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971B1 - Mobile rehabilitation progress not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rehabilitation progress not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971B1
KR102339971B1 KR1020190169239A KR20190169239A KR102339971B1 KR 102339971 B1 KR102339971 B1 KR 102339971B1 KR 1020190169239 A KR1020190169239 A KR 1020190169239A KR 20190169239 A KR20190169239 A KR 20190169239A KR 102339971 B1 KR102339971 B1 KR 102339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data
record
patien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7517A (en
Inventor
황선홍
이재선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9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971B1/en
Publication of KR2021007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5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9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임상 전문가 또는 환자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을 통해 환자별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별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record operating system and method, and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riving an application fo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record operation by an external input approved from a clinical expert or a patient. It may include a server that generates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for each patient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generated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Description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 및 방법{MOBILE REHABILITATION PROGRESS NOTE OPERATION SYSTEM AND METHOD}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혹은 재활의학과 전문의 등의 임상 전문가가 환자 또는 서비스 대상자들에 대한 진단, 평가 및 치료계획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치료 스케쥴을 관리하고, 대상자의 회복 정도 및 치료 효과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수년간 축적된 빅 데이터에 대한 딥러닝을 통해 최적의 재활치료 기법을 도출하여 이용자인 임상 전문가에게 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inical expert such as a physical therapist, occupational therapist, or rehabilitation medicine specialist for diagnosis, evaluation and treatment plan for patients or service subjects It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managing a treatment schedule by inputting information, and monitoring the degree of recovery and treatment effect of a subject. Furthermore, it relates to a method of deriving an optimal rehabilitation treatment technique through deep learning on big data accumulated over many years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clinical experts who are users.

일반적으로 임상전문가의 평가는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을 통해 이미 기록되어 왔다. 이는 모바일 기기와 통신에 의하여 개인용 의무기록을 관리하는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데, 의료기관의 의무기록(특히, 의무기록 영상)을 개인 모바일 기기에 저장하여 조회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그 중 하나이다. 또한, 의료정보 시스템에서 환자의 모바일 기기로 의사에 의해 처방된 환자용 앱을 전달하고, 전달된 환자용 앱의 활성화에 따라 발생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의료정보시스템에서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도 존재한다.In general, the evaluation of clinical experts has already been recorded through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This is performed through a device that manages personal medical records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There is a mobile personal medical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stores medical records (especially, medical record images) of medical institutions in personal mobile devices so that they can be viewed. One of them. In addition, a system that delivers a patient app prescribed by a doctor from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to the patient's mobile device, collects and stores log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delivered patient app, and enables inquiry in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There is also a way.

하지만, 종래의 이와 같은 시스템들은 기록에 대한 열람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이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의무기록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더 많은 데이터 수집을 하고 전산화 및 체계화하여 이를 통해 임상 및 연구 등의 다양한 방면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치료과정에 대한 표준화된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데, 효율적으로 관리되는 의무기록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치료기법의 표준화 및 정량화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시스템이 필요하다. However, since such conventional systems are focused on the reading of records, a system that can be utilized more than that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for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medical records, a new system that collects more data, computerizes and systematizes it, and can apply it to various fields such as clinical and research is needed. In addition, there is no standardized method for the treatment process, but a new system is needed to standardize and quantify treatment techniques using efficiently managed medical record data.

더불어, 정량화되고 표준화된 기법에 의한 치료 및 평가 기록들이 오랜 기간 축적되었을 때 빅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대용량의 재활치료 기록들에 대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가장 최적의 재활치료 기법을 제안하여 임상 전문가들로 하여금 객관화된 근거에 기반한 효율적인 치료 수행이 가능하도록 돕는 새로운 시스템이 필요하다.In addition, big data analysis is possible when treatment and evaluation records by quantified and standardized techniques have been accumulat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need for a new system that helps experts to efficiently perform treatment based on objective evidenc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4817호 (2014.06.1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4817 (2014.06.1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임상전문가의 재활치료 계획 및 평가 기록을 체계적으로 전산화시키고, 재활평가 수행 및 기록 등을 위한 임상평가 도구의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response to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systematically computerizing a clinical expert's rehabilitation treatment plan and evaluation record, and providing a clinical evaluation tool for performing and recording rehabilitation evaluation. There is a purpose.

또한, 전산화된 데이터의 전반적인 통계를 기반으로 치료에 따른 환자의 회복 경과를 단기, 중기 또는 장기 치료계획에 반영하여 유동적인 계획을 운영할 수 있으며, 환자들의 홈 트레이닝을 보다 손쉽게 관리 및 감독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overall statistics of computerized data, it is possible to operate a flexible plan by reflecting the patient's recovery progress following treatment in the short-term, mid-term, or long-term treatment plan, and to manage and supervise the home training of patients more easi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장기적으로는 수년간 축적된 재활치료와 평가에 관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질환, 손상수준, 환경 조건 등을 고려한 최적의 치료 기법을 도출하여 임상전문가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량적이고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한 재활치료를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목적이 있다.In the long run, by analyzing big data on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evaluation accumulated for many years, and deriving the optimal treatment technique considering the disease, damage leve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etc.,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clinical exper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to assist in performing rehabilitation based treatmen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은, 임상 전문가 또는 환자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을 통해 환자별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별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record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interworking with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driving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rehabilitation treatment record by an external input approved from a clinical expert or a patient It may include a server that generates patient-specific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and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generated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임상 전문가의 담당 환자수, 치료시간 및 스케줄을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임상 전문가의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시에 서버로부터 통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statistical data including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clinical experts, treatment time, and schedule based o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nd output statistical data from a server when a clinical expert logs in an appl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치료계획, 치료기록, 평가기록, 평가결과분석 및 홈 트레이닝을 포함하는 기록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record item including a treatment plan, treatment record, evaluation record, evaluation result analysis and home training through an appl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상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은, 임상 전문가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의 사용자 단말로 공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of a clinical expe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hare data related to a record item to a user terminal of a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by an external input approved by the clinical exper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에 의하면, 치료계획은 주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단기계획, 월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중기계획 및 연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장기계획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단기계획에는 치료간격, 치료시간, 치료설정값 및 주차별 강도 증가량이 포함되고, 치료설정값에는 치료강도, 횟수, 시간, 전류 및 전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plan can be divided into a short-term plan based on a weekly unit, a mid-term plan based on a monthly unit, and a long-term plan based on an annual unit. can In this case, the short-term plan includes treatment interval, treatment time, treatment set value, and intensity increase by week, and treatment set value may include treatment intensity, number of times, time, current and voltag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수행하여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별 제 1 치료기법을 추정하고, 제 1 치료기법에 대한 전문가의 해석을 기초로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을 수행하여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별 제 2 치료기법을 추정할 수 있다.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stimates a first treatment technique for each patient in charge of a clinical expert by performing unsupervised learning based on data on a record item,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irst treatment technique. By performing supervised learning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expert, the second treatment technique for each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can be estima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방법은, 임상 전문가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 사용자 단말이 서버에서 생성된 임상 전문가의 담당 환자수, 치료시간 및 스케줄을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임상 전문가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치료계획, 치료기록, 평가기록, 평가결과분석 및 홈 트레이닝을 포함하는 기록항목을 출력하고,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서버가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별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linical expert logs into an application of a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generates statistics including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treatment time, and schedule created in the server In the step of outputting data, the user terminal outputs a record item including a treatment plan, treatment record, evaluation record, evaluation result analysis and home training by an external input approved by a clinical expert, and receives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and generating, by the server,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based on the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and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generated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에서는, 임상 전문가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의 사용자 단말로 공유할 수 있다.In the step of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may be shared to the user terminal of the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by an external input authorized by the clinical exper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방법에 의하면, 치료계획은 주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단기계획, 월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중기계획 및 연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장기계획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단기계획에는 치료간격, 치료시간, 치료설정값 및 주차별 강도 증가량이 포함되고, 치료설정값에는 치료강도, 횟수, 시간, 전류 및 전압이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plan can be divided into a short-term plan based on a weekly basis, a mid-term plan based on a monthly basis, and a long-term plan based on an annual basis. can In this case, the short-term plan includes treatment interval, treatment time, treatment set value, and intensity increase by week, and treatment set value may include treatment intensity, number of times, time, current and voltag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방법은, 서버가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비지도 학습을 수행하여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별 제 1 치료기법을 추정하는 단계 및 서버가 제 1 치료기법에 대한 전문가의 해석을 기초로 지도 학습을 수행하여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별 제 2 치료기법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estimating, by a server, a first treatment technique for each patient in charge of a clinical expert by performing unsupervised learning based on data on record items; and a server Performing supervised learning based on the expert's interpretation of the first treatment techniqu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estimating the second treatment technique for each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임상 전문가와 환자용으로 구분된 모바일 장치를 통해서 임상전문가와 환자간의 효과적인 소통과 임상전문가의 재활치료 계획 및 평가기록을 체계화시키고, 여러 표를 제공함으로써 그에 대한 여러 도표를 통해 환자에 대한 경향을 알아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provid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clinical experts and patients and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plan and evaluation records of clinical experts are systematized through mobile devices separated for clinical experts and patients, and several tables are displayed. By providing it, you can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you can find out the trend toward the patient through several charts.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시스템 및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at is, by utilizing the system and method provid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1.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자가 더 간단하고 편리하게 재활치료 계획 및 평가기록 입력1.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users can enter rehabilitation treatment plans and evaluation records more simply and conveniently

2. 평가기록과 치료 데이터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수치화 데이터를 통해 경향 및 성향을 예측 가능2. It is possible to predict trends and tendencies through numerical data created by collecting evaluation records and treatment data

3. 데이터 수집을 통해 기존의 시행 중인 치료들의 표준화 및 정량화가 가능하고, 객관적인 치료방법에 대한 근거 마련3. Data collection enables standard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existing treatments, and establishes the basis for objective treatment methods

4. 환자에게 주어지는 홈 트레이닝 같은 가정환경 내에서 이루어지는 운동과제들을 임상전문가와 공유하며 관리하기 용이4. Easy to manage and share exercise tasks in the home environment, such as home training given to patients, with clinical experts

5. 축적된 정량적 재활치료 기록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다양한 질환과 손상수준에 대응하는 최적의 객관적 재활치료 프로그램 정보 도출5. Derivation of optimal objec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information to respond to various diseases and damage levels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accumulated quantita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records

6. 임상 전문가가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수립하는데 표준화된 프로토콜 제공6. Provide standardized protocols for clinical experts to establish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계 데이터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목록 및 환자별 기록항목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계획 중 단기계획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계획 중 중기계획 및 장기계획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기록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기록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결과분석 및 홈 트레이닝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최적의 치료기법 도출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최적의 치료기법 도출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related to statistic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for a patient list and a record item for each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related to a short-term plan among treatment pl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related to a medium-term plan and a long-term plan among treatment pl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related to a treatment reco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related to an evaluation reco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related to evaluation result analysis and hom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g data analysis process for deriving an optimal treatment technique for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ig data analysis process for deriving an optimal treatment technique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when a certain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in which it is connect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the middl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은, 임상 전문가 또는 환자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100) 및 사용자 단말(100)과의 연동을 통해 환자별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별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record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terminal 100 capable of driving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rehabilitation treatment record by an external input approved from a clinical expert or a patient. ) and a server 200 that generates patient-specific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user terminal 100, and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generated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임상 전문가 또는 환자(i.e. 임상 전문가의 고객)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임상 전문가로 회원가입을 진행한 경우, 사용자는 임상 전문가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임상 전문가로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환자의 재활치료의 전반적인 기록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고객으로 회원가입을 진행한 경우, 사용자는 환자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는 본인의 치료 담당인 임상 전문가의 아이디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환자로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치료 담당자가 제공하는 치료계획 등을 공유받을 수 있으며, 홈 트레이닝을 치료 담당자의 감독 하에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 a clinical expert or a patient (i.e. a clinical expert's customer) by running an application. That is,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dentified through the application. For example, when a user starts an application and registers as a clinical expert, the user can use the application as a clinical expert. When the user uses the application as a clinical expert, the user may manage the overall record of the patient's rehabilitation treat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 Conversely, when the user signs up as a customer, the user can use the application as a patient. In this case, the user may proceed with membership registration by inputting the ID of a clinical expert who is in charge of his/her treatment. When the user uses the application as a patient, the user may receive a treatment plan provided by the treatment manager, and home training may be appropriately perform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treatment pers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치료계획, 치료기록, 평가기록, 평가결과분석 및 홈 트레이닝을 포함하는 기록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 각 기록항목은 환자의 재활치료 과정을 기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뿐만 아니라 서버(200)를 통해 분석된 환자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따라서, 각 기록항목은 사용자가 임상 전문가인 경우에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 전문가는 로그인 이후에 기록항목 중 치료계획을 클릭하여 환자가 어떠한 주기로 치료를 받을지 및 어떠한 종류의 치료를 받을지 등의 특정 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치료계획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임상 전문가는 기록항목 중 평가결과분석을 클릭하여 특정 환자에 대한 치료평가 결과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record item including a treatment plan, treatment record, evaluation record, evaluation result analysis, and home training through an application. Each record item is an interface for recording the patient's rehabilitation treatment process as well as an interface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analyzed through the server 200 . Therefore, each record item can be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only when the user is a clinical expert. For example, after logging in, the clinical expert may click a treatment plan among the record items to input an overall treatment plan for a specific patient, such as at what cycle and type of treatment the patient will receive. In addition, the clinical expert may click the evaluation result analysis among the record items to receive the treatment evaluation result for a specific patient from the server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임상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전달되는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취합하고, 취합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딥러닝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재활치료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록항목 중 치료계획 및 치료기록에 관한 데이터를 말하며, 평가 데이터는 기록항목 중 평가기록에 관한 데이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임상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특정 환자에 대한 치료기록 데이터를 신규로 입력하면, 서버(200)는 신규로 입력된 치료기록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환자의 회복 속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석된 정보들은 서버(200)로부터 임상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110)로 전달되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상 전문가에게 제공될 수 있다.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of a clinical expert, and statistical analysis using a deep learning algorithm, etc. based on the collected data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refers to data related to the treatment plan and treatment record among the record items of the application, and the evaluation data refers to data related to the evaluation record among the record items. For example, when treatment record data for a specific patient is newly inputted through the clinical expert user terminal 110, the server 200 analyzes the patient's recovery rate, etc., based on the newly input treatment record data. can do. The analyz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00 to the user terminal 110 of the clinical expert and provided to the clinical expert through the appl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계 데이터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 2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related to statistic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임상 전문가의 담당 환자수, 치료시간 및 스케줄을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임상 전문가의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시에 서버(200)로부터 통계 데이터를 수신하여 도 2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즉, 임상 전문자의 효율적인 환자 관리를 위해서 임상 전문가의 로그인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으로서 담당 환자수, 치료시간 및 스케줄 등의 통계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초기 화면에서 출력되는 통계 데이터들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statistical data including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clinical experts, treatment time, and schedule based o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may receive statistical data from the server 200 at the time of logging in to the clinical expert's application and output it as shown in FIG. 2 . That is, when the clinical expert login is completed for efficient patient management by the clinical expert, statistical data such as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treatment time, and schedule may be output as an initial screen of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Statistical data output on the initial screen may be set or changed according to user need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목록 및 환자별 기록항목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 3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for a patient list and a record item for each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상 전문가의 고객 목록(i.e. 담당 환자의 목록)을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현재 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환자의 나이, 성별, 이름 등의 개인정보를 간단히 목록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목록은 임상 전문가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새롭게 생성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 전문가가 새로운 고객을 목록에 생성하고 싶은 경우, 임상 전문가는 도 3의 (a)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하단에 생성된 "+추가하기" 항목을 클릭하여 고객의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고객의 개인정보에는 진단명, 발병일, 출생일, 성별, 신장, 체중,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고객의 개인정보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고객의 개인정보에 목록화된 순서대로 아이디가 부여되어 관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dividually output a customer list of clinical experts (i.e. a list of patients in charge) through an applicat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simply list and outpu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ge, gender, and name of a patient currently in charge of treatment. In this case, the list of patients may be newly created or modified by an external input approved by a clinical expert. For example, if a clinical expert wants to create a new customer in the list, the clinical expert can enter th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by clicking the "+Add" item created at the bottom of the application as shown in Fig. 3(a). hav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diagnosis name, date of onset, date of birth, gender, height, weight, contact information, etc. When the above-described input of th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is completed, IDs may be assigned and managed in the order listed in th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도 3의 (b)를 참조하면, 임상 전문가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전술한 고객 목록 중 어느 하나가 클릭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된 특정 고객의 개인정보 및 기록항목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특정 고객의 기록항목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항목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임상 전문가에 의해 공유항목 중 어느 하나가 클릭되면, 클릭된 공유항목에 해당하는 기록항목이 특정 고객에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즉, 임상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110)은 임상 전문가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의 사용자 단말(120)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항목 중 치료계획에 대응되는 공유항목이 선택된 경우, 도 3의 (b)와 같이 치료계획에 대응되는 공유항목에 체크 표시가 출력됨과 동시에 치료계획 데이터가 서버(200)를 통해 해당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호 공유될 수도 있고, 임상 전문가가 등록한 환자의 이메일을 통해 상호 공유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b) of Figure 3, when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customer list is clicked by an external input authorized by a clinical expert,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pecific customer. and record items can be output.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may output a shared item for sharing the record item of a specific customer together. When any one of the shared items is clicked by the clinical expert, the record items corresponding to the clicked shared items may be shared to a specific customer through the application. That is, the user terminal 110 of the clinical expert may share the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to the user terminal 120 of the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by an external input approved by the clinical expert. For example, when a shared item corresponding to a treatment plan is selected from among the record items, a check mark is displayed on the shared item corresponding to the treatment plan as shown in FIG. may be provided to the customer. As in the above example, it may be shared through an application, or it may be shared through an email of a patient registered by a clinical exper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계획 중 단기계획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 4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related to a short-term plan among treatment pl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계획 중 단기계획은 주 단위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환자별 치료계획으로서, 치료시작 일시, 치료간격, 치료시간, 치료설정값 및 주차별 강도 증가량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를 참조하면, 임상 전문가에 의해 치료시작 일시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점부터 4주를 기준으로 한 캘린더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치료간격은 일주일 중 특정 환자가 치료를 위해 방문하는 요일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요일에 해당하는 체크박스를 체크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치료시간은 하루 중 치료를 시작하는 시간과 종료하는 시간을 10분 단위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주차별 강도 증가량은 치료강도, 횟수, 시간, 전류 및 전압 등을 포함하는 치료설정값의 정량적 세기를 주 단위로 얼만큼 증가시킬지에 관한 것으로서, 퍼센트(%)값으로 입력될 수 있다.The short-term plan among the treatment pl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eatment plan for each patient set on a weekly basis, and may include treatment start date and time, treatment interval, treatment time, treatment set value, and intensity increase by week.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A , when a treatment start date and time is selected by a clinical expert, a calendar based on 4 weeks from the selected time point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The treatment interval is for setting the days of the week that a specific patient visits for treatment, and may be set by checking a checkbox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day of the week. The treatment time may be set by selecting the start time and end time of treatment in units of 10 minutes during the day. In addition, the intensity increase for each week relates to how much to increase the quantitative intensity of the treatment set value including the treatment intensity, number of times, time, current, and voltage on a weekly basis, and may be input as a percentage (%) value.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전술한 단기계획에 포함된 치료시작 일시, 치료간격, 치료시간, 주차별 강도 증가량이 입력되고 나면, 실제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각 항목들이 임상 전문가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수행 항목의 제목별 치료설정값들 각각이 풀다운(pull-down) 방식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즉, 기록양식의 하위 항목인 "단위"마다 강도, 횟수, 시간, 전류, 전압, 기타의 6가지 설정값이 정수값으로 입력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화면 우측의 "강도증가"는 주차별 강도 증가량의 적용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임상 전문가의 입력에 의해 "강도증가"가 체크된 경우에는 주차별 강도 증가량이 체크된 치료수행 항목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b), after the treatment start date and time, treatment interval, treatment time, and intensity increase for each week included in the short-term plan are input, each item for performing actual treatment is approved by a clinical expert. It may be input by an external input. For example, each of the treatment setting values for each title of the treatment execution item may be input through a pull-down method. That is, for each "unit", which is a sub-item of the record form, six set values of intensity, number, time, current, voltage, and others can be input as integer values. "Intensity increase" on the right side of the application screen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ntensity increase for each week is applied. can

전술한 과정을 통해 치료계획에 관한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도 3의 (c)와 같이 치료계획이 캘린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가 예정된 날짜에만 붉은색 별표시가 출력될 수 있다. 캘린더의 하단에는 캘린더에 예정된 치료계획에 대한 요약설명이 출력될 수 있다.When data input on the treatment plan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treatment plan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 calendar as shown in FIG. 3C . For example, a red star mark may be output only on a date for which treatment is scheduled. At the bottom of the calendar, a summary description of a treatment plan scheduled for the calendar may be outpu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계획 중 중기계획 및 장기계획을 나타낸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5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showing a mid-term plan and a long-term plan among treatment pl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계획 중 중기계획은 월 단위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환자별 치료계획, 장기계획은 연 단위를 기준으로 설저되는 환자별 치료계획을 말한다. 중기계획 및 장기계획에는 도 5의 (a)와 같이 함께 설정될 수 있으며, 중기계획 및 장기계획의 설정을 위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에는 중기치료 기간, 가중치, 가중치 적용 대상 및 장기치료 기간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기치료 기간은 월 단위로서 0 내지 12의 정수값으로 입력될 수 있고, 가중치는 퍼센트 값으로 입력될 수 있다. 장기치료 기간은 연 단위로서 0 내지 5의 정수값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장기계획 수립 시에는 별도의 가중치를 입력받지 않고, 중기계획 수립 시에 입력된 가중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 적용에 대한 유의사항은 도 5의 (b)와 같이 출력되는 설명문을 통해 임상 전문가에게 안내될 수 있다.Among the treatment pl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term plan refers to a treatment plan for each patient set on a monthly basis, and the long-term plan refers to a treatment plan for each patient set on an annual basis. The medium-term plan and the long-term plan may be set together as shown in Fig. 5 (a), and the interface output for setting the medium-term plan and the long-term plan may include a medium-term treatment period, weights, weights applied, and long-term treatment period. . For example, the intermediate treatment period may be input as an integer value of 0 to 12 as a monthly unit, and the weight may be input as a percentage value. The long-term treatment period may be entered as an integer value of 0 to 5 in units of years. In this case, the weight input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medium-term plan may be applied as it is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weight when establishing the long-term plan. Caution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se weights may be guided to clinical experts through the outputted explanatory text as shown in FIG. 5(b).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기록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6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related to a treatment reco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기록항목 중 치료기록을 통해 특정 일자에 수행하였던 치료내용을 도 6의 (a)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치료내용은 도 6의 (b)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계획으로 입력된 치료수행 항목들의 결과가 입력될 수 있다. 환자의 치료 결과에 대한 임상 전문가의 견해는 서술형 기록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치료 과정을 담은 비디오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가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저장된 정보들은 특정 고객의 특정 일자에 수행된 치료내용에 관한 것으로 도 6의 (a)와 같이 임상 전문가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the contents of treatment performed on a specific date through the treatment record among the record items as shown in FIG. 6(a) . In this case, treatment contents may be input through an interface as shown in FIG. 6(b). For example, results of treatment performance items input as a treatment plan may be input. A clinician's opinion of a patient's treatment outcome can be entered through a narrative record. In addition, multimedia data such as a video file containing a patient's treatment process may be stored. The information stor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relates to the contents of treatment performed on a specific date of a specific customer and may be identified by a clinical expert as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기록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7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related to an evaluation reco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기록항목 중 평가기록을 통해 임상 전문가에 의한 특정 환자의 평가 결과를 도 7의 (a)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 저장된 평가서 목록이 애플리케이션 화면 상단에 출력되고, 새로운 평가서 생성을 위한 항목이 애플리케이션 화면 하단에 출력될 수 있다. 임상 전문가가 기존에 저장된 평가서 목록을 클릭하는 경우, 도 7의 (b)와 같이 평가결과를 각 항목별로 확인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새로운 평가서 생성은 도 7의 (c)와 같은 평가서 포맷(format)을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사용자 단말(100) 등에 저장되어 있던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n evaluation result of a specific patient by a clinical expert through an evaluation record among record items, as shown in FIG. 7A . For example, a list of previously stored evaluation reports may be output at the top of the application screen, and an item for creating a new evaluation report may be output at the bottom of the application screen. When a clinical expert clicks on a list of previously stored evaluation papers, the evaluation result may be checked or modified for each item as shown in FIG. 7(b). The new evaluation report gene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evaluation form format as shown in FIG. 7(c) or by uploading a fil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lik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결과분석 및 홈 트레이닝에 관한 인터페이스 출력 화면이다.8 is an interface output screen related to evaluation result analysis and hom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기록항목 중 평가결과분석을 통해 임상 전문가가 치료를 담당한 환자의 평가 결과를 그래프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한 관절 가동범위 변화, 근력 변화 등과 같은 치료에 따른 환자의 신체적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래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에서 생성된 그래프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은 그래프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단위, 월 단위 등의 시간 단위의 통계 결과를 평가결과분석을 통해 임상 전문가에게 재활치료 과정의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8 ,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the evaluation result of a patient in charge of treatment by a clinical expert in the form of a graph through evaluation result analysis among record items. have. That is, the server 200 may generate graph data by statistically analyzing a patient's physical change according to treatment, such as a change in a joint range of motion and a change in muscle strength, which are generated based on the evaluation data. The graph data generated by the server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 and the user terminal 100 may output the graph data through an applicat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o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cess to clinical experts by analyzing the statistical results of time units such as weekly and monthly unit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항목 중 홈 트레이닝은 임상 전문가가 환자에게 재활을 위한 추가 운동 과제를 원격으로 관리 및 감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임상 전문가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도 8의 (b)와 같이 특정 고객에 대해 특정 일자에 팔 굽혀 펴기, 윗몸 일으키기 등의 운동 과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운동 과제는 전술한 공유항목을 통해 환자의 사용자 단말(120)에 공유될 수 있다. 환자는 각 운동 과제별 기록을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결과는 다시 임상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110)로 공유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home training among the record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clinical expert to remotely manage and supervise an additional exercise task for rehabilitation to a patient. The clinical expert may set exercise tasks such as push-ups and sit-ups on a specific date for a specific customer as shown in FIG. 8B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 In this case, the exercise task may be shared with the user terminal 120 of the patient through the above-described sharing item. The patient may input a record for each exercise task through the user terminal 120 , and the input result may be shared again with the user terminal 110 of a clinical expert.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의 최적의 치료기법 도출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g data analysis process for deriving an optimal treatment technique of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과의 연동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환자에게 알맞은 치료기법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임상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전달된 모든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메모리(또는 데이터베이스)에 환자별로 분류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데이터의 용량이 빅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을 만큼 축적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버(200)의 메모리(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특정 기준치(e.g. 일반적으로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것으로 정의된 데이터 용량 등)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stimate a treatment technique suitable for a patient through analysis of data accumulated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user terminal 100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9 , the server 200 may classify and store all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of the clinical expert by patient in a memory (or database). In this case, the server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amount of data stored in real time is accumulated enough to perform big data analysis. That i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apacity of data stored in the memory (or database) of the server 2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reference value (e.g., a data capacity defined as generally capable of big data analysis).

메모리(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경우, 서버(200)는 임상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집된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가 정량 데이터인지 또는 비정량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정량 데이터인 경우, 서버(200)는 전문가의 해석 등 정량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정량 데이터인 경우, 서버(200)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딥러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amount of data stored in the memory (or databa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of the clinical expert is quantitative data or non-quantitative data can do. In the case of non-quantitative data, the server 200 may perform data analysis for quantification, such as interpretation by an expert. In the case of quantitative data, the server 200 may perform a deep learning process for big data analysi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군집화 또는 범주화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알맞은 치료기법을 추정하는 과정이다. 서버(200)는 빅데이터 분석뿐만 아니라 정량 또는 비정량 데이터에 대한 전문가의 해석을 요청 및 입력받아 치료기법을 추정하는 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빅데이터 분석 단계와 전문가 해석에 기초한 결과 분석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분석 과정을 통해 서버(200)는 환자별 상태 및 치료 상황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최적의 치료기법에 관한 데이터를 최종 분석결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임상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110)로 전달될 수 있다.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estimating a treatment technique suitable for a patient's condition by applying a deep learning algorithm to clustering or categorizing data. The server 200 may be utilized in the process of estimating a treatment technique by receiving a request for and input of an expert's interpretation of quantitative or non-quantitative data as well as big data analysis. In this case, the server 200 may repeatedly perform the big data analysis step and the result analysis step based on expert interpreta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analysis process, the server 200 may generate, as a final analysis result, data on an optimal treatment technique in consideration of each patient's condition and treatment situation. Such an analysis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of the clinical expert.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의 최적의 치료기법 도출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ig data analysis process for deriving an optimal treatment technique of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일정 기간 동안 축적된 치료기록과 관련된 데이터 및 평가기록과 관련된 데이터를 기초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서버(200)는 축적된 치료기록 및 평가기록 관련 데이터들에 대한 비정량 데이터를 확인하고, 비정량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비정량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란 딥러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비정량 데이터의 내용 분석 및 변환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전처리 과정에서 전문가(i.e. 임상의 등)의 판단 또는 해석이 개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big data analysis to which a deep learning algorithm is applied based on data related to treatment records and data related to evaluation records accumulated in a databa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an do. First, the server 200 may check the non-quantitative data for the accumulated treatment record and evaluation record related data, and perform pre-processing on the non-quantitative data. Pre-processing of non-quantitative data refers to the content analysis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non-quantitative data to facilitate deep learning. In this pre-processing process, the judgment or interpretation of an expert (i.e. a clinician, etc.) may be involved.

전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서버(200)는 치료방법과 평가결과를 매칭시켜 비지도학습 및 군집화를 실시할 수 있다. 서버(200)는 군집화된 결과를 다시 전문가의 검토를 통하여 유용성에 따라 학습 데이터(i.e. 제 1 치료기법) 또는 비학습 데이터로 분류하고, 지도학습에서 사용될 알고리즘을 선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선정된 지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고, 범주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의 치료기법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최적의 치료기법은 다시 한 번 전문가의 검토를 거친 후, 임상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pre-processing process is completed, the server 200 may perform unsupervised learning and clustering by matching the treatment method with the evaluation result. The server 200 may classify the clustered result into learning data (i.e. the first treatment technique) or non-learning data according to usefulness through expert review again, and select an algorithm to be used in supervised learning. The server 200 may perform learning on the learning data using the selected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 and may estimate an optimal treatment technique by applying a categorization algorithm. The optimal treatment technique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of the clinical expert after being reviewed by the expert once agai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방법은, 임상 전문가에 의한 사용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 사용자 단말(100)이 서버(200)에서 생성된 임상 전문가의 담당 환자수, 치료시간 및 스케줄을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100), 임상 전문가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이 치료계획, 치료기록, 평가기록, 평가결과분석 및 홈 트레이닝을 포함하는 기록항목을 출력하고,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200) 및 서버(200)는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별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in the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pplication login of the user terminal 100 by a clinical expert, the user terminal 100 is generated by the server 200 Step (S100) of outputting statistical data including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treatment time and schedule (S100), the user terminal 100 by the external input approved from the clinical expert treatment plan, treatment record, evaluation record, evaluation result Outputting a record item including analysis and home training, and receiving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 S200 ) and the server 200 generates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based on the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and generates It may include performing a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S3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200)에서는, 임상 전문가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의 사용자 단말(120)로 공유할 수 있다.In the step (S200) of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may be shared with the user terminal 120 of the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by an external input approved by the clinical expert.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방법에 의하면, 치료계획은 주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단기계획, 월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중기계획 및 연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장기계획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단기계획에는 치료간격, 치료시간, 치료설정값 및 주차별 강도 증가량이 포함되고, 치료설정값에는 치료강도, 횟수, 시간, 전류 및 전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plan can be divided into a short-term plan based on a weekly basis, a mid-term plan based on a monthly basis, and a long-term plan based on an annual basis. can In this case, the short-term plan includes treatment interval, treatment time, treatment set value, and intensity increase by week, and treatment set value may include treatment intensity, number of times, time, current and voltag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방법은, 서버(200)가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비지도 학습을 수행하여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별 제 1 치료기법을 추정하는 단계 및 서버(200)가 제 1 치료기법에 대한 전문가의 해석을 기초로 지도 학습을 수행하여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별 제 2 치료기법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200 performs unsupervised learning based on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and a clinical expert is responsible for each patient. 1 The step of estimating the treatment technique and the server 200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estimating the second treatment technique for each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by performing supervised learning based on the expert's interpretation of the first treatment technique.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운영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Regarding th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system may be applied. Accordingly, in relation to the operating metho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t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system are omitt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사용자 단말
110: 임상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
120: 환자의 사용자 단말
200: 서버
100: user terminal
110: clinical expert user terminal
120: user terminal of the patient
200: server

Claims (10)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으로서,
임상 전문가 또는 환자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환자별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별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치료계획, 치료기록, 평가기록, 평가결과분석 및 홈 트레이닝을 포함하는 기록항목을 출력 가능하며,
상기 치료계획은, 주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단기계획, 월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중기계획 및 연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장기계획으로 구분되며,
상기 단기계획에는 치료간격, 치료시간, 치료설정값 및 주차별 강도 증가량이 포함되고,
상기 치료설정값에는 치료강도, 횟수, 시간, 전류 및 전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
As a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system,
A user terminal capable of driving an application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record operation by an external input approved from a clinical expert or patient; and
A server for generating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for each patient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generated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The user terminal can output a record item including a treatment plan, treatment record, evaluation record, evaluation result analysis and home training through the application,
The treatment plan is divided into a short-term plan on a weekly basis, a mid-term plan on a monthly basis, and a long-term plan on an annual basis,
The short-term plan includes treatment interval, treatment time, treatment set value, and intensity increase by week,
The treatment setting value is a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reatment intensity, number of times, time, current and 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임상 전문가의 담당 환자수, 치료시간 및 스케줄을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임상 전문가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시에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통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generates statistical data including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treatment time and schedule based o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The user terminal,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server when the clinical expert logs in to the applica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임상 전문가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상기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의 사용자 단말로 공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of the clinical expert, a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hare the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to the user terminal of the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by an external input approved by the clinical exper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수행하여 상기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별 제 1 치료기법을 추정하고,
상기 제 1 치료기법에 대한 전문가의 해석을 기초로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을 수행하여 상기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별 제 2 치료기법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is
Estimating the first treatment technique for each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by performing unsupervised learning based on the data on the record item,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reatment technique for each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is estimated by performing supervised learning based on the expert's interpretation of the first treatment technique.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방법으로서,
임상 전문가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임상 전문가의 담당 환자수, 치료시간 및 스케줄을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임상 전문가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치료계획, 치료기록, 평가기록, 평가결과분석 및 홈 트레이닝을 포함하는 기록항목을 출력하고, 상기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재활치료 데이터 및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별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계획은, 주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단기계획, 월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중기계획 및 연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장기계획으로 구분되며,
상기 단기계획에는 치료간격, 치료시간, 치료설정값 및 주차별 강도 증가량이 포함되고,
상기 치료설정값에는 치료강도, 횟수, 시간, 전류 및 전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방법.
As a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on method,
outputting, by the user terminal, statistical data including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treatment time, and schedule generated in the server when the clinical expert logs in to the user terminal;
outputting, by the user terminal, a treatment plan, a treatment record, an evaluation record, an evaluation result analysis, and home training by an external input approved by the clinical expert, and receiving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and
The server generates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based on the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and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generated rehabilitation treatment data and evaluation data,
The treatment plan is divided into a short-term plan on a weekly basis, a mid-term plan on a monthly basis, and a long-term plan on an annual basis,
The short-term plan includes treatment interval, treatment time, treatment set value, and intensity increase by week,
The treatment set value includes treatment intensity, number of times, time, current and voltage,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operating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에서는,
상기 임상 전문가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상기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의 사용자 단말로 공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data,
Mobil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ess record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hare the data related to the record item to the user terminal of the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by the external input approved by the clinical expert.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기록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수행하여 상기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별 제 1 치료기법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치료기법에 대한 전문가의 해석을 기초로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을 수행하여 상기 임상 전문가가 담당하는 환자별 제 2 치료기법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estimating, by the server, a first treatment technique for each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by performing unsupervised learning based on the data on the record item; and
Mobi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estimating, by the server, a second treatment technique for each patient in charge of the clinical expert by performing supervised learning based on the expert's interpretation of the first treatment technique Rehabilitation treatment record operation method.
KR1020190169239A 2019-12-17 2019-12-17 Mobile rehabilitation progress not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KR1023399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239A KR102339971B1 (en) 2019-12-17 2019-12-17 Mobile rehabilitation progress not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239A KR102339971B1 (en) 2019-12-17 2019-12-17 Mobile rehabilitation progress not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517A KR20210077517A (en) 2021-06-25
KR102339971B1 true KR102339971B1 (en) 2021-12-16

Family

ID=7662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239A KR102339971B1 (en) 2019-12-17 2019-12-17 Mobile rehabilitation progress not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9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212B1 (en) * 2022-11-03 2023-08-11 에버엑스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tients with pain
CN117594245B (en) * 2024-01-18 2024-03-22 凝动万生医疗科技(武汉)有限公司 Orthopedic patient rehabilitation process tracking method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449A (en) * 2012-12-24 2014-07-02 디게이트 주식회사 Health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based on natural interaction
KR20140128630A (en) *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케이티 Remote treatment system and patient terminal
KR20140074817A (en) 2013-10-22 2014-06-18 최형식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ersonal medical records using mobile device
KR20170127123A (en) * 2016-05-11 2017-11-21 (주)메디즈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517A (en)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5956A1 (en) Machine learning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risk categorization
US11481573B2 (en) Method and system of modelling a mental/emotional state of a user
Nilashi et al. Determining the importance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doption factors using fuzzy analytic network process (ANP)
JP7031953B2 (en) Patient management for knee surgery
Delen et al. An analytic approach to better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coronary surgeries
US20180012242A1 (en) Automatically determining and responding to user satisfaction
JP2014512624A (en) Predictive modeling
Bach et al. Case representation and similarity assessment in the self back decision support system
JP2018524137A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psychological state
CA2465702A1 (en) Patient data mining for diagnosis and projections of patient states
CA2216681A1 (en) Diseas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ombes et al. Using a KDD process to forecast the duration of surgery
KR102339971B1 (en) Mobile rehabilitation progress not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1067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knowledge database used in exper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Wang et al. Knowledge‐based treatment planning for adolescent early intervention of mental healthcare: a hybrid case‐based reasoning approach
US20180322942A1 (en) Medical protocol evaluation
EP42330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generating general and profile-specific therapeutic protocols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Yan et al. Consumer demand based recombinant search for idea generation
Carroll Expert systems for clinical diagnosis: Are they worth the effort?
US11355239B1 (en) Cross care matrix based care giving intelligence
McLeod Jr et al. Using stakeholder analysis to identify users in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who is the real user?
CN112766576A (en) Parameter result predi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base
Ognjanovic Healthcare data analytics
US20180322959A1 (en) Identification of low-efficacy patient population
Dada et al. Healthcare analy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