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864B1 - Dental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 Google Patents

Dental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864B1
KR102381864B1 KR1020190071753A KR20190071753A KR102381864B1 KR 102381864 B1 KR102381864 B1 KR 102381864B1 KR 1020190071753 A KR1020190071753 A KR 1020190071753A KR 20190071753 A KR20190071753 A KR 20190071753A KR 102381864 B1 KR102381864 B1 KR 102381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rt
dental
supply device
water supply
electr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7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43983A (en
Inventor
김길섭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1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864B1/en
Publication of KR2020014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9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8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76Sterilising operating fluids or fluid supply elements such as supply lines,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4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consta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65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processing the collected matter, e.g. for separating solids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4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with or without rinsing means therefor, e.g. dental basins, spittoons, cuspid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5Vol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는, 물을 살균하여 전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분해부;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고정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면에 조립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물을 공급하는 제1 배관부; 및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생성된 전해 살균수를 수로(水路)로 공급하는 제2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관부 및 제2 배관부는, 내부의 유체의 흐름이 상호 반대 방향이 되도록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n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for dental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sis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generating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by sterilizing water; a case including a cover portion to which electric wires su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e fixed, and a container portion assembl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to form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first pipe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se to supply the water 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nd a second pipe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se for supplying the generated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to a water channel, wherein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have opposite flow of the internal fluid It may be formed side by side so as to be oriented.

Description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Dental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Dental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치과용 유니트 체어는 치과에서 수진자를 수용하는 장비로서,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 등을 받치는 등받이 및 엉덩이와 다리를 받치는 다리받침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수진자는 유니트 체어에 누운 자세로 진료를 받는다. 또한, 핸드피스와 같은 치과용 시술기구를 거치하는 거치대(진료 테이블), 수진자가 침 또는 구강을 세척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양치용 급수대 및 타구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dental unit chair is a device for accommodating an examinee in dentistry, and generally includes a headrest for supporting the examinee's head, a backrest for supporting the back, and leg rests for supporting buttocks and legs. In general, examinees receive treatment while lying on the unit chair.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radle (treatment table) on which a dental treatment instrument such as a handpiece is mounted, a water supply for brushing and a cuspidor for supplying water so that the examinee can wash acupuncture or oral cavity.

이러한 치과용 시술기구 중 일부 및 양치용 급수대에는 진료수(물)의 공급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치과용 시술기구의 하나인 핸드피스는 진료수와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내부의 터빈을 회전시켜 치아를 삭제하는 버(bur)를 회전시킨다. 또 다른 치과용 시술기구인 스케일러는 진료수와 압축공기에 초음파 진동을 가함으로써 치석 제거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치과용 시술기구 및 양치용 급수대에 진료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는 수로(水路, 물공급관)의 구성이 포함된다.The supply of medical treatment water (water) is essential to some of these dental surgical instruments and water fountains for gargling. For example, the handpiece, which is one of the dental surgical instruments, rotates a turbine inside the patient and the pressure of compressed air to rotate a bur for removing teeth. Another dental treatment device, the scaler, removes tartar by applying ultrasonic vibrations to the patient and compressed air. In this way, in order to supply medical treatment water to the dental treatment device and the water table for gargling, the dental unit chair includes a configuration of a water channel (water supply pipe).

이러한 진료수는 수진자의 구강에 들어가게 되므로, 상기 수로에 인입되는 물은 필수적으로 살균이 이루어져야 한다.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수로의 내벽에는 바이오필름이 부착되어 위생을 헤치게 된다. 이에 따라, 살균 세척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기존의 살균 세척 장치는 약품 처리를 통해 진료수를 살균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살균 처리 장치는 12시간 이상을 화학약품을 넣고 침지를 하고 침지 완료 시에는 물로 헹궈 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입장에서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Since such treatment water enters the examinee's oral cavity,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channel must be sterilized. If sterilization is not made, a biofilm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waterway, thereby compromising hygiene. Accordingly, a sterilization and washing device must be provided, and most of the existing sterilization and washing devices sterilize treatment water through chemical treatment. Such a sterilization treatment device needs to be immersed in chemicals for more than 12 hours and rinsed with water when immersion is complete. This is a very cumbersome operation from a user's or administrator's point of view.

따라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 입장에서 관리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면서도, 수로의 바이오필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환자에게 무해한 살균수를 지속 공급할 수 있는 치과용 살균수 공급 장치가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biofilm generation in the waterway and continuously supply harmless sterilizing water to the patient while minimizing the difficulty of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or administra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편한 착탈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관리 효율을 높인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with improved user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a simple detachab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약품을 첨가하지 않고, 전기적인 제어를 통해 살균력 및 인체에 무해한 수준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치과용 진료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treatment water supply device that can continuously secure sterilization power and a concentration of a level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rough electrical control without adding a drug.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본 발명의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는, 물을 살균하여 전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분해부;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고정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면에 조립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물을 공급하는 제1 배관부; 및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생성된 전해 살균수를 수로(水路)로 공급하는 제2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관부 및 제2 배관부는, 내부의 유체의 흐름이 상호 반대 방향이 되도록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An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for dental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n electrolysis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generating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by sterilizing water; a case including a cover portion to which electric wires su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e fixed, and a container portion assembl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to form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first pipe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se to supply the water 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nd a second pipe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se for supplying the generated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to a water channel, wherein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have opposite flow of the internal fluid It may be formed side by side so as to be oriented.

그리고,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를 고정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가 상기 브라켓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and a bracket for fixing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wherein the case includes the first pipe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are fixed to the bracket part. and detachable from the second pipe part.

그리고,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스의 이탈 시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may include a valve for blocking the flow of the liquid when the case is detached.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을 포함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과 나란히 층을 이루어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전해 살균수의 생성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과 다른 전하를 띄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t least one metal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layers parallel to the at least one metal plate, and having a different charge from the at least one metal plate during generation of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은 두 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두 개의 금속판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may include two metal plates,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include one metal plate disposed between the two metal plates.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있다.And,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그리고,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전해 살균수의 생성 중, 상기 제1 전극의 두 개의 금속판에 각각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control unit may individually adjust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each of the two metal plates of the first electrode during the generation of the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그리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일면에 조립될 경우, 상기 복수의 전극이 각각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unit is assembled on the one surface, a support groove i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e fitted and supported may be formed.

또한, 상기 덮개부의 타면에는, 상기 전선이 통과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와 결합된 경우, 상기 브라켓부에 의해 지지되는 전선 통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ic wire passes through the oth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nd the cover part is coupled to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a wire passage part supported by the bracket part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와 결합된 경우, 상기 브라켓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ase is coupled to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part, a separation preventing part fixed to one side of the bracket part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part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dental unit chai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의 간편한 착탈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er's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a simpl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력의 제어를 통해, 바이오필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수준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ntrol of the electric power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ecure a level of concentration harmless to the human body while effectivel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a biofil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의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및 덮개부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of a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ssembly state of an electrode and a cov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Matters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effect includ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ques for achieving them, etc.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well as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 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For simplicity and clarity of illustration, the drawings show a general manner of construc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eatures and techniques may be omitted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discussion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For example, the size of so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compared to other component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bers in different drawings indicate like elements, and like reference numbers may, but do not necessarily, indicate like ele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ntal unit chai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핸드피스, 스케일러와 같은 진료용 시술기구(14), 수진자가 가글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양치용 급수대(15), 수진자를 수용하는 체어(16), 상기 진료용 시술기구를 거치하는 거치대(17), 수진자가 가글한 후 뱉어내는 세척수나 침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타구대(19), 풋 컨트롤러(18)를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unit chair. As shown in Fig. 1, the dental unit chair 10 includes a medical treatment instrument 14 such as a handpiece and a scaler, a gargling water fountain 15 for supplying water for the examinee to gargle, and to accommodate the examinee. It includes a chair 16, a cradle 17 for mounting the medical treatment instrument, a cuspidor 19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washing water or saliva spit out after the examinee gargles, and a foot controller 18.

이와 같은,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내부에는, 상기 양치용 급수대(15), 시술기구(14), 타구대(19) 등에서 사용되는 진료수가 이동하는 수로(水路)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interior of the dental unit chair 10 as described above, a water channel through which the medical treatment water used in the dental water supply table 15, the surgical instrument 14, the cuspidor table 19, and the like moves is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100)는, 상기 수로에 인입되는 물을 살균함으로써, 수로에 세균막인 바이오필름이 형성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위생적인 진료수를 상기 다양한 치과용 기구에 공급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100 sterilize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channel,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a biofilm, which is a bacterial film, in the water channel, and providing sanitary treatment water to the various supplies dental instruments.

본 발명의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100)는, 실시 예에 따라, 치과의 기계실에 위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에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거나,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에서 사용되는 진료수를 단독으로 살균할 수 있다.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located in a dental machine room to sterilize the water supplied to at least one dental unit chair 10, or the dental unit chair 10 It is formed in each and can sterilize the treatment water used in the dental unit chair 10 alon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100)는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에 포함되어,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dental unit chair 1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dental unit chair (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100)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탈착 가능한 모듈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detachable module inside the housing to improve the user's management efficienc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100 for dental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100)는, 전기분해부(110), 제1 배관부(120) 및 제2 배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sis unit 110 , a first pipe unit 120 , and a second pipe unit 130 . may include

상기 전기분해부(110)는 복수의 전극(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전극(111) 중의 일부는 양전하(+)를 띄고, 다른 일부는 음전하(-)를 띄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극(111)은 물을 살균하여 전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electrolysis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111 . As power is applied from the power source, some of the electrodes 111 are positively charged (+), and the other portion is negatively charged (-). In this state, the electrode 111 sterilizes water to generat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본 발명의 전기분해부(110)는 상기 전극(111)을 통해 전기분해 방식의 살균 작용을 수행한다. 즉,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 효과를 얻는 방식으로, 일 실시 예에 따라 물에 포함된 염소이온을 이용하여, 유효 성분인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살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으로 생성할 수 있다. 약품으로 살균하는 방식에 비해 보다 인체 친화적이고, 실시간 살균 처리 및 중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The electrolysis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electrolytic sterilization action through the electrode 111 . That is, in a way to obtain a sterilization effect by electrolysis of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using chlorine ions contained in water, hypochlorous acid or sodium hypochlorite as an active ingredient can be generated as an active ingredient exhibiting a sterilization effect. . Compared to the method of sterilization with drugs, it is more human-friendl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erilize and stop in real tim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112)는 상기 복수의 전극(111)을 내부에 수용한다. 3 , the case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therein.

제1 배관부(120)는, 상기 케이스(11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2)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pipe part 12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se 112 . In addition, the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2 .

상기 케이스(112)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배관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관부(130)는 상기 생성된 전해 살균수를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수로(水路)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pip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se 112 . The second pipe unit 130 may serve to supply the generated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to the water channel of the dental unit chair 10 .

즉, 물은 상기 제1 배관부(120)로 인입(도 3의 검은 화살표 방향)되어 상기 케이스(112) 내부 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전극(111)의 전기분해 작용에 따라 살균이 되어 전해 살균수가 되고, 상기 제2 배관부(130)를 거쳐,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수로(水路)로 공급(도 3의 흰 화살표 방향)된다.That is,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pipe part 120 (in the direction of the black arrow in FIG. 3 ) and is sterilized according to the electrolytic ac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2 , so that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and is supplied to the water channel of the dental unit chair 10 (in the direction of the white arrow in FIG. 3 ) through the second pipe part 130 .

본 발명의 상기 제1 배관부(120) 및 제2 배관부(130)는, 내부의 유체의 흐름이 상호 반대 방향이 되도록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배관부(120) 및 제2 배관부(130)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ipe part 120 and the second pipe par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ide by side so that the flow of the fluid therein is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pipe part 120 and the second pipe part 130 may be formed substantially in parallel.

이와 같이 나란히 형성된 상기 제1 배관부(120) 및 제2 배관부(130)의 구성을 통해, 상기 케이스(112)가 상기 배관부들(120, 130)과 자유롭게 탈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배관부들(120, 130)도 상기 수로 또는 수로로 연결되는 배관이나, 상기 물이 인입되는 배관과 손쉽게 탈착이 가능해 진다. 이를 통해 보다 손쉬운 유지보수가 이뤄질 수 있다.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pipe part 120 and the second pipe part 130 formed side by side as described above, the case 112 can be freely detached from the pipe parts 120 and 130 . In addition, the pipe parts 120 and 130 are also easily detachable from the water channel or a pipe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or a pipe through which the water is introduced. This allows for easier maintenan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배관부(120) 및 상기 제2 배관부(130)를 고정하는 브라켓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2)는, 상기 제1 배관부(120) 및 상기 제2 배관부(130)가 상기 브라켓부(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배관부(120) 및 상기 제2 배관부(130)와 탈착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racket unit 140 for fixing the first pipe part 120 and the second pipe part 130 . can do. In the case 112 ,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ipe part 120 and the second pipe part 130 are fixed to the bracket part 140 , the first pipe part 120 and the second pipe part It is detachable with the part 130 .

상기 브라켓부(140)는,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하우징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전기분해부(110)을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에서 손쉽게 분리하고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bracket unit 140 may be fixed in the housing of the dental unit chair 10 .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and replace the electrolysis unit 110 from the dental unit chair 10 .

상기 제1 배관부(120) 및 상기 제2 배관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스(112)의 이탈 시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121, 131)를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pipe part 120 and the second pipe part 130 may include valves 121 and 131 for blocking the flow of liquid when the case 112 is detach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배관부(120)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제1 파이프(122) 및 상기 제1 파이프 내의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 밸브(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관부(130)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제2 파이프(132) 및 상기 제2 파이프 내의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2 밸브(131)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ipe part 120 includes a first pipe 122 through which a fluid can flow and a first valve 121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first pipe. may include In addition, the second pipe 130 may include a second pipe 132 through which a fluid can flow therein and a second valve 131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second pipe.

상기 제1 밸브(121) 및 상기 제2 밸브(13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유체를 단속할 수 있는 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alve 121 and the second valve 131 may be implemented as valves capable of manually regulating fluid as shown in FIG. 3 .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밸브(121) 및 상기 제2 밸브(131) 중 적어도 하나는 전력을 인가하여 유체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개도 조절을 통해 유량을 조절하는 전자 팽창 밸브(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을 통해 유량 조절이 가능한 전자식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의 유속 또는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전기분해부(110)의 살균 성능을 조절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valve 121 and the second valve 131 may be implemented as a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fluid by applying electric power.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 that controls the flow rate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As such, by using an electromagnetic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through electric pow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low rate or press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Through this, the sterilization performance of the electrolysis unit 110 can be adjusted.

상기 제1 파이프(122) 및 제2 파이프(132)는 내경이 동일할 수 있다. The first pipe 122 and the second pipe 132 may have the same inner diameter.

상기 제2 파이프(132) 및 제1 파이프(122)보다 내경이 더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이프(132)의 내경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기분해부(110)의 전해 살균 작용 중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 유량이 줄어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이프(132)의 내경은 발생하는 기포의 체적을 고려하여 상기 제1 파이프(122)의 내경보다 소정의 값만큼 크게 설계될 수 있다.The second pipe 132 and the first pipe 122 may be designed to have a larger inner diameter. By form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pipe 132 to be larger, when bubbles are generated during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of the electrolysis unit 110 ,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flow rate.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pipe 132 may be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pipe 122 by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of generated air bubbles.

상기 복수의 전극(111)은, 제1 전극(111a) 및 제2 전극(111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1a and a second electrode 111b.

상기 제1 전극(111a) 및 상기 제2 전극(111b)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electrode 1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1b may include at least one metal plate.

상기 제2 전극(111b)에 포함된 금속판은 상기 제1 전극(111a)에 포함된 금속판과 나란히 층을 이루어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metal plate included in the second electrode 111b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etal plate included in the first electrode 111a in parallel to each other.

전해 살균수의 생성 중에, 상기 제2 전극(111b)의에 포함된 금속판은 상기 제1 전극(111a)에 포함된 금속판과 다른 전하를 띤다.During the generation of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the metal plate included in the second electrode 111b has a different electric charge than the metal plate included in the first electrode 111a.

상기 제1 전극(111a)은 두 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111b)은 상기 두 개의 금속판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11a may include two metal plates, and the second electrode 111b may include one metal plate disposed between the two metal plates.

상기 제1 전극(111a)에 포함된 두 개의 금속판은 전해 살균수의 생성 중에 음 전하를 띨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wo metal plates included in the first electrode 111a may be negatively charged while the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include titanium.

상기 제2 전극(111b) 에 포함된 하나의 금속판은 전해 살균수의 생성 중에 양 전하를 띨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티타늄 및 산화 이리듐을 포함할 수 있다.One metal plate included in the second electrode 111b may have a positive charge during generation of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include titanium and iridium oxide.

상기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전극(111)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력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ontrol unit 150 that adjust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

상기 전력 제어부(150)는 전원(미도시)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극(111)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unit 150 may adjust the level of voltage or current to adjust the level of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from a power source (not shown). In addition,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r current may be generated.

상기 전원(미도시)은 일 실시 예로 배터리 또는 변압/정류기를 포함하여 직류 전압의 전력을 상기 전기분해부(110)에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ource (not shown) may supply DC voltage power to the electrolysis unit 110 including a battery or a transformer/rectifier in an embodiment.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는 PWM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PWM 신호는 즉 신호 전압의 듀티(duty)를 조절하는 방식으로서, 직류 전원의 제어에 널리 이용된다. 이와 같이 PWM 신호를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빠른 응답성의 전기분해 강도의 제어가 가능해 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is preferably a PWM signal. The PWM signal is a method of adjusting the duty (duty) of the signal voltage, and is widely used to control DC power. By using the PWM signal for control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control the electrolysis intensity with a quick response.

본 발명의 장치(100)는 유량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센서(미도시)는 상기 유량 센서(미도시)에서 감지된 유량에 따라 상기 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량이 변화하더라도 전해 살균수의, 염소이온과 같은 유효 성분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유니트 체어(10)의 수로에 실시간 공급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low sensor (not shown). The flow sensor (not shown) may adjust the amount of power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nsed by the flow sensor (not shown). Accordingly, even if the flow rate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to the water channel of the unit chair 10 in real time while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of active ingredients such as chlorine ions at an appropriate level.

이와 같은 전력 제어를 통해 상기 전기분해부(110)의 가동률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분해부(110)의 가동률은 1번 핸드피스가 동작하는 경우에 30%, 2번 핸드피스가 동작하는 경우에 40%, 3번 핸드피스가 동작하는 경우에 50%, 4번 핸드피스가 동작하는 경우에 30%, 양치용 급수대(15)로 공급되는 경우 80%, 타구대(19)로 공급되는 경우 100%일 수 있다. Through such power control, the operation rate of the electrolysis unit 110 may be changed. For example, the operation rate of the electrolysis unit 110 is 30% when the first handpiece operates, 40% when the second handpiece operates, 50% when the third handpiece operates, and 4 It may be 30% when the burn handpiece operates, 80% when it is supplied to the water fountain 15 for gargling, and 100% when it is supplied to the cuspidor 19.

양치용 급수대(15)는 핸드피스와 같은 진료용 시술기구(14)보다 같은 시간 내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진료용 시술기구(14)가 작동되는 경우에 비해 살균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Since a large amount of water must be supplied within the same time than the medical treatment instrument 14, such as a handpiece, to the gargling water fountain 15, it is better to strengthen the sterilization strength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treatment instrument 14 is operated. need.

또한 타구대(19)에 공급되는 전해 살균수는 수진자의 구강에 들어가지 않으므로 살균의 강도를 최대한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ied to the cuspidor 19 does not enter the examinee's oral cavity, the intensity of sterilization can be adjusted to the maximum.

상기 전력 제어부(150)는, 유니트 체어(10)에 구비된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니트 체어(10) 탑재된 구성을 사용하여 유니트 체어(10)와 연계함으로써, 별도의 제어 구성이 필요한 기존의 살균 위생 처리 장치에 비해 부품 수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The power control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controller provided in the unit chair 10 . In this way, by using the unit chair 10 mounted configuration and linking with the unit chair 10,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e the cost compared to the existing sterilization and sanitary treatment device that requires a separate control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원을 On/Off하거나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100 for dental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urn on/off power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perform the power control.

이러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부(미도시)는 주수 키(미도시) 및 풋 컨트롤러(1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수 키(미도시)는 유니트 체어(10)의 조작 패널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치과 의료진이 주수 키(미도시)를 작동시키고, 풋 컨트롤러(18)를 발로 밟으면 핸드피스 등의 진료용 시술기구에 진료수가 공급된다.In this embodiment, the input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the user input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a watering key (not shown) and a foot controller 18 . The watering key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operation panel of the unit chair 10 . When a dental medical staff operates a watering key (not shown) and steps on the foot controller 18 with a foot, treatment water is supplied to a medical treatment instrument such as a handpiece.

이와 같이 주수 키(미도시) 및 푹 컨트롤러(18)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 되었을 때 전력 제어부(150)가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을 입력 받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such, when at least one of the watering key (not shown) and the Fuk controller 18 is operated, the power control unit 150 may determine that an operation command has been received from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력 제어부(150)는, 상기 전해 살균수의 생성 중, 상기 제1 전극(111a)의 두 개의 금속판에 각각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trol unit 150 may individually adjust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two metal plates of the first electrode 111a, respectively, during the generation of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이와 같이 두 개의 금속판을 따로따로 조절함으로써 전기분해부의 가동률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By separately controlling the two metal plates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more precisely control the operation rate of the electrolysis unit.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금속판 중 하나로의 전력의 공급은 On/Off 방식으로 조절하고, 나머지 하나로의 전력의 공급은 PWM 신호 등을 통해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유량 변화나 진료 도구의 변화에 따라 전기분해 가동률의 조절 범위를 더욱 확장하고,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전기분해 가동률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금속판으로 투입되는 전원을 OFF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전원을 On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of power to one of the two metal plates by an On/Off method, and to variably control the supply of power to the other one through a PWM signal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control range of the electrolysis operation rate can be further expanded and more precisely controlled according to a change in flow rate or a change in treatment tools. That is, when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electrolysis operation rate, the power supplied to the single metal plate may be turned off, and in the opposite case, the power may be turned 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100)의 케이스(11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ase 112 of the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10)는, 상호 조립되는 덮개부(116) 및 용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ver part 116 and a container part 113 that are assembled together.

상기 덮개부(116)는 덮개 본체부(116-2) 및 전선 통로부(116-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ver part 116 may include a cover body part 116-2 and a wire passage part 116-1.

상기 용기부(113)는, 덮개 본체부(116-2)와 밀착되어 내부 공간을 이루는 용기 본체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iner part 113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part 113-2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body part 116-2 to form an internal spa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111) 및 덮개부(116)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ssembly state of the electrode 111 and the cover part 1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덮개부(116)는, 상기 제1 배관부(120) 및 상기 제2 배관부(130)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111) 및 상기 복수의 전극(1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고정될 수 있다.The cover part 116 may be detachable from the first pipe part 120 and the second pipe part 130 .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and a wi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be fixed.

상기 덮개부(116)는 덮개 본체부(116-2) 및 전선 통로부(116-1)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part 116 may include a cover body part 116-2 and a wire passage part 116-1.

상기 덮개 본체부(116-2)는 상기 제1 배관부(120) 및 상기 제2 배관부(130)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입수구(116-3) 및 출수구(11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body part 116-2 may include an inlet port 116-3 and an outlet port 116-4 to which the first pipe part 120 and the second pipe part 130 are detachably fastened. there is.

상기 전선 통로부(116-1)는 상기 전극(1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선 및 상기 전선 통로부(116-1)의 벽 사이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방수 소재가 충진될 수 있다.The wire passage portion 116 - 1 is configured to pass a wire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electrode 111 . A waterproof material, such as an epoxy resin, may be filled between the electric wire and the wall of the electric wire passage part 116 - 1 .

상기 용기부(113)은 상기 덮개부(116)의 일면에 조립되어 상기 케이스(112)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part 113 may include a container part 113 assembl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part 116 to form an inner space of the case 112 .

상기 용기부(113)는, 덮개 본체부(116-2)와 밀착되어 내부 공간을 이루는 용기 본체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part 113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part 113-2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body part 116-2 to form an internal spac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부(11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ainer unit 1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용기부(113)는, 상기 일면에 조립될 경우, 상기 복수의 전극(111)이 각각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 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홈(119)은 상기 복수의 전극(111)이 상호 이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복수 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container part 113 is assembled on the one surface, a support groove 119 into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are fitted and supported may be formed. The support groove 119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so that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are fixed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each other.

상기 덮개부(116)의 타면에는, 상기 전선 통로부(116-1)가 형성될 수 있다. 전선 통로부(116-1)는, 전선이 통과하고, 상기 덮개부(116)가 상기 제1 배관부(120) 및 상기 제2 배관부(130)와 결합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부(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선 통로부(116-1)는 전선을 통과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케이스(112)가 브라켓부(140)에 단단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wire passage part 116 - 1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16 . When the electric wire passes through the wire passage 116-1, and the cover 116 is coupled to the first pipe 120 and the second pipe 130, as shown in FIG. Likewise, it may be supported by the bracket unit 140 . In this way, the wire passage portion 116 - 1 passes the wire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case 112 to be firmly supported by the bracket portion 140 .

상기 용기부(113)의 일측에, 상기 케이스(112)가 상기 제1 배관부(120) 및 상기 제2 배관부(130)와 결합된 경우, 상기 브라켓부(140)의 일측에 고정되는 이탈 방지부(113-1)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용기부(113)에, 후크 형상 등으로 형성된 이탈 방지부(113-1)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12)가 브라켓부(140)에 단단히 지지되면서도 동시에 상기 덮개부(116)와 상기 용기부(113)가 상호 조립 상태를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case 112 is coupled to the first pipe part 120 and the second pipe part 130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part 113 , the detachment fixed to one side of the bracket part 140 . A prevention part 113-1 may be formed (refer to FIG. 3).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part 113 is provided with a detachment prevention part 113-1 formed in a hook shape, etc., so that the case 112 is firmly supported by the bracket part 140 and at the same time, the cover part 116 and the The container part 113 may firmly maintain the mutually assembled state.

상기 브라켓부(140)는,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라켓부(140)이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100)는, 유니트 체어(10)의 하우징 내부에 탈착 가능한 모듈로 기능하고 사용자의 관리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The bracket unit 14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dental unit chair 10 . As such, the bracket unit 14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dental unit chair 10 , so that the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of the unit chair 10 . It functions as a possible module and the efficiency of the user's management can be improved.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r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similar elements, if any, and are not necessarily However, it is used to describe a specific sequence or sequence of occurrence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o used are interchangeable under appropriate circumstances to enable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to operate, for example, in sequences other than those shown or described herein. Likewise, where methods are described herein as including a series of steps, the order of those steps presented herein is not necessarily the order in which those steps may be performed, and any described steps may be omitted and/or Any other steps not described may be added to the metho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한다.Terms such as "left", "right", "front", "back", "top", "bottom", "above", "below"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used for descriptive purposes, It is not necessarily intended to describe an invariant relative posi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o used are interchangeable under appropriate circumstances to enable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to operate otherwise than, for example, as shown or described herein. As used herein, the term “connected” is defined as being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in an electrical or non-electrical manner. Objects described herein as being "adjacent" to one another may be in physical contact with one another, in proximity to one another, or in the same general scope or area as appropriate for the context in which the phrase is used. The presence of the phrase “in one embodiment” herein refers to the same, but not necessarily the same embodiment.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references to 'connected', 'connecting', 'fastened', 'fastening', 'coupled', 'coupled', etc., and various variations of these expressions, refer to other elements directly It is used in the sense of being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other elem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referenc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 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All embodiments and conditional examples disclos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the intention of helping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유니트 체어 14: 치과용 시술기구
15: 양치용 급수대 16: 체어
17: 거치대 18: 풋 컨트롤러
19: 타구대
100: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110: 전기분해부
111: 전극 111a: 제1 전극
111b: 제2 전극 112: 케이스
113: 용기부 113-1: 이탈 방지부
113-2: 용기 본체부 116: 덮개부
116-1: 전선 통로부 116-2: 덮개 본체부
116-3: 입수구 116-4: 출수구
119: 홈
120: 제1 배관부 121: 제1 밸브
122: 제1 파이프
130: 제2 배관부 131: 제2 밸브
132: 제2 파이프
140: 브라켓부 150: 전원 제어부
10: unit chair 14: dental treatment instrument
15: water fountain for gargling 16: chair
17: cradle 18: foot controller
19: cuspidor
100: dental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110: electrolysis unit
111: electrode 111a: first electrode
111b: second electrode 112: case
113: container unit 113-1: escape prevention unit
113-2: container body part 116: cover part
116-1: electric wire passage part 116-2: cover body part
116-3: inlet 116-4: outlet
119: home
120: first pipe portion 121: first valve
122: first pipe
130: second pipe 131: second valve
132: second pipe
140: bracket unit 150: power control unit

Claims (13)

물을 살균하여 전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분해부;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고정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면에 조립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물을 공급하는 제1 배관부;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생성된 전해 살균수를 수로(水路)로 공급하는 제2 배관부; 및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를 고정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가 상기 브라켓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an electrolysis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generating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by sterilizing water;
a case including a cover part to which electric wires su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e fixed, and a container part assembl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part to form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first pipe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se to supply the water 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 second pipe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se and supplying the generated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to a water channel; and
and a bracket part for fixing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The case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are fixed to the bracket part,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and the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for dentistry,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는, 내부의 유체의 흐름이 상호 반대 방향이 되도록 나란히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the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ide by side so that the flow of the internal flui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스의 이탈 시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the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lve for blocking the flow of the liquid when the case is separ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을 포함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과 나란히 층을 이루어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전해 살균수의 생성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과 다른 전하를 띄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first electrode comprising at least one metal plate; and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for dentistry, comprising a second electrod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at least one metal plate in layers and has a different charge from that of the at least one metal plate during generation of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두 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두 개의 금속판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electrode is made of two metal plates,
The second electrode is a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one metal plate disposed between the two metal plat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iz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두 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과, 상기 두 개의 금속판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전해 살균수의 생성 중, 상기 제1 전극의 두 개의 금속판에 각각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first electrode made of two metal plates and a second electrode made of one metal plate disposed between the two metal plates,
The power control unit,
During the generation of the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the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two metal plates of the first electrode is individually control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일면에 조립될 경우, 상기 복수의 전극이 각각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unit,
When assembled on the one surface, the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groove is formed to be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electrode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타면에는,
상기 전선이 통과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와 결합된 경우, 상기 브라켓부에 의해 지지되는 전선 통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ver,
When the electric wire passes and the cover part is coupled to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a wire passage part supported by the bracket part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와 결합된 경우, 상기 브라켓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part,
When the case is coupled to the first pipe part and the second pipe part, an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for dentistr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fixed to one side of the bracket part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cket part,
Dental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inside of the dental unit chai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전해 살균수가 공급되는 치과용 기구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치과용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진료용 시술기구, 양치용 급수대 및 타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ower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ccording to the type of dental appliance to which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is supplied,
The dental instrument is an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for dentist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dical treatment instrument including at least one handpiece, a water fountain for gargling, and a cuspidor t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부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제1 배관부의 내경의 크기보다 소정의 값만큼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pipe part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pipe part by a predetermined value.
KR1020190071753A 2019-06-17 2019-06-17 Dental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KR1023818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753A KR102381864B1 (en) 2019-06-17 2019-06-17 Dental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753A KR102381864B1 (en) 2019-06-17 2019-06-17 Dental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983A KR20200143983A (en) 2020-12-28
KR102381864B1 true KR102381864B1 (en) 2022-04-01

Family

ID=7408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753A KR102381864B1 (en) 2019-06-17 2019-06-17 Dental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86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575B1 (en) * 2012-09-10 2014-05-27 쿠쿠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olytically sterilized water
JP2017159273A (en) * 2016-03-11 2017-09-1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KR101793245B1 (en) * 2017-01-12 2017-11-02 진무범 Dental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123B1 (en) * 2015-07-01 2017-05-24 주식회사 그렌텍 A cartridge for creating sterilized water having bypa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575B1 (en) * 2012-09-10 2014-05-27 쿠쿠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olytically sterilized water
JP2017159273A (en) * 2016-03-11 2017-09-1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KR101793245B1 (en) * 2017-01-12 2017-11-02 진무범 Dental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983A (en) 202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6348B2 (en)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JP2008539063A (en) Sterilized water production device, sterilized water spray device, and salt capsules used therefor
KR101441562B1 (en) Sterilized-water suppling device for dental use
KR101740507B1 (en) Water irrigator with sterilizing effect
KR100918474B1 (en) Oral irrigator with plasma generating apparatus
JP2010530794A (en) Method for producing medical sterilized physiological saline containing low concentration residual chlorine
JPH11192247A (en) Dental therapy device
JP2002102856A (en)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ic water
KR102381864B1 (en) Dental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CN111035526A (en) Integrative automatic disinfection dentistry comprehensive therapy machine
JP7053507B2 (en) Administration of antibacterial agents for oral care
KR101829010B1 (en) Endoscope disinfecting apparatus having eletroysis part and sterilization part
KR20090104452A (en) Dental therapy apparatus that the ultrasound and ultraviolet rays and ozone water operation is possible
JP2023536556A (en) Electrode applicator for coordinated use within dental implant treatment systems
JPH07299082A (en) Dental treatment device
KR100997011B1 (en) Spraying method of sterilized isotonic solution
KR2009001963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medical sterilized isotonic solution having low-concentratedly controlled free chlorine including hypochlorous acid therein
KR1021017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anoramic imag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00010860A (en) Mouth Sterilizer
KR20100069786A (en) Ionized water jet oral-cleaner with ionized water generator
CN210020289U (en) Multifunctional flusher for otolaryngological department
CN209499947U (en) A kind of water toothpick
KR20150019755A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enerating hypochlorons acid
KR102325992B1 (en) Denture sterilization unit equipped with mobile sterilization module
US20200179556A1 (en) Ozone Generator for Flos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