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566B1 -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 Google Patents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566B1
KR102372566B1 KR1020180042547A KR20180042547A KR102372566B1 KR 102372566 B1 KR102372566 B1 KR 102372566B1 KR 1020180042547 A KR1020180042547 A KR 1020180042547A KR 20180042547 A KR20180042547 A KR 20180042547A KR 102372566 B1 KR102372566 B1 KR 10237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light
processor
visu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1103A (en
Inventor
김아나
김근형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0374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50325B1/en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18004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566B1/en
Publication of KR2018004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1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5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출력부; 인터페이스부; 상기 광출력부에서 생성된 광을 기초로, 가시성을 확보를 위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제1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상기 광출력부에서 생성된 광을 이용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tical output unit; interface unit; Based on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control to output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and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irst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It relates to a vehicle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using, controlling to display, and controlling to change the visual image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Description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차량{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and a vehicle.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A vehicle is a device that moves a user in a desired direction. A typical example is a car.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Meanwhile, for the convenience of a user using a vehicle, various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provided. In particular, research on a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for user's driving convenience.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s (Autonomous Vehicle) is being actively made.

한편, 차량용 조명 장치는, 헤드 램프,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방향 지시등, 실내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 장치는, 가시성을 확보하거나, 간단한 신호를 타 차량에 전달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le lighting device may include a head lamp, a rear combination lamp, a direction indicator lamp, and an interior lamp. The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may only perform a function of securing visibility or transmitting a simple signal to another vehicle.

최근에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기본적 기능외에, 운전자, 타 차량 운전자, 보행자 등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Recently,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the development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serving to transmit information to a driver, other vehicle drivers, pedestrians, and the like is required.

특히, 주행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develop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appropriately 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driving sit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시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황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secures visibility, displays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and changes the visual image according to a situa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차량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including the vehicle lighting devi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는, 광출력부; 인터페이스부; 상기 광출력부에서 생성된 광을 통해, 가시성을 확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제1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상기 광출력부에서 생성된 광을 이용해,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igh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output unit; interface unit; Visibility is secured through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and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is displayed us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and the interface unit Through,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nformation, the processor for changing the visual image; includes.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제1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차량 외부에 광을 이용해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시선을 전방에 유지한 채, 제1 정보를 인지하는 효과가 있다.First, by display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using light, there is an effect of recognizing the first information while keeping the driver's gaze forward.

둘째, 제2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함으로써, 주변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그래픽 객체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제1 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효과가 있다.Second, by changing the visual image in response to the second information, by adaptively changing and displaying the graphic object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river accurately recognizes the first information.

셋째, 표시되는 시각적 이미지의 왜곡 여부를 확인하고, 시각적 이미지가 왜국되어 표시되는 경우, 이를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Third, by checking whether the displayed visual image is distorted, and correcting the distortion when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in a distorted state, an accurate visual image is display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3a의 A-B를 절개한 차량용 카메라의 절개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a 내지 도 3f의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예시하고,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a 내지 도 4b의 프로세서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DMD 모듈을 이용해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EMS 스캐너 모듈을 이용해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출력부에 복수의 광원이 포함되는 경우의 차량용 조명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로 상에 표시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정보 및 제2 정보 획득 과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의 형상, 색, 크기 또는 밝기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행하는 타 차량과의 거리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행하는 타 차량의 차체에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의 왜곡 표시를 보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조명 장치가 헤드 램프로 구현되는 경우,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6 내지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조명 장치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로 구현되는 경우,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cutaway side view of a vehicle camera taken along line AB of FIG. 3A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B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internal block diagrams of the processor of FIGS. 3A to 3F , and FIGS. 5A to 5D are diagra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of FIGS. 4A to 4B .
6 is a block diagram referenced to describe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using a DM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using a MEMS scann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when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included in a light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C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 visual image displayed on a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referenced to explain a process of obtaining first information and secon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C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based on vehicle attitu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to 14B are diagrams referenced to describe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7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region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to 19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shape, color, size, or brightness of a visual image to be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visual image in response to distance information from a preceding othe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to 22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on a vehicle body of another prece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orrecting a distortion display of a visu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to 25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visual image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to 45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when a lighting apparatus for a vehicle is implemented as a head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6 to 51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when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is implemented as a rear combination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The vehicl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a concept including an automobile and a motorcycle. Hereinafter, the vehicle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vehicle described herein may be a concept including bo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having an engine as a power source, a hybrid vehicle having an engine and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and an electric vehicle having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means the left side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means the right side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vehicle 100 may include wheels rotated by a power source and a steering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0 .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의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메뉴얼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를 통해 조향 입력, 가속 입력, 제동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ehicle 100 may be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the case of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it may be switched to an autonomous driving mode or a manual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When switching to the manual mode,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100 may receive a steering input, an acceleration input, and a braking input through the driving manipulation device.

차량(100)은,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는, 다양한 센서에서 획득되는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를 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는,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로 명명될 수 있다.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400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400 is a device that assists a driver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various sensors.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400 may be referred to as a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한편, 차량(100)은, 차량용 조명 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헤드 램프, 브레이크 램프, 테일 렘프, 턴 시그널 램프, 룸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600 may include a head lamp, a brake lamp, a tail lamp, a turn signal lamp, a room lamp, and the like.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용 조명 장치(600)로 헤드 램프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일 수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브레이크 램프 및 테일 램프를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will be mainly described as a head lamp,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may be a rear combination lamp. The rear combination lamp includes a brake lamp and a tail lamp.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차량(100)의 제어부(170), 센싱부(135) 또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로부터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수신되는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되는 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수신되는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광을 이용해 표시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수신되는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may receive information, signals, or data from the controller 170 , the sensing unit 135 , or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400 of the vehicle 100 .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600 may control light output based on received information, signals, or data.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may display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signal, or data using light.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600 may change a displayed visual image based on received information, signal, or data.

한편, 차량(100)의 센싱부(135)는, 내부 센싱부(125) 및 외부 센싱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135 of the vehicle 100 may include an internal sensing unit 125 and an external sensing unit 126 .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The overall length refers to the length from the front part to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100 , the width refers to the width of the vehicle 100 , and the height refers to the length from the lower part of the wheel to the roof.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overall length direction (L) is the standard direction for measur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vehicle 100 , the overall width direction (W) is the standard direction for measuring the full width of the vehicle 100 , and the total height direction (H) is the vehicle (100) may mean a direction that is the standard for measuring the total heigh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5), 메모리(130), 출력부(140), 차량 구동부(150), 제어부(170), 인터페이스부(180), 전원 공급부(190),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 및 차량용 조명 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2 , the vehicl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 an input unit 120 , a sensing unit 135 , a memory 130 , an output unit 140 , a vehicle driving unit 150 , a control unit 170 , It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180 , a power supply unit 190 ,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400 , and a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3), 위치 정보 모듈(114), 광통신 모듈(115) 및 V2X 통신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3 ,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4 ,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115 , and a V2X communication module 116 .

통신부(110)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RF(Radio Frequency) 회로 또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RF (Radio Frequency) circuits or elements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3 is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t least on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reless-Fidelity (Wi-Fi), Wi-Fi Direct,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USB) technologies may be used to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차량(100)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3 may form wireless area networks to perform short-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100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3 may wirelessly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3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road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TPEG)) from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user rides the vehicle 100 , the user's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 100 may perform pairing with each other automatically or by executing the user's application.

위치 정보 모듈(114)은, 차량(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4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vehicle 100 ,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For example, if a vehicle utilizes a GPS module, it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한편,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 모듈(114)은 통신부(1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135)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4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35 rather than a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10 .

광통신 모듈(1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115 may include an optical transmitter and an optical receiver.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light receiver may receive information by converting a light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The light receiver may include a photo diode (PD) for receiving light. A photodiode can convert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the light receiv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vehicle in front through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ncluded in the vehicle in front.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1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 차량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optical transmitter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Here,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preferably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optical transmitter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light transmitter may emit an optical signal to the outside by blinking a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transmit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 ar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transmitter may be integrated with a lamp provided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the light transmitter may be at least one of a headlamp, a tail lamp, a brake lamp, a turn indicator lamp, and a vehicle width lamp. For example,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115 may exchange data with another vehicle through optical communication.

V2X 통신 모듈(116)은, 서버 또는 타 차량과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모듈이다. V2X 모듈(116)은 차량간 통신(V2V) 또는 차량과 인프라간 통신(V2I)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또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V2X 통신 모듈(116)을 통해, 외부 서버 또는 타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V2X communication module 116 is a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rver or other vehicle. The V2X module 116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circuit or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a vehicle-to-vehicle (V2V) or vehicle-to-infrastructure (V2I) protocol. The vehicle 100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erver or other vehicle through the V2X communication module 116 .

입력부(120)는, 운전 조작 장치(121), 마이크로 폰(123) 및 사용자 입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driving manipulation device 121 , a microphone 123 , and a user input unit 124 .

운전 조작 장치(121)는, 차량(100)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 조작 장치(121)는 조향 입력 장치, 쉬프트 입력 장치, 가속 입력 장치, 브레이크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manipulation device 121 receives a user input for driving the vehicle 100 . The driving manipulation device 121 may include a steering input device, a shift input device, an acceleration input device, and a brake input device.

조향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장치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teering input device receives a driving direction input of the vehicle 100 from a user. The steering input device is preferably formed in a wheel shape to enable steering input by ro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ering input device may be formed of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button.

쉬프트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장치는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hift input device receives input of parking (P), forward (D), neutral (N), and reverse (R) of the vehicle 100 from a user. The shift input device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hift input device may be formed of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button.

가속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장치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cceleration input device receives an input for acceleration of the vehicle 100 from a user. The brake input device receives an input for decelerating the vehicle 100 from a user. The acceleration input device and the brake input device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ped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cceleration input device or the brake input device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button.

마이크로 폰(1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170)에 전달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123 may process an external acoustic signal as electrical data. The processed data may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 function being performed in the vehicle 100 . The microphone 123 may convert the user's voice command into electrical data. The converted electrical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 .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122) 또는 마이크로폰(123)는 입력부(1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125)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mera 122 or the microphone 123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25 rather than a component included in the input unit 120 .

사용자 입력부(1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1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124)를 조작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24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4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The user input unit 124 may include a touch input means or a mechanical inpu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input unit 124 may be disposed in one area of the steering wheel. In this case, the driver may manipulate the user input unit 124 with a finger while holding the steering wheel.

센싱부(135)는, 차량(100)의 상태 및 차량의 외부 상황을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35)는, 내부 센싱부(125) 및 외부 센싱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5 may sense a state of the vehicle 100 and an external state of the vehicle. The sensing unit 135 may include an internal sensing unit 125 and an external sensing unit 126 .

내부 센싱부(125)는, 차량(100)의 상태를 센싱한다. 내부 센싱부(125)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nal sensing unit 125 senses the state of the vehicle 100 . The internal sensing unit 125 includes a posture sensor (eg, a yaw sensor, a roll sensor, a pitch sensor), a collision sensor, a wheel sensor, a speed sensor, Inclination sensor, weight sensor, heading sensor, yaw sensor, gyro sensor, position module, vehicle forward/reverse sensor, battery sensor, fuel sensor, tire sensor, It may include a steering sensor by steering wheel rotation, a vehicl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 vehicle internal humidity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 accelerator pedal position sensor, a brake pedal position sensor, and the like.

내부 센싱부(125)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The internal sensing unit 125 includes vehicle posture information, vehicle collision information,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vehicle angle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tilt information, vehicle forward/reverse information, Sensing signals for battery information, fuel information, tire information, vehicle lamp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humidity information,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external illumination of the vehicle, pressure applied to the accelerator pedal, and pressure applied to the brake pedal can be obtained

내부 센싱부(125)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nal sensing unit 125 is, in addition, an accelerator pedal sensor, a pressure sensor, an engine speed sensor, an air flow sensor (AFS), an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ATS), a water temperature sensor (WTS), and a throttle pos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TPS), a TDC sensor, a crank angle sensor (CAS), and the like.

외부 센싱부(126)는, 차량의 외부 상황을 센싱할 수 있다. 외부 센싱부(126)는,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차선, 타 차량, 보행자, 빛,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may sense an external condition of the vehicle.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may sense an object located outside the vehicle. Here, the object may include a lane, another vehicle, a pedestrian, a light, a traffic signal, a road, a structure, a speed bump, a feature, an animal, and the like.

차선(Lane)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lane may be a driving lane or a lane next to the driving lane. A lane may be a concept including left and right lines forming a lane.

타 차량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주행 차선의 옆 차선에서 주행 하는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교차로에서 차량(100)의 주행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주행중인 차량일 수 있다.The other vehicle may be a vehicle running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100 . The other vehicle may be a vehicl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100 . The other vehicle may be a vehicle preceding or following the vehicle 100 . The other vehicle may be a vehicle driving in a lane next to the driving lane. The other vehicle may be a vehicle travel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0 at the intersection.

보행자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A pedestrian may be a person located on a sidewalk or a roadway.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The light may be light generated from a lamp provided in another vehicle. The light, can b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street lamp. The light may be sunlight.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 교통 표지판,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ffic signal may include a traffic light, a traffic sign, a pattern or text drawn on a road surface.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ad may include a road surface, a curve, an uphill slope, a slope such as a downhill slope, and the like.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ructure may be an object located around a road and fixed to the ground. For example, the structure may include a street light, a street tree, a building, a power pole, and a traffic light.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eatures may include mountains, hills, and the like.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Meanwhile, the object may be classified into a moving object and a fixed object. For example, the moving object may be a concept including other vehicles and pedestrians. For example, the fixed object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traffic signal, a road, and a structure.

외부 센싱부(126)는, 카메라(200), 레이더(201), 라이더(202), 초음파 센서(203)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may include a camera 200 , a radar 201 , a lidar 202 , and an ultrasonic sensor 203 .

카메라(200)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카메라(200)는, 도 3a 내지 도 3c의 모노 카메라(200a) 및 도 3d 내지 도 3f의 스테레오 카메라(20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be referred to as a vehicle camera device. The camera 200 may include a mono camera 200a of FIGS. 3A to 3C and a stereo camera 200b of FIGS. 3D to 3F .

카메라(20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amera 200 may be located at an appropriate place outside the vehicle in order to acquire an image outside the vehicle.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1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20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2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windshield 10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o acquir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lternatively, the camera 200 may be disposed around the front bumper or the radiator grill.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20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2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glas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o acquire an image of the rear of the vehicle. Alternatively, the camera 200 may be disposed around a rear bumper, a trunk, or a tailgate.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20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2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side window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order to acquire an image of the vehicle side. Alternatively, the camera 200 may be disposed around a side mirror, a fender, or a door.

레이더(201)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201)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레이더(201)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radar 201 may include an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r, a receiver, and a processor. The radar 201 may be implemented in a pulse radar method or a continuous wave radar method in view of a radio wave emission principle. In addition, the radar 201 may be implemented in a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 method or a frequency shift keyong (FSK) method according to a signal waveform among continuous wave radar methods.

레이더(201)는 송신된 전자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The radar 201 may detect an object based on the transmitted electromagnetic wave, and may detect a distance and a relative speed with respect to the detected object.

레이더(201)은 획득된 오브젝트 정보를 제어부(170),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 또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dar 201 may provide the obtained objec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400 , or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600 . Here, the object information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object.

레이더(201)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The radar 201 may be located at an appropriate place outside the vehicle to detect an object located in front, rear or side of the vehicle.

라이더(202)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더 (20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lidar 202 may include a laser transmitter, a receiver, and a processor. The lidar 202 may be implemented in a time of flight (TOF) method or a phase-shift method.

TOF 방식의 라이더(202)는, 레이저 펄스 신호를 방출하고, 오브젝트에 반사되는 반사 펄스 신호를 수신한다. 라이더(202)는, 레이저 펄스 신호가 방출되고 반사 펄스 신호가 수신된 시간을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거리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TOF type lidar 202 emits a laser pulse signal and receives a reflected pulse signal reflected by an object. The lidar 202 may measure the distance to the object based on the time the laser pulse signal was emitted and the reflected pulse signal was received. In addition, the relative speed with the object may be measured based on the change in the distance over time.

한편, 페이즈쉬프트 방식의 라이더(202)는,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변조되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고,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의 위상 변화량을 기초로 시간 및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거리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hase shift type lidar 202 emits a laser beam that is continuously modulated with a specific frequency, and can measure the time and distance to the object based on the phase change amount of the signal reflected back to the object. . In addition, the relative speed with the object may be measured based on the change in the distance over time.

라이더(202)는, 송신된 레이저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The lidar 202 may detect an object based on the transmitted laser, and may detect a distance and relative speed to the detected object.

라이더(202)는, 획득된 오브젝트 정보를 제어부(170),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 또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ider 202 may provide the obtained objec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400 , or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Here, the object information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object.

라이더(202)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The lidar 202 may be positioned appropriately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to detect objects positioned in front, rear or side of the vehicle.

초음파 센서(203)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203)은, 송신된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The ultrasonic sensor 203 may include an ultrasonic transmitter, a receiver, and a processor. The ultrasonic sensor 203 may detect an object based on the transmitted ultrasonic wave, and detect a distance and a relative speed with respect to the detected object.

초음파 센서(203)은 획득된 오브젝트 정보를 제어부(170),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 또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203 may provide the obtained objec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400 , or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600 . Here, the object information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object.

초음파 센서(203)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203 may be located at an appropriate place outside the vehicle to detect an object located i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vehicle.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3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0 . The memory 130 may store basic data for the unit, control data for operation control of the unit, and input/output data. The memory 130 may b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etc. in terms of hardware. The memory 130 may store various data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170 .

출력부(14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41), 음향 출력부(142) 및 햅틱 출력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is for outputt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 and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141 , a sound output unit 142 , and a haptic output unit 143 .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다양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41 may display various graphic objects.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41 may display vehicle-related information. Here,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for direct control of the vehicle or vehicle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for a driving guide to the vehicle driver. In additi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or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41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an electronic ink display (e-ink display) may include at least one.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4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layer structure with each other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the user input unit 124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user.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141 may include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on the display device 141 so as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input by a touch method. Using this, when a touch is made to the display device 141 , the touch sensor detects the touch, and the controller 170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thereon.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struc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41 may include a cluster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vehicle state information or vehicle driving information while driving. The cluster may be located above the dashboard. In this case, the driver may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luster while maintaining the gaze in front of the vehicle.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프런트 윈드 쉴드(10)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프런트 윈드 쉴드(10)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41 may be implemented as a Head Up Display (HUD). When the display device 141 is implemented as a HUD, information may be output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provided in the front windshield 10 . Alternatively, the display device 141 may include a projection module to output information through an image projected on the front windshield 10 .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는 프런트 윈드 쉴드(10)에 부착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41 may include a transparent display. In this case, the transparent display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windshield 10 .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display may display a predetermined screen while having predetermined transparency. Transparent display, in order to have transparency, transparent TFEL (Thin Film Elecroluminescent), transparent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transparent LCD (Liquid Crystal Display), transmissive transparent display, transparent LE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can be adjusted.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내비게이션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41 may function as a navigation device.

음향 출력부(14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1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사용자 입력부(1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ound output unit 142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it. To this end, the sound output unit 142 may include a speaker or the like. The sound output unit 142 may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24 .

햅틱 출력부(1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1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The haptic output unit 143 generates a tactile output. For example, the haptic output unit 143 may vibrate a steering wheel, a seat belt, and a sea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utput.

차량 구동부(1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동력원 구동부(151), 조향 구동부(152), 브레이크 구동부(153), 공조 구동부(155), 윈도우 구동부(156), 에어백 구동부(157), 썬루프 구동부(158) 및 서스펜션 구동부(159)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driving unit 150 may control operations of various devices of the vehicle. The vehicle driving unit 150 includes a power source driving unit 151 , a steering driving unit 152 , a brake driving unit 153 , an air conditioning driving unit 155 , a window driving unit 156 , an airbag driving unit 157 , a sunroof driving unit 158 , and a suspension. A driving unit 159 may be included.

동력원 구동부(151)는, 차량(1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ower source driving unit 151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power source in the vehicle 100 .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1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1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fossil fuel-based engine (not shown) is the power source, the power source driving unit 151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the engine. Thereby, the output torque of an engine, etc. can be controlled. When the power source driving unit 151 is an engine, the speed of the vehicle may be limited by limiting the engine output torqu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1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n electric motor (not shown) is a power source, the power source driving unit 151 may control the motor. Thereby, the rotation speed, torque, etc. of a motor can be controlled.

조향 구동부(152)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The steering driving unit 152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steering apparatus in the vehicle 100 . Thereby,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changed.

브레이크 구동부(153)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The brake driving unit 153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brake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the speed of the vehicle 100 may be reduc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brake disposed on the wheel. As another exampl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0 may be adjusted to the left or right by changing the operation of the brake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공조 구동부(155)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ing driving unit 155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n air cinditioner (not shown)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s high, the air conditioner may be operated to control cooling air to be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윈도우 구동부(156)는, 차량(100)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window driving unit 156 may electronically control a window apparatus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left and right windows of the side of the vehicle.

에어백 구동부(157)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irbag driving unit 157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n airbag apparatus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in case of dang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irbag to be deployed.

썬루프 구동부(158)는, 차량(100)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The sunroof driving unit 158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sunroof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sunroof.

서스펜션 구동부(159)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uspension driving unit 159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suspension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when there is a curvature on the road surface, the suspension device may be controlled to reduce vibration of the vehicle 100 .

한편,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부(150)는 샤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샤시 구동부는 조향 구동부(152), 브레이크 구동부(153) 및 서스펜션 구동부(159)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ehicle driving unit 150 may include a chassis driving unit. Here, the chassis driving unit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steering driving unit 152 , a brake driving unit 153 , and a suspension driving unit 159 .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vehicle 100 . The control unit 170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제어부(1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in hardwa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80 may serve as a passage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80 may have a port connectable to the mobile terminal, and may connect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port. In this case, the interface unit 180 may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한편, 인터페이스부(1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8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terface unit 180 may serve as a passage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a connected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80 ,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 the interface unit 180 may provide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90 to the mobile terminal.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not shown) inside the vehicle.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는, 운전자에 의한 차량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외부 센싱부(126)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의 하위 구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는, 카메라(2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도 3a 내지 도 3c의 모노 카메라(200a) 및 도 3d 내지 도 3f의 스테레오 카메라(20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400 may assist a driver in driv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may be classified into a sub-component of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400 . For example,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400 may include a camera 200 . The camera 200 may include a mono camera 200a of FIGS. 3A to 3C and a stereo camera 200b of FIGS. 3D to 3F .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는, 자동 비상 제동 시스템(이하, AEB :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적응 순향 제어 시스템 (이하, ACC : Adaptive Cruise Control), 측방 접근차량 경고 시스템 (이하, CTA : Cross Traffic Alert), 차선 변경 보조 시스템 (이하, LCA : Lane Change Assistant), 전방 충돌 회피 시스템 (이하, FCW : Foward Collision Warning),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 (이하, LDW : Lane Departure Warning),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이하, LKA : Lane Keeping Assist), 속도 지원 시스템 시스템 (이하, SAS : Speed Assist System), 교통 신호 검출 시스템 (TSR : Traffic Sign Recognition), 적응형 상향등 제어 시스템 (이하, HBA : High Beam Assist), 사각 지대 감시 시스템 (이하, BSD : Blind Spot Detection), 자동 비상 조향 시스템 (이하, AES : Autonomous Emergency Steering), 커브 속도 경고 시스템 시스템 (이하, CSWS : Curve Speed Warning System), 스마트 주차 시스템 시스템 (이하, SPAS : Smart Parking Assist System), 교통 정체 지원 시스템 (이하, TJA : Traffic Jam Assist) 및 어라운드 뷰 모니터 시스템 (이하, AVM : Around View Monitor)을 제공할 수 있다.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400 includes an automatic emergency braking system (hereinafter, 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n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hereinafter, ACC: Adaptive Cruise Control), and a side approach vehicle warning system (hereinafter, CTA: Cross Traffic Alert). ), Lane Change Assistant (LCA: Lane Change Assistant), Forward Collision Avoidance System (FCW: Forward Collision Warning),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DW: Lane Departure Warning), Lane Keeping Assis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LDW) , LKA: Lane Keeping Assist), Speed Assist System (SAS: Speed Assist System), Traffic Sign Recognition (TSR), Adaptive High Beam Control System (HBA: High Beam Assist), blind spot Zone monitoring system (hereinafter, BSD: Blind Spot Detection), automatic emergency steering system (hereinafter, AES: Autonomous Emergency Steering), curve speed warning system system (hereinafter, CSWS: Curve Speed Warning System), smart parking system system (hereinafter, SPAS: Smart Parking Assist System), a traffic jam assist system (hereinafter, TJA: Traffic Jam Assist), and an around view monitor system (hereinafter, AVM: Around View Monitor) may be provided.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획득되는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한 시각적 이미지를 광을 이용해 출력하고, 획득되는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may output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may output light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600 may output a visual imag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signal, or data using light, and may change the visual imag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signal, or data.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3a의 A-B를 절개한 차량용 카메라의 절개 측면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cutaway side view of a vehicle camera taken along line A-B of FIG. 3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차량용 카메라(200)는, 싱글 카메라(200a)이다.The vehicle camera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is a single camera 200a.

차량용 카메라(200a)는, 렌즈(211), 이미지 센서(214)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camera 200a may include a lens 211 , an image sensor 214 , and a processor 470 .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카메라(200a)는, 프로세싱 보드(220), 라이트 쉴드(230), 방열 부재(240), 하우징(250)을 개별적으로 더 포함하거나, 조합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ehicle camera 200a may further include the processing board 220 , the light shield 230 , the heat dissipation member 240 , and the housing 250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한편, 하우징(250)은, 제1 하우징(251), 제2 하우징(252), 제3 하우징(253)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using 25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251 , a second housing 252 , and a third housing 253 .

렌즈(211)는, 렌즈 하우징(217)에 수용된 상태로, 너트(212)를 통해, 제1 하우징(251)의 일 부분에 형성된 홀(219)에 안착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The lens 211 may be fastened to be seated in a hole 219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251 through a nut 212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lens housing 217 .

이미지 센서(214)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광전 변환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214)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i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The image sensor 214 may include at least on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capable of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the image sensor 214 may be a charge-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이미지 센서(214)는, 차량 외부 영상 또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 또는 차량의 내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The image sensor 214 may be locat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outside the vehicle or inside the vehicle to obtain an image outside the vehicle or an image inside the vehicle.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214)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1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센서(214)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e sensor 21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windshield 10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o acquir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lternatively, the image sensor 214 may be disposed around the front bumper or radiator grill.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214)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센서(214)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e sensor 21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glas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o acquire an image of the rear of the vehicle. Alternatively, the image sensor 214 may be disposed around a rear bumper, a trunk, or a tailgate.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214)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센서(214)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e sensor 21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side window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order to acquire an image of the side of the vehicle. Alternatively, the image sensor 214 may be disposed around a side mirror, a fender, or a door.

이미지 센서(214)는, 렌즈(211)를 통해 유입되는 광을 기초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렌즈(211)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214)는, 렌즈(211)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image sensor 214 may be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lens 211 to acquire an image based on the light introduced through the lens 211 . For example, the image sensor 214 may be vert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ens 2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프로세서(470)는, 이미지 센서(2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이미지 센서(214)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컴퓨터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이미지 센서(214)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4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214 . The processor 470 may computer-process an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sensor 214 . The processor 470 may control the image sensor 214 .

프로세서(4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470 is,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processors), a controller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프로세서(470)는, 프로세싱 보드(220) 상에 실장될 수 있다.The processor 470 may be mounted on the processing board 220 .

프로세싱 보드(220)는, 프로세서(270) 및 메모리(440)를 실장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board 220 may mount the processor 270 and the memory 440 .

프로세싱 보드(220)는, 전장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보드(220)는, 전면 또는 배면이 프런트 윈드 쉴드(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보드(220)는, 프런트 윈드 쉴드(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processing board 220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in the overall length direction. For example, the processing board 22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front or rear surface faces the front windshield 10 . For example, the processing board 22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front windshield 10 .

차량(100)에 구비되는 프런트 윈드 쉴드(10)는 일반적으로 차량(100)의 보닛(bonnet)에서부터 루프까지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경우, 프로세싱 보드(220)가 전장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차량용 카메라(200a)는, 프로세싱 보드(220)가 수직 또는 수평되게 배치되는 경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카메라(200a)가 작게 형성됨으로써, 줄어드는 부피만큼 차량(100)내에서 공간이 더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ront windshield 10 provided in the vehicle 100 is generally inclined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round from the bonnet of the vehicle 100 to the roof. In this case, since the processing board 220 is disposed to be inclined in the overall length direction, the vehicle camera 200a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a case in which the processing board 220 is dispos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Since the vehicle camera 200a is formed to be sm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re space can be secured in the vehicle 100 as much as the reduced volume.

프로세싱 보드(220)에는 복수의 소자 또는 전자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싱 보드(220)에 포함되는 복수의 소자 또는 부품들로 인해 열이 발생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evices or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mounted on the processing board 220 . In this case, heat may be generated due to a plurality of elements or components included in the processing board 220 .

프로세싱 보드(220)는, 이미지 센서(241)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싱 보드(220)가 이미지 센서(241)와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프로세싱 보드(2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이미지 센서(241)의 성능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board 22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mage sensor 241 . Since the processing board 22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mage sensor 241 , heat generated from the processing board 220 may not cause a problem in the performance of the image sensor 241 .

프로세싱 보드(220)는, 프로세싱 보드(220)에서 발생한 열이 이미지 센서(241)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보드(220)는, 이미지 센서(241)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싱 보드(220)는, 이미지 센서(241)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processing board 220 may be disposed in an optimal position so that heat generated by the processing board 220 does not affect the image sensor 241 . Specifically, the processing board 220 may be disposed under the image sensor 241 . Alternatively, the processing board 2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image sensor 241 .

프로세싱 보드(220)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440)가 실장될 수 있다. 메모리(440)는, 이미지 센서(241)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프로세서(470) 제어를 위한 데이터 또는 프로세서(47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40)는, 프로세서(470)와 마찬가지로 주요 열 발생 소자 중의 하나이다. 프로세서(470)가 프로세싱 보드(220) 중심에 배치된 상태에서, 메모리(440)는, 프로세서(47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메모리(440)는, 프로세서(470)를 중심에 두고, 프로세서(47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열 발생 소자인 프로세서(470) 및 메모리(440)는 이미지 센서(241)에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One or more memories 440 may be mounted on the processing board 220 . The memory 440 may store images acquired through the image sensor 241 , various application data, data for controlling the processor 470 , or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or 470 . The memory 440, like the processor 470, is one of the main heat generating elements. In a state in which the processor 47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processing board 220 , the memory 440 may be disposed around the processor 470 . For example, the one or more memories 440 may be arrang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processor 470 with the processor 470 at the center. In this case, the processor 470 and the memory 440 that are heat generating elements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furthest from the image sensor 241 .

프로세서(470)는, 제어부(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제어부(1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The processor 4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70 . The processor 47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70 .

라이트 쉴드(230)는, 렌즈(211)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트 쉴드(230)는, 영상 획득에 불필요한 빛이 렌즈(211)에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이트 쉴드(230)는, 윈드 쉴드(10) 또는 차량의 대쉬 보드 등에서 반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라이트 쉴드(230)는, 불필요한 광원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The light shield 23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lens 211 . The light shield 230 may block light unnecessary for image acquisition from flowing into the lens 211 . For example, the light shield 230 may block light reflected from the windshield 10 or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lso, the light shield 230 may block light generated from unnecessary light sources.

라이트 쉴드(230)는, 가림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이트 쉴드(230)는, 하부 가림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light shield 230 may have a shielding structure. For example, the light shield 230 may have a lower shielding structure.

한편, 차종에 따라 라이트 쉴드(230)의 형상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종에 따라, 윈드 쉴드의 곡률, 윈드 쉴드와 지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라이트 쉴드(230)는 차량용 카메라(200a)가 장착되는 차종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라이트 쉴드(230)는, 착탈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shape of the light shield 230 may vary depending on the vehicle model. For example, since the curvature of the windshield and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windshield and the groun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vehicle model, the light shield 23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model on which the vehicle camera 200a is mounted. To this end, the light shield 230 may have a detachable structure.

방열 부재(240)는, 이미지 센서(214)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부재(240)는, 이미지 센서(214) 또는 이미지 센서(214)가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 보드와 접촉될 수 있다. 방열 부재(240)는, 이미지 센서(214)의 열을 처리할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member 24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image sensor 214 . The heat dissipation member 240 may contact the image sensor 214 or an image sensor board on which the image sensor 214 is mounted. The heat dissipation member 240 may process heat from the image sensor 214 .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241)는 열에 민감하다. 방열 부재(240)는, 이미지 센서(214) 및 제3 하우징(2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부재(240)는, 이미지 센서(214) 및 제3 하우징(253)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방열 부재(240)는, 열을 제3 하우징(253)을 통해 방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sensor 241 is sensitive to heat. The heat dissipation member 2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mage sensor 214 and the third housing 253 . The heat dissipation member 24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image sensor 214 and the third housing 253 . In this case, the heat dissipation member 240 may dissipate heat through the third housing 253 .

예를 들면, 방열 부재(240)는, 써멀 패드 및 써멀 구리스 중 어느 하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t dissipation member 240 may be any one of a thermal pad and thermal grease.

하우징(250)은, 렌즈 하우징(217) 제1 하우징(251), 제2 하우징(252) 및 제3 하우징(253)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250 may include a lens housing 217 , a first housing 251 , a second housing 252 , and a third housing 253 .

렌즈 하우징(217)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211)를 수용하고, 렌즈(211)를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다.The lens housing 217 may accommodate at least one lens 211 and protect the lens 211 from external impact.

제1 하우징(251)은, 이미지 센서(241)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51)은 홀(219)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211)는, 렌즈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 홀(219)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미지 센서(214)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25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image sensor 241 . The first housing 251 may include a hole 219 . The lens 211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214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lens housing and seated in the hole 219 .

제1 하우징(251)은, 이미지 센서(214)에 근접할 수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251)은 다이 캐스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열에 의한 이미지 센서(214)의 성능 저하 방지를 위해, 제1 하우징(251)은, 이미지 센서(214)에 근접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251 may be formed to be thicker as it approaches the image sensor 214 . For example, the first housing 251 may be formed by a die casting method.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of the image sensor 214 due to heat, a portion adjacent to the image sensor 214 may be thick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first housing 251 .

제1 하우징(251)은, 제3 하우징(253)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두께가 두꺼우면 열전달이 천천히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하우징(251)의 두께가 제3 하우징(253)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 차량용 카메라(200a)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프런트 윈드 쉴드(1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열방출이 어려운 제1 하우징(251)보다 제3 하우징(253)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housing 251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third housing 253 . If the thickness of the housing is thick, heat transfer occurs slowly. Theref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housing 251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ird housing 253,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vehicle camera 200a is disposed close to the front windshield 10 to prevent heat dissipation. There is an effect of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ird housing 253 rather than the difficult first housing 251 .

한편, 실시예에 따라, 렌즈 하우징(217) 및 제1 하우징(251)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ens housing 217 and the first housing 251 may be integrally formed.

제2 하우징(252)은, 프로세싱 보드(220)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52)은, 제1 하우징(251) 및 제3 하우징(253)과 소정의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The second housing 252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processing board 220 . The second housing 252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housing 251 and the third housing 253 through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제2 하우징(252)은, 라이트 쉴드(230)가 부착될 수 있는 부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라이트 쉴드(230)는 상기 부착 수단을 통해 제2 하우징(252)에 부착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252 may include an attachment means to which the light shield 230 may be attached. The light shield 230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housing 252 through the attachment means.

제1 및 제2 하우징(252, 253)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52 and 253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제3 하우징(253)은, 제1 하우징(251) 및 제2 하우징(252)와 소정의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내지 제3 하우징(251, 252, 253)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housing 253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housing 251 and the second housing 252 through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o third housings 251 , 252 , and 253 may be integrally formed.

제3 하우징(253)은, 프로세싱 보드(22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하우징(253)은, 프로세싱 보드(220)의 후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하우징(253)은,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하우징(253)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하우징(253)이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효율적인 열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rd housing 253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processing board 220 . The third housing 253 may be located at a rear end or a lower end of the processing board 220 . The third housing 253 may be formed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third housing 253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aluminum. Since the third housing 253 is formed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efficient heat dissipation can be achieved.

제1 및 제2 하우징(251, 252)이 합성 수질 재질로 형성되고, 제3 하우징(253)이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차량용 카메라 내부의 열은, 제1 및 제2 하우징(251, 252) 보다 제3 하우징(253)으로 방출될 수 있다. 즉, 차량용 카메라(200a)가 윈드 쉴드에 장착되는 경우, 제1 및 제2 하우징(251, 252)은,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위치하므로, 제1 및 제2 하우징(251, 252)을 통해 열이 방출될 수 없다. 이경우, 제3 하우징(253)을 통해 열이 효율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51 and 252 are formed of a synthetic water material and the third housing 253 is formed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heat inside the vehicle camera is 252 ) may be emitted to the third housing 253 . That is, when the vehicle camera 200a is mounted on the windshiel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51 and 252 are located close to the windshield, and thus hea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51 and 252 It cannot be released. In this case, heat may be efficiently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housing 253 .

한편, 제3 하우징(253)이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경우,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및 ESC(electrostatic discharge)로부터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들(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241) 및 프로세서(470))을 보호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rd housing 253 is made of aluminum, components (eg, the image sensor 241 and the processor 470 ) located therein from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and electrostatic discharge (ESC). ) can be beneficial in protecting

제3 하우징(253)은 프로세싱 보드(220)와 접촉될 수 있다. 이경우, 제3 하우징(253)은, 프로세싱 보드(220)와 접촉되는 부분을 통해 열을 전달여, 외부로 효율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The third housing 253 may be in contact with the processing board 220 . In this case, the third housing 253 may transfer heat through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ocessing board 220 , thereby efficiently dissipating heat to the outside.

제3 하우징(253)은 방열부(2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부(291)는 히트 싱크, 방열핀, 써멀 패드 및 써멀 구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housing 253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on unit 291 . For example, the heat dissipation unit 29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t sink, a heat dissipation fin, a thermal pad, and thermal grease.

방열부(291)는, 차량용 카메라(200a) 내부에서 생성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부(291)는, 프로세싱 보드(220) 및 제3 하우징(25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방열부(291)는, 프로세싱 보드(220) 및 제3 하우징(253)과 접촉하여, 프로세싱 보드(220)에서 생성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unit 291 may radiate heat generated inside the vehicle camera 200a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heat dissipation unit 29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rocessing board 220 and the third housing 253 . The heat dissipation unit 291 may contact the processing board 220 and the third housing 253 to radiate heat generated by the processing board 220 to the outside.

제3 하우징(253)은, 공기 배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홀은, 차량용 카메라(200a) 내부의 고온의 공기를 차량용 카메라(200a)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홀이다. 차량용 카메라(200a) 내부에 공기 배출홀과 연결된 공기 유동부가 포함될 수 있다. 공기 유동부는, 차량용 카메라(200a) 내부의 고온의 공기를 공기 배출홀로 유도할 수 있다.The third housing 253 may further include an air discharge hole. The air discharge hole is a hole for discharging the high-temperature air inside the vehicle camera 200a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camera 200a. An air flow unit connected to an air exhaust hole may be included in the vehicle camera 200a. The air flow unit may guide the high-temperature air inside the vehicle camera 200a to the air exhaust hole.

차량용 카메라(200a)는, 방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습부는, 패치(patch)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 배출부에 부착될 수 있다. 방습부는, 고어텍스 재질을 방습 부재일 수 있다. 방습부는, 차량용 카메라(200a) 내부의 습기는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방습부는, 차량용 카메라(200a) 외부의 습기의 내부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The vehicle camera 200a may further include a moisture barrier. The moisture-proof par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atch and attached to the air exhaust part. The moisture-proof part may be a moisture-proof member made of a Gore-Tex material. The moisture-proof unit may leak moisture inside the vehicle camera 200a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moisture-proof unit may prevent the inflow of moisture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camera 200a.

도 3d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3d의 C-D를 절개한 차량용 카메라의 절개 측면도이다.3D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E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F is a cutaway side view of the vehicle camera taken along line C-D of FIG. 3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d 내지 도 3f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차량용 카메라(200)는, 스테레오 카메라(200b)이다.The vehicle camera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D to 3F is a stereo camera 200b.

스테레오 카메라(200b)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싱글 카메라(200a)에 대한 설명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즉, 스테레오 카메라(200b)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 각각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카메라일 수 있다.As for the stereo camera 200b, the description of the single camera 200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may be applied. That i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included in the stereo camera 200b may be the camer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

스테레오 카메라(200b)는, 제1 렌즈(211a), 제2 렌즈(211b), 제1 이미지 센서(214a), 제2 이미지 센서(214b) 및 프로세서(470a)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reo camera 200b may include a first lens 211a, a second lens 211b, a first image sensor 214a, a second image sensor 214b, and a processor 470a.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카메라(200b)는, 프로세싱 보드(220a), 제1 라이트 쉴드(230a), 제2 라이트 쉴드(230b), 하우징(250a)을 개별적으로 더 포함하거나, 조합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ehicle camera 200b may further include the processing board 220a, the first light shield 230a, the second light shield 230b, and the housing 250a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can

한편, 하우징은, 제1 렌즈 하우징(217a), 제2 렌즈 하우징(217b), 제1 하우징(251a), 제2 하우징(252a), 제3 하우징(253a)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using may include a first lens housing 217a , a second lens housing 217b , a first housing 251a , a second housing 252a , and a third housing 253a .

제1 렌즈(211a) 및 제2 렌즈(211b)는, 도 3a 내지 도 3c의 렌즈(211)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lens 211 of FIGS. 3A to 3C may be applied to the first lens 211a and the second lens 211b.

제1 이미지 센서(214a) 및 제2 이미지 센서(214b)는, 도 3a 내지 도 3c의 이미지 센서(214)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image sensor 214 of FIGS. 3A to 3C may be applied to the first image sensor 214a and the second image sensor 214b.

한편, 제1 렌즈(211a), 제1 이미지 센서(214a)를 포함하는 모듈은 제1 이미지 획득 모듈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211b), 제2 이미지 센서(214b)를 포함하는 모듈은 제2 이미지 획득 모듈로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a module including the first lens 211a and the first image sensor 214a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image acquisition module. Also, a module including the second lens 211b and the second image sensor 214b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image acquisition module.

프로세서(470a)는, 제1 이미지 센서(214a), 제2 이미지 센서(21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제1 이미지 센서(214a) 및 제2 이미지 센서(214b)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컴퓨터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470)는, 제1 이미지 센서(214a) 및 제2 이미지 센서(214b)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디스패리티(disparity) 맵을 형성하거나, 디스패리티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470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mage sensor 214a and the second image sensor 214b. The processor 470 may computer-process an image obtained through the first image sensor 214a and the second image sensor 214b. In this case, the processor 470 may form a disparity map or perform a disparity operation based on the images acquired through the first image sensor 214a and the second image sensor 214b.

프로세서(470a)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470a is,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processors), a controller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프로세서(470a)는, 프로세싱 보드(220a) 상에 실장될 수 있다.The processor 470a may be mounted on the processing board 220a.

프로세싱 보드(220a)는, 도 3a 내지 도 3c의 프로세싱 보드(220)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For the processing board 220a, the description of the processing board 220 of FIGS. 3A to 3C may be applied.

제1 라이트 쉴드(230a) 및 제2 라이트 쉴드(230b)는, 도 3 내지 도 5의 라이트 쉴드(230)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light shield 230 of FIGS. 3 to 5 may be applied to the first light shield 230a and the second light shield 230b.

제1 렌즈 하우징(217a) 및 제2 렌즈 하우징(217b)은 도 3 내지 도 5의 렌즈 하우징(217)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lens housing 217 of FIGS. 3 to 5 may be applied to the first lens housing 217a and the second lens housing 217b.

제1 하우징(251a)은, 도 3a 내지 도 3c의 제1 하우징(251)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first housing 251 of FIGS. 3A to 3C may be applied to the first housing 251a.

제2 하우징(252a)은, 도 3a 내지 도 3c의 제2 하우징(252)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As for the second housing 252a,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housing 252 of FIGS. 3A to 3C may be applied.

제3 하우징(253a)은, 도 3a 내지 도 3c의 제3 하우징(253)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third housing 253 of FIGS. 3A to 3C may be applied to the third housing 253a.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a 내지 도 3f의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예시하고,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a 내지 도 4b의 프로세서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4A to 4B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internal block diagrams of the processor of FIGS. 3A to 3F , and FIGS. 5A to 5D are diagra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of FIGS. 4A to 4B .

도 4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470)는, 영상 전처리부(501), 디스패러티 연산부(502), 오브젝트 검출부(504), 오브젝트 트래킹부(506), 및 어플리케이션부(50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 the processor 470 may include an image preprocessing unit 501 , a disparity calculating unit 502 , an object detecting unit 504 , an object tracking unit 506 , and an application unit 507 . .

영상 전처리부(image preprocessor)(501)는, 카메라(200)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할 수 있다. The image preprocessor 501 may receive an image from the camera 200 and perform preprocessing.

구체적으로, 영상 전처리부(501)는, 이미지에 대한, 노이즈 리덕션(noise reduction), 렉티피케이션(rectification),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색상 강화(color enhancement), 색상 공간 변환(color space conversion;CSC),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카메라 게인 컨트롤(camera gain control)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스테레오 이미지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mage preprocessor 501 may perform noise reduction, rectification, calibration, color enhancement, and color space conversion (CSC) for an image. ), interpolation, and camera gain control may be performed. Accordingly, a clearer image than the stereo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00 may be obtained.

디스패러티 연산부(disparity calculator)(502)는, 영상 전처리부(501)에서 신호 처리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들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stereo matching)을 수행하며, 스테레오 매칭에 따른,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차량 전방에 대한,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isparity calculator 502 receives the image signal-processed by the image pre-processing unit 501, performs stereo matching on the received images, and performs disparity matching according to the stereo matching. A parity map can be obtained. That is, disparity information about the stereo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may be acquired.

이때, 스테레오 매칭은, 스테레오 이미지들의 픽셀 단위로 또는 소정 블록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패러티 맵은, 스테레오 이미지, 즉 좌,우 이미지의 시차(時差) 정보(binocular parallax information)를 수치로 나타낸 맵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stereo matching may be performed in units of pixels of stereo images or units of predetermined blocks. Meanwhile, the disparity map may refer to a map in which binocular parallax information of a stereo image, that is, left and right images, is expressed numerically.

세그멘테이션부(segmentation unit)(503)는, 디스패러티 연산부(502)로부터의 디스페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세그먼트(segment) 및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gmentation unit 503 may perform segmentation and clustering on at least one of the images based on the disparity information from the disparity calculating unit 502 .

구체적으로, 세그멘테이션부(503)는, 디스페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배경(background)과 전경(foreground)을 분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gmentation unit 503 may separate a background and a foreground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stereo images based on the disparity information.

예를 들면, 디스패리티 맵 내에서 디스페러티 정보가 소정치 이하인 영역을, 배경으로 연산하고, 해당 부분을 제외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전경이 분리될 수 있다. For example, an area having disparity information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disparity map may be calculated as a background,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may be excluded. Thereby, the foreground can be relatively separated.

다른 예로, 디스패리티 맵 내에서 디스페러티 정보가 소정치 이상인 영역을, 전경으로 연산하고, 해당 부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경이 분리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e disparity map, a region in which the disparity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may be calculated as a foreground, and a corresponding portion may be extracted. Thereby, the foreground can be separated.

이와 같이, 스테레오 이미지에 기반하여 추출된 디스페러티 정보 정보에 기초하여, 전경과 배경을 분리함으로써, 이후의, 오브젝트 검출시, 신호 처리 속도, 신호 처리 양 등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separating the foreground and the background based on the disparity information extracted based on the stereo imag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signal processing speed, the signal processing amount, and the like, when an object is detected later.

다음, 오브젝트 검출부(object detector)(504)는, 세그멘테이션부(503)로부터의 이미지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Next, the object detector 504 may detect an object based on the image segment from the segmenter 503 .

즉, 오브젝트 검출부(504)는, 디스페러티 정보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That is, the object detection unit 504 may detect an object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images based on the disparity information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오브젝트 검출부(504)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세그먼트에 의해 분리된 전경으로부터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bject detection unit 504 may detect an object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imag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an object from a foreground separated by an image segment.

오브젝트 검출부(504)는, 차선 검출(Lane Detection, LD), 주변 차량 검출(Vehicle Detection, VD), 보행자 검출(Pedestrian Detection,PD), 불빛 검출(Brightspot Detection, BD), 교통 신호 검출(Traffic Sign Recognition, TSR), 도로면 검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object detection unit 504 includes lane detection (LD), vehicle detection (VD), pedestrian detection (PD), light detection (Brightspot Detection, BD), and traffic signal detection (Traffic Sign). Recognition, TSR), road surface detection, and the like.

다음, 오브젝트 확인부(object verification unit)(505)는, 분리된 오브젝트를 분류하고(classify), 확인할 수 있다(verify).Next,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505 may classify and verify the separated object.

이를 위해, 오브젝트 확인부(505)는,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한 식별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AdaBoost에 의해 식별하는 기법, 또는 HOG(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bject check unit 505, an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neural network,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method, a method for identification by AdaBoost using a Haar-like feature, or HOG (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techniques can be used.

한편, 오브젝트 확인부(505)는, 메모리(440)에 저장된 오브젝트들과, 검출된 오브젝트를 비교하여,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object check unit 505 may check the object by comparing the detected object with the objects stored in the memory 440 .

예를 들면, 오브젝트 확인부(505)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위험 지역, 터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bject check unit 505 may check a nearby vehicle, a lane, a road surface, a sign, a dangerous area, a tunnel, etc. located around the vehicle.

오브젝트 트래킹부(object tracking unit)(506)는, 확인된 오브젝트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들에 내의,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브젝트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를 연산하며, 연산된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이동 등을 트래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위험 지역, 터널 등을 트래킹할 수 있게 된다. The object tracking unit 506 may perform tracking on the identified object. For example, sequentially, in the acquired stereo images, the object is identified, the motion or motion vector of the identified object is calculated, and the movement of the object is tracked based on the calculated motion or motion vector. ca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track surrounding vehicles, lanes, road surfaces, signs, hazardous areas, tunnels, etc.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다음, 어플리케이션부(507)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다양한 오브젝트들, 예를 들면, 다른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등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위험도 등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앞차와의 추돌 가능성, 차량의 슬립 여부 등을 연산할 수 있다.Next, the application unit 507 may calculate the degree of risk of the vehicle 100 based on various objects positioned around the vehicle, for example, other vehicles, lanes, road surfaces, signs,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with the vehicle in front, whether the vehicle is slipping, and the like.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부(507)는, 연산된 위험도, 추돌 가능성, 또는 슬립 여부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 등을, 차량 운전 보조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차량(100)의 자세 제어 또는 주행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 제어 정보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 unit 507 may output a message for informing the user of such information as vehicle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risk level, collision possibility, or slip status. Alternatively, a control signal for attitude control or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100 may be generated as vehicle control information.

한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470)는 영상 전처리부(501), 디스페러티 연산부(502), 세그먼테이션부(503), 오브젝트 검출부(504), 오브젝트 확인부(505), 오브젝트 트래킹부(506) 및 어플리케이션부(507)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카메라(200)가 모노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패러티 연산부(502)는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세그먼테이션부(503)는 제외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470 includes an image pre-processing unit 501 , a disparity calculating unit 502 , a segmentation unit 503 , an object detecting unit 504 , an object checking unit 505 , and an object tracking unit ( 506 ) and only a part of the application unit 507 may be included. For example, when the camera 200 is configured as a mono camera, the disparity calculator 502 may be excluded.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gmentation unit 503 may be excluded.

도 4b는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4B is another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rocessor.

도면을 참조하면, 도 4b의 프로세서(470)는, 도 4a의 프로세서(470)와 내부 구성 유닛이 동일하나, 신호 처리 순서가 다른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만을 기술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ocessor 470 of FIG. 4B has the same internal configuration unit as the processor 470 of FIG. 4A , but the difference is that the signal processing order is different. Hereinafter, only the differences are described.

오브젝트 검출부(504)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수신하고, 스테레오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a와 달리, 디스패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세그먼트된 이미지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것이 아닌, 스테레오 이미지로부터 바로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The object detector 504 may receive a stereo image and detect an object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stereo images. Unlike FIG. 4A , based on the disparity information, the object may be directly detected from the stereo image instead of the object being detected for the segmented image.

다음, 오브젝트 확인부(object verification unit)(505)는, 세그멘테이션부(503)로부터의 이미지 세그먼트, 및 오브젝트 검출부(504)에서 검출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검출 및 분리된 오브젝트를 분류하고(classify), 확인한다(verify).Next,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505 classifies the detected and separated object based on the image segment from the segmentation unit 503 and the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504 . , verify.

이를 위해, 오브젝트 확인부(505)는,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한 식별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AdaBoost에 의해 식별하는 기법, 또는 HOG(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bject check unit 505, an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neural network,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method, a method for identification by AdaBoost using a Haar-like feature, or HOG (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techniques can be used.

도 5a와 도 5b는, 제1 및 제2 프레임 구간에서 각각 획득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세서(470)의 동작 방법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an operation method of the processor 470 based on stereo images obtained in the first and second frame sections, respectively.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스테레오 카메라(200b)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한다.First, referring to FIG. 5A , during a first frame period, the stereo camera 200b acquires a stereo image.

프로세서(470) 내의 디스패러티 연산부(502)는, 영상 전처리부(501)에서 신호 처리된, 스테레오 이미지(FR1a,FR1b)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테레오 이미지(FR1a,FR1b)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20)을 획득한다.The disparity calculating unit 502 in the processor 470 receives the stereo images FR1a and FR1b signal-processed by the image preprocessing unit 501, and performs stereo matching on the received stereo images FR1a, FR1b. Thus, a disparity map 520 is obtained.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20)은, 스테레오 이미지(FR1a,FR1b) 사이의 시차를 레벨화한 것으로서, 디스패러티 레벨이 클수록, 차량과의 거리가 가깝고, 디스패러티 레벨이 작을수록, 차량과의 거리가 먼 것으로 연산할 수 있다.The disparity map 520 is a leveling of the parallax between the stereo images FR1a and FR1b. The higher the disparity level, the closer the distance to the vehicle, and the smaller the disparity level, the closer to the vehicle. can be calculated as the distance of

한편, 이러한 디스패러티 맵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디스패러티 레벨이 클수록, 높은 휘도를 가지고, 디스패러티 레벨이 작을수록 낮은 휘도를 가지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disparity map is displayed, the higher the disparity level, the higher the luminance, and the smaller the disparity level, the lower the luminance.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20) 내에, 제1 선(line) 내지 제4 선(line) (528a,528b,528c,528d) 등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며, 공사 지역(522), 제1 전방 차량(524), 제2 전방 차량(526)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drawing, in the disparity map 520, the first line to the fourth line 528a, 528b, 528c, 528d have a corresponding disparity level, respectively, a construction area 522, It is exemplified that the first front vehicle 524 and the second front vehicle 526 each have a corresponding disparity level.

세그멘테이션부(503)와, 오브젝트 검출부(504), 오브젝트 확인부(505)는, 디스패러티 맵(520)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FR1a,FR1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세그먼트, 오브젝트 검출, 및 오브젝트 확인을 수행한다.The segmentation unit 503, the object detection unit 504, and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505, based on the disparity map 520, segment, object detection, and Perform object verification.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20)을 사용하여, 제2 스테레오 이미지(FR1b)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drawing, it is exemplified that object detection and confirmation are performed on the second stereo image FR1b using the disparity map 520 .

즉, 이미지(530) 내에, 제1 선 내지 제4 선(538a,538b,538c,538d), 공사 지역(532), 제1 전방 차량(534), 제2 전방 차량(536)이,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될 수 있다.That is, in the image 530 , the first to fourth lines 538a , 538b , 538c and 538d , the construction area 532 , the first front vehicle 534 , and the second front vehicle 536 are object detection and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다음, 도 5b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 구간 동안, 스테레오 카메라(200b)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한다.Next, referring to FIG. 5B , during the second frame period, the stereo camera 200b acquires a stereo image.

프로세서(470) 내의 디스패러티 연산부(502)는, 영상 전처리부(501)에서 신호 처리된, 스테레오 이미지(FR2a,FR2b)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테레오 이미지(FR2a,FR2b)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40)을 획득한다.The disparity calculator 502 in the processor 470 receives the stereo images FR2a and FR2b signal-processed by the image preprocessor 501, and performs stereo matching on the received stereo images FR2a, FR2b. Thus, a disparity map 540 is obtained.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4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48a,548b,548c,548d) 등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며, 공사 지역(542), 제1 전방 차량(544), 제2 전방 차량(546)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drawing, in the disparity map 540 , the first to fourth lanes 548a , 548b , 548c , 548d and the like each have a corresponding disparity level, a construction area 542 , and a first front vehicle 544 . ), the second front vehicle 546 exemplifies that each has a corresponding disparity level.

세그멘테이션부(503)와, 오브젝트 검출부(504), 오브젝트 확인부(505)는, 디스패러티 맵(540)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FR2a,FR2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세그먼트, 오브젝트 검출, 및 오브젝트 확인을 수행한다.The segmentation unit 503, the object detection unit 504, and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505, based on the disparity map 540, segment, object detection, and Perform object verification.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40)을 사용하여, 제2 스테레오 이미지(FR2b)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drawing, it is exemplified that object detection and confirmation are performed on the second stereo image FR2b by using the disparity map 540 .

즉, 이미지(550) 내에, 제1 선 내지 제4 선(558a,558b,558c,558d), 공사 지역(552), 제1 전방 차량(554), 제2 전방 차량(556)이,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될 수 있다.That is, in the image 550 , the first to fourth lines 558a , 558b , 558c and 558d , the construction area 552 , the first front vehicle 554 , and the second front vehicle 556 are object detection and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한편, 오브젝트 트래킹부(506)는, 도 5a와 도 5b를 비교하여, 확인된 오브젝트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bject tracking unit 506, by comparing FIGS. 5A and 5B, may perform tracking for the identified object.

구체적으로, 오브젝트 트래킹부(506)는, 도 5a와 도 5b에서 확인된, 각 오브젝트들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이동 등을 트래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차선, 공사 지역, 제1 전방 차량, 제2 전방 차량 등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the object tracking unit 506 may track the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object based on the movement or motion vector of each object identified in FIGS. 5A and 5B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tracking of the lane, the construction area, the first front vehicle, the second front vehicle, etc. located around the vehicle.

도 5c 내지 도 5d는 차량용 카메라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5C to 5D are diagrams referenc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amera.

먼저, 도 5c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레오 카메라(200b)에서 촬영되는 차량 전방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 특히, 차량 전방 상황을 버드 아이 뷰(bird eye view)로 표시한다.First, FIG.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front of the vehicle photographed by the stereo camera 200b provided inside the vehicle. In particular, the situation in front of the vehicle is displayed in a bird eye view.

도면을 참조하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제1 차선(642a), 제2 차선(644a), 제3 차선(646a), 제4 차선(648a)이 위치하며, 제1 차선(642a)과 제2 차선(644a) 사이에 공사 지역(610a)이 위치하며, 제2 차선(644a)과 제3 차선(646a) 사이에 제1 전방 차량(620a)가 위치하며, 제3 차선(646a)과 제4 차선(648a) 사이에, 제2 전방 차량(630a)이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rom left to right, a first lane 642a, a second lane 644a, a third lane 646a, and a fourth lane 648a are located, and the first lane 642a and the second lane 648a are located. The construction area 610a is located between the lanes 644a, the first front vehicle 620a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lane 644a and the third lane 646a, and the third lane 646a and the fourth lane 646a are located. It can be seen that between the lanes 648a, the second front vehicle 630a is disposed.

다음, 도 5d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의해 파악되는 차량 전방 상황을 각종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5d와 같은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41)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Next, FIG. 5D exemplifies display of the vehicle front situation grasped by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together with various information. In particular, an image as shown in FIG. 5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41 .

도 5d는, 도 5c와 달리, 스테레오 카메라(20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기반으로하여 정보 표시가 되는 것을 예시한다. 5D, unlike FIG. 5C, illustrates that information is displayed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the stereo camera 200. As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제1 차선(642b), 제2 차선(644b), 제3 차선(646b), 제4 차선(648b)이 위치하며, 제1 차선(642b)과 제2 차선(644b) 사이에 공사 지역(610b)이 위치하며, 제2 차선(644b)과 제3 차선(646b) 사이에 제1 전방 차량(620b)가 위치하며, 제3 차선(646b)과 제4 차선(648b) 사이에, 제2 전방 차량(630b)이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rom left to right, a first lane 642b, a second lane 644b, a third lane 646b, and a fourth lane 648b are located, and the first lane 642b and the second lane 648b are located. The construction area 610b is located between the lanes 644b, the first front vehicle 620b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lane 644b and the third lane 646b, and the third lane 646b and the fourth lane 646b are located. It can be seen that between the lanes 648b, the second front vehicle 630b is disposed.

차량용 카메라(200)는, 스테레오 카메라(200b)에서 촬영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신호 처리하여, 공사 지역(610b), 제1 전방 차량(620b), 제2 전방 차량(630b)에 대한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선(642b), 제2 차선(644b), 제3 차선(646b), 제4 차선(648b)을 확인할 수 있다.The vehicle camera 200, based on the stereo image captured by the stereo camera 200b, processes the signal, and objects for the construction area 610b, the first front vehicle 620b, and the second front vehicle 630b can be checked. Also, the first lane 642b , the second lane 644b , the third lane 646b , and the fourth lane 648b may be identified.

한편, 도면에서는 공사 지역(610b), 제1 전방 차량(620b), 제2 전방 차량(630b)에 대한 오브젝트 확인을 나타내기 위해, 각각 테두리로 하이라이트되는 것을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to indicate the object confirmation for the construction area (610b), the first front vehicle (620b), and the second front vehicle (630b), it is exemplified that each highlighted by the border.

한편, 차량용 카메라(200)는, 스테레오 카메라(200b)에서 촬영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공사 지역(610b), 제1 전방 차량(620b), 제2 전방 차량(630b)에 대한 거리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camera 200, based on the stereo image taken by the stereo camera 200b, the construction area (610b), the first front vehicle (620b), the distance information for the second front vehicle (630b) can be calculated.

도면에서는, 공사 지역(610b), 제1 전방 차량(620b), 제2 전방 차량(630b) 각각에 대응하는, 연산된 제1 거리 정보(611b), 제2 거리 정보(621b), 제3 거리 정보(631b)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In the drawing, the calculated first distance information 611b, the second distance information 621b, the third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area 610b, the first front vehicle 620b, and the second front vehicle 630b, respectively. It is exemplified that the information 631b is displayed.

한편, 차량용 카메라(200)는, 제어부(170) 또는 내부 센싱부(125)로부터 차량에 대한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속도 정보, 기어 정보, 차량의 회전각(요각)이 변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요 레이트 정보(yaw rate), 차량의 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vehicle camera 200 may receive sensor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from the control unit 170 or the internal sensing unit 125 . In particular, vehicle speed information, gear information, yaw r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peed at which the rotation angle (yaw angle) of the vehicle changes, and ang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received, and such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도면에서는, 차량 전방 이미지 상부(670)에, 차량 속도 정보(672), 기어 정보(671), 요 레이트 정보(673)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며, 차량 전방 이미지 하부(680)에, 차량의 각도 정보(682)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그 외, 차량의 폭 정보(683), 도로의 곡률 정보(681)가, 차량의 각도 정보(682)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672, gear information 671, and yaw rate information 673 are displayed in the upper part 670 of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and the angle of the vehicle is displayed in the lower part 680 of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Information 682 being displayed is illustrated, but various examples are possible. In addition, vehicle width information 683 and road curvature information 681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vehicle angle information 682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referenced to describe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통신부(610), 입력부(620), 인터페이스부(630), 메모리(640), 광출력부(650), 빔 패턴부(660), 프로세서(670) 및 전원 공급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 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610 , an input unit 620 , an interface unit 630 , a memory 640 , a light output unit 650 , a beam pattern unit 660 , and a processor. 670 and a power supply 690 may be included. Howev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6 may be omitted or new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통신부(610)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RF(Radio Frequency) 회로 또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610 may include one or more RF (Radio Frequency) circuits or element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통신부(610)는, 근거리 통신 모듈(613), V2X 통신 모듈(616) 및 광통신 모듈(618)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61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613 , a V2X communication module 616 , and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618 .

근거리 통신 모듈(613)은,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613)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670)에 제공할 수 있다.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613 may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613 may receive information, a signal, or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provide it to the processor 670 .

V2X 통신 모듈(616)은, 외부 서버 또는 타 차량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V2X 통신 모듈(616)은, 외부 서버 또는 타 차량으로부터,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670)에 제공할 수 있다.The V2X communication module 616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erver or other vehicle. The V2X communication module 616 may receive information, signals or data from an external server or other vehicle, and provide it to the processor 670 .

광통신 모듈(618)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618 may include an optical transmitter and an optical receiver.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light receiver may receive information by converting a light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The light receiver may include a photo diode (PD) for receiving light. A photodiode can convert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the light receiv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vehicle in front through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ncluded in the vehicle in front.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618)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optical transmitter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an LED (Light Emitting Diode). The optical transmitter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light transmitter may emit an optical signal to the outside by blinking a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transmit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 ar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transmitter may be integrated with a lamp provided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the light transmitter may be at least one of a headlamp, a tail lamp, a brake lamp, a turn indicator lamp, and a vehicle width lamp. For example,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618 may exchange data with another vehicle through optical communication.

입력부(620)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620)는 차량(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620)는 터치식 입력 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620)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의 전원을 턴 온 또는 턴 오프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620)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620 may include an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The input unit 6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100 . The input unit 620 may include a touch input means or a mechanical input means. The input unit 62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The input unit 62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인터페이스부(630)는, 차량(100)의 제어부(170), 센싱부(135), 차량 구동부(150) 또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와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630 may exchange information, signals, or data with the control unit 170 , the sensing unit 135 , the vehicle driving unit 150 , or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400 of the vehicle 100 .

인터페이스부(630)는, 내부 센싱부(125)로부터, 차량(1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세서(670)에 제공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630 may receiv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from the internal sensing unit 125 and provide it to the processor 670 .

인터페이스부(630)는, 내부 센싱부(125)로부터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630 receives vehicle collision information,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vehicle angle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inclination information, and vehicle forward/reverse from the internal sensing unit 125 . Information on information, battery information, fuel information, tire information, vehicle lamp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humidity information,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external illumination of the vehicle, pressure applied to the accelerator pedal, pressure applied to the brake pedal, etc. can receive

인터페이스부(630)는, 외부 센싱부(126)로부터, 차량(100)의 외부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세서(670)에 제공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630 may receive external context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from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and provide it to the processor 670 .

인터페이스부(63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630 may receive information on various object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100 .

메모리(640)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 각 유닛에 대한 기본 데이터, 각 유닛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차량용 조명 장치(600)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640 may store basic data for each unit of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600 , control data for operation control of each unit, and data input/output to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600 .

메모리(6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The memory 640 may be a variety of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etc. in terms of hardware.

메모리(640)는, 프로세서(6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용 조명 장치(6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640 may store various data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processor 670 .

광출력부(650)는, 광을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광출력부(650)는, 광원부(651) 및 광원 구동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output unit 650 may generate light and output it to the outside. The light output unit 650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651 and a light source driver 652 .

광원부(651)는, 광을 생성할 수 있다. 광원부(651)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generate light. 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convert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energy.

광원부(651)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lamp)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 laser diode.

실시예에 따라, 광원부(651)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부(651)는,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 녹색 레이저 다이오드 및 적색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include a blue laser diode, a green laser diode, and a red laser diode.

실시예에 따라, 광원부(651)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Micro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LED는, 광원 구동부(652)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 LEDs. The plurality of micro LEDs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ight source driver 652 .

광원부(651)는, 광원 구동부(652)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be driven based on an electrical signal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driver 652 .

광원 구동부(652)는, 광원부(651)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광원부(651)에 제공할 수 있다. 광원 구동부(652)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67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driver 652 may provide an electrical signal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unit 651 to the light source unit 651 .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driver 652 may be gen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670 .

실시예에 따라, 광출력부(650)는, 광 변환부(도 7의 712) 및 광학부(도 7의 713, 7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output unit 650 may further include a light conversion unit ( 712 of FIG. 7 ) and an optical unit ( 713 , 715 of FIG. 7 ).

빔 패턴부(660)는, 광출력부(650)에서 생성되는 광의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빔 패턴부(660)는, 유입되는 광의 패턴을 변화시켜, 시각적 이미지가 차량(100)의 외부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빔 패턴부(660)는, 광출력부(650)에서 표시된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The beam pattern unit 660 may change a pattern of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650 . The beam pattern unit 660 may change a pattern of the incoming light so that a visual image is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0 . The beam pattern unit 660 may change the visual image displayed on the light output unit 650 .

예를 들면, 빔 패턴부(660)는,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eam pattern unit 660 may change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예를 들면, 빔 패턴부(660)는, 시각적 이미지의 형상, 색, 크기 또는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eam pattern unit 660 may change the shape, color, size, or brightness of the visual image.

빔 패턴부(600)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모듈(700) 및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스캐너 모듈(80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beam pattern unit 600 may selectively include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module 700 and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scanner module 800 .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모듈(700)은, 프로세서(670)의 제어에 따라,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에 포함된 복수의 미세 거울 각각의 자세를 변경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DMD 모듈(700)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module 70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670, by changing the postu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mirrors included in the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the visual image can be changed. there is. The DMD module 7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스캐너 모듈(800)은, 프로세서(670)의 제어에 따라, 스캐너 미러를 통해 생성되는 스캐닝 경로 및 스캐닝 경로 상에 출력되는 광의 패턴을 변경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MEMS 스캐너 모듈(800)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scanner module 800 may change a visual image by changing a scanning path generated through the scanner mirror and a pattern of light output on the scanning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670 . . The MEMS scanner module 8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

프로세서(670)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 내의 각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unit in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프로세서(670)는, 광출력부(650)에서 생성된 광을 통해 가시성을 확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광출력부(650)에서 생성된 광에 기초하여,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이 출력되게,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 생성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광출력부(650)에서 생성되는 광은, 차량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출력되어, 야간 운행시 또는 악천후 운행시 운전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o secure visibility through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650 .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generator 660 to output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based on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650 . In this case,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650 may be output toward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to help the driver when driving at night or driving in bad weather.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he first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프로세서(670)는, 제1 정보를, 센싱부(135)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4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unit 135 or the display device 141 .

제1 정보는, 차량 주행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정보는, 주행 속도 정보,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턴 시그널 정보 및 OBD(On-Board Diagnostics)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formation may b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riving speed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located around the vehicle, navigation information, turn signal information, and on-board diagnostics (OBD)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1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광출력부(650)에서 생성된 광을 이용해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 생성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70)는,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의 범위 내에서,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을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generator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us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650 . Specifically, the processor 670 may output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within a range of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시각적 이미지를 광출력부(650)에서 생성되는 광을 이용해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제1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는, 가시성이 확보된 전방을 바라보면서, 제1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운전을 위한 운전자의 시선과 정보 획득을 위한 운전자의 시선이 일치하게 되어, 운전자의 시선 이탈에 따른 사고 위험성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By displaying the visual image us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650 , the driver may recognize the first information through the visual image. In this case, the driver may recognize the first information while looking at the front in which visibility is secured. The driver's gaze for driving coincides with the driver's gaze for information acquisition,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an accident caused by the driver's gaze deviation.

한편, 프로세서(67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 또는 시각적 이미지의 색을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and display a region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or a color of the visual image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차량(100)의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속도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70)는,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 내에서,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의 위치를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and display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is displayed, based on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 Specifically, 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gion where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within the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프로세서(670)는, 차량(100)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보다 원거리에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운전자는, 고속 주행시 저속 주행시보다 원거리를 응시하며 운전하기 때문에, 시각적 이미지에 따른 정보 전달력이 더 높아질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차량(100)의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시각적 이미지를 제1 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가지게 유도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100 travels at a high speed,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o display a visual image at a longer distance than when the vehicle 100 travels at a low speed. When the driver drives at a high speed while gazing at a long distance than when driving at a low speed, the ability to transm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isual image may be higher. When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1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in the first col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driver to be alert.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속도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의 색을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차량(100)이 제1 기준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를 제1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속 주행시, 시각적 이미지에 색을 조정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일으켜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and display a color of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based on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100 travels at a speed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speed, 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the visual image in the first color. In this way, during high-speed driving, by adjusting the color to the visual image, it is possible to raise the driver's awareness and promote safe driving.

프로세서(670)는, 광출력부(650)에서 생성되는 광의 색 조절 또는 광량 조절을 기초로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a visual image based on color adjustment or light amount adjustmen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650 .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과,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의 색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a visual image by adjusting different colors of the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and the light for displaying the visual image.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과,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의 광량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a visual image by differently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and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he secon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를, 센싱부(135)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he second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unit 135 .

제2 정보는, 차량 주변 상황 정보 또는 차량 주변 환경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정보는, 도로 정보, 외부 광 정보 및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타 차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vehicle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or vehicl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oad information, external light information, and other vehicle information located around the vehicle.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 생성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generator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차량 주변 상황 또는 환경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시각적 이미지를 더욱 잘 볼 수 있게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가 운전자에게 더욱 잘 전달되게 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By changing and displaying the visual image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or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the driver can better see the visual image. Accordingly, the effect of better convey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sual image to the driver may be derived.

프로세서(670)는, 빔 패턴부(660) 제어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hange the visual image by controlling the beam pattern unit 660 .

가령, 빔 패턴부(660)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모듈(700)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DMD에 포함된 복수의 미세 거울 각각의 자세를 제어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eam pattern unit 660 includes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module 700, the processor 670 controls the postu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mirrors included in the DMD to display a visual image. can be changed

가령, 빔 패턴부(660)가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스캐너 모듈(800)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스캐너 미러를 통해 생성되는 스캐닝 경로 및 상기 스캐닝 경로상에 출력되는 광의 패턴을 제어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eam pattern unit 660 includes the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scanner module 800, the processor 670 includes a scanning path generated through a scanner mirror and a pattern of light output on the scanning path. to change the visual image.

광출력부(650)에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포함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각각의 제어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light output unit 650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 LEDs, the processor 670 may change the visual image by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 LEDs.

한편,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센싱부(135)로부터 차량 자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수신된 차량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vehicle attitude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unit 135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The processor 670 may change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based on the received vehicle attitude information.

차량(100)이 고르지 않은 노면 상에서 주행하는 경우, 차체의 상하 방향 움직임에 따라, 차량(100) 외부에 표시되는 시각적 이미지의 영역이 변경된다. 이경우, 운전자가 시각적 이미지를 인지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거나, 시각적 이미지를 인지하데 시선을 빼앗겨, 사고가 발생될 여지가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 자세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노면의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100 is driven on an uneven road surface, the area of the visual image displayed outside the vehicle 10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In this case, it may take time for the driver to recognize the visual image, or the driver may be distracted from recognizing the visual image, and an accident may occur. In this case, by changing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vehicle attitude information, the visual image may be stably display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프로세서(670)는, 주행 차선 내에,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a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within the driving lane.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차량의 차폭에 대응되는 범위내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width.

주행 차선 밖에,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차량(100)의 운전자에게 정보가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을뿐 아니라, 다른 차선에서 주행 중인 타 차량 운전자의 시선을 끌어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주행 차선 내 또는 차량의 차폭에 대응되는 범위내에서만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100)의 운전자에게 정보 전달이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When a visual image is displayed outside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is not properly transmitt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100 ,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accident may occur by attracting the attention of a driver of another vehicle driving in another lane. By allowing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only within the driving lane or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width, information transfer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100 can be concentrated.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점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70)는,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의 범위 내에서, 시각적 이미지 표시 영역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to be changed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gradually changed in response to the second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visual image display area to be changed within a light range for securing visibility.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로, 외부 광 조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에 외부 광이 조사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외부 광이 조사되는 영역 밖에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70)는,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의 범위 안에서, 외부 광이 조사되는 영역 밖에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external light irradiation information as the second information. If external light is irradiated to the area where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outside the area to which the external light is irradiated. Specifically,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outside the area to which external light is irradiated within the range of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또는, 이경우, 프로세서(670)는, 외부 광이 조사되는 영역에서 외부 광의 밝기가 기준값 이하인 영역에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is cas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in a region in which the brightness of the external light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value in the region to which the external light is irradiated.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 표시 영역에 외부광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운전자에게 시각적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By controlling in this way, even when external light flows into the visual image display area, the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visual image.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로, 커브 구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커브 구간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curve section information as the second information.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to be changed in response to the curve section information.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 커브가 형성된 방향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to chang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ve is formed.

가령, 차량(100)이 주행 방향의 좌측으로 형성된 커브 구간 주행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 좌측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670)는, 커브의 곡률에 따라 변경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100 travels in a curve section formed in the left side of the driving direction,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to be changed to the left side. In this case,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degree of change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curve.

가령, 차량(100)이 주행 방향의 우측으로 형성된 커브 구간 주행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 우측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670)는, 커브의 곡률에 따라 변경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100 travels in a curve section formed in the right side of the driving direction,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to be changed to the right side. In this case,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degree of change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curve.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커브 구간을 주행할때, 운전자가 바라보는 영역에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적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By controlling in this way, when driving in a curve section, a visual image is displayed in an area the driver is looking at, so that the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visual image.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형상, 색, 크기 또는 밝기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형상, 색, 크기 또는 밝기가 점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shape, color, size, or brightness of the visual image to be changed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o gradually change the shape, color, size, or brightness of the visual image in response to the second information.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로, 외부 광 조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에 외부 광이 조사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더 밝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경우, 프로세서(670)는, 외부 광과 다른 색으로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external light irradiation information as the second information. If external light is irradiated to the area where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brighter. Alternatively, in this cas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external light.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 표시 영역에 외부광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운전자에게 시각적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By controlling in this way, even when external light flows into the visual image display area, the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visual image.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로, 차량(100) 주변에서 주행 중인 타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이 주행 차선의 옆차선의 후방에서 차량(100)에 접근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as the second information, information on other vehicles driving around the vehicle 100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information on whether another vehicle approaches the vehicle 100 from the rear of the next lane of the driving lane.

타 차량이, 주행 차선의 옆차선의 후방에서 차량(100)에 접근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더 밝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상기 외부 광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another vehicle approaches the vehicle 100 from the rear of the next lane of the driving lan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brighter. Alternatively,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ternal light.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의 조명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의 광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 처리(예를 들면, 촬영된 영상의 휘도 분석)하여, 광량 정보를 획득될 수 있다. 또는, 광량 정보는, 내부 센싱부(125)에 포함된 조도 센서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light amount information of light output from a lighting device of another vehicle. The camera 20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light by computer-processing the photographed image (eg, analyzing the brightness of the photographed image). Alternatively, the light amount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an illuminance sensor included in the internal sensing unit 125 .

프로세서(670)는, 광량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광량에 비례하여 밝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visual image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ligh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brightly display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light.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 표시 영역에 외부광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운전자에게 시각적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By controlling in this way, even when external light flows into the visual image display area, the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visual image.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로, 선행하는 타 차량과의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행하는 타 차량과의 거리 정보는, 외부 센싱부(126)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타 차량은, 차량(100)의 주행 차선에서 선행하는 타 차량일 수 있다.As the second information,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distance information from a preceding vehicl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preceding vehicle may be acquired through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 Meanwhile, here, the other vehicle may be another vehicle preceding in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100 .

프로세서(670)는, 거리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to be changed in response to the distance information.

차량(100)과 타 차량과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의 차체에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돌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other vehicle is within the first reference distanc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display of the visual image on the body of the other vehicle.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차량(100)과 타 차량이 근접한 경우, 노면이 아닌 타 차량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시각적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지하게 할 수 있다.By controlling in this way, when the vehicle 100 and another vehicle are close to each other, it is displayed on the other vehicle instead of the road surface, so that the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visual image.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카메라(200)로부터 영상 처리되어 획득된 오브젝트 정보 또는 상기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object information obtained by image processing from the camera 200 or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object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의 왜곡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 처리하여, 왜곡 표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각적 이미지가 왜곡되어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의 차체 위에서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시각적 이미지가 왜곡되어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의 차체 위에서 표시되는 시각적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distortion display information of the visual image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The camera 200 may obtain distortion display information by computer processing the photographed image. When the visual image is distorted and displayed,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a position where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on the body of another vehicle. Alternatively, when the visual image is distorted and displayed,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size of the visual image displayed on the body of another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체는 디자인적 요소로 인해 평평한 부분과 평평하지 않은 부분이 혼재되어 있다. 만약, 시각적 이미지가 타 차량의 평평하지 않은 부분에 표시되는 경우, 왜곡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경우,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위치를 평평한 부분으로 조정하거나, 시각적 이미지를 작게 표시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가 왜곡되어 표시되지 않게할 수 있다.In general, the body of a vehicle has a mixture of flat parts and non-flat parts due to design elements. If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on an uneven portion of another vehicle, it may be displayed distorted. In this case, by adjust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to a flat part or displaying the visual image in a small siz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sual image from being distorted and displayed.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타 차량의 차체 중 평평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 처리하여, 평평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평평한 영역에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 flat part of a body of another vehicle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The camera 20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flat part by computer processing the photographed imag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a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on a flat area.

선행 차량의 차체에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때, 평평한 부분에 표시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가 왜곡되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displaying a visual image on the vehicle body of the preceding vehicle, by displaying it on a flat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sual image from being displayed distorted.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의 왜곡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 처리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왜곡 표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distortion display information of the visual image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The camera 200 may computer-process the photographed image to obtain distortion display information of the visual image.

프로세서(670)는, 왜곡 표시 정보를 기초로, 시각적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rrect the visual image based on the distortion indication information.

예를 들면, 고르지 못한 노면에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의 왜곡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670)는, 평평한 노면에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시각적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visual image is displayed on an uneven road surface,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distortion display information of the visual image. In this case, the processor 670 may change the display area of the visual image so that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on a flat road surface.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의 길이 방향에서 제1 지점에 해당되는 제1 폭보다 시각적 이미지의 길이 방향에서 제2 지점에 해당되는 제2 폭이 더 크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0)과 제2 지점까지의 거리는 차량(100)과 제1 지점까지의 거리보다 더 가까울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o display the second width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ual image to be larger than the first wid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ual image. 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second point may be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first point.

이와 같이,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때, 차량(100)과의 근접 정도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의 폭을 결정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전방을 바라볼때, 시각적 이미지로 인한 위화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by determining the width of the visual image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ximity to the vehicle 100 , when the driver looks forward from the driver's se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visual image.

프로세서(670)는, 차량(100)과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의 거리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determine the size of the visual image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an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프로세서(670)는, 차량(100)과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의 거리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길이와 폭을 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length and width of the visual imag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차량(100)에 근접해질수록, 시각적 이미지의 길이와 폭을 점점 크게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차량(100)에 점점 멀어질수록, 시각적 이미지의 길이와 폭을 점점 작게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the length and width of the visual image gradually larger as the visual image approaches the vehicle 100 . 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the length and width of the visual image to be smaller and smaller as the visual image gets further away from the vehicle 100 .

프로세서(670)는, 차량(100)과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의 거리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길이와 폭의 변화율을 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rate of change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visual imag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프로세서(670)는, 차량과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시각적 이미지 아래 부분의 폭의 변화율을 시각적 이미지 윗 부분의 폭의 변화율보다 더 크게 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rate of change of the wid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isual image to be greater than the rate of change of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visual imag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increases.

이와 같이, 제어함에 따라, 운전자는, 시각적 이미지가 도로에 표시되는 것과 같이 인식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control, the driver may recognize the visual image as displayed on the road, thereby minimiz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of the visual image.

한편, 프로세서(670)는 통신부(610)를 통해,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통신부(61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더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information, a signal, or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10 . The processor 670 may change the visual image further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10 .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V2X 통신 모듈(616) 또는 광통신 모듈(618)을 통해, 타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타 차량 정보는, 타 차량의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방향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other vehicle information through the V2X communication module 616 or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618 . Here,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speed information, direc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The processor 670 may change the visual image based on other vehicle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is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processors), a controller (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전원 공급부(690)는, 프로세서(670)의 제어에 의해, 차량용 조명 장치(600) 각 유닛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690)는, 차량(100)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690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670 .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690 may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inside the vehicle 100 .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DMD 모듈을 이용해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using a DM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광출력부(650)는, 광원부(651), 광원 구동부(651), 광 변환부(712) 및 광학부(713, 7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빔 패턴부(660)는, DMD 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light output unit 650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651 , a light source driver 651 , a light conversion unit 712 , and optical units 713 and 715 . Also, the beam pattern unit 660 may include a DMD module 700 .

광원부(651)에 포함된 발광 소자는, 전기 에너지를 광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부(651)는, 발광 소자로,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lamp)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이용할 경우, LED보다 큰 밝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651)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d in 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convert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 laser diode as a light emitting device. When a laser diode is used as a light source, greater brightness than an LED can be realized.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a laser diode is used as the light source 651 .

광원 구동부(652)는, 광원부(651)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광원부(651)에 제공할 수 있다. 광원 구동부(652)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67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driver 652 may provide an electrical signal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unit 651 to the light source unit 651 .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driver 652 may be gen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670 .

광 변환부(712)는 광원(651)으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을 소정 색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651)으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은 광 변환부(712)를 통과하면서, 다양한 파장대의 빛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파장대의 빛들이 합성되어 소정 색상(예를 들면, 백색)의 가시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The light conversion unit 712 may convert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651 into a predetermined color. For example, a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651 may be converted into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while passing through the light conversion unit 712 . Lights of these various wavelength bands may be synthesized and converted into visible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eg, white).

이러한 광 변환부(712)는 적어도 한 종류의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 변환 소자(712)는 포스퍼러스(phosphorous)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conversion unit 712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fluorescent material. For example, the light conversion element 712 may include phosphorous.

광학부(711)는 제1 렌즈(713) 및 제2 렌즈(7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unit 711 may include a first lens 713 and a second lens 715 .

제1 렌즈(713)는 광 변환 소자(712)를 거쳐 입사되는 가시광을 굴절시켜 DMD 모듈(7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렌즈(713)는 광 변환 소자(712)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이 DMD 모듈(700)로 전달되도록, 광 변환 소자(712)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을 굴절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렌즈(713)는, 집광 렌즈(collimator lens)일 수 있다. 입사되는 가시광은, 제1 렌즈를 통해 시준될 수 있다(collimate).The first lens 713 may refract visible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conversion element 712 and provide it to the DMD module 700 . The first lens 713 may refract the visibl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conversion element 712 so that the visibl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conversion element 712 is transmitted to the DMD module 700 . For example, the first lens 713 may be a collimator lens. Incident visible light may be collimated through the first lens.

DMD 모듈(700)은 입사되는 가시광의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DMD 모듈(700)은, 가시광의 패턴을 변화시켜,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DMD 모듈(700)은, 가시광의 패턴을 변화시켜, 표시된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The DMD module 700 may change a pattern of incident visible light. The DMD module 700 may display a visual image by changing a pattern of visible light. The DMD module 700 may change the displayed visual image by changing the pattern of visible light.

DMD 모듈(700)은, 복수의 미세 거울(Micro-mirror)(M)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DMD 모듈(700)에는 수십만개의 마이크로 미러들(M)이 포함될 수 있다. The DMD module 7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mirrors M. For example, the DMD module 700 may include hundreds of thousands of micro-mirrors M.

DMD 모듈(700)은, 복수의 미세 거울을 포함하는 거울층, 복수의 미세 거울 각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요크 및 복수의 힌지를 포함하는 구동층, 복수의 요크의 착지점이고 복수의 힌지를 지지하는 메탈층 및 반도체 메모리(예를 들면, CMOS SRAM)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MD module 700 includes a mirror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mirrors, a driving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yokes and a plurality of hinge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mirrors, a landing point of the plurality of yokes, and a plurality of hinges. It may include a supporting metal layer and a semiconductor memory (eg, CMOS SRAM).

구동층에 포함되는 복수의 요크(yoke) 및 힌지(hinge)는,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복수의 미세 거울 각각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요크 및 힌지는, 반도체 메모리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복수의 미세 거울 각각을 기울이거나 기울이지 않을 수 있다.The plurality of yokes and hinges included in the driving layer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semiconductor memory to adjust the postu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mirror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yokes and the hinges may or may not tilt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mirrors according to a signal provided from the semiconductor memory.

반도체 메모리는, 프로세서(67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미세 거울 자세 조정을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memory may provide a signal for adjusting the posture of the plurality of fine mirror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670 .

한편, 프로세서(670)는 마이크로 미러(M) 각각의 틸트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 가시광의 투사각 및/또는 반사율을 픽셀 단위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마이크로 미러(M)는 자기장에 의해 초당 수천번 이상 틸트각을 변경할 수 있다. 틸트각의 변경에 의해, 제1 렌즈(713)로부터 DMD 모듈(700)로 방출된 가시광 중 적어도 일부분의 투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렌즈(713)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 중 일부분은 차량(100) 전방으로의 투사가 차단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projection angle and/or reflectivity of the first visible light in units of pixels by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tilt angles of each of the micromirrors M. For example, each micromirror M may change its tilt angle thousands of times per second or more by a magnetic field. By changing the tilt angle, the projection angl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visibl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713 to the DMD module 700 may be changed.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visibl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713 may be blocked from being project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100 .

DMD 모듈(700)에 의해, 제1 렌즈(713)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만이 제2 렌즈(715)를 통과한 후, 차량(100)의 전방을 향하여 투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렌즈(715)는 생략될 수 있다.By the DMD module 700 , only at least a portion of the visibl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713 may be project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100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lens 715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lens 715 may be omitted.

프로세서(670)는, 수신되는 제1 정보를 기초로, DMD 모듈(700)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미세 거울(M)의 자세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패턴의 가시광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미세 거울(M) 자세 제어를 통해, 제1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차량(100)의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미세 거울(M) 자세 제어를 통해, 표시된 시각적 이미지를, 제2 정보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implement various patterns of visible light by controlling the postures of at least some of the micromirrors M included in the DMD module 700 based on the received first information. 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0 through the micromirror M posture control. The processor 670 may change the displayed visual image in response to the second information through the micromirror M posture control.

한편, 도 7의 DMD 모듈(700)은, 시각적 이미지 표시용 가시광 및 가시성 확보용 가시광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DMD module 700 of FIG. 7 may output both visible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and visible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프로세서(670)는, DMD 모듈(700)을 이용하여, 시각적 이미지 표시용 가시광 및 가시성 확보용 가시광을 시간차를 두고 출력할 수 있다. 사람의 눈으로 인식되지 않는 매우 짧은 시간차를 두고, 시각적 이미지 표시용 가시광 및 가시성 확보용 가시광을 번갈아 출력함으로써, DMD 모듈(700)은 시각적 이미지 표시용 가시광 및 가시성 확보용 가시광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output the visible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and the visible light for securing the visibility with a time difference using the DMD module 700 . By alternately outputting the visible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and the visible light for ensuring visibility with a very short time difference that is not recognized by the human eye, the DMD module 700 can output both the visible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and the visible light for ensuring visibility. .

한편, 실시예에 따라, 광원(651)에서 생성되는 광이, 외부로 출력되는 광경로 상에 하나 이상의 리플렉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or more reflectors may be further included on an optical path through which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651 is output to the outsid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EMS 스캐너 모듈을 이용해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using a MEMS scann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광출력부(650)는, 광원부(651), 광원 구동부(651), 광 변환부(712), 광학부(713) 및 리플렉터(7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빔 패턴부(660)는, MEMS 스캐너 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light output unit 650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651 , a light source driver 651 , a light conversion unit 712 , an optical unit 713 , and a reflector 716 . Also, the beam pattern unit 660 may include a MEMS scanner module 700 .

광원부(651)에 포함된 발광 소자는, 전기 에너지를 광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부(651)는, 발광 소자로,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lamp)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이용할 경우, LED보다 큰 밝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651)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d in 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convert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 laser diode as a light emitting device. When a laser diode is used as a light source, it is possible to realize greater brightness than an LED.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a laser diode is used as the light source 651 .

광원 구동부(652)는, 광원부(651)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광원부(651)에 제공할 수 있다. 광원 구동부(652)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67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driver 652 may provide an electrical signal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unit 651 to the light source unit 651 .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driver 652 may be gen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670 .

광 변환부(712)는 광원(651)으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을 소정 색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651)으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은 광 변환부(712)를 통과하면서, 다양한 파장대의 빛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파장대의 빛들이 합성되어 소정 색상(예를 들면, 백색)의 가시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The light conversion unit 712 may convert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651 into a predetermined color. For example, a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651 may be converted into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while passing through the light conversion unit 712 . Lights of these various wavelength bands may be synthesized and converted into visible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eg, white).

이러한 광 변환부(712)는 적어도 한 종류의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 변환 소자(712)는 포스퍼러스(phosphorous)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conversion unit 712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fluorescent material. For example, the light conversion element 712 may include phosphorous.

광학부(711)는 제1 렌즈(7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unit 711 may include a first lens 713 .

제1 렌즈(713)는 광 변환 소자(712)를 거쳐 입사되는 가시광을 굴절시켜 MEMS 스캐너 모듈(8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렌즈(713)는 광 변환 소자(712)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이 MEMS 스캐너 모듈(800)로 전달되도록, 광 변환 소자(712)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을 굴절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렌즈(713)는, 집광 렌즈(collimator lens)일 수 있다. 입사되는 가시광은, 제1 렌즈를 통해 시준될 수 있다(collimate).The first lens 713 may refract visible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conversion element 712 to provide it to the MEMS scanner module 800 . The first lens 713 may refract the visibl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conversion element 712 so that the visibl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conversion element 712 is transmitted to the MEMS scanner module 800 . For example, the first lens 713 may be a collimator lens. Incident visible light may be collimated through the first lens.

리플렉터(716)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리플렉터(716)는, 제1 렌즈(713)를 거친 광을 반사시켜 MEMS 스캐너 모듈(800)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리플렉터(716)는, 생략될 수 있다.The reflector 716 can change the path of light. The reflector 716 may reflec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713 and transmit it to the MEMS scanner module 8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flector 716 may be omitted.

MEMS 스캐너 모듈(800)은, 스캐너 미러, 스캐너 미러를 지지하는 구조물, 스캐너 미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기초하여 스캐너 미러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MEMS scanner module 800 may include a scanner mirror, a structure supporting the scanner mirror, and a driver driving the scanner mirror.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The driving unit may rotate the scanner mirror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y the applied current.

구동부는 프로세서(670)의 제어에 따라, 스캐너 미러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driver may drive the scanner mirror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670 .

스캐너 미러는,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스캐너 미러가 회전 됨에 따라, 스캐너 미러에 입사되는 가시광은 경로가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The scanner mirror may be rot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s the scanner mirror is rotated, the path of visible light incident on the scanner mirror may be continuously changed.

MEMS 스캐너 모듈(800)은, 스캐너 미러 회전에 기초하여 스캐닝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스캐닝 경로는, 가시광이 스캐너 미러에 반사되어 출력되는 경로일 수 있다. The MEMS scanner module 800 may generate a scanning path based on the scanner mirror rotation. The scanning path may be a path through which visible light is reflected and output by the scanner mirror.

예를 들면, MEMS 스캐너 모듈(800)는, 가시광을, 입력받아, 외부로 제1 방향 스캐닝 및 제2 방향 스캐닝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EMS scanner module 800 may receive visible light and sequentially and repeatedly perform first-direction scanning and second-direction scanning to the outside.

도면과 같이, MEMS 스캐너 모듈(800)는, 스캐닝 가능한 영역을 중심으로, 외부 영역(840)에 대해, 사선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좌에서 우로 스캐닝을 수행하고, 우에서 좌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캐닝 동작을, 외부 영역(840)의 전체에 대해,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로 가시광에 대응하는 투사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EMS scanner module 800 may perform scanning from left to right, and from right to left, in an oblique or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area 840 , based on the scannable area. there is. In addition, such a scanning operation may be repeatedly performed for the entire outer region 840 . Accordingly, a projection image corresponding to visible light may be displayed to the outside.

프로세서(670)는, 스캐너 미러의 회전 제어를 통해, 스캐닝 경로를 조절할 함으로써, 다양한 패턴의 가시광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스캐너 미러의 회전 제어를 통해, 제1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차량(100)의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스키너 미러의 회전 제어를 통해, 표시된 시각적 이미지를, 제2 정보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implement various patterns of visible light by adjusting a scanning path through rotation control of the scanner mirror. 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0 through rotation control of the scanner mirror. The processor 670 may change the displayed visual image in response to the second information through rotation control of the skinner mirror.

한편, 도 8의 MEMS 스캐너 모듈(800)은, 시각적 이미지 표시용 가시광 및 가시성 확보용 가시광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MS scanner module 800 of FIG. 8 may output visible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and visible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together.

프로세서(670)는, MEMS 스캐너 모듈(800)을 이용하여, 시각적 이미지 표시용 가시광 및 가시성 확보용 가시광을 시간차를 두고 출력할 수 있다. 사람의 눈으로 인식되지 않는 매우 짧은 시간차를 두고, 시각적 이미지 표시용 가시광 및 가시성 확보용 가시광을 번갈아 출력함으로써, MEMS 스캐너 모듈(800)은 시각적 이미지 표시용 가시광 및 가시성 확보용 가시광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output the visible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and the visible light for securing the visibility with a time difference using the MEMS scanner module 800 . By alternately outputting visible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and visible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with a very short time difference that is not recognized by the human eye, the MEMS scanner module 800 can output both visible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and visible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there is.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출력부에 복수의 광원이 포함되는 경우의 차량용 조명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 lighting apparatus for a vehicle when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included in a light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광출력부(650)는, 광원부(651), 광원 구동부(651), 광학부(713), 광합성부(920) 및 리플렉터(71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light output unit 650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651 , a light source driver 651 , an optical unit 713 , a photosynthesis unit 920 , and a reflector 716 .

광원부(651)는, 복수의 발광 소자(651R, 651G, 65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부(651)는, 적색 레이저 다이오드(651R), 녹색 레이저 다이오드(651G) 및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651R)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651R, 651G, and 651B.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include a red laser diode 651R, a green laser diode 651G, and a blue laser diode 651R.

광원 구동부(652)는, 광원부(651)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광원부(651)에 제공할 수 있다. 광원 구동부(652)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67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driver 652 may provide an electrical signal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unit 651 to the light source unit 651 .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driver 652 may be gen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670 .

광원부(651R, 651G, 651B)에서 출력되는 잭색, 녹색, 청색광들은, 광학부(712) 내의 각 집광 렌즈(collimator lens)를 통해, 시준될 수 있다(collimate).The jack color, green, and blue lights output from the light sources 651R, 651G, and 651B may be collimated through each collimator lens in the optical unit 712 .

광합성부(920)는, 광원부(651R, 651G, 651B)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광을 합성하여 일 방향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광합성부(920)는, 3개의 2D MEMS 미러(mirror)(920a, 920b, 920c)를 구비할 수 있다.The photosynthesis unit 920 synthesizes the respective lights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units 651R, 651G, and 651B and outputs them in one direction. To this end, the photosynthesis unit 920 may include three 2D MEMS mirrors 920a, 920b, and 920c.

제1 광합성부(920a), 제2 광합성부(920b), 제3 광합성부(920c)는, 각각, 적색 광원부(651R)에서 출력되는 적색광, 녹색 광원부(651G)에서 출력되는 녹색광, 청색 광원부(651B)에서 출력되는 청색광을, 빔 패턴부(660)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한다.The first photosynthesis unit 920a, the second photosynthesis unit 920b, and the third photosynthesis unit 920c are, respectively, the red light output from the red light source unit 651R, the green light output from the green light source unit 651G, and the blue light source unit ( The blue light output from 651B) is output in the direction of the beam pattern unit 660 .

리플렉터(716)는, 광합성부(920)를 통과한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빔 패턴부(660)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리플렉터(716)는, 다양한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며, 이를 위해, Total Mirror(TM)로 구현될 수 있다.The reflector 716 reflects the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passing through the photosynthesis unit 920 in the direction of the beam pattern unit 660 . The reflector 716 reflects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and for this purpose, it may be implemented as a Total Mirror(TM).

빔 패턴부(660)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모듈(700) 및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스캐너 모듈(80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beam pattern unit 660 may selectively include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module 700 and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scanner module 800 .

빔 패턴부(660)에 DMD 모듈(700)이 포함되는 경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670)는, 제1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고, 표시된 시각적 이미지를, 제2 정보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DMD module 700 is included in the beam pattern unit 66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processor 670 displays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displayed visual image. 2 It can be changed in response to information.

빔 패턴부(600)에 MEMS 스캐너 모듈(800)이 포함되는 경우,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670)는, 제1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고, 표시된 시각적 이미지를, 제2 정보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MEMS scanner module 800 is included in the beam pattern unit 6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processor 670 displays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displayed visual image, It can be changed in response to the second inform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광원부(651)는, 미리 정해진 형태로 정렬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hape.

예를 들면, 광원부(651)는, 발광 소자로 복수의 마이크로 LED(10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LED(1010) 각각은, 프로세서(670)의 제어에 따라, 개별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LED(1010) 각각에서 출력되는 광의 색상과 밝기는, 프로세서(670)의 제어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6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 LEDs 1010 as light emitting devices.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 LEDs 1010 may be individually turned on and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670 . The color and brightness of light outpu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 LEDs 1010 may be individually adjust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670 .

프로세서(670)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1010) 각각을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시각적 이미지 표시용 가시광 및 가시성 확보용 가시광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individually drive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 LEDs 1010 to output visible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and visible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together.

프로세서(670)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1010)를 그루핑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제1 그룹의 마이크로 LED를 통해 이미지 표시용 가시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를 통해 가시성 확보용 가시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group and control the plurality of micro LEDs 1010 . 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ible light for image display to be output through the microLEDs of the first group, and control the visible light for ensuring visibility to be output through the microLEDs of the second group.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로 상에 표시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11A to 11C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 visual image displayed on a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도로 상에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광을 출력하여, 가시성 확보를 하고,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출력부(650) 및 빔 패턴부(660)가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may display a visual image on the road.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may output light to secure visibility and display a visual image. For this, the light output unit 650 and the beam pattern unit 66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may be used.

시각적 이미지는, 제1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제1 정보는, 센싱부(135)에서 센싱되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정보는, 내부 센싱부(125)에서 센싱되는 차량(100)의 상태 정보 또는 외부 센싱부(126)에서 센싱되는 차량(100)의 외부 상황 정보일 수 있다.The visual image may b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135 . Specifically,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sensed by the internal sensing unit 125 or external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sensed by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

시각적 이미지는, 도안 및 텍스트로 구현될 수 있다. The visual image may be implemented as a design and text.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제2 정보를 기초로 표시된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센싱부(135)에서 센싱된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정보는, 외부 센싱부(126)에서 센싱되는 차량(100)의 외부 상황 정보일 수 있다.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600 may change the displayed visual image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135 . Specifically,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external context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sensed by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 장치(600)는, 시각적 이미지의 형상, 색, 크기 또는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600 may change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may change the shape, color, size, or brightness of the visual image.

프로세서(670)는, 광출력부(650)에서 생성되는 광을 기초로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1150)을 출력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output the light 1150 for securing visibility based on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650 .

프로세서(670)는, 광출력부(650)에서 생성되는 광을 기초로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1110, 1120)을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output lights 1110 and 1120 for visual image display based on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650 .

프로세서(670)는, 도 1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1150)과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1110, 1120)의 광량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A , 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a visual image by adjusting differently the amounts of the light 1150 for securing visibility and the lights 1110 and 1120 for displaying the visual image.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1150)보다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1110, 1120)을 더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670)는,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1150)만 출력하고,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1110, 1120)을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lights 1110 and 1120 for visual image display to be darker than the light 1150 for securing vis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a visual image by outputting only the light 1150 for securing visibility and not outputting the lights 1110 and 1120 for displaying the visual image.

프로세서(670)는, 도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1150)과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1110, 1120)의 색을 서로 다르게 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B , 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a visual image by differentiating the colors of the lights 1150 for securing visibility and the lights 1110 and 1120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1150)을 제1 색으로 출력하고,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1110, 1120)을 제2 색으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output the light 1150 for securing visibility as a first color and output the lights 1110 and 1120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as a second color.

프로세서(670)는, 도 1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1150)은 출력하지 않고,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1110, 1120)만 출력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C , the processor 670 may output only the lights 1110 and 1120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without outputting the light 1150 for securing visibility.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정보 및 제2 정보 획득 과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referenced to explain a process of obtaining first information and secon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차량(100)의 센싱부(125) 또는 차량(100)의 제어부(170)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12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first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unit 125 of the vehicle 100 or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ehicle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

예를 들면, 제1 정보는, 주행 속도 정보,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턴 시그널 정보 및 OBD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riving speed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located around the vehicle, navigation information, turn signal information, and OBD information.

오브젝트 정보는, 타 차량, 보행자 또는 교통 신호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objec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other vehicles, pedestrians, or traffic signals. The objec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existence of an object,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object, information on a distance to the object, and information on a relative speed with respect to the object.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경로 정보, 맵 정보, 목적지까지 예상 도착 시간 정보, 예상 경과 시간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set destination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map information, expected arrival time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estimated elapsed time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프로세서(670)는,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 또는 시각적 이미지의 색을 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adjust an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or the color of the visual image based on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차량(100)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보다 원거리에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운전자는, 고속 주행시 저속 주행시보다 원거리를 응시하며 운전하기 때문에, 시각적 이미지에 따른 정보 전달력이 더 높아질 수 있다. When the vehicle 100 travels at a high speed,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o display a visual image at a longer distance than when the vehicle 100 travels at a low speed. When the driver drives at a high speed while gazing at a long distance than when driving at a low speed, the ability to transm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isual image may be higher.

프로세서(670)는, 차량(100)의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시각적 이미지를 제1 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가지게 유도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1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in the first col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driver to be alert.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차량(100)의 센싱부(125) 또는 차량(100)의 제어부(170)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he second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unit 125 of the vehicle 100 or the controller 170 of the vehicle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예를 들면, 제2 정보는, 도로 정보, 외부 광 정보 및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타차량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any one of road information, external light information, and other vehicle information located around the vehicle.

도로 정보는, 차량(100)이 주행 중인 도로의 종류 정보(예를 들면, 고속 도로, 시내 도로, 자동차 전용 도로 등), 도로의 구간 정보(예를 들면, 직선 구간, 경사 구간, 커브 구간), 도로의 제한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a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type of road on which the vehicle 100 is traveling (eg, highway, city road, automobile-only road, etc.) and section information of the road (eg, straight section, slope section, curve section). ,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peed limit of the road.

외부 광 정보는, 카메라(200) 또는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카메라(200)는, 획득된 영상의 휘도를 분석하여, 외부 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광은, 태양광, 가로등 또는 타 차량의 조명 장치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The external light information may be detected by the camera 200 or an illuminance sensor. The camera 200 may acquire external light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luminance of the acquired image. The external light may be generated from sunlight, a street lamp, or a lighting device of another vehicle.

타 차량 정보는, 타 차량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 타 차량의 위치 정보, 타 차량과의 거리 정보 및 타 차량과의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other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distance information with another vehicle, and relative speed information with another vehicle. The other vehicle may be a vehicle running in front, rear, or side of the vehicle 100 .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13A to 13C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based on vehicle attitu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센싱부(135)로부터 차량(100)의 자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차량의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attitud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from the sensing unit 135 . The processor 670 may change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based on the vehicle posture information.

도 1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평탄하지 않은 노면상에서 주행할 수 있다. 노면에는 차량(100)의 자세에 영향을 주는 오브젝트가 위치할 수 있다. 차량(100)의 자세에 영향을 주는 오브젝트는 과속 방지턱(1301), 포트 홀, 돌, 도로 파손 부위, 낙하물과 같이 다양하다.As illustrated in FIG. 13A , the vehicle 100 may travel on an uneven road surface. An object affecting the posture of the vehicle 100 may be located on the road surface. Objects affecting the posture of the vehicle 100 are various, such as a speed bump 1301, a port hole, a stone, a road damaged part, and a falling object.

차량(100)이 오브젝트(1301) 밟고 지나가는 경우, 차량(100)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지 않고, 차량(100)의 피치(pitch)가 변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100 steps on the object 1301 and passes, the vehicle 100 does not maintain a constant posture, and the pitch of the vehicle 100 may change.

차량용 조명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광은, 차량(100)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반면, 운전자는, 차량(100)의 상하 방향 움직임과 무관하게 일정 영역을 응시하면서 운전한다. 이경우, 차량(100)의 자세 변화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가 변동되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는, 시각적 이미지를 따라 변화되고, 운전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 The light output from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10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vehicle 100 . On the other hand, the driver drives while gazing at a certain area regardless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100 . In this case, when the visual imag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vehicle 100 , the driver's field of vis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isual image and may interfere with driving.

프로세서(670)는, 차량(100)의 피치의 변화에 기초하여,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의 범위(1315) 내에서,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hange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within a light range 1315 for securing visibility based on a change in the pitch of the vehicle 100 .

또한, 프로세서(670)는, 차량(100)의 요(yaw) 또는 롤(roll)의 변화에 기초하여서도,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의 범위(1315) 내에서,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670 may change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within the range of light 1315 for securing visibility even based on a change in yaw or roll of the vehicle 100 . there is.

도 1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전단이 올라가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올라가는 정도에 대응하여, 가시성 확보를 위해 출력되는 광의 범위(1315)내에서, 시각적 이미지(1310)가, 차량(100)의 전단이 올라가지 않았을 때 표시되는 시각적 이미지(1320)보다, 차량(100)에 더 가까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3B , when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100 is raised, the processor 670 corresponds to the degree of raising, within the range of light output to ensure visibility 1315, the visual image 1310 is ,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closer to the vehicle 100 than the visual image 1320 displayed when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100 is not raised.

도 1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후단이 올라가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올라가는 정도에 대응하여, 가시성 확보를 위해 출력되는 광의 범위(1315)내에서, 시각적 이미지(1310)가, 차량(100)의 후단이 올라가지 않았을 때 표시되는 시각적 이미지(1330)보다, 차량(100)에 더 멀리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3C , when the rear end of the vehicle 100 is raised, the processor 670 corresponds to the degree of raising, within the range of light output to ensure visibility 1315, the visual image 1310 is , than the visual image 1330 displayed when the rear end of the vehicle 100 is not raised, it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farther away from the vehicle 100 .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14A to 14B are diagrams referenced to describe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1410)가 차량(100)의 주행 차선(lane)(1401) 내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A ,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1410 to be displayed in the driving lane 1401 of the vehicle 100 .

시각적 이미지(1410)는, 차량(100)의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시각적 이미지(1410)가 차량(100)의 주행 차선(1401) 밖에 표시되는 경우, 주변 차량 운전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타 차량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정보 전달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The visual image 1410 i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100 . If the visual image 1410 is displayed outside the driving lane 1401 of the vehicle 100 , it may interfere with driving of surrounding vehicles. By controll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without disturbing other vehicles.

도 14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1410)가, 차량(100)의 차폭에 대응되는 범위(1402)내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B ,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1410 to be displayed within a range 140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width of the vehicle 100 .

차량(100)의 차폭에 대응되는 범위(1402)는,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가상의 한쌍의 선 안쪽을 의미할 수 있다.The range 140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width of the vehicle 100 may mean the inside of a pair of virtual lines extending forwar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100 .

차량의 차폭에 대응되는 범위내에서만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100)의 운전자에게 정보 전달이 더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By allowing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only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width, information transfer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100 can be more concentrated.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15 to 17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region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의 범위(1501) 내에서, 시각적 이미지(1510)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1510)가 점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1510 is displayed to be changed within a light range 1501 for securing visibility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1510 to be gradually changed in response to the second information.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 이미지(1510)가 표시되는 영역에 외부 광(1605)이 조사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광의 범위 내에서, 외부 광(1605)이 조사되는 영역 밖에 시각적 이미지(151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6 , when the external light 1605 is irradiated to the area where the visual image 1510 is displayed, the processor 670, within the range of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the external light 1605 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isual image 1510 to be displayed outside the irradiated area.

또는, 프로세서(670)는,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광의 범위 내에서, 외부 광이 가장 적게 조사되는 영역에, 시각적 이미지(151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1510 to be displayed in an area irradiated with the least external light within a light range for securing visibility.

또는, 프로세서(670)는,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광의 범위 내에서, 외부 광의 밝기가 기준값 이하인 영역에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in an area in which the brightness of external light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within a light range for securing visibility.

이와 같이, 외부 광(1605)이 조사되는 경우에도, 시각적 이미지(1510)가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운전자가 시각적 이미지(1510)를 정확하게 인식하게 하여, 정보 전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As such, even when the external light 1605 is irradiated, by changing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1510 is displayed, the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visual image 1510 ,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information transfer.

도 17예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이 커브 구간에 진입하기 전 또는 차량(100)이 커브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커브 구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커브 구간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1710)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the example of FIG. 17 , before the vehicle 100 enters the curve section or when the vehicle 100 drives the curve section, the processor 670 transmits the curve se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can receiv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an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1710 is displayed to be changed in response to the curve section information.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 커브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an area in which a visual image is displayed to change in a direction in which a curve is formed.

가령, 차량(100)이 주행 방향의 좌측으로 형성된 커브 구간(1701)에 진입하거나 주행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1710)가 표시되는 영역이 좌측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670)는, 커브의 곡률에 따라 변경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100 enters or drives in the curved section 1701 formed in the left side of the driving direction,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1710 is displayed to be changed to the left. In this case,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degree of change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curve.

가령, 차량(100)이 주행 방향의 우측으로 형성된 커브 구간(1702)에 진입하거나 주행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1710)가 표시되는 영역이 우측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670)는, 커브의 곡률에 따라 변경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100 enters or drives in a curved section 1702 formed in the right side of the driving direction,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1710 is displayed to be changed to the right. In this case,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degree of change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curve.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커브 구간을 주행할때, 운전자가 바라보는 영역에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적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By controlling in this way, when driving in a curve section, a visual image is displayed in an area the driver is looking at, so that the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visual image.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의 형상, 색, 크기 또는 밝기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18 to 19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shape, color, size, or brightness of a visual image to be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의 범위(1801) 내에서, 시각적 이미지(1810)의 형상, 색, 크기 또는 밝기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1810)가 점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shape, color, size, or brightness of the visual image 1810 to be changed within a light range 1801 for securing visibility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there is. In this cas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1810 to be gradually changed in response to the second information.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 이미지(1810)가 표시되는 영역에 외부 광이 조사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1810)가 더 밝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1810)가 외부 광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9 , when external light is irradiated to an area where the visual image 1810 is displayed,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1810 to be displayed brighter. Alternatively,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1810 to be displaye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external light.

예를 들면, 주행 차선의 옆 차선에서 후행하는 타 차량(1901)이 차량(100)에 접근하는 경우, 시각적 이미지(1810)가 표시되는 영역에 타 차량(1901)의 조명 장치에 의한 외부 광(1905)이 조사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1810)가 더 밝게 표시되거나 시각적 이미지(1810)가 다른 색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other vehicle 1901 following in a lane next to the driving lane approaches the vehicle 100, external light ( 1905) can be investigated. In this cas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1810 to be displayed brighter or the visual image 1810 to be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1810) 표시 영역에 외부광(1905)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운전자에게 시각적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By controlling in this way, even when the external light 1905 flows into the visual image 1810 display area, the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visual image.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로, 차량(100) 주변에서 주행 중인 타 차량(1905)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1905)이 주행 차선의 옆차선의 후방에서 차량(100)에 접근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as the second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ther vehicle 1905 driving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100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information on whether the other vehicle 1905 approaches the vehicle 100 from the rear of the next lane of the driving lane.

타 차량(1905)이, 주행 차선의 옆차선의 후방에서 차량(100)에 접근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1810)가 더 밝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other vehicle 1905 approaches the vehicle 100 from the rear of the next lane of the driving lan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1810 to be displayed brighter.

한편,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의 조명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의 광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 처리(예를 들면, 촬영된 영상의 휘도 분석)하여, 광량 정보를 획득될 수 있다. 또는, 광량 정보는, 내부 센싱부(125)에 포함된 조도 센서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light output from the lighting device of another vehicle. The camera 200 may obtain light amount information by computer processing the captured image (eg, analyzing the luminance of the captured image). Alternatively, the light amount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an illuminance sensor included in the internal sensing unit 125 .

프로세서(670)는, 광량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광량에 비례하여 밝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visual image in response to the light amou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brightly display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light.

이와 같이, 후행 하는 타 차량(1901)의 접근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1810)의 변경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시각적 이미지(1810)를 정확하게 인식시켜 정보가 잘 전달되게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 이미지(1810)의 변경으로, 운전자는, 후행 하는 타 차량(1901)의 접근을 인지할 수 있다.In this way, by controlling the change of the visual image 1810 according to the approach of the other vehicle 1901 following,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visual image 1810 to the driver so tha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well. Also, by changing the visual image 1810 , the driver may recognize the approach of another vehicle 1901 following.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행하는 타 차량과의 거리 정보에 대응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20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visual image in response to distance information from a preceding othe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선행하는 타 차량(2001)과의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거리 정보는, 외부 센싱부(126)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타 차량(2001)은, 차량(100)의 주행 차선에서 선행하는 타 차량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preceding vehicle 2001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The distance information may be acquired through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 The other vehicle 2001 may be another vehicle preceding in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100 .

프로세서(670)는,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의 범위(2020) 내에서, 시각적 이미지(2010)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a region in which the visual image 2010 is displayed to be changed within a light range 2020 for securing visibility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선행하는 타 차량(2001)과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시각적 이미지(2010)를 표시할 수 있는 공간을 줄어든다. 시각적 이미지(2010)을 온전하게 표시하기 위해서, 선행하는 타 차량(2001)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2010)를 점점 차량(100)에 가까운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2001 increases, the space for displaying the visual image 2010 decreases. In order to completely display the visual image 2010, as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2001 increases, the processor 670 displays the visual image 2010 in an area closer to the vehicle 100. can be controlled

도 2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행하는 타 차량의 차체에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21 to 22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on a vehicle body of another prece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을 참조하면, 차량(100)과 선행하는 타 차량(2001)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200)의 차체에 시각적 이미지(201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타 차량(200)의 차체는, 타 차량(200)의 트렁크 리드(trunk lid), 리어 범퍼, 리어 윈도우 및 테일 게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preceding other vehicle 2001 is within a first reference distance, the processor 670 displays the visual image 2010 on the body of the other vehicle 200 . can be controlled as much as possible. The body of the other vehicle 200 may be at least one of a trunk lid, a rear bumper, a rear window, and a tailgate of the other vehicle 200 .

한편, 제1 기준 거리는, 시각적 이미지(2010)가 도로 상에 표시되었을 때, 운전자의 시야에 시각적 이미지(2010)가 들어오는지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reference distance may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visual image 2010 enters the driver's field of vision when the visual image 2010 is displayed on the road.

타 차량(200)의 차체에 시각적 이미지(2010)가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2010)의 크기 또는 색을 조정할 수 있다. When the visual image 2010 is displayed on the vehicle body of the other vehicle 200 ,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size or color of the visual image 2010 .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2001)의 차체위에 시각적 이미지(2010)전체가 표시될 수 있도록, 시각적 이미지(2010)의 크기를 작게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시각적 이미지(2010)의 크기는, 차량(100)과 타 차량(2001)과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size of the visual image 2010 to be small so that the entire visual image 2010 may be displayed on the body of the other vehicle 2001 .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visual image 2010 may be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other vehicle 2001 .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2001)의 차체와 다른 색으로 시각적 이미지(2010)가 표시될 수 있도록, 시각적 이미지(2010)의 색을 조정할 수 있다. 타 차량(2001)의 차체 색 정보는, 카메라(200)에 의해 획득되어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color of the visual image 2010 so that the visual image 2010 may be displaye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dy of the other vehicle 2001 . Body color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2001 may be obtained by the camera 200 and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한편,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카메라(200)로부터 영상 처리되어 획득된 오브젝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object information obtained by image processing from the camera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차량용 조명 장치(600)가 시각적 이미지를 차량(100) 외부에 표시하는 경우, 카메라(200)는, 시각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획득된 영상을 컴퓨터 처리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왜곡 표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에서 제공되는 시각적 이미지 데이터와 획득된 영상에서 검출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비교하여, 왜곡 표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displays a visual image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0 , the camera 200 may capture the visual image. The camera 200 may computer-process the acquired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visual image is distorted. For example, the camera 200 may compare the visual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with a visual image detected from the acquired image to determine whether distortion is displayed.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의 왜곡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distortion display information of the visual image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만약, 시각적 이미지가 타 차량(2001)의 차체의 형상에 의해 왜곡되어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의 차체 위에서,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의 차체 위에서 표시되는 시각적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를 보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If the visual image is distorted and displayed due to the shape of the body of the other vehicle 2001 ,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a position at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on the body of the other vehicle. Alternatively,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size of a visual image displayed on the body of another vehicle. Alternatively, the processor 670 may correct and display the visual image.

도 22를 참조하면, 카메라(200)는,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에서 선행하는 타 차량(2001)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에지 검출(edge detector) 알고리즘 등을 통해, 타 차량(2001)의 차체에서 평평한 부분(2211, 2212)을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the camera 200 may capture an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detect another vehicle 2001 preceding the image. The camera 200 may detect the flat parts 2211 and 2212 of the body of the other vehicle 2001 through an edge detector algorithm or the like.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타 차량(2001)의 평평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평평한 부분(2211, 2212)에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flat portion of the other vehicle 2001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flat portions 2211 and 2212 to display a visual image.

선행 차량(2001)의 차체에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때, 프로세서(670)는, 평평한 부분(2211, 2212)에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displaying the visual image on the vehicle body of the preceding vehicle 2001 ,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flat parts 2211 and 2212 .

선행 차량(2001)의 차체에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때, 평평한 부분에 표시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가 왜곡되게 표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When displaying a visual image on the vehicle body of the preceding vehicle 2001, by displaying it on a flat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sual image from being distorted in advance.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의 왜곡 표시를 보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23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orrecting a distortion display of a visu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을 참조하면, 카메라(200)는,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획득된 영상을 컴퓨터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획득된 영상에서 차량용 조명 장치(600)를 통해 표시된 시각적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 the camera 200 may acquire an image around the vehicle. The camera 200 may computer-process the acquired image. The camera 200 may detect a visual image displayed through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from the acquired image.

카메라(200)는, 시각적 이미지가 왜곡되어 표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에서 제공되는 시각적 이미지 데이터와, 획득된 영상에서 검출된 시각적 이미지를 비교하여, 시각적 이미지가 왜곡되어 표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visual image is distorted and displayed. For example, the camera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visual image is distorted and displayed by comparing the visual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with the visual image detected from the acquired image.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의 왜곡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distortion display information of the visual image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의 왜곡 표시 정보를 기초로, 시각적 이미지가 보정되어 표시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optical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so that the visual image is corrected and displayed based on the distortion display information of the visual imag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의 형상 또는 크기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to be changed. Alternatively,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shape or size of the visual image to be changed.

도 24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24 to 25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에 원근감이 부여되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in perspective.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2410)의 길이 방향(2400)에서 제1 지점(2401)에 해당되는 제1 폭(2411)보다, 시각적 이미지(2410)의 길이 방향(2400)에서 제2 지점(2042)에 해당되는 제2 폭(2412)이 더 크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is configured to be configured at a second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2400 of the visual image 2410 , rather than a first width 2411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int 240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2400 of the visual image 2410 . The second width 2412 corresponding to 2042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larger.

차량(100)과 제2 지점(2402)까지의 거리는, 차량(100)과 제1 지점(2401)까지의 거리보다 더 짧을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second point 2402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first point 2401 .

제2 지점(2402)은, 제1 지점(2401)보다 차량(100)에 더 근접할 수 있다.The second point 2402 may be closer to the vehicle 100 than the first point 2401 .

한편, 시각적 이미지(2410)의 길이 방향(2401)은, 전장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2401 of the visual image 2410 may coincide with the overall length direction.

도 2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차량(100)과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시각적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70)는, 차량(100)과 시각적 이미지(2510a, 2510b)가 표시되는 영역의 거리(2511a, 2511b)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2510a, 2510b)의 길이와 폭을 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 the processor 670 may determine the size of the visual image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an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Specifically,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length and width of the visual images 2510a and 2510b based on the distances 2511a and 2511b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regions where the visual images 2510a and 2510b are displayed. .

도 2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 이미지(2510b)가 표시되는 영역이 차량(100)과 제2 거리(2511b)만큼 떨어진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2510a)가 표시되는 영역이 차량(100)과 제1 거리(2511a)만큼 떨어진 경우보다 길이와 폭이 더 작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리(2511b)는, 제1 거리(2511a)보다 더 길다. As illustrated in FIG. 25 , when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2510b is displayed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100 by the second distance 2511b, the processor 670 determines that the area in which the visual image 2510a is displayed is the vehicle 100 . The length and width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smaller than when 100 and the first distance 2511a are separated. Here, the second distance 2511b is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2511a.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26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visual image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세서(670)는, 통신부(610)를 통해,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통신부(61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더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information, a signal, or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10 . The processor 670 may change the visual image further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10 .

프로세서(670)는, V2X 통신 모듈(616) 또는 광통신 모듈(618)을 통해, 타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 정보는, 타 차량의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방향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other vehicle information through the V2X communication module 616 or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618 . For example,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speed information, direc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The processor 670 may change the visual image based on other vehicle information.

예를 들면, 프로세서(670)는, 통신부(670)를 통해, 타 차량의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타 차량은, 주행 차선의 옆 차선에서 차량(100)에 접근 중인 타 차량일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의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방향 정보 및 경로 정보를 기초로, 타 차량에서 생성되는 광이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방해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타 차량에서 생성되는 광이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방해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speed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70 . Here, the other vehicle may be another vehicle approaching the vehicle 100 in a lane next to the driving lane. The processor 670 may determine whether the light generated by the other vehicle interferes with the display of the visual ima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speed information, direction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ight generated by the other vehicle interferes with the visual image display,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도 27 내지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조명 장치가 헤드 램프로 구현되는 경우,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27 to 45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when a lighting apparatus for a vehicle is implemented as a head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경고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27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an object w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차량 주변 오브젝트(2705)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오브젝트(2705) 정보는, 오브젝트(2705)의 존재 유무 정보, 오브젝트(2705)의 위치 정보, 차량(100)과 오브젝트(2705)와의 거리 정보, 오브젝트(2705)의 이동 방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object 2705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The object 2705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existence of the object 2705 ,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2705 ,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object 2705 , and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2705 . may include

오브젝트(2705)는, 보행자, 자전거, 오토바이 등 차량(100)과 충돌 가능성이 있어, 운전자의 주의를 요하는 물체일 수 있다. 차량(100)의 외부 센싱부(126)는, 차량 주변 오브젝트(2705)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의 외부 센싱부(126)는,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100)의 외부 센싱부(126)는, 차량 주변 오브젝트(2705)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100)의 외부 센싱부(126)는, 오브젝트(2705)의 이동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object 2705 may collide with the vehicle 100 , such as a pedestrian, a bicycle, or a motorcycle, and may be an object requir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of the vehicle 100 may detect an object 2705 around the vehicle.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of the vehicle 100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of the vehicle 100 may acquir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object 2705 around the vehicle.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of the vehicle 100 may acquire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2705 .

프로세서(670)는, 수신된 오브젝트(2705)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271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적 이미지(2810)는, 오브젝트(2805) 주변에 표시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the visual image 2710 based on the received object 2705 information. Here, the visual image 2810 may be displayed around the object 2805 .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271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271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행 차량 또는 후행 차량과의 거리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28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a distance from a preceding vehicle or a follow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차량(100)과 전방 오브젝트(2805)와의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의 외부 센싱부(126)는, 차량(100)과 전방 오브젝트(2805)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8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front object 2805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of the vehicle 10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front object 2805 .

프로세서(670)는, 수신된 오브젝트(2805)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281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적 이미지(2810)는, 차량(100)과 오브젝트(2805) 사이에 표시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the visual image 2810 based on the received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object 2805 . Here, the visual image 2810 may be displayed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object 2805 .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281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281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29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로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29 to 30 are exemplary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roa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도로의 경사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의 경사도 정보는, 차량의 내부 센싱부(125)에 포함된 경사 센서로부터 획득된 기울기 정보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9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slope of the road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slope information of the road may be slop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lope sensor included in the internal sensing unit 125 of the vehicle.

한편, 도로의 경사도 정보는, 카메라(200)에서 차량 전방 스테레오 영상을 뎁스 맵 처리하여, 획득한 기울기 정보일 수 있다. Meanwhile, the slope information of the road may be slope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a depth map of a stereo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by the camera 200 .

카메라(200)는 차량 전방의 스테레오 영상을 기초로 뎁스 맵(depth map)을 생성하고, 생성된 뎁스 맵을 기초로,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 전방의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검출하고, 그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The camera 200 generates a depth map based on the stereo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detects an uphill or downhill slope in front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based on the generated depth map, and detects the inclination. can

카메라(200)는 스테레오 영상 또는 뎁스 맵에서 도로면(road surface)을 검출하고, 검출된 도로면에 기초하여 도로 전방의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검출하고, 그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 road surface from a stereo image or a depth map, detect an uphill or downhill slope in front of the road based on the detected road surface, and detect the slope.

카메라(200)는 스테레오 영상 또는 뎁스 맵에서 차선(lane)을 검출하고, 검출된 차선의 형상에 기초하여 도로 전방의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검출하고, 그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 lane from the stereo image or the depth map, detect an uphill or downhill slope in front of the road based on the detected shape of the lane, and detect the inclination thereof.

카메라(200)는 스테레오 영상 또는 뎁스 맵에 표시되는 소실점을 기초로 도로 전방의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검출하고, 그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n uphill or downhill slope in front of the road based on the vanishing point displayed on the stereo image or the depth map, and detect the inclination thereof.

카메라(200)는 스테레오 영상 또는 뎁스 맵에 표시되는 도로 주변의 복수의 고정된 오브젝트(예를 들면, 가로수 또는 가로등)를 기초로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검출하고, 그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n uphill or downhill slope based on a plurality of fixed objects (eg, a street tree or a street lamp) around a road displayed on a stereo image or a depth map, and detect the slope.

프로세서(670)는 경사도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291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2910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291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291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3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도로의 곡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의 곡률 정보는 차량의 내부 센싱부(125)에 포함된 스티어링 센서로부터 획득된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를 기초로 검출된 정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0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curvature information of the road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curvature information of the road may be information detected based on a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obtained from a steering sensor included in the internal sensing unit 125 of the vehicle.

또는, 도로의 곡률 정보는, 카메라(200)에서 차량 전방 영상을 기초로 획득한 커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urvature information of the road may be information about a curve obtained by the camera 200 based on an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카메라(200)는 차량 전방 영상에서 차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차선을 통해 도로의 커브(curve)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차로의 양 차선을 기준으로 차선을 검출하고, 커브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200)는 중앙차선을 기준으로 차선을 검출하고, 커브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허프 변환(Hough Transformation)을 통해 차선을 검출하고, 도로의 커브(curve)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커브에 대한 정보는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 lane i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generate information on a curve of a road through the detected lane. The camera 200 may detect a lane based on both lanes of a lane in which the vehicle currently travels, and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curve. Alternatively, the camera 200 may detect a lane based on the center lane and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curve. For example, the camera 200 may detect a lane through Hough transformation and generate information on a curve of a road. 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curve may include a curvature.

차량용 조명 장치의 프로세서(670)는 상기 곡률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이미지(301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of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the visual image 3010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301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301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교통 신호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31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raffic sig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교통 신호(Traffic Sign Recognition, TSR)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신호 정보는 카메라(200)에서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이 컴퓨터 처리되어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raffic sign recognition (TSR)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traffic signal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btained by computer processing an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obtained by the camera 200 .

검출된 교통 신호 정보는, 교통 표지판 검출 정보, 신호등 검출 정보, 노면 검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tected traffic signal information may include traffic sign detection information, traffic light detection information, and road surface detection information.

카메라(200)는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에서 교통 표지판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검출된 교통 표지판에서 도안 또는 텍스트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도안 또는 텍스트 정보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 traffic sign from the acquired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camera 200 may detect a design or text from the detected traffic sign. The detected design or tex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카메라(200)는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에서 신호등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검출된 신호등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신호 정보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 traffic light from the acquired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camera 200 may detect a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ed traffic light. The detected sign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카메라(200)는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에서 노면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검출된 노면에서 도안 또는 텍스트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도안 또는 텍스트 정보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 road surface from the acquired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camera 200 may detect a design or text from the detected road surface. The detected design or tex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프로세서(670)는 교통 신호 정보와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311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3110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signal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311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311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과속 방지턱 검출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32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speed bump det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검출된 과속 방지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과속 방지턱 정보는 카메라(200)에서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을 기초로 검출된 정보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2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he detected speed bump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speed bump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detected based o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acquired by the camera 200 .

카메라(200)는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에서 노면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검출된 노면에서 색상 또는 형상을 기초로 과속 방지턱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과속 방지턱 정보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 road surface from the acquired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camera 200 may detect a speed bump based on a color or shape on the detected road surface. The detected speed bump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프로세서(670)는 조사면에 상기 과속 방지턱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321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3210 corresponding to the speed bump information on the irradiation surface.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321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321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장애물 검출 정보를 표시,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33 to 35 are exemplary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obstacle det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장애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장애물 정보는 타 차량 정보, 이륜차 정보, 보행자 정보, 교통 사고 정보, 공사 정보 또는 도로 정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obstacl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obstacle information may include other vehicle information, two-wheeled vehicle information, pedestrian information,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construction information, or road congestion information.

장애물 정보는 카메라(200)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카메라(200)는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을 기초로 타 차량, 이륜차,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검출된 오브젝트의 형상과 메모리(440)에 저장된 형상을 비교하여 타 차량, 이륜차,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타 차량, 이륜차, 보행자 정보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에 전달될 수 있다.The obstacle information may be detected through the camera 200 . The camera 200 may detect other vehicles, two-wheeled vehicles, and pedestrians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camera 200 may detect other vehicles, two-wheeled vehicles, and pedestrians by comparing the detected shape of the object with the shape stored in the memory 440 . The detected other vehicle, two-wheeled vehicle, and pedestria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실시예에 따라, 장애물 정보는 차량(100)의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차량(100)은 통신부(110)를 통해, 교통 사고 정보, 공사 정보, 도로 정체 정보를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bstacl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vehicle 100 . The vehicle 100 may receive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road congestion information from another vehicle, a mobile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도 3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이륜차 검출 정보 또는 보행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3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wo-wheeled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or pedestrian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프로세서(670)는, 이륜차 검출 정보 또는 보행자 검출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two-wheeled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or the pedestrian detection information.

한편, 차량용 조명 장치(600)의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주행 차선의 옆 차선에서 후행하는 타 차량(3370) 검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타 차량(3370)은 카메라(20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670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may receive,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detection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3370 following in a lane next to the driving lane. The other vehicle 3370 may be detected by the camera 200 .

타 차량(3370) 검출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이륜차 또는 보행자 검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측면 주행 차량의 주행 차선(3372)에, 이륜차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3350) 또는 보행자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3355)를 표시할 수 있다. 장애물이 차량(100)에 의해 가려진 경우, 주행 차선의 옆 차선에서 후행하는 타 차량(3370)의 운전자는 장애물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 이경우, 차량용 조명 장치(600)가 장애물 정보를 측면 주행 차량의 주행 차선에 표시해 줌으로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3370 is received, when the two-wheeled vehicle or pedestrian det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processor 670 sets the visual image 3350 corresponding to the two-wheeled vehicle or the pedestrian in the driving lane 3372 of the side driving vehicle. A visual image 3355 corresponding to may be displayed. When the obstacle is obscured by the vehicle 100 , the driver of the other vehicle 3370 following in the lane next to the driving lane has no way to check the obstacle. In this case, since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displays the obstacle information on the driving lane of the side traveling vehicle, an accident can be prevented.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3350, 3355)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s 3350 and 3355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3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교통 사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프로세서(670)는, 교통 사고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34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3450 corresponding to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33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33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3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도로 정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5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road conges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프로세서(670)는, 도로 정체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35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3550 corresponding to road congestion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35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35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36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36 to 37 are exemplary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navig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41)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6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navig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display device 141 or a separate navigation device (not shown).

내비게이션 정보는, 운행 경로 정보, 기설정 목적지 정보, 잔여 거리 정보, 주행중인 지역 정보, 주행중인 도로 정보, 과속 방지 카메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driving route information, preset destination information, remaining distance information, driving area information, driving road information, and speed prevention camera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내비게이션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36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3650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36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36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37을 참조하면, 차량용 조명 장치의 프로세서(670)는 운행 경로 정보에 대응되는 TBT(turn by turn) 이미지(3750)가 표시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7 , the processor 670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controls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turn by turn (TBT) image 3750 corresponding to driving route information. ca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37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37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한편,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주행 차선의 옆 차선에서 후행하는 타 차량 검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information on detecting other vehicles following in a lane next to the driving lane.

타 차량 검출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내비게이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측면 주행 차량의 주행 차선에 내비게이션 정보에 대응되는 TBT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TBT 이미지는, 운행 경로에 대응하는 직진 화살표, 좌회전 화살표, 우회전 화살표 또는 유턴 화살표일 수 있다.When navig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while the other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processor 670 may display a TBT image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 the driving lane of the side driving vehicle. Here, the TBT image may be a straight arrow, a left-turn arrow, a right-turn arrow or a U-turn arrow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route.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38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vehicle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상태 정보는 OBD 정보일 수 있다. OBD 정보는, 파킹 브레이크 상태 정보, 상향등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 정보, 워셔액 부족 상태 정보, 엔진 오일 부족 상태 정보, 동력원 온도 상태 정보, 잔여 에너지 상태 정보, 타이어 공기압 상태 정보, 브레이크 오일 상태 정보 또는 도어 개방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8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vehicle stat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may be OBD information. OBD information includes parking brake status information, high beam on or off status information, washer fluid low status information, engine oil low status information, power source temperature status information, residual energy status information, tire pressure status information, brake oil It may include status information or door open status information.

차량용 조명 장치(600)의 프로세서(670)는 OBD 정보를 차량의 제어부(170)또는 센싱부(135)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may receive OBD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controller 170 or the sensing unit 135 .

프로세서(670)는 OBD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38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optical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the image 3850 corresponding to the OBD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38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38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39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39 to 40 are exemplary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운행 정보는, 주행 속도 정보, 기어 쉬프트 상태 정보 또는 방향 지시등에 전달되는 턴 시그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driving speed information, gear shift state information, or turn signal information transmitted to a direction indicator.

프로세서(670)는, 차량(100)의 제어부(170) 또는 센싱부(135)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controller 170 or the sensing unit 135 of the vehicle 100 .

도 3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주행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9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driving spee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프로세서(670)는,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39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3950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39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39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4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0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urn signal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프로세서(670)는, 턴 시그널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40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4050 corresponding to the turn signal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40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40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4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행 차선 외의 차선에 정보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41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information in a lane other than the driving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타 차량(4105) 검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타 차량(4105)은, 차량(100) 주행 차선의 옆 차선(4106)에서 주행 중인 타 차량일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other vehicle 4105 dete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630 . Here, the other vehicle 4105 may be another vehicle driving in the lane 4106 next to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100 .

타 차량(4105) 검출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턴 시그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670)는 타 차량(4105)의 주행 차선(4106)에 턴 시그널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4150)를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turn signal information is received while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4105 is received, the processor 670 displays a visual image 4150 corresponding to the turn signal information in the driving lane 4106 of the other vehicle 4105 can be displayed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41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41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이와 같이, 후행하는 타 차량(4105)의 주행 차선(4106)에 턴 시그널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4150)를 표시함으로써, 타 차량(4105) 운전자에게 시인성이 좋은 신호를 주어, 차선 변경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by displaying the visual image 4150 corresponding to the turn signal information on the driving lane 4106 of the other vehicle 4105 following, a signal with good visibility is given to the driver of the other vehicle 4105, which occurs when changing lanes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possible accidents.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내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42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in-vehicle sit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차내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내 상황 정보는, 환자 후송 상황 정보, 긴급 구호 요청 정보, 유아 탑승 정보 또는 초보 운전자 정보일 수 있다. 차내 상황 정보는, 차량(100)의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2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in-vehicle context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in-vehicle situation information may be patient evacuation situation information, emergency relief request information, infant boarding information, or novice driver information. The in-vehicle contex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of the vehicle 100 .

차량용 조명 장치의 프로세서(670)는, 차내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이미지(42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4250 corresponding to the in-vehicle situation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42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42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43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행 환경 정보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43 to 44 are exemplary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운행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운행 환경 정보는, 주행시의 날씨 정보 또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or time information during driving.

도 4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43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날씨 정보는 차량(100)의 통신부(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 타 차량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3 ,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4350 correspon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Here, the weather information is It may be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another vehicle, or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vehicle 100 .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43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43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4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44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차량(1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시간 정보는, 차량(100)의 통신부(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 타 차량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4 ,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4450 corresponding to time information. Here, the tim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30 of the vehicle 100 . Alternatively, the tim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another vehicle, or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vehicle 100 .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44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44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도 4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행 차선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45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a driving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프로세서(670)는, 주행 차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의 외부 센싱부(126)는, 주행 차선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획득된 영상을 컴퓨터 처리하여, 주행 차선을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5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driving lane information. The external sensing unit 126 of the vehicle 100 may detect a driving lane. For example, the camera 200 may computer-process the acquired image to detect a driving lane.

프로세서(670)는, 수신된 주행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271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적 이미지(2710)는, 주행 차선 이미지일 수 있다. 주행 차선 이미지(4550)는, 주행 차선과 전부 또는 일부 겹쳐지게 표시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2710 based on the received driving lane information. Here, the visual image 2710 may be a driving lane image. The driving lane image 4550 may be displayed to overlap the driving lane in whole or in part.

한편, 카메라(200)는 선행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200)는 야간에 선행 차량의 후미등 또는 제동등을 검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200 may detect a preceding vehicle. In particular, the camera 200 may detect a tail light or a brake light of a preceding vehicle at night.

프로세서(670)는 수신된 선행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45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4550 based on the received preceding vehicle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45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45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야간 또는 악천 후 상황에서 주행 중인 경우, 주행 차선이 일시적으로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경우, 기 수신된 차선 정보 또는 선행 차량 정보를 기초로 노면에 가상 차선을 표시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When driving at night or in bad weather conditions, the driving lane may be temporarily out of sight.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of promoting safe driving by displaying a virtual lane on the road surface based on previously received lane information or preceding vehicle information.

도 46 내지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조명 장치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로 구현되는 경우,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46 to 51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image when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is implemented as a rear combination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내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46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in-vehicle sit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차내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내 상황 정보는, 환자 후송 상황 정보, 긴급 구호 요청 정보, 유아 탑승 정보 또는 초보 운전자 정보일 수 있다. 차내 상황 정보는, 차량(100)의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in-vehicle context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in-vehicle situation information may be patient evacuation situation information, emergency relief request information, infant boarding information, or novice driver information. The in-vehicle contex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of the vehicle 100 .

프로세서(670)는, 차내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46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4650 corresponding to in-vehicle situation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46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46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이경우, 후행 차량에 차내 상황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vehicle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following vehicle.

도 47 내지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후행 차량과의 상대 거리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47 to 48 are exemplary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visual image according to a relative distance to a follow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차량 후방 오브젝트(4705)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후방 오브젝트는 후행 차량일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후행 차량과의 상대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vehicle rear object 4705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vehicle rear object may be a vehicle following.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relative distance information to the following vehicle.

카메라(200)는 차량 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차량 후방 영상에서 후행 차량(4705)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디스패러티 정보 또는 시간에 따른 후행 차량(4705)의 크기 변화 정보를 기초로 후행 차량(4705)과의 상대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대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후행 차량 정보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acquire an image of the rear of the vehicle. The camera 200 may detect the following vehicle 4705 from the image behind the vehicle. The camera 200 may calculate relativ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following vehicle 4705 based on disparity information or information on the size change of the following vehicle 4705 over time. The following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lative distanc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프로세서(670)는 후행 차량(4705)과의 상대 거리 정보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 표시 영역(4720)과 차량용 조명 장치(600)가 이루는 거리(4740)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distance 4740 between the visual image display area 4720 and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lativ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following vehicle 4705 .

프로세서(670)는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하여 거리(4720)를 조절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adjust the distance 4720 .

한편, 프로세서(670)는 후행 차량(4705)과의 거리 정보에 따라, 차량용 조명 장치(600)에서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670 may adjust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to the outside according to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following vehicle 4705 .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교통 신호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49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raffic sig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검출된 교통 신호(Traffic Sign Recognition, TSR)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신호 정보는 카메라(200)에서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을 기초로 검출된 정보일 수 있다.49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detected traffic signal (Traffic Sign Recognition, TSR)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traffic signal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detected based o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acquired by the camera 200 .

검출된 교통 신호 정보는, 교통 표지판 검출 정보, 신호등 검출 정보, 노면 검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tected traffic signal information may include traffic sign detection information, traffic light detection information, and road surface detection information.

카메라(200)는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에서 교통 표지판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검출된 교통 표지판에서 도안 또는 텍스트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도안 또는 텍스트 정보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 traffic sign from the acquired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camera 200 may detect a design or text from the detected traffic sign. The detected design or tex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카메라(200)는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에서 신호등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검출된 신호등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신호 정보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 traffic light from the acquired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camera 200 may detect a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ed traffic light. The detected sign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카메라(200)는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에서 노면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검출된 노면에서 도안 또는 텍스트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도안 또는 텍스트 정보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 road surface from the acquired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camera 200 may detect a design or text from the detected road surface. The detected design or tex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프로세서(670)는 교통 신호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49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4950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signal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49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49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이경우, 후행 차량에 검출된 교통 신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tected traffic signal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following vehicle.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과속 방지턱 검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50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speed bump det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70)는, 인터페이스부(630)를 통해, 검출된 과속 방지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과속 방지턱 정보는 카메라(200)에서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을 기초로 검출된 정보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0 , the processor 670 may receive the detected speed bump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630 . Here, the speed bump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detected based on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acquired by the camera 200 .

카메라(200)는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에서 노면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검출된 노면에서 색상 또는 형상을 기초로 과속 방지턱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과속 방지턱 정보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 road surface from the acquired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camera 200 may detect a speed bump based on a color or shape on the detected road surface. The detected speed bump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lighting device 600 .

프로세서(670)는 상기 과속 방지턱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5050)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display a visual image 5050 corresponding to the speed bump information.

프로세서(67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5050)를 변경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67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660 to change the visual image 5050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이경우, 후행 차량에 과속 방지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peed bump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following vehicle.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개를 조사면으로 하여 정보를 표시,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51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hanging information using fog as an irradiation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200)는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안개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차량의 통신부(110)는, 현재 위치에서의 안개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는 위치 정보 모듈(114)에서 검출되거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41)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camera 200 may detect a fog situation based on an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or an image around the vehic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vehicle may receive fog situation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Here,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may be det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4 or may be received from the vehicle display device 141 or the navigation device (not shown).

차량(100)이 안개가 형성된 공간에서 주행 중인 경우, 차량용 조명 장치의 프로세서(670)는 안개가 형성된 공간에 소정의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광출력부(650) 또는 빔 패턴부(660)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100 is driving in a space in which fog is formed, the processor 670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is configured to display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predetermined information in the space in which the fog is formed by the light output unit 650 or the beam pattern unit ( 660) can be controlled.

안개를 조사면으로 하여, 후행 차량에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후행 차량의 안전 운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By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following vehicle using the fog as the irradiation surface, an effect of promoting safe driving of the following vehicle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may be derived.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this.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 processor or a control unit.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차량
200 : 차량용 카메라
400 : 차량 운전 보조 장치
600 : 차량용 조명 장치
100: vehicle
200: vehicle camera
400: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600: vehicle lighting device

Claims (12)

차량 내부의 배터리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기 에너지에 기초하여 광을 생성하여 차량의 외부로 출력하는 광출력부;
차량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 신호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상기 광출력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노면위의 제1 영역에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이 출력되고, 노면위의 제2 영역에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내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각적 이미지와 연관된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출력부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제어를 통해, 상기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과 상기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의 광량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a power supply unit receiving electric energy from a battery inside the vehicle;
a light output unit generating light based on the electric energy and outputting it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signals with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the vehic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the optical output unit, and the interface unit;
At least one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so that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is output to a first area on the road surface and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is outputted to a second area on the road surface;
The second area is located within the first area,
The processor receives a signal associated with the visual image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amount of light of the light for securing the visibility and the light amount of the light for displaying the visual image by controlling the electric energy supplied to the light output uni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이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보다 더 밝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A vehicle lighting device that controls the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to be displayed brighter than the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 내에서, 상기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A vehicle ligh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to output light for displaying the visual image within a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초하여,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based on the first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to output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A vehicle ligh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to output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based on a second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적 이미지의 형상, 색, 크기, 밝기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경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ocessor is
A vehicle ligh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to change at least one of a shape, color, size, brightness, and position of the visual image based on a third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주행 속도 정보, 검출된 오브젝트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턴 시그널 정보 및 OBD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고,
상기 제3 신호는,
도로 정보, 외부 광 정보 및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타 차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차량용 조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signal is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driving speed information, detected object information, navigation information, turn signal information, and OBD information,
The third signal is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road information, external light information, and other vehicle information located around the vehicl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호는,
외부광 조사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광이 조사되는 영역 밖에 상기 시각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hird signal is
Corresponding to external light irradiation information,
The processor is
A vehicle ligh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so that the visual image is displayed outside an area irradiated with external ligh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경로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TBT(turn by turn)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이 출력되고,
상기 TBT 이미지의 형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signal corresponds to path information,
The processor is
Light for TBT (turn by turn) image display is output,
A vehicle ligh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to change the shape of the TBT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LED에 공급되는 전류 제어를 통해, 상기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과 상기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의 광량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out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D (Light Emitting Diode),
The processor is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differently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for securing the visibility and light for displaying the visual image by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LE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에서 생성되는 광의 패턴을 변화시키는 빔 패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빔 패턴부 제어를 통해, 상기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과 상기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의 광량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eam pattern unit for changing the pattern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unit;
The processor is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differently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for securing the visibility and for displaying the visual image through the control of the beam pattern unit.
전원 공급부가, 차량 내부의 배터리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전기 에너지에 기초하여, 노면위의 제1 영역에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차량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시각적 이미지와 연관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노면위의 제2 영역에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내에 위치하고,
상기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광출력부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제어를 통해, 상기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과 상기 시각적 이미지 표시를 위한 광의 광량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동작 방법.
step of the power supply unit, receiving electric energy from a battery inside the vehicle;
controlling, by at least one processor, the light output unit to output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to a first area on the road surface based on the electrical energy;
receiv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signal associated with the visual image from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Including, by at least one processor,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so that light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is output to a second area on the road surface;
The second area is located within the first area,
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 to be output to display the visual image,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for differently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for securing the visibility and light for displaying the visual image by controlling the electric energy supplied to the light output unit.
노면위의 제1 영역에,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차량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정보를 생성하고,
노면위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상기 광출력부에서 생성된 광을 이용해 표시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적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에 포함되는 전자 장치.
generating a first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so that light for securing visibility is output to a first area on the road surface;
Receive data from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the vehicle,
generating first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ata;
generating a second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to display a vis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in a second area on the road surface usi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output unit;
generating second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ata;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signal for changing the visual image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KR1020180042547A 2017-08-16 2018-04-12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3725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547A KR102372566B1 (en) 2017-08-16 2018-04-12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748A KR101850325B1 (en) 2017-08-16 2017-08-16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0180042547A KR102372566B1 (en) 2017-08-16 2018-04-12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748A Division KR101850325B1 (en) 2017-08-16 2017-08-16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103A KR20180041103A (en) 2018-04-23
KR102372566B1 true KR102372566B1 (en) 2022-03-08

Family

ID=8082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547A KR102372566B1 (en) 2017-08-16 2018-04-12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5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6043B1 (en) 2018-05-18 2019-08-20 Hyundai Motor Company Outer display lighting apparatus of vehicle
KR102589027B1 (en) 2018-05-18 2023-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Outer display lighting apparatus of vehicle
KR102646669B1 (en) * 2018-06-29 2024-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4039519B1 (en) * 2019-09-30 2024-03-13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ular display system and vehicle
DE102020108009A1 (en) 2020-03-24 2021-09-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ot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3868A (en) * 2013-02-07 2014-08-25 Koito Mfg Co Ltd Vehicle driving suppor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404B1 (en) * 2012-04-19 2014-02-10 주식회사 센플러스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s and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KR102227371B1 (en) * 2014-09-19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projection apparatus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3868A (en) * 2013-02-07 2014-08-25 Koito Mfg Co Ltd Vehicle driving suppo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103A (en)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642B1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201290B1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vehicle
KR101908308B1 (en) Lamp for Vehicle
US10773646B2 (en) Lamp for vehicle
EP3708962B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1916993B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22894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KR101822895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KR102372566B1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366402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843774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KR101768500B1 (en) Drive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42142A (en) Convenien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077575B1 (en) Vehicle Driving Aids and Vehicles
KR101891613B1 (en) Sensor, Headlamp and Vehicle
KR102227371B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995489B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50325B1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1908310B1 (en) Lamp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