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097B1 - Automatic tooth set-up method and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o perform the same - Google Patents

Automatic tooth set-up method and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o perform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097B1
KR102360097B1 KR1020190162348A KR20190162348A KR102360097B1 KR 102360097 B1 KR102360097 B1 KR 102360097B1 KR 1020190162348 A KR1020190162348 A KR 1020190162348A KR 20190162348 A KR20190162348 A KR 20190162348A KR 102360097 B1 KR102360097 B1 KR 102360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xillary
incisors
mandibular
occlusal plane
arr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2261A (en
Inventor
최규옥
조상형
김효정
김진웅
김종문
김아름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2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097B1/en
Publication of KR2021007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2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0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5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for multiple drills, for simultaneous dr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obo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배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배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는 상, 하악 무치악 케이스의 경우 해부학적 구조물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치아를 배열함에 따라 사용자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tooth arrangement method and a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performing the same. The method for arranging tee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device for designing a guide for implant surgery performing the same can minimize user work by automatically arranging teeth using anatomical structures in the case of upper and lower edentulous cases.

Description

치아 배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Automatic tooth set-up method and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o perform the same}Dental arrangement method and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performing the same {Automatic tooth set-up method and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o perform the same}

본 발명은 치과영상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치과영상에서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디자인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to a technology for designing a guide for dental implant surgery in a dental image.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을 하는 과정에서 가상 치아 배열은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여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임시 치아를 위한 어버트먼트(Abutment) 선택에도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상용화된 가이드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영상 소프트웨어에서 가상으로 치아를 배열할 때 사용자가 치아가 상실(Missing)된 부위로 가상 치아를 드래그(Drag) 하여 적정 위치에 배열하고, 폭(Width)과 길이(Length), 각도(Angulation) 등을 수정해야 한다. 임플란트 식립치아가 1개인 단일 케이스의 경우에는 수정 또는 배열이 간단하겠지만, 무치악에 가까운 케이스의 경우 각 치아의 비율과 각도를 일일이 수정한다는 것은 불편을 초래하기 마련이다.In the process of designing a guide for dental implant surgery using software, the virtual tooth arrangement determines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fixture and affects not only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surgical plan, but also the selection of an abutment for a temporary tooth. However, when arranging virtual teeth in image software including commercialized guide design software, the user drags the virtual teeth to the missing area and arranges them in the proper position, and then adjusts the width and length ( Length), angle (Angulation), etc. should be corrected. In the case of a single case with one implanted tooth, correction or arrangement is simple, but in the case of a case close to an edentulous jaw, it is inconvenient to manually correct the ratio and angle of each tooth.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시 상, 하악 무치악에 가까운 케이스에서, 가상 치아를 해부학적 구조물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배열하거나 수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아 배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를 제안한다.When designing a guide for implant surgery, a tooth arrangement method for automatically arranging virtual teeth using anatomical structures or minimizing correction in cases close to upper and lower edentulous jaws, and a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suggest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자동 배열 방법은, 하악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악의 절치유두(Incisal Papillary) 및 제1 장주름(1st long rugae)을 이용하여 상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와,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상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와, 상악 전치 배열 이후 또는 상악 구치 배열 이후, 상악 전치의 배열에 맞춰 하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와, 상악 구치 배열 이후 또는 하악 전치 배열 이후, 상악 구치의 배열에 맞춰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automatic tooth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an occlusal plane using a retromolar pad of the mandible, and forming the incisal papillary and the first long rugae of the upper jaw. The steps of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using the occlusal plane, the steps of arranging the maxillary molars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and the steps of arranging the mandibular inciso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incisors after the maxillary incisor arrangement or after the maxillary molar arrangement; and aligning the mandibular molars after the alignment or after the mandibular incisor alignment, to match the alignment of the maxillary molars.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악 구강전정 및 하악 구강전정을 이용하여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는 단계와, 후구치 삼각을 이용하여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는 단계와,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과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연결한 교합평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occlusal plane includes: calculating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using the maxillary oral vestibule and the mandibular oral vestibule; It may include generating an occlusal plane connecting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and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posterior teeth.

상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순면이 절치유두의 중간 라인(Mid Incisal Papillary lin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악궁라인과 평행하고, 절단연이 교합평면에 맞춰지도록 상악 중절치를 배열하는 단계와, 첨두가 제1 장주름(1st long ruga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위치하고,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며, 첨두가 교합평면에 맞춰지도록 상악 견치를 배열하는 단계와,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되 상악 중절치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구개(Palatal) 쪽으로 위치하며, 절단연이 교합평면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위에 위치하도록 상악 측절치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includes the steps of arranging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so that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arch line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mid incisal papillary line, and the incisal edge is aligned with the occlusal plane; is located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1st long rugae, and arranging the maxillary canines so that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maxillary arch line and the apex is aligned with the occlusal plane; It may include the step of arranging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so that they are located toward the palatal at a preset distance than the central incisors, and the incisal edges are positioned at a preset distance above the occlusal plane.

하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하악 전치의 수직적 위치를 상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위에 배열하고, 하악 전치의 수평적 위치를 상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설측에 배열하며, 하악 전치의 절단연은 상악 전치의 절단연과 평행하도록 하악 전치를 배열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rranging the mandibular incisor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incisors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cutting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incisors is arranged on the lingual side at a preset distance from the cutting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the mandibular incisors The incisal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can be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incisal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상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 별로 협측 교두 및 설측 교두가 각각 교합평면과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거나 닿도록 배열하는 단계와, 상악 대구치의 협면을 연결한 선이 소구치의 협면을 연결한 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설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arranging the maxillary molars includes the steps of arranging the buccal cusps and the lingual cusps to be spaced apart or in contact with the occlusal plane by a preset distance, respectively, for each of the first premolars, the second premolars, the first molars and the second molars; It may include arranging so that the line connecting the premolars is inclined to the lingual side by a preset angle with respect to the line connecting the buccal surfaces of the premolars.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하악 구치의 설측 교두가 파운드 라인(Pound's Line)을 넘어서지 않도록 배열하고, 파운드 라인(Pound's Line)과는 평행하지 않되 악궁라인(Arch line)과 평행하도록 하악 구치를 배열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arrange the lingual cusps of the mandibular molars so that they do not cross the Pound's Line, and arrange the mandibular molars so that they are not parallel to the Pound's Line but parallel to the Arch line. can do.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은, 하악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하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와,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와, 하악 전치 배열 이후 또는 하악 구치 배열 이후, 하악 전치의 배열에 맞춰 상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와, 하악 구치 배열 이후 또는 상악 전치 배열 이후, 하악 구치의 배열에 맞춰 상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an occlusal plane using a retromolar pad of the mandible; arranging the mandibular incisors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The steps of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based on the occlusal plane, the steps of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after or after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After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molars or after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incisors, of the mandibular molars and aligning the maxillary molars to the alignment.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악 구강전정 및 하악 구강전정을 이용하여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는 단계와, 후구치 삼각을 이용하여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는 단계와,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과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연결한 교합평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occlusal plane includes: calculating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using the maxillary oral vestibule and the mandibular oral vestibule; It may include generating an occlusal plane connecting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and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posterior teeth.

상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상악 전치의 수직적 위치를 하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아래에 배열하고, 상악 전치의 수평적 위치를 하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순측에 배열하며, 상악 전치의 절단연은 하악 전치의 절단연과 평행하도록 상악 전치를 배열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is arranged below the cutting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is arranged on the labial side of the preset distance from the cutting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The incisal edge of the incisors may be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incisal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 별로 협측 교두 및 설측 교두를 각각 교합평면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하방에 배열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the buccal cusps and the lingual cusps for each of the first premolars, the second premolars, the first molars, and the second molars may be respectively arranged below a preset distance from the occlusal plane.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은 상악 결절 부위 및 후구치 삼각에는 가상 치아를 배열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arranging virtual teeth in an edentulous case may further include not arranging virtual teeth in the maxillary tubercle region and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는, 무치악 케이스에서 하악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설정하고, 상악의 절치유두(Incisal Papillary) 및 제1 장주름(1st long rugae)을 이용하여 상악 전치를 배열하며, 상악 전치의 배열에 맞춰 하악 전치를 배열하고,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상악 구치를 배열하며, 상악 구치의 배열에 맞춰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제어부와, 치아 배열을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ets an occlusal plane using a retromolar pad of the mandible in an edentulous case, and sets an incisal papillary and a first long fold of the maxilla. rugae), arranging the mandibular inciso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incisors, arranging the maxillary molars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and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molars; It includes an output that displays the array.

제어부는 상악 구강전정 및 하악 구강전정을 이용하여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고, 후구치 삼각을 이용하여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며,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과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연결한 교합평면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using the maxillary oral vestibule and the mandibular oral vestibule, calculates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molars using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and calculates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and the posterior teeth. You can create an occlusal plane connecting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s of

제어부는 순면이 절치유두의 중간 라인(Mid Incisal Papillary lin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악궁라인과 평행하고 절단연이 교합평면에 맞춰지도록 상악 중절치를 배열하고, 첨두가 제1 장주름(1st long ruga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위치하고,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며 첨두가 교합평면에 맞춰지도록 상악 견치를 배열하며,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되 상악 중절치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구개(Palatal) 쪽으로 위치하며 절단연이 교합평면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위에 위치하도록 상악 측절치를 배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rranges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so that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arch line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mid incisal papillary line and the incisal edge is aligned with the occlusal plane, and the apex is the 1st long rugae ),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maxillary arch line, and the maxillary canines are arranged so that the cusp is aligned with the occlusal plane.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can be arranged so that the incisal edge is located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occlusal plane.

제어부는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 별로 협측 교두 및 설측 교두가 각각 교합평면과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거나 닿도록 배열하고, 상악 대구치의 협면을 연결한 선이 소구치의 협면을 연결한 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설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rranges the buccal cusps and lingual cusps for each of the first premolars, the second premolars, the first molars and the second molars to be spaced apart or in contact with the occlusal plane by a preset distance, respectively, and the line connecting the buccal surfaces of the maxillary molars is the buccal surface of the premolars. It can be arranged to be inclined to the lingual side by a preset angle with respect to the line connecting the .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배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에 따르면, 상, 하악 무치악 케이스의 경우, 해부학적 구조물을 활용하여 치아 배열을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수정을 최소화함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oth arrangement method and the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perform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upper and lower edentulous cases, the tooth arrangement is automatically performed using an anatomical structure or the correction is minimized, so the convenience of use can elevate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해부학적 기준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에서의 치아 배열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법의 상악 전치 배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법의 하악 전치 배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법의 상악 구치 배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법의 하악 구치 배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법에서의 교합평면을 설정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법에서의 상악 전치 배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법에서의 하악 구치 배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법에서의 상악 구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결절 부위와 후구치 삼각에는 가상 치아를 배열하지 못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케이스에서 상악법을 이용한 가상 치아 배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케이스에서 하악법을 이용한 가상 치아 배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atomical reference inform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showing a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ja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occlus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maxillary incisor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mandibular incisor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maxillary molar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9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mandibular molar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occlusal plane in the mandibula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and 22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incisors in the mandibula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molars in the mandibula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axillary molars in the mandibula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rtual teeth cannot be arranged in the maxillary tubercle region and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view showing a flow of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using the maxillary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using a mandibular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Each block in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and combinations of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execut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ion engine), which may be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It may be mounted so that its instructions, which 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which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chart,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since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is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create a computer-executable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vide steps for executing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in the block diagram and in each step in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or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compris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blocks or steps referred to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also possible for functions to occur out of sequen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blocks or step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and also the blocks or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s, if necessary.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uide design apparatus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이하, '가이드 디자인 장치'라 칭함)(1)는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전자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 휴대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은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 스캔 프로그램, CAD 프로그램 등이 있다. 또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이외에 다른 일반적인 의료영상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하나, 영상처리가 가능하면 다른 프로그램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uide design device') 1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 medical image processing program. Electronic devices include computers, notebook computers, laptop computers, tablet PCs, smart phones, mobile phones, personal media players (PMP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the like. Medical image processing programs include guide design programs, scan programs, and CAD programs.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programs for general medical image processing other than for dental implant surgery.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guide design program for dental implant surger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f image processing is possible, it is of course applicable to other programs as well.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처리 과정은 상용화된 제품별로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술 환자 등록, 등록된 환자의 CT 데이터 및 스캔 데이터 획득, CT 데이터 및 스캔 데이터의 정합, 정합된 영상 데이터에서 악궁 라인 생성 및 악궁 라인을 이용한 파노라믹 영상(Panoramic image) 생성, 환자의 스캔 데이터에서 크라운 모델 위치 및 크기 결정, 환자의 CT 데이터에서 픽스쳐를 포함한 임플란트 구조물 위치 결정, 가이드 형상 디자인, 최종 가이드 출력을 포함한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을 하는 과정에서 가상으로 치아를 배열하는 단계에 해당한다.Although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using the program differs for each commercialized product, in general, surgical patient registration, CT data and scan data acquisition of registered patients, CT data and scan data registration, arch line creation from the registered image data, and arch line It consists of a process including creation of a panoramic image using .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step of arranging teeth virtually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 guide for implant surgery.

도 1을 참조하면,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guide design apparatus 1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10 , a storage unit 12 , a control unit 14 , an input unit 16 , and an output unit 18 .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의 기초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기초 영상 데이터는 X-ray 데이터, CT 데이터, 스캔 데이터 등이 있다. 데이터 획득부(10)는 기초 영상 데이터를 프로그램에서 실행하거나 웹 페이지 및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서 CT 데이터, 스캔 데이터 등이 기초 데이터로 필요할 수 있다.The data acquisition unit 10 acquires basic image data of the patient. The basic image data includes X-ray data, CT data, and scan data. The data acquisition unit 10 may acquire basic image data by executing a program or loading data stored in a web page and a server. For implant placement, CT data, scan data, etc. may be required as basic data.

스캔 데이터는 환자의 구강을 본떠 생성한 석고 모형을 3D 스캐너(3D Scanner)로 스캐닝하여 획득하는 치아 모델 스캔 데이터이거나, 구강 내 3D 스캐너(3D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획득하는 구강 스캔 데이터일 수 있다. CT 데이터는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사용하여 환자의 두부 단층 영상들을 생성하고, 각각의 단층 영상에서 치아 부분의 경계를 분할(Segmentation)한 후 하나로 취합함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획득된 스캔 데이터 및 CT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The scan data is dental model scan data obtained by scanning a plaster model created by imitating a patient's oral cavity with a 3D scanner, or scann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using a 3D intra-oral scanner It may be oral scan data obtained by CT data may be obtained by generating tomography images of the patient's head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segmenting the tooth boundaries in each tomography image, and combining them into one. The acquired scan data and CT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

저장부(12)에는 가이드 디자인 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제어부(14)의 요청 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2)에는 가상 치아 배열을 위해 필요한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정보, 해부학적 구조물을 이용하여 생성된 가상 치아 배열 정보 등이 저장된다.The storage unit 12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design device 1 and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when requested by the control unit 14 .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2 stores information on an anatomical structure required for virtual tooth arrangement, virtual tooth arrangement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anatomical structure, and the like.

제어부(14)는 치과영상에서 가상의 임플란트 구조물의 식립 위치 및 방향을 포함한 식립 설계정보를 생성하고 식립 설계정보를 이용하여 가이드 형상을 디자인한다. 제어부(14)는 치과영상에 가상의 임플란트 구조물 객체를 식립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치과영상은 환자의 치아 배열이 나타난 2D, 3D 등의 다차원 영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10)를 통해 획득된 기초 영상 데이터, 파노라믹(Panoramic) 영상 데이터, 재구성을 통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 복수의 영상을 정합한 정합 데이터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이 활용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4 generates implantation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the implantation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implant structure in the dental image, and designs the guide shape using the implantation design information. The controller 14 may perform a simulation of implanting a virtual implant structure object in a dental image. The dental image includes a multidimensional image such as 2D, 3D, etc.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patient's teeth.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images such as basic image data acquired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unit 10, panoramic image data, image data generated through reconstruction, and registration data obtained by matching a plurality of images are utilized. can be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환자가 상, 하악 무치악 케이스 또는 무치악에 가까운 케이스일 때 치과영상에서 해부학적 구조물을 이용하여 가상 치아를 배열한다. 이때, 해부학적 구조물로는 절치유두(Incisal Papillary),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 제1 장주름(1st long rugae) 등이 있다.The control unit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ranges virtual teeth by using anatomical structures in the dental image when the patient is an edentulous case in the upper and lower jaws or a case close to the edentulous jaw. In this case, the anatomical structures include an incisal papillary, a retromolar pad, and a 1st long rugae.

치아 배열방식은 상악법 및 하악법이 있는데, 제어부(14)는 공통적으로 하악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설정한 후, 치아를 배열할 때 설정된 교합평면 정보를 이용한다.There are two types of tooth arrangement methods: the maxillary method and the mandibular method. The control unit 14 sets the occlusal plane using a retromolar pad of the mandible in common, and then uses the set occlusal plane information when arranging the teeth.

가상 치아 배열은 상악 전치, 상악 구치, 하악 전치,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것으로, 배열 순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악법에서, 교합평면 설정 → 상악 전치 → 하악 전치 → 상악 구치 → 하악 구치 순으로 배열할 수 있다. 해당 순서로 배열하는 예를 들면, 하악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설정한다. 이어서, 상악의 절치유두(Incisal Papillary) 및 제1 장주름(1st long rugae)을 이용하여 상악 전치를 배열하고, 상악 전치의 배열에 맞춰 하악 전치를 배열한다. 이어서,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상악 구치를 배열하고, 상악 구치의 배열에 맞춰 하악 구치를 배열한다. 상악법에서, 교합평면 설정 → 상악 전치 → 상악 구치 → 하악 전치 → 하악 구치로 순으로 배열을 해도 동일하게 배열된다.The virtual tooth arrangement is to arrange the maxillary incisors, maxillary molars, mandibular incisors, and mandibular molars, and the arrangement order may vary. For example, in the maxillary method, occlusal plane setting → maxillary anterior → mandibular anterior → maxillary molar → mandibular molar can be arranged in the order. The occlusal plane is set using, for example, the mandibular retromolar pad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order. Next, the maxillary incisors are arranged using the incisal papillary and the 1st long rugae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ular incisors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incisors. Next, the maxillary molars are arranged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and the mandibular molars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molars. In the maxillary method, occlusal plane setting → maxillary incisors → maxillary molars → mandibular incisors → mandibular molars are arranged in the same order.

다른 예로, 하악법에서, 교합평면 설정 → 하악 전치 → 상악 전치 → 하악 구치 → 상악 구치 순으로 배열할 수 있다. 해당 순서로 배열하는 예를 들면, 하악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설정한다. 이어서,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하악 전치를 배열하고 하악 전치의 배열에 맞춰 상악 전치를 배열한다. 이어서,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하악 구치를 배열하고 하악 구치의 배열에 맞춰 상악 구치를 배열한다. 하악법에서, 교합평면 설정 → 하악 전치 → 하악 구치 → 상악 전치 → 상악 구치 순으로 배열을 해도 동일하게 배열된다.As another example, in the mandibular method, the occlusal plane setting → mandibular incisors → maxillary incisors → mandibular molars → maxillary molars can be arranged in the order. The occlusal plane is set using, for example, the mandibular retromolar pad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order. Next, the mandibular incisors are arranged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and the maxillary incisors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Next, the mandibular molars are arranged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and the maxillary molars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molars. In the mandibular method, occlusal plane setting → mandibular incisors → mandibular molars → maxillary incisors → maxillary molars are arranged in the same order.

도 5 내지 도 1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법에서의 치아배열 방식에 대해 후술하고, 도 20 내지 도 2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법에서의 치아배열 방식에 대해 후술한다. 이하, 후술되는 도면들에서 구체적인 수치 값을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tooth arrangement method in the maxilla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9 , an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5 , in the mandibula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arrangement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Hereinafter, specific numerical values have been presented in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but these are only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출력부(18)는 프로그램 화면을 표시한다. 출력부(18)는 제어부(14)를 통해 생성된 가상 치아 배열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6)는 각종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The output unit 18 displays a program screen. The output unit 18 may display the virtual tooth arrangement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4 on the screen. The input unit 16 receives various user manipulation signals.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해부학적 기준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atomical reference inform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치과영상에서 해부학적 기준정보는 절치유두(Incisal Papillary)(100),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110) 등이 있다. 이러한 해부학적 기준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치아가 상실(Missing) 되어도 변화가 없는 랜드마크(Landmark)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해부학적 기준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치아를 배열하고자 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anatomical reference information in the dental image includes an incisal papillary 100 , a retromolar pad 110 , and the like. A common feature of these anatomical standards is that they act as landmarks that do not change even when teeth are missing.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arrange virtual teeth using such anatomical reference informa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에서의 치아 배열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illustrating a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ja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세부적으로 도 3은 상악법 치아 배열방식을, 도 4는 하악법 치아 배열방식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In more detail, Fig. 3 shows the maxillary tooth arrangement method, and Fig. 4 shows the mandibular method tooth arrangement method, respectively.

도 3을 참조하면, 상악법 치아 배열방식은 교합평면(210)을 기준으로 상악 구치(200)의 교두 높이 차이를 부여하여 보상성 만곡(Compensating Curve)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도면부호 210은 상악 구치(200)의 협측 쪽이다.Referring to FIG. 3 , the maxillary tooth arrangement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a compensating curve by giving a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cusps of the maxillary molars 200 based on the occlusal plane 210 . Reference numeral 210 denotes the buccal side of the maxillary molar 200 .

도 4를 참조하면, 하악법 치아 배열방식은 의치의 안전과 유지에 문제가 많은 하악 구치(230)의 악제에 대한 배열 위치를 우선적으로 결정하여 배열하고, 상악 구치를 하악 구치(230)에 맞춰 배열하는 방법이다. 의치의 교합평면(210)은 상악법의 배열과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4 , in the mandibular tooth arrangement metho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mandibular molars 230, which has many problems in safety and maintenance of dentures, is preferentially determined and arranged, and the upper molars are aligned with the mandibular molars 230. way to arrange it. The occlusal plane 210 of the denture is the same as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method.

이하, 도 5 내지 도 1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법에서의 치아배열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도 20 내지 도 2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법에서의 치아배열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tooth arrangement method in the maxilla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9 , and the mandibula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5 . Explain how teeth are arranged in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n occlus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세부적으로 도 5는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도 6은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도 7은 교합평면 설정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In more detail, FIG. 5 shows an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FIG. 6 shows an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posterior teeth, and FIG. 7 shows an occlusal plane setting example.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방법은 상악법과 하악법 모두 동일할 수 있다.The method of setting the occlusal plane may be the same for both the maxillary method and the mandibular method.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악 구강전정(Vestibular) 거리를 상악 구강전정(310) : 하악 구강전정(320) = 1 : 1 비율로도 가능하지만, 11 : 9 비율로 계산한 지점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상, 하악 구강전정(Vestibular) 거리가 평균적으로 38~40mm이므로, 40mm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300)은 상악 구강전정(310)에서 22mm 하방에 위치한다.The reference point 300 for setting the occlusal plane in the anterior teeth, as shown in FIG. 5, is the upper and lower oral vestibular (Vestibular) distance in the maxillary oral vestibule 310: the mandibular oral vestibule 320 = 1: 1 ratio is also possible, but , using the point calculated in the ratio of 11: 9. For example, since the upper and lower vestibular distances are on average 38-40 mm, based on 40 mm, the reference point 300 for setting the occlusal plane in the anterior teeth is located 22 mm below the maxillary oral vestibule 310. do.

구강전정(Vestibular)은 중절치에 소대가 있기 때문에 측절치 부위를 기준으로 한다. 그 이유는 측절치에서 구강전정(Vestibular)이 가장 깊기 때문이다. 상악 구강전정(310) : 하악 구강전정(320) = 11 : 9 비율로 하는 이유는 상악 전치가 상순보다 1mm 아래에 보이도록 하여 심미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이다.The vestibular is based on the lateral incisor because the central incisor has a platoon. This is because the vestibular is the deepest in the lateral incisor. The reason for the maxillary oral vestibule 310:mandibular oral vestibule 320=11:9 ratio is to increase the esthetics by making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appear 1 mm below the upper labia.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110)의 1/2~2/3 지점이다.The reference point for setting the occlusal plane in the posterior teeth is 1/2 to 2/3 of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Retromolar Pad) 110 as shown in FIG. 6 .

교합평면(2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300)과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330)을 연결한 평면이다.The occlusal plane 210 is a plane connecting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300 in the anterior teeth and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330 in the posterior teeth, as shown in FIG. 7 .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법의 상악 전치 배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maxillary incisor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세부적으로, 도 8은 상악 중절치 배열을, 도 9는 상악 견치 배열을, 도 10은 상악 측절치 배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In more detail, Fig. 8 shows an arrangement of maxillary central incisors, Fig. 9 shows an arrangement of maxillary canines, and Fig. 10 shows an arrangement of maxillary lateral incisors, respectively.

상악 중절치(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면이 절치유두(Incisal Papillary)(100)의 중간 라인(Mid-line)에서 7~10mm 앞에 오도록 배열한다. 상악 중절치(400)의 순면은 악궁라인(Arch line)(410)과 평행하게 배열한다. 상악 중절치(400)의 절단연은 기 설정한 교합평면(210)에 맞춘다. 절치유두(Incisal Papillary)(100)는 상악 전치 치조정에서 가장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으로 찾을 수 있다.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400 are arranged so that the labial surface comes in front of 7-10 mm from the mid-line of the incisal papillary 100, as shown in FIG. The labial surfac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400 is arranged parallel to the arch line (Arch line) (410). The cutting edg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400 is aligned with the preset occlusal plane 210 . The incisal papillary (100) can be found as the most convex protruding part of the maxillary anterior alveolar adjustment.

상악 견치(4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두가 제1 장주름(1st long rugae)(430)에서 9mm 앞에 오도록 배열한다. 상악 견치(420)의 순면은 악궁라인(Arch line)(410)과 평행하게 배열한다. 상악 견치(420)의 첨두는 기 설정한 교합평면(210)에 맞춘다. 제1 장주름(1st long rugae)(430)은 절치유두(Incisal Papillary)에서 하방으로 내려오다가 처음으로 양 옆에 가장 볼록하고 긴 것으로 찾을 수 있다.The maxillary canine 420 is arranged so that the cusp is 9 mm in front of the first long rugae 430 as shown in FIG. 9 . The labial surface of the maxillary canine 420 is arranged parallel to the arch line (Arch line) (410). The apex of the maxillary canine 420 is aligned with the preset occlusal plane 210 . The first long rugae 430 can be found as the longest and most convex on both sides for the first time while descending from the incisal papillary.

상악 측절치(4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중절치(400)와 상악 견치(420) 사이에 배열한다. 상악 측절치(440)의 순면은 악궁라인(Arch line)(410)과 평행하게 배열하되, 상악 중절치(400)보다 0.5mm 구개(Palatal) 쪽으로 배열한다. 상악 측절치(440)의 절단연은 기 설정한 교합평면(210)보다 0.5~1.0mm 위에 배열한다.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440 are arranged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400 and the maxillary canines 420 as shown in FIG. 10 . The labial surface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440 is arranged parallel to the arch line 410 , but is arranged toward the palatal (Palatal) by 0.5 mm from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400. The cutting edge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440 is arranged 0.5 to 1.0 mm above the preset occlusal plane 210 .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법의 하악 전치 배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1 and 12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in the maxilla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세부적으로, 도 11은 하악 전치의 수직적, 수평적 배열을, 도 12는 하악 전치의 절단연 배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In more detail, Fig. 11 show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and Fig. 12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cut edges of the mandibular incisors, respectively.

하악 전치(중절치, 측절치, 견치)(500)의 수직적 위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1.5~2.0mm 위에 배열한다. 하악 전치(중절치, 측절치, 견치)(500)의 수평적 위치는 상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1.5~2.0mm 정도 설측에 배열한다. 하악 전치(중절치, 측절치, 견치)(500)의 절단연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전치의 절단연과 평행하게 배열한다.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incisors (middle incisors, lateral incisors, canines) 500 is arranged 1.5 to 2.0 mm above the cutting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as shown in FIG. 11 .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incisors (central incisors, lateral incisors, canines) 500 is arranged on the lingual side about 1.5 to 2.0 mm from the cutting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The cutting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central incisors, lateral incisors, canines) 500 is arranged parallel to the cutting edges of the maxillary incisors as shown in FIG. 12 .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법의 상악 구치 배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3 and 14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of maxillary mol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세부적으로, 도 13은 상악 구치의 배열을, 도 14는 상악 구치 배열의 협측 기준점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In more detail, FIG. 13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molars, and FIG. 14 shows the buccal reference point of the maxillary molar arrangement, respectively.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제1 소구치(600)의 협측 교두와 상악 제2 소구치(610)의 협측 교두, 설측 교두, 상악 제1 대구치(620)의 근심 설측 교두가 교합평면(210)에 닿도록 배열한다. 상악 제1 소구치(600)의 설측 교두와 상악 제1 대구치(620)의 근심 협측 교두, 원심 설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0.5mm 떨어져 있도록 배열한다. 상악 제1 대구치(620)의 원심 협측 교두와 상악 제2 대구치(630)의 근심 설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1.0mm 떨어져 있도록 배열한다. 상악 제2 대구치(630)의 근심 협측 교두와 원심 설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1.5mm 떨어져 있도록 배열한다. 상악 제2 대구치(630)의 원심 협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2.0mm 떨어져 있도록 배열한다.13, the buccal cusp of the maxillary first premolar 600, the buccal cusp of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610, the lingual cusp, and the mesial lingual cusp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620 are on the occlusal plane 210. arranged to touch. The lingual cusps of the maxillary first premolars 600, the mesial buccal cusps and the distal lingual cusps of the maxillary first molars 620 are arranged to be 0.5 mm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210. The distal buccal cusp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620 and the mesial lingual cusp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 630 are arranged to be 1.0 mm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210 . The mesial buccal cusp and the distal lingual cusp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 630 are arranged to be 1.5 mm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210 . The distal buccal cusp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 630 is arranged to be 2.0 mm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210 .

상악 대구치의 협면을 연결한 선(64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구치의 협면을 연결한 선(650)에 대해 6도(°) 정도 설측으로 기울어져 있다.The line 640 connecting the buccal surfaces of the maxillary molars is inclined to the lingual side by about 6 degrees (°) with respect to the line 650 connecting the buccal surfaces of the premolars, as shown in FIG. 14 .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법의 하악 구치 배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5 to 19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molars in the maxilla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세부적으로, 도 15는 하악 구치의 배열을, 도 16은 파운드 라인(Pound's Line)을, 도 17은 파운드 라인(Pound's Line)을 침범한 경우의 예시를, 도 18은 스피만곡(curve of Spee)을, 도 19는 윌슨만곡(curve of wilson)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In more detail, Fig. 15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molars, Fig. 16 shows the Pound's Line, Fig. 17 shows an example when the Pound's Line is invaded, and Fig. 18 shows the curve of Spee ), and Figure 19 shows the Wilson curve (curve of wilson), respectively.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구치의 중심 교합에 맞게 하악 구치를 배열한다. 하악 구치를 배열할 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 구치들의 설측 교두가 파운드 라인(Pound's Line)(700)을 넘어서지 않아야 하고 파운드 라인(Pound's Line)(700)과 평행하게 배열하는 것이 아닌 악궁라인(Arch line)(410)과 평행하게 배열해야 한다. 만약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운드 라인(Pound's Line)(700)을 넘게 되면 혀의 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환자가 불편하다. 파운드 라인(Pound's Line)(700)은 하악 견치의 근심 우각에서 같은 쪽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330)의 설측을 연결한 선이다.As shown in Fig. 15, the mandibular molars are arranged to match the central occlusion of the maxillary molars. When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as shown in FIG. 16, the lingual cusps of the mandibular molars should not exceed the Pound's Line (700) and the mandibular arch that is not arranged parallel to the Pound's Line (700) It should be arranged parallel to the line (Arch line) (410). If the pound line (Pound's Line) 700 is exceeded as shown in FIG. 17, the patient is inconvenient because the movement of the tongue is disturbed. Pound's Line (700) is a line connecting the lingual side of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Retromolar Pad) (330) on the same side from the mesial right angle of the mandibular canine.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 견치의 교두정으로부터 소구치와 대구치의 협측 교두정을 연결한 원호가 생기게 되고 이를 스피만곡(curve of Spee)(710)이라고 부른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치열의 전두면에서 볼 때 좌우 구치들의 협, 설 교두정을 연결하여 생기는 만곡이 생기게 되고, 이를 윌슨만곡(curve of wilson)(720)이라고 부른다.As shown in FIG. 18 , an arc connecting the buccal cusp of the premolars and the molars is formed from the cusp of the mandibular canine, and this is called the curve of Spee (710). As shown in FIG. 19 , when viewed from the frontal surface of the natural dentition, a curve formed by connecting the buccal and lingual cusp of the left and right molars is generated, and this is called a Wilson curve (curve of wilson) 720 .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법에서의 교합평면을 설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occlusal plane in the mandibula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하악법에서의 교합평면(210)은 상악법에서 설정한 교합평면과 동일하다. 교합평면(210)을 설정한 이후, 하악 전치를 배열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 전치를 교합평면(210)에 맞춰서 배열한다.Referring to FIG. 20 , the occlusal plane 210 in the mandibular method is the same as the occlusal plane set in the maxillary method. After setting the occlusal plane 210, the mandibular incisors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20 , the mandibular incisors are aligned with the occlusal plane 210 .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법에서의 상악 전치 배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1 and 22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of maxillary incisors in the mandibula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세부적으로 도 21은 하악법에서의 상악 전치부 배열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2는 하악법에서의 상악 전치부 절단연 배열 예를 도시한 것이다.In more detail, FIG. 21 shows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incisors in the mandibular method, and FIG. 22 shows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anterior incisors in the mandibular method.

상악 전치(900)의 수직적 위치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1.5~2.0mm 아래에 배열한다. 상악 전치(900)의 수평적 위치는 하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1.5~2.0mm 정도 순측에 배열한다.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900 is arranged 1.5 to 2.0 mm below the cutting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as shown in FIG. 21 .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900 is arranged on the labial side by 1.5 to 2.0 mm from the cutting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상악 전치의 절단연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 전치의 절단연과 평행하게 배열한다.The cutting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is arranged parallel to the cutting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as shown in FIG. 22 .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법에서의 하악 구치 배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molars in the mandibula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을 참조하면, 하악 제1 소구치(600)의 협측 교두는 교합평면에서 0.2mm 하방에, 설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1.6mm 하방에 배열한다. 하악 제2 소구치(610)의 협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0.8mm 하방에, 설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0.9mm 하방에 배열한다.Referring to FIG. 23 , the buccal cusps of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s 600 are arranged 0.2 mm below the occlusal plane, and the lingual cusps are arranged 1.6 mm below the occlusal plane 210 . The buccal cusps of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s 610 are arranged 0.8 mm below the occlusal plane 210 and the lingual cusps are arranged 0.9 mm below the occlusal plane 210 .

하악 제1 대구치(620)의 근심 협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1.2mm 하방에, 원심 협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1.0mm 하방에, 근심 설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2.0mm 하방에, 원심 설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1.8mm 하방에 배열한다.The mesial buccal cusp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620 is 1.2 mm below the occlusal plane 210, the distal buccal cusp is 1.0 mm below the occlusal plane 210, and the mesial lingual cusp is 2.0 mm below the occlusal plane 210. Below, the distal lingual cusp is arranged 1.8 mm below the occlusal plane (210).

하악 제 2대구치(630)의 근심 협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0.6mm 하방에, 원심 협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 맞게, 근심 설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1.8mm 하방에, 원심 설측 교두는 교합평면(210)에서 1.2mm 하방에 배열한다.The mesial buccal cusp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630 is 0.6 mm below the occlusal plane 210, the distal buccal cusp fits the occlusal plane 210, and the mesial lingual cusp is 1.8 mm below the occlusal plane 210, The distal lingual cusps are arranged 1.2 mm below the occlusal plane (210).

스피만곡과 윌슨만곡은 상악법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악법과 동일하게 파운드 라인(Pound's Line)은 지켜야 한다.Spiemann's curve and Wilson's curve are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maxillary method. As with the maxillary method, the Pound's Line must be observed.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법에서의 상악 구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axillary molars in the mandibula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하악 구치의 교합에 맞게 상악 구치를 배열한다.Referring to FIG. 24 , the maxillary molars are arranged to match the occlusion of the mandibular molars.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결절 부위와 후구치 삼각에는 가상 치아를 배열하지 못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virtual teeth cannot be arranged in the maxillary tuberosity and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치아 배열 시 상악 결절 부위(100)와 후구치 삼각(110)에는 가상 치아를 배열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25 , virtual teeth are not arranged in the maxillary tubercle region 100 and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110 when teeth are arranged.

상악법과 하악법에서의 가상 치아의 배치 순서는, 교합평면 설정 → 전치 → 구치 순으로 배열하였다. 하지만 상악법 배열 순서에 따라, 교합평면 설정 → 상악 전치 → 상악 구치 → 하악 전치 → 하악 구치 순으로 배열을 해도 동일하게 배열된다. 또한 하악법 배열 순서에 따라, 교합평면 설정 → 하악 전치 → 하악 구치 → 상악 전치 → 상악 구치 순으로 배열을 해도 동일하게 배열된다.I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methods, the virtual teeth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occlusal plane setting → anterior teeth → posterior teeth. However, according to the maxillary method arrangement order, the arrangement is the same even if the occlusal plane setting → maxillary incisors → maxillary molars → mandibular incisors → mandibular molars are arranged in the order. Also, according to the mandibular arrangement order, the arrangement is the same even if the occlusal plane setting → mandibular incisors → mandibular molars → maxillary incisors → maxillary molars are arranged in the order.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케이스에서 상악법을 이용한 가상 치아 배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using the maxillary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6을 참조하면,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하악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설정한다(S2610). 교합평면 설정 단계(2610)에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상악 구강전정 및 하악 구강전정을 이용하여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고, 후구치 삼각을 이용하여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한 후,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과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연결한 교합평면을 생성할 수 있다.1 and 26 , the guide design device 1 sets the occlusal plane using a retromolar pad of the mandible (S2610). In the occlusal plane setting step 2610, the guide design device 1 calculates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using the maxillary oral vestibule and the mandibular oral vestibule, and uses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to set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posterior teeth. After calculating , it is possible to create an occlusal plane connecting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and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posterior teeth.

이어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상악의 절치유두(Incisal Papillary) 및 제1 장주름(1st long rugae)을 이용하여 상악 전치를 배열한다(S2620). 상악 전치 배열 단계(S2620)에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상악 중절치의 경우, 순면이 절치유두의 중간 라인(Mid Incisal Papillary lin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악궁라인과 평행하고, 절단연이 교합평면에 맞춰지도록 상악 중절치를 배열할 수 있다. 상악 견치의 경우, 첨두가 제1 장주름(1st long ruga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위치하고,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며, 첨두가 교합평면에 맞춰지도록 상악 견치를 배열할 수 있다. 상악 측절치의 경우,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되 상악 중절치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구개(Palatal) 쪽으로 위치하며, 절단연이 교합평면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위에 위치하도록 상악 측절치를 배열할 수 있다.Next, the guide design device 1 arranges the maxillary incisors using the incisal papillary and the 1st long rugae of the maxilla (S2620). In the maxillary anterior arrangement step (S2620), the guide design device 1 provides for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maxillary arch line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mid incisal papillary line, and the incisal edge is occluded.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can be arranged to fit flat. In the case of the maxillary canine, the maxillary canine can be arranged so that the cusp is located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1st long rugae,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maxillary arch line, and the apex is aligned with the occlusal plane. In the case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can be arranged so that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maxillary arch line, but located toward the palatal at a preset distance from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d the incisal edge is positioned above the preset distance from the occlusal plane.

이어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상악 전치의 배열에 맞춰 하악 전치를 배열한다(S2630). 하악 전치 배열 단계(S2630)에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하악 전치의 수직적 위치를 상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위에 배열할 수 있다. 또한, 하악 전치의 수평적 위치를 상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설측에 배열할 수 있다. 하악 전치의 절단연은 상악 전치의 절단연과 평행하도록 하악 전치를 배열할 수 있다.Next, the guide design device 1 arranges the mandibular inciso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incisors (S2630). In the mandibular incisor arrangement step ( S2630 ), the guide design device 1 may arrang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incisors at a distance higher than the cut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In addition,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incisors may be arranged on the lingual side at a preset distance from the cutting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The incisal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may be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incisal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이어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상악 구치를 배열한다(S2640). 상악 구치 배열 단계(S2640)에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 별로 협측 교두 및 설측 교두가 각각 교합평면과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거나 닿도록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상악 대구치의 협면을 연결한 선이 소구치의 협면을 연결한 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설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열할 수 있다.Next, the guide design device 1 arranges the maxillary molars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S2640). In the maxillary molar arrangement step (S2640), the guide design device 1 is arranged such that the buccal cusps and the lingual cusps are spaced apart from or in contact with the occlusal plane by a preset distance for each first premolar, second premola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respectively. can do. In addition, the line connecting the buccal surfaces of the maxillary molars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to the lingual side by a preset angle with respect to the line connecting the buccal surfaces of the premolars.

이어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상악 구치의 배열에 맞춰 하악 구치를 배열한다(S2650). 하악 구치 배열 단계(S2650)에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하악 구치의 설측 교두가 파운드 라인(Pound's Line)을 넘어서지 않도록 배열할 수 있다. 또한, 파운드 라인(Pound's Line)과는 평행하지 않되 악궁라인(Arch line)과 평행하도록 하악 구치를 배열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guide design device 1 arranges the mandibular mola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molars (S2650). In the mandibular molar arrangement step (S2650), the guide design device 1 may be arranged so that the lingual cusps of the mandibular molars do not exceed the Pound's Line. In addition, the mandibular molars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be parallel to the Pound's Line but to be parallel to the Arch line.

도 26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플로우는 상악법에 있어서, 교합평면 설정(S2610) → 상악 전치 배열(S2620) → 하악 전치 배열(S2630) → 상악 구치 배열(S2640) → 하악 구치 배열(S2650) 순서를 가진다. 그러나 교합평면 설정(S2610) → 상악 전치 배열(S2620) → 상악 구치 배열(S2640) → 하악 전치 배열(S2630) → 하악 구치 배열(S2650) 순서로 배열해도 동일하게 배열된다.In the maxillary method, the flow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6 is the order of occlusal plane setting (S2610) → maxillary anterior arrangement (S2620) → mandibular anterior arrangement (S2630) → maxillary molar arrangement (S2640) → mandibular molar arrangement (S2650) have However, it is arranged in the same order even if the occlusal plane setting (S2610) → maxillary anterior arrangement (S2620) → maxillary molar arrangement (S2640) → mandibular anterior arrangement (S2630) → mandibular molar arrangement (S2650).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케이스에서 하악법을 이용한 가상 치아 배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2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using a mandibular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7을 참조하면,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하악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설정한다(S2710). 교합평면 설정 단계(2710)에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상악 구강전정 및 하악 구강전정을 이용하여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고, 후구치 삼각을 이용하여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한 후,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과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연결한 교합평면을 생성할 수 있다.1 and 27 , the guide design device 1 sets the occlusal plane using a retromolar pad of the mandible (S2710). In the occlusal plane setting step 2710, the guide design device 1 calculates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using the maxillary oral vestibule and the mandibular oral vestibule, and uses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to set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posterior teeth. After calculating , it is possible to create an occlusal plane connecting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and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posterior teeth.

이어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하악 전치를 배열한다(S2720).Next, the guide design device 1 arranges the mandibular incisors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S2720).

이어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하악 전치의 배열에 맞춰 상악 전치를 배열한다(S2730). 상악 전치 배열 단계(S2730)에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상악 전치의 수직적 위치를 하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아래에 배열할 수 있다. 상악 전치의 수평적 위치를 하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순측에 배열할 수 있다. 상악 전치의 절단연은 하악 전치의 절단연과 평행하도록 상악 전치를 배열할 수 있다.Then, the guide design device 1 arranges the maxillary inciso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S2730). In the maxillary anterior arrangement step (S2730), the guide design device 1 may arrang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below a preset distance from the cutting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may be arranged at a preset distance labial than the cutting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The incisal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may be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incisal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이어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하악 구치를 배열한다(S2740). 하악 구치 배열 단계(S2740)에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 별로 협측 교두 및 설측 교두를 각각 교합평면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하방에 배열할 수 있다.Next, the guide design device 1 arranges the mandibular molars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S2740). In the mandibular molar arrangement step (S2740), the guide design device 1 may arrange the buccal and lingual cusps for each first premolar, second premola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respectively, below a preset distance from the occlusal plane. have.

이어서,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하악 구치의 배열에 맞춰 상악 구치를 배열한다(S2750). 하악법에서, 상악 결절 부위 및 후구치 삼각에는 가상 치아를 배열하지 않도록 한다.Next, the guide design device 1 arranges the maxillary mola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molars (S2750). In the mandibular method, avoid arranging virtual teeth in the maxillary tuberosity and posterior molar triangle.

도 27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플로우는 하악법에 있어서, 교합평면 설정(S2710) → 하악 전치 배열(S2720) → 상악 전치 배열(S2730) → 하악 구치 배열(S2740) → 상악 구치 배열(S2750) 순서를 가진다. 그러나 교합평면 설정(S2710) → 하악 전치 배열(S2720) → 하악 구치 배열(S2740) → 상악 전치 배열(S2730) → 상악 구치 배열(S2750) 순서로 배열해도 동일하게 배열된다.In the mandibular method, the flow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7 is in the order of setting the occlusal plane (S2710) → mandibular anterior arrangement (S2720) → maxillary anterior arrangement (S2730) → mandibular molar arrangement (S2740) → maxillary molar arrangement (S2750) have However, even if arranged in the order of occlusal plane setting (S2710) → mandibular anterior arrangement (S2720) → mandibular molar arrangement (S2740) → maxillary anterior arrangement (S2730) → maxillary molar arrangement (S2750), the arrangement is the sam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embodiments there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odified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를 이용한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에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가
하악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단계;
상악의 절치유두(Incisal Papillary) 및 제1 장주름(1st long rugae)을 이용하여 상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상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
상악 전치 배열 이후 또는 상악 구치 배열 이후, 상악 전치의 배열에 맞춰 하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
상악 구치 배열 이후 또는 하악 전치 배열 이후, 상악 구치의 배열에 맞춰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 및
상악 결절 부위 및 후구치 삼각에는 치아를 배열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악 전치를 배열할 때, 상악 중절치는 절치유두, 악궁라인 및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배열하고, 상악 견치는 제1 장주름, 악궁라인 및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배열하며, 상악 측절치는 악궁라인, 상악 중절치의 위치 및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배열하되,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게 상악 전치를 배열하고,
상악 전치를 배열하는 때, 절치유두의 중간 라인(Mid Incisal Papillary lin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상악 중절치를 배열하고, 제1 장주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상악 견치를 배열하며,
하악 구치를 배열할 때, 파운드 라인(Pound's Line)과는 평행하지 않되 악궁라인과 평행하도록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
In the method for arranging virtual teeth in an edentulous case using a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he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Setting the occlusal plane using the mandibular posterior molar triangle (Retromolar pad);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using the incisal papillary and the 1st long rugae of the maxilla;
arranging the maxillary molars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After the maxillary incisor arrangement or after the maxillary molar arrangement, arranging the mandibular inciso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incisors;
After the maxillary molar arrangement or after the mandibular incisor arrangement,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molars; and
not arranging teeth in the maxillary tubercle region and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includes,
When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re arranged based on the incisor papilla, the maxillary arch line and the occlusal plane, the maxillary canines are arranged based on the 1st long fold, the maxillary arch line and the occlusal plane, and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are arranged based on the maxillary arch line, maxillary arch line and occlusal plane. Arran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entral incisors and the occlusal plane, but arrange the maxillary incisors with the labial surface parallel to the arch line,
When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re arranged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mid incisal papillary line, and the maxillary canines are arranged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first long fold,
When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dibular molars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mandibular arch line, but not parallel to the Pound's Line.
제 1 항에 있어서,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악 구강전정 및 하악 구강전정을 이용하여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는 단계;
후구치 삼각을 이용하여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과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연결한 교합평면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setting the occlusal plane
calculating a reference point for setting an occlusal plane in the anterior teeth using the maxillary oral vestibule and the mandibular oral vestibule;
calculating a reference point for setting the occlusal plane in the posterior teeth using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and
generating an occlusal plane connecting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and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posterior teeth;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순면이 절치유두의 중간 라인(Mid Incisal Papillary lin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악궁라인과 평행하고, 절단연이 교합평면에 맞춰지도록 상악 중절치를 배열하는 단계;
첨두가 제1 장주름(1st long ruga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위치하고,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며, 첨두가 교합평면에 맞춰지도록 상악 견치를 배열하는 단계; 및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되 상악 중절치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구개(Palatal) 쪽으로 위치하며, 절단연이 교합평면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위에 위치하도록 상악 측절치를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comprises:
arranging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so that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arch line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mid incisal papillary line, and the incisal edge is aligned with the occlusal plane;
arranging the maxillary canines so that the cusp is positioned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1st long rugae,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maxillary arch line, and the apex is aligned with the occlusal plane; and
arranging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so that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maxillary arch line but positioned toward the palatal at a preset distance from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d the incisal edge is positioned above the preset distance from the occlusal plane;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하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하악 전치의 절단연의 수직적 위치를 상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위에 배열하고, 하악 전치의 절단연의 수평적 위치를 상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설측에 배열하며, 하악 전치의 절단연은 상악 전치의 절단연과 평행하도록 하악 전치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rranging the mandibular incisors comprise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incisal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is arranged at a preset distance above the incisal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incisal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is arranged lingually at a preset distance from the incisal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and the incisal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is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dibular incisors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cutting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제 1 항에 있어서, 상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 별로 협측 교두 및 설측 교두가 각각 교합평면과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거나 닿도록 배열하는 단계; 및
상악 대구치의 협면을 연결한 선이 소구치의 협면을 연결한 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설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rranging the maxillary molars comprises:
arranging the buccal cusps and the lingual cusps for each of the first premolars, the second premolars, the first molars and the second molars to be spaced apart or in contact with the occlusal plane by a preset distance, respectively; and
arranging the line connecting the buccal surfaces of the maxillary molars to be inclined lingually by a preset angle with respect to the line connecting the buccal surfaces of the premolars;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하악 구치의 설측 교두가 파운드 라인(Pound's Line)을 넘어서지 않도록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comprises: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gual cusps of the mandibular molars are arranged not to exceed the Pound's Line.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를 이용한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에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가
하악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하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
하악 전치 배열 이후 또는 하악 구치 배열 이후, 하악 전치의 배열에 맞춰 상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
하악 구치 배열 이후 또는 상악 전치 배열 이후, 하악 구치의 배열에 맞춰 상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 및
상악 결절 부위 및 후구치 삼각에는 치아를 배열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악 전치를 배열할 때, 상악 중절치는 절치유두, 악궁라인 및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배열하고, 상악 견치는 제1 장주름, 악궁라인 및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배열하며, 상악 측절치는 악궁라인, 상악 중절치의 위치 및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배열하되,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게 상악 전치를 배열하고,
상악 전치를 배열할 때, 절치유두의 중간 라인(Mid Incisal Papillary lin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상악 중절치를 배열하고, 제1 장주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상악 견치를 배열하며,
하악 구치를 배열할 때, 파운드 라인(Pound's Line)과는 평행하지 않되 악궁라인과 평행하도록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
In the method for arranging virtual teeth in an edentulous case using a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he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Setting the occlusal plane using the mandibular posterior molar triangle (Retromolar pad);
arranging the mandibular incisors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After the mandibular incisor arrangement or after the mandibular molar arrangement,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After the mandibular molar arrangement or after the maxillary anterior arrangement, arranging the maxillary mola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molars; and
not arranging teeth in the maxillary tubercle region and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includes,
When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re arranged based on the incisor papilla, the maxillary arch line and the occlusal plane, the maxillary canines are arranged based on the 1st long fold, the maxillary arch line and the occlusal plane, and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are arranged based on the maxillary arch line, maxillary arch line and occlusal plane. Arran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entral incisors and the occlusal plane, but arrange the maxillary incisors with the labial surface parallel to the arch line,
When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re arranged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mid incisal papillary line, and the maxillary canines are arranged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first long fold,
When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dibular molars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mandibular arch line, but not parallel to the Pound's Line.
제 7 항에 있어서,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악 구강전정 및 하악 구강전정을 이용하여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는 단계;
후구치 삼각을 이용하여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과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연결한 교합평면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setting the occlusal plane
calculating a reference point for setting an occlusal plane in the anterior teeth using the maxillary oral vestibule and the mandibular oral vestibule;
calculating a reference point for setting the occlusal plane in the posterior teeth using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and
generating an occlusal plane connecting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and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posterior teeth;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 상악 전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상악 전치의 절단연의 수직적 위치를 하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아래에 배열하고, 상악 전치의 절단연의 수평적 위치를 하악 전치의 절단연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순측에 배열하며, 상악 전치의 절단연은 하악 전치의 절단연과 평행하도록 상악 전치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comprise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incisal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is arranged below the incisal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incisal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is arranged in the labial of a preset distance from the incisal edge of the mandibular incisors, and the incisal edge of the maxillary incisors is arranged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incisors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cutting edge of the lower incisors.
제 7 항에 있어서,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 별로 협측 교두 및 설측 교두를 각각 교합평면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하방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케이스에서의 가상 치아 배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comprises:
A virtual tooth arrangement method in an edentulous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ccal cusps and the lingual cusps are respectively arranged below a preset distance from the occlusal plane for each of the first premolars, the second premolars, the first molars and the second molars.
삭제delete 무치악 케이스에서 하악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설정하고, 상악의 절치유두(Incisal Papillary) 및 제1 장주름(1st long rugae)을 이용하여 상악 전치를 배열하며, 상악 전치의 배열에 맞춰 하악 전치를 배열하고, 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상악 구치를 배열하며, 상악 구치의 배열에 맞춰 하악 구치를 배열하는 제어부; 및
치아 배열을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상악 전치를 배열할 때, 상악 중절치는 절치유두, 악궁라인 및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배열하고, 상악 견치는 제1 장주름, 악궁라인 및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배열하며, 상악 측절치는 악궁라인, 상악 중절치의 위치 및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배열하되,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게 상악 전치를 배열하고,
상악 전치를 배열할 때, 절치유두의 중간 라인(Mid Incisal Papillary lin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상악 중절치를 배열하고, 제1 장주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상악 견치를 배열하며,
하악 구치를 배열할 때, 파운드 라인(Pound's Line)과는 평행하지 않되 악궁라인과 평행하도록 하악 구치를 배열하고,
상악 결절 부위 및 후구치 삼각에는 치아를 배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In the edentulous case, the occlusal plane is set using the retromolar pad of the mandible, and the maxillary incisors are arranged using the incisal papillary and the 1st long rugae of the maxilla, and the maxillary incisors are a control unit for arranging the mandibular inciso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arranging the maxillary molars based on the set occlusal plane, and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xillary molars; and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a tooth arrangement; includes,
the control unit
When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re arranged based on the incisor papilla, the maxillary arch line and the occlusal plane, the maxillary canines are arranged based on the 1st long fold, the maxillary arch line and the occlusal plane, and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are arranged based on the maxillary arch line, maxillary arch line and occlusal plane. Arran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entral incisors and the occlusal plane, but arrange the maxillary incisors with the labial surface parallel to the arch line,
When arranging the maxillary incisors,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re arranged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mid incisal papillary line, and the maxillary canines are arranged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first long fold,
When arranging the mandibular molars, arrange the mandibular molars parallel to the arch line, but not parallel to the Pound's Line,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teeth are not arranged in the maxillary tuberosity area and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악 구강전정 및 하악 구강전정을 이용하여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고,
후구치 삼각을 이용하여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계산하며,
전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과 구치에서의 교합평면 설정 기준점을 연결한 교합평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using the maxillary oral vestibule and the mandibular oral vestibule,
Calculate the reference point for setting the occlusal plane in the posterior teeth using the posterior molar triangle.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reates an occlusal plane connecting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anterior teeth and the occlusal plane setting reference point in the posterior teeth.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순면이 절치유두의 중간 라인(Mid Incisal Papillary lin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악궁라인과 평행하고, 절단연이 교합평면에 맞춰지도록 상악 중절치를 배열하고,
첨두가 제1 장주름(1st long rugae)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앞에 위치하고,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며, 첨두가 교합평면에 맞춰지도록 상악 견치를 배열하며,
순면이 악궁라인과 평행하되 상악 중절치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구개(Palatal) 쪽으로 위치하며, 절단연이 교합평면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 위에 위치하도록 상악 측절치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Arrange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so that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arch line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mid incisal papillary line, and the incisal edge is aligned with the occlusal plane,
The maxillary canines are arranged so that the cusp is located in front of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1st long rugae,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maxillary arch line, and the apex is aligned with the occlusal plane,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lab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maxillary arch line, but is positioned toward the palatal at a preset distance from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d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are arranged so that the incisal edge is positioned at a preset distance from the occlusal plane.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 별로 협측 교두 및 설측 교두가 각각 교합평면과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거나 닿도록 배열하고,
상악 대구치의 협면을 연결한 선이 소구치의 협면을 연결한 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설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first premolars, second premolars, first molars and second molars are arranged so that the buccal and lingual cusps are spaced apart or in contact with the occlusal plane by a preset distance, respectively,
A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 connecting the buccal surfaces of the maxillary molars is slanted to the lingual side by a preset angle with respect to the line connecting the buccal surfaces of the premolars.
KR1020190162348A 2019-12-09 2019-12-09 Automatic tooth set-up method and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o perform the same KR1023600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348A KR102360097B1 (en) 2019-12-09 2019-12-09 Automatic tooth set-up method and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o perform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348A KR102360097B1 (en) 2019-12-09 2019-12-09 Automatic tooth set-up method and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o perform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261A KR20210072261A (en) 2021-06-17
KR102360097B1 true KR102360097B1 (en) 2022-02-08

Family

ID=7660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348A KR102360097B1 (en) 2019-12-09 2019-12-09 Automatic tooth set-up method and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o perform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09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7959A1 (en) * 2012-06-22 2015-11-19 Amann Girrbach Ag Method for positioning artificial posterior tee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7959A1 (en) * 2012-06-22 2015-11-19 Amann Girrbach Ag Method for positioning artificial posterior teeth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정형 외 3인, 한국 성인 유치악자의 교합평면 및 수직고경에 관한 연구(200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261A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31801A1 (en) Alternative bite adjustment structures
US11723753B2 (en) Methods for generating orthodontic models having bite adjustment structures
US11633261B2 (en)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CN106137414B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arget dentition layout
EP3791824B1 (en) Method for displaying repositioning jaw elements
Fleming et al. Comparison of maxillary arch dimensional changes with passive and active self-ligation and conventional brackets in the permanent dentition: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U2003270813B2 (en) Dental appliances for treating malocclusions
JPH08280715A (en) Formation of dental diagnostic set up of casts and forming device therefor
US11583375B2 (en) Partial connection full arch artificial tooth having adjustability of dental arch and occlusion curvature
CN105147401A (en) Digital tooth arrangement method based on tooth root information
US20210077227A1 (en) Process for fabricating a digital bite opening appliance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Watanabe-Kanno et al. Study of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s in maximum intercuspation before orthodontic treatment in subjects with Angle Class I and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JP7170933B2 (en) Virtual occlusion model for dental treatment
KR102360097B1 (en) Automatic tooth set-up method and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o perform the same
KR20220005874A (en) Method for designing patient-specific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JP6341842B2 (en) Method and program for determining occlusal two planes
US119805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al prosthetic device
KR102347493B1 (en) Method for tooth arrangement design and apparatus thereof
Melsen et al. Treatment planning: the 3D VTO
KR102474299B1 (en) Method for fabricating digital denture and apparatus thereof
Enoki et al. Orthopedic cervical headgear in Class II treatment: case report
Weinstein et al.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on Brodie Bite's diagnosis, planning, treatment alternatives, and complications
CN115553946A (en) Digital tooth arrangement method based on jaw science
Breuning Custom Retention after Orthodontic Treatment
CN115645090A (en) Bracket-free invisible stepped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