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757B1 -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 Google Patents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757B1
KR102392757B1 KR1020190113021A KR20190113021A KR102392757B1 KR 102392757 B1 KR102392757 B1 KR 102392757B1 KR 1020190113021 A KR1020190113021 A KR 1020190113021A KR 20190113021 A KR20190113021 A KR 20190113021A KR 102392757 B1 KR102392757 B1 KR 102392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ip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0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1268A (en
Inventor
이창진
이경규
오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인더스트리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인더스트리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인더스트리얼
Priority to KR102019011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757B1/en
Publication of KR2021003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2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7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된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 인식장치와, 상기 식별정보 인식장치에 의해 인식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배관 설계도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molded pipe, and by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displaying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iping design displayed on the display , It provides a pipe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device.

Description

배관 제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배관 제조 관리용 장치{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관 제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배관 제조 관리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pipe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ipe manufacturing management.

건축물의 대규모 설계에 따라, 배관 시공 시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개수는 수백 내지 수천 개에 이르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수백 내지 수천 개의 파이프들을 시공할 때, 작업자들이 종이 설계도를 보면서, 직접 눈으로 찾아가며 시공을 하고 있다. Depending on the large-scale design of a building, the number of pipes used in plumbing construction ranges from hundreds to thousands. Conventionally, when constructing these hundreds to thousands of pipes, workers are looking at the paper blueprints and looking for the construction with their own eyes.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식으로는, 대규모 배관 작업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시공 위치를 파악하려면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시공 위치를 잘못 파악하는 실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규모 배관 작업의 진행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고,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metho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progress of large-scale plumbing work. Specifically, considerable effort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construction location of the pipe to be install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rror of erroneously understanding the construction location of the pipe to be installed may occur during this proces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capable of grasping the progress of large-scale piping work at a glance and facilitating the piping 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배관 제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배관 제조 관리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ipe manufacturing management that facilitate pipe work.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은, 성형된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식별정보 인식장치에 의해 인식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배관 설계도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Pip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lded pipe; and a user terminal device that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and displays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ipe design displayed on the displa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의 사이즈, 재질, 지름, 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가 포함된 섹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ize, a material, a diameter of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a sector including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배관 제조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배관 설계도를 표시하고, 상기 식별정보 인식장치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복수의 파이프들 중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파이프를 나머지 파이프들에 비해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device, on the basis of executing a program for managing pipe manufacturing, to display the pipe design through the display, and to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In response,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dentifi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ing design diagram, and the identified pipe may be displayed with emphasis compared to the remaining pip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식별정보 인식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강조하여 표시함과 함께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의 사이즈, 재질, 지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highlights and displays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ize of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 material and a diameter may be further display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복수의 파이프들 중에서 특정 파이프의 시공 완료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관 설계도에서 시공 완료된 파이프들을 나머지 파이프들과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배관 설계도 상에 시공 작업의 진행률을 업데이트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device receives a user input indicating completion of construction of a specific pipe from among a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ing design diagram,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user input, construction in the piping diagram The completed pipes may b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remaining pipes, and the progress rate of the construction work may be updated and displayed on the pipe design displayed on the display.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배관 시공 중에, 설치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파이프에 관한 각종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배관 시공 작업의 진행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n operator can immediately check the location of a pipe to be installed during pipe construction, and can easily check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the pip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progress of the pipe construction work.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10)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0)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10)의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서 시공 완료된 파이프를 표시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서 시공 완료된 파이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20)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20)의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20)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20)에서 시공 완료된 파이프를 표시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1 shows a piping manufactu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d in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a signal flow of a pipe manufactu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d in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show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pipe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pipe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pipe manufactur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example of a signal flow of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d in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construction completed pipe in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will b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의 실시예에서,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모듈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모듈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it is said that a part such as a region, component, part, block, module, etc. is on or on another part,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another region, component, part in the middle , blocks, modules, etc. are also included.

이하의 실시예에서,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모듈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모듈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영역, 구성요소, 부, 블록, 모듈들 중간에 다른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모듈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a region, component, part, block, module, etc. are connected, the region, component, part, block, module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 region, component, part, block, and modules are directly connected It includes cases in which other regions, components, parts, blocks, and modules are interposed and indirectly connected between th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10)을 도시한다. 1 shows a piping manufactu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배관 제조 시스템(10)은, 파이프(P), 배관 설계도에 관한 파이프 성형정보와 파이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배관정보를 생성하는 배관정보 생성부(100), 생성된 배관정보에 따라 파이프(P)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파이프(P)를 성형하는 성형장치(110), 파이프(P)에 식별정보를 입력해주는 식별정보 입력장치(150),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 인식장치(160), 및 작업자가 배관 제조 또는 시공 시에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10 includes a pipe P, a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that generates pipe information including pipe forming information and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pipe design drawing, and the generated pipe information. A molding device 110 for forming a pipe P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to the pipe P according to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and a user terminal 200 used by an operator when manufacturing or constructing a pipe.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스템(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생략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를 들면, 배관정보 생성부(100) 및 성형장치(110)는 생략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system 10 may be omitted, and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and the molding apparatus 110 may be omitted.

또한, 시스템(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모두 별개의 독립된 장치일 수도 있고, 시스템(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l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system 10 may be separate and independent devices, and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system 1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device.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배관 설계도에 관한, 파이프 성형정보 및 파이프 식별정보(identification, ID)를 포함하는 배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배관 설계도는, 배관 설계도 파일을 지칭할 수 있다.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generate piping information including pipe forming information and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related to a piping design drawing. Hereinafter, a piping design diagram may refer to a piping design diagram file.

파이프 성형정보는,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한 정보로써, 예를 들면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파이프의 절단 지점에 대한 정보, 파이프의 벤딩(bending)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forming a pipe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rawing, and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cutting point of a pipe and bending information of a pipe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rawing.

파이프 성형정보는 후술할 성형장치(110)에게 전송되어서, 성형장치(110)가 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성형장치(110)는 파이프 성형정보에 따라 파이프(P)를 벤딩(bending)하고, 절단할 수 있다.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orming apparatus 11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forming apparatus 110 may be used as information for forming a pipe. The forming apparatus 110 may bend and cut the pipe P according to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한편,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파이프는, 상기 파이프 성형정보, 특히 파이프의 절단 지점에 대한 정보에 의해, 복수의 파이프들로 구분될 수 있다.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들 각각에 파이프 식별정보(ID)를 생성 또는 부여할 수 있다.Meanwhile, a pipe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iagram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pes by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in particular, information on a cutting point of the pipe.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generate or provid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pes.

즉,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상기 파이프 성형정보와, 상기 파이프 성형정보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파이프들 각각에 부여되는 파이프 식별정보(ID)를, 배관정보로써 생성할 수 있다. 배관정보 생성부(100)가 배관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That is,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generate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and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provid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pes divided by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as the pipe information. A method for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to generate piping information is not limited.

일 예를 들면,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배관정보를 포함하는 배관 설계도 파일을 생성하거나 독출할(read)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파이프 성형정보(예: 절단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관 설계도 파일을 입력 받아서, 상기 배관 설계도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파이프들 각각에 대응하는 파이프 식별정보(ID)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be configured as a processor that executes a program capable of generating or reading a piping design file including piping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receives a pipe design file including pipe forming information (eg, information about a cutting point), and correspond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e design file.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generat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배관정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배관정보 생성부(100)의 적어도 일부 기능은, 식별정보 입력장치(150) 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for example, a program for generating piping information may be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In some cases,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or the user terminal 200 .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예를 들면, 배관 설계도(또는 배관 설계도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파이프들 각각에 대응하는 파이프 식별정보(ID)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파이프들 각각에, 상기 생성된 식별정보를 매칭하여(또는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for example, generates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a pipe design drawing (or a pipe design file), an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ipes, the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matched (or linked) and stored.

파이프 식별정보(ID)는, 대응하는 파이프(P)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식별정보(ID)는 해당하는 파이프(P)의 규격 정보, 예를 들면 파이프(P)의 사이즈, 길이, 지름, 재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식별정보(ID)는 해당하는 파이프(P)가 배관 설계도에서 어느 섹터(sector)에 포함되는지를 나타내는 섹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may includ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ipe (P).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ize, length, diameter, and material of the corresponding pipe P, for example, the size, length, diameter, and material of the pipe P. In addition,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may include sector information indicating in which sector the corresponding pipe P is included in the piping design diagram.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생성된 파이프 성형정보 및/또는 파이프 식별정보(ID)를 성형장치(110)와 식별정보 입력장치(1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pipe forming information and/or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o the forming apparatus 11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

성형장치(110)는, 배관정보 생성부(100)로부터 파이프 성형정보를 수신하고, 파이프 성형정보에 따라 파이프(P)를 성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형장치(110)는 수신된 파이프 성형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파이프 성형정보에 따라 파이프(P)를 절단하고, 벤딩(bending)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The forming apparatus 110 may receive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from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and may form the pipe P according to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forming apparatus 110 may be driven to cut and bend the pipe P according to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received pipe forming information as an input.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는 파이프(P)의 성형 전 또는 성형 후에, 파이프에 식별정보(ID)를 입력할 수 있다.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는 예를 들면, 레이저 마킹기,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 식별정보(ID)는 바코드,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로써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하는 경우, 성형 전 또는 후의 파이프(P)에 상기 파이프(P)를 식별하기 위해 2차원 바코드를 각인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로써 RFID 태그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성형 전 또는 후의 파이프(P)에 상기 파이프(P)를 식별하기 위해 RFID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may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o the pipe before or after molding the pipe (P).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may be configured of,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laser marker and a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device. Accordingly,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arcode and an RFID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laser marking machine is us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a two-dimensional barcode may be engraved on the pipe P before or after molding to identify the pipe P.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RFID tag device is us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 an RFID tag may be attached to the pipe P before or after molding to identify the pipe P.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장치(110)는, 배관정보 생성부(100)로부터 수신된 파이프 성형정보에 따라 파이프(P)를 성형하고,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는 배관정보 생성부(100)로부터 수신된 파이프 식별정보(ID)에 따라, 성형 전 또는 후의 파이프(P)에 식별정보를 입력, 각인, 또는 부착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성형장치(110) 및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는 서로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lding apparatus 110 molds the pipe P according to the pipe mol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includes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 ), according to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receiv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input, engraved, or attached to the pipe (P) before or after molding. For example, the molding apparatus 11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15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성형된 파이프(P)에 입력, 각인, 또는 부착된 식별정보(ID)를 인식할 수 있다.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파이프 식별정보(ID)의 종류에 따라, 상기 파이프 식별정보(ID)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예를 들면, 바코드 리더, 블루투스 바코드 스캐너, RFID 리더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may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input, engraved, or attached to the molded pipe (P).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may be configured as a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may be configured of,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barcode reader, a Bluetooth barcode scanner, and an RFID reader.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성형된 파이프(P)의 식별정보(ID)를 인식하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다른 장치(예: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식별정보 인식장치(160)에 의해 인식된 식별정보는, 상기 다른 장치에서 이용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molded pipe (P), and transmits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other device (eg,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server (not shown)) ca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may be used in the other device.

사용자 단말(200)은 작업자가 성형된 파이프(P)를 가지고 배관 시공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전자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200)은 식별정보 인식장치(160)와 통신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is an electronic device used when a worker performs a pipe construction work with the molded pipe P.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for exampl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user terminal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관 설계도를 표시하고,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부터 인식된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상기 배관 설계도에서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 displays the pipe design through the display, receives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and removes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can be indicated in the pipe design diagram.

도 2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기능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0)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d in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프로세서(210), 표시 장치(220), 입력 장치(230), 통신 모듈(260),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프로그램(25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250)은 예를 들면 배관 설계도 파일을 독출(read)하고, 배관 설계도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210 , a display device 220 , an input device 230 , a communication module 260 , and a memory 240 . can do. The memory 240 may store the program 250 . The program 250 may, for example, read a piping design file and provide a user interface (UI) related to the piping design diagram.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250)을 실행하여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은, 배관 설계도를 표시하는 것, 임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상기 배관 설계도에서 식별하여 표시하는 것,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것, 시공 완료된 파이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for example, software or a program 250 to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or operations. The data processing or calculation includes displaying a pipe design drawing, identifying and displaying a pipe corresponding to any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ipe design drawing, extrac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completed pipe, and the like.

프로세서(210)는 사용자 입력 등에 기초하여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240)(예: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고,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240)(예: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10 loads the received command or data into the memory 240 (eg, volatile memory) based on a user input, etc., processes the stored command or data, and stores the result data in the memory 240 (eg, non-volatile memory). memory) can be stored.

메모리(240)는, 사용자 단말(200)이나 프로세서(21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5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40)는 배관 설계도 파일을 독출하고 배관 설계도에 관한 UI를 제공하는 프로그램(250)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240 may store various data used by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processor 210 . The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software (eg, the program 250 ) and commands related thereto. The memory 240 may include a volatile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240 may store the program 250 that reads the piping design file and provides a UI related to the piping diagram.

프로그램(250)은 작업자가 배관 시공 중에, 파이프에 관한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250)은, 배관 설계도 파일을 로드(load)하고, 배관 설계도에 대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ogram 250 is a program for the operator to check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ipe during the pipe construction and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work. The program 250 may load a piping diagram file and provide a UI for the piping diagram.

프로그램(250)은 일 예를 들면 설계 프로그램(예: 컴퓨터 지원설계(Computer Aided Design, CAD) 프로그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그램(250)은, 배관 설계도 파일로부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식별하고, 식별된 파이프를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The program 250 may be, for example, a design program (eg, a computer aided design (CAD) progra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gram 250 may store a plurality of instructions for identifying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iping design file, and for distinguishing and displaying the identified pipe.

입력 장치(230)는, 사용자 단말(200)이나 프로세서(21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230)는,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터치패널, 터치펜,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30)는, 배관 설계도를 표시하는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The input device 230 may receive a command or data to be used by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processor 210 from the outside (eg, a user) of the user terminal 200 . The input device 230 may include, for example, a touch screen, a touch panel, a touch pen, a mouse, or a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device 230 may receive a user input (eg, a touch input) with respect to the UI for displaying the piping design.

표시 장치(220)는 사용자 단말(200)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22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220)는, 프로그램(250)이 실행될 때, 배관 설계도에 관한 UI 또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220 may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to the outside (eg, a user) of the user terminal 200 . The display device 220 may be, for example,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220, when the program 250 is executed, may display a UI or a screen related to the piping design.

통신 모듈(260)은 사용자 단말(200)과 외부 전자 장치(예: 식별정보 인식장치(160), 배관정보 생성부(100) 또는 서버(미도시) 등)과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260 is a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60,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or the server (not shown), etc.) It is possible to support establishment of a channe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통신 모듈(260)은, 예를 들면, 배관정보 생성부(100)로부터 파이프 식별정보(ID)를 포함하는 배관 설계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배관 설계도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통신 모듈(260)은 전술한 배관정보를 배관정보 생성부(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구현될 수 있어서, 사용자 단말(200)이 이미 배관 설계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may receive, for example, data related to a pipe design including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rom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 The received data may be used to display a pipe design in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may receive the aforementioned piping information from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r example,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so that the user terminal 200 may already store data regarding the piping desig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60)은, 식별정보 입력장치(150) 또는 배관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미도시)로부터 파이프 식별정보(ID)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파이프 식별정보(ID)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may receive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or a server (not shown) managing piping information. The received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may be used to display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user terminal 20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10)의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3 shows an example of a signal flow of a pipe manufactu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S301에서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배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배관정보는,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복수의 파이프들에 대한, 파이프 성형정보 및 파이프 식별정보(ID)를 포함한다. 일 예를 들면,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배관정보를 포함하는 배관 설계도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배관 설계도 파일을 입력 받아, 배관 설계도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파이프들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생성 및 부여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generate piping information in S301 . The piping information includes pipe forming information and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or a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ing design diagram. For example,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generate a piping design drawing file including the piping information through a program. As another example,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receive a piping design file as an input, and may automatically generate and provi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ing design file.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예를 들면 배관 설계도 파일을 로드하거나 생성하거나 독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executing a program capable of loading, generating, or reading a piping design file.

S302에서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생성된 배관정보에서, 파이프 성형정보를 성형장치(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파이프 성형정보는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파이프의 절단 지점에 대한 정보, 파이프의 벤딩(bending)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장치(110)는 배관정보 생성부(100)로부터 파이프 성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S302 ,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transmit pipe forming information from the generated pipe information to the forming apparatus 110 .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utting point of the pipe and bending information of the pipe included in the pipe design. The molding apparatus 110 may receive pipe molding information from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

S303에서 성형장치(110)는, 수신된 파이프 성형정보에 기초하여 파이프를 성형할 수 있다. 성형장치(110)는 파이프 성형정보에 따라 파이프를 벤딩(bending)하고, 복수의 파이프들로 절단할 수 있다.In S303, the forming apparatus 110 may form a pipe based on the received pipe forming information. The forming apparatus 110 may bend a pipe according to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and cut it into a plurality of pipes.

S304에서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생성된 배관정보에서, 파이프 식별정보(ID)를 식별정보 입력장치(1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는 파이프 식별정보를 배관정보 생성부(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In S304 ,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transmit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rom the generated pipe information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may receive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

S305에서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는 수신된 파이프 식별정보에 따라 파이프에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는, 복수의 파이프들 각각에, 해당하는 식별정보를 각각 입력할 수 있다. In S305,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may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the pipe according to the received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may input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p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정보 입력장치(150)가 레이저 마킹기인 경우, 파이프에 식별정보로써 2차원 바코드를 각인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정보 입력장치(150)가 RFID 태그 장치인 경우, 파이프에 식별정보로써 RFID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is a laser marking machine, a two-dimensional barcode may be engraved on the pipe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is an RFID tag device, an RFID tag may be attached to the pipe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 3에서는 S302 이후에 S304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S302와 S304는 독립적, 병렬적으로 수행되거나 서로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는 파이프(P)의 성형 전에 파이프에 식별정보(ID)를 입력할 수도 있고, 파이프(P)의 성형 후에 파이프에 식별정보(ID)를 입력할 수도 있다.Although S304 is shown after S302 in FIG. 3,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302 and S304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in parallel, or out of order.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may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o the pipe before molding the pipe (P), or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o the pipe after molding the pipe (P)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장치(110)는 파이프를 성형하고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는 상기 파이프에 해당하는 식별정보를 입력, 각인, 부착하도록, 성형장치(110)와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는 서로 연계되어 동작하거나, 또는 하나의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ing device 110 molds a pip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inputs, engraves, and attach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ip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single device.

S306에서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생성된 배관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작업자가 성형된 파이프(P)를 가지고 배관 시공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전자 장치이다. 작업자가 배관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배관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된 배관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In S306 ,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pip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 The user terminal 200 is an electronic device used when a worker performs a pipe construction work with the molded pipe P. Pip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used in order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bout pip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perform the piping construction work.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S302, S304, S306은 독립적, 병렬적으로 수행되거나 서로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S302, S304, and S306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in parallel, or out of order.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구현되거나, 사용자 단말(200)이 이미 배관 설계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or the user terminal 200 may already store data regarding the piping design.

S307부터 이후의 단계들은, 작업자가 파이프를 가지고 실제로 배관을 제조하는 시공 작업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S301 내지 S306의 단계들은, 실제 시공 작업 전 단계인, 파이프를 성형하는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Steps after S307 may be performed in a construction work step in which an operator actually manufactures a pipe with a pipe. The steps of S301 to S306 may be made in the step of forming the pipe, which is a step before the actual construction work.

S307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표시 장치(220)(예: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관 설계도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은 프로그램(250)을 실행하여, 배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고, 상기 UI를 통해 배관 설계도를 표시할 수 있다. S307 단계는 예를 들면, 작업자가 배관 시공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배관에 관한 프로그램(250)을 실행할 때에 수행될 수 있다. In S307 ,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piping design through the display device 220 (eg, a display). That is, the user terminal 200 may execute the program 250 to display a user interface (UI)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piping, and may display a piping design through the UI. Step S307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operator executes the program 250 related to the pipe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pipe construction work.

S308에서,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임의의 파이프를 시공 작업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 인식할 수 있다.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예를 들면, 바코드 리더, 블루투스 바코드 스캐너, RFID 리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S308,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may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For example, in order for an operator to construct an arbitrary pip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may be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barcode reader, a Bluetooth barcode scanner, and an RFID reader.

S309에서,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인식된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인식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모듈(260)을 통해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In S309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60 may transmit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 That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60 may transmi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

S31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UI를 통해 표시한 배관 설계도에서,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UI를 통해 표시한 배관 설계도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나머지 파이프들에 비하여 강조되도록(예: 다른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In S310,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pi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ipe design displayed through the UI.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emphasized (eg, in a different color) compared to the other pipes in the pipe design displayed through the UI.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4의 동작들은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d in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s of FIG. 4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200 . 5 to 7 show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S401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배관 설계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배관 제조를 관리하는 프로그램(250)을 실행하는 작업자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배관 설계도를 표시할 수 있다. 배관 설계도는, 도 5와 같이 파이프 중심선들로 표시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파이프 모양들로 표시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 in S401,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piping design diagram.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piping design on the display based on a user input of a worker executing the program 250 for managing piping manufacturing. The piping design diagram may be represented by pipe center lines as shown in FIG. 5 or by pipe shapes as shown in FIG. 6 .

S402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모듈(260)을 통해,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를 사용하여 임의의 파이프에 대하여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S402 ,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6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worker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to recogniz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arbitrary pipe.

S403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표시 장치(220)를 통해, 상기 표시된 배관 설계도에서,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파이프의 표시와 함께 상기 파이프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In S403 ,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pi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isplayed pipe design through the display device 220 . The user terminal 200 may simultaneousl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pipe together with the display of the pipe.

도 7을 참조하면,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가 P1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UI를 통해 표시된 배관 설계도에서,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P1)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배관 설계도에서, 나머지 파이프들에 비하여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P1)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강조 표시는 예를 들면,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P1)를 나머지 파이프들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깜빡거리게 표시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7 , when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60 is P1, the user terminal 200 shows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iping design displayed through the UI ( P1)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highlight and display the pipe P1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ared to the remaining pipes in the piping design diagram. The highlight display may include, for example, displaying the pipe P1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pipes, or displaying the pipe P1 in a blinking mann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UI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P1)에 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P1)의 길이, 지름, 재질 등의 규격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P1)가 포함된 섹터를 나타내는, 섹터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pipe P1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through the UI. For example, standard information such as the length, diameter, and material of the pipe P1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Although not shown, sector information indicating a sector including the pipe P1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also be displayed.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식별정보, 식별정보 인식장치(160)와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는 설치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어, 배관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진할 수 있다. 즉 설치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설치 위치를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and the user terminal 200, the operator can immediately check the pipe to be install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which facilitates the pipe construction work it can be true That is,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pipe to be installed and proceed with the construction work.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서 시공 완료된 파이프를 표시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의 동작들은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서 시공 완료된 파이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8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pipe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s of FIG. 8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200 . 9 show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pipe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를 참조하면, S501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 장치(230)(예: 터치스크린)를 통해 파이프 시공 완료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in S501 ,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user input indicating completion of pipe construction through the input device 230 (eg, a touch screen).

S502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시공 완료된 파이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S502, the user terminal 20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pipe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즉, 작업자는 임의의 파이프를 설치한 뒤,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배관 설계도에 관한 UI를 통해 상기 파이프가 시공 완료됨을 저장할 수 있다. That is, after installing an arbitrary pipe, the operator may store the completion of the pipe construction through the UI related to the pipe desig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

일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배관 설계도에서 시공 완료된 파이프(예: P1) 상에 작업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파이프가 시공 완료됨을 나타내는 작업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파이프를 설치한 뒤에,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배관 설계도에서 해당하는 파이프(예: P1)를 터치하고,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파이프가 시공 완료됨을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touch input from an operator on a pipe (eg, P1)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the piping design diagram, and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operator indicating that the pipe is constructed. That is, after installing the pipe, the operator touches a pipe (eg, P1 ) corresponding to the pipe desig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 and stores the completion of the pipe construction through an additional user input.

일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시공 완료된 파이프들의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S502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를 갱신(update)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store a list of pip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and may update the list based on S502.

S503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저장에 기초하여, 배관 설계도에서 시공 완료된 파이프들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S503, the user terminal 200 may classify and display the completed pipes in the piping design drawing based on the storage.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UI를 통해 표시된 배관 설계도에서, 시공 전의 파이프들과 시공 완료된 파이프들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시공 완료된 파이프들을 나머지 파이프들에 비하여 어둡게 표시하거나 흐리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파이프 시공 완료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시공 완료된 파이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에 기초하여 배관 설계도의 표시를 변경 또는 갱신(update)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tinguish and display pipes before construction and pip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piping design displayed through the UI. For example, pip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may be displayed darker or displayed darker than the rest of the pipes. Whenever receiving a user input indicating completion of pipe construc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completed pipe, and change or update the display of the piping design based on the storage.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시공 전의 파이프들과 시공 완료된 파이프들에 대한 저장된 정보로부터, 시공 작업의 진행률을 계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UI를 통해 시공 작업의 진행률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파이프 시공 완료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진행률을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상기 진행률을 표시하는 객체(object)를 플로팅(floating)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calculate the progress rate of the construction work from the stored information on the pipes before construction and the pip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progress rate of the construction work through the UI. For example, whenever receiving a user input indicating completion of pipe construc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update and store the progress rate, and may float an object indicating the progress rate. .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배관 설계도 전체에 대한 진행률과 섹터 별 진행률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파이프(예: P1)에 대한 시공 완료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배관 설계도 전체에 대한 진행률과 함께, 상기 특정 파이프(예: P1)가 포함된 섹터에 대한 진행률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store the progress rate for the entire piping design and the progress rate for each sector, resp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a user input indicating completion of construction for a specific pipe (eg, P1), the specific pipe (eg, P1) is included along with the progress rate for the entire piping design. The progress for the sector can also be displayed.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식별정보, 식별정보 인식장치(160)와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시공 완료된 파이프와 시공 전의 파이프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배관 시공 작업의 진행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60 and the user terminal 200, the operator can check the completed pipes and the pipes before construc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t a glance, and the pipe construction You can easily check the progress of the 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 외장 메모리 등)는, 배관 시공 완료 후에도 배관 설계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배관 시공 완료 후에도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복수의 파이프들의 식별정보(ID)를 모두 저장하고, 배관을 관리하는 프로그램(250)을 통해 복수의 파이프들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배관 시공 완료 후에, 일부 파이프를 교체, 철거, 또는 재시공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250) 및 상기 식별정보(ID)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배관 설계도를 표시하고, 현장에서 작업자가 교체 또는 철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 인식하면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된 배관 설계도에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교체, 철거, 또는 재시공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배관 설계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교체의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부터 교체 후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교체 전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교체 후 파이프의 식별정보로 대체하여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 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server, an external memory, etc.)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piping design even after the piping construction is completed. Taking the user terminal 200 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stores 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s) of a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ing design even after completion of the piping construction, and through the program 250 for managing the piping.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life cycle of a plurality of pipe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use the program 25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o replace, demolish, or re-construct some pipes after completion of piping construct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displays the pipe design on the display based on the user input, and identifi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that the worker wants to replace or remove in the fiel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 By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60,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isplayed piping design. Through this, the operator can check the pipe to be replaced, demolished, or reconstructed from the pipe desig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 In addition, in the case of pipe replacement,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after replacement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60, and replac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before replacement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after replacement. there is.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20)을 도시한다. 10 shows a pipe manufactur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20)은, 파이프(P), 배관정보 생성부(100), 성형장치(110), 식별정보 입력장치(150), 식별정보 인식장치(160),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pe P, a pip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 a molding device 110 ,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 It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 a server 300 , and a user terminal 200 .

배관 제조 시스템(20)의 배관정보 생성부(100), 성형장치(110), 식별정보 입력장치(150), 식별정보 인식장치(160), 및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 동작, 및 기능은 전술한 배관 제조 시스템(10)의 배관정보 생성부(100), 성형장치(110), 식별정보 입력장치(150), 식별정보 인식장치(160), 및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 동작, 및 기능과 동일할 수 있다. Configuration,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 the molding device 110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 and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20 . i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the molding device 11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and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above-described pipe manufacturing system 10 , and functions may be the same.

배관 제조 시스템(20)은, 배관 제조 시스템(10)에 비하여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배관 제조 시스템(10)으로부터 추가되는 서버(30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20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300 compared to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10 . Therefore, hereinafter, the server 300 added from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10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a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will be omitted.

서버(300)는, 파이프 식별정보(ID)를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0)는 외부 전자 장치(예: 배관정보 생성부(100) 또는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부터 파이프 식별정보(ID)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erver 300 may collect and manage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o this end, the server 300 may receive data corresponding to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6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정보 인식장치(160)가 성형된 파이프(P)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것에 응답하여, 서버(300)는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response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lded pipe (P), the server 300 may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성형된 파이프(P)의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게이트웨이(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암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는 보안 모듈을 통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암호화된 데이터는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300)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성형된 파이프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may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lded pipe P, and transmit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gateway (not shown), and the gateway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an be collected and encrypted. For example, the gateway may protect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ecurity module. The encrypted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 The server 300 may receive, from the gateway, encrypted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lded pip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0)는,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를, 기존의 IT 시스템인 SCM, MES, WMS 등과 연결시킬 수 있는 브릿지(bridge) 역할을 할 수 있다. 서버(300)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기존의 IT 시스템(예: SCM, MES, WMS)의 데이터베이스에 맵핑(mapping)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0)는, 기존의 IT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 복수의 파이프들 각각에 부여된 식별정보를 기존의 IT 시스템(예: SCM, MES, WMS)에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SCM, MES, WMS는, 파이프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성형된 복수의 파이프들 각각을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er 300 may serve as a bridge capable of connecting the data represen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to the existing IT systems such as SCM, MES, WMS, and the like. The server 300 may map the encrypted data to a database of an existing IT system (eg, SCM, MES, WMS). Therefore, the server 300 may manag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pes in the existing IT system (eg, SCM, MES, WMS)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IT system. The SCM, MES, and WMS may manage each of the plurality of molded pipes using a database mapped to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CM(supply chain management)은 공급망 관리를 수행하며, 수요 예측, 판매 계획, 자재 계획을 관리한다.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는 제조 실행 시스템으로, 생산 현장의 작업일정, 지시, 실적을 관리할 수 있다.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는 창고 관리 시스템으로, 파이프의 입고, 출고, 트래킹 등 물류를 관리할 수 있다.Supply chain management (SCM) performs supply chain management and manages demand forecasting, sales planning, and material planning.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is a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which can manage work schedules, instructions, and performance of production sites. A warehouse management system (WMS) is a warehouse management system that can manage logistics such as warehousing, shipment, and tracking of pipes.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뿐이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기능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However,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re not essential.

한편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배관에 관한 프로그램(250)을 실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파이프 식별정보(ID)를 수집, 저장,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200)에서 프로그램(250)을 통해 배관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er 300 may support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250 related to piping in the user terminal 200 . That is, the server 300 may collect, store, and manage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may support the user terminal 200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ipe through the program 250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0)는,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복수의 파이프들의 식별정보(ID)를 저장하고 이를 통해 복수의 파이프들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을 관리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er 300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a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ing design diagram and manage the life cycle of the plurality of pipes through this.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20)의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11 shows an example of a signal flow of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파이프 성형정보와 파이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배관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S601), 생성된 파이프 성형정보를 성형장치(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S602). 성형장치(110)는, 수신된 파이프 성형정보에 따라 파이프를 성형할 수 있다(S603). 이에 따라 복수의 파이프들이 생성될 수 있다. 배관정보 생성부(100)는 생성된 파이프 식별정보(ID)를 식별정보 입력장치(150)에게 전송할 수 있고(S604), 식별정보 입력장치(150)는 수신된 파이프 식별정보에 따라 복수의 파이프들 각각에, 해당하는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605). Referring to FIG. 11 ,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generate pipe information including pipe forming information and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S601 ), and transmit the generated pipe forming information to the forming apparatus 110 . (S602). The forming apparatus 110 may form a pipe according to the received pipe forming information (S603). Accordingly, a plurality of pipes may be generated.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S604),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50 may transmit a plurality of pipes according to the received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each of them,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input (S605).

S601 내지 S605는, S301 내지 S305에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602 내지 S605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Since S601 to S605 correspond to S301 to S305,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order of S602 to S605 may be changed.

이후 S607에서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성형된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Thereafter, in S607,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60 may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lded pipe.

S608에서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인식된 식별정보를 서버(3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서버(30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파이프의 성형이 완료될 때마다, 파이프의 성형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실제 시공 작업 전 단계에서, 성형된 복수의 파이프들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수립하기 위한 단계이다. In S608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may transmit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 To this e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and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rver 3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60 may recognize and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to the server 300 in response to the completion of pipe forming whenever the pipe forming is completed. This is a step for establishing a database by collecting data on a plurality of molded pipes in a stage before actual construction work.

서버(300)는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성형된 파이프(P)의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게이트웨이(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암호화할 수 있다. 암호화된 데이터는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300)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성형된 파이프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server 300 may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may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lded pipe P, and transmit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gateway (not shown), and the gateway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an be collected and encrypted. The encrypted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 The server 300 may receive, from the gateway, encrypted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lded pipe.

S609에서 서버(300)는 수신된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In S609, the server 300 may store and manage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601 내지 S609의 단계들은, 실제 시공 작업 전 단계인, 파이프를 성형하고, 파이프 식별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의 S610 내지 S614의 단계들은, 작업자가 파이프를 가지고 실제로 배관을 제조하는 시공 작업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Steps S601 to S609 may be performed in a step before the actual construction work, in the step of forming a pipe and collecting data about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bsequent steps of S610 to S614 may be performed in a construction work step in which an operator actually manufactures a pipe with a pipe.

S61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표시 장치(220)(예: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관 설계도를 표시할 수 있다. In S610,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piping design through the display device 220 (eg, a display).

즉, 사용자 단말(200)은 프로그램(250)을 실행하여, 배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고, 상기 UI를 통해 배관 설계도를 표시할 수 있다. S307 단계는 예를 들면, 작업자가 배관 시공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배관에 관한 프로그램(250)을 실행할 때에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terminal 200 may execute the program 250 to display a user interface (UI)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piping, and may display a piping design through the UI. Step S307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operator executes the program 250 related to the pipe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pipe construction work.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프로그램(250)을 실행하여 배관 설계도에 관한 UI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버(300)로부터 배관정보를 수신하거나 배관정보 생성부(100)로부터 배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프로그램(250)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배관 설계도에 관하여 저장된 파이프 식별정보(ID)의 리스트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pip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300 or receives piping information from the pi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although not shown in order to provide a UI related to the piping design by executing the program 250 . can receive For example,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or executing the program 250 , the user terminal 200 accesses the server 300 , and lists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stored with respect to the pipe design diagram.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

S611에서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임의의 파이프를 시공 작업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 인식할 수 있다.In S61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may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For example, in order for an operator to construct an arbitrary pip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may be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

S612에서,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인식된 식별정보를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인식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버(300)에게 송신할 수 있다.In S612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60 may transmit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 That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60 may transmi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

S613에서, 서버(300)는,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S613 , the server 300 may extra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60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200 .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data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300 .

S614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UI를 통해 표시한 배관 설계도에서,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UI를 통해 표시한 배관 설계도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나머지 파이프들에 비하여 강조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UI를 통해 표시할 화면 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In S614,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pi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ipe design displayed through the UI.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emphasized compared to the remaining pipes in the pipe design displayed through the 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scree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rough the UI from the server 300 .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20)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의 동작들은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12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d in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s of FIG. 12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200 .

도 12를 참조하면, S701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배관 설계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배관 제조를 관리하는 프로그램(250)을 실행하는 작업자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배관 설계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배관 제조를 관리하는 프로그램(250)을 실행하는 작업자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고, 서버(300)로부터 배관정보 및/또는 배관 설계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배관 설계도는, 도 5와 같이 파이프 중심선들로 표시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파이프 모양들로 표시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2 , in S701 ,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piping design diagram.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piping design on the display based on a user input of a worker executing the program 250 for managing piping manufacturing.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connect to the server 300 based on a user input of a worker executing the program 250 for managing pipe manufacturing, and pipe information and/or a pipe design diagram from the server 300 . Information about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The piping design diagram may be represented by pipe center lines as shown in FIG. 5 or by pipe shapes as shown in FIG. 6 .

S702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식별정보 인식장치(160)가 인식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를 사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것에 대응하여,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는 인식된 식별정보를 서버(300)에게 송신할 수 있고, 서버(300)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모듈(260)을 통해, 서버(300)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S702 ,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from the server 300 ,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60 . For example, in response to the worker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to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to be install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transmits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 and the server 300 may transmit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

S703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표시 장치(220)를 통해, 상기 표시된 배관 설계도에서,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파이프의 표시와 함께 상기 파이프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In S703 ,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pi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isplayed pipe design through the display device 220 . The user terminal 200 may simultaneousl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pipe together with the display of the pip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배관 설계도에서, 나머지 파이프들에 비하여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00 may highlight and display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ared to the remaining pipes in the piping design diagram.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UI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에 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의 길이, 지름, 재질 등의 규격 정보,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가 포함된 섹터를 나타내는, 섹터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도 7 참조).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through the UI. For example, standard information such as length, diameter, and material of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ctor information indicating a sector including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refer to FIG. 7 ).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 시스템(20)에서 시공 완료된 파이프를 표시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의 동작들은 배관 제조 시스템(20)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13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pipe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s of FIG. 13 may be performed by components of the piping manufacturing system 20 .

도 13을 참조하면, S801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 장치(230)(예: 터치스크린)를 통해 파이프 시공 완료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파이프를 설치한 뒤에, 해당 파이프의 시공 완료 사실을 저장하기 위한 입력(예: 터치)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in S801 ,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user input indicating completion of pipe construction through the input device 230 (eg, a touch screen). That is, after the worker installs the pipe, he/she may make an input (eg, a touch) to store the fact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pipe has been completed.

S802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버(3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시공 완료된 파이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In S802 ,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server 300 . The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ompleted pipe. The server 300 may receive the data.

S803에서, 서버(300)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공 완료된 파이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서버(300)는 시공 완료된 파이프들의 식별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서버(300)는 시공 완료된 파이프들의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으며, S803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를 갱신(update)할 수 있다. In S803, the server 30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pipe construction is completed, based on the received data. For example, the server 300 may classify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pip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For example, the server 300 may store a list of pip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and may update the list based on S803.

S804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시공 완료된 파이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300)는 상기 갱신된 리스트에 관한 정보(예: 화면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다. In S804 ,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pipe that has been constructed from the server 300 . For example, the server 3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updated list (eg, scree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in real time.

S805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수신에 기초하여, 배관 설계도에서 시공 완료된 파이프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배관 설계도에서 시공 전의 파이프들과 시공 완료된 파이프들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S805, the user terminal 200 may classify and display the completed pipe in the piping design drawing based on the rece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pipes before the construction and the pip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piping design diagram separate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0)는, 시공 전의 파이프들과 시공 완료된 파이프들에 대한 저장된 정보로부터, 시공 작업의 진행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파이프 시공 완료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진행률을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된 진행률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rver 300 may calculate the progress rate of the construction work from stored information about pipes before construction and pip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For example, the server 300 may update and store the progress rate whenever it receives data indicating completion of pipe co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updated progress rate to the user terminal 200 . can send

예를 들면, 서버(300)는, 배관 설계도 전체에 대한 진행률과 섹터 별 진행률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300 may store the progress rate for the entire piping design and the progress rate for each sector, respectively.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파이프에 대한 시공 완료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서버(300)에게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진행률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관 설계도 전체에 대한 진행률과 상기 특정 파이프가 포함된 섹터에 대한 진행률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indicating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for a specific pipe (transmi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server 300,) server 300 The updated progress rate may be received from the , and the progress rate for the entire piping design and the progress rate for the sector including the specific pipe may be displayed together through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20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0)는, 배관 시공 완료 후에도 배관 설계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300)는 배관 시공 완료 후에도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복수의 파이프들의 식별정보(ID)를 모두 저장하고, 배관을 관리하는 프로그램(250)을 통해 복수의 파이프들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을 관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30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piping design even after the piping construction is completed. For example, the server 300 stores 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ing design even after completion of the piping construction, and through the program 250 for managing the piping, the life cycle of the plurality of pipes (life cycle) ) can be manag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 완료 후에 작업자가 일부 파이프를 철거, 교체, 재시공하고자 할 때 상기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 인식하면, 서버(300)는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서 표시하도록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교체, 철거, 또는 재시공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배관 설계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worker wants to remove, replace, or re-construct some pipes after construction is completed,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is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 the server 300 perform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60 ) may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to the user terminal 200 to display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user terminal 200 . Through this, the operator can check the pipe to be replaced, demolished, or reconstructed from the pipe desig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교체의 경우, 서버(300)는 식별정보 인식장치(160)로부터 교체 후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교체 전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교체 후 파이프의 식별정보로 대체하여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case of pipe replacement, the server 3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after replacement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60, and replac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before replacement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after replacement. can be sa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20: 배관 제조 시스템 100: 배관정보 생성부
110: 성형장치 150: 식별정보 입력장치
160: 식별정보 인식장치 200: 사용자 단말
300: 서버
10, 20: piping manufacturing system 100: pip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molding device 150: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60: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200: user terminal
300: server

Claims (8)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파이프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한 파이프 성형정보 및 파이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배관정보를 생성하는 배관정보 생성부;
상기 배관정보 생성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파이프 성형정보에 따라 파이프를 성형하는 성형장치;
상기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파이프의 상기 파이프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식별정보 인식장치에 의해 인식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배관 설계도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성형정보는 상기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파이프의 절단 지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파이프의 벤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파이프는 상기 파이프 성형정보에 의해 복수의 파이프들로 구분되고,
상기 성형장치는 상기 절단 지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벤딩 정보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성형하고,
상기 배관정보 생성부는, 상기 파이프 성형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배관 설계도로부터, 상기 배관 설계도에 포함되고 상기 파이프 성형정보에 의해 구분된 복수의 파이프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파이프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배관 제조 시스템.
a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ipe information including pipe forming information and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forming the pipe as information about the pipe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rawing;
a forming device for forming a pipe according to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molded by the molding device; and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and displays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iping design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forming a pipe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iagram, and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cutting point of the pipe and bending information of the pipe,
The pipe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iagram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pes by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The molding device forms a pipe us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cutting point and the bending information,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utomatically generates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rawing and divided by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from the pipe design drawing including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piping manufactur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식별정보는, 상기 파이프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의 사이즈, 재질, 지름, 길이 및 상기 파이프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가 상기 배관 설계도에서 어느 섹터에 포함되는지를 나타내는 섹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size, material, diameter, and length of a pipe corresponding to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ctor information indicating in which sector in the piping design a pipe corresponding to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which is a plumbing manufactur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배관 제조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배관 설계도를 표시하고,
상기 식별정보 인식장치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복수의 파이프들 중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파이프를 나머지 파이프들에 비해 강조하여 표시하는, 배관 제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is
Based on executing a program for managing pipe manufacturing, displaying the pipe design through the display,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identify a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ing design,
and highlighting the identified pipe relative to the rest of the pip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식별정보 인식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강조하여 표시함과 함께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의 사이즈, 재질, 지름, 길이 및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가 상기 배관 설계도에서 어느 섹터에 포함되는지를 나타내는 섹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하는, 배관 제조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user terminal i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highlighted and displayed, and the size, material, diameter, length, and length of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pipe manufacturing system further displays at least one of sector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sector the pipe is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iagr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수천 개 이내의 복수의 파이프들 중에서 특정 파이프의 시공 완료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관 설계도 상에서 상기 특정 파이프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상기 배관 설계도에서 시공 완료된 파이프들을 나머지 파이프들과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배관 설계도 상에 시공 작업의 진행률을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배관 제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is
Receive a user input indicating completion of construction of a specific pipe from among a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rawing,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user input, the pip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piping design diagram ar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rest of the pipes so that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pipe can be identified on the piping diagram,
A piping manufacturing system for updating and displaying the progress rate of the construction work on the piping blueprint displayed on the display.
삭제delete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파이프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한 파이프 성형정보 및 파이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배관정보를 생성하는 배관정보 생성부;
성형된 파이프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식별정보 인식장치에 의해 인식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배관 설계도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복수의 파이프들 중에서 특정 파이프의 시공 완료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상기 식별정보 인식장치로부터 교체, 철거 및 재시공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후속 시공을 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제1 후속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배관 설계도에서 상기 제1 후속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표시하고,
상기 파이프 성형정보는 상기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파이프의 절단 지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파이프의 벤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설계도에 포함된 파이프는 상기 파이프 성형정보에 의해 복수의 파이프들로 구분되고,
상기 배관정보 생성부는, 상기 파이프 성형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배관 설계도로부터, 상기 배관 설계도에 포함되고 상기 파이프 성형정보에 의해 구분된 복수의 파이프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파이프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배관 제조 시스템.
a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ipe information including pipe forming information and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forming the pipe as information about the pipe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rawing;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molded pipe; and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and displays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iping design displayed on the display;
After receiving a user input indicating completion of construction of a specific pipe from among a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e desig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first subsequ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ipe to be constructed following one selected from replacement, demolition, and re-construc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and displays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sequ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iping design diagram,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forming a pipe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iagram, and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cutting point of the pipe and bending information of the pipe,
The pipe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iagram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pes by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The pip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utomatically generates the pi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ipes included in the pipe design drawing and divided by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from the pipe design drawing including the pipe forming information, piping manufacturing system.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후속 시공이 교체인 경우,
상기 후속 시공이 완료된 파이프의 제2 후속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후속 식별정보를 상기 제2 후속 식별정보로 대체하여 저장하는, 배관 제조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ser terminal, when the subsequent construction is replacement,
Receives second subsequ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pe on which the subsequent construction has been completed, and stores the first subsequ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replacing the first subsequ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second subsequ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1020190113021A 2019-09-11 2019-09-11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KR1023927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21A KR102392757B1 (en) 2019-09-11 2019-09-11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21A KR102392757B1 (en) 2019-09-11 2019-09-11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268A KR20210031268A (en) 2021-03-19
KR102392757B1 true KR102392757B1 (en) 2022-05-02

Family

ID=7526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021A KR102392757B1 (en) 2019-09-11 2019-09-11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75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266B1 (en) * 2016-11-04 2018-05-03 삼성중공업(주) Apparatus for providing work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597B1 (en) * 2010-12-01 2012-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ethod for production of spool
KR20170002994A (en) * 2015-06-30 2017-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of managementing process for pipe
KR101735327B1 (en) * 2015-07-24 2017-05-15 삼성중공업(주) Apparatus for providing material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266B1 (en) * 2016-11-04 2018-05-03 삼성중공업(주) Apparatus for providing work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268A (en)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0033B2 (en) Field device management apparatus,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P3451206B1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generating a visual model layout of a space
JP6432551B2 (en) Equipment maintenance device, equipment maintenance system, equipment maintenance method, equipment maintenan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50222731A1 (en) Computer,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2439562A (en) Card processing
CN107315402A (en) Instrument care device, instrument maintenan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3970061A (en) Data creating device and method
JP2019169044A (en) Software robot definition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software robot definition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CN111095195A (en)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EP2618109B1 (en) Devic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N101587572A (en) Manufacturing instruction evaluation support system and manufacturing instruction evaluation support method
KR102392757B1 (en)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iping manufacturing management
CN111095194A (en) Control system,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JP5156713B2 (en) Design support device
CN105205123A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interaction between databases
CN102024071B (en) Printed circuit board wiring system and polygon merging method on printed circuit board
JP4971226B2 (en) Design support device
CN103034917A (en)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material tracking system
KR20110130696A (en) On-line tool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P3264209A1 (en) Mechan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mechanical device management device, server for managing mechanical device, mechanical device, and mechanical device management method
JP2017068418A (en) Plan support system and plan support method
JP6210108B2 (en) Field device management apparatus,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5259078A (en) Support apparatus and management system
JP4663375B2 (en) Plant inspection system, plant inspection method, and plant inspection program
KR20160131192A (en) Rebar process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