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772B1 - Shock absorbable work shirt - Google Patents

Shock absorbable work shi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772B1
KR102378772B1 KR1020210005239A KR20210005239A KR102378772B1 KR 102378772 B1 KR102378772 B1 KR 102378772B1 KR 1020210005239 A KR1020210005239 A KR 1020210005239A KR 20210005239 A KR20210005239 A KR 20210005239A KR 102378772 B1 KR102378772 B1 KR 102378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work clothes
pocke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은정
김영준
고영화
박지연
Original Assignee
배은정
김영준
고영화
박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은정, 김영준, 고영화, 박지연 filed Critical 배은정
Priority to KR102021000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7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53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having hinged or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Abstract

Disclosed is a construction workwear jacket capable of absorbing impact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construction workwear jacket avoiding bodily injury by absorbing an impact caused by a falling object. The construction workwear jacket capable of absorbing impacts comprises: a pair of first pockets provided on the shoulders of a construction workwear jacket; and a pair of first impact-absorbing panels inserted into the pair of first pockets, respectively.

Description

충격 흡수 가능한 작업복 상의{SHOCK ABSORBABLE WORK SHIRT}Shock-absorbing work clothes top {SHOCK ABSORBABLE WORK SHIRT}

본 발명은 작업복 상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 등에서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충격 흡수 가능한 작업복 상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clothes top,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clothes top capable of absorbing shock that protects the body by absorbing the shock caused by a falling object at a construction site or the like.

건설현장 등에서는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물망을 설치하지만, 그물망 미 설치 구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여전히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In construction sites, etc., nets are install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falling objects, but workers working in areas without nets are still exposed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이를 위해, 안전모 착용은 필수적으로 지켜야 할 안전수칙으로 규정되어 있다.To this end, wearing a hard hat is stipulated as an essential safety rule.

하지만, 안전모만으로는 작업자의 어깨 등과 같은 다른 신체 부위를 보호할 수 없었다.However, the helmet alone could not protect other body parts, such as the shoulder of the worker.

따라서, 안전모 외에 안전조끼를 함께 착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작업복 위에 안전조끼를 착용함으로 인해 움직임이 불편해지고 그로 인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안전조끼는 특수 재질 또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세탁이 어렵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 시 땀, 먼지 등으로 더러워지고, 그로 인해 작업자가 착용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wear a safety vest in addition to the safety helmet,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vement is inconvenient due to wearing the safety vest over the work clothes, thereby reducing the work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afety vest is difficult to wash due to special materials or structural features, it becomes dirty with sweat, dust, etc.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by causing the worker to avoid wearing i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9619호(2018.02.19, 다기능 안전 조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29619 (2018.02.19, multifunctional safety ves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하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세탁이 용이한 충격 흡수 가능한 작업복 상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ck-absorbing work clothes top that protects the body of a worker, minimizes discomfort, and is easy to wash.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복 상의 위에 안전조끼를 입지 않아도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신체 상해를 억제할 수 있는 작업복 상의에 있어서, 상기 작업복 상의의 양 어깨 부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포켓; 상기 작업복 상의의 등 부분에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포켓; 상기 작업복 상의 등 부분에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2 포켓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3 포켓; 상기 한 쌍의 제1 포켓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충격흡수패널; 상기 복수의 제2 포켓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 및 상기 복수의 제3 포켓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3 충격흡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켓은, 상기 작업복 상의의 옷깃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제1 충격흡수패널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구를 구비하는 제1 포켓부, 및 상기 옷깃과 상기 제1 포켓부 사이에서 상기 작업복 상의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삽입구를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단과 양 측단이 상기 작업복 상의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포켓부 상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1 삽입구는 상기 커버부가 잡아당겨진 상태에서만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포켓은, 상기 제2 충격흡수패널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구를 상단에 구비하는 제2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포켓은, 상기 제3 충격흡수패널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제3 삽입구를 상단에 구비하는 제3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충격흡수패널은 작업자의 어깨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충격흡수패널 및 상기 제3 충격흡수패널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향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은 상기 작업복 상의 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가까운 패널일수록 상하 방향의 길이와 두께가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2 포켓 중 해당 패널이 삽입되어야 할 포켓 식별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충격흡수패널은 상기 작업복 상의의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과 구별되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호간에 동일하여 상기 복수의 제3 포켓 중 어느 포켓에도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가능한 작업복 상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ork clothes top capable of absorbing the impact from a falling object and suppressing bodily injury without wearing a safety vest on the work clothes top, a pair of first pocket; a plurality of second pockets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back of the work clothes; a plurality of third pockets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back of the work clothes and respectively disposed below 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s; a pair of first shock-absorbing panel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air of first pockets; a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s; and a plurality of third shock-absorbing panel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third pockets, wherein the first pockets are opened toward the collar of the work clothes so that the first shock-absorbing panels can be detachably inserted. a first pocket portion having a first insertion hole, and a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work clothes between the collar and the first pocket portion to surround the first insertion hole, wherein the cover portion has an upper end and both side ends of the work clothes By being fixed to the top and extending onto the first pocket portion, the first insertion hole is exposed to the outside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ortion is pulled, and the second pocket,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can be detachably inserted and a second pocket portion having a second insertion hole at an upper end, wherein the third pocket includes a third pocket portion having a third insertion hole at the upper end into which 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can be detachably inserted, ,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is made of a curved shape to cover the front and rear of the shoulder of the operator,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and 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is ma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 The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are formed to have a larger length and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panels are closer to the center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ork clothes, so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pocket into which the panel is to be inserted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s. Possibly, the plurality of third shock-absorbing panels are formed to de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lower end of the work clothe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and the length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the same, so that the plurality of third shock-absorbing panels are the same. A shock-absorbing work clothes top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ny of the pockets may be provided.

상기 제1 포켓은, 상기 작업복 상의의 옷깃을 향해 개방된 제1 삽입구를 구비하는 제1 포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cket may include a first pocket portion having a first insertion hole opened toward the collar of the work clothes.

상기 제1 포켓은, 상기 옷깃과 상기 제1 포켓부 사이에서 상기 작업복 상의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삽입구를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cket may include a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work clothes between the collar and the first pocket portion to surround the first insertion hole.

상기 작업복 상의의 등 부분에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포켓; 및 상기 복수의 제2 포켓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포켓은 각각 제2 삽입구를 상단에 구비하는 제2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포켓부는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pocket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back of the work clothes; and a plurality of second shock absorbing panel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s, wherein 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s each include a second pocket portion having a second insertion hole at an upper end thereof, The two pockets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작업복 상의의 등 부분에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3 포켓; 및 상기 복수의 제3 포켓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3 충격흡수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포켓은 각각 제3 삽입구를 상단에 구비하는 제3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포켓부는 상기 복수의 제2 포켓부의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ird pocket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back of the work clothes; and a plurality of third shock-absorbing panel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third pockets, wherein the plurality of third pockets each include a third pocket portion having a third insertion hole at an upper end thereof, Three pockets may be respectively formed below 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s and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제2 충격흡수패널 및 상기 제3 충격흡수패널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은 하단 높이가 상호간에 동일하게 배치되되 상단 높이는 상기 작업복 상의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가까운 패널일수록 높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3 충격흡수패널은 상단 높이가 상호간에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and 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each have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have the same bottom height as each other, and the top height is the top and bottom of the work clothes. The panel may be formed to be higher as the panel is closer to the center line extending in the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third shock-absorbing panels may be disposed to have the same upper end height.

상기 제1 충격흡수패널, 상기 제2 충격흡수패널 및 상기 제3 충격흡수패널은 각각,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완충재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shock-absorbing panel,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and 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includes a panel unit; and a cushioning materia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anel unit.

상기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은 상기 작업복 상의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서 먼 패널일수록 상기 패널부의 두께가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충격흡수패널은 상기 작업복 상의의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패널부의 두께가 연속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have a smaller thickness of the panel part as the panel is farther from the center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ork clothes, and 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has a thickness of the panel part toward the bottom of the work clothes. may be formed to be continuously small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복 상의의 낙하물 충격 예상 부분에 충격흡수패널이 삽입될 수 있는 포켓을 형성함으로써, 충격흡수패널에 의해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고, 작업자가 움직일 때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충격흡수패널을 분리한 상태에서 작업복 상의의 세탁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ocket into which the shock absorbing panel can be inserted in the expected portion of the falling object on the work clothes, the body of the operator can be protected by the shock absorbing panel, and the operator is uncomfortable when moving can be minimized, and it is possible to wash work clothes while the shock-absorbing panel is rem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가능한 작업복 상의의 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작업복 상의의 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작업복 상의에서 제2 포켓부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I - I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변형 예이고,
도 7은 도 6의 작업복 상의에서 제2 포켓부 및 제3 포켓부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II - II에서의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side of the shock-absorbing work clothes 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work clothes of Figure 1,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econd pocket on the work clothes of Figure 3 to be see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 - I of FIG. 3,
Figure 6 is a modified example of Figure 3,
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econd pocket portion and the third pocket portion on the work clothes of Figure 6,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s II - II of FIG. 6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clearly defined in other meanings,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s that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only specific It will be seen that the embodiments are described, and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will be considered to include the plural unless otherwise specified.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described as "including"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the par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upper", it means above or below the componen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it is located above the direction of gravity.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but also indirectly through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a case where it is connected or combined with .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lthough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a certain component,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rresponding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 sequenc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by the term Or,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order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가능한 작업복 상의의 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shock-absorbing work clothes 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가능한 작업복 상의(10)는 한 쌍의 제1 포켓(110) 및 한 쌍의 제1 충격흡수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shock-absorbing workwear to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ir of first pockets 110 and a pair of first shock-absorbing panels 210 . can

한 쌍의 제1 포켓(110)은 작업복 상의(10)의 양 어깨 부분에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first pockets 110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 both shoulder portions of the work clothes top 10 .

제1 포켓(110)은 제1 포켓부(111) 및 커버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cket 110 may include a first pocket part 111 and a cover part 113 .

제1 포켓부(111)는 제1 충격흡수패널(210)이 삽입될 수 있는 주머니 형상일 수 있고, 작업복 상의(10)의 옷깃(11) 측에서 소매(13)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ocket portion 111 may be in the shape of a pocket into which the first shock-absorbing panel 210 can be inserted, and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collar 11 side of the work clothes top 10 to the sleeve 13 side. .

제1 포켓부(111)의 옷깃(11) 측 단부에는 제1 충격흡수패널(210)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삽입구(111a)는 옷깃(11)을 향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A first insertion hole 111a into which the first shock absorbing panel 210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pocket portion 111 on the side of the collar 11 . That is, the first insertion hole 111a may be opened toward the collar 11 .

커버부(113)는 옷깃(11)과 제1 포켓부(111) 사이에서 작업복 상의(10)에 결합되어 제1 삽입구(111a)를 감쌀 수 있다.The cover part 113 may be coupled to the work clothes top 10 between the collar 11 and the first pocket part 111 to surround the first insertion hole 111a.

예를 들어, 커버부(113)는 상단과 양 측단이 작업복 상의(10)에 재봉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제1 포켓부(111) 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작업자는 손가락 등으로 커버부(113)를 잡아당겨서 제1 삽입구(111a)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제1 충격흡수패널(210)을 제1 삽입구(111a)에 삽입한 후 커버부(113)에 의해 제1 포켓부(111)를 덮어줄 수 있다.For example, the cover portion 113 may be extended onto the first pocket portion 111 by fixing the upper end and both side ends of the cover portion 113 to the work clothes top 10 by sewing, etc., and the operator may use the cover portion ( After inserting the first shock-absorbing panel 210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11a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insertion hole 111a is exposed by pulling 113), the first pocket portion 111 is closed by the cover portion 113. can cover

따라서, 제1 포켓부(111)에 삽입된 제1 충격흡수패널(21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shock-absorbing panel 210 inserted into the first pocket portion 111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제1 충격흡수패널(210)은 한 쌍의 제1 포켓(110)에 각각 삽입되어 작업자의 양 어깨를 낙하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가 서서 작업할 때 그러할 수 있다.The first shock-absorbing panel 210 may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 pair of first pockets 110 to protect both shoulders of the operator from falling objects. In particular, this may be the case when the operator works while standing.

제1 충격흡수패널(210)은 어깨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도록 만곡된 형상일 수도 있다.The first shock-absorbing panel 210 may have a curved shape to cove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houlder.

제1 충격흡수패널(210)은 낙하물의 충격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지닌 제1 패널부(211), 및 제1 패널부(211)의 일면에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제1 완충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hock-absorbing panel 21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anel portion 211 and the first panel portion 211 having rigidity enough to withstand the impact of a falling object, and a first cushioning material ( 213) may be included.

도 3은 도 1의 작업복 상의의 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작업복 상의에서 제2 포켓부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I - I에서의 단면도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work clothes of FIG. 1 to be see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econd pocket part on the work clothes of FIG. 3 to be seen, and FIG. is a cross section of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작업복 상의(10)는 복수의 제2 포켓(120) 및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22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3 to 5 , the work clothes top 1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pockets 120 and a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220 .

복수의 제2 포켓(120)은 작업복 상의(10)의 등 부분에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s 120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back of the work clothes top 10 .

제2 포켓(120)은 제2 포켓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포켓부(121)는 제2 충격흡수패널(220)이 삽입될 수 있는 주머니 형상일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ocket 120 may include a second pocket portion 121 . The second pocket portion 121 may have a pocket shape into which the second shock absorbing panel 220 can be inserted,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복수의 제2 포켓부(121)는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호간에 최대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s 12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be disposed as close to each other as possible.

제2 포켓부(121)의 상단에는 제2 충격흡수패널(220)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구(121a)가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insertion hole 121a into which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220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pocket portion 121 .

제2 충격흡수패널(220)은 복수의 제2 포켓(120)에 각각 삽입되어 작업자의 등 부분을 낙하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리고 작업할 때 그러할 수 있다.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220 may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s 120 to protect the operator's back from falling objects. In particular, this may be the case when the operator bends the waist and works.

제2 충격흡수패널(2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22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제2 포켓(120)에 제1 포켓(110)과 달리 커버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제2 충격흡수패널(220)의 임의 이탈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Therefore, unlike the first pocket 110 in the second pocket 120, even without a cover por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rbitrary separation of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220.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220)은 하단 높이가 상호간에 동일하게 배치되되 상단 높이는 작업복 상의(1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A)에 가까운 제2 충격흡수패널(220)일수록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복 상의(10)의 중심선(A)에 가까운 제2 충격흡수패널(220)일수록 상하 방향의 길이가 클 수 있고, 그로 인해 작업자의 목 부분에 최대한 인접한 부분까지 제2 충격흡수패널(22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220 are arranged so that the bottom height is the same with each other, but the top height is higher as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220 is closer to the center line (A)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ork clothes top (10). can be Therefore,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220 closer to the center line (A) of the work clothes top 10 may have a larger vertical length, and thereby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220 to the part closest to the neck of the worker as much as possible. ) can be protected by

제2 충격흡수패널(220)은 낙하물의 충격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지닌 제2 패널부(221), 및 제2 패널부(221)의 일면에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제2 완충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2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anel unit 221 and the second panel unit 221 having rigidity enough to withstand the impact of a falling object, and a second cushioning material ( 223) may be included.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220)은 작업복 상의(10)의 중심선(A)에서 먼 제2 충격흡수패널(220)일수록 제2 패널부(221)의 두께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22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thickness of the second panel portion 221 as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220 is farther from the center line A of the work clothes top 10 .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D2는 D1보다 작고 D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D2 may be smaller than D1 and larger than D3.

따라서,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220)을 충격한 낙하물이 작업자 신체의 양측으로 미끄러져서 충격이 분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alling object that has impacted the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220 may be induced to slide to both sides of the operator's body so that the impact is dispersed.

이 경우, 작업자는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220)의 서로 다른 높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220)이 삽입되어야 할 포켓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or may use the different heigh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220 to easily identify the positions of the pockets into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220 are to be inserted.

도 6은 도 3의 변형 예이고, 도 7은 도 6의 작업복 상의에서 제2 포켓부 및 제3 포켓부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II - II에서의 단면도이다.6 is a modified example of FIG. 3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econd pocket part and the third pocket part on the work clothes of FIG. 6 to be see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II of FIG. .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작업복 상의(10)는 복수의 제3 포켓(130) 및 복수의 제3 충격흡수패널(2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6 to 8 , the work clothes top 1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pockets 130 and a plurality of third shock-absorbing panels 230 .

복수의 제3 포켓(130)은 작업복 상의(10)의 등 부분에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ird pockets 130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back of the work clothes top 10 .

제3 포켓(130)은 제3 포켓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포켓부(131)는 제3 충격흡수패널(230)이 삽입될 수 있는 주머니 형상일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pocket 130 may include a third pocket portion 131 . The third pocket portion 131 may be in the shape of a pocket into which the third shock absorption panel 230 can be inserted,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복수의 제3 포켓부(131)는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호간에 최대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ird pockets 13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be disposed as close to each other as possible.

또한, 제3 포켓부(131)는 복수의 제2 포켓부(121)의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pocket portion 13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 portions 121, respectively.

제3 포켓부(131)의 상단에는 제3 충격흡수패널(230)이 삽입될 수 있는 제3 삽입구(131a)가 형성될 수 있다.A third insertion hole 131a into which the third shock absorbing panel 230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third pocket portion 131 .

제3 충격흡수패널(230)은 복수의 제3 포켓(130)에 각각 삽입되어 제2 충격흡수패널(220)과 함께 작업자의 등 부분을 낙하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리고 작업할 때 그러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허리 부분을 보호하는 충격흡수패널을 제2 충격흡수패널(220)과 제3 충격흡수패널(230)로 상하 구분함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리는 동작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230 may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pockets 130 to protect the operator's back from falling objects together with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220 . In particular, this may be the case when the operator bends the waist and works. In addition, by dividing the shock-absorbing panel that protects the worker's waist into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220 and 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23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comfort in the operation of bending the operator's waist. there is.

제3 충격흡수패널(2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23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제3 포켓(130)에 제1 포켓(110)과 달리 커버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제3 충격흡수패널(230)의 임의 이탈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Therefore, unlike the first pocket 110 in the third pocket 13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rbitrary detachment of 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230 even if the cover portion is not provided.

복수의 제3 충격흡수패널(230)은 상단 높이가 상호간에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ird shock-absorbing panels 230 may have the same top height as each other.

또한, 복수의 제3 충격흡수패널(230)은 하단 높이가 상호간에 동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제3 충격흡수패널(230)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상호간에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hird shock-absorbing panels 230 may be disposed to have the same bottom height. That is, the length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third shock-absorbing panels 230 may be the same.

제3 충격흡수패널(230)은 낙하물의 충격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지닌 제3 패널부(231), 및 제3 패널부(231)의 일면에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제3 완충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23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panel portion 231 and the third panel portion 231 having a rigidity sufficient to withstand the impact of a falling object, and a third cushioning material ( 233) may be included.

제3 패널부(231)의 두께는 작업복 상의(10)의 하단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third panel part 231 may be formed to decrease toward the lower end of the work clothes top 10 .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3 패널부(231)의 상단 두께(D4)는 하단 두께(D5)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the top thickness D4 of the third panel part 231 may be greater than the bottom thickness D5.

따라서, 복수의 제3 충격흡수패널(230)을 충격한 낙하물이 작업자 신체의 후방으로 미끄러져서 충격이 분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alling object that has impacted the plurality of third shock-absorbing panels 230 may slide to the rear of the operator's body and induce the shock to be dispersed.

한편, 제1 포켓(110), 제2 포켓(120) 및/또는 제3 포켓(130)은 작업복 상의(10)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복 상의(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켓(110), 제2 포켓(120) 및/또는 제3 포켓(130)은 작업복 상의(10)의 내측 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ocket 110, the second pocket 120 and / or the third pocket 130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ork clothes top 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work clothes top ( 10)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first pocket 110 , the second pocket 120 , and/or the third pocket 13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 clothes top 10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embodiment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작업복 상의 11: 옷깃
13: 소매 110: 제1 포켓
111: 제1 포켓부 111a: 제1 삽입구
113: 커버부 120: 제2 포켓
121: 제2 포켓부 121a: 제2 삽입구
130: 제3 포켓 131: 제3 포켓부
131a: 제3 삽입구 210: 제1 충격흡수패널
211: 제1 패널부 213: 제1 완충재
220: 제2 충격흡수패널 221: 제2 패널부
223: 제2 완충재 230: 제3 충격흡수패널
231: 제3 패널부 233: 제3 완충재
10: work clothes top 11: collar
13: sleeve 110: first pocket
111: first pocket portion 111a: first insertion hole
113: cover part 120: second pocket
121: second pocket portion 121a: second insertion hole
130: third pocket 131: third pocket portion
131a: third insertion hole 210: first shock-absorbing panel
211: first panel portion 213: first cushioning material
220: second shock-absorbing panel 221: second panel unit
223: second cushioning material 230: third shock-absorbing panel
231: third panel portion 233: third cushioning material

Claims (8)

작업복 상의 위에 안전조끼를 입지 않아도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신체 상해를 억제할 수 있는 작업복 상의에 있어서,
상기 작업복 상의의 양 어깨 부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포켓;
상기 작업복 상의의 등 부분에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포켓;
상기 작업복 상의 등 부분에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2 포켓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3 포켓;
상기 한 쌍의 제1 포켓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충격흡수패널;
상기 복수의 제2 포켓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 및
상기 복수의 제3 포켓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3 충격흡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켓은, 상기 작업복 상의의 옷깃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제1 충격흡수패널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구를 구비하는 제1 포켓부, 및 상기 옷깃과 상기 제1 포켓부 사이에서 상기 작업복 상의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삽입구를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단과 양 측단이 상기 작업복 상의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포켓부 상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1 삽입구는 상기 커버부가 잡아당겨진 상태에서만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포켓은, 상기 제2 충격흡수패널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구를 상단에 구비하는 제2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포켓은, 상기 제3 충격흡수패널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제3 삽입구를 상단에 구비하는 제3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충격흡수패널은 작업자의 어깨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충격흡수패널 및 상기 제3 충격흡수패널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향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은 상기 작업복 상의 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가까운 패널일수록 상하 방향의 길이와 두께가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2 포켓 중 해당 패널이 삽입되어야 할 포켓 식별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충격흡수패널은 상기 작업복 상의의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2 충격흡수패널과 구별되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호간에 동일하여 상기 복수의 제3 포켓 중 어느 포켓에도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가능한 작업복 상의.
In the work clothes top that can absorb the shock caused by falling objects without wearing a safety vest on the work clothes top and suppress bodily injury,
a pair of first pockets formed on both shoulder portions of the work clothes top;
a plurality of second pockets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back of the work clothes;
a plurality of third pockets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back of the work clothes and respectively disposed below 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s;
a pair of first shock-absorbing panel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air of first pockets;
a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s; and
A plurality of third shock-absorbing panel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third pockets,
The first pocket may include a first pocket opening toward the collar of the work clothes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irst shock-absorbing panel can be detachably inserted, and between the collar and the first pocket. Including a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work clothes to surround the first insertion hole,
The upper end and both side ends of the cover portion are fixed on the work clothes and extended onto the first pocket portion, so that the first insertion hole is exposed to the outside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ortion is pulled,
The second pocket includes a second pocket portion having a second insertion hole at an upper end into which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can be detachably inserted,
The third pocket includes a third pocket portion having a third insertion hole at an upper end into which 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can be detachably inserted,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is made of a curved shape to cover the front and rear of the shoulder of the operator,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and 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ar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are closer to the center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ork clothes, the closer the panel The length and thickness in the direction are large, so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pocket into which the panel is to be inserted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pockets, and the plurality of third shock-absorbing panels are formed to de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lower end of the work clothes.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shock-absorbing panels, and since the length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the same, it can be inserted into any of the plurality of third pocke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격흡수패널, 상기 제2 충격흡수패널 및 상기 제3 충격흡수패널은 각각,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완충재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 가능한 작업복 상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shock-absorbing panel, the second shock-absorbing panel and the third shock-absorbing panel,
panel unit; and
Impact-absorbing work clothes including a cushioning materia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anel unit.
삭제delete
KR1020210005239A 2021-01-14 2021-01-14 Shock absorbable work shirt KR102378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239A KR102378772B1 (en) 2021-01-14 2021-01-14 Shock absorbable work shi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239A KR102378772B1 (en) 2021-01-14 2021-01-14 Shock absorbable work shi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772B1 true KR102378772B1 (en) 2022-03-28

Family

ID=8099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239A KR102378772B1 (en) 2021-01-14 2021-01-14 Shock absorbable work shi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772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163Y1 (en) * 2002-06-14 2002-09-09 손승봉 Working vest with protective pad inside
JP2010053494A (en) * 2008-08-29 2010-03-11 Seiko Industrial Co Ltd Body prot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10247130A1 (en) * 2010-04-08 2011-10-13 David Lewandowski Protective garment
KR101456656B1 (en) * 2013-12-16 2014-11-04 손승봉 Safety vest for falling rock
US20150181950A1 (en) * 2007-06-19 2015-07-02 Sport Maska Inc. Protective garment with separate inner and outer shells
JP2017061755A (en) * 2015-09-24 2017-03-30 東洋物産工業株式会社 Back surface protector
KR101829619B1 (en) 2016-11-23 2018-02-19 (주) 티에스기술 Multi Functional Safety Vest
JP2018131724A (en) * 2012-03-19 2018-08-23 ジー−フォーム, エルエルシーG−Form, LLC Impact absorbing protective structure having internal reinforcement and its material
KR20180117962A (en) * 2017-04-20 2018-10-30 김은이 Shoulder pad for protecting head of newborn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163Y1 (en) * 2002-06-14 2002-09-09 손승봉 Working vest with protective pad inside
US20150181950A1 (en) * 2007-06-19 2015-07-02 Sport Maska Inc. Protective garment with separate inner and outer shells
JP2010053494A (en) * 2008-08-29 2010-03-11 Seiko Industrial Co Ltd Body prot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10247130A1 (en) * 2010-04-08 2011-10-13 David Lewandowski Protective garment
JP2018131724A (en) * 2012-03-19 2018-08-23 ジー−フォーム, エルエルシーG−Form, LLC Impact absorbing protective structure having internal reinforcement and its material
KR101456656B1 (en) * 2013-12-16 2014-11-04 손승봉 Safety vest for falling rock
JP2017061755A (en) * 2015-09-24 2017-03-30 東洋物産工業株式会社 Back surface protector
KR101829619B1 (en) 2016-11-23 2018-02-19 (주) 티에스기술 Multi Functional Safety Vest
KR20180117962A (en) * 2017-04-20 2018-10-30 김은이 Shoulder pad for protecting head of newbor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0649A1 (en) Multi-function face protector
KR200435516Y1 (en) Working clothes for user comfortability
KR20110115206A (en) Industrial glove
KR20170003863U (en) Jumpers for field work
KR102378772B1 (en) Shock absorbable work shirt
KR200441735Y1 (en) Safety CAP With Face Shield of Slide Type
KR102196469B1 (en) Safety protecting vest
US20210007426A1 (en) Protection element or attachment for safety glove fingers
KR20210002858A (en) Vest type protector for protecting shoulder and waist
KR20130049872A (en) Safety glove for protecting finger
KR102266915B1 (en) Helmet used for mine removal work
KR100545754B1 (en) Full face shield
ITRM20010156A1 (en) PROCEDURE FOR THE REALIZATION OF CLOTHES PROVIDED WITH PROTECTION ELEMENTS.
KR102353012B1 (en) Work safety helmet with face shield
KR100856434B1 (en) A guards for vest
KR200342583Y1 (en) shoulder protection for working clothes
JP3160916U (en) Protective clothing
KR100725345B1 (en) Hard hat to protect one's back of the head
KR200487082Y1 (en) Multirpurpose safety mask
WO2017108082A1 (en) Safety helmet with enhanced protection against impacts
KR200405335Y1 (en) goggle inserted helmet
KR200423872Y1 (en) safety clothes for work
KR200189041Y1 (en) Safety gloves for work
KR20180023564A (en) A safty cap
JP2017061755A (en) Back surface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