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815B1 - Method and system for plit screen type outside/inside displaying of virtual building module and image of camera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lit screen type outside/inside displaying of virtual building module and image of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815B1
KR102340815B1 KR1020200149556A KR20200149556A KR102340815B1 KR 102340815 B1 KR102340815 B1 KR 102340815B1 KR 1020200149556 A KR1020200149556 A KR 1020200149556A KR 20200149556 A KR20200149556 A KR 20200149556A KR 102340815 B1 KR102340815 B1 KR 102340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time
building
screen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헌
윤지운
천서이
Original Assignee
뉴레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레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레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8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8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lit-screen type inside/outside display method for a virtual building model and a system thereof, capable of displaying the outside and inside of a building at the same time in regard to a digital twin service of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acquired through high-precision surveying equipment or a three-dimensional indoor model manufactured through a building information system onto a web browser, and a split-screen type display method for photographed images and a system thereof. The split-screen type inside/outside display method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a-1) of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side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model viewed with respect to a camera position in a virtual space; (b-1)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side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with respect to the same position as the camera position; and (c-1) displaying at least one part of the outside image information on a first area plac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a screen division line on a screen of the display, while displaying at least one part of the inside image information on a second area plac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vision line.

Description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 및 시스템과,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lit screen type outside/inside displaying of virtual building module and image of camera}Method and system for split-screen indoor and outdoor display of a virtual building model, and a method and system for split-screen display of captured images

본 발명은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 및 시스템과,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 정밀의 측량 장비에 의해 취득된 3차원 건물 모델이나 빌딩 인포메이션 시스템에 의해 제작된 건축물 3D 실내 모델을 웹 브라우저 상에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서비스에서 건물 외부와 내부를 동시에 표시하여 비교 및 분석할 수 있게 하는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 및 시스템과,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lit-screen indoor/outdoor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a virtual building model, and a split-screen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a captured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or building acquired by high-precision surveying equipment. In a digital twin service that provides a 3D indoor model of a building produced by the information system on a web browser,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building can be displayed simultaneously for comparison and analysis; a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 virtual building model indoors and outdoo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split-screen display of a captured image.

일반적으로, 인터넷 웹 브라우저 3D 뷰어, 3D 구글 스케치업(SketchUp), 3D 모델 스트리밍, 공간 분할, 시계열 서비스 등 3차원 모델을 가공하고 뷰어하는 도구의 세부 기술로서, 이미 생성된 3차원 건물 모델의 내부, 외관, 수리 이력 등을 3D 화면상에 분할하여 표현하는 기술들이 개발된 바 있다.In general, as a detailed technology of a tool for processing and viewing a 3D model, such as an internet web browser 3D viewer, 3D Google SketchUp, 3D model streaming, space division, and time series service, the interior of an already created 3D building model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divide and express , exterior, repair history, etc. on a 3D screen.

3D 화면 상에 건물의 실내외를 표현하거나 빌딩 인포메이션 시스템(BIM)의 각종 데이터를 표현하고자 할 때, 종래에는 다양하게 분류된 레이어를 하나의 화면에서 모두 표현하고, 레이어를 끄고 켜는 방식으로 3D 공간 정보를 표현했었다.When express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a building on a 3D screen or various data of a building information system (BIM), conventionally, various classified layers are expressed on a single screen, and 3D spatial information is displayed by turning the layers on and off. had expressed

이러한 종래의 레이어 방식의 공간 정보 표시 방법은, 3D 화면에서 꺼진 표시되지 않은 데이터는 보이지 않아서 켜진 보이는 공간 정보와의 상관 관계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분석하고자 하는 3D 공간 정보를 동시에 비교 분석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onventional layered spati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since undisplayed data turned off on the 3D screen was not visible, and correlation with visible spatial information turned on could not be visually recognized, it wa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ompare and analyze 3D spatial information to be analyzed.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도 9는 기존의 단일 화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1은 기존의 건물 모델의 실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2는 기존의 건물 모델의 실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3은 기존의 건물 데이터가 저장된 디렉토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캡쳐 화면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single screen display method,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utdoor display method of an existing building model,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display method of an existing building model, and FIG. It is a screen capture showing an example of a directory in which building data is stored.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건물 모델 실외 표시 방법은 카메라의 위치(x, y, z), 텍스쳐 UV(tu, tv) 좌표 등을 활용하여 표현되는 것으로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삼각형 리스트를 나타내는 삼각형 인덱스로 구성될 수 있고, 정점 좌표들이 3차원 모델의 형상을 이루어서 실사 텍스쳐 이미지가 모델 형상에 텍스쳐 UV 좌표에 의해 둘러싸여져서 실제 모델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3차원 공간 상의 모델 좌표를 2차원 모니터 화면으로 투영하는 방법을 사용했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 the conventional outdoor display method of a building model is expressed using the camera position (x, y, z), texture UV (tu, tv) coordinates, etc., and is based on the camera position. It can be composed of a triangle index indicating a triangle list, and the vertex coordinates form the shape of the 3D model, so that the actual texture image is surrounded by the texture UV coordinates on the model shape to form the actual model shape. A method of projecting the model coordinates in this three-dimensional space onto a two-dimensional monitor screen was u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물 모델 표시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실외, 즉 외관을 표시하는 건물 실외 화면은 별도로 존재하고, 건물 모델의 실내 구조를 보기 위해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위치가 건물의 실내로 들어와서 시야 각도나 대상물의 비율 등이 전부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건물의 외관, 즉 실내 정보와 동일한 스케일로 동시에 비교할 수 없었던 문제점들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method of displaying a building model, as shown in FIG. 11 , the outdoor screen of the building that displays the exterior, that is,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exists separately, and in order to view the ind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model, as shown in FIG. As shown, since the camera position enters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he viewing angle and the ratio of the object are all 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compared simultaneously with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that is, the indoor information on the same scale.

아울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빌딩 인포메이션 시스템의 IFC 파일 등 각종 데이터 파일은 건물 설계시 건축물의 단위 별로 구분되어 있고, 이러한 데이터들은 건물의 실내외를 동시에 동일한 스케일로 비교하기가 불가능했었던 문제점들이 있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in the conventional case, various data files such as IFC files of the building information system are divided for each unit of building when designing a building, and these data are difficult to compare indoors and outdoors of a building at the same time on the same scale There were problems that were impossibl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하여, 야기되어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차원 건물에 대한 공간, 시간적 정보를 하나의 3D 화면에 분할 표현하여 데이터의 비교 분석 및 가독성을 높이며, 스마트 시티 서비스 중 빌딩 인포메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뷰어, 에너지, 소방 방재 시뮬레이션 등 실내 디지털 트윈 표현과 고정밀 3차원 모델의 효과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 및 시스템과,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by dividing and expressing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about a three-dimensional building on one 3D screen to increase comparative analysis and readability of data, smart Among city services, a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 virtual building model that enables effective expression of high-precision 3D models and data viewer of building information systems, energy,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simulations,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visional display method and system.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은, (a-1) 가상 공간에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1) 상기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1)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building model indoors and outdoor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1) a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display of a building model viewed from a camera position in a virtual space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b-1)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camera position; and (c-1)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arrang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with respect to the dividing line, and at the same time, arrang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dividing line of the screen. It may include;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가상 공간은 현실의 건물이 가상의 공간에서 3차원으로 구현된 디지털 트윈 공간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a-1), the virtual space may be a digital twin space in which a real building is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in a virtual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는, 적어도 상기 카메라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외부 벽 정보, 외부와 통하는 문 정보, 외부에 설치된 창 정보, 외부에 설치된 기둥 정보, 건물 외부 계단 정보, 건물 외부 난간 정보, 건물 외부 지형 정보, 건물 외부 구조물 정보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a-1),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external wal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camera position, door information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window information installed outside, and outside It may be made by selecting any one or more of information about pillars installed on the pole, information about stairs outside the building, information about railings outside the building, information about the topography outside the building,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outside the building, and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는,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를 투시하여 나타내는 투시 정보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b-1),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may be perspectiv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는, 적어도 상기 카메라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내부 벽 정보, 내부를 통하는 문 정보, 내부에 설치된 창 정보, 내부에 설치된 기둥 정보, 건물 내부 계단 정보, 건물 내부 난간 정보, 건물 내부 지형 정보, 건물 내부 구조물 정보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b-1),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is at least the inner wal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camera position, information on the door through the interior, information on the window installed inside, the interior It may be made by selecting any one or more of column information installed in the , information on stairs inside the building, information on the railing inside the building, topographic information inside the building,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inside the building, and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c-1) 단계 이후에, (d-1) 마우스의 드래그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 분할선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화면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tep (c-1), (d-1) the scree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by moving the screen dividing line using a mouse drag function or a direction key input It may further include; adjusting the ratio.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는 건물 외부 보수 또는 건물 외부 수리 이전의 제 1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 및 건물 외부 보수 또는 건물 외부 수리 이후의 제 2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는 건물 내부 보수 또는 건물 외내 수리 이전의 제 1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 및 건물 내부 보수 또는 건물 내부 수리 이후의 제 2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c-1) 단계 이후에, (e-1) 시간 정보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a-1),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is the first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before the building exterior repair or repair outside the building, and the second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after the building exterior repair or building exterior repair. Including image information, in the step (b-1),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is the first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before the building interior repair or exterior repair and the second hour indoor image information after the building interior repair or the interior repair of the building information, and after step (c-1), (e-1) displays the first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according to time information input, and displays the first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indoor image information or displaying the second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the second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c-1)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f-1) 항공기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건물 또는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g-1) 상기 항공기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촬영된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h-1)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or after step (c-1), (f-1) the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or terrain photograph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aircraft camera generating; (g-1)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he terrain photographed at the same location as the aircraft camera location; and (h-1)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arrang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n a second area disposed in the .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시스템은, 가상 공간에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실외 이미지 생성부; 상기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실내 이미지 생성부;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실내외 분할 화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creen division type indoor/outdoor display system of the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based on the camera position in a virtual space an outdoor image generating unit to generate; an indoor im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camera position; and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sion line,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a second area dispos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sion line. and an indoor/outdoor split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indoor imag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우스의 드래그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 분할선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화면비율을 조절하는 화면비율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spect ratio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spect ratio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by moving the screen dividing line by using a drag function of a mouse or input of a direction key; may further include.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 정보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제 1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시간 분할 화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ime information, the first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the first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or the first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t may further include; a time division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wo-hour outdoor imag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second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기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건물 또는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 상기 항공기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촬영된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시간 분할 촬영 영상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time-captured im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or terrain photographed based on an aircraft camera position; a second time-captured im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he terrain photograph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of the aircraft camera; and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a second seco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It may further include; a time division captured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ime 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the area.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은, (a-2) 실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건물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2) 상기 실제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가상 공간의 카메라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 또는 실내에 설치된 실제 카메라에서 촬영된 실내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2)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실외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 또는 실내 촬영 영상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lit-screen display method of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a-2)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photographed based on the actual camera position creating a; (b-2)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a camera position in the same virtual space as the real camera position or indoor photograph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a real camera installed indoors ; and (c-2)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door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arrang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with respect to the dividing line of the screen, and at the same time, disposing at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dividing line of the screen and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or the indoor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area.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시스템은, 실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건물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실외 촬영 영상 생성부; 상기 실제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가상 공간의 카메라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 또는 실내에 설치된 실제 카메라에서 촬영된 실내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실내 이미지 생성부;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실외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 또는 실내 촬영 영상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실내외 촬영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creen division type display system of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utdoor shooting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shooting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photographed based on an actual camera position image generator; an indoor im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a camera position in the same virtual space as the real camera position or indoor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a real camera installed indoors; and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door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sion line, and at the same time, in a second area dispos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sion line. and an indoor/outdoor captured image generating unit that displays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or indoor captured image.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은, (a-3) 고공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또는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3) 상기 고공 카메라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3)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lit-screen display method of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a-3) a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irst view of a building or terrain viewed from the high-altitude camera position generating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b-3)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he terrain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high-altitude camera; and (c-3)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arrang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and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n a second area disposed in the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공 카메라는, 항공기 카메라 또는 위성 카메라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altitude camera may be an aircraft camera or a satellite camer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과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은 시간의 순서에 따라 시간대별로 촬영된 영상 정보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may be image information captured for each time zone according to the order of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는 건물 또는 지형의 개발 이전의 영상 정보이고,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는 건물 또는 지형의 개발 이후의 영상 정보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may be image information before the development of a building or terrain, and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may be image information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building or terrain.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시스템은, 고공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또는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 상기 고공 카메라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시간별 분할 촬영 화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lit-screen display system of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irst time 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or terrain viewed from the high-altitude camera position a first time-captured image generating unit to generate; a second time-captured im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he terrain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high-altitude camera; and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a second seco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and a time-divided photographing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an area.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3D 화면에서 건물 모델의 표현시 화면을 분할하여 서로 다른 공간적, 시간적으로 존재하는 3차원 모델을 하나의 분할 화면에 동일한 스케일로 투영시켜서 건물 모델이나 지형의 실내외 또는 시간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건축물 모델의 화면 분할기능을 통하여 디지털 트윈 서비스에서 보다 정밀하고 고도화된 데이터를 가시화할 수 있으며, 3D 건물 모델이나 촬영 영상 등을 표현함에 있어 실내외 또는 시계열 데이터 등 시공간을 초월하는 데이터 표현이 가능하고, 데이터 분산 표현을 위해 인터넷 상의 데이터 분할 전송 단위를 최소화 함으로써 데이터 서비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uilding model is expressed on the 3D screen, the screen is divided to project the 3D models existing in different spatial and temporal ways on one split screen at the same scale to create a building It can effectively express indoor/outdoor or temporal changes in a model or terrain, and visualize more precise and advanced data in the digital twin service through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of the building model. Alternatively, data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such as time series data, can be expressed, and data servic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data division and transmission units on the Internet for data distribution expression.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기존의 단일 화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기존의 건물 모델의 실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기존의 건물 모델의 실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기존의 건물 데이터가 저장된 디렉토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캡쳐 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모델의 실외 데이터(실외 이미지) 생성 단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모델의 실내 데이터(실내 이미지) 생성 단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모델의 실내외 분할 화면 표시 단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모델의 실내외 분할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캡쳐 화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모델의 시간 분할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캡쳐 화면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building model indoors and outdoor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building model indoors and outdoors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lit-screen indoor/outdoor display system of a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lit-screen indoor/outdoor display system of a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captured image in a split screen type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lit-screen display system of a captured image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captured image in a screen division type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lit-screen display system of a captured image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single screen display method.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vision type indoor/outdoor display method of a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utdoor display method of a conventional building model.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display method of a conventional building model.
13 is a screen capture showing an example of a directory in which existing building data is stored.
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outdoor data (outdoor image) of a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indoor data (indoor image) of a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outdoor split screen display step of a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apture screen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door/outdoor split screen of a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apture screen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ime division screen of a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as to more fully and complete the present disclosur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chematically illustrating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variations of the illustrated shape can be envisaged, for example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s.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changes in shape caused by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모델의 실외 데이터(실외 이미지) 생성 단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모델의 실내 데이터(실내 이미지) 생성 단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모델의 실내외 분할 화면 표시 단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split-screen indoor/outdoor display of a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step of generating outdoor data (outdoor image) of a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indoor data (indoor image) of a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n indoor/outdoor division of a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creen display stage.

먼저, 도 1,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 가상 공간에서 카메라 위치(x, y, z)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이미지 정보(E1)를 생성하는 단계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b-1) 상기 카메라 위치(x, y, z)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E2)를 생성하는 단계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1) 디스플레이의 화면(W)에서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W1)에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E1)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W2)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E2)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14 to 16 , the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building model indoors and outdoor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14 , (a-1) The step of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image information E1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based on the camera position (x, y, z) in the virtual space, and as shown in FIG. 15, (b- 1)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E2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camera position (x, y, z) and as shown in FIG. 16, (c) -1)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E1 is displayed on the first area W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W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L, and at the same time, the screen The method may include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E2 in the second area W2 dispos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dividing line L.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가상 공간은 현실의 건물이 가상의 공간에서 3차원으로 구현된 디지털 트윈 공간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n step (a-1), the virtual space may be a digital twin space in which a real building is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in a virtual space.

또한,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E1)는, 적어도 상기 카메라 위치(x, y, z)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외부 벽 정보, 외부와 통하는 문 정보, 외부에 설치된 창 정보, 외부에 설치된 기둥 정보, 건물 외부 계단 정보, 건물 외부 난간 정보, 건물 외부 지형 정보, 건물 외부 구조물 정보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E1 includes information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at least the camera position (x, y, z), information on the do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nformation on the exterior It may be made by selecting any one or more of window information installed in the , information on columns installed outside, information on stairs outside the building, information on the railing outside the building, topographic information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outside the building, and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E2)는,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E1)를 투시하여 나타내는 투시 정보인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E2)는, 적어도 상기 카메라 위치(x, y, z)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내부 벽 정보, 내부를 통하는 문 정보, 내부에 설치된 창 정보, 내부에 설치된 기둥 정보, 건물 내부 계단 정보, 건물 내부 난간 정보, 건물 내부 지형 정보, 건물 내부 구조물 정보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b-1),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E2 is perspective information that is shown by looking through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E1, and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 ,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E2, at least the interior wal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camera position (x, y, z), door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ior, window information installed inside, column information installed inside, It may be made by selecting any one or more of the building internal stair information, the building internal railing information, the building internal topographic information, the building internal structure information, and combinations thereof.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vision type indoor/outdoor display method of a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모델의 실내외 분할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캡쳐 화면이다.17 is a capture screen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door/outdoor split screen of a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예컨대, 도 10,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은, 상기 (c-1) 단계 이후에, (d-1) 마우스의 드래그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 분할선(L)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영역(W1)과 상기 제 2 영역(W2)의 화면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0, 16 and 17 , the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building model indoors and outdoor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fter step (c-1), ( d-1) adjusting the aspect ratio of the first area W1 and the second area W2 by moving the screen dividing line L using a mouse drag function or a direction key input. can

따라서,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거나 상기 화면 분할선(L)을 드래그하거나 좌우 방향키 등을 입력하여 상기 제 1 영역(W1)을 늘리면서, 동시에 상기 제 2 영역(W2)을 줄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제 1 영역(W1)을 줄이면서, 동시에 상기 제 2 영역(W2)을 늘릴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increase the first area W1 and reduce the second area W2 at the same time by using a mouse, dragging the screen dividing line L, or inputting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or While the first area W1 is reduced, the second area W2 may be increased at the same time.

그러므로, 사용자는 동일한 스케일로 마치 건물 모델의 외벽을 필요에 따라서 사라지거나 다시 생길 수 있게 하여 건물의 실내외를 매우 간편하게 확인하면서 비교 분석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compare and analyze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very easily by making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model disappear or reappear as needed on the same scale.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건물 모델의 실내외를 동일한 스케일로 동시에 서로 비교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서, 이외에도 예를 들면, 시간의 순서에 따라서도 건물 또는 지형의 변화를 하나의 화면에서 비교 및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omparing the indoor and outdoor of such a building model with each other at the same scale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building model indoors and outdoors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은, 상술된 도 1의 상기 (a-1) 단계, 상기 (b-1) 단계 및 상기 (c-1) 단계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추가로 (d-1) 단계, (e-1) 단계, (f-1) 단계, (g-1) 단계 및 (h-1)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building model indoors and outdoors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a-1) of FIG. 1 described above; Step (b-1) and step (c-1) may be included, and further, step (d-1), step (e-1), step (f-1), step (g-1) It may further include steps and (h-1).

예컨대,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E1)는 건물 외부 보수 또는 건물 외부 수리 이전의 제 1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 및 건물 외부 보수 또는 건물 외부 수리 이후의 제 2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E2)는 건물 내부 보수 또는 건물 외내 수리 이전의 제 1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 및 건물 내부 보수 또는 건물 내부 수리 이후의 제 2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때,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은, 상기 (c-1) 단계 이후에, (e-1) 시간 정보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W1)에 상기 제 1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W2)에 상기 제 1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영역(W1)에 상기 제 2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W2)에 상기 제 2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tep (a-1),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E1 is the first hour outdoor image information before the building exterior repair or repair outside the building and the second hour outdoor image information after the building exterior repair or building exterior repair Including, in the step (b-1),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E2) is the first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before the building interior or exterior repair and the second time indoor after the building interior repair or building interior repair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included, the screen division type indoor/outdoor display method of the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c-1), (e-1)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input The first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W1, the first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W2, or the second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W1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second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W2.

또한, 예컨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은, 상기 (c-1)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f-1) 항공기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건물 또는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g-1) 상기 항공기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촬영된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h-1) 디스플레이의 화면(W)에서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W1)에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W2)에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in the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building model indoors and outdoors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or after step (c-1), (f-1) shooting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aircraft camera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errain, (g-1)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mage of the building or the terrain photographed at the same location as the aircraft camera position; generating dimensional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h-1) the first time in the first area W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W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L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ime 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W2 dispos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viding line L may include

도 1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모델의 시간 분할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캡쳐 화면이다.18 is a capture screen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ime division screen of a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도 2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에 의하면, 건물의 실내외 이미지만을 비교 및 분석하는 것 이외에도, 하나의 화면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시간 이미지들을 비교 및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 카메라나 위성 카메라 등 고공 카메라의 촬영 사진들의 시간에 따라 변하는 촬영 영상들을 서로 동시에 동일한 스케일로 비교하는 것도 모두 가능하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2 and 18 , according to the screen division type indoor/outdoor display method of a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comparing and analyzing only indoor and outdoor images of a building, one It is also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time images that change over time on the screen, and as shown in FIG. 18 , time-varying captured images of high-altitude cameras, such as aircraft cameras or satellite cameras, are compared at the same time at the same scale. It is also possible to do all

그러므로, 3차원 건물에 대한 공간, 시간적 정보를 하나의 3D 화면에 분할 표현하여 데이터의 비교 분석 및 가독성을 높이며, 스마트 시티 서비스 중 빌딩 인포메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뷰어, 에너지, 소방 방재 시뮬레이션 등 실내 디지털 트윈 표현과 고정밀 3차원 모델의 효과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다.Therefore,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about a three-dimensional building is divided and expressed on a single 3D screen to increase comparative analysis and readability of data, and to express indoor digital twins such as data viewer of building information system, energy,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simulation among smart city services. and the effective representation of high-precision 3D models.

즉, 3D 화면에서 건물 모델의 표현시 화면을 분할하여 서로 다른 공간적, 시간적으로 존재하는 3차원 모델을 하나의 분할 화면에 동일한 스케일로 투영시켜서 건물 모델이나 지형의 실내외 또는 시간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건축물 모델의 화면 분할기능을 통하여 디지털 트윈 서비스에서 보다 정밀하고 고도화된 데이터를 가시화할 수 있으며, 3D 건물 모델이나 촬영 영상 등을 표현함에 있어 실내외 또는 시계열 데이터 등 시공간을 초월하는 데이터 표현이 가능하고, 데이터 분산 표현을 위해 인터넷 상의 데이터 분할 전송 단위를 최소화 함으로써 데이터 서비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expressing a building model on a 3D scree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xpress indoor/outdoor or temporal changes of a building model or topography by dividing the screen and projecting different spatially and temporally three-dimensional models on one split screen at the same scale. , Through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of the building model, more precise and advanced data can be visualized in the digital twin service. , data servic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data division transmission unit on the Internet for data distribution represent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lit-screen indoor/outdoor display system 100 of a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시스템(100)은, 가상 공간에서 카메라 위치(x, y, z)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이미지 정보(E1)를 생성하는 실외 이미지 생성부(10)와, 상기 카메라 위치(x, y, z)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E2)를 생성하는 실내 이미지 생성부(20)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W)에서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W1)에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E1)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W2)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E2)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실내외 분할 화면 표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split-screen indoor/outdoor display system 100 of a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ding viewed from a camera position (x, y, z) in a virtual space. The outdoor image generating unit 10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image information E1 of the model, and the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camera position (x, y, z) Alternatively, the indoor image generating unit 20 that generates the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E2 and the first area W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W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L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E1,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E2 in the second area W2 dispos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viding line L It may include an indoor/outdoor split screen display unit 30 .

따라서, 상기 실외 이미지 생성부(10)를 이용하여 가상 공간에서 카메라 위치(x, y, z)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이미지 정보(E1)를 생성하고, 상기 실내 이미지 생성부(20)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위치(x, y, z)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E2)를 생성하며, 상기 실내외 분할 화면 표시부(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W)에서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W1)에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E1)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W2)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E2)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image information E1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based on the camera position (x, y, z) in the virtual space is generated using the outdoor image generating unit 10, Using the indoor image generating unit 20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E2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camera position (x, y, z), the indoor and outdoo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E1 is displayed on the first area W1 dispos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viding line L on the screen W of the display by using the split screen display unit 30, , and at the same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E2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W2 dispos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viding line L.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시스템(2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lit-screen indoor/outdoor display system 200 of a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시스템(200)은, 상기 실외 이미지 생성부(10)와, 상기 실내 이미지 생성부(20) 및 상기 실내외 분할 화면 표시부(30)를 포함하고, 마우스의 드래그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 분할선(L)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영역(W1)과 상기 제 2 영역(W2)의 화면비율을 조절하는 화면비율 조절부(40)와, 시간 정보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W1)에 제 1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W2)에 상기 제 1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영역(W1)에 상기 제 2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W2)에 상기 제 2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시간 분할 화면 표시부(50)와, 항공기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건물 또는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61)와, 상기 항공기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촬영된 본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62)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W)에서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W1)에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W2)에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시간 분할 촬영 영상 표시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split-screen indoor/outdoor display system 200 of a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utdoor image generating unit 10 and the indoor image generating unit 20 . ) and the indoor/outdoor split screen display unit 30, and by moving the screen dividing line L using a mouse drag function or a direction key input, the first area W1 and the second area W2 The aspect ratio adjusting unit 40 for adjusting the aspect ratio, and displaying the first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W1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input, and the first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W2 Time division screen display unit 50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or displaying the second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W1 and displaying the second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W2 and a first time-captured image generation unit 61 that generates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or terrain photograph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aircraft camera, an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of the aircraft camera. A second time-captured image generating unit 62 that generates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building or the terrain, and a screen dividing line L on the screen W of the display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first area W1 disposed on one side as a reference, and at the same time, a second area W2 dispos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L ) may further include a time division captured image display unit 63 for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ime captured image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시스템(200)에 의하면, 상기 시간 분할 화면 표시부(50) 및 시간 분할 촬영 영상 표시부(63)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 안에서 건물이나 지형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plit-screen indoor/outdoor display system 200 of a virtual building model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You can compare and analyze changes over time of buildings or terrain within the screen.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captured image in a split screen type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은, 하나의 화면에서 실제 카메라가 촬영한 실외 촬영 영상과 가상의 실내 이미지를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는 것으로서, (a-2) 실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건물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b-2) 상기 실제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가상 공간의 카메라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 또는 실내에 설치된 실제 카메라에서 촬영된 실내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2) 디스플레이의 화면(W)에서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W1)에 상기 실외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W2)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 또는 실내 촬영 영상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in the method for displaying a captured image in a split-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door image captured by a real camera and a virtual indoor image are compared and analyzed on one screen As can be done, (a-2)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photographed based on the actual camera position, (b-2) the same virtual space as the actual camera position and (c-2)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as viewed from the camera posi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door shot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first area W1 dispos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viding line L as a referen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L. The method may include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or indoor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area W2.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시스템(3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lit-screen display system 300 of a captured image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시스템(300)은, 실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건물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실외 촬영 영상 생성부(110)와, 상기 실제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가상 공간의 카메라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 또는 실내에 설치된 실제 카메라에서 촬영된 실내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실내 이미지 생성부(120)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W)에서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W1)에 상기 실외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W2)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 또는 실내 촬영 영상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실내외 촬영 이미지 생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a split-screen display system 300 of a captured image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view of a building photographed based on an actual camera position. An outdoor captured image generation unit 110 that generates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a camera position in the same virtual space as the actual camera position, or a real camera installed indoors The indoor image generating unit 120 for generating indoor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captured at Creating an indoor/outdoor captured image that displays at least a portion of the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displays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or the indoor captured image in the second area W2 dispos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viding line L The unit 130 may be included.

따라서, 본 발명은 가상 건물 실내외 이미지에만 국한되지 않고, 실제 카메라로 촬영된 실외 촬영 영상과 가상 건물 실내 이미지를 하나의 화면에서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ndoor and outdoor images of a virtual building, and an outdoor image captured by a real camera and an indoor image of a virtual building may be compared and analyzed on a single screen.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captured image in a screen division type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은, (a-3) 고공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또는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b-3) 상기 고공 카메라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3) 디스플레이의 화면(W)에서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W1)에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W2)에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split-screen display method of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3) a three-dimensional or Generating two-dimensional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b-3)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he topography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high-altitude camera and (c-3)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W1 dispos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viding line L on the screen W of the display, At the same time, the method may include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W2 dispos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viding line L.

여기서, 예컨대, 상기 고공 카메라는, 항공기 카메라 또는 위성 카메라이고,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과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은 시간의 순서에 따라 시간대별로 촬영된 영상 정보일 수 있다.Here, for example, the high-altitude camera may be an aircraft camera or a satellite camera, and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may be image information captured for each time zone in the order of time.

또한, 예컨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는 건물 또는 지형의 개발 이전의 영상 정보이고,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는 건물 또는 지형의 개발 이후의 영상 정보일 수 있다.Als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8 ,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may be image information before the development of a building or terrain, and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may be image information after the development of a building or terrain. have.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시스템(4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lit-screen display system 400 of a captured image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시스템(400)은, 고공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또는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210)와, 상기 고공 카메라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220)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W)에서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W1)에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L)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W2)에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시간별 분할 촬영 화면 표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split-screen display system 400 of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view of a building or terrain viewed based on a high-altitude camera position.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generation unit 210 for generating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econd-time 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he terrain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high-altitude camera of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generating unit 220 for generating At the same time, the time-divided shooting screen display unit 230 for displaying at least a part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W2 dispos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viding line L. ) may be included.

따라서, 본 발명은 가상 건물 실내외 이미지나 실제 카메라로 촬영된 실외 촬영 영상 및 가상 건물 실내 이미지에만 국한되지 않고, 시간에 따라 고공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 영상들을 하나의 화면에서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ndoor and outdoor images of a virtual building or an outdoor image captured by a real camera and an indoor image of a virtual building, and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images captured by a high-altitude camera over time on a single screen.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ny type of recording device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서버 컴퓨터는 물론이고,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server computers as well as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magneto-optical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flash memory, USB memory, etc. It may also include being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ave (eg,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E1: 실외 이미지 정보
E2: 실내 이미지 정보
W: 화면
W1: 제 1 영역
W2: 제 2 영역
L: 화면 분할선
10: 실외 이미지 생성부
20: 실내 이미지 생성부
30: 실내외 분할 화면 표시부
40: 화면비율 조절부
50: 시간 분할 화면 표시부
61: 제 1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
62: 제 2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
63: 시간 분할 촬영 영상 표시부
100: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시스템
110: 실외 촬영 영상 생성부
120: 실내 이미지 생성부
130: 실내외 촬영 이미지 생성부
200, 300: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시스템
210: 제 1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
220: 제 2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
230: 시간별 분할 촬영 화면 표시부
E1: Outdoor image information
E2: Indoor image information
W: screen
W1: first area
W2: second area
L: screen divider
10: outdoor image generator
20: indoor image generation unit
30: indoor/outdoor split screen display unit
40: aspect ratio control unit
50: time division screen display unit
61: first time captured image generation unit
62: second time taken image generation unit
63: time division shooting video display unit
100: split-screen indoor and outdoor display system of virtual building model
110: outdoor shooting image generation unit
120: indoor image generating unit
130: indoor and outdoor shooting image generation unit
200, 300: Split-screen display system of the captured video
210: first time taken image generation unit
220: second time taken image generation unit
230: Time-divided shooting screen display unit

Claims (19)

(a-1) 가상 공간에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1) 상기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1)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가상 공간은, 현실의 건물이 가상의 공간에서 3차원으로 구현된 디지털 트윈 공간이고,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는,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와 동일한 스케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본 상기 건물 모델의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를 투시하여 나타내는 투시 정보이고,
상기 (c-1) 단계 이후에,
(d-1) 동일한 스케일로 상기 건물 모델의 외벽을 필요에 따라서 사라지거나 다시 생길 수 있게 하여 상기 건물 모델의 실내외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마우스의 드래그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 분할선을 이동시켜서, 동일한 스케일로 생성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화면비율을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
(a-1)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model viewed based on a camera position in a virtual space;
(b-1)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camera position; and
(c-1)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arrang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with respect to the dividing line of the screen,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at least a part of the information of the outdoor image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dividing line of the screen Including;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in two areas;
In step (a-1),
The virtual space is a digital twin space in which a real building is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in a virtual space,
In step (b-1),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is perspective information that shows through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camera position so that it can be generated on the same scale as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After step (c-1),
(d-1) The screen dividing line using a mouse drag function or direction key input so that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model can disappear or reappear as needed on the same sca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model adjusting an aspect ratio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generated on the same scale by moving
Further comprising, a split-screen indoor and outdoor display method of the virtual building mode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는, 적어도 상기 카메라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외부 벽 정보, 외부와 통하는 문 정보, 외부에 설치된 창 정보, 외부에 설치된 기둥 정보, 건물 외부 계단 정보, 건물 외부 난간 정보, 건물 외부 지형 정보, 건물 외부 구조물 정보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a-1),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external wal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camera position, door information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window information installed outside, column information installed outside, stairs information outside the building, information on the outside railing of the building, information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e building. A split-screen indoor/outdoor display method of a virtual building model, which is made by selecting any one or more of external top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external structure information, and combinations thereof.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는, 적어도 상기 카메라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내부 벽 정보, 내부를 통하는 문 정보, 내부에 설치된 창 정보, 내부에 설치된 기둥 정보, 건물 내부 계단 정보, 건물 내부 난간 정보, 건물 내부 지형 정보, 건물 내부 구조물 정보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In step (b-1),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internal wal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camera position, door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ior, window information installed inside, pillar information installed inside, building interior staircase information, building interior railing information, building A split-screen indoor/outdoor display method of a virtual building model, which is made by selecting any one or more of internal top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internal structure information, and combinations thereof.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는 건물 외부 보수 또는 건물 외부 수리 이전의 제 1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 및 건물 외부 보수 또는 건물 외부 수리 이후의 제 2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는 건물 내부 보수 또는 건물 외내 수리 이전의 제 1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 및 건물 내부 보수 또는 건물 내부 수리 이후의 제 2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c-1) 단계 이후에,
(e-1) 시간 정보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a-1),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cludes first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before building exterior repair or building exterior repair and second hour outdoor image information after building exterior repair or building exterior repair,
In step (b-1),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includes first-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before building interior repair or exterior-interior repair and second-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after building interior repair or building interior repair,
After step (c-1),
(e-1) displaying the first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according to time information input, displaying the first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or displaying the second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displaying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second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Further comprising, a split-screen indoor and outdoor display method of the virtual building mod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f-1) 항공기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건물 또는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g-1) 상기 항공기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촬영된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h-1)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fore or after step (c-1),
(f-1)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or terrain photographed based on an aircraft camera position;
(g-1)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he terrain photographed at the same location as the aircraft camera location; and
(h-1)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arrang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at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n an arranged second area;
Further comprising, a split-screen indoor and outdoor display method of the virtual building model.
가상 공간에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실외 이미지 생성부;
상기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실내 이미지 생성부;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실내외 분할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은,
현실의 건물이 가상의 공간에서 3차원으로 구현된 디지털 트윈 공간이고,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는,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와 동일한 스케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본 상기 건물 모델의 상기 실외 이미지 정보를 투시하여 나타내는 투시 정보이고,
동일한 스케일로 상기 건물 모델의 외벽을 필요에 따라서 사라지거나 다시 생길 수 있게 하여 상기 건물 모델의 실내외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마우스의 드래그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 분할선을 이동시켜서, 동일한 스케일로 생성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화면비율을 조절하는 화면비율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시스템.
an outdoor image generator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model viewed based on a camera position in a virtual space;
an indoor im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camera posi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first are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sion line, and at the same time, the indoor area is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dispos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sion line. Including; an indoor/outdoor split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The virtual space is
It is a digital twin space where real buildings are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in a virtual space,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It is perspective information that shows through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camera position so that it can be generated on the same scale as the outdoor image information,
By moving the screen dividing line using a mouse drag function or direction key input to allow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model to disappear or reappear as needed on the same sca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model, an aspect ratio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aspect ratios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generated by the scale;
Further comprising, a split-screen indoor and outdoor display system of the virtual building model.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시간 정보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제 1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영역에 제 2 시간 실외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실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시간 분할 화면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Displaying first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according to time information input, displaying the first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or displaying second time out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 a time division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econd time indoor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Further comprising, a split-screen indoor and outdoor display system of the virtual building model.
제 9 항에 있어서,
항공기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건물 또는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
상기 항공기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촬영된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시간 분할 촬영 영상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가상 건물 모델의 화면 분할식 실내외 표시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a first time-captured image generator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or terrain photographed based on an aircraft camera position;
a second time-captured im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he terrain photograph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of the aircraft camera;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first are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sion line, and at the same time, a second area dispos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sion line a time division captured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ime captured image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 split-screen indoor and outdoor display system of the virtual building model.
(a-2) 실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건물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2) 상기 실제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가상 공간의 카메라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2)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실외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2) 단계에서,
상기 가상 공간은, 현실의 건물이 가상의 공간에서 3차원으로 구현된 디지털 트윈 공간이고,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는, 상기 실외 촬영 영상 정보와 동일한 스케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실제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본 상기 건물 모델의 상기 실외 촬영 영상 정보를 투시하여 나타내는 투시 정보이고,
상기 (c-2) 단계 이후에,
(d-2) 동일한 스케일로 상기 건물 모델의 외벽을 필요에 따라서 사라지거나 다시 생길 수 있게 하여 상기 건물 모델의 실내외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마우스의 드래그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 분할선을 이동시켜서, 동일한 스케일로 생성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화면비율을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
(a-2)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photographed based on an actual camera position;
(b-2)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a camera position in the same virtual space as the actual camera position; and
(c-2)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door 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Including;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in a second area;
In step (b-2),
The virtual space is a digital twin space in which a real building is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in a virtual space,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is perspective information that shows through the outdoor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actual camera position so that it can be generated on the same scale as the outdoor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After step (c-2),
(d-2) The screen dividing line using a mouse drag function or direction key input so that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model disappears or reappears as needed on the same sca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model adjusting an aspect ratio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generated on the same scale by moving
Further comprising, a split-screen display method of the captured image.
실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건물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외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실외 촬영 영상 생성부;
상기 실제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가상 공간의 카메라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모델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실내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실내 이미지 생성부;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실외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실내외 촬영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은,
현실의 건물이 가상의 공간에서 3차원으로 구현된 디지털 트윈 공간이고,
상기 실내 이미지 정보는,
상기 실외 촬영 영상 정보와 동일한 스케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실제 카메라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본 상기 건물 모델의 상기 실외 촬영 영상 정보를 투시하여 나타내는 투시 정보이고,
동일한 스케일로 상기 건물 모델의 외벽을 필요에 따라서 사라지거나 다시 생길 수 있게 하여 상기 건물 모델의 실내외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마우스의 드래그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 분할선을 이동시켜서, 동일한 스케일로 생성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화면비율을 조절하는 화면비율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시스템.
an outdoor photographed im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outdoor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photographed based on an actual camera position;
an indoor im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ndoor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as viewed from a camera position in the same virtual space as the actual camera position; an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door captured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first area dispos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viding line,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area dispos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viding line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cludes; indoor and outdoor photographed image generation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The virtual space is
It is a digital twin space where real buildings are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in a virtual space,
The indoor image information,
It is perspective information that shows through the outdoor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odel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actual camera position so that it can be generated at the same scale as the outdoor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By moving the screen dividing line using a mouse drag function or direction key input to allow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model to disappear or reappear as needed on the same sca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model, an aspect ratio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aspect ratios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generated by the scale;
Further comprising, a split-screen display system of the captured image.
(a-3) 고공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또는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3) 상기 고공 카메라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3)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3) 단계에서,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는,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와 동일한 스케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고공 카메라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본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와 다른 시간대에 촬영된 영상 정보이고,
상기 (c-3) 단계 이후에,
(d-3) 동일한 스케일로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시간대에 따른 변화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마우스의 드래그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 분할선을 이동시켜서, 동일한 스케일로 생성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화면비율을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
(a-3)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or terrain viewed from a high-altitude camera position;
(b-3)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he terrain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high-altitude camera; and
(c-3)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n a first area arrang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at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ding line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n an arranged second area;
In step (b-3),
The second time captured image information is at a time different from the first time 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he terrain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high-altitude camera so that it can be generated at the same scale as the first time captured image information recorded video information,
After step (c-3),
(d-3)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according to time of the building or the topography on the same scale, the screen dividing line is moved using a mouse drag function or a direction key input, and the adjusting an aspect ratio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Further comprising, a split-screen display method of the captured imag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공 카메라는, 항공기 카메라 또는 위성 카메라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high-altitude camera is an aircraft camera or a satellite camera, a split-screen display method of the captured imag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과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은 시간의 순서에 따라 시간대별로 촬영된 영상 정보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are image information captured for each time zone according to an order of tim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는 건물 또는 지형의 개발 이전의 영상 정보이고,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는 건물 또는 지형의 개발 이후의 영상 정보인,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time taken image information is image information before the development of a building or terrain,
and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s image information after the development of a building or a terrain.
고공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바라 본 건물 또는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
상기 고공 카메라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 본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3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시간 촬영 영상 생성부;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된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면 분할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하는 시간별 분할 촬영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시간 촬영 영상 정보는,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와 동일한 스케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고공 카메라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라본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상기 제 1 시간 촬영 영상 정보와 다른 시간대에 촬영된 영상 정보이고,
동일한 스케일로 상기 건물 또는 상기 지형의 시간대에 따른 변화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마우스의 드래그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 분할선을 이동시켜서, 동일한 스케일로 생성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화면비율을 조절하는 화면비율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촬영 영상의 화면 분할식 표시 시스템.
a first time-captured im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or terrain viewed from a high-altitude camera position;
a second time-captured im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he terrain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high-altitude camera;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first are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division line, and at the same time, a second area dispos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screen division line Including a; divided shooting screen display unit for each time for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ime-captured image information;
The second time taken image information,
It is image information captured at a time different from the first time capture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the terrain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high-altitude camera so that it can be generated at the same scale as the first time 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 over time of the building or the topography on the same scale,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created on the same scale are moved by using a mouse drag function or a direction key input to move the screen dividing line. Aspect ratio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aspect ratio of area 2;
Further comprising, a split-screen display system of the captured image.
KR1020200149556A 2020-11-10 2020-11-10 Method and system for plit screen type outside/inside displaying of virtual building module and image of camera KR1023408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556A KR102340815B1 (en) 2020-11-10 2020-11-10 Method and system for plit screen type outside/inside displaying of virtual building module and image of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556A KR102340815B1 (en) 2020-11-10 2020-11-10 Method and system for plit screen type outside/inside displaying of virtual building module and image of came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815B1 true KR102340815B1 (en) 2021-12-21

Family

ID=7916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556A KR102340815B1 (en) 2020-11-10 2020-11-10 Method and system for plit screen type outside/inside displaying of virtual building module and image of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81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4529A (en) * 2022-06-29 2022-09-30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project model in multiple views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597400B1 (en) * 2022-11-15 2023-11-02 주식회사 유인프라웨이 Web based structure image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twin and dron
KR102597403B1 (en) * 2022-11-15 2023-11-02 주식회사 유인프라웨이 Web based structure image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twin and camera property
KR102664178B1 (en) * 2024-02-07 2024-05-08 주식회사 유인프라웨이 Digital twin based video monitor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633B1 (en) * 2013-09-11 2014-01-16 삼아항업(주) Video geograph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division of screen using time series orthophotograph
KR20140073398A (en)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43558B1 (en) * 2014-09-24 2015-08-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reating of integrated-space object-data and system for providing of integrated-space information
KR102091721B1 (en) * 2018-12-10 2020-03-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generation system of 4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i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398A (en)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42633B1 (en) * 2013-09-11 2014-01-16 삼아항업(주) Video geograph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division of screen using time series orthophotograph
KR101543558B1 (en) * 2014-09-24 2015-08-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reating of integrated-space object-data and system for providing of integrated-space information
KR102091721B1 (en) * 2018-12-10 2020-03-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generation system of 4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im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양창윤, 건물의 3차원 디지털 트윈 구현을 위한 기술 소개, [online], 2020년 10월, [2021년 8월 7일 검색]*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4529A (en) * 2022-06-29 2022-09-30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project model in multiple views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597400B1 (en) * 2022-11-15 2023-11-02 주식회사 유인프라웨이 Web based structure image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twin and dron
KR102597403B1 (en) * 2022-11-15 2023-11-02 주식회사 유인프라웨이 Web based structure image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twin and camera property
KR102664178B1 (en) * 2024-02-07 2024-05-08 주식회사 유인프라웨이 Digital twin based video monitor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8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lit screen type outside/inside displaying of virtual building module and image of camera
KR1017221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displaying of VR(virtual reality) contents
Zoellner et al. An augmented reality presentation system for remote cultural heritage sites
Bleisch 3D geovisualization–definition and structures for the assessment of usefulness
KR101551739B1 (en) Method for locating of structure data on 3D geomorphic data
CN110704915B (en) Sight line analysis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ian et al. Augmented virtual environment: fusion of real-time video and 3D models in the digital earth system
Bolkas et al. Creating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with a fusion of sUAS and TLS point-clouds
US11361664B2 (en) Integration of unmanned aerial system data with structured and unstructured information for decision support
Virtanen et al. Depth camera indoor mapping for 3D virtual radio play
Brooks et al. A 2D/3D hybri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hn et al. Integrating image and network‐based topological data through spatial data fusion for indoor location‐based services
Schneider et al. Brush as a walkthrough system for architectural models
Hayashi et al. A new virtual museum equipped with automatic video content generator
Côté et al. Offline spatial panoramic video augmentation for visual communication in the AEC industry
Rosen et al. A high-quality high-fidelity visualization of the September 11 attack on the World Trade Center
Yan et al. Path advisor: A multi-functional campus map tool for shortest path
Chen et al. Educational Reform and Practice of Cultivating Unity3D+ VR Somatosensory Interaction System Based on the Dual-Creation Ability Mode
Wang Mutually augmented virtual environments for architectural design and collaboration
Gupta Quantum space time travel with the implementation of augmented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O2022246822A1 (en) Event operation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Peng et al. Research on Application of Key Technologies of Public Security Virtual Reality Based on Panoramic Video
Xiu et al. The Research and Realization of Public Safety Orientated Panoramic Video Hotspot Interaction Technique
AlTarawneh et al. ESSAVis++ an interactive 2D plus 3D visual environment to help engineers in understanding the safety aspects of embedded systems
Samad et al. Web GIS solution and 3D visualization towards sustainability of Georgetown as world heritage 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