B2 (en) Guide extension catheter
US10499895B2 (en) Elastic introducer sheath
US10688277B2 (en) Guide extension catheter with perfusion openings
US20200179661A1 (en) Intravascular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KR20220156546A (ko) 경피적 관상 동맥 개입술을 위한 혈관 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US9211389B2 (en) Offset soft tip with proposed tooling
US20110160834A1 (en) Rapid exchange catheter
US10953197B2 (en) Guide extension catheter
JP7155269B2 (ja) 案内伸長カテーテル
US8777873B2 (en) Wire guide having a rib for coil attachment
US8613713B2 (en) Wire guide having variable flexibility and method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