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964B1 -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 Google Patents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964B1
KR102364964B1 KR1020210078840A KR20210078840A KR102364964B1 KR 102364964 B1 KR102364964 B1 KR 102364964B1 KR 1020210078840 A KR1020210078840 A KR 1020210078840A KR 20210078840 A KR20210078840 A KR 20210078840A KR 102364964 B1 KR102364964 B1 KR 102364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op
displaying
message
sport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8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종희
Original Assignee
(주)생존수영교육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생존수영교육연구소 filed Critical (주)생존수영교육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07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9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9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A user can learn how to use the changing room for facility use, how to use the shower, and rules by using a VR device when entering the sports center. The training system includes: an EEG sensor; a camera part; a motion sensor; left and right lens parts; an audio output part; a memory part; a wireless communication part; and a microcontroller (MCU).

Descrip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 헤드셋과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스포츠센터 이용방법을 순차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rts center use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to sequentially learn how to use a sports center using a virtual reality headset and a controller.

일반적으로 수영장, 헬스클럽 등의 스포츠센터 또는 다양한 물놀이시설이 구비된 워터파크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탈의실에서 옷을 갈아입어야 한다.In general, if you use a sports center such as a swimming pool or a health club or a water park equipped with various water play facilities, you must change your clothes in the changing room.

대부분의 성인들은 이용 방법을 교육하지 않아도, 다른 이용자들의 이용방법에 따라 이용하거나, 관리자에게 물어보거나, 이용안내 표지판에서 이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므로, 이용하는데 큰 어려움 없다. Most adults use it according to the usage method of other users, ask the manager, or obtain information on the usage method from the usage guide sign, even without education on how to use it, so there is no difficulty in using it.

그러나, 이용자가 처음 이용하는 어린이나 청소년 등일 경우에는 이용방법과 함께 지켜야할 규칙 등을 미리 학습을 통해 훈련이 필요하다.However, if the user is a child or teenager who uses it for the first time, training is necessary through learning in advance about how to use it and the rules to be followed.

이러한 스포츠센터 또는 워터파크 등을 처음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어린 학생일수록 익숙하지 않은 이용방법으로 인해 혼란을 격거나, 집중도가 떨어져 안전사고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The younger the users who use these sports centers or water parks for the first time, the more confused they are due to the unfamiliar usage method, or the lower the concentration, the more vulnerable they are to safety accidents.

국내 특허공개 2002-0011663 호 (공고일 2002.02.09.)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2002-0011663 (Announcement date: 2002.02.09.)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포츠센터 입장부터 시설 이용을 위한 탈의실 이용, 샤워장 이용 방법 및 규칙과 질서를 VR기기를 이용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learns to use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to learn the rules and order from the sports center position to the use of the changing room for facility use, the shower room use method, and rules and order using a VR devic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시스템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가상현실 영상과 음성을 제공하도록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 프로그램이 내장된 가상현실(VR)헤드셋과 사용자에 의한 화면 설정 및 옵션 선택을 위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스포츠센터 이용방법 학습을 수행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VR헤드셋은 착용시 사용자의 이마 부분과 접촉하여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센서; 사용자의 눈동자의 움직임 방향 및 각도를 감지하는 카메라부; 사용자의 머리를 움직임 방향 및 각도를 감지하는 움직임센서; 사용자에게 이미지/동영상 화면을 제공하는 좌,우 렌즈부; 음성메시지 또는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을 위한 음성/영상/동영상과, 이를 선택/실행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메모리부; 상기 컨트롤러 또는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뇌파센서로부터 입력된 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집중도를 시간대별로 산출하고, 상기 카메라부 또는 움직임센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시선 또는 움직임 방향에 따른 화면을 이동시키고,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입력받아 해당 화면을 상기 좌,우 렌즈부를 통해 표시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M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orts center use lear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with a built-in sports center use learning program so that the user wears it on the head and provides virtual reality images and voices and In a sports center use lear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to learn how to use a sports center using a controller for screen setting and option selection, the VR headset is an EEG sensor that measures brain waves by contacting a user's forehead when worn ; a camera unit that detects the movement direction and angle of the user's pupils;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direction and angle of movement of the user's head; Left and right lens units that provide image/video screens to users;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or a sound signal; a memory unit equipped with software for providing various contents by receiving audio/video/video and a selection/execution control signal for learning using a sports cente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or an external device; and executing the sports center use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calculating the user's concentration for each time period using the EEG input from the EEG sensor, and the user's gaze or movement direction inputted through the camera unit or the motion sens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controller (MCU) that moves the screen according to the and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screen through the left and right lens units.

상기 MCU는 사용자가 상기 VR헤드셋을 이용하여 스포츠센서 이용 학습을 수행 중에 산출된 집중도와 기 설정된 기준 집중도를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 집중도 이하 일 경우 재 학습하도록 상기 좌,우 렌즈부를 통해 화면으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CU displays a message on the screen through the left and right lenses so that the user can re-learn when the concent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concentration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calculated while performing sports sensor learning using the VR headset and the preset reference concentration.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가상현실 영상과 음성을 제공하도록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 프로그램이 내장된 가상현실(VR)헤드셋과 사용자에 의한 화면 설정 및 옵션 선택을 위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스포츠센터 이용방법 학습을 수행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에 있어서, 상기 VR헤드셋의 화면을 통해 스포츠센터 로비 배경화면과 로비에서의 주의사항 메시지 및 영상을 출력하는 제1과정; 상기 VR헤드셋의 화면을 통해 스포츠센터 탈의실 배경화면과 주의사항 및 물품 보관함 이용 방법을 순차적으로 팝업화면을 통해 메시지로 출력하는 제2과정; 상기 VR헤드셋의 화면을 통해 샤워장 배경화면으로 전환하고, 샤워장 이용시 주의사항을 팝업화면을 통해 이미지 및 텍스트 메시지 또는 동영상을 출력하는 제3과정; 및 상기 VR헤드셋의 화면을 통해 샤워장 이용 후 탈의실 및 물품 보관함 이용 방법을 팝업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learning to use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with a built-in sports center use learning program and a screen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wears it on the head and provides virtual reality images and voices. In the sports center use learning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to learn how to use the sports center using a controller for setting and option selection, the sports center lobby background screen and notice message in the lobby through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and a first process of outputting an image; a second process of sequentially outputting a sports center dressing room background screen, precautions, and a method of using the locker through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as a message through a pop-up screen; a third process of switching to a shower background screen through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and outputting an image and a text message or a video through a pop-up screen for precautions when using the shower; and a fourth process of displaying, through a pop-up screen, how to use the changing room and the locker after using the shower through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여기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탈의실 화면 중 탈의실 바닥을 선택 클릭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팝업화면에 표시하는 11단계;Here, the second process is an 11 step of using the controller to display a message requesting a click to select a floor of the changing room from among the screens of the changing room on a pop-up screen;

상기 11단계의 팝업화면 확인 후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바닥을 선택하면 팝업화면을 통해 물 표시와 함께 바닥이 물로 젖어 있을 경우 미끄러지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12단계; 상기 12단계 이후 물품보관함 선택 메시지를 팝업화면에 표시하는 13단계; 상기 13단계 이후 사용자의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화면에 표시된 물품보관함을 선택 클릭함에 따라 상기 팝업화면에 다수의 물품보관함 번호를 표시하는 14단계; 상기 팝업화면에 표시된 물품보관함 번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시지를 표시함과 아울러 선택한 물품보관함 번호를 기억하도록 메시지를 표시하는 15단계; 상기 사용자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보관함 번호 중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VR헤드셋에 내장된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16단계; 및 상기 팝업화면을 통해 물품보관함의 문이 열리는 이미지를 팝업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1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12 step of displaying a message to be careful not to slip when the floor is wet with water along with a water display through the pop-up screen when the user selects the floor using the controller after checking the pop-up screen in step 11; Step 13 of displaying an item locker selection message on a pop-up screen after step 12; Step 14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locker numbers on the pop-up screen by selecting and clicking the lockers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user's controller after step 13; 15 step of displaying a message to select one of the locker numbers displayed on the pop-up screen and displaying a message to memorize the selected locker number; 16 step of using the user's controller to store the selected one of the locker numbers in a memory unit built into the VR headset; and step 17 of displaying, through the pop-up screen, an image of the door of the locker being opened through the pop-up screen.

상기 제4과정에서 상기 VR헤드셋은 샤워장 이용 후 옷을 갈아입기 위한 탈의실 화면으로 전환하는 21단계; 상기 팝업화면을 통해 다수의 물품보관함 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15단계에서 선택했던 동일한 물품보관함 번호를 선택하도록 메시지를 표시하는 22단계; 상기 사용자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선택된 물품보관함 번호와 상기 16단계에서 상기 VR헤드셋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물품보관함 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23단계; 상기 23단계에서 물품보관함 번호 일치여부 판단결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를 상기 팝업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22단계로 리턴하는 24단계; 상기 23단계에서 물품보관함 번호 일치여부 판단결과 일치할 경우 이를 상기 팝업화면에 표시하는 25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22 내지 24단계는 물품보관함 번호가 일치할 때 까지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p 21 of converting the VR headset to a changing room screen for changing clothes after using the shower in the fourth process; 22 step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locker numbers through the pop-up screen and displaying a message to select the same locker number selected in step 15; 23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lock box number selected by the user using the controller matches the lock box number stored in the memory unit of the VR headset in step 16; 24 step of displaying this on the pop-up screen and returning to step 22 if the lock box number does not match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23; In step 23, if the lock box number matche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tep 25 of displaying it on the pop-up screen; but, steps 22 to 24 ar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lock box numbers match.

상기 제3과정은 VR헤드셋의 화면에 샤워장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샤워장의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샤워기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팝업화면을 통해 메시지를 출력하는 31단계; 상기 사용자의 컨트롤러 조작을 통해 선택 입력된 샤워기를 표시하는 32단계; 상기 샤워장에서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을 팝업화면을 통해 이미지 및 메시지로 표시하는 33단계; 및 팝업화면을 통해 수영가방의 이미지 및 수영복 착용 이미지와 함께 수영가방의 위치와 물온도를 체크 후 샤워한 후 수영복과 수영모 착용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3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process comprises: displaying a shower screen screen on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and outputting a message through a pop-up screen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shower head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hower room; 32 step of displaying the shower input selected through the user's controller manipulation; Step 33 of displaying safety precautions in the shower as images and messages through a pop-up screen; and step 34 of checking the location and water temperature of the swimming bag along with the image of the swimming bag and the image of wearing the swimsuit through the pop-up screen, and outputting a message guiding the wearing of the swimsuit and the swimming cap after taking a sh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은 VR헤드셋과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스포츠센터에 가기 전에 가상현실을 통해 이용방법을 순차적으로 학습하므로, 처음 스포츠센터를 이용하는 어린이들에게 정확한 이용방법을 순차적으로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고, 단순히 보고 듣는 일방적인 교육이 아니라, 사용자가 콘트롤러를 직접 선택 조작하므로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earning method for using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VR headset and a controller to sequentially learn how to use the sports center through virtual reality before the user goes to the actual sports center, so it is accurate for children using the sports center for the first time. It is possible to learn how to use sequentially and in a fun way, and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because the user directly selects and manipulates the controller rather than simply watching and listening.

특히, 스포츠센터를 처음 이용하는 어린이들의 경우 탈의실에서 물품보관함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데, 이를 물품보관함 번호를 미리 기억하고, 차후에 다시 기억하고 있는 물품보관함을 맞추도록 하므로 재미와 더불어 탈의실에서의 물품보관함 번호에 대한 기억의 중요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children who use the sports center for the first time have difficulties in using the locker in the locker room. The importance of memory can be learned effectively.

또한, 학습과정에서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시간대별 집중도를 산출하고, 집중도에 따라 학습결과를 예측하고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 재학습 여부를 판단하거나, 실제 스포츠센터 이용을 제한하는 등의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learning process, the user's brain waves are analyzed to calculate the concentration for each time period, and the learning result is predict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leve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방법 학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 도 3은 도 1에서 VR헤드셋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스포츠센터 로비에서의 주의사항을 학습하기 위한 화면 표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에서 탈의실 이용방법 및 주의사항을 학습하기 위한 화면 표시도이고,
도 8은 도 4에서 샤워장 이용방법 및 주의사항을 학습하기 위한 화면 표시도이고,
도 9는 도 4에서 샤워장 이용 후 탈의실 이용방법을 학습하기 위한 화면 표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ports center usage method lear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VR headset in FIG. 1,
4 is a flowchart of a learning process using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reen display for learning the precautions in the sports center lobby in Figure 4,
6 and 7 are screen display views for learning the changing room usage method and precautions in FIG. 4,
8 is a screen display for learning how to use the shower room and precautions in FIG. 4;
9 is a screen display for learning how to use the changing room after using the shower in FIG. 4 .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for learning using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을 위한 VR헤드셋의 착용상태도로서, VR헤드셋(10)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내측에 구비된 렌즈를 통해 화면을 표시하며, 머리를 좌,우,상,하로 움직일 때 이를 감지하여 움직임 각도에 따라 해당하는 방향의 화면을 이동 표시하고, 원격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기능을 동작하도록 하는 통상적인 VR헤드셋이고, 상기 VR헤드셋(10)과 무선 통신가능한 컨트롤러(20)는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고 상기 터치패드(21)를 누른 상태에서 이동시킴에 따라 원하는 선택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선택위치에서 실행버튼(22)을 누름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통상적인 리모컨으로 대체 가능하다.1 is a wearing state diagram of a VR headset for learning using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The VR headset 10 is worn by a user on the head and displays a screen through a lens provided inside, and the head is left, right, It is a normal VR headset that detects when it moves up and down, moves and displays the screen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angle,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and i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R headset 10 . The controller 20 moves to a desired selected position as the user holds it in his hand and moves the touch pad 21 while pressing, and executes a set function by pressing the execution button 22 at the selected position. It is configured and can be replaced with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로서, VR헤드셋(10)은 착용시 사용자의 이마 부분과 접촉하여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센서(12)를 부착하고, 사용자의 눈동자의 움직임 방향 및 각도를 감지하는 카메라부(13)와, 사용자의 머리를 움직임 방향 및 각도를 감지하는 움직임센서(14)와, 사용자에게 이미지/동영상 화면을 제공하는 좌,우 렌즈부(15)와, 음성메시지 또는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16)와, 선박사고 발생시 대처하기 위한 음성/영상/동영상과, 이를 선택/실행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메모리부(17)와, 컨트롤러(20) 또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18)와,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을 위한 음성/영상/동영상과, 이를 선택/실행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메모리부(17)와, 상기 컨트롤러 또는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18)와, 상기 메모리부(17)에 저장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뇌파센서(12)로부터 입력된 뇌파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집중도를 시간대별로 산출하고, 상기 카메라부(13) 또는 움직임센서(14)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시선 또는 움직임 방향에 따른 화면을 이동시키고, 상기 컨트롤러(20)의 조작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18)를 통해 입력받아 해당 화면을 상기 좌,우 렌즈부(15)를 통해 표시하는 MCU(11)로 구성된다.2 and 3 are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s of a sports center use lear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R headset 10 is an EEG sensor ( 12) is attached, and a camera unit 13 for detecting the direction and angle of movement of the user's eyes, a motion sensor 14 for detecting the direction and angle of movement of the user's head, and an image/video screen are provided to the user A left and right lens unit 15, an audio output unit 16 f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or a sound signal, an audio/video/video to cope with a ship accident, and a selection/execution control signal to receive it A memory unit 17 loaded with software that provides various content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8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20 or an external device, and audio/video/video for learning using a sports center, and selecting them / A memory unit 17 loaded with software that provides various contents by receiving a /execution control signal,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8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or an external device, and a sports center stored in the memory unit 17 Execute the learning content to use, analyze the EEG input from the EEG sensor 12 to calculate the user's concentration for each time period, and the user's gaze or movement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13 or the motion sensor 14 It is composed of an MCU 11 that moves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irection,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8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screen through the left and right lens units 15 . .

상기 MCU(11)는 상기 뇌파센서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서 뇌파를 분석하여 스포츠센서 이용 학습을 수행 중에 산출된 집중도와 기 설정된 기준 집중도를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 집중도 이하 일 경우 재 학습하도록 상기 좌,우 렌즈부를 통해 화면으로 메시지를 표시한다.The MCU 11 analyzes the EEG from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EEG sensor and compares the concentration calculated while performing sports sensor learning and a preset reference concentration to re-learning when the concent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reference concentration. A mess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lens unit.

또한, 상기 MCU(11)는 상기 카메라부(13) 또는 움직임센서(14)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시선 또는 움직임 방향에 따른 화면을 이동시키고, 상기 컨트롤러(20)의 조작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18)를 통해 입력받아 해당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In addition, the MCU 11 moves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gaze or movement direction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13 or the motion sensor 14, and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2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18) and configure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screen.

상기 메모리부(17)는 SD카드 형태의 메모리칩으로 구성되어, 상기 VR헤드셋(10)의 외부 일측면에 구비된 삽입홈을 통해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컨텐츠의 메모리칩을 삽입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7 is composed of a memory chip in the form of an SD card, and is detachable through an insertion groove provided on an external side of the VR headset 10 so that memory chips of various contents can be inserted.

이와 같이 구성된 VR헤드셋 및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learning process for using a sports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VR headset and controll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 프로그램이 탑재된 VR헤드셋을 착용하고, 사용자가 조작하는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보면서, 스포츠센터를 이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된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wears a VR headset equipped with a sports center use learning program, and learns a method of using a sports center while watching an image or video executed by a controller manipulated by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과정의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is a flowchart of a learning process using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착용한 VR헤드셋(10)의 화면을 통해 스포츠센터의 로비 영상과 함께, 팝업 메시지로 "안녕하세요~ 스포츠센터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로 환영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5의 (A) 참조)Referring to FIG. 5 , a welcome message is displayed as "Hello~ Welcome to the sports center" as a pop-up message along with the lobby image of the sports center through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10 worn by the user. (See Fig. 5 (A))

상기 VR헤드셋(10)의 팝업화면을 통해 스포츠센터 로비에서의 주의사항을 학습하기 위해 먼저, 팝업화면을 통해 "바닥을 한번 클릭해 주세요" 메시지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컨트롤러(20)의 터치버튼(21)과 실행버튼(22)를 조작하여 바닥에 표시된 포인트를 클릭한다. (도 5의 (B) 참조)In order to learn the precautions in the sports center lobby through the pop-up screen of the VR headset 10, first, when the message “Please click the floor once” is displayed through the pop-up screen, the user can press the touch button of the controller 20 Operate (21) and the execution button (22) to click the point displayed on the floor. (See Fig. 5 (B))

다음은 스포츠센터 로비를 배경화면으로 아이들이 부딪히는 이미지와 바닥이 미끄러우므로 뛰어다니지 않도록 메시지를 팝업화면에 표시한다. (도 5의 (C)참조)Next, a message is displayed on a pop-up screen to prevent children from running around because the floor is slippery and the image of children bumping into the sports center lobby as the background. (See Fig. 5 (C))

상기 VR헤드셋(10)의 팝업화면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리지 않고 그룹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주의시키기 위한 이미지와 메시지를 팝업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선생님께 알리지 않고 화장실을 가거나 그룹을 이탈하면 선생님이 걱정하니 선생님에게 꼭 말하고 이동하시길 바랍니다."라는 메시지를 팝업화면에 표시한다. (도 5의 (D) 참조)Images and messages for warning not to leave the group without informing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pop-up screen of the VR headset 10 are displayed on the pop-up screen. For example, the message “If you go to the bathroom or leave the group without notifying the teacher, the teacher is worried, so please tell the teacher and go.” is displayed on the pop-up screen. (See Fig. 5 (D))

상기 VR헤드셋(10)의 화면을 탈의실 화면으로 전환하고, 탈의실에서의 주의사항을 학습한다.The screen of the VR headset 10 is changed to a changing room screen, and precautions in the changing room are learned.

팝업화면을 통해 "바닥을 한번 클릭해주세요"와 함께 바닥에 버튼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6의 (A) 참조)Creates a button image on the floor along with "Please click the floor once" through the pop-up screen. (See Fig. 6 (A))

팝업화면에 물 형상의 팝업 애니메이션을 구현하고, "탈의실 바닥은 물로 젖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야합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해 준다.A pop-up animation in the shape of water is implemented on the pop-up screen, and a message is displayed saying, "The floor of the changing room is often wet with water, so you must prevent it from slipping."

다른 실시예로 탈의실의 바닥 화면의 일정 영역에 물기 이미지를 삽입하고, 팝업화면을 통해 물기 이미지를 찾아 선택하도록 메시지를 표시한 후,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20)를 이용하여 상기 물기 이미지를 찾아 선택하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nother embodiment, after inserting a wet image in a certain area of the floor screen of the dressing room and displaying a message to find and select the wet image through a pop-up screen, the user uses the controller 20 to find and select the wet image If you do, you can proceed to the next process.

이때, 사용자는 고개를 돌리거나, 눈동자를 움직이면서, 탈의실 바닥의 물기 이미지를 찾을 때 상기 VR헤드셋(10)의 움직임센서(14) 또는 카메라부(13)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MCU(11)에서 이동 각도만큼 해당 이동시킨 탈의실 화면을 상기 렌즈부(15)를 통해 표시해 준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turns his/her head or moves his/her eyes to find a wet image on the floor of the dressing room, the motion sensor 14 or the camera unit 13 of the VR headset 10 detects this, and the MCU 11 The changing room screen that has been moved by the moving angle is displayed through the lens unit 15 .

다음은 상기 VR헤드셋(10)의 화면을 통해 물품보관함 이용 방법을 순차적으로 팝업화면을 통해 학습하게 된다.Next, the method of using the locker is sequentially learned through the pop-up screen through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10 .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물품보관함 선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팝업화면에 표시한다.(도 7의 (A) 참조)In more detail, first, a message requesting to select a locker is displayed on the pop-up screen. (See (A) of FIG. 7)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20)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물품보관함을 선택 클릭하면, 상기 팝업화면에 다수의 물품보관함 번호를 표시한다.When the user selects and clicks a locker displayed on the screen using the controller 20, a plurality of locker numbers are displayed on the pop-up screen.

예를 들어, 팝업화면에 숫자 "12, 56, 7, 30"을 표시하면 사용자는 이중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본인이 사용한 신발장과 옷장 위치 그리고 번호를 잘 기억하도록 합니다"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7의 (B) 참조)For example, if the number "12, 56, 7, 30" is displayed on the pop-up screen, the user is prompted to select one of them, and the message "Please remember the location and number of the shoe closet and wardrobe you used" is displayed. . (See Fig. 7 (B))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20)을 이용하여 상기 팝업화면에 표시된 숫자 중 "56"번을 선택하면, 이를 상기 메모리부(17)에 저장한다.Here, when the user selects number "56" among the numbers displayed on the pop-up screen by using the controller 20 , it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7 .

상기 물품보관함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팝업화면을 통해 물품보관함의 문이 열리는 이미지를 팝업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개인 물품보관함 문에 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주의 메시지를 표시해 준다.When the locker is selected, an image of the door of the locker opening is displayed on the pop-up screen, and "You must make sure that you do not injure your head by the door of your personal locker." Displays a caution message.

상기 팝업화면을 통해 "탈의실에서는 수영복을 입지 말고, 깨끗하게 샤워 후 샤워장에서 입어주세요" 주의 메시지를 표시하여, 수영복은 샤워장에서 샤워 후에 입도록 안내 메시지를 표시한다. Through the pop-up screen, a caution message “Do not wear a swimsuit in the changing room, please wear it in the shower after showering cleanly” is displayed, and a message is displayed to guide the swimsuit to be worn after taking a shower in the shower.

또한, 팝업화면을 통해 "화장실은 수영장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다녀오시길 바라며"를 화장실 변기 이미지와 함께 표시해 주어, 화장실을 미리 다녀오도록 한다.In addition, through the pop-up screen, "I hope you go to the bathroom before entering the pool" is displayed along with the toilet image, so that you can go to the bathroom in advance.

다음은 샤워장에서의 이용방법 및 규칙을 학습하기 위하여 상기 VR헤드셋(10)의 화면을 통해 다수의 샤워기, 거울 등이 표시된 샤워실 영상을 표시한다.Next, an image of a shower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shower heads, mirrors, etc. are displayed is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10 in order to learn the usage method and rules in the shower room.

먼저, 팝업화면을 통해"샤워장에서는 큰소리로 떠들거나 뛰어다니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이니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메시지와 함께 어린이 들이 뛰어다니는 애니메이션 영상을 표시한다. (도 8의 (A)참조)First, through a pop-up screen, an animation video of children running around is displayed along with the message “If you make a loud noise or run in the shower, it is not recommended to do it because it is an action that harms other people”. (See Fig. 8 (A))

팝업화면을 통해 샤워장에서 장난치는 아이와 선생님의 이미지와 함께 "샴푸로 장난치면 바닥이 미끄러워져 다칠 수 있습니다."메시지를 표시하여 샤워장에서 샴푸로 장난치지 않도록 주의를 시킨다. (도 8의 (B) 참조)A pop-up screen displays the message “If you play with shampoo, the floor may become slippery and you may get hurt” along with images of children and teachers playing in the shower, to warn them not to play with shampoo in the shower. (See Fig. 8 (B))

또한, 상기 팝업화면을 통해 물장난하는 어린이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함께, 물장난하지 않도록 메시지를 표시하는 (도 8의 (C) 참조)In addition, along with an image or video of a child playing in the water through the pop-up screen, a message is displayed not to play in the water (refer to (C) of FIG. 8)

팝업화면을 통해 "샤워기를 클릭해 주세요"메시지와 함께 샤워기를 표시해 준다. (도 8의 (D) 참조)The shower is displayed along with the message "Please click the shower" through the pop-up screen. (See Fig. 8 (D))

사용자는 상기 화면의 샤워기 이미지에 표시된 샤워기를 컨트롤러(20)을 조작하여 선택한다.The user selects the shower displayed in the shower image on the screen by manipulating the controller 20 .

상기 샤워장에서 마지막으로 샤워를 마친 후 수영복을 입도록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팝업화면을 통해 "샤워하기 전 수영가방 위치, 물온도를 체크 후 씻고 나서 수영복과 수영모를 착용하셔야 합니다." 안내 메시지를 표시해 줌과 아울러 팝업화면에 수영가방, 온도계 및 수영복과 수영모를 착용한 이미지를 표시해 준다.After the last shower in the shower room, a message is displayed to inform the user to wear a swimsuit. For example, through the pop-up screen, "Before taking a shower, check the location of the swimming bag and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n wear a swimsuit and swim cap after washing." In addition to displaying a guide message, it also displays a swimming bag, a thermometer, and an image wearing a swimsuit and a swimming cap on the pop-up screen.

도 9는 수영이 끝나고 샤워장에서 샤워를 마치고 다시 옷을 갈아입기 위해 탈의실을 이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기 위한 화면의 일 실시예를 보인 화면표시도이다.9 is a screen display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creen for learning how to use the changing room to change clothes again after swimming and taking a shower in the shower room.

상기 VR헤드셋(10)의 샤워장 화면에서 탈의실 화면으로 전환한 후 팝업화면을 통해 물품보관함 번호를 표시한 자신이 선택했던 물품보관함 번호를 기억하고 선택하도록 한다. (도 9의 (A) 참조)After switching from the shower screen of the VR headset 10 to the changing room screen, the user selects and remembers the locker number he selected, which displays the locker number through the pop-up screen. (See Fig. 9 (A))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20)을 조작하여 처음 탈의실에서 자신이 선택했던 물품보관함 번호를 선택한다. The user operates the controller 20 to select the locker number that he or she has selected in the changing room for the first time.

사용자가 번호 '7'을 선택했다면, 상기 메모리부(17)에 저장된 사용자의 최초 선택번호 '56'를 비교하여 틀릴 경우 이를 팝업화면의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가 틀렸음을 표시해주고, 정확한 번호를 선택할 때까지 이를 반복하게 된다.If the user selects the number '7', the user's first selection number '56' stored in the memory unit 17 is compared and if it is wrong, it displays that the number selected by the user on the pop-up screen is incorrect, and selects the correct number. repeat this until

만약, 사용자가 번호 '56'을 선택했다면, 상기 메모리부(17)에 저장된 상기 최초 선택번호 '56'과 동일하므로, 선택된 번호가 맞았음을 표시해 준다.If the user selects the number '56', since it is the same as the first selection number '56' stored in the memory unit 17, it is displayed that the selected number is correct.

이와 같이 퇴실시에 탈의실에서의 이용방법을 학습을 완료하므로, 스포츠센터 이용방법에 대한 학습을 마치게 된다.In this way, since learning how to use the changing room is completed upon departure, learning about how to use the sports center is completed.

한편, 상기 스포츠센터 로비의 이용방법 학습, 탈의실 이용방법, 샤워장 이용방법, 퇴실시의 탈의실 이용방법을 학습하는 각 과정에서의 상기 MCU(11)은 상기 뇌파센서(12)로부터 수집된 전기적 뇌파신호를 분석하여 각 과정에서의 집중도 및 전체 평균 집중도를 산출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CU 11 in each process of learning how to use the sports center lobby, how to use the changing room, how to use the shower, and how to use the changing room at the time of leaving, the electric EEG collected from the EEG sensor 12 . By analyzing the signal, the concentration in each process and the overall average concentration are calculated.

상기 산출된 집중도와 기 설정된 기준 집중도를 비교하여 기준값 이하일 경우에는 재학습하도록 상기 좌,우 렌즈부를 통해 화면으로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재학습 여부를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게 된다. By comparing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with a preset reference concentration, if it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 mess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left and right lens units to relearn, or used as basic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lear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헤드셋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sports center using a VR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10 : VR헤드셋 11 : MCU
12 : 뇌파측정센서 13 : 움직임센서
14 : 카메라 15 : 렌즈
16 : 음성출력부 17 : 메모리부
18 : 무선통신부 20 : 컨트롤러
21 : 터치패드 22 : 실행버튼
10: VR headset 11: MCU
12: EEG sensor 13: motion sensor
14: camera 15: lens
16: audio output unit 17: memory unit
18: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 controller
21: touchpad 22: run button

Claims (1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가상현실 영상과 음성을 제공하도록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 프로그램이 내장된 가상현실(VR)헤드셋과 사용자에 의한 화면 설정 및 옵션 선택을 위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스포츠센터 이용방법 학습을 수행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에 있어서,
상기 VR헤드셋의 화면을 통해 스포츠센터 로비 배경화면과 로비에서의 주의사항 메시지 및 영상을 출력하는 제1과정;
상기 VR헤드셋의 화면을 통해 스포츠센터 탈의실 배경화면과 주의사항 및 물품 보관함 이용 방법을 순차적으로 팝업화면을 통해 메시지로 출력하는 제2과정;
상기 VR헤드셋의 화면을 통해 샤워장 배경화면으로 전환하고, 샤워장 이용시 주의사항을 팝업화면을 통해 이미지 및 텍스트 메시지 또는 동영상으로 출력하는 제3과정; 및
상기 VR헤드셋의 화면을 통해 샤워장 이용 후 탈의실 및 물품 보관함 이용 방법을 팝업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
Learning how to use the sports center by using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with a built-in sports center use learning program and a controller for screen setting and option selection by the user to wear on the user's head and provide virtual reality images and audio In the learning method of using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a first process of outputting a sports center lobby background screen and a notice message and an image in the lobby through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a second process of sequentially outputting a sports center dressing room background screen, precautions, and a method of using the locker through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as a message through a pop-up screen;
a third process of switching to a shower background screen through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and outputting precautions when using the shower as images, text messages, or videos through a pop-up screen; and
A fourth process of displaying, through a pop-up screen, how to use a changing room and a locker after using the shower room through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a method for learning to use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상기 VR헤드셋의 팝업화면을 통해 이미지 및 텍스트로 스포츠센터 로비를 배경화면으로 아이들이 부딪히는 이미지와 바닥이 미끄러우므로 뛰어다니지 않도록 메시지를 표시하는 1단계; 및
상기 1단계 후 관리자에게 알리지 않고 그룹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주의시키기 위한 이미지와 메시지를 팝업화면에 표시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process is a first step of displaying a message through the pop-up screen of the VR headset to prevent children from running around because the image and text on the sports center lobby as a background screen and the floor is slippery; and
After the first step, the second step of displaying an image and a message on a pop-up screen to warn the manager not to leave the group without informing the manag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탈의실 화면 중 탈의실 바닥을 선택 클릭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팝업화면에 표시하는 11단계;
상기 11단계의 팝업화면 확인 후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바닥을 선택하면 팝업화면을 통해 물 표시와 함께 바닥이 물로 젖어 있을 경우 미끄러지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12단계;
상기 12단계 이후 물품보관함 선택 메시지를 팝업화면에 표시하는 13단계;
상기 13단계 이후 사용자의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화면에 표시된 물품보관함을 선택 클릭함에 따라 상기 팝업화면에 다수의 물품보관함 번호를 표시하는 14단계;
상기 팝업화면에 표시된 물품보관함 번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시지를 표시함과 아울러 선택한 물품보관함 번호를 기억하도록 메시지를 표시하는 15단계;
상기 사용자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보관함 번호 중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VR헤드셋에 내장된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16단계; 및
상기 팝업화면을 통해 물품보관함의 문이 열리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1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process is an 11 step of using the controller to display a message requesting a click to select and click on the floor of the changing room among the screens of the changing room on a pop-up screen;
12 step of displaying a message to be careful not to slip when the floor is wet with water along with a water display through the pop-up screen when the user selects the floor using the controller after checking the pop-up screen in step 11;
Step 13 of displaying an item locker selection message on a pop-up screen after step 12;
Step 14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locker numbers on the pop-up screen by selecting and clicking the lockers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user's controller after step 13;
15 step of displaying a message to select one of the locker numbers displayed on the pop-up screen and displaying a message to memorize the selected locker number;
16 step of using the user's controller to store the selected one of the locker numbers in a memory unit built into the VR headset; and
17. A method for learning to use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step 17 of displaying an image of the door of the locker being opened through the pop-up scree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2단계에 부가하여 탈의실의 바닥 화면의 일정 부분에 물기 이미지를 삽입하고, 팝업화면을 통해 물기 이미지를 찾아 선택하도록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물기 이미지를 찾아 선택하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inserting a wet image in a certain part of the floor screen of the dressing room in addition to step 12, and displaying a message to find and select the wet image through a pop-up screen; and
When the user finds and selects the bite image by using the controller, proceeding to the next process; a sports center use learning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7단계에 부가하여 팝업화면을 통해 수영복은 탈의실에서 입지 말고, 샤워장에서 샤워 후에 입도록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ethod of using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a message through a pop-up screen in addition to the step 17 so that the swimsuit should be worn after the shower in the shower instead of in the changing room through the pop-up scree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7단계에 부가하여 팝업화면을 통해 화장실 변기 이미지와 함께 화장실은 수영장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다녀오도록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ethod of using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step 17,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 guide message to go to the bathroom in advance before entering the pool together with the toilet image through a pop-up scree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 상기 VR헤드셋은 샤워장 이용 후 옷을 갈아입기 위한 탈의실 화면으로 전환하는 21단계;
상기 팝업화면을 통해 다수의 물품보관함 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15단계에서 선택했던 동일한 물품보관함 번호를 선택하도록 메시지를 표시하는 22단계;
상기 사용자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선택된 물품보관함 번호와 상기 16단계에서 상기 VR헤드셋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물품보관함 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23단계;
상기 23단계에서 물품보관함 번호 일치여부 판단결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를 상기 팝업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22단계로 리턴하는 24단계;
상기 23단계에서 물품보관함 번호 일치여부 판단결과 일치할 경우 이를 상기 팝업화면에 표시하는 25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22 내지 24단계는 물품보관함 번호가 일치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Step 21 of converting the VR headset to a changing room screen for changing clothes after using the shower in the fourth process;
22 step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locker numbers through the pop-up screen and displaying a message to select the same locker number selected in step 15;
23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the locker selected using the user's controller matches the number of the locker stored in the memory unit of the VR headset in step 16;
24 step of displaying this on the pop-up screen and returning to step 22 if the lock box number does not match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23;
In step 25, if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locker number matches in step 23 is the same, displaying it on the pop-up screen;
Steps 22 to 24 are a learning method using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locker number match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VR헤드셋의 화면에 샤워장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샤워장에서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을 팝업화면을 통해 이미지 및 메시지로 표시하는 31단계;
상기 샤워장의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샤워기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팝업화면을 통해 메시지를 출력하는 32단계;
상기 사용자의 컨트롤러 조작을 통해 선택 입력된 샤워기를 표시하는 33단계; 및
팝업화면을 통해 수영가방의 이미지 및 수영복 착용 이미지와 함께 수영가방의 위치와 물온도를 체크 후 샤워한 후 수영복과 수영모 착용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3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hird process is a step 31 of displaying a shower room screen on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and displaying safety precautions in the shower room as images and messages through a pop-up screen;
32 step of outputting a message through a pop-up screen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shower head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hower room;
33 step of displaying the shower input selected through the user's controller manipulation; and
Step 34 of checking the location and water temperature of the swimming bag along with the image of the swimming bag and the image of wearing a swimsuit through a pop-up screen, and outputting a message guiding to wear a swimsuit and a swimming cap after taking a shower; A learning method using a sports center using realit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1단계는 VR헤드셋의 화면에 샤워장 화면을 표시하며, 팝업화면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린이가 뛰는 이미지와 함께 큰 소리로 떠들거나 뛰어다니지 않도록 메시지를 표시하는 41단계;
상기 41단계를 일정시간 표시한 후 팝업화면을 통해 샴푸로 장난치는 이미지와 함께 샴푸로 장난치면 바닥이 미끄러워 다칠 수 있음을 경고 메시지로 표시하는 42단계; 및
상기 팝업화면을 통해 물장난하는 어린이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함께, 물장난하지 않도록 메시지를 표시하는 4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step 31, displaying a shower room screen on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and displaying a message through a pop-up screen so as not to make a loud noise or run around together with an image of at least one or more children running;
Step 42 of displaying the above step 41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through a pop-up screen indicating that if you play with shampoo, the floor is slippery and you may get hurt; and
43. A method for learning using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comprising: displaying a message not to play in the water along with an image or video of a child playing in the water through the pop-up scree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과정 수행 중에 사용자의 뇌파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여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을 수행 중에 산출된 집중도와 기 설정된 기준 집중도를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 집중도 이하 일 경우 재학습하도록 상기 VR헤드셋의 화면으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During the first to fourth processes, the user's brain wave signal is measured and analyzed, and the concentration calculated while performing sports center use learning is compared with a preset reference concentration, and the screen of the VR headset to re-learn when the concent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reference concentration. Displaying a message as; Learning method using a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10078840A 2021-06-17 2021-06-17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KR1023649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40A KR102364964B1 (en) 2021-06-17 2021-06-17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40A KR102364964B1 (en) 2021-06-17 2021-06-17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964B1 true KR102364964B1 (en) 2022-02-18

Family

ID=8049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840A KR102364964B1 (en) 2021-06-17 2021-06-17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96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913B1 (en) 2022-05-09 2023-07-31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Gmp practi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based contents
KR102566027B1 (en) 2022-05-09 2023-08-14 (주)테라모션 Gmp practi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based content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63A (en) 2000-08-03 2002-02-09 박인철 Providing method for using service of sports center on internet and its system
US20170259167A1 (en) * 2016-03-14 2017-09-14 Nathan Sterling Cook Brainwave virtual reality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04088A (en) * 2017-07-03 2019-01-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o Sensors
KR20190019180A (en) * 2016-06-20 2019-02-26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for evaluation and correction of neur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visual processing and perceptual states
KR20200065834A (en) * 2018-11-30 2020-06-09 (주)민트팟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user response of vr contents, and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the vr contents
KR102165592B1 (en) * 2019-11-15 2020-10-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Reality Contents System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63A (en) 2000-08-03 2002-02-09 박인철 Providing method for using service of sports center on internet and its system
US20170259167A1 (en) * 2016-03-14 2017-09-14 Nathan Sterling Cook Brainwave virtual reality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19180A (en) * 2016-06-20 2019-02-26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for evaluation and correction of neur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visual processing and perceptual states
KR20190004088A (en) * 2017-07-03 2019-01-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o Sensors
KR20200065834A (en) * 2018-11-30 2020-06-09 (주)민트팟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user response of vr contents, and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the vr contents
KR102165592B1 (en) * 2019-11-15 2020-10-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Reality Contents System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913B1 (en) 2022-05-09 2023-07-31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Gmp practi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based contents
KR102566027B1 (en) 2022-05-09 2023-08-14 (주)테라모션 Gmp practi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based cont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964B1 (en)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ports Center using Virtual Reality
JP6751536B2 (en) Equipment, robots, methods, and programs
CN106648120B (en) Fire escape train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somatosensory technology
Picard Affective computing for hci.
CN108521606A (en) A kind of monitor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the smart television of viewing TV
KR20180068351A (en) Mixed reality based cognition and concentration evaluation and training feedback system
Kosmalla et al. SlackLiner-an interactive slackline training assistant
Van Grunsven Perceiving'Other'Minds: Autism, 4E Cognition, and the Idea of Neurodiversity
Kuswardhana et al. The instructional thematic game for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For enhancement of left-right recognition skill
US202103228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al detection and control in immersive and interactive flume swimming pools
TW200929108A (en) Limb interactively learning method and apparatus
Rega et al. Liar (Language Interface For Autistic’s Rehabilitation): Technological Aids For Specialists Supporting The Acquisition Of Verbal Behavior In Persons With Autism
KR20190011159A (en) Learning And Serious Game System and Method Using Big Screen
Deroy et al. Spatial certainty: Feeling is the truth
KR20220129529A (en) Swimming safety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US2022024606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ye-contact training
JP2019036151A (en) Evaluation device,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program
KR102189433B1 (en) Mirror with display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
JP683122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2714328A (en) Live course student posture prompt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60064890A (en) Treadmill system with running posture correction
JP69015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iforenko et al. Emotion recognition through body language using rgb-d sensor
TWM592997U (en) Speech expression system
KR101638243B1 (en) Method for provining psychological stability using wearable device, computer program thereof and system for provining psychological tability using wear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