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295B1 -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 Google Patents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295B1
KR102362295B1 KR1020210089070A KR20210089070A KR102362295B1 KR 102362295 B1 KR102362295 B1 KR 102362295B1 KR 1020210089070 A KR1020210089070 A KR 1020210089070A KR 20210089070 A KR20210089070 A KR 20210089070A KR 102362295 B1 KR102362295 B1 KR 102362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building
user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0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순규
Original Assignee
황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규 filed Critical 황순규
Priority to KR102021008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2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295B1/en
Priority to PCT/KR2022/008182 priority patent/WO202328248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04N5/2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An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is disclosed.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detects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n a building and collects disaster-related information;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a user located in the building and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control unit that searches for and provides to a user an optimal evacuation route for each user located in the building on the basis of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a user terminal that is carried by the user and displays and outputs, on a screen,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and including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means the shortest route from a user's current location to an emergency exit via bypass of a disaster occurrence point. Safe and active evacuation of users can be induced.

Description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화재와 같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재난이 발생한 위치 및 건물 내 이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최적의 비상 대피경로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건물 내 이용자의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고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s in a building, by creating and providing an optimal emergency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It relates to an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that can induce safe and rapid evacuation of users in a building and minimize human casualties.

현대에 들어 도심의 인구 증가와 건축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고층/대형 건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심지 과밀화 현상으로 인한 도시자원의 고갈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시공간의 효율적인 이용 및 대체공간의 확보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지하공간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In modern times, high-rise/large buildings are increasing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population in the city center and the development of building technology.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epletion of urban resources due to urban overcrowding, efficient use of urban space and securing of alternative space are urgently required.

그런데 이러한 고층/대형 건물이나 지하공간에 구축되는 지하 건물에 화재나 지진과 같은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규모가 방대한 특성상 건물 내부의 이용자들이 외부로 대피할 수 있는 경로가 매우 복잡해지고 대피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인명피해와 같은 심각한 피해가 초래될 위험이 매우 높다.However, when disasters such as fire or earthquake occur in such high-rise/large buildings or underground buildings built in underground spaces, the route through which users inside the building can evacuate to the outside becomes very complicated and the evacuation time is long due to the large scale. There is a very high risk of serious damage such as human casualties.

특히, 대심도 철도(Great Train Express)와 같은 대규모 수송수단의 이용을 위한 지하철역, 지하에 구축되는 지하터널이나 도심 지하도로, 지하상가나 지하 공공주차장과 같은 지하 공공시설을 포함하는 대심도 지하공간은 화재나 지진, 테러 등의 재난에 대비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요구되는데, 대심도 지하공간은 지표면의 하부 공간을 확보하여 형성되는 구조적 특성상 지상으로 통하는 출구나 비상구가 한정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실제로 재난 발생시 내부 이용자들이 적절한 대피경로를 통하여 신속하게 탈출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In particular, deep underground spaces including subway stations for the use of large-scale transportation such as the Great Train Express, underground tunnels or urban underground roads, and underground public facilities such as underground shopping malls and underground public parking lots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stability in preparation for disasters such as fire, earthquake, and terrorism. However, due to the structural nature of the deep underground space, which is formed by securing the space below the surface of the earth, exits and emergency exits leading to the ground are limited. Because there is no such thing, when a disaster actually occurs, it is difficult for internal users to quickly escape through an appropriate evacuation route.

또한, 상기한 대규모 지상/지하 건물들은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설계되어 있기에 재난 상황에서 건물 내부의 이용자들은 혼란을 겪게 된다. 건물 이용자들의 혼란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건물 내부 곳곳에 각종 안내판이나 안내등이 설치되고 있으나, 대형 건물의 경우에는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이용자들이 최적의 대피경로를 선택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난 발생시 건물 내부의 구역별 위험도는 시간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이를 파악할 수 없는 이용자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하는데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mentioned large-scale above-ground/underground buildings have a very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users inside the building experience confusion in a disaster situation. In order to reduce the confusion of building users, various information boards and guides ar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Since the level of risk for each zone inside a building changes every moment with time, it is difficult for users who cannot understand it to evacuate quickly and safely.

뿐만 아니라, 구조 활동에 있어서도 방대하고 복잡한 구조의 건물 내에서 모든 이용자를 구출해내기란 쉽지 않으며, 건물 내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구조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in rescue activities, it is not easy to rescue all users in a building with a massive and complex structure, and rescue efficiency is remarkably reduced in the state where the location of users in the building is not grasped.

본원의 선행기술로는 "긴급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제공하는 지능형 긴급재난통합 관리시스템"에 관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1380호가 있다. 선행기술은 홈네트워크와의 연계를 통하여 긴급재난시 건물 내부 거주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s a prior ar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591380, which relates to an "intelligent emergency disaste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rapid response to emergency disasters". The prior art aims to induce rapid evacuation of the occupants of the building in case of an emergency through connection with the home network.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화재, 방법과 같은 긴급재난시에 홈네트워크와의 연계를 통하여 거주자에게 음성 또는 비디오 형식으로 재난 발생 사실을 알려 대피를 유도하는 것에 불과하며, 재난 발생을 통지한 이후에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유도하는 또 다른 기술적 구성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However, the prior art is merely to induce evacuation by notifying residents of the disaster in voice or video format through connection with the home network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a method. It does not include other technical components leading to safe evacuation.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에 의해서는 재난 발생에 대한 통지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지는 몰라도, 재난 발생 상황에서 복잡한 구조로 설계된 건물 내부의 이용자들이 적절한 대피경로를 통해 신속하게 대피하고 안전하게 탈출하는데에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Therefore, although the notification of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may be made quickly by the prior art, it is still difficult for users inside a building designed with a complex structure to evacuate quickly and safely through an appropriate evacuation route in a disaster situation. can suff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1380호 (2006.06.19.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591380 (2006.06.19. Announc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건물에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재난이 발생한 위치 및 건물 내 이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생성된 최적의 대피경로를 건물 내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안전하고 능동적인 대피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users in a building with an optimal evacuation route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s in a building 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The goal is to provide an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that can induce evacuation and ultimately minimize human casualties.

특히, 본 발명은 고층/대형 건물이나 대심도 지하공간과 같이 규모가 방대하고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재난 발생시 이용자들이 스스로 대피경로를 파악하고 안전하게 탈출하기 어려운 지상 및 지하의 대규모 건물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large-scale buildings on the ground and underground, where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figure out an evacuation route on their own and to escape safe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due to the large scale and complex internal structure, such as high-rise/large buildings or deep underground spaces. It is a technical task to provide an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with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 내 재난 발생을 감지하고 재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재난정보 수집부; 상기 건물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상기 재난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재난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 내에 위치하는 각 이용자별로 최적의 대피경로를 탐색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관제부; 및 상기 이용자에 의해 소지되며 상기 최적의 대피경로를 포함하여 상기 관제부로부터 제공되는 대피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의 대피경로는 상기 이용자가 위치하는 현재 위치로부터 재난 발생 지점을 우회하여 비상구로 향하는 최단 경로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n a building and collecting disaster-related information;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a user located in the building and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ntrol that searches for an optimal evacuation route for each user located in the building based on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wealth; and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nd displaying and outputting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including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on a screen, wherein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s from the current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An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may b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means the shortest route to the emergency exit bypassing the disaster point.

상기 재난정보 수집부는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재난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감지센서는 화재를 감지하는 열 센서, 연기 센서, 가스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aster detection sensor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t sensor, a smoke sensor, and a gas sensor for detecting a fire.

상기 관제부는 상기 재난 발생 지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재난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재난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최적의 대피경로를 결정하되, 상기 재난정보로서 상기 열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건물 내 통로의 온도 정보, 상기 연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건물 내 통로의 연기 정보,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건물 내 통로의 가스 농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더 고려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n consideration of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point of occurrence of the disaster, and the passage in the building sensed by the heat sensor as the disaster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emperature information, smoke information of a passage in the building sensed by the smoke sensor, and gas concentration information of a passage in the building sensed by the gas sensor may be further considered.

상기 재난정보 수집부는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CCTV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재난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와 상기 CCTV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정보를 취합하여 재난이 발생한 위치, 종류 및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CTV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he control unit collects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CTV, and the location, type and scale of the disaster can figure out

상기 관제부는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건물 내 특정 구역의 혼잡도를 파악하고, 상기 혼잡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형성되는 구역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들에 대해서는 상기 최적의 대피경로를 2 이상의 복수개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congestion level of a specific area in the building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for user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congestion level is formed above a certain level, the optimal It is possible to create and provide a plurality of evacuation routes of two or more.

상기 관제부는 상기 혼잡도를 파악함에 있어서 상기 CCTV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additionally consider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CTV in determining the congestion level.

상기 CCTV는 연기에 의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감시 구역 내에 위치하는 인원 밀집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LV(Low Visibility) 필터가 적용된 열감지 CCTV일 수 있다.The CCTV may be a heat-sensing CCTV to which an LV (Low Visibility) filter is applied so that the density of people located in the monitoring area can be easily identified even in a situation where visibility is not secured due to smok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상기 건물 내에서 상기 비상구 및 상기 비상구로 향하는 통로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비상유도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제부는 생성된 상기 최적의 대피경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비상유도등의 방향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emergency guidance lights installed on the emergency exit and the passageway leading to the emergency exit in the building,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information on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dic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emergency guidance lamp based on the .

상기 관제부는 상기 재난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되는 재난정보를 참조하여 재난 상황에 따라 상기 비상유도등의 방향 표시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variably control the direction display of the emergency guidance lamp according to the disaster situation with reference to the disast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상기 관제부는 상기 재난정보 수집부 및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재난정보 및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재난 대응을 위한 외부기관에 제공하고, 상기 외부기관은 상기 관제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재난정보 및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재난 진압 계획 및 구조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an external organization for disaster response, and the external organization is the disaster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disaster suppression plan and rescue plan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재난 발생 위치 및 건물 내 이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이용자에게 상황에 따른 최적의 비상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고 궁극적으로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user with an optimal emergency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situ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duce safe and rapid evacuation of users, and ultimately,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human casualties.

특히, 본 발명은 최적의 대피경로를 포함하는 대피정보를 건물 내 이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재난 상황에서 건물 내 이용자의 능동적인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active evacuation of users in a building in a disaster situation by providing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optimal evacuation route to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in a building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화재 발생 지점 등의 재난정보를 기반으로 비상구로 향하는 통로에 설치되는 비상유도등의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건물 내 이용자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근처의 안전한 비상구로 안내할 수 있고,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이용자들도 비상유도등의 안내를 받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ectively guide users in a building to a nearby safe emergency exit by controlling the display of emergency guidance lights installed in the passageway to the emergency exit based on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a fire point, etc. In addition, users who do not have a terminal can evacuate quickly and safely by receiving guidance such as emergency guidanc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비상전원이나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재난 전용 PIS를 제공함으로써, 건물이 정전되는 상황에서도 건물 내 이용자들을 안전하게 비상구로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disaster-only PIS that uses an emergency power source or a battery as a power source, so that users in a building can be safely guided to an emergency exit even when the building is out of pow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시스템은 건물 내 혼잡도(인원 밀집도)를 기반으로 하여 혼잡한 구역에 위치하는 이용자들의 분산 대피를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LV 필터가 적용된 열감지 CCTV를 이용하여 화재시 연기가 가득 찬 상황에서도 특정 구역의 혼잡도 및 재난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상황에 맞는 대피정보를 이용자들에게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dispersed evacuation of users located in a congested area based on the congestion level (person density) in the building. Even in a situation full of city smoke,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congestion level and disaster situation in a specific area, and to provide users with evacuation information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시스템은 건물 내 발생한 재난정보와 건물 내 위치하는 이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재난 대응을 위한 외부기관에 제공하여 재난 진압 및 구조 작업에 대한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외부기관은 이러한 정보를 다각도로 활용하여 건물 내에 갇힌 이용자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조해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isaster information that has occurred in a building and location information of users located in the building to an external organization for disaster response, which can help in planning for disaster suppression and rescue work. , external organizations can use this information in various ways to quickly and accurately rescue users trapped in a building.

더불어, 본 발명은 건물 내 이용자의 위치정보 및/또는 등록정보에 따라 이용자가 처한 위험의 심각도를 분류하고 심각도가 높은 이용자에 대하여 우선적인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물 내 대피 인원에 대한 효율적인 구조를 가능하게 하여 인명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severity of the risk the user faces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or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and provides a preferential structure for users with high severity, thereby providing an efficient structure for evacuation personnel in the building. This has the effect of greatly reducing human casualties.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최적의 대피경로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상에 표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재난 전용 PIS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평상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재난 발생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optimal evacuation route provided by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disaster-only PIS provided by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the normal operating state, (b) shows the operating state when a disaster occurs .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해야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는 다소 상이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고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Matters expressed 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may b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form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drawings schematically to easily expla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i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It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and does not mean the actual siz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고 하는 것은 직접적인 연결은 물론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는 것이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ncludes an indirect connection as well as a direct connection, and another component may exist between the two components. The singular expression may be construe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건물 내 재난 발생을 감지하고 재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재난정보 수집부(100); 건물 내 이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200); 재난정보 수집부(100)에 의해 수집된 재난정보와 위치정보 수집부(200)에 의해 수집된 이용자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건물 내 각 이용자별로 최적의 대피경로를 탐색하고, 최적의 대피경로를 포함하는 대피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관제부(300); 및 관제부(300)로부터 제공되는 대피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n a building and collecting disaster-related information;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and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users coll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s searched for each user in the building, and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s determined. a control unit 300 that provides evacuation information to a user including; And it may include a user terminal 400 that receives the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300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재난정보 수집부(100)는 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을 감지하고 발생된 재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serves to detect a disaster such as a fire or an earthquake occurring in a building and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aster.

재난정보 수집부(10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물 내 곳곳에 배치되는 재난 감지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난 감지센서(110)는 설치된 위치에서의 감지 영역 내에서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재난 감지센서(110)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센서 및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른 재난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갖출 수도 있다.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may include a disaster detection sensor 110 disposed in various places in a buildin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110 may detect that a disaster situation, such as a fire or an earthquake, occurs within a detection area at an installed location.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fire and an earthquak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earthquake, and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other disaster situations.

화재 감지센서로는 온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열 센서(heat sensor), 연기를 검출하는 연기 센서(smoke sensor), 화재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의 성분을 검출하는 가스 센서(gas sensor)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화재 발생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된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the fire detection sensor, a heat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temperature, a smoke sensor that detects smoke, and a gas sensor that detects components such as carbon monoxide generated during a fire may be used. Of course, as long as it can easily detect the occurrence of a fire, various known sensors can be used.

지진 감지센서로는 대표적인 진동 센서(vibration sensor)가 이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지진 발생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As the earthquake sensor, a typical vibration sensor may be used, and similarly, various known sensors capable of easily detecting an earthquake may be used.

또한, 재난정보 수집부(100)는 재난 감지센서(110) 이외에도 건물 내 설치되는 CCTV(1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CCTV(120)를 통해 모니터링된 재난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재난 감지센서(110)에서 수집된 정보와 취합하여 재난 발생 위치, 종류, 재난의 규모/정도, 위험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CCTV 120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addition to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110 , and collects disaster-related information monitored through the CCTV 120 and uses it as a disaster detection sensor. By combin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110), the location and type of the disaster, the scale/degree of the disaster, the risk, etc. can be identified.

또한, 화재의 경우에 재난정보 수집부(100)는 최초 화재가 발생한 위치와 그 이후 화재를 감지한 재난 감지센서(110)들의 정보 및/또는 CCTV(120)의 화상정보를 토대로 화재의 확산 방향을 추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ire,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first fire and the direction of the spread of the fir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s 110 and/or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CTV 120 that sensed the fire thereafter. can also be estimated.

여기서 CCTV(120)는 열감지 CCTV로 마련될 수 있으며, CCTV(120)에 의해 수집되는 열화상 이미지에 대한 화상 분석을 통하여 화재의 규모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열감지 CCTV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시야가 잘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건물 내 혼잡도, 즉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혼잡한 구역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들의 분산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Here, the CCTV 120 may be provided as a heat-sensing CCTV, and the scale or degree of the fire may be determined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thermal image collected by the CCTV 120 .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level of congestion in the building, that is, the density of users, even in a situation where visibility is not secured by using thermal CCTV, and based on this, dispersed evacuation of users located in congested areas can be induced. hav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재난정보 수집부(100)는 재난 감지센서(110)에서 검출되는 감지값과 CCTV(120)에 의해 획득된 화상정보를 취합하여 재난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재난이 발생한 위치나 규모,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따라서 재난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collects the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110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CTV 120 to identify the disaster situa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cale and degree more accurately, and thus prepare an appropriate countermeasure for the disaster situation.

재난정보 수집부(100)에 의해 화재 및 지진을 포함하는 재난 중 하나 이상의 재난이 감지되는 경우, 재난정보 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정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후술하는 관제부(300) 그리고 건물 내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재난정보 수집부(100)에 의해 수집된 재난정보는 소방서나 관제센터와 같은 재난 관련 외부기관(700)에 전송되어 건물 내 이용자의 구조 작업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When one or more disasters among disasters including fire and earthquake are det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is transmitted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to the control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00 of the user in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isaster-related organization 700 such as a fire station or a control center and used as important information for a rescue operation of a user in a building.

위치정보 수집부(200)는 건물 내에 위치한 이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정보 수집부(200)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재난정보 수집부(100)에 의해 재난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또는 이용자의 동의하에 이용자의 건물 내 위치정보를 상시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도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serves to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of users located in the buil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may collect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only when a disaster is det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r with the user's consent,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in the building can be continuously tracked at all times.

위치정보 수집부(200)는 건물 내 이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40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위치식별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식별기(210)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위치식별기(210)는 건물 내 곳곳에 미리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기(40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may include a location identifier 210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400 carried by the user in the building. As such a location identifier 210,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 or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may be used, and the location identifier 210 is pre-installed in various places in the building to the user terminal ( 400) can collect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위치식별기(210)는 각 층별로 구비되는 복도, 통로, 출입구, 비상구, 비상계단, 엘리베이터 승강장 등을 포함하여 건물 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위치정보 수집부(2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건물 내 곳곳에 설치되는 위치식별기(210)와 통신할 수 있다.The location identifier 210 may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in the building, including corridors, passages, entrances, emergency exits, emergency stairs, elevator platforms, etc. provided for each floo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00 is a wired/wireless network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location identifier 210 installed in various places in the building through the.

위치식별기(210)는 사용자 단말기(400)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이를 식별하여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위치식별기(210)가 송출하는 신호에는 해당 위치식별기(210)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특정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신호가 감지된 위치식별기(21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단말기(400)의 건물 내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400)의 위치를 곧 해당 단말기를 소지한 이용자의 위치로서 추정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400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ocation identifier 210 may identify it and transmit a signal.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location identifier 210 includes 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location where the location identifier 210 is installed, an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identifier 210 where the signal is detected, the building of the user terminal 400 My location can be checked,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can be estimated as the location of the user who owns the terminal.

위치정보 수집부(200)는 건물 내부에서 근접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위치식별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400)의 위치, 즉 이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신호의 변화를 통해 이용자의 이동 방향 등을 추정할 수도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that is, the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strength of signal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location identifiers 210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inside the building, It is also possible to estimat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user through the change of the signal.

관제부(300)는 재난정보 수집부(100) 및 위치정보 수집부(20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건물 내에 위치하는 각 이용자별로 최적의 대피경로를 탐색하고, 이를 포함하는 대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trol unit 300 searches for an optimal evacuation route for each user located in the building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and retrieves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it. It serves to provide to the user terminal (400).

먼저, 재난정보 수집부(100)에서 재난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관제부(300)는 위치정보 수집부(200)에 의해 수집된 건물 내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이용자의 위치정보(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재난정보를 참조하여 최적의 대피경로를 탐색한다. 여기서 최적의 대피경로란 이용자가 재난이 발생한 지역을 우회하면서 비상구로 가장 최단 시간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재난정보 수집부(100)에 의해 생성된 최적의 대피경로 및 이를 포함하는 대피정보는 이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된다.First, when a disaster is detected in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 the control unit 300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coll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in real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disaster information to search for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Here,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may mean a route through which the user can reach the emergency exit in the shortest time while bypassing the disaster area.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genera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nd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ame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00 possessed by the user.

여기서 '비상구'란 사전적으로 "사고에 대비하여 대피용으로 설치한 출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비상시에 건물 내 이용자가 긴급 탈출할 수 있는 출구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비상구'에는 사전적 의미의 비상구는 물론 건물의 출입을 위해 마련되는 출입구도 포함될 수 있다.Here, 'emergency exit' has the meaning of "exit installed for evacuation in preparation for an accident" in the dictionary,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to encompass all exits from which users in a building can emergency escape in case of an emergency. The term 'emergency ex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ot only an emergency exit in the dictionary meaning, but also an entrance provided for entering and exiting a building.

다시 말해, 관제부(300)는 건물 내 이용자의 위치정보와 함께 재난이 발생한 위치 등의 재난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대피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신속하고도 안전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300 creates an optimal evacuation route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and the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where the disaster occurred,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e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t can also lead to a safe evacuation.

또한, 관제부(300)는 최적의 대피경로를 탐색함에 있어서 재난이 발생한 위치 뿐만 아니라 재난의 규모나 확산 방향, 향후 예측되는 재난의 위험성 등을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대피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earching for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the control unit 300 comprehensively considers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not only the location where the disaster occurred, but also the scale or spread direction of the disaster, and the risk of a disaster predicted in the future,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can be decided

예를 들면, 재난정보 수집부(100)에서는 최초 화재 발생 위치와 그 이후 화재를 감지한 재난 감지센서(110)들의 정보 및/또는 CCTV(120)의 화상정보를 토대로 화재의 확산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는 내용을 전술한 바 있는데, 관제부(300)는 이와 같이 현재 화재가 확산되고 있는 방향과 이를 토대로 추정되는 향후 화재의 확산 방향 등을 최적의 대피경로를 결정하는데 참조하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estimates the direction of the spread of fir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initial fire and th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s 110 that sensed the fire thereafter and/or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CTV 120 . As mentioned above, the control unit 300 can use the current fire spread direction and the future fire spread direction estimated based on this as information referenced in determining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

또한, 재난 감지센서(110)로서 열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해당 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 정보를 참조하여, 온도가 허용치 이상으로 형성되는 구역을 우회하도록 대피경로를 결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heat sensor is provided as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110, an evacuation route may be determined to bypass an area where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an allowable value by referring to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corresponding sensor.

또한, 재난 감지센서(110)로서 연기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연기의 양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그리고 재난 감지센서(110)로서 가스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가스 농도 정보를 참조하여 대피경로를 결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smoke sensor is provided as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110, an evacuation route is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smoke, and with reference to gas concentration information when a gas sensor is provided as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110 may decide

상기에서 예로 들고 있는 건물 내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비상구로 향하는 통로 상의 온도, 연기, 가스 농도 등의 상태정보는 반드시 필수적으로 참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재난 발생 위치와 함께 선택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참조될 수 있다.State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smoke, gas concentration, etc. on the passag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exemplified above to the emergency ex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referenced, and can be selectively or complexly referenced together with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ha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재난 발생시 건물 내 이용자의 최적의 대피경로를 탐색함에 있어서, 화재의 발생 위치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여러가지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대피경로를 추출하고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대피경로를 안내받은 이용자는 재난 상황에서 겪는 혼란이 크게 경감될 수 있고, 안전이 확보된 경로를 따라 신속하게 대피가 가능가게 되므로, 재난 발생시 인명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timal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not only the location of the fire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when searching for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for users in a building when a disaster occurs. evacuation route can be extracted and provided to users. Therefore, users who are guided by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can greatly reduce confusion in a disaster situation, and can evacuate quickly along a safe route, thereby greatly reducing human casualti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비상구 및 비상구로 향하는 통로 상에 안전구역을 설정하고 이를 건물 내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난정보 수집부(100)에 의해 수집되는 재난정보를 참조하여 재난 발생 위치 및 재난의 확산 방향 등을 추정할 수 있으므로, 재난이 발생함과 동시에 관제부(300)는 건물 내에 위험구역과 안전구역을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전구역으로 설정되는 구역의 정보를 사용자단말기(400)로 전송하여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구역이란 재난 발생 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구역이나 재난이 확산되고 있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구역, 또는 방호벽이 갖추어진 구역 등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stablish a safety zone on the emergency exit and the passageway to the emergency exit, and guide the user in the building. As described above, by referring to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direction of the spread of the disaster can be estimated.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zone and the safe zone, and information on the zone set as the safe zone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00 to guide the user. Here, the safe zone may refer to an area far from the point of occurrence of a disaster, an area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aster is spreading, or an area equipped with a protective wall, and the lik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에 따르면, 위치정보 수집부(200)에 의해 수집된 건물 내 이용자의 현 위치로부터 안전하게 비상구로 도달하는 경로가 없는 경우 또는 비상구로 도달하는 대피경로가 상당히 길어 대피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경우 등의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이용자를 근처의 안전이 확보된 구역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재난 발생시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상황에 대해 유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no route to safely reach the emergency exit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coll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or the evacuation route to the emergency exit is quite long Even if a situation such as a case in which the evacuation takes too long occurs, it is possible to guide users to a nearby safe area, so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to various dangerous situations that may exist in the event of a disaster. have.

관제부(300)는 재난 발생 상황에서 건물 내 이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현재 위치를 사용자 단말기(400)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되게 하여 이용자가 대피 도중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can monitor the loc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in real time in a disaster situation, and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400 in real tim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user's location during evacuation. can make 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건물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의 인원수나 혼잡도(밀집도)를 분석하고, 해당 구역이 혼잡한 경우에는 이용자들의 분산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number of users or the degree of congestion (density) of users located in a building, and induce dispersed evacuation of users when the corresponding area is congested.

구체적으로는, 관제부(300)는 위치정보 수집부(200)에 의해 수집되는 이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구역 내의 인원수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혼잡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혼잡도는 해당 구역의 공간 면적 대비 인원수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해당 구역으로부터 비상구로 이어지는 통로의 면적 등이 추가적으로 더 고려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0 may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users coll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to determine the number of people in a specific area and calculate the congestion level based on this. In this case, the degree of congestion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people compared to the spatial area of the corresponding zone, and the area of the passage leading from the corresponding zone to the emergency exit may be additionally taken into consideration.

또한, 재난정보 수집부(100)의 CCTV(120)를 이용하여 특정 구역의 인원수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CCTV(120)를 열감지 CCTV로 마련하여 모니터링되는 구역의 혼잡도를 파악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열감지 CCTV는 LV(Low Visibility) 필터를 이용한 것으로서 연기 발생시에도 해당 구역 내의 인원 밀집도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재난 상황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umber of people in a specific area by using the CCTV 120 of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nd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congestion level of the monitored area by providing the CCTV 120 as a heat detection CCTV. Here, the heat detection CCTV uses an LV (Low Visibility) filter, and even when smoke occurs,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density of people in the relevant area and to accurately identify the disaster situation.

상기와 같이 관제부(300)는 위치정보 수집부(200) 및/또는 재난정보 수집부(10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건물 내 구역의 혼잡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혼잡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은 구역에 대해서는 2 이상의 복수의 대피경로를 생성하여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대피경로는 최단 거리가 되는 경로로부터 그 다음으로 최단 거리가 되는 경로 순으로 추가되어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300 may determine the congestion level of the area within the building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and/or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nd the congestion level i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For high areas, two or more evacuation routes can be created and provided to users. A plurality of evacuation routes may be added in order from a route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to a route having the next shortest distance and provided to the user.

혼잡한 구역이라 판단되는 구역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들은 2 이상의 복수의 대피경로를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복수의 대피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비상구로 분산 대피할 수 있다.Users located in an area determined to be a congested area may receive two or more plurality of evacuation routes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nd select any one of the provided plurality of evacuation routes to disperse and evacuate to an emergency exit. .

관제부(300)는 혼잡한 구역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들의 개인별 이동능력에 따라 맞춤형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guide a customized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mobility of users located in the congested area.

구체적인 예로서, 건물은 미리 방화구역이 설정되고 구역마다 상황별/위치별 대피경로의 난이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재난 발생 상황에서 재난이 발생한 위치 등의 재난정보를 참조하여 대피경로의 난이도가 실시간으로 산출 및 설정될 수도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a fire prevention zone may be set in advance for a building, and the difficulty of an evacuation route may be set for each situation/location for each zone. Alternatively, the difficulty level of the evacuation route may be calculated and set in real time by referring to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a location where a disaster occurred in a disaster situation.

그리고 관제부(300)는 재난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혼잡한 구역에 위치하는 인원 중 노약자나 장애인 등 대피가 어려운 이용자(이하 '재난약자'라 함)에게는 난이도가 낮은 대피경로를 안내하고, 청/장년층 등 비교적 대피가 용이한 이용자(이하 '비약자'라 함)에게는 난이도가 제일 낮은 대피경로를 제외한 최적의 우회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300 guides the evacuation route with low difficulty to us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aster vulnerable') who have difficulty evacuating, such as the elderly or the disabled, among personnel located in a congested area inside the building when a disaster occurs. For users who can evacuate relatively easi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ak people'), the optimal detour evacuation route can be provided except for the evacuation route with the lowest difficulty.

여기서 이용자가 재난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위치식별기(210)를 통해 식별되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고객정보를 통해 파악될 수 있으며, 재난약자와 비약자를 구분하는 기준은 성별, 나이, 질병/장애 보유 여부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Here, whether the user corresponds to the vulnerable in disaster can be identified through customer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er 210, and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vulnerable and the non-disabled are gender, age, disease/disability It may be determined by holding or not.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들의 개인별 이동능력을 보다 세분화하여 3 이상의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복수의 그룹을 분류하는 기준으로는 예컨대 아래의 [표 1] 또는 [표 2]와 같은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subdivide the individual mobility capabilities of users and classify them into a plurality of groups of three or more. As a criterion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groups, for example, a criterion such as [Table 1] or [Table 2] below may be applied.

분류Classification 대상Target 제1 그룹1st group 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어린이 The elderly, the disabled, pregnant women, children 제2 그룹2nd group 청소년, 장년층, 청년층(여) Youth, seniors, young people (female) 제3 그룹3rd group 청년층(남) young people (male)

분류Classification 대상Target 제1 그룹1st group 긴급환자emergency patient 제2 그룹2nd group 응급환자emergency patient 제3 그룹3rd group 비응급환자non-emergency patient 제4 그룹4th group 자가 거동이 불가능한 사람person unable to move on their own 제5 그룹5th group 휠체어, 목발 등 이용자Users of wheelchairs, crutches, etc. 제6 그룹6th group 거동이 가능하지만 대피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예: 어린이, 장애인 등)Persons who are able to move but need assistance to evacuate (e.g. children, persons with disabilities, etc.) 제7 그룹7th group 자가 대피 가능한 사람self-evacuation

다만, 상기의 표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용자들의 개인별 이동능력을 분류하는데 적절한 것이라면 다른 기준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above tables are merely exemplary, and other criteria may be variously applied as long as they are appropriate for classifying individual mobility capabilities of users.

또한, 상기와 같이 분류된 이용자들의 그룹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조 작업시 구조 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참조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up information of users classified as described above may be utilized as important reference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 rescue plan during rescue operations, a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관제부(300)는 이용자가 위치하는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건물 내 이용자의 현재 위치 및 생성된 최적의 대피경로를 지도 데이터와 함께 이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건물의 지도 데이터는 소방방재청(NE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이나 국민안전처(MPSS: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와 같은 재난 관련 기관의 협력하에 제공받거나 또는 건물관리시스템(BMS: Building Management System)과의 연동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00 may store in advance the indoor map data of the building where the user is located,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 the building and the generated optimal evacuation route along with the map data to the user terminal ( 400) can be provided. The map data of buildings is provided in cooperation with disaster-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or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or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It can be provided through linking with

사용자 단말기(400)는 관제부(300)로부터 제공되는 대피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기(400)를 소지한 이용자가 대피경로를 포함한 대피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The user terminal 400 is a device that receives the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300 and outputs it on the screen, and enables the user in possession of the user terminal 400 to visually check the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사용자 단말기(400)는 관제부(3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소지가 용이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는 전술한 위치식별기(210)와의 통신을 위하여 NFC나 RFID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The user terminal 400 may be provided a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300 , and for example,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or a smart watch that is easy to carry may be preferably used.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400 may be equipped with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NFC, RFID, or Bluetooth for communic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location identifier 210 .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재난 발생시 건물 내 이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400)로 대피정보가 수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400) 상에 설치 가능한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을 제공할 수 있다.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400 so that evacu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to the user terminal 400 carried by the user in the building when a disaster occurs. can provide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은 소방방재청이나 국민안전처와 같은 외부기관(700)과 연계되어 DB에 등록된 건물의 내부 지도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각 건물에 따라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필요없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여러 건물에 대한 재난 안내가 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can be provided with internal map data of buildings registered in the DB in connection with external organizations 700 such as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or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ownload a separate application for each building. Disaster guidance for multiple buildings can be performed integrally through one application without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은 관제부(300)로부터 제공받은 건물 내부 지도와 지도 상의 자신의 위치를 화면에 출력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재난 발생 상황에서는 관제부(300)로부터 제공받은 대피정보를 화면 상에 함께 출력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may output the map of the inside of the building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300 and its location on the map on the screen and provide it to the user, and in a disaster situation,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300 can be provided to users by outputting them together on the screen.

재난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400) 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우선하여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을 강제 활성화시키는 기능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관제부(300)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이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s detected, it is preferable that a function for forcibly activating the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is given in preference to other applications being used on the user terminal 400 , and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user terminal 400 of the user terminal 400 . By continuously tracking the locati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screen in real tim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최적의 대피경로가 표시된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의 화면을 나타낸다.2 shows a screen of the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in which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provided by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도 2를 참조하면, 활성화된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의 화면은 현재 이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과 그 근방 영역을 지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은 화면에 나타나는 지도의 표시 영역 범위를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의 설정 탭에 들어가거나 또는 화면 상의 터치 모션을 통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가 어디까지 표시될 것인지 표시 영역을 증감시키는 설정을 할 수 있으며, 현재 이용자가 위치한 층 전체까지 표시 영역 범위를 확대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creen of the activated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may display a point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and an area near it in the form of a map. In this case, the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may provide a function of changing the display area range of the map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the user may enter the setting tab of the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or se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isplay area to which the map will be display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a touch motion on the screen, and the current user It is also possible to expand the range of the display area to the entire floor where is located.

재난 발생 상황에서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은 관제부(300)로부터 수신되는 대피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대피정보는 관제부(300)에 의해 생성된 최적의 대피경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최적의 대피경로가 지도 상에 화살표 형식으로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다.In a disaster situation, the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may output evacu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300 on the application screen. Here, the evacu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may be displayed overlaid on the map in the form of an arrow.

또한,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은 화면 상에 표시되는 지도를 2D 또는 3D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2D 또는 3D 형태로 제공되는 지도 상에 자신의 위치정보 및 비상구까지 안내하는 대피경로를 함께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may provide a map displayed on the screen in 2D or 3D form, and visualize its location information and an evacuation route that guides to an emergency exit on the map provided in 2D or 3D form together can be provided.

사용자 단말기(400)로 제공되는 건물의 지도 데이터에는 기본적인 건물 내부 공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비상구, 비상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 비상시 이용자가 대피함에 있어서 참조할 수 있는 주요 시설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소화기, 방독면, 제세동기 등이 구비되어 있는 구호용품 보관함이나 소화전, 완강기가 설치된 위치에 관한 정보 등 건물 내부에 구비된 재난 관련 시설물에 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The map data of the building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main facilities that the user can refer to when evacuating in an emergency, such as emergency exits, emergency stairs, elevators, and escalators, along with information on basic building interior space. there may be In addition, information on disaster-related facilities provided inside the building, such as a relief supplies storage box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a gas mask, a defibrillator, etc., or information on a location where a fire hydrant and a shock absorber are installed, may also be included.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400)를 소지한 건물 내 이용자는 재난 상황에서 최적의 대피경로와 함께 건물 내에 구비되는 각종 피난설비 및 소방설비에 관한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다.Accordingly, a user in a building possessing the user terminal 400 can receive information on various evacuation facilities and firefighting facilities provided in the building along with an optimal evacuation route in a disaster situatio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혼잡한 구역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들에 대하여 2 이상의 복수의 대피경로가 안내되는 경우,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대피경로는 화살표 색깔을 달리하여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이용자들의 혼란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최선(1순위)의 대피경로와 차선(2순위)의 대피경로의 색깔은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고, 추가적인(3순위 이하) 대피경로가 존재하는 경우에 나머지 대피경로에 대해서만 색깔을 달리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wo or more evacuation routes are guided for users located in the congested area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evacuation routes displayed on the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may be distinguished by different arrow colors. have. Alternatively, in order to reduce confusion among users, the colors of the best (1st priority) and the second best (2nd) evacuation route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color, and if additional (3rd priority or less) evacuation routes exist, the remaining Only the evacuation route can be colored differently.

추가적으로, 연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하여 최적의 대피경로로서 안내되고 있는 경로의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은 네비게이션과 같이 음성으로 길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400)는 근방의 위치식별기(210)와 지속적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GPS에 기반한 네비게이션보다 더 정확하고 즉각적인 음성 안내가 가능하다.Additionally, in cas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view of a route being guided as an optimal evacuation route due to smoke or other reasons, the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may perform voice guidance like navig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terminal 400 continuously perform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location identifier 210, more accurate and immediate voice guidance than GPS-based navigation is possib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것과 더불어, 건물 내 곳곳에 설치된 비상유도등(500)의 표시를 제어하여 이용자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possessed by the user, controls the display of the emergency guidance lights 500 installed in various places in the building This can induce users to evacuate.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구가 마련되며, 비상구를 통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물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비상구 및 비상구로 향하는 통로에는 사람들을 비상구로 유도하는 비상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다. In general, emergency exits are provided in buildings so that people in the building can evacuate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and emergency guidance lights that guide people to the emergency exit this is installed

그런데 기존의 비상유도등은 재난 발생 지점과는 무관하게 가까운 비상구 쪽으로 유도하고 있으므로, 비상유도등에 의해 안내되는 경로 상에 재난이 발생한 경우에는 오히려 사람들을 재난에 의한 위협에 더욱 노출시키는 결과가 되며, 이러한 상황을 맞닥뜨리게 되는 사람들의 혼란이 가중되는 사태가 초래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existing emergency guidance lights guide toward the nearest emergency exit irrespective of the point of occurrence of the disaster, when a disaster occurs on the route guided by the emergency guidance lamp, it rather exposes people to the threat of the disaster. This can lead to increased confusion for those who encounter the situ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수집된 재난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상황에 따라 비상유도등(500)의 표시가 제어되도록 시스템이 구성됨으로써, 건물 내 이용자들을 안전한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로 적절하게 안내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play of the emergency guidance lamp 5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saster situation using the collected disaster information, thereby providing users in the building with a safe emergency exit. Alternatively, they may be properly guided to an evacuation site.

관제부(300)는 재난정보 수집부(100)에 의해 수집된 재난정보를 이용하여 비상유도등(500)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비상유도등(500)의 제어는 건물 내 이용자들의 개별 위치를 고려하는 것은 아니므로, 비상유도등(500)의 제어에 관해서는 재난정보 수집부(100)에 의해 수집된 정보만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control the display of the emergency guidance lamp 500 by using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 In this case, since the control of the emergency guidance light 500 does not consider the individual locations of users in the building, only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can be us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of the emergency guidance lamp 500 .

구체적인 예로서, 관제부(300)는 재난정보 수집부(100)에 의해 수집된 재난정보를 참조하여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대피경로 상에 설치되는 비상유도등(500)만 점등하고, 재난 발생 지역으로 유도되는 경로 상의 비상유도등(500)은 끄거나 'X' 표시를 하여 이용자들이 위험한 경로로 유도되는 것을 방지한다.As a specific example, the control unit 300 turns on only the emergency guidance lamp 500 installed on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ed to be safe with reference to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nd guides it to the disaster occurrence area. The emergency guidance light 500 on the route is turned off or marked with an 'X' to prevent users from being guided to a dangerous route.

또한, 비상유도등(500)은 화살표와 같은 방향 표시를 통해 건물 내 이용자를 비상구로 안내할 수 있는데, 관제부(300)는 재난정보 수집부(100)에 의해 수집된 재난정보를 참조하여 비상유도등(500)의 방향 표시를 안전한 대피경로로 향하도록 변경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관제부(300)는 시시각각 변하는 재난 상황에 대응하여 가변적인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비상유도등(500)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guidance light 500 may guide the user in the building to the emergency exit through a direction display such as an arrow, and the control unit 300 refers to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to provide an emergency guidance ligh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rection display of 500 to change to the safe evacuation rout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may control the emergency guidance light 500 in real time to guide a variable evacuation route in response to a disaster situation that changes every moment.

비상유도등(500)의 제어에 이용되는 재난정보로서 재난 발생 위치가 필수적으로 참조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열 센서, 연기 센서, 가스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건물 내 통로의 온도, 연기, 가스 농도 등의 상태정보도 함께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내 이용자가 재난이 발생한 지역으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지역이나 연기, 가스 등으로 가득 차 통행이 어려운 지역으로 이용자가 유도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As disaster information used to control the emergency guidance light 500,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may be essentially referenced, and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moke, gas concentration, etc. of the passage in the building detected by a heat sensor, a smoke sensor, a gas sensor, etc. State information may also be referred to. Therefore, not only can users in the building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disaster area, but it can also effectively prevent users from being guided to areas with unusually high temperatures or areas that are difficult to pass due to smoke or gas. .

한편, 재난 발생에 의해 건물 내 정전이 발생하여 상기한 비상유도등(500)의 활용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재난 발생시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난 전용 PIS(Passenger Information System, 600)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preparation for a case where it is difficult to use the emergency guidance lamp 500 due to a power outage in a building due to a disaster,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aster-only PIS (Passenger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exclusive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System, 6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재난 전용 PIS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평상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재난 발생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disaster-only PIS provided by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the normal operating state, (b) shows the operating state when a disaster occurs .

도 3을 참조하면, 재난 전용 PIS(600)는, 경첩(611)과 같은 힌지 부재를 이용하여 건물 내 통로의 천장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판(610); 경첩(61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안내판(610)의 단부를 자력(magnetic force)에 의해 천장에 고정시키는 전자석(6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isaster-only PIS 600 includes a guide plate 610 rotatabl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passage in a building using a hinge member such as a hinge 611 ; An electromagnet 620 for fixing the end of the guide plate 610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611 to the ceiling by magnetic force may be included.

도면에는 전자석(620)이 안내판(610) 측에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전자석(620)이 안내판(610)과 대응되는 천장의 표면부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안내판(610)에 구비되는 전자석(620)과 대응되는 위치의 천장에는 전자석과 자력으로 결합할 수 있는 금속판 부재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반대로 천장 측에 전자석(62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안내판(610)의 단부에 금속판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Although the drawing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omagnet 62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guide plate 610 , the electromagnet 620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eiling corresponding to the guide plate 610 .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metal plate member capable of magnetically coupling with the electromagnet may be disposed on the ceil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magnet 620 provided in the guide plate 610, and conversely, the electromagnet 620 on the ceiling side. In this case, a metal plate member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guide plate 610 .

재난 전용 PIS(600)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평상시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 전력을 공급받는 전자석(620)의 자력에 의해 안내판(610)이 천장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및 유지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disaster-only PIS 600, the guide plate 6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620 supplied with power in the building as shown in (a) of FIG. fixed and maintained.

한편, 재난 발생시 건물 내 정전까지 함께 발생한 경우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공급이 끊긴 전자석(620)이 자력을 상실함에 따라 안내판(610)이 경첩(611)에 의한 고정점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낙하되며, 건물 내 이용자들은 천장으로부터 내려온 안내판(610)에 의해 안전한 대피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disaster occurring together with a power outage in the building, as shown in (b) of FIG. 3 , as the electromagnet 620 whose power supply is cut off loses its magnetic force, the guide plate 610 is caused by the hinge 611. It rotates based on the fixed point and falls, and users in the building can be guided to a safe evacuation route by the guide plate 610 that comes down from the ceiling.

재난 전용 PIS(600)는 비상유도등(500)과 동일한 내용을 표시하고 또 관제부(300)에 의해 동일한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즉, 재난 전용 PIS(600)는 비상유도등(500)과 마찬가지로 화살표와 같은 방향 표시를 통해 건물 내 이용자를 비상구 쪽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재난 상황에 따라 재난이 발생한 위치 및 통행이 어려운 구역으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관제부(300)에 의해 표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재난 전용 PIS(600)가 재난 상황에 대응하여 가변적인 대피경로를 안내하도록 제어될 수 있음도 마찬가지이다.The disaster-only PIS 600 may display the same contents as the emergency guidance light 500 and receive the same control by the control unit 300 . That is, the disaster-only PIS 600 can guide the user in the building toward the emergency exit through a direction indication such as an arrow, similar to the emergency guidance light 500, and enter the location where the disaster occurred and the area where passage is difficult depending on the disaster situation. The display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0 to prevent . Also, the disaster-only PIS 600 may be controlled to guide a variable evacuation route in response to a disaster situation.

다만, 재난 전용 PIS(600)는 건물 내 정전 상황에서도 이용자들의 용이한 대피를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장치로서, 건물 내 전력 공급에 차질이 있는 상황에서도 무리없이 사용이 가능하여야 하며, 따라서 재난 전용 PIS(600)는 비상전원이나 배터리와 같은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disaster-only PIS (600) is a device provided to enable easy evacuation of users even in a power outage situation in the building, and it should be able to be used without unreasonableness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a disruption in the power supply in the building,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aster-only PIS 600 uses an emergency power source or a separate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또한, 재난 전용 PIS(6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부(300)와 통신할 수 있는데, 재난 상황에서 케이블 단선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무선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ster-only PIS 6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300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In a disaster situation,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communicate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 consideration of problems such as cable disconnection.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재난 전용 PIS(600)는 정전시에도 건물 내 이용자들에게 적절한 대피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또는 심지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비상유도등(500)보다 재난 대응에 효과적일 수 있다.The disaster-only PIS 60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in responding to a disaster than the conventional or even emergency guidance light 500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it can guide appropriate evacuation information to users in the building even during a power outage.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재난 전용 PIS(600)는 양면을 모두 활용하여 진입금지 방향과 대피경로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건물 내 대피중인 이용자들에게 대피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하고 혼란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재난 전용 PIS(600)는 정전으로 인하여 건물 내부가 어두운 상황에서도 쉽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앙면이 LED 전광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ster-only PIS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rly display the prohibited entry direction and the evacuation route by using both sides, thus delivering evacuation information to users evacuating in the building more accurately and reducing confusion. it is possible The disaster-only PIS 600 may be provided with an LED display on the front side so that it can be easily checked even when the inside of the building is dark due to a power outage.

그리고 재난 전용 PIS(600)에 스피커(미도시)가 부착되어 대피정보를 음성 방송 형식으로 함께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 speaker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disaster-only PIS 600, and it is also possible to guide the evacu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voice broadcast.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소방서 등의 재난 대응을 위한 외부기관(700)과 연계될 수 있다.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inked with an external organization 700 for disaster response, such as a fire st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시스템은 재난정보 수집부(100) 및 위치정보 수집부(200)를 통해 재난 발생 위치 등의 재난정보와 건물 내 이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정보는 재난을 신속하게 진압하고 건물 내에 갇힌 이용자를 효과적으로 구조해 내는데 매우 중요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in real time through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Such information can be used as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quickly suppressing disasters and effectively rescuing users trapped in buildings.

특히, 위치정보 수집부(200)에 의해 수집된 이용자의 위치정보는 건물 내에 갇힌 이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신속하게 구조해 내는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되어, 재난 발생시 인명피해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is used as important information to identify the exact location of the user trapped in the building and quickly rescue it, and it can greatly contribute to reducing human casualti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관제부(300)는 위치정보 수집부(200)에 의해 수집된 건물 내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외부기관(7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제공받은 외부기관(700)은 건물 내에 갇힌 이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신속하게 구조해낼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0 may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coll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to the external organization 700, and the external organization 700 that has received thi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location of a user trapped in a building and rescue him/her quickly.

또한, 관제부(300)는 위치정보 수집부(200)에 의해 수집된 건물 내 이용자의 위치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400)에 등록되어 있는 이용자의 고객정보를 외부기관(700)에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may provide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user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400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coll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to the external organization 700 . have.

이용자의 고객정보로는 이용자의 연령, 성별 등의 기본적인 정보와, 장애 여부, 질병 보유 여부, 희귀 혈액형 여부 등, 재난 발생과 같은 비상시 자력으로 대피가 어렵다거나 부상을 당하였을 때 치료가 시급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객정보는 전술한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을 통해 이용자가 직접 등록하여 놓을 수 있다.The user's customer information includes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age and gender, disability, disease, rare blood type, etc.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may be included, and such customer information may be directly registered by the user through the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described above.

관제부(300)는 위치식별기(210)를 통해 식별된 사용자 단말기(400)의 식별정보를 위치정보 수집부(200)로부터 전달받음과 동시에 사용자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의 소유자인 이용자의 고객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외부기관(700)은 관제부(300)로부터 수신되는 이용자의 위치정보 및 고객정보를 고려하여 구조 계획을 수립하고 구조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er 210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and at the same time refers to data stored in the user DB of the user terminal 400.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user who is the owner, and the external organization 700 can establish a rescue plan and perform rescue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custom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300 .

외부기관(700)은 이용자의 고객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이용자가 전술한 '재난약자'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구조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The external agency 700 may give priority to the rescue operation when the user falls under the aforementioned 'disaster vulnerable' based on the user's customer information.

즉, 지병이나 특별한 질병 또는 희귀 혈액형을 가지는 이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410) 상에 등록하여 놓으면, 관제부(300) 및 외부기관(700)의 판단하에 재난 발생 상황에서 해당 이용자에 대하여 우선적은 구조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f a user with a chronic disease, a special disease, or a rare blood type registers his or her information on the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410,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external agency 700 determine the Priority rescu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on the

이때 고객정보로서 전술한 이용자의 개인별 이동능력과 같이 보다 세분화된 정보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건물 내 이용자의 구조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이용자의 고객정보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의 위치정보까지 함께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최대한 모든 인원을 무사히 구출해 낼 수 있도록 구조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s customer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more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the individual mobility ability of the user described above. Considering this,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rescue plan so that all personnel can be safely rescu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관제부(300)는 건물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가 처한 위험의 심각도를 산출하여 분류하고, 이용자가 처한 위험 심각도에 관한 정보를 외부기관(700)에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기관(700)은 위험 심각도가 높은 이용자에 대하여 우선적인 구조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may calculate and classify the severity of the risk that the user located in the building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severity of the risk the user faces together to the external organization 700 , and the external organization 700 . may perform preferential rescue for users with high risk severity.

구체적인 예로서, 관제부(300)는 건물 내 각 이용자별로 최적의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특정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피경로가 적을수록 그리고 대피경로의 난이도가 높을수록 해당 구역에 위치하는 이용자에게 높은 수준의 위험 심각도를 부여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외부기관(700)에 제공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for each user in the building, the control unit 300 provides the user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s the number of evacuation routes that a specific user can select and the difficulty of the evacuation route increases. It is possible to assign a high level of risk severity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this to the external organization 700 .

또한, 외부기관(700)은 관제부(300)로부터 건물 내 이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용자의 위치 이동이 현저하게 느리거나 없는 경우에는 해당 이용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의식을 잃은 것으로 판단하고 우선적으로 구조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agency 700 may receiv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from the control unit 300 in real time, and if the user's location movement is remarkably slow or absent, the user may be injured or lose consciousness It may be judged to have been lost, and rescue may be carried out preferential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재난에 관한 정보 및 건물 내 위치한 이용자에 관한 정보를 다방면·다각도로 활용하는 발명으로서, 재난 발생시 건물 내 이용자들의 능동적인 대피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재난 발생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하고, 재난이 발생한 건물 내에 갇힌 이용자들에 대한 구조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궁극적으로는 인명피해와 같은 막대한 피해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hat utilizes information about disasters and information about users located in buildings in many ways and from various angles, and induces active evacuation of users in buildings when disasters occur. Rather, it enables a quick and effective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the rescue efficiency for users trapped in the building where the disaster occurs is remarkably improved, and ultimately, it can be expected that enormous damage such as human casualties is minimized.

이상에서는 주로 화재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지진과 같은 재난 발생을 감지하여 건물 내 이용자들의 대피를 유도하고 구조 계획을 수립하는 것도 가능하며, 지진의 경우에는 비상구 대신 강당이나 회의실 또는 응접실과 같은 건물 내 넓은 대피공간으로 이용자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공받은 건물정보를 기반으로 낙하물이 적은 대피경로를 통해 이용자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낙하물은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와 같이 지진 발생시 진동으로 인하여 낙하 가능성이 큰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of fire has been mainly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induces evacuation of users in the building, and establishes a rescue plan, and in case of an earthquake Instead of an emergency exit, users can be evacuated to a large evacuation space in a building, such as an auditorium, conference room, or reception room. In addition, based on the provided build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users to evacuate through an evacuation route with few falling objects. Here, the falling object may mean an object with a high probability of falling due to vibration when an earthquake occurs, such as a lighting device installed on the ceiling.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은, 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과 같은 주거용 빌딩이나 호텔, 백화점과 같은 상업용 빌딩 등의 지상 건물; 그리고 지하철역, 지하터널, 도심 지하도로, 지하상가 등의 대심도 지하공간과 같은 지하 건물을 포함하여 건축물로 분류되는 다양한 지상 및 지하 건물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idential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an officetel, a residential complex, or a ground building such as a commercial building such as a hotel or a department store;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ground and underground buildings classified as buildings, including underground buildings such as subway stations, underground tunnels, urban underground roads, and deep underground spaces such as underground shopping malls.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재난정보 수집부
110: 재난 감지센서
120: CCTV
200: 위치정보 수집부
210: 위치식별기
300: 관제부
400: 사용자 단말기
410: 재난 안내 어플리케이션
500: 비상유도등
600: 재난 전용 PIS
610: 안내판
611: 경첩
620: 전자석
700: 외부기관
100: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110: disaster detection sensor
120: CCTV
200: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location identifier
300: control unit
400: user terminal
410: disaster guidance application
500: emergency guidance light
600: Disaster-only PIS
610: information board
611: hinge
620: electromagnet
700: external organization

Claims (10)

건물 내 재난 발생을 감지하고 재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재난정보 수집부;
상기 건물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상기 재난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재난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 내에 위치하는 각 이용자별로 상기 이용자가 위치하는 현재 위치로부터 재난 발생 지점을 우회하여 비상구로 향하는 최단 경로를 의미하는 최적의 대피경로를 탐색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관제부; 및
상기 이용자에 의해 소지되며 상기 최적의 대피경로를 포함하여 상기 관제부로부터 제공되는 대피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정보 수집부는,
화재를 감지하는 열 센서, 연기 센서 및 가스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재난 감지센서; 및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어 대피경로 상의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CCTV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부는 상기 재난 감지센서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와 상기 CCTV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정보를 취합하여 추정되는 화재의 확산 방향에 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최적의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detects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n a building and collects disaster-related information;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a user located in the building and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e disaster occurrence point is bypassed from the current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for each user located in the building a control unit that searches for an optimal evacuation route, which means the shortest route to the emergency exit, and provides it to the user; and
and a user terminal that is carried by the user and displays and outputs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including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on a screen,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 disaster detection sensor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of a heat sensor for detecting a fire, a smoke sensor, and a gas sensor and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It includes a CCTV installed in the building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on the evacuation route,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spread direction of the fire estimated by combining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CTV,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열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건물 내 통로의 온도 정보, 상기 연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건물 내 통로의 연기 정보,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건물 내 통로의 가스 농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최적의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assage in the building sensed by the heat sensor, smoke information of the passage in the building sensed by the smoke sensor, and gas concentration information of the passage in the building sensed by the gas sensor Characterized in generating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by further considering any one information,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재난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와 상기 CCTV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정보를 취합하여 재난이 발생한 위치, 종류 및 규모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llects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CTV to determine the location, type and scale of the disaster,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건물 내 특정 구역의 혼잡도를 파악하고, 상기 혼잡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형성되는 구역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들에 대해서는 상기 최적의 대피경로를 2 이상의 복수개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congestion level of a specific area in the building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for user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congestion level is formed above a certain leve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by creating a plurality of evacuation routes of two or mor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혼잡도를 파악함에 있어서 상기 CCTV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additionally considers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CTV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congestion,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CCTV는 연기에 의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감시 구역 내에 위치하는 인원 밀집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LV(Low Visibility) 필터가 적용된 열감지 CCT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CTV is a heat detection CCTV to which an LV (Low Visibility) filter is applied so that the density of people located in the monitoring area can be easily identified even in a situation where visibility is not secured due to smoke,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에서 상기 비상구 및 상기 비상구로 향하는 통로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비상유도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부는 생성된 상기 최적의 대피경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비상유도등의 방향 표시를 제어하되, 상기 재난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되는 재난정보를 참조하여 재난 상황에 따라 상기 비상유도등의 방향 표시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emergency guidance lights installed on the emergency exit and the passageway to the emergency exit in the building,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dic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emergency guidance light based on the generated optimal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but variably controls the indic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emergency guidance light according to the disaster situation with reference to the disast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비상유도등 외에 재난 발생시에만 전용으로 사용되는 재난 전용 PIS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난 전용 PIS는,
상기 건물 내 통로의 천장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재난 발생시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안내판; 및
상기 안내판을 천장에 밀착 고정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재난 전용 PIS는 상기 건물의 정전시에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비상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되, 상기 전자석은 상기 건물의 정전시 자력을 상실하도록 상기 건물 내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In addition to the emergency guidance light, it further includes a disaster-only PIS that is used exclusive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disaster-only PIS,
a guide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passage in the building to guide an evacuation route in case of a disaster; and
It includes an electromagnet for closely fixing the guide plate to the ceiling,
The disaster-only PIS receives power from an emergency power source or a battery to enable operation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of the building, wherein the electromagnet is supplied with power in the building to lose its magnetic force during a power outage of the building,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재난정보 수집부 및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재난정보 및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재난 대응을 위한 외부기관에 제공하고,
상기 외부기관은 상기 관제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재난정보 및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재난 진압 계획 및 구조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an external organization for disaster response,
The external organiz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stablishes a disaster suppression plan and rescue plan with reference to the disast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KR1020210089070A 2021-07-07 2021-07-07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KR1023622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070A KR102362295B1 (en) 2021-07-07 2021-07-07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PCT/KR2022/008182 WO2023282481A1 (en) 2021-07-07 2022-06-10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070A KR102362295B1 (en) 2021-07-07 2021-07-07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295B1 true KR102362295B1 (en) 2022-02-14

Family

ID=8025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070A KR102362295B1 (en) 2021-07-07 2021-07-07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2295B1 (en)
WO (1) WO2023282481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73611A (en) * 2022-05-19 2022-08-30 深圳市胜思达科技有限公司 Combustible gas detection alarm metho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23282481A1 (en) * 2021-07-07 2023-01-12 황순규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KR102520289B1 (en) * 2022-12-26 2023-04-13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솔루션 A Laser Guiding Machine For Disaster Evacu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80B1 (en) 2004-08-05 2006-06-19 김신일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hich provides prompt action to urgent conditions
KR20070098109A (en) * 2006-03-31 2007-10-05 이영식 An intelligence type shunting incitement system that it is based in radio communication
KR20110119388A (en) * 2010-04-27 2011-11-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Evacuate route guiding system us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and evacuating method thereof
KR20190061974A (en) * 2017-11-28 2019-06-05 사단법인 지식융합원 Escaping direc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772B1 (en) * 2008-10-24 2014-0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Intelligent evacu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KR102362295B1 (en) * 2021-07-07 2022-02-14 황순규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80B1 (en) 2004-08-05 2006-06-19 김신일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hich provides prompt action to urgent conditions
KR20070098109A (en) * 2006-03-31 2007-10-05 이영식 An intelligence type shunting incitement system that it is based in radio communication
KR20110119388A (en) * 2010-04-27 2011-11-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Evacuate route guiding system us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and evacuating method thereof
KR20190061974A (en) * 2017-11-28 2019-06-05 사단법인 지식융합원 Escaping direc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매거진한경 기사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81A1 (en) * 2021-07-07 2023-01-12 황순규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CN114973611A (en) * 2022-05-19 2022-08-30 深圳市胜思达科技有限公司 Combustible gas detection alarm metho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973611B (en) * 2022-05-19 2024-05-03 深圳市胜思达科技有限公司 Combustible gas detection alarm metho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520289B1 (en) * 2022-12-26 2023-04-13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솔루션 A Laser Guiding Machine For Disaster Evac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481A1 (en)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295B1 (en)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JP6550497B2 (en) Positio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13248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a life using mobile terminal
US7880610B2 (en) System and method that provide emergency instructions
WO2017073101A1 (en) Digital smart safe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2019438B1 (en) Escaping direc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JP6372851B2 (en) Evacuation support equipment
KR101895569B1 (en) Smart evacu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and context awareness algorithm
KR20170106665A (en)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KR102086564B1 (en) Intelligent evacuation guidance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JP6067197B1 (en) Digital smart safety system, method and program
JP7434498B2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JP2003151057A (en) Escape guiding system at disaster in limited facilities
KR102392733B1 (en)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evacuation route to persons to be rescued in disastrous site
JP2005338991A (en) Evacuation guide supporting system
JP2011248805A (en) Transfer route notifica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
CN102530668B (en) Elevator system
CN111915823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server and mobile terminal equipment
JP6469824B1 (en) Disaster information support system and disaster information support method
KR102312310B1 (en) Fire escape system capable of guidance of evacuation route
KR20190134543A (en) System for controlling evacuation route guidance with smart direction indicator light using beacon and method thereof
KR102081712B1 (en) Disaster safety integration system
JP2018101162A (en) Instructio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structio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Wu et al. A framework of intelligent evacuation guidance system for large building
CN111640277A (en) Fire condition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