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173B1 -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method for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method for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173B1
KR102347173B1 KR1020210071682A KR20210071682A KR102347173B1 KR 102347173 B1 KR102347173 B1 KR 102347173B1 KR 1020210071682 A KR1020210071682 A KR 1020210071682A KR 20210071682 A KR20210071682 A KR 20210071682A KR 102347173 B1 KR102347173 B1 KR 102347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spel
content
customized
category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정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사랑글로벌아카데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사랑글로벌아카데미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사랑글로벌아카데미
Priority to KR1020210071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1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1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n operating method of a server that generates customized gospel content comprises: a step of providing gospel templates corresponding to one condition among an age, a group for which one can belong to, a psychological state, and a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evangelism target to a user terminal; a step of providing a gospel content list linked by category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when the specific gospel template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step of allowing the gospel content to be selected for each category of the specific gospel template, and generating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by combining the gospel content and the image by category when receiving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user termin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elivering a gospel message that fits the interest of the evangelism target.

Description

맞춤형 복음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맞춤형 복음 콘텐츠 공유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METHOD FOR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USING THE SAME}A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a method for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using th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맞춤형 복음 콘텐츠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ustomized gospel content technology.

일반적으로 전도와 선교는 해당 종교를 믿지 않는 사람, 소외된 사람들을 직접 만나 복음을 전하는 대면 중심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전도와 선교는 최근 세계보건기구(WHO)에서 팬데믹(pandemic)이 선언되어 대면 활동들이 제한됨에 따라 실질적인 활동이 중단되고 있다. In general, evangelism and missions are centered on face-to-face sharing of the gospel with people who do not believe in the relevant religion and those who are marginalized. These evangelism and missionary activities are currently being suspended as face-to-face activities are restricted due to the recent declaration of a pandemic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이와 같은 비대면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맞춰 전도와 선교 활동의 변화 필요성에 따라 전단지, 광고, 포스터 또는 유투브 영상 등으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지만, 대체로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일방향적으로 복음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전도와 선교 활동으로 한계가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changes in evangelism and missionary activities in response to this new non-face-to-face environment,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with flyers, advertisements, posters, or YouTube videos, but in general, evangelism and missionary work are being conducted in one direction because the gospel message is delivered one-way to the majority of people. There are limits to missionary work.

다시 말해, 일상 속에서 복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지만, 실제 지역 교회로 연결되어 지속적인 복음을 전파하기는 어렵다.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eliver the gospel message in daily life, but it is difficult to spread the gospel continuously by being connected to an actual local church.

그러므로 비대면으로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전도하고, 그에 따른 피드백을 통해 지속적인 복음 전도가 이뤄질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ngelize customized gospel content non-face-to-face, and to provide continuous evangelism through feedback.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도 대상자의 나이, 소속 가능한 집단 그리고 심리 상태에 따른 복음 템플릿을 이용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는 맞춤형 복음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맞춤형 복음 콘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ask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customized gospel content cre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using a gospel template according to the age, possible group, and psychological state of the evangelist, and to provide a customized gospel content sha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으로서, 전도 대상자의 연령, 소속 가능한 집단, 심리 상태, 그리고 주변 상황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에 해당하는 복음 템플릿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복음 템플릿을 선택받으면,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별로 연계된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마다 복음 콘텐츠를 선택받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면, 카테고리별 복음 콘텐츠와 영상을 결합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operating method of a server for gener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the steps of providing gospel template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conditions among the age of the evangelism target, the group that can belong, the psychological state,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to the user terminal , when a specific gospel template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 list of gospel content linked to each category of the specific gospel template, receiving selected gospel content for each category of the specific gospel template, and receiving an image taken from the user terminal, the category It includes the step of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by combining the star gospel content and video.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음 콘텐츠, 복음 콘텐츠 제목 또는 코멘트, 복음 콘텐츠 재생 시간, 그리고 선호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리스트에서 상기 복음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재생 영역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미리 보기 영상 또는 미리 설정된 구간이 자동으로 재생될 수 있다. The step of providing the gospel content list includes creating a list including one or more of gospel content, gospel content title or comment, gospel content playback time, and preference, and if the gospel content is located in the playback area of the user terminal in the list, , an automatically preview image or a preset section can be automatically played.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로 맞춤형 복음 콘텐츠와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후에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결신을 위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전도 대상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a request to share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providing an event for settlement after the playback of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finished to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f the evangelist corresponding to the event for settlement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전도 대상자의 전화번호 또는 SNS ID를 입력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공유를 요청받으면, 전도 대상자의 단말로 맞춤형 복음 콘텐츠와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providing an event for settlement, when a request to share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received by inputting the evangelism target's phone number or SNS ID,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an event for settlement to the evangelism target's terminal.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맞춤형 복음 콘텐츠에 기초하여 신앙의 결신 여부를 확인하고, 신앙 결신 여부에 따른 기도문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providing an event for commitmen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faith is established based on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to provide a pray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faith.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결신 여부, 전도 대상자의 이름, 생년월일, 연락처 그리고 주소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 전도 대상자의 사진 또는 전도 대상자와 사용자가 함께 촬영한 사진, 신앙 활동 문의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사용자에 대한 감사 인사 중에서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membership status, name, date of birth, contact information, and address of the evangelist, a photo of the evangelist or a photo taken by the evangelist and the user together, and faith activity inquiry in the customized evangelistic content You may receive one or more of satisfaction for the user and thank you for the user.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음 콘텐츠마다 설정된 키워드 또는 분류번호가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별 키워드 또는 일련번호와 매칭되는 복음 콘텐츠들을 검색하고, 복음 콘텐츠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providing a gospel content list, a keyword or classification number set for each gospel content searches for gospel content that matches a keyword or serial number for each category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and sets the priority of the gospel content to create a gospel content list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전도 대상자의 연령, 소속 가능한 집단, 심리 상태, 그리고 주변 상황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에 해당하는 복음 템플릿들을 표시하는 단계, 복음 템플릿들 중에서 특정 복음 템플릿이 선택되면,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별로 연계된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마다 복음 콘텐츠를 선택받으면, 카메라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카테고리별 복음 콘텐츠와 사용자의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면 맞춤형 복음 콘텐츠와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후에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pplication that is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gospel templat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conditions among the age of the evangelist, the group that can belong, the psychological state,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When a specific gospel template is selected from among the gospel templates, a list of gospel content linked by category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is displayed. When gospel content is selected for each category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the camera is activated to The stage of filming the video, the step of sending the gospel content for each category and the user's video to the server to create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receiving the request to share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the playback of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finished. and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tep of providing an event for later association.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전도 대상자의 전화번호 또는 SNS ID를 입력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공유를 요청받으면, 전도 대상자의 단말로 맞춤형 복음 콘텐츠와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providing an event for settlement, when a request to share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received by inputting the evangelism target's phone number or SNS ID,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an event for settlement to the evangelism target's terminal.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맞춤형 복음 콘텐츠에 기초하여 신앙의 결신 여부를 확인하고, 신앙 결신 여부에 기도문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step of providing an event for commitmen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faith is established based on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to provide a prayer for the change of fai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도 대상자(태신자)의 나이, 소속 가능한 집단 또는 심리 상태 등에 기초하여 생성된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공유함으로써, 시간,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전도 대상자의 흥미에 맞는 복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haring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created based on the age of the evangelist (the evangelist), the group that can belong or the psychological state, etc., it is possible to deliver the gospel message suitable for the interest of the evangelism target outside of time and space constraints. ca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공된 맞춤형 복음 콘텐츠에 따른 피드백을 수신하여 피드백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복음 콘텐츠, 결연, 예배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전도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ceiving feedback according to the provided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providing additional gospel content, association, worship information, etc. based on the feedback, it is possible to support continuous evangelism activities.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복음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하드웨어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복음 콘텐츠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의 단말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저장, 공유 및 피드백을 받는 단말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한 실시예에 따른 태신자 단말에 공유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gener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hardware of a centra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gener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and 7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terminal screen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screen for storing, sharing, and receiving feedback customiz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hared in a Taeshinj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들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evices constituting the network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implemented as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지정된 장소에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과 성능을 가진다. 프로그램은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구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 장치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행한다.The device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sed of hardware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 memory device, a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like, and a program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the hardware is stored in a designated place. The hardware has the configuration and capability to implemen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includes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is combined with hardware such as a processor and a memory device to execute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전송 또는 제공"은 직접적인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를 통해 또는 우회 경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전송 또는 제공도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ransmission or provision” may include not only direct transmission or provision, but also transmission or provision indirectly through another device or using a detour path.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described in the singular may be construed in the singular or plural unless an explicit expression such as “a” or “single” is used.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 흐름도에서, 동작 순서는 변경될 수 있고, 여러 동작들이 병합되거나, 어느 동작이 분할될 수 있고, 특정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flowchar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order of operations may be changed, several operations may be merged, some operations may be divided, and specific operations may not be performed.

명세서에서 맞춤형 복음 콘텐츠는 복음 도시락으로도 명명이 가능하며, 복음 영상, 이미지, 음악 등으로 형성되어 선교를 위한 복합 콘텐츠를 의미한다. In the specification, customized gospel content can be named as a gospel lunch box, and it means complex content for missions formed with gospel videos, images, and music.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복음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하드웨어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gener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hardware of a centra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춤형 복음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중앙 서버(100), 중앙 서버(100)에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 및 공유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200) 그리고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수신하는 태신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generation system includes a central server 100, a user terminal 200 that requests to create and share customized gospel content from the central server 100, and a Taeshin terminal that receives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300 may be included, and they are connected to a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each other.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5G망과 같은 이동통신망, Wi-Fi 망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무선망,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network may be composed of a wired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5G network, various types of wireless networks such as a Wi-Fi network, and combinations thereof.

사용자 단말(200)은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하고자 하는 전도자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하고, 태신자 단말(300)은 복음을 전도하고자 하는 대상의 단말을 의미한다. The user terminal 200 means a terminal possessed by an evangelist who wants to create and shar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the Taeshin terminal 300 means a terminal for a target who wants to evangelize the gospel.

사용자 단말(200) 및 태신자 단말(300)은 각각 메모리 수단, 프로세서를 구비함으로써 연산 처리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 PC 단말, 노트북 단말, 키오스크 단말, 스마트 기기, 태블릿(tablet) 등이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Taeshinja terminal 300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erminals having arithmetic processing capabilities by having a memory means and a processor, respectively, and for example, a mobile terminal, a PC terminal, a notebook terminal, a kiosk terminal, a smart device, Tablets, etc.

사용자 단말(200) 및 태신자 단말(300)은 중앙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0) 및 태신자 단말(300)은 중앙 서버(100)에서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저장 및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음도시락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함으로써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Taeshinja terminal 300 may access an Internet site provided by the central server 100 to create or share customized gospel content.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Taeshinja terminal 300 can create or share customized gospel content by installing and running the gospel lunch box application that provides a function to create, store, and share customized gospel content in the central server 100. have.

중앙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instructions)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의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메모리(130), 스토리지(150), 통신 인터페이스(170)을 포함할 수 있고,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등의 하드웨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100)는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운영 체제를 비롯한 각종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The central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computing device, and may execute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described to execute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rdware of the central server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110 , a memory 130 , a storage 150 ,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170 ,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a bus. In addition, hardware such as an input device and an output devic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100 may be loaded with various software including an operating system capable of driving a program.

프로세서(110)는 중앙 서버(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을 처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고,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 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이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해당 프로그램을 로드한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 일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유/무선 통신 모듈로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server 100, and may be a processor of various types that processes instructions included in a program,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processor unit (MPU), and a microprocessor unit (MPU). ), microcontroller unit (MCU), graphic processing unit (GPU), and the like. The memory 130 loads the corresponding program so that the instructions described to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cessed by the processor 110 . The memory 130 may be, for exampl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or the like. The storage 150 stores various data, programs, etc. required to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70 i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ay interwork with an external database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중앙 서버(100)는 연령, 소속 집단, 심리 상태, 상황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의 복음 템플릿을 생성하고, 복음 템플릿에 대한 키워드, 일련번호 등을 매칭하여 연동된 데이터베이스(템플릿 DB)에 저장한다. The central server 100 creates a gospel template of various conditions such as age, group belonging, mental state, situation, etc., matches keywords, serial numbers, etc. for the gospel template and stores it in an interlocked database (template DB).

여기서 복음 템플릿은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인사말 또는 교회 소개, 찬양, 간증, 복음 메시지, 그리고 영상 편지의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로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gospel template is for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is composed of various categories. For example, it can consist of categories such as greetings or church introductions, praises, testimonies, gospel messages, and video letters. This is an example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이러한 복음 템플릿은 조건에 따라 카테고리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Also, these gospel templates can have different categories according to conditions.

중앙 서버(100)는 맞춤형 복음 템플릿을 생성하기 위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의 인증을 수행한 후, 맞춤형 복음 템플릿을 생성하는 서비스 및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100 may provide a service for generating a customized gospel template and a sharing service after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ccessed to generate a customized gospel template.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중앙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이름, 생년월일, 소속 그룹(소속 종교 이름/교회 이름 등), 주소, 이메일, 전화 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고 개인 정보 수집 동의를 선택하여 회원 가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has a name, date of birth, affiliation (religious name/church name, etc.), address, e-mail, phone number, ID, password, etc., in order to use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entral server 100. You can sign up for membership by entering and selecting consent to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회원가입을 수행하지 않은 사용자 단말(200)의 경우에는 이름, 생년월일, 그리고 전화 번호 중에서 둘 이상의 조합을 입력받으면, 사용자 단말(200)의 인증을 수행한 것으로 추정하고, 추후에 인증된 조합으로 비회원 로그인을 수행하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user terminal 200 that has not signed up as a member, if two or more combinations of name, date of birth, and phone number are input, it is assumed that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has been performed, and a non-member with a later certified combination You can use the service by logging in.

회원 가입을 수행한 경우, 중앙 서버(100)는 아이디를 기준으로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비회원 로그인으로 접속한 경우,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중에서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을 특정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membership registration is performed, the central server 100 can store customized gospel content based on ID and provide related services, and when accessing with a non-member login,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name, date of birth, and phone number By specifying the user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store customized gospel contents and provide related services.

중앙 서버(100)는 회원 또는 비회원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경우, 인증을 위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인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When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s a member or a non-member, the central server 100 stores and manages user information input for authentication in an interlocked database (personal DB).

이에 중앙 서버(100)는 회원 또는 비회원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200)로 복음 템플릿들과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별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100 provides the gospel templates and the gospel content list for each category of the gospel template to the user terminal 200 that has performed user authentication as a member or a non-member.

이때, 중앙 서버(100)는 복음 템플릿의 조건, 카테고리별로 다양한 복음 콘텐츠들을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콘텐츠 DB)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미리 저장된 복음 콘텐츠 이외에도 온라인에 게재된 복음 콘텐츠를 이용하여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별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entral server 100 may store and manage various gospel contents for each condition and category of the gospel template in an interlocking database (content DB). The central server 100 may generate a gospel content list for each category of the gospel template by using the gospel content posted online in addition to the gospel content stored in advance.

그리고 중앙 서버(100)는 특정 복음 템플릿에 대한 카테고리별 복음 콘텐츠가 모두 링크되면, 맞춤형 복음 콘텐츠로 생성하고 저장한다. And, when all the gospel contents for each category for a specific gospel template are linked, the central server 100 creates and stores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공유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 또는 입력받은 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태신자 단말(300)로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100 may share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large child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large child according to the sharing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200 .

이때, 중앙 서버(100)는 맞춤형 복음 콘텐츠가 공유되면,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entral server 100 may provide an event for settlement when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shared.

결신을 위한 이벤트는 결신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기도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결심을 위한 메시지에 대응하여 결신을 희망하는 태신자의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주소 중에 둘 이상의 태신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이처럼 입력된 태신자 정보를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인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In the event for marriag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agreement is established and provide a prayer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In this case, in response to the message for decision, information of two or more fetuses among the name, date of birth, phone number, and address of the fetus who wishes to form a relationship may be input. The central server 100 stores and manages the input taesinja information in an interlocked database (human DB).

이외에도 중앙 서버(100)는 별도로 교회 정보를 요청받으면, 저장된 교회 정보 또는 온라인을 통해 해당 교회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00) 또는 태신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receiving a separate request for church information, the central server 100 may search for the stored church information or the corresponding church information online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Taeshin terminal 300 .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 또는 태신자 단말(300)로부터 교회 교리 시간 또는 예배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으면, 중앙 서버(100)는 교회 교리 시간 또는 예배 시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교리 시간 또는 예배 시간에 맞춰 약 30분 전에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 전송 시간은 추후에 용이하게 변경 및 설정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information on church doctrine time or worship time, etc. from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juvenile terminal 300, the central server 100 provides the church doctrine time or worship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 doctrine time or worship time You can set a notification message to be sent approximately 30 minutes prior to The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time can be easily changed and set later.

이때, 교회의 교리 시간 또는 예배가 비대면으로 진행될 경우, 중앙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해당 시간에만 접속이 가능하거나 참여가 가능한 교리 URL 또는 예배 URL을 포함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church's doctrinal time or worship is conducted non-face-to-face, the central server 10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the doctrinal URL or worship URL that can be accessed or participated only at that time in real time.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 또는 태신자 단말(300)은 수신한 알림 메시지의 URL을 선택하여 비대면으로 교리 또는 예배에 참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Taeshin-ja terminal 300 may select the URL of the received notification message to participate in the doctrine or worship non-face-to-face.

한편, 중앙 서버(100)는 태신자 정보를 관리하여, 일정 기간에 거쳐 복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200)에 기간별 전도 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server 100 may provide evangelism matters for each period to the user terminal 200 so that the evangelistic message can be delivered over a certain period by managing the information on the taeshinja.

예를 들어 맞춤형 복음 메시지를 전달한 후, 전도 대상자의 결신에 대한 의견이 보류에 해당되는 경우, 1차 기간이 지난 후에 안부 인사와 함께 맞춤형 복음 메시지를 전달할 것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습니다. For example, after delivering a customized gospel message, if the opinion on the decision of the evangelist is on hold, a message recommending delivery of a customized gospel message along with greetings after the first period has elapsed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200 can provide.

이처럼, n차에 걸쳐 전도 대상자에 대해 복음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매뉴얼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습니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manual to deliver the gospel message to the evangelist over n times.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앙 서버(100)에 접속한 상태에서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gener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while the us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through a site or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복음 콘텐츠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gener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서버(100)는 다양한 조건의 복음 템플릿들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S101). 3, the central server 100 provides gospel templates of various conditions to the user terminal 200 (S101).

복음 템플릿은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카테고리들을 포함하는 템플릿으로, 다양한 조건에 따른 키워드 또는 일련번호가 설정된다. The gospel template is a template that includes categories for provid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keywords or serial numbers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are set.

예를 들어, 연령 조건에 따라 복음 템플릿이 청년, 장년, 노년 등으로 구분되는 경우, 청년 복음 템플릿(청년 도시락 만들기)와 같이 네이밍 되며, 청년, 청년부, 20대, 30대, 학생 등과 같은 키워드가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연령 조건에 따른 청년 복음 템플릿에는 A01, 장년 복음 템플릿에는 A02, 노년 복음 템플릿에는 A03 등과 같은 일련 번호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일련 번호 구성은 관리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및 설정이 가능하다. For example, if the gospel template is divided into youth, seniority, and old age according to age conditions, it is named like the youth gospel template (making a lunch box for youth), and keywords such as youth, youth group, 20s, 30s, students, etc. can be set. Alternatively, serial numbers such as A01 for youth gospel template, A02 for adult gospel template, and A03 for old age gospel template can be set according to age conditions, and the serial number configuration can be easily changed and set by an administrator.

이에 중앙 서버(100)는 각 복음 템플릿을 조건에 기초하여 네이밍된 복음 템플릿들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100 may provide gospel templates named based on the conditions for each gospel template.

사용자 단말(200)은 태신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복음 템플릿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복음 템플릿을 중앙 서버(100)로 요청한다(S103). The user terminal 200 selects a specific gospel template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f the new person, and requests the selected specific gospel template to the central server 100 (S103).

사용자 단말(200)은 전도 대상자인 태신자에 대응하여 가장 맞는 조건의 복음 템플릿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조건의 복음 템플릿을 특정 복음 템플릿으로 선택하여 중앙 서버(100)로 전송한다. When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the gospel template of the most suitable condition in response to the evangelism target Taeshin, it selects the gospel template of the input condition as a specific gospel template and transmits it to the central server 100 .

중앙 서버(100)는 특정 복음 템플릿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S105). The central server 100 provides a specific gospel template to the user terminal 200 (S105).

중앙 서버(100)는 특정 복음 템플릿에 대응하여 카테고리를 리스트로 제공한다. The central server 100 provides a list of categorie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gospel template.

이때,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는 목적에 대응되는 키워드들 또는 일련 번호를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keywords or serial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category may be set.

예를 들어, 카테고리는 인사말 및 교회 소개, 찬양, 간증, 복음 메시지 그리고 영상 편지로 구성되면, 영상 편지를 제외한 카테고리에는 각각 키워드 또는 일련 번호를 설정된다. 다시 말해, 인사말 및 교회 소개에는 소개, 인사말, 교회명 등이 키워드로 설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청년 복음 템플릿(청년 도시락 만들기)의 인사말 및 교회 소개에는 청년 복음 템플릿의 키워드와 인사말 및 교회 소개의 키워드 조합으로 청년부 소개, 20대 인사말, 청년 인사말 등이 키워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청년 복음 템플릿의 일련 번호 A01에 추가적으로 인사말 및 교회 소개에는 A011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category is composed of greetings, church introduction, praise, testimonies, gospel messages, and video letters, a keyword or serial number is set in each category except for video letters. In other words, introduction, greeting, church name, etc. can be set as keywords in greeting and church introduction, and accordingly, in the greeting and church introduction of the youth gospel template (making a youth lunch box), keywords of the youth gospel template, greetings and church introduction As a keyword combination, introduction to the youth club, greetings in their 20s, greetings for youth, etc. can be set as keywords. Alternatively, in addition to the serial number A01 of the youth gospel template, it may be set to A011 for greetings and church introductions.

다시 말해, 각 복음 템플릿의 조건별,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마다의 목적별로 키워드 또는 일련번호가 설정된다. In other words, keywords or serial numbers are set for each condition of each gospel template and for each purpose of each category of the gospel template.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를 선택한다(S107). Next, the user terminal 200 selects a category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S107).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복음 템플릿에 포함된 하나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복음 콘텐츠를 중앙 서버(100)로 요청한다. When one category included in a specific gospel template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200 requests gospel content for the selected category to the central server 100 .

중앙 서버(100)는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에 설정된 키워드 또는 일련번호를 기초하여 복음 콘텐츠들을 검색한다(S109). The central server 100 searches for gospel contents based on a keyword or serial number set in a category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S109).

이때, 중앙 서버(100)는 이전 시점에 복음 콘텐츠들을 분류하여 복음 템플릿의 조건, 카테고리의 목적에 맞게 각 키워드 또는 일련번호를 설정하여 복음 콘텐츠 DB에 저장한다. At this time, the central server 100 classifies the gospel contents at a previous point in time, sets each keyword or serial number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gospel template and the purpose of the category, and stores it in the gospel contents DB.

이에 중앙 서버(100)는 특정 복음 템플릿에 설정된 키워드 또는 일련번호와 일치하는 키워드 또는 일련 번호를 가지는 복음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100 may search for gospel content having a keyword or serial number that matches a keyword or serial number set in a specific gospel template.

이외에도 중앙 서버(100)는 온라인에 게재된 복음 콘텐츠의 해시태그와 특정 복음 템플릿에 설정된 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해당 복음 콘텐츠의 링크를 수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100 compares the hashtag of the gospel content posted online with the keyword set in a specific gospel template and, if they match, may collect the link of the gospel content.

이때, 중앙 서버(100)는 온라인에 게재된 복음 콘텐츠를 이용할 경우, 별도로 재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서버(100)는 온라인에 게재된 복음 콘텐츠의 저작권 여부를 확인하고, 저작권에 자유로운 복음 콘텐츠에 대해서, 일부 구간만을 발췌하는 등의 재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entral server 100 may separately re-edit the gospel content posted online. For example, the central server 100 may check whether the gospel content posted online is copyrighted, and re-edit the gospel content free of copyright, such as extracting only some sections.

다시 말해, 중앙 서버(100)는 내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복음 콘텐츠 이외에도 복음 콘텐츠의 조건과 카테고리의 목적에 맞는 온라인에서 오픈된 복음 콘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central server 100 may collect gospel content that is opened online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of the gospel content and the purpose of the category in addition to the gospel content managed internally.

중앙 서버(100)는 검색된 복음 콘텐츠들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S111). The central server 100 provides a list of the found gospel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200 (S111).

중앙 서버(100)는 수집된 복음 콘텐츠를 복음 템플릿의 조건을 기준으로 선택된 횟수, 만족도, 조회수, 추천순 등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100 may generate a list by setting the priority of the collect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based on the conditions of the gospel template, satisfaction, number of views, recommendation order, and the like.

예를 들어, 청년 복음 템플릿(청년 도시락 만들기)의 경우, 청년들이 많이 조회한 복음 콘텐츠 순서대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youth gospel template (making a lunch box for youth), a list can be created in the order of the gospel content that young people searched a lot.

그리고 실제 사용자 단말(200)에서 해당 복음 콘텐츠를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복음 콘텐츠와, 복음 콘텐츠에 대한 제목 또는 간단한 설명, 전체 시간, 선호도 그리고 복음 콘텐츠를 템플릿에 담기 위한 선택 영역이 형성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terface is provided in which a selection area is formed to include the gospel content, a title or brief description of the gospel content, total time, preference, and gospel content in the template so that the user can check and select the gospel content in the actual user terminal 200 can do.

예를 들어 복음 콘텐츠가 영상인 경우, 복음 콘텐츠의 재생 버튼을 통해 실제 복음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복음 콘텐츠의 재생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200) 화면의 재생 영역에 복음 콘텐츠 영상이 위치하거나 입력 신호가 해당 복음 콘텐츠 영역에 위치하면 미리 보기 영상 또는 미리 설정된 구간 영상이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gospel content is a video, you can watch the actual gospel content through the play button of the gospel content, or the gospel content video is located in the playback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even if you do not press the play button of the gospel content When the input signal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gospel content area,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lay a preview image or a preset section image.

그리고 재생되는 복음 콘텐츠의 음성에 기초하여 복음 콘텐츠 내부 또는 외부 영역에 한글 자막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based on the voice of the reproduced gospel content, it can be set to be displayed as Korean subtitles in an area inside or outside the gospel content.

또한, 복음 콘텐츠를 간단한 제목, 설명, 재생 시간 등의 간략한 정보가 기재된 리스트로 제공하고, 해당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복음 콘텐츠를 선택하면, 앞서 설명한, 임시적으로 선택된 복음 콘텐츠의 재생, 설명, 그리고 템플릿에 담기 위한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ospel content is provided as a list with brief information such as a simple title, description, and playback time, and when one gospel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list, the previously described, temporarily selected gospel content playback, description, and template are displayed. An interface including a selection area to contain may be provided.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마다 복음 콘텐츠를 선택한다(S113). Next, the user terminal 200 selects the gospel content for each category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S113).

사용자 단말(200)은 중앙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에 따라 카테고리마다 동일한 방식으로 복음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may select the gospel content in the same manner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interface provided by the central server 100 .

다시 말해, 특정 복음 템플릿에서 복음 콘텐츠를 선택해야 하는 카테고리에 모두 복음 컨텐츠가 선택될 때까지 S107 단계로 회귀하여 S113 단계까지를 반복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turn to step S107 and repeat up to step S113 until all gospel contents are selected in the categories in which the gospel contents need to be selected from a specific gospel template.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카메라를 구동하여 실시간 촬영한 영상 또는 저장된 영상을 선택한다(S115). Next, the user terminal 200 drives the camera and selects an image captured in real time or a stored image ( S115 ).

특정 복음 템플릿의 마지막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영상 편지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카메라를 구동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For a video letter corresponding to the last category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the user terminal 200 may drive a camera to capture the user's video in real time.

이때, 설정된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전체 용량에 기초하여 촬영 영상의 해상도, 크기, 시간 등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편지의 시간, 용량을 일정한 임계치를 기준으로 제한하거나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전체 용량을 기준으로 선택된 복음 콘텐츠들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제1 값을 가지면 영상 편지의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제한할 수 있고, 선택된 복음 콘텐츠들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값을 가지면 영상 편지의 시간을 상대적으로 좀더 긴 시간으로 제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solution, size, time, etc. of the captured image may be limited based on the total capacity of the set customized gospel content. For example, if the time and capacity of the video letter are limited based on a certain threshold or the volume of gospel contents selected based on the total capacity of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has a relatively large first value, the time of the video letter is relatively short And, if the selected gospel contents have a relatively small second value, the time of the video message can be limited to a relatively longer time.

이처럼 복음 콘텐츠들이 일정한 시간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길거나 짧은 시간으로 복음 콘텐츠들이 생성될 경우,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전체 용량을 위해 영상 편지의 시간,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gospel contents can be set to have a certain time, but in some cases, when the gospel contents are generated in a relatively long or short time, the time and capacity of the video letter can be adjusted for the full capacity of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s.

이처럼 사용자 단말(200)은 실시간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을 영상 편지로 선택받을 수 있다. As such,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n image captured by a real-time user as a video letter.

한편, 사용자 단말(200)에 연동되는 카메라가 없거나 이전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이 있다면, 미리 저장된 영상을 선택받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camera interlock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or there is an image captured at a previous point in time, a pre-stored image may be selected.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카테고리별 복음 콘텐츠와 선택한 영상을 결합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 저장을 중앙 서버(100)로 요청한다(S117). Next, the user terminal 200 requests the central server 100 to store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by combining the gospel content for each category and the selected image (S117).

그러면 중앙 서버(100)로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 저장한다(S119). Then, the central server 100 stores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S119).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기초하여 아이디 또는 비회원 인증 정보에 연계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100 may store customized gospel contents in connection with ID or non-memb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terminal 200 .

이때, 사용자 단말(200)에서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제목을 설정한 경우, 해당 제목에 연계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저장한다. At this time, when the title of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set in the user terminal 200,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stored in connection with the title.

여기서, 중앙 서버(100)는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특정 복음 템플릿 형태로 저장하여,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별로 선택하면, 링크된 영상을 재생하도록 사용자 단말(200) 또는 태신자 단말(300)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중앙 서버(100)는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카테고리별 복음 콘텐츠와 선택한 영상(영상 편지)를 결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Here, the central server 100 stores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in the form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and when selected by category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provides 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Taeshin terminal 300 to play the linked image. can do. Alternatively, the central server 100 may combine the gospel content for each category of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the selected image (video letter) to create one image.

다시 말해, 중앙 서버(100)는 하나의 영상이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 순서에 따라 영상이 이어서 사용자 단말(200) 또는 태신자 단말(300)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central server 100 may allow one image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new born child terminal 300 in succession to one image according to the category order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저장된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재생하여 태신자에게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haring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to the new born child by playing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연계된 저장된 맞춤형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한다(S201). As shown in FIG. 4 , the central server 100 provides a stored customized gospel content list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 S201 ).

이때, 중앙 서버(100)는 임의의 태신자의 연령, 소속 집단, 심리 상태 또는 주변 상황 등에 기초하여 미리 만들어진 추천 복음 콘텐츠(추천 도시락)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추천 복음 콘텐츠는 임의의 태신자를 위해 각 조건에 맞는 복음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콘텐츠로, 주로 관리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entral server 100 may display a list of pre-made recommended gospel contents (recommended lunch boxes) based on the age, group belonging to, psychological state, or surrounding circumstances of any fetus. Recommended gospel content is content generated based on gospel content that meets each condition for any novice, and may be mainly generated by an administrator.

그러면 사용자 단말(200)은 태신자를 위한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 선택한다(S203). Then, the user terminal 200 selects a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for the Taeshin (S203).

사용자 단말(200)은 리스트 내에서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추천 복음 콘텐츠(추천 도시락)의 리스트에서 특정 추천 복음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may select a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from the list or select a specific recommended gospel content from a list of recommended gospel content (recommended lunch box).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중앙 서버(100)로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요청한다(S205). Next, the user terminal 200 requests a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to the central server 100 (S205).

이에 중앙 서버(100)는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S207).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100 provides a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S207).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요청한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재생한다(S209)When the central server 100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the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terminal 200 plays the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S209)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 재생이 완료되는 경우, 결신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S211).And,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completed, the user terminal 200 displays a screen for settlement (S211).

여기서 결신을 위한 화면에서는 태신자의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시청한 후에 신앙 생활에 참여하고 싶은 지, 복음 콘텐츠를 더 시청하고 싶은 지, 또는 선택을 보류하고 싶은 지 등에 대한 의견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이 구성된다. Here, on the screen for commitment, the screen is configured so that you can select your opinion on whether you want to participate in the Christian life, watch more gospel content, or withhold your choice after watching the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of the novice. do.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 재생에 따른 태신자의 피드백 정보 입력받아 중앙 서버(100)로 전송한다(S213)And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the input of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Taeshin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f a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transmits it to the central server 100 (S213)

사용자 단말(200)은 S211 단계에서의 문의한 결신에 대한 태신자의 의견과 함께, 태신자의 이름, 생년월일, 연락처 그리고 주소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date of birth, contact information, and address of the new person along with the person's opinion on the decision made in step S211.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를 이모티콘, 점수, 간단한 코멘트 등으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결신을 신청함과 동시에 교회의 교리 시간 정보, 예배 시간 정보, 교회에 소속된 집단 활동 문의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can receive the satisfaction of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as emoticons, scores, simple comments, etc., and at the same time applying for a breakup, church doctrine time information, worship time information, and group activities belonging to the church Inquiries, etc. can be entered.

또한, 전도자인 사용자와 전도 대상자인 태신자간의 함께 사진을 촬영하거나 태신자만 사진촬영을 수행하여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vangelist user and the evangelist can take a picture together, or only the evangelist can take a picture and transmit the picture.

이때, 실시간 사진 촬영이외에도 이전 시점에 촬영되어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여 중앙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addition to real-time picture taking, a picture taken and stored at a previous point in time may be se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받은 정보들을 중앙 서버(100)로 전달하면,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연계하여 태신자의 피드백 정보를 저장한다(S121). When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central server 100 , the central server 100 stores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fetus in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 S121 ).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연계하여 해당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와 전달받은 태신자의 피드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100 may be link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store the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the received feedback information of the new believer.

그리고 중앙 서버(100)는 태신자의 피드백 정보 중에서 수신한 사진을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100 may publish a photo received from among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fetus in an online community.

여기서, 온라인 커뮤니티는 해당 교회에서 관리되는 커뮤니티로 비회원인 경우, 접근이 제한될 수 있다. Here, the online community is a community managed by the church, and access may be restricted in the case of non-members.

또한, 중앙 서버(100)는 태신자의 피드백 정보 중에서 교회의 교리 시간 정보, 예배 시간 정보, 교회에 소속된 집단 활동 문의 등이 포함된 경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온라인에 게재된 교회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central server 100 includes church doctrine time information, worship time information, group activity inquiry belonging to the church, etc. among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new believer, the central server 100 searches the stored database or the church information posted online to the user terminal (200) can be provided.

이때, 사용자 단말(200)이외에 태신자 단말(300)로도 해당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 the corresponding data may be provided to the Taeshinja terminal 300 .

이하에서는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태신자 단말(300)에 전달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haring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by delivering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to the Taeshinja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연계된 저장된 맞춤형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한다(S301). As shown in FIG. 5 , the central server 100 provides a stored customized gospel content list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 S301 ).

이때, 중앙 서버(100)는 임의의 태신자의 연령, 소속 집단, 심리 상태 또는 주변 상황 등에 기초하여 미리 만들어진 추천 복음 콘텐츠(추천 도시락)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entral server 100 may display a list of pre-made recommended gospel contents (recommended lunch boxes) based on the age, group belonging to, psychological state, or surrounding circumstances of an arbitrary child.

사용자 단말(200)은 태신자를 위한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 선택한다(S303). The user terminal 200 selects a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for the young man (S303).

사용자 단말(200)은 리스트 내에서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추천 복음 콘텐츠(추천 도시락)의 리스트에서 특정 추천 복음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may select a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from the list or select a specific recommended gospel content from a list of recommended gospel content (recommended lunch box).

사용자 단말(200)은 태신자 정보를 입력하여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공유를 요청한다(S305) The user terminal 200 requests sharing of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s by inputting Taeshin information (S305)

여기서, 태신자 정보는 이름, 전화번호, 어플리케이션 ID, SNS 종류, SNS ID 등과 같이, 태신자 단말(300)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Here, Taeshin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that can specify the Taeshin terminal 300, such as a name, a phone number, an application ID, an SNS type, an SNS ID, and the like.

중앙 서버(100)는 전달받은 태신자 단말(300)로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공유한다(S307). 이때,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공유 확인 메시지를 전달한다(S309).The central server 100 shares the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with the delivered terminal 300 (S307). At this time, the central server 100 transmits a confirmation message for sharing the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S309).

중앙 서버(100)는 SNS 종류를 입력받은 경우, 해당 SNS로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URL을 전달하고, 전화버호만을 입력받은 경우, 문자 메시지를 통해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URL을 전달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100 may deliver the URL of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to the corresponding SNS when the type of SNS is input, and when only the phone number is input, the URL of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can be delivered through a text message.

그러면, 태신자 단말(300)은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재생한다(S311). 그리고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 재생이 완료되는 경우, 태신자 단말(300)은 결신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S313). Then, the Taeshinja terminal 300 plays a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S311). And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completed, the Taeshinja terminal 300 displays a screen for connection (S313).

여기서 결신을 위한 화면에서는 태신자의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시청한 후에 신앙 생활에 참여하고 싶은 지, 복음 콘텐츠를 더 시청하고 싶은 지, 또는 선택을 보류하고 싶은 지 등에 대한 의견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이 구성된다. Here, on the screen for commitment, the screen is configured so that you can select your opinion on whether you want to participate in the Christian life, watch more gospel content, or withhold your choice after watching the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of the novice. do.

또한, 태신자 단말(300)에서 사진촬영을 수행하거나 미리 촬영된 사진을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aeshinja terminal 300 may display a screen for taking a picture or selecting a picture taken in advance.

이후 태신자 단말(300)은 피드백 정보를 입력받아 중앙 서버(100)로 전송한다(S315). Thereafter, the Taeshinja terminal 300 receives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entral server 100 (S315).

피드백 정보는 S313 단계에서의 문의한 결신에 대한 태신자의 의견, 태신자의 이름, 생년월일, 연락처 그리고 주소 등과 같은 정보, 태신자의 사진, 교회의 교리 시간 정보, 예배 시간 정보 등과 같은 교회 활동 문의,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해당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보내준 사용자에 대한 감사 인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eedback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unborn child’s opinion on the inquiry in step S313, the child’s name, date of birth, contact information and address, church activity inquiries such as the child’s photo, church doctrine time information, worship time information, etc., and specific customization This may include satisfaction with the gospel content, and thank you to users for sending that particular customized gospel content.

그러면, 중앙 서버(100)로 태신자의 피드백 정보를 저장한다(S317). Then, the central server 100 stores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taesin (S317).

중앙 서버(100)는 수신한 촬영 사진을 사용자 단말(200) 또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제공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100 may provide the received photographed picture to the user terminal 200 or an online community.

이때, 중앙 서버(100)는 피드백 정보에 문의 사항이 있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온라인에 게재된 교회 정보를 검색하여 태신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re is a question about the feedback information, the central server 100 may search a stored database or online church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juvenile terminal 300 .

또한, 태신자 단말(300)로부터 특정 교리 또는 특정 예배에 참여 의사를 입력받은 경우, 중앙 서버(100)는 해당 교리 시간 또는 예배 시간에 대해 약 30분 전에 알림 메시지를 태신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 전송 시간은 추후에 용이하게 변경 및 설정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receiving an input of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specific doctrine or a specific worship service from the fetus terminal 300, the central server 100 may deliver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doctrinal terminal 300 about 30 minutes prior to the doctrinal time or worship time. have. The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time can be easily changed and set later.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교리 시간 또는 예배 시간에 대한 알림 메시지와 함께,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경우, 참여 가능한 URL, 화상 채팅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a participation URL, video chatting code, etc., in case of non-face-to-face, together with a notification message for doctrine time or worship time.

다음으로 중앙 서버(100)로 태신자의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과 공유한다(S319). Next, the central server 100 shares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Taeshin with the user terminal 200 (S319).

중앙 서버(100)는 특정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전달 완료에 대한 메시지와 함께 태신자의 피드백 정보 중에서 결신에 대한 의견을 사용자 단말(200)과 공유할 수 있다. 또는 중앙 서버(100)는 태신자의 피드백 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200)로의 감사 인사가 있는 경우, 해당 감사 인사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100 may share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 opinion about the decision among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new believer together with a message about the completion of delivery of specific customized gospel content. Alternatively, when there is a thank-you note to the user terminal 200 among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new person, the central server 100 may deliver the corresponding thank-you note to the user terminal 200 .

다시 말해, 중앙 서버(100)는 태신자의 피드백 정보 중에서 보안이 필요한 개인 정보 이외에 일부를 사용자 단말(200)과 공유하거나 온라인 커뮤니티에 공유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central server 100 may share a part of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fetus in addi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requiring security with the user terminal 200 or share it with an online community.

도 6 및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의 단말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6 and 7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terminal screen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의 (a)는 사용자 단말(200)은 중앙 서버(100)가 제공하는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 (b)는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본인 인증 화면, 그리고 (c)는 복음 템플릿 리스트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6 (a) is a user terminal 200 is a main screen of a site or application provided by the central server 100, (b) is a self-certification screen for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c) is a gospel template Displays the screen displaying the list.

도 6의 (a)와 같이 메인 화면을 통해 맞춤형 복음 콘텐츠(이하에서는 복음도시락으로 명칭함)의 안내 메시지와 함께 성경 구절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복음도시락 시작하기 영역을 선택받으면, 다음 도 6의 (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As shown in (a) of FIG. 6 , a Bible verse may be displayed along with a guide message for customized gospel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ospel lunch box) through the main screen. Here, when the user selects the starting area for the Gospel Lunch box, a screen as shown in FIG. 6 (b) is displayed.

이때, 복음도시락을 시작하기 위해 개인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 가입을 수행한 후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으나 회원가입 절차없이 간단한 인적사항(이름, 생년월일, 휴대전화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할 수 있다. At this time, you can log in after entering personal information to start the Gospel Lunchbox, but you can authenticate the user by entering simple personal information (name, date of birth, mobile phone, etc.) without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복음도시락에 대한 설명과 함께 사용법에 대한 영상, 이미지, 글 등을 팝업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vide a video, image, text, etc. on how to use the Gospel lunch box in a pop-up form.

다시 말해, 화면에 표시된 복음 도시락 사용법 보기의 영역을 선택받으면,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영역에 링크된 웹페이지, 동영상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upon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area for viewing the gospel lunch box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web page, a video, etc. linked to the corresponding area on the screen.

이와 같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면, 도 6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복음도시락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복음 템플릿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When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user terminal 200 displays a list of various gospel templates that can create a gospel lunch box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6(c).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200)은 전도 대상자의 연령, 소속 가능한 집단, 전도 대상자의 심리 상태, 주변 상황 등과 같은 조건 따라 미리 구축된 복음 템플릿들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In detail,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vide a list of pre-constructed gospel templates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the age of the evangelist, a group that can belong,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evangelist, and surrounding circumstances.

예를 들어 복음 템플릿은 연령별로, 중등부, 청년, 장년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소속 가능한 집단으로 대학, 주일 학교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복음 템플릿은 전도 대상자의 심리적 어려움, 관계의 어려움, 육체적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위로가 필요한 상황, 신앙 생활과 멀어진 교인의 상황 등과 같은 주어진 상황에 따른 심리 상태 또는 주변 상황에 기초하여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하나의 예시로 보다 구체적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gospel template may be classified by age, middle school, youth, seniors, etc., and may be classified as a group that can belong to, such as a university or a Sunday school. In addition, the gospel template can be classified based on the psychological state or surrounding circumstances according to the given situation, such as psychological difficulties, relationship difficulties, physical difficulties, economic difficulties, situations in need of comfort, and the situation of church members who have separated from their religious life. have. These criteria may be more specifically subdivided as an example.

이와 같이, 전도 대상자의 조건에 따른 복음 템플릿은 각 조건에 해당하는 키워드들 또는 일련 번호가 매칭되어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gospel templat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evangelist may be set by matching keywords or serial numbers corresponding to each condition.

예를 들어, 중등부 복음 템플릿은 중학교, 고등학교, 10대 등과 같은 키워드들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의 키워드는 복음 템플릿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관리자가 직접 설정하거나 해당 연령대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을 키워드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iddle school gospel template may be stored by matching keywords such as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teenagers. The keyword here can be set directly by the administrator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gospel template, or words frequently used in the age group can be set as keywords.

또는 복음 템플릿들에 대해서 각각 특정할 수 있는 일련번호가 매칭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 serial number that can be specified for each gospel template may be matched.

한편, 도 7의 (a)는 특정 복음 템플릿에 대한 카테고리를 표시한 화면, (b)는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별로 선택 가능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화면 그리고 (c)는 사용자가 전도 대상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영상 편지를 생성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in Fig. 7 (a) is a screen displaying categories for a specific gospel template, (b) is a screen providing selectable content for each category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and (c) is a screen for the user to deliver to the evangelism target Displays the screen to create a video letter.

도 7의 (a)와 같이, 특정 복음 템플릿은 인사말과 교회 소개, 찬양, 간증 및 마음 열기, 복음 메시지 그리고 영상 편지 등과 같은 카테고리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7 (a), a specific gospel template is composed of categories such as greetings, church introduction, praise, testimonies and open hearts, gospel messages, and video letters.

복음 템플릿들은 공통적으로 동일한 카테고리들로 구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사말과 교회 소개, 찬양, 간증 및 마음 열기, 복음 메시지 그리고 영상 편지의 카테고리 이외에도 복음 템플릿의 기준에 기초하여 카테고리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Gospel templates are commonly composed of the same categories,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categories of Greetings and Church Introduction, Praise, Testimony and Heartbreak, Gospel Messages, and Video Letters, you can add or change categories based on the criteria of the Gospel Template.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마다는 각 목적에 맞는 키워드들 또는 일련 번호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For each category of the gospel template, keywords or serial numbers suitable for each purpose are matched and stored.

예를 들어, 장년 복음 템플릿의 찬양 카테고리에 설정된 키워드들, 또는 일련 번호에 기초하여 중앙 서버(100)는 장년층을 위한 찬양 콘텐츠를 수집하여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keywords or serial numbers set in the praise category of the gospel template for the elderly, the central server 100 may collect praise content for the elderly and provide it as a list.

이때, 콘텐츠들도 동일하게 키워드들 또는 일련 번호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 서버(100)는 각 일련번호 중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의 번호가 동일한 콘텐츠들을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중앙 서버(100)는 동일한 키워드를 기준으로 콘텐츠들을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ontents are stored by matching keywords or serial numbers in the same way, the central server 100 collects contents having the same number of a preset position among each serial number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200 . have. Alternatively, the central server 100 may collect contents based on the same keyword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200 .

사용자 단말(200)에서 특정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중앙 서버(100)로부터 선택된 특정 카테고리에 연계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도 7의 (b)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When a specific category is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200, content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specific category may be received from the central server 100 and displayed as shown in FIG. 7(b).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나열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며, 특정 콘텐츠를 특정 카테고리에 링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reproduce the listed contents, and may set specific contents to be linked to a specific category.

또한, 도 7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전도 대상자를 위한 영상 편지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c) of Figure 7, by driving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200 can generate an image letter for the fall target.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영상 편지의 미리 설정된 최대 시간 이내에 작성되도록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notification message to be written within a preset maximum time of the video letter.

도 8은 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한편, 도 8의 (a)는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별로 콘텐츠를 모두 선택한 화면, (b)는 완성본의 복음도시락 및 이전 시점에서 저장한 복음도시락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면, 그리고 (c)는 복음도시락을 공유한 후 피드백을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in Fig. 8 (a) is a screen where all content is selected by category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b) is a screen showing the gospel lunch box of the complete version and a list of gospel lunch boxes saved at a previous time, and (c) is a gospel lunch box After sharing, the screen for inputting feedback is displayed.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에 복음 콘텐츠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는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선택 완료 아이콘이 각 카테고리의 영역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마다 선택 완료 아이콘이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복음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는 삭제 아이콘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8 , when gospel content is selected in a category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a selection completion icon indicating that it has been selected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be overlapped in the area of each category. . In addition, a selection completion icon may be displayed for each category, and a delete icon for deleting the corresponding gospel content may also be displayed.

이에 삭제 아이콘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복음 콘텐츠의 링크를 삭제하고, 선택 완료 아이콘을 제거된 상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delete icon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200 may delete the link of the corresponding gospel content and display a screen in which the selection completion icon is removed.

사용자 단말(200)은 카테고리마다 선택 완료 아이콘이 표시되고 도시락 저장 요청을 선택받으면, 각 카테고리마다 링크된 복음 콘텐츠가 담긴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저장되도록 중앙 서버(100)에 요청한다. When a selection completion icon is displayed for each category and a lunch box storage request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200 requests the central server 100 to store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including the linked gospel content for each category.

다음 도 8의 (b)를 보면, 사용자 단말(200)은 이전 시점에서 태신자 대상으로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b) of FIG. 8 , the user terminal 200 may check a list in which customized gospel content has been created for Taeshin people at a previous point in time.

또는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복음 템플릿에 대해 직접 복음 콘텐츠를 선택하지 않아도, 임의의 태신자의 연령, 소속 집단, 심리 상태 또는 주변 상황 등에 기초하여 미리 만들어진 추천 도시락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list of pre-made recommended lunch boxes based on the age, affiliation group, psychological state, or surrounding circumstances of any novice without directly selecting the gospel content for a specific gospel template.

여기서, 추천 도시락(추천 복음 콘텐츠)는 주로 관리자에 의해 생성되지만, 추천수 또는 만족도가 높은 특정 태신자를 위한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경우, 마지막 영상 편지를 제외하고, 추천 도시락으로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recommended lunch box (recommended gospel content) is mainly generated by the administrator, but in the case of customized gospel content for a specific novice with a high number of recommendations or satisfaction, it may be set as a recommended lunch box, except for the last video letter.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추천 도시락이 선택되면, 공유하고자 하는 태신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추천 도시락을 태신자 단말(300)과 공유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a specific recommended lunch box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Taeshin to share and share the recommended lunch box with the Taeshin terminal 300 .

또는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추천 도시락이 선택되면, 태신자를 위한 영상 편지를 촬영하도록 하는 단계를 거쳐 공유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a specific recommended lunch box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200 may share it through a step of shooting a video letter for the new born child.

다시 말해, 특정 추천 도시락의 카테고리에 연계된 복음 콘텐츠가 자동으로 복사된 새로운 복음 템플릿이 생성되고, 마지막으로 태신자에게 전하는 영상 편지를 생성함으로써, 태신자를 위한 맞춤 복음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 new gospel template in which the gospel content linked to the category of a specific recommended lunch box is automatically copied is created, and finally, by creating a video letter to the new person, customized gospel content for the new person can be created.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신을 위한 페이지를 통해 신앙의 결단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한다. As shown in (c) of FIG. 8 , a screen is provided to receive input whether or not to make a decision of faith through the page for decision.

예를 들어, 결단하기(예수님을 나의 구주로 믿습니다), 복음 요청하기(복음을 더 듣기 원합니다), 보류하기(조금 더 생각해보겠습니다)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creen can be configured so that you can choose to make a decision (I believe in Jesus as my Savior), request the gospel (I want to hear more of the gospel), or hold back (I will think about it a little more).

그리고 해당 결단 여부에 대한 선택을 입력하면, 해당 입력된 선택에 대응하는 기도문이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a selection regarding whether to make a corresponding decision is input, a prayer text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selection may be displayed.

예를 들어 결단하기가 선택되면, 결심 감사 기도문이 표시되고, 복음 요청하기가 선택되면, 맞춤형 복음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화면으로의 전환이 되거나 다양한 복음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보류하기가 선택되면, 태신자의 가정과 삶을 위한 감사 기도문이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making a decision is selected, a prayer of thanksgiving for determination is displayed, and when requesting the gospel is selected, it can be converted to a screen where a customized gospel video can be played or a screen can be switched to a screen where various gospel contents can be checked. Also, if hold is selected, a prayer of thanksgiving for the family and life of the new born child may be displayed.

이외에도 태신자의 이름, 생년월일, 연락처 그리고 주소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중앙 서버(100)는 교회 사역을 위한 개인정보제공 동의를 요청할 수 있다. In addition,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date of birth, contact information, and address of the new born child is entered. At this time, the central server 100 may request consent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for church ministry.

도 9는 한 실시예에 따른 태신자 단말에 공유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hared by a Taeshinj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별도의 SNS 또는 문자 서비스, 메신저 앱 등을 통해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태신자 정보는 태신자 단말의 전화번호, SNS 아이디, 복음도시락 어플리케이션의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customized gospel content can be shared through a separate SNS or text service, messenger app, etc. based on the Taeshi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Taeshin information may include a phone number of the Taeshinja terminal, an SNS ID, an ID of the Gospel lunch box application, and the like.

상세하게는 태신자의 전화 번호 또는 SNS 아이디 그리고 SNS 종류를 입력받으면, 중앙 서버(100)는 해당 SNS 종류에 기초하여 해당 SNS로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URL을 전달할 수 있다. 해당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URL은 일정한 단계에 따라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페이지, 결신을 위한 페이지, 그리고 피드백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 등이 연계되어 있다. In detail, upon receiving the phone number or SNS ID and the type of SNS of the Taeshin, the central server 100 may deliver the URL of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to the corresponding SNS based on the type of the SNS. The URL of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linked to a page for playing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a page for making a connection, and a page for inputting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a certain step.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 대상자(태신자)의 나이, 소속 가능한 집단 그리고 심리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된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공유함으로써, 시간,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전도 대상자의 흥미에 맞는 복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haring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generated based on the age of the evangelist (the evangelist), the group he can belong to, and the psychological state, it is possible to deliver the evangelistic message that fits the interest of the evangelist beyond time and space constraints.

또한, 제공된 맞춤형 복음 콘텐츠에 따른 피드백을 수신하여 피드백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복음 콘텐츠, 결연, 예배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전도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receiving feedback according to the provided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providing additional gospel content, marriage affiliation, worship information, etc. based on the feedback, it is possible to support continuous evangelism activities.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apparatus and methods,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or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개시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d form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also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Claims (10)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으로서,
전도 대상자의 연령, 소속 가능한 집단, 심리 상태, 그리고 주변 상황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에 해당하는 복음 템플릿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복음 템플릿을 선택받으면, 상기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별로 연계된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마다 복음 콘텐츠를 선택받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면, 카테고리별 복음 콘텐츠와 상기 영상을 결합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와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후에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결신을 위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전도 대상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는 교회 소개 또는 인사 내용의 제1 카테고리, 찬양 또는 간증 내용의 제2 카테고리, 그리고 복음 내용의 제3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음 템플릿들은, 청년 또는 장년을 포함하는 연령별로 구분되어 있는 연령별 복음 템플릿, 또는 전도 대상자의 상황별로 구분되어 있는 상황별 복음 템플릿을 포함하고,
상기 연령별 복음 템플릿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교회 소개 또는 인사 내용의 복음 콘텐츠, 상기 제2 카테고리에 연계된 찬양 또는 간증 내용의 복음 콘텐츠, 그리고 상기 제3 카테고리에 연계된 복음 내용의 복음 콘텐츠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As a method of operating a server that generates customized gospel content,
Providing the gospel template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conditions among the age of the evangelism target, the group possible to belong, the psychological state,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to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 list of gospel contents linked by category of the specific gospel template when receiving a selection of a specific gospel template from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selected gospel content for each category of the specific gospel template and receiving an image captured from a user terminal, combining the gospel content for each category with the image to create customized gospel content;
Upon receiving the request for sharing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providing an event for settlement after the reproduction of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finished to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evangelism target corresponding to the event for the settlement
including,
The category includes a first category of church introduction or greetings, a second category of praise or testimony, and a third category of gospel content,
The gospel templates include a gospel template for each age group that is divided by age including young people or the elderly, or a gospel template for each situation divided by the situation of the evangelist,
The age-specific gospel template includes gospel content of church introduction or greetings linked to the first category, gospel content of praise or testimony linked to the second category, and gospel content of gospel content linked to the third category Including, a method of operation.
제1항에서,
상기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음 콘텐츠, 복음 콘텐츠 제목 또는 코멘트, 복음 콘텐츠 재생 시간, 그리고 선호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복음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생 영역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미리 보기 영상 또는 미리 설정된 구간이 자동으로 재생되는, 동작 방법.
In claim 1,
The step of providing the gospel content list includes:
create a list including one or more of gospel content, gospel content titles or comments, gospel content duration, and preferences;
In the list, when the gospel content is located in the playback area of the user terminal, a preview image or a preset section is automatically played back automatically, the operating method.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도 대상자의 전화번호 또는 SNS ID를 입력하여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공유를 요청받으면, 상기 전도 대상자의 단말로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와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동작 방법.
In claim 1,
The step of providing an event for the settlement comprises:
When receiving a request to share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by inputting the evangelism target's phone number or SNS ID, providing an event for connection with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to the evangelism target's terminal.
제1항에서,
상기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에 기초하여 신앙의 결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결신 여부에 따른 기도문을 제공하는, 동작 방법.
In claim 1,
The step of providing an event for the settlement includes:
Based on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faith is committed, and providing a pray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ommitment, the operation method.
제1항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결신 여부, 전도 대상자의 이름, 생년월일, 연락처 그리고 주소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 상기 전도 대상자의 사진 또는 상기 전도 대상자와 상기 사용자가 함께 촬영한 사진, 신앙 활동 문의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감사 인사 중에서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동작 방법.
In claim 1,
Receiving the feedback information comprises: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ty, name, date of birth, contact information and address of the evangelist, a photo of the evangelist or a photo taken between the evangelist and the user, satisfaction with the customized evangelistic content inquiring about religious activities, and the above A method of operating, receiving one or more of a thank you note for the user.
제4항에서,
상기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음 콘텐츠마다 설정된 키워드 또는 분류번호가 상기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별 키워드 또는 일련번호와 매칭되는 복음 콘텐츠들을 검색하고, 상기 복음 콘텐츠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상기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작 방법.
In claim 4,
The step of providing the gospel content list includes:
An operation method for generating the gospel content list by searching for gospel contents in which a keyword or classification number set for each gospel content matches a keyword or serial number for each category of the specific gospel template, and setting the priority of the gospel contents.
전도 대상자의 연령, 소속 가능한 집단, 심리 상태, 그리고 주변 상황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에 해당하는 복음 템플릿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음 템플릿들 중에서 특정 복음 템플릿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별로 연계된 복음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특정 복음 템플릿의 카테고리마다 복음 콘텐츠를 선택받으면, 카메라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카테고리별 복음 콘텐츠와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여, 맞춤형 복음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면 맞춤형 복음 콘텐츠와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후에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결신을 위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전도 대상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는 교회 소개 또는 인사 내용의 제1 카테고리, 찬양 또는 간증 내용의 제2 카테고리, 그리고 복음 내용의 제3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음 템플릿들은, 청년 또는 장년을 포함하는 연령별로 구분되어 있는 연령별 복음 템플릿, 또는 전도 대상자의 상황별로 구분되어 있는 상황별 복음 템플릿을 포함하고,
상기 연령별 복음 템플릿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교회 소개 또는 인사 내용의 복음 콘텐츠, 상기 제2 카테고리에 연계된 찬양 또는 간증 내용의 복음 콘텐츠, 그리고 상기 제3 카테고리에 연계된 복음 내용의 복음 콘텐츠를 포함하고,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Displaying gospel templates that correspond to one or more conditions among the age of the evangelist, possible group, psychological state, and surrounding circumstances;
displaying a list of gospel contents linked by category of the specific gospel template when a specific gospel template is selected from among the gospel templates;
If the gospel content is selected for each category of the specific gospel template, driving a camera to capture the user's video;
Transmitting the gospel content for each category and the user's video to the server to creat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When receiving a request to share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providing an event for settlement after the playback of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finished, and
Receiving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evangelism target corresponding to the event for the settlement
contains commands that execute
The category includes a first category of church introduction or greetings, a second category of praise or testimony, and a third category of gospel content,
The gospel templates include a gospel template for each age group that is divided by age including young people or the elderly, or a gospel template for each situation divided by the situation of the evangelist,
The age-specific gospel template includes gospel content of church introduction or greetings linked to the first category, gospel content of praise or testimony linked to the second category, and gospel content of gospel content linked to the third category Including,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application.
제8항에서,
상기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도 대상자의 전화번호 또는 SNS ID를 입력하여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의 공유를 요청받으면, 상기 전도 대상자의 단말로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와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In claim 8,
The step of providing an event for the settlement comprises:
When a request to share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is received by inputting the evangelism target's phone number or SNS ID, it is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which provides an event for connection with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to the evangelism target's terminal, and is computer-readable An application that is stored on a possible recording medium.
제8항에서,
상기 결신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맞춤형 복음 콘텐츠에 기초하여 신앙의 결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결신 여부에 따른 기도문을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In claim 8,
The step of providing an event for the settlement comprises:
An application that is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checks whether or not a person of faith is committed based on the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provides a pray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erson is committed.
KR1020210071682A 2021-06-02 2021-06-02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method for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using the same KR1023471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682A KR102347173B1 (en) 2021-06-02 2021-06-02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method for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682A KR102347173B1 (en) 2021-06-02 2021-06-02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method for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173B1 true KR102347173B1 (en) 2022-01-03

Family

ID=7934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682A KR102347173B1 (en) 2021-06-02 2021-06-02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method for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17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456A (en) * 2008-04-22 2009-10-27 세진전자 주식회사 Religious action support method by communication network
JP2017219573A (en) * 2016-06-03 2017-12-14 デジタルセンセーショ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899038B1 (en) * 2017-06-27 2018-09-14 주식회사 앰플소프트 on-line study and authoring system for eduction contents using analysis of big dat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456A (en) * 2008-04-22 2009-10-27 세진전자 주식회사 Religious action support method by communication network
JP2017219573A (en) * 2016-06-03 2017-12-14 デジタルセンセーショ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899038B1 (en) * 2017-06-27 2018-09-14 주식회사 앰플소프트 on-line study and authoring system for eduction contents using analysis of bi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vy Facebook marketing: Designing your next marketing campaign
JP57656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event information using icons
US20180183738A1 (en) Online social media interaction system
JP2014534500A (en) Methods for knowing group responses to elements and various examples of their application
US201500261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matchmaking
US1016283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globally communicating and evaluating digital images of sports fans, public displays of affection and miscellaneous groups from entertainment venues
US20170265047A1 (en) Interactive communications system
JP2021518934A (en) Implementation of a cue data model for adaptive presentation of collaborative recollection of memory
Papa et al. Engaging technology-resistant elderly people: Empirical evidence from an ICT-enabled social environment
Garg Is mobile phone use invading multiple boundaries? a study of rural illiterate women in india
KR102275291B1 (en) System for artificial intelligence matching using media platform and method thereof
WO2021010012A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distribution of live stream video
KR1023471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and method for sharing customized gospel content using the same
KR20190095204A (en)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Based On ContentsCuration and System Using It
Tan et al. The real digital househusbands of China: The alienable affects of China’s male ‘virtual lovers’
US10135773B2 (en) Communications system
JP6941659B2 (en) Systems, methods, and programs for providing live video distribution services
Anderson et al. AI Among Us: Agency in a World of Cameras and Recognition Systems
JP2021019361A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distributing live moving image
KR1019172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account mining information for surporting social network service action
Shiau The use of celebrity scandals and sensational news for identity negotiations: Analyzing gossip among the queers within Taiwanese families
Xu Understanding Sticky News: Analyzing the Effect of Content Appeal and Social Engagement for Sharing Political News Online
US20230370413A1 (en) Temporary holds for dating application
JP7342172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delivering live video
Kınlı et al. The Turkish Ordeal–A Historical-Processual Analysis of the Perception and Engagement of Elderly People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