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233B1 - Door lock - Google Patents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233B1
KR102343233B1 KR1020200154354A KR20200154354A KR102343233B1 KR 102343233 B1 KR102343233 B1 KR 102343233B1 KR 1020200154354 A KR1020200154354 A KR 1020200154354A KR 20200154354 A KR20200154354 A KR 20200154354A KR 102343233 B1 KR102343233 B1 KR 102343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ser
communication terminal
door 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33848A (en
Inventor
변철원
Original Assignee
변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철원 filed Critical 변철원
Priority to KR102020015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233B1/en
Publication of KR2021013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2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G07C2209/64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using a proximity sen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20)은 도어(door, 11)에 장착되어, 도어(11)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락(20)에 있어서, 실외를 향하는 도어(11)의 일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공(14)의 내부에 내장되었다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도어(11)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내장형 손잡이(21)를 포함하고, 내장형 손잡이(21)는,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도어(11)가 폐쇄될 때에, 함몰공(14)의 내부로 복귀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and the door lock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 20 mounted on a door 11 to perform an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11, A built-in handle 21 that is built into the recessed hole 14 concavely recessed in one surface of the door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nually performs an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11 by the user. And, the built-in handle 21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and when the door 11 is closed, it returns to the inside of the recessed hole 14.

Description

도어락{DOOR LOCK}door lock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일반적으로 가정용 주택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시설물의 도어에는 출입을 통제하기 수단으로서 디지털 도어락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또는 패턴을 입력하거나 전자키를 사용하여 잠금 수단을 해제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종래 디지털 도어락에 대해서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In general, a digital door lock is used as a means of controlling access to the door of a facility such as a home or office.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is operated in a way that the door is opened by inputting a password or pattern set by a user or unlocking the locking means using an electronic key. For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it is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 of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방문하는 임시 사용자에게도 비밀번호나 패턴을 알려줘야 하고, 도어락에 남아 있는 지문이나 패턴 흔적을 통해 비밀번호나 패턴 등이 쉽게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전자키는 분실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를 습득한 제3자에 의해 범죄에 이용될 수도 있다. 최근에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해 실내에서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었지만, 물리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을 파손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 마련되지 않아, 여전히 보안에 취약한 문제를 안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digital door lock, a password or pattern must be informed to a temporary user who visits temporarily, and the password or pattern can be easily leaked through fingerprints or pattern traces remaining on the door lock.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risk of losing the electronic key, it may be used for crime by a third party who has acquired it. Recently, a system that can check visitors indoors using a home network has been built, but there is no countermeasure against the case of opening the door in an abnormal way such as physically breaking the digital door lock. have.

나아가, 비밀번호나 패턴 입력에 의해서만 도어가 개방되므로, 짐을 들고 출입하는 등과 같이 사용자의 행동에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는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 결국, 종래 디지털 도어락은 보안성 및 편의성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다.Furthermore, since the door is opened only by inputting a password or pattern, it is not easy to use the digital door lock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user's actions, such as entering and leaving with luggage. After all,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needs to be supplemented in terms of security and convenience.

이에 종래 디지털 도어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KRKR 10-2018-011044010-2018-0110440 A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외를 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공의 내부에 내장되었다가, 사용자의 통신단말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도어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락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transmitted from a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being built in a recessed hole concavely recessed on one side of the door facing the outdoo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a signal and performs an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은 도어(door)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실외를 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공의 내부에 내장되었다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도어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내장형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형 손잡이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에, 상기 함몰공의 내부로 복귀될 수 있다.The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 that is mounted on a door and performs an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ncluding; a built-in handle exposed to the outside to manually open the door by a user, wherein the built-in handle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door is closed, it may return to the inside of the recessed ho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is a communication unit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of a user in which an application is installed, a door assembly including the door, and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It may be used in a smart door system including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to perform the opening opera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손잡이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에 접근한 때에,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t-in handl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when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approaches a preset distance ran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비밀번호, 패턴, 생체정보, 및 전자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반응하여 상기 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 in the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may perform the opening operation in response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assword, a pattern, biometric information, and an electronic ke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상기 내장형 손잡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거나, 당겨질 때에 상기 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t-in handle exposed to the outside may perform the opening operation when rotated or pulled by the user.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의해 도어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이 제어되므로, 비밀번호나 패턴의 유출, 또는 전자키의 분실에 의해 야기되는 보안성의 허점을 보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cking and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s controlled by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security loophole caused by the leakage of the password or pattern, or the loss of the electronic key.

또한, 별도의 사용자 인증 단계 없이 사용자의 통신단말을 감지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행동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can be opened by sensing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separate user authentication step, the user can easily enter and exit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s behavior is restricted.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동작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이 채용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1 to 2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8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mart door system employing a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동작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1 to 2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20)은 도어(door, 11)에 장착되어, 도어(11)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락(20)에 있어서, 실외를 향하는 도어(11)의 일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공(14)의 내부에 내장되었다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도어(11)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내장형 손잡이(21)를 포함하고, 내장형 손잡이(21)는,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도어(11)가 폐쇄될 때에, 함몰공(14)의 내부로 복귀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door lock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door (door, 11), in the door lock 20 perform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11, facing the outdoors A built-in handle 21 that is built into the recessed hole 14 concavely recessed in one surface of the door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nually performs an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11 by the user. And, the built-in handle 21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and when the door 11 is closed, it returns to the inside of the recessed hole 14.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20)은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채용되어 사용되는 바, 이하에서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door lock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and used in a smart door system.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smart door system.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연동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에 있어서, 도어(11)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10), 도어(11)에 장착되고, 도어(11)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락(20),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30), 및 통신부(30)가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도어락부(2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4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2 , a smart door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door system 1000 that is interlocked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2000 of a user in which an application (APP) is installed. A door assembly 10 including 11, a door lock 20 mounted on the door 11 and performing locking and opening operations of the door 11,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 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3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it may include a processor 40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unit 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연동되어 도어의 잠금과 열림이 제어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밀번호 또는 패턴을 입력하거나 전자키를 갖다 대는 방식으로 잠금 수단이 해제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에는 비밀번호나 패턴의 유출, 전자키의 분실, 비정상적인 강제 개방 등으로 인한 보안에 취약성을 가지고, 짐을 들고 출입하는 등과 같이 사용자의 행동에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는 도어락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이 안출되었다.A smart do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of Things (IoT)-based door system in which locking and opening of a door is controlled by interworking with a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ase of a digital door lock whose locking means is unlocked by inputting a password or pattern or touching an electronic key, it is vulnerable to security due to leakage of password or pattern, loss of electronic key, abnormal forced opening, etc. Since the use of the door lock is inevitably limited in a situation where user behavior is restricted, such as, a smart do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도어 조립체(10), 도어락(20), 통신부(30), 및 프로세서(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mart door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assembly 10 , a door lock 20 , a communication unit 30 , and a processor 40 .

도어 조립체(10)는, 가정용 주택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시설물의 실내와 실외를 구분짓는 경계에 설치되는 구조체로서, 도어(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2), 및 힌지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assembly 10 is a structure installed at a boundary dividing the indoor and outdoor facilities of a home, such as a house or an office, and may include a door 11 . In addition, the frame 12 and the hinge portion 13 may be further included.

도어(11)는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여닫이문의 형태로, 프레임(12)에 고정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프레임(1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고 닫힐 수 있다.The door 11 is in the form of a hinged door that opens and closes while rotating, is fixed to the frame 12,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ame 12 about the rotation axis.

프레임(12)은 시설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문틀이다. 이러한 프레임(12)은 도어(11)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일례로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12)의 형태가 반드시 사각 링 형태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ㄷ"자형, "ㄱ"자형, "ㅣ"자형 등과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힌지부(13)는 도어(11)가 프레임(12)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게 하는 연결부재이다. 일례로, 도어(11)와 프레임(12)에 각각 서로 마주보는 돌출부재가 결합되고, 그 돌출부재가 힌지축에 연결되어, 도어(11)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부(13)가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힌지부(13)가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어(11)와 프레임(12)을 연결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어(11)가 회동할 수 있게 구현되기만 하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힌지부(13)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어, 도어(11)의 상단부, 하단부, 그리고 그 사이의 중간부 등에 배치될 수 있다.The frame 12 is a door fram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facility. This frame 12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door 11, for example,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ring. However, the shape of the frame 1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rectangular ring shape, and may be formed such as a "c" shape, a "a" shape, a "ㅣ" shape, and the like. The hinge part 13 is a connecting member that enables the door 11 to rotate while being coupled to the frame 12 . As an example, the door 11 and the frame 12 are coupled to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the protrud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so that the door 11 can be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the hinge part 13 can be implemented. However, the hinge part 13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implemented in this form, and there is a special limitation as long as the door 11 and the frame 12 are connected and the door 11 is rotatable about the hinge axis. there is no At least one hinge portion 13 may be provided,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end portion, lower end portion, and a middle portion therebetween of the door 11 .

도어락(20)은, 도어(11)에 장착되어 도어(11)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도어락(20)은 도어(11)와 프레임(12)을 체결하는 잠금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도어(11)를 프레임(12)에 체결하여 잠금 동작을 수행하고, 그 잠금 수단을 해제하여 열림 동작을 수행한다. 도어락(20)은 전기 회로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프로세서(40)에 의해 잠금 수단이 전기적으로 제어된다. 도어락(20)은 프로세서(40)에 의한 제어 외에도, 사용자가 비밀번호나 패턴, 생체정보를 입력하거나, 전자키에 의해 잠금 및 열림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The door lock 20 is mounted on the door 11 to perform locking and opening operations of the door 11 . The door lock 20 includes a locking means for fastening the door 11 and the frame 12, so that the door 11 is fastened to the frame 12 to perform a locking operation, and unlocking the locking means to open the door 11 carry out The door lock 20 has an electric circuit, and the lock means is electrically controlled by the processor 4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the control by the processor 40, the door lock 20 may be locked and opened by the user by inputting a password, a pattern, or biometric information, or by an electronic key.

통신부(30)는,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모듈이다. 여기서, 통신단말(2000)은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기기로서,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PC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무선 통신은 Wi-Fi, NFC, 블루투스, RFID 방식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30)는 실내의 무선 인터넷이나 랜(LAN) 선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필요한 전력은 실내에서 공급되되,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배터리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도어 조립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연동되어 도어락(20)이 제어되기 때문에, 실외의 통신단말(2000)과 Wi-Fi를 매개로 신호 전송과 수신이 가능하도록, Wi-Fi 신호 확장기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0 i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 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may have an application (APP) installed therein, and a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rried by the user,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may be exemplified.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Wi-Fi, NFC, Bluetooth, RFID,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30 may be connected to an indoor wireless Internet or LAN line to configure a network, and necessary power may be supplied indoors, but may also be provided by a battery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Here, the battery may be mounted on the door assembly 10 . In addition, since the door lock 20 is controlled by interworking with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a Wi-Fi signal extender is provided to enabl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via the outdoor communication terminal 2000 and Wi-Fi. can do.

프로세서(40)는, 도어락(20)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으로서,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이 통신부(3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통신부(30)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도어락(20)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통신단말(2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에 의해 생성 및 전송되는 신호이거나, 또는 블루투스나 RFID 등과 같이 통신단말(2000) 자체에서 발생하는 무선 신호일 수 있다. The processor 40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20 , and when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30 ,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0 , the door lock (20) to perform the locking and opening operations. Here, the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an application (APP)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or a wireless signal generat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itself, such as Bluetooth or RFID.

일례로,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APP)에 접속하여, 비밀번호나 패턴, 생체정보 등과 같은 기설정된 형태의 도어 열림 명령을 입력하면, 통신부(30)가 그 도어 열림 명령을 제어 신호로서 수신하고, 프로세서(40)가 그 도어 열림 명령에 응답하여 도어락(20)으로 하여금 도어(11)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도어 열림 명령이 반드시 비밀번호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accesses the application (APP) and inputs a door open command in a preset form such as a password, pattern, biometric information, etc., the communication unit 30 receives the door open command as a control signal, and the processor 40 may cause the door lock 20 to perform an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11 in response to the door opening command. However, the door open command is not necessarily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assword or the like.

한편, 프로세서(40)는 통신단말(2000)이 접근에 대응하여, 도어락(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Meanwhile, the processor 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20 in response to the acces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면, 그 접근을 제어 신호로 인식하여, 도어락(20)으로 하여금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range, the smart door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approach as a control signal and causes the door lock 20 to open. can do it

통신단말(2000)은 통신부(3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접근 거리 내에서, 통신단말(2000)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단말(2000)이 인식되지 않는 소정의 거리(L1)에 통신단말(200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어락(20)이 잠금 상태를 유지하다가, 통신단말(2000)을 인식할 수 있는 기설정된 거리(L0) 범위 내로 접근하면, 통신부(30)가 통신단말(2000)에 전송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프로세서(40)는 도어락(20)으로 하여금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락(20)의 동작 제어 방식에 의하면, 짐을 들고 있는 등과 같이 사용자의 행동이 제약되는 상황에서도, 사용자의 접근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도어(11)를 개방할 수 있다.Si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30 ,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can be recognized within an access distance in which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refor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exist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L1 w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is not recognized, the door lock 20 maintains the locked state,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can be recognized. When approaching within the preset distance (L0) range, the communication unit 30 detects a signal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the processor 40 may cause the door lock 20 to perform an open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door lock 20 , the door 11 can be automatically opened by recognizing the user's approach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s behavior is restricted, such as holding luggage.

한편, 도어락(20)은 반드시 프로세서(4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11)를 개방하도록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수동으로 잠금 수단을 해제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락부(20)는 내장형 손잡이(21)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형 손잡이(21)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손잡이를 돌리거나, 또는 당기거나, 누를 수 있게 마련되고, 내장형 손잡이(2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도어(11)의 열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내장형 손잡이(21)는 평상시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다가, 통신단말(2000)에서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실외를 향하는 도어(11)의 일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의 함몰공(14)이 형성되고, 그 함몰공(14) 내부에 내장형 손잡이(21)가 내장되었다가, 프로세서(4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열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노출된 손잡이를 돌리거나, 또는 당겨서 도어(11)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오고 나서 도어(11)가 폐쇄되면, 자동으로 원래 내장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노출된 내장형 손잡이(21)를 눌러 원래 내장되는 위치로 회복시킬 때에 도어(11)가 개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door lock 2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implemented to automatically open the door 11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40 , but may be implemented to manually release the lock means. For example, the door lock unit 20 may include a built-in handle 21 . The built-in handle 21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manually turn, pull, or press the handle, and an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11 may be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built-in handle 21 . The built-in handle 21 is not normally exposed to the outside, but may be exposed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 In one embodiment, a recessed hole 14 in a concave shap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oor 11 facing the outdoors, and a built-in handle 21 is built in the recessed hole 14, and then the processor ( 40),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n ope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anually by the user. At this time,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11 by turning or pulling the exposed handle, and the door 11 is closed after the user enters the room, it may automatically return to the original built-in state. Alternatively, the door 11 may be opened when the user presses the exposed built-in handle 21 to restore it to the original built-in position.

이러한 내장형 손잡이(21)는 통신단말(2000)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APP)에 도어 열림 명령이 입력되거나, 통신단말(2000)이 기설정된 거리(L0) 범위 내로 접근하면, 내장형 손잡이(21)가 노출될 수 있다.The built-in handle 21 may be expose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when a door open command is input to the application (APP) 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L0) range, the built-in handle 21 may be exposed.

이렇게 수동식 내장형 손잡이(21)를 이용하는 도어(11)의 열림 동작은, 사용자가 접근할 때에 자동으로 열리는 전술한 방식과 별개로 구현될 수 있지만, 2가지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는 별개의 모드로 운용되어, 사용자가 그 모드 방식을 선택 설정할 수도 있다.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11 using the manual built-in handle 21 can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above-described method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a user approaches, but operates in a separate mode that can function in two ways Thus, the user can select and set the mode method.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에 따르면,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에 의해 도어(11)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이 제어되므로, 비밀번호나 패턴의 유출, 또는 전자키의 분실에 의해 야기되는 보안성의 허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사용자 인증 단계 없이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을 감지하여 도어(11)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행동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Overall, according to the smart door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cking and opening operations of the door 11 are controlled by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the password or pattern leakage or loss of the electronic key is prevented.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security loopholes caused by In addition, since the door 11 can be opened by sensing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without a separate user authentication step, the user can easily enter and exit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s behavior is restricted.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이 채용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3 to 8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mart door system employing a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도어(11) 밖의 실외를 촬영할 수 있는 방범 카메라(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 the smart door system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urity camera 50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outside of the door 11 .

방범 카메라(50)는 힌지부(13)에 장착될 수 있는데, 도어(11)의 상단부에 배치된 힌지부(13)에 장착되어 하향으로 실외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방범 카메라(50)는 도어(11)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방범 카메라(50)와 연결되는 전기 배선 등이 힌지부(13)를 통해 도어(11) 또는 프레임(12)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3자에 의한 방범 카메라(5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방범 카메라(50)에 의해 촬영된 방범 영상은 방범 카메라(50)의 자체 메모리나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또는, 통신부(30)를 통해 그 방범 영상이 애플리케이션(APP)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방범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필요한 대처를 할 수 있다.The security camera 50 may be mounted on the hinge unit 13 , and may be mounted on the hinge unit 13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door 11 to photograph the outdoors downward. In this case, the security camera 5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door 11 , and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security camera 50 is inserted into the door 11 or the frame 12 through the hinge unit 13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security camera 50 by a third party. The security image captured by the security camera 50 may be stored in its own memory of the security camera 50 , an internal memory of the smart door system 1000 , or a separate server (not shown). Alternatively, the crime prevention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APP)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 At this time, the user can take necessary measures by checking the crime prevention video through the application (APP).

한편, 방범 카메라(50)는 실시간으로 지속해서 실외를 촬영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제3자가 도어벨을 누르는 경우에, 프로세서(40)가 도어벨의 작동을 감지하고, 이때 방범 카메라(50)를 작동시켜 제3자를 촬영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security camera 50 may continuously photograph the outdoors in real time. However,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when a third person presses the doorbell, the processor 40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doorbell, and at this time, the security camera 50 may be operated to photograph a third pers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외시경 카메라(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smart door system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view camera 60 .

도어(11)에는, 실내에서 실외를 관찰할 수 있도록 도어(11)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외시경(15)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외시경 카메라(60)는 실내에서 외시경(15)을 통해 실외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외시경 카메라(60)는, 외시경 카메라(60)의 렌즈가 외시경(15)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도어(11)의 타면, 즉 실내를 향하는 도어(11)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다. The door 11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sight 15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penetr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11 to observe the outdoors from the inside. In this case, the periscope camera 60 may photograph the outdoors through the periscope 15 from the inside. At this time, the exoskeleton camera 60 is disposed so that the lens of the exoscopic camera 60 corresponds to the exoskeleton 15, and is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oor 11,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1 facing the room. can

외시경 카메라(6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외시경 카메라(60)의 자체 메모리나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또는, 통신부(30)를 통해 해당 영상이 애플리케이션(APP)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exoskeleton camera 60 may be stored in its own memory of the exoskeleton camera 60 , an internal memory of the smart door system 1000 , or a separate server (not shown). Alternatively, the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APP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

한편, 도 5를 참고로, 외시경 카메라(60)는 반드시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동하면서 실외를 촬영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하 및 좌우 배열되는 다수 개의 외시경(15)이 도어(11)에 구비되고, 외시경 카메라(60)의 렌즈(61)가 다수의 외시경(15) 각각에 대응되도록 외시경 카메라(60)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70)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the exoscope camera 6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and may be photographed outdoors while moving.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exoskeletons 15 arranged vertically and left and right are provided in the door 11 , and a lens 61 of the exoskeleton camera 60 correspond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xoskeletons 15 . It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fer device 70 for transferring the 60 .

이송장치(7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그 일실시예로서 카메라 장착블록(71), 가이드봉(73), 결합블록(75), 이송봉(77), 및 구동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블록(71)에 외시경 카메라(60)가 장착된다. 가이드봉(73)은 봉 형상으로, 카메라 장착블록(71)을 관통하면서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카메라 장착블록의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즉, 카메라 장착블록(71)은 가이드봉(73)을 따라 움직인다. 결합블록(75)은 가이드봉(73)의 말단에 연결되어, 가이드봉(73)과 이송봉(77)을 서로 연결한다. 이송봉(77)은 결합블록(75)을 관통하면서, 가이드봉(73)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결합블록(75)은 구동부(78)에 의해 이송되므로, 이송봉(77)은 결합블록(75)의 이송을 안내한다. 구동부(78)는 외부 전원(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구동모터(78a)를 사용하여 결합블록(75)을 이송한다. 일례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구동모터(78a)에 벨트(78b)가 감기고, 그 벨트(78b)에 결합블록(75)이 연결되어, 구동모터(78a)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봉(73)은 X축 및 Y축 각각의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되고, 각각의 가이드봉(73) 양말단에 하나씩 결합블록(75)이 결합되며, 사각 링(ring) 형태로 4개의 이송봉(77)이 배치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외시경 카메라(60)를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ransfer device 70 will include a camera mounting block 71 , a guide rod 73 , a coupling block 75 , a transfer rod 77 , and a driving unit 78 as an embodiment thereof. can An external view camera 60 is mounted on the camera mounting block 71 . The guide rod 73 has a rod shape and is disposed in the X-axis or Y-axis direction while penetrating the camera mounting block 71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amera mounting block in the X-axis or Y-axis direction. That is, the camera mounting block 71 moves along the guide rod 73 . The coupling block 75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guide rod 73 , and connects the guide rod 73 and the transfer rod 77 to each other. The transfer rod 77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uide rod 73 while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block 75 . Here, since the coupling block 75 is conveyed by the driving unit 78 , the conveying rod 77 guides the conveying of the coupling block 75 . The driving unit 78 transfers the coupling block 75 using a driving motor 78a that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a connector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For example, a belt 78b is wound around a pair of driving motors 78a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coupling block 75 is connected to the belt 78b, and then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motor 78a. It can be implemented to be bold. On the other hand, two guide rods 73 are arranged in each direction of the X-axis and Y-axis, and the coupling blocks 75 are coupled one by one to both ends of each guide rod 73, and 4 in the form of a square ring. The two transfer rods 77 are disposed, so that the exoskeleton camera 60 can be more stably transferred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침입 감지부(80), 및 침입 연락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smart door system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rusion detection unit 80 and an intrusion contact unit 90 .

여기서, 침입 감지부(80)는 도어(11)에 대한 강제 개방 시도를 감지한다. 강제 개방은 도어(11)를 설정된 방식이 아니라, 비정상적으로 개방하고자 하는 시도를 의미한다. 침입 감지부(80)는 도어(11)에 가해지는 진동 등을 감지하는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에서 도어(11)에 외력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가해질 때에, 침입 감지부(80)가 이를 강제 개방으로 인지할 수 있다.Here, the intrusion detection unit 80 detects an attempt to force open the door 11 . Forced opening means an attempt to open the door 11 abnormally, not in a set manner. The intrusion detection unit 80 may be implemented as a sensor or the like that detects vibrations applied to the door 11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11 from the outside by more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intrusion detection unit 80 may recognize this as a forced opening.

침입 연락부(90)는 침입 감지부(80)에서 강제 개방 시도를 감지할 때에, 기설정된 보안기관, 예를 들어 경찰서 보안업체에 침입 시도를 안내한다. 이때, 음성으로 그 침입 시도를 안내할 수 있는데, 안내 음성은 도어 조립체(10)가 설치된 주거지 정보, 및 침입 시도를 알리는 침입 위험 정보를 미리 녹음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침입 연락부(90)는 통신부(30)를 통해 연결된 홈 네트워크, 인터폰, 가정용 전화기 등을 이용해 음성 안내를 실행할 수 있다.When the intrusion contact unit 90 detects the forced opening attempt in the intrusion detection unit 80, it guides the intrusion attempt to a preset security organization, for example, a police station security company. At this time, the intrusion attempt may be guided by voice, and the guidance voice may be used by pre-recording information on the residence where the door assembly 10 is installed and intrusion risk information notifying the intrusion attempt. The intrusion contact unit 90 may execute voice guidance using a home network, intercom, home phone, etc.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화재감지기(100), 및 화재 연락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door system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e detector 100 and a fire contact unit 110 .

화재감지기(100)는 실내의 온도, 및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The fire detector 100 is a device for detecting a fire by measuring at least any one or more of an indoor temperature and a gas.

화재 연락부(110)는, 화재감지기(100)가 화재를 감지하는 때에, 기설정된 소방기관(예를 들어, 소방서)에, 도어 조립체(10)가 설치된 주거지 정보, 및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는 화재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는 기녹음되어 음성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재 연락부(110)는 통신부(30)를 통해 연결된 홈 네트워크, 인터폰, 가정용 전화기 등을 이용해 음성 안내를 실행할 수 있다.The fire contact unit 110, when the fire detector 100 detects a fire, notifies a preset fire engine (eg, a fire station), information on the residence where the door assembly 10 is installed, and the fact that a fire has occurr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may be pre-recorded and guided by voice. The fire contact unit 110 may execute voice guidance using a home network, intercom, home phone, etc.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의 상황을 통신단말(2000)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적절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며, 도어(11)의 강제 개방 또는 화재를 자동 감지하여 자동으로 관련 기관에 연락할 수 있으므로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대비책이 마련된다.Over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outdoor situ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it enables an appropriate response by the user, and automatically detects the forced opening of the door 11 or a fire and automatically detects a fire. You can contact the relevant organizations through

이하에서는 통신단말(2000)과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이 연동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and the smart door system 1000 are interlocked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mart door system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연동되도록, 메모리(120), 도어 등록 코드 전송부(130), 및 코드 인증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smart door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120 , a door registration code transmitter 130 , a memory 120 to interwork with a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 and a code authenticator 140 .

메모리(120)는 사용자의 ID, 및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을 인증하는 기기 등록 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매체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ID, 및 기기 등록 코드는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에 입력되어 전송되고, 통신부(30)에서 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기기 등록 코드는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을 인증할 수 있는 코드로서, 통신단말(2000)의 제조 일련번호를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별도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memory 120 is a data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user's ID and a device registration code for authenticating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 Here, the user's ID and device registration code may be input to and transmitted to an application (APP) installed in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 and may be received and stor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0 . The device registration code is a code capable of authenticat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of the user, and may use the serial numb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or may be separately generated and used by the user.

도어 등록 코드 전송부(130)는, 사용자의 ID 및 기기 등록 코드가 통신부(30)에 의해 수신될 때에, 도어 등록 코드를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에 전송한다. 도어 등록 코드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을 인증하는 코드로서, 기설정되어 메모리(120)에 저장되었다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된 도어 등록 코드는 통신단말(2000)의 애플리케이션(APP)이나 텍스트 메세지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확인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APP)에 그 도어 등록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APP)은 입력된 도어 등록 코드를 통신부(30)로 전송할 수 있다.The door registration code transmitting unit 130 transmits the door registration code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when the user's ID and device registration code are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0 . The door registration code is a code for authenticating the smart door system 1000 , and may be preset and stored in the memory 120 and then transmitted. Here, the transmitted door registration code can be checked by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APP) or text messag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and the user who has confirmed this can input the door registration code into the application (APP).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APP may transmit the input door registration code to the communication unit 30 .

코드 인증부(140)는 통신부(30)가 수신한 도어 등록 코드를 인증한다. 코드 인증부(140)는 전송된 도어 등록 코드와 수신된 도어 등록 코드를 서로 비교하여, 수신된 도어 등록 코드가 정당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그 결과, 코드 인증부(140)가 정당한 도어 등록 코드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통신단말(2000)로부터 제어 신호를 통신부(30)가 수신하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40)가 그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도어락부(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de authentication unit 140 authenticates the door registration code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0 . The code authenticator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door registration code is legitimate by comparing the transmitted door registration code with the received door registration code. As a result, since the code authenticator 140 authenticates a valid door registration code,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and the smart door system 1000 may be linked with each other. In this state, the communication unit 3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 and accordingly, the processor 40 may control the door lock unit 2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mart doo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ID 재전송 요청부(150), 및 ID 인증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smart door system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D retransmission request unit 150 and an ID authentication unit 160 .

여기서, 애플리케이션(APP)에 입력된 사용자의 ID는, 중앙서버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가 중앙서버에 저장되는 경우 유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ID를 통신단말(2000)에 직접 저장되는 방식을 취한다.Here, the user's ID input to the application (APP) is not stored in the central server, but is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of leakage when user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central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to increase security, a method in which the user's ID is directly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is adopted.

ID 재전송 요청부(150)는, 도어 등록 코드가 인증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접근할 때에, 사용자의 ID 재전송을 요구하는 ID 재전송 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ID 재전송 명령을 통신부(3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APP)에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APP)은 ID 재전송 명령에 대응되는 ID 전송 명령 코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APP)에 ID 전송 명령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에 저장된 사용자의 ID를 통신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ID 전송 명령 코드는 반드시 숫자나 문자 형식으로만 구성되어 입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애플리케이션(APP)에서 ID 재전송 명령을 승인하는지를 묻고 이에 "예", "YES" 등을 탭하는 형식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The ID retransmission request unit 150 generates an ID retransmission command requesting retransmission of the user's ID when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range while the door registration code is authenticated. In addition, the generated ID retransmission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APP)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 The application (APP) receiving this may request the user by displaying the ID transmission command code corresponding to the ID retransmission command. In this case, the user may transmit the ID of the user stored in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to the communication unit 30 by inputting the ID transmission command code into the application (APP). Here, the ID transmission command cod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entered only in the form of numbers or letters, but it can be entered in the form of asking whether the application (APP) approves the ID retransmission command and tapping "Yes", "YES", etc. may be

ID 인증부(160)는, 통신단말(2000)에 저장된 사용자의 ID, 즉 재전송된 사용자의 ID가 통신부(30)에서 수신된 때에, 그 수신된 사용자의 ID가 정당한 ID인지를 인증한다. 이때, ID 인증부(160)는 메모리(120)에 기저장된 사용자의 ID와 재전송 사용자의 ID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의 ID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When the user ID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that is, the retransmitted user ID,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0, the ID authentication unit 160 authenticates whether the received user ID is a valid ID. In this case, the ID authenticator 160 may compare the ID of the user pre-stored in the memory 120 with the ID of the retransmission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 ID is a valid user ID.

이렇게 사용자의 ID가 추가적으로 인증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로세서(40)가 작동할 수 있다.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ID is additionally authenticated, the processor 40 may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과 연동된 통신단말(2000)을 분실하는 경우를 대비해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APP)에 사용자의 ID와 상이한 비상용 ID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비상용 ID는 애플리케이션(APP)에 저장되고, 비상용 ID로 애플리케이션(APP)에 접속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 간의 연동을 차단하는 연동 차단 명령을 통신부(30)에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in case the user loses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0 linked to the smart door system 1000 , the user may input an emergency ID different from the user ID in the application APP. The input emergency ID is stored in the application (APP), and when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APP) with the emergency ID,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0 and the smart door system 1000 is performed through the application (APP). An interlocking blocking command to block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30 .

연동 차단 명령이 통신부(30)에 전송된 경우에, 프로세서(40)는 사용자의 단말과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 간의 연동을 차단할 수 있다. When the interworking blocking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30 , the processor 40 may block interworking between the user's terminal and the smart door system 1000 .

또한, 분실한 통신단말(2000)을 회수하는 경우에는, 비상용 ID로 애플리케이션(APP)에 접속하여 연동 회복 명령을 통신부(30)에 전송함으로써, 차단된 연동을 회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recovering the lost communication terminal 2000, the blocked interworking may be restored by accessing the application (APP) with an emergency ID and transmitting an interworking recovery command to the communication unit 30 .

전술한 침입 연락부(90), 화재 연락부(110), 도어 등록 코드 전송부(130), 코드 인증부(140), ID 재전송 요청부(150), ID 인증부(160)는 각각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이 통합되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어 조립체(10) 내부에 위치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회로 형태로 구현되거나, 별도의 칩 또는 모듈로 구현되어 도어 조립체(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내장 메모리(120)나 플로피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USB 등과 같은 외장 메모리(120)에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다른 내장 모듈(예를 들어, 프로세서(40)) 등에 통합될 수도 있다.The aforementioned intrusion contact unit 90 , fire contact unit 110 , door registration code transmission unit 130 , code verification unit 140 , ID retransmission request unit 150 , and ID verification unit 160 are each or at least Two or more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That is,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igital or analog circuit located inside the door assembly 10 , or implemented as a separate chip or module and connected to the door assembly 10 , and the built-in memory 120 , a floppy disk, a compact disk, or a USB It may be implemented by storing and executing software in the external memory 120, such as. In addition, 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programmed by a user, and may be integrated into another built-in module (eg, the processor 40 ).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clear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 도어 조립체 11: 도어
12: 프레임 13: 힌지부
14: 함몰공 15: 외시경
20: 도어락 21: 내장형 손잡이
30: 통신부 40: 프로세서
50: 방범 카메라 60: 외시경 카메라
70: 이송장치 80: 침입 감지부
90: 침입 연락부 100: 화재감지기
110: 화재 연락부 120: 메모리
130: 도어 등록 코드 전송부 140: 코드 인증부
150: ID 재전송 요청부 160: ID 인증부
1000: 스마트 도어 시스템 2000: 통신단말
10: door assembly 11: door
12: frame 13: hinge part
14: hollow hole 15: ophthalmoscope
20: door lock 21: built-in handle
30: communication unit 40: processor
50: security camera 60: external view camera
70: transfer device 80: intrusion detection unit
90: intrusion contact 100: fire detector
110: fire contact 120: memory
130: door registration code transmission unit 140: code authentication unit
150: ID retransmission request unit 160: ID authentication unit
1000: smart door system 2000: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5)

도어(door)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실외를 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공의 내부에 내장되었다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도어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내장형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형 손잡이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거나, 당겨질 때에 상기 열림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며,
개방된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에, 상기 함몰공의 내부로 복귀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스마트 도어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을 인증하는 기기 등록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기기 등록 코드가 수신된 때에, 상기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인증하는 도어 등록 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도어 등록 코드 전송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되어 전송된 상기 도어 등록 코드가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때에, 수신된 상기 도어 등록 코드를 인증하는 코드 인증부;를 포함하여, 상기 코드 인증부가 상기 도어 등록 코드를 인식할 때에,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연동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ID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저장되고,
상기 코드 인증부가 상기 도어 등록 코드를 인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에 접근할 때에, 상기 사용자의 ID 재전송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ID 재전송 명령을 전송하는 ID 재전송 요청부; 및
재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ID가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때에,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ID를 인증하는 ID 인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ID 재전송 명령에 대응되는 ID 전송 명령 코드를 요청하고, 상기 ID 전송 명령 코드가 입력된 때에,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ID를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는 도어락.
In a door lock mounted on a door to perform an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Contained; and a built-in handle that is built into the recessed hole concavely recessed on one surface of the door facing the outdoors,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nually opens the door by the user.
The built-in handl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the door is opened by performing the opening operation when exposed to the outside and rotated or pulled by the user,
When the opened door is closed, it returns to the inside of the recessed hole,
The door lock receives the control signal by a smart door system interlocked with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smart door system,
a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performs the opening opera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a memory for storing the ID of the user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from the application, and a device registration code for authenticat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a door registration code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a door registration code for authenticating the smart door system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s ID and the device registration code are received; and
When the door registration code input and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 code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received door registration code; including, when the code authentication unit recognizes the door registration code, the Interlocked with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ID input to the application is stored in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code authent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door registration cod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approaches a preset distance range, the user's ID retransmission command is generated, and the ID is re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D retransmission request unit for transmitting a command; and
When the retransmitted ID of the user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he ID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received ID of the user; further comprising,
The application requests the ID transmission command code corresponding to the ID retransmission command from the user, and when the ID transmission command code is input, transmits the ID of the user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to the communication unit door lock.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손잡이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에 접근한 때에,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도어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ilt-in handle,
When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approaches a preset distance range, the door lock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비밀번호, 패턴, 생체정보, 및 전자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반응하여 상기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lock is
A door lock that performs the opening operation in response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assword, a pattern, biometric information, and an electronic key.
삭제delete
KR1020200154354A 2020-04-29 2020-11-18 Door lock KR1023432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354A KR102343233B1 (en) 2020-04-29 2020-11-18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365A KR102183174B1 (en) 2020-04-29 2020-04-29 Smart door system
KR1020200154354A KR102343233B1 (en) 2020-04-29 2020-11-18 Door loc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365A Division KR102183174B1 (en) 2020-04-29 2020-04-29 Smart do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848A KR20210133848A (en) 2021-11-08
KR102343233B1 true KR102343233B1 (en) 2021-12-23

Family

ID=736457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365A KR102183174B1 (en) 2020-04-29 2020-04-29 Smart door system
KR1020200154354A KR102343233B1 (en) 2020-04-29 2020-11-18 Door lock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365A KR102183174B1 (en) 2020-04-29 2020-04-29 Smart do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831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0502B (en) * 2021-10-12 2023-08-22 元气森林(北京)食品科技集团有限公司 Alarm method for showcase, electronic device, medium and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467U (en) * 2009-10-29 2011-05-06 이호영 Door Viewer
KR102110638B1 (en) * 2017-06-14 2020-05-13 (주)참슬테크 Access control device with multi security function
KR20180107822A (en) * 2017-03-23 2018-10-04 이상경 Digital DoorLock connecting with Smartphone
KR101915519B1 (en) 2017-03-29 2018-11-08 주식회사 코맥스 Door lock system and setting method thereof
KR101927692B1 (en) * 2017-09-25 2018-12-11 주식회사 셀캅 System for home crime prevention of internet of things
KR102459231B1 (en) * 2017-11-14 2022-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00017128A (en) * 2018-08-08 2020-02-18 조시래 Door lock device opening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848A (en) 2021-11-08
KR102183174B1 (en)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1444B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KR100747055B1 (en) A digital door lock system
KR101315940B1 (en) Door lock system using smart phone
KR101595413B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structure type approved by hierarchical manager based on ICT convergence technology
KR101852599B1 (en) An 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n mobile device
KR101960799B1 (en) biometric recognition access control system having IoT and its control methods
KR101570463B1 (en) Portable terminals and door locks are interlocked
KR101931867B1 (en) Entrance managing system using of a mobile device
KR102328402B1 (en) Smart door look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40117264A (en) Entry management a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using digital door lock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1765080B1 (en) smart door lock system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KR102343233B1 (en) Door lock
KR20170111804A (en) System for using the dual security and ID reading facial recognition
KR10116370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KR20180062692A (en) Method, user terminal, door lock device and entry security system for controlling of opening and closing door
KR101025830B1 (en) A crime prevention system using recognition of a fingerprint
KR20150035644A (en) Digital Door-Lock and Door-Lock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56647A (en) Door unlocking system using door camera
JP2006172286A (en) Entrance and exit control system
JP4344303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KR20200044223A (en) Security service system using IOT-based smart door lock
KR101063751B1 (en) Biometrics-based Passenger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KR101907108B1 (en) Smart door 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09442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KR20170073109A (en) Doorlock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