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341B1 - 캡슐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음료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캡슐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음료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341B1
KR102360341B1 KR1020210071382A KR20210071382A KR102360341B1 KR 102360341 B1 KR102360341 B1 KR 102360341B1 KR 1020210071382 A KR1020210071382 A KR 1020210071382A KR 20210071382 A KR20210071382 A KR 20210071382A KR 102360341 B1 KR102360341 B1 KR 102360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adapter
extraction device
body member
beverage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섭
Original Assignee
(주)메디프레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프레소 filed Critical (주)메디프레소
Priority to KR102021007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341B1/ko
Priority to PCT/KR2021/015298 priority patent/WO202223108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이 포함된 캡슐이 고정되고,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탈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캡슐의 상면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링 부재와, 상기 링 부재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캡슐의 외측면에 맞닿게 마련되는 바디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슐의 하면이 맞닿게 마련되고 상기 캡슐이 배치되게 마련되는 공간과 외측을 연통시키도록 일부 개구된 바닥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부 및 일면에는 상기 홀더부가 결합되고,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은 상기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슐 음료 추출 장치의 외면의 일부를 이루게 마련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부재의 측면은, 상기 캡슐이 상기 공간으로 통과되도록 일부 개구된다.

Description

캡슐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음료 추출 장치 {ADAPTER FOR CAPSULE AND CAPSULE-TYP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캡슐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 또는 에스프레소를 얻기 위한 캡슐형 음료 추출 장치는 분말 차나 분말 커피 등이 내장된 캡슐을 추출부의 홀더에 장착한 후 상기 홀더에 안착된 캡슐을 펀칭부로 펀칭하여 천공한 후 내장된 온수 보일러를 이용하여 안착된 캡슐에 고온 또는 고압의 온수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음료를 추출한다.
이와 같은 캡슐형 음료 추출 장치는 편리하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회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캡슐형 음료 추출 장치 또는 캡슐과 관련된 산업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되고 있다.
종래의 캡슐형 음료 추출 장치가 갖는 문제 중 하나는 여러 회사에서 여러 종류의 캡슐형 음료를 출시함에 따라 하나의 캡슐형 음료 추출 장치로 서로 다른 외형을 갖는 여러 종류의 캡슐형 음료를 추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소비자들이 구매한 캡슐형 음료 추출 장치와 호환되는 캡슐들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분말이 포함된 캡슐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와 이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캡슐 음료 추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는, 분말이 포함된 캡슐이 고정되고,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탈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캡슐의 상면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링 부재와, 상기 링 부재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캡슐의 외측면에 맞닿게 마련되는 바디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슐의 하면이 맞닿게 마련되고 상기 캡슐이 배치되게 마련되는 공간과 외측을 연통시키도록 일부 개구된 바닥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부 및 일면에는 상기 홀더부가 결합되고,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은 상기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슐 음료 추출 장치의 외면의 일부를 이루게 마련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부재의 측면은, 상기 캡슐이 상기 공간으로 통과되도록 일부 개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상기 홀더부는, 상기 캡슐의 하면의 일부가 맞닿게 마련되는 제1 바닥 부재 및 상기 제1 바닥 부재의 내측면로부터 만입되고, 상기 캡슐의 하면의 다른 일부가 맞닿게 마련되되, 상기 캡슐이 배치되게 마련되는 공간과 외측을 연통시키도록 일부 개구된 제2 바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디부의 상기 타면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붙잡게 마련되는 손잡이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는, 분말이 포함된 캡슐과 상기 캡슐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고, 제1 면에는 상기 캡슐이 삽탈되게 마련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제2 면에는 상기 캡슐용 어댑터가 삽탈되게 마련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캡슐이 배치되게 마련되고, 상기 캡슐에 열수를 공급하게 마련되는 추출부 및 상기 제2 개구를 통하여 상기 추출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를통해 삽입되는 상기 캡슐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캡슐이 상기 추출부에 배치된 상기 캡슐용 어댑터에 고정되도록, 상기 캡슐의 통과를 허용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들 중 상면이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들 중 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캡슐용 어댑터는, 상기 캡슐의 상면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링 부재와, 상기 링 부재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캡슐이 측면을 통해 삽탈되도록 일부 개구된 바디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슐의 하면이 맞닿게 마련되고 상기 캡슐이 배치되게 마련되는 공간과 외측을 연통시키도록 일부 개구된 바닥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부 및 일면에는 상기 홀더부가 결합되고,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은 상기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슐 음료 추출 장치의 외면의 일부를 이루게 마련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부재의 측면은, 상기 캡슐이 상기 공간으로 통과되도록 일부 개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는, 분말이 포함된 제1 캡슐 및 상기 제1 캡슐과 다른 외형을 갖는 제2 캡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정되고,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배치된 상태로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상기 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되되, 상기 축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1 캡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캡슐의 하면을 향하는 방향이 나란하도록 상기 제1 캡슐을 고정하게 마련되는 제1 바디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홀더부, 상기 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더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축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2 캡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캡슐의 하면을 향하는 방향이 나란하도록 제2 캡슐을 고정하게 마련되는 제2 바디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바디 부재의 측면은, 상기 연장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캡슐이 상기 제1 홀더부로부터 삽탈되도록 일부 개구되고, 상기 제2 바디 부재의 측면은, 상기 연장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캡슐이 상기 제2 홀더부로부터 삽탈되도록 일부 개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는, 분말이 포함된 제1 캡슐 및 상기 제1 캡슐과 다른 외형을 갖는 제2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고, 제1 면에는 상기 캡슐이 삽탈되게 마련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캡슐이 배치되게 마련되고, 상기 캡슐에 열수를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부에 결합되어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캡슐 및 상기 제2 캡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정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용 어댑터는, 상기 축에 결합되되, 상기 축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1 캡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캡슐의 하면을 향하는 방향이 나란하도록 상기 제1 캡슐을 고정하게 마련되는 제1 바디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홀더부, 상기 축에 결합되고, 상기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더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축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2 캡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캡슐의 하면을 향하는 방향이 나란하도록 제2 캡슐을 고정하게 마련되는 제2 바디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캡슐용 어댑터는, 상기 축과 상기 제1 홀더부와 상기 제2 홀더부에 결합되고, 상기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캡슐용 어댑터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캡슐용 어댑터를 회전시키게 마련되는 다이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캡슐형 음료 추출 장치에 삽탈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를 기호에 따라 교체함으로써 다른 외형을 갖는 캡슐이 캡슐형 음료 추출 장치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캡슐용 어댑터에 캡슐이 삽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캡슐용 어댑터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탈되는 상태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캡슐 음료 추출 장치를 A-A'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캡슐용 어댑터의 구조
본 발명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는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외형을 갖는 캡슐이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캡슐용 어댑터에 캡슐이 삽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1)는 홀더부(110)와 바디부(120)를 포함한다.
홀더부(110)는 링 부재(111)와, 바디 부재(112)와, 바닥 부재(113)를 포함한다. 링 부재(111)에는 캡슐의 상면이 고정될 수 있다.
바디 부재(112)는 링 부재(111)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바디 부재(112)의 내측면은 캡슐의 외측면에 맞닿을 수 있다. 바디 부재(112)의 내측면은 캡슐이 배치되는 공간(114)의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용 어댑터(1)와 공간(114)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바디 부재(112)의 측면은 일부 개구(112a, 외주부 개구) 될 수 있다.
바닥 부재(113)는 바디 부재(112)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닥 부재(113)의 내측면은 바디 부재(112)의 내측면과 함께 공간(114)을 정의할 수 있다. 바닥 부재(113)의 내측면에는 캡슐의 하면이 맞닿을 수 있다. 캡슐의 배치되는 공간(114)과 캡슐용 어댑터(1)의 외측의 서로 연통되도록 바닥 부재(113)는 일부 개구될 수 있다.
바닥 부재(113)에 형성된 개구와 링 부재(111)를 통하여 음료 추출물과 열수를 포함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바디 부재(112)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캡슐용 어댑터(1)에 캡슐이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20)의 일면(121)에는 홀더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일면(121)에 반대되는 바디부(120)의 타면(122)은, 캡슐용 어댑터(1)가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캡슐 음료 추출 장치의 외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1)는 호환되는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입됨으로써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입되는 캡슐의 종류가 변경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사용되는 기존의 캡슐이 아닌 다른 외형을 갖는 다른 종류의 캡슐을 이용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간단히 바꾸고자 하는 캡슐에 대응되는 캡슐용 어댑터(1)를 기 장착된 캡슐용 어댑터(1)와 교환함으로써 원하는 캡슐을 이용할 수 있다. 결국, 캡슐의 외형에 의해 사용이 제한되지 않는 캡슐 음료 추출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홀더부(110)는 제1 바닥 부재(1131)와 제2 바닥 부재(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닥 부재(1131)는 캡슐의 하면의 일부가 맞닿을 수 있다. 제2 바닥 부재(1132)는 제1 바닥 부재(1131)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만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닥 부재(1132)의 내측면은 캡슐 하면의 다른 일부가 맞닿을 수 잇다. 캡슐이 배치되는 공간(114)과 캡슐용 어댑터(1)의 외측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제2 바닥 부재(1132)는 일부 개구될 수 있다.
제2 바닥 부재(1132)가 배치됨으로써 홀더부(110)는 제1 바닥 부재(1131)의 내측면 및 제2 바닥 부재(1132)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외형을 갖는 캡슐을 고정할 수 있다.
바디부(120)의 타면(122)에는 손잡이 부재(123)가 결합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 2에는 손잡이 부재(123)가 링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손잡이 부재(123)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는 캡슐용 어댑터(1)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캡슐 음료 추출 장치의 구조
도 3은 도 1의 캡슐용 어댑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탈되는 상태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를 설명한다. 실시예 1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3)는, 분말이 포함된 캡슐과 상기 캡슐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1)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3)는 하우징(310), 펌프(미도시), 보일러(미도시), 추출부(320) 및 캡슐용 어댑터(1)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캡슐 음료 추출 장치(3)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제1 면(311)에는 캡슐이 삽탈되게 마련되는 제1 개구(313)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제2 면(312)에는 캡슐용 어댑터(1)가 삽탈되게 마련되는 제2 개구(314)가 형성될 수 있다.
펌프는 보일러에 상온수를 공급 할 수 있다. 보일러는 공급받은 상온수를 가열하여 추출부(320)에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펌프와 보일러는 각각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추출부(320)는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추출부(320)에는 후술하는 캡슐용 어댑터(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313)를 통해 하우징(31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캡슐이 후술하는 캡슐용 어댑터(1)에 고정됨으로써 추출부(320)에 캡슐이 배치될 수 있다. 추출부(320)는 보일러로부터 공급받은 열수가 캡슐의 내부에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캡슐용 어댑터(1)는 제2 개구(314)를 통해 하우징(310)에 삽입됨으로써 추출부(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313)를 통해 삽입되는 캡슐이 추출부(320)에 배치된 캡슐용 어댑터(1)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개구(314)를 통해 다른 종류의 캡슐용 어댑터(1)를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외형을 갖는 캡슐을 음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외형을 갖는 캡슐을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캡슐용 어댑터(1)를 기 배치된 캡슐용 어댑터(1)와 교환함으로써, 다른 외형을 갖는 캡슐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과 캡슐용 어댑터(1)는 각각 제1 개구(313)와 제2 개구(314)를 통해 별도로 삽탈되게 구비됨으로써 캡슐 음료 추출 장치(3)의 내구성 및 관리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면(311)은 하우징(310)의 외면들 중 상면이고, 제2 면(312)은 하우징(310)의 외면들 중 측면일 수 있다. 즉, 측면을 통해 캡슐용 어댑터(1)가 하우징(310)에 삽입되어 추출부(320)에 배치될 수 있고, 상면을 통해 캡슐이 하우징(310)의 제1 개구(313)에 삽입되어 캡슐용 어댑터(1)에 배치될 수 있다.
상면에 제1 개구(313)가 형성되고 측면에 제2 개구(314)가 형성됨으로서 공간적 효율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캡슐이 바디 부재(3312)의 내측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캡슐용 어댑터(1)의 바디 부재(3312)의 측면은 일부 개구될 수 있다. 캡슐용 어댑터(1)가 하우징(310)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바디 부재(3312)에 형성된 개구는 하우징(310)에 형성된 제1 개구(313)와 대응되거나 제1 개구(313)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 부재(3312)의 개구가 제1 개구(313)와 대응되거나 제1 개구(313)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 개구(313)를 통해 삽입되는 캡슐이 용이하게 캡슐용 어댑터(1)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2
캡슐용 어댑터의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를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는 캡슐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홀더부의 개수와 배치 구조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와 차이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2)는 분말이 포함된 제1 캡슐 및 제1 캡슐과 다른 외형을 갖는 제2 캡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정되고,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배치된 상태로 소정의 축(230)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캡슐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2)는 축(230)과, 제1 홀더부(240)와 제2 홀더부(250)를 포함한다. 제1 홀더부(240)와 제2 홀더부(250)는 각각 제1 바디 부재(241)와 제2 바디 부재(251)를 포함할 수 있다.
축(230)은 소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축(230)을 기준으로 캡슐용 어댑터(2)는 회전을 하게 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캡슐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제1 홀더부(240)는 축(2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제1 캡슐이 제1 홀더부(240)에 배치된 상태에서 축(230)의 연장 방향과 제1 캡슐의 상면으로부 하면을 향하는 방향이 서로 나란하도록, 제1 바디 부재(2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부(250) 또한 축(2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제2 홀더부(250)는 축(230)을 기준으로 제1 홀더부(240)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더부(250)는 제2 캡슐이 제2 홀더부(250)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축(230)의 연장 방향과 제2 캡슐의 상면으로부 하면을 향하는 방향이 서로 나란하도록, 제2 바디 부재(25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2)는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장착된 상태로 소정의 축(23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캡슐용 어댑터(2)가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캡슐이 배치되는 제1 홀더부(240) 또는 제2 홀더부(250) 중 어느 하나에 열수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캡슐이 고정되는 캡슐용 어댑터(2)를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제1 바디 부재(241)의 측면은, 축(230)의 연장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부 개구(241a, 외주부 개구)될 수 있고, 제2 바디 부재(251)의 측면 또한 축(230)의 연장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부 개구(251a, 외주부 개구) 될 수 있다. 제1 바디 부재(241)와 제2 바디 부재(251)의 각각의 일부 개구된 부분으로 제1 캡슐 및 제2 캡슐이 선택적으로 삽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2)는 제3 바디 부재(261)를 포함하는 제3 홀더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바디 부재(261)의 측면 또한 축(230)의 연장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부 개구(261a, 외주부 개구)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부(240, 250, 260)가 2개 내지 3개로 구비되어 있으나, 필요시 그 이상의 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캡슐 음료 추출 장치의 구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에선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를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는 추출부에 캡슐용 어댑터가 배치되는 구조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와 차이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캡슐 음료 추출 장치(4)는 분말이 포함된 제1 캡슐 및 분말이 포함되고 제1 캡슐과 다른 외형을 갖는 제2 캡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정되는 실시예 2에 따른 캡슐용 어댑터(2)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한다. 캡슐 음료 추출 장치(4)는 하우징(410), 펌프, 보일러, 추출부(420) 및 캡슐용 어댑터(2)를 포함한다.
캡슐용 어댑터(2)의 축은 추출부(420)에 결합될 수 있다. 캡슐용 어댑터(2)의 축이 추출부(420)에 배치되는 방향과 추출부(420) 내부에서 열수 등을 포함하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은 서로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캡슐용 어댑터(2)의 축과 열수 등을 포함하는 유체가 하르는 추출부(420)의 내부는 서로 오프셋되어 있을 수 있다.
캡슐용 어댑터(2)의 축에는 제1 홀더부(440) 및 제2 홀더부(45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홀더부(440)와 제2 홀더부(450)는 실시예 2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제1 홀더부(440)와 제2 홀더부(450)가 결합된 캡슐용 어댑터(2)가 캡슐 음료 추출 장치(4)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축을 회전시킴에 따라 원하는 홀더부를 추출부(420)에 배치시킬 수 있다. 원하는 홀더부를 추출부(420)에 배치시킨 후, 사용자는 제1 개구를 통해 추출부(420)에 배치된 홀더부에 캡슐을 배치시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의 캡슐 음료 추출에 대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캡슐용 어댑터(2)는 다이얼부(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부는 축과 제1 홀더부(440)와 제2 홀더부(45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이얼부(433)는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캡슐용 어댑터(2)가 하우징(4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이얼부(433)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4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이얼부(433)를 이용하여 캡슐용 어댑터(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홀더부(440) 또는 제2 홀더부(450) 중 어느 하나를 추출부(420)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 캡슐용 어댑터
110: 홀더부
111: 링 부재
112: 바디 부재
113: 바닥 부재
1131: 제1 바닥 부재
1132: 제2 바닥 부재
114: 공간
120, 320: 바디부
121: 일면
122: 타면
123: 손잡이 부재
230: 축
240, 2431: 제1 홀더부
241: 제1 바디 부재
250: 제2 홀더부
251: 제2 바디 부재
3, 4: 캡슐 음료 추출 장치
310, 410: 하우징
311, 411: 제1 면
312: 제2 면
313, 413: 제1 개구
314: 제2 개구
420: 추출부
431: 홀더부
3311: 링 부재
3312: 바디 부재
3313: 바닥 부재
332: 바디부
433: 다이얼부

Claims (10)

  1. 분말이 포함된 캡슐이 고정되고, 상기 캡슐이 삽탈되도록 형성된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상기 제1 개구를 삽입된 상기 캡슐을 고정하며 상기 제2 개구로 삽탈되는 캡슐용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상면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링 부재와, 상기 링 부재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캡슐의 외측면에 맞닿게 마련되는 바디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슐의 하면이 맞닿게 마련되고 상기 캡슐이 배치되게 마련되는 공간과 외측을 연통시키도록 일부 개구된 바닥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부; 및
    일면에는 상기 홀더부가 결합되고,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은 상기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슐 음료 추출 장치의 외면의 일부를 이루게 마련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부재의 측면은,
    상기 캡슐이 상기 공간으로 통과되도록 일부 개구된, 캡슐용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캡슐의 하면의 일부가 맞닿게 마련되는 제1 바닥 부재; 및
    상기 제1 바닥 부재의 내측면로부터 만입되고, 상기 캡슐의 하면의 다른 일부가 맞닿게 마련되되, 상기 캡슐이 배치되게 마련되는 공간과 외측을 연통시키도록 일부 개구된 제2 바닥 부재를 더 포함하는, 캡슐용 어댑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기 타면에는 손잡이 부재가 결합되는, 캡슐용 어댑터.
  4. 분말이 포함된 캡슐과 상기 캡슐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고, 제1 면에는 상기 캡슐이 삽탈되게 마련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제2 면에는 상기 캡슐용 어댑터가 삽탈되게 마련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캡슐이 배치되게 마련되고, 상기 캡슐에 열수를 공급하게 마련되는 추출부; 및
    상기 제2 개구를 통하여 상기 추출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캡슐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캡슐이 상기 추출부에 배치된 상기 캡슐용 어댑터에 고정되도록, 상기 캡슐의 통과를 허용하게 마련되는, 캡슐 음료 추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들 중 상면이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들 중 측면인, 캡슐 음료 추출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용 어댑터는,
    상기 캡슐의 상면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링 부재와, 상기 링 부재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캡슐이 측면을 통해 삽탈되도록 일부 개구된 바디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슐의 하면이 맞닿게 마련되고 상기 캡슐이 배치되게 마련되는 공간과 외측을 연통시키도록 일부 개구된 바닥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부; 및
    일면에는 상기 홀더부가 결합되고,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은 상기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슐 음료 추출 장치의 외면의 일부를 이루게 마련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부재의 측면은,
    상기 캡슐이 상기 공간으로 통과되도록 일부 개구된, 캡슐 음료 추출 장치.
  7. 분말이 포함된 제1 캡슐 및 상기 제1 캡슐과 다른 외형을 갖는 제2 캡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정되고,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배치된 상태로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에 있어서,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상기 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되되, 상기 축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1 캡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캡슐의 하면을 향하는 방향이 나란하도록 상기 제1 캡슐을 고정하게 마련되는 제1 바디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홀더부;
    상기 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더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축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2 캡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캡슐의 하면을 향하는 방향이 나란하도록 제2 캡슐을 고정하게 마련되는 제2 바디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홀더부;를 포함하는, 캡슐용 어댑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부재의 측면은,
    상기 연장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캡슐이 상기 제1 홀더부로부터 삽탈되도록 일부 개구되고,
    상기 제2 바디 부재의 측면은,
    상기 연장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캡슐이 상기 제2 홀더부로부터 삽탈되도록 일부 개구되는, 캡슐용 어댑터.
  9. 분말이 포함된 제1 캡슐 및 상기 제1 캡슐과 다른 외형을 갖는 제2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캡슐 음료 추출 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고, 제1 면에는 상기 캡슐이 삽탈되게 마련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캡슐이 배치되게 마련되고, 상기 캡슐에 열수를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부에 결합되어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캡슐 및 상기 제2 캡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정되게 마련되는 캡슐용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용 어댑터는,
    상기 축에 결합되되, 상기 축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1 캡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캡슐의 하면을 향하는 방향이 나란하도록 상기 제1 캡슐을 고정하게 마련되는 제1 바디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홀더부;
    상기 축에 결합되고, 상기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더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축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2 캡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캡슐의 하면을 향하는 방향이 나란하도록 제2 캡슐을 고정하게 마련되는 제2 바디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홀더부;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용 어댑터는,
    상기 축과 상기 제1 홀더부와 상기 제2 홀더부에 결합되고, 상기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캡슐용 어댑터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캡슐용 어댑터를 회전시키게 마련되는 다이얼부를 더 포함하는, 캡슐 음료 추출 장치.
KR1020210071382A 2021-04-30 2021-06-02 캡슐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음료 추출 장치 KR102360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382A KR102360341B1 (ko) 2021-06-02 2021-06-02 캡슐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음료 추출 장치
PCT/KR2021/015298 WO2022231081A1 (ko) 2021-04-30 2021-10-28 캡슐형 음료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382A KR102360341B1 (ko) 2021-06-02 2021-06-02 캡슐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음료 추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341B1 true KR102360341B1 (ko) 2022-02-09

Family

ID=8026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382A KR102360341B1 (ko) 2021-04-30 2021-06-02 캡슐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음료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039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2145A (ja) * 2007-10-04 2012-11-29 Nestec Sa 飲料浸出ユニット
KR101572956B1 (ko) * 2013-08-07 2015-11-30 컨벡스코리아(주)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2145A (ja) * 2007-10-04 2012-11-29 Nestec Sa 飲料浸出ユニット
KR101572956B1 (ko) * 2013-08-07 2015-11-30 컨벡스코리아(주)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039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341B1 (ko) 캡슐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음료 추출 장치
FR2842092B1 (fr) Machine a cafe fonctionnant avec des doses
WO2006117321A3 (en) Filter holder particularly for espresso coffee machines
KR101572956B1 (ko)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MX2007015712A (es) Sistema portafiltro.
JP2015002982A (ja) 飲料抽出器
US20170071397A1 (en) Multi-purpose coffee maker pod holder
EP2907425A1 (en) Machine for making an infused drink and infusion group
JP5994372B2 (ja) 調理装置
KR20100026476A (ko) 필터 일체형 핸드밀
JP3168423U (ja) 電気ケトル
JP2017055980A (ja) 飲料抽出装置
CN108784339A (zh) 具有折叠把手的电热水壶
ES2263385B1 (es)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 un util de coccion y util de coccion resultante del mismo".
EP3199071B1 (en) System for preparing a liquid beverage from a capsule
KR102601076B1 (ko) 규격 호환 음료 캡슐
JP5940137B1 (ja) 飲料抽出装置
EP3360448B1 (en) Improved manually operated coffee machine
CN204445147U (zh) 防烫杯结构
CN206183024U (zh) 一种多功能料理机
CN216364727U (zh) 烹饪器具及其锅体
CN209450257U (zh) 一种自动出水茶具用的可拆卸下阀芯及其自动出水茶具
CN208926015U (zh) 一种杯盖组件及料理机
CN213551291U (zh) 烹饪器具
CN203576311U (zh) 具有可伸出式底盘组件的液体加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