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42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en driv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en dri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426B1
KR102384426B1 KR1020170163624A KR20170163624A KR102384426B1 KR 102384426 B1 KR102384426 B1 KR 102384426B1 KR 1020170163624 A KR1020170163624 A KR 1020170163624A KR 20170163624 A KR20170163624 A KR 20170163624A KR 102384426 B1 KR102384426 B1 KR 102384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control unit
area
precision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6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4223A (en
Inventor
조용락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426B1/en
Publication of KR2019006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2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도로 구조물과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밀지도가 저장된 고정밀지도부;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설정영역을 어둡게 변경 가능한 필터부; 및 촬영부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을 입력받으면, 차량 전방 영상과 고정밀지도부의 고정밀지도에 기초하여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하고,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판단한 중앙 가드레일의 특정 영역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하여 필터부를 통해 설정한 빛 상쇄 영역을 어둡게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during driving.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during driv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front of a vehicle; a high-precision map unit storing a high-precision map including road structure and lane information; a filter unit capable of darkening a setting area among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when receiving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from the photographing unit, the center guardrail is determined based o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high-precision map of the high-precision guidance unit, and a specific area of the determined center guardrail among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is set as the light cancellation area. and a control unit that darkens the light cancellation area set through the filter unit.

Description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EN DRIVING}Anti-glare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본 발명은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 운전 시 반대편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to prevent glare caused by a headlight of an opposit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윈드실드(windshield)가 장착된다. 윈드실드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차량의 전방에서 조사되는 강한 빔이 그대로 통과되며, 운전자에게 그대로 조사된다. BACKGROUND ART In general, a windshield is installed in a vehicle to secure a front view of a driver. The windshield is formed to be transparent, so that the strong beam irradiated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passes as it is, and is irradiated to the driver as it is.

특히, 야간 주행 시 전방의 맞은편 차선에서 다가오는 상대편 차량이 헤드라이트를 작동시킨 경우 운전자는 눈부심 현상을 겪게되며 심한 경우 잠시 전방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driving at night, when an oncoming vehicle in the opposite lane ahead activates the headlights, the driver experiences a glare phenomenon, and in severe cases, the front becomes invisible for a while.

이러한 상대편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은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어렵게 하고 순간적으로 앞을 볼 수 없게 되는 경우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눈의 피로도를 높일 뿐 아니라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The headlight 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makes it difficult for the driver to secure a field of vision and may cause a major accident if the driver becomes unable to see for a moment.

이에 전방 차량의 헤드라이트의 불빛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카메라로 전방 차량의 헤드라이트의 빛을 인식하여 헤드라이트가 켜지면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구동하였다. 따라서 헤드라이트가 켜진 후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처음 헤드라이트가 켜진 순간을 커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ly,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glare caused by the light of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in front. However, in the related art, a device for preventing glare when the headlight is turned on by recognizing the light of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in front is driven by a camera. Therefore,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glare after the headlights are turned 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ment when the headlights are turned on for the first time cannot be covered.

즉, 전방 차량에서 헤드라이트를 켜는 순간에 대해서는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그 순간에 헤드라이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That is, since the glare phenomenon cannot be prevented for the moment when the headlight is turned on from the vehicle in fro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dlight may be affected at that moment.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5197호(공고일 : 2016.09.07.공고)인 "운전자 눈부심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있다.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river's gla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which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55197 (announcement date: 2016.09.07. Announcem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야간 운전 시 반대편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during driving that can fundamentally prevent glare caused by the headlight of an opposit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is intended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도로 구조물과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밀지도가 저장된 고정밀지도부;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설정영역을 어둡게 변경 가능한 필터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을 입력받으면, 상기 차량 전방 영상과 상기 고정밀지도부의 고정밀지도에 기초하여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판단한 중앙 가드레일의 특정 영역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필터부를 통해 상기 설정한 빛 상쇄 영역을 어둡게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comprising: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front of a vehicle; a high-precision map unit storing a high-precision map including road structure and lane information; a filter unit capable of darkening a setting area of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when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 central guardrail is determined based o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a high-precision map of the high-precision map unit, and a specific area of the determined central guardrail among all windshields of the vehicle is illuminate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arken the set light canceling region through the filter unit by setting it as an offsetting region.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중앙 가드레일의 상부 측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area of the center guard rail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mong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전방 영상에서 정적 개체를 인식하고, 상기 고정밀지도부의 고정밀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개체를 중앙 가드레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 static object from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in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nd determines the recognized object as a central guardrail based on the high-precision map of the high-precision map unit.

본 발명은, 상기 차량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감지부로부터 차량 외부의 조도를 입력받아 주간 및 야간을 판단하여 야간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illuminance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illuminance outside the vehicle,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lluminance external to the vehicle from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and determines daytime and nighttime when determining that it is nighttime, the filter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wealth.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차량의 윈드실드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통해 설정영역에 빛 상쇄용 어두운 빛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jecting the dark light for light offset to the set area through augmented reality (AR)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밀지도부는, 도로 구조물과 차선의 크기, 모양, 색상, 패턴, 위치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측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precision map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position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ize, shape, color, pattern, location, and material of road structures and lan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방법은, 제어부가 촬영부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전방 영상과 고정밀지도부에서 송출된 고정밀지도의 도로 구조물과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판단한 중앙 가드레일의 특정 영역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필터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설정한 빛 상쇄 영역을 어둡게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comprising: receiving, by a controller,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from a photographing unit;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the central guardrail based on the vehicle front image and the road structure and lane information of the high-precision map transmitted from the high-definition map; setting, by the controller, the determined specific area of the central guard rail among all windshields of the vehicle as a light canceling area; and changing, by the control unit, the set light canceling area of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to be dark through the filter unit.

본 발명의 상기 특정 영역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중앙 가드레일의 상부 측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setting the specific area as the light canceling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area is an area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guard rail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mong all windshields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상기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전방 영상에서 정적 개체를 인식하고, 상기 고정밀지도부의 고정밀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개체를 중앙 가드레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entral guard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 static object i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in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nd sets the recognized object based on the high-precision map of the high-precision map unit to the central guardrail. It is characterized by judging by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조도감지부로부터 차량 외부의 조도를 입력받아 주간 및 야간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야간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he controller receiving the illuminance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from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and determining daytime and nighttime;

본 발명의 상기 설정한 빛 상쇄 영역을 어둡게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차량의 윈드실드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통해 설정영역에 빛 상쇄용 어두운 빛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darkening the set light canceling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projects dark light for light canceling to the set area through Augmented Reality (AR)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은, 야간 운전 시 반대편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원천적으로 상쇄시킴으로써, 반대편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감지한 후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것에 비해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눈부심 현상에 의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glare after detecting the head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by fundamentally offsetting the glare phenomenon caused by the head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lare phenomenon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an compared,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user satisfaction,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due to the glare phenomen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anti-glare device while driving, as follow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는, 촬영부(10), 고정밀지도부(20), 조도감지부(30), 제어부(40), 필터부(50) 및 운전자감지부(60)를 포함한다.1, the anti-glare device during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0, a high-precision guidance unit 20, an illuminance sensing unit 30, a control unit 40, a filter unit ( 50) and a driver detection unit 60 .

촬영부(10)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것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0)는 현재 자차량의 위치가 정확히 어디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측위용 카메라일 수 있으며, 차량의 전방뿐만 아니라 차량 주위 전 방향에 대해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일 수도 있다. 즉, 촬영부(10)는 설치 위치, 개수 및 그 구현 방법 등에 대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촬영부(10)는 촬영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제어부(40)에 제공하는 영상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0 may photograph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may photograph an image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40 . Also, the photographing unit 10 may be a positioning camera capable of determining exactly wher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wn vehicle is, and may be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not only in front of the vehicle but also in all directions around the vehicle. That is, the photographing unit 10 is not limited with respect to an installation location, number,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0 may include an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that processes the photographed image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40 .

고정밀지도부(20)는 도로 구조물과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밀지도를 저장한 것으로, 제어부(40)에 고정밀지도에 대한 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The high-precision map unit 20 stores a high-definition map including road structure and lane information,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high-precision map to the control unit 40 .

또한, 고정밀지도부(20)는 도로 구조물과 차선의 크기(넓이, 높이), 모양, 색상, 패턴, 위치(보간점 좌표 등) 및 재질(예컨대, 철, 플라스틱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측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고정밀지도부(20)는 촬영부(10)에서 측위 정보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밀지도부(20)는 별도의 고정밀지도 송출장치일 수 있고,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Navigation)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igh-precision map unit 2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size (width, height), shape, color, pattern, location (interpolation point coordinates, etc.) and material (eg iron, plastic, etc.) of road structures and lanes. It may include positioning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high-precision map unit 20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positioning information by the photographing unit 10 . In this case, the high-precision map unit 20 may be a separate high-definition map transmitting device, or may be a navigation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여기서, 고정밀지도는 일반 지도와 달리 정밀도가 높고, 예컨대 도로 마크, 차선 형상 정보, 표지판 등의 측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밀지도는 사전에 고가의 인지 센서(3D라이다, 카메라, DGPS 등)가 장착된 특수 차량을 이용해 제작된다. Here, the high-precision map has high precision, unlike a general map, and may include, for example, side information such as road marks, lane shape information, and signs. In addition, high-precision maps are produced using special vehicles equipped with expensive cognitive sensors (3D lidar, camera, DGPS, etc.) in advance.

이러한 고정밀지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xyz 위치 정보를 갖는 점군 데이터(Point Crowd)가 필요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MMS(Mobile Mapping System)라고 불리는 매핑 시스템으로 도로와 도로 주변 시설물을 스캔하여 얻으며, 후처리 된 LAS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로 ADAS 기능에서 이용되는 도로의 곡률이나 경사도와 자율주행에서 이용하는 고정밀지도를 구성하는 레인모델과 측위모델에 사용할 객체들을 추출하는 것이다.In order to produce such a high-precision map, point cloud data having xyz location information is required. This is a mapping system generally called MMS (Mobile Mapping System), which is obtained by scanning the road and surrounding facilities. Based on the post-processed LAS data, the curvature or slope of the road mainly used in ADAS functions and high-precision maps used in autonomous driving It is to extract the objects to be used for the lane model constituting the , and the positioning model.

다시 말해, 고정밀지도에 대한 정보는 센서가 갖는 물리적 한계를 보완하고, 센서가 연산해야 하는 영역을 최소한으로 축소함으로써 성능 향상에도 결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nformation on the high-precision map can make a decisive contribution to performance improvement by supplementing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sensor and reducing the area that the sensor needs to calculate to a minimum.

조도감지부(30)는 차량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조도를 감지하여 제어부(40)에 전송하고, 야간 및 주간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조도감지부(30)는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 외부의 밝기를 감지하는 것으로, 제어부(40)는 상기 조도감지부(30)에서 감지된 밝기가 기준치 이상이면 주간으로 판단하고, 기준치 미만이면 야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30 detects the illuminance outside the vehicle, and detects the illuminanc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40 so as to discriminate between night and day. That is,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to detect the brightness outside the vehicle. If it is less than, it can be judged as night.

필터부(50)는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설정영역을 어둡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차량의 윈드실드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통해 설정영역에 빛 상쇄용 어두운 빛을 투사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50 is capable of darkening a setting area among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may project dark light for light offset to the setting area through Augmented Reality (AR)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즉,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윈드실드(운전자의 가시영역)에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 영상을 출력하여 차량 내 각종 정보에 대해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상기 차량의 윈드실드의 전체 영역에 출력되거나 일부 영역에 출력될 수 있게 한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driver by outputting a Head Up Display (HUD) image to the windshield (visible area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within the vehicle, thereby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driver. It enables the display image to be output to the entire area of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or to be output to a partial area.

따라서 필터부(50)는 반대편 차량의 헤드램프 불빛을 상쇄시킬 수 있는 필터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필터 영상을 윈드실드에 출력할 수 있다. 즉, 필터부(50)는 제어부(40)로부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설정된 빛 상쇄 영역을 입력받아 차단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차단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차단 영역보다 밝은 영상을 표출하도록 필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lter unit 50 may generate a filter image capable of canceling the headlamp 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and output the generated filter image to the windshield. That is, the filter unit 50 may form a blocking area by receiving a light canceling area set among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from the control unit 40, and filter to display an image brighter than the blocking area in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blocking area. You can create an image.

운전자감지부(60)는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특히 운전자의 눈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40)에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감지부(60)는 차량 내부의 카메라로 운전자를 촬영하여 운전자의 눈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나, 그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운전자의 눈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3차원 위치의 판단이 필요하고 목 회전에 따른 위치 이동을 계산하는 등의 방법이 있으나, 그 식별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는 한정하지 않는다.The driver detection unit 60 detects the driver's position, and in particular, detects the driver's eye posi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40 . The driver detection unit 60 ma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driver's eyes by photographing the driver with a camera inside the vehicle, but the metho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driver's eye position,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and there is a method such as calculating a position movement according to neck rotation, but the identification metho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운전자감지부(60)에서 감지한 운전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부(40)는 필터부(50)의 영상 출력 위치를 보정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눈 위치에 대응하여 중앙 가드레일의 상부 측(또는 좌측)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Based on the driver's eye position detected by the driver detecting unit 60, the control unit 40 may correct the image output position of the filter unit 50, and in response to the driver's eye position, the upper side ( or the left) region may be determined.

제어부(40)는 촬영부(10)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을 입력받고, 고정밀지도부(20)로부터 송출된 고정밀지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조도감지부(30)로부터 조도 감지 결과를 입력받고, 운전자감지부(60)로부터 운전자의 눈 위치 감지 결과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상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부(50)를 제어함으로써 반대편 차량의 헤드램프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40 may receiv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 , and may receive a high-definition map transmitted from the high-precision map unit 2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 may receive an illuminance detection result from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30 and may receive a driver's eye position detection result from the driver sensing unit 6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filter unit 5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o prevent glare from the headlamp of the opposite vehicle.

즉, 제어부(40)는 촬영부(10)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을 입력받으면, 상기 차량 전방 영상과 고정밀지도부(20)의 고정밀지도에 기초하여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는 조도감지부(30)로부터 조도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야간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필터부(50)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receiving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 , the controller 40 may determine the central guardrail based on the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high-precision map of the high-precision map unit 2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40 may receive the illuminance detection result from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30 and control the filter unit 50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t night.

또한 제어부(40)는 촬영부(10)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전방 영상에서 정적 개체를 인식하고, 고정밀지도부(20)의 고정밀지도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개체를 중앙 가드레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밀지도에는 도로 구조물과 차선의 크기, 모양, 색상, 패턴, 위치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측위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제어부(40)가 이에 기초하여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recognizes a static object from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in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 and determines the recognized object as the central guardrail based 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igh-precision map of the high-precision map unit 20. can Here, the high-precision map includes position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color, pattern, location, and material of road structures and lanes, so that the control unit 40 can determine the central guardrail based on this. will be.

다시 말해, 제어부(40)는 고정밀지도부(20)로부터 중앙 가드레일의 정보를 얻고, 차량 내 전방 카메라 및 개체 인식 솔루션을 사용하여 카메라 영상 내 정적 개체를 인식하고, 상기 고정밀지도부(20)로부터 얻은 중앙 가드레일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된 개체를 중앙 가드레일로 판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40 obtains information on the central guardrail from the high-precision guidance unit 20 , recognizes a static object in the camera image using the in-vehicle front camera and an object recognition solution, and obtains information from the high-precision guidance unit 20 . The recognized entity may be determined as the central guardrail by using the central guardrail information.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a)는 정면 주행 시, 필터부(50)의 필터 적용 전 차량 내부(운전자 시야 또는 윈드실드)의 예시도이고, 도 3의 (b)는 정면 주행 시, 필터부(50)의 필터 적용 후 차량 내부의 예시도이다. 즉, 필터 적용 전에는 반대편 차량의 불빛을 그대로 받게 되고, 필터 적용 후에는 어둡게 처리하여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nd, referring to FIG. 3, (a) of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driver's view or windshield) before the filter of the filter unit 50 is applied during frontal driving, and (b) of FIG. 3 is front driving At the time, it is an exemplary view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after the filter of the filter unit 50 is applied. That is, before the filter is applied, the 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is received as it is, and after the filter is applied, it is darkened to prevent glare.

또한, 도 3의 (c)는 우측 커브길 주행 시, 필터부(50)의 필터 적용 전 차량 내부의 예시도이고, 도 3의 (d)는 우측 커브길 주행 시, 필터부(50)의 필터 적용 후 차량 내부의 예시도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 커브길 주행 시에는 주행방향 및 운전자의 시야 기준 중앙 가드레일 상부 측을 어둡게 처리하여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c) of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before the filter is applied by the filter unit 50 when driving on a right-hand curve, and FIG. 3(d) is a view of the filter unit 50 when driving on a right-hand curve. It is an exemplary view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after applying the filter. 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driving on a right curve road,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guard rail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and the driver's field of vision is darkened to prevent glare.

정리하면, 제어부(40)는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판단한 중앙 가드레일의 상부 측(또는 좌측 영역)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하여 필터부(50)를 통해 상기 설정한 빛 상쇄 영역을 어둡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하면,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중앙 가드레일의 좌측 부분 또는 차량의 방향에 따라 그 상부 측 부분, 즉 반대편 차량이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반대편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의한 불빛이 감지되기 전에 미리 반대편 차량의 불빛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summary, the control unit 40 sets the upper side (or the left area) of the determined central guard rail among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as the light canceling area, and darkens the set light canceling area through the filter unit 50 . can be changed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e center guardrail, the left side of the center guardrail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r the upper side portion thereof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opposite vehicle is expected to be located, is used as the light cancellation area. can be set to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lare phenomenon can be prevented more accurately and quickly by fundamentally blocking the 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before the light by the head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is detect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 가드레일이 판단되는 경우, 중앙 가드레일 상부 측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하고 있으나, 중앙 가드레일뿐만 아니라, 중앙선이 판단되는 모든 경우에 중앙선 상부 측(또는 좌측) 영역에 대하여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설정사항에 대해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사용자(운전자)가 세부사항에 대해 설정할 수도 있고, 차량의 설계단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entral guardrail is determined,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guardrail is set as the light canceling area. It can also be set as a light-cancellation region. That is, the setting items can be set in advance. In this case, the user (driver) including the user input unit (not shown) may set the details, or may be set in advance at the design stage of the vehic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운전 시 눈부심 방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방법은, 먼저 제어부(40)가 촬영부(10)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을 입력받는다(S10).As shown in FIG. 2 , in the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 ( S10 ).

여기서, 촬영부(10)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것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0)는 현재 자차량의 위치가 정확히 어디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측위용 카메라일 수 있다. Here, the photographing unit 10 may photograph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may photograph an image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40 . Also, the photographing unit 10 may be a positioning camera capable of determining exactly wher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wn vehicle is.

그리고 제어부(40)는 S10단계에서 입력받은 차량 전방 영상과 고정밀지도부(20)에서 송출된 고정밀지도의 도로 구조물과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한다(S20).Then,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e center guardrail based on the vehicle front image input in step S10 and the road structure and lane information of the high-precision map transmitted from the high-precision map unit 20 (S20).

여기서, 고정밀지도부(20)는 도로 구조물과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밀지도를 저장한 것으로, 제어부(40)에 고정밀지도에 대한 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밀지도부(20)는 도로 구조물과 차선의 크기(넓이, 높이), 모양, 색상, 패턴, 위치(보간점 좌표 등) 및 재질(예컨대, 철, 플라스틱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측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촬영부(10)에서 측위 정보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high-definition map unit 20 stores a high-definition map including road structure and lane information,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high-definition map to the control unit 40 . In addition, the high-precision map unit 2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size (width, height), shape, color, pattern, location (interpolation point coordinates, etc.) and material (eg iron, plastic, etc.) of road structures and lanes. It may include positioning information, that is, it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positioning information in the photographing unit 10 .

이때, 제어부(40)는 촬영부(10)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전방 영상에서 정적 개체를 인식하고, 고정밀지도부(20)의 고정밀지도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개체를 중앙 가드레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0)는 고정밀지도부(20)로부터 중앙 가드레일의 정보를 얻고, 차량 내 전방 카메라 및 개체 인식 솔루션을 사용하여 카메라 영상 내 정적 개체를 인식하고, 상기 고정밀지도부(20)로부터 얻은 중앙 가드레일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된 개체를 중앙 가드레일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 recognizes a static object from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 , and determines the recognized object as the central guardrail based 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igh-precision map of the high-precision map unit 20 . can do.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40 obtains information on the central guardrail from the high-precision guidance unit 20 , recognizes a static object in the camera image using the in-vehicle front camera and an object recognition solution, and obtains information from the high-precision guidance unit 20 . The recognized entity may be determined as the central guardrail by using the central guardrail information.

S20단계에서 중앙 가드레일이 판단된 경우, 제어부(40)는 빛 상쇄 영역을 설정한다(S30).When the central guard rail is determined in step S20, the control unit 40 sets a light cancellation area (S30).

즉, 제어부(40)는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판단한 중앙 가드레일의 상부 측 영역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하면,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중앙 가드레일의 좌측 부분 또는 차량의 방향에 따라 그 상부 측 부분, 즉 반대편 차량이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40 may set the determined upper side area of the central guard rail among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as the light canceling area.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e center guardrail, the left side of the center guardrail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r the upper side portion thereof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opposite vehicle is expected to be located, is used as the light cancellation area. can be set to

반면, S20단계에서 중앙 가드레일이 판단되지 않는 경우, 종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enter guard rail is not determined in step S20, it may be terminated.

그리고 제어부(40)는 필터부(50)를 제어하여 S30단계에서 설정한 빛 상쇄 영역을 어둡게 변경할 수 있다(S40).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may control the filter unit 50 to darken the light cancellation area set in step S30 ( S40 ).

여기서, 필터부(50)는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설정영역을 어둡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차량의 윈드실드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통해 설정영역에 빛 상쇄용 어두운 빛을 투사할 수 있다. Here, the filter unit 50 is capable of darkening a setting area among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may project dark light for light offset to the setting area through Augmented Reality (AR)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

또한 필터부(50)는 반대편 차량의 헤드램프 불빛을 상쇄시킬 수 있는 필터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필터 영상을 윈드실드에 출력할 수 있다. 즉, 필터부(50)는 제어부(40)로부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설정된 빛 상쇄 영역을 입력받아 차단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차단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차단 영역보다 밝은 영상을 표출하도록 필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unit 50 may generate a filter image capable of canceling the headlamp 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and output the generated filter image to the windshield. That is, the filter unit 50 may form a blocking area by receiving a light canceling area set among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from the control unit 40, and filter to display an image brighter than the blocking area in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blocking area. You can create an image.

즉, 제어부(40)는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판단한 중앙 가드레일의 상부 측 영역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하여 필터부(50)를 통해 상기 설정한 빛 상쇄 영역을 어둡게 변경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40 may set the determined upper region of the central guard rail among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as the light canceling region, and may darken the set light canceling region through the filter unit 50 .

한편, 제어부(40)는 조도감지부(30)로부터 차량 외부의 조도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야간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필터부(50)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 may receive the result of detecting the illuminance outside the vehicle from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30 and control the filter unit 50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ight tim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은, 야간 운전 시 반대편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원천적으로 상쇄시킴으로써, 반대편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감지한 후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것에 비해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눈부심 현상에 의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ndamentally offsets the glare phenomenon caused by the head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thereby detecting the glare of the head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lare phenomenon faster and more accurately than preventing the phenomenon, and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user satisfaction,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due to the glare phenomen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촬영부
20 : 고정밀지도부
30 : 조도감지부
40 : 제어부
50 : 필터부
60 : 운전자감지부
10: filming department
20: high-precision guidance unit
30: illuminance sensing unit
40: control unit
50: filter unit
60: driver detection unit

Claims (11)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도로 구조물과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밀지도가 저장된 고정밀지도부;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설정영역을 어둡게 변경 가능한 필터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을 입력받으면, 상기 차량 전방 영상과 상기 고정밀지도부의 고정밀지도에 기초하여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판단한 중앙 가드레일의 특정 영역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필터부를 통해 상기 설정한 빛 상쇄 영역을 어둡게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중앙 가드레일의 상부 측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vehicle;
a high-precision map unit storing a high-precision map including road structure and lane information;
a filter unit capable of darkening a setting area of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Whe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the central guardrail is determined based o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high-precision map of the high-precision map unit, and the determined specific area of the central guardrail among all windshields of the vehicle is light-offset Containing, including;
The specific area is
The anti-glare device for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area of the central guard rail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mong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감지부로부터 차량 외부의 조도를 입력받아 주간 및 야간을 판단하여 야간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nc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illuminance outside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is
The device for preventing glare when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ighttime by receiving the illuminance external to the vehicle from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and determining the daytime and nighttime, the filter unit is control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차량의 윈드실드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통해 설정영역에 빛 상쇄용 어두운 빛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unit,
An anti-glare device for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ark light for offsetting the light is projected on the set area through augmented reality (AR)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밀지도부는,
도로 구조물과 차선의 크기, 모양, 색상, 패턴, 위치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측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igh-precision guidance unit,
An anti-glare device for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position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ize, shape, color, pattern, location, and material of road structures and lanes.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도로 구조물과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밀지도가 저장된 고정밀지도부;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설정영역을 어둡게 변경 가능한 필터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을 입력받으면, 상기 차량 전방 영상과 상기 고정밀지도부의 고정밀지도에 기초하여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판단한 중앙 가드레일의 특정 영역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필터부를 통해 상기 설정한 빛 상쇄 영역을 어둡게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전방 영상에서 정적 개체를 인식하고, 상기 고정밀지도부의 고정밀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개체를 중앙 가드레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vehicle;
a high-precision map unit storing a high-precision map including road structure and lane information;
a filter unit capable of darkening a setting area of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Whe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the central guardrail is determined based o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high-precision map of the high-precision map unit, and the determined specific area of the central guardrail among all windshields of the vehicle is light-offset Containing, including;
The control unit is
The anti-glare device for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ic object is recognized i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in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recognized object is determined as the central guardrail based on the high-precision map of the high-precision map unit.
삭제delete 제어부가 촬영부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전방 영상과 고정밀지도부에서 송출된 고정밀지도의 도로 구조물과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판단한 중앙 가드레일의 특정 영역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필터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설정한 빛 상쇄 영역을 어둡게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영역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중앙 가드레일의 상부 측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시 눈부심 방지 방법.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from the photographing unit;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the central guardrail based on the vehicle front image and the road structure and lane information of the high-precision map transmitted from the high-definition map unit;
setting, by the control unit, the determined specific area of the central guard rail among all windshields of the vehicle as a light canceling area; and
changing, by the control unit, the set light canceling area of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to be dark through the filter unit;
In the step of setting the specific region as a light cancellation region, the specific region,
The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en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guard rail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mong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조도감지부로부터 차량 외부의 조도를 입력받아 주간 및 야간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야간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시 눈부심 방지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lluminance external to the vehicle from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and determines daytime and nighttime illuminance; further comprising,
The method for preventing glare during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lter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t nigh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한 빛 상쇄 영역을 어둡게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차량의 윈드실드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통해 설정영역에 빛 상쇄용 어두운 빛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시 눈부심 방지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of darkening the set light cancellation area, the filter unit,
A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ark light for light offsetting is projected on the set area through Augmented Reality (AR)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제어부가 촬영부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전방 영상과 고정밀지도부에서 송출된 고정밀지도의 도로 구조물과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판단한 중앙 가드레일의 특정 영역을 빛 상쇄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필터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전체 윈드실드 중 상기 설정한 빛 상쇄 영역을 어둡게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가드레일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전방 영상에서 정적 개체를 인식하고, 상기 고정밀지도부의 고정밀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개체를 중앙 가드레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시 눈부심 방지 방법.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from the photographing unit;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the central guardrail based on the vehicle front image and the road structure and lane information of the high-precision map transmitted from the high-definition map unit;
setting, by the control unit, the determined specific area of the central guard rail among all windshields of the vehicle as a light canceling area; and
changing, by the control unit, the set light canceling area of the entire windshield of the vehicle to be dark through the filter unit;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entral guardrail, the control unit,
The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ile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ic object is recognized i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in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recognized object is determined as a central guardrail based on the high-precision map of the high-precision map unit.
삭제delete
KR1020170163624A 2017-11-30 2017-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en driving KR102384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624A KR102384426B1 (en) 2017-11-30 2017-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en dri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624A KR102384426B1 (en) 2017-11-30 2017-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en driv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223A KR20190064223A (en) 2019-06-10
KR102384426B1 true KR102384426B1 (en) 2022-04-08

Family

ID=6684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624A KR102384426B1 (en) 2017-11-30 2017-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en dri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4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7920A1 (en) * 2019-11-20 2021-05-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hicle assistance system to support glare-free driver gaze
CN111591113B (en) * 2020-06-01 2021-07-13 重庆交通大学 Front windshield privacy glass, control method and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509B1 (en) * 2015-05-20 2016-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or preventing glaring by the head lamp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ing using the same
KR101744718B1 (en) * 2015-11-11 2017-06-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223A (en)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1743B2 (en) Head up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CN107199948B (en) Vehicle display control unit
US10269331B2 (en) Display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10293690B2 (en) Vehicle information projecting system and vehicle information projecting method
JP5817927B2 (en) VEHICLE DISPLAY DEVICE, VEHICLE DISPLAY METHOD, AND VEHICLE DISPLAY PROGRAM
CN108025672B (en) Projection of a predeterminable light pattern
CN107848416B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4533762B2 (en) Variable transmittance window system
KR102639078B1 (en) Vehicle and method of projecting informtion on ground
JP6775188B2 (en) Head-up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10185152B2 (en) Vehicle display device
JP5861072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program
EP3888965B1 (en) Head-up display, vehicle display system, and vehicle display method
US20150254983A1 (en) Display control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11525694B2 (en) Superimposed-image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5866545B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23844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glare when driving
JP2018103697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2010188826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6838626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program
CN1126777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 windshield to make it invisible
JP6874769B2 (en) Vehicle display device
JP2018069774A (en) Vehicle driving support device and vehicle driving support method
KR20230061606A (en) Lane display apparatus and mehtod
WO2018037887A1 (en) Vehicular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