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254B1 - Blockchain based claim and reward model for lost property - Google Patents

Blockchain based claim and reward model for lost proper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254B1
KR102341254B1 KR1020200026618A KR20200026618A KR102341254B1 KR 102341254 B1 KR102341254 B1 KR 102341254B1 KR 1020200026618 A KR1020200026618 A KR 1020200026618A KR 20200026618 A KR20200026618 A KR 20200026618A KR 102341254 B1 KR102341254 B1 KR 102341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t
found
owner
smart contra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1545A (en
Inventor
김남기
홍성호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6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254B1/en
Publication of KR2021011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5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2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26Multi-level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소유자 기기가 소유자가 소유물을 분실할 경우에 그 분실물을 회수하기 위한 분실 자산 정보를 분실 전에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분실물 등록 단계, 습득자 기기가 습득자가 습득한 분실물에 부착 또는 표시된 시각적 코드를 스캔하여 얻어진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에 분실 자산 정보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분실물 확인 단계, 습득자 기기가 분실물 확인 단계를 통해 분실 자산 정보의 등록이 확인되면 분실물 습득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습득물 등록 단계, 및 소유자 기기가 소유자의 분실물 회수를 위해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분실물 습득 정보를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분실물 회수 단계를 포함한다.A blockchain-based lost and found method is disclosed. In this method, when the owner loses his/her possessions, the lost asset information is created before loss and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of the blockchain network. Lost and found confirmation step to check whether the lost asset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using the code information obtained by scanning the attached or displayed visual code. and a lost-and-found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in the smart contract, and a lost-and-found recovery step in which the owner device provides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to the owner in order to recover the owner's lost and found.

Figure R1020200026618
Figure R1020200026618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분실물 회수 방법{Blockchain based claim and reward model for lost property}Blockchain based claim and reward model for lost property}

본 발명은 분실물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분실물을 회수하고 그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vering lost and fou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covering lost and found using a block chain and providing compensation therefor.

대다수의 분실물은 분실 시간이나 위치와 같은 부가 정보를 통해 소유자를 특정하는 데 이용하기 어렵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분실물을 획득한 습득자가 물건을 돌려줄 방법을 실행하기 어렵게 하며, 돌려주는 과정 또한 습득자에게 이익을 제공하지 않아 분실물 회수에 대한 동기를 저하시킨다. 분실물 회수를 위해 개인의 전화번호를 분실 가능성이 있는 소유물에 부착할 수 있으나, 소유자의 개인정보가 공개되는바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취약한다.Most of the lost items have a characteristic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m to identify the owner through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lost time or location. 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acquirer who obtained the lost and found to implement a method to return the item, and the return process also does not provide any benefit to the acquirer, thereby lowering the motivation for recovering the lost and found. An individual's phone number can be attached to potentially lost possessions to recover lost items, but as the owner's personal information is disclosed, it is weak in terms of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한편, 국가 기관에서 분실물에 대한 처리를 습득자로부터 위임받고 소유자를 찾기 위해 지원하는 방안도 있다. 그러나 습득자 입장에서는 위임 이후 분실물 회수 기여에 대한 보상을 청구하기 어려워지며, 이는 분실물 회수 노력에 대한 동기 유발 감소로 이어진다. 분실물 회수 방법도 웹사이트에 분실물 보관 사실과 분실물에 대한 특징을 고지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소유자가 분실물 검색을 위한 별도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점 또한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a plan to support the search for the owner by entrusting the handling of the lost and found by the national agency. However,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learner to claim compensation for their contribution to recovery after delegation, which leads to reduced motivation for the recovery effort. Since the method of recovering lost and found remains at the level of notifying the fact of storage of lost and found on the websi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st and found, the fact that the owner requires a separate effort to search for lost and found also remains a problem.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88543호 (2018년 8월 16일 공고)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88543 (Announced on August 16, 2018)

본 발명은 소유자의 개인정보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분실물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cal method that enables easy recovery of lost items while preventing the owner's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exposed.

또한, 본 발명은 분실물 습득자에게는 분실물을 원 소유자에게 되돌려 주기 위한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게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cal method that can induce a motivation for returning the lost and found to the lost and found owner.

일 양상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은 소유자 기기가 소유자가 소유물을 분실할 경우에 그 분실물을 회수하기 위한 분실 자산 정보를 분실 전에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분실물 등록 단계, 습득자 기기가 습득자가 습득한 분실물에 부착 또는 표시된 시각적 코드를 스캔하여 얻어진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에 분실 자산 정보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분실물 확인 단계, 습득자 기기가 분실물 확인 단계를 통해 분실 자산 정보의 등록이 확인되면 분실물 습득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습득물 등록 단계, 및 소유자 기기가 소유자의 분실물 회수를 위해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분실물 습득 정보를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분실물 회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lost and found registration step in which the owner device creates lost asset information before loss and registers it in a smart contract of the blockchain network to recover the lost property when the owner loses the property;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 the lost and found confirmation step, in which the acquirer device scans the visual code attached or displayed on the lost object acquired by the acquirer, and uses the code information obtained to check whether the lost asset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When the registration of is confirmed, a lost and found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 the smart contract, and a lost and found recovery step in which the owner device provides the owner with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to recover the owner's lost and found It may include.

분실물 등록 단계의 소유자 기기와 분실물 회수 단계의 소유자 기기는 상이한 기기일 수 있다.The owner device in the lost and found registration step and the owner device in the lost and found recovery step may be different devices.

소유자 기기는 분실물 회수에 대한 보상으로 습득자에게 지급하기 위한 예치금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할 수 있다.The owner's device can register a deposit in the smart contract to be paid to the learner as a reward for recovering lost items.

분실물 등록 단계는 소유자의 블록체인 계정과 보상 금액 및 습득자의 분실물 습득 사실 증명을 위한 비밀값이 포함된 시각적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시각적 코드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실 자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st and found registration step is a step of generating a visual code including the owner's block chain account and compensation amount and a secret value for proving the fact that the acquirer has found the lost property, and based on at least part of the data contained in the visual code, the lost asset information It may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분실 자산 정보는 소유자의 블록체인 계정과 보상 금액이 확인 가능한 분실물 정보와 그 분실물 정보로의 접근을 위한 키 값인 분실물 식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Lost asset information may consist of lost and found information that can confirm the owner's block chain account and compensation amount, and a lost and found identifier that is a key value for access to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분실물 확인 단계는 분실물에 부착 또는 표시된 시각적 코드를 스캔하여 얻어진 코드 정보로 분실물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분실물 식별자로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분실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st and found confirmation step may include generating a lost and found identifier with code information obtained by scanning a visual code attached or displayed on the lost and found, and verifying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with the generated lost and found identifier.

습득물 등록 단계는 분실물 식별자와 코드 정보에 포함된 비밀값과 습득자의 블록체인 계정 및 분실물 보관 위치 정보를 포함한 분실물 습득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되, 비밀값에 대해서는 암호화한 값으로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할 수 있다.In the found item registration step,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cluding the secret value included in the lost and found identifier and code information and the learner's block chain account and lost and found loc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but the secret value is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as an encrypted value. can

분실물 회수 단계는 소유자 기기가 QR 코드에 포함된 보상 금액만큼의 예치금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단계, 습득자 기기가 스마트 컨트랙트에 예치금 등록 사실을 확인한 후에 습득자로부터 분실물을 보관한 보관함의 잠금 해제를 위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시각적 코드의 비밀값으로 암호화한 암호값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단계, 및 소유자 기기가 비밀값을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암호값으로부터 비밀번호를 획득하여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recovering lost and found, the owner device registers a deposit equivalent to the amount of compens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in the smart contract. Registering the encrypted password with the secret value of the visual code in the smart contract, and the owner device using the secret value to obtain the password from the registered password value in the smart contract and providing it to the owner can

분실물 회수 단계는 소유자 기기가 소유자의 분실물 확인 명령에 따라 분실물 자체에서의 사운드 출력을 위한 트랜잭션을 발생시켜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인 분실물에서 사운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st and found recovery step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by the owner device, a transaction for sound output in the lost and found itself according to the owner's lost and found confirmation command, so that the sound output is made in the lost and found communication device by the smart contract.

분실물은 분실물 등록 단계를 수행한 소유자 기기일 수 있다.The lost and found may be the owner's device that has performed the lost and found registration step.

분실물 회수 단계는 소유자 기기가 분실물을 회수한 소유자의 보상 지급 명령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예치금이 습득자의 블록체인 계정으로 지급되도록 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covering lost and foun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a transaction for the owner device to pay the deposit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to the acquirer's block chain account according to the owner's compensation payment instruction who has recovered the lost property.

한편, 일 양상에 따른 소유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은 소유자가 소유물을 분실할 경우에 그 분실물을 회수하기 위한 분실 자산 정보를 분실 전에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분실물 등록 단계, 및 소유자의 분실물 회수를 위해 습득자에 의해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분실물 습득 정보를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분실물 회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performed in the owner's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generates lost asset information to recover the lost property before loss and registers it in the smart contract of the blockchain network when the owner loses his/her possessions. It may include a lost and found registration step, and a lost and found recovery step of providing the owner with lost and foun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by the acquirer for the owner's lost and found recovery.

한편, 일 양상에 따른 습득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은 습득자가 습득한 분실물에 부착 또는 표시된 시각적 코드를 스캔하여 얻어진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에 분실 자산 정보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습득자 기기는 분실물 확인 단계를 통해 분실 자산 정보의 등록이 확인되면 분실물 습득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performed in the acquirer's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uses the code information obtained by scanning the visual code attached or displayed on the lost and acquired by the acquirer to check whether the lost asset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step, and the acquirer device may include the step of registering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 the smart contract when the registration of the lost asset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lost and found confirmation step.

본 발명은 상호 간의 신뢰 없이 분실물과 보상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기관을 통하지 않은 비대면 방식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분실물 창고의 운영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파생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xchange lost items and rewards without mutual trust, and enables non-face-to-face exchanges without going through an institution. Accordingly, the effect of reducing the operating cost of the lost and found warehouse is also deriv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생성 및 정보 등록 절차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습득 정보 등록 절차도이다.
도 5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서 분실물 정보를 검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 절차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보관 여부 확인 절차도이다.
도 8은 분실물 보상 및 회수 모델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소유자와 습득자 간에 발생하는 행위 시나리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시나리오 흐름에 따른 상태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분실물에 부착되는 QR 코드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습득자가 최초로 발생시키는 이벤트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모바일에서 QR 코드를 스캔한 후에 분실물 신고 등록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4는 분실물로 신호 발생을 요청하는 웹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소유자가 분실물 보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이벤트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보상 예치에 대한 기록을 남기는 이벤트 예를 나타낸다.
도 17은 비밀번호 제공 사실을 기록하는 이벤트 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소유자에게 비밀번호를 제공하는 웹 화면을 나타낸다.
도 19는 보상 전달 사실을 기록하는 이벤트 예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QR code generation and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procedure diagram for registering lost and f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shows an example of searching for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 a block chain using a QR cod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st and found recovery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hecking whether lost and found items are sto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lost and found compensation and recovery model.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ion scenario occurring between an owner and a learner.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scenario flow of FIG. 9 .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QR code data attached to a lost item.
12 shows an example of an event initially generated by a learner.
13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for registering a lost and found report after scanning a QR code on a mobile devic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b screen requesting signal generation as a lost item.
15 shows an example of an event for the owner to check whether the lost property is kept.
16 shows an example of an event that leaves a record for depositing a reward.
17 shows an example of an event in which the fact of providing a password is recorded.
18 shows a web screen for providing a password to an owner.
19 shows an example of an event for recording the fact of reward delivery.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it through these example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시스템 구성도이다. 소유자 기기(100) 및 습득자 기기(200)는 각각 물품의 소유자와 그 물품을 습득한 습득자가 사용하는 통신 및 컴퓨팅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모두 사용자(소유자 또는 습득자)가 사용하는 디바이스이다. 소유자 기기(100)와 습득자 기기(200)에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분실물 회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아니면 웹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앱과 웹을 모두 사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wner device 100 and the acquirer device 200 are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computing used by the owner of the article and the acquirer who has acquired the article, respectively, and are devices used by a user (owner or acquirer).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lost and found recovery service based on a block chain may be installed and executed on the owner device 100 and the acquirer device 200 , or the corresponding service may be used based on the web.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you can use the service using both the app and the web.

블록체인(블록체인 네트워크)(300)은 여러 노드들이 참여하여 체인처럼 엮인 형태로 존재하는 데이터를 복제하여 갖는 원장 관리 기술이다. 참여자들은 다른 노드들로부터 발생한 거래를 검증하고 이들을 모아 하나의 블록을 생성한다. 생성된 블록은 이전 블록이 가지는 해시값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전 블록의 특정값을 바꾸게 될 경우 이후의 블록들이 가지는 이전 블록의 해시값을 바꿔야 하므로 누군가 임의로 데이터를 수정 및 삭제하는 것이 불가하다. 블록은 전파되는 과정에서 해시값이 다른 여러 블록이 동시에 전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발생한 순간에는 모두 정상 블록으로 인정하지만 시간이 지나서 이들을 부모로 갖는 블록 중 가장 최근까지 이어지는 한 체인에 속한 블록들만 정상 블록으로 인정된다.The blockchain (blockchain network) 300 is a ledger management technology that has multiple nodes participating and duplicating data existing in a chain-like form. Participants verify transactions from other nodes and collect them to create a single block. Since the generated block includes the hash value of the previous block, if the specific value of the previous block is changed, the hash value of the previous block of the subsequent blocks must be changed, so it is impossible for someone to arbitrarily modify or delete data. In the process of block propagation, several blocks with different hash values may be propagated at the same time. At the moment of occurrence, all blocks are recognized as normal blocks, but over time, only blocks belonging to the most recent chain that have them as parents are recognized as normal blocks.

개별 노드들이 운영의 주체가 된다는 점과 영구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된다는 성질 덕분에 초기에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형태로 초점이 맞춰졌으나, 이더리움의 등장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더리움 플랫폼은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솔리디티라는 독자적인 언어를 통해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서 동작하는 컨트랙트를 개발할 수 있고, 이를 웹 또는 앱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web3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반 응용프로그램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컨트랙트는 블록체인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들처럼 쉽게 컨트랙트의 상태를 변경할 수 없고, 튜링 완전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프로그램처럼 조건과 반복을 통해 원하는 플로우를 작성할 수 있다. 특정 플로우들은 실행을 위해 수수료를 요구할 수 있다. 이더리움은 공개 블록체인이므로 기록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누구나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다.Due to the fact that individual nodes are the subject of operation and the property of permanently recording data, the focus was initially on the form of e-commerce, but with the advent of Ethereum, various tasks can be performed. The Ethereum platform supports the creation and execution of programs called smart contracts. It is possible to develop a contract that operates on a blockchain platform through its own language called Solidity, and provides an interface called web3 so that it can be executed on the web or in an app, so that users can interact in general applications. Because the contract is executed on the blockchain, the state of the contract cannot be changed as easily as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blockchain, and because it is Turing-complete, the desired flow can be written through conditions and repetition like a general program. Certain flows may require a fee for execution. Since Ethereum is a public blockchain, recorded smart contracts can be accessed and used by anyon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 블록도이다. 사용자 디바이스(100, 200)는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30) 및 통신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al processing unit), 또는 이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구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스토리지로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같은 데이터 및 명령어들은 물론 분실물 회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30)는 LCD 스크린 등과 같이 시각적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입력 모듈, 터치 입력 모듈 등의 사용자 입력을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와 터치 입력 모듈은 일체로 이루어져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와이파이 모듈, 이동통신 모듈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어댑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사용자에게 분실물 회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devices 100 and 200 may include a processor 110 , a memory 120 , an input/output interface 130 , and a communication module 140 . The processor 110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or a microprocessor having one or more processing cores similar thereto. The memory 120 is a non-transitory storage, and may be for storing data and instructions such as a software program, as well as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lost and found recovery service. The input/output interface 130 may include a display for providing a visual output such as an LCD screen, and a device for user input such as an audio input module and a touch input module, and the display and the touch input module are integrated into a touch screen. can be provided. 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a component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may include a Wi-Fi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a local area network (LAN) adapter. And the processor 110 executes the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to enable the application to provide a lost and found recovery service to the user.

한편, 이상에 따른 시스템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사용자 간에 분실물을 돌려주고 이에 대한 적절한 보상금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분실물은 습득자에게 자발적 선행을 요구하여 분실물 회수라는 목적을 상회하는 동기를 유발시키기 어렵게 한다. 유실물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거나 물건에 전화번호를 기록하여 문제 상황을 개선할 수 있으나, 쌓여가는 분실물을 관리할 기관이 필요하고 분실물 회수에 대한 동기 유발을 할 수 없다. 본 시스템은 분실물에 QR 코드를 부착하고 QR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습득 알림을 전달해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습득자가 스마트 컨트랙트(일명 중재자 컨트랙트 또는 에스크로 컨트랙트)를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provides a service for returning lost items between users and receiving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this using the block chain. Lost and found requires the learner to voluntarily perform good deeds, making it difficult to motivate beyond the purpose of recovering lost and fou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situation by operating a lost and found management service or by recording a phone number on the object, but an organization to manage the accumulated lost and found is necessary and cannot motivate the recovery of lost and found. This system attaches a QR code to a lost item, records the QR information on the block chain, provides a method to deliver a notice of acquisition, and allows the acquirer to receive a reward through a smart contract (aka mediator contract or escrow contract) .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생성 및 정보 등록 절차도이다. 소유자 기기(100)는 분실을 염려하는 소유물에 대해 분실 전에 그 소유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분실 자산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된 분실 회수 서비스용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한다(S100). 즉, 소유자 기기(100)가 분실 자산 정보를 트랜잭션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출하면 그 분실 자산 정보가 스마트 컨트랙트에 저장되는데,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트랜잭션을 검증한 후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호출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에 분실 자산 정보를 저장한다(S110).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QR code generation and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wner device 100 registers the lost asset information in the smart contract for the loss recovery service distributed in the block chain network so that the property can be recovered before it is lost (S100). That is, when the owner device 100 generates lost asset information as a transaction and submits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the lost asse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mart contract, and the blockchain network 300 calls the smart contract after verifying the transaction. Store the lost asset information in the smart contract (S110).

S100은 S101과 S102를 포함할 수 있다. S101에서, 소유자 기기(100)는 분실할 가능성이 있는 소유물에 대해 분실 후 다시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각적 코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시각적 코드는 QR 코드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QR 코드라 한다. 소유자 기기(100)는 소유자로부터 QR 코드에 포함될 정보를 입력받아 QR 코드를 생성하는데, 입력되는 정보에는 소유자 블록체인 계정(예를 들어, 이더리움 계정), 보상 금액, 분실물 이름 그리고 비밀값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비밀값은 습득자가 소유자의 분실물을 습득하였음을 증명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QR 코드는 인쇄되어 분실물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분실물이 화면 표시가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인 경우, QR 코드는 별도로 인쇄되어 부착되지 않고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는 잠금화면 상에 표시된다.S100 may include S101 and S102. In S101, the owner device 100 generates a visual code for the possession that is likely to be lost so that it can be found again after being lost. Here, the visual code may be a QR c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QR code. The owner device 100 receives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QR code from the owner and generates a QR code, and the input information includes the owner block chain account (eg, Ethereum account), compensation amount, lost property name, and secret value. can Here, the secret value is used to prove that the acquirer has acquired the owner's lost property. And the QR code can be printed and attached to lost items. If the lost item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the QR code may be separately prin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out being attached. For example, a QR code is displayed on the lock screen.

S102에서, 소유자 기기(100)는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소유자 블록체인 계정, 보상 금액, 분실물 이름, 비밀값)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고 분실 자산 정보를 트랜잭션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출한다(S102).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실 자산 정보는 분실물 정보와 분실물 식별자로 이루어진다. 분실물 정보에는 소유자 블록체인 계정, 보상 금액, 분실물 이름, 비밀값이 포함되되, 비밀값은 해시값으로 변환되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분실물 식별자는 소유자 블록체인 계정, 보상 금액, 분실물 이름, 비밀값이 적어도 한 번 이상 해싱된 해시값일 수 있다.In S102, the owner device 100 generates lost asset information as a transaction with at least part of the information (owner block chain account, compensation amount, lost property name, secret value) included in the QR code and submits it to the block chain network ( S102). In one embodiment, the lost asset information consists of lost and found information and a lost and found identifier.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cludes the owner's block chain account, compensation amount, lost and found name, and secret value, but the secret value may be converted into a hash value and included. And the lost and found identifier may be a hash value in which the owner's blockchain account, compensation amount, lost and found name, and secret value are hashed at least onc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습득 정보 등록 절차도이다. 습득자 기기(200)는 습득자가 습득한 분실물에 부착 또는 표시된 QR 코드를 스캔하여 얻어진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에 분실 자산 정보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S200). 분실 자산 정보의 등록이 확인되면, 습득자 기기(200)는 분실물 습득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한다(S210) 즉, 습득자 기기(200)가 분실물 습득 정보를 트랜잭션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출하면 그 분실물 습득 정보가 스마트 컨트랙트에 저장된 분실물 정보에 추가되어 저장되는데,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트랜잭션을 검증한 후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호출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에 분실물 습득 정보를 저장한다(S220). 분실물 습득 정보에는 코드 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습득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포함되는데, 코드 정보에 포함된 비밀값과 습득자로부터 입력된 분실물 보관 위치 정보 및 습득자의 블록체인 계정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비밀값은 습득자 기기(200)에서 해시값으로 변환되어 포함될 수 있다.4 is a procedure diagram for registering lost and f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cquirer device 200 checks whether the lost asset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using the code information obtained by scanning the QR code attached or displayed on the lost object acquired by the acquirer (S200). When the registration of the lost asset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acquirer device 200 registers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 the smart contract (S210), that is, the acquirer device 200 generates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as a transaction and submits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Lost and found information is added to and stored in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contract, and the block chain network 300 calls the smart contract after verifying the transaction and stores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 the smart contract (S220).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cod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put from the acquirer, and may include a secret value included in the code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st and found storage location input from the acquirer, and the acquirer's block chain account. Here, the secret value may be converted into a hash value by the acquirer device 200 and included therein.

S200은 S201 내지 S2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습득자 기기(200)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코드 정보)를 획득한다(S201). 획득된 코드 정보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습득자가 확인 가능할 수 있다. 습득자 기기(200)는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분실물 식별자를 생성하며, 생성된 분실물 식별자로 스마트 컨트랙트 상에 등록된 분실물 정보를 확인한다(S202)(S203). S202와 S203에서, 습득자 기기(200)는 분실물 식별자를 쿼리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제출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상에서 분식물 식별자에 매핑된 분실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200 may include S201 to S203. To explain this, the acquirer device 200 scans the QR code to acquire information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S201). The obtained cod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so that the learner can confirm it. The acquirer device 200 generates a lost and found identifier using the code information, and checks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registered on the smart contract with the generated lost and found identifier (S202) (S203). In S202 and S203, the acquirer device 200 generates a lost and found identifier as a query and submits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300 to check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mapped to the lost and found identifier on the smart contract.

도 5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서 분실물 정보를 확인하는 예를 나타낸다. 분실물에 부착 또는 표시되는 QR 코드에는 owner, secret, item_name, reward가 포함되는데, 각각 소유자 블록체인 계정, 비밀값, 분실물 이름, 보상 금액을 의미한다. 이들을 가지고 생성된 분실물 정보(Property)와 분실물 식별자(PropertyID)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으며, 이더리움 내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저장(기록)된다. 습득자 기기(200)는 분실물에 부착 또는 표시된 QR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을 통해 얻어진 owner, secret, item_name, reward를 가지고 분실물 식별자(PropertyID)를 생성하며, 생성된 분실물 식별자로 블록체인 내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분실물 정보를 확인한다.5 shows an example of checking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 a block chain using a QR code. The QR code attached or displayed on the lost item includes owner, secret, item_name, and reward, respectively, which means the owner's block chain account, secret value, name of lost item, and reward amount. Lost and found information (Property) and lost and found identifier (PropertyID) generated with them are as exemplified in FIG. 5 , and are stored (recorded) in a smart contract in Ethereum. The acquirer device 200 scans the QR code attached or displayed on the lost and found, generates a lost and found identifier (PropertyID) with the owner, secret, item_name, and reward obtained through the scan, and uses the generated lost and found identifier in a smart contract in the block chain. Check lost and found information.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 절차도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S210에서의 트랜잭션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를 호출하여 분실물 습득 사실을 소유주에게 알리기 위한 LostFound 이벤트를 발생시킨다(S300). 이에 소유자 기기(100)는 LostFound 이벤트를 통해 확인된 분실물 습득 정보를 소유자에게 제공하여 소유자로 하여금 분실물 습득 사실과 보관 위치를 알 수 있게 한다(S310). 소유자 기기(100)는 소유자 명령에 따라 습득자에게 사례로 제공할 보상금을 스마트 컨트랙트 상에 예치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출한다(S320).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st and found recovery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lock chain network 300 generates a LostFound event to notify the owner of the fact that the lost item is acquired by calling the smart contract according to the transaction in S210 (S300). Accordingly, the owner device 100 provides the owner with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LostFound event so that the owner can know the fact and the storage location of the lost and found (S310). The owner device 100 creates a transaction for depositing the reward to be provided to the learner as an example in the smart contract according to the owner's command and submits it to the block chain network (S320).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트랜잭션을 검증한 후에 보상금이 예치되었음을 습득자에게 알리기 위한 RewardDeposited 이벤트를 발생시킨다(S330). 이에 습득자 기기(200)는 RewardDeposited 이벤트를 통해 확인된 보상금 예치 사실을 습득자에게 알리고, 습득자로부터 분실물이 보관된 보관함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QR 코드에 포함된 secret 값으로 암호화하며, 암호값을 트랜잭션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제출한다(S34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습득자 기기(200)는 보관함 비밀번호를 QR 코드의 secret과 XOR 연산하여 얻어진 값(암호값)을 트랜잭션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제출한다.The blockchain network 300 generates a RewardDeposited event to notify the acquirer that the reward has been deposited after verifying the transaction (S330). Accordingly, the acquirer device 200 notifies the acquirer of the fact of depositing the reward confirmed through the RewardDeposited event, receives the password for the locker where the lost items are stored from the acquirer, encrypts it with the secret value included in the QR code, and generates the password value as a transaction. Submit to the blockchain network 300 (S340). In one embodiment, the acquirer device 200 generates a value (cipher value) obtained by performing an XOR operation on the secret of the QR code with the locker password, and submits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300 .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트랜잭션을 검증한 후에 암호값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저장하며 소유자에게 보관함 비밀번호가 제공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PasswordGranted 이벤트를 발생시킨다(S350). 이에 소유자 기기(100)는 PasswordGranted 이벤트를 통해 확인된 암호값을 secret을 이용하여 보관함 비밀번호로 바꾼 후에 소유자에게 제공한다(S360). 따라서, 소유자는 보관함을 잠금 해제하여 분실물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소유자 기기(100)는 소유자 명령에 따라 예치금을 습득자에게 지급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제출한다(S370). 이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트랜잭션을 검증한 후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호출하며, 호출된 스마트 컨트랙트는 지급 이벤트를 발생시켜 예치금이 습득자 블록체인 계정(전자지갑 주소)로 이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After verifying the transaction, the blockchain network 300 stores the password value in the smart contract and generates a PasswordGranted event to notify the owner that the locker password has been provided (S350). Accordingly, the owner device 100 converts the password value confirmed through the PasswordGranted event into the locker password using the secret and provides it to the owner (S360). Accordingly, the owner can unlock the locker to recover the lost item. Thereafter, the owner device 100 generates a transaction for paying the deposit to the acquirer according to the owner command and submits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300 ( S370 ). Accordingly, the blockchain network 300 calls the smart contract after verifying the transaction, and the called smart contract generates a payment event so that the deposit is transferred to the acquirer's blockchain account (e-wallet address).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보관 여부 확인 절차도이다. 도 7은 분실물이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인 경우로 제한된다. 소유자는 S310을 통해 분실물 보관 위치를 확인한 후에 그 보관함으로 찾아간다. 이후, 소유자 기기(100)는 소유자 명령에 따라 습득자가 알려준 보관함에 분실물이 실제로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제출한다(S400).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트랜잭션을 검증한 후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호출하며, 호출된 스마트 컨트랙트는 분실물 보관 확인을 위한 ValidationSound 이벤트를 발생시킨다(S410). 이에 분실물(400)은 ValidationSound 이벤트에 따라 해당 소리를 출력하여 소유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420). 이상의 S400 내지 S420은 도 6의 S310과 S320 사이에 놓여 수행될 수 있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hecking whether lost and found items are sto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lost and found is a communication device. The owner checks the lost and found storage location through S310 and then goes to the storage box. Thereafter, the owner device 100 generates a transaction for checking whether the lost item is actually stored in the locker informed by the acquirer according to the owner command and submits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300 ( S400 ). The blockchain network 300 calls the smart contract after verifying the transaction, and the called smart contract generates a ValidationSound event for checking lost and found (S410). Accordingly, the lost property 400 outputs a corresponding sound according to the ValidationSound event so that the owner can recognize it (S420). The above steps S400 to S420 may be performed by being placed between S310 and S320 of FIG. 6 .

한편, 도 3의 소유자 기기(100)와 도 6, 도 7의 소유자 기기(100)는 상이한 기기일 수 있다. 즉, 반드시 동일한 기기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기기에 구속되지 않고, 소유자는 분실물 회수 서비스를 위한 앱 및/또는 웹을 통해 해당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습득자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도 3의 소유자 기기(100)는 분실물이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3의 소유자 기기(100)와 도 6, 도 7의 소유자 기기(100)가 서로 다른 기기임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owner device 100 of FIG. 3 and the owner device 100 of FIGS. 6 and 7 may be different devices. In other words,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use the same device. Without being tied to one device, the owner can carry out the process through the app and/or the web for the lost and found service. This is also true of the learner. In addition, the owner device 100 of FIG. 3 may be lost. In this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wner device 100 of FIG. 3 and the owner device 100 of FIGS. 6 and 7 are different devices.

이상의 도 3 내지 도 7에서 소유자 측의 주체를 소유자 기기(100)로 습득자 측의 주체를 습득자 기기(200)로 표현하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주체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은 소유자 애플리케이션과 습득자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하여 표현될 수 있으나, 사실상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유자가 되느냐 아니면 습득자가 되느냐에 따라 사용자 애플리케이션도 소유자 애플리케이션과 습득자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될 뿐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그리고 주체로 표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대해서는 블록체인 노드로 표현될 수 있다.3 to 7, the owner's subject is expressed as the owner device 100 and the learner's subject is expressed as the learner's device 200. More specifically, a processor or a user application may be expressed as a subject. Here, the user application may be expressed separately as an owner application and a learner application, but may be the same application in fact. That is,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becomes the owner or the learner, the user application is also divided into an owner application and a learner application, but may be the same application. And for the block chain network 300 expressed as a subject, it can be expressed as a block chain node.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은 해시 함수(Hash Function)를 사용하는데, 해시 함수는 어떠한 입력에 대해서도 고정된 길이의 값을 출력하는 함수이며, 해당 함수를 통해 나온 결과를 Hash 값이라 부른다. Hash는 출력된 결과값을 토대로 입력값을 예측할 수 없으며, 한 입력값에 대해서는 항상 동일한 출력값을 반환하고 입력값의 변화로 출력값의 변화를 예측할 수 없는 특징을 갖는다. Keccak은 Hash Function 알고리즘 중 하나로 NSA에서 설계한 함수 집합인 SHA-2를 대체하기 위한 SHA-3 표준 알고리즘이다. 이더리움에서도 해당 해시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256 bit를 출력으로 갖는 Keccak256을 사용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Hash의 특성을 이용하여 습득자가 분실물 습득 사실을 증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Keccak256은 256 bit를 사용하기 때문에 충분히 큰 범위를 가지므로 무작위 공격을 통해 해당하는 출력값을 만드는 입력값을 찾기 어렵고 소유자가 입력값을 기억하기 때문에 출력값을 만들더라도 거짓을 탐지할 수 있다.The user application uses a hash function, which is a function that outputs a value of a fixed length for any input, and the result obtained through the function is called a hash value. Hash cannot predict the input value based on the output result, and it always returns the same output value for one input value, and the change in the output value cannot be predicted due to the change in the input value. Keccak is a standard SHA-3 algorithm to replace SHA-2, a set of functions designed by the NSA as one of the hash function algorithms. Ethereum also uses the corresponding hash algorithm and uses Keccak256 with 256 bits as output. In this system,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Hash, it can be used by the learner to prove the fact that he or she has found the lost object. Because Keccak256 uses 256 bits, it has a sufficiently large range, so it is difficult to find an input value that makes a corresponding output value through a brute force attack.

이하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모델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모델은 web3를 통해 이더리움 블록체인 노드와 연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더리움 계정을 추가하고 분실 가능한 소유물(물품)의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습득자는 습득한 물품을 소유자에게 전달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도 8과 같이 이더리움에는 스마트 컨트랙트(에스크로우 컨트랙트)가 업로드되어 있는데, 컨트랙트는 Property와 Escrow 두 가지 역할을 가지며 이들을 Property Component와 Escrow Component로 표현한다. Property Component는 사용자가 분실물을 등록하고 확인하는 기능과 관련된 CRUD 컴포넌트이며, Escrow Component는 분실물을 회수하고 보상하는 기능과 관련된 컴포넌트이다.Hereinafter, the block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ode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is model uses an applic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thereum blockchain node through web3 to add one's own Ethereum account and register information of lost possessions (goods) in the blockchain. And the acquirer can receive a reward by delivering the acquired item to the owner. As shown in FIG. 8, a smart contract (escrow contract) is uploaded to Ethereum, and the contract has two roles: Property and Escrow, and these are expressed as Property Component and Escrow Component. Property Component is a CRUD component related to the function of registering and checking lost items, and Escrow Component is a component related to the function of recovering and compensating for lost items.

도 9는 소유자와 습득자의 행위를 표현한 도면이며, 도 10은 행위에 따라 변화되는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소유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트랙트에 분실 가능한 물품에 대한 정보와 보상 금액을 기록한다. 분실물은 습득자에 의해 컨트랙트에 습득 사실이 기록되고 이를 통해 소유자는 분실물에 대한 위치를 안내받는다. 분실물을 확인한 소유자는 보상을 예치하고 분실물 습득을 위한 비밀번호를 습득자가 입력하면 보상이 전달되게 된다. 소유자는 전달받은 비밀번호로 보관함을 열고 자신의 물건을 회수할 수 있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behavior of the owner and the acquirer, and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behavior. The owner records information about the lost item and the amount of compensation in the contract through the application. The fact of acquisition is recorded in the contract by the acquirer, and the owner is informed of the location of the lost object. The owner who confirms the lost item deposits the reward, and the reward is delivered when the learner enters the password for obtaining the lost item. The owner can open the locker and retrieve his or her belongings with the received password.

이하에서는 본 모델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사용자(소유주 또는 습득자)는 사용자 기기(소유자 기기 또는 습득자 기기) 또는 사용자 기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하며, 문맥상 실제 사용자를 의미하는지 아닌지는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mode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fore the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user (owner or acquirer) encompasses a user device (owner or acquirer device) or an application running on a user device, and whether or not it refers to an actual user in context can be clearly understood. .

먼저, 분실물 등록 및 QR 코드 생성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앱에서 분실물에 부착 또는 표시할 QR 코드를 생성한다. QR 코드에는 소유자 이더리움 계정, 보상 금액, 물건 이름 그리고 비밀값을 입력한다. 이들은 owner, reward, item_name, secret으로 명명되어 도 11과 같은 형태의 QR 코드에 JSON 형식으로 저장된다. QR 코드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분실물에 대한 정보(분실 자산 정보)를 기록해야 한다. Property.register 함수를 통해 기록할 수 있으며, QR 코드에서 사용했던 secret 값을 두 번 해싱한 후 기록할 수 있다. 블록체인에 올라간 QR 코드 정보를 Property, Property 값에 접근할 수 있는 키 값을 PropertyID라고 명명한다.First, registration of lost items and generation of QR codes will be described. The user creates a QR code to attach or display on the lost item in the app. In the QR code, enter the owner's Ethereum account, reward amount, object name, and secret value. These are named owner, reward, item_name, and secret and are stored in JSON format in the QR code of the form shown in FIG. 11 .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QR code, information about lost items (lost asset information) must be recorded on the Ethereum blockchain. It can be recorded through the Property.register function, and can be recorded after hashing the secret value used in the QR code twice. The QR code information uploaded to the block chain is named Property, and the key value that can access the property value is named PropertyID.

Property = {owner, h(hsecret)), item_name, reward}Property = {owner, h(hsecret)), item_name, reward}

PropertyID = h(h(h(secret)) + { owner, reward })PropertyID = h(h(h(secret)) + { owner, reward })

블록체인에 등록된 해싱된 비밀값의 원 값은 소유자와 QR 코드를 읽은 사람만 알 수 있는 값이다. 해시 되지 않은 비밀값은 습득자가 습득 사실을 증명할 때 사용하게 된다.The original value of the hashed secret value registered in the blockchain is a value that only the owner and the person who read the QR code can know. The unhashed secret value is used by the learner to prove the fact of acquisition.

분실물 습득 신고 및 확인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도 9의 3 ~ 6에 해당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습득자는 분실물을 습득하면 블록체인에 습득 사실과 보관할 장소를 등록하고 이를 소유자가 확인한다. 습득자는 분실물을 습득할 때 QR 코드를 스캔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코드 정보를 가지고 분실물 ID(PropertyID)를 생성한 후에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록된 Property를 확인한다. 확인에 성공하면, PropertyID와 QR 코드에 포함된 Secret 그리고 자신이 분실물을 보관할 위치 정보인 Location과 자신의 이더리움 계정을 분실물 정보에 추가하고 소유자에게 습득 사실을 알리기 위해 Escrow.notifyProperty 함수를 실행시킨다. 함수는 분실물 보관함 위치, PropertyID, h(secret)을 파라미터로 가질 수 있다. 해당 함수를 실행한 결과로 도 12 형태의 LostFound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이벤트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수행되었을 때 해당 수행 내용과 관련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짧은 로그이다. 함수 호출은 도 13에서 QR Scan 후 Save를 누를 때 발생하게 된다. 이더리움 기반의 앱은 주기적으로 블록체인에서 새로 발생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폴링(polling)하여 새롭게 발생한 이벤트들을 감지한다. 소유자는 이벤트를 읽고 이벤트에 표시된 보관함으로 이동하여 자신의 분실물이 들어있음을 확인해야 한다. 참고로, 도 1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secret 값은 해시값(hsecret)으로 제공되는 바, 제 3 자에게 secret 값은 노출되지 않는다.Describes the process of reporting and verifying lost items. This is a process corresponding to 3 to 6 of FIG. 9 . In this process, when the learner acquires a lost object, the fact of the acquisition and the place to be stored are registered in the block chain, and the owner confirms it. The acquirer scans the QR code when acquiring a lost object, creates a lost and found ID (PropertyID) with the cod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is, and checks the property recorded in the smart contract. If verification is successful, the PropertyID, Secret included in the QR code, Location, which is the location to store the lost item, and your Ethereum account are added to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and Escrow.notifyProperty function is executed to notify the owner of the finding. The function can have the location of the lost and found box, PropertyID, and h(secret) as parameters. As a result of executing the function, a LostFound event in the form of FIG. 12 is generated. Events are short logs that are created so that users can recognize when a smart contract is executed. The function call is generated when Save is pressed after QR Scan in FIG. 13 . The Ethereum-based app detects newly generated events by periodically polling whether there is a newly generated event in the block chain. The owner must read the event and go to the locker indicated in the event to confirm that it contains their lost property. For reference, as confirmed in FIG. 12, the secret value is provided as a hash value (hsecret), and the secret value is not exposed to a third party.

소유자는 앱 또는 도 14와 같이 사전에 자신의 분실물을 기록한 웹에서 분실물의 현황을 살필 수 있다. 분실물이 신고되면 Property Found 상태가 되며 자신의 물품이 어디에 보관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보관 장소로 이동한 소유자는 자신의 분실물이 보관되었는지 Check Property로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버튼은 Property.CheckProperty(PropertyID) 함수를 실행시켜 트랜잭션을 발생시킨다. 해당 트랜잭션은 도 15 형태의 ValidationSound 이벤트를 발생시키게 되어 소유자가 자신의 분실물이 올바르게 보관함에 들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에는 분실물 ID, 분실물이 가진 소리 파일 인덱스 번호가 포함되며, 분실물(디바이스)이 이벤트에 기록된 요청에 맞는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증명된다. 소유자는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서 자신의 분실물의 보관 확인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The owner may check the current status of the lost item in the app or the web in which his/her lost item is recorded in advance as shown in FIG. 14 . When a lost item is reported, the property is set to Property Found, and you can check where your item is stored. The owner who has moved to the storage location can check whether his or her lost items are stored with Check Property. This button executes the Property.CheckProperty(PropertyID) function to generate a transaction. The transaction generates a ValidationSound event in the form of FIG. 15 , so that the owner can check whether his or her lost property is properly stored in the storage box. The event includes the lost and found ID and the index number of the sound file the lost item has, and the lost item (device) is verified by emitting a sound that matches the request recorded in the event. The owner may omit the process of checking the storage of his/her lost property depending on circumstances or needs.

분실물 사례(보상) 및 회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도 9의 7 ~ 9에 해당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소유자는 사례금을 예치하고, 분실물 사례에 대한 예치금이 등록되면 습득자는 소유자로 하여금 분실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소유자는 자신의 분실물이 보관된 보관함을 열 수 있는 비밀번호를 습득자에게 요청해야 한다. 습득자에게 보상이 지불 가능함을 보이기 위해 QR 코드에서 명시한 리워드 만큼의 암호화폐(eth)를 컨트랙트에 예치하고, Escrow.depositReward(finder, reward) 함수를 통해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도 16과 같은 RewardDeposited 이벤트가 발생된다.Describe the lost and found case (compensation) and recovery process. This is a process corresponding to 7 to 9 of FIG. In this process, the owner deposits a key money, and when the deposit for the lost and found case is registered, the acquirer allows the owner to recover the lost article. The owner must ask the learner for a password to open the locker where his/her lost and found items are stored. In order to show the acquirer that the reward is payable, cryptocurrency (eth) as much as the reward specified in the QR code is deposited in the contract, and a transaction is generated through the Escrow.depositReward(finder, reward) function. An event is generated.

습득자는 도 16의 RewardDeposited 이벤트를 통해 예치금이 컨트랙트에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치금이 컨트랙트로 전달되었다면 습득자는 보관함 비밀번호(pwd)를 QR 코드의 secret과 XOR 연산한 암호값을 비밀번호로 제공하고 소유자와 예치금을 공동 소유하는 것으로 변경하여 소유자가 예치금을 인출하지 못하도록 한다. Escrow.exchangePwReward(xpw) 함수 수행을 통해 소유자로 하여금 비밀번호가 제공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도 17과 같은 PasswordGranted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습득자는 비밀번호를 제공하는 대신 예치금에 대한 공동 소유권을 얻게 된다. 소유권을 이용한 출금은 8000블록 후에 가능하며, 이는 약 15일에 해당하는 기간이다. 소유자는 이벤트에 기록된 암호값을 도 18의 웹 또는 앱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앱 또는 웹에서는 암호값을 소유자가 사용할 수 있는 비밀번호로 바꾸어 제공한다. 이에 소유자는 확인된 비밀번호를 가지고 보관함을 해제하여 분실물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The acquirer can confirm that the deposit is registered in the contract through the RewardDeposited event of FIG. 16 . If the deposit is delivered to the contract, the acquirer provides the password of the locker password (pwd) with the secret of the QR code and XORed it as the password, and changes the owner and the deposit to be jointly owned to prevent the owner from withdrawing the deposit. A PasswordGranted event as shown in FIG. 17 is generated so that the owner can know that the password has been provided through the Escrow.exchangePwReward(xpw) function execution. The acquirer gets joint ownership of the deposit instead of providing a password. Withdrawal using ownership is possible after 8000 blocks, which is about 15 days. The owner can check the password value recorded in the event on the web or app of FIG. 18, and the app or web provides a password value that can be used by the owner by changing the password value. Accordingly, the owner can unlock the locker with the verified password and retrieve the lost items.

분실물을 회수한 후, 소유자는 불완전 상태로 습득자에게 전달된 보상을 풀어주어 습득자에게 완전한 형태의 보상을 제공한다. 보상 전달은 습득자가 별도의 행동을 하지 않아도 전달되며, 보상을 완전하게 제공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Withdraw() 트랜잭션을 발생시켜 도 19와 같은 RewardGranted 이벤트를 생성한다. RewardGranted 이벤트에 의해 예치금은 소유자의 블록체인 계정에서 습득자의 블록체인 계정으로 이체된다. 이 경우, 습득자는 8000블록을 기다릴 필요가 없어진다. 그러나 소유자가 RewardGranted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을 경우, 습득자는 실제 시간으로 약 보름에 경과한 시점에서 강제성을 띈 함수를 통해 예치금을 받을 수 있다.After recovering the lost property, the owner releases the reward delivered to the acquirer in an incomplete state, providing the acquirer with a complete reward. Reward delivery is delivered even if the learner does not take a separate action, and a Withdraw() transaction is generated to confirm that the reward has been completely provided, thereby generating a RewardGranted event as shown in FIG. 19 . By the RewardGranted event, the deposit is transferred from the owner's blockchain account to the acquirer's blockchain account. In this case, the learner does not need to wait 8000 blocks. However, if the owner does not generate a RewardGranted event, the acquirer can receive the deposit through the forced function at the time when about fortnight has elapsed in real time.

한편, 사용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이 같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PC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블록체인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기록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일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ethod performed by the user device can be written as a computer program. Codes and/or code segments constituting such a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In addition, such a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ad and executed by a PC, so that a blockchain-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can be implemented. Such a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or the lik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looked 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소유자 기기 200 : 습득자 기기
300 : 블록체인 네트워크
100: owner device 200: acquirer device
300: Blockchain Network

Claims (23)

소유자 기기는 소유자가 소유물을 분실할 경우에 그 분실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분실 전에 소유자의 블록체인 계정과 보상 금액 및 습득자의 분실물 습득 사실 증명용 비밀값이 포함된 시각적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소유자 기기는 시각적 코드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유자의 블록체인 계정과 보상 금액이 확인 가능한 분실물 정보와 그 분실물 정보로의 접근을 위한 분실물 식별자가 포함된 분실 자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소유자 기기는 생성된 분실 자산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실 등록 단계;
습득자 기기는 습득자가 습득한 분실물의 시각적 코드를 스캔하여 얻어진 코드 정보로 분실물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와, 습득자 기기는 생성된 분실물 식별자로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분실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실물 확인 단계;
습득자 기기는 분실물 확인 단계를 통해 분실물 정보가 확인되면 분실물 식별자와 코드 정보에 포함된 비밀값과 습득자의 블록체인 계정 및 분실물 보관 위치 정보를 포함한 분실물 습득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습득물 등록 단계; 및
소유자 기기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분실물 습득 정보를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소유자 기기는 분실물 습득 정보를 확인한 소유자 명령에 따라 시각적 코드에 포함된 보상 금액만큼의 예치금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단계와, 습득자 기기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예치금 등록 사실을 확인한 후에 습득자로부터 분실물이 보관된 보관함의 잠금 해제용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비밀번호를 시각적 코드에 포함된 비밀값으로 암호화한 암호값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단계, 및 소유자 기기는 비밀값을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암호값으로부터 보관함 잠금 해제용 비밀번호를 획득하여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실물 회수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
The owner device generates a visual code containing the owner's block chain account and compensation amount and a secret value to prove the fact that the owner has found the lost property before the loss so that the owner can recover the lost property if the owner loses the property; generating, by the device, lost asset information including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 which the owner's block chain account and compensation amount can be verified and a lost and found identifier for access to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part of the data included in the visual code; and Loss registration step, including the step of the owner device registering the generated lost asset information in a smart contract of the blockchain network;
The acquirer device scans the visual code of the lost object acquired by the acquirer and generates a lost and found identifier with the code information obtained, and the acquirer device checks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with the generated lost and found identifier. step;
When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lost and found confirmation step, the acquirer device registers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cluding the secret value contained in the lost and found identifier and code information, the acquirer's block chain account and lost and found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mart contract; and
The owner device provides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to the owner; After confirming the deposit registration in the smart contract, the acquirer's device receives the password for unlocking the locker in which the lost items are stored from the acquirer, and the password value encrypted with the secret value included in the visual code is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a lost and found recovery step, comprising, by the owner device, obtaining a password for unlocking the locker from the password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using the secret value and providing the password to the owner;
A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that includes
제 1 항에 있어서,
분실물 등록 단계의 소유자 기기와 분실물 회수 단계의 소유자 기기는 상이한 기기인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in which the owner device in the lost and found registration stage and the owner device in the lost and found recovery stage are different devic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실물 회수 단계는 :
예치금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단계 이전에 소유자 기기는 소유자의 분실물 확인 명령에 따라 보관함에 보관된 분실물 자체에서의 사운드 출력을 위한 트랜잭션을 발생시켜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분실물에서 사운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tep of recovering lost and found comprises:
Before the step of registering the deposit in the smart contract, the owner device generates a transaction for sound output in the lost and found stored in the locker itself according to the owner's lost and found confirmation command, so that the sound output is made in the lost and found by the smart contract;
A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
분실물은 분실물 등록 단계를 수행한 소유자 기기가 분실물인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Lost and Found is a block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in which the owner's device that has performed the lost and found registration step is a lost ite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실물 회수 단계는 :
소유자 기기가 분실물을 회수한 소유자의 보상 지급 명령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예치금이 습득자의 블록체인 계정으로 지급되도록 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tep of recovering lost and found comprises:
generating, by the owner device, a transaction so that the deposit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is paid to the acquirer's block chain account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payment instruction of the owner who has recovered the lost property;
A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소유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에 있어서,
소유자가 소유물을 분실할 경우에 그 분실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분실 전에 소유자의 블록체인 계정과 보상 금액 및 습득자의 분실물 습득 사실 증명용 비밀값이 포함된 시각적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시각적 코드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유자의 블록체인 계정과 보상 금액이 확인 가능한 분실물 정보와 그 분실물 정보로의 접근을 위한 분실물 식별자가 포함된 분실 자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분실 자산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실 등록 단계;
습득자 기기에 의해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분실물 식별자와 비밀값과 습득자의 블록체인 계정 및 분실물 보관 위치 정보를 포함한 분실물 습득 정보를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분실물 습득 정보를 확인한 소유자 명령에 따라 시각적 코드에 포함된 보상 금액만큼의 예치금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단계, 및 예치금 등록 후에 습득자 기기에 의해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암호값으로부터 분실물이 보관된 보관함의 잠금 해제용 비밀번호를 획득하되 비밀값을 이용해 암호값으로부터 비밀번호를 획득하여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실물 회수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
In the block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performed in the owner device,
Creating a visual code including the owner's block chain account, compensation amount, and secret value for proving the fact that the owner has found the lost property before loss so that the owner can recover the lost property in case the owner loses the property, including in the visual code Creating lost asset information including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 which the owner's block chain account and compensation amount can be verified and a lost and found identifier for access to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some of the data, and the generated lost asset information Loss registration step including registering in the smart contract of the blockchain network;
The step of providing lost and found information to the owner, including the lost and found identifier and secret value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by the acquirer's device, and the acquirer's block chain account and lost and found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Registering a deposit equivalent to the included compensation amount in the smart contract, and after registering the deposit, obtain a password for unlocking the locker in which the lost items are stored from the password value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by the acquirer device, but use the secret value to obtain the password Lost and found recovery step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a password from and providing it to the owner;
A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that includes
제 6 항에 있어서,
분실물 등록 단계의 소유자 기기와 분실물 회수 단계의 소유자 기기는 상이한 기기인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A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in which the owner device in the lost and found registration stage and the owner device in the lost and found recovery stage are different devices.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분실물 회수 단계는 :
예치금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단계 이전에 소유자의 분실물 확인 명령에 따라 습득자에 의해 보관함에 보관된 분실물 자체에서의 사운드 출력을 위한 트랜잭션을 발생시켜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분실물에서 사운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6 or 7, wherein the step of recovering lost and found includes:
Before the step of registering the deposit in the smart contract, generating a transaction for sound output from the lost property itself stored in the locker by the acquirer according to the owner's lost and found confirmation command, so that the sound output is made from the lost property by the smart contract;
A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
분실물은 분실물 등록 단계를 수행한 소유자 기기가 분실물인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Lost and Found is a block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in which the owner's device that has performed the lost and found registration step is a lost item.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분실물 회수 단계는 :
분실물을 회수한 소유자의 보상 지급 명령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예치금이 습득자의 블록체인 계정으로 지급되도록 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6 or 7, wherein the step of recovering lost and found includes:
generating a transaction so that the deposit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is paid to the acquirer's block chain account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payment instruction of the owner who recovered the lost property;
A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습득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에 있어서,
습득자가 습득한 분실물의 시각적 코드를 스캔하여 얻어진 코드 정보로 분실물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분실물 식별자로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분실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실물 확인 단계;
분실물 확인 단계를 통해 분실물 정보가 확인되면 분실물 식별자와 코드 정보에 포함된 비밀값과 습득자의 블록체인 계정 및 분실물 보관 위치 정보를 포함한 분실물 습득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는 습득물 등록 단계; 및
분실물 습득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한 후에 시각적 코드에 포함된 보상 금액만큼의 예치금이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된 사실이 확인되면 습득자로부터 습득 분실물이 보관된 보관함의 잠금 해제용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비밀번호를 시각적 코드에 포함된 비밀값으로 암호화한 암호값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등록하여 소유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실물 회수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
In the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performed on the acquirer's device,
A lost and found identification step comprising: generating a lost and found identifier with the code information obtained by scanning the visual code of the lost and found by the acquirer; and confirming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with the generated lost and found identifier;
When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lost and found confirmation step, the found information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cluding the secret value included in the lost and found identifier and code information, the acquirer's block chain account and lost and found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mart contract; and
After registering the lost and found information in the smart contract,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eposit equivalent to the amount of compensation included in the visual code is registered in the smart contract, the acquirer receives the password for unlocking the locker where the found and lost items are stored a lost and found recovery step comprising registering an encrypted value encrypted with a secret value included in the visual code in a smart contract and providing it to the owner;
A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that includes
제 6 항 또는 제 11 항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회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block chain-based lost and found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11 in a compu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26618A 2020-03-03 2020-03-03 Blockchain based claim and reward model for lost property KR1023412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618A KR102341254B1 (en) 2020-03-03 2020-03-03 Blockchain based claim and reward model for lost proper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618A KR102341254B1 (en) 2020-03-03 2020-03-03 Blockchain based claim and reward model for lost proper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545A KR20210111545A (en) 2021-09-13
KR102341254B1 true KR102341254B1 (en) 2021-12-22

Family

ID=7779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618A KR102341254B1 (en) 2020-03-03 2020-03-03 Blockchain based claim and reward model for lost proper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2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682A (en)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픽스트리 Thing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managing presentation of current status and position of thing and the lost and found through the registration of object dat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720B1 (en) * 2010-10-01 2012-06-14 김수복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erver for providing recovery service of the missing mobile apparatus
KR20140104551A (en) * 2013-02-19 2014-08-29 손창덕 System and method to return lost article through internet
KR101888543B1 (en) 2017-05-30 2018-08-16 (주)바인테크 System for collecting and managing lost items
KR20190133573A (en) * 2018-05-23 2019-12-03 권형석 Block Chain Trading System with Smart Contract And That w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682A (en)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픽스트리 Thing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managing presentation of current status and position of thing and the lost and found through the registration of object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545A (en)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184749A (en) Method of distributing block chain-registered digital asset, and autonomous computation agent
JP5664378B2 (en) Virtual point card system, virtual point card management method, point card management terminal, portable terminal, point card management program, and point card utilization program
CN110148017A (en) Equity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medium based on block chain
TW202008252A (en) Transa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centralized settlement and blockchain deposit certificates
CN110494876A (en) For issuing the system and method with track digital token in distributed network node
CN109716707A (en) Distributed electrical subrecord and transactions history
JP6655147B2 (en) Payment system
KR20190028517A (en) Distributing digital assets by transactional devices
JP4209840B2 (en) IC card, terminal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CN103339636A (en) Creation of signatures for authenticating applications
CN112200567B (en)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based on block chain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9582885A (en) It is a kind of that the method and device that block chain deposits card is carried out to webpage by webpage monitoring
US20210042748A1 (en) Blockchain-based secure resource management
JP2006221295A (en) Electronic money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CN111047327A (en) Intelligent contract execu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JP2023166119A (en) Service provision device,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KR102341254B1 (en) Blockchain based claim and reward model for lost property
JP59911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information registration method
JP2023062434A (en) Service providing devic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CN110599176B (en) Block chain-based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node equipment
JP2016181171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09070020A (en) Online service provision system, personal terminal, management server, onlin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CN115345729A (en) Credit card issu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06209183A (en) Name car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name card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name card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car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2011034532A (en) Deposition device, deposition support device, deposition method, deposi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