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026B1 - Ultrasonic reaction wall - Google Patents

Ultrasonic reaction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026B1
KR102365026B1 KR1020210119238A KR20210119238A KR102365026B1 KR 102365026 B1 KR102365026 B1 KR 102365026B1 KR 1020210119238 A KR1020210119238 A KR 1020210119238A KR 20210119238 A KR20210119238 A KR 20210119238A KR 102365026 B1 KR102365026 B1 KR 102365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ultrasonic
ultrasonic generator
moun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2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봉
공준
김종화
최동식
Original Assignee
(주)에니스환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니스환경건설 filed Critical (주)에니스환경건설
Priority to KR102021011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0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0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sonic reaction wall including: a buoy; a barrier film mounted on the buoy and formed in the water to control the movement of algae; and an ultrasonic generator mounted on the buoy.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green algae.

Description

초음파 반응벽체{Ultrasonic reaction wall}Ultrasonic reaction wall

본 발명은 호수, 연못 등 정체성 수역에서 녹조가 발생된 부분에 대해 녹조의 유동을 제어토록 함과 동시에 녹조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초음파 반응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sonic reaction wall that controls the flow of algal blooms in stagnant waters, such as lakes and ponds, and enables removal of algae at the same time.

일반적으로, 고궁, 유원지, 골프장 등에 조성된 연못, 호수, 저수지 등과 같이 물의 순환이 일어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정체성 수역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부패가 쉽게 발생한다. 이러한 정체성 수역의 표층수는 대기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산소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플랑크톤이 왕성하나, 플랑크톤이 번식의 한계에 도달하면 죽게 되어 물 바닥면에 퇴적되고, 이로 인하여 심층수에서는 유기물질이 부패하고 질소, 인 등 영양염이 분해 생성되어 물이 썩게 된다.In general, corruption by microorganisms easily occurs in stagnant waters where water circulation does not occur, such as ponds, lakes, reservoirs, etc. created in palaces, amusement parks, golf courses, and the like. Because the surface water of these stagnant waters has a relatively high oxygen concentration due to contact with the atmosphere, plankton are active, but when the plankton reaches the limit of reproduction, they die and are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are decomposed and formed, causing water to rot.

특히 연못, 호수, 저수지 등의 표층수에 있어 그 표면의 녹조는 시간이 지나도 침전되지 않으므로 이를 수동에 의해 뜰채 등으로 제거하여 왔으나 뜰채보다 크기가 작은 입자로 된 부유물은 제거할 수 없으며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Especially in surface waters such as ponds, lakes, and reservoirs, green algae on the surface do not settle over time, so they have been manually removed with a yard, but suspended matter with smaller particles than the yard cannot be removed, and there is a safety problem. there is.

종래 이러한 녹조를 제거하는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35053호에서는 "호소나 하천의 수면에 떠 있도록 설치되며 녹조감시부의 센서가 상기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이격된 수심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된 복수의 부표들; 상기 각각의 부표에 설치되어 수중 내 용존산소량에 따라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수중 내 용존산소량을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한 녹조감시부들;Conventionally, as a technology for removing such alga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235053 states, "It is installed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of a lake or river,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nsor so that the sensor of the algae monitoring unit can be installed at a depth spaced from the wat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depth. a plurality of additionally installed buoys;

상기 복수의 부표들 중 상기 녹조감시부에 의해 녹조현상이 감지된 부표 주변에 상기 녹조 제거를 위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부표마다 설치되며, 상기 호소나 하천 주변에 설치되는 제어박스부에 의해 제어되는 초음파발생기; 상기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초음파발생기에 의해 녹조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호소나 하천의 수면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초음파장비."를 제시하고 있다. Installed for each of the buoys to generate an ultrasonic wave for removing the algae around the buoy in which the algae phenomenon is detected by the algae monitoring unit among the plurality of buoys, the control box unit installed around the lake or river ultrasonic generator controlled by; A surveillance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surface of the lake or river so that the algae can be removed by the ultrasonic generator by monitoring the presence of the algae phenomenon;

그런데 상기 기술은 조류에 따라 유동하는 녹조를 제어할 수 없어 효율적인 제거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 technique has a problem in that efficient removal cannot be expected because it cannot control the algae flowing according to the algae.

한편 녹조를 유발하는 조류, 특히 남조류는 낮 동안 태양빛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수행하기 위해 수면에 인접하게 떠 있지만, 밤에는 더 깊게 가라앉는 특성을 갖는데 상기 기술의 경우 일방향의 초음파조사만을 상정하고 있는 것으로 효율적인 녹조제거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algae that cause green algae, especially blue-green algae, float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to perform photosynthesis using sunlight during the day, but sink deeper at night. As such,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expected to effectively remove algae.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3505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235053

이에 본 발명은 호수, 연못 등 정체성 수역에서 녹조의 유동을 차단하면서 동시에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녹조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초음파 반응벽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ltrasonic reaction wall capable of blocking the flow of algae in stagnant waters such as lakes and ponds while simultaneously removing them, and increas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alga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초음파 반응벽체는, 부표; 상기 부표에 장착되며 수중으로 구성되어 녹조의 유동을 제어하는 차단막; 상기 부표에 장착되는 초음파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ltrasonic reac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oy; a barrier film mounted on the buoy and configured in the water to control the flow of alga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ltrasonic generator mounted on the buoy.

하나의 예로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상기 부표에 탈착이 가능한 장착구와, 상기 장착구의 일단에 구성되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ultrasonic gen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unting port detachable to the buoy, and an ultrasonic generator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unit.

하나의 예로 상기 장착구는, 상기 부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착링과, 상기 장착링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장착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moun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mounting ring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uoy, and a mounting ba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mounting ring.

하나의 예로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초음파진동자가 구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돌출되며 탄성재질의 연결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단은 상기 장착바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ultrasonic generator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n ultrasonic vibrator, and a connecting end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the connecting end is fixed to the mounting bar by a fixing means.

하나의 예로 상기 하우징 배면과 상기 차단막을 연결하는 연결구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a connector conne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blocking film is further configured.

하나의 예로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상기 장착바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그 배면에 상기 차단막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ultrasonic generator is fixed to the mounting bar by a fixing means,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blocking film is further configured on a rear surface thereof.

하나의 예로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서 상기 부표에 장착이 되는 장착구; 상기 장착구의 일단에 상기 조도센서와 연동하여 힌지연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 example, the ultrasonic generator may include: a controller including an illuminance sensor; a mounting hole that is mounted on the buoy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ultrasonic generator mounted to one end of the mounting tool to be hinged in conjunction with the illuminance sensor.

본 발명의 초음파 반응벽체는 녹조의 차단 및 제거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The ultrasonic reac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the blocking and removal of algae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의 초음파 반응벽체는 풍랑 등 외압에 의한 파손에 의해 초음파발생기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ultrasonic reac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loss of the ultrasonic generator due to damage caused by external pressure such as wind storms.

또한 본 발명의 초음파 반응벽체는 효율적인 녹조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ltrasonic reac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efficient algae removal.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부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buoy,
3 is a parti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본 발명의 초음파 반응벽체(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표(2); 상기 부표(2)에 장착되며 수중으로 구성되어 녹조의 유동을 제어하는 차단막(3); 상기 부표(2)에 장착되는 초음파발생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ltrasonic reaction wall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oy (2) as shown in Figure 1; a barrier film (3) mounted on the buoy (2) and configured in the water to control the flow of alga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ltrasonic generator (4) mounted on the buoy (2).

즉 본 발명은 차단막(3)에 의해 녹조의 유동을 차단토록 하면서 초음파발생부(4)에 의해 해당 수역의 녹조를 제거토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of algae is blocked by the blocking film 3 and the algae in the water body is removed by the ultrasonic generator 4 .

여기서 "수역"이라함은 그 대상을 한정하지 않으며 예로 호수, 연못 등 정체성 수역이 예가 될 것이다.Here, the term "water body" does not limit the subject, for example, a static water body such as a lake or a pond will be an example.

상기 부표(2)는 수면에 부유하는 구성으로 수역에서 일정 영역을 수면에서 구획하는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표(2)는 부유성 재질이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The buoy (2) is configured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so that the function of dividing a certain area in the water body from the water surface is expressed. If the buoy 2 is a floating material, the type is not limited.

상기 차단막(3)은 상기 부표(2)에 장착되며 수중으로 구성되어 녹조의 유동을 제어하는 벽체로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차단막(3)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메쉬망으로 구성되어 차단막(3) 내, 외부로 유체의 유동은 자유롭게 진행되도록 하여야 한다. The blocking film 3 is mounted on the buoy 2 and is constructed in water to function as a wall to control the flow of algae. 3) The flow of fluid inside and outside should be allowed to proceed freely.

상기 초음파발생부(4)는 상기 부표(2)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표(2)에 탈착이 가능한 장착구(41)와, 상기 장착구(41)의 일단에 구성되는 초음파발생기(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ltrasonic generator 4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buoy 2, and as shown in FIG. 2, a mounting port 41 detachable to the buoy 2, and one end of the mounting port 4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ltrasonic generator (42) configured.

여기서 상기 장착구(41)는, 상기 부표(2)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착링(411)과, 상기 장착링(411)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장착바(4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mounting hole 4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mounting ring 411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uoy 2, and a mounting bar 41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mounting ring 411.

상기 장착링(411)은 도 2 등에서 일측이 개구된 링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구조로 각종 클램프가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mounting ring 411 shows a ring shape with one side open in FIG. 2 and the lik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lamps may be applied in a known structure.

상기 장착바(412)는 상기 장착링(411)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수중에 잠기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장착바(412)의 끝단에 초음파발생기(42)가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mounting bar 41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mounting ring 411 to be submerged in water,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42 is configured at the end of the mounting bar 412 .

상기 초음파발생기(42)는 수중에서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초음파발생기(42)는 다양한 공지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장착바(412)에 상기 초음파발생기(42)가 고정됨에 있어서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The ultrasonic generator 42 is configured to be irradiated with ultrasonic waves in the water, and since the ultrasonic generator 42 may have various well-known structur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the ultrasonic generator 42 is fixed to the mounting bar 412 , various known techniques may be applied.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발생기(42)는 부표(2)에 구성된 주전원케이블(43)에서 전기적연결(44)이 되어 유선에 의한 전기의 인가로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초음파발생기(42)가 무선에 의해 전기적 인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ultrasonic generator 42 becomes an electrical connection 44 from the main power cable 43 configured in the buoy 2 so that ultrasonic waves can be irradiated by application of electricity by a wire.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ultrasonic generator 42 may allow electrical application to be performed wirelessly.

한편 바람 등에 의해 조류가 센 경우 상기 초음파발생기(42)로 전달되는 조류에 의해 기계고장, 파손 등이 유발되거나 또한 초음파발생기(42)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계속적으로 상기 장착바(412)에 전달되는 경우 장착바(412)와 초음파발생기(42)의 접합부 부분에서 피로에 의한 열화가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urrent is strong due to wind or the like, mechanical failure or damage is caused by the current transmitt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2 , or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ultrasonic generator 42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mounting bar 412 . In this case, deterioration due to fatigue may occur at the joint portion of the mounting bar 412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42 .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발생기(42)는 초음파진동자가 구성되는 하우징(421)과, 상기 하우징(421) 상단에 돌출되며 탄성재질의 연결단(4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단(422)은 상기 장착바(412)에 고정수단(413)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the ultrasonic generator 42 includes a housing 421 including an ultrasonic vibrator, and a connecting end 422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housing 421 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connection end 422 presents an example of being fixed to the mounting bar 412 by a fixing means 413 .

상기 하우징(421)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초음파진동자가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421)과 상기 장착바(412)는 연결단(422)에 의해 연결이 되는데, 상기 연결단(422)은 탄성재질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421)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연결단(422)에서 완충이 되도록 하여 하우징(421) 자체로 인가되는 외력을 완화시키고, 하우징(421)에서 초음파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도 완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ousing 421 is constituted by an ultrasonic vibrator, and the housing 421 and the mounting bar 412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end 422 , the connecting end 422 . Silv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housing 421 is buffered at the connection end 422 to alleviat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ousing 421 itself, and to be generated by ultrasonic waves in the housing 421 It is also intended to dampen vibrations.

상기 연결단(422)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름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탄성복원력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단(422)의 재질은 탄성재질이면 그 한정이 없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necting end 422 may be configured in a wrinkled shape to improv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end 422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n elastic materi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구(41)는 철 등 강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고, 상기 연결단(422)은 고무 등 상기 장착구(41)에 비해 강성은 낮으나 탄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Preferably, the mounting hole 41 uses a material with excellent rigidity, such as iron, and the connecting end 42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low rigidity, such as rubber, but excellent elasticity compared to the mounting port 41. It is appropriate to use a material. .

이와 같이 구성되어 하우징(421) 자체로 인가되는 외력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단(422)이 완충시키도록 하는데, 태풍 등의 경우 임계값을 초과하는 외력이 하우징(421)에 작용시 상기 연결단(422)에서 찢김이 발생되도록 하여 에너지를 소산시킴으로써 전체 구조에 해가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찢어짐은 상기 장착바(412)에 고정수단(413)에 의해 부착된 연결단(422) 부분에서 발생되어질 것이다. 즉 장착바(412)에 강성의 연결단(422)에 의해 하우징(421)이 고정되는 경우 외력에 대한 완충작용이 없음은 물론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강성에 의해 부표(2)가 파괴되는 등 전체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다.In this wa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ousing 421 itself causes the connection end 422 to buffer it as mentioned above. By dissipating energy by causing a tear to occur at the connection end 422, it is possible to control damage to the entire structure. Here, the tear will be generated in the portion of the connection end 422 attached to the mounting bar 412 by the fixing means 413 . That is, when the housing 421 is fixed to the mounting bar 412 by the rigid connection end 422, there is no buffer action against external force, and when an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threshold acts, the buoy 2 is formed by rigidity. It can damage the entire structure, such as destruction.

이에 더하여 상기 하우징(421) 배면과 상기 차단막(53)을 연결하는 연결구(5)가 더 구성되는데, 상기 연결구(5)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단에 고정후크(52, 53)와 고정후크(52, 53) 간을 연결하는 탄성줄(51)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우징(421)의 배면에는 연결고리(423)가 더 구성되어 고정후크(52)와 연결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In addition to this, a connector 5 for conne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421 and the blocking film 53 is further configured, and the connector 5 includes fixing hooks 52 and 53 and fixing hooks at both ends as shown in the drawing. 52, 53) is composed of an elastic string 51 connecting the liver. To this end, a connecting ring 423 is further configur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421 to be connected to the fixing hook 52 .

이와 같이 연결구(5)를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하우징(421)에 작용시 연결단(422)이 찢어짐에 의해 에너지가 소산된 하우징(421)이 분리되는데 이렇게 분리된 하우징(421)이 상기 차단막(53)에 연결구(5)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후에 하우징(421)을 재이용하기가 용이한 것이며, 하우징(421)의 분실에 의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도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connector 5 in this way is that, as mentioned above, when an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threshold is applied to the housing 421, the housing 421 in which the energy is dissipated by the tearing of the connection end 422 is separated. Since the housing 421 separated in this way is fixed to the blocking film 53 by the connector 5, it is easy to reuse the housing 421 afterward, and the loss of the housing 421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The problem is to get it under control.

이를 위해 상기 탄성줄(51)은 여유 있는 길이로 구성하여 하우징(421)의 분리전에 차단막(53)에 인가된 외력이 하우징(421)으로 전달되는 것은 차단토록 하여야 한다. 즉 탄성줄(51)은 하우징(421)이 외력에 의한 분리이후 하우징(421)을 차단막(53)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To this end, the elastic cord 51 is configur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to block transmission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locking film 53 to the housing 421 before separation of the housing 421 . That is, the elastic cord 51 should be such that the function of fixing the housing 421 to the blocking film 53 after the housing 421 is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is expressed.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녹조를 유발하는 조류, 특히 남조류는 낮 동안 태양빛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수행하기 위해 수면에 인접하게 떠 있지만, 밤에는 더 깊게 가라앉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낮과 밤에 초음파 조사영역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되는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다. Meanwhile, as mentioned above, algae causing algae, particularly blue-green algae, float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to perform photosynthesis using sunlight during the day, but sink deeper at nigh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ultrasonic irradiation area during the day and at night.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and 5 .

본 실시예의 초음파발생부(4)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도센서(431)를 포함하는 제어부(43); 상기 제어부(43)의 하부에서 상기 부표(2)에 장착이 되는 장착구(41); 상기 장착구(41)의 일단에 상기 조도센서(431)와 연동하여 힌지연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초음파발생기(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ltrasonic generator 4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ler 43 including an illuminance sensor 431 as shown in FIG. 4 ; a mounting hole 41 that is mounted on the buoy 2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 unit 43;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ultrasonic generator 42 mounted to one end of the mounting hole 41 in conjunction with the illuminance sensor 431 to enable hinge interlocking.

상기 제어부(43)는 상기 장착구(41)의 상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조도센서(431)가 구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구동수단(432)이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43 is configu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hole 41 , and an illuminance sensor 431 is configured, and although not shown in FIG. 4 , a driving means 432 is configured.

상기 조도센서(431)는 다양한 공지구성이 적용 가능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The illuminance sensor 431 can be applied in various known configurations,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장착구(41)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착링(411)과 장착바(412)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바(412)는 끝단에서 상기 초음파발생기(42)와 힌지결합(414)이 된다. The mounting hole 41 is composed of a mounting ring 411 and a mounting bar 412 as mentioned above, and the mounting bar 412 has the ultrasonic generator 42 and a hinge coupling 414 at the end thereof. do.

상기 힌지결합(414)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도센서(431)와 연동하는 구동수단(432)의 제어에 의해 힌지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수단(432)에 의한 힌지결합(414)의 힌지연동은 기어연동 등 다양한 공지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The hinge coupling 414 is to enable hinge interlocking by the control of the driving means 432 interlocking with the illuminance sensor 431 as shown in FIG. 5 . Here, since the hinge interlocking of the hinge coupling 414 by the driving means 432 can be applied to various known technologies such as gear interlocking,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도센서(431)에 의해 낮으로 감지되는 경우 구동수단(432)이 힌지결합(414)을 제어하여 초음파발생기(42)가 수면부근으로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고, 조도센서(431)에 의해 밤으로 감지되는 경우 구동수단(432)이 힌지결합(414)을 제어하여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음파발생기(42)가 하방향의 수중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으로 녹조의 제거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Wit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 , when the light sensor 431 detects the daytime, the driving means 432 controls the hinge coupling 414 so that the ultrasonic generator 42 is irradiated with ultrasonic waves near the water surface. And when it is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431 as night, the driving means 432 controls the hinge coupling 414 so that the ultrasonic generator 42 is irradiated to the water in the downward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is action is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green algae.

1 : 본 발명 2 : 부표
3 : 차단막 4 : 초음파발생부
5 : 연결구
1: present invention 2: buoy
3: blocking film 4: ultrasonic generator
5: connector

Claims (6)

부표;
상기 부표에 장착되며 수중으로 구성되어 녹조의 유동을 제어하는 차단막;
상기 부표에 장착되는 초음파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상기 부표에 탈착이 가능한 장착구와, 상기 장착구의 일단에 구성되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구는,
상기 부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착링과, 상기 장착링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장착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반응벽체.
buoy;
a barrier film mounted on the buoy and configured in the water to control the flow of algae;
Including; ultrasonic generator mounted on the buoy;
The ultrasonic generator,
It includes a mounting tool detachable to the buoy, and an ultrasonic generator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tool,
The mounting tool is
An ultrasonic reaction wall comprising a mounting ring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uoy, and a mounting ba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mounting 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초음파진동자가 구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돌출되며 탄성재질의 연결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단은 상기 장착바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반응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ultrasonic generator is composed of a housing comprising an ultrasonic vibrator, and a connecting end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connecting end is an ultrasonic reaction wall,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mounting bar by a fixing mean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배면과 상기 차단막을 연결하는 연결구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반응벽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ultrasonic reaction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or conne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blocking fil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서 상기 부표에 장착이 되는 장착구; 상기 장착구의 일단에 상기 조도센서와 연동하여 힌지연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반응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ultrasonic generator includes: a control unit including an illuminance sensor; a mounting hole that is mounted on the buoy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unit; Ultrasonic reaction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ltrasonic generator mounted on one end of the mounting hole to be hinged in conjunction with the illuminance sensor.
KR1020210119238A 2021-09-07 2021-09-07 Ultrasonic reaction wall KR1023650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38A KR102365026B1 (en) 2021-09-07 2021-09-07 Ultrasonic reaction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38A KR102365026B1 (en) 2021-09-07 2021-09-07 Ultrasonic reaction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026B1 true KR102365026B1 (en) 2022-02-23

Family

ID=8049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238A KR102365026B1 (en) 2021-09-07 2021-09-07 Ultrasonic reaction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02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86B1 (en) * 2007-05-16 2007-08-29 이길준 A device for removing algae using ultrasonic and solar energy
KR101235053B1 (en) 2010-07-22 2013-02-19 (주)인바이어플랜텍 Ultrasonic waves system for removing water bloom
KR101750280B1 (en) * 2013-12-20 2017-07-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duction apparatus of large scale green tide by daf process at strea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84581A (en) *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캡쳐 Green algae eliminate apparatus using supersonic wav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86B1 (en) * 2007-05-16 2007-08-29 이길준 A device for removing algae using ultrasonic and solar energy
KR101235053B1 (en) 2010-07-22 2013-02-19 (주)인바이어플랜텍 Ultrasonic waves system for removing water bloom
KR101750280B1 (en) * 2013-12-20 2017-07-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duction apparatus of large scale green tide by daf process at strea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84581A (en) *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캡쳐 Green algae eliminate apparatus using supersonic wav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17867T3 (en) Mooring system
KR101336272B1 (en) Device for repelling aquatic creatures and array comprising the same
KR101017475B1 (en) Tidal current power apparatus having subsea swivel
KR102365026B1 (en) Ultrasonic reaction wall
KR101137560B1 (en) install way of a silt protect using a anchor of arm type
CN205975480U (en) Flat ripples device of gardens water bank
KR20150045128A (en) Marine organism sticking prevention device
KR102447409B1 (en) Moorage system of floating solar power structure for minimizing marine organism adherence
WO1998027810A1 (en) Installation for growing fish in the open sea
JP2004068268A (en) Pollution control equipment during dredging work and pollution control method
JP2005193735A (en) Mooring device
JP3677032B1 (en) Mooring equipment
JP3117285U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KR20160034140A (en) Buoyancy lifter
JP2005090098A (en) Floating pool
CN106223263B (en) A kind of flat wave apparatus of gardens waterfront
EP2320068A1 (en) Device for converting wave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KR200346967Y1 (en) Waste material removal system of underwater construction
KR200359264Y1 (en) A water dirt fence of a submergence or float type which has a preventing means about a bad weather and a adhesion living thing on the water
JPS6136414A (en) Water pollution preventing film
JP2660678B2 (en) Floating seawater exchange device
JP6202676B2 (en) Pollution prevention membrane device
KR100495818B1 (en) A water dirt fence of a submergence or float type which has a preventing means about a bad weather and a adhesion living thing on the water
KR0184783B1 (en) Floating wave absorber
US20040197148A1 (en) Fluid flow control b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