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058B1 - Chat-bot system utilizing multipl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for each behaviors of companion animals - Google Patents

Chat-bot system utilizing multipl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for each behaviors of companion anim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058B1
KR102362058B1 KR1020210059277A KR20210059277A KR102362058B1 KR 102362058 B1 KR102362058 B1 KR 102362058B1 KR 1020210059277 A KR1020210059277 A KR 1020210059277A KR 20210059277 A KR20210059277 A KR 20210059277A KR 102362058 B1 KR102362058 B1 KR 10236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ipline
artificial intelligence
guide
behavior
d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2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펫투피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펫투피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펫투피플
Priority to KR102021005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0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0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1Electronic trai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ogs or c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mpanion animal training guidance method of a chatbot system. The method comprises: a step of identify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orresponding to companion animal behavior selected according to user input among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trained for providing guidance for training the companion animal; and a step of providing guidance for training the companion animal performing selected behavior based on the identifi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scription

반려동물의 행동 별로 훈련된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는 챗봇 시스템 { CHAT-BOT SYSTEM UTILIZING MULTIPL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FOR EACH BEHAVIORS OF COMPANION ANIMALS }A chatbot system using multiple AI models trained for each behavior of companion animals { CHAT-BOT SYSTEM UTILIZING MULTIPL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FOR EACH BEHAVIORS OF COMPANION ANIMALS }

본 개시는 챗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행동 별로 규정된 훈육 지침을 기반으로 훈육 과정을 가이드하는 챗봇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hatbo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tbot system that guides a discipline process based on discipline guidelines defined for each behavior.

최근 반려 동물과 함께 하는 보호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 동물의 잘못된 행동이나 불안한 심리 상태 등을 교정하기 위한 훈육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Recently, as the number of guardians with companion animals increases, the demand for discipline experts to correct the wrong behavior or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of companion animals is rapidly increasing.

다만, 반려 동물의 종류 및 행동 태양이 매우 다양하다는 점에서, 훈육 전문가의 직접 방문 내지는 1대1 코칭만으로는 그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However, since the types and behaviors of companion animals are very diverse, direct visits or one-on-one coaching by discipline experts cannot meet the demand.

특히, 종래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 전문가와의 매칭 플랫폼 등과 관련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된 이력은 있으나, AI를 기반으로 반려동물의 행동에 대한 훈육 과정을 구체적으로 가이드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In particular, although there is a history of developing various systems related to the health management of companion animals and a matching platform with experts, it is difficult to find an application-based service that specifically guides the discipline process for companion animal behavior based on AI. situation.

등록 특허 공보 제10-20486200000호(애견 훈련기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486200000 (dog training-based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본 개시는, 반려동물의 행동마다 독립적으로 훈련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행동 별로 전문화된 훈육 가이드를 제공하는 챗봇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hatbot system that provides a specialized discipline guide for various behaviors by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independently for each behavior of a companion animal.

본 개시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기반으로 사용자 및 반려동물에 개별적으로 최적화된 훈육 과정을 가이드하는 챗봇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hatbot system that guides a discipline process that is individually optimized for a user and a companion animal based on a conversation with the user.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are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oreo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챗봇 시스템의 반려동물 훈육 가이드 방법은, 반려동물의 훈육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훈련된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반려동물의 행동에 대응되는 인공지능 모델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행동을 수행하는 반려동물의 훈육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mpanion animal discipline guide method of the chat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of a companion animal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from among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trained to provide a guide for the discipline of companion animals. Identifying an intelligent model, and based on the identifi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guide for the discipline of the companion animal performing the selected action.

상기 챗봇 시스템의 반려동물 훈육 가이드 방법은, 반려동물의 행동 별로 훈육 지침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훈육 지침을 기반으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상기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을 훈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anion animal discipline guide method of the chatbo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cquiring discipline guidelines for each behavior of companion animals, and training the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to provide a guide based on the discipline guidelines. .

상기 선택된 행동에 대응되는 인공지능 모델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행동에 대하여 등록된 인공지능 모델이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반려동물의 종, 나이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인공지능 모델 중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The step of identify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ehavior may includ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registered for the selected behavior, the plurality of typ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species, age, and gender of a companion animal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One AI model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 dog AI models.

한편, 상기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단계의 훈육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제1 단계의 훈육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의 경과 보고에 따라 제2 단계의 훈육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providing the guide may provide a discipline guide of the first stage, and provide a discipline guide of the second stage according to the user's progress report for the provided discipline guide of the first stage.

이때, 상기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계의 훈육 가이드가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계의 훈육 가이드에 대하여 보충 설명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시범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guide, when a user input requesting a supplementary explanation for the discipline guide of the first step is received in a state in which the discipline guide of the first step is provided, at least one demonstration image is provided. may be

한편, 상기 챗봇 시스템의 반려동물 훈육 가이드 방법은, 반려동물의 특정한 행동에 대하여 복수의 훈육 지침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복수의 훈육 지침 각각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모델들을 각각 훈련시키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모델들 각각을 통해 제공된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훈육 지침 각각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anion animal discipline guide method of the chatbot system includes the steps of: acquiring a plurality of discipline guidelines for a specific behavior of a companion animal; training each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based on each of the obtained plurality of discipline guidelines; Based on the user's evaluation of the guide provided through each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it may further include calculating a sco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ipline guidelines.

본 개시에 따라 반려동물의 훈육과 관련된 가이드를 제공하는 챗봇 시스템은, 반려동물의 행동에 따라 식별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가이드를 생성하는 바, 행동 별로 특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전문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chatbot system that provides a guide related to the discipline of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generates a guide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dentified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챗봇 시스템은,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맞춤형 가이드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hatbo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ustomized guide in real time through a conversation with a user.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챗봇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챗봇 시스템의 훈육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챗봇 시스템이 반려동물의 행동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챗봇 시스템이 선택된 행동에 따른 훈육 가이드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챗봇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chat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iscipline guide method of a chat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behavior of a companion animal by a chat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B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discipline guide according to a selected action by the chat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chatbot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n detail,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First,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lso,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in the meanings defined herein, and in the absence of specific definitions, they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general cont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common sense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Als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hat is, even though all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ber are illustrated in a plurality of drawings, the plurality of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lements. This ordinal number is used to distinguish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due to the use of the ordinal number. As an example, the use order or arrangement order of components combined with such an ordinal number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module”, “unit”, “part”, etc. are terms for designating a component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such component is hardware or software. It may be implemented or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units", "parts", etc. ar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or chip, except when each needs to be implemented in individual specific hardware, and thus at least one processor. can be implemented as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the meaning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챗봇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chat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챗봇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 및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hatbot system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 and a server 20 .

챗봇(Chat-bot)은, 채팅 로봇의 준 말로, 사용자와 대화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정보 내지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이때, 사용자와의 대화는 음성 또는 시각적 텍스트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A chat-bot is an abbreviation of a chat robot, and refers to a service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or functions by performing a conversation with a user. In this case, the conversation with the user may be performed based on voice or visual text.

챗봇 시스템(100)은, 상술한 챗봇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해당한다.The chatbot system 100 corresponds to a system for providing the aforementioned chatbot service.

챗봇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사용자와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The chatbot system 100 may perform a conversation with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using at least one web page or application.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스피커, TV,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 다양한 단말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correspond to various terminal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smart speaker, a TV, a notebook PC, and a desktop PC.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와 대화를 주고받기 위한 챗봇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a chatbot interface module 110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챗봇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10)의 마이크,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통해 사용자와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The chatbot interface module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hrough a microphone, a display, a speaker, etc. of the user terminal 10 .

서버(20)는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챗봇의 대화 내용을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20 may include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for understanding the user's conversation content and generating the chatbot's conversation content.

서버(20)는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과 연결되는 한편, 사용자 단말(10)의 챗봇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통해 제공될 다양한 대화 내용(ex. 훈육과 관련된 가이드)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rver 2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at least one web page or application, and various conversation contents to be provided through the chatbot interface module 110 of the user terminal 10 (eg, a guide related to discipline) ) can be created.

도 1을 참조하면, 서버(20)는 인공지능 모델 관리 모듈(120), 가이드 생성 모듈(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erver 20 may inclu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nagement module 120 , a guide generation module 130 , and the like.

인공지능 모델 관리 모듈(120)은 반려동물의 훈육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훈련된 하나 이상의 인공지능 모델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이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nagement module 120 is a module for managing one or mor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trained to provide a guide for the discipline of companion animals.

도 1을 참조하면, 인공지능 모델 관리 모듈(120)은 서로 다른 훈육 지침을 통해 훈련된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121, 122, 123)을 관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nagement module 120 may manage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121 , 122 , 123 trained through different discipline guidelines.

훈육 지침은, 반려동물의 특정한 행동을 교정하기 위한 훈련 과정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훈육 지침은, 반려동물 훈육 전문가 또는 학자 등에 의해 규정된 것일 수 있으며, 특정 행동을 교정하기 위한 단계 별 훈련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Discipline guidelines refer to information about the training process for correcting specific behaviors of companion animals. Discipline guidelines may be prescribed by a companion animal discipline expert or scholar, and may include a step-by-step training process for correcting specific behavior.

반려동물의 행동에 따른 훈육 지침의 예들은 이하 표 1과 같다. Examples of discipline guidelines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companion animal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이하 훈육 지침들은 반려동물 중 반려견에 한정된 것이다. 이하 표 1의 훈련 지침들은 예시적인 것들에 해당하고, 본 개시에 따른 챗봇 시스템이 이용하는 훈련 지침이 이하 표 1의 훈련 지침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ollowing discipline guidelines are limited to dogs among companion animals. The training guidelines in Table 1 below are exemplary, and the training guidelines used by the chatbo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training guidelines in Table 1 below.

행동action 훈육 지침Discipline Guidelines 특정 소리에 짖음barking at certain sounds - 원인 파악
1. 소리에 놀란 경험 또는 특정 소리 이후 외부인 방문으로 인한 흥분도 상승 경험이나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산책을 오래 못 했거나 집 안에서 경계심이 높아지면서 스트레스가 쌓여 더 예민할 수 있습니다.

- 솔루션
“소리 둔감화 교육”을 통하여 소리에 대해 안 좋은 기억을 보상을 통해 좋은 기억으로 바꿔주는 방식의 교육을 진행”
@ 선행학습: 매트, 하우스, 앉아, 기다려 중 한 가지 이상
1. 집에 있으면 반려견이 경계심이나 스트레스가 높은 상태일 수 있으므로 가벼운 산책이나 놀이 후 진행해주시면 좋습니다.
2. 반려견이 평소에 편안하게 쉴 수 있는 매트나 하우스를 활용해 '기다려' 교육을 선행해 주세요.
3. '기다려' 도중 반려견이 평소에 반응하는 소리를 작은 소리부터 들려주세요. 반려견이 소리에 반응하면 매트나 하우스에 들어갈 수 있도록 지시해 주세요.
4. 매트나 하우스에 잘 들어간다면 칭찬과 간식 등을 통해서 보상해 주세요.
5. 성공하면 소리 크기를 조금씩 올려주며 반복해 주세요.
6. 일정 단계의 소리에서 교육이 잘 진행되지 않는다면 그보다 한, 두 단계 소리를 낮추어 다시 진행해주세요.
팁) 매트나 하우스의 위치는 처음엔 소리가 나는 곳에서 보이는 가까운 장소에 위치해 주시고 반려견의 성공률이 올라갈수록 더 편하게 쉴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해 주세요.
- Identify the cause
1. You may have experienced or traumatized by a sound startled or aroused by an outsider visit after a specific sound.
2. You may be more sensitive due to not being able to walk for a long time or becoming more vigilant at home.

- solution
Through “sound desensitization education”, education is conducted in a way that changes bad memories of sound into good memories through compensation”
@ Prior learning: one or more of mat, house, sit down, and wait
1. If you are at home, your dog may be alert or stressed, so it is recommended to proceed after a light walk or play.
2. Prioritize the 'wait' education using a mat or house where your dog can normally rest comfortably.
3. During 'Wait', listen to the dog's usual reaction, starting with a small sound. Instruct your dog to enter the mat or house if it responds to the sound.
4. If you do well on the mat or house, reward them with compliments and snacks.
5. If successful, increase the volume little by little and repeat.
6. If the training does not proceed well at a certain level of sound, lower the sound level by one or two and proceed again.
Tip) The location of the mat or house should be located close to where the sound is coming from at first, and as the success rate of your dog increases, move it to a more comfortable resting place.
외부인 방문시 공격성Aggression when visiting outsiders - 원인 파악
1. 외부인 방문을 영역 내 침범으로 받아들여 경계성으로 짖거나 공격성을 보이는 행동.
2. 외부인 방문 이후 안 좋은 기억으로 인한 불안감으로 짖거나 공격하는 행동.
3. 외부인 방문 시 발생하는 다양한 자극(문 열리는 소리, 인사 소리 등)에 의한 흥분도 상승으로 인한 짖음
4. 특정인(남자, 어린아이 등)에 반응을 보이는 경우 어떠한 트라우마로 인한 행동.
5. 자신의 짖음과 공격성 표출로 인해 좋지 않은 기억의 사람이 다가오지 않거나 사라진다고 자연스럽게 학습이 되어 조금씩 강화되고 있을 수 있습니다.
6. 사회화 시기 많은 사람 들을 만나보지 않았거나 사람에 대해 좋지 않은 기억.
주의: 어린아이들이 강아지들을 대하는 천진난만한 행동들은 강아지에게 위협적이거나 무례한 행동으로 느껴질 수 있으니 특별히 조심해 주세요.

- 솔루션(자극 둔감화 교육)
@ 외부인이 자신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외부인이 다가오면 좋은 일이 일어난다는 인식을 심어주세요.
@ 선행학습: 매트, 하우스
@ 특정 외모 또는 성별에 반응을 보이는 경우 도와주시는 분은 조건을 비슷하게 해서 교육을 진행해주세요.
1. 교육 시작 이전 잠깐의 산책을 통해 긴장도를 완화시켜 줍니다.
2. 집 밖에서 외부인을 만나 같이 집으로 들어오면 경계심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같이 산책을 한다면 더욱 좋습니다).
3. 보호자가 간식을 사용해 매트나 하우스 등을 시켜서 반려견이 차분해지게 해주세요(교육 도중 외부인은 반려견을 자극하지 않도록 한쪽 장소에서 가만히 있어 주세요).
4. 반려견이 그래도 진정이 잘 안 된다면 리드줄을 이용해 간단하게 집안 산책을 해주세요.
5. 반려견이 차분해지면 보상해 주세요. 보상 후에도 아이가 차분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칭찬과 스킨쉽을 같이 사용해 주세요.
6. 반려견이 차분해졌다면 외부인은 실내를 천천히 움직여 보고 반응을 하면 다시 매트나 하우스를 시켜 주세요.
7. 반려견의 반응 정도에 따라 외부인의 움직이는 공간을 조금씩 늘려주는 식으로 반복해주세요.
8. 보상은 외부인이 주는 간식을 먹는다면 외부인이 아이에게 직접 주는 것이 좋습니다.
팁)
1. 1, 2번은 반려견의 흥분도를 낮춰서 교육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식으로 보호자의 지시어를 어느 정도 듣는 반려견이라면 3번부터 진행하셔도 됩니다.
2. 보상은 반려견이 좋아하는 어떤 것이든 좋습니다. (간식, 칭찬, 스킨쉽, 장난감 등)
- Identify the cause
1. Behavior that shows vigilant barking or aggression by accepting a visit from an outsider as an invasion of the territory.
2. Behavior of barking or aggression due to anxiety caused by bad memories after visiting an outsider.
3. Barking due to increased excitement level due to various stimuli (door opening sound, greeting sound, etc.) occurring when an outsider visits
4. Behavior due to any trauma when reacting to a specific person (man, child, etc.).
5. It may be that people with bad memories do not approach or disappear due to their barking and aggression.
6. Socialization period Not meeting many people or having bad memories of people.
CAUTION: Please be especially careful with the naive behavior of young children towards puppies as they may be perceived as intimidating or rude to the puppies.

- Solutions (stimulus desensitization training)
@ Build awareness that outsiders don't harm you and good things happen when outsiders approach you.
@ Prior Learning: Matt, House
@ If you are reacting to a specific appearance or gender, please proceed with the training with similar conditions.
1. Take a short walk before the start of training to relieve tension.
2. If you meet outsiders outside the house and come into the house together, you may be less alert (even better if you go for a walk together).
3. Have your dog calm down by using a treat, such as a mat or house, by the guardian (please stay still in one place so that outsiders do not irritate the dog during training).
4. If your dog still does not calm down, simply take a walk around the house using a leash.
5. Reward your dog when he is calm. Use praise and skinship together so that the child can remain calm even after the reward.
6. If your dog has calmed down, let outsiders move around the room slowly, and if they respond, give them a mat or house again.
7. Repeat by gradually increasing the moving space of the outsid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action of the dog.
8. If you eat snacks provided by outsiders, it is recommended that outsiders give the child directly.
tip)
1. Steps 1 and 2 lower the dog’s excitement level and help him to focus more on education. If your dog listens to the guardian’s instructions to some extent, you can proceed from step 3.
2. The reward can be anything your dog likes. (Snacks, compliments, skinship, toys, etc.)
보호자에 대한 흥분도 상승Increased level of excitement for caregivers - 원인파악
@ 보호자에 대한 높은 의존도 때문에 흥분도 상승으로 인한 원인.
@ 보호자가 집에 들어왔을 때 과도한 애정을 받았던 기억으로 행동이 강화된 경우. 그런 경우 반려견은 그 시간을 더욱 힘들게 기다릴 수 있으며 분리불안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솔루션
@ 과도한 애정이 반려견에게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반대로 무관심한 태도가 필요합니다.
1. 나갔다 들어온 후 반려견에게 “잘 놀았어?” 등의 인사나 반겨주는 행동을 하지 말고 옷을 갈아입거나 정리를 하는 등의 무관심으로 반려견의 흥분도가 진정되게 해주세요.
2. 이후 반려견의 흥분도가 가라앉으면 그때 차분히 칭찬해주세요.
3. 갑자기 무관심한 행동을 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더 심한 행동을 하는 반려견도 있으나 교육의 과정이니까 포기하지 말고 그대로 진행해주세요.
팁) 외출 복귀 후 반가움에 점프, 앞발로 긁기 또는 잠시 짖다 멈추는 아이들도 행동이 강화될 수 있으므로 반려견이 흥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사나 칭찬을 해주세요.
- Identify the cause
@ Caused by increased excitability due to high dependence on caregivers.
@ When the behavior is reinforced by a memory of being excessively affectionate when the caregiver enters the house. In that case, the dog can wait that time more painfully, leading to separation anxiety.

- solution
@ Excessive affection can adversely affect your dog. In this case, on the contrary, an attitude of indifference is required.
1. After going out, ask the dog, “Did you have a good time?” Do not greet or greet your dog, but calm your dog's excitement by indifference, such as changing clothes or tidying up.
2. After that, when the dog's excitement subsides, praise him calmly.
3. If you suddenly become indifferent, some dogs will temporarily behave worse, but it is an educational process, so please do not give up and proceed.
Tip) Children who jump, scratch their paws, or stop barking for a while after returning from the outdoors can also reinforce their behavior, so please greet or compliment your dog without being excited.
특정인에 대한 경계, 불안Borderline, anxiety about specific people - 원인 파악
1. 특정 사람의 엄한 행동(큰 소리내기, 때리기 등)으로 인한 트라우마나 경계, 불안함.
2. 과도한 스킨쉽을 괴롭히는 행동으로 받아들인 경우
3. 의도치 않게 반려견에게 싫거나 무서운 기억을 심어준 경우(예: 목욕을 시키는 사람, 의도치 않게 반려견을 아프게 한 경우 등)

- 솔루션
@ 반려견의 경계, 불안함을 없애기 위해 특정 사람은 반려견과 함께 하는 시간을 충분히 늘려주어야 됩니다.
1. 산책, 놀이, 식사, 간식 등을 특정 보호자님이 전담을 해주세요.
2. 간식이나 장난감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품으로 유도해 주세요.
3. 반려견이 차분히 다가올 수 있도록 여유 있게 시간을 두고 기다려주세요(상황에 따라 며칠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4. 바로 앞까지 반려견이 다가오거나 품으로 들어온다면 스킨쉽을 해주며 더 좋은 교감을 만들어 주세요.
- Identify the cause
1. Trauma, vigilance, or anxiety caused by a specific person's harsh behavior (e.g. shouting, hitting, etc.).
2. If excessive skinship is regarded as a harassing behavior
3. Inadvertently instilling unpleasant or frightening memories in the dog (eg, the person giving the bath, unintentionally hurting the dog, etc.)

- solution
@ In order to get rid of the dog's alertness and anxiety, certain people need to increase the amount of time they spend with their dog.
1. A specific guardian is in charge of walking, playing, eating, and snacking.
2. Induce them to your arms naturally through snacks or toys.
3. Please allow plenty of time for your dog to approach you calmly (it may take several days depending on the situation).
4. If your dog approaches or comes into your arms right in front of you, give him skinship and create a better relationship.
특정인에 대한 과도한 애정, 소유욕Excessive affection or possessiveness toward a specific person - 원인 파악
1. 특정 사람의 과도한 애정으로 인해 생기는 집착과 소유욕으로 인한 경계성 행동.
2. 짖거나 공격성을 보였을 때 특정 인물이 안아서 자리를 피하는 등의 행동을 관심, 칭찬으로 받아들이거나 다른 가족이 그 자리를 벗어남으로 행동이 강화된 경우.

- 솔루션
@ 반려견의 집착이 심한 가족의 경우 그 행동이 좋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 선행학습: 엎드려, 기다려
1. 다른 가족들과의 친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간식, 식사, 산책 등을 가족 구성원이 돌아가면서 골고루 해줍니다).
2. 반려견의 경계성 행동이 어떨 때 심하고 덜한지를 파악해 주세요.
3. 반려견이 경계성 행동이 가장 약했던 당시의 행동을 우선으로 교육하기 시작합니다(모든 교육은 낮은 자극에서 강한 자극으로 조금씩 바뀌는 것이 좋습니다).
4. 예를 들어 반려견이 무릎에 있을 때 짖는다면 말없이 일어나서 자연스럽게 내려가게 해주거나 등을 돌리는 행위 등 거절의 의사를 보여주세요.
5. 이후 “엎드려”, “기다려” 등의 지시어를 내리고 기다려 주세요(너무 자주 지시어를 하지 마시고 반려견이 생각할 시간을 주세요).
6. 반려견이 차분해지면 보상해 주세요(보상은 짖음의 대상이 되었던 보호자 분이 해줄 수 있다면 더 좋습니다).
팁) 반려견이 짖다가 멈추자마자 보상을 하면 짖는 행동을 반복할 수 있으므로 반려견이 차분해지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보상을 해주세요.
- Identify the cause
1. Obsessive and possessive behavior resulting from excessive affection for a specific person.
2. When behavior such as barking or showing aggression and avoiding a place by a specific person is taken as attention or praise, or the behavior is reinforced by another family member leaving the place.

- solution
@ In the case of a dog-obsessed family, you need to let them know that the behavior is not good.
@ Prior Learning: Get down, wait
1. The process of familiarity with other family members should take precedence (the family members take turns providing snacks, meals, and walks evenly).
2. Find out when your dog's alert behavior is severe and mild.
3. Begin educating your dog on the behavior at the time when the alert behavior was the weakest (it is recommended that all training be changed little by little from low to strong).
4. For example, if your dog barks when he is on his lap, show your intention of refusal, such as silently standing up and letting him go down naturally or turning his back.
5. Afterwards, give instructions such as “lay down” or “wait” and wait (don’t use the directive too often and give your dog time to think).
6. Reward your dog as he calms down (reward is better if the dog's owner can provide it).
Tip) If you reward your dog as soon as it stops barking, it may repeat the barking behavior, so reward your dog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passed.
요구성 짖음demand barking - 원인 파악
1. “요구성 짖음”은 짖는 행동이나 앞발로 긁기, 점프하기 등을 하게 되면 보호자가 반려견이 원하는 행동을 해준다고 학습 강화된 행동입니다.
2. 어떤 요구를 하는 행동이 아니더라도 여러 상황이 있을 수 있는데 관심이나 스킨쉽으로 인해 행동이 강화되었을 수 있습니다(예: 반려견이 짖었을 때 말리거나 자리를 피하기 위해 안아주는 보호자의 행동 등).

- 솔루션
@ 짖는 행동으로 인해 간식, 놀이, 산책 등이 진행되지 않음을 인지하게 해주세요.
@ 처음에는 이전에 경험한 기억들 때문에 더 짖거나 흥분할 수 있습니다. 이때 다시 보상을 얻게 된다면 “요구성 행동”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 선행학습: 기다려
1. 반려견이 요구성 행동을 보이며 짖을 때 “기다려”를 시키고 보호자는 가만히 서서 기다려 주세요.
2. 시간이 지나서 짖던 반려견이 차분해지면 간식으로 보상을 주며 칭찬해 주세요.
3. 교육 초기 반려견이 흥분하여 “기다려”를 못 알아듣고 지속적으로 요구성 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보호자는 포기하지 마시고 반려견이 얌전해질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4. 반려견이 차분해져서 보상을 주려 할 때 다시 흥분하며 반응을 한다면 보상을 주려던 행동을 멈추고 다시 기다려 주세요.
5. 처음엔 짧게 기다리는 연습부터 하고 시간을 서서히 늘려주다가 반려견이 시간을 예측하지 못하고 더 집중할 수 있도록 기준시간을 정해두고 랜덤하게 보상을 주세요(예: 기준이 5초라면 3초에서 6초 사이에 무작위로 보상을 줍니다).
팁) 반려견이 바로 성공하지 못하고 다른 행동 들을 할 때도 당황하거나 지시어(기다려 등)를 반복하지 말고 보호자가 기다리시면서 반려견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Identify the cause
1. “Required barking” is a learning-reinforced behavior that says that when a dog barks, scratches, jumps, etc., the guardian will do the behavior the dog wants.
2. Even if the behavior is not demanding, there are many situations where the behavior may have been reinforced by interest or touch (eg, the behavior of a guardian to stop the dog from barking or hugging him to get out of the seat).

- solution
@ Recognize that barking does not prevent snacks, games, walks, etc.
@ At first, you may be more barking or agitated because of previous experiences. If you are rewarded again at this time, the “required behavior” may become more severe.
@ Prior Learning: Wait
1. When your dog shows demanding behavior and barks, tell him to “wait” and the guardian to stand still and wait.
2. When the barking dog calms down over time, reward it with a treat and praise it.
3. In the early stages of training, there may be cases where your dog becomes agitated and does not understand “wait” and continues to perform demanding behaviors. At this time, please do not give up and wait for the dog to calm down.
4. If your dog calms down and responds with excitement again when he tries to give you a reward, stop doing the reward and wait again.
5. At first, practice waiting for a short time, then gradually increase the time. Set a standard time so that the dog can concentrate more without predicting the time, and give a reward randomly (eg, if the standard is 5 seconds, between 3 and 6 seconds) rewards randomly).
Tip) When your dog does not succeed immediately and does other actions, it is important not to panic or repeat instructions (wait, etc.), but to give the dog enough time to think while the guardian waits.
낯선 반려동물 경계unfamiliar pets - 원인 파악
1. 낯선 반려견 입, 출입 시 추가되는 다양한 자극(문 열리는 소리, 인사 소리, 다른 반려견의 짖는 소리 등)들에 의한 흥분도 상승으로 인한 짖음(짖음->집->특정소리 교육법 참고).
2. 자신의 공간으로 인지한 장소에 낯선 반려견의 출입으로 인한 경계성 짖음.
3. 낯선 반려견 방문 이후 안 좋은 기억으로 인한 불안감으로 짖거나 공격하는 행동.
4. 사회화 시기를 놓쳐 다른 반려견에 대한 두려움, 경계심으로 인한 짖음.

- 솔루션
@ 도움을 줄 다른 반려견이 필요합니다. (사회화가 되어 있는 얌전한 반려견)
@ 낯선 반려견과의 경계심을 없애고 좋은 인식을 만들어 주는 교육입니다.
< 1단계 >
1. 밖에서 다른 반려견과 산책을 같이 하고 같이 들어오세요(경계심을 낮춰줄 수 있습니다).
2. 산책 중간 다른 반려견과 가까워질 때 간식 등을 통해 다른 반려견에 대한 좋은 인식을 심어주세요.
3. 같이 집으로 돌아왔을 때 경계심이 없어져 짖는 행동이 없어질 수 있습니다.
4. 다른 반려견과 놀이, 간식 등을 통해 즐거운 시간을 만들어 주세요.
5. 산책 후 집에서 여전히 낯선 반려견에게 짖는 경우는 다음 교육을 추가로 진행해주세요.
< 2단계 >
1. 간식으로 유도하여 다른 반려견을 등지게 하고 보호자에게 집중시켜서 최대한 다른 반려견에게 짖지 않도록 해주세요.
2. 반려견이 간식을 먹을 때 차분히 칭찬과 스킨쉽을 해주어 흥분도를 낮춰주고 다른 반려견에 대한 좋은 인식을 만들어 주세요(간식을 빨리 먹고 바로 짖는 반려견들을 위해 간식은 손에 많이 움켜쥐어서 조금씩 먹게 하거나 질긴 간식을 손에 쥐고 주는 것이 좋습니다).
3. 이때 보호자의 반려견이 낯선 반려견의 움직임에 예민하다면 도움 주는 반려견은 리드줄을 통해 한자리에 있게 해주세요.
4. 간식을 먹는 사이 다른 반려견의 움직임에 예민하지 않다면 도움 주는 반려견은 편하게 풀어주세요.
5. 짖는 행동이 줄어들면 놀이, 간식 등을 통해 즐거운 시간을 만들어 주세요.
팁) 또 다른 반려견이 방문할 때도 처음부터 같은 방식의 교육을 진행해주고 어느 정도 짖는 것이 줄어들게 되었다면 두 번째 단계부터 진행해주세요.
- Identify the cause
1. Barking caused by an increase in excitement level due to various stimuli (open door, greeting, barking of other dogs, etc.)
2. Boundary barking due to the entry of an unfamiliar dog into a place perceived as one's own space.
3. Behavior of barking or aggression due to anxiety caused by bad memories after visiting an unfamiliar dog.
4. Barking due to fear and alertness of other dogs due to missed socialization period.

- solution
@ I need another dog to help. (A docile dog that has been socialized)
@ This is an education that removes the alertness with unfamiliar dogs and creates good awareness.
< Step 1 >
1. Take your dog outside for a walk and come in with him (this can lower alertness).
2. When you get close to other dogs on a walk, give them snacks, etc., to instill good awareness of other dogs.
3. When you come home together, you may lose your alertness and the behavior of barking may disappear.
4. Make fun with other dogs by playing games and snacks.
5. If you are still barking at an unfamiliar dog at home after a walk, proceed with the following additional training.
< Step 2 >
1. Encourage other dogs to turn their backs with a snack, and focus on the owner to avoid barking at other dogs as much as possible.
2. When your dog eats a snack, give them praise and skinship to lower the excitement level and create a good awareness of other dogs It is recommended to hold it in your hand).
3. At this time, if the guardian's dog is sensitive to the movement of an unfamiliar dog, let the helping dog stay in one place through the lead leash.
4. If you are not sensitive to the movements of other dogs while you are snacking, release the helping dog comfortably.
5. When barking is reduced, create a pleasant time through play, snacks, etc.
Tip) When another dog visits, provide the same training from the beginning, and if the barking has decreased to some extent, proceed from the second step.
분리불안separation anxiety - 원인 파악
1. 집에 반려견 혼자 있을 때 계속해서 짖거나 물건을 다 망가뜨리고 배변 실수를 하는 등의 모습을 보인다면 분리불안일 수 있습니다.
2. 분리불안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도 보호자가 없으므로 인해서 불안함이나 경계심이 많아져 평소보다 더 소음에 예민할 수 있습니다.
3. 소리에 놀란 경험 또는 특정 소리 이후 외부인 방문으로 인한 흥분도 상승 경험이나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산책을 오래 못 했거나 집 안에서 경계심이 높아지면서 스트레스가 쌓여 더 예민할 수 있습니다.
5. 평소에도 외부 자극이나 소리에 경계심이나 불안함이 있는 반려견이 보호자가 없으므로 인해 더 예민하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 솔루션
@ 소리, 자극에 의한 문제가 아닐 경우 분리불안에 대한 교육을 진행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소리 둔감화 교육”을 통하여 소리에 대해 안 좋은 기억을 보상을 통해 좋은 기억으로 바꿔주는 방식의 교육을 진행해줍니다.
@ 선행학습: 매트, 하우스, 앉아, 기다려 중 한 가지 이상
1. 집에 있으면 반려견이 경계심이나 스트레스가 높은 상태일 수 있으므로 가벼운 산책이나 놀이 후 진행해주시면 좋습니다.
2. 반려견이 평소에 편안하게 쉴 수 있는 매트나 하우스를 활용해 '기다려' 교육을 선행해 주세요.
3. '기다려' 도중 반려견이 평소에 반응하는 소리를 작은 소리부터 들려주세요. 반려견이 소리에 반응하면 매트나 하우스에 들어갈 수 있도록 지시해 주세요.
4. 매트나 하우스에 잘 들어간다면 칭찬과 간식 등을 통해서 보상해 주세요.
5. 성공하면 소리 크기를 조금씩 올려주며 반복해 주세요.
6. 일정 단계의 소리에서 교육이 잘 진행되지 않는다면 그보다 한, 두 단계 소리를 낮추어 다시 진행해주세요.
팁) 매트나 하우스의 위치는 처음엔 소리가 나는 곳에서 보이는 가까운 장소에 위치해 주시고 반려견의 성공률이 올라갈수록 더 편하게 쉴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해 주세요.
- Identify the cause
1. When your dog is alone at home, if he continues to bark, destroys everything, or makes a bowel movement mistake, it may be separation anxiety.
2. Even if separation anxiety is not severe, you may be more sensitive to noise than usual due to increased anxiety or alertness due to the absence of a guardian.
3. It is possible that you have a trauma or experience of increased arousal due to a surprise visit by an outsider after a certain sound.
4. You may be more sensitive due to not being able to walk for a long time or becoming more vigilant in the house due to increased stress.
5. Dogs who are usually wary or anxious about external stimuli or sounds may be more sensitive to them because they do not have a guardian.

- solution
@ If the problem is not caused by sound or stimulation, we recommend that you provide education on separation anxiety.
@ Through “sound desensitization education”, we provide an education that changes bad memories of sound into good memories through compensation.
@ Prior learning: one or more of mat, house, sit down, and wait
1. If you are at home, your dog may be alert or stressed, so it is recommended to proceed after a light walk or play.
2. Prioritize the 'wait' education using a mat or house where your dog can normally rest comfortably.
3. During 'Wait', listen to the dog's usual reaction, starting with a small sound. Instruct your dog to enter the mat or house if it responds to the sound.
4. If you do well on the mat or house, reward them with compliments and snacks.
5. If successful, increase the volume little by little and repeat.
6. If the training does not proceed well at a certain level, please lower the sound level by one or two and proceed again.
Tip) Position the mat or house at a place close to where the sound is coming from at first, and as the success rate of your dog increases, move it to a place where you can rest more comfortably.
특정한 종류의 동물, 특정한 종류의 외부인 경계A certain kind of animal, a certain kind of outsider boundary - 원인 파악
1. 동물, 특정인(남자, 어린아이 등)에 반응을 보이는 경우 어떠한 트라우마 또는 사회성 부족으로 인해 불안감을 표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사회화 시기 많은 경험을 해보지 못했거나 사람, 동물에 대해 좋지 않은 기억.
3. 자신의 짖거나 공격하는 행동으로 인해 좋지 않은 기억의 사람이나 동물이 다가오지 않거나 사라진다고 자연스럽게 학습이 되어 조금씩 강화된 경우.
※ 주의: 어린아이들이 강아지들을 대하는 천진난만한 행동들은 강아지에게 위협적이거나 무례한 행동으로 느껴질 수 있으니 특별히 조심해 주세요

- 솔루션
@ 낯선 사람이나 반려견이 자신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다가오면 좋은 일이 일어난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교육법을 진행하면 좋습니다.
@ 선행학습: 아이 컨택
1. 먼 거리에서 낯선 사람이나 반려견이 다가올 때 짖기 시작하는 위치를 파악합니다.
2. 낯선 사람이나 반려견이 다가오면 짖기 전 이름을 불러 아이 컨택을 통하여 반려견이 반응하기 전부터 보호자에게 집중시켜 주세요.
3. 낯선 사람이나 반려견이 지나가는 동안 간식을 주세요(만약 간식을 먹는 도중 낯선 사람이나 반려견을 발견하고 짖는 모습을 보인다면 다시 진행을 해주시고 간식을 줄 때 낯선 사람과 먼 방향으로 이동하며 간식을 주세요).
4. 어느 정도 적응이 되면 연속적으로 주던 보상의 간격을 조금씩 늘려주세요. 거리가 많이 가까워졌을 경우 보호자가 아닌 낯선 사람이 직접 간식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 간식을 먹는 도중 실패를 했을 경우 다시 처음부터 진행해주세요.
6. 지속적인 반복 학습을 시켜 주세요.
팁) 간식을 빨리 먹고 바로 짖는 아이들을 위한 방법으로 간식은 손에 많이 움켜쥐어서 조금씩 먹게 하거나 질긴 간식을 손에 쥐고 줘서 사람이 지나갈 때까지 간식에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 Identify the cause
1. If you react to an animal or a specific person (man, child, etc.), you often express anxiety due to some trauma or lack of social skills.
2. Socialization period Inexperienced or bad memories of people and animals.
3. When people or animals with bad memories do not approach or disappear due to their barking or aggression behavior, which is naturally learned and reinforced little by little.
※ Caution: Children's innocent behavior toward puppies may be perceived as intimidating or rude, so please be extra careful.

- solution
@ It is a good idea to proceed with an education method that instills the awareness that good things happen when a stranger or a dog approaches without harming you.
@ Prior Learning: Eye Contact
1. Determine where your dog starts barking when a stranger or dog approaches from a distance.
2. When a stranger or dog approaches, call his name before barking and focus on the guardian before the dog responds through eye contact.
3. Give a snack while a stranger or dog passes by (If you see a stranger or dog barking while you are snacking, try again and give the treat away from the stranger) .
4. When you get used to it, gradually increase the interval between consecutive rewards. If the distance is too close, it is also a good idea to have a stranger, rather than a guardian, give you a snack.
5. If you fail while eating a snack, please start over from the beginning.
6. Please keep repeating learning.
Tip) For children who eat snacks quickly and bark right away, grab them a lot and eat them little by little, or hold a chewy snack in your hand so they can focus on the snack until someone passes by.
특정 물체 경계specific object boundary - 원인 파악
1. 특정 물체에 반응을 보이는 경우 경계성이나 두려움인 경우가 많습니다.
2. 사회화 시기 많은 경험을 해보지 않아서 두려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3. 자신의 짖거나 공격하는 행동으로 인해 특정 물체가 사라진다고 자연스럽게 학습이 되어 조금씩 강화된 경우.
4. 반려견의 쫓는 본능으로 인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가며 짖는 경우.

- 솔루션
@ 낯선 물체가 자신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다가오면 좋은 일이 일어난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교육법을 진행하면 좋습니다(처음엔 자극이 많지 않은 한적한 공간에서 진행해주세요).
@ 선행학습: 아이컨택, 이리와 중 한 가지
1. 반려견은 자연스러운 산책 중에 보호자는 물체가 다가오는지 보고 있습니다.
2. 낯선 물체에 따라(오토바이, 자전거 등) 반려견이 반응하는 거리를 파악해 두세요.
3. 낯선 물체가 다가오면 아이컨택을 통하여 반려견이 반응하기 전부터 보호자에게 집중시켜 주세요.
4. 낯선 물체가 지나가는 동안 간식을 주세요(만약 간식을 먹는 도중 낯선 물체를 발견하고 짖는 모습을 보인다면 다시 진행을 해주시고 간식을 줄 때 낯선 물체와 먼 방향으로 이동하며 간식을 주세요).
5. 낯선 물체가 지나가면 다시 산책을 시작하세요.
6. 지속적인 반복 학습을 시켜 주세요.
팁) 간식을 빨리 먹고 바로 짖는 아이들을 위한 방법으로 간식은 손에 많이 움켜쥐어서 조금씩 먹게 하거나 질긴 간식을 손에 쥐고 줘서 사람이 지나갈 때까지 간식에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 Identify the cause
1. When reacting to a specific object, it is often alertness or fear.
2. Socialization period There are times when you are afraid because you do not have much experience.
3. A case in which a certain object disappears due to one's own barking or attacking behavior, which is naturally learned and reinforced little by little.
4. When a dog barks while following a moving object due to the dog's chasing instinct.

- solution
@ It is good to proceed with an education method that instills the awareness that good things will happen when an unfamiliar object approaches without harming you (at first, please proceed in a quiet space where there are not many stimuli).
@ Prior Learning: One of Eye Contact, Come.
1. During a natural walk of the dog, the guardian watches for objects approaching.
2. Know the distance your dog reacts to unfamiliar objects (motorcycles, bicycles, etc.).
3. If an unfamiliar object approaches, focus on the guardian before the dog reacts through eye contact.
4. Give a snack while an unfamiliar object is passing by (If you find an unfamiliar object while you are snacking and show barking, repeat the process and give the snack away from the unfamiliar object).
5. Start walking again when an unfamiliar object passes by.
6. Please keep repeating learning.
Tip) For children who eat snacks quickly and bark right away, grab them a lot and eat them little by little, or hold a chewy snack in your hand so they can focus on the snack until someone passes by.
낯선 반려견에 대한 과도한 관심Excessive interest in unfamiliar dogs - 원인 파악
1. 자제력이 부족하거나 활동량을 채우지 못한 반려견의 경우 스트레스가 쌓였거나 낯선 사람이나 낯선 반려견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흥분, 호기심으로 인한 짖음.
2. 반려견이 신나게 반기며 낯선 사람에게 다가갔을 때 낯선 사람의 칭찬 및 스킨쉽에 의해 행동이 강화된 경우.

- 솔루션
@ 평소에 충분한 산책과 많은 경험, 다양한 놀이 등으로 아이의 욕구와 스트레스를 충분히 풀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반려견에게 자제력을 길러주는 교육을 해줍니다.
@ 선행학습: 기다려, 아이컨택, 이리와
1. 교육 중에는 기본적으로 목줄, 하네스를 착용해 주세요. 흥분도가 쉽게 올라가는 반려견은 “앞섬방지하네스”를 착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2. 반려견이 짖기 시작하면 관심, 스킨쉽 등 어떤 보상도 주지 마시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등 반려견이 좋아하는 상황을 끝내주세요.
(반려견이 안 따라오려 해도 단호하게 이동하세요.)
3. 짧은 장소를 이동한 후에 반려견의 행동에 반응하지 마시고 차분하게 기다려 주세요(교육 초반에는 지시어를 사용하지 않고 보호자가 차분히 기다려 주는 것이 반려견에게 혼동을 줄여주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흥분도가 가라앉으면 보상을 주세요.
5. 1 ~ 4번의 방법을 반복해 주면서 차분히 기다리는 시간을 늘려주세요.
6. 처음에 반려견이 집중을 잘하지 못하더라도 혼내거나 화를 내지 말아주세요(반려견을 더 흥분시키거나 도망가려 해서 교육이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7. 반려견이 어느 정도 보호자의 행동에 따라와 주기 시작하면 지시어(기다려, 이리와 등)를 사용해 주세요.
팁) 반려견이 짖었을 때 관심이나 스킨쉽(안아주기 등) 등의 보상을 주면 그 행동이 더 강화될 수 있습니다.
- Identify the cause
1. In the case of a dog that lacks self-control or does not meet his/her activity level, barking due to stress, excessive interest, excitement, or curiosity about a stranger or unfamiliar dog.
2. When the dog approaches the stranger with a cheerful welcome, the behavior is reinforced by the stranger's compliments and touch.

- solution
@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elieve the child's desires and stress sufficiently through walking, many experiences, and various games on a daily basis.
@ We teach dogs to develop self-control.
@ Prior Learning: Wait, eye contact, come
1. Please wear a leash and harness during training. Dogs who are easily aroused can benefit from wearing an anti-slip harness.
2. If your dog starts barking, do not give any rewards such as attention, skinship, etc., and end the situation your dog likes, such as moving to another place.
(Even if your dog does not want to follow you, move firmly.)
3. After moving from place to place, do not react to the dog's behavior and wait calmly (not using directives at the beginning of training and waiting calmly by the guardian can help reduce confusion for the dog).
4. Give rewards when excitement subsides.
5. Repeat steps 1 to 4 and slowly increase the waiting time.
6. Don't scold or get angry even if your dog is not concentrating well at first (this can make training more difficult by making your dog more excited or trying to run away).
7. Use directives (wait, come, etc.) when your dog begins to follow the behavior of the owner to some extent.
Tip) When a dog barks, giving a reward such as attention or skinship (hugging, etc.) can reinforce the behavior.

일 예로, 서버(20)는 웹 크롤링을 통해 반려동물의 행동 별 훈련지침을 획득하거나 또는 적어도 한 명의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훈육 지침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는 각 훈육 지침에 따라, 사용자에게 훈육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121, 122, 123, …) 각각을 훈련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20 may obtain training guidelines for each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web crawling, or may receive training guidelines input through a user terminal of at least one expert. And, the server 20 may train each of the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121, 122, 123, ...) to provide a guide for discipline to the user according to each discipline guideline.

여기서, 각 인공지능 모델은, 딥 러닝 기반의 신경망 모델로서,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인공지능 모델은,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QN(Deep Q-Network) 등의 방식에 따라 훈련될 수 있다.Here, each AI model is a deep learning-based neural network model, and may include one or more layers. Each AI model may be trained according to a method such as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 Deep Q-Network (DQN), or the like.

일 예로, 각 인공지능 모델은, 훈육 지침에 따라, 단계 별로 훈육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훈련될 수 있다.As an example, each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trained to provide a discipline guide for each step, according to the discipline guidelines.

또한, 각 인공지능 모델은, 단계 별로 제공된 훈육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입력되면, 해당 응답에 매칭되는 다음 단계의 훈육 가이드 또는 부가 정보를 제공하도록 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when the user's response to the discipline guide provided for each step is input, it can be trained to provide a discipline guide or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next step matching the response.

여기서, 사용자의 응답은, 경과 보고, 질문 등일 수 있다. Here, the user's response may be a progress report, a question, or the like.

경과 보고는, 훈육 가이드에 따라 부분적인 훈육 과정을 수행했음을 알리거나 및/또는 부분적인 훈육 과정을 수행한 결과를 알리는 사용자의 응답일 수 있다. Progress report may be a response from the user informing that the partial discipline proces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iscipline guide and/or notifying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partial discipline process.

질문은, 제공된 훈육 가이드에 보다 추가적/구체적인 설명이나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응답일 수 있다.The question may be a response from a user requesting more additional / specific explanation or 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provided discipline guide.

즉, 각 인공지능 모델은, RNN을 기반으로, 단계 별로 훈육 가이드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대화 내용(훈육 가이드)을 생성하도록 훈련될 수 있다.That is, each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RNN, may be trained to provide a discipline guide for each step, but to generate a conversation content (discipline guide) that follows naturally according to the user's response.

이때, 각 인공지능 모델은, 훈육 지침에 따라 단계 별로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문가 및 가이드를 제공받는 보호자 간의 실제 대화 내용을 훈련 데이터 셋으로 하여 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each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trained using, as a training data set, actual conversation content between an expert who provides a guide for each step according to the discipline guidelines and a guardian who receives the gu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각 인공지능 모델이, 사용자의 응답(경과 보고, 질문)이 입력됨에 따라 단계 별 훈육 가이드에 해당하는 대화 내용을 생성(출력)하는 엔드 투 엔드 방식으로 구현/정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ach AI model is implemented/defined in an end-to-end manner that generates (outputs) the conversation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tep-by-step discipline guide as the user's response (progress report, question) is input. explained to be.

그러나, 각 인공지능 모델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형태로 정의/설계될 수도 있다.However, each AI model may be defined/designed in a form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AI models having different functions.

일 예로, 각 인공지능 모델은, 자연어(ex. 사용자의 응답)를 벡터 형태로 이해(변환)하기 위한 단위 모델, 변환된 벡터에 이어질 다음 벡터를 식별하기 위한 단위 모델(RNN 기반), 식별된 벡터를 다시 자연어(ex. 다음 단계의 훈련 가이드)로 변환하기 위한 단위 모델 등을 각각 포함하는 형태로 정의/구현될 수 있다.As an example, each AI model includes a unit model for understanding (converting) natural language (eg, a user's response) in a vector form, a unit model for identifying the next vector following the transformed vector (RNN-based), the identified It can be defined/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a unit model for converting a vector back into a natural language (eg, a training guide for the next stage), respectively.

가이드 생성 모듈(130)은,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121, 122, 123, …) 중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The guide generation module 130 is a module for providing a guide using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mong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121, 122, 123, ....

상술한 도 1을 통해서는, 사용자 단말(10)에 챗봇 인터페이스 모듈(110)이 포함되고, 서버(20)에 인공지능 모델 관리 모듈(120) 및 가이드 생성 모듈(130)이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각 모듈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1,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hatbot interface module 110 i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nagement module 120 and the guide generation module 130 are stored in the server 20. , the location of each module can be changed.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 관리 모듈(120) 및 가이드 생성 모듈(130)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 단말(10)에 포함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nagement module 120 and the guide generation module 130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 .

인공지능 모델 관리 모듈(120)이 사용자 단말(10)에 포함된 경우, 상술한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121, 122, 123, …) 역시 사용자 단말(1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Whe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nagement module 120 i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 , the aforementioned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121 , 122 , 123 , ... may also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 .

한편, 이하 도 2를 통해서는, 챗봇 시스템(100)의 훈육 가이드 방법을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 2 below, a discipline guide method of the chatbot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order.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챗봇 시스템의 훈육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cipline guide method of a chat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챗봇 시스템(100)은,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121, 122, 123, …)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행동에 대응되는 인공지능 모델을 식별할 수 있다(S210).Referring to FIG. 2 , the chatbot system 100 may identify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orresponding to an action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mong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121 , 122 , 123 , ... ( S210 ).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통해 훈육하고자 하는 반려동물의 행동이 선택될 수 있다.Here, the user input may be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to be disciplined may be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그리고, 챗봇 시스템(100)은,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121, 122, 123, …) 중 선택된 행동을 교정하기 위한 훈육 지침에 따라 훈련된 인공지능 모델을 식별할 수 있다.And, the chatbot system 100,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121, 122, 123, ...) can identify the 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ccording to the discipline guidelines for correcting the selected behavior.

다만, 선택된 행동에 대응되는 인공지능 모델이 복수 개인 경우도 가능하다. However, it is also possible when there are multiple AI model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ehavior.

예를 들어, '배변을 아무 곳에나 함'이라는 동일한 행동에 대한 것이더라도, 생후 3개월 이전의 반려견에 대한 훈련 지침과 생후 3개월 이후의 반려견에 대한 훈련 지침이 다를 수 있고, 따라서, 동일한 행동에 대해 인공지능 모델이 복수 개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even if they are for the same behavior of 'to defecate anywhere', the training guidelines for dogs before 3 months of age and those for dogs after 3 months of age may be different, and therefore the same behavior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may be registered for

마찬가지로, 동일한 행동에 대한 것임에도 반려동물의 나이, 성별에 따라서 훈련지침이 달라질 수 있고, 역시 나이,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른 인공지능 모델이 복수 개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Similarly, training guidelines may vary depending on the age and gender of the companion animal, even for the same behavior, and a plurality of differen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may be registere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이렇듯, 선택된 행동에 대하여 등록된 인공지능 모델이 복수 개인 경우, 챗봇 시스템(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반려동물의 종, 나이, 성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을 식별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re are multiple AI models registered for the selected behavior, the chatbot system 100 identifies one AI mode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pecies, age, and gender of the companion animal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can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의 종, 나이, 성별 등에 대한 정보는, 챗봇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처음 실행된 때에 챗봇 시스템(1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general, information on the species, age, gender, etc. of the companion animal is inputted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hatbot system 100 when th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chatbot system 100 is first execu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챗봇 시스템(100)은 식별된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반려동물의 훈육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S220).And, the chatbot system 100 may provide a guide for the discipline of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identifi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220).

구체적으로, 가이드 생성 모듈(130)은 식별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출력된 대화 내용(ex. 단계 별 훈육 가이드)를 획득하여, 챗봇 인터페이스 모듈(110)로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uide generating module 130 may acquire the conversation content (eg, step-by-step discipline guide) output through the identifi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transmit it to the chatbot interface module 110 .

그 결과, 챗봇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통해 훈육에 대한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As a result, a guide for disciplin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chatbot interface module 110 .

이때, 가이드 생성 모듈(130)은, (식별된)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출력된 단계 별 훈육 가이드(대화 내용)를 챗봇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통해 단계 별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uide generation module 130 may provide a step-by-step discipline guide (conversation content) output from the (identifi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the user step by step through the chatbot interface module 110 .

여기서, 가이드 생성 모듈(130)은, 챗봇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단계별 응답(경과 보고, 질문 등)을 다시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여 인공지능 모델의 다음 대화 내용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단계 별 훈육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guide generation module 130 inputs the user's step-by-step responses (progress reports, questions, etc.) received through the chatbot interface module 110 back into the AI model to obtain the next conversation content of the AI model. As such,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ep-by-step discipline guide to the user.

구체적인 예로, 챗봇 시스템(100)은 1 단계의 훈육 가이드를 제공한 다음, 1 단계의 훈육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의 경과 보고에 따라 2 단계의 훈육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chatbot system 100 may provide a first-stage discipline guide, and then provide a second-stage discipline guide according to the user's progress report for the first-stage discipline guide.

이렇듯, 본 개시에 따른 챗봇 시스템(100)은,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수행되는 사용자와의 대화 과정에 따라 훈육 지침을 단계 별로 가이드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반려동물의 개별적인 (실시간) 상황, 감정선에 맞는 적절한 훈육 과정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such, the chatbo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guides the discipline instructions step-by-step according to the conversation process with the user performed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o that the individual (real-time) situation of the user and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emotional line are appropriate. It has the advantage of inducing an appropriate discipline process.

즉, 본 개시에 따른 챗봇 시스템(100)은, 반려동물의 행동 교정을 위한 훈육 지침이 단순 열거된 지식으로 사용자에게 내던져지는 경우와 명확히 차별되는 효과를 갖는다.That is, the chatbo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s an effect that is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case where the discipline guidelines for correcting the behavior of companion animals are thrown to the user as simply listed knowledge.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의 경우, 반려 동물의 행동 지침 별로 훈련된 인공지능 모델이 이용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인공지능 모델이 아닌 단순한 지식 그래프 등의 형태로 가이드가 제공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ly the case in which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for each behavioral guideline of a companion animal is used has been described.

이 경우, 지식 그래프는, 단계 별로 하나 이상의 훈육 가이드(대화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식 그래프는, 단계 별로 수신되는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다음 단계의 훈육 가이드가 달라지도록 구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knowledge graph may include information on one or more discipline guides (conversation contents) for each step. And, the knowledge graph, according to the user's response received for each step can be constructed so that the next step of the discipline guide is different.

즉, 단계 별 훈육 가이드 각각에 대하여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는 사용자의 응답이 하나 이상의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측되는 사용자의 응답 각각에 대하여 이어질 다음 단계의 훈육 가이드도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at is, one or more user responses predicted to follow for each step-by-step discipline guide may be pre-stored, and discipline guides of the next step to follow for each predicted user response may also be preset.

한편, 이하 도 3a 내지 도 3b를 통해 챗봇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사용자 단말(10) 및 서버(20)를 도시한다.Meanwhile, an example of a service provided by the chatbot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B . 3A to 3B show a user terminal 10 and a server 20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챗봇 시스템이 반려동물의 행동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A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in which a chatbot system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 action of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서버(20)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한편, 훈육의 대상인 반려동물의 행동을 선택받기 위한 UI(User Interface. 310)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 the user terminal 1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UI) 310 for selecting the behavior of a companion animal to be disciplined while executing an application of the server 20 .

일 예로, 디스플레이 된 “특정 소리에 짖음” 항목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10)은 “특정 소리에 짖음” 행동을 선택하고, 선택된 행동에 대한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of touching the displayed “bark at a specific sound” item is detected, the user terminal 10 selects a “bark at a specific sound” action,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action to the server 20 can

한편, 도 3a에서, '더 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현재 디스플레이 된 행동 항목들 외에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더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Meanwhile, in FIG. 3A , when the 'View More' item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10 may further display at least one item in addition to the currently displayed action items.

그리고, '검색하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 받고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행동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And, when the 'search' item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10 may receive a search word from the user and display at least one action including the input search word.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챗봇 시스템이 선택된 행동에 따른 훈육 가이드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discipline guide according to a selected action by the chat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b는, 도 3a에서 “특정 소리에 짖음” 행동이 선택된 경우를 전제로 한 것이다.FIG. 3B is assuming that the action “barking at a specific sound” is selected in FIG. 3A .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의 챗봇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챗봇과 사용자 간의 대화를 위한 UI(32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b에서, 챗봇의 이름은 'AI 훈련사'로 명명되었다.Referring to FIG. 3B , the chatbot interface module 110 of the user terminal 10 may provide a UI 320 for a conversation between the chatbot and the user. In FIG. 3B , the chatbot was named 'AI Trainer'.

한편, 서버(20)는 선택된 행동(특정 소리에 짖음)에 대응되는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단계 별 훈련 가이드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er 20 may obtain a training guide for each step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ction (barking at a specific sound)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0 .

그 결과,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첫 번째 단계의 훈련 가이드를 포함하는 채팅 메시지(321)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referring to FIG. 3B , the user terminal 10 may provide a chatting message 321 including a training guide of the first stage.

여기서, 채팅 메시지(321)에 응답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채팅 메시지(321')가 획득될 수 있다.Here, the chatting message 321 ′ may be obtained according to a user input in response to the chatting message 321 .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채팅 메시지(321')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20)는 인공지능 모델에 채팅 메시지(321')를 입력하여 다음 단계의 훈련 가이드를 포함하는 채팅 메시지(322)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 may transmit the chatting message 321' to the server 20, and the server 20 inputs the chatting message 321'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cluding a training guide for the next step. A chat message 322 may be generated.

그 결과,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채팅 메시지(322)가 제공될 수 있다.As a result, referring to FIG. 3B , a chatting message 322 may be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

한편, 단계 별 훈련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질문 또는 보충 설명에 대한 요청인 경우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user's response to the step-by-step training guide is a request for a question or supplementary explanation.

예를 들어, 채팅 메시지(322)에 포함된 훈련 가이드에 대한 질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응답(ex. 기다려 교육이 무엇인가요?)이 수신된 경우, 챗봇 시스템(100)은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s response to a question about the training guide included in the chat message 322 is received (eg, what is waiting training?), the chatbot system 100 provides an answer to the question. can be created and provided.

또는, 채팅 메시지(322)에 포함된 훈련 가이드에 대한 보충 설명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응답(ex. 기다려 교육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는지 알려주세요)이 수신된 경우, 챗봇 시스템(100)은 보충 설명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시범 영상(ex. 유사 견종의 기다려 훈련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when a response from the user requesting supplementary explanation for the training guide included in the chat message 322 (eg, wait and tell me how to train in detail) is received, the chatbot system 100 includes the supplementary explanation information, or at least one pre-stored demonstration image (eg, a waiting training image of a similar breed) may be provided.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챗봇 시스템(100)은 반려동물의 특정한 하나의 행동에 대하여 복수의 훈육 지침을 획득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hatbot system 100 may acquire a plurality of discipline instructions for one specific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이때, 챗봇 시스템(100)은 반려동물의 종, 나이 또는 성별이 통일된 상태에서 동일한 행동에 대하여 복수의 훈육 지침을 획득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hatbot system 100 may acquire a plurality of discipline guidelines for the same behavior in a state where the species, age, or gender of the companion animal are unified.

그리고, 챗봇 시스템(100)은 복수의 훈육 지침 각각을 통해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을 각각 훈련시킬 수 있다.And, the chatbot system 100 may train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through each of a plurality of discipline guidelines, respectively.

즉, 동일한 행동의 교정을 위해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이 독립적으로 훈련되어 준비될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may be independently trained and prepared for the correction of the same behavior.

이 경우, 챗봇 시스템(100)은 반려동물의 해당 행동에 대한 교정을 요청하는 사용자들 각각에게,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에 기반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atbot system 100 may provide a guide based on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rbitrarily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to each of the users who request correction of the corresponding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여기서, 챗봇 시스템(100)은 각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제공된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사용자들의 평가에 기초하여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 각각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Here, the chatbot system 100 may receive the user's evaluation of the guide provided through each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may calculate a sco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based on the input user's evaluation.

본 스코어는,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 각각을 훈련시키는 데에 이용된 복수의 훈육 지침 각각에 대한 스코어로 이해될 수도 있다.This score may be understood as a score for each of a plurality of discipline guidelines used to train each of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본 실시 예를 통해, 챗봇 시스템(100)은 특정한 행동에 대하여 어떤 훈육 지침이 가장 효과적인가에 대한 평가 정보 내지는 순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rough this embodiment, the chatbot system 100 may generate evaluation information or ranking information about which discipline guideline is most effective for a specific action.

구체적으로, 챗봇 시스템(100)이 이용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어떠한 훈육 지침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가 만들어 질 수 있다.Specifically, when provided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used by the chatbot system 100, one indicator indicating which discipline guideline is most effective can be made.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챗봇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chatbot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메모리(11) 및 프로세서(1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a memory 11 and a processor 12 .

메모리(11)는 사용자 단말(1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사용자 단말(1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memory 11 is a configuration for storing an operating system (O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user terminal 10 and at least one instruction or data related to the components of the user terminal 10 . .

메모리(11)는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등으로 구성된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는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memory 11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ROM and a flash memory, and may include a volatile memory such as a DRAM. Also, the memory 11 may include a hard disk, a solid state drive (SSD), or the like.

프로세서(12)는 사용자 단말(12)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는 메모리(11)와 연결되는 한편 메모리(1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 i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12 as a whole. Specifically, the processor 12 may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executing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11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memory 11 .

프로세서(12)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Processor 12 may be comprised of one or more processors. In this case,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include a general-purpose processor such as a CPU, an AP,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or the like, a graphics-only processor such as a GPU, a VPU (Vision Processing Unit), or the like,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only processor such as an NPU.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부(13), 디스플레이(14), 사용자 입력부(15), 오디오 출력부(1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user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unit 13 , a display 14 , a user input unit 15 , and an audio output unit 16 .

통신부(13)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ex. 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3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eg, the server 20 ).

통신부(13)는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구현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3)는 외부 장치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ex.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based on a network implemented through wired communication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13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one or more external servers (eg, Internet Service Providers (ISPs)) that provide a network.

네트워크는 영역 또는 규모에 따라 개인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개방성에 따라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또는 인터넷(Internet) 등일 수 있다.The network may be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etc. depending on the area or size, and depending on the openness of the network, an intranet, It may be an extranet or the Internet.

무선 통신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long-term evolution (LTE), LTE Advance (LTE-A), 5th generation (5G) mobile communicat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WiBro (Wireless Broadband),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Zigbee may include

유선 통신은 이더넷(Ethernet),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선더볼트(ThunderBolt)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50)는 상술한 유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또는 네트워크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방식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Wired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Ethernet, optical network, USB (Universal Serial Bus), and ThunderBolt.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 network interface or a network chip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eanwhile, 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ethod newly appearin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디스플레이(14)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display 14 is a configuration for visuall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사용자 단말(10)은 디스플레이(14)를 통해 상술한 챗봇 시스템(100)의 챗봇 서비스를 구성하는 다양한 웹 페이지 내지는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visually provide at least a portion of various web pages or applications constituting the chatbot service of the above-described chatbot system 100 through the display 14 .

디스플레이(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Micro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밖에 종래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14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transparent OLED (TOLED), a micro LED,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include various known types of displays.

디스플레이(14)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capable of sensing a user's touch manipulation, or may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display that can be folded or bent.

사용자 입력부(15)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 내지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사용자 입력부(15)는 하나 이상의 버튼, 터치스크린, 마이크, 키패드, 카메라 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5 is configured to receive various user inputs or user commands. The user input unit 15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such as one or more buttons, a touch screen, a microphone, a keypad, and a camera.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입력부(15)를 통해 교정의 대상인 반려동물의 행동을 입력 받고, 사용자의 대화 내용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receive the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to be corr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5 and may also receive the user's conversation content.

오디오 출력부(16)는 다양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피커, 이어폰/헤드폰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6 is configured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urally, and may include a speaker, an earphone/headphone terminal, and the like.

사용자 단말(10)은 오디오 출력부(16)를 통해 챗봇의 대화 내용(가이드)에 해당하는 챗봇의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output the chatbot voice corresponding to the chatbot conversation content (guide)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6 .

도 4를 참조하면, 서버(20)는 메모리(21), 프로세서(22)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2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erver 20 includes a memory 21 and a processor 22 . In addition, the server 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3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

메모리(21)는 OS,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외에 상술한 다양한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1 may include the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OS and at least one instruc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는 메모리(21)에 저장된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121, 122, 123, …)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행동에 대응되는 인공지능 모델만을 로드하여 가이드에 해당하는 대화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2 loads onl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action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121 , 122 , 123 , ... stored in the memory 21 to correspond to the guide. You can create conversation content.

서버(20)는 통신부(23)를 통해, 챗봇 시스템(100)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20 may provide at least a portion of a web page or applic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of the chatbot system 100 to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 .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itself. 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챗봇 시스템(1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챗봇 시스템(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술한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uter instructions or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operation in the chatbot system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is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an be stored in When the computer instructions or computer program stored in such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specific device, the specific device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in the chatbo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Th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a cache, a memor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Specific examples of th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belong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100: 챗봇 시스템100: chatbot system

Claims (1)

챗봇 시스템의 반려동물 훈육 가이드 방법에 있어서,
반려동물의 복수의 행동 중 적어도 하나의 행동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반려동물의 훈육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훈련된 제1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 중, 상기 선택된 행동에 대한 훈육 지침을 기반으로 훈련된 인공지능 모델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행동을 수행하는 반려동물의 훈육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인공지능 모델의 출력을 기반으로 제1 단계의 훈육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제1 단계의 훈육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의 경과 보고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경과 보고가 입력된 상기 식별된 인공지능 모델의 출력을 기반으로 제2 단계의 훈육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제1 단계의 훈육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의 질문이 수신된 경우, 상기 질문이 입력된 상기 식별된 인공지능 모델의 출력을 기반으로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제1 단계의 훈육 가이드에 대하여 보충 설명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단계의 훈육 가이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시범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챗봇 시스템의 반려동물 훈육 가이드 방법은,
반려동물의 특정한 행동을 교정하기 위한 서로 다른 복수의 훈육 지침 각각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모델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훈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공지능 모델들 각각을 통해 제공된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훈육 지침 각각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챗봇 시스템의 반려동물 훈육 가이드 방법은,
반려동물의 행동 별로 훈육 지침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훈육 지침을 기반으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 각각을 행동 별 훈육 지침에 따라 훈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행동에 대응되는 인공지능 모델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행동에 대하여 등록된 인공지능 모델이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반려동물의 종, 나이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인공지능 모델 중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을 선택하는, 챗봇 시스템의 반려동물 훈육 가이드 방법.
In the companion animal discipline guide method of the chatbot system,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behavior from among a plurality of behaviors of the companion animal;
Identify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based on the discipline guidelines for the selected behavior from among a plurality of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trained to provide a guide for the discipline of companion animals; and
Based on the identifi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providing a guide for the discipline of the companion animal performing the selected action; includ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guide includes:
Based on the output of the identifi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provide a discipline guide of the first step,
When the user's progress report is received for the provided first-stage discipline guide, based on the output of the identifi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which the progress report is input, the second-stage discipline guide is provided,
When a user's question for the provided first-step discipline guide is received, an answer to the question is provided based on the output of the identifi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which the question is input,
When a user input requesting a supplementary explanation is received with respect to the provided first-stage discipline guide, providing at least one demonstration image related to the first-stage discipline guide,
The companion animal discipline guide method of the chatbot system is,
Independently training each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based on each of a plurality of different discipline guidelines for correcting a specific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and
Based on the evaluation of users for the guide provided through each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calculating a sco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ipline guidelines; includes,
The companion animal discipline guide method of the chatbot system is,
acquiring discipline guidelines for each behavior of companion animals; and
To provide a guide based on the discipline guidelines, training each of the first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according to the discipline guidelines for each behavio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dentify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ehavior comprise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registered for the selected behavior, a chatbot that selects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species, age, and sex of a companion animal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How the system guides the discipline of companion animals.
KR1020210059277A 2020-11-20 2021-05-07 Chat-bot system utilizing multipl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for each behaviors of companion animals KR1023620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277A KR102362058B1 (en) 2020-11-20 2021-05-07 Chat-bot system utilizing multipl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for each behaviors of companion anim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831A KR102252267B1 (en) 2020-11-20 2020-11-20 Chat-bot system for guiding discipline of companion animal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0210059277A KR102362058B1 (en) 2020-11-20 2021-05-07 Chat-bot system utilizing multipl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for each behaviors of companion animal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831A Division KR102252267B1 (en) 2020-11-20 2020-11-20 Chat-bot system for guiding discipline of companion animal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058B1 true KR102362058B1 (en) 2022-02-14

Family

ID=759156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831A KR102252267B1 (en) 2020-11-20 2020-11-20 Chat-bot system for guiding discipline of companion animal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0210059277A KR102362058B1 (en) 2020-11-20 2021-05-07 Chat-bot system utilizing multipl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for each behaviors of companion animal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831A KR102252267B1 (en) 2020-11-20 2020-11-20 Chat-bot system for guiding discipline of companion animal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22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266B1 (en) * 2021-09-07 2024-03-07 (주)워키도기 Pet trai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453A (en) * 2017-02-24 2018-09-04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Method for providing chatbot by subjects and system using therof
KR20190074356A (en) * 2017-12-20 2019-06-28 이기라 One-stop service method for insurance product design and subscription using online messenger chatter robot, and system for the same
KR20190127134A (en) * 2018-05-03 2019-11-13 (주)복스유니버스 Consultation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ext
KR102048620B1 (en) 2018-01-10 2019-11-25 김재민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pet training
KR20200071885A (en) * 2018-12-06 2020-06-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Detailed Food Order System Using Chatbot
KR102142585B1 (en) * 2020-03-05 2020-08-07 박영훈 Method and apparatus for pet medical consult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453A (en) * 2017-02-24 2018-09-04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Method for providing chatbot by subjects and system using therof
KR20190074356A (en) * 2017-12-20 2019-06-28 이기라 One-stop service method for insurance product design and subscription using online messenger chatter robot, and system for the same
KR102048620B1 (en) 2018-01-10 2019-11-25 김재민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pet training
KR20190127134A (en) * 2018-05-03 2019-11-13 (주)복스유니버스 Consultation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ext
KR20200071885A (en) * 2018-12-06 2020-06-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Detailed Food Order System Using Chatbot
KR102142585B1 (en) * 2020-03-05 2020-08-07 박영훈 Method and apparatus for pet medical consul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267B1 (en)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verall Manual of Clinical Behavioral Medicine for Dogs and Cats-E-Book: Manual of Clinical Behavioral Medicine for Dogs and Cats-E-Book
Fine Incorporating animal-assisted therapy into psychotherapy: Guidelines and suggestions for therapists
Funpuddle Publishing Associates Therapy dogs today: Their gifts, our obligation
Sable Attachment, ethology and adult psychotherapy
Van Bourg et al. Pet dogs (Canis lupus familiaris) release their trapped and distressed owners: Individual variation and evidence of emotional contagion
Hargrave COVID-19: Implications of self-isolation and social distancing for the emotional and behavioural health of dogs
Ujfalussy et al. Differences in greeting behaviour towards humans with varying levels of familiarity in hand-reared wolves (Canis lupus)
KR102362058B1 (en) Chat-bot system utilizing multipl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for each behaviors of companion animals
Cohen Loss of a therapy animal: Assessment and healing
McConnell et al. Understanding the other end of the leash: What therapists need to understand about their co-therapists
Barrera et al. Still-face effect in dogs (Canis familiaris). A pilot study
Cole Literature review and manual: Animal-assisted therapy
Fredrickson-MacNamara et al. The art of animal selection for animal-assisted activity and therapy programs
Arnold Love is all you need: The revolutionary bond-based approach to educating your dog
Howie Assessing handlers for competence in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O’Callaghan et al. Application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in counseling settings: An overview of alternatives
Boggs et al. Animal-assisted approaches to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Westgarth The Happy Dog Owner: Finding Health and Happiness with the Help of Your Dog
Winston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and Psychotherapy
Costa et al. The Good, the Bad, the Helpful: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Australian Puppy-Raising Experience Through Longitudinal Surveys
Pooley Socialising a puppy during the pandemic
Jalongo et al. Future Directions in Canine-Assisted Activities, Education, and Therapy
Atkinson What is the Clinician's Experience of Animal-assisted Psychotherapy?
Friedman He said, she said, science says
Piore You Believe Your Cat Loves You. Now Science Has Proof. Researchers are beginning to answer the kinds of questions that have long nagged at cat owners--overturning some long-held misconceptions in the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