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294B1 -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294B1
KR102393294B1 KR1020140129524A KR20140129524A KR102393294B1 KR 102393294 B1 KR102393294 B1 KR 102393294B1 KR 1020140129524 A KR1020140129524 A KR 1020140129524A KR 20140129524 A KR20140129524 A KR 20140129524A KR 102393294 B1 KR102393294 B1 KR 102393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ibration
pixel value
density
medical imaging
imag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011A (ko
Inventor
박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9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294B1/ko
Priority to US14/865,817 priority patent/US10052080B2/en
Priority to PCT/KR2015/010196 priority patent/WO2016048088A1/en
Priority to EP15844117.0A priority patent/EP3197363B1/en
Publication of KR20160037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2Calibration
    • A61B6/583Calibration using calibration phan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14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8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pre-scan acqui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2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reast, i.e. mammograp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예비 촬영(pre- shot)을 위한 제1 조사 조건에 따라 대상체 및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캘리브레이션 팬텀으로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부, 대상체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고,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MEDICAL IMAGING DEVICE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원 발명은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상체를 촬영할 때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함께 촬영하여 매 촬영마다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영상 장치는 대상체의 내부 구조를 영상으로 획득하기 위한 장비이다. 의료 영상 처리 장치는 비침습 검사 장치로서, 신체 내의 구조적 세부사항, 내부 조직 및 유체의 흐름 등을 촬영 및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의사 등의 사용자는 의료 영상 처리 장치에서 출력되는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 및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 영상을 촬영 및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는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 CT(Computed Tomography) 장치, 엑스선 장치 또는 초음파 장치 등이 있으며, 의료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의료 영상을 생성한다.
엑스선 장치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치이다. 대상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엑스선의 투과성이 다르므로,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의 세기 또는 강도를 검출하여 대상체의 내부 구조를 영상화 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는 AEC(Auto Exposure Controller)를 구비하여 엑스선 조사를 위한 파라미터, 예를 들어, 관전압, 관전류, 양극의 타겟 물질, 노출 시간, 문턱 에너지 및 필터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엑스선의 조사 조건을 실제 촬영되는 대상체에 최적화 시키기 위한 것이다. AEC는 대상체의 예비 촬영(pre-shot) 영상을 분석하여 대상체의 특성에 최적화된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AEC 캘리브레이션(auto exposure control calibration)은 일반적으로 엑스선 빔 특성(beam quality)을 변화시키는 HVG(high voltage generators), 엑스선관(X-ray Tube)등 주요 구성품이 바뀌는 경우에 수행되고, 방사선사에 의해 주기적으로(2~3개월에 한 번씩)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HVG, 엑스선관 및 검출기 등과 같은 장비의 주요 구성품들은 매 촬영마다 오차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캘리브레이션 방식에 따르면,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된 시점의 시스템 정보와 촬영 시점의 시스템 정보가 상이한 경우 장비의 전체적인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매 촬영마다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는 예비 촬영(pre- shot)을 위한 제1 조사 조건에 따라 대상체 및 상기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캘리브레이션 팬텀으로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부; 상기 대상체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에 포함되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픽셀값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에 근거하여 획득된 상기 대상체의 밀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단일 두께 및 단일 밀도로 형성된 제1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투과하여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에 대하여 오프셋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는, 상기 예비 촬영 이전에 복수의 제2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을 촬영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두께 및 밀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의 제3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3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하여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예비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 및 상기 복수의 제3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밀도 각각에 대해,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제3 캘리브레이션 팬텀들로부터 두께 및 픽셀 값 사이의 제1 관계식을 획득하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밀도 각각에 대해 획득된 제1 관계식들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두께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 사이의 제2 관계식을 획득하고, 상기 제2 관계식 및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대상체의 밀도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 및 상기 복수의 제3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제2 관계식인
<수식 1>
ob_den=a×ob_PV+b
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산출하고, 상기 수식 1에 있어서, 상기 ob_den은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상기 ob_PV는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을 나타내고, 상기 a 및 b는 상기 제3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계수이며, 상기 산출된 대상체의 밀도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상기 검출부 상에 상기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상기 엑스선 조사부와 상기 검출부 사이에 상기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상이한 두께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계단형의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조사 조건에 따라 촬영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사용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 상태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사용 여부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검출부 상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제어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예비 촬영(pre- shot)을 위한 제1 조사 조건에 따라 대상체 및 상기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캘리브레이션 팬텀으로 엑스선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대상체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에 포함되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픽셀값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밀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단일 두께 및 단일 밀도로 형성된 제1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포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투과하여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이용하여,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에 대하여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는, 상기 예비 촬영 이전에 복수의 제2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을 촬영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두께 및 밀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의 제3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3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하여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예비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 및 상기 복수의 제3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밀도 각각에 대해,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제3 캘리브레이션 팬텀들로부터 두께 및 픽셀 값 사이의 제1 관계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밀도 각각에 대해 획득된 제1 관계식들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두께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 사이의 제2 관계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관계식 및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대상체의 밀도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 및 상기 복수의 제3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제2 관계식인
<수식 1>
ob_den=a×ob_PV+b
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식 1에 있어서, 상기 ob_den은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상기 ob_PV는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을 나타내고, 상기 a 및 b는 상기 제3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계수이며,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대상체의 밀도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조사 조건에 따라 촬영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엑스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 대한 추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두께 및 단일 밀도로 형성된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방법에 따른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에 대한 오프셋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이용한 캘리브레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캘리프레이션 팬텀을 이용한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는 이산적인 영상 요소들(예를 들어, 2차원 영상에 있어서의 픽셀들 및 3차원 영상에 있어서의 복셀들)로 구성된 다차원(multi-dimensional)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은 엑스선 장치, CT 장치, MRI 장치, 초음파 장치 및 다른 의료 영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object)"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 또는 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팬텀(phantom)”은 인체가 받는 방사선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인체 대신으로 이용하는 모형으로, 물체 속에서 방사선의 감쇠?산란 또는 방사성 물질의 분포 등을 모의하여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물체를 의미한다. 팬텀은 물체 생물의 밀도와 실효 원자 번호에 아주 근사한 특성을 갖으며, 신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구형(sphere)의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팬텀의 형태는 구형, 육면체, 계단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의료 영상 장치"는 엑스선을 인체에 투과시켜 인체의 내부 구조를 이미지로 획득하는 CT(Computed Tomography) 장치, 엑스선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엑스선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엑스선 장치는 엑스선을 인체에 투과시켜 인체의 내부 구조를 이미지로 획득하는 의료 영상 장치이다. 엑스선 장치는 MRI 장치, CT 장치 등을 포함하는 다른 의료 영상 장치에 비해 간편하고, 짧은 시간 내에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엑스선 장치는 단순 흉부 촬영, 단순 복부 촬영, 단순 골격 촬영, 단순 부비동 촬영, 단순 경부 연조직(neck soft tissue) 촬영 및 유방 촬영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엑스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엑스선 장치(100)는 고정식 엑스선 장치 또는 이동식 엑스선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엑스선 장치(100)는 워크스테이션(110), 엑스선 조사부(120), 고전압 발생부(121) 및 검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10)은 사용자가 엑스선 조사를 비롯한 엑스선 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11) 및 엑스선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2)를 포함한다.
고전압 발생부(121)는 엑스선의 발생을 위한 고전압을 발생시켜 엑스선 소스(122)에 인가한다.
엑스선 조사부(120)는 고전압 발생부(121)에서 발생된 고전압을 인가받아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122) 및 엑스선 소스(122)에서 조사되는 엑스선의 경로를 안내하는 콜리메이터(123)를 포함한다.
검출부(130)는 엑스선 조사부(120)에서 조사되어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한다. 검출부(130)는 예를 들어, 테이블 타입이나 스탠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장치(100)는 제어부(112)의 제어 하에 엑스선의 조사 등 촬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141)를 포함하는 조작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10), 엑스선 조사부(120), 고전압 발생부(121) 및 검출부(130)는 서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서로 간의 클럭을 동기화하기 위한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1)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기, 지문 인식기, 홍채 인식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1)를 통해 엑스선 조사를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데, 입력부(111)에는 이러한 명령 입력을 위한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는 두 번에 걸쳐 눌러야 엑스선 조사를 위한 조사명령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면 스위치는 엑스선 조사를 위한 예열을 지시하는 준비명령이 입력되고, 그 상태에서 스위치를 더 깊게 누르면 실질적인 엑스선 조사를 위한 조사명령이 입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입력부(111)는 스위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 즉, 준비신호와 조사신호를 생성하여 엑스선 발생을 위한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 발생부(121)로 출력한다.
고전압 발생부(121)는 입력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준비신호를 수신하여 예열을 시작하고, 예열이 완료되면, 준비완료신호를 제어부(112)로 출력한다. 그리고, 엑스선 검출을 위해 검출부(130) 또한 엑스선 검출준비가 필요한데, 고전압 발생부(121)는 입력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준비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의 예열과 함께 검출부(130)가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검출부(130)로 준비신호를 출력한다. 검출부(130)는 준비신호를 수신하면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검출준비가 완료되면 검출준비완료신호를 고전압 발생부(121)와 제어부(112)로 출력한다.
고전압 발생부(121)의 예열이 완료되고, 검출부(130)의 엑스선 검출준비가 완료되며, 입력부(111)로부터 고전압 발생부(121)로 조사신호가 출력되면, 고전압 발생부(121)는 고전압을 생성하여 엑스선 소스(122)로 인가하고, 엑스선 소스(122)는 엑스선을 조사하게 된다.
제어부(112)는 입력부(111)로부터 조사신호가 출력되면, 엑스선 조사를 대상체가 알 수 있도록, 사운드 출력부(141)로 사운드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사운드 출력부(141)에서 소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출력부(141)에서는 엑스선 조사 이외에 다른 촬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사운드 출력부(141)가 조작부(14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작부(141)가 위치하는 지점과 다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크스테이션(110)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대상체에 대한 엑스선 촬영이 수행되는 촬영실 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112)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엑스선 조사부(120)와 검출부(130)의 위치, 촬영 타이밍 및 촬영 조건 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2)는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고전압 발생부(121) 및 검출부(130)를 제어하여 엑스선의 조사 타이밍, 엑스선의 세기 및 엑스선의 조사 영역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소정의 촬영 조건에 따라 검출부(130)의 위치를 조절하고, 검출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검출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의료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2)는 검출부(13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 및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조절하여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엑스선 장치(100)는 제어부(112)에 의해 생성된 의료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UI(user interface), 사용자 정보 또는 대상체 정보 등 사용자가 엑스선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프린터, CRT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PDP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FE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VFD 디스플레이, DLP 디스플레이, PFD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출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워크스테이션(110)은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버(162), 의료 장치(164) 및 휴대용 단말(166) 등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150)와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162), 외부의 의료 장치(164), 또는 외부의 휴대용 단말(166)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대상체의 진단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CT, MRI, 엑스선 장치 등 다른 의료 장치(164)에서 촬영한 의료 이미지 또한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는 서버(162)로부터 환자의 진단 이력이나 치료 일정 등을 수신하여 대상체의 진단에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는 병원 내의 서버(162)나 의료 장치(164)뿐만 아니라, 의사나 고객의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의 휴대용 단말(166)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에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에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엑스선 장치(100)는, 다수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초소형 연산 처리 장치 및 특수 용도용(예를 들면, 고속 A/D 변환, 고속 푸리에 변환, 어레이 처리용 등) 처리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워크스테이션(110)과 엑스선 조사부(120), 워크스테이션(110)과 고전압 발생부(121) 및 워크스테이션(110)과 검출부(130) 사이의 통신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등의 고속 디지털 인터페이스,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등의 비동기 시리얼 통신, 과오 동기 시리얼 통신 또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저지연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통신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엑스선 조사부(120), 검출부(130), 제어부(112)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의료 영상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의료 영상 장치(2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엑스선 조사부(120)는 예비 촬영(pre- shot)을 위한 제1 조사 조건에 따라 대상체 및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으로 엑스선을 조사한다. 검출부(130)는 대상체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한다. 제어부(112)는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고,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예비 촬영 영상에 포함되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픽셀값에 근거하여, 대상체의 밀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예비 촬영 영상에 근거하여 획득된 대상체의 밀도에 근거하여,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단일 두께 및 단일 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2)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투과하여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에 대하여 오프셋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는, 예비 촬영 이전에 캘리브레이션 팬텀(215)과 다른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을 촬영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제어부(112)는 오프셋 보정이 수행된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두께 및 밀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두께 및 밀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하여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예비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획득된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캘리브레이션 시점과 실제 대상체에 대한 촬영 시점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를 해결하기 위해, 소형의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상시 부착하여 실제 대상체 촬영 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한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 대한 추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엑스선 조사부(120), 검출부(130), 제어부(112), 캘리브레이션 팬텀(215), 저장부(340) 및 출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의료 영상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의료 영상 장치(200)는 구현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엑스선 조사부(120), 검출부(130), 제어부(112)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215)는 도 2에 도시된 엑스선 조사부(120), 검출부(130), 제어부(112)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215)과 동일 대응되므로,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340)는,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40)는, 예비 촬영 이전에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을 촬영하여 획득한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투과하여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저장부(340)에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에 대한 오프셋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촬영된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350)는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본 촬영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에 따라 촬영된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350)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사용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상태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사용 여부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검출부(130) 상의 위치, 사용되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개수 및 사용되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검출부(130) 상에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엑스선 조사부(120)와 검출부(130) 사이에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의료 영상 장치(200)가 맘모그래피(mammography)인 경우, 일반적으로 검출부(130) 상에서 흉벽의 반대 측 영역(410)에는 대상체가 위치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맘모그래피에서는 일반적으로 검출부(130) 상에서 흉벽(chest wall)의 반대 측 영역(410)이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위치시킬 수 있는 영역인,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이 된다.
도 4(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이 검출부(130) 상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검출부(130) 상의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420)에 위치하여 대상체와 함께 촬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검출부(130) 상의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42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위치는 대상체를 촬영시 마다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촬영시 마다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420)이 변경되는 경우,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위치는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이 검출부(130)와 엑스선 조사부(1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검출부(130) 상의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430)에서 검출되도록, 검출부(130)와 엑스선 조사부(1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의료 영상 장치(200)와 연결된 별도의 지지대(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위치는 의료 영상 장치(200)와 연결된 별도의 지지대(미도시)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촬영시 마다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430)이 변경되는 경우,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위치는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두께 및 단일 밀도로 형성된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 두께 및 단일 밀도로 형성된 상시 부착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은, 대상체 촬영 이전에 수행되는 캘리브레이션 과정(500)과 대상체 촬영시 수행되는 실시간 캘리브레이션 과정(550)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대상체 촬영 이전에 수행되는 캘리브레이션 과정(500)을 살펴보면, 단계 50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밀도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200)는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504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장치(200)는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506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는 후술할 단계 556에서의 오프셋 보정에서 사용된다.
단계 508에서,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의료 영상 장치(200)에서 제거될 수 있다.
대상체 촬영시 수행되는 실시간 캘리브레이션 과정(550)을 살펴보면, 단계 55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예비 촬영(pre- shot)을 위한 제1 조사 조건에 따라 조사되어 대상체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장치(200)는 예비 촬영(pre- shot)을 위한 제1 조사 조건에 따라 대상체 및 상기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으로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554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캘리브레이션 정보 보정을 위한 데이터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장치(200)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투과하여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으로부터 캘리브레이션 정보 보정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556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에 대하여 오프셋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란, 대상체 촬영과는 별도로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획득하여 저장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란, 일반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저장되는 종래의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58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방법에 따른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에 대한 오프셋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는, 대상체 촬영 이전에 수행되는 캘리브레이션 과정(500)에서 획득된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밀도에 대한 픽셀 값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의료 영상 장치(200)는 밀도가 30%이며 두께가 각각 30mm, 40mm, 50mm인 캘리브레이션 팬텀들과, 밀도가 50%이며 두께가 각각 30mm, 40mm, 50mm인 캘리브레이션 팬텀들과, 밀도가 70%이며 두께가 각각 30mm, 40mm, 50mm인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일정 두께에서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밀도와 픽셀 값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b)는, 단일 두께 및 단일 밀도로 형성된 상시 부착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에 대하여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두께가 40mm이고, 밀도가 50%인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실시간 캘리브레이션에 이용한다 가정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두께가 40mm이고, 밀도가 50%인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대상체와 함께 촬영하여 획득된 픽셀 값(620)이, 캘리브레이션 정보로 기 저장된 두께가 40mm이고, 밀도가 50%인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픽셀 값(610)보다 작다. 이 경우, 도 6(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의료 영상 장치(200)는 기 저장된 전체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기 저장된 픽셀 값(610)과 대상체 촬영시 획득된 픽셀 값(620)과의 차이(630)만큼 조정해 준다. 즉, 의료 영상 장치(200)는 일정 두께에서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밀도와 픽셀 값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에 대하여 오프셋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이용한 캘리브레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두께 및 밀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밀도가 30%이고 길이가 각각 5mm, 10mm, 및 15mm인 캘리브레이션 팬텀들(730)과, 밀도가 50%이고 길이가 각각 5mm, 10mm, 및 15mm인 캘리브레이션 팬텀들(740)과, 밀도가 70%이고 길이가 각각 5mm, 10mm, 및 15mm인 캘리브레이션 팬텀들(750)을 포함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검출부(130) 상의 대상체가 위치하는 영역(720) 외의 영역 즉,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720)에서 검출부(130)가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730, 740, 750) 각각에 대하여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예비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획득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장치(200)는 예비 촬영 영상으로부터 대상체의 픽셀 값 및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730, 740, 750)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획득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밀도 각각에 대해,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730, 740, 750)로부터 두께 및 픽셀 값 사이의 제1 관계식을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서로 다른 복수의 밀도 각각에 대해 획득된 제1 관계식들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두께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 사이의 제2 관계식을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제2 관계식, 측정된 대상체의 두께 및 대상체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밀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획득된 대상체의 밀도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예비 촬영 영상으로부터 대상체의 픽셀 값 및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730, 740, 750)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획득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두께에 대한 제2 관계식인 수식 1
<수식 1>
ob_den=a×ob_PV+b
로부터 대상체의 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수식 1에 있어서, ob_den은 대상체의 밀도를, ob_PV는 대상체의 픽셀 값을 나타내고, a 및 b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캘리브레이션 팬텀들(730, 740, 750) 각각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계수이다.
a는 예를 들어, 수식 2
<수식 2>
Figure 112014092150679-pat00001
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검출된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의 개수를, xi는 검출된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yi는 검출된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밀도를 나타낸다.
b는 예를 들어, 수식 3
<수식 3>
Figure 112014092150679-pat00002
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검출된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의 개수를, xi는 검출된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yi는 검출된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밀도를 나타낸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산출된 대상체의 밀도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상이한 두께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계단형의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밀도가 30%인 캘리브레이션 팬텀(830)이 각 단의 높이가 5mm인 3단의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밀도가 30%인 캘리브레이션 팬텀(830)의, 두께가 각각 5mm, 10mm, 15mm인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밀도가 50%인 캘리브레이션 팬텀(840)이 각 단의 높이가 5mm인 3단의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밀도가 50%인 캘리브레이션 팬텀(840)의, 두께가 각각 5mm, 10mm, 15mm인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밀도가 70%인 캘리브레이션 팬텀(850)이 각 단의 높이가 5mm인 3단의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밀도가 70%인 캘리브레이션 팬텀(850)의, 두께가 각각 5mm, 10mm, 15mm인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밀도가 30%, 50%, 70%인 계단형의 캘리브레이션 팬텀(830, 840, 850)을 촬영한 결과(810)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밀도가 30%인 계단형 캘리브레이션 팬텀(830)을 촬영한 결과(835), 밀도가 50%인 계단형 캘리브레이션 팬텀(840)을 촬영한 결과(845) 및 밀도가 70%인 계단형 캘리브레이션 팬텀(850)을 촬영한 결과(855)가 나타나는데,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밀도가 높을수록 어두워지는 것 즉, 픽셀 값이 작아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캘리프레이션 팬텀을 이용한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밀도가 상이한 각각의 캘리브레이션 팬텀(215)들에 대한 두께에 따른 픽셀 값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소정의 두께에서의 밀도와 픽셀 값 사이의 관계식을 획득하기 위해, 측정된 대상체의 두께(920)에 대응되는 밀도 및 픽셀 값 정보(910)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b)는 획득된 밀도 및 픽셀 값 정보(910)로부터 획득한, 대상체의 두께(920)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대상체의 두께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 사이의 관계로부터, 촬영된 대상체의 픽셀 값에 대응되는 대상체의 밀도(930)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의 픽셀 값이 35인 경우, 대상체의 밀도(930) 42 %인 것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획득된 대상체의 밀도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의료 영상 장치(200)는 대상체가 촬영된 영역 중 가장 낮은 픽셀 값을 갖는 영역에 대한 밀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밀도가 높을수록 픽셀 값이 낮으므로, 밀도가 높은 영역을 잘 보이도록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위치는 의료 영상 장치(200)에 연결된 지지대(1050)가 제어됨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지지대(1050)는 예를 들어, 검출부(130) 또는 엑스선 조사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스크린(1010) 상에 촬영된 대상체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사용 여부(1020)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검출부(130) 상에서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스크린(1010) 상에는 대상체에 대한 정보, 촬영 항목, 촬영 부위, 검출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사용 여부(1020),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지지하는 지지대(1050)를 제어하여,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200)의 출력부(35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터치 스크린 상의 검출부(130)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표시한 영역에서,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이 위치하도록 지지대(10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의료 영상 장치(200)는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와 겹쳐지지 않도록 자동으로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와 겹쳐지지 않는 검출부(130) 상의 임의의 영역에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위치시키도록 지지대(10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의료 영상 장치(200)는 지지대(1050)를 검출부(130)와의 관계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스크린(1110) 상에 촬영된 대상체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사용 여부(1120)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검출부(130) 상에서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스크린(1010) 상에는 대상체에 대한 정보, 촬영 항목, 촬영 부위, 검출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사용 여부(1120),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사용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지지하는 지지대(1150)를 제어하여,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사용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의료 영상 장치(200)는 지지대(1150)를 제어하여,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이 검출부(130) 밖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200)는 지지대(1150)의 캘리브레이션 팬텀(215)과의 연결부의 길이를 줄이도록 제어하여,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이 검출부(130) 밖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의 동작 구성은 도 1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의 동작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11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1210에서, 의료 영상 장치(200)는 예비 촬영(pre- shot)을 위한 제1 조사 조건에 따라 대상체 및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캘리브레이션 팬텀으로 엑스선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지지하는 지지대(1050)를 제어하여,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단계 1220에서, 의료 영상 장치(200)는 대상체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한다.
단계 1230에서, 의료 영상 장치(200)는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한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예비 촬영 영상에 포함되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픽셀값에 근거하여, 대상체의 밀도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단일 두께 및 단일 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을 투과하여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에 대하여 오프셋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정보는, 예비 촬영 이전에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을 촬영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은 두께 및 밀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215)들 각각에 대하여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예비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획득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리브레이션 의료 영상 장치(200)는 예비 촬영 영상으로부터 대상체의 픽셀 값 및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215)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획득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밀도 각각에 대해,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215)들로부터 두께 및 픽셀 값 사이의 제1 관계식을 획득하고, 서로 다른 복수의 밀도 각각에 대해 획득된 제1 관계식들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두께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 사이의 제2 관계식을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제2 관계식 및 촬영된 대상체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밀도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1240에서, 의료 영상 장치(200)는 획득된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한다. 의료 영상 장치(200)는 획득된 대상체의 밀도에 근거하여,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는 제2 조사 조건에 따라 촬영된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200)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사용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 상태는,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사용 여부 및 캘리브레이션 팬텀(215)의 검출부(130) 상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된 시점과 실제 대상체가 촬영되는 시점의 차이에 따라, 시스템 정보가 상이한 경우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즉,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의 촬영과 함께 실시간으로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므로, 의료 영상 장치(20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도가 30%인 대상체를 촬영하였을 때, 기존의 방식에 따르면 대상체의 밀도가 38%인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의 밀도가 31%인 것으로 판단되는 결과를 획득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엑스선 장치 200: 의료 영상 장치
210: 엑스선 조사부 215: 캘리브레이션 팬텀
220: 검출부 230: 제어부
340: 저장부 350: 출력부

Claims (28)

  1. 예비 촬영(pre- shot)을 위한 제1 조사 조건에 따라 대상체 및 상기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고, 두께 및 밀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부;
    상기 대상체 및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 각각에 대하여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픽셀값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에 근거하여 획득된 상기 대상체의 밀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 및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밀도 각각에 대해,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로부터 두께 및 픽셀 값 사이의 제1 관계식을 획득하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밀도 각각에 대해 획득된 제1 관계식들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두께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 사이의 제2 관계식을 획득하고, 상기 제2 관계식 및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대상체의 밀도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 및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두께에 대한 수식인
    <수식 1>
    ob_den=a×ob_PV+b
    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산출하고, 상기 수식 1에 있어서, 상기 ob_den은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상기 ob_PV는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을 나타내고, 상기 a 및 b는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계수이며, 상기 산출된 대상체의 밀도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상기 검출부 상에 상기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상기 엑스선 조사부와 상기 검출부 사이에 상기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상이한 두께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계단형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사 조건에 따라 촬영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사용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 상태는,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사용 여부 및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검출부 상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5.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료 영상 장치의 엑스선 조사부를 통해, 예비 촬영(pre- shot)을 위한 제1 조사 조건에 따라 대상체 및 상기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고, 밀도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 장치의 검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 및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의 픽셀값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밀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 및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밀도 각각에 대해,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로부터 두께 및 픽셀 값 사이의 제1 관계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밀도 각각에 대해 획득된 제1 관계식들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두께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 사이의 제2 관계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관계식 및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대상체의 밀도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 및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두께에 대한 수식인
    <수식 1>
    ob_den=a×ob_PV+b
    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식 1에 있어서, 상기 ob_den은 상기 대상체의 밀도를, 상기 ob_PV는 상기 대상체의 픽셀 값을 나타내고, 상기 a 및 b는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들 각각에 대한 픽셀 값 및 밀도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계수이며,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대상체의 밀도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상기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상기 검출부 상에 상기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상기 엑스선 조사부와 상기 검출부 사이에 상기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팬텀은 상이한 두께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계단형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 조사 조건에 따라 촬영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26. 예비 촬영(pre- shot)을 위한 제1 조사 조건에 따라 대상체 및 상기 대상체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고, 단일 두께 및 단일 밀도로 형성되는 제1 캘리브레이션 팬텀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부;
    상기 대상체 및 상기 제1 캘리브레이션 팬텀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엑스선으로부터 획득한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본 촬영(main-shot)을 위한 제2 조사 조건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에 대하여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는, 의료 영상 장치.
  27. 삭제
  28.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정보는,
    상기 예비 촬영 이전에 복수의 제2 캘리브레이션 팬텀들을 촬영함으로써 획득된, 의료 영상 장치.
KR1020140129524A 2014-09-26 2014-09-26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93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524A KR102393294B1 (ko) 2014-09-26 2014-09-26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US14/865,817 US10052080B2 (en) 2014-09-26 2015-09-25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5/010196 WO2016048088A1 (en) 2014-09-26 2015-09-25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5844117.0A EP3197363B1 (en) 2014-09-26 2015-09-25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524A KR102393294B1 (ko) 2014-09-26 2014-09-26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011A KR20160037011A (ko) 2016-04-05
KR102393294B1 true KR102393294B1 (ko) 2022-05-03

Family

ID=5558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524A KR102393294B1 (ko) 2014-09-26 2014-09-26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52080B2 (ko)
EP (1) EP3197363B1 (ko)
KR (1) KR102393294B1 (ko)
WO (1) WO2016048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7636A1 (en) * 2014-11-13 2016-05-1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iniaturized phantoms for quantitative image analysis and quality control
EP3367086A4 (en) * 2015-10-23 2019-07-10 Job Corporation X-RAY DEVICE,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6869090B2 (ja) * 2017-04-25 2021-05-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照射検出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発生装置並びに放射線検出装置
KR102082272B1 (ko) * 2018-04-25 2020-02-2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엑스선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캘리브레이션 장치
WO2020006507A1 (en) * 2018-06-29 2020-01-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odular phantom for assessment of imaging performance and dose in cone-beam ct
WO2020209290A1 (ja) * 2019-04-11 2020-10-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KR102229064B1 (ko) * 2019-05-20 2021-03-19 주식회사 디알텍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
KR102535347B1 (ko) * 2021-01-25 2023-05-23 주식회사 덴티움 구강촬영 센서 수납 디바이스 및 그를 구비하는 구강촬영 센서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7036A1 (en) 2010-07-14 2012-01-19 Brainlab Ag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imaging direction and calibration of an imaging apparatus
JP2013047644A (ja) * 2011-08-29 2013-03-07 Shimadzu Corp 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断層画像補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8229B1 (fr) * 1989-06-09 1991-09-06 Gen Electric Cgr Procede d'etalonnage d'un systeme radiologique et de mesure de l'epaisseur equivalente d'un objet
US5063583A (en) * 1989-11-24 1991-11-05 Thomas Jefferson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radiographic film processors
US5844965A (en) * 1989-11-24 1998-12-01 Thomas Jefferson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film density measurements of a radiograph to monitor the reproducibility of X-ray exposure parameters of a mammography unit
US5544238A (en) * 1989-11-24 1996-08-06 Thomas Jefferson Universit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tandardizing and monitoring beam quality in mammography
JPH11501487A (ja) * 1995-12-27 1999-02-02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ベー 補正ユニットを有する画像ピックアップ装置を含むx線検査装置
SE9700117D0 (sv) * 1997-01-17 1997-01-17 Siemens Elema Ab Ett förfarande för modifiering av minst en beräkningsalgoritm vid ett biopsisystem samt ett biopsisystem
US6502984B2 (en) * 1997-01-17 2003-01-07 Canon Kabushiki Kaisha Radiographic apparatus
US5841835A (en) * 1997-03-31 1998-11-24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image quality in x-ray systems
JP3670439B2 (ja) * 1997-05-09 2005-07-13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X線装置
US6064716A (en) * 1997-09-05 2000-05-16 Cyberlogic, Inc. Plain x-ray bone densitometry apparatus and method
US5917877A (en) * 1997-09-05 1999-06-29 Cyberlogic, Inc. Plain x-ray bone densitometry apparatus and method
US6173038B1 (en) * 1999-12-01 2001-01-09 Cyberlogic, Inc. Plain x-ray bone densitometry apparatus and method
US6683934B1 (en) * 2000-06-05 2004-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energy x-ray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radiography and mammography
US6459765B1 (en) * 2000-12-28 2002-10-01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Automatic exposure control and optimization in digital x-ray radiography
CN1251646C (zh) * 2001-03-29 2006-04-19 株式会社东芝 诊断用x射线系统
US6674835B2 (en) * 2001-10-12 2004-01-06 General Electric Co. Methods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material composition of an imaged object
US6632020B2 (en) * 2001-10-12 2003-10-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n imaging system
US7609806B2 (en) 2004-10-18 2009-10-27 Hologic Inc. Mammography system and method employing offset compression paddles, automatic collimations, and retractable anti-scatter grid
US6614877B2 (en) * 2001-11-21 2003-09-02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contrast of a medical diagnostic image acquired using collimation
US6990222B2 (en) * 2001-11-21 2006-01-24 Arnold Ben A Calibration of tissue densities in computerized tomography
US6574307B1 (en) * 2001-11-21 2003-06-03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contrast of a medical diagnostic image that includes foreign objects
WO2003059166A2 (en) 2001-12-28 2003-07-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dical examina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performing correction of settings
US6570955B1 (en) * 2002-01-08 2003-05-27 Cyberlogic, Inc. Digital x-ray material testing and bone densitometry apparatus and method
US7256392B2 (en) * 2003-03-03 2007-08-14 Fujifilm Corporation Inspection method of radiation imaging system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phantom for use of inspection of radiation imaging system
US7431500B2 (en) * 2003-04-01 2008-10-07 Analogic Corporation Dynamic exposure control in radiography
JP2004357868A (ja) * 2003-06-03 2004-12-24 Fuji Photo Film Co Ltd Qcファントム
US7186023B2 (en) 2003-06-10 2007-03-06 Shimadzu Corporation Slice image and/or dimensional image creating method
US6888924B2 (en) 2003-06-25 2005-05-0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calibration of tomosynthesis system geometry using fiducial markers with non-determined position
US7016456B2 (en) * 2003-10-31 2006-03-2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volumetric computed tomography systems
US8768026B2 (en) * 2003-11-26 2014-07-01 Hologic, Inc. X-ray imaging with x-ray markers that provide adjunct information but preserve image quality
SE528366C2 (sv) * 2004-02-13 2006-10-31 Sectra Mamea Ab Metod och anordning avseende röntgenbildtagning
JP4585815B2 (ja) * 2004-09-03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撮影システム、吸収係数補正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6138717A2 (en) * 2005-06-16 2006-12-28 California Pacific Medical Center Research Institute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oportions of body materials
US7245694B2 (en) * 2005-08-15 2007-07-17 Hologic, Inc. X-ray mammography/tomosynthesis of patient's breast
EP1951119A2 (en) * 2005-11-09 2008-08-06 Dexela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w-dose imaging
DE602007010192D1 (de) * 2006-01-26 2010-12-16 Toshiba Kk Röntgen-CT-Gerät, sowie Verfahren zur Phantomzuweisung
US7387439B2 (en) * 2006-02-15 2008-06-17 Carestream Health, Inc. X-ray beam calibration for bone mineral density assessment using mammography system
JP4694431B2 (ja) * 2006-07-20 2011-06-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胸壁欠損量計測方法およびファントム
JP5056760B2 (ja) * 2006-09-26 2012-10-24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画像撮影システム
US7545908B2 (en) * 2007-01-31 2009-06-09 Sectra Mamea Ab Method and arrangement relating to x-ray imaging
US7480365B1 (en) * 2007-08-06 2009-01-20 Carestream Health, Inc. Dose reduced digital medical image simulations
DE102007046941B4 (de) * 2007-09-28 2017-12-28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medizinischen Bildern sowie Röntgendiagnostikeinrichtung
US7991106B2 (en) * 2008-08-29 2011-08-02 Hologic, Inc. Multi-mode tomosynthesis/mammography gain calibration and image correction using gain map information from selected projection angles
US8186880B1 (en) * 2008-11-27 2012-05-29 Arnold Ben A Extended and fixed INTable simultaneously imaged calibration and correction methods and references for 3-D imaging devices
KR101087137B1 (ko) * 2008-12-04 2011-1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JP2010204060A (ja) 2009-03-06 2010-09-16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X線検査装置及びx線検査装置の検査方法
DE102009017437A1 (de) 2009-04-15 2010-10-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Mehrzahl von Abbildungsvorschriften, insbesondere zu unterschiedlichen Stellungen eines Röntgenstrahlendetektors bezüglich einer Röntgenstrahlenquelle
US20140072108A1 (en) * 2010-07-16 2014-03-13 David P. Rohler Methods and apparatus for extended low contrast detectability for radiographic imaging systems
JP5657658B2 (ja) * 2009-07-17 2015-01-21 ピー.ローラー デイヴィッド 放射線画像システム用拡張型低コントラスト検出能
DE102009053664A1 (de) * 2009-11-17 2011-05-19 Ziehm Imaging Gmbh Verfahren zur empirischen Bestimmung einer Korrekturfunktion zur Korrektur von Strahlungsaufhärtungs- und Streustrahleneffekten in der Projektionsradiografie und in der Computertomografie
US9408579B2 (en) * 2010-05-11 2016-08-09 Takara Telesystems Corp.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phantom used for the same
KR101689866B1 (ko) * 2010-07-29 2016-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채용한 의료영상시스템
JP5087124B2 (ja) * 2010-10-18 2012-1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イオプシ装置、空間範囲測定装置及び空間範囲測定方法
KR101747300B1 (ko) * 2010-10-21 201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의료영상시스템
EP2730226A4 (en) * 2011-07-06 2015-04-08 Fujifilm Corp X-RAY IMAGING DEVICE AND CORRESPONDING CALIBRATION METHOD
JP5844296B2 (ja) * 2012-06-11 2016-01-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DE102012217555A1 (de) * 2012-09-27 2014-03-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Computertomographie-System zur Ermittlung von Knochenmineraldichtewerten
US9097642B2 (en) * 2012-10-11 2015-08-04 General Electric Company X-ray dose estimation technique
KR20140052563A (ko) * 2012-10-25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적 다중에너지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장치 및 방법
US9014455B2 (en) * 2012-10-30 2015-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ing apparatus and X-ray image generating method
US9125286B2 (en) * 2012-12-28 2015-09-01 General Electric Company X-ray dose estimation technique
KR20140087246A (ko) * 2012-12-28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5682A (ko) * 2013-06-13 2014-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814435B2 (en) * 2014-08-28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206196B1 (ko) * 2013-08-29 2021-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3419B1 (ko) * 2013-08-30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565460B (zh) * 2013-09-26 2016-06-29 沈阳东软医疗系统有限公司 一种降低扫描剂量的扫描方法和装置
US9526471B2 (en) * 2014-04-25 2016-12-27 The Phantom Laboratory, Incorporated Phantom and method for image quality assessment of a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system
JP6330467B2 (ja) * 2014-05-13 2018-05-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等価ファントム、および等価ファントムを用いたx線タルボ撮影装置の品質評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7036A1 (en) 2010-07-14 2012-01-19 Brainlab Ag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imaging direction and calibration of an imaging apparatus
JP2013047644A (ja) * 2011-08-29 2013-03-07 Shimadzu Corp 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断層画像補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97363A4 (en) 2017-10-11
WO2016048088A1 (en) 2016-03-31
EP3197363A1 (en) 2017-08-02
US10052080B2 (en) 2018-08-21
EP3197363B1 (en) 2020-06-10
US20160089105A1 (en) 2016-03-31
KR20160037011A (ko)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294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US10542949B2 (en) X-ray apparatus and system
KR102328119B1 (ko) 엑스선 장치 및 엑스선 촬영 방법
EP3524158B1 (en) X-ray apparatus and system
EP30978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medical image
US20160106389A1 (en) X-ray apparatus and x-ray imaging method
US20170251992A1 (en) X-ray apparatus and method of scanning the same
US9508154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19423B1 (ko) 조영 영상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이를 위한 초음파 장치 및 초음파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051474A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60310098A1 (en) X-ray apparatus and system
US1010511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medical image
US947198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system thereof
US10390781B2 (en) X-r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X-ray apparatus
KR101690655B1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EP3167805B1 (en) X-ray device
JP2016198475A (ja) 医用画像診断装置
US20210196221A1 (e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system
KR20160103500A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KR102487533B1 (ko) 엑스선 장치 및 엑스선 촬영 방법
KR102270718B1 (ko) 초음파 진단장치, 그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20160148783A (ko)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