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800B1 -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800B1
KR102369800B1 KR1020160014722A KR20160014722A KR102369800B1 KR 102369800 B1 KR102369800 B1 KR 102369800B1 KR 1020160014722 A KR1020160014722 A KR 1020160014722A KR 20160014722 A KR20160014722 A KR 20160014722A KR 102369800 B1 KR102369800 B1 KR 102369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io
user
wearable camera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390A (ko
Inventor
이민규
정미지
차일황
이현규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800B1/ko
Priority to CN201680079562.7A priority patent/CN108475462B/zh
Priority to PCT/KR2016/009290 priority patent/WO2017135538A1/ko
Publication of KR20170093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390A/ko
Priority to US15/945,264 priority patent/US1079126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257
    • H04N5/2320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웨어러블(wearable)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바이오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를 저전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를 상기 바이오 신호의 유형에 따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센서에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동작 결과에 기초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OF MANAGING WEARABLE CAMERA BASED ON BIO SIGNAL,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센서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카메라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카메라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의 상황에 맞추어 웨어러블 카메라의 프레임레이트 및 해상도 등을 적절한 동작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사용자에게 긴급을 요하는 상황이 닥치는 경우에는 미처 웨어러블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지 못해 해당 상황에 적절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05927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센서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카메라의 구동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웨어러블(wearable)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바이오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를 저전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를 상기 바이오 신호의 유형에 따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센서에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동작 결과에 기초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안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센서 중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범위 내이고, 상기 웨어러블 센서 중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저전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프레임레이트를 기설정된 기준 프레임레이트 미만으로 설정하고,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영상 떨림 보정 기능을 오프(off)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웨어러블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는 바이오 신호 획득부; 상기 바이오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상태 판단부;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하는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를 저전력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를 상기 바이오 신호의 유형에 따른 모드로 설정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 및 상기 웨어러블 센서에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동작 결과에 기초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피드백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웨어러블 센서는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 EEG) 센서,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센서,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센서 및 체온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센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구비되어 이미지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및 상기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바이오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동작 결과에 기초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센서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를 포함하는,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시스템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해, 웨어러블 센서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카메라의 구동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시스템은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별도로 구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용자(400)가 착용 가능한 의복이나 액세서리에 구비될 수도 있고, 헤어 밴드, 팔목 밴드, 허리 벨트 등과 같이 사용자(400)가 직접 착용 가능한 액세서리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400)의 바이오 신호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포함된 카메라의 구동 등의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제어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통신부(110)는 통신망과 연동하여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100)와 다른 단말기 또는 서버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구동 결과를 사용자(400)의 개인 단말기나 지정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제 서버에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20)는 제어부(14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는 작업,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작업,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하는 작업, 웨어러블 카메라의 모드를 설정하는 작업 및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웨어러블 카메라를 운용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하고, 웨어러블 카메라의 모드를 설정하고,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안정 상태 판단 기준 정보 및 바이오 신호의 유형 판단 기준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포함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이미지들은 바이오 신호의 유형에 따라 카테고리화 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웨어러블 센서(310) 및 웨어러블 카메라(320)를 포함하며, 웨어러블 센서(310)가 사용자(400)의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여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100)에 전송하고, 웨어러블 카메라(320)가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100)로부터 카메라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구성 요소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100)는 웨어러블 센서(310)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웨어러블 카메라(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웨어러블 센서(310)는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 EEG) 센서(311),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센서(312), 체온 센서(313) 및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뇌전도 센서(311)는 사용자(400)의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근전도 센서(312)는 사용자(400)의 골격근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체온 센서(313)는 사용자(400)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심전도 센서(314)는 사용자(400)의 심장의 활동에 따라 피부에서 감지되는 전기적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카메라(320)는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카메라(320)는 다양한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카메라(320)는 실시간 중계 모드, 액션 캠 모드, 고해상도 촬영 모드 및 저전력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간 중계 모드는 획득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100)에 전송하는 모드일 수 있다.
액션 캠 모드는 웨어러블 카메라(320)의 프레임레이트를 기준 프레임레이트 이상으로 설정하고, 영상 떨림 보정 기능을 온(on)하여 촬영하는 모드일 수 있다.
고해상도 촬영 모드는 웨어러블 카메라(320)의 해상도를 기준 해상도 이상으로 설정하여 촬영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저전력 모드는 웨어러블 카메라(320)의 프레임레이트를 기준 프레임레이트 미만으로 설정하고, 영상 떨림 보정 기능을 오프(off)하여 촬영하는 모드일 수 있다.
웨어러블 카메라(320)는 위와 같은 다양한 동작 모드 중,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되어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는 바이오 신호 획득부(101), 사용자 상태 판단부(102),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103),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104) 및 피드백 신호 전송부(105)를 포함한다.
바이오 신호 획득부(101), 사용자 상태 판단부(102),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103),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104) 및 피드백 신호 전송부(105)는 프로그램 저장부(도 1의 130 참조)에 저장되고 제어부(도 1의 140 참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거나, 제어부(도 1의 140 참조)에 상응하는 프로세서 내부에 구현된 서브 프로세서이거나, 제어부(도 1의 140 참조)와 물리적으로 구분된 별도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즉, 제어부(도 1의 140 참조)는 바이오 신호 획득부(101), 사용자 상태 판단부(102),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103),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104) 및 피드백 신호 전송부(105)를 실행하거나 제어하여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하고, 웨어러블 카메라의 모드를 설정하고,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바이오 신호 획득부(101)는 웨어러블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를 획득한다.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는 뇌전도 측정 값, 근전도 측정 값, 체온 측정 값 및 심전도 측정 값을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바이오 신호 획득부(101)는 뇌전도 센서(도 1의 311 참조)로부터 획득된 뇌전도 측정 값, 근전도 센서(도 1의 312 참조)로부터 획득된 근전도 측정 값, 체온 센서(도 1의 313 참조)로부터 획득된 체온 측정 값, 심전도 센서(도 1의 314 참조)로부터 획득된 심전도 측정 값을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로서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 판단부(102)는 바이오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 상태 판단부(102)는 둘 이상의 바이오 신호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상태 판단부(102)는 심전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범위 내이고,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 내인 경우,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상태 판단부(102)는 심전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범위를 벗어나거나,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103)는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103)는 심전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하강 범위를 벗어나도록 급하강하고,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를 벗어나 저하되어 있는 경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심장발작' 또는 '심정지 위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103)는 심전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범위를 벗어나 증가된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고,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를 벗어나 상승되어 있는 경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빠른 걸음' 또는 '달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103)는 심전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범위를 벗어나 소폭 증가하고,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를 벗어나 상승되어 있는 경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흥분 및 즐거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103)는 심전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범위 내이고,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 내인 경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편안한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103)는 심전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범위를 벗어나 소폭 하강하고,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를 벗어나 저하되어 있는 경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우울한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104)는 웨어러블 카메라(도 1의 320 참조)를 바이오 신호의 유형에 따른 모드로 설정한다.
예컨대,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104)는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심장발작' 또는 '심정지 위험'인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를 실시간 중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104)는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빠른 걸음' 또는 '달리기'인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를 액션 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104)는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흥분 및 즐거움'인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를 고해상도 촬영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104)는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편안한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를 저전력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104)는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우울한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를 실시간 중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 전송부(105)는 웨어러블 센서에 웨어러블 카메라의 동작 결과에 기초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한다.
비록 도 2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는 바이오 신호의 유형에 따라 웨어러블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것 외에, 추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추가 동작 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추가 동작 수행부는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심장발작' 또는 '심정지 위험'인 경우, 사용자 및 지정된 관제 서버에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고, 구급요원을 호출하기 위해 실시간 영상 및 사용자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심장발작에 대응한 응급처치요령을 청각 신호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가 동작 수행부는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흥분 및 즐거움'인 경우, 녹음 기능을 실행하여 이미지 및 사운드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추가 동작 수행부는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우울한 상태'인 경우, 기설정된 사용자의 가족 또는 친구의 연락처로 알람 메시지 및 실시간 영상 및 사용자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은 바이오 신호 획득부(도 2의 101 참조)가, 웨어러블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를 획득한다(S21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은 사용자 상태 판단부(도 2의 102 참조)가, 바이오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은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도 2의 103 참조)가,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한다(S23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은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도 2의 104 참조)가, 웨어러블 카메라(도 1의 320 참조)를 바이오 신호의 유형에 따른 모드로 설정한다(S24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은 카메라 모드 설정부(도 2의 104 참조)가, 단계(S230)에서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를 저전력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S235).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은 피드백 신호 전송부(도 2의 105 참조)가, 웨어러블 센서에 웨어러블 카메라의 동작 결과에 기초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한다(S250).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도 2의 103 참조)는 둘 이상의 바이오 신호를 결합하여 해당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는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도 2의 103 참조)가, 근전도 센서(도 1의 312 참조)로부터 획득된 근전도 측정 값 및 체온 센서(도 1의 313 참조)로부터 획득된 체온 측정 값을 결합하여 해당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하는 경우의 일 예임을 알 수 있다.
상세히,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도 2의 103 참조)는 심전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하강 범위를 벗어나도록 급하강하고,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를 벗어나 저하되어 있는 경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심장발작' 또는 '심정지 위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도 2의 104 참조)는 웨어러블 카메라를 실시간 중계 모드로 설정하고, 추가 동작 수행부(미도시)는 사용자 및 지정된 관제 서버에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고, 구급요원을 호출하기 위해 실시간 영상 및 사용자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심장발작에 대응한 응급처치요령을 청각 신호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도 2의 103 참조)는 심전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범위를 벗어나 증가된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고,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를 벗어나 상승되어 있는 경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빠른 걸음' 또는 '달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도 2의 104 참조)는 웨어러블 카메라를 액션 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도 2의 103 참조)는 심전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범위를 벗어나 소폭 증가하고,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를 벗어나 상승되어 있는 경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흥분 및 즐거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도 2의 104 참조)는 웨어러블 카메라를 고해상도 촬영 모드로 설정하고, 추가 동작 수행부(미도시)는 녹음 기능을 실행하여 이미지 및 사운드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도 2의 103 참조)는 심전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범위 내이고,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 내인 경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편안한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도 2의 104 참조)는 웨어러블 카메라를 저전력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도 2의 103 참조)는 심전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범위를 벗어나 소폭 하강하고,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를 벗어나 저하되어 있는 경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이 '우울한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도 2의 104 참조)는 웨어러블 카메라를 실시간 중계 모드로 설정하고, 추가 동작 수행부(미도시)는 기설정된 사용자의 가족 또는 친구의 연락처로 알람 메시지 및 실시간 영상 및 사용자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그램 저장부
140: 제어부 150: 데이터베이스
300: 웨어러블 디바이스 310: 웨어러블 센서
311: 뇌전도 센서 312: 근전도 센서
313: 체온 센서 314: 심전도 센서
320: 웨어러블 카메라 400: 사용자

Claims (6)

  1. 웨어러블(wearable)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바이오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를 저전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를 상기 바이오 신호의 유형에 따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센서에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동작 결과에 기초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센서 중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심전도 범위 내이고, 상기 웨어러블 센서 중 체온 센서의 측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프레임레이트를 기설정된 기준 프레임레이트 미만으로 설정하고,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영상 떨림 보정 기능을 오프(off)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4. 웨어러블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는 바이오 신호 획득부;
    상기 바이오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상태 판단부;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바이오 신호의 유형을 결정하는 바이오 신호 유형 결정부;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를 저전력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상기 안정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를 상기 바이오 신호의 유형에 따른 모드로 설정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모드 설정부; 및
    상기 웨어러블 센서에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동작 결과에 기초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피드백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센서는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 EEG) 센서,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센서,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센서 및 체온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
  6.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센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구비되어 이미지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및
    상기 바이오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바이오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동작 결과에 기초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센서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장치;를 포함하는,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시스템.
KR1020160014722A 2016-02-05 2016-02-05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69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722A KR102369800B1 (ko) 2016-02-05 2016-02-05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CN201680079562.7A CN108475462B (zh) 2016-02-05 2016-08-23 用于相机操作设备的操作方法和系统及其设备
PCT/KR2016/009290 WO2017135538A1 (ko) 2016-02-05 2016-08-23 카메라 운용 장치의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US15/945,264 US10791269B2 (en) 2016-02-05 2018-04-04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amera ope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722A KR102369800B1 (ko) 2016-02-05 2016-02-05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390A KR20170093390A (ko) 2017-08-16
KR102369800B1 true KR102369800B1 (ko) 2022-03-03

Family

ID=5950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722A KR102369800B1 (ko) 2016-02-05 2016-02-05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91269B2 (ko)
KR (1) KR102369800B1 (ko)
CN (1) CN108475462B (ko)
WO (1) WO2017135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3234B1 (en) * 2020-03-17 2022-02-02 Axis AB Wearable camera and a method for power consumption optimization in the wearable camer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880B1 (ko) 2015-03-31 2015-11-17 넥시스 주식회사 영상 신호 생성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1418B2 (en) * 2007-05-02 2014-09-02 Earlysense Ltd. Monitoring, predicting and treating clinical episodes
KR20090107414A (ko) * 2008-04-08 2009-10-13 현종철 생체 신호에 기반한 사용자 응급 상황 알림 장치 및 그 시계
KR101051263B1 (ko) * 2009-03-04 2011-07-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만성질환자를 위한 재택 원격 가정 간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51235B1 (ko) 2009-07-13 2011-07-21 박원일 의류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휴대용 방범 cctv 감시 장치
EP2698686B1 (en) 2012-07-27 2018-10-10 LG Electronics Inc. Wrist-wear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64066B1 (ko) * 2013-01-17 2014-11-20 강승완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생체 정보 측정 방법
CN105247561A (zh) * 2013-05-23 2016-01-13 艾弗诺泰普有限责任公司 用于协助个人、产品提供者和/或服务提供者的方法和系统
KR20150109993A (ko)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선호 감정 패턴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65587B1 (ko) 2014-08-07 2014-11-27 (주)와이브레인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89896B1 (ko) * 2014-10-17 2015-02-06 주식회사 스마트로봇 비상호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49911A (ko) * 2015-06-19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측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EP3317973A4 (en) * 2015-07-03 2019-03-06 INTE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MPRESSING DATA IN A WEARABL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880B1 (ko) 2015-03-31 2015-11-17 넥시스 주식회사 영상 신호 생성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75462B (zh) 2020-10-23
US20180227491A1 (en) 2018-08-09
CN108475462A (zh) 2018-08-31
WO2017135538A1 (ko) 2017-08-10
KR20170093390A (ko) 2017-08-16
US10791269B2 (en)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1088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tion of mental behavioral attributes based on deep neural networks
CN105590022B (zh) 身体状况建议方法及电子装置
US20180228405A1 (en) Fall prediction system including an accessory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5980008B (zh) 用于智能可穿戴设备的身体位置优化和生物信号反馈
KR102302871B1 (ko)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80279885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vital sign information of a subject
US2015011972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30130803A (ko) 발작 검출 및 모니터링을 위한 건식 센서 eeg/emg 및 모션 감지 시스템
US20210256829A1 (en) System to secure health safety during charging of health wearable
CN110446462B (zh) 用于评估手持个人护理设备相对于用户的位置和/或取向的系统、装置和方法
JP2023129585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369800B1 (ko) 바이오 신호에 기초한 웨어러블 카메라 운용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JP6914597B2 (ja) ペット・人の友交度測定装置及びペット・人の友交度測定用プログラム
JP7330507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CN110739077A (zh) 癫痫发作预警方法及系统
JP202108963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04632A1 (en) Seizure early-warning method and system
JP742941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3031758A (zh) 信息处理装置以及计算机可读介质
US202101654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7099768B1 (ja) めまいの診断装置並びに遠隔めまい診断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CN116807826A (zh) 按摩椅的控制方法及装置、按摩椅、存储介质
KR20230045283A (ko) 통합 생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서버 장치
WO2019149331A1 (en) A system for monitoring physical movements of a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