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693B1 -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693B1
KR102370693B1 KR1020210112496A KR20210112496A KR102370693B1 KR 102370693 B1 KR102370693 B1 KR 102370693B1 KR 1020210112496 A KR1020210112496 A KR 1020210112496A KR 20210112496 A KR20210112496 A KR 20210112496A KR 102370693 B1 KR102370693 B1 KR 10237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sects
breeding
adult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순철
신문한
이형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 법인 곤충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 법인 곤충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 법인 곤충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6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ducing and collecting insects, capable of: being arranged inside a breeding tray in which a larva, a caterpillar, a pupa, and an imago are bred together; separately breeding the only insects in the breeding tray at an appropriate time by inducing only insects with relatively high activity and separately collecting the insects; and preventing productivity degradation caused by allowing the insects to eat the larva, the caterpillar, and the pupa. Even though conventional manual work for selecting the insects in the breeding tray is excluded, the device sufficiently facilitates separation breeding of the insects,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in mass production of edible insects, and securing high profitability by reducing manpower applied to insect breed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and a plurality of inducing units.

Description

성충 유인 포집 장치{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Adult trapping device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본 발명은 성충 유인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충, 애벌레, 번데기, 성충 등이 혼재 사육중인 사육트레이 내부에 배치되어 활동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성충만을 유인하여 별도 포집함으로써 사육트레이 내에서 적정 시기에 성충만을 분리사육 가능하게 하여 성충이 유충, 애벌레, 번데기 등을 잡아먹음으로써 발생하는 생산성 저하 문제를 방지하고, 사육트레이 내에서 일일이 성충을 선별해 내는 재래적인 수작업을 배제하더라도, 성충의 분리사육을 충분히 가능케 함으로써 식용 곤충의 대량생산시에 생산성과 작업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곤충 사육에 투입되는 인력을 줄여, 높은 채산성을 보장토록 하는 성충 유인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ult attracting and collec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larvae, larvae, pupae, adults, etc. are arranged inside a breeding tray where they are being reared in a mixed manner, and only adults with relatively high activity are attracted and separately collected in the breeding tray. By making it possible to separate and rearing only adults at an appropriat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productivity degradation caused by adult insects eating larvae, larvae, pupae, etc. It relates to a device for attracting adult insects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in mass production of edible insects by sufficiently enabling separate breeding, reduce manpower input for breeding insects, and ensure high profitability.

식용 곤충은 주로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라오스, 타이, 베트남 등지에서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메뚜기와 번데기를 주로 식용으로 사용하였다.Edible insects are mainly distributed in Japa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Laos, Thailand, and Vietnam, and grasshoppers and pupae are mainly used for food in Korea.

그러던 중 식약처에 의해 2014년에는 갈색거저리 유충이 식품 원료로써 인정되었으며, 이들 갈색거저리 유충은 애칭 공모를 통해 각각 '고소애'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고, 장수풍뎅이 유충과 귀뚜라미도 한시적인 식품 원료로 인정된 바 있다.In the meantime,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2014, brown mealworm larvae were recognized as food raw materials, and these brown mealworm larvae were each called 'Gosoae' through a nickname contest. has been acknowledged

특히, 축산업으로 인한 온실가스의 배출이 지구 온난화 전체의 17%에 달한다는 점에 대비해 식용 곤충은 그 친환경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영양학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미래의 식량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In particular, in preparation for the fact that greenhouse gas emissions due to livestock industry account for 17% of global warming, edible insects are recognized for their eco-friendly value and their nutritional value is recognized as a future food resource.

유럽이나 미국의 유명 레스토랑에서도 곤충 요리가 많이 유입되고 있는 추세이며, 일부 종교권 국가에서는 쇠고기나 돼지고기와 마찬가지로 식용 곤충을 기피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Insect dishes are also trending in famous European and American restaurants, and it is also true that some religious countries avoid edible insects like beef or pork.

그러나, 식량안전보장이 되지 않는 개발도상국가들에게는 비용효과적인 해결책으로 식용 곤충사육이 주목받고 있다.However,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food security is not guaranteed, raising edible insect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cost-effective solution.

이에, 최근에는 쿠키와 마카롱, 파스타 등의 음식들을 판매하는 레스토랑도 생겨나고 있으며, 식용 곤충의 혐오감을 줄이고 일상에서 식품으로 이용하기 위한 관련 과학기술적 연구와 레시피들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recently, restaurants that sell foods such as cookies, macarons, and pasta have been created, and relate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ecipes to reduce the disgust of edible insects and use them as food in daily life are in progress.

아울러,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곤충은 쇠고기에 비해 단백질뿐만 아니라 미네랄, 비타민,그리고 섬유질의 함량이 높다. 더불어 포화지방보다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음식으로 영양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insects have a higher content of not only protein, but also minerals, vitamins, and fiber than beef.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nutritional value is very large as a food with a higher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than saturated fat.

특히, 식용 곤충은 냉온동물로 체온을 유지하는데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므로 적은 양의 사료를 필요로 하며 물과 온실가스 발생량이 기존 가축보다 현저히 낮아 전통적인 가축보다 기하급수적으로 빠른 성장과 번식주기를 보여주고 필요한 토지공간이 적은 것도 장점이라 할 수 있다.In particular, edible insects are cold and warm animals and consume less energy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so they require a small amount of feed. Less land space required is also an advantage.

때문에, 식용 곤충이 미래 대체 식량으로서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herefore, it is reported that edible insects are of sufficient value as a future alternative food.

통상 식용 곤충은 하나의 사육트레이 내에 유충, 번데기, 애벌레, 성충이 혼재되어 사육되어지는데 성충의 산란을 고려해 작업자는 적절한 시기에 성충을 유충(이하에서는 편의상 유충,번데기,애벌레를 유충으로 표현하도록 한다)으로부터 분리 사육해줘야 한다.In general, edible insects are bred with larvae, pupae, larvae, and adults mixed in one breeding tray. Considering the spawning of adults, the worker expresses the adults as larva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larvae, pupae, and larvae are expressed as larvae) ) should be separated from

만일, 적정 시기에 성충을 유충과 분리사육하지 않게 되면 성충이 유충을 잡아먹는 일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If the adults are not reared separately from the larvae at the appropriate time, the adults may eat the larvae, resulting in a problem of remarkably lowering productivity.

그러나, 하나의 사육트레이 내에 혼재된 유충과 성충을 서로 분리시키는 것이 물리적으로 쉽지 않으며, 분리하더라도 성충 또는 유충을 분리하는 장소(또는 사육실)를 서로 번갈아 오가면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However, it is not physically easy to separate the larvae and adults mixed in one breeding tray from each other, and even if separated, a lot of labor is required because the place (or breeding room) to separate the adults or larvae has to be worked alternately. .

즉, 식용을 위한 곤충의 대량생산시 생산성과 작업 효율성을 고려하고 무엇보다 불필요한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대량 사육법 개발이 시급하다.That is, it is urgent to develop an efficient mass breeding method that can consider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when mass-producing insects for edible use and, above all, reduce unnecessary manpower wastage.

등록특허 10-2188147Registered Patent 10-2188147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유충, 애벌레, 번데기, 성충 등이 혼재 사육중인 사육트레이 내부에 배치되어 활동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성충만을 유인하여 별도 포집함으로써 사육트레이 내에서 적정 시기에 성충만을 분리사육 가능하게 하여 성충이 유충, 애벌레, 번데기 등을 잡아먹음으로써 발생하는 생산성 저하 문제를 방지하고, 사육트레이 내에서 일일이 성충을 선별해 내는 재래적인 수작업을 배제하더라도, 성충의 분리사육을 충분히 가능케 함으로써 식용 곤충의 대량생산시에 생산성과 작업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곤충 사육에 투입되는 인력을 줄여, 높은 채산성을 보장토록 하는 성충 유인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and larvae, larvae, pupae, adults, etc. are placed inside a breeding tray where they are being reared mixedly, and only adults with relatively high activity are attracted and reared by separately collecting them.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rear only the adults in the tray at an appropriate time to prevent the problem of productivity degradation caused by the adult eating larvae, larvae, pupae, etc.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trapping device for attracting adults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during mass production of edible insects by sufficiently enabling separate breeding of adults, reduce manpower input for breeding insects, and ensure high profitability. there is.

또한, 곤충 사육에 있어 특별한 선별, 분류, 분리 등의 장치 없이도, 소형화 및 간소화된 구조로서 사육트레이 내부에 안착 배치시키는 것 만으로도 효율적으로 성충을 유인 포집할 수 있는 성충 유인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breeding insects, without special selection, classification, separation, etc., it is a miniaturized and simplified structure to provide a trapping device for attracting adults that can efficiently attract and collect adults just by placing them inside a breeding tray. The purpose of this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충과 성충이 혼재된 사육트레이 내부에 배치되어 성충을 유인 포집하는 성충 유인 포집 장치에 있어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좌우 및 후면에 장착되어 성충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진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유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n adult attracting and collecting device arranged inside a breeding tray in which larvae and adults are mixed to attract and collect adults, the case comprising: a case; and a plurality of attracting unit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dults enter the case.

또한,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케이스 내부로 포집서랍이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케이스의 좌우 및 후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유인부 각각이 접속되는 접속구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llection drawer is provided detachably into the case through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the left and righ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ar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ion ports to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attracting units are connected are formed through the case.

또, 상기 복수 개의 유인부 각각은,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유인관; 상기 유인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접속구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대; 및 상기 유인관과 삽입대 사이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inducers, the attraction tube made of a tube shape; an insertion ro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guiding tube and being insert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port; and a flange formed between the inducer tube and the insert.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투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는 스크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inlet is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inlet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screen.

또, 상기 포집서랍은 상면이 개방되고, 좌우 및 후면의 상기 접속구 대응위치에는 연통구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on drawer is opened, and communication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connection port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rear surfaces.

본 발명은 유충, 애벌레, 번데기, 성충 등이 혼재 사육중인 사육트레이 내부에 배치되어 활동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성충만을 유인하여 별도 포집함으로써 사육트레이 내에서 적정 시기에 성충만을 분리사육 가능하게 하여 성충이 유충, 애벌레, 번데기 등을 잡아먹음으로써 발생하는 생산성 저하 문제를 방지하고, 사육트레이 내에서 일일이 성충을 선별해 내는 재래적인 수작업을 배제하더라도, 성충의 분리사육을 충분히 가능케 함으로써 식용 곤충의 대량생산시에 생산성과 작업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곤충 사육에 투입되는 인력을 줄여, 높은 채산성을 보장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side a breeding tray in which larvae, larvae, pupae, and adults are mixed breeding, attracting only adults with relatively high activity and collecting them separately, so that only adults can be reared separately in the breeding tray at an appropriate time, so that adults are larvae , larvae, pupae, etc. are prevented, and the conventional manual work of individually selecting adults in the breeding tray is excluded. It provide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reducing the manpower input for breeding insects, and ensuring high profit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충 유인 포집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충 유인 포집 장치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유인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충 유인 포집 장치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성충 유인 포집 장치가 사육트레이에 안착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절취구가 적용되지 않은 성충 유인 포집 장치가 사육트레이에 안착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adult lure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adult lure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inducer;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3;
Figure 5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adult lure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the line AA shown in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the line BB shown in FIG.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6;
9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adult lure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breeding tray.
10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adult lure trapping device to which the cutout is not applied is seated on the breeding tray.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implementation described herei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expression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and include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본 발명에 따른 성충 유인 포집 장치(이하, 포집 장치라 함)은 유충과 성충이 혼재된 사육트레이(T) 내부에 배치되어 활동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성충만을 유인하여 별도 포집한 뒤, 포집 장치만 사육트레이(T)에서 이동 배출함으로써 사육트레이(T) 내에 성장이 완료된 성충의 분류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수행할 수 있다.The adult insect attracting and collect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side the breeding tray T in which larvae and adults are mixed, attracts only adults with relatively high activity levels, collects them separately, and breeds only the collecting device. By moving and discharging from the tray (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orting operation of the grown adults in the breeding tray (T) without relying on manual work one by one.

이를 위해, 포집 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10), 유인부(30) 및 포집서랍(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llecting device may be largely defined as including a case 10 , an attracting unit 30 , and a collecting drawer 20 as shown in FIGS. 1 to 2 .

먼저, 케이스(10)는 사각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로 포집서랍(20)을 수용할 수 있다.First, the case 10 is mad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enclosure, and can accommodate the collection drawer 20 therein.

이때, 케이스(10)의 전면은 개방 형성되어 케이스(10) 내부로 포집서랍(20)을 착탈 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추며, 전면과 같이 개방되지 아니한 케이스(10)의 좌우 및 후면에는 유인부(30)가 접속되는 접속구(11)가 각각 관통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At this time, the front side of the case 10 is formed open to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the collection drawer 20 to be detachably operated inside the case 10 ,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10 that are not opened like the front sid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 11 to which the attracting part 30 is connected is formed through each.

즉, 케이스(10)의 전면을 제외한 좌우 및 후면에는 유인부(3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at is, the attracting units 30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rear side of the case 10 except for the front side.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는 투입구(1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2)를 통해 케이스(10) 내부의 포집서랍(20)으로 곤충 먹이, 유인제 등을 보충해줄 수 있다.An inlet 12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 Insect food, an attractant, etc. can be supplemented with the collection drawer 20 inside the case 10 through the inlet 12 .

포집서랍(20)이 케이스(10)에 내장된 경우 투입구(12)로 곤충 먹이, 유인제 등을 투입하면 투입된 곤충 먹이, 유인제 등은 포집서랍(20)의 내부로 자유낙하하여 포집서랍(20)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When the collection drawer 20 is built in the case 10, when insect food, an attractant, etc. are inserted through the inlet 12, the injected insect food, attractant, etc. fall freely into the collection drawer 20 and the collection drawer ( 20) can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즉, 별도로 케이스(10)에서 포집서랍(20)을 인출시키지 않고서도, 케이스(10) 내부로 곤충 먹이, 유인제 등을 보충해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편의가 대폭 향상된다.That is, the convenience of use is greatly improved because insect food, an attractant, etc. can be supplemented into the case 10 without separately withdrawing the collection drawer 20 from the case 10 .

한편, 케이스(10) 내부에 밀폐 분위기가 조성되도록 개방된 투입구(12)에는 스크린(13)이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creen 13 may be installed in the inlet 12 that is opened to create a closed atmosphere inside the case 10 .

이에, 개방된 투입구(12)는 스크린(1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필요 시에만 스크린(13)을 조작해 개방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ned inlet 1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creen 13 and can be opened by operating the screen 13 only when necessary.

특히, 스크린(13)은 여닫이문 방식으로 작동하여 투입구(12)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데, 이를 위해, 투입구(12) 주변에는 힌지대(16)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13)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대(16)에 축결합하는 힌지핀(17)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In particular, the screen 13 has a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inlet 12 by operating in a sliding door manner. For this, a hinge 16 is formed around the inlet 12, and the screen 13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hinge pin 17 axially coupled to the hinge 1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이에, 사용자는 포집서랍(20)을 개방하기 위해 포집서랍(20)을 인출시킬 필요 없이 스크린(13)의 타측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18)를 잡고 스크린(13)을 회동 시킴으로써 투입구(12)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holds the handle 18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13 and rotates the screen 13 without having to take out the collection drawer 20 to open the collection drawer 20 to open the inlet 12 . It can be opened and closed easily.

스크린(13)은 외부에서 케이스(1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곤충의 종, 육성 단계 등에 따라, 케이스(10) 내부를 어두운 환경으로 조성해야 할 경우 불투명한 스크린(13)이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The screen 13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case 10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A screen 13 may be used.

다음으로, 포집서랍(20)은 케이스(10) 내부로 수용 가능하도록 상면이 개방된 사각 함체 형태로 예시되며 전면에는 포집서랍(20)의 인출 조작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1)가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collection drawer 20 is exemplifi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enclosure with an open upper surface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0, and a handle 21 for gripping when the collection drawer 20 is pulled out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there is.

포집서랍(20)의 좌우 측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3)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의 내부 좌우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23)에 상보적인 가이드돌기(14)가 돌출 형성되어, 포집서랍(20)의 인출 조작시 가이드돌기(14)가 가이드홈(23)에 가이드되어 포집서랍(20)의 인출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Guide grooves 23 may be recess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llection drawer 20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guide projections 14 complementary to the guide grooves 23 protrude from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10 . Thus, when the collecting drawer 20 is pulled out, the guide protrusion 14 is guided to the guide groove 23 so that the collecting drawer 20 can be pulled out more stably.

포집서랍(20)의 내측 바닥면에는 내부 환경을 자연환경을 모사하기 위해 토양, 밀기울 등이 바닥재로 깔릴 수 있다.Soil, bran, etc. may be lai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drawer 20 as a flooring material in order to simulate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natural environment.

이에, 케이스(10) 내부로 포집된 성충은 케이스(10) 내부에서 독자적인 성장이 가능해진다.Accordingly, the adult insects collected inside the case 10 can grow independently inside the case 10 .

상기 케이스(10)의 구조와 동일하게, 포집서랍(20)의 좌우 및 후면의 상기 접속구(11) 대응위치에는 연통구(2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tructure of the case 10 , communication holes 22 may be formed through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connection ports 1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rear surfaces of the collection drawer 20 .

이에, 케이스(10)의 접속구(11)와 포집서랍(20)의 연통구(22)가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여기로 후술 될 유인부(30)를 통해 성충이 케이스(10) 내부, 즉, 포집서랍(20)의 내부로 유인되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nection port 11 of the case 10 and the communication port 22 of the collection drawer 2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adult insects enter the case 10 through the attracting part 3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 may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drawer 20 .

이때, 접속구(11)와 연통구(22)는 적어도, 포집서랍(20)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h)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포집서랍(20)의 바닥면으로 유입된 성충이 포집서랍(20)의 측면에 형성된 연통구(22)를 통해 다시 외부로 빠져나가지 아니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 11 and the communication port 22 are at least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drawer 20, so that the adult insects introduc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drawer 20 are trapped in the collection drawer ( 20) has a structure that prevents it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gain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2 formed on the side surface.

상기 높이(h)는 식용곤충으로 사용되는 곤충의 성충 크기를 고려하여 대략 20mm~40mm 선에서 설정되어질 수 있으며, 이에, 성충이 포집서랍(20)의 측벽을 올라 연통구(22)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The height (h) may be set at approximately 20 mm to 40 mm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adult insect used as an edible insect, and thus, the adult climbs the side wall of the collection drawer 20 and escapes to the communication port 22 A structure that cannot be

따라서, 포집서랍(20)의 바닥면으로 유인된 성충은 다시 케이스(10) 내부를 빠져나갈 수 없게 되어 사육트레이(T) 내에서 성충은 포집 장치에, 유충은 사육트레이(T)에 각각 분리 사육이 가능해진다.Therefore, the adults attra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drawer 20 cannot again escape the inside of the case 10, so the adults in the breeding tray T are separated into the collection device and the larvae are separated into the breeding tray T. breeding becomes possible.

다음으로, 유인부(30)는 케이스(10)의 좌우 및 후면에 각각 장착되어 성충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진입하는 통로를 형성한다.Next, the attracting units 30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10 , respectively,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dults enter the case 10 .

유충 대비 상대적으로 활동성이 있는 성충은 케이스(10) 주변으로 연결 설치된 각각의 유인부(30)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인되어질 수 있다.Adults relatively active compared to larvae may be attracted to the inside of the case 10 through each of the attracting units 30 connected and installed around the case 10 .

특히, 유인부(30)는 케이스(10) 자체를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에서부터 일정 높이 이격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에, 케이스(10)가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에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inducer 3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case 10 itself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reeding tray T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us, the case 1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reeding tray T by a predetermined height. can become

첨부된 도면에는 케이스(10)의 좌우 및 후면의 각각의 한 면 당 하나의 유인부(30)가 결합된 실시예를 예시하나, 케이스(10) 및 유인부(30)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케이스(10) 한 면에 복수 개의 유인부(30)가 결합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exemplify an embodiment in which one attracting unit 30 is combined per each side of the left and righ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10, but considering the size of the case 10 and the attracting unit 30, It is revealed that a plurality of inducers 30 may be coupled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10 .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에는 일반적으로, 포집서랍(20)에서와 동일하게, 곤충이 성장할 수 있도록 먹이가 되는 밀기울, 등이 바닥재(L)로 깔리게 되는데, 만일 케이스(10)가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에 일정 점유면적을 차지한 상태로 안착되어지면 케이스(10)가 차지한 면적 만큼 곤충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며, 또한, 유충 내지 성충이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과 케이스(10)의 하면 사이로 기어 들어가게 되면 압사를 당하거나 성장에 제한이 생기게 되는 등 생산성 및 상품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eeding tray (T), in general, the same as in the collection drawer (20), bran, etc., which are fed so that insects can grow, are spread with the flooring material (L). If the case 10 is breeding When i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T) while occupying a certain occupied area, the space in which insects can be active is reduced as much as the area occupied by the case (10). If it crawls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10 and the case 10, it directly affects productivity and marketability, such as being crushed or limited in growth.

이에,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유인부(30)를 통해 케이스(10)를 사육트레이(T)의 상부로 일정 높이 이격시키게 될 경우 유인부(30)를 제외하면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에서 불필요한 점유면적을 차지하지 않게 되어 사육트레이(T)의 내공간 면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as in this embodiment, when the case 1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breeding tray T by a predetermined height through the plurality of attracting parts 30, except for the attracting part 30, the Since it does not occupy an unnecessary occupied area on the floor surf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ner space area of the breeding tray T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이와 같은 유인부(30) 각각은 케이스(10)를 사육트레이(T)에서 일정 높이 이격시킴은 물론이고, 내부가 포집서랍(20)의 내부와 연통되게 이루어져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을 기어다니는 성충이 유인부(30)의 타단으로 접근하면 자연적으로 유인부(30)를 타고 유인부(30)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어 올라와 포집서랍(20)의 내부로 포집되어질 수 있다.Each of these attracting units 30 separates the case 10 from the breeding tray T by a certain height, and is made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drawer 20 so as to protect the bottom surface of the breeding tray T. When an adult crawling approaches the other end of the attracting unit 30 , it naturally climbs on the attracting unit 30 and climbs up in a direction toward one end of the attracting unit 30 , and may be collected into the collection drawer 20 .

복수 개의 유인부(30)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유인관(31), 상기 유인관(3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접속구(11)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대(32) 및 상기 유인관(31)과 삽입대(32) 사이에 형성되는 플랜지(3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each of the plurality of inducers 30 includes an inducer tube 31 in the form of a tube, an insert 32 that extends from one end of the inducer tube 31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connector 11, and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 flange 33 formed between the guide tube 31 and the insert 32 .

유인관(31)의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며 유인관(31)의 내측 하면에는 마찰돌기(34)가 돌출 형성되어 유인관(31) 내부를 기어 올라가는 성충이 상기 마찰돌기(34)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유인관(31)을 타고 기어 올라갈 수 있게 된다.The other end of the inducer tube 31 is in the form of a free end a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reeding tray T, and a friction protrusion 34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inducement tube 31, so that an adult crawling up the inside of the attracting tube 31 is The friction protrusion 34 makes it possible to climb up the guiding pipe 31 more easily without slipping.

특히, 유인관(31)은 길이의 일부분에서 일정 각도 절곡되게 구성되어져 타측 일부분에서는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에 대해 사선으로 경사진 구배배관(31a)이, 일측 일부분에서는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과 평행한 수평배관(31b)이 각각 연이어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inducer pipe 31 is configured to be bent at a certain angle in a portion of its length, so that the inclined pipe 31a inclined at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reeding tray 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breeding tray 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art. Horizontal pipes 31b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re formed one after the other.

이때, 성충이 유인관(31)의 개방된 타단으로 들어와 구배배관(31a)을 통과하게 될 때 상기 마찰돌기(34)에 의해 기울어짐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유인관(31)을 용이하게 타고 수평배관(31b)으로 올라가게 유도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adult enters the other open end of the inducer tube 31 and passes through the gradient tube 31a, it does not slip due to inclination by the friction protrusion 34. ) can be induced to rise.

수평배관(31b)으로 진입한 성충은 포집서랍(20)으로 자유낙하하게 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집서랍(20)으로 포집된 성충은 포집서랍(20)의 바닥면에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된 연통구(22) 구조로 인해, 다시 유인관(31)으로 역류하지 못하게 되는 구조가 되어 케이스(10) 내부에 포집이 완료되어진다.Adults entering the horizontal pipe (31b) fall freely into the collection drawer (20), and as described above, the adults collected in the collection drawer (20) have a communication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drawer (20). Due to the structure (22), it becomes a structure that prevents backflow into the induction pipe 31 again, so that the collection inside the case 10 is completed.

특히, 마찰돌기(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로 돌출되어져 일정 간격으로 격자홈(34a)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성충이 기어갈 때 상기 격자홈(34a)에 삽입되었다가 다시 올라오는 과정을 반복 유도함으로써 성충의 미끄러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4 , the friction protrusions 34 protrude in a lattice shape to form lattice grooves 34a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ly, by repeatedly inducing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lattice groove 34a and then ascending again when the adults crawl, the slipping of the adults is more effectively prevented.

유인관(31)의 종단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와 동일하게, 접속구(11) 및 연통구(22)도 상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As shown in FIG. 7,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inducer pipe 31 is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the same way, the connection port 11 and the communication port 22 are also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It has a structure that is formed elongated in the direction.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유인관(31) 내부로 한꺼번에 많은 개체수의 성충이 동시에 유입될 수 있으며 성충이 유인관(31)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서로 겹쳐지거나 간섭을 발생시키지 아니하게 된다.Due to this structure, a large number of adults can be simultaneously introduced into the inducer tube 31 at once, and the adults do not overlap or interfere with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attracting tube 31 .

또한, 특정 성충이 유인관(31) 내부를 막고 있더라도, 그 주변으로 회피하여 다른 성충들이 유인관(3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통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a specific adult is blocking the inside of the lure tube 31, it avoids around it and provides a sufficient passage space to allow other adults to pass through the lure tube 31.

한편, 본 실시예의 포집 장치는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구조로서, 유인관(31)의 타단 만이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에 접촉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tha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eeding tray (T), and only the other end of the inducer pipe (31) is contacted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eeding tray (T).

이때,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에는 일정 두께로 바닥재(L)가 깔려 있게 되는데 유인관(31)의 개방된 타단이 바닥재(L) 내부로 매립되어질 경우 유인관(31)의 개방된 타단이 폐색되어져 성충을 유인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breeding tray (T) is laid with a floor material (L) with a certain thickn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attract adult insects.

특히,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에 깔리는 바닥재(L)는 토양, 밀기울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질감의 재료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육트레이(T)에 포집 장치를 안착시켜 놓게 되면 자중에 의해 포집 장치가 점진적으로 바닥재(L)에 빠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바닥재(L)에 접한 유인관(31)의 타단이 바닥재(L)에 매립되어 성충의 진입로가 차단되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In particular, since the flooring L laid on the bottom of the breeding tray T is made of materials with a relatively soft texture, such as soil and bran, when the collecting device is seated on the breeding tray T, it loses its own weight. Accordingly, the collecting device gradually falls into the floor material L, and accordingly, the other end of the lure tube 31 in contact with the floor material L is buried in the floor material L, thereby blocking the entrance of the adult insects.

또한, 유인관(31)이 폐색되어질 경우 케이스(10)에 내장된 유인제 등의 확산 작용이 미비해져 성충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 lure tube 31 is blocked, the diffusion action of the lure agent, etc. built into the case 10 is insufficient, so that it is impossible to effectively induce the adults.

이에 따라, 바닥재(L)에 유인관(31)의 타단이 일정 깊이 매립되더라도, 유인관(31)의 타단이 항시 개방되어 성충을 진입시킬 수 있도록 유인관(31)의 타단 상면을 일정 면적 절취하는 절취구(35)를 형성함으로써 유인관(31)의 타단을 보다 넓게 개방시킬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other end of the lure pipe 31 is buried in the flooring L at a certain depth, the other end of the lure pipe 31 is always open to allow the adult insects to enter. By forming (35), the other end of the inducer pipe (31) can be opened more widely.

이와 같이 유인관(31)의 타단에 절취구(35)가 형성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관(31)의 타단 일부분이 바닥재(L)에 매립 되더라도 절취구(35)에 의해 유인관(31)의 타단 상부가 넓게 개방 형성되어 바닥재(L)에 의해 유인관(31)이 폐색되지 아니하고, 성충의 진입로를 충분한 면적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성충의 접근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cut-out 35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ducer pipe 31, as shown in FIG. Since the upper part of the other end is wide open, the lure tube 31 is not blocked by the flooring L, and the approach of the adults can be more effectively induced by opening the entryway of the adults with a sufficient area.

이와 다르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구(35)가 형성되지 아니하게 될 경우, 유인관(31)의 타단 일부분이 바닥재(L)에 매립되어지면 이에 유인관(31)의 개방된 타단부위 역시 바닥재(L)에 그대로 매립되어지는 문제로, 바닥재(L)에 의해 유인관(31)이 폐색되어 성충이 유인관(31) 내부로 진입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t-out 35 is not formed as shown in FIG. 10 , when a part of the other end of the inducer pipe 31 is buried in the flooring L, the other open end portion of the inducer tube 31 is also Due to the problem of being buried in the floor material (L) as it is, the lure tube 31 is blocked by the floor material L, so that the adult cannot enter the lure tube 31 inside.

한편, 유인부(30)의 삽입대(32)에는 외측을 향해 고정돌기(36)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속구(11)의 상기 고정돌기(36)에 대응되는 둘레 부분에는 고정홈(15)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fixing protrusion 36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insertion stand 32 of the attracting unit 30 , and a fixing groove 15 may be formed in a periphe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 36 of the connector 11 . ) may be formed.

즉, 유인부(30)가 케이스(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삽입대(32)가 접속구(11)에 삽입되어짐과 동시에 고정돌기(36)가 고정홈(15)에 홈돌기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어져 케이스(10)에 결합된 유인부(30)가 회전되거나 위치이동이 제한되는 등 양자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지게 된다.That is, in the process in which the attracting part 30 is coupled to the case 10 , the insert 3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1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protrusion 36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5 in a groove protrusion manner. Thus, the coupling between the two becomes more robust, such as rotation of the inducer 30 coupled to the case 10 or limited movement of the position.

유인부(30)의 플랜지(33)의 경우 케이스(10)의 외면에 밀착 구성되어져 삽입대(32)가 접속구(11) 내로 과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역할을 하게 됨과 동시에, 성충이 유인부(30)와 케이스(10) 사이 틈으로 빠져나가거나 혹은 유인제 성분이 유인관(31)의 개방된 제외한 부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lange 33 of the attracting part 30, it is configur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0, and serves as a stopper to prevent the insert 32 from being over-inserted into the connector 11. It may serve to prevent escap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30 and the case 10 or the attractant component from leaking out to the other open portion of the attracting tube 31 .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케이스(10)와 포집서랍(20) 사이 또는 케이스(10)의 하부에는 로드셀이 설치되어 포집 장치에 포집된 성충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무게 증가량을 이용해 성충이 어느 정도 포집되었는지를 포집서랍(20)을 개방시키지 않고서도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 load cell is installed between the case 10 and the collection drawer 20 o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10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adults collected by the collection device.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numerically grasp how much of the adult insects have been collected using the weight increase measured by the load cell without opening the collection drawer 20 .

경우에 따라서는 포집 장치를 포함하는 사육트레이(T) 전체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사육트레이(T) 하부에 로드셀이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In some cases, it is revealed that a load cell may be installed under the breeding tray (T)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entire breeding tray (T) including the collecting device.

또한, 로드셀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외부기기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 외부기기로 무게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곤충 사육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oad cell to an external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us, the convenience of insect breeding may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weight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of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n real time. there is.

정리하면, 본 발명은 유충, 애벌레, 번데기, 성충 등이 혼재 사육중인 사육트레이(T) 내부에 배치되어 활동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성충만을 유인하여 별도 포집함으로써 사육트레이(T) 내에서 적정 시기에 성충만을 분리사육 가능하게 하여 성충이 유충, 애벌레, 번데기 등을 잡아먹음으로써 발생하는 생산성 저하 문제를 방지하고, 사육트레이(T) 내에서 일일이 성충을 선별해 내는 재래적인 수작업을 배제하더라도, 성충의 분리사육을 충분히 가능케 함으로써 식용 곤충의 대량생산시에 생산성과 작업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곤충 사육에 투입되는 인력을 줄여, 높은 채산성을 보장할 수 있다.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side the breeding tray (T) in which larvae, larvae, pupae, adults, etc. are mixed breeding, attracting only adults with relatively high activity and collecting them separately, thereby providing adults in the breeding tray (T) at an appropriate time. Separation of the adult insects is prevented by enabling separate breeding of only the larvae, larvae, pupae, etc., and the problem of productivity decrease caused by the adult insects eating larvae, larvae, pupae, etc. By enabling breeding sufficiently,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during mass production of edible insects, and manpower input for breeding insects can be reduced, thereby ensuring high profitability.

또한, 곤충 사육에 있어 특별한 선별, 분류, 분리 등의 장치 없이도, 소형화 및 간소화된 구조로서 사육트레이(T) 내부에 안착 배치시키는 것 만으로도 효율적으로 성충을 유인 포집할 수 있다.In addition, in insect breeding,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ttract and collect adults just by placing them inside the breeding tray (T) as a miniaturized and simplified structure without special selection, classification, separation, etc. devices.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케이스
20: 포집서랍
30: 유인부
T: 사육트레이
10: case
20: collection drawer
30: manned woman
T: breeding tray

Claims (5)

유충과 성충이 혼재된 사육트레이 내부에 배치되어 성충을 유인 포집하는 성충 유인 포집 장치에 있어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좌우 및 후면에 장착되어 성충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진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유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케이스 내부로 포집서랍이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케이스의 좌우 및 후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유인부 각각이 접속되는 접속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유인부 각각은,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유인관;
상기 유인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접속구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대; 및
상기 유인관과 삽입대 사이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투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는 스크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포집서랍은 상면이 개방되고, 좌우 및 후면의 상기 접속구 대응위치에는 연통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인관의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사육트레이(T)의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되, 유인관의 타단 상면에는 일정 면적 절취구가 절취 형성되어 유인관의 타단 상부를 개방하며,
상기 유인관의 내측 하면에는 마찰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마찰돌기는 격자 형태로 돌출되어져 일정 간격으로 격자홈을 형성하며,
상기 유인관은 길이의 일부분에서 일정 각도 절곡되게 구성되어져 타측 일부분에서는 사육트레이의 바닥면에 대해 사선으로 경사진 구배배관이, 일측 일부분에서는 사육트레이의 바닥면과 평행한 수평배관이 각각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접속구와 연통구는 포집서랍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충 유인 포집 장치.
In the adult lure trapping device that is arranged inside a breeding tray in which larvae and adults are mixed to attract and collect adults,
Case made in the form of an enclosure; and
A plurality of attracting unit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dults enter the case; includes,
A collection drawer is detachably provided inside the case through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connection ports to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attracting units are connected are form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attracting units,
an inducer tube in the form of a tube;
an insertion ro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inducer tube and being insert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port; and
Including; a flange formed between the guiding tube and the insertion stand,
An inlet is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inlet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scr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on drawer is opened, and communication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connection port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rear surfaces,
The other end of the inducer tube is in the form of a free end a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reeding tray (T), and a cut-out hol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inducement tube to ope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end of the inducement tube,
Friction protrusions are formed protruding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inducer tube, and the friction protrusions protrude in a lattice form to form lattice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The inducer pipe is configured to be bent at a certain angle in a portion of its length, and a gradient pipe inclined at an oblique angl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reeding tray in a part of the other side, and a horizontal pipe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breeding tray in a part of one side are sequentially formed, respectively,
The connection port and the communication port are adults attracting and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drawer at a certain he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12496A 2021-08-25 2021-08-25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KR102370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96A KR102370693B1 (en) 2021-08-25 2021-08-25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96A KR102370693B1 (en) 2021-08-25 2021-08-25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693B1 true KR102370693B1 (en) 2022-03-04

Family

ID=8081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496A KR102370693B1 (en) 2021-08-25 2021-08-25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69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906U (en) * 1989-07-20 1991-03-14
JP3024906U (en) * 1995-03-06 1996-06-07 秀樹 枝松 Cockroach catcher protection / fixing tool
KR200484173Y1 (en) * 2016-12-08 2017-08-08 이원철 Mosquito repelling apparatus
KR101822029B1 (en) * 2017-10-24 2018-01-25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A wasp luring and catching implement using honey comb
KR102188147B1 (en) 2018-11-28 2020-12-07 송순철 Egg separation device for mass breeding of edible insec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906U (en) * 1989-07-20 1991-03-14
JP3024906U (en) * 1995-03-06 1996-06-07 秀樹 枝松 Cockroach catcher protection / fixing tool
KR200484173Y1 (en) * 2016-12-08 2017-08-08 이원철 Mosquito repelling apparatus
KR101822029B1 (en) * 2017-10-24 2018-01-25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A wasp luring and catching implement using honey comb
KR102188147B1 (en) 2018-11-28 2020-12-07 송순철 Egg separation device for mass breeding of edible inse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in II et al. Immune activity in temperate and tropical house sparrows: A common‐garden experiment
Orcutt Jr et al. Nesting and parental behavior in domestic common quail
JP20070142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oting emergence and copulation of insect
JPWO2021157717A5 (en)
Röder et al. Housing and care of monkeys and apes in laboratories: adaptations allowing essential species-specific behaviour
KR200423611Y1 (en) Sectional shelve to put on cages for Creophilus maxillosus and system for breeding Creophilus maxillosus
KR200491892Y1 (en) Attraction trap for Aethina tumida
KR102370693B1 (en)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CN205547082U (en) Honeybee case with catch hornet function
US628984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fowl within an enclosure
KR20200053355A (en) Concreate slats for maternity barn
KR200487063Y1 (en) Device for centipede spawning
JP3119783U (en) Cat breeding cage
KR102276453B1 (en) Hatchery For Soldier Fly
Stone et al. Behavioral biology of squirrel monkeys
Mullens et al. Parasites in laying hen housing systems
KR102661172B1 (en) Spawning cage for black soldier fly
CN214709734U (en) Cuicoides breeding device
Veldsman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n production and behaviour of farmed grower Nile crocodiles (Crocodylus niloticus)
Wahome et al. Blue monkeys eat mice
KR20190093869A (e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oultry red mites, trap using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oultry red mit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Bayne et al. Laboratory animal behavior
Bayne et al. Laboratory animal behavior
CN109744194B (en) Artificial breeding method for Sichuan short-tail shrews
Recchio Reproduction of the rare frugivorous monitor lizard Varanus olivaceus (Hallowell 1857), at the Los Angeles Zoo and Botanical Gard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