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905B1 - Air-curtain system - Google Patents

Air-curtai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905B1
KR102388905B1 KR1020150108746A KR20150108746A KR102388905B1 KR 102388905 B1 KR102388905 B1 KR 102388905B1 KR 1020150108746 A KR1020150108746 A KR 1020150108746A KR 20150108746 A KR20150108746 A KR 20150108746A KR 102388905 B1 KR102388905 B1 KR 102388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urtain
range
generating device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5766A (en
Inventor
이찬희
백인규
한창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8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905B1/en
Publication of KR2017001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7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에어커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에어커튼 시스템은,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센싱모듈; 레인지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생성하는 에어커튼 생성 장치; 상기 레인지의 상부에 위치하여 주변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후드장치; 및 상기 공기질 센싱모듈로부터 전달받은 공기질 측정 신호를 기초로 실내 공기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 및 상기 후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Disclosed are an air curtain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e air curtain system includes: an air quality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indoor air quality; an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n air curtain on the upper part of the range; a hood device positioned above the range to discharge surrounding air to the outdoors; and a control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indoor air is polluted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air quality sensing module, and controls operations of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and the hood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

Description

에어커튼 시스템{AIR-CURTAIN SYSTEM}Air curtain system {AIR-CURTAIN SYSTEM}

본 출원은 에어커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ir curtain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기존의 에어커튼형 가스레인지는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가스레인지를 이용한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와 열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Existing air curtain-type gas ranges are configured to form an air curtain so that odors and heat generated during cooking using the gas range are not emitted into the room but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와 관련하여,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은, 에어커튼형 가스레인지를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Patent Document 1 describ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discloses an air curtain type gas range.

한국공개특허 제2007-0011772호 (공개일: 2007.01.2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7-0011772 (published date: 2007.01.25.)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레인지의 에어커튼을 활용하여 실내 공기 오염시 오염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art,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for efficiently exhausting polluted air when indoor air is polluted by using the air curtain of the rang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에어커튼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커튼 시스템은,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센싱모듈; 레인지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생성하는 에어커튼 생성 장치; 상기 레인지의 상부에 위치하여 주변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후드장치; 및 상기 공기질 센싱모듈로부터 전달받은 공기질 측정 신호를 기초로 실내 공기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 및 상기 후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urtain system. The air curtain system includes: an air quality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indoor air quality; an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n air curtain on the upper part of the range; a hood device positioned above the range to discharge surrounding air to the outdoors; and a control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indoor air is polluted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air quality sensing module, and controls operations of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and the hood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에어커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커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공기질을 기초로 산정한 실내 공기 오염도를 기 설정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 공기 오염도가 상기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에어커튼 생성 장치를 동작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후드 장치를 동작시켜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urtain system. The method of operating the air curtain system includes: measuring indoor air quality; comparing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d air quality with a preset value; and when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preset value, operating an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to form an air curtain, and operating a hood device to discharge polluted air to the outside.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cidentally,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do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advantages and effects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레인지의 조리시뿐만 아니라 다른 원인에 의한 실내 공기 오염시에도 가스레인지의 에어커튼을 활용하여 오염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lluted air can be efficiently exhausted by using the air curtain of the gas range not only during cooking of the gas range but also when indoor air is polluted by other cau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커튼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커튼 시스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커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n air curtai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air curtain system shown in FIG. 1 .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urtai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커튼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n air curtai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커튼 시스템은, 공기질 센싱모듈(110), 제어 모듈(120),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 및 후드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렌지동작 감지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ir curtai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ir quality sensing module 110 , a control module 120 , an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 and a hood device 140 , and , may further include a range motion detection module 150 if necessary.

공기질 센싱모듈(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커튼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센서, 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quality sensing module 110 is for measuring the air quality of a room in which the air curtai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or example, a gas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r oxygen in the air, the amount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ust sensor for measuring the radon, a radon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radon in the air.

공기질 센싱모듈(110)은 후술하는 제어 모듈(120) 또는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 내에 장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분리되어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공기질 센싱 장치)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공기질 센싱모듈(110)이 별도의 장치로 형성될 경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제어 모듈(120)과 제어 신호 또는 공기질 측정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The air quality sensing module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being mounted in the control module 120 or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to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separated therefrom and formed as a separate device (eg, air quality sensing device). may be When the air quality sensing module 110 is formed as a separate device, it ha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or an air quality measurement signal with the control module 120 through this.

제어 모듈(1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커튼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2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urtai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specific semiconductor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etc. can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20)은 공기질 센싱모듈(110)로부터 전달받은 공기질 측정 신호를 기초로 실내 공기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 및 후드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120 determines whether indoor air is polluted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air quality sensing module 110, and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and the hood device 14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peration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제어 모듈(120)은 공기질 센싱모듈(110)로부터 전달받은 공기질 측정 신호를 기초로 실내 공기 오염도를 산정하고, 실내 공기 오염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실내 공기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20 calculates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air quality sensing module 110, and determines that the indoor air is contaminated when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exceeds a preset value. can

또한, 제어 모듈(120)은 실내 공기 오염시에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를 동작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후드 장치(140)를 동작시켜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Also, when indoor air is polluted, the control module 120 may operate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to form an air curtain, and operate the hood device 140 to discharge the polluted air to the outside.

이 경우, 제어 모듈(120)은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에 따라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 및 후드 장치(140)에 각각 구비된 송풍부(132, 142)의 팬 구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공기 오염도가 높을수록, 제어 모듈(120)은 오염 공기가 고속으로 배기될 수 있도록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 및 후드 장치(140)에 각각 구비된 송풍부(132, 142)의 팬 구동 속도를 높혀 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120 may adjust the fan driving speed of the blowers 132 and 142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and the hood device 140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indoor air. For example, the higher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the higher the control module 120 blowers 132 and 142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and the hood device 140 so that the polluted air can be exhausted at a high speed. can increase the fan drive speed.

더하여, 제어 모듈(120)은 후술하는 렌지동작 감지 모듈(15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의 에어커튼 생성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20 may control the air curtain generation direction of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range motion detection module 150 to be described later.

예를 들어, 제어 모듈(120)은 렌지동작 감지 모듈(150)에 의해 가스레인지가 동작 중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가 상부 방향으로 에어커튼을 생성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에어커튼이 조리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20 may operate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to generate an air curtain in an upward direc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gas stove is in operation by the range operation detecting module 15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curtain from affecting the cooking.

한편, 제어 모듈(120)은 렌지동작 감지 모듈(150)에 의해 가스레인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가 후드 장치(140)의 중심 방향으로 에어커튼을 생성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오염 공기의 배기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module 120 detects that the gas stove does not operate by the range operation detection module 150 ,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generates an air curtain toward the center of the hood device 140 . can make it work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ore smoothly exhaust the polluted air.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는 가스레인지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생성시켜 주변의 공기가 후드 장치(1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는 가스레인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장치로 형성되어 가스레인지에 부착될 수 있다.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is to create an air curtain on the upper part of the gas range so that surrounding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hood device 140 .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gas range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device and attached to the gas range.

이러한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는 흡입구(131), 송풍부(132) 및 토출구(1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방향 제어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may include an inlet 131 , a blower 132 , and an outlet 133 , and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controller 134 if necessary.

흡입구(131)는 에어커튼 생성시에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형성 위치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에어커튼 생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위치라면 후면, 전면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131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gas range as shown in FIG. 2 for sucking the surrounding air when the air curtain is created, but the formation 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it is a position that can suck ambient air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the generation of the air curtain, it may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rear and the front.

송풍부(132)는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 내부의 공기 유로에 위치하여,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주변의 공기가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되어 토출구(133)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송풍부(132)는 하나 이상의 팬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는 상술한 제어 모듈(12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고, 구동 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The blower 132 is positioned in the air flow path inside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to form an air flow so that the surrounding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inlet 131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33 . For example, the blower 132 may include one or more fans and a motor for driving the same. Here, the motor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module 120, and the driving speed may be varied.

토출구(133)는 에어커튼 생성 장치(130)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의 상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나, 형성 위치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discharge port 133 is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into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0 and may be form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gas range as shown in FIG. 2 , but the formation 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방향 제어부(134)는 제어 모듈(120)의 제어에 따라 토출구(13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여 에어커튼의 생성 방향을 가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방향 제어부(134)는 토출구(133) 주위에 루버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토출되는 공기 방향을 제어하거나, 송풍부(132)의 팬의 방향을 가변하는 모터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토출되는 공기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direction control unit 134 is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33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20 to vary the generation direction of the air curtain. For example, the direction control unit 134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louver around the outlet 133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or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tor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fan of the blower 132,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후드장치(140)는 주변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hood device 140 is for discharging surrounding air to the outside, and may be located above the gas range as shown in FIG. 2 .

후드장치(140)는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41)와,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주변의 공기가 흡입구(141)를 통해 흡입되어 배기구(14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송풍부(142)와, 흡입구(14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od device 140 has a suction port 141 for sucking the surrounding air, and a blower for forming an air flow so that the surrounding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141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43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142 and an exhaust port 143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41 to the outside.

여기서, 송풍부(142)는 하나 이상의 팬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는 상술한 제어 모듈(12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고, 구동 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
Here, the blower 142 may include one or more fans and a motor for driving the same, and the motor may be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module 120 , and a driving speed may be varied.

렌지동작 감지 모듈(1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커튼 시스템이 설치된 가스레인지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range operation detection module 150 is for detecting whether the gas stove installed with the air curtai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ing.

예를 들어, 렌지동작 감지 모듈(150)은 가스레인지의 점화 손잡이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거나, 가스레인지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등의 방식으로 가스레인지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가스레인지의 점화 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가스레인지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ange operation detection module 150 may detect whether the gas range is operating in a manner such as detec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ignition knob of the gas range or sens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gas ran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gas stove is operating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ignition method of the gas stov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커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urtai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실내의 공기질을 센싱하고(S31), 이를 기초로 산정한 실내 공기 오염도를 기 설정치와 비교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 여기서, 실내의 공기질 판단 지표로서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 농도, 먼지 농도, 라돈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first, indoor air quality is sensed ( S31 ), and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calculated based on this is compared with a preset value to determine whether indoor air is polluted ( S32 ). Here, carbon dioxide or oxygen concentration, dust concentration, radon concentration, etc. may be measured as indoor air quality determination indicators.

실내 공기 오염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실내 공기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하고 에어커튼 생성 장치를 동작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후드 장치를 동작시켜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S34, S35).When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pre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air is polluted, an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is operated to form an air curtain, and a hood device is operated to discharge the polluted air to the outside (S34, S35). ).

이 경우, 가스레인지의 동작 여부를 추가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S33), 감지 결과에 따라 가스레인지가 동작 중인 경우에는 상부 방향으로 에어커튼을 생성하도록 동작시키고(S34), 가스레인지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드 장치의 중심 방향으로 에어커튼을 생성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S35).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detect whether the gas stove is operating (S33), and if the gas stove is operating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it is operated to generate an air curtain in the upward direction (S34), and when the gas stove is not operating It can be operated to create an air curtain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hood device (S35).

또한, S34 또는 S35 단계에서, 실내 공기 오염도를 고려하여 에어커튼 생성 장치 및 후드 장치에 구비된 팬의 구동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공기 오염도가 높을수록, 오염 공기가 고속으로 배기될 수 있도록 팬 구동 속도를 높혀 줄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34 or S35, the driving speed of the fan provided in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and the hood device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indoor air pollution. For example, as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is high, the fan driving speed may be increased so that the polluted air can be exhausted at a high speed.

상술한 에어커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에어커튼 시스템에 구비된 프로세서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operating the air curtain system may be performed by a processor or the like provided in the air curtain system.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에어커튼 시스템이 가스레인지에 결합 또는 부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인덕션 등의 조리기구와 결합하여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air curtain system operates by being coupled to or attached to the gas rang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for example, it may operate in combination with a cooking appliance such as indu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공기질 센싱 모듈
120: 제어 모듈
130: 에어커튼 생성 장치
131: 흡입구
132: 송풍부
133: 토출구
134: 방향 제어부
140: 후드장치
141: 흡입구
142: 송풍부
143: 배기구
150: 렌지동작 감지 모듈
110: air quality sensing module
120: control module
130: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131: intake
132: blower
133: outlet
134: direction control
140: hood device
141: intake
142: blower
143: exhaust port
150: range motion detection module

Claims (14)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센싱모듈;
레인지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생성하는 에어커튼 생성 장치;
상기 레인지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렌지동작 감지 모듈;
상기 레인지의 상부에 위치하여 주변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후드 장치; 및
상기 공기질 센싱모듈로부터 전달받은 공기질 측정 신호를 기초로 실내 공기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 및 상기 후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렌지동작 감지 모듈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의 에어커튼 생성 방향을 제어하되, 상기 렌지동작 감지 모듈에 의해 상기 레인지가 동작 중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가 생성한 에어커튼의 방향과, 상기 렌지동작 감지 모듈에 의해 상기 레인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가 생성한 에어커튼의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에어커튼 시스템.
an air quality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indoor air quality;
an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n air curtain on the upper part of the range;
a range operation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whether the range is in operation;
a hood device positioned above the range to discharge surrounding air to the outdoors; and
and a control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indoor air is polluted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air quality sensing module, and controls operations of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and the hood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air curtain generation direction of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ange motion detection module,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range is being operated by the range motion detection module, the air curtain An air curtain system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air curtain generated by the generating device and the direction of the air curtain generated by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range does not operate by the range motion detection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공기질 측정 신호를 기초로 실내 공기 오염도를 산정하고, 상기 실내 공기 오염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실내 공기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하는 에어커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odule calculates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ignal, and when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exceeds a preset value, the air curtain system determines that the indoor air is contamina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실내 공기 오염시에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를 동작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상기 후드 장치를 동작시켜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에어커튼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module operates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to form an air curtain when indoor air is polluted, and operates the hood device to control to discharge the polluted air to the outsi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실내 공기 오염도가 높을수록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 및 상기 후드 장치에 구비된 팬의 구동 속도를 높혀서 동작시키는 에어커튼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module operates the air curtain system by increasing the driving speed of the fan provided in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and the hood device as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ncrea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렌지동작 감지 모듈에 의해 상기 레인지가 동작 중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가 상기 후드 장치에 수직한 상부 방향으로 에어커튼을 생성하도록 동작시키는 에어커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to generate an air curtain in an upwa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od devic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range is being operated by the range operation detecting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렌지동작 감지 모듈에 의해 상기 레인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가 상기 후드 장치의 중심 방향으로 에어커튼을 생성하도록 동작시키는 에어커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odule is an air curtain system for operating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to generate an air curtain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hood devic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range does not operate by the range operation detecting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센싱모듈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센서; 및
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에어커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quality sensing module,
a gas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r oxygen in the air;
a dust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and
An air curtain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radon sensor that measures a concentration of radon in the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는,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 내부의 공기 유로에 위치하여,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주변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에어커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an inlet that draws in ambient air;
a blower positioned in the air flow path inside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to form an air flow so that surrounding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Air curtain system includ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by the blow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생성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커튼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Air curtai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direc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08746A 2015-07-31 2015-07-31 Air-curtain system KR102388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746A KR102388905B1 (en) 2015-07-31 2015-07-31 Air-curtai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746A KR102388905B1 (en) 2015-07-31 2015-07-31 Air-curtai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766A KR20170015766A (en) 2017-02-09
KR102388905B1 true KR102388905B1 (en) 2022-04-22

Family

ID=5815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746A KR102388905B1 (en) 2015-07-31 2015-07-31 Air-curtai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9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79B1 (en) 2020-06-16 2021-04-16 유완식 Air curtai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184A (en) * 2002-01-11 2003-07-25 Sekisui House Ltd Air-supply outlet structure of supply and exhaust type kitchen ventilator
JP2003207180A (en) * 2002-01-11 2003-07-25 Sekisui House Ltd Air supply and discharge control device for supply- discharge type kitchen ventil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772A (en) 2005-07-21 2007-01-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ircurtain type gas-range
KR20120040689A (en) * 2012-02-29 2012-04-27 진남기 Cenopt hood exhaust ventil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184A (en) * 2002-01-11 2003-07-25 Sekisui House Ltd Air-supply outlet structure of supply and exhaust type kitchen ventilator
JP2003207180A (en) * 2002-01-11 2003-07-25 Sekisui House Ltd Air supply and discharge control device for supply- discharge type kitchen ventil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766A (en)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74429A1 (en) Exhaust hoo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xhaust hood
CN106338105B (en) Intake device and intake method
RU2664220C1 (en) Installed inside the room air conditioning unit
JP2015520354A5 (en)
JP2009274050A (en) Air cleaner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852796B1 (en) kitchen hood
CN105783064A (en) Extractor hood with absorption assisting device and method for pumping and absorbing oil fume
CN110506184B (en) Ventilation system and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KR102388905B1 (en) Air-curtain system
US9249988B2 (en) Direct vent/power vent water heater and method of testing for safety thereof
JP6546415B2 (en) Range food
US20200400335A1 (en) Fan assembly
JP6444608B2 (en) Air conditioner
TWI666415B (en) Heating conditioner, ventilation system and exhaust method
KR102311159B1 (en)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61903B1 (en) detachable air screen generating apparatus
JP2019168168A (en) Air quantity control device for range hood
KR20180128282A (en) Wireless air flow amplifier
KR20070011773A (en) Air conditioner for hood type controlling wind volume
JP2010264378A (en) Air cleaner
JP3192235U (en) Opening and closing damper device used for outside air discharge device of outside air intake device having heat path function
KR101577316B1 (en) Electric fan
JP2006112717A (en) Range hood fan
EP4290141A1 (en) Cooking appliance having a ventilation system
JP2003194380A (en) Range hood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