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874B1 - Back warning apparatus for older driver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ack warning apparatus for older driver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874B1
KR102366874B1 KR1020190121061A KR20190121061A KR102366874B1 KR 102366874 B1 KR102366874 B1 KR 102366874B1 KR 1020190121061 A KR1020190121061 A KR 1020190121061A KR 20190121061 A KR20190121061 A KR 20190121061A KR 102366874 B1 KR102366874 B1 KR 102366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warning
warning signal
rear collis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0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8791A (en
Inventor
박현배
전재석
김용은
송문형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2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874B1/en
Publication of KR20210038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7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8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7Recognising the driver's state or behaviour, e.g. attention or drows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Abstract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는,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 주행중인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정보를 학습하며, 상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isclosed are a rear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warning device for an elderly driver detects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a rear vehicle approaching and driving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The sensing unit outputs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based on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and learns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nd the learned reaction for each situati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t an output timing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 및 방법{BACK WARNING APPARATUS FOR OLDER DRIVER AND METHOD THEREOF}BACK WARNING APPARATUS FOR OLDER DRIV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경보(警報) 신호에 대한 반응을 고려하여, 운전자에 따라 적응적으로 경보 신호 출력 시점을 제어하는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ward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an elderly dr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derly driver who adaptively controls an alarm signal output timing according to the driver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response to a warning signal. It relates to a rear alarm device and method for

일반적으로, 고령 운전자는 근력, 시력, 청력을 비롯한 신체적 능력과 단기 기억, 공간 지각과 같은 인지적 능력이 일반 운전자에 비하여 떨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고령 운전자는 노인성 난청으로 인하여 급격한 청력 소실이 발생하여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고령 운전자의 청력 소실은 고령 운전자는 차량 운전에 제약이 따르게 마련이다. 또한, 고령 운전자는 표지판, 신호등을 판단하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저하되고 각종 돌발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통계에 따르면 고령(65세 이상) 운전자의 돌발상황 반응시간은 청장년층에 비해 20~30% 늦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In general, older drivers have lower physical abilities, such as muscle strength, eyesight, and hearing, and cognitive abilities, such as short-term memory and spatial perception, compared to general drivers. In particular, elderly drivers often suffer from sudden hearing loss due to age-related deafness, so that they cannot hear well. The hearing loss of the elderly driver is bound to follow the limitations of the elderly driver in driving a vehicle. In addition, older drivers have reduced visual acuity and cognitive ability to judge signs and traffic lights, and their ability to cope with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is inevitably reduced. According to statistics, it is investigated that the response time of elderly (65 years or older) drivers is 20-30% slower than that of young adults.

한편,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점유율이 매년 늘고 있다. 이에 글로벌 완성차업계는 고령 운전자를 위한 옵션이나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등의 연구개발을 확대하여 반응행동이 제한되는 고령 운전자를 위해 차량에 전자제어브레이크시스템(EBS), 전방충돌경고시스템(FCW) 등을 적용하는 추세이다. 특히, 자동차의 지능화가 더욱 높은 수준으로 진행됨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을 보조하는 ADAS의 장착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고령 운전자의 경고음 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ADAS는 전방 충돌 상황이 발생할 경우 경고를 하는 ACC(adaptive cruise control)나 차선을 이탈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경고를 하는 LDWS(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등이 있으며, 주로 경고음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위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Meanwhile, as we enter an aging society, the share of traffic accidents among elderly drivers is increasing every year. In response, the global automaker is expanding R&D on options for elderly drivers and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ADAS) to provid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s (EBS) and 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s (FCW) for elderly drivers with limited reaction behavior. ) and so on. In particular, as the intelligence of automobiles progresses to a higher level,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warning sound response characteristics of elderly drivers is further increasing, given that the installation of ADAS assisting drivers is increasing. ADAS includes adaptive cruise control (ACC) that warns when a forward collision situation occurs and 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that warns when a lane departure situation occurs. are providing

하지만, ACC나 LDWS와 같은 첨단 안전 시스템의 경고음은 설계를 할 때 고령 운전자의 청력 소실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를 하며, 그 결과,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후방 충돌과 같은 위험 상황에서 고령 운전자는 경고음을 듣지 못하고 적절한 반응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 warning sound of advanced safety systems such as ACC and LDWS is designed without considering the hearing loss of the elderly driver when designing, and as a result, the elderly driver can It may happen that you do not hear the warning sound and do not respond appropriately.

이에, 고령 운전자의 청력역치와 경고음에 대한 반응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점에 후방추돌에 대한 경보를 알릴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consideration of the hearing threshold of the elderly driver and the reaction time to the warning sou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notifying a rear-end collision warning at an appropriate time.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2555호(발명의 명칭 : 오경보 방지 기능을 가지는 추돌 경보 장치 및 그 방법)가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262555 (title of the invention: collision warning device and method having a false alarm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경보(警報) 신호에 대한 반응을 고려하여, 운전자에 따라 적응적으로 경보 신호 출력 시점을 제어하는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derly driver who adaptively controls an alarm signal output timing according to the driver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response to an alarm signal. It is to provide a rear alarm device and method f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는,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 주행중인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정보를 학습하며, 상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A rear warning device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that detects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a rear vehicle approaching and driving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or rear collision Outputs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based on the warning information, learns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nd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based o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setting an output time of the ,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를 인식하는 운전자 인식부, 상기 인식된 운전자별로 상기 상황별 반응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정보를 학습하는 학습부, 상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driv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driver, classifying the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by the recognized driver, and generating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based on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A learning unit that outputs and learns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It may include an output time setting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감지된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로부터 해당 상황에 대응하는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에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되게 하는 경보 신호 출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sensed in real time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acquires an output time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from the warning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signal output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t the time of outputting the obtained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본 발명에서 상기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는, 상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rning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may differently set the output method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based o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반응정보는 가속도 페달, 제동 페달 및 조향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 정보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ction information may be manipul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an accelerator pedal, a brake pedal, and a steering whee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방법은, 제어부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일정 기간동안 누적된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정보를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arward warning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the step of recognizing a driver driving a vehicle by a control unit, and outputting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ccumulated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the driver drives the vehicle, by the control unit and learning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and setting an output timing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based o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본 발명에서,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방법은, 실시간으로 감지된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상황에 설정된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에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collision warning method for an elderly driver includes: when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a rear vehicle sensed in real time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acquires an output time of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set in the corresponding situ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t the time of outputting the obtained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본 발명의 상기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setting the output timing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differently set the output method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based o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반응정보는 가속도 페달, 제동 페달 및 조향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 정보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ction information may be manipul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an accelerator pedal, a brake pedal, and a steering wheel.

본 발명에 따르면, 인지/반응 능력(청각, 시각, 운동 신경 등)이 떨어지는 고령 운전자의 인지/반응 능력을 학습하여 사전에 경보를 알려줌으로써 돌발행위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1,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learns the cognitive/response ability of an elderly driver with poor cognitive/reaction ability (hearing, vision, motor nerves, etc.) can be prevented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기능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추돌 경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rear warning device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ar warning device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ar collision warning method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 rear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Further, 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n apparatus,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Although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discussed only as a method), implementations of the discussed features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as an apparatus or program). The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in suitabl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and the like. A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aratus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computer, a microprocessor,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and the lik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ortable/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rear warning device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후방 경보 장치는 운전자의 인지/반응 능력에 무관하게 설정된 후방 추돌 경보 알림 지점(a)에서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인지/반응 능력(청각, 시각, 운동 신경 등)이 떨어지는 고령 운전자에게 a 지점에서 후방 추돌 경고음을 발생시키면, 후방 추돌에 대한 위험 상황에서 고령운전자가 경고음을 듣지 못하고 적절한 반응을 못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고령 운전자의 청력역치와 경고음에 대한 반응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점에 고령 운전자에 적합한 경고음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Referring to FIG. 1 , in general, the rear collision warning device outputs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t a rear collision warning notification point (a) set regardless of the driver's cognitive/reactive ability. However, if a rear-end collision warning sound is generated at point a for an elderly driver with poor cognitive/reactive ability (hearing, vision, motor nerves, etc.) there 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warning sound suitable for the elderly driver at an appropriate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hearing threshold of the elderly driver and the response time to the warning sound.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후방 경보 장치는 인지/반응 능력(청각, 시각, 운동 신경 등)이 떨어지는 고령 운전자의 경고음에 대한 반응을 학습하고, 그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고령 운전자에게 적합한 후방 추돌 경보 알림 지점(b)을 선택하며, 선택된 후방 추돌 경보 알림 지점(b)에서 후방 추돌에 대한 위험 상황을 사전에 알릴 수 있다. 이처럼 후방 경보 장치는 자차량 및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에게 경보를 전달함으로써, 돌발행위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주행 상태 정보는 차량의 후방 사각지대(BSD; Blind Spot Detection Zone)을 감시하는 센서, 후방 차선 변경 지원(LCA; Lane Change Assist Zone)을 감시하는 센서, 후방 추돌 지역(RPC; Rear Pre Crash Zone)을 감시하는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또는 주행 상태 정보는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내의 V2X 통신 장치, GPS 모듈과 같이 차량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주행 상태 정보는 차량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정보 또는 차량 외부에서 생성되어 전달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a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arns the response to the warning sound of an elderly driver with poor cognitive/reactive ability (hearing, visual, motor nerves, etc.), and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a rear collision warning suitable for the elderly driver By selecting the notification point (b), it is possible to notify in advance of a dangerous situation for a rear collision at the selected rear collision warning notification point (b). As such, the rear warning device may be a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ccidents that may occur through sudden actions by collec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and transmitting an alarm to the driver. At this time,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a sensor that monitors the rear blind spot detection zone (BSD) of the vehicle, a sensor that monitors the rear lane change assist zone (LCA), and a rear pre-crash area (RPC). Zone) can be collected through a sensor, etc. Alternatively,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device outside the vehicle, such as a navigation device or a V2X communication device in the vehicle, or a GPS module. That is,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may be interpreted to include both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ehicle itself or information generated and transmitted outside the vehicle.

이러한 후방 경보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ar warning device will be referred to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40)의 기능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ar warning device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40 illustrated in FIG. 2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100)는 통신부(110), 감지부(120), 출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rear warning device 100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 a detection unit 120 , an output unit 130 , and a control unit 140 .

통신부(110)는 차량에 장착된 GPS,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하는 각종 센서 또는 차선이탈 방지 및 제어 장치(LDWS & LKA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and Lane Keeping Assist System),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Smart Cruise Control), 주차 지원 시스템(SPAS; Smart Parking Assistant System) 등을 포함하는 주행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감지부(1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인터넷을 비롯한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LAN(Local Area Network), Ethernet, CAN(Controller Area Network), TCP/IP 기반 통신망, 광통신망, CDMA, WCDMA 등의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망, CAN 통신, V2X 통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various sensors including a GPS mounted on the vehicle, an acceleration sensor, etc. or a lane departure prevention and control device (LDWS &LKA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and Lane Keeping Assist System), a smart cruise control (SCC; Smart Cruise). Control),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detected from a driving assistance system including a Smart Parking Assistant System (SPAS) to the sensing unit 120 .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the Internet,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LAN (Local Area Network), Ethernet, CAN (Controller Area Network), TCP/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 CDM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WCDMA, local area networks such as Zigbee, Bluetooth (Bluetooth), CAN communication, V2X communication, etc. may be configured.

감지부(120)는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 주행중인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 여기서,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는 후방차량의 속도 및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0)는 차량의 후방 영역에 대한 주행 환경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카메라 및 레이다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초음파 센서모듈, 적외선 센서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리어뷰(rear view)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 장치를 차량의 좌우측 사이드 미러(side mirror)에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후방 영역을 촬영할 수 있고,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AVM;Around View Monitoring System)의 카메라로부터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20 detects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a rear vehicle approaching and driving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Here,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may include the speed and distance of the rear vehicle.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of detecting the driving environment for the rear region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camera and a radar sensor module, an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n ultrasonic sensor module and an infrared sensor module.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120 may photograph the rear area of the vehicle by mounting a camera device such as a rear view camera on the left and right side mirrors of the vehicle, and an Around View Monitoring System (AVM) The driv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can be detected from the camera of the View Monitoring System).

또한, 감지부(120)는 자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것으로, 자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는 자차량의 주행 속도, 주행 방향 및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통신부(110)를 통해 차량에 장착된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차선이탈 방지 및 제어 장치(LDWS & LKA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and Lane Keeping Assist System),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Smart Cruise Control), 주차 지원 시스템(SPAS; Smart Parking Assistant System) 등을 포함하는 주행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20 also performs a function of detec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may include driving speed, driving dire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which is a communication unit GPS, acceleration sensor or lane departure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LDWS &LKA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and Lane Keeping Assist System), Smart Cruise Control (SCC), parking assistance system mounted on the vehicle through 110 It may be received from a driving assistance system including (SPAS; Smart Parking Assistant System) and the like.

또한, 감지부(120)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차량 내에 장착되어 있는 지문 센서, 얼굴인식 센서, 홍채인식 센서 등과 같은 생체정보 인식 장치를 통하여 운전자 식별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부(120)는 차량에 장착된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통신부(110)를 통해 각종 센서 및 주행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of identifying a driver driving a vehicle, and detects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such as a fingerprint sensor, a face recognition sensor, an iris recognition sensor, etc.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do. That is, the sensing unit 12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or may receive information sensed from various sensors and the driving support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또한, 감지부(120)는 후방차량으로부터 후방 추돌 경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후방 추돌 경보 정보는 후방차량이 전방차량(자차량)을 추돌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로, 차량 내의 V2X 통신 장치 등을 통해 후방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일 수 있다.Also, the sensing unit 120 may receive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from the rear vehicle. In this case, the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 rear vehicle is likely to collide with the front vehicle (own vehicle), and may b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ar vehicle through a V2X communication device in the vehicle.

출력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부(130)는 음성 모듈, 진동 모듈, 영상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 구현되어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 위험을 경고하도록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스피커, 차량의 계기판에 설치되어 점등 또는 점멸되는 경고등, 차량의 전면 유리에 경고 영상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장치, 자차량과 타차량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네이게이션 등의 기능을 탑재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의 스티어링휠(steering wheel)이나 시트(seat), 가속 페달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햅틱 모듈 등이 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 outputs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device among a voice module, a vibration module, and an image module to output an alarm signal. For example, a speaker that outputs a warning alarm to warn of the risk of an accident, a warning lamp that is installed on the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and turns on or off, and a head-up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 warning image or text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functions such as navigation that displays own vehicle and other vehicles on the screen, and a haptic module that is installed on a vehicle's steering wheel or seat, or accelerator pedal to generate vibration. can

제어부(140)는 감지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자차량 및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정보를 학습하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한다. 여기서, 후방 추돌 경보 신호는 운전자에게 후방차량 추돌에 대한 위험상황을 인지시키기 위한 사전 경고일 수 있다. 운전자의 반응정보는 운전자가 차량을 가속하거나 제동하거나 차량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것으로, 가속, 제동, 진행방향 변경 중 적어도 두 가지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운전자 반응정보는 가속과 진행방향 변경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제동과 진행방향 변경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outputs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based on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120, and the driver's situational response according to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output The information is learned, and the output timing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is set based o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Here,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may be a prior warning for recognizing a dangerous situation for a rear vehicle collision to the driver.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is that the driver accelerates or brakes the vehicle or change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t least two of acceleration, braking, and changing direc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That is, in the driver response information, acceleration and change of the traveling direction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braking and change of the traveling direction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이러한 제어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인식부(142), 학습부(144),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146) 및 경보 신호 출력 제어부(148)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 the control unit 140 includes a driver recognition unit 142 , a learning unit 144 , an alarm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146 , and an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48 .

운전자 인식부(142)는 현재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를 인식한다. 이때, 운전자 인식부(142)는 다양한 방법으로 차량의 운전자를 인식할 수 있다. The driver recognition unit 142 recognizes a driver currently driving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driver recognition unit 142 may recognize the driver of the vehicle in various ways.

예컨대, 운전자 인식부(142)는 감지부(120)를 통해 수신된 운전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식하거나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인식부(142)는 운전자가 소유한 차량용 스마트키 또는 포브키(FOB key), 차량용 리모콘에 따라 운전자를 인식하거나, 운전자별 차량 시트 설정에 따라 운전자를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er recognition unit 142 may recognize or register the driver using the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120 . In addition, the driver recognition unit 142 may recognize a driver according to a vehicle smart key or FOB key owned by the driver, a vehicle remote control, or recognize a driver according to a vehicle seat setting for each driver.

학습부(144)는 운전자 인식부(142)에서 인식된 운전자별로 상황별 반응정보를 분류하고, 자차량 및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정보를 학습한다. 이때, 학습부(144)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로써,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정보에 따라 후방 경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earning unit 144 classifies the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for each driver recognized by the driver recognition unit 142, and outputs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based on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It learns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In this case, the learning unit 144 is a series of microprocessors or hardware including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perating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rear warn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It can be formed by command.

이하, 학습부(144)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unit 14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학습부(144)가 주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정보를 학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학습부(144)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일정 기간동안 누적된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반응정보를 학습한다. 즉, 학습부(144)는 주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자차량과 후방차량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가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인 경우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며,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반응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의 반응정보는 차량에 장착된 방향지시등 조작이나 페달 작동 감지센서, 멀티기능 조작 감지센서 등의 누적된 동작 정보일 수 있다. 즉, 운전자의 반응정보는 운전자가 가속도 페달, 제동 페달 및 조향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 여부일 수 있다. 따라서, 학습부(144)는 CAN 통신을 통해 운전자의 반응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 후, 학습부(144)는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반응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First, a method for the learning unit 144 to learn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by using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the learning unit 144 learns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ccumul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the driver drives the vehicle. That is, the learning unit 144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own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by using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outputs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the output time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nd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In this case,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may be accumulated motion information such as a turn signal operation, a pedal operation detection sensor, and a multi-function operation detection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That is,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may be whether the driver manipulates at least one of an accelerator pedal, a brake pedal, and a steering wheel. Accordingly, the learning unit 144 may acquire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through CAN communication. Then, the learning unit 144 may learn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다음으로, 학습부(144)가 후방 추돌 경보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정보를 학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학습부(144)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 수신 시,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정보를 학습한다. 예를 들어, 후방차량이 빠른 속도로 주행하여, 전방에 있는 자차량과 추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후방차량은 V2X를 이용하여 후방 추돌 경보 정보를 자차량에 전달하고, 급정차를 할 수 있다. 그러면, 자차량은 후방 차량과 추돌 가능성이 있다는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자차량의 운전자는 후방차량의 급정차로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핸들을 꺽어 옆차량과 충돌하는 등의 반응이 있을 수 있다. 이에, 학습부(144)는 누적된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반응정보를 학습하고,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Next, a method for the learning unit 144 to learn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by using the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when the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e learning unit 144 outputs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nd learns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output. For example, if the rear vehicle is traveling at a high spe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a collision with the own vehicle in front, the rear vehicle may use V2X to transmit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to the own vehicle and make an abrupt stop. Then, the host vehicle may output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rear vehicle. In this case, the driver of the own vehicle may have a reaction such as not recognizing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due to the sudden stop of the rear vehicle, or collide with a neighboring vehicle by bending the steering wheel. Accordingly, the learning unit 144 learns the driver's re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output, and selects the output timing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most suitable for the driver by using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there is.

학습부(144)의 학습은 딥러닝 등의 인공지능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Learning of the learning unit 144 may be perform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uch as deep learning.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146)는 학습부(144)에서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한다. 즉,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146)는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The warning signal output timing setting unit 146 sets the output timing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based on the situation-specific reaction information learned by the learning unit 144 . That is, the warning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146 may select an output time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most suitable for the driver by using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예를 들어, 후방차량 추돌 발생이 예상되어 후방차량이 a지점에 위치할 때,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한 결과, 운전자가 핸들을 꺽는 반응을 수행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운전자의 반응으로 좌측 차량과 충돌이 발생하였다면, a지점은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146)는 a지점보다 자차량과 거리가 더 먼 b지점을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rear vehicle collision is expected to occur and the rear vehicle is located at point a, it is assumed that as a result of outputting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the driver performs a reaction of turning the steering wheel. If a collision with the left vehicle occurs due to the driver's reaction, it can be seen that point a is not appropriate as the output timing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ccordingly, the warning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146 may set the point b, which is farther away from the own vehicle than the point a, as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output time.

또한,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146)는 학습부(144)에서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별 반응정보가 적절한 반응인 경우 해당 출력 시점에 후방 추돌 경보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적절한 반응이 아닌 경우 해당 상황에 설정된 출력 시점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소리, 음성, 영상 등의 알림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rning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146 may differently set the output method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based on the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learned by the learning unit 144 . For example, if the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is an appropriate reaction,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is output at the corresponding output time. You can change the notification method of

경보 신호 출력 제어부(148)는 실시간으로 감지된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가 수신되면,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146)로부터 해당 상황에 대응하는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획득하고, 획득된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에 후방 추돌 경보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sensed in real time is received, the warning signal output control unit 148 determines the output time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from the warning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146 and control so that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is output at the time of outputting the acquired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한편, 운전자 인식부(142), 학습부(144),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146) 및 경보 신호 출력 제어부(148)는 컴퓨팅 장치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운전자 인식부(142), 학습부(144),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146) 및 경보 신호 출력 제어부(148)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각각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driver recognition unit 142 , the learning unit 144 , the warning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146 , and the warning signal output control unit 148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required to execute a program on the computing device, respectively. . As such, the driver recognition unit 142 , the learning unit 144 , the warning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146 , and the warning signal output control unit 148 may be implemented by physically independent components, and within one processor. It may be implemented in a functionally distinct form.

제어부(140)는 후방 경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ar warning device 10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arithmetic unit, wherein the arithmetic unit is a general-purpos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implemented appropriately for a specific purpose. It may be a programmable device device (CPLD, FPGA),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r a microcontroller chip.

상기와 같이 구성된 후방 경보 장치(100)는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에 기초하여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을 학습하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후방 경보 장치(100)는 운전자의 상황적 대응을 학습하여 운전자의 인지능력을 학습할 수 있고, 학습된 정보를 기반으로 경보 신호를 사전에 발생시킴으로써, 돌발행위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1,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rear collision warning devic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utputs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based on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or a rear collision warning, learns the driver's reaction for each situation according to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output, and learns the learned The output timing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may be changed based on the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In this way, the rear warning device 100 can learn the driver's cognitive ability by learning the driver's situational response, and by generating an alert signal in advance based on the learned information, one , can prevent secondary accident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추돌 경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ar collision warning method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후방 경보 장치(100)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를 인식하고(S410),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일정 기간동안 누적된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을 학습한다(S420). 즉, 후방 경보 장치(100)는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및 후방 추돌 경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을 학습한다. 그런 후, 후방 경보 장치(100)는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별 반응정보가 적절한 반응인 경우 해당 출력 시점을 그대로 유지하고, 적절한 반응이 아닌 경우 해당 상황에 설정된 출력 시점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소리, 음성, 영상 등의 알림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rear warning device 100 recognizes the driver driving the vehicle ( S410 ), and learns the driver's reaction to each situ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ccumul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e driver drives the vehicle. do (S420). That is, the rear collision warning device 100 outputs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and learns the driver's situational reaction according to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output. Thereafter, the rear warning device 100 may set an output timing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based o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For example, if the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is an appropriate response, the output timing is maintained as it is, if the response is not appropriate, the output timing set for the situation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nd the notification method such as sound, voice, video, etc. can be changed. can

단계 S420의 수행 후, 후방 경보 장치(100)는 차량의 실시간 주행 상태 정보 및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S430), 수신된 주행 상태 정보로 경보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440), 이때, 후방 경보 장치(100)는 자차량과 후방차량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추돌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후방 경보 장치(100)는 자차량의 속도, 후방차량의 속도, 자차량의 가/감속도, 후방차량의 가/감속도, 자차량과 후방차량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자차량과 후방차량의 추돌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After performing step S420, the rear warning device 100 receives the real-time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S430), and determines whether an alarm situation has occurred using the received driving state information (S440) , In this case, the rear warning device 100 may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the hos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and determine whether a collision is possible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In addition, the rear warning device 1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vehicle and the rear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peed of the own vehicle, the speed of the rear vehicle, the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own vehicle, the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rear vehi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wn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likely to collide.

단계 S440의 판단결과, 경보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후방 경보 장치(100)는 해당 상황에 대응하는 경보 신호 출력 시점에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S45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40,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larm situation has occurred, the rear warning device 100 outputs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t the time of outputting a warn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ituation (S4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 및 방법은, 인지/반응 능력(청각, 시각, 운동 신경 등)이 떨어지는 고령 운전자의 인지/반응 능력을 학습하여 사전에 경보를 알려줌으로써 돌발행위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1,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earns the cognitive/response ability of an elderly driver with poor cognitive/reaction abilities (hearing, vision, motor nerves, etc.) It is possible to prevent primary and secondary accidents that may occur through sudden actions by notifying the alarm.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후방 경보 장치
110 : 통신부
120 : 감지부
130 : 출력부
140 : 제어부
142 : 운전자 인식부
144 : 학습부
146 :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
148 : 경보 신호 출력 제어부
100: rear alarm device
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sensing unit
130: output unit
140: control unit
142: driver recognition unit
144: study department
146: alarm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148: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Claims (9)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 주행중인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청각, 시각 및 운동신경 중 적어도 하나의 인지/반응 능력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 고령 운전자의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에 대한 상황별 반응정보를 일정 기간 누적하여 학습하며, 상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방차량이 전방에 있는 상기 차량과 추돌 가능성이 있어 상기 후방차량이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정보를 상기 차량에 전달한 후 급정차하고, 상기 후방차량의 급정차로 상기 후방차량이 제1 지점에 위치할 때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한 상황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령 운전자가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조향휠을 꺾어 옆차량과 충돌하는 반응, 제동 페달의 조작으로 제동하는 반응, 및 가속 페달의 조작으로 상기 차량을 가속하는 반응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령 운전자의 반응정보를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반응정보가 상기 고령 운전자가 조향휠을 꺾어 옆차량과 충돌하는 반응인 경우, 상기 제1 지점이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상기 후방차량이 상기 제1 지점보다 상기 차량과 더 먼 제2 지점을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 시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a rear vehicle approaching and driving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Outputs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based on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and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of an elderly driver whose cognitive/reactive ability of at least one of auditory, visual and motor nerves falls below a reference valu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accumulate and learn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for output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o set an output time point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of the driver based o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ar vehicle collides with the vehicle in front, so that the rear vehicle stops suddenly after transmitting the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is located at the first point due to the sudden stop of the rear vehicle. In the case of outputting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whe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reaction in which the elderly driver does not recognize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or a reaction in which the vehicle collides with a neighboring vehicle by bending a steering wheel, a reaction in which the elderly driver brakes by operating a brake pedal, and a rea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accelerated by operation of an accelerator pedal learning the reac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elderly drivers,
Whe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is a reaction in which the elderly driver bends the steering wheel and collides with a vehicle next to it,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point is not appropriate as an output time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so that the rear vehicle is higher than the first point A rear-end warning device for an elderly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point further away from the vehicle is set as the output point of the rear-end collision warning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령 운전자를 인식하는 운전자 인식부;
상기 인식된 고령 운전자의 상기 상황별 반응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상기 고령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정보를 학습하는 학습부; 및
상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령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driv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elderly driver;
Classifying the recogniz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of the elderly driver, outputting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based on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of the elderly driver a learning unit that learns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and
and a warning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n output time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of the elderly driver based o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감지된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로부터 해당 상황에 대응하는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에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되게 하는 경보 신호 출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sensed in real time is received, the output time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is obtained from the warning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and the obtained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The rear warning device for an elderly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rning signal output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t the output timing of th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신호 출력 시점 설정부는,
상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방법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larm signal output time setting unit,
The rear warning device for an elderly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method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is set differently based o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삭제delete 제어부가 청각, 시각 및 운동신경 중 적어도 하나의 인지/반응 능력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 고령 운전자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고령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일정 기간동안 누적된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에 따른 상기 고령 운전자의 상황별 반응정보를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령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령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후방차량이 전방에 있는 상기 차량과 추돌 가능성이 있어 상기 후방차량이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정보를 상기 차량에 전달한 후 급정차하고, 상기 후방차량의 급정차로 상기 후방차량이 제1 지점에 위치할 때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한 상황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령 운전자가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조향휠을 꺾어 옆차량과 충돌하는 반응, 제동 페달의 조작으로 제동하는 반응, 및 가속 페달의 조작으로 상기 차량을 가속하는 반응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령 운전자의 반응정보를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반응정보가 상기 고령 운전자가 조향휠을 꺾어 옆차량과 충돌하는 반응인 경우, 상기 제1 지점이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상기 후방차량이 상기 제1 지점보다 상기 차량과 더 먼 제2 지점을 상기 후방 추돌 경보 신호 출력 시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방법.
Recognizing, by the controller, an elderly driver whose cognitive/reactive ability of at least one of auditory, visual and motor nerves falls below a reference value; and
The control unit learns the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of the elderly driver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accumul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e elderly driver drives the vehicle, and the situation of the elderly driver based o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Setting the output timing of the star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including,
In the step of setting the output timing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of the elderly driver,
Wh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ar vehicle collides with the vehicle in front, the rear vehicle stops suddenly after transmitting the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is located at the first point due to the sudden stop of the rear vehicle In the case of outputting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reaction in which the elderly driver does not recognize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or a reaction in which the vehicle collides with a neighboring vehicle by bending a steering wheel, a reaction in which the elderly driver brakes by operating a brake pedal, and a rea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accelerated by operation of an accelerator pedal learning the reac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elderly drivers,
Whe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is a reaction in which the elderly driver bends the steering wheel and collides with a vehicle next to it,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point is not appropriate as an output time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so that the rear vehicle is higher than the first point A rearward warning method for an elderly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point further away from the vehicle is set as the output point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감지된 후방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또는 후방 추돌 경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상황에 설정된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에 후방 추돌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r rear collision warning information of the rear vehicle sensed in real time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acquires the output timing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set in the corresponding situation, and rear collision at the output timing of the acquired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The rear warning method for an elderly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a warning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령 운전자의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된 상황별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황별 후방 추돌 경보 신호의 출력 방법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운전자를 위한 후방 경보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tep of setting the output timing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of the elderly driver,
The rear warning method for an elderly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sets a different output method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ignal for each situation based on the learned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삭제delete
KR1020190121061A 2019-09-30 2019-09-30 Back warning apparatus for older driver and method thereof KR1023668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61A KR102366874B1 (en) 2019-09-30 2019-09-30 Back warning apparatus for older drive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61A KR102366874B1 (en) 2019-09-30 2019-09-30 Back warning apparatus for older driver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791A KR20210038791A (en) 2021-04-08
KR102366874B1 true KR102366874B1 (en) 2022-02-23

Family

ID=7548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061A KR102366874B1 (en) 2019-09-30 2019-09-30 Back warning apparatus for older driver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8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53289B (en) * 2022-01-06 2024-02-20 中国科学院心理研究所 Bus driving safety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electrocardiosig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325A (en) * 2004-12-28 2006-07-13 Toyota Motor Corp Alarm device for vehicle
JP2006193069A (en) 2005-01-14 2006-07-27 Toyota Motor Corp Alarming device for vehicle
JP2013222297A (en) * 2012-04-16 2013-10-28 Toyota Motor Corp Driving suppor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873B1 (en) * 2012-12-20 2014-08-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Driver Assist System To Avoid Multiple Vehicle Collisions
KR20150051548A (en) * 2013-11-04 2015-05-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Driver assistance system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orresponding to dirver's predisposi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325A (en) * 2004-12-28 2006-07-13 Toyota Motor Corp Alarm device for vehicle
JP2006193069A (en) 2005-01-14 2006-07-27 Toyota Motor Corp Alarming device for vehicle
JP2013222297A (en) * 2012-04-16 2013-10-28 Toyota Motor Corp Driving suppor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791A (en)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3365B2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US112951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734699B2 (en) System for providing alerts to vehicle occupants
CN111361552B (en) Automatic driving system
EP3575175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drivers to drive with precaution
US20090051516A1 (en) Assistance System for Assisting a Driver
JP2016135665A (e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87073B1 (en) Apparatus for esimating tunnel height and method thereof
CN108263380A (en) Consider that pedestrian watches the pedestrian impact preventing mean and method of mode attentively
KR1019383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Rear Side of Vehicle with Learning of Driving Pattern
JP6269360B2 (en) Driving support system and driving support method
KR1019845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vehicle collision
JP2010155496A (en) Vehicle warning device
KR101552017B1 (en) Performance enh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051548A (en) Driver assistance system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orresponding to dirver's predisposition
JP2020113183A (en) Automatic driving system
JP4582279B2 (en) Obstacl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JP2008143381A (en) Vehicular warning system, and warning method of the same
JP7180421B2 (en) vehicle controller
JP2010195207A (en) Driving support device
KR102366874B1 (en) Back warning apparatus for older driver and method thereof
JP6631545B2 (en) Dependency estimator
US10363871B2 (en) Vehicle notification apparatus
CN109416887B (en) Vehicle notification device for identifying control object
JP2004246631A (en) Travel support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