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459B1 - Wearabl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Wearabl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459B1
KR102344459B1 KR1020150026384A KR20150026384A KR102344459B1 KR 102344459 B1 KR102344459 B1 KR 102344459B1 KR 1020150026384 A KR1020150026384 A KR 1020150026384A KR 20150026384 A KR20150026384 A KR 20150026384A KR 102344459 B1 KR102344459 B1 KR 102344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se
control lever
protrusion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3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3705A (en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6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459B1/en
Priority to US15/553,515 priority patent/US10520738B2/en
Priority to PCT/IB2016/000458 priority patent/WO2016135563A2/en
Priority to US15/134,860 priority patent/US20170059870A1/en
Publication of KR2016010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7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4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7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입사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투과되는 렌즈; 상기 렌즈가 수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렌즈를 베이스의 폭방향과 평행한 x축에 수직한 z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렌즈의 z축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렌즈를 투과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 polarizing plate; a lens through which light forming an image incident from the polarizing plate is transmitted; a base in which the lens is accommodated; And by rotating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base about the z-axis perpendicular to the x-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by adjust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z-axis, to adjust the path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It may include an angle adjustment unit.

Description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WEARABLE DISPLAY APPARATUS}Wearable display device {WEARABLE DISPLAY APPARATUS}

실시예는, 렌즈의 위치, 자세를 조절하여 의도하지 않은 이미지, 노이즈를 가진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wear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removing an unintended image and an image having noise by adjusting the position and posture of a lens.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행기의 고도, 속도 등의 비행 정보를 조종사가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탄생한 장치이다. 일반 상업용 제품은 199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1997년 이후로 상용화 제품이 나오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A wearable display device such as a head mounted display (HMD) is a device that was created to allow a pilot to know flight information such as an airplane's altitude and speed. General commercial products were developed in the 1990s, and commercial products have been released since 1997,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경처럼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대형화된 영상이 놓이고, 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1인치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고급 광학 기술이 적용되어 약 100배에 가까운 확대화면을 볼 수 있다.A wearable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is worn on the head like glasses so that an enlarged image is plac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and the user can see it. Optical technology is applied, so you can see a magnified screen close to 100 times.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주변기기의 기술 개발 및 상용화로 웨어러블(wearable) 컴퓨팅 산업의 성장도 기대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영화나 게임을 즐기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최근에는 컴퓨터 시스템의 고성능화, 소형화, LCD, LED 등으로 대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웨어러블 모니터로서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용화된 제품도 출시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peripheral devices such as wearable display devices, the wearable computing industry is also expected to grow. Until now, wearable display devices have been mainly developed to enjoy movies and games, but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as wearable monitors have been made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display devices and ima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high performance and miniaturization of computer systems, and LCD and LED. and commercialized products have been released.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시장은 과거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으로 인해 시장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웨어러블 컴퓨터 산업에 편승해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산업현장,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 대형기기의 정비 현장, 물류 창고 등은 물론 자동차 경주와 같은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분야로까지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The wearable display device market has suffered a lot in the past due to its relatively high price, but it is expected to grow significantly by riding on the wearable computer industry. Wearable display devices are expected to be expanded to industrial sites, maintenance sites for large equipment such as automobiles, aircraft, and ships, logistics warehouses, etc., as well as sports entertainment fields such as automobile racing.

특히,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은 컴퓨팅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히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주는 장치에 그치지 않고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컴퓨팅 장치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processor and software technology enables the miniaturization of computing devices, and the wearable display device is expected to develop into a personal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rather than a device that simply displays an image.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광경로의 조절은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광경로의 조절은 렌즈의 위치, 자세를 조절하여 구현할 수 있다.I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the adjustment of the optical path is an important issue. The adjustment of the optical path can be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lens.

한편, 렌즈의 위치, 자세를 조절할 수 없는 구조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경로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의도하지 않은 이미지, 노이즈를 가진 이미지가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것들을 제거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in a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lens cannot be adjusted, when the optical path is kept constant and an unintended image or an image with noise is generated, these cannot be removed.

따라서, 렌즈의 위치, 자세를 조절하여 의도하지 않은 이미지, 노이즈를 가진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ear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removing unintended images and images with noise by adjusting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lens.

따라서, 실시예는, 렌즈의 위치, 자세를 조절하여 의도하지 않은 이미지, 노이즈를 가진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wear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removing an unintended image and an image having noise by adjusting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lens.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입사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투과되는 렌즈; 상기 렌즈가 수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렌즈를 베이스의 폭방향과 평행한 x축에 수직한 z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렌즈의 z축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렌즈를 투과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 polarizing plate; a lens through which light forming an image incident from the polarizing plate is transmitted; a base in which the lens is accommodated; And by rotating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base about the z-axis perpendicular to the x-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by adjust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z-axis, to adjust the path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It may include an angle adjustment unit.

상기 각도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렌즈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타측을 y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렌즈를 z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조절레버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angle adjusting un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lever that has one end coupled to the lens,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and the user moves the other side in the y-axis direction to rotate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base around the z-axis it could be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홀 표면과 마찰접촉하여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가이드홀 상에서 이동한 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rol lev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bas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is in frictional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guide hole so that the control lever is moved on the guide hole. It may be to remain stationary.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홀 표면과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rol leve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bas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may be formed to mesh with a surface of the guide hole.

상기 조절레버는, 일측이 상기 렌즈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외주면에 제1치형이 형성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의 타측에 결합하고,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rol lever may include a gea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ens and having a first tooth shap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gear and rotating the gear.

상기 가이드홀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기어의 상기 제1치형에 치합되는 제2치형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guide hole,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may have a second tooth that meshes with the first tooth of the gear.

상기 렌즈는, 일측에 상기 조절레버와 결합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lens may have a first protrusion coupled to the control lever on one side and a second protrusion on the other side.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상기 조절레버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홀과 연통되는 제1함몰부;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2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base may include: a first depress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or the control lever is accommodated and communicates with the guide hole; and a second depress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is accommodated.

상기 제1함몰부에는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상기 조절레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충진재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recessed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ller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or the control lever.

상기 제2함몰부는, 단부가 상기 제2돌출부와 접촉하여 상기 렌즈의 흔들림을 제한하는 제3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cond recessed part may have a third protrusion having an e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to limit shaking of the lens.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렌즈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돌출부와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롤링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may rotate together as the lens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the third protrusion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in at least a partial section when the second protrusion rotates.

상기 제3돌출부는 원호형, 반원형, 곡선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third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an arc shape, a semicircle shape, and a curved shape.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렌즈; 상기 렌즈가 수용되는 베이스; 일단이 상기 렌즈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타측을 이동시켜, 상기 렌즈를 상기 베이스의 상하방향과 평행한 z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렌즈의 z축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렌즈를 투과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is a lens; a base in which the lens is accommodated; One end is coupled to the lens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the user moves the other side to rotate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base about the z axis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the z of the lens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s, it may include a control lever for adjusting the path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홀 표면과 마찰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rol leve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bas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may be provided to frictionally contact a surface of the guide hole.

상기 조절레버는, 일측이 상기 렌즈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외주면에 제1치형이 형성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의 타측에 결합하고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The control lever includes a gear having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lens and having a first tooth shap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gear and rotating the gear,

상기 베이스에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기어의 상기 제1치형에 치합되는 제2치형이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켜 상기 렌즈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The base may have a guide hol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a surface of the gear having a second tooth shape that meshes with the first tooth shape of the gear, and a user rotates the handle to rotate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base.

실시예에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렌즈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렌즈를 투과하는 광의 경로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광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 embodiment, the wearable display device has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lens that can be directly adjusted by the user, thereby optimizing the light path by easily adjusting the path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광 경로의 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이미지 또는 노이즈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없앰으로써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isplayed image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by removing an unintentional image or an image including noise generated due to the unintentional formation of the light path.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서 충진재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B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ath of light forming an image i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part A of FIG. 3 .
5A is an enlarged plan view of part A of FIG. 3 .
5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ler is disposed in FIG. 5A.
FIG. 6 is an enlarged plan view of part B of FIG. 3 .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l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re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up (up)" or "below (on or under)" of each element, on (on or under) ) includes both elements in which two elem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elements are disposed between the two elements indirectly.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on or under)",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may be included.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Also, as used hereinafter, relational terms such as "upper/upper/above" and "lower/lower/below" etc. do not necessarily require 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It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은 베이스의 폭방향과 평행한 축이고, z축은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과 직교하는 상하방향과 평행한 축이며, y축은 x축 및 z축에 직교하는 축이다.In addition,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x, y, z) may be used in the drawings. In the drawing, the x-axis is an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the z-axis is an axis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and the y-axis is an axis orthogonal to the x-axis and the z-axis.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간의 신체 중 안경처럼 착용이 가능하고, 외부의 장치로부터 전송받는 영상을 인간이 장소에 비교적 제한 없이 볼 수 있는 장치이다. 영상을 전송하는 소스가 되는 장치는 스마트폰 기타 모바일 기기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is a device that can be worn like glasses in a human body, and a human can view an image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relatively without restriction in a place. A device serving as a source for transmitting an image may be a smartphone or other mobile devic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wearable display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이때,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기 위해 안경에 탈착식으로 결합하거나, 안경처럼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착용기구가 결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wear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glasses, or a separate wearing device that the user can wear like glasses may be coupl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의 광경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B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path of light forming an image in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부(10), 도광부(11), 빔분사부(12), 디스플레이부(13), 편광판(14), 렌즈(15), 제1프리즘(16), 제2프리즘(17)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10 , a light guide unit 11 , a beam injection unit 12 , a display unit 13 , a polarizer 14 , a lens 15 , a first prism 16 , and a second prism (17) may be included.

또한,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의 각 구성 하나의 묶음으로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18), 커버부재(19), 체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외부의 장치로부터 재생할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20), 커넥터(2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base 18 , a cover member 19 , and a fastening unit 22 to combine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into a single bundle. In additio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20 and a connector 2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o receive an image to be reproduced from the external device.

광원부(10)는 인쇄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을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재생의 대상인 영상을 최초로 광의 형태로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광원부(10)는 광을 조사하는 장치로 다양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발열이 적으며, 크기가 작은 LED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 and serves to first irradiate an image to be reproduced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in the form of light. The light source unit 10 is a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and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be configured using an LED having excellent durability, low heat generation, and small size.

도광부(11)는 상기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을 빔분사부(12)로 향하도록 광경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부(11)를 중심으로 보면 광원부(10)와 빔분사부(12)는 서로 대략적으로 직각방향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빔분사부(12)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 도광부(11)는 그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각도로 구비되는 복수의 격자가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guide unit 11 may serve to adjust an optical path so that the image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is directed to the beam ejection unit 12 . As shown in FIG. 2B , when viewed from the center of the light guide unit 11 , the light source unit 10 and the beam ejection unit 12 are located approximately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herefore, in order to direct the light forming the image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to the beam ejection unit 12, the light guide unit 1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atings provided at appropriate positions and at appropriate angles therein. have.

또한, 상기 도광부(11)는 상기 격자가 형성됨으로 인해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빔분사부(12)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도광부(11)로부터 균일하게 조사되는 광은 상기 도광부(11)와 인접한 상기 빔분사부(12)의 면에 균일하게 입사될 수 있다.Also, the light guide unit 11 may serve to uniformly distribut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to the beam distributing unit 12 due to the formation of the grating. Accordingly, the light uniformly irradiated from the light guide unit 11 may be uniformly incident on the surface of the beam ejection unit 12 adjacent to the light guide unit 11 .

빔분사부(12)는 상기 도광부(11)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 조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재생되는 영상을 다시 받아 렌즈(15)로 조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eam injector 12 irradiate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guide unit 11 to the display unit 13 , and receives the image reproduced from the display unit 13 so that the user can see it in detail with the naked eye again, and receives the lens (15) can serve as an investigation.

즉, 상기 빔분사부(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로 광을 전송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3)로부터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전송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로부터 전송받는 상기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beam emitting unit 12 transmits light to the display unit 13 or receives light for forming a reproduced image from the display unit 13 , and receives the reproduced light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unit 13 . The path of light forming an image can be adjusted.

이러한 광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빔분사부(12)는 예를 들어 분극 빔분사기(PBS, Polarizing Beam Splitter)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극 빔분사기는 복수의 격자를 결합하여 형성하고, 각 격자에는 광을 반사 및/또는 회절시킬 수 있는 코팅층(100)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In order to form such an optical path, the beam splitter 12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olarizing beam splitter (PBS). The polarized beam splitter may be manufact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gratings, and forming a coating layer 100 capable of reflecting and/or diffracting light on each grating.

디스플레이부(13)는 상기 빔분사부(12)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그 형체를 구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영상으로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예를 들어, 재생된 영상을 다시 빔분사부(12)로 조사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 plays a role of reproducing the light incident from the beam ejection unit 12 as an image in which the user can specifically detect the shape with the naked eye. The display unit 13 may be, for example, a reflective display that irradiates the reproduced image to the beam injector 12 again.

이러한 반사형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Lcos 방식이 있다. Lcos 방식은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영상를 재생하는 방식이다. Lcos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소자로는 실리콘 기판을 주로 사용하며 소형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고해상도의 이미지 표시가 가능하다.Such a reflective display has, for example, an Lcos type. The Lcos method is a method of reproducing an image by reflecting incident light as a reflective display. In the Lcos method, a silicon substrate is mainly used as a display element, and high-resolution images can be displayed on a small display screen.

편광판(14)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3)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편광판(14)은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의 성분 중 p파의 광을 투과시키고, s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14 may serve to polarize light that forms an image incident from the display unit 13 . The polarizing plate 14 may serve to transmit the p-wave light and absorb the s-wave among light components that form an incident image.

이때, p파는 광의 입사평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파이고, s파는 광의 입사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파이다. 이 경우, 입사평면은 광이 입사하는 매질에서 입사파, 반사파 및 투과파가 형성하는 평면을 말한다.In this case, the p wave is a light wave that vibrates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incident plane of light, and the s wave is a light wave that vibr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cident plane of the light. In this case, the incident plane refers to a plane formed by an incident wave, a reflected wave, and a transmitted wave in a medium on which light is incident.

상기 편광판(14)은 입사하는 광 중 p파의 광만을 투과시키므로 편광판(14)을 투과하여 렌즈(15)로 입사하는 광은 p파 성분만을 가지게 된다. 물론, 반대로 다른 종류의 편광판(14)을 사용하여 편광판(14)을 투과하여 렌즈(15)로 입사하는 광이 s파 성분만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Since the polarizing plate 14 transmits only the p-wave light among the incident light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14 and incident to the lens 15 has only the p-wave component. Of course, on the contrary, by using a different type of polarizing plate 14,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14 and incident to the lens 15 may have only the s-wave component.

이러한 편광판(14)은 입사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p파 성분과 s파 성분을 동시에 가짐으로 인해, p파 성분의 광과 s파 성분의 광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14 prevents the image quality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the fact that the light forming the incident image has a p-wave component and an s-wave component at the same time, and the light of the p-wave component and the light of the s-wave component interfere with each other.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의 도광부(11)도 상기 편광판(14)과 마찬가지로 편광의 기능을 구비하여, 광원부(10)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편광시켜 p파 성분의 광과 s파 성분의 광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guide unit 11 also has a polarization function, similarly to the polarizing plate 14, and polarize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so that the p-wave component light and the s-wave component light interfere with each other. It can also prevent the image quality from being deteriorated.

렌즈(15)는 상기 편광판(14)으로부터 입사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전송받아 영상을 확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편광판(14)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형성하는 영상은 크기가 매우 작아 그 영상을 사용자가 그대로 보기에는 불편하다. 따라서, 렌즈(15)는 이러한 영상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기에 적절한 크기로 확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lens 15 may receive light that forms an image incident from the polarizer 14 and enlarge the image. That is, the image formed by the light incident from the polarizing plate 14 is very small, so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view the image as it is. Accordingly, the lens 15 may serve to enlarge the image to a size suitable for the user to view with the naked eye.

또한, 상기 렌즈(15)는 입사되는 광의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 등을 보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입사하는 광을 굴절시켜 광경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입사하는 광이 형성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높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ens 15 may serve to correct chromatic aberration, spherical aberration, etc. of the incident light, refract the incident light to change the optical path,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image to be formed.

렌즈(15)를 투과하면서 확대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은 제1프리즘(16)으로 입사된다. 이때, 렌즈(15)로부터 제1프리즘(16)으로 입사되는 광경로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렌즈(15)의 일부에 굴절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굴절부는 예를 들어 렌즈(15)의 다른 부위와 밀도가 다른 매질을 결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15 and forming an enlarged image is incident on the first prism 16 . In this case, in order to properly adjust the optical path incident from the lens 15 to the first prism 16 , a refraction part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lens 15 if necessary. Such a refractive portion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combining a medium having a different density with other portions of the lens 15 .

제1프리즘(16)은 상기 렌즈(15)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안구(E)에 도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렌즈(15)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은 그 경로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광경로의 조절은 제1프리즘(16)에서의 전반사 현상을 이용하고, 또한 사용자의 안구(E)에 입사하는 최종의 광경로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하기에서 후술되는 반사층(200)을 상기 제1프리즘(16)에 형성할 수도 있다.The first prism 16 may serve to br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lens 15 to the user's eye E. For this, the path of the light that forms an image incident from the lens 15 must be appropriately adjusted. Adjustment of this optical path uses the phenomenon of total reflection in the first prism 16, and in order to control the final optical path incident on the user's eye E, a reflective lay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pplied to the first It can also be formed in the prism 16.

이때, 상기 렌즈(15)로부터 제1프리즘(16)을 투과하여 사용자의 안구(E)에 입사되는 영상은 허상이다. 즉, 사용자의 안구(E) 전방에 위치하는 실물의 상을 말하는 실상과 달리, 이러한 영상은 사용자의 안구(E) 전방에 위치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13)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상기한 바와 같이 광경로가 조절됨으로 인해, 마치 사용자의 안구(E) 전방에 위치하는 것처럼 사용자가 시각적 인식하는 허상이다.At this time,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first prism 16 from the lens 15 and incident on the user's eye E is a virtual image. That is, unlike the real image, which refers to the image of the real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user's eye (E), the image reproduced on the display unit 13 not located in front of the user's eye (E) is a sight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path is adjusted, it is a virtual image that the user perceives visually as if it is located in front of the user's eyeball E.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허상을 형성하는 광경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먼저, 인쇄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원부(10)에서 인쇄회로기판(20)을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재생의 대상이 되는 영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영상을 담은 광을 도광부(11)로 조사한다. 이때,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RGB신호를 담은 것일 수 있다.An optical path for forming a virtual image i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is as shown in FIG. 2B . Specifically, first, the light source unit 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image to be reproduc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and transmits the light containing the image to the light guide unit ( 11) is investigated. In this cas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may contain an RGB signal.

다음으로, 도광부(11)는 광원부(1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그 광경로를 조절하여 빔분사부(12)로 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광부(11)는 상기 격자가 형성됨으로 인해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빔분사부(12)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부(11)는 편광의 기능을 구비하여, 광원부(10)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편광시켜 p파 성분의 광과 s파 성분의 광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Next, the light guide unit 11 direct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to the beam ejection unit 12 by adjusting the optical path. In this case, the light guide unit 11 may serve to uniformly distribut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to the beam dispensing unit 12 due to the formation of the grating. In addition, the light guide unit 11 has a polarization function, so tha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is polarized so that the light of the p-wave component and the light of the s-wave componen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by reducing the image quality. can also be prevented.

다음으로, 빔분사부(12)는 상기 도광부(11)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 조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가 입사되는 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beam injector 12 irradiate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guide unit 11 to the display unit 13,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unit 13 in detail. Make it possible to play back the video.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3)는 상기 빔분사부(12)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구체적인 영상으로 재생하고,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은 다시 빔분사부(12)로 조사된다.Next, the display unit 13 reproduce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beam injector 12 as a specific image, and the light forming the reproduced image is irradiated to the beam ejector 12 again.

다음으로, 빔분사부(12)는 디스플레이부(13)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편광판(14)으로 입사시킨다. 이때, 빔분사부(12)는 상기의 다양한 광경로 조절을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분극 빔분사기로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beam ejection unit 12 makes the light that forms an image incident from the display unit 13 incident on the polarizing plate 14 . In this case, the beam splitter 12 may be formed of a polarized beam splitter as described above for adjusting the various optical paths.

다음으로 편광판(14)은 상기 빔분사부(12)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편광시킨다. 이때, 광은 p파 또는 s파 중 어느 하나의 파만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파는 흡수하므로 편광판(14)을 투과한 광은 p파 또는 s파 중 어느 하나의 파만을 가지도록 편광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p파와 s파 서로 간 간섭으로 인한 영상의 화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Next, the polarizing plate 14 polarizes the light that forms an image incident from the beam ejector 12 . At this time, since the light transmits only one of the p-wave and the s-wave and absorbs the remaining wave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14 is polarized to have only one of the p-wave and the s-wave. This is to prevent image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p-wave and the s-wave, as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렌즈(15)는 상기 편광판(14)으로부터 입사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전송받아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기에 적절한 크기로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광경로 조절을 위해 렌즈(15)의 일부에 굴절부가 형성될 수 있고, 굴절부를 투과하는 광은 상기 제1프리즘(16)에 설정된 입사각으로 입사한다.Next, the lens 15 receives the light that forms an image incident from the polarizing plate 14 and enlarges it to a size suitable for the user to see with the naked eye.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 refrac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lens 15 for optical path control, and light passing through the refraction portion is incident on the first prism 16 at an incident angle set.

다음으로, 제1프리즘(16)은 상기 렌즈(15)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의 광경로를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사용자의 안구(E)에 조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광경로의 조절은 제1프리즘(16)의 전반사 현상, 제1프리즘(16)에 형성되는 반사층(200)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Next, the first prism 16 may serve to irradiate the user's eye E with light that finally forms an image by adjusting the optical path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lens 15 . In this case, the adjustment of the optical path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total reflection phenomenon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reflective layer 200 formed on the first prism 16 .

제2프리즘(17)은 상기 제1프리즘(16)과 결합하여 사용자의 안구(E)에 도달하는 실상의 왜곡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프리즘(16)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서 재생되는 영상인 허상과 함께 사용자의 안구(E) 전방에 실제하는 사물의 실상을 동시에 볼 수 있다.The second prism 17 may serve to reduce distortion of the real image reaching the user's eye E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prism 16 . The user can simultaneously see the real image of the object in front of the user's eyeball E together with the virtual image that is the image reproduced on the display unit 13 through the first prism 16 .

그러나, 사용자의 안구(E)와 제1프리즘(16)의 단부가 인접하여 있는 경우 제1프리즘(16)의 단부의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의 안구(E)에 도달하는 실상은 왜곡될 수 있다. 이는 제1프리즘(16)의 단부 형상으로 인해 실상을 보여주는 광의 굴절, 회절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when the user's eye E and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actual image reaching the user's eye E may be distorted due to the shape of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 This is because, due to the shape of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refraction, diffraction, etc. of light showing a real image may occur.

따라서, 제1프리즘(16)의 단부에 제2프리즘(17)을 결합하여 전체 프리즘을 연장형성하면 제1프리즘(16)의 단부 형상으로 인한 실상의 왜곡현상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prism 17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to extend the entire prism, distortion of an image due to the shape of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can be reduced.

베이스(18)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여기에 도광부(11), 빔분사부(12), 디스플레이부(13), 편광판(14), 렌즈(15) 등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18)는 실시예의 여러 구성요소를 수용하므로 그 형상이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8)는 이러한 복잡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방법 예를 들어, 사출성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base 18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may serve to accommodate the light guide unit 11 , the beam jet unit 12 , the display unit 13 , the polarizer 14 , the lens 15 , and the like. Since the base 18 accommodates various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its shape may be complicatedly formed. Therefore, the base 18 may be manufactured by a method capable of being manufactured in such a complex shape, for example, by injection molding.

커버부재(19)는 상기 베이스(18)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여 상기 베이스(18)에 수용되는 각 구성요소들이 상기 베이스(18)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9)는 체결부(22)에 의해 상기 베이스(18)와 결합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19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8 so that each component accommodated in the base 18 can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base 18 .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19 may be coupled to the base 18 by the fastening part 22 .

또한, 커버부재(19)의 상면에는 돌출부(17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71)에 인쇄회로기판(20)에 형성되는 홈 또는 홀이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19)에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의 상부가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sion 17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9,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 20) can be combined.

인쇄회로기판(20) 상부와 하부가 상기 베이스(18) 및 상기 커버부재(19)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광원부(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20)은 광원부(10)에 재생의 대상인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광원부(10)와 디스플레이부(13)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may be coupled to the base 18 and the cover member 19 ,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unit 10 and the display unit 13 . Accordingly,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can transmit an image signal to be reproduced to the light source unit 10 , and supply necessary power to the light source unit 10 and the display unit 13 .

한편, 인쇄회로기판(20)은 상부 및 하부에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19)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71)와, 베이스(18)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71)에 각각 인쇄회로기판(20)의 상부 및 하부가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may be formed with grooves or holes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may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17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9 and the protrusion 171 formed under the base 18 , respectively.

커넥터(2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과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외부장치는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재생할 영상을 수록하는 저장장치,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와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연동시킬 수 있는 통신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or 21 may serve to connect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and an external device.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may be composed of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a storage device for recording an image to be played back,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interlock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nd the wearable display device with each other, etc. .

체결부(22)는 커버부재(19)와 베이스(18)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22)는 상기 커버부재(19)와 상기 베이스(18) 각각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19)와 상기 베이스(18)를 탈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볼트, 나사못, 결합핀 등을 체결부(22)로 사용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22 may serve to couple the cover member 19 and the base 18 to each other. Therefore, if the fastening part 22 is inserted into a hole or groove formed in each of the cover member 19 and the base 18, the cover member 19 and the base 18 can be detachably coupled. You are free to use any For example, bolts, screws, coupling pins, etc. may be used as the fastening part 22 .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서 충진재(200)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part A of FIG. 3 . 5A is an enlarged plan view of part A of FIG. 3 . FIG. 5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ler 200 is disposed in FIG. 5A .

실시예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15)를 베이스(18)의 폭방향과 평행한 x축에 수직한 z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18)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렌즈(15)의 z축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An embodiment may include an angle adjusting unit. As shown in FIG. 3 , the angle adjusting unit rotates the lens 15 with respect to the base 18 about the z axis perpendicular to the x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18 , )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z-axis.

즉, 각도조절부에 의해 렌즈(15)는 예를 들어, 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은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는 렌즈(15)를 회전시켜 상기 렌즈(15)를 투과하여 제1프리즘(16)에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by the angle adjusting unit, the lens 15 may be rotated, for example, from a position shown by a solid line in FIG. 3 to a position shown by a hidden line in FIG. 3 . The angle adjusting unit may rotate the lens 15 to adjust the path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15 and incident on the first prism 16 .

이렇게 제1프리즘(16)에 입사하는 광의 경로가 조절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안구(E)에 입사하는 광에 담긴 이미지의 화질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광의 경로가 조절됨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이미지 또는 노이즈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안구(E)에 입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the path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prism 16 is adjusted in this way, the user can adjust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contained in the light finally incident on the user's eye E. In addition, as the path of the light is adjus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intentional image or an image including noise from being incident on the eyeball (E).

한편, 상기 각도조절부는 일 실시예로 조절레버(100)로 구비될 수 있다. 조절레버(100)는 일단이 상기 렌즈(15)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18)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조절레버(100)의 상기 타측을 y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렌즈(15)를 z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18)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angle adjusting unit may be provided as an adjusting lever 100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lever 10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coupled to the lens 15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18 , and the user moves the other side of the control lever 100 in the y-axis direction. By moving the lens 15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18 about the z-axi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레버(100)는 상기 베이스(18)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80)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18)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베이스(18) 외부로 노출된 조절레버(100) 부분을 이동시켜 렌즈(15)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at least a part of the control lever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18 through the guide hole 180 formed in the base 18 , and the user can use the outside of the base 18 . The angle of the lens 15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exposed control lever 100 part.

한편, 조절레버(10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홀(180)의 상하 표면(180a) 사이의 폭을 조절하여 상기 조절레버(100)가 상기 가이드홀(180)의 상하 표면(180a)과 마찰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control lever 100 without moving in the position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To this end, by adjusting the wid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80a of the guide hole 180 , the control lever 100 may be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80a of the guide hole 180 .

이때, 조절레버(100)의 외주면과 가이드홀(180)의 상하 표면(180a)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은,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조절레버(100)를 가이드홀(18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조절레버(100)를 사용자가 이동시키는 힘보다 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조절레버(100)가 가이드홀(180)의 상하 표면(180a)에서 미끄러지지 않을 정도가 적절하다.At this time,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80a of the guide hole 180 allows the user to move the control lever 100 along the guide hole 180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The degree to which the control lever 100 does not slid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80a of the guide hole 180 is appropriate unless an external force greater than the force that moves the control lever 100 is applied.

조절레버(100)의 외주면과 가이드홀(180)의 상하 표면(180a) 사이에 상기한 크기의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조절레버(100)의 단면반경과 가이드홀(180)의 상하 표면(180a)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The cross-sectional radius of the control lever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80a of the guide hole 180 to generate a frictional force of the above magnitud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80a of the guide hole 180 It is necessary to proper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m.

또한, 조절레버(100)의 외주면 또는 가이드홀(180)의 상하 표면(180a)에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의 코팅층을 형성하여, 상기한 크기의 마찰력을 가지면서, 조절레버(100)와 가이드홀(180) 사이의 마찰에 의한 조절레버(100)와 가이드홀(180)의 마모를 줄일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ating layer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100 o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80a of the guide hole 180 to have a frictional force of the above size, while the control lever 100 and the guide hole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wear of the control lever 100 and the guide hole 180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180 .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레버(100)와 가이드홀(180)의 상하 표면(180a)이 마찰접촉을 하는 경우, 마찰력으로 인해 조절레버(100)는 가이드홀(180) 상에서 이동한 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 lever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80a of the guide hole 180 are in frictional contact, the control lever 100 is stopped at the position moved on the guide hole 180 due to frictional force. state can be maintained.

또한, 조절레버(100)와 가이드홀(180)이 서로 마찰접촉하는 경우, 마찰력은 상기 렌즈(15)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레버(100)의 외주면 또는 가이드홀(180)의 상하 표면(180a)에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코팅층은 완충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렌즈(15)의 흔들림을 더욱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lever 100 and the guide hole 180 are in frictional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rictional force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shaking of the lens 15 .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ating layer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100 o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80a of the guide hole 180, the coating layer can serve as a buff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hake of the lens 15 can be further reduced.

렌즈(15)에는 제1돌출부(151)와 제2돌출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151)는 렌즈(15)의 일측에 형성되고, 단부에서 상기 조절레버(100)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8)에는 상기 제1돌출부(151) 또는 상기 조절레버(1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홀(180)과 연통되는 제1함몰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protrusion 151 and a second protrusion 152 may be formed in the lens 15 . The first protrusion 15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ns 15 and may be coupled to the control lever 100 at an end thereof. Meanwhile, as shown in FIG. 5A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51 or the control lever 100 is accommodated in the base 18 , and a first recessed part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hole 180 . 182 may be formed.

도 5a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렌즈(15), 제1돌출부(151), 조절레버(100)는 제1함몰부(182)와 베이스(18)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은선으로 표시된 렌즈(15'), 제1돌출부(151'), 조절레버(100')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이동을 통해 렌즈(15)의 베이스(18)에 대한 위치, 자세가 조절되어 렌즈(15)를 투과하는 광의 경로가 조절될 수 있다.In FIG. 5A, the lens 15, the first protrusion 151, and the control lever 100 indicated by solid lines ar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depression 182 and the base 18, and the lens 15' indicated by silver lines. , the first protrusion 151 ′, can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control lever 100 ′, and through this movement,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lens 15 with respect to the base 18 are adjusted to pass through the lens 15 . The path of the light can be adjusted.

조절레버(100)는 가이드홀(180)의 양측 표면에 닿을 때까지 가이드홀(18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계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제1함몰부(182)의 폭은 조절레버(100)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가이드홀(180)의 양측 표면 사이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It is appropriate that the control lever 100 is design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hole 180 until it touches both surfaces of the guide hole 180 .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hat the width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18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guide hole 18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control lever 100 .

제1돌출부(151)는 조절레버(100)와 결합하는 부위이다. 따라서, 조절레버(100)의 일단과 제1돌출부(151)의 단부는 서로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하거나, 나사결합 할 수 있고, 또는 조절레버(100)와 제1돌출부(151)는 사출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protrusion 151 is a portion coupled to the control lever 100 . Accordingly, one end of the control lever 100 and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5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or screw-coupled, or the control lever 100 and the first protrusion 151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It may be integrally formed by a method.

제2돌출부(152)는 렌즈(15)의 제1돌출부(151)가 형성되는 부위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152)는 이를 수용하는 제2함몰부(183)에 형성되는 제3돌출부(18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second protrusion 152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protrusion 151 of the lens 15 is formed. The second protrusion 152 may be supported by a third protrusion 184 formed in the second concave portion 183 for accommodating 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충진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200)는 상기 제1함몰부(182)에 상기 제1돌출부(151) 또는 상기 조절레버(1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may include the filler 200 . The filler 20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51 or the control lever 100 in the first depression 182 .

충진재(200)는 예를 들어, 스펀지 등의 유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충진재(200)는 제1함몰부(182)와 상기 제1함몰부(182)에 수용되는 제1돌출부(151) 또는 조절레버(1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180)의 적어도 일부에도 충진될 수 있다.The filler 20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sponge. The filler 200 may be fi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recessed part 182 and the first protrusion 151 or the control lever 100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ssed part 182 . Also, at least a portion of the guide hole 180 may be filled.

충진재(200)는 가이드홀(180)을 폐쇄하여 가이드홀(180)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베이스(18)의 내부공간 및 렌즈(15)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충진재(20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제1돌출부(151), 조절레버(100)의 이동시 변형을 일으키면서 가이드홀(180)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ller 200 closes the guide hole 180 to block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ner space of the base 18 and the lens 15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hole 180 . At this time, since the filler 20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guide hole 180 while causing deformation when the first protrusion 151 and the control lever 100 are moved.

충진재(200)는 이물질이 가이드홀(180)을 통해 유입되어 렌즈(15)를 오염시키는 것을 차단하여 렌즈(15)의 광학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ller 200 may serve to prevent a foreign material from being introduced through the guide hole 180 to contaminate the lens 15 , thereby preventing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lens 15 from being deteriorated.

또한, 충진재(200)는 조절레버(100) 또는 제1돌출부(151)의 이동시 변형을 일으키면서 댐퍼(damper)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충진재(200)는 조절레버(100) 또는 제1돌출부(151)의 급격한 이동을 제한하여 렌즈(15)의 위치, 자세를 더욱 정밀하게 조절하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ller 200 may serve as a damper while causing deformation when the control lever 100 or the first protrusion 151 moves. Accordingly, the filler 200 may contribute to more precisely adjusting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lens 15 by limiting the rapid movement of the control lever 100 or the first protrusion 151 .

이때, 충진재(200)는 함몰홈의 양 측면 또는 바닥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함몰홈에 고정 및 충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ler 200 may be fixed and filled in the recessed groove by being adhered to both sides or the bottom of the recessed groove by an adhesive.

도 6은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함몰부(183)와 제3돌출부(184)가 포함될 수 있다.FIG. 6 is an enlarged plan view of part B of FIG. 3 . As shown in FIG. 6 ,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second recessed part 183 and a third protruding part 184 .

도 3을 참조하면, 제2함몰부(183)는 베이스(18)의 내부 양측면 중 제1함몰부(182)가 형성되는 일측면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제2돌출부(15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recessed part 18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one side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ase 18 on which the first recessed part 182 is form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52 . can be accepted.

제3돌출부(18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함몰부(183)의 개방된 부위와 이에 대향하는 폐쇄된 부위를 제외한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돌출부(184)는 그 단부가 상기 제2돌출부(152)와 접촉하여 상기 렌즈(15)의 흔들림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third protruding part 18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recessed part 183 , except for an open part and a closed part facing it. In this case, the end of the third protrusion 184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152 to limit the shaking of the lens 15 .

따라서, 조절레버(100)의 이동에 의해 렌즈(15)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는 있지만, 상기한 가이드홀(180)과 조절레버(100) 사이의 마찰력, 제3돌출부(184)와 제2돌출부(152)가 서로 접촉하는 구조로 인해 렌즈(15)의 흔들림이 제한된다.Therefore, although the lens 15 can rotate about the z-axis by the movement of the control lever 100,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guide hole 180 and the control lever 100, the third protrusion 184 and The shaking of the lens 15 is limited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s 152 contact each other.

따라서,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렌즈(15)가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사용자는 고화질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moves, the lens 15 is stably mounted so that the user can view a high-quality image.

한편, 상기 제2돌출부(152)는 상기 렌즈(15)가 상기 베이스(18)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3돌출부(184)는 상기 제2돌출부(152)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돌출부(152)와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롤링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protrusion 152 rotates together as the lens 15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ase 18, and the third protrusion 184 rotates when the second protrusion 152 rotates. It may be provide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152 in at least some sections.

상기의 롤링 접촉을 위해, 상기 제3돌출부(184)는 원호형, 반원형, 곡선형 등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제2돌출부(152)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돌출부(152)와 롤링 접촉할 수 있다.For the rolling contact, the third protrusion 184 is formed in an arc shape, a semicircle shape, a curved shape, etc., so that when the second protrusion 152 rotates in at least some sections, the second protrusion 152 and the rolling can be contacted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으로 표시된 렌즈(15)와 제2돌출부(152)가 조절레버(100)의 이동으로 인해 은선으로 표시되는 렌즈(15')와 제2돌출부(152)(152')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경우, 제2돌출부(152)는 베이스(18)에 고정되는 제3돌출부(184)에 대하여 회전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lens 15 and the second protrusion 152 indicated by a solid line are indicated by a hidden line due to the movement of the control lever 100 , and the lens 15 ′ and the second protrusion ( When moving to the position of 152 ( 152 ′), the second protrusion 152 rotates with respect to the third protrusion 184 fixed to the base 18 .

이때, 제2돌출부(152)와 제3돌출부(184)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는 롤링접촉을 할 수 있다. 롤링접촉은 슬라이딩접촉에 비해 마찰력이 현저히 작으므로, 제2돌출부(152)와 제3돌출부(184)간 롤링접촉 구간이 형성됨으로써 전면적인 슬라이딩접촉에 비해 제2돌출부(152) 또는 제3돌출부(184)의 마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protrusion 152 and the third protrusion 184 may be in rolling contact at least in some sections. Since the rolling contact has a significantly smaller frictional force than the sliding contact, a rolling contact sec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152 and the third protrusion 184,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152 or the third protrusion ( 184)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제2돌출부(152)와 제3돌출부(184)의 롤링접촉으로 인해 전면적인 슬라이딩접촉보다 조절레버(100)에 작은 토크를 가하여 렌즈(15)의 위치, 자세를 조절할 수 있고, 제2돌출부(152)는 베이스(18)에 대해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rolling contact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152 and the third protrusion 184 ,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lens 15 by applying a smaller torque to the control lever 100 than the full sliding contact, and the second The protrusion 152 can rotate more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base 18 .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레버(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조절레버(100)는 상기 베이스(18)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80)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18)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조절레버(100)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홀(180) 표면과 치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lev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at least a part of the control lever 100 of another embodimen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18 through the guide hole 180 formed in the base 18, and the control lever 100 ) may be formed to mesh with the surface of the guide hole 180 .

이를 위해 조절레버(100)는 기어(110) 및 손잡이부(12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홀(180)은 상하 표면(180a)에 상기 기어(110)와 치합되는 제2치형(181)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lever 100 may include a gear 110 and a handle portion 120 , and the guide hole 180 has a second tooth shape 181 meshed with the gear 110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80a. ) can be formed.

기어(110)는 일측이 상기 렌즈(15)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외주면에 제1치형(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치형(111)은 그 형상, 크기 등이 상기 제2치형(181)에 치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상기 기어(110)의 타측에 결합하고, 상기 기어(1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gear 1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ns 15 , and a first tooth shape 111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ear 110 . The first tooth 111 may be formed so that its shape, size, etc. may mesh with the second tooth 181 . The handle unit 12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gear 110 and serve to rotate the gear 110 .

손잡이부(120)는 상기 기어(110)와 접착제, 나사결합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사출성형 방식으로 손잡이부(120)와 기어(110)는 서로 일체로 결합할 수도 있다.The handle unit 120 may be coupled to the gear 110 by adhesive, screw coupl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120 and the gear 11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injection molding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홀(180)에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 특히, 상하 표면(180a)에 상기 기어(110)의 제1치형(111)에 치합되는 제2치형(18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치형(111)과 제2치형(181)은 서로 치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20)를 사용자가 회전시켜 조절레버(100)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상기 조절레버(100)는 가이드홀(180)을 따라 스스로 이동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guide hole 180, in particula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80a, the second tooth shape 181 that meshes with the first tooth shape 111 of the gear 110 may be formed. . At this time, the first tooth shape 111 and the second tooth shape 181 are meshed with each other, and as long as the user does not move the control lever 100 by rotating the handle part 120 , the control lever 100 is a guide It does not move by itself along the hole 180 .

따라서, 실시예의 조절레버(100)는,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홀(180) 상에서 이동한 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lever 100 of the embodiment can maintain a stopped state at the position moved on the guide hole 180 , similarly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A .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손잡이부(120)를 회전시키면 기어(110)가 회전하여 가이드홀(18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어(110)와 결합하는 제1돌출부(151), 렌즈(15)는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렌즈(15)의 위치, 자세를 조절하여 렌즈(15)를 투과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unit 120 , the gear 110 rotates to move along the guide hole 180 . 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151 coupled to the gear 110 and the lens 15 are moved, and accordingly, the user adjusts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lens 15 to the path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15 . can be adjusted.

한편, 도 5b에 상기한 충진재(200)도 마찬가지로, 도 7의 실시예에서 구비되어 가이드홀(180)을 폐쇄하여 베이스(18) 내부 및 렌즈(15)에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댐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ller 200 in FIG. 5B is also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FIG. 7 to close the guide hole 180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base 18 and the lens 15, and can play a role

실시예에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렌즈(15)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렌즈(15)를 투과하는 광의 경로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광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 embodiment, the wearable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lens 15 that can be directly adjusted by the user, thereby optimizing the light path by easily adjusting the path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15 there is an effect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광 경로의 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이미지 또는 노이즈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없앰으로써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isplayed image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by removing an unintentional image or an image including noise generated due to the unintentional formation of the light path.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only a few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and may be implemented as a new embodiment through this.

14: 편광판
15: 렌즈
18: 베이스
100: 조절레버
110: 기어
111: 제1치형
120: 손잡이부
151: 제1돌출부
152: 제2돌출부
180: 가이드홀
180a: 가이드홀 상하 표면
181: 제2치형
182: 제1함몰부
183: 제2함몰부
184: 제3돌출부
200: 충진재
14: polarizer
15: lens
18: base
100: control lever
110: gear
111: first tooth type
120: handle part
151: first protrusion
152: second protrusion
180: guide hole
180a: upper and lower surfaces of guide holes
181: second tooth
182: first depression
183: second depression
184: third protrusion
200: filler

Claims (15)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통과시키는 렌즈;
상기 렌즈를 수용하고,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렌즈를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과 평행한 x축에 수직한 z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렌즈의 상기 z축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렌즈를 투과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일단은 상기 렌즈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홀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레버의 상기 타단이 y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렌즈는 상기 z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홀 표면과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unit;
a lens through which the image generated by the display unit passes;
a base accommodating the lens and including a guide hole; and
By rotating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base about the z-axis perpendicular to the x-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and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z-axis, the path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is adjusted Including an angle adjustment unit to
The angle adjusting unit includes a control lev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ens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through the guide hole,
As the other end of the control lever is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the lens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about the z-ax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med to mesh with the guide hol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편광시키고 편광된 광을 상기 렌즈로 입사시키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larizing plate for polarizing light forming an image generated by the display unit and injecting the polarized light into the le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홀 표면과 마찰접촉하여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가이드홀 상에서 이동한 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is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guide hole surface, so that the control lever maintains a stationary state at a position moved on the guide ho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는,
일측이 상기 렌즈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외주면에 제1치형이 형성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의 타측에 결합하고,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lever,
a gear having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lens and having a first tooth shap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wearable display devic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gear and comprising a handle for rotating the gea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기어의 상기 제1치형에 치합되는 제2치형이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wearable display devi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guide hole is formed with a second tooth that meshes with the first tooth of the g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일측에 상기 조절레버와 결합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first protrusion coupled to the control lever on one side and a second protrusion on the other si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상기 조절레버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홀과 연통되는 제1함몰부;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2함몰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ase is
a first depress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or the control lever is accommodated and communicates with the guide hole; and
A wear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cond depress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rojection is accommoda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몰부에는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상기 조절레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충진재가 구비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filler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or the control lever in the first recessed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함몰부에는 단부가 상기 제2돌출부와 접촉하여 상기 렌즈의 흔들림을 제한하는 제3돌출부가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third protrusion having an e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to limit shaking of the lens in the second concave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렌즈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돌출부와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롤링 접촉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protrusion rotates together as the lens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the third protrusion makes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in at least a partial section when the second protrusion rotat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돌출부는 원호형, 반원형, 곡선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hird protrusion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med in at least one shape of an arc shape, a semicircle shape, and a curved shape.
렌즈;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베이스; 및
일단이 상기 렌즈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타측을 이동시켜, 상기 렌즈를 상기 베이스의 상하방향과 평행한 z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렌즈의 z축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렌즈를 투과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레버는,
일측이 상기 렌즈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외주면에 제1치형이 형성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의 타측에 결합하고,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기어의 상기 제1치형에 치합되는 제2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됨에 의하여 상기 렌즈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lens;
a base for accommodating the lens;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lens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the user moves the other side, rotates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base about the z axis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the z of the lens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s, comprising a control lever for adjusting the path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The control lever,
a gear having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lens and having a first tooth shap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gear, comprising a handle for rotating the gear,
The base includes a guide hole,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guide hole is formed with a second tooth that meshes with the first tooth of the gear,
A weara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lens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by rotating the hand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홀 표면과 마찰접촉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rol lev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through the guide hol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is in frictional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guide hole.
제13항에 있어서,
영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편광시키고 편광된 광을 상기 렌즈로 입사시키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 display unit that generates an image; and
and a polarizing plate for polarizing light forming an image generated by the display unit and injecting the polarized light into the lens.
KR1020150026384A 2015-02-25 2015-02-25 Wearable display apparatus KR1023444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384A KR102344459B1 (en) 2015-02-25 2015-02-25 Wearable display apparatus
US15/553,515 US10520738B2 (en) 2015-02-25 2016-04-12 Optical apparatus
PCT/IB2016/000458 WO2016135563A2 (en) 2015-02-25 2016-04-12 Optical device
US15/134,860 US20170059870A1 (en) 2015-02-25 2016-04-21 Optica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384A KR102344459B1 (en) 2015-02-25 2015-02-25 Wearable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05A KR20160103705A (en) 2016-09-02
KR102344459B1 true KR102344459B1 (en) 2021-12-29

Family

ID=5694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384A KR102344459B1 (en) 2015-02-25 2015-02-25 Wearabl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45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903A (en) * 2000-01-06 2001-11-09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display device
KR100612585B1 (en) * 1998-07-04 200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d Mounted Display With Adjusting Devices Of Convergence Angle
JP2012042654A (en) 2010-08-18 2012-03-01 Sony Corp Display device
JP5229327B2 (en) 2008-09-26 2013-07-03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Video display device, head-mounted display, and head-up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585B1 (en) * 1998-07-04 200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d Mounted Display With Adjusting Devices Of Convergence Angle
JP2001311903A (en) * 2000-01-06 2001-11-09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display device
JP5229327B2 (en) 2008-09-26 2013-07-03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Video display device, head-mounted display, and head-up display
JP2012042654A (en) 2010-08-18 2012-03-01 Sony Corp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05A (en) 2016-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397B2 (en) Optical assembly with polarization volume holographic element
US10983341B2 (en) Eye tracking based on polarization volume grating
US9851565B1 (en) Increasing effective eyebox size of an HMD
CN112840261B (en) Polarization based dynamic focuser
US10600352B1 (en) Display device with a switchable window and see-through pancake lens assembly
JP7096371B2 (en) Super stereoscopic display with enhanced off-angle separation
US11181815B1 (en) Optical devices including reflective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projec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US9946075B1 (en) See-through display glasses for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US10969675B1 (en) Optical assemblies having scanning reflectors for projec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US11428977B1 (en) Occluder / dimmer based on polarization-selective scatterer and near-eye display containing same
KR20190094306A (en) Electronic device
US10488617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US11933995B1 (en) 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diffuser
KR102344459B1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US10634916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JP2017198741A (en) Optical device
KR102596553B1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KR102346624B1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US10520738B2 (en) Optical apparatus
KR102451090B1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KR102398506B1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CN107290851A (en) Optical device
US20230258938A1 (en) Display systems with waveguide configuration to mitigate rainbow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