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525B1 -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525B1
KR102369525B1 KR1020200184126A KR20200184126A KR102369525B1 KR 102369525 B1 KR102369525 B1 KR 102369525B1 KR 1020200184126 A KR1020200184126 A KR 1020200184126A KR 20200184126 A KR20200184126 A KR 20200184126A KR 102369525 B1 KR102369525 B1 KR 102369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access
access terminal
user input
input sign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418A (ko
Inventor
김용완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403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0422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8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5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418A/ko
Priority to KR1020220023429A priority patent/KR102399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7Implementing a Virtual Machine [VM]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접속 단말기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원격 화면을 제공하는 원격 접속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가 상기 원격 접속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접속 서버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현재의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가 상기 원격 접속 서버로부터 수신된 화면 캡처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상기 원격 접속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접속 서버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 신호가 동영상 실행 요청 신호인 경우에는 그 동영상 실행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동영상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가 상기 원격 접속 서버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접속 서버에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접속 서버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NECTION}
본 발명은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접속 또는 그 원격 접속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상화 기법이 발전과 더불어 서버에서 물리적 서버의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단말기에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즉, 가상화 서버는 복수 개의 OS(Operating System)가 가상화 기법에 따라 구동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그 중 어느 하나의 가상화 OS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상화 서버 역시 일종의 원격 접속 서버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상화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서버의 종래의 동작 방식을 살펴보면, 접속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 후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원격 접속 서버로부터 수신된 화면 캡처 이미지를 표시하게 된다.
이는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 재생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사용자가 원격 접속 서버 상에서 특정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경우 원격 접속 서버는 기 구비된 동영상 플레이어를 실행시켜 해당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시키고, 매 순간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원격 접속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화면 캡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는 원격 접속 서버로부터 동영상 콘텐츠 재생에 따른 매 순간의 화면 캡처 이미지가 계속 표시되므로 실제 동영상이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동영상 처리가 원격 접속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서버 부하를 유발시킬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접속 서버가 가상화 서버인 경우 접속하는 사용자마다 별도의 가상화 OS가 생성되는데, 그 각각의 가상화 OS에서 동영상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 서버 부하가 급등하게 되고, 결국 동영상 재생 자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43712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격 접속을 처리하는 서버에서의 부하 급증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낮추기 위한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접속 시스템은, 원격 접속 서버에 접속한 후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접속 서버로부터 화면 캡처 이미지가 수신되면 해당 화면 캡처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원격 접속 서버로부터 소정의 동영상 주소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동영상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접속 서버에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원격 접속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원격 접속 단말기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현재의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 신호가 동영상 실행 요청 신호인 경우에는 그 동영상 실행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동영상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한 후,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는 원격 접속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접속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원격 화면을 제공하는 원격 접속 서버는,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제1 그룹 요청 신호인 경우 그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 후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새로 생성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 처리부와;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제2 그룹 요청 신호인 경우 그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콘텐츠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 주소에 기초한 콘텐츠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2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접속 단말기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원격 화면을 제공하는 원격 접속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가 상기 원격 접속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접속 서버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현재의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가 상기 원격 접속 서버로부터 수신된 화면 캡처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상기 원격 접속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접속 서버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 신호가 동영상 실행 요청 신호인 경우에는 그 동영상 실행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동영상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가 상기 원격 접속 서버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접속 서버에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접속 서버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접속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원격 화면을 제공하는 원격 접속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제1 그룹 요청 신호인 경우 그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 후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새로 생성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제2 그룹 요청 신호인 경우 그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콘텐츠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 주소에 기초한 콘텐츠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접속 서버에서 원격 접속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즉, 사용자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그 판별 결과에 따라 화면 표시를 위한 동작이 구별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원격 접속 서버에서의 부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이 요청된 경우 원격 접속 서버가 해당 동영상을 직접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스트리밍 방식으로 동영상 데이터는 제공함으로써 원격 접속 서버의 부하 급등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원격 접속 단말기에서의 동영상 재생 표시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접속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격 접속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접속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접속 서버(100)를 포함하는 전체 원격 접속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접속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접속 단말기(200)와 원격 접속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격 접속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격 접속 서버(100)에 접속하여 소정의 기능 수행을 요청한 후 그 결과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댁내에 구비된 컴퓨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격 접속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원격 접속 서버(100)에 접속한 후, 원격 접속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마치 단말기 상에서 이용하는 것과 같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원격 접속 단말기(200)는 원격 접속 서버(100)에 접속한 후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송하고, 원격 접속 서버(100)로부터 화면 캡처 이미지가 수신되면 해당 화면 캡처 이미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원격 접속 단말기(200)는 원격 접속 서버(100)로부터 소정의 동영상 주소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동영상 주소를 이용하여 원격 접속 서버(100)에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러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원격 접속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비디오 플레이어(동영상 재생 플레이어)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원격 접속 서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게 원격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접속된 원격 접속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원격 접속 서버(100)는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원격 접속 단말기(200)가 접속할 때마다 별도의 가상 OS(Operating System)를 구동하여 원격 접속 단말기(200)마다 별도의 OS 환경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접속 서버(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접속 서버(100)는 수신부(110), 판별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40)는 원격 접속 서버(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원격 접속 서버(100)의 동작 중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수신부(110)는 원격 접속 단말기(200)로부터 각종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원격 접속 요청 신호는 물론이고, 원격 접속이 이루어진 후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판별부(120)는 수신부(110)에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에는 제1 그룹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와 제2 그룹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판별부(12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포함된 정보와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1 그룹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와 제2 그룹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가 어떠한 요청 신호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제1 그룹 요청 신호와 제2 그룹 요청 신호로 구분하고 있지만 그 종류는 더 많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30)는 원격 접속 단말기(200)의 각종 요청을 처리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원격 접속 단말기(200)의 접속 요청에 따라 로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함은 물론, 로그인이 이루어진 후 원격 접속 단말기(200)의 각종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한 판별부(120)의 판별 결과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제1 처리부(131)와 제2 처리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판별부(120)의 판별 결과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제1 그룹 요청 신호인 경우 제1 처리부(131)에 의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판별부(120)의 판별 결과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제2 그룹 요청 신호인 경우 제2 처리부(132)에 의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처리부(131)와 제2 처리부(132)에 대한 구체적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처리부(131)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 후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새로 생성하여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원격 접속 단말기(2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사용자가 원격 접속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원격 접속 서버(100)에 원격 접속한 경우 제1 처리부(131)는 기 설정된 기본 화면(현재의 기본 화면)에 대한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하여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원격 접속된 상태에서 원격 접속 단말기(200) 사용자가 자신의 원격 접속 단말기(200)상에서 터치 드래그를 하는 경우 제1 처리부(131)는 그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터치 드래그 과정 중의 매 순간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하여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격 접속 단말기(200) 사용자는 원격 접속 서버(100)에 원격 접속한 이후 원격 접속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가상 OS 환경에서 마치 자신의 단말기를 조작하듯이 동일한 터치 드래그 조작을 할 수 있고, 그러한 터치 드래그에 따른 변경 화면 역시 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 처리부(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제2 그룹 요청 신호인 경우에 동작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콘텐츠 주소를 추출하여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원격 접속 단말기(200)로부터 콘텐츠 주소에 기초한 콘텐츠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여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그룹 요청 신호는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 요청 신호 또는 애플리케이션 요청 신호 등과 같이 기능 수행을 위해 원격 접속 서버(100)의 물리적 자원(메모리 또는 cpu 등)을 상대적으로 많이 소비하는 것들에 대한 실행 요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 접속 서버(100)에 접속한 이후, 원격 접속 서버(100)에 포함된 특정 동영상 파일에 대한 더블클릭 또는 실행 터치를 한 경우 제어부(130)는 이를 제2 그룹 요청 신호라고 판단하고 제2 처리부(132)에 의한 상술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2 그룹 요청 신호는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재생을 요청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 신호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처럼 제2 그룹 요청 신호가 동영상 재생 요청 신호인 경우 제2 처리부(132)는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재생 요청을 받은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주소를 추출하여 전송함과 아울러 동영상 데이터 제공 서버를 실행하고, 원격 접속 단말기(200)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동영상 데이터 제공 서버에 의해 동영상 데이터를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데이터 제공 서버는 예를 들어 스트리밍 서버일 수 있고, 동영상 데이터의 전송은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등과 같은 동영상 제공 프로토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2 처리부(132)에 사용자 입력 신호가 로컬 요청 신호인 경우 요청받은 동영상을 직접 재생하는 비디오 플레이어(즉, 동영상 재생 플레이어)가 구비된 경우, 제2 처리부(132)는 동영상 재생 요청 신호에 따라 비디오 플레이어를 실행한 후 해당 비디오 플레이어에 원격 접속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원격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비디오 플레이어는 그 전달받은 원격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동영상 주소를 추출하여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하게 된다. 이후 원격 접속 단말기(200)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비디오 플레이어는 해당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하게 된다.
즉, 비디오 플레이어의 입장에서 설명하면, 비디오 플레이어는 원격 접속 서버(100)에 직접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키보드, 마우스 등)에 의해 동영상 재생이 요청된 경우 즉, 사용자 입력 신호가 로컬 요청 신호인 경우에는 그 요청받은 동영상을 직접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만일 동영상 재생 요청이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접속이 이루어진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의해 수신된 경우에는 그 요청받은 동영상을 직접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동영상 주소를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원격 접속 단말기(200)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격 접속 서버(100)를 포함하는 전체 원격 접속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은 원격 접속 단말기(200)가 원격 접속 서버(100)에 최초 원격 접속을 할 때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다.
원격 접속 단말기(200)가 원격 접속 서버(100)에 원격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원격 접속 서버(100)는 원격 접속 로그인 페이지를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원격 접속 단말기(200)는 원격 접속 로그인 페이지를 표시한 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원격 접속 서버(100)에 전송한다.
원격 접속 서버(100)는 원격 접속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한다.
반면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원격 접속 서버(100)는 별도의 동작 환경을 구축한 후 그 동작 환경의 기본 화면에 대한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한 후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원격 접속 단말기(200)는 원격 접속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화면 캡처 이미지를 표시하여 원격 접속이 이루어졌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이처럼 정상적으로 원격 접속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의 각종 요청이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원격 접속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요청(예를 들어 터치 요청, 키보드 입력 요청 등)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원격 접속 서버(100)에 전송한다.
원격 접속 서버(100)는 원격 접속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판별하는데, 만일 사용자 입력 신호가 동영상 재생 요청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 요청을 처리한 후,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한 후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다른 예로써, 사용자 입력 신호가 동영상 재생 요청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 원격 접속 서버(100)는 스트리밍 서버를 구동시키고, 동영상 재생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동영상 주소를 추출한 후,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원격 접속 단말기(200)는 원격 접속 서버(100)로부터 동영상 주소가 수신된 경우 기 구비된 비디오 플레이어를 구동시킨 후, 동영상 주소를 이용하여 원격 접속 서버(100)에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원격 접속 서버(100)(앞서 구동된 스트리밍 서버)는 원격 접속 단말기(200)의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한 후 원격 접속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원격 접속 단말기(200)의 비디오 플레이어는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접속 서버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원격 접속 서버 200 : 원격 접속 단말기
110 : 수신부 120 : 판별부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131 : 제1 처리부 132 : 제2 처리부

Claims (10)

  1. 원격 접속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원격 화면을 제공하는 원격 접속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접속이 있는 경우, 현재의 화면에 대한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성된 화면 캡처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콘텐츠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출된 콘텐츠 주소에 기초한 콘텐츠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서버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변경 화면에 대한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 화면에 대한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서버의 제어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제1 그룹 요청 신호인 경우,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여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새로 생성하고, 상기 새로 생성된 화면 캡쳐 이미지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서버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동영상에 대한 재생 요청 신호인 경우, 상기 동영상에 대한 주소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소에 기반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서버의 제어방법.
  6. 원격 접속 서버에 있어서,
    원격 접속 단말기의 접속이 있는 경우, 현재의 화면에 대한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성된 화면 캡처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 결과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콘텐츠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출된 콘텐츠 주소에 기초한 콘텐츠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에 스트리밍하는 원격 접속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변경 화면에 대한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변경 화면에 대한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 전송하는 원격 접속 서버.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제1 그룹 요청 신호인 경우,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여 화면 캡처 이미지를 새로 생성하고, 상기 새로 생성된 화면 캡쳐 이미지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 전송하는 원격 접속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동영상에 대한 재생 요청 신호인 경우, 상기 동영상에 대한 주소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소에 기반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기로 전송하는 원격 접속 서버.
KR1020200184126A 2018-11-15 2020-12-28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369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126A KR102369525B1 (ko) 2018-11-15 2020-12-28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23429A KR102399661B1 (ko) 2020-12-28 2022-02-23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73A KR102204223B1 (ko) 2018-11-15 2018-11-15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0200184126A KR102369525B1 (ko) 2018-11-15 2020-12-28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73A Division KR102204223B1 (ko) 2018-11-15 2018-11-15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429A Division KR102399661B1 (ko) 2020-12-28 2022-02-23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18A KR20210002418A (ko) 2021-01-08
KR102369525B1 true KR102369525B1 (ko) 2022-03-02

Family

ID=8081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126A KR102369525B1 (ko) 2018-11-15 2020-12-28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5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4248B2 (en) * 2005-07-26 2011-12-06 Activevideo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content associated with a source image to a televi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437122B1 (ko) 2008-12-03 2014-09-02 삼성전자 주식회사 Os 가상화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133096A (ko) * 2013-05-09 2014-11-19 박현영 가상화 웹 iptv 및 이를 이용한 동영상 스트리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18A (ko)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3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to non-native application environments
US9451043B2 (en) Remote virtualization of mobile apps
JP2020103941A (ja) クラウドゲーミングに関するゲームステートセーブ、転送および再開
US20150082239A1 (en) Remote Virtualization of Mobile Apps with Transformed Ad Target Preview
US20130318154A1 (en) Api platform that includes server-executed client-based code
CN104602102B (zh) 视频截取内容的传输响应方法、装置、服务器和系统
US20120297429A1 (en) Emulating Television Viewing Experience In A Browser
WO2021057448A1 (zh) 信息显示方法和装置
US10841156B2 (en) Mobile application for monitoring and configuring second device
US11962853B2 (en) Computing device upgrading system over a wireless network
US20240089538A1 (en) Port-connected television upgrader device
US201700173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on between touch points on a graphical display
US100736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pplication
US10156955B2 (en) Method and server for storing, encoding and uploading video or object captured from a webpage using a toolbar
US9313255B2 (en) Directing a playback device to play a media item selected by a controller from a media server
US11838589B2 (en) Port-connected television upgrader device
EP3593472A1 (en) Post-engagement metadata generation
CN113556568B (zh) 一种云应用程序运行方法、系统、装置与存储介质
KR10153128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369525B1 (ko)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399661B1 (ko)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04223B1 (ko)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427882B1 (ko) 온라인 인터랙션을 위한 실시간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201021B1 (ko) 동영상 콘텐츠의 미리보기 동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WO2023230797A1 (zh) 一种跨系统测试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