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277B1 - Street parking lot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reliability improved - Google Patents

Street parking lot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reliability improv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277B1
KR102386277B1 KR1020210125727A KR20210125727A KR102386277B1 KR 102386277 B1 KR102386277 B1 KR 102386277B1 KR 1020210125727 A KR1020210125727 A KR 1020210125727A KR 20210125727 A KR20210125727 A KR 20210125727A KR 102386277 B1 KR102386277 B1 KR 102386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street parking
terminal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125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2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2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arking 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including: a body; a camera unit installed in a street parking lot including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and configured to capture an image of a vehicle entering the street parking lot in real tim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entry and exit of a vehicle to the street parking lot; at least one first terminal including a settlement module for settling a parking fee of the vehicle in the street parking lot; and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including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settlement module through recognition of a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in the street parking lot, wherein the control module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the sensor unit, and the first terminal, and configured to reversely reproduce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based on a detected time point when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recognize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entry and exit is detected based on the reversely reproduced image, so that the settlement module is controlled to perform settlem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Accordingly, a more reliable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function is achieved.

Description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STREET PARKING LOT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RELIABILITY IMPROVED}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본 발명은 노상주차장에 출입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며, 획득된 차량 영상을 출입 차량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역재생하면서 이미지 분석이 진행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신뢰도 높은 차량번호 인식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vehicle entering and exiting an on-street parking lot, acquires an image of the detected vehicle, and reversely reproduces the acquired vehicle image based on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detected. It relates to an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that can achieve a more relia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function.

차량 보급률이 급증함에 따라 도심 등에서는 주차공간 부족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라, 노상주차장을 인가된 차량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주차장 공유서비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vehicle penetration rate, a shortage of parking space frequently occurs in downtown areas, and accordingly, a parking lot sharing service that provides an on-street parking lot to authorized vehicles is widely used.

이러한 주차장 공유서비스는 차량의 주차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는지 여부와, 주차된 차량이 사전에 인가된 차량인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판별하는지 여부가 서비스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this parking lot sharing service,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becaus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service is determined by whether or not it accurately detects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and whether the parked vehicle is a previously authorized vehicle. .

종래에는 노상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주차감지수단을 설치하여 주차된 차량을 감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연구되었으나, 이러한 주차감지수단은 주차감지 인식률이 대략 90%에 머물러, 정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주차상태 유무만 감지하기 때문에 주차된 차량이 인가된 차량인지 아닌지를 식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Conventionally, a technology for detecting a parked vehicle by installing a parking detection means on each parking surface of an on-street parking lot has been studied. Since only the presence or absence is detec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a parked vehicle is an authorized vehicle or no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IP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실시간 차량번호 인식을 진행하는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으나, 이때, 카메라의 수는 주차면 수와 같거나 많으며, 상기 인식절차를 동시에 진행할 경우, 다수의 카메라에서 들어오는 동영상을 동시에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LPR(차량번호 인식기, License Plate Recognition)의 고사양이 필수적이고, 이는 가격 상승까지 초래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chnology for real-time vehicle number recognition using an image obtained through an IP camera is being commercialized, but at this time, the number of camera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parking surfaces, and the recognition procedure is performed simultaneously. In case of proceeding, high specification of LPR (License Plate Recognition) is essential because video from multiple cameras must be processed at the same time, which leads to price increase.

한편, 초음파를 이용하여 초음파에 차량이 검지된 후, 번호인식을 진행하는 시스템들도 있으나, 이는 초음파의 시그널을 캐치하고 번호인식을 진행할 때, 차량은 이미 주차면에 주차를 완료하였거나, 카메라의 화각에서 벗어난, 번호인식을 할 수 없는 각도로 차량의 번호판이 위치할 확률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systems that perform number recognition after a vehicle is detected by ultrasonic waves using ultrasonic wave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is highly likely to be located at an angle that is out of the angle of view and cannot recognize the number.

예컨대, 노상 LPR의 카메라들은 IP 카메라를 사용하며, IP 카메라는 Raw Data로 영상을 전송하는 것이 아닌, H.264, H.265, MJPEG 등의 파일로 압축을 하고, 압축한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번호인식 제어기에서는 압축된 파일을 풀어서 이미지로 만들고 최종적으로 번호인식을 진행한다. 이때, 카메라에서 이미지를 압축할 때 걸리는 시간, 네트워크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 파일을 받아서 압축을 푸는 시간은 약 100ms에서 길게는 수초 까지 걸리게 된다. 특히, 전송하는 시간은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크게 좌우 된다,For example, street LPR cameras use IP cameras, and IP cameras do not transmit images as raw data, but compress them into files such as H.264, H.265, and MJPEG, and send the compressed files through the network. send. In the number recognition controller, the compressed file is unpacked into an image and finally number recognition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time it takes for the camera to compress the image, the time it takes to transmit the network, and the time to decompress the file after receiving it take from about 100ms to a few seconds at most. In particular, the transmission time greatly depends on the state of the network,

즉, 이러한 IP 카메라를 사용할 때, 제어기의 입장에서는 센서에 검지 신호가 들어오고 번호인식을 하려는 순간, 차량은 이미 원하는 위치(센서에 검지된 거리)가 아닌, 타임 딜레이가 적용된 이미지 즉, 번호판이 화각에서 벗어나거나, 번호인식을 할 수 없는 각도로 틀어진 이미지가 들어오고, 이에 따라, 번호인식률의 저하를 일으키며, 결국, 시스템의 오류로 작용한다.That is, when using such an IP camera, from the controller's point of view, the moment a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and the number is to be recognized, the vehicle is not already at the desired location (distance detected by the sensor), but the image to which the time delay is applied, that is, the license plate. An image that deviates from the angle of view or is distorted at an angle where number recognition cannot be performed, accordingly, causes a decrease in the number recognition rate, and eventually acts as an error in the system.

따라서, 번호인식률을 향상시켜 보다 높은 신뢰도를 갖는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need for an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number recognition system having higher reliability by improving the number recognition rate is increasing.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8259호(발명의 명칭: 노상주차장 관리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688259 (Title of the invention: Road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노상주차장에 출입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며, 획득된 차량 영상을 출입 차량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역재생하면서 이미지 분석이 진행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신뢰도 높은 차량번호 인식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detects a vehicle entering and exits an on-street parking lot, acquires an image photographing the detected vehicle, and determines the time when the vehicle entering and exiting the acquired vehicle image is detec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that can achieve a more relia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function through a configuration that allows image analysis to proceed while playing backwards as a reference.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은, 복수개의 주차공간이 구비된 노상주차장에 설치되어, 상기 노상주차장 내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노상주차장에 대한 차량의 출입을 감지하는 센서유닛; 상기 노상주차장 내 차량의 주차요금 정산을 위한 정산모듈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 및 상기 노상주차장 내 차량의 번호 인식을 통해 상기 정산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 유닛, 상기 센서유닛 및 상기 제1 단말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센서유닛에 의해 차량의 출입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역재생하고, 상기 역재생되는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감지된 출입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정산모듈이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정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on-street parking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an off-street parking lot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and enters the on-street parking lot. a camera unit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vehicle in real tim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to the street parking lot; at least one first terminal provided with a settlement module for settlement of a parking fee of a vehicle in the on-street parking lot; and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provided with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ttlement module through number recognition of a vehicle in the street parking lot, wherein the control module includes the camera unit, the sensor unit, and the I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when entrance of a vehicle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is reversely reproduced based on the sensed time point, and based on the reversely reproduced image By recognizing the number of the detected entry/exit vehic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ettlement module to perform a settlem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 유닛, 상기 센서유닛 및 상기 제1 단말과 네트워크 통신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한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촬영 영상을 이미지 프레임별로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이미지 프레임이 시간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되도록 관리하는 데이터 정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센서유닛의 차량 출입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 정렬부에 정렬된 이미지 프레임 중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간까지의 이미지 프레임을 역순차적으로 정렬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이 역재생되도록 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역순차적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미리 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관심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정산을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의 정산모듈로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the camera unit, the sensor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to be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a database unit for acquiring the captured image by the camera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storing the obtained captured image for each image frame; a data alignment unit for managing the image frame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o be sequentially arranged according to a time sequence; By receiving the vehicle access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ligning the image frames up to a preset section based on the time point at which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among the image frames arranged in the data alignment unit in reverse order, a data conversion unit that reversely reproduces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hereto; Data for detecting a region of interest representing a vehicle number by analyzing a plurality of image frames arranged in reverse sequential order by the data conversion unit through a pre-store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through analysis of the region of interest analysis department; and a control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settlement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number recogni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to the settlement module of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역순차적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제외한 이미지 프레임을 자동으로 제거하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의 저장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Also, the data conversion unit may secu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database unit while automatically removing image frames except for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arranged in reverse order.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 정렬부는, NVR(Network Video Recorder)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unit and the data arrangement unit may be a network video recorder (NVR).

또한, 상기 제어모듈의 통신부는, 상기 노상주차장의 관리를 위한 관제서버와 네트워크 구축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고, 상기 관제서버는, 국가 행정자치부 서버를 포함하여, 상기 정산모듈이 주차요금 할인대상 차량에 대해 요금 할인을 적용한 정산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module may be designed to be capable of establishing a network with a control server for management of the on-street parking lot, and the control server includes a server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the settlement module is a vehicle subject to a parking rate discoun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ettlement by applying a rate discount for

또한, 상기 제어모듈의 통신부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노상주차장의 상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운용환경을 제공하는 제3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terminal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module and provides an operating environment capable of monitoring the situation of the street parking lot.

또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어모듈의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1 음성 입/출력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3 단말은, 상기 제1 음성 입/출력모듈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모듈의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2 음성 입/출력모듈이 구비되며, 음성통신 S/W가 탑재되어 상기 제1 단말과의 음성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first voice input/output modu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module, and the third terminal includes the control modu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voice input/output module. A second voice input/output modu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is provided, and voice communication S/W is mounted so that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may be possible.

또한, 상기 카메라 유닛은, 4대의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unit may be composed of four IP (Internet Protocol) cameras.

또한, 상기 4대의 IP 카메라는, 상기 제1,2 단말에 각각 2대씩 분배되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주차공간 2구역당 1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정산모듈이 추가로 필요할 경우, 상호 동일 개수로 교차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 IP cameras may be distributed and moun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respectively,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may be disposed in one per 2 areas of the parking space, If the settlement module is additionally required, the same number may be cross-arranged.

또한, 상기 제어모듈의 통신부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노상주차장의 주변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면서 보안환경을 제공하는 보조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camera unit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module and provides a security environment while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street parking lot in real time.

또한, 상기 보조 카메라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amera unit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또한, 상기 센서유닛은, 광센서, 초음파센서, 압력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be at least one of an optical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노상주차장에 대한 차량 출입을 감지하는 센서유닛과, 출입이 감지된 차량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과, 촬영된 차량 영상을 차량 출입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간까지 역재생하면서 분석하는 제어모듈의 구성을 통해 보다 신뢰도 높은 차량번호 인식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or unit that detects vehicle entry to and exit from an on-street parking lot, a camera unit that captures an image of a vehicle in which entry and exit is detected, and reverses the captured vehicle image to a preset section based on the time when vehicle entry and exit is detect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odule that analyzes while playing,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ore reliable vehicle number recogni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모듈 내에 저장되는 차량 영상 데이터가 역재생된 영상 구간을 제외하고, 자동적으로 제거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제어모듈의 저장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저장공간의 활용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ontrol module through a configuration such that vehicle image data stored in the control module is automatically removed except for the reversely reproduced video section, so that the storage space is more efficient. There are advantages to making this possible.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단말의 제어모듈이 국가 행정자치부 서버와 연동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제1 단말의 정산모듈이 주차요금 할인대상 차량에 대해 요금 할인을 적용한 정산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회복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is configured so that the control module of the second terminal is interlocked with the server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so that the settlement module of the first terminal performs the settlement by applying the discount to the parking fee discount target vehicle, Social welfare effects can be expected.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단말 및 제3 단말에 각각 음성 입/출력모듈이 구비되도록 하고, 제3 단말에 음성통신 S/W가 탑재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원가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경제적인 음성통화기능으로 관리/운용자와 주차이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st reduction effect can be expected thr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a voice input/output module is provided 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respectively, and the voice communication S/W is mounted in the third termin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management/operator and parking users with a more economical voice call function.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에서 제2 단말의 제어모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네트워크 통신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이 직각형태의 주차공간을 갖는 노상주차장에 설치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onic configuration of the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module of a second terminal in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mmunication relationship of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reet parking lot having a parking space of a right angl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not intended to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any of them.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에서 제2 단말의 제어모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네트워크 통신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종래의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이 직각형태의 주차공간을 갖는 노상주차장에 설치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n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ond in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odule of the terminal,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network communication relationship of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ventional on-street parking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reet parking lot having a parking space of a right angle shape. It is a drawin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100)은 카메라 유닛(110), 센서유닛(120), 제1 단말(130), 제2 단말(140), 관제서버(150), 제3 단말(160) 및 보조 카메라 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1 to 3 , the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100 with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110 , a sensor unit 120 , a first terminal 130 , and a seco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terminal 140 , the control server 150 , the third terminal 160 , and the auxiliary camera unit 170 .

상기 카메라 유닛(110)은 복수개의 주차공간(S, 도 5 참조)이 구비된 노상주차장에 설치되어, 상기 노상주차장 내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이미지 센싱 집합체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될 제1 단말(130) 및 제2 단말(140)에 각각 2대씩 분배되어 총 4대가 상기 노상주차장 방향을 바라보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camera unit 110 is installed in an on-street parking lo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S, see FIG. 5), and is an image sensing assembly that captures images of vehicles entering the street parking lot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wo units are distributed to each of the first terminal 130 and the second terminal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total of four units are mounted to face the direction of the street parking lo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카메라 유닛(110)은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CMOS형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가 적용될 수도 있고, 스피드돔 카메라, 핀홀 카메라, 팬틸트줌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카메라가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unit 110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n IP (Internet Protocol) camera, a CMOS camera or a CCD camera may be applied, a speed dome camera, a pinhole camera, a pan/tilt zoom camera, etc. may be used, Furthermore, an infrared camera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enable photographing even at night.

다만, 상기 카메라 유닛(1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완성도를 위해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camera unit 110 should be designed to be chang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network data communication for the completeness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센서유닛(120)은 노상주차장에 대한 차량의 출입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노상주차장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센서(미도시) 또는/및 근접센서(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2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entrance and exit of a vehicle to the on-street parking lo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contact sensor (not shown) and/or a proximity sensor (not shown) installed in the on-street parking lot.

여기서, 상기 센서유닛(120)은 제1,2 단말(130, 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Here, the sensor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30 and 140 .

또한, 상기 센서유닛(120)은 접촉센서를 적용하여 구성할 경우, 상기 노상주차장의 주차공간(S)에 주차되는 차량의 무게를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취급될 수 있고, 상기 근접센서를 적용하여 구성할 경우, 빛,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초음파센서가 취급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nsor unit 120 is configured by applying a contact sensor,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S) of the street parking lot can be handled, and by applying the proximity sensor In the case of configuration, an optical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that detects a distance to the vehicle using light, ultrasonic waves, or the like may be handled.

이러한 상기 센서유닛(120)의 구성은 상기 나열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unit 120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listed abov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design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relevant art.

상기 제1 단말(130)은 노상주차장 내 차량의 주차요금 정산을 위한 정산모듈(130a)이 구비되는 정산용 LPR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상주차장 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노상주차장을 이용하는 주차이용자가 임의의 입력정보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버튼, 스위치, 키패드 등의 입력모듈(부호 미표시), 상기 정산모듈(130a)에 의한 정산정보를 주차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가능하게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부호 미표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30 is an LPR terminal for settlement provided with a settlement module 130a for settlement of parking fees for vehicles in the on-street parking lot, and preferably, at least one may be installed in the on-street parking lot, and the on-street parking lot Input modules such as buttons, switches, and keypads (signs not displayed) configured so that a parking user using A display module (signs not displayed)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제1 단말(130)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신호를 입력/출력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음성 입/출력모듈(130b)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될 제3 단말(160)의 설명에서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13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udio input/output module 130b configured to input/output a voice sign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the third terminal 160 . )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in the description.

상기 정산모듈(130a)은 관리/운용자에 의해 임의의 정산 프로그램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후술될 제2 단말(140)의 제어모듈(140a)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노상주차장으로 진입(입차)하는 차량의 요금 부여를 시작하거나, 상기 노상주차장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의 요금 산정을 시작할 수 있다.The settlement module 130a may have an arbitrary settlement program preset by the manager/operator, and uses the settlement program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odule 140a of the second terminal 14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start assigning a fee for a vehicle entering (entering) the road parking lot, or to start calculating a fee for a vehicle leaving the road parking lot.

이를 위해 상기 정산모듈(130a)은 상기 노상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각각의 식별 데이터를 부여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식별 데이터를 기초로 정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정산모듈(130a)에 대한 구성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o this end, the settlement module 130a may give each identification data to a vehicle entering the on-street parking lot, and may perform a settlemen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data, such that the settlement module 130a Since the configuration is a commonly known techniqu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2 단말(140)은 노상주차장 내 차량의 번호 인식을 통해 상기 정산모듈(130a)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140a)이 구비되는 인식용 LPR 단말기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terminal 140 is an LPR terminal for recognition provided with a control module 140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ttlement module 130a through number recognition of a vehicle in an on-street parking lot,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t is preferable to install

상기 제어모듈(140a)은 상술한 카메라 유닛(110), 상기 센서유닛(120) 및 상기 제1 단말(13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센서유닛(120)에 의해 차량의 출입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 유닛(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역재생하고, 상기 역재생되는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감지된 출입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정산모듈(130a)이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정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통신부(141), 데이터 베이스부(142), 데이터 정렬부(143), 데이터 변환부(144), 데이터 분석부(145) 및 제어신호 출력부(14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40a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amera unit 110 , the sensor unit 120 and the first terminal 130 , and when an entrance of a vehicle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20 , ,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0 is reversely reproduced based on the sensed time point, and the number of the detected entry/exit vehicle is recognized based on the reversely reproduced image, and the settlement module 130a is A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o perform the settlem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the communication unit 141, the database unit 142, the data alignment unit 143, the data conversion unit 144, the data analysis unit 145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signal output unit (146).

상기 통신부(141)는 카메라 유닛(110), 상기 센서유닛(120) 및 제1 단말(130)과 네트워크 통신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1 may be provided to enable network communication with the camera unit 110 , the sensor unit 120 , and the first terminal 130 .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2)는 통신부(141)를 통해 상기 카메라 유닛(110)에 의한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촬영 영상을 이미지 프레임별로 저장하도록 구성된다.The database unit 142 is configured to acquire the captured image by the camera unit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1 and store the obtained captured image for each image frame.

상기 데이터 정렬부(143)는 데이터 베이스부(142)에 저장되는 이미지 프레임이 시간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되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ata sorting unit 143 performs a function of managing the image frame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42 to be sequentially arranged according to a time sequence.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2) 및 상기 데이터 정렬부(143)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높은 영상품질을 위해 네트워크 방식으로 통신하는 NVR(Network Video Recorder)의 구성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통상적으로 게재된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base unit 142 and the data arrangement unit 143 preferably follow the configuration of a Network Video Recorder (NVR) that communicates in a network manner for higher image quality, which is usually Since it is a general known technology published as ,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데이터 변환부(144)는 통신부(141)를 통해 상기 센서유닛(120)의 차량 출입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 정렬부(143)에 정렬된 이미지 프레임 중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간까지의 이미지 프레임을 역순차적으로 정렬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이 역재생되도록 한다.The data conversion unit 144 receives the vehicle access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1, and detects a time point at which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among the image frames arranged in the data alignment unit 143 Image frames up to a preset section are arranged in reverse order as a reference, so that the corresponding captured image is reversely reproduced.

이러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14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역순차적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제외한 이미지 프레임을 자동으로 제거하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2)의 저장용량을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nversion unit 144 automatically removes image frames except for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arranged in reverse order to secu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database unit 142 . can be configured.

상기 데이터 분석부(145)는 데이터 변환부(144)에 의해 역순차적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미리 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관심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번호를 인식한다.The data analysis unit 145 analyzes a plurality of image frames arranged in reverse order by the data conversion unit 144 through a pre-stored image processing program to detect a region of interest indicating a vehicle number, and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through analysis.

예컨대,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은 픽셀을 분석하여, 백터로 정의된 화소들의 물체에 대한 색상, 음영, 위치, 크기 등을 인식하거나, 물체의 경계선 및 윤곽선 등의 에지, 윤곽에 근사하는 선분, 곡선 등을 구하여 인식할 수도 있고,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모서리점, 불변인 점, 또는 회전변환이나 크기 변화 등에 대하여 불변인 특징점을 이용한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미지에 포함된 물체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program analyzes pixels to recognize the color, shade, location, size, etc. of the object of pixels defined as a vector, or edges such as boundary lines and outlines of objects, line segments that approximate the outline, curves, etc.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by obtaining a can also be performed.

이러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서,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와 관련된 번호판과 같은 관심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숫자 형상까지 인식할 수 있다.This image processing program is a commonly known technology,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common knowledge in the relevant field. , and through analysis of the region of interes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even the shape of a number indicating the vehicle number.

상기 제어신호 출력부(146)는 데이터 분석부(145)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정산을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141)를 통해 상기 제1 단말(130)의 정산모듈(130a)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signal output unit 146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settlement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number recogni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145 to the settlement module 130a of the first terminal 1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1 . configured to output.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2 단말(130, 140)은 도 5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1대의 제1 단말(130) 및 3대의 제2 단말(140-1, 140-2, 140-3)이 주차공간(S) 2구역당 1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정산모듈(130a)이 추가로 필요할 경우, 상기 제2 단말(140-1, 140-2, 140-3) 중 1대(140-3)를 상기 제1 단말(130)로 대체하여 상호 동일 개수로 교차 배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30 and 1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FIG. 5 , one first terminal 130 and three second terminals 140-1, 140-2, 140-3) may be arranged in one parking space (S) per 2 zones, and when the settlement module 130a is additionally required, among the second terminals 140-1, 140-2, 140-3 One unit 140-3 may be replaced with the first terminal 130 to be installed so as to be cross-arranged in the same number.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제1,2 단말(130', 140')은 제어모듈(140a') 1대로 4대 이상의 카메라를 연결하여 번호인식을 진행하는 구조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2 단말(13, 140)은 제어모듈(140a) 1대로 4대의 카메라 까지만 연결하여 번호인식을 진행하는 구조로서, 상기 주차공간(S)이 적어 대부분 소규모인 노상주차장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와 같이, 상기 카메라 유닛(110)의 채널 수가 적은 구성이 보다 합리적이고, 상기 제어모듈(140a)의 제어측면에서도 보다 효율적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conventional first and second terminals 130' and 140' have a structure for number recognition by connecting four or more cameras with one control module 140a',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3 and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tructure in which only four cameras are connected with one control module 140a to perform number recognition. Like the structure of ,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number of channels of the camera unit 110 is small is more reasonable, and the control module 140a is more efficient in terms of control.

상기 관제서버(150)는 관리/운용자가 상기 노상주차장의 관리/운용하기 위한 서버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국가 행정자치부 서버를 포함하여, 상기 정산모듈이 주차요금 할인대상 차량에 대해 요금 할인을 적용한 정산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모듈(140a)의 통신부(141)는 상기 관제서버(150)와 네트워크 구축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50 is a server for the management/operator to manage/operate the on-street parking lot,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server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the settlement module provides a rate discount for a vehicle subject to a parking rate discount. The applied settlement may be performed, and in order to make this possible, the communication unit 141 of the control module 140a may be designed to be able to establish a network with the control server 150 .

상기 제3 단말(160)은 제어모듈(140a)의 통신부(141)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노상주차장의 상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운용환경을 제공하는 단말장치로서, PC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third terminal 160 is a terminal device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41 of the control module 140a and provides an operating environment capable of monitoring the situation of the street parking lot, and is preferably a PC device. not limited

또한, 상기 제3 단말(160)은 상술한 제1 음성 입/출력모듈(130b)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모듈(140a)의 통신부(141)와 연결되는 제2 음성 입/출력모듈(160a)이 구비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음성통신 S/W가 탑재되어 상기 제1 단말(130)과의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terminal 160 has a second voice input/output module 160a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41 of the control module 14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voice input/output module 130b described above. It may be provided, and more preferably, a voice communication S/W is mounted so that a voice call with the first terminal 130 is possible.

상기 제1,2 음성 입/출력모듈(130b, 160a) 중 입력모듈은 마이크 기기가 적용될 수 있고, 출력모듈은 스피커 기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음성신호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공지의 음성 입/출력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Among the first and second voice input/output modules 130b and 160a, a microphone device may be applied to the input module, and a speaker device may be applied to the output module, which can input and output voice signals. Various well-known voice input/output devices may be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상기 보조 카메라 유닛(170)은 제어모듈(140a)의 상기 통신부(141)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노상주차장의 주변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면서 보안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uxiliary camera unit 17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41 of the control module 140a,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security environment while photographing a surrounding image of the street parking lot in real time.

이러한 상기 보조 카메라 유닛(170)은 적어도 하나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조 카메라 유닛(170)에 의해 촬영되는 주변영상은 상기 통신부(141)를 통해 상기 제3 단말(16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uxiliary camera unit 170 is composed of at least one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and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by the auxiliary camera unit 170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1 to the third terminal. may be displayed at 160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100)은 노상주차장에 대한 차량 출입을 감지하는 센서유닛(120)과, 출입이 감지된 차량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110)과, 촬영된 차량 영상을 차량 출입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간까지 역재생하면서 분석하는 제어모듈(140a)의 구성을 통해 보다 신뢰도 높은 차량번호 인식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100 with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20 for detecting vehicle entry to and exit from the road parking lot, and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for a vehicle in which entry and exit is detected ( 11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odule 140a that analyzes the captured vehicle image while reversely reproducing up to a preset section based on the time when vehicle entry and exit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ore reliable vehicle number recogni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모듈(140a) 내에 저장되는 차량 영상 데이터가 역재생된 영상 구간을 제외하고, 자동적으로 제거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제어모듈(140a)의 저장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저장공간의 활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ontrol module 140a through a configuration such that the vehicle image data stored in the control module 140a is automatically removed except for the reversely reproduced image s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more efficient use of storage space becomes possible.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단말(140)의 제어모듈(140a)이 국가 행정자치부 서버와 연동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제1 단말(130)의 정산모듈(130a)이 주차요금 할인대상 차량에 대해 요금 할인을 적용한 정산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회복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is configured so that the control module 140a of the second terminal 140 is interlocked with the server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the settlement module 130a of the first terminal 130 is a vehicle subject to a parking rate discount. Social welfare effect can be expected by having to perform the settlement by applying the rate discount to the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단말(130) 및 제3 단말(160)에 각각 음성 입/출력모듈(130b, 160a)이 구비되도록 하고, 제3 단말(160)에 음성통신 S/W가 탑재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원가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경제적인 음성통화기능으로 관리/운용자와 주차이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130 and the third terminal 160 are provided with the voice input/output modules 130b and 160a, respectively, and the voice communication S/W is provided to the third terminal 160 . The cost reduction effect can be expected through the configuration to be mounted, an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of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management/operator and the parking user with a more economical voice call fun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way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are not explicitly cited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100 :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110 : 카메라 유닛
120 : 센서유닛 130 : 제1 단말
130a : 정산모듈 130b : 제1 음성 입/출력모듈
140 : 제2 단말 140a : 제어모듈
141 : 통신부 142 : 데이터 베이스부
143 : 데이터 정렬부 144 : 데이터 변환부
145 : 데이터 분석부 146 : 제어신호 출력부
150 : 관제서버 160 : 제3 단말
160a : 제2 음성 입/출력모듈 170 : 보조 카메라 유닛
S : 주차공간
100: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110: camera unit
120: sensor unit 130: first terminal
130a: settlement module 130b: first voice input/output module
140: second terminal 140a: control module
141: communication unit 142: database unit
143: data alignment unit 144: data conversion unit
145: data analysis unit 146: control signal output unit
150: control server 160: third terminal
160a: second audio input/output module 170: auxiliary camera unit
S : Parking space

Claims (12)

복수개의 주차공간이 구비된 노상주차장에 설치되어, 상기 노상주차장 내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노상주차장에 대한 차량의 출입을 감지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노상주차장 내 차량의 주차요금 정산을 위한 정산모듈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 및
상기 노상주차장 내 차량의 번호 인식을 통해 상기 정산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1 단말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차량의 출입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역재생하고, 상기 역재생되는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감지된 출입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정산모듈이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정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1 단말과 네트워크 통신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한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촬영 영상을 이미지 프레임별로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이미지 프레임이 시간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되도록 관리하는 데이터 정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 유닛의 차량 출입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 정렬부에 정렬된 이미지 프레임 중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간까지의 이미지 프레임을 역순차적으로 정렬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이 역재생되도록 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역순차적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미리 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관심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정산을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의 정산모듈로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a camera unit installed in an on-street parking lo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photographing an image of a vehicle entering the on-street parking lot in real time, and detecting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to the street parking lot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t least one first terminal provided with a settlement module for settlement of a parking fee of a vehicle in the on-street parking lot; and
and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provided with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ttlement module through recognition of the number of the vehicle in the street parking lot,
The control module is
I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and the first terminal, and when an entrance of a vehicle is detected by the camera unit,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is reversely reproduced based on the detected time point, and the reverse reproduction is per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recognizing the number of the detected entry/exit vehicle based on the image to be controlled, the settlement module performs a settlem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for network communication with the camera unit and the first terminal;
a database unit for acquiring the captured image by the camera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storing the captured image for each image frame;
a data alignment unit for managing the image frame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o be sequentially arranged according to a time sequence;
Receives the vehicle access detection signal of the camera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rranges image frames up to a preset section based on the time point at which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among the image frames arranged in the data alignment unit in reverse order, a data conversion unit that reversely reproduces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hereto;
Data for detecting a region of interest representing a vehicle number by analyzing a plurality of image frames arranged in reverse sequential order by the data conversion unit through a pre-store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through analysis of the region of interest analysis department; and
Street parking vehicle number with improved reli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settlement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number recogni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to the settlement module of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recognition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역순차적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제외한 이미지 프레임을 자동으로 제거하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의 저장용량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conversion unit,
An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secures the storage capacity of the database unit while automatically removing image frames except for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arranged in reverse or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 정렬부는,
NVR(Network Video Recor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base unit and the data alignment unit,
An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NVR (Network Video Recor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의 통신부는,
상기 노상주차장의 관리를 위한 관제서버와 네트워크 구축가능하게 설계되고,
상기 관제서버는,
국가 행정자치부 서버를 포함하여,
상기 정산모듈이 주차요금 할인대상 차량에 대해 요금 할인을 적용한 정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module,
It is designed to be able to build a control server and network for the management of the street parking lot,
The control server is
Including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server,
An on-street parking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lement module performs the settlement by applying the discount to the parking fee discount target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의 통신부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노상주차장의 상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운용환경을 제공하는 제3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n-street parking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terminal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module and provides an operating environment capable of monitoring the situation of the on-street parking lo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어모듈의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1 음성 입/출력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3 단말은,
상기 제1 음성 입/출력모듈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모듈의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2 음성 입/출력모듈이 구비되며, 음성통신 S/W가 탑재되어 상기 제1 단말과의 음성통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terminal,
A first voice input/output modu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module is further provided,
The third terminal,
A second voice input/output modu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module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voice input/output module, and voice communication S/W is mounted to enable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An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4대의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era unit is
An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four IP (Internet Protocol) camera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4대의 IP 카메라는, 상기 제1,2 단말에 각각 2대씩 분배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주차공간 2구역당 1대로 배치되며, 상기 정산모듈이 추가로 필요할 경우, 상호 동일 개수로 교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our IP cameras are distributed and mounted two by two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arranged in one per 2 areas of the parking space, and when the settlement module is additionally required, the same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cross-arranged. recogni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의 통신부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노상주차장의 주변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면서 보안환경을 제공하는 보조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camera unit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module, and provides a secure environment while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street parking lot in real tim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카메라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uxiliary camera unit,
An on-street park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t least one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삭제delete
KR1020210125727A 2021-09-23 2021-09-23 Street parking lot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reliability improved KR1023862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727A KR102386277B1 (en) 2021-09-23 2021-09-23 Street parking lot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reliability improv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727A KR102386277B1 (en) 2021-09-23 2021-09-23 Street parking lot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reliability improv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277B1 true KR102386277B1 (en) 2022-04-18

Family

ID=8139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727A KR102386277B1 (en) 2021-09-23 2021-09-23 Street parking lot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reliability improv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2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6914A (en) * 2022-05-11 2022-08-19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Parking fee calcul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475A (en) * 2002-03-27 2002-05-03 조영한 System for calculating parking fee and Storage Media There of
KR100688259B1 (en) 2004-12-30 2007-03-02 삼원에프에이 (주) Method for managing street parking l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475A (en) * 2002-03-27 2002-05-03 조영한 System for calculating parking fee and Storage Media There of
KR100688259B1 (en) 2004-12-30 2007-03-02 삼원에프에이 (주) Method for managing street parking lo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6914A (en) * 2022-05-11 2022-08-19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Parking fee calcul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4926914B (en) * 2022-05-11 2024-05-17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Parking fee calcul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2902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KR101986609B1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entrance and exit by using a car number recognition system
KR101149651B1 (en) Parking lot real time detection system using image analysis of omnidirectional camera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KR101471846B1 (en) The FX controlling box and FX protecting system and its controlling way of FX system
KR101496390B1 (en) System for Vehicle Number Detection
KR102159786B1 (en) System for Serarching Using Intelligent Analyzing Video
US20130215276A1 (en) Enhanced-security door loc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621822B1 (en) Device for security and recognizing number of license plate based on hybrid image transmission,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d providing number of license plate using the same
JP3681152B2 (en) Television camera control method and television camera
KR101629803B1 (en) Park management system
US20150125130A1 (en) Method for network video recorder to accelerate history playback and event locking
US2005012320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cting and recognizing mobile object
WO2016024680A1 (en) Vehicle black box capable of real-time recognition of license plate of moving vehicle
KR102386277B1 (en) Street parking lot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reliability improved
KR101444843B1 (en) System for monitoring image and thereof method
JP2022189835A (en) Imaging apparatus
KR100995949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camera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517683B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arking
JP2006202000A (en)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apparatus for recognizing particular character pattern, and vehicle monitoring system
KR101060528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security system
KR102227288B1 (en) parking imaging guidance management, emergency bell and security integrated system
KR20190136515A (en) Vehicle recognition device
JP2008182459A (en) Passage monitoring system
KR102490671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ving type shoot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62489A (en) Device for tracking objec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