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403B1 - 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403B1
KR102372403B1 KR1020170172607A KR20170172607A KR102372403B1 KR 102372403 B1 KR102372403 B1 KR 102372403B1 KR 1020170172607 A KR1020170172607 A KR 1020170172607A KR 20170172607 A KR20170172607 A KR 20170172607A KR 102372403 B1 KR102372403 B1 KR 10237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
compression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6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1506A (en
Inventor
백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403B1/en
Publication of KR20190071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5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4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60G2500/302Height or ground clearance using distributor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압축부와, 압축부와 연결되고 차고를 조절하는 에어스프링부와, 압축부에 외기를 안내하는 유입부와, 유입부에 연결되고 압축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유출부와, 유출부와 연결되고 압축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압축부에 장착되어 압축부의 진동을 완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공압지지부를 포함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압축부의 진동을 완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compression unit for discharging air; an air spring unit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an inlet unit for guiding outside air to the compression unit;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ing an outlet for guiding the air of the unit to the outside, one or more pneumatic support units connected to the outlet, expanded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unit, and mounted on the compression unit to relieve vibration of the compression unit Vibration of the compression part can be alleviated by this.

Figure R1020170172607
Figure R1020170172607

Description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일부를 이용하여 압축기의 진동을 완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reducing vibration of a compressor by using a part of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서스펜션은 승차감과 조종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승차감을 좋게 하면 조종안정성이 떨어지고 조종안정성을 좋게 하면 승차감이 떨어진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서스펜션의 스프링을 부드럽게 하면 울퉁불퉁한 노면으로 인한 충격을 쉽게 흡수해서 승차감이 좋게 된다. 그러나 차체가 불안정해 조종안정성이 떨어진다. 반면에 스프링이 딱딱하면 조종안정성은 좋아지지만 노면의 요철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승차감은 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강철로 만들어진 코일 스프링은 강도를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공기를 이용한 에어 스프링이다. 에어 스프링은 공기압을 손쉽게 컨트롤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딱딱하거나 부드러워 질 수 있다. 이러한 에어 스프링을 사용하는 서스펜션이 에어서스펜션(air suspension)이다.In general, the suspension has a limit in satisfying both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When the ride comfort is improved, the steering stability decreases, and when the steering stability is improved, the riding comfort decreases. The reason for this is as follows. If the spring of the suspension is softened, the shock caused by the uneven road surface can be easily absorbed and the riding comfort is improved. However, the vehicle body is unstable and the steering stability is deteriorated. On the other hand, if the spring is hard, the steering stability is improved, but the riding comfort is deteriorated because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unevenness of the road cannot be properly absorbed. However, coil springs made of conventional steel cannot change the strength at will. Therefore, the air spring using air was created. The air spring can be hard or soft as required by easily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A suspension using such an air spring is an air suspension.

종래 에어서스펜션에서는 압축기가 브라켓을 통해 코일스프링과 부시에 지지되는바, 저주파 영역의 큰 진동은 코일스프링으로 지지되고, 고주파 영역의 작은 진동은 부시로 지지된다.In the conventional air suspension, a compressor is supported by a coil spring and a bush through a bracket. Large vibrations in the low frequency region are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and small vibrations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are supported by the bush.

에어서스펜션의 공기압 생성을 위한 주요 부품으로 사용되는 압축기는 작동시 큰 진동과 소음을 야기할 수 있어, 진동 소음을 위한 특별한 장치나 기술이 필요하며, 특히 근래의 차량은 하이브리드카나 전기차가 개방되면서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조용하고 진동이 적은 부품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Compressors used as main components for generating air pressure of air suspension can cause large vibrations and noises during operation, so a special device or technology for vibration noise is required. Quiet and less vibration compared to locomotive vehicles are required.

그러나, 종래에는 압축기 진동 완화를 위해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므로, 충분한 설치 공간이 필요하고, 완충 효과를 높이기 위해 스프링 상수를 낮추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a coil spring is used to relieve vibration of the compressor, sufficient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and it is difficult to lower the spring constant in order to increase the cushioning effec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i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21973호(2006.03.09. 공개, 발명의 명칭 : 폐루프 차고조절 시스템)에 게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021973 (published on March 9, 2006, title of the invention: closed-loop heigh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일부를 이용하여 압축기의 진동을 완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alleviating vibration of a compressor by using a part of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는: 공기를 토출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고 차고를 조절하는 에어스프링부; 상기 압축부에 외기를 안내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압축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유출부; 및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압축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상기 압축부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부의 진동을 완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공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ion unit for discharging air; an air spring unit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and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an inlet for guiding outside air to the compression unit; an outlet connected to the inlet and guiding the air of the compression unit to the outside; and one or more pneumatic support part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expanded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part, and mounted on the compression part to relieve vibration of the compression part.

상기 유입부는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어 외기를 안내하는 유입유로부; 및 상기 유입유로부에 형성되고, 공기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유입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le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portion an inlet passage for guiding the outside air; and an inlet valve formed in the inflow passage, and restricting movement of air in one direction.

상기 유출부는 상기 유입유로부와 연결되어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유출유로부; 상기 유출유로부에 형성되고, 설정압력 이상의 공기를 일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한 쌍의 유출밸브부; 및 한 쌍의 상기 유출밸브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유출유로부에서 분기되고, 상기 공압지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유출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le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let passage portion outlet passage for guiding the air to the outside; a pair of outlet valves formed in the outlet passage and passing air above a set pressure in one direction; and an outlet branching part which is branched from the outlet flow path part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outlet valve parts, and is connected to the pneumatic support part, respectively, to guide air.

상기 공압지지부는 상기 유출분기부와 연결되고 유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 가능한 지지완충부; 상기 지지완충부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지지고정부; 및 상기 지지완충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축부에 조립되는 지지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neumatic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utlet branching portion and the support buffer portion expandable by the introduced air; a support fixing part mounted on the support cushioning part and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a support fastening part mounted on the support buffer part and assembled to the compression par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는: 공기를 토출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고 차고를 조절하는 에어스프링부; 상기 에어스프링부에 연결되고, 상기 압축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유출부; 및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압축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상기 압축부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부의 진동을 완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공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ion unit for discharging air; an air spring unit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and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an outlet connected to the air spring and guiding the compressed air to the outside; and one or more pneumatic support part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expanded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part, and mounted on the compression part to relieve vibration of the compression part.

상기 유출부는 상기 에어스프링부와 연결되어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유출유로부; 상기 유출유로부에 형성되고, 설정압력 이상의 공기를 일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유출밸브부; 및 상기 에어스프링부와 상기 유출밸브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유출유로부에서 분기되고, 상기 공압지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유출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le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air spring portion, the outlet passage for guiding the air to the outside; an outlet valve formed in the outlet passage and passing air above a set pressure in one direction; and an outlet branching part which is branched from the outlet flow path part disposed between the air spring part and the outlet valve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pneumatic support part, respectively, to guide air.

상기 공압지지부는 상기 유출분기부와 연결되고 유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 가능한 지지완충부; 상기 지지완충부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지지고정부; 및 상기 지지완충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축부에 조립되는 지지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neumatic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utlet branching portion and the support buffer portion expandable by the introduced air; a support fixing part mounted on the support cushioning part and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a support fastening part mounted on the support buffer part and assembled to the compression par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는 압축부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공압지지부에 공급되어 압축부의 진동을 완화할 수 있다.In the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unit is supplied to the pneumatic support unit to relieve vibration of the compress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는 공압지지부에 일정한 공압이 유지되어 별도의 공기 주입을 위한 제어가 생략될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하여 부품수가 절감될 수 있다.In the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stant pneumatic pressure is maintained in the pneumatic support unit, so control for separate air injection may be omitted, and the number of parts may be reduced due to a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방식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흡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배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공압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즈 방식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흡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배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n open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ake state in FIG. 1 .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haust state in FIG. 1 .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neumatic support unit in FIG. 1 .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 clos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ake state in FIG. 5 .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haust state in FIG. 5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방식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흡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배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방식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1)는 압축부(10)와, 에어스프링부(20)와, 유입부(30)와, 유출부(40)와, 공압지지부(50)를 포함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n open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ake state in FIG. 1 ,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haust state in FIG. 1 . It is a drawing showing 1 to 3 , the air suspension device 1 for an open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ion part 10 , an air spring part 20 , an inlet part 30 , and an outlet It includes a part 40 and a pneumatic support part 50 .

압축부(10)는 공기를 토출한다. 그리고, 에어스프링부(20)는 압축부(10)와 연결되어 차고를 조절한다. 일 예로, 에어스프링부(20)는 공압에 의해 차체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에어조절부(21)와, 압축부(10)와 에어조절부(21)를 연결하여 공압을 안내하는 에어유로부(22)와, 에어유로부(22)를 개폐하는 에어밸브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에어유로부(22)에는 공압이 일시 저장되기 위한 에어저장부(24)와, 에어저장부(24)로의 공기의 출입을 조절하는 저장밸브부(25)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mpression unit 10 discharges air. And, the air spring unit 2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10 to adjust the vehicle height. For example, the air spring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air control units 21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by pneumatic pressure, and an air flow path unit for guiding the air pressure by connecting the compression unit 10 and the air control unit 21 . (22), and may include an air valve unit 2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flow passage (22). In addition, an air storage unit 24 for temporarily storing pneumatic pressure and a storage valve unit 25 for controlling the inlet and exit of air into the air storage unit 24 may be formed in the air flow path unit 22 .

유입부(30)는 압축부(10)에 외기를 안내하고, 유입부(30)에 연결된 유출부(40)는 압축부(10)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한다. 하나 이상의 공압지지부(50)는 유출부(40)와 연결되고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압축부(10)에 장착되어 압축부(10)의 진동을 완화시킨다.The inlet part 30 guides outside air to the compression part 10 , and the outlet part 40 connected to the inlet part 30 guides the air of the compression part 10 to the outside. One or more pneumatic support units 50 are connected to the outlet unit 40 and are expanded by the discharged air, and are mounted on the compression unit 10 to relieve vibration of the compression unit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30)는 유입유로부(31)와 유입밸브부(32)를 포함한다. 유입유로부(31)는 압축부(10)와 연결되어 외기를 안내한다. 유입밸브부(32)는 유입유로부(31)에 형성되고 공기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일 예로, 유입밸브부(32)는 외부에서 압축부(10)로의 공기 이동을 허용하고, 압축부(10)에서 외부로의 공기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유입유로부(31)에는 필터가 형성되어 압축부(10)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다.The inflow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low passage part 31 and an inflow valve part 32 . The inflow passage part 31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part 10 to guide outside air. The inlet valve part 32 is formed in the inflow passage part 31 and restricts the movement of air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inlet valve unit 32 may allow air movement from the outside to the compression unit 10 , and may limit the air movement from the compression unit 10 to the outside. A filter is formed in the inflow passage part 31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compression part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출부(40)는 유출유로부(41)와, 유출밸브부(42)와, 유출분기부(43)를 포함한다. The outlet par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let flow passage part 41 , an outlet valve part 42 , and an outlet branch part 43 .

유출유로부(41)는 유입유로부(31)와 연결되어 공기를 외부로 안내한다. 한 쌍의 유출밸브부(42)는 유출유로부(41)에 형성되고, 설정압력 이상의 공기를 일방향으로 통과시킨다. 유출분기부(43)는 한 쌍의 유출밸브부(42) 사이에 배치되는 유출유로부(41)에서 분기되고, 하나 이상의 공압지지부(50)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안내한다. The outlet passage 41 is connected to the inlet passage 31 to guide air to the outside. A pair of outlet valve parts 42 are formed in the outlet flow passage part 41, and pass air above a set pressure in one direction. The outlet branching part 43 is branched from the outflow passage part 41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outflow valve parts 42 , and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or more pneumatic support parts 50 to guide air.

일 예로, 유출밸브부(42)는 제1밸브부(421)와 제2밸브부(4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압축부(10)에서 외부로의 공기 이동만을 허용할 수 있다. 제1밸브부(421)는 제2밸브부(422) 보다 압축부(10)에 근접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밸브부(421)를 통과하기 위한 제1설정압력 보다 제2밸브부(422)를 통과하기 위한 제2설정압력이 더 높게 설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밸브부(421)를 통과한 공기는 제2밸브부(422)의 제2설정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유출분기부(43)를 통해 공압지지부(50)에 공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let valve part 42 may include a first valve part 421 and a second valve part 422 , and may allow only air movement from the compression part 10 to the outside. The first valve part 421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ompression part 10 than the second valve part 422 . And, the second set pressure for passing through the second valve unit 422 than the first set pressure for passing through the first valve unit 421 may be designed to be higher. For this reaso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valve part 421 may be supplied to the pneumatic support part 50 through the outlet branch part 43 until the second set pressure of the second valve part 422 is reached. .

도 4는 도 1에서 공압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지지부(50)는 지지완충부(51)와, 지지고정부(52)와, 지지체결부(53)를 포함한다.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neumatic support unit in FIG. 1 . Referring to FIG. 4 , the pneumatic support par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buffer part 51 , a support fixing part 52 , and a support fastening part 53 .

지지완충부(51)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유출분기부(43)와 연결되어 유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 가능하다. 지지고정부(52)는 지지완충부(51)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된다. 지지체결부(53)는 지지완충부(51)에 장착되고, 압축부(10)에 조립된다.The support buffer unit 5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branch 43 and is expandable by the introduced air. The support fixing part 52 is mounted on the support buffer part 51 and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he support fastening part 53 is mounted on the support buffer part 51 and assembled to the compression part 10 .

일 예로, 지지고정부(52)는 지지완충부(51)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체결부(53)는 지지완충부(51)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압축부(1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고정부(52)는 차체에 나사 결합되고, 지지체결부(53)는 압축부(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fixing part 52 may b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uffer part 51 and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he support fastening part 53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uffer part 51 , and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ression part 10 . The support fixing part 52 may be screw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support fastening part 53 may be screwed to the compression part 10 .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방식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의 흡기 및 배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take and exhaust states of the air suspension device for an open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as follows.

외부 공기 유입이 필요한 경우, 압축부(10)가 작동되고, 외부 공기는 유입유로부(31)를 통해 압축부(10)에 공급된다(도 2 참조). 압축부(10)에 공급된 공기는 에어스프링부(20)에 공급되어 차고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다.When external air inflow is required, the compression unit 10 is operated, and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compression unit 10 through the inflow passage unit 31 (see FIG. 2 ). The air supplied to the compression unit 10 is supplied to the air spring unit 2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한편, 차고 하향시 또는 압축부(10) 내부 드라이어 재생을 위한 배기가 필요한 경우, 제1밸브부(421)를 통과한 공기가 압축부(10)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공압지지부(50)에 각각 공급된다(도 3 참조). 이러한 공압지지부(50)에는 일정 압력이 유지되어 압축부(10)의 진동을 완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haust is required to regenerate the dryer inside the compression unit 10 when the garage is lowere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valve unit 421 is applied to one or more pneumatic support units 50 supporting the compression unit 10, respectively. supplied (see Fig. 3). A constant pressure is maintained in the pneumatic support unit 50 to relieve vibration of the compression unit 10 .

그 외, 압축부(10)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기가 토출되어 제2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가 제2밸브부(4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기소음은 노이즈 리듀서를 통해 완화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 is continuously discharged through the compression unit 10 and exceeds the second set pressure,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valve unit 422 . In this case, exhaust noise may be alleviated through a noise reduc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즈 방식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흡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서 배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즈 방식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2)는 압축부(60)와, 에어스프링부(70)와, 유출부(80)와, 공압지지부(90)를 포함한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 closed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ake state in FIG. 5 , and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haust state in FIG. 5 . It is a drawing showing 5 to 7 , the air suspension device 2 for a clos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ion part 60 , an air spring part 70 , an outlet part 80 , and pneumatic It includes a support (90).

압축부(60)는 공기를 토출한다. 그리고, 에어스프링부(70)는 압축부(60)와 연결되어 차고를 조절한다. 일 예로, 에어스프링부(70)는 공압에 의해 차체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에어조절부(71)와, 압축부(60)와 에어조절부(71)를 연결하여 공압을 안내하는 에어유로부(72)와, 에어유로부(72)를 개폐하는 에어밸브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부(60)에는 공압이 일시 저장되기 위한 압축저장부(61)가 유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 외, 압축부(60)에는 시스템 초기에 외기를 공급하거나, 부족한 공기를 외기로부터 보충하기 위한 압축유입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압축유입부(62)는 외부에서 압축부(60)로의 공기 이동만을 허용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unit 60 discharges air. And, the air spring unit 7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60 to adjust the vehicle height. For example, the air spring unit 70 includes a plurality of air control units 71 for adjusting the vehicle body height by pneumatic pressure, and an air flow path unit for guiding the air pressure by connecting the compression unit 60 and the air control unit 71 . (72), and may include an air valve part 7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flow passage (72). In addition, the compression storage unit 61 for temporarily storing the pneumatic pressure may be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60 through a flow path. In addition, the compression unit 60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ion inlet 62 for supplying outside air at the initial stage of the system or to supplement insufficient air from outside air. At this time, the compression inlet 62 may allow only air movement from the outside to the compression unit 60 .

에어스프링부(70)에 연결된 유출부(80)는 압축부(60)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한다. 하나 이상의 공압지지부(90)는 유출부(80)와 연결되고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압축부(60)에 장착되어 압축부(60)의 진동을 완화시킨다.The outlet part 80 connected to the air spring part 70 guides the air of the compression part 60 to the outside. One or more pneumatic support parts 90 are connected to the outlet part 80 and are expanded by the discharged air, and are mounted on the compression part 60 to relieve vibration of the compression part 6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출부(80)는 유출유로부(81)와, 유출밸브부(82)와, 유출분기부(83)를 포함한다.The outlet 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let flow passage 81 , an outlet valve 82 , and an outlet branch 83 .

유출유로부(81)는 에어스프링부(70)와 연결되어 공기를 외부로 안내한다. 일 예로, 유출유로부(81)는 에어유로부(72)와 연통되며, 유로개폐부(811)가 유출유로부(81)를 개폐하여 유출유로부(81)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The outflow passage part 81 is connected to the air spring part 70 to guide air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outlet flow path unit 81 may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th unit 72 , and the flow path opening/closing unit 811 may open and close the outlet flow path unit 81 to allow movement to the outlet flow path unit 81 .

유출밸브부(82)는 유출유로부(81)에 형성되고, 설정압력 이상의 공기를 일방향으로 통과시킨다. 유출분기부(83)는 유출유로부(81)에서 분기되고, 하나 이상의 공압지지부(90)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안내한다. The outlet valve part 82 is formed in the outlet flow path part 81, and allows air above a set pressure to pass through in one direction. The outlet branch 83 is branched from the outlet flow passage 81 and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or more pneumatic support parts 90 to guide air.

일 예로, 유출밸브부(82)는 유출유로부(81)의 단부에 형성되고, 압축부(60)에서 외부로의 공기 이동만을 허용할 수 있다. 유로개폐부(811)를 통해 유출유로부(81)로 이동된 공기는 유출밸브부(82)의 설정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유출분기부(83)를 통해 공압지지부(9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압지지부(90)는 도 4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the outlet valve unit 8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outlet flow path unit 81 , and may allow only air movement from the compression unit 60 to the outside. The air moved to the outlet channel 81 through the channel opening/closing unit 811 may be supplied to the pneumatic support unit 90 through the outlet branch unit 83 until the set pressure of the outlet valve unit 82 is reached. . Meanwhile, since the pneumatic support unit 90 is the same as that of FIG.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즈 방식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의 흡기 및 배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take and exhaust states of the air suspension device for a clos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as follows.

시스템 초기에 외부 공기 유입이 필요하거나 공기 보충을 위해 외부 공기 유입이 필요한 경우, 압축부(60)가 작동되고, 외부 공기는 압축유입부(62)를 통해 압축부(60)에 공급된다(도 6 참조). 압축부(60)에 공급된 공기는 에어스프링부(70)에 공급되어 차고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다.When external air introduction is required at the beginning of the system or external air intake is required for air supplementation, the compression unit 60 is operated, and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compression unit 60 through the compression inlet unit 62 (Fig. 6). The air supplied to the compression unit 60 is supplied to the air spring unit 7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한편, 차고 하향시 또는 압축부(60) 내부 드라이어 재생을 위한 배기가 필요한 경우, 유로개폐부(811)를 통과한 공기가 압축부(60)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공압지지부(90)에 각각 공급된다(도 7 참조). 이러한 공압지지부(90)에는 일정 압력이 유지되어 압축부(60)의 진동을 완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haust is required to regenerate the dryer inside the compression unit 60 when the garage is lowere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low path opening and closing unit 811 is supplied to one or more pneumatic support units 90 supporting the compression unit 60, respectively. (See Fig. 7). A constant pressure is maintained in the pneumatic support unit 90 to relieve vibration of the compression unit 60 .

그 외, 압축부(60)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기가 토출되어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가 유출밸브부(8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기소음은 노이즈 리듀서를 통해 완화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 is continuously discharged through the compression unit 60 and exceeds the set pressure,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valve unit 83 . In this case, exhaust noise may be alleviated through a noise reduc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1,2)는 압축부(10,60)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공압지지부(50,90)에 공급되어 압축부(10,60)의 진동을 완화할 수 있다.In the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units (10, 60) is supplied to the pneumatic support units (50, 90) of the compression units (10, 60). Vibration can be mitig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1,2)는 공압지지부(50,90)에 일정한 공압이 유지되어 별도의 공기 주입을 위한 제어가 생략될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하여 부품수가 절감될 수 있다.In the air suspension devices 1 and 2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stant pneumatic pressure is maintained in the pneumatic support parts 50 and 90, so that control for separate air injection can be omitted, and the number of parts is simple because the structure is simple.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60 : 압축부 20,70 : 에어스프링부
30 : 유입부 31 : 유입유로부
32 : 유입밸브부 40,80 : 유출부
41 ; 유출유로부 42 : 유출밸브부
43 : 유출분기부 50,90 : 공압지지부
51 : 지지완충부 52 : 지지고정부
53 : 지지체결부
10,60: compression part 20,70: air spring part
30: inlet 31: inflow passage
32: inlet valve part 40, 80: outlet part
41 ; Outflow passage part 42: outflow valve part
43: outlet branch 50, 90: pneumatic support
51: support buffer part 52: support fixed part
53: support fastening part

Claims (7)

공기를 토출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고 차고를 조절하는 에어스프링부;
상기 압축부에 외기를 안내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압축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유출부; 및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압축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상기 압축부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부의 진동을 완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공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어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유출유로부;
상기 유출유로부에 형성되고, 설정압력 이상의 공기를 일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한 쌍의 유출밸브부; 및
한 쌍의 상기 유출밸브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유출유로부에서 분기되고, 상기 공압지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유출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a compression unit for discharging air;
an air spring unit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and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an inlet for guiding outside air to the compression unit;
an outlet connected to the inlet and guiding the air of the compression unit to the outside; and
One or more pneumatic support parts connected to the outlet, expanded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part, and mounted on the compression part to relieve vibration of the compression part;
the outlet
an outlet passage connected to the inlet to guide air to the outside;
a pair of outlet valves formed in the outlet passage and passing air above a set pressure in one direction; and
The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branching from the outlet flow passag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outlet valve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neumatic support to guide ai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어 외기를 안내하는 유입유로부; 및
상기 유입유로부에 형성되고, 공기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유입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let
an in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to guide outside air; and
The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s formed in the inlet passage portion, the inlet valve for restricting the one-way movement of the ai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지지부는
상기 유출분기부와 연결되고 유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 가능한 지지완충부;
상기 지지완충부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지지고정부; 및
상기 지지완충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축부에 조립되는 지지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neumatic support portion
a support buffer part connected to the outlet branch and expandable by the introduced air;
a support fixing part mounted on the support cushioning part and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and a support fastening part mounted on the support buffer part and assembled to the compression part.
공기를 토출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고 차고를 조절하는 에어스프링부;
상기 에어스프링부에 연결되고, 상기 압축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유출부; 및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압축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상기 압축부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부의 진동을 완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공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에어스프링부와 연결되어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유출유로부;
상기 유출유로부에 형성되고, 설정압력 이상의 공기를 일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유출밸브부; 및
상기 에어스프링부와 상기 유출밸브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유출유로부에서 분기되고, 상기 공압지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유출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a compression unit for discharging air;
an air spring unit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and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an outlet connected to the air spring and guiding the air of the compression unit to the outside; and
One or more pneumatic support parts connected to the outlet, expanded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part, and mounted on the compression part to relieve vibration of the compression part;
the outlet
an outlet passage connected to the air spring to guide air to the outside;
an outlet valve formed in the outlet passage and passing air above a set pressure in one direction; and
The air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branching out from the outlet flow path disposed between the air spring and the outlet valve, each connected to the pneumatic support to guide the air;
삭제delet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지지부는
상기 유출분기부와 연결되고 유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 가능한 지지완충부;
상기 지지완충부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지지고정부; 및
상기 지지완충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축부에 조립되는 지지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neumatic support portion
a support buffer part connected to the outlet branch and expandable by the introduced air;
a support fixing part mounted on the support cushioning part and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and a support fastening part mounted on the support buffer part and assembled to the compression part.
KR1020170172607A 2017-12-14 2017-12-14 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KR102372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607A KR102372403B1 (en) 2017-12-14 2017-12-14 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607A KR102372403B1 (en) 2017-12-14 2017-12-14 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506A KR20190071506A (en) 2019-06-24
KR102372403B1 true KR102372403B1 (en) 2022-03-11

Family

ID=67055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607A KR102372403B1 (en) 2017-12-14 2017-12-14 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4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457B1 (en) 2023-06-16 2023-12-21 에이디어스 주식회사 Air Suspension Operation Planning Generation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81B1 (en) * 2007-10-22 2009-01-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ir suspen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0555A (en) * 1995-12-15 1997-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Air compression unit
KR101301753B1 (en) * 2007-06-21 2013-08-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ir suspension system and automobile therewith
DE102014009419B4 (en) * 2014-06-25 2023-06-07 Zf Cv Systems Hannover Gmbh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pneumati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81B1 (en) * 2007-10-22 2009-01-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ir suspens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457B1 (en) 2023-06-16 2023-12-21 에이디어스 주식회사 Air Suspension Operation Planning Generation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506A (en)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5861B (en) Solenoid valve of shock absorber
KR101916612B1 (en) Railroad vibration control device
JP2007523298A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frequency dependent damper
CN103857544A (en) Vehicle wheel suspension with a hydraulic vibration damper
KR102372403B1 (en) 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KR20150125289A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assembly
CN107002810B (en) Orifice valve and buffer
JP5160127B2 (en) Railway vehicle body tilt actuator
US20200164713A1 (en) Ai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48360A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
KR102173985B1 (en) Multi chamber type air spring device
KR20190026249A (en) Activ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101947064B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assembly
JP6134182B2 (en) Shock absorber
US9175784B2 (en) Valve
KR101655499B1 (en) Impact Damper
CN110608314B (en) Air regulating valve, air regulating valve device, vehicle room suspension system and motor vehicle
CN111409407A (en) Novel automotive suspension device
KR20080112577A (en) Air suspension system and automobile therewith
KR101982267B1 (en) Energy active regeneration device for suspension
KR0176023B1 (en) Air injection type suspension system
KR20160001566A (en) suspension with variable spring constant
KR20180098851A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102546370B1 (en) 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KR101742549B1 (en) Pneumatic solenoid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