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420B1 -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420B1
KR102364420B1 KR1020170053976A KR20170053976A KR102364420B1 KR 102364420 B1 KR102364420 B1 KR 102364420B1 KR 1020170053976 A KR1020170053976 A KR 1020170053976A KR 20170053976 A KR20170053976 A KR 20170053976A KR 102364420 B1 KR102364420 B1 KR 102364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touch
electronic device
area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036A (ko
Inventor
김나영
남승욱
김대환
김광태
김무영
변형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420B1/ko
Priority to CN201880016334.4A priority patent/CN110383231A/zh
Priority to US15/955,118 priority patent/US10747353B2/en
Priority to EP18790618.5A priority patent/EP3566123A4/en
Priority to PCT/KR2018/004456 priority patent/WO2018199537A1/en
Publication of KR20180120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1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와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2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3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3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3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4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4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제 4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OUCH INPU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터치 입력의 세기를 감지하는 것을 새로운 입력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압력 터치에 반응하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점차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영역을 전자 장치의 전면 전체로 확대하고, 기존의 물리 버튼을 대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영역을 전자 장치의 전면 전체로 확대하여 물리 버튼을 포함하지 않은 전자 장치는, 압력 터치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예를 들면, 홈 버튼 입력, 볼륨 조절, 또는 전원 오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 또는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 중에서 무엇을 수행할 지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른 동작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고, 결과적으로는 사용자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 및 터치의 압력에 기초하여 지정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부분을 통해 노출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감지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압력 감지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와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2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3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3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3 동작을 수행하고, 및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4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4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제 4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1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와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2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3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3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3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4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4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제 4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와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2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3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3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3 동작을 수행하고, 및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4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4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제 4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수신시, 상기 터치 입력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명령인지 전자 장치의 일반적인(generic) 기능에 관련한 명령인지 구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0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2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4 서브 영역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대한 임계값 이하의 세기를 갖는 터치 압력을 감지하였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6은 전자 장치를 회전시켰을 때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이 배치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7은 전자 장치를 회전시켰을 때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이 배치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이다.
도 18은 전자 장치를 회전시켰을 때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이 배치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압력 터치에 반응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0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2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다른 예시이다.
도 2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2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2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2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2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4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27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4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다른 예시이다.
도 28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29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다른 예시이다.
도 30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 및 제 4 서브 영역에 대해 동시에 압력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다.
도 3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 및 제 4 서브 영역에 대해 동시에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동작 및 시각 피드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3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 및 제 4 서브 영역에 대해 동시에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동작 및 시각 피드백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이다.
도 3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레이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3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3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이다.
도 3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37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3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39는 셀프 커패시턴스(self capacitance) 방식 압력 센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뮤추얼 커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 방식 압력 센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은 유도(inductive) 방식 압력 센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방식 압력 센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피에조(piezo) 방식 압력 센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압력 센서를 포함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145)는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근거리 통신(16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은(164)은, 도 1의 참조번호 164로 예시된 바와 같이,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210), 통신 모듈(220), (가입자 식별 모듈(224), 메모리(230), 센서 모듈(240), 입력 장치(250), 디스플레이(260), 인터페이스(270), 오디오 모듈(280), 카메라 모듈(291), 전력 관리 모듈(295), 배터리(296), 인디케이터(297), 및 모터(2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예: 통신 인터페이스(1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NFC 모듈(228) 및 RF 모듈(2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2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프로세서(2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2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임베디드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예: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32) 또는 외장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40A), 자이로 센서(240B), 기압 센서(240C), 마그네틱 센서(240D), 가속도 센서(240E), 그립 센서(240F), 근접 센서(240G), 컬러(color) 센서(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40I), 온/습도 센서(240J), 조도 센서(2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후각(e-nose) 센서, 일렉트로마이오그라피(EMG) 센서, 일렉트로엔씨팔로그램(EEG) 센서, 일렉트로카디오그램(ECG)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1)는 프로세서(2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2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2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252), (디지털) 펜 센서(254), 키(2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2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2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58)는 마이크(예: 마이크(2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예: 디스플레이(160))는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프로젝터(266),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2)은 터치 패널(252)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262)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터치 패널(252)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252)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2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HDMI(272), USB(2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76), 또는 D-sub(D-subminiature)(2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2), 리시버(284), 이어폰(286), 또는 마이크(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및/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7)는 전자 장치(2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2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또는 햅틱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TV 지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310)(예: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모듈(310)은 커널(320)(예: 커널(141)), 미들웨어(330)(예: 미들웨어(143)), (API(360)(예: 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3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서버(106) 등)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커널(320)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 및/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3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API(3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3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 는 런타임 라이브러리(3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41), 윈도우 매니저(342), 멀티미디어 매니저(343), 리소스 매니저(344), 파워 매니저(3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46), 패키지 매니저(347), 커넥티비티 매니저(348), 노티피케이션 매니저(349), 로케이션 매니저(350), 그래픽 매니저(351), 또는 시큐리티 매니저(3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42)는 화면에서 사용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343)는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344)는 어플리케이션(370)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345)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용량, 온도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345)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46)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에서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3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348)는, 예를 들면,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349)는, 예를 들면,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35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35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352)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telephony) 매니저 또는 전술된 구성요소들의 기능들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는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360)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70)은, 예를 들면, 홈(371), 다이얼러(372), SMS/MMS(373), IM(instant message)(374), 브라우저(375), 카메라(376), 알람(377), 컨택트(378), 음성 다이얼(379), 이메일(380), 달력(381), 미디어 플레이어(382), 앨범(383), 와치(384), 헬스 케어(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삭제, 또는 갱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 프로세서(210)),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예: 실행)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부분을 통해 노출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453),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적어도 일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감지 회로(예: 431, 433),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예: 220),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 상기 압력 감지 회로(431, 433) 및 상기 통신 회로(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410),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예: 44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4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1 영역(예: 860)을 통해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 519)과 관련된 제 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와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2 영역(예: 851)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관련된 제 2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1 영역(860)을 통해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3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3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관련된 제 3 동작을 수행하고, 및 상기 제 2 영역(851)을 통해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4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4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제 4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제 1 임계값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4 동작은 홈 버튼과 관련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동작은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을 호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860)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가운데와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851)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3 영역(예: 853)을 통해 제 3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5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5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관련된 제 5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3 영역(853)을 통해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6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6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 또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제 6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3 임계값은 상기 제 1 임계값 또는 상기 제 2 임계값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851)의 일측과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4 영역(예: 855)을 통해 제 4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7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7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관련된 제 7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4 영역(855)을 통해 상기 제 4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8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8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을 호출하거나 또는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제 8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4 임계값은 상기 제 1 임계값 또는 상기 제 2 임계값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851)의 타측과 인접한 상기 디스플레이(453)의 제 5 영역(예: 857)을 통해 제 5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9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9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관련된 제 9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5 영역(857)을 통해 상기 제 5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10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0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전원 오프 기능 또는 긴급 호출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0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5 임계값은 상기 제 1 임계값 또는 상기 제 2 임계값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10 동작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에 관련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453)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1 영역(예: 860)을 통해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 519)과 관련된 제 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와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2 영역(예: 851)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관련된 제 2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1 영역(860)을 통해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3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3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관련된 제 3 동작을 수행하고, 및 상기 제 2 영역(851)을 통해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4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4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제 4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4 동작은 홈 버튼과 관련한 동작 또는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을 호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101)는 프로세서(410)(예: 120), 메모리(440)(예: 130), 터치 센서(421)(예: 252), 터치 센서 IC(423), 압력 센서(431), 압력 센서 IC(433), 디스플레이(453)(예: 160),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451), 또는, 햅틱 액츄에이터(4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메모리(440), 터치 센서(421), 터치 센서 IC(423), 압력 센서(431), 압력 센서 IC(433), 디스플레이(45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451), 또는, 햅틱 액츄에이터(4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터치 센서 IC(423) 및/또는 압력 센서 IC(433)가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가능 영역(터치 가능 영역, 압력 가능 영역 등)을 설정 하고, 터치 센서 IC(423) 및 또는 압력 센서 IC(433)로 전송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 가능 영역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변경 된 사용자 입력 가능 영역의 위치를 터치 센서 IC(423) 및/또는 압력 센서 IC(433)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451)로 전송할 영상 정보, 영상 정보의 위치 및/또는 햅틱 액츄에이터(460)로 전송할 햅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수신된 터치 압력의 세기가 제 1 임계값 이상이면, 제 1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451)로 전송하고, 제 1 햅틱 정보를 햅틱 액츄에이터(46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수신된 터치 압력의 세기가 제 1 임계값보다 큰 제 2 임계값 이상이면, 제 2 영상 정보(예: 제 1 영상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확대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451)로 전송하고, 제 2 햅틱 정보(예: 제 1 햅틱 정보보다 강한 햅틱 정보)를 햅틱 액츄에이터(460)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시간에 수신된 터치 입력의 제 1 위치와 제 1 압력 세기를 매핑할 수 있고, 제 1 시간과 다른 제 2 시간에 수신된 터치 입력의 제 2 위치와 제 2 압력 세기를 매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매핑한 정보들을 각 모듈(예: 메모리(440), 터치 센서(421), 터치 센서 IC(423), 압력 센서(431), 압력 센서 IC(433), 디스플레이(453), 디스플레이(453) 드라이브 IC, 또는, 햅틱 액츄에이터(460))로 전달 한 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AOD(always on display) 모드에서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AOD 모드에서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451), 터치 센서 IC(423), 압력 센서 IC(433) 등과 영상 정보 및/또는 제어 신호 또는 감지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에만 활성화되고, 상기 송수신 동작이 완료되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AOD 모드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453)가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기초하여 적어도 일부 영역만을 활성화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지정된 정보를 표시하고, 프로세서(410)를 포함한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예: 터치 센서(421), 터치 센서 IC(423), 압력 센서(431), 압력 센서 IC(433), 디스플레이(453), 디스플레이(453) 드라이버 IC, 또는, 햅틱 액츄에이터(460))이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로우 파워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다.
터치 센서 IC(423)는, 예를 들면, 터치 센서(421)와 신호(전송 신호(TX), 수신 신호(RX), 자극 신호(shield) 등)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 IC(423)는 터치 센서(421)와 송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 IC(423)는 감지한 터치 입력의 위치를 프로세서(4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 IC(423)는, 프로세서(410)가 미리 지정한 터치 센서(421)의 일부 영역에 한정하여 터치 센서(421)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센서 IC(423)는 터치 센서(421)의 전체 영역에 대해서 터치 센서(421)와 신호를 송수신하되,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프로세서(410)가 미리 지정한 터치 센서(421)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터치 입력 위치를 프로세서(410)로 전송하고,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프로세서(410)가 미리 지정한 터치 센서(421)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터치 입력 위치를 프로세서(41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 IC(423)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기초하여 노멀 모드 및/또는 로우 파워 모드로 동작 할 수 있다. 로우 파워 모드는, 예를 들면, 노멀 모드에 비하여 터치 센서(421) 및 터치 센서 IC(423)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423)는 로우 파워 모드이면 터치 센싱 주파수 및/또는 터치 스캔 주기를 노멀 모드보다 낮추어 동작할 수 있다.
압력 센서 IC(433)는, 예를 들면, 압력 센서 IC(433)와 신호(전송 신호(TX), 수신 신호(RX), 자극 신호(shield) 등)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 IC(433)는 감지한 터치 입력의 세기(압력) 및/또는 압력의 유지 시간을 프로세서(4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 또는 압력 센서 IC(433)는 압력 센서 IC(433)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세기(압력) 및/또는 압력의 유지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 IC(433)는 프로세서(410)가 미리 지정한 압력 센서 IC(433)의 일부 영역에 한정하여 압력 센서 IC(433)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압력 센서 IC(433)는 압력 센서 IC(433)의 전체 영역에 대해서 압력 센서 IC(433)와 신호를 송수신하되, 압력 입력 위치가 상기 프로세서(410)가 미리 지정한 압력 센서 IC(433)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압력 입력 위치를 프로세서(410)로 전송하고, 압력 입력 위치가 상기 프로세서(410)가 미리 지정한 압력 센서 IC(433)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압력 입력 위치를 프로세서(41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 IC(433)는 노멀 모드 및/또는 로우 파워 모드로 동작 할 수 있다. 로우 파워 모드는, 예를 들면, 노멀 모드에 비하여 터치 센서(421) 및 터치 센서 IC(423)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 IC(433)는 로우 파워 모드이면 압력 센싱 주파수 및/또는 압력 스캔 주기를 노멀 모드보다 낮추어 동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53)는 터치 센서(421) 또는 압력 센서(431)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453)는 터치 센서(421) 및 압력 센서(431)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421) 및 압력 센서(431)는 서로 별개로 구성되거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451)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453)로 구동 신호(예: 드라이버 구동 신호, 게이트 구동 신호 등)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440)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가 상기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은 어플리케이션(519)(예: 370), 시스템 어플리케이션(521), 어플리케이션 영역 입력 프레임워크(517), 시스템 영역 입력 프레임워크(515), 터치 센서 드라이버(511)(예: 323), 또는 압력 센서 드라이버(513)(예: 32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 드라이버(511) 및 압력 센서 드라이버(513)는 서로 별개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드라이버로 통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440)에 저장된 명령어 집합 또는 코드로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프로세서(410)에 상주된(resided) 명령어/코드 또는 명령어/코드를 저장한 저장 공간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영역은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예를 들면, 홈 버튼 입력, 볼륨 조절, 또는 전원 오프 등)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들이 위치한 지정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521)은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예를 들면, 홈 버튼 입력, 볼륨 조절, 또는 전원 오프 등)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521)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시스템 영역에 관련한 지정된 버튼에 응답하여 홈 스크린으로 전환, 볼륨 조절, 또는 전원 오프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 드라이버(511)는 터치 센서 IC(501)(예: 터치 센서 IC(42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입력을 확인하고,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에 대한 좌표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데이터를 시스템 입력 프레임워크로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 드라이버(513)는 압력 센서 IC(503)(예: 압력 센서 IC(43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입력을 확인하고,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압력 터치 입력에 대한 좌표값 및/또는 압력 세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데이터를 시스템 입력 프레임워크로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영역 입력 프레임워크(515)는 터치 센서 드라이버(511) 또는 압력 센서 드라이버(513)로부터 전달된 터치 좌표값 및 압력 세기값이 현재 시스템 영역의 버튼으로 지정된 영역의 좌표값과 매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영역 입력 프레임워크(515)는 현재 디스플레이(453)로부터 출력되는 화면 레이아웃, 또는 현재 시스템 영역의 키로 지정된 영역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터치 좌표값 및 압력 세기값이 현재 시스템 영역으로 지정된 영역의 좌표값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영역 입력 프레임워크(515)는 터치 센서 드라이버(511) 또는 압력 센서 드라이버(513)로부터 전달된 터치 좌표값 및 압력 세기값이 현재 시스템 영역의 키의 좌표값과 매칭되고, 압력 세기가 지정된 세기 이상으로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상기 전달된 시스템 입력 이벤트를 시스템 어플리케이션(521)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시스템 영역 입력 프레임워크(515)는 터치 센서 드라이버(511) 또는 압력 센서 드라이버(513)로부터 전달된 터치 좌표값 및 압력 세기값이 현재 시스템 영역의 키로 지정된 영역의 좌표값과 매칭되지 않거나, 또는 현재 시스템 영역의 키로 지정된 영역의 좌표값과 매칭되어도 지정된 압력 세기 이하이거나, 또는 지정된 시간 이하인 경우, 전달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영역 입력 프레임워크(517)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영역의 버튼은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예를 들면, 홈 버튼 입력, 볼륨 조절, 또는 전원 오프 등)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버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입력 이벤트는, 프로세서(410)가 시스템 영역의 키인 것으로 지정된 영역에 대하여 터치 압력이 지정된 세기 이상으로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스템 입력 이벤트는, 프로세서(410)가 홈 버튼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영역에 대하여 터치 압력이 지정된 세기 이상으로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 프로세서(410)가 볼륨 조절 버튼에 대응하도록 미리 지정한 영역에 대하여 터치 압력이 지정된 세기 이상으로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 프로세서(410)가 전원 버튼에 대응하도록 미리 지정한 영역에 대하여 터치 압력이 지정된 세기 이상으로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 또는 프로세서(410)가 음성 인식 기반으로 동작하는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예: 삼성 갤럭시 S8TM, 삼성 갤럭시 S8플러스TM의 빅스비(Bixby virtual assistant))을 호출하기 위한 버튼에 대응하도록 미리 지정한 영역에 대하여 터치 압력이 지정된 세기 이상으로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입력 이벤트는,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519)의 종류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어플리케이션(519)의 실행시에 공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일반적인(generic) 기능(예를 들면, 홈 버튼 입력, 볼륨 조절, 또는 전원 오프 등)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영역에 대하여 터치 압력이 지정된 세기 이상으로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영역 입력 프레임워크(517)는 시스템 영역 입력 프레임워크(515)로부터 전달된 터치 좌표값 및 압력 세기값이 어플리케이션(519)에서 지정된 이벤트와 매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영역 입력 프레임워크(517)는 전달된 터치 좌표값 및 압력 세기값이 지정된 영역, 시간, 또는 압력 세기에 매칭되는지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전달된 터치 좌표값 및 압력 세기값이 어플리케이션(519)에서 지정된 이벤트와 매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영역 입력 프레임워크(517)는 터치 좌표 값 및 압력 세기 값의 패턴을 기반으로 드래그, 롱 터치, 또는 이동 등이 어플리케이션(519)에서 미리 지정한 이벤트 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영역 입력 프레임워크(517)는 전달된 데이터(예: 터치 좌표값 및 압력 세기값)가 상기 기준에 부합되면, 전달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519)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453)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1 영역(예: 860)을 통해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 519)과 관련된 제 1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와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2 영역(예: 851)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관련된 제 2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1 영역(860)을 통해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3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3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관련된 제 3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영역(851)을 통해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4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4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제 4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동작은 홈 버튼과 관련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851)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3 영역(예: 853)을 통해 제 3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5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5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관련된 제 5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3 영역(853)을 통해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6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6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 또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제 6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851)의 일측과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4 영역(예: 855)을 통해 제 4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7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7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관련된 제 7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4 영역(855)을 통해 상기 제 4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8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8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을 호출하거나 또는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제 8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851)의 타측과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53)의 제 5 영역(예: 857)을 통해 제 5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9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9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9)과 관련된 제 9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5 영역(857)을 통해 상기 제 5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10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0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전원 오프 기능 또는 긴급 호출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0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0 동작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에 관련한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101)의 프로세서(예: 410)는, 예를 들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터치 센서(예: 421) 또는 터치 센서 IC(예: 423)를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터치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또는, 초과)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압력 세기를 압력 센서 IC(423)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압력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동작 610및 동작 620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수행한 이후에, 다른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10)는 동작 610및 동작 620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터치 압력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동작 630을 수행하고, 터치 압력의 세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동작 65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터치된 영역이 지정된 영역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압력 터치가 발생한 위치, 즉 터치 좌표 값이 지정된 영역과 매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지정된 영역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예를 들면, 홈 버튼 입력, 볼륨 조절, 또는 전원 오프 등)을 수행하기 위한 지정된 버튼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된 영역에는 홈 버튼, 취소 버튼, 지정된 핫 키, 볼륨 조절 버튼, 전원 버튼, 또는 음성 인식 기반으로 동작하는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버튼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버튼들은 물리적인 조작 버튼이 아닌 터치 입력에 반응하는 소프트웨어 버튼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지정된 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 등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된 영역의 위치를 고정 또는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영역은 단일 또는 복수개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453)의 주변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터치된 영역이 지정된 영역이면 동작 660을 수행하고, 터치된 영역이 지정된 영역이 아니면 동작 64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6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상기 터치된 영역이 지정된 영역인 경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지정된 영역에 매핑된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지정된 영역에 매핑된 기능으로서 홈 화면으로의 전환, 전원 온-오프 메뉴의 표시, 볼륨 조절 실행, 음성 인식 기반으로 동작하는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을 실행,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호출(또는, 실행)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64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상기 터치된 영역이 지정된 영역이 아닌 경우 터치된 영역에 대한 압력에 응답하도록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된 기능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된 영역에 대한 압력에 응답하도록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된 기능이 존재하면 동작 670을 수행하고, 터치된 영역에 대한 압력에 응답하도록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된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동작 65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7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에 매핑된 압력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된 기능으로서 터치된 오브젝트(예컨대, 사진 또는 음악)을 공유하는 기능, 터치된 오브젝트와 관련한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예: quick action), 터치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화면을 미리 보여주는 기능(예: preview), 또는 화면 재배치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65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감지된 터치 입력을 일반 터치 입력(예: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터치 입력)으로 간주하고 터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감지된 터치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일반 터치 입력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10)는 감지된 터치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임계값보다 크더라도 압력에 응답하도록 어플리케이션에 매핑된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일반 터치 입력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 터치 입력은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일반 터치 입력은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예를 들면, 홈 버튼 입력, 볼륨 조절, 또는 전원 오프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과는 다른 특수적인(또는, 특정적인) 어플리케이션에 국한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일반 터치 입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1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410)는, 예를 들면, 잠금 화면이 해제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잠금 화면이 해제되면 이전에 표시하였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에 터치 입력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터치 센서(421), 터치 센서 IC(423), 압력 센서(431), 또는 압력 센서 IC(433)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입력된 터치가 제 1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조건은 제 1 영역을 통해 입력된 터치가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디스플레이(예: 453)의 제 1 영역을 통해 입력된 터치가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공통 버튼(예컨대, 터치 입력에 응답하도록 설정된 홈 버튼, 볼륨 버튼, 또는 전원 버튼 등)과는 관련 없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또는 홈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영역은 디스플레이(453)의 가운데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입력된 터치가 제 1 조건을 충족하면 동작 790을 수행하고, 입력된 터치가 제 1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동작 740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동작 74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입력된 터치가 제 2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조건은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입력된 터치가 제 2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도록, 입력된 터치가 디스플레이(453)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공통 버튼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영역은 제 2 임계값보다 큰 세기의 터치 압력에 응답하도록 설정된 홈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정된 영역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영역은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영역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물리적인 버튼으로 구성된 홈 버튼이 존재하던 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임계값은 제 1 임계값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입력된 터치가 제 2 조건을 충족하면 동작 790을 수행하고, 입력된 터치가 제 2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동작 750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동작 75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입력된 터치가 제 3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조건은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입력된 터치가 제 3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도록, 입력된 터치가 디스플레이(453)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입력된 터치가 제 3 조건을 충족하면 동작 770을 수행하고, 입력된 터치가 제 2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동작 760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동작 76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입력된 터치가 제 4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조건은 디스플레이(453)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입력된 터치가 제 4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도록, 입력된 터치가 디스플레이(453)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입력된 터치가 제 4 조건을 충족하면 동작 780을 수행하고, 입력된 터치가 제 4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동작 790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공통 버튼(예: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버튼)을 디스플레이(453)의 복수개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입력된 터치가 상기 공통 버튼이 위치한 복수개의 영역에 대응하는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제 4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도록, 입력된 터치가 상기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디스플레이(453)의 제 3 영역을 통해 제 3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일측과 인접한 상기 디스플레이(453)의 제 4 영역을 통해 제 4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453)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타측과 인접한 상기 디스플레이(453)의 제 5 영역을 통해 제 5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임계값은 제 1 임계값 또는 제 2 임계값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임계값은 제 1 임계값 또는 제 2 임계값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입력된 터치가 제 4 조건을 충족하면 동작 780을 수행하고, 입력된 터치가 제 4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동작 790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영역에는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갖는 터치 압력에 응답하도록 설정된 홈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영역에는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갖는 터치 압력에 응답하도록 설정된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 또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 알림 창을 표시하는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영역에는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갖는 터치 압력에 응답하도록 설정된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을 호출하거나 또는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5 영역에는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갖는 터치 압력에 응답하도록 설정된 전원 버튼 또는 긴급 호출 기능을 활성화하는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
동작 77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에 매핑된 압력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된 기능으로서 터치된 오브젝트(예컨대, 사진 또는 음악)을 공유하는 기능, 터치된 오브젝트와 관련한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quick action), 터치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화면을 미리 보여주는 기능(preview), 또는 화면 재배치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감지된 터치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임계값보다 크더라도 압력에 응답하도록 어플리케이션에 매핑된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일반 터치 입력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78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지정된 영역에 매핑된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지정된 영역에 매핑된 기능으로서 홈 화면으로의 전환, 전원 온-오프 메뉴의 표시, 볼륨 조절 실행, 음성 인식 기반으로 동작하는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을 실행,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호출(또는, 실행)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79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감지된 터치 입력을 일반 터치 입력으로 간주하고 터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감지된 터치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일반 터치 입력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10)는 감지된 터치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임계값보다 크더라도 압력에 응답하도록 어플리케이션에 매핑된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일반 터치 입력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8a 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800)(예: 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810)(예: 453)가 위치하고, 디스플레이(810)의 일측(예: 디스플레이(810)의 상부)에는 전면 카메라(83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40)가 위치하고, 디스플레이(810)의 타측(예: 디스플레이(810)의 하부)에는 물리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예: 홈 버튼(820))이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810)는 가운데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제 1 영역(860)과, 상기 제 1 영역(860)의 테두리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810)의 주변 테두리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제 2 영역(8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영역(850)에는 전자 장치(800)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이 매핑된 공통 버튼이 위치하고, 공통 버튼에 매핑된 기능 및 공통 버튼의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통 버튼은 볼륨 키, 전원 키, 또는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을 호출하는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0)가 물리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예: 820)을 포함할 경우, 프로세서(4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820)에 대한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터치 압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800)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82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810)가 상기 터치 압력에 대응하도록, 단계적으로 조정되는 시각적인 피드백 효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물리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820)에 대하여, 지정된 임계값 미만의 터치 압력이 감지되면, 터치 압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시각적인 피드백을 단계적으로(또는, 점진적으로) 조정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810)를 제어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0)가 물리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예: 820)을 포함할 경우,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치(800)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을 상기 물리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820) 또는 터치 입력 기반으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이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0)가 물리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예: 820)을 포함할 경우, 프로세서(410)는 물리적으로 구성된 특정 버튼(예: 820)에 대한 터치 입력의 압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기능(예: 서로 다른 복수의 일반적인(generic) 기능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물리적인으로 구성된 특정 버튼(82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일반적인(generic)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터치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일반적인(generic)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터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8b 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800)는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810)가 실질적으로 전자 장치(800)의 전면 전체에 위치하고, 도 8의 (a)와 달리, 홈 버튼(82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면, 전자 장치(800)는 전면에서 물리적으로 구성된 버튼들을 포함하지 않고, 전자 장치(80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810)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0)의 전면에서는 물리적으로 구성된 홈 버튼(예: 도 8(a)의 홈 버튼(820))을 포함하지 않고, 홈 버튼이 존재하던영역에는 터치 입력에 응답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된 홈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영역(850)은 디스플레이(810)의 하측 테두리와 인접한 제 1 서브 영역(851), 디스플레이(810)의 상측 테두리와 인접한 제 2 서브 영역(853), 디스플레이(810)의 좌측 테두리와 인접한 제 3 서브 영역(855), 또는 디스플레이(810)의 우측 테두리와 인접한 제 4 서브 영역(857)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800)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이 매핑된 복수의 공통 버튼을 상기 제 1 내지 제 4 서브 영역(851, 853, 855, 857)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800)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이 매핑된 5개의 공통 버튼(예: 홈 버튼, 볼륨 상/하 버튼, 전원 버튼, 또는 음성 인식 기반으로 동작하는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예: 삼성 갤럭시 S8TM, 삼성 갤럭시 S8플러스TM의 빅스비(Bixby virtual assistant))에 관련한 버튼)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5개의 공통 버튼이 상기 제 1 내지 제 4 서브 영역(851, 853, 855, 857)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5개의 공통 버튼이 상기 제 1 내지 제 4 서브 영역(851, 853, 855, 857)에 분할하여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900)(예: 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예를 들면, 잠금 화면이 해제되거나, 홈 버튼 입력 이벤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901)(예: 453)를 통해 홈 화면(991)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디스플레이(901)가 홈 화면(991)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901)의 가운데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제 1 영역(910)에서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911), 또는 위젯 등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901)의 테두리와 인접한 제 2 영역(920)에서는 전자 장치(900)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이 매핑된 공통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복수의 공통 버튼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공통 버튼은 디스플레이(901)의 하측 테두리와 인접한 제 1 서브 영역(921), 디스플레이(901)의 상측 테두리와 인접한 제 2 서브 영역(923), 디스플레이(901)의 좌측 테두리와 인접한 제 3 서브 영역(925), 또는 디스플레이(901)의 우측 테두리와 인접한 제 4 서브 영역(927)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홈 화면(991)과 같은 일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때,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갖는 터치 압력에 응답하도록 설정된 홈 버튼(933), 취소 버튼(935), 또는 멀티태스킹 버튼(931)을 제 1 서브 영역(9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때,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갖는 터치 압력에 응답하도록 설정된 상기 전자 장치(900)에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 또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 알림 창을 표시하는 버튼(941)을 제 2 서브 영역(923)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때,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갖는 터치 압력에 응답하도록 설정된 볼륨 버튼(937), 또는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을 호출하는 버튼 등을 제 3 서브 영역(925)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때,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갖는 터치 압력에 응답하도록 설정된 전원 버튼(939), 또는 비상 호출 버튼 등을 제 4 서브 영역(927)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4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전체 화면 기능이 활성화되면, 일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표시되었던 전자 장치(900)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이 매핑된 공통 버튼들을 숨기거나 또는 투명한 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전체 화면(993)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410)(예: 12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전체 화면 기능이 활성화되면, 일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표시되었던 전자 장치(예: 101)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이 매핑된 공통 버튼들(예: 홈 버튼(1033))을 숨기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전체 화면(1093)만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001)(예: 453)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도 10의 (a)와 같이 공통 버튼(1033)가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1093)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2 영역(1020)에 대한 터치 입력(1010)을 감지하고, 제 2 영역(102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경우, 터치 좌표값에 매핑된 공통 버튼의 입력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도 10의 (a)와 같이 공통 버튼(103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1093)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1 서브 영역(1021)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1010)이 감지되면, 도 10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1001)가 출력하는 화면을 홈 화면(1091)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2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예: 120)는, 도 11의 (a)와 같이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1193)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2 영역 중(1120)에서 제 2 서브 영역(1123)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터치 입력(1110)이 감지되면, 도 11의 (b)와 같이 전자 장치(예: 101)에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1141) 또는 상태 정보(1143) 및 빠른 기능 설정 메뉴(1145)를 포함한 알림 창(1195)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1)(예: 45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예: 120)는, 도 12의 (a)와 같이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2 영역(1320)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1225)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터치 입력(1210)이 감지되면, 도 12의 (b)와 같이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을 활성화하고,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에 관련한 윈도우(123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1)(예: 453)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도 12의 (a)와 같이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1293)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3 서브 영역(1225)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1210)이 감지되면, 볼륨 조절 버튼의 입력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도 12의 (a)와 같이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1293)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3 서브 영역(1225) 중에서 다른 영역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1210)이 감지되면, 볼륨 조절 버튼의 입력 이벤트를 활성화하여, 볼륨을 조절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4 서브 영역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예: 130)는, 도 13의 (a)와 같이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2 영역(1320) 중에서 제 4 서브 영역(1327)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터치 입력(1310)이 감지되면, 도 13의 (b)와 같이 지정된 에지 패널(133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1)(예: 453)를 제어할 수 있다. 에지 패널(1330)은, 예를 들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도 13의 (a)와 같이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1393)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4 서브 영역(1327)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터치 입력(1310)이 감지되면, 전원 키 입력 이벤트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긴급 호출 버튼 입력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도 13의 (a)와 같이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1393)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4 서브 영역(1327) 중에서 다른 영역(예: 전자 장치의 측면 가운데, 측면 위쪽, 또는 측면 아래쪽)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1310)이 감지되면, 전원 키 입력 이벤트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긴급 호출 버튼 입력 이벤트를 활성화하여, 전원 키 입력 이벤트 또는 긴급 호출 버튼 입력 이벤트에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대한 임계값 이하의 세기를 갖는 터치 압력을 감지하였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예: 120)는, 터치 입력이 제 2 영역(1420)에서 감지되고, 감지된 터치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일반 터치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410)(예: 120)는, 예를 들면, 터치 입력이 제 2 영역(1420)에서 감지되었더라도, 감지된 터치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일반 터치 입력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9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도 14의 (a)와 같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에, 복수의 사진(1491, 1493, 1495)이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49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90)에 포함된 복수의 사진(1491, 1493, 1495)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1423)에 대한 지정된 임계값 미만의 압력 세기를 갖는 터치(1410)가 감지되면, 복수의 사진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1423)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사진(1495)에 대한 일반 터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도 14의 (b)와 같이, 상기 터치 입력(1410)에 응답하여 터치된 영역의 사진(1495)을 디스플레이(1401)의 전체 화면으로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410)(예: 120)는, 예를 들면, 제 1 영역(1530)에서 터치가 감지되고, 감지된 터치 압력(1510)의 세기가 지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어플리케이션에 매핑된 압력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도 15의 (a)와 같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에, 복수의 사진이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590)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590)에 포함된 복수의 사진 중에서 제 1 영역(1530)에 대한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압력 세기를 갖는 터치(1510)가 감지되면 터치된 사진(1591)과 관련한 복수의 기능을 제공하는 옵션 메뉴(154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501)(예: 45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b)와 같이 프로세서(410)는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된 기능으로서 터치된 오브젝트(예컨대, 사진 또는 음악)(1591)을 공유하는 기능, 터치된 오브젝트(1591)와 관련한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quick action), 터치된 오브젝트(1591)와 관련된 화면을 미리 보여주는 기능(preview), 또는 화면 재배치 기능 등을 제공하는 옵션 메뉴(154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전자 장치를 회전시켰을 때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이 배치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600)(예: 101)는 회전을 감지하고, 회전된 방향에 기초하여 일반적인(generic)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이 배치되는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600)는 회전된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통 버튼이 설정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예: 120)는 복수의 공통 버튼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공통 버튼을 제 2 영역(1621, 1623, 1625, 1627) 내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복수의 공통 버튼을 디스플레이(예: 453)의 하측 테두리와 인접한 제 1 서브 영역(1621), 디스플레이(453)의 상측 테두리와 인접한 제 2 서브 영역(1623), 디스플레이(453)의 좌측 테두리와 인접한 제 3 서브 영역(1625), 또는 디스플레이(453)의 우측 테두리와 인접한 제 4 서브 영역(1627)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공통 버튼은 홈 버튼, 볼륨 조절 버튼, 또는 전원 버튼과 같이 서로 다른 기능 속성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치(1600)의 회전이 감지되면,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항상 동일한 방향에 동일한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이 위치하도록 공통 버튼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600)가 제 1 서브 영역(1621)이 중력 방향에 위치하도록 파지되거나 또는 놓인 경우, 제 1 서브 영역(1621)에는 지시번호 "4"와 같은 제 4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고, 제 2 서브 영역(1623)에는 지시번호 "1"과 같은 제 1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고, 제 3 서브 영역(1625)에는 지시번호 "2"와 같은 제 2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고, 제 4 서브 영역(1627)에는 지시번호 "3"과 같은 제 3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600)가 회전되어 제 3 서브 영역(1625)이 중력 방향에 위치하도록 파지되거나 또는 놓인 경우, 제 1 서브 영역(1621)에는 지시번호 "3"와 같은 제 3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고, 제 2 서브 영역(1623)에는 지시번호 "2"과 같은 제 2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고, 제 3 서브 영역(1625)에는 지시번호 "4"와 같은 제 4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고, 제 4 서브 영역(1627)에는 지시번호 "1"과 같은 제 1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600)가 회전되어 제 4 서브 영역(1627)이 중력 방향에 위치하도록 파지되거나 또는 놓인 경우, 제 1 서브 영역(1621)에는 지시번호 "2"와 같은 제 2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고, 제 2 서브 영역(1623)에는 지시번호 "3"과 같은 제 3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고, 제 3 서브 영역(1625)에는 지시번호 "1"와 같은 제 1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고, 제 4 서브 영역(1627)에는 지시번호 "4"과 같은 제 4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항상 동일한 방향에 동일한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지정된 공통 버튼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홈 버튼은 전자 장치(1600)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항상 중력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1600)가 도 16의 (b)와 같이 회전된 경우 홈 버튼을 입력하고자 할 때 중력 방향에 위치한 제 2 서브 영역(1623)에 터치 입력을 수행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600)가 도 16의 (c)와 같이 회전된 경우 홈 버튼을 입력하고자 할 때 중력 방향에 위치한 제 3 서브 영역(1627)에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되므로, 전자 장치를 조작함에 있어서 직관성을 높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7은 전자 장치를 회전시켰을 때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이 배치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410)(예: 120)는 전자 장치(1700)(예: 101)의 회전과는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방향에 동일한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이 위치하도록 공통 버튼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치(1700)가 파지된 방향 또는 놓인 방향에 상관없이, 고정적으로, 제 1 서브 영역(1721)에는 지시번호 "4"와 같은 제 4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고, 제 2 서브 영역(1723)에는 지시번호 "1"과 같은 제 1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고, 제 3 서브 영역(1725)에는 지시번호 "2"와 같은 제 2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고, 제 4 서브 영역(1727)에는 지시번호 "3"과 같은 제 3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8은 전자 장치를 회전시켰을 때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이 배치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410)(예: 120)는 전자 장치(1800)(예: 101)의 회전과는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방향에 동일한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이 위치하도록 공통 버튼의 위치를 설정하고, 공통 버튼으로 인식할 수 있는 영역의 면적을 해당 서브 영역의 면적보다 작게 설정하고, 공통 버튼을 해당 서브 영역에서 지정된 방향에만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서브 영역(1821)에는 지시번호 "4"와 같은 제 4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되, 제 4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제 1 서브 영역(1821) 내에서도 가운데 영역에만 위치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10)는, 제 3 서브 영역(1825)에는 지시번호 "2"과 같은 제 2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되, 제 2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제 3 서브 영역(1825) 내에서도 제 1 서브 영역(1821)과 상대적으로 이격된 일측에만 위치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10)는, 제 4 서브 영역(1827)에는 지시번호 "3"과 같은 제 3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위치시키되, 제 3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제 4 서브 영역(1827) 내에서도 제 1 서브 영역(1821)과 상대적으로 이격된 일측에만 위치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800)는, 공통 버튼으로 인식할 수 있는 영역의 면적을 해당 서브 영역의 면적보다 작게 설정하고, 공통 버튼을 해당 서브 영역에서 지정된 방향에만 위치시킴으로써, 전자 장치(1800)가 회전과 상관없이 공통 버튼이 지정된 일부 영역에만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800)는 제 2 서브 영역(1823)에 위치하는 공통 버튼 및 제 3 서브 영역(1825)에 위치하는 공통 버튼이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예컨대, 전자 장치(1800)의 양쪽 측면에서 상단 영역)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800)가 도 18의 (b) 또는 (b)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제 2 서브 영역(1823)에 위치하는 공통 버튼 및 제 3 서브 영역(1825)에 위치하는 공통 버튼의 위치는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제 2 서브 영역(1823)에 위치하는 공통 버튼 및 제 3 서브 영역(1825)에 위치하는 공통 버튼을 혼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800)가 도 18의 (a)와 같이 놓인 상태에서, 도 18의 (b)와 같이 회전한 경우, 지시번호 "2"과 같은 제 2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은 전자 장치(1800)의 좌측의 하단(중력 방향, 예: 도 18에서는 아래쪽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1800)가 도 18의 (b)와 같이 놓인 상태에서 좌측의 하단에 대응하도록 터치 입력을 한 경우에만 제 2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800)가 도 18의 (a)와 같이 놓인 상태에서, 도 18의 (c)와 같이 회전한 경우, 지시번호 "3"과 같은 제 3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은 전자 장치(1800)의 우측의 하단(중력 방향, 예: 도 18에서는 아래쪽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1800)가 도 18의 (c)와 같이 놓인 상태에서 우측의 하단에 대응하도록 터치 입력을 한 경우에만 제 3 기능 속성의 공통 버튼을 활성화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복수의 공통 버튼이 숨겨진 상태(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공통 버튼의 위치로 지정되지 않은 제 2 영역에 대하여 임계값 이상의 압력 세기를 갖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공통 버튼을 일시적으로 표시하였다가 다시 숨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공통 버튼이 숨겨진 상태(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1800)의 회전이 감지되면, 복수의 공통 버튼을 일시적으로 표시하였다가 다시 숨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압력 터치에 반응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해당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압력 기능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압력 기능이 존재하면 감지된 압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시각적인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감지된 터치 압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시각적인 피드백에 해당된 그래픽의 축소, 확대, 회전, 또는 블러(blur) 효과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디스플레이(예: 453)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화면에서 제 2 화면으로 전환하는 이미지 프레임 수가 n개인 경우, 각 이미지 프레임을 각 압력에 대응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터치된 압력 세기가 지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압력의 세기에 기초한 화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점진적인(단계적인) 표시를 중단하고, 압력 터치에 매핑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동작 1910에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터치 센서 또는 터치 센서 IC를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920에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터치된 위치가 압력에 응답하도록 매핑된 기능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터치된 위치가 전자 장치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공통 버튼(예컨대, 터치 입력에 응답하도록 설정된 홈 버튼, 볼륨 버튼, 또는 전원 버튼 등)가 매핑된 영역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930에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터치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압력 세기를 압력 센서 IC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압력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터치 압력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동작 1940을 수행하고, 터치 압력의 세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동작 195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940에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압력 기능에 대응한 화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체를 표시하거나 압력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임계값 이상의 압력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된 영역에 매핑된 기능으로서 홈 화면으로의 전환, 전원 온-오프 메뉴의 표시, 볼륨 조절 실행, 음성 인식 기반으로 동작하는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을 실행,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호출(또는, 실행)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1950에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10)는, 예를 들면, 압력 기능에 대응한 화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압력 세기에 기초하여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감지된 터치 압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시각적인 피드백에 해당된 그래픽의 축소, 확대, 회전, 또는 블러(blur) 효과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0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20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410)(예: 12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전체 화면 기능이 활성화되면, 일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표시되었던 전자 장치(2000)(예: 101)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기능이 매핑된 공통 버튼(2013)들을 숨기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전체 화면(2030)만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001)(예: 453)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0)의 프로세서(410)는, 도 20의 (a)와 같이 공통 버튼(201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03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2 영역(예: 제 1 서브 영역(20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좌표값에 매핑된 공통 버튼(2013)에 대한 시각 피드백의 출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공통 버튼(201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03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1 서브 영역(2010)(예: 851)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2001)가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2030)이 터치 압력의 세기(2021, 2023, 2025)에 기초하여 단계적으로 축소되도록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과 다른 레이어 화면에서는 홈 화면(204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서브 영역(201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세기(2021, 2023, 2025)가 점차 증가하면, 도 20의 (a), (b), (c)의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01)가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2030)이, 임계값 미만의 범위 내에서 터치 압력의 세기(2021, 2023, 2025)가 점차 증가함에 응답하여, 단계적으로 축소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도 20의 (a)와 같이 공통 버튼(201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03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 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2027)이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경우, 터치 좌표값에 매핑된 공통 버튼(2013)의 입력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서브 영역(2010)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2027)이 감지되면, 도 20의 (d)와 같이 디스플레이(2001)가 출력하는 화면을 홈 화면(2040)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디스플레이(2001)에 홈 화면(2040)을 출력하는 경우 공통 버튼(2013)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다른 예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100)(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도 21의 (a)와 같이 공통 버튼(211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13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2 영역(예: 제 1 서브 영역(21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좌표값에 매핑된 공통 버튼(2113)에 대한 시각 피드백의 출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공통 버튼(211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13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1 서브 영역(2110))(예: 851)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2101)(예: 453)가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2130)의 투명도가 터치 압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과 다른 레이어 화면에서는 홈 화면(214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서브 영역(211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세기(2121, 2123, 2125)가 점차 증가하면, 도 21의 (a), (b), (c)의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101)가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2130)이, 임계값 미만의 범위 내에서 터치 압력(2121, 2123, 2125)의 세기가 점차 증가함에 응답하여, 단계적으로 투명도가 증가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도 21의 (a)와 같이 공통 버튼(211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13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 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2127)이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경우, 터치 좌표값에 매핑된 공통 버튼(2113)의 입력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서브 영역(2110)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2127)이 감지되면, 도 21의 (d)와 같이 디스플레이(2101)가 출력하는 화면을 홈 화면(2140)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200)(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도 22의 (a)와 같이 공통 버튼(221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23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2 영역(예: 제 1 서브 영역(22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좌표값에 매핑된 공통 버튼(2213)에 대한 시각 피드백의 출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공통 버튼(221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23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1 서브 영역(2210)(예: 851)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공통 버튼(2213)이 매핑된 영역 주변에, 터치 압력의 세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251, 2253, 2255)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서브 영역(221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세기(2221, 2223, 2225)가 점차 증가하면, 도 22의 (a), (b), (c)의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 버튼(2213)이 매핑된 영역 주변에, 터치 압력의 세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251, 2253, 2255)로서 화살표를 표시하고, 상기 화살표의 길이, 명도, 컬러, 또는 채도는, 임계값 미만의 범위 내에서 터치 압력(2221, 2223, 2225)의 세기가 점차 증가함에 응답하여, 단계적으로 조정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도 22의 (a)와 같이 공통 버튼(221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23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 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2227)이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경우, 터치 좌표값에 매핑된 공통 버튼(2213)의 입력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서브 영역(2210)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2227)이 감지되면, 도 22의 (d)와 같이 디스플레이(2201)가 출력하는 화면을 홈 화면(2240)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300)(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도 23의 (a)와 같이 공통 버튼(231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33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1 서브 영역(2310)(예: 8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 1 서브 영역(231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세기(2321, 2323, 2325)가 점차 증가하면, 도 23의 (a), (b), (c)의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 버튼(2313)이 매핑된 영역 주변에, 터치 압력의 세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351, 2353)로서 적어도 하나의 반원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301)(예: 45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원의 길이, 명도, 컬러, 또는 채도는, 임계값 미만의 범위 내에서 터치 압력(2321, 2323, 2325)의 세기가 점차 증가함에 응답하여, 단계적으로 조정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서브 영역(2310)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2327)이 감지되면, 도 23의 (d)와 같이 디스플레이(2301)가 출력하는 화면을 홈 화면(2340)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2351, 2353)는, 예를 들면, 화살표 및 반원 이외에도, 삼각형, 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 및, 원 또는 타원 등의 도형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터치 압력의 세기(2321, 2323, 2325)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2351, 2353)의 개수, 색상, 명도, 또는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
도 2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400)(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410)(예: 453)는, 도 24의 (a)와 같이 공통 버튼(241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43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1 서브 영역(2410)(예: 8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 1 서브 영역(241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세기(2421, 2423, 2425)가 점차 증가하면, 도 24의 (a), (b), (c)의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401)(예: 453)의 테두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터치 압력의 세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로서 테두리 강조 라인(2451, 2453, 2455)을 표시하고, 상기 테두리 강조 라인(2451, 2453, 2455)의 길이, 명도, 컬러, 또는 채도는, 임계값 미만의 범위 내에서 터치 압력(2421, 2423, 2425)의 세기가 점차 증가함에 응답하여, 단계적으로 조정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서브 영역(2410)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2427)이 감지되면, 도 24의 (d)와 같이 디스플레이(2401)가 출력하는 화면을 홈 화면(2440)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1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500)(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도 25의 (a)와 같이 공통 버튼(2513)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53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1 서브 영역(2510)(예: 8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 1 서브 영역(251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세기(2521, 2523, 2525)가 점차 증가하면, 도 25의 (a), (b), (c)의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501)(예: 453)가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2530)이 터치 압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단계적으로 회전하도록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과 다른 레이어 화면에서는 홈 화면(2540)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서브 영역(2510)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2527)이 감지되면, 도 25의 (d)와 같이 디스플레이(2501)가 출력하는 화면을 홈 화면(2540)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화면(2530)은 터치 압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회전하는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압력의 세기가 빠르게 증가하는 경우 회전 속도가 빠르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4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예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600)(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도 26의 (a)와 같이 제 4 서브 영역(2640)(예: 857)에 위치한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64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4 서브 영역(26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 4 서브 영역(261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세기(2621, 2623, 2625, 2627)가 점차 증가하면, 도 26의 (a), (b), (c)의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압력의 세기(2621, 2623, 2625, 2627)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651, 2653, 2655, 2657)로서 제 4 서브 영역(2610)으로부터 돌출되는 오브젝트(2651, 2653, 2655, 2657)를 표시하고, 상기 돌출 오브젝트(2651, 2653, 2655, 2657)의 길이, 명도, 컬러, 또는 채도는, 임계값 미만의 범위 내에서 터치 압력의 세기(2621, 2623, 2625, 2627)가 점차 증가함에 응답하여, 단계적으로 조정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4 서브 영역(2610)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도 26의 (d)와 같이 상기 돌출 오브젝트(2657)가 "전원 오프"를 이벤트를 지칭하는 문구를 포함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문구의 출력과 동시에 전원 오프 이벤트를 활성화하거나, 상기 문구의 출력 이후에 제 4 서브 영역(2610)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이 다시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전원 오프 이벤트를 활성화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문구의 출력 이후에 지정된 시간 이상의 입력이 지속되는 경우 또는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전원 오프 이벤트를 활성화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7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4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다른 예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700)(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도 27의 (a)와 같이 제 4 서브 영역(2710)(예: 857)에 위치한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74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4 서브 영역(27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 4 서브 영역(271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세기(2721, 2723, 2725, 2727)가 점차 증가하면, 도 27의 (a), (b), (c)의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4 서브 영역(2710)에 매핑된 공통 버튼을 지칭하는 문구를 포함하는 오브젝트(2751, 2753, 2755, 2757)로서 제 4 서브 영역(2710)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오브젝트(2751, 2753, 2755, 2757)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돌출 오브젝트(2751, 2753, 2755, 2757)의 길이, 명도, 컬러, 또는 채도가, 임계값 미만의 범위 내에서 터치 압력의 세기(2721, 2723, 2725, 2727)가 점차 증가함에 응답하여, 단계적으로 조정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터치 압력의 세기가 제 1 임계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돌출 오브젝트(2753)가 "전원 오프"를 이벤트를 지칭하는 문구를 포함하도록 출력하고, 터치 압력의 세기가 제 1 임계값보다 큰 제 2 임계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돌출 오브젝트(2755)가 "재부팅" 이벤트를 지칭하는 문구를 포함하도록 출력하고, 터치 압력의 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제 3 임계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돌출 오브젝트(2757)가 "긴급 호출" 이벤트를 지칭하는 문구를 포함하도록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예: 453)를 제어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돌출 오브젝트(2751, 2753, 2755, 2757)가 특정 문구를 포함한 상태에서 제 4 서브 영역(2710)에 대한 지정된 제스처(예: 슬라이딩 제스처 입력, 또는 스와이프 제스처 입력)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해제되어도 상기 돌출 오브젝트(2751, 2753, 2755, 2757)가 문구를 표시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디스플레이(45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돌출 오브젝트(2751, 2753, 2755, 2757)의 문구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 4 서브 영역(2710)에 대한 지정된 입력(예: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이 다시 감지되면, 해당 문구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돌출 오브젝트(2753)가 "전원 오프"를 이벤트를 지칭하는 문구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제 4 서브 영역(2710)에 대한 슬라이딩 제스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해제되어도 "전원 오프"를 이벤트를 지칭하는 문구를 포함한 돌출 오브젝트(2753)의 표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유지된 상태에서 제 4 서브 영역(2710)에 대한 지정된 입력(예: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전원 오프" 이벤트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8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예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800)(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도 28의 (a)와 같이 제 3 서브 영역(2810)(예: 855)에 위치한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84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3 서브 영역(28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 3 서브 영역(281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세기(2821, 2823, 2825, 2827)가 점차 증가하면, 도 28의 (a), (b), (c), (d)의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 버튼의 활성화 이벤트를 지칭하는 오브젝트(2851, 2853, 2855, 2857)로서 제 3 서브 영역(2810)으로부터 돌출되는 오브젝트(2851, 2853, 2855, 2857)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80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돌출 오브젝트(2851, 2853, 2855, 2857)의 길이, 명도, 컬러, 또는 채도는, 임계값 미만의 범위 내에서 터치 압력의 세기(2821, 2823, 2825, 2827)가 점차 증가함에 응답하여, 단계적으로 조정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압력 세기에 기초하여 공통 버튼의 입력 이벤트가 활성화된 것에 응답하여 조정된 전자 장치(2800)(예: 101)의 환경 설정 파라미터값(예컨대, 볼륨 레벨, 디스플레이(2801)의 휘도 또는 마이크(288)의 민감도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돌출 오브젝트(2851, 2853, 2855, 2857)가 포함하도록 디스플레이(2801)(예: 453)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터치 입력이 해제되면, 터치 입력의 해제 이전에 최종적인 전자 장치(2800)의 환경 설정 파라미터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9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에 대한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시각 피드백을 나타낸 다른 예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900)(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도 29의 (a)와 같이 제 3 서브 영역(2910)(예: 855)에 위치한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294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3 서브 영역(29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 3 서브 영역(291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세기(2921, 2923, 2925, 2927)가 점차 증가하면, 도 29의 (a), (b), (c) 의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정된 핫 키,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951, 2953, 2955, 2957) 등이 제 3 서브 영역(29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디스플레이(45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지정된 핫 키,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951, 2953, 2955, 2957)이 돌출되는 정도, 위치 또는 속도를, 임계값 미만의 범위 내에서 터치 압력의 세기(2921, 2923, 2925, 2927)가 점차 증가함에 응답하여, 단계적으로 조정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3 서브 영역(2910)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2927)이 감지되면, 터치 입력이 해제되어도 도 29의 (d)와 같이 지정된 핫 키,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957)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예: 453)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유지된 상태에서 제 3 서브 영역(2910)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갖는 터치 입력이 다시 감지되면 지정된 핫 키,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951, 2953, 2955, 2957)을 다시 숨기도록 디스플레이(45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0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 및 제 4 서브 영역에 대해 동시에 압력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다.
도 3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101)의 프로세서(예: 410)는, 예를 들면, 제 3 서브 영역(3025)(예: 855) 및 제 4 서브 영역(3027)(예: 857)에 위치한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3040)를 디스플레이(3001)(예: 453)가 출력하는 상태에서 제 3 서브 영역(3025) 및 제 4 서브 영역(3027)에 대한 스퀴즈(squeeze) 터치(3030)를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제 3 서브 영역(3025) 및 제 4 서브 영역(3027)에 대해 동시에 감지된 터치 입력(3030)을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동시에 압력 터치를 감지한다"라는 표현은 제 3 서브 영역(3025)에 대한 제 1 터치 압력의 감지가 시작된 시점과 제 4 서브 영역(3027)에 대한 제 2 터치 압력의 감지가 시작된 시점이 동일한 경우에 트리거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동시에 압력 터치를 감지한다"라는 표현은 어느 시점에 있어서 제 3 서브 영역(3025)에 대한 제 1 터치 압력과 제 4 서브 영역(3027)에 대한 제 2 터치 압력이 지정된 시간 이상의 구간 동안 모두 감지된 경우에 트리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 및 제 4 서브 영역에 대해 동시에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동작 및 시각 피드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100)(예: 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예를 들면, 제 3 서브 영역(3125)(예: 855) 및 제 4 서브 영역(3127)(예: 857)에 위치한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314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3 서브 영역(3125) 및 제 4 서브 영역(3127)에 대한 스퀴즈(squeeze) 터치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예: 453)가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140)이 터치 압력의 세기(3131, 3133, 3135, 3137)에 기초하여 단계적으로 축소되도록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스퀴즈 터치 압력의 세기(3131, 3133, 3135, 3137)가 점차 증가하면, 도 31의 (a), (b), (c)의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53)가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임계값 미만의 범위 내에서 터치 압력의 세기(3131, 3133, 3135)가 점차 증가함에 응답하여, 단계적으로 축소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3 서브 영역(3125) 및 제 4 서브 영역(3127)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3137)을 갖는 스퀴즈(squeeze) 터치의 입력이 감지되면, 도 31의 (d)와 같이 전원 오프 이벤트를 활성화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중에서 제 3 서브 영역 및 제 4 서브 영역에 대해 동시에 압력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제공하는 동작 및 시각 피드백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200)(예: 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예를 들면, 제 3 서브 영역(3265)(예: 855) 및 제 4 서브 영역(3267)(예: 857)에 위치한 공통 버튼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3240)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 3 서브 영역(3265) 및 제 4 서브 영역(3267)에 대한 스퀴즈(squeeze) 터치가 감지되면, 제 3 서브 영역(3265) 및 제 4 서브 영역(3267)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압력의 세기(3231, 3233, 3235, 3237)를 나타내는 오브젝트(3251, 3253, 3255)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예: 45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오브젝트(3251, 3253, 3255)의 길이, 명도, 컬러, 또는 채도가, 임계값 미만의 범위 내에서 스퀴즈 터치 압력의 세기(3231, 3233, 3235, 3237)가 점차 증가함에 응답하여, 단계적으로 조정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3 서브 영역(3265) 및 제 4 서브 영역(3267)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압력(3237)을 갖는 스퀴즈(squeeze)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도 32의 (d)와 같이 전원 오프 이벤트를 활성화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레이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101)의 프로세서(410)(예: 120)는 기본 화면(예: 홈 화면)(3310) 상에 별도의 상위 레이어(3320)를 배치하도록 디스플레이(예: 45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상위 레이어(3320)에서 어플리케이션 화면, 아이콘, 또는 기타 시각 피드백을 표시하도록 레이어 매니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어 매니저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프로세서(410)와는 다른 별도의 IC에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축소, 회전, 블러(blur) 등이 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상기 상위 레이어(3320) 전체를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아이콘이 점차적으로 크게 표시되거나 팝업 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기본 화면(3310)에 표시된 아이콘들과 별도로 상기 상위 레이어(3320)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또는 핫 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453)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기본 화면(3310)과 상기 상위 레이어(3320)는 서로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시각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3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이다. 도 3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37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3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101)의 압력 센서(예: 431)는 유도(inductive) 방식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도(inductive) 방식 압력 센서는 사용자의 압력에 기초하여 인덕터(예: 코일)에 유도된 전류가 변화하는 것에 응답하여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류는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인덕터(예: 코일)에 도전체(예: 메탈 하우징, 사용자의 손가락 등)가 가까워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압력 센서(431)는 메탈 하우징의 압력 센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탈 하우징의 압력 센서 구조는 측면 또는 상/하단 메탈 하우징을 통하여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메탈 하우징의 강성으로 인해 메탈 하우징이 잘 눌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의 유도(inductive) 방식 압력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유도(inductive) 방식 압력 센서(예: 431)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인덕터(예: 코일)에 유도된 전류가 변화하는 것에 기반하여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류는, 도 34의 (a)와 같이,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3410) 내부에 배치된 인덕터(예: 코일)(3430)에 도전체(예: 사용자의 손가락, 메탈 하우징(3410) 등)가 가까워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턱터(3430)는, 도 34의 (b)와 같이, 다층 FPCB의 여러층에 걸쳐 배치된 도전체(3440)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도 34에서 도면부호 3420은 메탈 하우징(3410) 내부의 공간(space)일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유도(inductive) 방식 압력 센서(예: 431)는, 예를 들면, 메탈 및 스페이서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는 메탈 하우징(3510)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들이 센서(3530)와의 거리를 유지시켜주는 스페이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는 센서가 밀려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스티프너(stiffener)(35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5에서 도면부호 3520은 메탈 하우징(3410) 내부의 공간(space)일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유도(inductive) 방식 압력 센서(예: 431)는, 예를 들면, 스페이서 확장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는 센서(3630)가 뒤로 밀려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스티프너(stiffener)(3640)가 메탈 하우징(3610)과 센서(3630)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주는 스페이서 역할을 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유도(inductive) 방식 압력 센서(예: 431)는, 예를 들면, 스페이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는 도면 부호 37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FPCB(3730)의 중앙부를 컷 아웃(cut out) 함으로써 외곽부(3733)가 메탈 하우징(3710)과 센서(3730)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주는 스페이서 역할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7에서 도면부호 3740은 FPCB(3730)의 여러층에 걸쳐 배치된 도전체일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유도(inductive) 방식 압력 센서(예: 431)는, 예를 들면, 부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는 메탈 하우징(3810)과 센서(3830)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3840)가 메탈 하우징(3810)과 센서(3830)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주는 스페이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9는 셀프 커패시턴스(self capacitance) 방식 압력 센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101)의 압력 센서(예: 431)는 셀프 커패시턴스(self capacitance) 방식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는 반복된 복수의 다각형들(또는 원들) 형태의 제 1 전극(3910), 상기 반복된 복수의 다각형들에 대응하는 영역 전체에 걸쳐 하나로 연장된 제 2 전극(3920), 및 제 1 전극(3910) 및 제 2 전극(3920) 사이에 배치된 유전층(3930), 제 1 및 제 2 전극(3910, 39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압 또는 정전용량 측정기(39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상기 제 1 전극(3910) 중 각 부분 전극과 제 2 전극(3920)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에 기반하여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극(3910) 및 제 2 전극(3920)의 위치 또는 형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40은 뮤추얼 커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 방식 압력 센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101)의 압력 센서(예: 431)는 뮤추얼 커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 방식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전극(4010), 상기 제 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전극(4020), 및 제 1 전극(4010) 및 제 2 전극(4020) 사이에 배치된 유전층(40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상기 제 1 전극(4010)과 제 2 전극(4020)이 교차하는 지점에서의 상기 제 1 전극(4010)과 제 2 전극(4020)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에 기반하여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극(4010) 및 제 2 전극(4020)의 위치 또는 형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극(4010) 또는 제 2 전극(4020)은 불투명 또는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4010) 또는 제 2 전극(4020)이 불투명한 경우, 제 1 전극(4010) 또는 제 2 전극(4020)은 Cu, Ag, Mg, 또는 Ti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극(4010) 또는 제 2 전극(4020)이 투명한 경우, 제 1 전극(4010) 또는 제 2 전극(402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고분자 도전체, 그래핀(graphene), 특정 선폭 이하의 불투명 배선 패턴(Ag nanowire, metal mesh 등)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층(4030)은 실리콘, air, foam, membrane, OCA(optical clear adhesive), 스폰지, 고무, 잉크, 또는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1은 유도(inductive) 방식 압력 센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101)의 압력 센서(예: 431)는 유도(inductive) 방식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는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인덕터(예: 코일)(4110)에 유도된 전류가 변화하는 것을 전류 측정기(4120)가 감지한 것에 기반하여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류는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인덕터(예: 코일)(4110)에 도전체(예: 메탈 하우징, 사용자의 손가락 등)가 가까워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도 42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방식 압력 센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101)의 압력 센서(예: 431)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방식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는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도전체(예: 배선)(4210)의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전류 측정기(4220)가 감지한 것에 기반하여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항은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상기 도전체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도전체의 단면적이 감소함으로써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전체를 구성하는 배선은 휘트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3은 피에조(piezo) 방식 압력 센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101)의 압력 센서(예: 431)는 피에조(piezo) 방식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는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피에조 물질(4310)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전류 측정기(4320)가 감지한 것에 기반하여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류는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상기 피에조 물질(4310)에 의해 변환되는 전류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압력 센서를 포함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101)는, 예를 들면, 커버 윈도우(4410), 터치 센서(4420)(예: 421), 디스플레이(4430)(예: 453), 압력 센서(4440)(예: 431), 및 햅틱 액츄에이터(4450)(예: 46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4440)는, 예를 들면, 제 1 전극(4441), 제 2 전극(4443), 및 그 사이에 배치된 유전층(444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44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430) 아래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전극(4441) 또는 제 2 전극(4443)은 디스플레이(4430)와 일체로 배치되거나 별도의 지지 부재(FPCB)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압력 센서(4440)는, 도시된 것과 달리 커버 윈도우(4410) 및 디스플레이(4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전극(4441) 또는 제 2 전극(4443)은 터치 센서(4420)와 일체로 배치되거나 별도의 지지 부재(예: PET)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압력 센서(4440)는, 도시된 것과 달리 디스플레이(4430)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적어도 하나의 전극 층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전극(4441) 또는 제 2 전극(4443)은 디스플레이(4430) 전극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4440)는, 셀프 커패시턴스(self capacitance) 방식 또는 뮤츄얼 커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4420)는, 예를 들면, 커버 윈도우(4410)와 디스플레이(4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4420)는 도시된 것과 달리, 디스플레이(4430)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적어도 하나의 전극 층이)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4420)는, 셀프 커패시턴스(self capacitance) 방식 또는 뮤츄얼 커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햅틱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면, 압력 센서(4440) 아래에 하나의 햅틱 액츄에이터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자 장치의 여러 위치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햅틱 액츄에이터는 다양한 종류의 진동 피드백을 전자 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제공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410)는, 예를 들면, 글래스(강화 글래스, 사파이어 글래스 포함)와 같은 실질적으로 단단한 층, 또는 폴리머(예: PI, PET, PC 등)와 같은 실질적으로 유연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430)는, 예를 들면, OLED, LCD, Q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4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430)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수신시, 상기 터치 입력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명령인지 전자 장치의 일반적인(generic) 기능에 관련한 명령인지 구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 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1, 102, 104, 201
프로세서: 120, 210, 410
메모리: 130, 230, 440
디스플레이: 160, 260, 453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부분을 통해 노출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감지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압력 감지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와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2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3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3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3 동작을 수행하고; 및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4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4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동작과 다른 제 4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동작은 상기 제 4 터치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이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수행되는 동작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인,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제 1 임계값과 동일한,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동작은 홈 버튼과 관련한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동작은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을 호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가운데와 인접한,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3 영역을 통해 제 3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5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5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5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3 영역을 통해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6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6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 또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제 6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임계값은 상기 제 1 임계값 또는 상기 제 2 임계값과 동일한,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일측과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4 영역을 통해 제 4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7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7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7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4 영역을 통해 상기 제 4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8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8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을 호출하거나 또는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제 8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임계값은 상기 제 1 임계값 또는 상기 제 2 임계값과 동일한,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타측과 인접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5 영역을 통해 제 5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9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9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9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5 영역을 통해 상기 제 5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10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0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전원 오프 기능 또는 긴급 호출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0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임계값은 상기 제 1 임계값 또는 상기 제 2 임계값과 동일한, 전자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 동작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에 관련한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1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와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2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3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3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3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4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4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동작과 다른 제 4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제 4 동작은 상기 제 4 터치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이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수행되는 동작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인,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동작은 홈 버튼과 관련한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3 영역을 통해 제 3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5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5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5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3 영역을 통해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6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6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 또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제 6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일측과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4 영역을 통해 제 4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7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7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7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4 영역을 통해 상기 제 4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8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8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을 호출하거나 또는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제 8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타측과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5 영역을 통해 제 5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9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9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9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5 영역을 통해 상기 제 5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10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0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전원 오프 기능 또는 긴급 호출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0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 동작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에 관련한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와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2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3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3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 3 동작을 수행하고; 및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큰 압력을 갖는 제 4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 4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동작과 다른 제 4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동작은 상기 제 4 터치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이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수행되는 동작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에 관련한 일반적인(generic) 동작인, 기록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동작은 홈 버튼과 관련한 동작 또는 지능형 보조 프로그램(intelligent assistant program)을 호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170053976A 2017-04-26 2017-04-26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364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76A KR102364420B1 (ko) 2017-04-26 2017-04-26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N201880016334.4A CN110383231A (zh) 2017-04-26 2018-04-17 电子设备及基于触摸输入控制电子设备的方法
US15/955,118 US10747353B2 (en) 2017-04-26 2018-04-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ouch input
EP18790618.5A EP3566123A4 (en) 2017-04-26 2018-04-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OUCH ENTRY
PCT/KR2018/004456 WO2018199537A1 (en) 2017-04-26 2018-04-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ouch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76A KR102364420B1 (ko) 2017-04-26 2017-04-26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036A KR20180120036A (ko) 2018-11-05
KR102364420B1 true KR102364420B1 (ko) 2022-02-17

Family

ID=6391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976A KR102364420B1 (ko) 2017-04-26 2017-04-26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47353B2 (ko)
EP (1) EP3566123A4 (ko)
KR (1) KR102364420B1 (ko)
CN (1) CN110383231A (ko)
WO (1) WO2018199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417037B2 (en) 2012-05-15 2019-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BR112015018905B1 (pt) 2013-02-07 2022-02-22 Apple Inc Método de operação de recurso de ativação por voz, mídia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e dispositivo eletrônico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20160378747A1 (en) 2015-06-29 2016-12-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KR102521192B1 (ko) * 2016-06-28 2023-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K180048B1 (en) 2017-05-11 2020-02-04 Apple Inc. MAINTAINING THE DATA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K201770427A1 (en) 2017-05-12 2018-12-20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DE102017121823A1 (de) * 2017-09-20 2019-03-2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Funkschlüssel für Kraftfahrzeuge
USD914633S1 (en) * 2018-02-01 2021-03-3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KR102519800B1 (ko) * 2018-07-17 2023-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462215B2 (en) *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US11761830B2 (en) * 2019-01-15 2023-09-19 Pixart Imaging Inc. Earphone with force sensor
US10921199B2 (en) 2019-01-15 2021-02-16 Pixart Imaging Inc. Forc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0119099A (ja) * 2019-01-21 2020-08-0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タッチパッド及び電子機器
US11348573B2 (en) 2019-03-18 2022-05-31 Apple Inc.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DK201970509A1 (en) 2019-05-06 2021-01-15 Apple Inc Spoken notifications
US11307752B2 (en) 2019-05-06 2022-04-19 Apple Inc.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US11140099B2 (en) 2019-05-21 2021-10-05 Apple Inc.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US11468890B2 (en) 2019-06-01 2022-10-11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11294496B2 (en) 2019-08-05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on method based on touch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10413172B (zh) 2019-08-16 2021-08-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键指示方法及电子设备
KR20210041785A (ko) * 2019-10-08 2021-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구조, 키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KR102274439B1 (ko) * 2019-10-10 2021-07-07 주식회사 지니틱스 가상 베젤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183193B1 (en) 2020-05-11 2021-11-23 Apple Inc.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CN112035023B (zh) * 2020-08-14 2022-03-29 江苏铁锚玻璃股份有限公司 智能分区域显示控制方法
TWI801858B (zh) * 2020-09-29 2023-05-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輔助照明功能的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CN112218136B (zh) * 2020-10-10 2021-08-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1481686B1 (en) * 2021-05-13 2022-10-25 Google Llc Selectively rendering a keyboard interface in response to an assistant invocation in certain circumstances
CN116700585B (zh) * 2022-10-21 2024-04-16 荣耀终端有限公司 熄屏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3430A1 (en) * 2015-09-22 2017-03-30 Immersion Corporation Pressure-based haptics
JP2017510868A (ja) * 2014-01-21 2017-04-13 マイクロソフト テクノロジー ライセンシング,エルエルシー 把持状態検出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0065A1 (en) * 2009-02-27 2010-09-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ensitive display including a force-senso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A2680666A1 (en) * 2008-10-08 2010-04-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tate aware touchscreen
US20120105367A1 (en) * 2010-11-01 2012-05-03 Impress Inc. Methods of using tactile force sensing for intuitive user interface
US9678590B2 (en) * 2011-06-27 2017-06-13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520918B2 (ja) * 2011-11-16 2014-06-11 富士ソフ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00450B2 (en) * 2011-12-28 2013-12-03 Sony Corporation Receiving user input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TWI475435B (zh) 2012-07-09 2015-03-01 Wistron Corp 壓力感應觸控方法及其觸控顯示裝置
CN105808040B (zh) * 2014-12-30 2019-01-15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图形用户界面的显示方法及移动终端
US20160328065A1 (en) 2015-01-12 2016-11-10 Rockwell Collins, Inc. Touchscreen with Dynamic Control of Activation Force
KR102315339B1 (ko) 2015-02-02 202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104976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KR102422181B1 (ko) * 2015-06-02 202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293444B (zh) 2015-06-25 2020-07-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显示控制方法及装置
BR112017019506B1 (pt) 2015-07-03 2024-01-23 Honor Device Co., Ltd Método de operação aplicado a dispositivo terminal, e dispositivo terminal
KR102398503B1 (ko) * 2015-09-09 202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의 압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843501B (zh) * 2016-02-03 2019-1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参数的调整方法及移动终端
CN105843523B (zh) * 2016-03-18 2020-01-31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的方法和装置
CN105912163B (zh) * 2016-04-11 2019-06-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实体按键组件、终端、触控响应方法及装置
KR102386132B1 (ko) * 2017-03-30 2022-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0868A (ja) * 2014-01-21 2017-04-13 マイクロソフト テクノロジー ライセンシング,エルエルシー 把持状態検出
WO2017053430A1 (en) * 2015-09-22 2017-03-30 Immersion Corporation Pressure-based hap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6123A4 (en) 2020-01-08
EP3566123A1 (en) 2019-11-13
US20180314362A1 (en) 2018-11-01
CN110383231A (zh) 2019-10-25
KR20180120036A (ko) 2018-11-05
WO2018199537A1 (en) 2018-11-01
US10747353B2 (en)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420B1 (ko)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10948949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hole area within scre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7825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지문 정보 획득 방법
CN109313519B (zh) 包括力传感器的电子设备
KR102364429B1 (ko)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2878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535056B1 (ko) 전자 장치 및 터치 인식 방법
KR102518477B1 (ko)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505478B1 (ko) 플렉서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US20170336970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KR102429740B1 (ko) 터치 이벤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EP3141982B1 (en) Electronic device for sensing pressure of inpu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KR10258032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16430B1 (ko) 터치의 압력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 영역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3336666A1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opening and closing of cover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343990B1 (ko) 디스플레이의 서로 다른 영역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87138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59872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536148B1 (ko)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553558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이벤트 처리 방법
KR102575844B1 (ko)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09147A (ko) 압력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EP3528102A1 (en)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provis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629409B1 (ko) 객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56345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