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916B1 - amorphous ally - Google Patents

amorphous al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916B1
KR102367916B1 KR1020140069730A KR20140069730A KR102367916B1 KR 102367916 B1 KR102367916 B1 KR 102367916B1 KR 1020140069730 A KR1020140069730 A KR 1020140069730A KR 20140069730 A KR20140069730 A KR 20140069730A KR 102367916 B1 KR102367916 B1 KR 102367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rphous alloy
content
ratio
range
cob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41102A (en
Inventor
박진만
김기범
김정태
박은수
홍석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916B1/en
Publication of KR2015014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1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9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5/00Amorphous alloys
    • C22C45/008Amorphous alloys with Fe, Co or Ni as the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0/00Crystalline structure
    • C22C2200/02Amorphou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자성 특성이 억제된 고강성을 가지는 코발트계 비정질 합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정질 합금은 코발트(Co), 철(Fe),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탄소(C) 및 붕소(B) 를 포함하고,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 함량의 합은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2 내지 50 at% 범위를 가진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balt-based amorphous alloy having high rigidity with suppressed magnetic properties.
The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cobalt (Co), iron (Fe), nickel (Ni), chromium (Cr), molybdenum (Mo), carbon (C) and boron (B), and cobalt (Co) , the sum of the iron (Fe) and nickel (Ni) content has a range of 12 to 50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Description

비정질 합금 { amorphous ally }amorphous alloy { amorphous ally }

개시된 발명은 비정질 합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 코발트(Co) 함유 비정질 합금에 관한 발명이다.  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n amorphous allo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morphous alloy containing cobalt (Co).

비정질 합금(amorphous alloy)은 결정질 합금(crystalline alloy)과 달리 비주기적 원자 배열 구조를 가지는 금속 소재로, 결정질 합금에 비해 고강도,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An amorphous alloy is a metal material having a non-periodic atomic arrangement structure, unlike a crystalline alloy, and has superior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strength, corrosion resistance, and wear resistance compared to crystalline alloys.

비정질 합금은 급속 응고법(rapidly solidification process) 또는 합금 설계(alloying design)를 통해 결정화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amorphous alloy may be manufactured by a method of inhibiting crystallization through a rapidly solidification process or an alloying design.

일반적으로, 비정질 합금 제조를 위한 합금 설계는 구성 원자 상호간의 결합력이 크고 원자반경 차이가 큰 다성분계 공정(eutectic) 합금 시스템으로부터 시작되며, 주요 원소가 최소 40 at% 이상인 합금계에서 다른 원소들을 추가해가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In general, alloy design for the manufacture of amorphous alloys starts with a multi-component eutectic alloy system with a large bonding force between constituent atoms and a large atomic radius difference, and other elements are added in the alloy system with at least 40 at% of the main element. The way I went was the main thing.

이러한 방법은 극히 제한된 조성 범위에서 비정질이 형성되므로 조성 영역의 한계를 벗어나기 힘들고, 코발트(Co) 등과 같이 가격이 비교적 비싼 원소 또는 귀금속류, 희토류 등을 기본으로 하는 비정질 합금 개발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Since this method forms amorphous material in an extremely limited composition range, it is difficult to escape the limit of the composition range, and the cost of developing an amorphous alloy based on a relatively expensive element such as cobalt (Co) or precious metals and rare earths has been a cause of increase. .

특히, 철(Fe)을 함유한 비정질 합금의 경우 고유의 자성 특성으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짐에도 전자 부품 등의 적용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amorphous alloy containing iron (Fe), although it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intrinsic magnetic properties, there is a limit in the applic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like.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성 특성이 억제된 고강성을 가지는 코발트계 비정질 합금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disclosed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cobalt-based amorphous alloy having high rigidity with suppressed magnetic propertie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정질 합금은, 코발트(Co), 철(Fe),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탄소(C) 및 붕소(B) 원소를 포함하고, 상기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 원소 함량의 합은,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2 내지 50 at% 범위를 가진다.Amorphous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balt (Co), iron (Fe), nickel (Ni), chromium (Cr), molybdenum (Mo), carbon (C) and boron (B) Including the element, the sum of the cobalt (Co), iron (Fe) and nickel (Ni) element content has a range of 12 to 50 at% compared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또한, 코발트(Co)는,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6 내지 25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cobalt (Co)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6 to 25 at% with respect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또한, 코발트(Co), 철(Fe),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탄소(C) 및 붕소(B) 원소는, 각각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25 at% 이하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cobalt (Co), iron (Fe), nickel (Ni), chromium (Cr), molybdenum (Mo), carbon (C) and boron (B) elements, respectively, 25 at% of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It may have the following content.

또한, 코발트(Co), 철(Fe),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탄소(C) 및 붕소(B) 원소는, 각각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5 내지 25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cobalt (Co), iron (Fe), nickel (Ni), chromium (Cr), molybdenum (Mo), carbon (C) and boron (B) elements, respectively, 5 to 25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It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at% range.

또한, 3000 Mpa 이상의 파괴 강도(fracture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have a fracture strength of 3000 Mpa or more.

또한, 150 Gpa 이상의 영 계수(Young's modulus)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have a Young's modulus of 150 Gpa or more.

또한,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Co, Fe, Ni)50(Cr,Mo)x(C,B)50-x (Co, Fe, Ni) 50 (Cr,Mo) x (C,B) 50-x

여기서, x는 20 내지 40 범위 내의 원자 퍼센트인 것으로 한다.Here, x is assumed to be an atomic percent within the range of 20 to 40.

또한,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은, 각각 1:1:1, 2:1:1, 2:2:1, 3:2:1 및 3:3:1 중 적어도 하나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cobalt (Co), iron (Fe), and nickel (Ni) are at least 1:1:1, 2:1:1, 2:2:1, 3:2:1 and 3:3:1, respectively. It can have only one ratio.

또한, 크롬(Cr) 및 몰리브덴(Mo)은 1:1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chromium (Cr) and molybdenum (Mo) may have a ratio of 1:1.

또한, 탄소(C) 및 붕소(B)는 1:1의 비율을 가지질 수 있다.In addition, carbon (C) and boron (B) may have a ratio of 1:1.

또한, 철(Fe)은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2 내지 22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ron (Fe)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2 to 22 at% based on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또한, 니켈(Ni)은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2 내지 22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nickel (Ni)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2 to 22 at% based on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또한, 크롬(Cr)은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0 내지 20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chromium (Cr)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0 to 20 at% based on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또한, 몰리브덴(Mo)은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0 내지 20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molybdenum (Mo)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0 to 20 at% based on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또한, 탄소(C)는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5 내지 15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carbon (C)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5 to 15 at% with respect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또한, 붕소(B)는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5 내지 15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boron (B)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5 to 15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정질 합금은 리본 형태(ribbon shaped)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ribbon shape (ribbon shap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비정질 합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morphous allo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비정질 고유의 물성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강도 및 강성을 구현할 수 있다. Firs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excellent strength and rigidity while maintaining the intrinsic physical properties of the amorphous.

또한, 자성 특성이 억제된 비정질 합금을 제공해 전자 부품의 재료로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n amorphous alloy with suppressed magnetic properties, it can be applied as a material for electronic component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발트계 비정질 합금의 항복 강도(Yield strength) 및 영 계수(Young's modulus)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Co, Fe, Ni) 그룹과, (Cr, Mo) 그룹과, (C, B) 그룹의 함량 조절 예를 도시한 삼각그래프이다.
도 3a 내지 3f는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합금 시료의 표면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 따른 합금 시료의 표면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X-선 회절 피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 1에 따른 X-선 회절 피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DSC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yield strength and a Young's modulus of a cobalt-based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triangular graph show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content of a (Co, Fe, Ni) group, a (Cr, Mo) group, and a (C, B) group.
3A to 3F are views showing the surface morphology of alloy samples according to Examples 1 to 6;
4 is a view showing the surface shape of the alloy sampl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5A to 5F are views showing X-ray diffraction peaks according to Examples 1 to 6;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X-ray diffraction peak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Referring to FIG.
7A to 7F are diagrams showing DSC curves according to Examples 1 to 6;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preferred examples of the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an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정질 합금은, 코발트(Co), 철(Fe),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탄소(C) 및 붕소(B) 를 포함한다.The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cobalt (Co), iron (Fe), nickel (Ni), chromium (Cr), molybdenum (Mo), carbon (C), and boron (B).

각각의 원소는,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25 at% 이하의 함량을 가질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5 내지 25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Each element may have a content of 25 at% or less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and more specifically,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5 to 25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또한,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 함량의 합은,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2 내지 50 at% 범위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um of the content of cobalt (Co), iron (Fe) and nickel (Ni) may have a range of 12 to 50 at% based on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코발트(Co)는,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6 내지 25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정질 합금은, 코발트(Co)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낮게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Cobalt (Co)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6 to 25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The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by containing a relatively low proportion of cobalt (Co).

또한, 자성 특성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전자 재료에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magnetic properties can be suppressed, and it can be applied to electronic materials.

또한, 코발트(Co) 이외에 포함되는 합금 재료의 비율을 조절해 강도 및 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정질 합금 재료는 다음과 같은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strength and rigidity can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alloy materials included in addition to cobalt (Co). The amorphous alloy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ncluded in the following ratio.

철(Fe)은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2 내지 22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고, 니켈(Ni)은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2 내지 22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고, 크롬(Cr)은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0 내지 20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고, 몰리브덴(Mo)은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0 내지 20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고, 탄소(C)는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5 내지 15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고, 붕소(B)는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5 내지 15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각 원소의 함량의 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ron (Fe)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2 to 22 at% with respect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and nickel (Ni)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2 to 22 at% with respect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Chromium (Cr)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0 to 20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and molybdenum (Mo)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0 to 20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Carbon (C)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5 to 15 at% with respect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and boron (B) may have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5 to 15 at% with respect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Examples of the content of each element should be broadly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changes within a range easily conceiv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정질 합금은 이하의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The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Co, Fe, Ni)50(Cr,Mo)x(C,B)50-x (Co, Fe, Ni) 50 (Cr,Mo) x (C,B) 50-x

여기서, x는 20 내지 40 범위 내의 원자 퍼센트인 것으로 한다.Here, x is assumed to be an atomic percent within the range of 20 to 40.

또한, 50, x, 및 50-x는 각각 첨가원소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을 포함하는 군, 첨가원소 크롬(Cr) 및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군, 첨가원소 탄소(C) 및 붕소(B)를 포함하는 군의 원자%를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50, x, and 50-x each represent a group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cobalt (Co), iron (Fe) and nickel (Ni), a group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chromium (Cr) and molybdenum (Mo), and addition It may mean atomic% of a group containing the elements carbon (C) and boron (B).

50은 첨가원소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을 포함하는 군에서 한가지 이상을 동시에 첨가했을 때 원자%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x는 첨가원소 크롬(Cr) 및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군에서 한가지 이상을 동시에 첨가했을 때 원자%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50-x는 첨가원소 탄소(C) 및 붕소(B)를 포함하는 군에서 한가지 이상을 동시에 첨가했을 때 원자%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50 may include the meaning of atomic percent when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elements cobalt (Co), iron (Fe) and nickel (Ni) is added simultaneously from the group, and x is the additional elements chromium (Cr) and molybdenum (Mo) may include the meaning of atomic percent when one or more is simultaneously added from the group containing (Mo), and 50-x is added at the same time from the group containing the additional elements carbon (C) and boron (B)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atomic percent when

[화학식 1]에서는,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 함량의 합이 50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 함량의 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 함량의 합은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7 내지 50 at%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크롬(Cr)과 몰리브덴(Mo)과 탄소(C)와 붕소(B) 원소의 함량이 조절될 수 있다. In [Formula 1], the case where the sum of cobalt (Co), iron (Fe) and nickel (Ni) contents is 50 is taken as an example, but the sum of cobalt (Co), iron (Fe) and nickel (Ni) contents i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m of the content of cobalt (Co), iron (Fe) and nickel (Ni) may have a range of 7 to 50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and accordingly, chromium (Cr) and molybdenum The content of (Mo) and carbon (C) and boron (B) elements can be adjusted.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의 비율을 조절해 비정질 고유의 물성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강도 및 강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정질 합금의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 원소의 비율은 각각 1:1:1, 2:1:1, 2:2:1, 3:2:1 및 3:3:1 중 적어도 하나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By controlling the ratio of cobalt (Co), iron (Fe), and nickel (Ni), excellent strength and rigidity can be implemented while maintaining the intrinsic properties of amorphous material, and cobalt (Co), iron ( The ratio of Fe) and nickel (Ni) elements is adjusted to be included in at least one of 1:1:1, 2:1:1, 2:2:1, 3:2:1, and 3:3:1, respectively. can be

또한, 크롬(Cr) 및 몰리브덴(Mo)은 각각 1:1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탄소(C) 및 붕소(B)는 각각 1:1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chromium (Cr) and molybdenum (Mo) may be adjusted to be included in a ratio of 1:1, respectively. In addition, carbon (C) and boron (B) may be adjusted to be included in a ratio of 1:1, respectively.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른 비정질 금속은, 자기적 특성이 억제된 고강성을 가지는 비정질 금속일 수 있다. 즉, 코발트(Co)의 함량을 조절해 자기적 특성을 억제시키고, 다른 금속의 함량을 조절하여 비정질 고유의 물성인 인장 강도, 내마모성 등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강도 및 강성을 구현할 수 있다. The amorphous meta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an amorphous metal having high rigidity in which magnetic properties are suppressed. That is,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cobalt (Co), magnetic properties are suppressed, and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other metals, excellent strength and rigidity can be realized while maintaining the intrinsic properties of amorphous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발트계 비정질 합금의 항복 강도(Yield strength) 및 영 계수(Young's modulus)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yield strength and Young's modulus of a cobalt-based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발트계 비정질 합금은 3000 Mpa 이상의 항복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150 Gpa 이상의 영 계수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cobalt-based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yield strength of 3000 Mpa or more, and may have a Young's modulus of 150 Gpa or more.

반면,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알루미늄계 비정질 합금, 지르코늄계 비정질 합금, 티타늄계 비정질 합금 및 구리계 비정질 합금은 각각 3000 Mpa 이하의 항복 강도를 가지며, 150 Gpa 이하의 영 계수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발트계 비정질 합금은 우수한 강도 및 강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sium-based amorphous alloy, the aluminum-based amorphous alloy, the zirconium-based amorphous alloy, the titanium-based amorphous alloy, and the copper-based amorphous alloy each have a yield strength of 3000 Mpa or les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y have a Young's modulus of 150 Gpa or less. That 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balt-based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implement excellent strength and rigidity.

이하, 이해를 돕기 위해 개시된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better understanding.

비정질 합금의 물성 측정을 위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의 조성 비를 가지는 합금 시료를 제조하였다.For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morphous alloy, alloy samples having composition ratios of [Example 1] to [Example 6]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prepared.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1]에 따른 비정질 합금은 (Co2Fe1Ni1)50(CrMo)30(CB)20 의 화학식을 가진다. 즉, (Co, Fe, Ni) 그룹과, (Cr, Mo) 그룹과, (C, B) 그룹은 각각 50:30:20 의 비율을 가지고, 각각의 원소는 Co:Fe:Ni가 2:1:1의 비율을 가지고, Cr:Mo가 1:1의 비율을 가지고, C:B가 1:1의 비율을 가지도록 포함된다. The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Example 1] has a chemical formula of (Co 2 Fe 1 Ni 1 )50(CrMo) 30 (CB) 20 . That is, the (Co, Fe, Ni) group, the (Cr, Mo) group, and the (C, B) group each have a ratio of 50:30:20, and each element has a Co:Fe:Ni ratio of 2: It has a ratio of 1:1, Cr:Mo has a ratio of 1:1, and C:B has a ratio of 1: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2]에 따른 비정질 합금은 (Co2Fe2Ni1)50(CrMo)30(CB)20 의 화학식을 가진다. 즉, (Co, Fe, Ni) 그룹과, (Cr, Mo) 그룹과, (C, B) 그룹은 각각 50:30:20 의 비율을 가지고, 각각의 원소는 Co:Fe:Ni가 2:2:1의 비율을 가지고, Cr:Mo가 1:1의 비율을 가지고, C:B가 1:1의 비율을 가지도록 포함된다. The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Example 2] has a chemical formula of (Co 2 Fe 2 Ni 1 ) 50 (CrMo) 30 (CB) 20 . That is, the (Co, Fe, Ni) group, the (Cr, Mo) group, and the (C, B) group each have a ratio of 50:30:20, and each element has a Co:Fe:Ni ratio of 2: It has a ratio of 2:1, Cr:Mo has a ratio of 1:1, and C:B has a ratio of 1:1.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3]에 따른 비정질 합금은 (Co3Fe2Ni1)50(CrMo)30(CB)20 의 화학식을 가진다. 즉, (Co, Fe, Ni) 그룹과, (Cr, Mo) 그룹과, (C, B) 그룹은 각각 50:30:20 의 비율을 가지고, 각각의 원소는 Co:Fe:Ni가 3:2:1의 비율을 가지고, Cr:Mo가 1:1의 비율을 가지고, C:B가 1:1의 비율을 가지도록 포함된다.The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Example 3] has a chemical formula of (Co 3 Fe 2 Ni 1 ) 50 (CrMo) 30 (CB) 20 . That is, the (Co, Fe, Ni) group, the (Cr, Mo) group, and the (C, B) group each have a ratio of 50:30:20, and each element has a Co:Fe:Ni ratio of 3: It has a ratio of 2:1, Cr:Mo has a ratio of 1:1, and C:B has a ratio of 1:1.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4]에 따른 비정질 합금은 (Co2Fe1Ni1)50(CrMo)25(CB)25 의 화학식을 가진다. 즉, (Co, Fe, Ni) 그룹과, (Cr, Mo) 그룹과, (C, B) 그룹은 각각 50:25:25 의 비율을 가지고, 각각의 원소는 Co:Fe:Ni가 2:1:1의 비율을 가지고, Cr:Mo가 1:1의 비율을 가지고, C:B가 1:1의 비율을 가지도록 포함된다. The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Example 4] has a chemical formula of (Co 2 Fe 1 Ni 1 ) 50 (CrMo) 25 (CB) 25 . That is, the (Co, Fe, Ni) group, the (Cr, Mo) group, and the (C, B) group each have a ratio of 50:25:25, and each element has a Co:Fe:Ni ratio of 2: It has a ratio of 1:1, Cr:Mo has a ratio of 1:1, and C:B has a ratio of 1:1.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5]에 따른 비정질 합금은 (Co2Fe2Ni1)50(CrMo)25(CB)25 의 화학식을 가진다. 즉, (Co, Fe, Ni) 그룹과, (Cr, Mo) 그룹과, (C, B) 그룹은 각각 50:25:25 의 비율을 가지고, 각각의 원소는 Co:Fe:Ni가 2:2:1의 비율을 가지고, Cr:Mo가 1:1의 비율을 가지고, C:B가 1:1의 비율을 가지도록 포함된다.The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Example 5] has a chemical formula of (Co 2 Fe 2 Ni 1 ) 50 (CrMo) 25 (CB) 25 . That is, the (Co, Fe, Ni) group, the (Cr, Mo) group, and the (C, B) group each have a ratio of 50:25:25, and each element has a Co:Fe:Ni ratio of 2: It has a ratio of 2:1, Cr:Mo has a ratio of 1:1, and C:B has a ratio of 1:1.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6]에 따른 비정질 합금은 (Co3Fe2Ni1)50(CrMo)25(CB)25 의 화학식을 가진다. 즉, (Co, Fe, Ni) 그룹과, (Cr, Mo) 그룹과, (C, B) 그룹은 각각 50:25:25 의 비율을 가지고, 각각의 원소는 Co:Fe:Ni가 3:2:1의 비율을 가지고, Cr:Mo가 1:1의 비율을 가지고, C:B가 1:1의 비율을 가지도록 포함된다.The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Example 6] has a chemical formula of (Co 3 Fe 2 Ni 1 ) 50 (CrMo) 25 (CB) 25 . That is, the (Co, Fe, Ni) group, the (Cr, Mo) group, and the (C, B) group each have a ratio of 50:25:25, and each element has a Co:Fe:Ni ratio of 3: It has a ratio of 2:1, Cr:Mo has a ratio of 1:1, and C:B has a ratio of 1: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1]에 따른 합금은 (Co2Fe2Ni)50(CrMo)10(CB)40 의 화학식을 가진다. 즉, (Co, Fe, Ni) 그룹과, (Cr, Mo) 그룹과, (C, B) 그룹은 각각 50:10:40 의 비율을 가지고, 각각의 원소는 Co:Fe:Ni가 2:2:1의 비율을 가지고, Cr:Mo가 1:1의 비율을 가지고, C:B가 1:1의 비율을 가지도록 포함된다.The alloy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has a chemical formula of (Co 2 Fe 2 Ni) 50 (CrMo) 10 (CB) 40 . That is, the (Co, Fe, Ni) group, the (Cr, Mo) group, and the (C, B) group each have a ratio of 50:10:40, and each element has a Co:Fe:Ni ratio of 2: It has a ratio of 2:1, Cr:Mo has a ratio of 1:1, and C:B has a ratio of 1:1.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의 조성비를 정리하면 이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composition ratios of [Example 1] to [Example 6] and [Comparative Example 1] can be summarized as shown in Table 1 below.

원소element 코발트
(at%)
cobalt
(at%)

(at%)
steel
(at%)
니켈
(at%)
nickel
(at%)
크롬
(at%)
chrome
(at%)
몰리브덴
(at%)
molybdenum
(at%)
탄소
(at%)
carbon
(at%)
붕소
(at%)
boron
(at%)



함량





content


실시예 1Example 1 2525 12.512.5 12.512.5 1515 1515 1010 1010
실시예 2Example 2 2020 2020 1010 1515 1515 1010 1010 실시예 3Example 3 2525 16.6666716.66667 8.3333338.333333 1515 1515 1010 1010 실시예 4Example 4 2525 12.512.5 12.512.5 12.512.5 12.512.5 12.512.5 12.512.5 실시예 5Example 5 2020 2020 1010 12.512.5 12.512.5 12.512.5 12.512.5 실시예 6Example 6 2525 16.6666716.66667 8.3333338.333333 12.512.5 12.512.5 12.512.5 12.512.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020 2020 1010 55 55 2020 2020

[표 1]은 각 실시 예에 대해 전체 비정질 합금 대비 코발트(Co), 철(Fe),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탄소(C), 붕소(B)의 at %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Table 1] shows the at of cobalt (Co), iron (Fe), nickel (Ni), chromium (Cr), molybdenum (Mo), carbon (C), and boron (B) compared to the total amorphous alloy for each example %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표 1]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는 (Co, Fe, Ni) 그룹 대 (Cr, Mo) 그룹 대 (C, B) 그룹의 원소함량을 각각 50 대 30 대 20 비율로 조절한 예이고,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는 (Co, Fe, Ni) 그룹 대 (Cr, Mo) 그룹 대 (C, B) 그룹의 함량을 각각 50 대 25 대 25 비율로 조절한 예이다. [Example 1] to [Example 3] of [Table 1] show the element content of the (Co, Fe, Ni) group versus the (Cr, Mo) group versus the (C, B) group in a 50:30:20 ratio, respectively. is an example adjusted to, [Example 4] to [Example 6] are (Co, Fe, Ni) group to (Cr, Mo) group to (C, B) the content of the group 50: 25: 25 ratio, respectively This is an example of adjustment with

도 2는 (Co, Fe, Ni) 그룹과, (Cr, Mo) 그룹과, (C, B) 그룹의 함량 조절 예를 도시한 삼각그래프이다. 2 is a triangular graph show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content of a (Co, Fe, Ni) group, a (Cr, Mo) group, and a (C, B) group.

도 2를 참조하면, P1은 (Co, Fe, Ni)50(Cr, Mo)30(C, B)20 의 조성비를 가지는 비정질 합금으로, (Co, Fe, Ni) 그룹의 함량이 50, (Cr, Mo) 그룹의 함량이 30, (C, B) 그룹의 함량이 20을 가지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이 여기에 해당된다.2, P1 is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mposition ratio of (Co, Fe, Ni)50(Cr, Mo)30(C, B)20 , and the content of (Co, Fe, Ni) groups is 50, ( Cr, Mo) group content is 30, (C, B) group content is 20, and [Example 1] to [Example 3] correspond here.

P2는 (Co, Fe, Ni)50(Cr, Mo)25(C, B)25 의 조성비를 가지는 비정질 합금으로 (Co, Fe, Ni) 그룹의 함량이 50, (Cr, Mo) 그룹의 함량이 25, (C, B) 그룹의 함량이 25를 가지며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이 여기에 해당된다. P2 is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mposition ratio of (Co, Fe, Ni)50(Cr, Mo)25(C, B)25. The content of (Co, Fe, Ni) groups is 50, and the content of (Cr, Mo) groups is 50. The content of this 25, (C, B) group is 25, and [Example 4] to [Example 6] correspond to this.

P3는 (Co, Fe, Ni)50(Cr, Mo)10(C, B)40 의 조성비를 가지는 비정질 합금으로 (Co, Fe, Ni) 그룹의 함량이 50, (Cr, Mo) 그룹의 함량이 10, (C, B) 그룹의 함량이 40을 가지며 [비교예 1]이 여기에 해당된다. P3 is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mposition ratio of (Co, Fe, Ni) 50 (Cr, Mo) 10 (C, B) 40 , the content of the (Co, Fe, Ni) group is 50, the content of the (Cr, Mo) group The content of this 10, (C, B) group is 40, and [Comparative Example 1] corresponds to this.

다음으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의 조성을 가지는 시료의 분석 결과를 설명한다.Next, analysis results of samples having the compositions of [Example 1] to [Example 6] and [Comparative Example 1] will be described.

[실험예 1] : 시료의 표면 형태 분석[Experimental Example 1]: Analysis of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sample

시료의 표면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a 내지 3f, 및 4a에 각각 도시하였다. To confirm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sample, the sample was analyz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3A to 3F, and 4A, respectively.

도 3a 내지 3f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합금 시료의 표면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비교예 1]에 따른 합금 시료의 표면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3A to 3F are views showing the surface shape of the alloy samples according to [Example 1] to [Example 6],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urface shape of the alloy sampl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도 3a 내지 3f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합금 시료는 균일한 조성을 가지고 있으며 분자의 배열 상태가 주기적 규칙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교예 1]에 따른 합금 시료는 분자의 배열 상태가 규칙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to 3F , it can be seen that the alloy samples according to Examples 1 to 6 have a uniform composition, and the molecular arrangement lacks periodic regularity. Referring to FIG. 4 , in the alloy sampl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lecular arrangement has regularity.

즉,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합금 시료는 비정질 특성을 가지며 [비교예 1]에 따른 합금 시료는 결정질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lloy samples according to [Example 1] to [Example 6] have amorphous properties, and the alloy sampl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have crystalline properties.

[실험예 2] : 시료의 결정 구조 분석[Experimental Example 2]: Analysis of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sample

시료의 결정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X-선 회절장치(XRD)를 이용하여 결정 구조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 예에서는 Cu Ka 선을 2 theta 각도로 조사하여 시료의 결정 구조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5a 내지 5f, 및 도 6a에 도시하였다. To confirm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sample, the crystal structure was analyz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In this experimental example,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sample was analyzed by irradiating Cu Ka lines at an angle of 2 thet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5A to 5F and FIG. 6A .

X-선 회절법은 시료에 조사한 X-선이 결정의 종류나 구조에 의해 산란 X-선 강도나 회절 각도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결정 구조나 화합물의 구조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비정질 합금의 경우 특정 피크가 없이 완만한 형태를 가지는 그래프가 도출되고 결정질 합금의 경우 특정 피크를 가지는 그래프가 도출된다. X-ray diffraction method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rystal structure or compound structure by using the X-ray intensity or diffraction angle of the X-ray irradiated to the sample changes depending on the type or structure of the crystal. A graph having a smooth shape without a specific peak is derived, and in the case of a crystalline alloy, a graph having a specific peak is derived.

도 5a 내지 5c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X-선 회절 피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d 내지 5f는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X-선 회절 피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비교예 1]에 따른 X선 회절 피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5A to 5C are views showing X-ray diffraction peaks according to [Example 1] to [Example 3], and FIGS. 5D to 5F are X-rays according to [Example 4] to [Example 6]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ffraction peak,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X-ray diffraction peak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도 5a 내지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시료는 특정 피크가 없이 완만한 형태를 가지는 그래프가 도출되었으며 이에 비정질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따른 시료는 특정 피크를 가지는 형태의 그래프가 도출되었으며 이에 결정질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ures 5a to 5f, the samples according to [Example 1] to [Example 6] were derived a graph having a gentle shape without a specific peak,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n amorphous characteristic. As shown in FIG. 6 , a graph having a specific peak was derived for the sampl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a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it had crystalline properties.

[실험예3] : 비정질 합금 시료의 열 흐름(heat flow) 분석[Experimental Example 3]: Heat flow analysis of amorphous alloy samples

시료의 비정질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차주사 열량측정법(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으로 시료를 분석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e amorphous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the sample was analyz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도 7a 내지 도 7c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DSC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d 내지 도 7f는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DSC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7A to 7C are diagrams showing DSC curves according to [Example 1] to [Example 3], and FIGS. 7D to 7F show DSC curves according to [Example 4] to [Example 6] it is one drawing

도 7a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합금 시료의 DSC 곡선은 결정화 개시 온도(TX)에서 결정화에 기인하는 발열 피크를 가지며 과냉각 액상영역이 존재한다. 도 7b 내지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합금 시료의 DSC 곡선 역시 결정화 개시 온도(TX)에서 결정화에 기인하는 발열 피크를 가지며 과냉각 액상 영역이 존재한다.  Referring to FIG. 7A , the DSC curve of the alloy sample according to [Example 1] has an exothermic peak due to crystallization at the crystallization initiation temperature (T X ) and a supercooled liquid phase region exists. 7B to 7F, the DSC curves of the alloy samples according to [Example 2] to [Example 6] also have an exothermic peak due to crystallization at the crystallization initiation temperature (T X ), and the supercooled liquid phase region is exist.

일반적으로 비정질 금속의 DSC 곡선은 결정화 개시 온도(TX)에서 발열 피크를 가지며 비정질 특유의 과냉각 액상 영역이 존재하는 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합금 시료는 비정질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In general, the DSC curve of an amorphous metal has an exothermic peak at the crystallization initiation temperature (TX) and a supercooled liquid phase region peculiar to amorphous is present. The alloy samples according to Examples 1 to 6 have amorphous properties. can confirm.

[실험예 4] : 시료의 경도(hardness) 및 탄성 계수(elastic modulus) 분석[Experimental Example 4]: Analysis of hardness and elastic modulus of the sample

시료의 기계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나노 인덴테이션(nanoindentation) 방법으로 시료의 경도(hardness) 및 탄성 계수(elastic modulus)를 분석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the hardness and elastic modulus of the sample were analyzed by the nanoindentation method.

[표 2]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시료의 경도(hardness) 및 탄성 계수(elastic modulus)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Table 2] shows the analysis results of hardness (hardness) and elastic modulus (elastic modulus) of the samples according to [Example 1] to [Example 6].

  경도
(GPa)
Hardness
(GPa)
탄성 계수
(GPa)
modulus of elasticity
(GPa)
실시예 1Example 1 23.523.5 199.5199.5 실시예 2Example 2 15.7515.75 201.7201.7 실시예 3Example 3 16.6316.63 166.2166.2 실시예 4Example 4 17.217.2 207.5207.5 실시예 5Example 5 15.515.5 171.5171.5 실시예 6Example 6 17.417.4 244.4244.4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합금은 높은 경도 및 탄성 계수를 가짐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alloys according to [Example 1] to [Example 6] have high hardness and elastic modulus.

이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발트계 비정질 합금에 대해 설명하였다. 전술한 실시 예는 발명의 예시적 조성에 불과하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balt-based amorphous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and should be broadly understood as concepts including changes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7)

코발트(Co), 철(Fe),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탄소(C) 및 붕소(B)를 포함하고,
상기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 원소 함량의 합이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2 내지 50 at% 범위를 가지고,
상기 코발트(Co)는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25 at% 이하의 함량을 가지고,
철(Fe) 및 니켈(Ni)은 각각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22 at% 이하의 함량을 가지고,
크롬(Cr) 및 몰리브덴(Mo)은 각각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20 at% 이하의 함량을 가지고,
탄소(C) 및 붕소(B)는, 각각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5 at% 이하의 함량을 가지는 비정질 합금.
containing cobalt (Co), iron (Fe), nickel (Ni), chromium (Cr), molybdenum (Mo), carbon (C) and boron (B),
The sum of the cobalt (Co), iron (Fe) and nickel (Ni) elemental content has a range of 12 to 50 at% compared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The cobalt (Co) has a content of 25 at% or less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Iron (Fe) and nickel (Ni) each have a content of 22 at% or less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Chromium (Cr) and molybdenum (Mo) each have a content of 20 at% or less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Carbon (C) and boron (B) are, respectively,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ntent of 15 at% or less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Co)는,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6 내지 25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지는 비정질 합금.
The method of claim 1,
The cobalt (Co) is,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6 to 25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Fe),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탄소(C) 및 붕소(B)는,
각각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5 내지 22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지는 비정질 합금.
The method of claim 1,
The iron (Fe), nickel (Ni), chromium (Cr), molybdenum (Mo), carbon (C) and boron (B),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5 to 22 at%, respectively, based on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제 1항에 있어서,
3000 Mpa 이상의 파괴 강도(fracture strength)를 가지는 비정질 합금.
The method of claim 1,
An amorphous alloy having a fracture strength of 3000 Mpa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150 Gpa 이상의 영 계수(Young's modulus)를 가지는 비정질 합금.
The method of claim 1,
An amorphous alloy having a Young's modulus of 150 Gpa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정질 합금:
[화학식 1]
(Co, Fe, Ni)50(Cr,Mo)x(C,B)50-x
여기서, x는 20 내지 40 범위 내의 원자 퍼센트인 것으로 한다.
The method of claim 1,
Amorphous alloy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Formula 1]
(Co, Fe, Ni) 50 (Cr,Mo) x (C,B) 50-x
Here, x is assumed to be an atomic percent within the range of 20 to 4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은,
각각 1:1:1, 2:1:1, 2:2:1, 3:2:1 및 3:3:1 중 적어도 하나의 비율을 가지는 비정질 합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balt (Co), iron (Fe) and nickel (Ni) are
An amorphous alloy having a ratio of at least one of 1:1:1, 2:1:1, 2:2:1, 3:2:1 and 3:3:1, respectivel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Cr) 및 몰리브덴(Mo)은,
1:1의 비율을 가지는 비정질 합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hromium (Cr) and molybdenum (Mo) are,
Amorphous alloy having a ratio of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C) 및 붕소(B)는,
1:1의 비율을 가지는 비정질 합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arbon (C) and boron (B) are,
Amorphous alloy having a ratio of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Fe)은,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2 내지 22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지는 비정질 합금.
The method of claim 1,
The iron (Fe) is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2 to 22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Ni)은,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2 내지 22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지는 비정질 합금.
The method of claim 1,
The nickel (Ni) is,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2 to 22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Cr)은,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0 내지 20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지는 비정질 합금.
The method of claim 1,
The chromium (Cr) is,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0 to 20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Mo)은,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10 내지 20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지는 비정질 합금.
The method of claim 1,
The molybdenum (Mo) is,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10 to 20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C)는,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5 내지 15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지는 비정질 합금.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bon (C) is,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5 to 15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붕소(B)는,
상기 비정질 합금의 전체 원소 함량 대비 5 내지 15 at% 범위 내의 함량을 가지는 비정질 합금.
The method of claim 1,
The boron (B) is,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ntent within the range of 5 to 15 at% relative to the total element content of the amorphous alloy.
제 1항에 있어서,
리본 형태(ribbon shaped)로 성형된 비정질 합금.
The method of claim 1,
Amorphous alloy formed into a ribbon shaped.
KR1020140069730A 2014-06-09 2014-06-09 amorphous ally KR1023679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730A KR102367916B1 (en) 2014-06-09 2014-06-09 amorphous al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730A KR102367916B1 (en) 2014-06-09 2014-06-09 amorphous al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102A KR20150141102A (en) 2015-12-17
KR102367916B1 true KR102367916B1 (en) 2022-02-25

Family

ID=5508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730A KR102367916B1 (en) 2014-06-09 2014-06-09 amorphous al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9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4472A (en) * 2020-12-24 2022-03-04 佛山市中研非晶科技股份有限公司 Cobalt-based amorphous alloy thin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and equipment applying cobalt-based amorphous alloy thin fil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452A (en) 1999-01-08 2000-07-25 Alps Electric Co Ltd High permeability metallic glass alloy for high- frequency
JP2002155348A (en) 2000-09-08 2002-05-31 Alps Electric Co Ltd Soft magnetic alloy
JP2002526664A (en) * 1998-10-02 2002-08-20 センサーマティック・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Iron-rich magnetostrictive element with optimized bias field dependent resonance frequency characteristic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5917A (en) * 1997-03-25 1998-10-06 Akihisa Inoue High hardness glassy alloy, and high hardness tool us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6664A (en) * 1998-10-02 2002-08-20 センサーマティック・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Iron-rich magnetostrictive element with optimized bias field dependent resonance frequency characteristics
JP2000204452A (en) 1999-01-08 2000-07-25 Alps Electric Co Ltd High permeability metallic glass alloy for high- frequency
JP2002155348A (en) 2000-09-08 2002-05-31 Alps Electric Co Ltd Soft magnetic all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102A (en)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9144A1 (en) High Entropy Alloy Having Composite Micro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13008B1 (en) Precipitation hardening high entropy allo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90024198A1 (en) Precipitation Hardening High Entropy Allo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9532169A (en) Medium entropy alloy with excellent cryogenic properties
JP2019534374A (en) Boron-doped high entropy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2890823B1 (en) Cobalt alloys
BR112018075617B1 (en) STEEL FOR PREPARATION OF A MOLD FOR FORMING PLASTIC, PREFORMED POWDER TO FORM ALLOY, ITS USE, AND ARTICLE
TW201800587A (en) High-entropy superalloy
BR112017009295B1 (en) WEAR RESISTANT ALLOY
KR20140004718A (en) High thermal diffusivity and high wear resistance tool steel
KR101783242B1 (en) High entropy alloy having interstitial solid solution harden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09062196A3 (en) Amorphous alloy materials
EP3467128B1 (en) Extrusion die made of hot working stee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8884529B (en) Cr-based two-phase alloy and product thereof
EP3208354B1 (en) Ni-based superalloy for hot forging
WO2018107829A1 (en) HIGHLY HARD ZR-BASED BULK AMORPHOUS ALLOY CONTAINING N AND NO Be OR Ni,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7471078B2 (en) A multi-component alloy with excellent resistance to softening, balance of strength and elongation, and excellent wear resistance.
WO2007097939A2 (en) Stainless steel weld overlays with enhanced wear resistance
KR101532409B1 (en) Work hardenable metallic glass matrix composite
KR102367916B1 (en) amorphous ally
KR102614171B1 (en) High entropy alloy
CN107208192B (en) Turbine engine component comprising titanium-based alloy
KR20130110689A (en) Work hardenable metallic glass matrix composite
JP6103746B2 (en) Free-cutting iron shape memory alloy
JP4257640B2 (en) Tool steel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