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296B1 - RFID reader antenna - Google Patents

RFID reader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296B1
KR102381296B1 KR1020150146295A KR20150146295A KR102381296B1 KR 102381296 B1 KR102381296 B1 KR 102381296B1 KR 1020150146295 A KR1020150146295 A KR 1020150146295A KR 20150146295 A KR20150146295 A KR 20150146295A KR 102381296 B1 KR102381296 B1 KR 102381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
element antennas
antenna
por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6314A (en
Inventor
최원규
박찬원
정재영
손해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887,862 priority Critical patent/US9979072B2/en
Publication of KR2016004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3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2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1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interrogator/reader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e.g. configurations including means to resolve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8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radiating a circular polarised w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복수의 요소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 그리고 복수의 요소 안테나로 송신 신호를 전달하고, 배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급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요소 안테나는, 방사 패치 및 급전부와 상기 방사 패치 사이에 위치한 송신 포트 및 수신 포트를 각각 포함하는, 송수신 안테나가 제공된다.An array antenna including a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and a feeding unit that transmits a transmiss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and receive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rray antenna, wherein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includes: a radiation patch and a feeding unit; A transmit/receive antenna is provided, each comprising a transmit port and a receive port located between the radiating patches.

Description

RFID 리더 안테나 {RFID reader antenna}RFID reader antenna {RFID reader antenna}

본 발명은 다이버시티 기술이 응용된 RFID 리더의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of an RFID reader to which diversity technology is applied.

극초단파(Ultra High Frequency, UHF) 대역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시스템은 태그(tag)(또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와 리더(reader)(또는 호출기(interrogator))로 구성될 수 있다. RFID 시스템이 운용되는 환경에서는 수 많은 산란파로 인해 페이딩(Fading) 현상이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특히, 자동차, 선박, 항공 분야에서와 같이 금속 환경으로 이루어진 작업장에 RFID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무수히 많은 전자파 산란에 의한 페이딩 효과로 인해 시스템 인식률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파적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RFID 인식률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송신 또는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RFID 리더 기술이 필요하다. 송신 또는 수신 다이버시티 방법은 복수의 안테나 간의 거리를 특정 거리로 유지하여 페이딩을 극복하는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방법, 복수의 안테나의 편파를 달리하여 페이딩을 극복하는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 방법, 그리고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서로 달리하여 페이딩을 극복하는 패턴 다이버시티(Radiation Pattern Diversity)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An Ultra High Frequency (UHF) b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 may consist of a tag (or transponder) and a reader (or interrogator). . In an environment in which an RFID system is operated, a fading phenomenon generally occurs due to a large number of scattered waves. In particular, when an RFID system is built in a work place made of a metal environment, such as in the fields of automobiles, ships, and aviation, the recognition rate of the system may drop rapidly due to the fading effect caused by numerous electromagnetic wave scattering.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RFID recognition rate in the electromagnetically poor environment, there is a need for an RFID reader technology having a transmit or receive diversity function. The transmit or receive diversity method is a spatial diversity method that overcomes fading by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antennas at a specific distance, and a polarization diversity method that overcomes fading by varying the polarizations of a plurality of antennas I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 method and a pattern diversity method that overcomes fading by differentiating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antenna.

종래, RFID 리더 안테나로는 송신 포트와 수신 포트가 분리되어 있는 송/수신 분리형 안테나 또는 송신 포트와 수신 포트가 하나의 안테나에 구현되어 있는 송/수신 안테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RFID 리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송신 또는 수신단에 복수 개의 요소 안테나가 필요하다. 또한,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복수 개의 요소 안테나가 사용되는 경우, 요소 안테나 간 격리도가 확보되지 않으면 각 요소 안테나에서 송신 또는 수신되는 신호간의 상관 관계(Correlation)이 증가하여 다이버시티 효과를 볼 수 없다.Conventionally, as an RFID reader antenna, a separate transmit/receive antenna in which a transmit port and a receive port are separated or a transmit/receive antenna in which a transmit port and a receive port are implemented in one antenna are used. 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an RFID reader having a diversity function, a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are required at the transmitting or receiving end.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are used for transmission or reception, if the degree of isolation between the element antennas is not secured, correlation between signals transmitted or received by each element antenna increases, so that the diversity effect cannot be seen.

전자파 산란에 의해 페이딩(Fading)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는 RFID 운용 환경에서 RFID 시스템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이버시티 응용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요소 안테나 간 격리도가 개선되고, 다이버시티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RFID system in an RFID operating environment where fading may occur severely due to electromagnetic wave scattering, the degree of isolation between a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included in the diversity application antenna is improved, and the diversity effect can be maximized.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송수신 안테나는 복수의 요소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 그리고 복수의 요소 안테나로 송신 신호를 전달하고, 배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급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요소 안테나는, 방사 패치 및 급전부와 방사 패치 사이에 위치한 송신 포트 및 수신 포트를 각각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transmit/receive antenna is provided. The transmit/receive antenna includes an array antenna including a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and a feeding unit that transmits a transmiss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and receive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rray antenna, wherein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include a radiation patch and a transmitting port and a receiving port located between the feeding unit and the radiating patch, respectively.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서 복수의 요소 안테나는, 접지면을 각각 더 포함하고, 방사 패치 및 접지면 사이의 거리는 송수신 안테나의 성능 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변경될 수 있다. In the transmit/receive antenna, each of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further includes a ground plane, and a distance between the radiating patch and the ground plane may be changed to adjus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t/receive antenna.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서 복수의 요소 안테나는, 송수신 안테나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스터브 및 스터브와 방사 패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를 더 포함하고, 스터브의 길이는 송신 포트 또는 수신 포트에서 발생하는 유도성 성분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 In the transmit/receive antenna,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further include a stub for impedance matching of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nd a dielectric positioned between the stub and the radiation patch, and the length of the stub is an inductive component generated at the transmit port or the receive port. can be adjusted to compensate.

상기 송수신 안테나는, 복수의 요소 안테나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격벽을 더 포함하고, 배열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요소 안테나는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The transmit/receive antenna may further include a barrier rib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and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included in the array antenna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상기 송수신 안테나는, 격벽 및 복수의 요소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방사 패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방사 패치 간의 격리도 또는 방사 패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방사 패턴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In the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the degree of isolation between the radiation patches or the radiation pattern direction of a signal transmitted/received through the radiation patc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lurality of radiation patch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서 방사 패치는, 방사 패치의 단락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금속 단락핀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the radiation patch may include a metal shorting pin for changing a shorting position of the radiation patch.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서 복수의 요소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 포트는 원형 편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 plurality of transmit ports included in a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may transmit a circularly polarized signal.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서 급전부는, 미리 결정된 크기만큼 위상차가 있는 복수의 송신 신호를 복수의 송신 포트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In the transmit/receive antenna, the power feeder may transmit a plurality of transmit signals having a phase difference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to a plurality of transmit ports, respectively.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서 미리 결정된 크기는, 360도를 복수의 요소 안테나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transmit/receive antenna may be determined a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360 degrees by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서 복수의 요소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수신 포트는 선형 편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 plurality of reception ports included in a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may receive a linearly polarized signal.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서 복수의 요소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수신 포트 중 제1 수신 포트 그룹은 수직 편파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수신 포트 중 제2 수신 포트 그룹은 수평 편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 first receiving port group among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may receive a vertically polarized signal, and a second receiving port group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s may receive a horizontally polarized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는 RFID 운용 환경에서 RFID 시스템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신호의 송수신시 공간, 편파 및 패턴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다.The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mplement spatial, polarization, and pattern diversity when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of an RFID system in an RFID operating environment.

도 1은 수신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수신 신호의 전력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 및 RFID 태그가 포함된 RFID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배열 안테나에 포함된 하나의 요소 안테나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에 포함된 배열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급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반사 손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격리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수신 방사 패턴을 나타낸 원형 극차트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송신 방사 패턴을 나타낸 원형 극차트이다.
1 is a graph showing the power intensity of a reception signal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ception antenna.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RFID system including an RFID reader and an RFID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3A and 3B are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e element antenna included in an array antenna of a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y antenna included in a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unit of a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graph illustrating a return loss characteristic of a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graph illustrat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a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9A to 9D are circular polar charts illustrating a reception radiation pattern of a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circular polar chart illustrating a transmission radiation pattern of a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In order to clearly express various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are enlarg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Conversely, when we say that a part is "just above" another part, we mean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도 1은 수신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수신 신호의 전력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graph showing the power intensity of a reception signal that varies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reception antenna.

도 1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x축은 수신 안테나의 위치를 나타내고, y축은 수신 신호의 전력 세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수신 안테나(11, 12, 13, 14)의 간격은 모두 d이다. 그리고, 송신 장치에서 전송된 신호는 산란에 의해 각 수신 안테나에서 다른 크기의 전력으로 수신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신 신호는 제3 수신 안테나(13)에서 가장 강한 세기로 수신될 수 있다. 제1, 2 및 4 수신 안테나(11, 12, 14)의 위치는 페이딩에 의한 널(null) 위치와 근접하기 때문에 제1, 2 및 4 수신 안테나(11, 12, 14)에서는 신호가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로 수신될 수 있다. 종래 RFID 시스템에서는 단일 안테나가 사용되기 때문에,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안테나가 신호의 널 위치에 근접한 경우 RFID 태그가 잘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graph shown in FIG. 1 , the x-axis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wer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Referring to FIG. 1 , the intervals between the reception antennas 11 , 12 , 13 and 14 are all d. 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may be received at each receiving antenna with different power levels due to scattering. Referring to FIG. 1 , a received signal may be received by the third receiving antenna 13 with the strongest strength. Since the posi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fourth receiving antennas 11, 12, and 14 are close to the null position due to fading, signals are relatively transmitted from the first, second and fourth receiving antennas 11, 12, and 14. It can be received with weak strength. Since a single antenna is used in the conventional RFID system, when the antenna for transmission or reception is close to the null position of the signal, the RFID tag may not be recognized well.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 및 RFID 태그가 포함된 RFID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RFID system including an RFID reader and an RFID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200)는 송신부(210), 수신부(220), 송신 안테나(230), 그리고 수신 안테나(240)를 포함한다. 이때, 수신 안테나(240)는 수신 다이버시티를 위해서 복수의 요소 안테나(241 내지 24n)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300)는, 제어부(310) 및 태그 안테나(3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RFID read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ransmitter 210 , a receiver 220 , a transmit antenna 230 , and a receive antenna 240 . In this case, the reception antenna 240 includes a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241 to 24n for reception diversity. In addition, the RFID tag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ler 310 and a tag antenna 320 .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200)의 송신부(210)에서 송신 안테나(230)를 통해 송신된 신호는, RFID 태그(300)의 태그 안테나(320)를 통해 제어부(310)로 수신된다. 이후, RFID 태그(300)에서 변조된 신호는 태그 안테나(320)를 통해 역산란(Back-scattering)된 후 RFID 리더(200)로 수신된다. 이때, RFID 태그(300)에서 역산란된 신호는 경로 주변의 산란체에 의해 산란되고 페이딩(fading)를 겪게 된다. 따라서, 경로 공간의 어떤 지점에서는 신호의 세기가 강하게 형성될 수 있고 또 다른 어떤 지점에서는 신호의 세기가 약하게 형성(signal null)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호의 세기는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반파장(λ/2)를 주기로 커지거나 작아진다. 이러한 페이딩 현상에 의한 통신의 끊김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다이버시티 기술이다. RFID 리더(200)의 수신부(220)에 복수의 요소 안테나가 포함된 수신 안테나(241 내지 24n)가 포함된 수신 안테나(240)가 연결되는 경우, RFID 리더(200)에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각 요소 안테나(241 내지 24n) 간의 간격은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λ/2~ λ 사이에서 최적화될 수 있다. 각 요소 안테나(241 내지 24n)가 공간적으로 λ/2~ λ 간격으로 배열되는 경우 RFID 리더(200)에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 또는 각 요소 안테나(241 내지 24n)의 편파를 달리함으로써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요소 안테나(241 내지 24n)의 방사 패턴을 달리함으로써 패턴 다이버시티(pattern diversity) 기능이 RFID 리더(2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200)에는 각 요소 안테나(241 내지 24n)의 배열, 편파 및 방사 패턴 변화를 통해 공간 다이버시티, 편파 다이버시티 및 패턴 다이버시티 기능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10 of the RFID reader 200 through the transmit antenna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received by the controller 310 through the tag antenna 320 of the RFID tag 300 . Thereafter, the signal modulated by the RFID tag 300 is back-scattered through the tag antenna 320 and then received by the RFID reader 200 . At this time, the signal backscattered by the RFID tag 300 is scattered by the scatterers around the path and experiences fading. Accordingly, the signal strength may be strong at some point in the path space and the signal strength may be weak at another point (signal null). In general, the strength of a signal increases or decreases with a period of half the wavelength (λ/2) of the center frequency of the signal. One of the methods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interruption due to such a fading phenomenon is a diversity technique. When the reception antenna 240 including the reception antennas 241 to 24n including a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is connected to the reception unit 220 of the RFID reader 200, the reception diversity function is provided to the RFID reader 200 can be In this case, the interval between each element antenna 241 to 24n may be optimized between λ/2 and λ based on the center frequency. When each element antenna 241 to 24n is spatially arranged at intervals of λ/2 to λ, a spatial diversity function may be provided to the RFID reader 200, or each element antenna 241 to 24n A polarization diversity function may be provided by varying the polarization of . In addition, a pattern diversity function may be provided to the RFID reader 200 by varying the radiation pattern of each element antenna 241 to 24n. The RFID read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imultaneously provide spatial diversity, polarization diversity, and pattern diversity functions by changing the arrangement, polarization, and radiation pattern of each element antenna 241 to 24n.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배열 안테나에 포함된 하나의 요소 안테나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3A and 3B are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e element antenna included in an array antenna of a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요소 안테나(310)는, 접지면(311), 방사 패치(312), 송신 포트(313) 및 수신 포트(314)를 포함한다.3A and 3B , one element antenna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ground plane 311 , a radiation patch 312 , a transmission port 313 , and a reception port 314 .

접지면(311) 및 방사 패치(312) 사이의 거리 α는 안테나의 성능 특성(대역폭 특성 등)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변경될 수 있다. The distance α between the ground plane 311 and the radiation patch 312 may be changed to optimiz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bandwidth characteristics, etc.) of the antenna.

송신 포트(313) 및 수신 포트(314)는, 방사 패치(312) 및 접지면(311) 사이에 위치하고,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모드가 급전됨으로써 서로 직교하는 필드가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즉, 송신 포트(313) 및 수신 포트(314)는 방사 패치(312) 및 송수신 안테나의 급전부 사이에 위치하여, 송신 포트(313)는 급전부로부터 전달된 송신 신호를 방사 패치로 전달하고, 수신 포트(314)는 방사 패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급전부로 전달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port 313 and the receiving port 314 are positioned between the radiation patch 312 and the ground plane 311 , and two orthogonal fields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y feeding the two modes orthogonal to each other. That is, the transmit port 313 and the receive port 314 are located between the radiation patch 312 and the feed part of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nd the transmit port 313 transmits the transmi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eed unit to the radiation patch, The reception port 314 may transmit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adiation patch to the power supply unit.

하나의 요소 안테나(310)에 포함된 금속 단락핀(metal shorting pin)(315)은 방사 패치(312)의 단락 지점을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방사 패치(312)의 단락 지점이 변경됨으로써, 직교하는 두 모드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두 포트(313 및 314)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금속 단락핀(315)은 하나의 요소 안테나가 배열되는 경우, 인접한 요소 안테나와의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A metal shorting pin 315 included in one element antenna 310 may be used to change a shorting point of the radiation patch 312 . By changing the shorting point of the radiation patch 312, the positions of the two ports 313 and 314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two orthogonal modes may be changed. That is, when one element antenna is arranged, the metal shorting pin 315 may be used to solve an interference problem with an adjacent element antenn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 안테나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서, 하나의 요소 안테나(310)는 스터브(stub)(316, 3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터브(316, 317) 및 방사 패치(312)의 사이에는 유전체(318)가 위치할 수 있다. 스터브(316, 317)의 길이(a)가 변경되는 경우, 송신 포트(313) 및 수신포트(314)의 끝 부분의 용량성 성분(즉, capacitance)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터브(316, 317)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상기 송신 포트(313) 및 수신 포트(314)의 끝 부분의 커패시턴스가 증가한다. 따라서, 스터브(316, 317)는 송신 포트(313) 및 수신 포트(314)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유도성 성분(즉, inductance)을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임피던스 정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element antenna 310 may include stubs 316 and 317 for impedance matching of the transmit/receive antenna. In this case, the dielectric 318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tubs 316 and 317 and the radiation patch 312 . When the length a of the stubs 316 and 317 is changed, the capacitive component (ie, capacitance) of the ends of the transmission port 313 and the reception port 314 may be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stubs 316 and 317 is increased, the capacitance of the ends of the transmission port 313 and the reception port 314 is increased. Accordingly, the stubs 316 and 317 can provide an efficient impedance matching function because they can cancel an inductive component (ie, inductance) that may be generated by the transmit port 313 and the receive port 314 .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에 포함된 배열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y antenna included in a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는 4개의 요소 안테나(310, 320, 330, 340), 각 요소 안테나의 사이에 위치한 금속 격벽(400), 그리고 접지면(4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four element antennas 310 , 320 , 330 , 340 , a metal barrier rib 400 located between each element antenna, and a ground plane 410 . .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는 각 요소 안테나(310, 320, 330, 340)에 포함된 네 개의 송신 포트(313, 323, 333, 343) 및 네 개의 수신 포트(314, 324, 334, 344)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 한다. 각 요소 안테나(310, 320, 330, 340)의 방사 패치(312, 322, 332, 342)는 패치의 단락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금속 단락핀(315, 325, 335, 345)을 포함한다. 배열 안테나는 각 방사 패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coupling)을 줄이기 위해서 금속 격벽(400)을 포함한다. 각 요소 안테나(310, 320, 330, 340)에 포함된 송신 포트(313, 323, 333, 343)에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스터브(316, 326, 336, 346)가 위치하고 있고, 수신 포트(314, 324, 334, 344)에도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스터브(317, 327, 337, 347)가 위치하고 있다. Th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four transmit ports 313, 323, 333, 343 and four receive ports 314, 324, 334, 344 included in each element antenna 310, 320, 330, 340. I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rough Radiating patches 312 , 322 , 332 , 342 of each element antenna 310 , 320 , 330 , 340 include metal shorting pins 315 , 325 , 335 , 345 that can change the shorting position of the patch. The array antenna includes a metal barrier rib 400 to reduce interference (coupling) that may occur between each radiation patch. Stubs 316, 326, 336, 346 for impedance matching are located in the transmission ports 313, 323, 333, 343 included in each element antenna 310, 320, 330, 340, and the reception port 314, Stubs 317, 327, 337, and 347 for impedance matching are also located at 324, 334, and 344.

각 송신 포트(313, 323, 333, 343)는 원형 편파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각 수신 포트(314, 324, 334, 344)는 각 방사 패치를 통해 선형 편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사 패치(322) 및 제4 방사 패치(342)는 제2 수신 포트(324) 및 제4 수신 포트(344)로 수직 편파 신호를 전달하고, 제1 방사 패치(312) 및 제3 방사 패치(332)는 제1 수신 포트(314) 및 제3 수신 포트(334)로 수평 편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에 포함된 수신 포트 중 일부 수신 포트 그룹은 수직 편파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일부 수신 포트 그룹은 수평 편파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금속 격벽(400)과 각 방사 패치(312, 322, 332, 342)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즉, 거리에 따라서), 방사 패치(312, 322, 332, 342) 간의 격리도 및 각 방사 패치(312, 322, 332, 342)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방사 패턴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Each of the transmission ports 313 , 323 , 333 , and 343 may transmit a circularly polarized signal, and each of the reception ports 314 , 324 , 334 , 344 may receive a linearly polarized signal through each radiation patch. For example, the second radiation patch 322 and the fourth radiation patch 342 transmit a vertically polarized signal to the second reception port 324 and the fourth reception port 344 , and the first radiation patch 312 . And the third radiation patch 332 may transmit a horizontally polarized signal to the first reception port 314 and the third reception port 334 . That is, some of the receiving port groups among the receiving ports included 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used to receive a vertically polarized signal, and some other receiving port groups may be used to receive a horizontally polarized signal.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etal barrier rib 400 and each of the radiation patches 312 , 322 , 332 , 342 (ie, according to the distance), the degree of isolation between the radiation patches 312 , 322 , 332 , 342 and the angle A radiation pattern direction of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adiation patches 312 , 322 , 332 , and 342 may be changed.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급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unit of a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는, 급전 포트(510), 복수의 전력 분배부(521, 522, 523), 복수의 위상 지연부(531, 532, 53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a power feed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feeding port 510 , a plurality of power distribution units 521 , 522 , and 523 , and a plurality of phase delay units 531 , 532 , 533 .

급전 포트(510)를 통해 입력된 송신 신호는 복수의 전력 분배부(521, 522, 523) 및 복수의 위상 지연부(531, 532, 533)를 거쳐 송신 포트 (313, 323, 333, 343)까지 전달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hrough the power supply port 510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distribution units 521 , 522 , 523 and a plurality of phase delay units 531 , 532 , 533 , and then through the transmission ports 313 , 323 , 333 , 343 . can be transmitted up to.

예를 들어, 급전 포트(510)를 통해 입력된 송신 신호는 제1 전력 분배부(521)에서 분배되어 제2 전력 분배부(522) 및 제3 전력 분배부(523)로 입력된다. 이때, 제3 전력 분배부(523)로 입력된 송신 신호는 제1 위상 지연부(531)에 의해 위상이 지연될 수 있다.For example, a transmission signal input through the power supply port 510 is distributed by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521 and is input to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522 and the third power distribution unit 523 . In this case, the phase of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third power distribution unit 523 may be delayed by the first phase delay unit 531 .

이후, 제2 전력 분배부(522)로 입력된 송신 신호는 제2 전력 분배부(522)에서 다시 분배되어 제2 송신 포트(323) 및 제4 송신 포트(343)로 입력된다. 이때 제2 송신 포트(323)으로 입력되는 제2 송신 신호는 제2 위상 지연부(532)에 의해 위상이 지연될 수 있다. 제3 전력 분배부(523)로 입력된 송신 신호는, 제3 전력 분배부(523)에서 다시 분배되어 제1 송신 포트(313) 및 제3 송신 포트(333)로 입력된다. 이때 제1 송신 포트(313)으로 입력되는 제1 송신 신호는 제3 위상 지연부(533)에 의해 위상이 지연될 수 있다.Thereafter,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522 is distributed again by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522 and is input to the second transmission port 323 and the fourth transmission port 343 . In this case, the phase of the second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second transmission port 323 may be delayed by the second phase delay unit 532 .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third power distribution unit 523 is distributed again by the third power distribution unit 523 and is input to the first transmission port 313 and the third transmission port 333 . In this case, the phase of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first transmission port 313 may be delayed by the third phase delay unit 533 .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는, 제1 급전 라인(제2 송신 포트 및 제4 송신 포트를 잇는 라인) 및 제2 급전 라인(제1 송신 포트 및 제3 송신 포트를 잇는 라인)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브리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는 제1 급전 라인 및 제2 급전 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ee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feeding line (a line connecting the second transmission port and a fourth transmission port) and a second feeding line (a line connecting the first transmission port and a third transmission port) not overlapping each other. It may include a bridge 540 for The bridge may be positioned at a point where the first feed line and the second feed line intersect.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에서 급전 포트를 통해 입력된 송신 신호는 4개로 분배되어 4개의 송신 포트로 입력될 수 있다. 각 송신 포트(313, 323, 333, 334)로 입력된 각 신호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고, 각 신호의 위상은 서로 90˚씩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송신 포트(343)로 입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위상은, 인접한 제3 송신 포트(333)로 입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위상 보다 90˚ 빠르고, 이 경우 제1 위상 지연부(531)에서는 송신 신호의 위상을 90˚ 지연시키게 된다. 또한, 제3 송신 포트(333)로 입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위상은 인접한 제2 송신 포트(323)로 입력된 제2 신호의 위상 보다 90˚ 빠르고, 이 경우 제2 위상 지연부(532)에서는 송신 신호의 위상을 180˚ 지연시키게 된다. 또한, 제2 송신 포트(323)로 입력된 제2 신호의 위상은, 인접한 제1 송신 포트(313)로 입력된 제1 신호의 위상 보다 90˚ 빠르고, 이 경우 제3 위상 지연부(533)에서는 송신 신호의 위상을 180˚ 지연시키게 된다. 따라서, 서로 위상이 90˚ 씩 다른 제1 신호 내지 제4 신호가 제1 송신 포트(313) 내지 제4 송신 포트(343)로 입력됨으로써, 원형 편파 송신이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hrough the feeding port in the power fee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vided into four and input to the four transmission ports. The magnitude of each signal input to each of the transmission ports 313 , 323 , 333 , and 334 may be the same, and the phase of each signal may have a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phase of the fourth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fourth transmission port 343 is 90° faster than the phase of the third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adjacent third transmission port 333, in this case the first phase delay In the unit 531, the phase of the transmission signal is delayed by 90°. In addition, the phase of the third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third transmission port 333 is 90° faster than the phase of the second signal input to the adjacent second transmission port 323, in this case the second phase delay unit 532 In this case, the phase of the transmitted signal is delayed by 180°. In addition, the phase of the second signal input to the second transmission port 323 is 90° faster than the phase of the first signal input to the adjacent first transmission port 313, in this case the third phase delay unit 533 In this case, the phase of the transmitted signal is delayed by 180°. Accordingly, the first to fourth signals having different phases by 90° are input to the first transmitting ports 313 to the fourth transmitting ports 343 , thereby implementing circularly polarized wave transmission.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는 4개의 요소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각 요소 안테나로 공급되는 송신 신호의 위상은 서로 90˚씩 다르지만, 각 신호의 위상 차이는 송수신 안테나에 포함된 요소 안테나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에 포함된 요소 안테나가 6개인 경우, 각 송신 포트로 입력되는 송신 신호의 위상은 60˚ 차이를 갖게 되고, 이 경우 60˚ 각도로 배열된 6개의 요소 안테나에 의해 원형 편파 송신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에 포함된 요소 안테나가 n개인 경우, 각 송신 포트로 입력되는 송신 신호의 위상은 360˚/n 만큼의 차이를 갖게 되고, 이 경우 360˚/n 각도로 배열된 n개의 요소 안테나에 의해 원형 편파 송신이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four element antennas, the phases of the transmit signals supplied to each element antenn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90˚, but the phase difference of each signal depends on the number of element antennas included in the transmit/receive antenna. may vary depending on For example, when there are six element antennas included in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hase of the transmit signal input to each transmit port has a 60˚ difference, in this case six elements arranged at a 60˚ angle Circularly polarized transmission may be implemented by the antenna. In addition, when there are n element antennas included in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hase of the transmit signal input to each transmit port has a difference of 360˚/n, and in this case, 360˚/n angle Circularly polarized transmission can be implemented by the arranged n element antennas.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급전부를 통해 각 송신 포트(313, 323, 333, 343)로 입력된 송신 신호는 방사 패치(312, 322, 332, 342)에서 송신될 수 있고, 이때, 송신 신호는 원형 편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의 각 수신 포트(314, 324, 334, 344)를 통해 선형 편파 특성을 갖는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신 포트(324) 및 제4 수신 포트(344)를 통해 수직 편파 특성을 갖는 신호가 수신될 수 있고, 제1 수신 포트(314) 및 제3 수신 포트(334)를 통해 수평 편파 특성을 갖는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each transmission port (313, 323, 333, 343) through the feeding unit shown in Figure 5 can be transmitted from the radiation patch (312, 322, 332, 342),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signal may have a circular polarization characteristic. In addition, a signal having a linear polarization characteristic may be received through each of the reception ports 314 , 324 , 334 , and 344 of FIG. 6 . For example, a signal having a vertic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may be received through the second reception port 324 and the fourth reception port 344 , and through the first reception port 314 and the third reception port 334 . A signal having a horizont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may be received.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반사 손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7 is a graph illustrating a return loss characteristic of a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수신 포트의 반사 손실 특성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송신 포트의 반사 손실 특성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수신 포트의 반사 손실은 920 MHz를 중심으로 약 31 MHz의 대역폭을 보이고 있고, 송신 포트의 반사 손실 특성은 800 MHz에서 1000 MHz까지 -10dB 이하로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return loss characteristic of the reception port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and the return loss characteristic of the transmission port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The return loss of the receiving port shows a bandwidth of about 31 MHz centered on 920 MHz, and the return loss characteristic of the transmit port is less than -10dB from 800 MHz to 1000 MHz.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격리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8 is a graph illustrat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a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급전 포트와 각 수신 포트 간의 격리도 특성이 도시되어 있다. 급전 포트 및 각 수신 포트의 격리도 특성은 중심주파수 920 MHz에서 모두 -30dB 이하로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isolation characteristic between the feeding port and each receiving port of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llustrated.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eeding port and each receiving port are all below -30dB at the center frequency of 920 MHz.

도 9a 내지 도 9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수신 방사 패턴을 나타낸 원형 극차트이다.9A to 9D are circular polar charts illustrating a reception radiation pattern of a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a 내지 도 9d에서 실선은 코-편파(co-polarization) 방사 패턴을 나타내고, 점선은 크로스-편파(cross-polarization) 방사 패턴을 나타낸다. 도 9a에는 제4 방사 패치(342)로 수신되는 신호의 방사 패턴이 도시되어 있고, 코-편파 방사 패턴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 9b에는 제3 방사 패치(332)로 수신되는 신호의 방사 패턴이 도시되어 있고, 코-편파 방사 패턴은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 9c에는 제2 방사 패치(322)로 수신되는 신호의 방사 패턴이 도시되어 있고, 코-편파 방사 패턴은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 9d에는 제1 방사 패치(312)로 수신되는 신호의 방사 패턴이 도시되어 있고, 코-편파 방사 패턴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 방사 패턴이 각각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는 수신시 패턴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다. 9A to 9D, a solid line indicates a co-polarization radiation pattern, and a dotted line indicates a cross-polarization radiation pattern. 9A shows a radiation pattern of a signal received by the fourth radiation patch 342, and the co-polarization radiation pattern is tilted to the right. FIG. 9B shows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third radiation patch 332, and the co-polarization radiation pattern is tilted to the left. 9C shows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radiation patch 322, and the co-polarization radiation pattern is tilted to the left. 9D shows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radiation patch 312, and the co-polarization radiation pattern is tilted to the righ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ception radiation pattern is inclined to the left or the right, respectively, the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mplement pattern diversity during reception.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의 송신 방사 패턴을 나타낸 원형 극차트이다.10 is a circular polar chart illustrating a transmission radiation pattern of a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에서 실선은 코-편파 방사 패턴을 나타내고, 점선은 크로스-편파 방사 패턴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코-편파 방사 패턴은 정면으로 향하는 좌원형편파(left-handed circular polarization) 특성을 나타내고, 크로스-편파 방사 패턴은 우원형편파(right-handed circular polarization) 특성을 나타낸다. 위와 같이 송수신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제어함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는 송신시 패턴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다.In FIG. 10, a solid line indicates a co-polarized radiation pattern, and a dotted line indicates a cross-polarized radiation pattern. Referring to FIG. 10 , the co-polarized radiation pattern exhibits a left-handed circular polarization characteristic, and the cross-polarized radiation pattern exhibits a right-handed circular polarization characteristic. By controlling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mplement pattern diversity during transmission.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는 RFID 운용 환경에서 RFID 시스템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신호의 송수신시 공간, 편파 및 패턴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mplement spatial, polarization, and pattern diversity when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RFID system in an RFID operating environ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Claims (11)

송수신 안테나로서,
2차원 배열로 배치된 복수의 요소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
상기 복수의 요소 안테나로 송신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배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급전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요소 안테나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상기 2차원 배열의 상기 복수의 요소 안테나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요소 안테나는, 방사 패치 및 상기 급전부와 상기 방사 패치 사이에 위치한 송신 포트 및 수신 포트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요소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방사 패치와 상기 금속 격벽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방사 패치 간의 격리도 또는 상기 방사 패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방사 패턴 방향이 변경되는, 송수신 안테나.
A transmit/receive antenna comprising:
An array antenna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array,
A feeding unit for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and receiv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rray antenna, and
A metal barrier rib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of the two-dimensional array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including,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include a radiation patch and a transmission port and a reception port located between the feeding unit and the radiation patch,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radiation patches and the metal barrier rib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the degree of isolation between the radiation patches or the radiation pattern direction of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adiation patch is changed.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요소 안테나는, 접지면을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방사 패치 및 상기 접지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성능 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변경되는, 송수신 안테나.
In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further includes a ground plane, and a distance between the radiation patch and the ground plane is changed to adjus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t/receive antenna.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요소 안테나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스터브 및 상기 스터브와 상기 방사 패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터브의 길이는 상기 송신 포트 또는 상기 수신 포트에서 발생하는 유도성 성분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조절되는, 송수신 안테나.
In claim 1,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further include a stub for impedance matching of the transmit/receive antenna, and a dielectric positioned between the stub and the radiation patch, and the length of the stub is induction generated at the transmit port or the receive port. A transmit/receive antenna adjusted to cancel the sex compon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방사 패치는, 상기 방사 패치의 단락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금속 단락핀을 포함하는, 송수신 안테나.
In claim 1,
The radiation patch includes a metal shorting pin for changing the shorting position of the radiation patch, the transmit/receive antenna.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요소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 포트는 원형 편파 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 안테나.
In claim 1,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ort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transmit and receive circularly polarized signals.
제7항에서,
상기 급전부는, 미리 결정된 크기만큼 위상차가 있는 복수의 송신 신호를 상기 복수의 송신 포트로 각각 전달하는, 송수신 안테나.
In claim 7,
The power feeding unit transmit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having a phase difference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to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ports.
제8항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크기는, 360도를 상기 복수의 요소 안테나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결정되는, 송수신 안테나.
In claim 8,
The predetermined size is determined by dividing 360 degrees by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the transmit/receive antenna.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요소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수신 포트는 선형 편파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안테나.
In claim 1,
A plurality of reception port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receive a linearly polarized signal.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요소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수신 포트 중 제1 수신 포트 그룹은 수직 편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 포트 중 제2 수신 포트 그룹은 수평 편파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안테나.
In claim 1,
A first receiving port group of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ement antennas receives a vertically polarized signal, and a second receiving port group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s receives a horizontally polarized signal.
KR1020150146295A 2014-10-20 2015-10-20 RFID reader antenna KR1023812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87,862 US9979072B2 (en) 2014-10-20 2015-10-20 RFID reader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2028 2014-10-20
KR1020140142028 2014-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314A KR20160046314A (en) 2016-04-28
KR102381296B1 true KR102381296B1 (en) 2022-03-31

Family

ID=5591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295A KR102381296B1 (en) 2014-10-20 2015-10-20 RFID reader an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2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642B1 (en) * 2016-08-19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Antenna apparatus
KR102169512B1 (en) * 2019-05-30 2020-10-2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Localiz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uav and rfid platform
KR102108684B1 (en) 2019-08-21 2020-05-08 주식회사 기가레인 Mimo antenna module
KR102279849B1 (en) * 2020-05-06 2021-07-21 (주)에스피에스 Wearable UHF RFID reader antenna
KR102475205B1 (en) * 2020-11-04 2022-12-07 주식회사 알에프텍 Rfid reader apparatus
CN112688089A (en) * 2020-12-23 2021-04-20 华南理工大学 Novel multimode broadband directional diagram diversity microstrip antenn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1388A1 (en) * 2000-11-17 2002-08-01 Ems Technologies Radio frequency isolation card
US20090274072A1 (en) * 2005-06-22 2009-11-05 Knox Michael E Antenna feed network for full duplex cummunication
US20100026584A1 (en) * 2008-07-31 2010-02-04 Denso Corporation Microstrip array antenn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1388A1 (en) * 2000-11-17 2002-08-01 Ems Technologies Radio frequency isolation card
US20090274072A1 (en) * 2005-06-22 2009-11-05 Knox Michael E Antenna feed network for full duplex cummunication
US20100026584A1 (en) * 2008-07-31 2010-02-04 Denso Corporation Microstrip array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314A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9072B2 (en) RFID reader antenna
KR102381296B1 (en) RFID reader antenna
US10008782B2 (en) Low coupling full-duplex MIMO antenna array with coupled signal cancelling
US10020594B2 (en) Array antenna
US6252553B1 (en) Multi-mode patch antenna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nd steering a spatial null
US11024972B2 (en) Antenna and antenna module including the antenna
US20140266953A1 (en) Antenna having split directors and antenna array comprising same
US9799954B2 (en) Apparatus with multi-directional radiation capability using multiple antenna elements
CN104993238B (en) A kind of method of circular polarization microstrip antenna and broadening circular polarization microstrip antenna bandwidth
KR100641636B1 (en) Dual Polarization Antenna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US20160006132A1 (en) Dual-feed dual-polarization high directivity array antenna system
KR101973440B1 (en) Antenna and antenna module having the same
US9847582B2 (en) Wideband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STAR) antenna with miniaturized TEM horn elements
US20130201066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loop antenna with four spaced apart coupling points and reflector and associated methods
Heino et al. Design of phased array architectures for full-duplex joint communications and sensing
US20130201065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loop antenna with four spaced apart coupling points and associated methods
Kavitha et al. A wide-scan phased array antenna for a small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a review
KR101865135B1 (en) Array Antenna
KR101237905B1 (en) Rfid reader antenna
CN103943972A (en) Combined type antenna structure
Lee et al. Design of a bandwidth enhanced dual-band dual-polarized array antenna
WO2016028869A1 (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tenna with cross-channel isolation using magneto-dielectric material
KR101679554B1 (en)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
US20170005402A1 (en) Multiband communications and repeater system
Nayan et al. MIMO 2× 2 RHCP array antenna for point-to-point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