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617B1 - Current transformer for high output power supply easily installed in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with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 Google Patents

Current transformer for high output power supply easily installed in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with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617B1
KR102369617B1 KR1020200000125A KR20200000125A KR102369617B1 KR 102369617 B1 KR102369617 B1 KR 102369617B1 KR 1020200000125 A KR1020200000125 A KR 1020200000125A KR 20200000125 A KR20200000125 A KR 20200000125A KR 102369617 B1 KR102369617 B1 KR 102369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current
power supply
voltag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7185A (en
Inventor
김명기
원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폰
Priority to KR102020000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617B1/en
Publication of KR2021008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2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배전선로에 흐르는 1차 전류를 전자기 유도를 통해 2차 전류로 변환하는 전원공급장치용 전원용 변류기를 제공하며,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출력 전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한 턴수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단자에 연결되는 변류기; 및 상기 변류기의 출력 단자의 개방에 따라 발생되는 고전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변류기의 양단을 단락시키는 단락 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배전 선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지중 송배전 선로에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방진 기능이 개선된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power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device that converts a primary current flowing in a distribution line into a secondary current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wherein the power current transformer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based on a constant number of turns to control the output current current transformer connected to; and a short-circuit switch that short-circuits both ends of the current transformer in order to prevent high voltage generated by the opening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current transformer,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distribution line, and it is easy to install on an underground transmission/distribution lin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supply for a power supply with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Description

지중 송배전 선로에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방진 기능이 개선된 고출력 전원 공급장치용 전원용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FOR HIGH OUTPUT POWER SUPPLY EASILY INSTALLED IN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WITH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CURRENT TRANSFORMER FOR HIGH OUTPUT POWER SUPPLY EASILY INSTALLED IN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WITH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 선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지중 송배전 선로에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방진 기능이 개선된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 to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supply for a powe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in response to a change in a distribution line, is easy to install on an underground transmission/distribution line, and has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It relates to a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for a power supply device.

현재 가공 배전 선로의 건설이 불가능한 지역이나, 신규 개발단지 조성, 안전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지중 배전 선로가 건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 사고 예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지중 배전 선로에 여러 가지 안전을 위한 계측, 감시, 측정 또는 진단 등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지중에는 이러한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전원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태양전지나 외부의 전원과 같은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며, 설치 또는 비용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Currently,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are being built in areas where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overhead distribution lines, or for various reasons such as the creation of new development complexes and safety. Accordingly, the need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is emerging, and various devices for measuring, monitoring, measuring, or diagnosing for various safety are installed o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However, since there is no separate power source to operate these devices underground, a separate power source such as a solar cell or an external power source is required, and various problems occur due to installation or cost.

예를 들어, 태양전지의 경우, 태양광에 의해 전원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흐린날이나 그늘진 지역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별도의 설치 장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 장소의 확보가 어렵다. 이에, 배전 선로에 자계 변환 전원 공급 장치 등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olar cell, since it generates power by sunlight, it cannot be used on a cloudy day or in a shady area,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installation place because it requires a separate installation place. Accordingly, power is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line by using a magnetic field conversion power supply device or the like.

하지만, 기존의 전원 공급 장치는 일정한 배전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가정한 상태에서 설계됨에 따라, 수시로 변화하는 배전 선로에 대응하기 힘들어서 소전류에서는 충분한 전원을 확보하기 힘들고, 대전류에서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the existing power supply device is designed on the assumption that a constant distribution current flows,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frequently changing distribution line,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power at a small current, and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increases at a large current. There was a problem.

더욱이, 기술의 발달로 인해 배전 선로에 설치되는 계측기, 예를 들어, 계측, 감시, 측정, 또는 진단 등의 기능을 갖는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력이 증가하고 있어, 하나가 아닌 여러 대의 전원 공급 장치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power used in a measuring instrument installed on a distribution line, for example,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measuring, monitoring, measuring, or diagnosing, etc. is increasing. There was a need for a problem.

또한, 습도가 90% 이상이고, 온도가 -20 내지 -70℃의 지상개폐기 환경의 특수성을 감안하지 않아 방수/방진 구조를 구비하는 지상개폐기가 없으며, 또한 방열의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no ground switch having a waterproof/vibration-proof structure because the humidity is greater than 90% and the temperature of the ground switch is -20 to -70 ° C.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purpose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배전 선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an object to present a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for a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supplying power in response to a change in a distribution lin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지중 송배전 선로에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방진 기능이 개선된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an object of providing a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for a power supply that is easy to install on an undergrou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and has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선로에 흐르는 1차 전류를 전자기 유도를 통해 2차 전류로 변환하는 전원공급장치용 전원용 변류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출력 전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한 턴수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단자에 연결되는 변류기; 및 상기 변류기의 출력 단자의 개방에 따라 발생되는 고전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변류기의 양단을 단락시키는 단락 스위치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for a power supply that converts a primary current flowing in a distribution line into a secondary current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a current transformer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based on a constant number of turns to adjust the output current; and a short-circuit switch that short-circuits both ends of the current transformer to prevent a high volt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current transformer.

또한,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상기 변류기가 인입되기 위해 분할된 링 형태를 갖는 두 개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케이스 각각의 일단이 경첩 형태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 각각에는 볼트를 통해 결합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includes two cases having a ring shape divided into which the current transformer is introduced, one end of each of the two cases is connected in a hinge form,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bolt. A groove is formed.

또한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상기 변류기가 인입되기 위해 분할된 링 형태를 갖는 두 개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케이스 각각의 양단에는 볼트를 통해 결합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includes two cases having a ring shape divided into which the current transformer is introduced, and coupling grooves that can be coupled through bol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two cases.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상기 전원용 변류기가 고정되는 선반; 및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 구조물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The power current transformer may include: a shelf to which the power current transformer is fixed; And it is fixed using a structure includ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helf.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천정에 고정되는 와이어릴; 및 상기 와이어릴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용 변류기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홀에 연결된 와이어들을 포함한 구조물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The current transformer for the power supply, a wire reel fixed to the ceiling; and wires connected to the wire reel and connected to hole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상기 변류기가 인입되기 위해 분할된 팔각링 형태를 갖는 두 개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케이스 각각의 양단에는 볼트를 통해 결합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케이스가 대향하는 면에는,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실리콘 오링이 형성되어 있다.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includes two cases having a divided octagonal ring shape for the current transformer to be drawn in, and coupling grooves that can be coupled through bol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two cases, and the two cases face each other. A silicon O-ring is formed on the surface to seal the inner space.

상기 두 개의 케이스는, 상기 변류기의 절단면을 제외한 내부 공간이 에폭시(Epoxy)로 충진되어 몰딩 처리되어 있다. The two cases, except for the cut surface of the current transformer, the inner space is filled with epoxy (Epoxy) is molded.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상기 두 개의 케이스의 각각의 내부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분할된 링 형태로 형성되며,상기 변류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내부 공간에 상기 변류기가 인입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방열 날개를 형성한다.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is formed in a divided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inner space of each of the two cases, and further includes a heat dissipation unit through which the current transformer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to receive and release heat from the current transformer.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forms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blades extending outward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배전 선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supply for a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supplying power in response to a change in a distribution line.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지중 송배전 선로에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방진 기능이 개선된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on an undergrou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and has an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 계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용 변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용 변류기의 고정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용 변류기의 고정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용 변류기와 전원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압 제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압 제한부에서 기준 전압에 따라 전압을 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를 보호하는 회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동작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로 공급되는 전력을 확인할 수 있는 전압/전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용 변류기의 고정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더욱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a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fixing a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fixing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and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ximum voltage limi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graph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djusting a voltage according to a reference voltage in a maximum voltage limi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circuits for protecting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2 is a graph illustrating an operation waveform of a field effect transis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asuremen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oltage/current display operation for checking power supplied to a measuring instru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6 and 17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fixing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9 and 20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following embodiments belong are omitt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of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of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ncludes" a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 계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a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계측 시스템(10)은 배전 선로(20)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안전을 위한 계측, 감시, 측정, 또는 진단을 위한 다양한 계측기들(210, 220)을 포함한다. 이러한, 계측 시스템(10)은 계측기들(210, 220)에서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고,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measuring system 10 includes various measuring instruments 210 and 220 for measuring, monitoring, measuring, or diagnosing various safety measures using a distribution line 20 . The measurement system 10 may include a power supply device 100 for measuring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measuring instruments 210 and 220 and receiving power.

전원 공급 장치(100)는 배전 선로에 연결되어, 계측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계측기들(210, 22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 distribution line, ma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or measurement, and may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210 and 220 .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원용 변류기(110)와 전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device 100 may include a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and a power supply unit 120 .

전원용 변류기(110)는 배전 선로(20)에 연결되거나,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전원용 변류기(110)는 고압이 흐르는 배전 선로(20)에 흐르는 1차 전류를 2차 전류로 유도할 수 있다.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line 20 or may be located adjacently. 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may induce a primary current flowing in the distribution line 20 through which a high voltage flows as a secondary current.

전원부(120)는 유도된 2차 전류를 이용하여 계측기들(210, 220)에서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부(120)는 내부에 수시로 변화되는 배전 선로(20)의 배전 전류에 따라 광범위한 1차 전류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2차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원부(120)는 계측기들(210, 220) 각각에 필요한 전력의 출력 시 안전을 위해 개별 전압, 개별 전류를 제한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20 may use the induced secondary current to convert and output the voltage required by the measuring instruments 210 and 220 . The power supply unit 120 may adjust the secondary current so that it can operate in a wide primary curren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current of the distribution line 20 that is frequently changed therein. Through this, the power supply unit 120 may include a circuit for limiting individual voltages and individual currents for safety when the power required for each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210 and 220 is output.

전원부(120)는 계측기들(210, 220)이 여러 개 연결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계측기가 연결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power supply unit 120 exemplarily shows that a plurality of measuring instruments 210 and 220 are connected, one measuring instrument may be connected thereto.

이와 같은 전원 공급 장치(100)는 예를 들어, 배전 선로(20)에 직접 흐르는 30암페어(A) 내지 200A의 대전류에서 안정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15와트(W) 이상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Such a power supply device 100, for example, can output power of 15 watts (W) or more, which can be stably operated at a high current of 30 amps (A) to 200 A directly flowing through the distribution line 20 .

그러므로, 기존의 배전 선로(20)에 크로스 본딩된 금속 시스에 흐르는 순환 전류를 이용하는 경우, 타회선의 영향, 크로스 본딩 문제, 불안정 접지, 급격한 부하 변동, 상 불평등과 같은 이유로 발생되는 시스 순환 전류가 발생한다. 시스 순환 전류는 모든 회선에서 발생되는 것이 아니고, 상술한 조건들에 의해 비선형적으로 발생되며, 실제 흐르는 전류에 비하여 5% 내지 30% 이하의 전류를 이용하게 하기 때문에 전원을 공급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10W 미만의 작은 전력만을 생산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전원 공급 장치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제안된 전원 공급 장치(100)는 15W 이상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refore, when using the circulat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etal sheath cross-bonded to the existing distribution line 20, the sheath circulating current generated for reasons such as the influence of other lines, cross-bonding problems, unstable grounding, sudden load fluctuations, and phase inequality is Occurs. The sheath circulating current is not generated in all lines, but is generated nonlinearly by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and is insufficient to supply power because 5% to 30% or less of the actual current is used. Therefore, it requires multiple power supplies because it only produces a small amount of power, less than 10W. However, the proposed power supply device 100 has a structure capable of outputting power of 15W or mor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원용 변류기(110)와 전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ower supply device 100 may include a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and a power supply unit 120 .

전원용 변류기(110)는 단락 스위치(111)와 변류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may include a short circuit switch 111 and a current transformer 112 .

단락 스위치(111)는 변류기(112)의 출력 단자의 개방에 따라 발생되는 고전압을 방지하기 위해서 변류기(112) 양단을 단락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단락 스위치(111)는 양단이 단락된 변류기(112)를 개방, 즉 연결시킬 수도 있다.The short-circuit switch 111 may short-circuit both ends of the current transformer 112 to prevent a high volt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current transformer 112 . Conversely, the short-circuit switch 111 may open, that is, connect the current transformer 112 whose both ends are short-circuited.

변류기(112)는 고압이 흐르는 배전 선로(20)에 흐르는 1차 전류를 2차 전류로 유도할 수 있다. 변류기(112)는 유도된 2차 전류를 전원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변류기(112)는 설치를 위한 별도의 케이스 내부에 인입될 수 있다. 변류기(112)는 출력 전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한 턴수를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의 출력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current transformer 112 may induce a primary current flowing in the distribution line 20 through which a high voltage flows as a secondary current. The current transformer 112 may output the induced secondary current to the power supply unit 120 . Also, the current transformer 112 may be inserted into a separate case for installation. The current transformer 112 has a structure that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at least two output terminals based on a constant number of turns to adjust the output current.

전원부(120)는 보호 회로(121), 입력 전류 릴레이부(122), 정류 회로(123), 최대 전압 제한부(124), 전류 제어부(125), 출력부(126), 및 계측 표시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20 includes a protection circuit 121 , an input current relay unit 122 , a rectifier circuit 123 , a maximum voltage limiter 124 , a current control unit 125 , an output unit 126 , and a measurement display unit 127 . ) may be included.

보호 회로(121)는 전원용 변류기(110)에서 출력되는 2차 전류로 인한 과전압과 과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방지한다. The protection circuit 121 prevents at least one of an overvoltage and an overcurrent caused by the secondary current output from 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입력 전류 릴레이부(122)는 미리 설정된 허용 전류 범위 내의 2차 전류가 입력되도록 전원용 변류기(110)의 턴수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전류 릴레이부(122)는 전원용 변류기의 출력 단자들 각각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용 변류기(110)의 출력단자들 중 적어도 일부를 스위칭하여 전원용 변류기(110)의 턴수비를 제어할 수 있다.The input current relay unit 122 may control the turn ratio of 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so that a secondary current within a preset allowable current range is input. To this end, the input current relay unit 122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output terminals of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and by switching at least some of the output terminals of 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to control the turn ratio of 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there is.

정류 회로(123)는 턴수비 제어에 의해 입력된 교류 전압인 2차 전류를 직류(DC) 전압으로 변환한다. 정류 회로(123)는 브릿지 다이오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rectifier circuit 123 converts a secondary current that is an AC voltage input by the turn ratio control into a direct current (DC) voltage. The rectifier circuit 12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ridge diode.

최대 전압 제한부(124)는 직류 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이하로 최대 전압을 제한할 수 있다.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may limit the maximum voltage of the DC voltage to a preset reference voltage or less.

전류 제어부(125)는 직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직류 전압에 기초하여 입력 전류 릴레이부의 턴수비를 제어하는 동작을 제어한다.The current controller 125 measures the DC voltag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turn ratio of the input current relay unit based on the measured DC voltage.

출력부(126)는 적어도 하나의 계측기에 연결되고, 직류 전압을 계측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output unit 126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measuring device, and converts the DC voltage into a voltage required by the measuring device and outputs the converted voltage.

계측 표시부(127)는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전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display unit 127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voltage and current output from the output unit.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용 변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전원용 변류기(110)는 단락 스위치(111)와 원형의 변류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may include a short-circuit switch 111 and a circular current transformer 112 .

단락 스위치(111)는 케이블 접지(1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변류기(112)를 단락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설치 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변류기(112)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류기(112)를 배전 선로(20)에 설치하는 경우, 출력 단자(A2, A3)를 개방시키면 2차측 임피던스가 상승하면서, 고전압이 발생하여 변류기(112)의 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단락 스위치(111)를 이용하여 변류기(112)를 단락시키면,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The short-circuit switch 111 may include a cable ground 1122 and may have a function of short-circuiting the current transformer 112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user during install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current transformer (112). For example, when the current transformer 112 is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line 20, when the output terminals A2 and A3 are opened, the secondary-side impedance rises and a high voltage is generated, which may cause a failure of the current transformer 112. there is. In this case, if the current transformer 112 is short-circuited using the short-circuit switch 111, failure can be prevented.

한편, 단락 스위치(111)는 변류기(112)가 인입되는 케이스(1120) 등에 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hort-circuit switch 111 may be attached to the case 1120 into which the current transformer 112 is introduced.

변류기(112)는 배전 선로(20)에 흐르는 1차 전류를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특수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처리된 규소 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존 접지용 케이블 크기에 맞추어 설계된 65파이(Φ)에서 다양한 송배전 선로의 전선 크기에 맞추어 직경 250Φ를 가질 수 있다.The current transformer 112 may be specially manufactured to use the primary current flowing in the distribution line 20 as a power source,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heat-treated silicon steel sheet, and designed to fit the size of the existing grounding cable. It can have a diameter of 250Φ according to the wire size of variou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at 65 pi (Φ).

계절의 변화, 부하 중심, 계통 변경 등의 이유로 인한 배전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1000A 이상에서도 자기포화 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며, 전원부(120)에서 입력 전류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동일 비율을 갖는 소정 턴수비를 갖도록 감긴 코일(1121)에 의해 형성된 4개의 탭(A1~A4)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current flowing in the distribution line increases due to seasonal change, load center, system change, etc., so it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self-saturate even at 1000 A or more, and has the same ratio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 120 can select the size of the input current The output may be performed with four tabs A1 to A4 formed by the coil 1121 wound to have a predetermined number of turns.

지중 송전을 하는 배전 선로(20)의 경우에는 물에 잠길 수 있으므로, 내부에는 결선 후 방수를 위하여 에폭시 몰딩을 하고, 외부로 4개의 코어에 대응되는 전선을 케이블 접지를 통해서 전원부(120)에 연결할 수 있다. 전원부(120)에 의해 탭 전환(A1~A4)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istribution line 20 for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it can be submerged in water, so after wiring, epoxy molding is performed inside for waterproofing, and the wires corresponding to the four cores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20 through the cable grounding to the outside. can The tap switching A1 to A4 may be performed by the power supply unit 120 .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변류기(112)가 인입되기 위한 분할된 링 형태의 두 개의 케이스(311, 312)가 도시된다. 여기서, 제 1 케이스(311)와 제 2 케이스(312)의 결합에 의해 원형 형태를 갖고, 내부에 배전 선로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이 존재한다.Referring to FIG. 4 , two cases 311 and 312 in the form of a divided ring into which the current transformer 112 is introduced are shown. Here, it has a circular shape by combining the first case 311 and the second case 312, and there is a space therein for the distribution line to be located.

제 1 케이스(311)의 일단과 제 2 케이스(312)의 일단이 상호 간에 소정 거리 이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첩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case 311 and one end of the second case 31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form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may be connected in the form of a hinge.

제 1 케이스(311)의 다른 일단에는 결합홈(314)이 형성되고, 제 2 케이스(312)의 다른 일단에는 결합홈(315)이 형성되어 결합홈들(314, 315)이 서로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 coupling groove 314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se 311 , and a coupling groove 315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se 312 so that the coupling grooves 314 and 3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olts or the like. can be combined.

이와 같은 구조는 매미 고리와 경첩 구조로 이루어진 클램프 타입으로 설치의 시간을 감소시켜, 설치와 철거에 따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This structure is a clamp type consisting of a cicada ring and a hinge structure, which reduces the installation time, and can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according to installation and removal.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변류기(112)가 인입되기 위한 분할된 링 형태의 두 개의 케이스(321, 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321)의 양단에는 결합홈(323, 325)이 각각 형성되고, 제 2 케이스(322)의 양단에는 결합홈(324, 326)이 각각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current transformer 112 may include two cases 321 and 322 in the form of a divided ring into which the current transformer 112 is introduced. Coupling grooves 323 and 325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ase 321 , respectively, and coupling grooves 324 and 326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ase 322 , respectively.

제 1 결합홈(323)과 제 3 결합홈(324)이 제 1 볼트(327)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 2 결합홈(325)과 제 4 결합홈(326)이 제 2 볼트(328)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groove 323 and the third coupling groove 3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bolt 327 ,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325 and the fourth coupling groove 326 are connected to the second bolt 328 .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램프 타입을 사용하여 설치될 수 없는 환경에서, 상하로 분리된 변류기(111)를 각각 배전 선로(20)에 근접하게 위치시키고, 볼트를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In an environment that cannot be installed using the clamp type as shown in FIG. 4 , the vertical current transformers 111 separated from the top and bottom are respectively positioned close to the distribution line 20 and assembled using bolts.

도 4와 도 5에서 결합홈을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구조에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grooves are connected using bolts in FIGS. 4 and 5 , a bolt groove for fastening the bolts may be formed.

도 4와 도 5에서는 결함홈들 간에 볼트로 연결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나사, 못, 접착제, 고정 클립 등의 다른 다양한 소자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4 and 5, the structure in which the defect grooves are connected with bolts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but they may be connected using various other elements such as screws, nails, adhesives, and fixing clips.

이러한 구조들에서, 코일은 두 개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 4의 구조에서는 변류기(111)를 구성하는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이 정방향의 결선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도 5의 구조에서는 변류기(111)를 구성하는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이 역방향 결선을 갖기 때문에 분리가 가능하다.In these structures, the coil may be divided into two, and in the structure of FIG. 4 , whe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constituting the current transformer 111 maintain a forward connection state, the upper core and the lower core are coupled state can be maintained, and in the structure of FIG. 5 , since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constituting the current transformer 111 have reverse connection, separation is possibl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용 변류기의 고정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fixing a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변류기는 배전 선로(20)를 기준으로 제 1 케이스(321)와 제 2 케이스(322) 내에 인입된 구조를 갖는다. 두 개의 케이스(321, 322)은 내측에 배전 선로(20)를 위치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urrent transformer has a structure introduced into the first case 321 and the second case 322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line 20 . The two cases 321 and 322 may position the power distribution line 20 on the inside.

실제 전원용 변류기는 자화된 철심으로 인해 변류기에 진동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저전류가 아닌 30 내지 500A와 같은 대전류에서는 전류를 전원으로 사용하면, 1차측에서 발생된 여자 전류를 2차측에서 상쇄하지 못하면, 여자전류로 인하여 변류기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실제, 전원용 변류기에서 1차 여자전류를 100% 해소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변류기는 어느 정도의 자화를 가지고 진동을 한다.In actual power transformers, vibrations are generated in the current transformers due to the magnetized iron core. For example, if a current is used as a power source in a large current such as 30 to 500A, not a low current, if the excitation current generated in the primary side cannot be offset in the secondary side, vibration may be generated in the current transformer due to the excitation current. In reality, it is impossible to eliminate 100% of the primary excitation current in a power transformer, and the current transformer vibrates with a certain degree of magnetization.

이로 인해, 전원용 변류기(110)를 배전 선로에 직접 설치하는 경우, 케이블에 거치하면 진동으로 인해 케이블의 표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원용 변류기(110), 즉, 변류기 케이스(321, 322)는 소정 거리(D)만큼 배전 선로(20)와 이격시킨다.For this reason, when 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distribution line, if it is mounted on the cable, the surface of the cable may be damaged due to vibration. For this reason, 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that is, the current transformer cases 321 and 322 is spaced apart from the distribution line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한편, 배전 선로는 대부분 벽에 밀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벽에 선반(331)과 받침대(312)를 이용하여 구성된 구조물을 사용하여 전원용 변류기(11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전원용 변류기(110)는 선반에 볼트로 고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most of the distribution lines ar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can be fixed to the wall using a structure configured using the shelf 331 and the pedestal 312 . At this time, 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may be fixed to the shelf with bolts.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용 변류기의 고정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fixing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전원용 변류기의 케이스(321, 322)가 도시되며, 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된 결합홈(325, 326)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7 , cases 321 and 322 of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are shown, and coupling grooves 325 and 326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ase are shown.

결합홈(325, 326)에는 와이어(예를 들어, 스텐와이어)(342, 343)를 연결할 수 있는 홀들(345, 346)이 각각 형성된다.The coupling grooves 325 and 326 have holes 345 and 346 through which wires (eg, stainless wires) 342 and 343 can be connected, respectively.

와이어(342, 343)는 천장(350)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릴(341)에 연결되어, 변류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wires 342 and 343 may be connected to a wire reel 341 for connecting to the ceiling 350 to fix the current transformer.

와이어(342, 343)와 와이어릴(341)을 이용하여 구성된 구조물을 사용하여 전원용 변류기(110)를 고정할 수 있다.The current transformer 110 for power may be fixed using a structure configured using the wires 342 and 343 and the wire reel 341 .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용 변류기와 전원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and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보호 회로(121)는 낙뢰, 고전압 중전기 개폐, 고장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발생된 짧은 순간에 높은 전압과 전류를 발생시키는 서지로 인한 전원부(120)를 보호한다. 이를 위해, 보호 회로(121)는 서지로부터 전원부(120)를 보호하기 위한 바리스터, 피티시(PTC), 퓨즈(Fuse), 엑스-캡(X-CAP)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protection circuit 121 protects the power supply unit 120 due to a surge that generates a high voltage and current in a short moment, which is generated due to reasons such as lightning strike, switching of a high-voltage heavy electric machine, or a failure. To this end, the protection circuit 121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varistor, a PTC, a fuse, and an X-CAP for protecting the power supply unit 120 from a surge. .

입력 전류 릴레이부(122)는 배전 선로(20)에 흐르는 1차 전류에 상관없이 전원부(120) 내에 허용된 전류의 범위가 입력될 수 있도록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두 개의 릴레이 스위치(Relay1, Relay2)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변류기(112)의 4개의 단자(A1~A4)는 전원부(120) 내부의 입력 전류 릴레이부(122) 내의 4개의 단자(B1~B4)에 연결될 수 있다.The input current relay unit 122 includes two relay switches (Relay1, Relay2) based on the input signal so that the range of current allowed in the power supply unit 120 can be input regardless of the primary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istribution line 20 . ) can be opened and closed. Here, the four terminals A1 to A4 of the current transformer 112 may be connected to the four terminals B1 to B4 in the input current relay unit 122 inside the power supply unit 120 .

2차 전류는 턴수에 반비례하여 출력되기 때문에, 입력 전류 릴레이부(122)는 평상시에는 최대 전력을 사용하기 위해 두 개의 릴레이 스위치들(Relay1, Relay2)을 모두 닫을(close) 수 있다. 이때, 턴 수는 감소되어 최대 전류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ary current is outpu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urns, the input current relay unit 122 may close both relay switches Relay1 and Relay2 in order to use the maximum power in normal times. At this time, the number of turns may be reduced to output the maximum current.

만약, 2차측 전류가 증가하여 전원부(120) 내의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입력 전류 릴레이부(122)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elay1)를 닫고, 제 2 릴레이 스위치(Relay2)를 개방(open)하여 턴수를 1차적으로 증가시켜, 2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If the secondary-side current increases and exceeds the allowable range in the power supply unit 120, the input current relay unit 122 closes the first relay switch Relay1 and opens the second relay switch Relay2. Thus, the number of turns is primarily increased, and the secondary current can be reduced.

이후, 2차 전류가 점차 증가하게 되면, 입력 전류 릴레이부(122)는 두 개의 릴레이 스위치들(Relay1, Relay2)을 모두 개방(open)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secondary current gradually increases, the input current relay unit 122 may open both relay switches Relay1 and Relay2.

이와 같이, 릴레이 스위치들(Relay1, Relay2)의 제어는 전류 제어부(12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최대 전압 제한부(124)에서 측정되는 직류 전압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As such, the control of the relay switches Relay1 and Relay2 may be performed by the current controller 125 . Therefore, it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DC voltage measured by 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

정류 회로(123)는 브릿지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서지에 대응하기 위하여 100V 이상의 허용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입력 전류 릴레이부(122)에서 출력된 2차 전류는 교류 전류이며, 정류 회로(123)는 2차 전류를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파 정류되고, 커패시터로 평활하여 직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The rectifier circuit 123 may be implemented using a bridge diode and a capacitor, and may have an allowable voltage of 100V or more in order to respond to various surges. The secondary current output from the input current relay unit 122 is an alternating current, and the rectifier circuit 123 may full-wave rectify the secondary current using a bridge diode and smooth it with a capacitor to generate a DC voltage.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압 제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ximum voltage limi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최대 전압 제한부(124)는 고전압으로 인한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출력부(126)의 전단에 위치한다. 출력부(126)는 예를 들어, 12V의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26)는 14V 내지 35V까지의 허용 전압 범위를 가지며, 60V 이상이 입력되면,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대 전압 제한부(124)는 안전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 전압, 예를 들어, 약 25V 이하로 전압을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maximum voltage limiting unit 124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output unit 126 that is most affected by the high voltage. The output unit 126 may output, for example, a DC voltage of 12V.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26 has an allowable voltage range of 14V to 35V, and when 60V or more is input, a failure may occur. For this reason, 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may limit the voltage to a predetermined voltage preset for safety, for example, about 25V or less.

최대 전압 제한부(124)는 최대 전압을 제한하기 위해, 비교기(410)와 반도체 스위칭 소자(411, 412, 4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may include a comparator 410 and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s 411 , 412 , and 413 to limit the maximum voltage.

반도체 스위칭 소자(411, 412, 413)는 예를 들어, 산화막 반도체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MOSFET)와 절연 게이트 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비교기(410)는 입력된 직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 비교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s 411 , 412 , and 413 may include, for example,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ic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an insulated gate type bipolar transistor (IGBT),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comparator 410 may compare whether the input DC voltage exceeds a reference voltage.

이를 통해, 비교기(410)는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직류 전압이 큰 경우, 반도체 스위칭 소자(411, 412, 413)를 온 동작시켜, 직류 전압(DC+)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비교기(410)는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직류 전압이 작은 경우 반도체 스위칭 소자(411, 412, 413)를 오프 동작시킨다. 이때, 비교기(410)는 약 1메가헤르쯔(MHz) 이상의 속도로 동작하여 직류 전압의 최대 전압을 제한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DC voltage is greater than the set reference voltage, the comparator 410 may turn on the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s 411 , 412 , and 413 to reduce the DC voltage DC+. In this case, the comparator 410 turns off the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s 411 , 412 , and 413 when the DC voltage is smaller than the set reference voltage. In this case, the comparator 410 may operate at a speed of about 1 megahertz (MHz) or more to limit the maximum voltage of the DC voltage.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압 제한부에서 기준 전압에 따라 전압을 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djusting a voltage according to a reference voltage in a maximum voltage limi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최대 전압 제한부(124)는 기준 전압이 20V인 경우, 입력 전압(510)이 20V 이상이면, 반도체 스위칭 소자가 온 동작하여 입력 전압(510)을 감소시킨다. 또한, 최대 전압 제한부(124)는 입력 전압(510)이 20V 미만이면, 반도체 스위칭 소자가 온 동작하여 입력 전압(510)을 유지시킨다. 최대 전압 제한부는 상술한 동작의 수행에 따른 입력 전압(510)을 조정하여 출력 전압(520)의 피크 전압을 20v로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when the reference voltage is 20V and the input voltage 5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20V, 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turns on the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 to reduce the input voltage 510 . In addition, when the input voltage 510 is less than 20V, 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turns on the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 to maintain the input voltage 510 . The maximum voltage limiter may limit the peak voltage of the output voltage 520 to 20v by adjusting the input voltage 510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예를 들어, 반도체 스위칭 소자는 25도에서 약 100W 이상의 전력을 소모시킬 수 있는 성능을 가져 효과적으로 최대 전압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소모된 전력은 열의 형태로 발산될 수 있다. 소비 전력이 증가할수록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최대 전압 제한부(124)는 두 개 이상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서, 최대 전압 제한부(124)는 세 개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411, 412, 413)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 has the ability to consume about 100W or more of power at 25 degrees, so that the maximum voltage can be effectively limited. Here, the consumed power may be dissipated in the form of heat.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 increases as power consumption increases, 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may connect two or more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s in parallel. In FIG. 9 , 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proposes a structure in which three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s 411 , 412 , and 413 are connected in parallel.

최대 전압 제한부(124)는 효과적인 방열을 위하여 써미스터 온도 센서와 쿨러를 포함할 수도 있따. 최대 전압 제한부(124)는 써미스터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50도 이상이되면, 쿨러를 동작 시켜 스위칭 소자의 열을 발산시키고, 50도 미만이되면 쿨러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may include a thermistor temperature sensor and a cooler for effective heat dissipation. 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can measure the temperature using the thermistor temperature sensor, and when it is 50 degrees or more, it operates the cooler to dissipate the heat of the switching element, and when it is less than 50 degrees, it is controll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cooler can do.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를 보호하는 회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circuits for protecting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1)는 전류 제어부(125)에 포함되는 보호 회로다.Referring to FIG. 11 ,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611 is a protection circuit included in the current controller 125 .

이때, 전류 제어부(125)는 최대 전압 제한부(124)에서 측정된 직류 전압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FET(6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류 제어부(125)는 입력 전류 릴레이부(122)의 릴레이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urrent controller 125 may control,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FET 611 based on the DC voltage measured by 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 Through this, the current controller 125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es of the input current relay unit 122 .

게이트(610)에 인가되는 신호는 제어 신호로서 최대 전압 제한부(124)의 직류 전압일 수 있다.The signal applied to the gate 610 may be a DC voltage of 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as a control signal.

예를 들어, 기준 전압 이상의 직류 전압이 감지되면, FET(611)는 오프 동작하고, 기준 전압 이하이면 FET(611)는 온 동작한다.For example, when a DC voltag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oltage is sensed, the FET 611 is turned off, and when 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oltage, the FET 611 is turned on.

FET(620)과 커패시터(622)는 보호 회로(121)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과전압이 인가되면, 과전압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FET 620 and the capacitor 622 may be located inside the protection circuit 121 and have a function of blocking the overvoltage when an overvoltage is applied.

한편, 전류 제어부(125)는 최대 전압 제한부(124)에서 일정 시간 최대 전압을 제한할 수 있으나, 전원용 변류기(110)에 입력되는 1차 전류가 증가할수록 스위칭 소자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일정 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계측기에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여자전류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되고, 선로에 손상을 줄 수 있다.Meanwhile, the current controller 125 may limit the maximum voltage for a certain time in the maximum voltage limiter 124 , but as the primary current input to the power current transformer 110 increases, it acts as a burden on the switching element, and a constant voltage If it falls below this, a malfunction may occur in the instrument. In addition, vibration due to the excitation current may occur,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performance and damage to the line.

이로 인해, 전류 제어부(125)는 기준 전압을 20V를 갖는 두 개의 비교기(제1비교기와 제2비교기)를 사용하여 DC 전압을 측정한 후에, DC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고, 최대 전압 제한부(124)의 스위칭 소자의 온도가 50도 이상이 되면, 제 1 비교기를 동작시켜 제 2 릴레이 스위치(Relay2)를 닫도록 제어하고, 한번 더 직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고 온도가 50도 이상이 되었을 경우, 제 2 비교기를 동작시켜 제 1 릴레이 스위치(Relay1)를 닫도록 제어하여 2차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current controller 125 measures the DC voltage using two comparators (a first comparator and a second comparator) having a reference voltage of 20V, and then the DC voltage exceeds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maximum voltage limiting uni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witching element of 124 becomes 50 degrees or more, the first comparator is operated to control the second relay switch Relay2 to close, and once again the DC voltage exceeds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temperature is 50 degrees or more In this case, the second comparator may be operated to control the first relay switch Relay1 to close, thereby limiting the secondary current.

이와 달리, 전류 제어부(125)는 제 1 비교기와 제 2 비교기는 항상 직류 전압을 측정하며, 전원용 변류기(110)의 1차측 전류가 감소할 경우, 직류 전압이 20V 이하으이 기준전압보다 감소하게 되면, 릴레이 스위치들(Relay1, Relay2)를 개방하여 전원용 변류기의 2차 전류를 상승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controller 125 always measures the DC voltage between the first comparator and the second comparator, and when the primary side current of the power current transformer 110 decreases, the DC voltage decreases below the reference voltage of 20V or less.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econdary current of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by opening the relay switches (Relay1, Relay2).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동작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12 is a graph illustrating an operation waveform of a field effect transis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FET(620)는 수 메가헤르쯔(MHz) 이상의 속도로 동작하여 실질적으로 온 동작과 오프 동작을 번갈아 수행하지만, 파형상으로는 직류로 보일 수 있다. FET를 기준으로 하는 입력 전압(630)과 출력 전압(640)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12 , the FET 620 operates at a speed of several megahertz (MHz) or more and substantially alternates an on operation and an off operation, but may be viewed as direct current on a waveform. An input voltage 630 and an output voltage 640 referenced to the FET are shown.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출력부(126)는 직류 출력부(710)와 전압/전류 제한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output unit 126 may include a DC output unit 710 and a voltage/current limiter 720 .

직류 출력부(710)는 약 12V의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지류 출력부(710)는 1개의 채널로 제작할 경우, 100W와 12V의 경우, 약 8A 이상의 전류를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각 계측기의 전원 문제로 단락 등 전원부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다른 계측기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출력은 약 25W의 개별 모듈 4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DC output unit 710 may output a DC voltage of about 12V. Here, when the branch output unit 710 is manufactured with one channel, in the case of 100W and 12V, it is necessary to control a current of about 8A or more, so the unit price may increase. In addition, if a power supply failure such as a short circuit occurs due to a power supply problem of each instrument, it may affect other instruments, so the output can be composed of 4 or more individual modules of about 25W.

전압/전류 제한부(720)는 전압과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voltage/current limiter 720 has a function of limiting voltage and current.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asuremen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계측 표시부(127)는 필터부(730)와 전압/전류 표시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measurement display unit 127 may include a filter unit 730 and a voltage/current display unit 740 .

필터부(730)는 계측기의 정밀한 게측을 보장하기 위해 인덕터와 커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730 may include an inductor and a capacitor to ensur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instrument.

전압/전류 표시부(740)는 각 계측기로 공급되는 전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압/전류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voltage/current display unit 740 may include a voltage/current display unit to check the power supplied to each measuring instrument.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로 공급되는 전력을 확인할 수 있는 전압/전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oltage/current display operation for checking power supplied to a measuring instru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계측기들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들(811, 812)이 도시한다.Referring to FIG. 15 , switches 811 and 812 for controlling power applied to the instruments are shown.

하단에는, 복수개의 채널별로 계측기에서 소모되는 전력과 전류를 도시한 정보창(821, 822, 823,824)을 도시한다.At the bottom, information windows 821 , 822 , 823 , and 824 showing power and current consumed by the instrument for each channel are shown.

도 16 및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16 and 17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변류기(112)가 인입되기 위한 분할된 팔각링 형태의 두 개의 케이스(351, 352)가 도시된다. 여기서, 제 1 케이스(351)와 제 2 케이스(352)의 결합에 의해 외주면이 팔각형 형태를 갖고, 내부에 배전 선로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이 존재하며, 개방된 각각의 전면이 덮개(3511, 3521)에 의하여 밀봉된다.16 and 17 , two cases 351 and 352 in the form of a divided octagonal ring into which the current transformer 112 is introduced are shown. 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n octagonal shape by the coupling of the first case 351 and the second case 352 , and there is a space for the distribution line to be located therein, and each of the open front surfaces is the cover 3511 and 3521 . ) is sealed by

그리고, 제 1 케이스(351)와 제 2 케이스(352)가 대향하는 각각의 면에는 각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밀폐시켜 이물질이 내부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완전 방수/방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실리콘 오링(359)에 의하여 밀봉처리될 수 있다.And, on each surface of the first case 351 and the second case 352 facing each other, a silicone O-ring ( 359) can be sealed.

상기 변류기(112)가 인입되기 위해 분할된 팔각링 형태를 갖는 두 개의 케이스(351, 352)를 포함하고, 제1 케이스(351)의 양단에는 결합홈(353, 355)이 형성되고, 제2 키이스(352)의 양단에는 결합홈(354, 356)이 각각 형성된다.The current transformer 112 includes two cases 351 and 352 having a divided octagonal ring shape to be introduced, and coupling grooves 353 and 355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ase 351, and the second At both ends of the key 352, coupling grooves 354 and 356 are formed, respectively.

제 1 결합홈(353)과 제3 결합홈(354)이 제 1 볼트(357)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 2 결합홈(355)과 제 4 결합홈(356)이 제 2 볼트(358)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groove 353 and the third coupling groove 35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bolt 357 ,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355 and the fourth coupling groove 356 are the second bolt 358 .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제 1 케이스(351)와 제 2 케이스(352)는, 결함홈들 간에 볼트로 연결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나사, 못, 접착제, 고정 클립 등의 다른 다양한 소자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The first case 351 and the second case 352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structure connected with bolts between the defective grooves, but they may be connected using various other elements such as screws, nails, adhesives, and fixing clips. .

여기서, 변류기(111)를 구성하는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이의 구성은 도4 또는 도5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constituting the current transformer 111 is the same as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or 5 , and thu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351, 352)에 내부 공간에 인입된 변류기(112)의 진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변류기(112)의 절단면을 제외한 케이스(351, 352)의 내부 공간이 에폭시(Epoxy)로 충진되어 몰딩 처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ses 351 and 352 excluding the cut surface of the current transformer 112 to minimize noise tha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current transformer 112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s 351 and 352. may be molded by filling the inner space of the Epoxy.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용 변류기의 고정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fixing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8을 참조하면, 변류기는 배전 선로(20)를 기준으로 제 1 케이스(351)와 제 2 케이스(352) 내에 거리 D를 가지도록 이격되어 인입된 구조를 갖는다. 두 개의 케이스(351, 352)은 내측에 배전 선로(20)를 위치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the current transformer has a structure that is spaced apart to have a distance D within the first case 351 and the second case 352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line 20 . The two cases 351 and 352 may position the power distribution line 20 on the inside.

여기서, 변류기의 자화에 따른 진동발생은 도6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 since the generation of vibration according to the magnetization of the current transformer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 6 ,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321, 322)의 경우에는,변류기(112)의 무게로 인해 작은 흔들림에 의하여도 지지대 판 위에서 흔들릴 수 있으나, 도16 및 도17에서 설명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설치 구조의 경우에는 케이스(351, 352)와 지지대 판과의 접촉 면적의 증으로 인해 지지대 판 위에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ases 321 and 322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described in FIG. 6 , they may be shaken on the support plate even by a small shaking due to the weight of the current transformer 112 . In the case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aking on the support plate may be prevented due to an increase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ases 351 and 352 and the support plate.

도 19 및 도 20은 더욱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19 and 20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두 개의 케이스(351, 352)의 각각의 내부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분할된 링 형태로 형성되며,자신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는 변류기(112)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내부 공간에 변류기(112)가 인입되는 방열부(361, 36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351, 352)의 구성요소는 도16 또는 도17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19 and 20, it is formed in a divided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inner space of each of the two cases 351 and 352, and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current transformer 112 introduced into its inner space. It further includes heat dissipation units 361 and 362 through which the current transformer 112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to receive and discharge the heat. Here, the components of the cases 351 and 352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16 or 17,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때, 상기 방열부(361, 362)는, 열전도율이 높아 방열 구조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Al)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방열부(361, 362)로 전달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방열 면적을 높일 수 있는 다수 개의 방열 날개(363)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 dissipation units 361 and 362 are preferably made of aluminum (Al) material,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due to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can effectively dissipate the heat transferred to the heat dissipation units 361 and 362.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blades 363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area.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e term '~ unit' used in the above embodiments means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nd '~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patent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Functions provided i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separated from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pertain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계측 시스템 100: 전원 공급 장치
110: 전원용 변류기 111: 단락 스위치
112: 변류기 120: 전원부
121: 보호 회로 122: 입력 전류 릴레이부
123: 정류 회로 124: 최대 전압 제한부
125: 전류 제어부 126: 출력부
127: 계측 표시부
10: metrology system 100: power supply
110: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supply 111: short circuit switch
112: current transformer 120: power unit
121: protection circuit 122: input current relay unit
123: rectifier circuit 124: maximum voltage limiter
125: current control unit 126: output unit
127: measurement display unit

Claims (8)

배전선로에 흐르는 1차 전류를 전자기 유도를 통해 2차 전류로 변환하는 전원공급장치용 전원용 변류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출력 전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한 턴수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단자에 연결되는 변류기; 및
상기 변류기의 출력 단자의 개방에 따라 발생되는 고전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변류기의 양단을 단락시키는 단락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상기 2차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용 변류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2차 전류로 인한 과전압과 과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 회로;
미리 설정된 허용 전류 범위 내의 상기 2차 전류가 입력되도록 상기 전원용 변류기의 턴수비를 제어하는 입력 전류 릴레이부;
상기 전원용 변류기 내 턴수비 제어에 의해 입력된 교류 전압인 상기 2차 전류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
상기 직류 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이하로 최대 전압을 제한하는 최대 전압 제한부;
상기 직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전류 릴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류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계측기에 연결되고, 상기 직류 전압을 상기 계측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전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계측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직류 전압을 측정하는 직류 전압 측정부;
미리 설정된 전류비 탭을 기준으로 일정한 턴수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단자 중 하나를 연결하는 릴레이부; 및
상기 직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단자 중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전류 릴레이부는,
상기 전원용 변류기에서 출력되는 소정 턴수비를 갖도록 연결된 단자들 중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여 미리 설정된 전류 미만으로 2차 전류를 감소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supply for a power supply that converts a primary current flowing in a distribution line into a secondary current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the current transformer comprising:
The current transformer for the power supply,
a current transformer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based on a constant number of turns to adjust the output current; and
and a short-circuit switch for short-circuiting both ends of the current transformer to prevent a high volt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current transformer;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for converting the secondary current into a preset voltage and outputting it,
The power supply unit,
a protection circuit for preventing at least one of an overvoltage and an overcurrent caused by the secondary current output from the power current transformer;
an input current relay unit for controlling a turn ratio of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so that the secondary current within a preset allowable current range is input;
a rectifier circuit for converting the secondary current, which is an AC voltage input by a turn ratio control in the power current transformer, into a DC voltage;
a maximum voltage limiting unit limiting the maximum voltage of the DC voltage to a preset reference voltage or less;
a curr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input current relay unit based on the DC voltage;
an output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measuring device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DC voltage into a voltage required by the measuring device; and
and a measuremen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voltage and current output from the output unit,
The current control unit,
a DC voltag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DC voltage;
a relay unit conn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based on a predetermined number of turns based on a preset current ratio tap; and
And a re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be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based on the DC voltage,
The input current relay unit,
A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for reducing a secondary current to less than a preset current by connecting at least some of the terminals connected to have a predetermined turn ratio output from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supp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상기 변류기가 인입되기 위해 분할된 링 형태를 갖는 두 개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케이스 각각의 일단이 경첩 형태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 각각에는 볼트를 통해 결합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urrent transformer for the power supply,
The current transformer includes two cases having a divided ring shape to be introduced,
One end of each of the two cases is connected in the form of a hinge, and the other end is each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that can be coupled through a bo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
상기 변류기가 인입되기 위해 분할된 링 형태를 갖는 두 개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케이스 각각의 양단에는 볼트를 통해 결합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urrent transformer for the power supply,
The current transformer includes two cases having a divided ring shape to be introduced,
A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device in which coupling grooves that can be coupled through bol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two ca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상기 전원용 변류기가 고정되는 선반; 및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 구조물을 사용하여 고정되는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urrent transformer for the power supply,
a shelf to which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is fixed; and
A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device fixed using a structure includ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hel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천정에 고정되는 와이어릴; 및
상기 와이어릴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용 변류기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홀에 연결된 와이어들을 포함한 구조물을 사용하여 고정되는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urrent transformer for the power supply,
Wire reel fixed to the ceiling; and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supply for a power supply device connected to the wire reel and fixed using a structure including wires connected to a hole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supp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상기 변류기가 인입되기 위해 분할된 팔각링 형태를 갖는 두 개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케이스 각각의 양단에는 볼트를 통해 결합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케이스가 대향하는 면에는,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실리콘 오링이 형성되는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urrent transformer for the power supply,
It includes two cases having a divided octagonal ring shape for the current transformer to be introduc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two cases, coupling grooves that can be coupled through bolts are formed,
A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device in which a silicon O-ring is formed to seal the inner space on the surfaces of the two cases facing each oth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케이스는,
상기 변류기의 절단면을 제외한 내부 공간이 에폭시(Epoxy)로 충진되어 몰딩 처리되는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wo cases are
A current transformer for power supply in which the internal space except for the cut surface of the current transformer is filled with epoxy and mold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용 변류기는,
상기 두 개의 케이스의 각각의 내부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분할된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변류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내부 공간에 상기 변류기가 인입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방열 날개를 형성하는 전원 공급 장치용 전원용 변류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urrent transformer for the power supply,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vided ring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inner space of each of the two cases, and further comprises a heat dissipating unit through which the current transformer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to receive and release heat from the current transformer,
The heat dissipation unit, a current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device for form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blades extending outwardly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KR1020200000125A 2020-01-02 2020-01-02 Current transformer for high output power supply easily installed in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with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KR102369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125A KR102369617B1 (en) 2020-01-02 2020-01-02 Current transformer for high output power supply easily installed in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with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125A KR102369617B1 (en) 2020-01-02 2020-01-02 Current transformer for high output power supply easily installed in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with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185A KR20210087185A (en) 2021-07-12
KR102369617B1 true KR102369617B1 (en) 2022-03-03

Family

ID=7685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125A KR102369617B1 (en) 2020-01-02 2020-01-02 Current transformer for high output power supply easily installed in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with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61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844A (en) * 1998-12-02 2000-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Current transform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5255B2 (en) * 1991-11-26 1997-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Zero-phase current detector
KR101925183B1 (en) * 2016-08-04 2018-12-06 장성일 Electromagnetic Inductive Power Supply based on Current Transformer
KR102622224B1 (en) * 2016-08-05 2024-01-08 주식회사 아모센스 Current transformer
KR102154251B1 (en) * 2016-10-11 2020-09-09 주식회사 아모센스 Electromagnetic inductive power suppl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844A (en) * 1998-12-02 2000-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Current trans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185A (en)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873B1 (en) Method and circuit for using polarized device in AC applications
CN101540502B (en) Speed controller including a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overcurrents and overvoltages
US8971070B2 (en) Interface arrangement between AC and DC systems for reliable opening of the circuit breaker in time
ES2968758T3 (en) Systems and methods to regulate the energy consumption of an induction energy harvester (IPH)
US10014679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alternating current electronic trip circuit with arc fault det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US20230291197A1 (en) Voltage harvester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 devices
RU2479906C2 (en) Safety device
ES2249829T3 (en) LOW VOLTAGE LIGHTING SYSTEM.
KR102212166B1 (en) High output power supply easily installed in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with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KR102369617B1 (en) Current transformer for high output power supply easily installed in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with improved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US20100066173A1 (en) Power Supply Apparatus
US6426885B1 (en) Inverter device and motor driving device provided with inrush current prevention circuit
CN107517026B (en) Synchronous rectification generator and protection method thereof
US11947374B2 (en) Power supply for electric utility underground equipment
KR20200098359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monitoring and control
JPH11164558A (en) Ac voltage regulating apparatus
KR102150196B1 (en) Apparatus Supplying Power by using Magnetic Field Energy
CN208690921U (en) A kind of power circuit of high stability
WO2023218599A1 (en) Power conversion system control device and power conversion system
US20230402832A1 (en) Integrator for protective relay
KR20150000198A (en) System for super conducting electric power homopolar generator
KR102152821B1 (en) Underground opening/closing apparatus
JP4775588B2 (en) Input protection device
RU118482U1 (en) DEVICE FOR AUTOMATIC CONTROL OF SUBMOTOR PUMP MOTOR
AU2018211234A1 (en) An Alternator Surge Clip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