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900B1 - Card and appication pay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Card and appication pay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900B1
KR102379900B1 KR1020200105025A KR20200105025A KR102379900B1 KR 102379900 B1 KR102379900 B1 KR 102379900B1 KR 1020200105025 A KR1020200105025 A KR 1020200105025A KR 20200105025 A KR20200105025 A KR 20200105025A KR 102379900 B1 KR102379900 B1 KR 10237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magnetic
card
inform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3369A (en
Inventor
이정용
윤현오
Original Assignee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900B1/en
Publication of KR20220023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3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9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IC카드가 결합되는 IC카드 결합홈 및 마그네틱카드가 이동가능하도록 연장된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을 구비한 케이스부; IC카드 결합홈 내에 배치되어 IC카드 결합홈에 IC카드가 결합되면 집적회로에 접촉하여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IC카드 판독부;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마그네틱카드가 이동하면 마그네틱선에 접촉하여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마그네틱 판독부; 및 마그네틱 판독부로부터 연장되고 설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수신부가 배치되어 MST 방식의 금융결제앱으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추가판독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금융결제앱이 구비된 단말기를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에 접촉시키면 마그네틱 판독부 또는 추가판독부에 의해 결제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yment device combined with a card and a financial payment app, comprising: a case unit having an IC card coupling groove to which an IC card is coupled and a magnetic card moving groove extending so that the magnetic card is movable; an IC card reader disposed in the IC card coupling groove to receive payment information by contacting the integrated circuit when the IC card is coupled to the IC card coupling groove to generate a payment signal; When the magnetic card mov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a magnetic reading unit that contacts the magnetic wire to receive payment information and generate a payment signal; and an additional reading unit extending from the magnetic reading unit and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set length to receive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MST method financial payment app and generating a payment signal, wherein the user selects a terminal equipped with a financial payment app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a payment signal is generated by the magnetic reading unit or the additional reading unit.

Description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CARD AND APPICATION PAYMENT APPARATUS}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combined payment device {CARD AND APPICATION PAY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마그네틱카드 결제와 더불어 각종 페이결제가 용이한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yment device combined with a card and a financial payment app that facilitates various types of payment in addition to magnetic card payment.

최근 공공기관이나 다양한 업체에서 무인판매 또는 무인행정처리 등을 수행하기 위한 키오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입출력을 통해 원하는 제품을 구매하거나 원하는 서류발급 등 행정처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 최근 그 사용량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a kiosk for performing unmanned sales or unmanned administrative processing, etc. is being used in public institutions or various companies. A kiosk is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purchase a desired product through input/output of a display or to perform administrative processing such as issuance of a desired document, and the use of the kiosk is increasing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이와 별개로 최근 전 세계적으로 비주기적 발병 신종 바이러스의 확산, 특히 코로나 19의 확산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 등 비대면 분위기가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비대면 방식의 무인결제 시스템, 키오스크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Separately, as a non-face-to-face atmosphere such as social distancing has begun to spread due to the spread of a new virus, especially the spread of Corona 19, the use of non-face-to-face unmanned payment systems and kiosks is rapidly increasing. is the trend

이와 별개로, 일반적으로 키오스크뿐만 아니라 매장의 포스기 등을 통해 신용카드 등과 같은 마그네틱카드와 더불어 삼성페이나 애플페이 등 다양한 모바일용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결제수단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실제로, 삼성페이의 경우 2019년 5월 기준으로 출시 44개월만에 누적결제액 40조원, 가입자수는 1,400만명을 돌파하여 금융결제앱의 결제사용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part from this, in general, various payment methods that can be used for payment through various mobile payment methods such as Samsung Pay or Apple Pay as well as magnetic cards such as credit cards are used not only through kiosks but also through POS devices in stores. In fact, in the case of Samsung Pay, as of May 2019, the accumulated payment amount exceeded 40 trillion won and the number of subscribers exceeded 14 million in 44 months after its launch, confirming that the frequency of payment use of financial payment apps is gradually increasing.

또한, 이러한 금융결제앱을 통해 사용액을 결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마그네틱카드 전용 결제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금융결제앱 중 대부분으로 사용되는 삼성페이나 애플페이의 경우, 마그네틱 보안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 이하 MST) 기술이 사용되어 무선으로 마그네틱 신용카드의 정보를 마그네틱카드 전용 결제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되는 마그네틱카드 결제장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추가 구성품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ay the amount used through such a financial payment app, a magnetic card-only payment device is generally requir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amsung Pay or Apple Pay, which are mostly used among financial payment apps,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technology is used to wirelessly transmit magnetic credit card information to a magnetic card-only payment device to make payment. can be done This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existing magnetic card payment devices because it does not need to utiliz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install additional components.

이에 따라 기존 결제장치와 동일하게 키오스크나 포스기 등에는 마그네틱카드 전용 결제장치가 매립되거나 추가 설치되어 제공되고 있다. 단적으로 마그네틱카드는 마그네틱카드 전용 결제장치에 형성된 홈을 통해 카드를 긁으면서 카드 뒷면에 형성된 마그네틱저장부 홈 내부에 배치된 카드 판독기를 지나가면서 카드 판독기의 코일에 전기신호를 유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로부터 카드의 정보를 입력받아 결제가 이루어진다.Accordingly, like the existing payment devices, a magnetic card-only payment device is embedded or additionally installed in a kiosk or a POS machine. In short, the magnetic card passes through the card reader disposed inside the magnetic storage groove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card while swiping the card through the groove formed in the payment device dedicated to the magnetic card, and induces an electrical signal in the coil of the card reader, and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payment is made by receiving the card information from the signal.

이러한 종래의 마그네틱카드 전용 결제장치에 대한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와 같다. The prior art literature for such a conventional magnetic card-only payment device is as follows.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실용문헌][Practical literature]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9-0003359호 (발명의 명칭 : 자외선 및 마그네틱 체크기능이 있는 신용카드결제기)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9-0003359 (Title of Invention: Credit card payment machine with UV and magnetic check function)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활용하여 삼성페이와 같은 금융결제앱을 통해 MST 방식으로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단말기 보유자 또는 결제자가 단말기를 마드네틱 카드 전용 결제장치의 카드 판독기 근처에 접촉시켜 단말기에 저장된 신용카드 정보를 마그네틱카드 전용 결제장치의 카드 판독기로 전송하여야 한다. In general, when payment is made in the MST method through a financial payment app such as Samsung Pay us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he terminal holder or the payer touches the terminal near the card reader of the payment device dedicated to the magnetic card and sends it to the terminal. The stored credit card information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card reader of the magnetic card-only payment device.

그런데 키오스크나 포스기 등에 설치되는 마그네틱카드 결제장치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추가 구성이 병합되면서 길이가 길어지는 추세에 있으며 더불어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의 크기 역시 커지고 있는 추세에 따라, 외부에서 마그네틱카드 전용 결제장치 내부의 카드 판독기의 위치나 단말기 내의 결제센서 위치를 명확히 알지 못함에 따라 접촉을 통해 한번에 결제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as the length of the magnetic card payment device installed in a kiosk or POS device is getting longer or additional components are merged, the length tends to get longer. As the location of the card reader inside the payment device or the location of the payment sensor in the terminal is not clearly known, there is a problem that payment cannot be made at once through contact.

상세히, 사용자는 마그네틱카드 전용 결제장치에서 결제가 이루어질 때까지 단말기를 이동시키면서 접촉시켜야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위치에 접촉시키지 못하는 경우 감도가 약해져 결제가 제시간에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detail, the user has to contact the terminal while moving it until the payment is made in the payment device dedicated to the magnetic card, and if the user does not contact the terminal at the correct location, the sensitivity is weakened and the payment cannot be made in time.

이에 따라, 점심시간과 같이 결제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시점에서는 사용자의 불편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금융결제앱의 최대 효율인 순간적인 결제의 효용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causes inconvenience to users at times when payment is frequently made, such as lunch time, but also the utility of instantaneous payment, which is the maximum efficiency of the financial payment app, is reduced.

이러한 문제의 보완책으로 삼성 등 금융결제앱 공급업체나 결제장치 공급업체에서 금융결제앱 결제 시 접촉시켜야 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는 스티커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결제장치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As a supplement to this problem, financial payment app providers such as Samsung or payment device providers are providing stickers that can be attached to locations where they need to be contacted when paying with financial payment apps, but this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and the aesthetics of the payment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harm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삼성페이 등 금융결제앱을 통한 결제신호의 감응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yment device combined with a card and a financial payment app that can improve the range of response of a payment signal through a financial payment app such as Samsung Pay.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는 IC카드가 결합되는 IC카드 결합홈 및 마그네틱카드가 이동가능하도록 연장된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을 구비한 케이스부; 상기 IC카드 결합홈 내에 배치되어 상기 IC카드 결합홈에 상기 IC카드가 결합되면 집적회로에 접촉하여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IC카드 판독부; 상기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네틱카드가 이동하면 마그네틱선에 접촉하여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마그네틱 판독부; 및 상기 마그네틱 판독부로부터 연장되고 설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수신부가 배치되어 MST 방식의 금융결제앱으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추가판독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금융결제앱이 구비된 단말기를 상기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에 접촉시키면 상기 마그네틱 판독부 또는 상기 추가판독부에 의해 결제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combin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unit having an IC card coupling groove to which an IC card is coupled and a magnetic card moving groove extending so that the magnetic card is movable; an IC card reading unit disposed in the IC card coupling groove to receive payment information by contacting an integrated circuit when the IC card is coupled to the IC card coupling groove to generate a payment signal; a magnetic reading unit for receiving payment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payment signal by contacting a magnetic wire when the magnetic card mov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and an additional reading unit extending from the magnetic reading unit and dispos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by a set length to receive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MST-type financial payment app and generate a payment signal; When the provided terminal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a payment signal is generated by the magnetic reading unit or the additional reading unit.

또한, 상기 마그네틱 판독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일면에 상기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선에 접촉하여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마그네틱 헤더부; 및 상기 마그네틱헤더부를 상기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마그네틱 헤더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선은 제1 결제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정보영역, 제2 결제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정보영역 및 제3 결제정보가 저장되는 제3 정보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금융결제앱은 제2 결제정보가 저장되는 제4 정보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틱 헤더부는 상기 제1 정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영역, 상기 제2 정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영역 및 상기 제3 정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3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제3 수신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gnetic reading unit may include: a magnetic header unit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on one surface of the case unit and contacting the magnetic wire to receive payment information and generate a payment signal; and a magnetic header fixing part for fixing the magnetic header part in an exposed state to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wherein the magnetic wire is a first information area in which first payment information is stored, and a second information in which second payment information is stored. An information area and a third information area for storing third payment information are formed, the financial payment app has a fourth information area for storing second payment information, and the magnetic header unit is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information area from the first information area. 1 Divided into a first reception area for receiving payment information, a second reception area for receiving the second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second information area, and a third reception area for receiving the third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third information area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상기 마그네틱 헤더부의 상기 제2 수신영역의 감응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틱 이동홈에 접촉시키면, 상기 마그네틱판독부의 상기 제2 수신영역이 상기 제4 정보영역의 상기 제2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brings the terminal into contact with the magnetic moving groove disposed in the sensing area of the second receiving area of the magnetic header part, the second receiving area of the magnetic reading unit is the second payment of the fourth information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yment signal is generated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또한, 상기 추가판독부는, 일단이 상기 마그네틱 헤더부의 상기 제2 수신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마그네틱 헤더부로부터 설정길이만큼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신영역의 수신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제4 수신영역이 형성된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dditional reading unit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reception area of the magnetic header part and extending from the magnetic header part by a set length; and a receiving uni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and having a fourth receiving area receiving the receiving power of the second receiving area to receive the second payment information.

또한, 상기 설정길이는 마그네틱 헤더부의 상기 제2 수신영역의 감응영역 이상의 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t lengt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stanc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nsitive area of the second reception area of the magnetic header part.

또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상기 수신부의 상기 제4 수신영역의 감응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틱 이동홈에 접촉시키면, 상기 추가판독부의 상기 제4 수신영역이 상기 제4 정보영역의 상기 제2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brings the terminal into contact with the magnetic moving groove disposed in the sensitive area of the fourth receiving area of the receiving unit, the fourth receiving area of the additional reading unit is the second payment information in the fourth information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receiving a payment signal is generat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combin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우선, MST 기술을 활용한 금융결제앱을 활용하여 결제할 경우, 신용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감응면적이 기존 장치에 비해 월등하게 높아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어떤 위치에 접촉시키더라도 결제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First of all, when making a payment using a financial payment app using MST technology, the responsive area for receiving a credit card signal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xisting devices, so the effect of payment is made no matter where the user touches the terminal. there is.

또한, 이러한 효율에 따라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자의 결제시간이나 결제편의가 향상되고 혼잡한 시간에 카운터 등에서의 결제시간 낭비를 최소화함에 따라 결제에 소모되는 인력 및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fficiency, the payment time or payment convenience of the payer who proceeds with the payment is improved, and the waste of payment time at the counter during congested times is minimized, thereby saving manpower and time consumed for the payment.

또한, 사용자의 불편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스티커 등 부가적인 제품을 부착하거나 추가할 필요도 없고, 더불어 종래 마그네틱카드 및 IC카드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결제장치를 활용하여 다양한 결제수단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user inconvenience is minimized and there is no need to attach or add additional products such as stickers, and in addition, conventional magnetic cards and IC cards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가 구비된 키오스크 장치의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의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의 하면도 및 마그네틱 판독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의 전측 하부사시분해도.
1 is a front view of a kiosk device provided with a card and a financial payment app combin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ayment device combined with a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payment device combined with a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bottom view and a magnetic reading unit of a payment device combined with a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lower perspective exploded view of a payment device combined with a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r method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그네틱카드나 IC카드 등 다양한 체크카드나 신용카드뿐만 아니라, 삼성페이 등 마그네틱 보안전송 기술을 활용한 금융결제앱을 활용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결제장치를 간략하게 “결제장치”로 호칭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yment device for both a card and a financial payment app that can make payment using various check or credit cards such as magnetic cards and IC cards, as well as financial payment apps using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technology such as Samsung Pay Therefore, hereinafter, such a payment device will be briefly referred to as a “paymen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가 구비된 키오스크 장치의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의 전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의 하면도 및 마그네틱 판독부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의 전측 하부사시분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kiosk device equipped with a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combin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combin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a payment device combined with a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ding unit, and FIG. 5 is an exploded front, lower perspective view of the payment device for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장치(100)는 키오스크(1)나 포스기 등 결제를 진행하기 위한 장치에 매립 또는 설치되거나, 또는 결제만을 위한 별도의 결제장치(100)로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오스크(1)에 설치된 결제장치(100)를 기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장치에 결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1 to 5 , the pay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or installed in a device for payment, such as a kiosk 1 or a POS machine, or a separate payment device for payment only. (100) may exist.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description is based on the payment device 100 installed in the kiosk 1,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coupled to various devices.

키오스크(1)는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10), 본체부(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고 원하는 입력을 제공받는 입출력부(20), 입출력부(20) 하측에 배치되어 양 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제장치(100), 결제 후 제공되는 영수증이 외부로 출력되는 영수증출력부(30) 및 원격으로 바코드나 QR코드 등을 입력받는 코드리더기(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kiosk 1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forming the entire exterior to output information to the user and receive a desired input and input/output unit 20, below the input/output unit 20 It can include a payment device 100 of a form that is arranged and extended on both sides, a receipt output unit 30 that outputs a receipt provided after payment, and a code reader 40 that remotely receives barcodes or QR codes, etc. there is.

각 구성 중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장치(100)를 제외한 타 구성은 일반적인 키오스크(1)의 구성과 동일한 바, 공지의 기술로 간주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f each configuration,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pay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kiosk 1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it is considered a known technolog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고 키오스크(1) 등에 결합될 수 있으며 신용카드 등 실물카드가 결합되거나 이동될 수 있는 케이스부(110), 케이스부(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마그네틱카드(300) 또는 금융결제앱의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마그네틱 판독부(130),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IC카드(200)의 신호를 수신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IC 판독부(120), 마그네틱 판독부(130)로부터 연장되어 단말기를 통한 금융결제앱의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추가 판독부(140), 마그네틱 판독부(130), IC 판독부(120) 및 추가 판독부(140)로부터 수신된 마그네틱카드(300)나 IC카드(200)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pay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exterior, can be coupled to the kiosk 1, and the like, and includes a case unit 110 and a case unit 110 to which a real card such as a credit card can be coupled or moved.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gnetic readout unit 130 that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magnetic card 300 or financial payment app to generate a payment signal,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se unit 110 and receives the signal of the IC card 200. IC reading unit 120 that generates a payment signal, an additional reading unit 140 extending from the magnetic reading unit 130 and generating a payment signal of a financial payment app through a terminal, magnetic reading unit 130, IC reading unit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50 for transmitting the magnetic card 300 or IC card 200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120 and the additional reading unit 140 . Below,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케이스부(110)는 신용카드가 결합 또는 이동될 수 있는 결제공간을 제공하고, 외관을 형성하여 키오스크(1)에 결합될 수 있는 수단이다. 아래에서는 신용카드를 그 결제방식에 따라 마그네틱카드(300)와 IC카드(200)로 구분한다. 다만, 이는 결제를 위해 용어를 구분한 것인 바, 신용카드는 마그네틱카드(300)와 IC카드(200)를 모두 겸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The case unit 110 provides a payment space in which a credit card can be coupled or moved, and is a means that can be coupled to the kiosk 1 by forming an exterior. Below, the credit card is divided into a magnetic card 300 and an IC card 200 according to the payment method. However, since this is a separate term for payment, a credit card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both the magnetic card 300 and the IC card 200 .

상세히, 케이스부(110)는 전면에 배치되어 케이스부(110)의 전면만 개방되고 양 측으로 연장된 홈 형태로 형성되어 마그네틱카드(300)가 지나가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 상기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IC카드(200)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IC카드 결합홈(112),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 하단에 배치되어 마그네틱 판독부(130)가 결합되기 위한 판독부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ase unit 11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unit 110, only the front side of the case unit 110 is opened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extending to both sides to provide a space for the magnetic card 300 to pass through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 an IC card coupling groove 112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to provide a space for the IC card 200 to be coupled, and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to provide a magnetic reading unit (130) may include a reading unit coupler to be coupled.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은 케이스부(11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마그네틱카드(300)가 처음 삽입되는 제1 부분(111a)과 결제를 위한 이동로를 제공하는 제2 부분(11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case unit 110, and a first part 111a into which the magnetic card 300 is first inserted and a moving path for payment. It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part 111b provided.

이 경우, 제1 부분(111a)의 상하폭은 제2 부분(111b)의 상하폭에 비해 넓은 폭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카드를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의 제1 부분(111a)에 신용카드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부분(111b)은 상하폭이 마그네틱카드(300)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마그네틱카드(300)가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수평 혹은 수직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In this case, as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first part 111a are wider tha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second part 111b, the user moves the car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to move the magnetic card. It serves to easily insert a credit card into the first portion 111a of the moving groove 111 . In addition, the second part 111b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widths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magnetic card 300 so that the magnetic card 300 is horizontally or vertically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 It serves as a guide for moving.

IC카드 결합홈(112)은 케이스부(110)의 전면이 개구되도록 배치되고, 양측길이가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의 양측길이보다 좁은 길이를 가진다. 이는 사용자가 IC카드(200)를 삽입시켜 결합시키기 위한 홈으로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과는 다르게 단순히 카드를 꽂아 결합시키면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The IC card coupling groove 112 is arranged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unit 110 is opened, and both sides have a length that is narrower than the side length of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 This is because, unlike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 as a groove for the user to insert and couple the IC card 200 , payment can be made by simply inserting the card and combining it.

또한, 케이스부(110)의 하면, 즉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이 형성되는 하면의 하측에는 마그네틱 판독부(130) 및 추가 판독부(140)가 배치되기 위한 배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판독부결합구(114)는 케이스부(110)의 하면 중앙에 개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마그네틱 판독부(130)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rrangement space for arranging the magnetic reading unit 130 and the additional reading unit 14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unit 110 , that is, below the lower surface where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is formed. In this case, the reading unit coupler 114 is formed in the form of an opening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unit 110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magnetic read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to protrude upward.

케이스부(110)는 양 측에 배치되어 키오스크(1)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결합부(113)의 위치나 형상은 결합되기 위한 장치의 구조나 형상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개구형태로 형성되어 나사등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방식 뿐만 아니라 용접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The case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coupling units 113 disposed on both sides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kiosk 1 by screws or the like. However,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coupling part 113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device to be coupled, and may be coupled in various ways such as welding as well as a coupling method in which a screw is inserted and coupled by being formed in an opening shape. make it clear that

마그네틱 판독부(130)는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마그네틱카드(300)가 접촉되면 마그네틱카드(300)에 형성된 마그네틱저장부(310)의 정보를 판독하고 이를 통해 결제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마그네틱 판독부(130)는 마그네틱저장부(310)에 접촉하여 정보를 취득하여 판독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마그네틱 헤더부(131), 마그네틱 헤더부(131)와 판독부결합구(114)에 각각 결합되어 마그네틱 헤더부(131)가 판독부결합구(114)를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도록 배치하기 위한 마그네틱 헤더고정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gnetic reading unit 130 is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to read the information of the magnetic storage unit 310 formed in the magnetic card 300 when the magnetic card 300 comes into contact, and is a means capable of generating a payment signal through this. In detail, the magnetic reading unit 130 contacts the magnetic storage unit 310 to obtain information and reads it to generate a payment signal.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and the reading unit coupler 114. Each coupled to the magnetic header portion 131 may include a magnetic header fixing portion 132 for arranging so as to protrude upward through the reading unit coupling hole 114 to be fixed.

마그네틱 헤더부(131)는 판독부결합구(114)를 통해 상측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을 통해 마그네틱카드(300)를 이동시키는 경우, 마그네틱저장부(310)와 접촉하여 마그네틱카드(30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다.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is disposed to penetrate upward through the reading unit coupling hole 114 so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magnetic card 300 through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the magnetic storage unit 310 and It is a means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magnetic card 300 by contact.

상세히, 마그네틱 헤더부(131)는 제1 수신영역(131a), 제2 수신영역(131b) 및 제3 수신영역(131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수신영역(131a)의 경우 보유자이름, CVC정보 등이 저장되어 해당 정보가 수신될 수 있는 구간이고 이는 국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2 수신영역(131b)은 마그네틱카드(300)의 카드번호, 유효기간 및 CVC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간이며, 제3 수신영역(131c)은 마그네틱카드(300)는 기프트카드 등에서 사용되는 정보인 카드번호 및 유효기간, CVC코드 정보가 수신될 수 있는 영역이다.In detail,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ception area 131a, a second reception area 131b, and a third reception area 131c. In the case of the first reception area 131a, the holder's name, CVC information, etc. are stored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this may be an area not used in Korea. In addition, the second receiving area 131b is a section in which the card number, expiration date, and CVC information of the magnetic card 300 can be received, and the third receiving area 131c is the magnetic card 300 is used for gift cards, etc. This is the area where card number, expiration date, and CVC code information, which are information to be received, can be received.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그네틱카드(300)의 마그네틱저장부(310)의 정보영역에 대응되기 위한 구성으로, 마그네틱저장부(310)은 제1 정보영역, 제2 정보영역 및 제3 정보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정보영역의 경우 제1 수신영역(131a)으로 수신되기 위한 보유자이름, CVC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고, 제2 정보영역에는 제2 수신영역(131b)에 수신되기 위한 마그네틱카드(300)의 카드번호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제3 정보영역에는 제3 수신영역(131c)으로 수신되기 위한 마그네틱카드(300)의 기프트카드 결제등을 위한 카드번호 및 유효기간, CVC코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This is a configuration to correspond to the information area of the magnetic storage unit 310 of the generally used magnetic card 300, and the magnetic storage unit 310 is divided into a first information area, a second information area and a third information area. can be In the case of the first information area, the holder's name and CVC information to be received in the first reception area 131a may be stored, and the magnetic card 300 to be received in the second reception area 131b in the second information area. of card number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in the third information area, the card number, expiration date, and CVC code information for gift card payment, etc. of the magnetic card 300 to be received in the third receiving area 131c are stored. can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마그네틱카드(300)를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마그네틱저장부(310)의 제1 정보영역 내지 제3 정보영역에 저장된 정보는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제1 수신영역(131a) 내지 제3 수신영역(131c)으로 수신될 수 있다. 마그네틱 헤더부(131)는 수신된 카드정보를 바탕으로 결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process of the user moving the magnetic card 300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to third information areas of the magnetic storage unit 310 is the magnetic header. It may be received in the first reception area 131a to the third reception area 131c of the unit 131 .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may generate a payment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card information.

또한, 단말기를 활용한 결제방식, 즉 MST 방식의 금융결제앱을 활용한 결제방식의 경우에는 제4 정보영역이 형성되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4 정보영역에 저장되는 정보는 마그네틱저장부(310)의 제2 정보영역에 저장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일 수 있고, 상세히는 카드번호 정보일 수 있다. 단말기를 이용한 MST 방식의 금융결제앱을 활용한 결제방식의 경우 카드번호 정보만을 활용하여 결제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ayment method using a terminal, that is, a payment method using a financial payment app of the MST method, a fourth information area is formed to transmi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ourth information area may be the same information a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information area of the magnetic storage unit 310, and in detail may be card number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payment method using a financial payment app of the MST method using a terminal, a payment signal may be generated using only card number information.

이에 따라, 단말기가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감응영역, 상세히 제2 수신영역(131b)의 감응영역 내에 접촉되는 경우,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제2 수신영역(131b)이 금융결제앱의 제4 정보영역에 저장된 카드번호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nsitive area of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in detail, within the sensitive area of the second receiving area 131b, the second receiving area 131b of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is applied to the financial payment app. A payment signal may be generated by receiving card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fourth information area.

마그네틱 헤더고정부(132)는 마그네틱 헤더부(131)가 판독부결합구(114)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그네틱 헤더부(13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마그네틱 헤더고정부(132)는 마그네틱 헤더부(131) 및 케이스부(1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마그네틱 헤더고정부(132)는 중앙에 마그네틱 헤더부(131)가 노출되도록 노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양 측단에 케이스부(110) 상면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를 위한 형상일 뿐 마그네틱 헤더부(13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 제한은 없음을 밝혀둔다. The magnetic header fixing part 132 is a means for stably fixing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so that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passes through the reading unit coupling hole 114 and protrudes upwardly. To this end, the magnetic header fixing part 132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and the case part 110 . In detail, the magnetic header fixing part 132 may have an exposure hole formed in the center to expose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 and coupling parts for fix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part 110 may be disposed at both side ends. However, this is only a shape for illustration, and if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can be stably fixe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hape.

또한, 마그네틱 헤더고정부(132)는 마그네틱 헤더부(131)나 추가 판독부(140)가 마그네틱저장부(310) 또는 MST 방식의 금융결제앱에 의한 신호가 효율적으로 수신될 수 있도록 도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gnetic header fixing unit 132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or the additional reading unit 140 can efficiently receive a signal by the magnetic storage unit 310 or the MST-type financial payment app. can be done

IC 판독부(120)는 IC카드 결합홈(112)에 IC카드(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면 IC카드(200)의 정보를 수신 및 판독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IC 판독부(120)는 IC카드(200)에 배치된 집적회로에 접촉하여 집적회로에 저장된 카드번호, 소유자 정보, 유효기간 등 결제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C 판독부(120)는 IC카드 결합홈(112) 내부에 IC카드(200)가 IC카드 결합홈(11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 집적회로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C카드(200)의 정보를 수신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공지기술인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IC reading unit 120 is a means capable of generating a payment signal by receiving and reading information of the IC card 200 when the IC card 20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C card coupling groove 112 . In detail, the IC reading unit 120 may contact the integrated circuit disposed in the IC card 200 to read payment information such as card number, owner information, and expiration date stored in the integrated circuit. To this end, the IC reading unit 12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integrated circuit when the IC card 200 is inserted into the IC card coupling groove 112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C card coupling groove 112 . The technology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IC card 200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추가 판독부(140)는 마그네틱 판독부(130)로부터 연장되어 MST 방식의 금융결제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 및 판독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추가 판독부(140)는 마그네틱 판독부(130)에 일단이 연결되어 설정길이만큼 연장된 연장부(141) 및 연장부(141)의 타단에 배치되어 MST 방식의 금융결제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 및 판독하고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수신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dditional reading unit 140 is extended from the magnetic reading unit 130 and is a means capable of generating a payment signal by receiving and reading information from the MST-type financial payment app. In detail, the additional reading unit 14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magnetic reading unit 130 and is disposed at the extension 141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141 extended by a set length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MST-type financial payment app. It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142 that receives and reads and generates a payment signal.

연장부(141)는 마그네틱 판독부(130)의 마그네틱 헤더부(131)와 수신부(142) 사이에 배치되어 양 구성을 연결할 수 있다. 상세히, 연장부(141)는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도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단이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제2 수신영역(131b)에 연결되고 타단이 수신부(14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제2 수신영역(131b)의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수신부(142) 역시 제2 수신영역(131b)과 동일한 역할을 제4 수신영역이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제4 수신영역은 MST 방식의 금융결제앱의 제4 정보영역에서 전달되는 카드번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extension part 14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and the receiver 142 of the magnetic reading part 130 to connect both components. In detail, the extension part 141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rough which a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ceiving area 131b of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142 . .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ceiving unit 142 can also perform the same role as the second receiving area 131b by receiving the received signal of the second receiving area 131b of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 . That is, the fourth reception area may receive card numb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ourth information area of the MST-type financial payment app.

또한, 연장부(141)는 설정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마그네틱 헤더부(131)와 수신부(142)가 설정길이만큼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길이는 케이스부(110) 양 측의 길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길이이나 마그네틱 판독부(130), 상세히는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제2 수신영역(131b)의 감응영역 이상의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마그네틱 헤더부(131)가 케이스부(110)의 중앙에 배치된 경우, 설정길이는 케이스부(110)의 중앙에서부터 일단까지의 길이의 1/2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141 may be formed to have a set length so that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and the receiver 142 are spaced apart by a preset length. Here, the set length is a length that can be set by a user depending on the length of both sides of the case unit 110 , but is longer than the sensitive area of the magnetic reading unit 130 , specifically, the second receiving area 131b of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 It is preferably formed with For example, when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ase part 110 , the set length may be formed to be 1/2 the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case part 110 to one end.

수신부(142)는 연장부(141)의 타단에 배치되어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제2 수신영역(131b)의 수신력을 전달받아 마그네틱카드(300)의 번호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제4 수신영역이 형성된 수단이다. 상세히, 수신부(142)는 연장부(141)로부터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제2 수신영역(131b)의 수신력을 전달받아 제4 수신영역을 통해 MST 방식의 금융결제앱의 제4 정보영역에 저장된 카드번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력 전달을 위해 신호가 전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MST 방식의 금융결제앱을 통해 카드번호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도체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142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unit 141 and receives the receiving power of the second receiving area 131b of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to receive a fourth recep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number information of the magnetic card 300 . It is the means by which the area is formed. In detail, the receiving unit 142 receives the reception power of the second receiving area 131b of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from the extension 141 and through the fourth receiving area to the fourth information area of the MST-type financial payment app. Stored card number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a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ransmit reception power, and it can be formed of a conductor coil to efficiently receive card number information through an MST-type financial payment app.

또한, 수신부(142)는 케이스부(110)의 하면 일측에서 설정길이만큼 마그네틱 헤더부(131)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더불어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과는 케이스부(110) 하면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길이는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제2 수신영역(131b)이 원격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감응영역 이상의 거리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14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by a set length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unit 110, and in addition to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and the case unit 110 It may be disposed in a physically separated state by the lower surface. Here, the set length may be a distanc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nsing region in which the second receiving region 131b of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can receive a signal remotely.

이에 따라 마그네틱카드(300)가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1 부분(111a)에서 제2 부분(111b)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마그네틱저장부(310)와 수신부(142)가 접촉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고, 마그네틱카드(300)의 마그네틱저장부(310)에 저장된 제1 내지 제3 정보영역의 정보가 제4 수신영역에 수신되지 않아, 사용자가 마그네틱카드(300)를 통해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수신부(142)를 통해 결제신호가 수신되어 결제가 중복되어 이루어지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when the magnetic card 300 moves from the first part 111a to the second part 111b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the magnetic storage unit 310 and the receiving unit 142 does not occur, and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to third information areas stored in the magnetic storage unit 310 of the magnetic card 300 is not received in the fourth reception area, so that the user selects the magnetic card 300 When payment is made through the payment signal, the paymen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142, and thus a problem in which the payment is duplicated can be prevented.

수신부(142)는 케이스부(110)의 하면 일측에 고정되기 위해 실리콘 등을 통해 접합될 수 있고, 이 뿐만 아니라 케이스부(110) 하면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끼움결합하는 방법 등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케이스부(110) 하면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방식에 대한 제한은 없다. The receiving unit 142 may be bonded through silicon or the like to be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unit 110 , and in addition to this,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forming a fixing groo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unit 110 and fitting are used. When the case part 110, it can be coupled to one side,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coupling method.

정보전송부(150)는 IC 판독부(120) 및 마그네틱 판독부(130)와 연결되어 IC 판독부(120), 마그네틱 판독부(130) 및 추가 판독부(140)에 의해 생성된 결제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전송부(150)가 결제신호를 키오스크(1)의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제장치(100)가 포스기에 설치되거나 자체적으로 결제장치(100)로 활용되는 경우에는 정보전송부(150)가 포스기의 제어부나 자체 내장 제어부로 결제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IC reading unit 120 and the magnetic reading unit 130 to receive the payment signal generated by the IC reading unit 120 , the magnetic reading unit 130 and the additional reading unit 140 . It is a means for transmitting to the control unit. In this embodiment,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50 may transmit a payment signal to the control unit of the kiosk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50 may transmit a payment signal to the control unit of the POS device or its own built-in control unit.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100)의 동작상태를 각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payment device 100 combined with a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each configuration.

사용자가 일반적인 IC카드(200)를 사용하여 결제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IC카드(200)를 IC카드 결합홈(112)에 삽입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IC카드(200)가 IC카드 결합홈(112)에 결합되면 IC 판독부(120)는 삽입된 IC카드(200)의 집적회로에 접촉하여 집적회로에 내부에 저장된 카드번호, 소유자정보 및 유효기간 등 결제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IC 판독부(120)는 판독된 결제정보를 바탕으로 결제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결제신호는 정보전송부(150)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되어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for the user to proceed with payment using a general IC card 200, first, the IC card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IC card coupling groove 112 to be coupled. When the IC card 200 is coupled to the IC card coupling groove 112, the IC reading unit 120 contacts the integrated circuit of the inserted IC card 200, and the card number, owner information, and expiration date stored therein in the integrated circuit. payment information can be read. The IC reading unit 120 may generate a payment signal based on the read payment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paym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50 to make payment.

또한, 사용자가 마그네틱카드(300)를 사용하여 결제를 진행하기 위해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에 마그네틱카드(300)를 이동시켜 마그네틱카드(300)의 마그네틱저장부(310)와 마그네틱 판독부(130)의 마그네틱 헤더부(131)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네틱저장부(310)의 제2 정보영역에 저장된 카드번호 정보 및 제3 정보영역에 저장된 카드 소유자 및 유효기간 정보 등이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제2 수신영역(131b) 및 제3 수신영역(131c)에 의해 수신되어 결제정보가 판독될 수 있다. 마그네틱 판독부(130)에 의해 판독된 결제정보를 바탕으로 결제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결제신호는 정보전송부(150)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oves the magnetic card 300 to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payment using the magnetic card 300, the magnetic storage unit 310 and the magnetic reading unit of the magnetic card 300 (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of 130 may be contacted. In this case, the card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information area of the magnetic storage unit 310 and card owner and expiration d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third information area are stored in the second reception area 131b and the second information area of the magnetic header unit 131 . 3 Received by the receiving area 131c, payment information can be read. A payment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payment information read by the magnetic reading unit 130 , and the generated paymen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50 .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MST 기술을 활용한 금융결제앱을 통해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MST 기술기반의 금융결제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결제장치(10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는 단말기를 결제장치(100)의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 근처의 케이스부(110)에 접촉시킬 수 있다. Finally, a case in which the user proceeds with payment through a financial payment app using MST technology will be described. The user may contact the payment device 100 with the terminal on which the MST technology-based financial payment app is installed. In detail, the user may bring the terminal into contact with the case unit 110 near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of the payment device 100 .

이 경우, 단말기가 결제장치(100)의 제1 연장홈 중앙측 케이스부(110)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감응영역 내부에 들어올 수 있고, 이에 따라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제2 수신영역(131b)에서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제4 정보영역에 저장된 카드번호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case part 110 on the central side of the first extension groove of the payment device 100, it may enter the sensitive area of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and accordingly,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A payment signal may be generated by receiving card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fourth information area generated from the terminal in the second receiving area 131b of the .

반대로, 단말기가 결제장치(100)의 제1 연장홈 일측이나 타측의 케이스부(110), 즉 마그네틱 헤더부(131)의 감응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마그네틱 헤더부(131)로부터 설정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추가 판독부(140)의 수신부(142)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부(142)의 감응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신부(142)의 제4 수신영역에서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제4 정보영역에 저장된 카드번호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case part 110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groove of the payment device 100, that is, outside the sensitive area of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set from the magnetic header part 131 Since the receiving unit 142 of the additional reading unit 14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length, it may be disposed within the sensing region of the receiving unit 142, and thus generated from the terminal in the fourth receiving region of the receiving unit 142 A payment signal may be generated by receiving the card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fourth information area.

즉, 단말기가 제1 연장홈 중앙측이나 일측, 또는 타측 등 다양한 위치의 케이스부(110)에 접촉되더라도 마그네틱 판독부(130) 또는 추가 판독부(140) 중 어느 하나의 감응영역에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MST 방식의 금융결제앱에 형성된 제4 정보영역의 카드번호 정보가 수신될 수 있고, 사용자는 단말기를 한 번의 접촉만으로 결제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even if th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case unit 110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central side of the first extension groove, one side, or the other side, it can contact any one of the sensitive area of the magnetic reading unit 130 or the additional reading unit 140 . Therefore, card number information of the fourth information area formed in the MST-type financial payment app can be received, and the user can generate a payment signal with only one contact with the terminal.

또한, 추가 판독부(140)는 케이스부(110)의 상면에 의해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마그네틱카드(300)가 마그네틱카드 이동홈(111)을 지나가는 과정에서 마그네틱저장부(310)이 추가 판독부(140)의 수신부(142)에 접촉할 가능성이 전무하고, 따라서 마그네틱카드(300)의 결제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dditional reading unit 140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unit 110 , the magnetic card 300 passes through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1 .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storage unit 3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unit 142 of the additional reading unit 140 , and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stability for payment of the magnetic card 300 can be improv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inly looked 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결제장치 110 : 케이스부
111 : 마그네틱카드 이동홈 112 : IC카드 결합홈
114 : 판독부결합구 120 : IC 판독부
130 : 마그네틱 판독부 131 : 마그네틱 헤더부
132 : 마그네틱 헤더고정부 140 : 추가 판독부 141 : 연장부 142 : 수신부
150 : 정보전송부
100: payment device 110: case unit
111: magnetic card moving groove 112: IC card coupling groove
114: reading unit coupler 120: IC reading unit
130: magnetic reading unit 131: magnetic header unit
132: magnetic header fixing unit 140: additional reading unit 141: extension unit 142: receiving unit
150: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Claims (6)

IC카드가 결합되는 IC카드 결합홈 및 마그네틱카드가 이동가능하도록 연장된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을 구비한 케이스부;
상기 IC카드 결합홈 내에 배치되어 상기 IC카드 결합홈에 상기 IC카드가 결합되면 집적회로에 접촉하여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IC카드 판독부;
상기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네틱카드가 이동하면 마그네틱선에 접촉하여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마그네틱 판독부; 및
상기 마그네틱 판독부로부터 연장되고 설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수신부가 배치되어 MST 방식의 금융결제앱으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추가판독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금융결제앱이 구비된 단말기를 상기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에 접촉시키면 상기 마그네틱 판독부 또는 상기 추가판독부에 의해 결제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
a case unit having an IC card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IC card is coupled and a magnetic card moving groove extending so that the magnetic card can be moved;
an IC card reading unit disposed in the IC card coupling groove to receive payment information by contacting an integrated circuit when the IC card is coupled to the IC card coupling groove to generate a payment signal;
a magnetic reading unit that contacts a magnetic wire to receive payment information and generate a payment signal when the magnetic card mov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and
An additional reading unit extending from the magnetic reading unit and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set length to receive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MST method financial payment app and generating a payment signal;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combined pay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contacts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financial payment app to the magnetic card moving home, a payment signal is generated by the magnetic reading unit or the additional read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판독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일면에 상기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선에 접촉하여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마그네틱 헤더부; 및
상기 마그네틱헤더부를 상기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마그네틱 헤더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선은 제1 결제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정보영역, 제2 결제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정보영역 및 제3 결제정보가 저장되는 제3 정보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금융결제앱은 제2 결제정보가 저장되는 제4 정보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틱 헤더부는 상기 제1 정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영역, 상기 제2 정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영역 및 상기 제3 정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3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제3 수신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gnetic reading unit,
a magnetic header par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part so as to be exposed to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and contacting the magnetic wire to receive payment information and generate a payment signal; and
and a magnetic header fixing part for fixing the magnetic header part in a state exposed to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The magnetic wire has a first information area for storing first payment information, a second information area for storing second payment information, and a third information area for storing third payment information,
The financial payment app is formed with a fourth information area in which the second payment information is stored,
The magnetic header unit includes a first reception area for receiving the first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first information area, a second reception area for receiving the second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second information area, and a second reception area for receiving the second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third information area. 3 Payment device combined with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a third reception area for receiving payment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상기 마그네틱 헤더부의 상기 제2 수신영역의 감응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에 접촉시키면,
상기 마그네틱판독부의 상기 제2 수신영역이 상기 제4 정보영역의 상기 제2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user brings the terminal into contact with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arranged in the sensitive area of the second receiving area of the magnetic header part,
The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combined pay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eceiving area of the magnetic reading unit receives the second payment information of the fourth information area and generates a payment sig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판독부는,
일단이 상기 마그네틱 헤더부의 상기 제2 수신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마그네틱 헤더부로부터 설정길이만큼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신영역의 수신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제4 수신영역이 형성된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dditional reading unit,
an extension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reception area of the magnetic header part and extending from the magnetic header part by a set length;
and a receiving uni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unit to receive the receiving power of the second receiving area and having a fourth receiving area configured to receive the second payment inform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길이는 마그네틱 헤더부의 상기 제2 수신영역의 감응영역 이상의 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t length is a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combined pay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stanc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nsitive area of the second receiving area of the magnetic header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상기 수신부의 상기 제4 수신영역의 감응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틱카드 이동홈에 접촉시키면,
상기 추가판독부의 상기 제4 수신영역이 상기 제4 정보영역의 상기 제2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및 금융결제앱 겸용 결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user brings the terminal into contact with the magnetic card moving groove disposed in the sensitive area of the fourth receiving area of the receiving unit,
The card and financial payment app combined pay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reception area of the additional reading unit receives the second payment information of the fourth information area and generates a payment signal.
KR1020200105025A 2020-08-21 2020-08-21 Card and appication payment apparatus KR1023799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025A KR102379900B1 (en) 2020-08-21 2020-08-21 Card and appication pay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025A KR102379900B1 (en) 2020-08-21 2020-08-21 Card and appication pay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369A KR20220023369A (en) 2022-03-02
KR102379900B1 true KR102379900B1 (en) 2022-03-29

Family

ID=8081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025A KR102379900B1 (en) 2020-08-21 2020-08-21 Card and appication pay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90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254B1 (en) 2015-10-05 2019-05-10 주식회사 아모센스 Multi-function complex module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141910B1 (en) 2020-01-13 2020-08-06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Multi-payment terminal having attaching and detaching socket and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605B1 (en) * 2005-04-19 2007-02-20 권도균 Method for Distinguishing Type of Magnetic Card and Card Reader Executing the same
KR101434573B1 (en) * 2013-01-09 2014-08-27 농협은행(주) Mobile card pay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254B1 (en) 2015-10-05 2019-05-10 주식회사 아모센스 Multi-function complex module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141910B1 (en) 2020-01-13 2020-08-06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Multi-payment terminal having attaching and detaching socket and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369A (en)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45444B2 (en) Card Reader Having Discriminator Contact
EP29463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baseband nearfield magentic stripe data transmitter
US8875994B2 (en) Payment interface
US7051932B2 (en) Adaptor for magnetic stripe card reader
KR1017841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baseband nearfield magnetic stripe data transmitter
US7028897B2 (en) Adaptor for magnetic stripe card reader
US20060163353A1 (en) External adaptor for magnetic stripe card reader
WO2003058947A9 (en) Adaptor for magnetic stripe card reader
KR101367342B1 (en) Smart wireless Charging System having NFC Function
KR101594175B1 (en) Smartcard telephone comprising such a card and method for executing a command in such a card
KR20070056974A (en) A terminal device communicating with contact-less ic media, and a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in the terminal device
US20210272091A1 (en) Enabling card and method and system using the enabling card in a pos
KR102379900B1 (en) Card and appication payment apparatus
KR100722872B1 (en) Method for exchanging electronic money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160120410A (en) Non-contact payment information receiver having mst reader and nfc reader
KR101418817B1 (en) Card Payment Apparatus
KR101800717B1 (en) Non-contact fintech receiver coupled with payment terminal for mobile device
CN109313758A (en) Point of sales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less payment
US11010743B2 (en) Enabling card and method and system using the enabling card in a POS
KR20160120409A (en) Mst non-contact payment information receiver
WO2012140625A4 (en) Payment card, cashless payment method
KR200270162Y1 (en) Cellular Phone Battery Having Non-Contact Type RF IC Chip
KR101847412B1 (en) A supplementary battery embedding a prepaid card
KR20090001469A (en) Device for announcing settlement for of radio frequency ic credit card
KR20070103652A (en) Terminal devices for processing payment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