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089B1 - Drain tube - Google Patents

Drain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089B1
KR102346089B1 KR1020200003640A KR20200003640A KR102346089B1 KR 102346089 B1 KR102346089 B1 KR 102346089B1 KR 1020200003640 A KR1020200003640 A KR 1020200003640A KR 20200003640 A KR20200003640 A KR 20200003640A KR 102346089 B1 KR102346089 B1 KR 102346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unit
body fluid
drainage tube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0408A (en
Inventor
고재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089B1/en
Publication of KR20210090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4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0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743Suction control by changing the cross-section of the line, e.g. flow 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5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a variable lumen cross-section by means of a resilient flexible septum or outer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배액 모음통에 일단이 연결되는 메인 배액관과, 상기 메인 배액관의 타단에서 복수개로 분지되는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배액관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배액관은 환자의 수술 부위에 삽입되어 고여있는 체액이 체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액관으로서, 내측으로는 상기 단위 배액관이 분지되는 부위에서 상기 배액 모음통을 향하여 돌출되어 체액 배액량이 큰 단위 배액관에서 체액 배액량이 적은 단위 배액관으로 이동하는 이동막을 포함하는 배액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일의 배액관에 단위 배액관이 복수로 분지되고, 단위 배액관이 분지되는 부위에는 일측의 단위 배액관을 통해 배액되는 체액이 타측의 단위 배액관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이동막을 배치하여, 일측의 단위 배액관을 통해 배액된 혈액 또는 체액이 타측의 단위 배액관을 통해 환자의 체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drainage tub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drainage tube for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and a plurality of unit drainage tubes branch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drainage tube into a plurality, wherein the unit drainage tube is inserted into a patient's surgical site, A drainage tube for discharging accumulated body flui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the inner side includes a moving membrane that protrudes from the branching part of the unit drainage tube toward the drainage collection tube and moves from a unit drainage tube with a large amount of body fluid to a unit drain tube with a small amount of body fluid. A drainage tube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nit drainage tubes are branched into a single drainage tube, and a moving membrane is disposed at the site where the unit drainage tube is branched so that the body fluid drained through the unit drainage tube on one side does not move to the unit drainage tube on the other sid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blood or body fluid drained through the drain tube from flowing into the patient's body through the unit drain tube on the other side.

Description

배액관{Drain tube}Drain tube

본 발명은 배액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가 분지되어 환자의 복수의 수술 부위 각각에 삽입된 후 수술 부위에 고여 있는 체액 등을 신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액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age tube having a branched end inserted into each of a plurality of surgical sites of a patient and then discharging body fluids accumulated in the surgical site to the outside of the body.

외과계통의 수술 중 병변 주변으로 고이는 체액은 창상의 치유를 방해하여 합병증을 유발한다. 따라서, 의사는 수술 후 체액이 조직 내에 고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액관의 일단을 수술 부위 내로 삽입하여 수술 창 안쪽에 고여 있는 체액을 몸 밖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During surgical operation, fluid that accumulates around the lesion interferes with wound healing, leading to complications. Therefore, the surgeon inserts one end of the drainage tube into the surgical site to prevent the body fluid from pooling in the tissue after surgery to discharge the body fluid accumulated inside the surgical window out of the body.

도 1은 종래의 배액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rainage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배액 장치(1)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배액관(2)과 배액관(2)의 일단으로 연결되는 배액 모음통(3)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drainage device 1 includes a drainage tube 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and a drainage collection tube 3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ainage tube 2 .

배액을 위해, 의사는 배액관(2)의 단부를 수술 부위로 삽입한 후, 고여 있는 체액을 배출시킨다. 배출된 체액은 배액 모음통(3)에 모여진 후, 처리된다.For drainage, the surgeon inserts the end of the drainage tube 2 into the surgical site, and then drains the stagnant body fluid. The discharged body fluid is collected in the drainage container 3 and then processed.

이때, 배액 모음통(3)은 배액관(2)에 대하여 음압을 인가하여 고여 있는 체액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drainage tube 3 applies a negative pressure to the drainage tube 2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stagnant body flui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액 장치(1)는 하나의 배액 모음통에 하나의 배액관만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conventional drainage device (1) is to connect only one drainage tube to one drainage collection tube.

따라서, 체액의 배액이 필요한 부위가 여러 곳인 경우, 각각의 부위에 배액 모음통이 연결된 배액관이 연결된다. Therefore, when there are several sites requiring drainage of body fluid, a drainage tube connected to a drainage tube is connected to each site.

이때, 체액의 발생이 많은 부위에 연결된 관은 고정된 관의 직경을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액이 오래 걸리고, 반대로 체액 발생이 적은 부위에 연결된 관은 음압으로 주위 조직에 자극을 주어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tube connected to the area where the body fluid is generated has to pass through the fixed diameter of the tube, so it takes a long time to drain. There is this.

수술 부위에 삽입되는 배액관에 각각이 동일한 음압을 유지하도록 하고, 배액관을 통한 배액이 적절히 배분되도록 하는 기술로 공개특허 2019-0054831호(2019.05.22. 공개)가 개시되었다. Patent Publication No. 2019-0054831 (published on May 22, 2019) was disclosed as a technology to maintain the same negative pressure in each drain tube inserted into the surgical site and to properly distribute the drain through the drain tube.

상기 기술은 단일의 흡인통에 2개 이상의 드레인을 연결하여, 흡인통에서 인가되는 음압에 의해 드레인에서 분리된 복수의 내관을 통해 배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above technique connects two or more drains to a single suction tube so that drainage is made through a plurality of inner tubes separated from the drain by negative pressure applied from the suction tube.

여기서, 드레인에서 분지된 내관을 통해 배액이 이루어질 때, 일측 가지에서 배액되는 체액의 양이 타측 가지를 통해 배액되는 체액의 양보다 많은 경우, 체액의 배액량이 많은 가지는 배액되는 체액이 고정된 유로만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배액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Here, when drainage is made through the inner tube branched from the drain, when the amount of body fluid drained from one branch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body fluid drained through the other branch, branches with a large amount of body fluid drained only through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body fluid is drai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is required for drainage because it has to pass through.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일의 메인 배액관에서 단위 배액관이 분지되는 부위 내측에 이동막을 배치하여 일측의 단위 배액관을 통한 체액의 배출량이 타측의 단위 배액관을 통한 체액의 배출량보다 많은 경우 체액의 배출압력에 의해 이동막이 배출량이 적은 단위 배액관 측으로 치우치도록 하여, 일측의 단위 배액관을 통해 보다 많은 체액이 배출될 수 있는 배액 경로를 확보함으로써, 일측의 단위 배액관을 통해 더 많은 체액이 배액될 수 있도록 하는 배액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 moving membrane inside the portion where the unit drain tube branches in a single main drain tube, so that the amount of body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unit drain tube on one side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body fluid through the unit drain tube on the other side. By allowing the moving membrane to be biased toward the unit drainage tube with less discharge due to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body fluid, thereby securing a drainage path through which more body flui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unit drainage tube on one side, more body fluid is drained through the unit drainage tube on the one sid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rainage tube that can b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배액 모음통에 일단이 연결되는 메인 배액관과, 상기 메인 배액관의 타단에서 복수개로 분지되는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배액관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배액관은 환자의 수술 부위에 삽입되어 고여있는 체액이 체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액관으로서, 내측으로는 상기 단위 배액관이 분지되는 부위에서 상기 배액 모음통을 향하여 돌출되고, 체액 배출량이 큰 상기 단위 배액관에서 체액 배출량이 낮은 이웃하는 상기 단위 배액관으로 이동하는 이동막을 포함하는 배액관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drainage tub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drainage tube for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and a plurality of unit drainage tubes branch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drainage tube into a plurality, wherein the unit drainage tube comprises: A drain tube that is inserted into the surgical site of a patient to discharge stagnant body fluid outside the body, and protrudes from the site where the unit drain tube branches to the drain collection tube on the inside, and the amount of body fluid discharged from the unit drain tube with a large amount of body fluid It provides a drainage tube including a moving membrane moving to the lower neighboring unit drainage tube.

상기 메인 배액관의 내경은, 타원형의 단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drain pipe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상기 이동막은, 상기 배액관의 내측 중심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moving membrane may be disposed along the inner center of the drain tube.

상기 이동막의 세로 길이는, 상기 배액관의 단축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A vertical length of the moving membrane may correspond to a shortened length of the drainage tube.

상기 메인 배액관의 내주면 상부와 하부는, 상기 이동막의 가장자리와 이격될 수 있다.Upper and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main drain pip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moving membran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메인 배액관의 일단에서 단위 배액관이 복수로 분지되고, 단위 배액관이 분지되는 부위 내측에는 일측의 단위 배액관을 통한 체액의 배출량이 타측의 단위 배액관을 통한 체액의 배출량보다 많은 경우, 체액의 배출압력에 의해 배출량이 적은 단위 배액관 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막을 배치하여, 체액의 배출량이 많은 단위 배액관에서 체액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체액 이동 경로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unit drain pipes are branched from one end of the main drain tube, and the discharge of body fluid through the unit drain tube on one side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body fluid through the unit drain tube on the other side inside the branching part of the unit drain tube ,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a body fluid movement path so that the body fluid can be easily discharged from the unit drainage tube with a large amount of body fluid by disposing a moving membrane that moves toward the unit drainage tube with a small amount of discharge due to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body fluid.

도 1은 종래의 배액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내측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C-C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동막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D-D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동막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E-E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rainage devic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inner configuration of part A of FIG. 2 .
FIG.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FIG. 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
FIG.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4 .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embra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7 .
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embra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9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100)은 메인 배액관(120),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 및 이동막(1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drain pip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drain pipe 120 , first and second unit drain pipes 122A and 122B, and a moving membrane 130 .

메인 배액관(120)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메인 배액관(120)의 일단은 배액 모음통(10)에 연결되고, 타단은 환자의 체내 즉, 수술 부위로 삽입된다.The main drain pipe 120 is made in the form of a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One end of the main drainage tube 120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tube 10,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that is, the surgical site.

여기서, 배액 모음통(10)은 소정의 크기를 갖고, 내측으로는 환자의 체내에서 배액된 혈액 또는 체액이 모여진다. 또한, 배액 모음통(10)은 후술하는 메인 배액관(120)을 통해 체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음압을 발생시킨다. Here, the drainage tube 10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blood or body fluid drained from the patient's body is collected inside. In addition, the drainage collection tube 10 generates a predetermined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body flui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main drainage tube 12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메인 배액관(120)의 타단은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으로 분지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other end of the main drain pipe 120 is branched into the first and second unit drain pipes (122A, 122B).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배액관(120)이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로 분지되지만, 단위 배액관의 분지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drain pipe 120 is branched into the first and second unit drain pipes 122A and 122B, but the number of branches of the unit drain pipe may be two or mor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각각의 단위 배액관은 그 단부의 환자 신체의 수술 부위에 각각 삽입되어 체액이 배액되도록 한다. Each unit drain tube i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urgical site of the patient's body at the end thereof to drain the body fluid.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내측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면이다. FIG. 3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inner configuration of part A of FIG. 2 .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배액관(120)의 타단은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으로 분지되고, 메인 배액관(120)의 내측에서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이 분지되는 부위에는 배액 모음통(10) 방향으로 이동막(130)이 돌출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other end of the main drain pipe 120 is branched into first and second unit drain pipes 122A and 122B, and first and second unit drain pipes 122A and 122B are located inside the main drain pipe 120 . It can be seen that the moving membrane 130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age collection tube 10 at this branching site.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4 is a front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and FIG. 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배액관(120)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타원형의 단면 형태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동막(130)은 메인 배액관(120)의 내측 중심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drain pipe 120 has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moving membrane 130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drain pipe 120 .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배액관(120)에서 분지된 제1 단위 배액관(122A)도 소정의 크기를 갖는 타원형의 단면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제2 단위 배액관(122B)도 제1 단위 배액관(122A)과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unit drain pipe 122A branched from the main drain pipe 120 also has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second unit drain pipe 122B also preferably has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first unit drain pipe 122A.

이동막(130)은 제1 단위 배액관(122A) 또는 제2 단위 배액관(122B)을 통해 배출되는 체액 배출량이 이웃하는 단위 배액관 즉, 제2 단위 배액관(122B) 또는 제1 단위 배액관(122A)을 통한 체액 배출량보다 큰 경우에 배출량이 적은 제2 단위 배액관(122B) 또는 제1 단위 배액관(122A)으로 이동하여 제1 단위 배액관(122A) 또는 제2 단위 배액관(122B)을 통한 체액의 배출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The moving membrane 130 is a unit drain pipe in which the amount of body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unit drain pipe 122A or the second unit drain pipe 122B is adjacent, that is, the second unit drain pipe 122B or the first unit drain pipe 122A. If it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body fluid discharged through can be obtained

도 6은 도 4의 C-C 선에 따른 선단면도로서, 이동막(130)이 소정의 가로, 세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4 , and shows that the movable film 1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predetermined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이때, 이동막(130)의 일단은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이 분지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이동막(130)의 타단은 배액 모음통(10)로 연결되는 메인 배액관(120)의 타단을 향하도록 돌출된다. 그리고, 이동막(130)의 세로 길이는 메인 배액관(120)의 단축 방향 길이에 대응한다. At this time, one end of the moving membrane 130 is connected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unit drain pipes 122A and 122B branch off, and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embrane 130 is connected to the main drain pipe (10). 120) and protrudes toward the other end.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moving membrane 130 corresponds to the length in the short axis direction of the main drain pipe (120).

이동막(130)의 가장자리는 메인 배액관(120)의 내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이동막(130)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edge of the movable membrane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drain pipe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movable membrane 130 can be easily mov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액 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drainag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배액관(100)이 준비된다. The drain pip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준비된 배액관(100)의 메인 배액관(120)은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으로 분지된다. The main drain pipe 120 of the prepared drain pipe 100 is branched into first and second unit drain pipes 122A and 122B.

사용자는 환자의 수술 부위에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의 단부를 삽입한 후, 배액 모음통(10)을 조작하여 음압이 발생하도록 한다.The user inserts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drainage tubes 122A and 122B into the surgical site of the patient, and then manipulates the drainage tube 10 to generate negative pressure.

여기서, 사용자는 환자에 대하여 소정의 시술을 수행하는 의사 또는 간호사 등의 의료진을 의미한다.Here, the user means a medical staff such as a doctor or a nurse who performs a predetermined procedure on a patient.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을 통해 수술 부위에 고여있는 체액이 배액 모음통(10)으로 배출된다.The body fluid accumulated in the surgical site is discharged to the drainage tube 1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unit drainage tubes 122A and 122B.

여기서,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이 분지되는 부위에는 이동막(130)이 배치되어 있다. Here, the moving membrane 130 is disposed in a reg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unit drain pipes 122A and 122B branch off.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을 통한 체액이 배출될 때,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을 통한 체액 배출량이 동일한 경우에는 이동막(130)의 최초의 배치 상태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배액관(120)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막(130)이 배치되는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body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unit drain pipes 122A and 122B and the amount of body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unit drain pipes 122A and 122B is the same, the first arrangement state of the moving membrane 130 That is, as shown in FIG. 3 , the movable membrane 130 is maintain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drain pipe 120 .

한편, 제1 및 제2 단위 배액관(122A, 122B)을 통한 체액이 배출될 때, 제1 단위 배액관(122A)과 제2 단위 배액관(122B) 중, 어느 하나의 단위 배액관을 통한 체액 배출량이 다른 단위 배액관을 통한 체액 배출량이 큰 경우, 이동막(130)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Meanwhile, when the body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unit drain pipes 122A and 122B, the amount of body fluid discharg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unit drain pipe 122A and the second unit drain pipe 122B is different. When the amount of body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unit drain pipe is large, the moving membrane 130 operates as follows.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동막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D-D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embra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ront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7 .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제1 단위 배액관(122A)을 통한 체액의 배출량이 제2 단위 배액관(122B)을 통한 체액 배출량보다 큰 경우에는, 이동막(130)의 단부가 제2 단위 배액관(122B) 측으로 이동한다. 7 and 8 , when the amount of body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unit drain pipe 122A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body fluid through the second unit drain pipe 122B, the end of the moving membrane 1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unit drain pipe. Move to (122B) side.

이동막(130)의 상측단과 하측단은 메인 배액관(120)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접하며 이동이 정지되지만, 이동막(130)의 중간부는 제2 단위 배액관(122B) 측으로 이동하여 제1 단위 배액관(122A)의 단면적이 제2 단위 배액관(122B)의 단면적보다 확장됨을 알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ving membrane 130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drain pipe 120 and stop moving, respectively, but the middle part of the moving membrane 130 moves toward the second unit drain pipe 122B and moves to the first unit. It can be see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rain pipe 122A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unit drain pipe 122B.

따라서, 이동막(130)의 이동에 의해 제1 단위 배액관(122A)의 단면적이 확장되어, 제1 단위 배액관(122A)을 통해 보다 많은 양의 체액 배출이 가능해진다. Accordingl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unit drain pipe 122A is expanded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rane 130 , and thus a greater amount of body flui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unit drain pipe 122A.

이후, 제2 단위 배액관(122B)을 통한 체액 배출량이 증가하여 제1 단위 배액관(122A)을 통한 체액 배출량과 다시 균형을 이루게 되면 이동막(130)은 원위치 즉, 메인 배액관(120)의 중심으로 복귀한다. Thereafter, when the amount of body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unit drain pipe 122B increases and is again balanced with the amount of body fluid through the first unit drain pipe 122A, the moving membrane 13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o the center of the main drain pipe 120. return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동막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E-E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embra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front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9 .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단위 배액관(122A)을 통한 체액의 배출량은 계속적으로 증가하지만, 제2 단위 배액관(122B)을 통한 체액의 배출량이 일정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의 이동막(130)의 동작을 나타낸다. 9 and 10 , the moving membrane ( 130) shows the operation.

제1 단위 배액관(122A)의 체액 배출량은 증가하고, 제2 단위 배액관(122B)을 통한 체액 배출량이 0에 근접하면, 이동막(130)의 중간부는 제2 단위 배액관(122B) 측으로 보다 더 이동하여 이전의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1 단위 배액관(122A)의 단면적은 증가하고, 제2 단위 배액관(122B)의 단면적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When the amount of body fluid discharged from the first unit drain pipe 122A increases and the amount of body fluid through the second unit drain pipe 122B approaches zero, the middle part of the moving membrane 130 moves more toward the second unit drain pipe 122B.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unit drain pipe 122A is increased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unit drain pipe 122B is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이후, 제2 단위 배액관(122B)을 통한 체액 배출량이 증가하여 제1 단위 배액관(122A)을 통한 체액 배출량과 다시 균형을 이루게 되면 이동막(130)은 원위치 즉, 메인 배액관(120)의 중심으로 복귀한다. Thereafter, when the amount of body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unit drain pipe 122B increases and is again balanced with the amount of body fluid through the first unit drain pipe 122A, the moving membrane 13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o the center of the main drain pipe 120 . retur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단일의 메인 배액관에 단위 배액관이 복수로 분지되고, 단위 배액관이 분지되는 부위의 내측으로는 일측의 단위 배액관을 통해 배액되는 체액이 타측의 단위 배액관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이동막을 배치하여, 일측의 단위 배액관을 통해 배액된 혈액 또는 체액이 타측의 단위 배액관을 통해 환자의 체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unit drainage tubes are branched into a single main drainage tube, and the body fluid drained through the unit drainage tube on one side does not move to the unit drainage tube on the other side inside the portion where the unit drainage tube is branched. By disposing the membran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blood or body fluid drained through the unit drain tube on one side from flowing into the body of the patient through the unit drain tube on the other sid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배액 모음통 100: 배액관
120: 메인 배액관 122A: 제1 단위 배액관
122B: 제2 단위 배액관 130: 이동막
10: drainage tube 100: drainage tube
120: main drain pipe 122A: first unit drain pipe
122B: second unit drain tube 130: moving membrane

Claims (5)

음압을 발생시키는 배액 모음통에 일단이 연결되는 메인 배액관과, 상기 메인 배액관의 타단에서 복수개로 분지되는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배액관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배액관은 환자의 수술 부위에 삽입되어 고여있는 체액이 체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액관으로서,
내측으로는 상기 단위 배액관이 분지되는 부위에서 상기 배액 모음통을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메인 배액관의 내측 중심을 따라 배치되고,
체액 배출량이 큰 상기 단위 배액관에서 체액 배출량이 낮은 이웃하는 상기 단위 배액관으로 이동하여, 상기 체액 배출량이 큰 상기 단위 배액관 상에서 상기 체액 배출량에 대응하는 경로를 확보하는 이동막을 포함하는 배액관.
A main drainage tub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drainage tube for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and a plurality of unit drainage tubes branching into a plurality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drainage tube, wherein the unit drainage tube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surgical site and collected As a drainage tub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On the inside, the unit drain tube protrudes from the branching portion toward the drain collection tube, and is disposed along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drain tube,
and a moving membrane that moves from the unit drain tube having a large amount of body fluid to the neighboring unit drain tube having a low amount of body fluid to secure a path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body fluid on the unit drain tube having a large amount of body flu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액관의 내경은,
타원형의 단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배액관.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drain pipe is,
A drain tube with an oval cross-section.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막의 세로 길이는,
상기 메인 배액관의 단축 길이에 대응하는 배액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ertical length of the moving membrane is,
A drain pipe corresponding to the shortened length of the main drain pi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액관의 내주면 상부와 하부는,
상기 이동막의 가장자리와 간격을 갖는 배액관.
5. The method of claim 4,
Upper and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main drain pipe,
A drain tube having a gap with the edge of the moving membrane.
KR1020200003640A 2020-01-10 2020-01-10 Drain tube KR1023460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640A KR102346089B1 (en) 2020-01-10 2020-01-10 Drain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640A KR102346089B1 (en) 2020-01-10 2020-01-10 Drain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408A KR20210090408A (en) 2021-07-20
KR102346089B1 true KR102346089B1 (en) 2021-12-31

Family

ID=7712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640A KR102346089B1 (en) 2020-01-10 2020-01-10 Drain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0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971B1 (en) 2022-06-22 2023-07-05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Drainage tube guide apparatus
KR102547122B1 (en) 2022-07-04 2023-06-28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Drainage tube guide apparatus
KR102612486B1 (en) 2022-07-12 2023-12-12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Drainage tube guide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3877A (en) * 2016-09-02 2018-03-08 テルモ株式会社 Medical tub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831A (en) * 2017-11-14 2019-05-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 suction drain apparatus having two or more branche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3877A (en) * 2016-09-02 2018-03-08 テルモ株式会社 Medical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408A (en)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089B1 (en) Drain tube
CN101466322B (en) Resectoscopic device and method
US4364394A (en) Combined sump drainage and irrigation device
US5891111A (en) Flexible surgical drain with a plurality of individual ducts
CN101472630B (en) Anti-extravasation surgical portal plug
JP2018527974A (en) Catheter device and method for inducing negative pressure in a patient's bladder
KR20160123989A (en) Suction-Irrigation Head
US7125402B1 (en) Surgical drain
US20100056988A1 (en) Drain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8495594A (en) Fetch system
US6096019A (en) Cerebral edema solute catheter and method of draining cerebral edema
Ebbehøj et al. Pancreatic tissue fluid pressure during drainage operations for chronic pancreatitis
US20140276656A1 (en) Surgical drainage tube assembly with concentric tubular members
CN109513096B (en) Body cavity drainage tube
US20180117298A1 (en) Fluid flow switching device for catheterization with a three way bladder catheter
CN108671362A (en) A kind of double balloon conduit external members for expanding ureter
US20160220322A1 (en) Fluid collection apparatus
CN204563097U (en) A kind of novel Medical flushing absorbing pipe
CN113286553A (en) Uterine cavity expander device
KR20190054831A (en) A suction drain apparatus having two or more branche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8031644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drainage double-jacket tube
KR102163841B1 (e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and urine bag
CN106730255A (en) Self retaining catheter and urinary catheterization component
RU58365U1 (en) DRAINAGE FOR DRAINING ABCESSES OF THE ABDOMINAL CAVITY AND FOREIGN SPACE
JP4185626B2 (en) Medical drain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