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572B1 - Digit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and basic medical sciences - Google Patents

Digit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and basic medical scie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572B1
KR102338572B1 KR1020200005868A KR20200005868A KR102338572B1 KR 102338572 B1 KR102338572 B1 KR 102338572B1 KR 1020200005868 A KR1020200005868 A KR 1020200005868A KR 20200005868 A KR20200005868 A KR 20200005868A KR 102338572 B1 KR102338572 B1 KR 102338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wledge
content
medical knowledge
education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2877A (en
Inventor
이지현
김관훈
김형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9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8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5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및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의료 주제 단위에 대응하는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상기 의료 주제와 관련된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 및 상기 임상의학 지식과 관련된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를 포함한다.A digital navigation system that supports the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is provided. A system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includes a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a user terminal;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generating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wherein the contents providing unit provides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corresponding to one medical subject unit selected according to an input of the user termi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ceiver to the user terminal. provided to, and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includes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related to the medical subject and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related to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Description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Digit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and basic medical sciences}Digit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and basic medical sciences

본 발명은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을 시각화하여, 두 영역의 지식의 통합에 대한 이해와 그에 기반한 정보의 내비게이션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Specifically, by visualizing the integration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understanding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in two areas and navigation of information based thereon. It relates to systems and methods.

[국가지원 연구개발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tate-funded R&D]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사업(가상현실 및 햅틱 시뮬레이션 기술 기반 통합 치의료 임상 교육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과제 고유번호: 1711069125, 세부과제번호: 2017R1C1B2010469)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is study was made with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s personal basic research project (virtual reality and haptic simulation technology-based integrated dental clinical education system prototype development research, task identification number: 1711069125, detailed task number: 2017R1C1B2010469).

보건의료 분야 교육에서는 통합 교육을 추구한다. 통합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의료인이 되려는 학습자에게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을 상호 연관된 형태, 즉 통합된 형태로 교육하여 이 두 영역의 지식이 환자 진료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Education in the health care sector pursues inclusive education. The ultimate goal of integrated education is to educate learners who want to become medical professionals with clinical medicine knowledge and basic medicine knowledge in an interrelated form, that is, in an integrated form, so that the knowledge of these two areas can be expressed in an integrated manner in the context of patient care.

하지만, 현 보건의료 교육은 통합교육이 아닌, 1~2학년(예과)에서는 행동과학 중심의 교육, 3~4학년(본과 1-2학년)에서는 기초의학 중심의 교육, 5~6학년(본과 3-4학년)에서는 임상 중심의 교육이 분절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학생들은 기초의학 지식을 배울 때에는 그것이 정확히 어떤 임상 상황에서 활용되는지 모른 채 배우고, 임상의학 지식을 배울 때에는 임상술기의 근거가 되는 기초의학 지식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알고 있는 기초의학 지식을 임상 상황과 연결시키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학생들의 지식이 통합되어 환자 진료에 발현되지 못하고 있는 바, 이는 보건의료 계열 교육의 오래된 문제로 지적 받아 왔다.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지식이 통합되어 발현된다는 것은 실제 환자 진료 맥락에서 기초의학적 근거를 가지고 진단 및 임상적 의사결정을 하고, 그에 따른 치료를 실시하며, 이를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기초의학 지식과 임상의학 지식이 통합적으로 연결되어야 바람직한 수준의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보건의료분야의 전문인력이 졸업 시에 이러한 통합적 능력을 갖추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이에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통합적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과정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However, the current health and medical education is not integrated education, but behavioral science-centered education in 1st and 2nd grades (pre-school), basic medicine-centered education in 3rd and 4th grades (1st and 2nd grades of this major), 5th and 6th grades ( In this department, grades 3-4), clinical-centered education is conducted in a segmented form. When students learn basic medical knowledge, they learn without knowing exactly what clinical situation it is used in. When they learn clinical medical knowledge, they either do not remember basic medical knowledge that is the basis of clinical skills, or they do not know the basic medical knowledge they know in clinical situations. can't connect For this reason, students' knowledge is not integrated into patient care,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n old problem in health care education. The integration of basic medicine and clinical medicine knowledge means being able to make a diagnosis and clinical decision with basic medical evidence in the context of actual patient care, perform treatment accordingly, and fully explain this to the patient. Despite the fact that a desirable level of diagnosis and treatment is possible only when basic medical knowledge and clinical medicine knowledge are integrated and connected, it is very difficult for professionals in the actual health care field to have such an integrated ability upon graduation.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curriculum to cultivate the integrated competence of clinical medicine.

한국 특허 공개 문헌 제10-2015-0013462호 (2015년 2월 5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13462 (February 5, 20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초의학 지식과 임상의학 지식의 상호 연관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이는 궁극적으로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a navigation system that visually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basic medical knowledge and clinical medical knowledge, which ultimately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및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의료 주제 단위에 대응하는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상기 의료 주제와 관련된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 및 상기 임상의학 지식과 관련된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를 포함한다.A digital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comprising: a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a user terminal;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generating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wherein the contents providing unit provides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corresponding to one medical subject unit selected according to an input of the user termi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ceiver to the user terminal. provided to, and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includes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related to the medical subject and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related to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 지원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의료 주제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의료 주제 단위에 대응하는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상기 의료 주제와 관련된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 및 상기 임상의학 지식과 관련된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를 포함한다.An integrated education support method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request for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from a user terminal; providing a plurality of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divided into medical subject units to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to the user terminal,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one medical subject unit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is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related to the medical subject. and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related to the clinical medical knowledg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 지원 방법을 실행하도록 매체에 저장된다.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medium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to execute the method for supporting the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보건의료 계열 학습자가 고학년이나 수련의 과정에 이르기 이전,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시각적으로 연관된 개념 지도를 통해서 지식 간의 연결성과 구조를 쉽게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 지도에는 임상의학 지식과 관련된 기초의학 지식 각 분야의 내용이 각각 추출되어 제공되므로, 학습자는 보건의료 지식의 수직적 통합 학습(기초의학 및 임상의학의 연계)뿐만 아니라 수평적 통합(기초의학 내 다양한 영역 간의 개념적 연계) 학습도 수행할 수 있다.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that supports the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ine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sually related conceptual map from the initial stage of learning before the health care-related learner reaches the upper grades or training course. It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easily understand and learn the connections and structures between knowledge. Since the contents of each field of basic medical knowledge related to clinical medical knowledge are extracted and provided in the conceptual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earners can learn not only vertically integrated learning of health and medical knowledge (connection of basic medicine and clinical medicine) but also horizontal Integrative integration (conceptual linkages between various areas within basic medicine) can also be studied.

이에 따라, 학습자는 전문 의료인이 가져야 하는 소양에 해당하는 환자와 환자가 가진 문제에 대해 전체론적인 관점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learner can have a holistic view of the patient and the patient's problems corresponding to the qualifications that a professional medical professional shoul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의료 주제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화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스케일링/치주소파술에 대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 지원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navigation system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screen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divided by medical subject unit.
4A to 4C show exemplary screens for providing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on scaling/periodontal surgery in response to a user's selection.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navigation system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복수의 사용자에게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을 통합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제공한다. 복수의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이러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학습하고, 교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되거나 웹(Web) 환경에 접속할 수 있다. 1 and 2 ,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that integrates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to a plurality of users. A plurality of users may learn and educate such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 The user terminal 20 may have an application providing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r access to a web environment.

사용자 단말(20)은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다른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 가입을 신청하고, 상기 신청에 의해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고유의 계정을 부여 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에 대한 동의를 약관을 통하여 미리 승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실시예에 따라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금액을 지불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2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ny other computing device. A user can apply for service subscription to use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and can be given a unique account including an ID and password by the application, and agree to the service in advance through the terms and conditions can agree The user may pay an amount for using the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11) 및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부(12)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10)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unit)"는 하드웨어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ceiver 11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20 and a content provider 12 that generates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System 10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have aspects that are entirely hardware, entirely software, or partially hardware and partially software. 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ach “unit” constituting the system 10 may collectively refer to hardware and operating software for driving the same. Also, the hardware may be a dat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CPU or other processor. In addition, software driven by hardware may refer to a running process, an object, an executable file, a thread of execution, a program, and the like. In addition, each part constituting the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not intended to necessarily refer to a physically distinct separate component.

컨텐츠 제공부(12)에서 제공하는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을 유의미하게 시각적으로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초의학 지식은 전통적인 의학 교육 과정의 초기에 다루어지며 임상의학의 근간이 되는 인체의 구조와 기능, 질병 발생의 기전과 관련된 기초적 지식에 해당하며, 임상의학 지식은 의학 교육 과정의 후기에 다루어지는 실제 진료 및 진단, 치료와 관련된 응용적 지식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상기 두 개의 학습 과정이 학습자에게 유의미하게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unit 12 includes an interface that visually connects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in a meaningful way. Here, basic medical knowledge is dealt with at the beginning of the traditional medical education process and corresponds to basic knowledge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which is the basis of clinical medicine, and the mechanism of disease occurrence. Knowledge corresponds to applied knowledge related to actual treatment, diagnosis, and treatment.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supporting the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interface through which the two learning processes can be meaningfully connected to the lear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디지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수직적 통합 교육(기초의학 지식 및 임상의학 지식의 통합)을 지원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시각적 컨셉맵을 통해서 학습자가 기초와 임상 교육 자료들의 연관성을 유기적으로 한눈에 보면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교육 환경에서는 전문가를 제외하고는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이런 관계를 한눈에 보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동영상을 포함한 디지털 교육 환경에서 사용자의 통합 학습을 지원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예시적인 화면과 함께 본 발명의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supports vertically integrated education (integration of basic medical knowledge and clinical medical knowledge) to learners in a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that supports the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learners to learn organically at a glance the correlation between basic and clinical education materials through a visual concept map. environment can be provided. In the existing educational environment, it was difficult to see these relationships at a glance in the course of learning, except for experts.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navigation system that supports a user's integrated learning in a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including moving pictures. Hereinafter,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long with an exemplary screen.

도 3 내지 도 4c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이 제공하는 컨텐츠를 학습하기 위해 웹 서버에 접속하거나 또는 앱을 실행시켰을 때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3 to 4C exemplarily show a screen provided when a user accesses a web server or runs an app to learn contents provided by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의료 주제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의료 주제 단위는 다양한 의료 지식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병원의 전공과목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료 주제 단위는 보다 세부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질병, 질환 또는 시술에 따라 의료 행위를 구분할 수도 있으며, 질병 코드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다양한 의료 주제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인의 전공에 해당하는 의료 주제에 국한되지 않고 전공 이외의 의료 주제에 대해서도 임상의학 및 기초의학을 포함하는 통합 의학 지식을 학습할 수 있다.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provides a plurality of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divided into medical subject units. Here, the medical subject unit is for classifying various medical knowledge, and may be classified based on a major subject of a hospit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edical subject unit may be set in more detail, and medical activitie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diseases, conditions, or procedures, or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disease codes.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rovide users with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each of various medical topics. That is, the user can learn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including clinical medicine and basic medicine not limited to a medical subject corresponding to his/her major, but also on a medical subject other than his/her major.

도 3은 의료 주제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화면이다.3 is an exemplary screen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divided by medical subject uni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링/치주소파술에 상응하는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100)와 레진 수복에 상응하는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101)가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의 화면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제공하는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복수의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 중 하나의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선택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As shown in FIG. 3 ,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100 corresponding to scaling/periodontal surgery and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101 corresponding to the resin restoration may be provided to user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FIG. 3 is exemplary, and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user may select on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lection signal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provides the selected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to the user.

도 4a 내지 4c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스케일링/치주소파술에 대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100)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4A to 4C show exemplary screens for providing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100 for scaling/periodontal surgery in response to a user's selection.

도 4a는 도 3의 선택 화면에 따라 제공되는 초기 화면이다. 상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상기 의료 주제와 관련된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 및 상기 임상의학 지식과 관련된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 지도(컨셉맵)를 포함할 수 있다. 4A is an initial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screen of FIG. 3 .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includes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related to the medical subject and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related to the clinical medical knowledge. Specifically,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may include a conceptual map (concept map)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and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corresponding thereto.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에서 임상의학 지식은 준비 항목, 치료 항목 및 심화 항목으로 분류되며, 분류된 각 항목별로 세부적인 학습 내용이 제공된다. 또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에서 임상의학 지식과 관련된 적어도 복수의 기초의학 영역의 컨텐츠가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함께 제공된다. 여기서, 병렬적인 구성의 의미는 복수의 기초의학 영역의 컨텐츠 각각이 수평적인 관계에서 개별적인 항목으로 구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는 기초의학 내 다양한 영역 간의 개념적 연계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초의학 영역은 해부학, 병리학, 미생물학, 기생충학, 혈청학, 인류유전학, 위생학, 면역학, 생리학, 약리학, 약동학, 세균학 등을 포함하며, 상기 임상의학 지식과 관련된 기초의학은 독립적인 항목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clinical medicine knowledge is classified into preparation items, treatment items, and advanced items, and detailed learning contents are provided for each classified item. In addition, in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the contents of at least a plurality of basic medical areas related to clinical medical knowledge are configured in parallel and provided together. Here, the meaning of the parallel configuration means that each of the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basic medical areas is configured and provided as individual items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That is, the basic medicine knowledge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conceptual linkage between various areas in basic medicine. The basic medical field includes anatomy, pathology, microbiology, parasitology, serology, human genetics, hygiene, immunology, physiology, pharmacology, pharmacokinetics, bacteriology, etc., and the basic medicine related to the knowledge of clinical medicine can be provided as an independent item .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링/치주소파술의 임상의학 지식과 관련된 해부학적 구조, 병리학적 기저, 면역반응 및 골대사 및 예방과 같은 각각의 기초의학 영역으로부터 관련된 컨텐츠는 개별적인 항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념 지도는 이러한 임상의학 지식의 분류 항목과 기초의학 지식의 병렬적인 항목을 구조화하고 연결한 시각화 데이터에 해당한다.As shown in Fig. 4a, related contents from each basic medical area such as anatomical structure, pathological basis, immune response, and bone metabolism and prevention related to clinical medical knowledge of scaling/periodontal surgery can be provided as individual items. . The conceptual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rresponds to visualization data in which the classification items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parallel items of basic medical knowledge are structured and connected.

개념 지도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학습하는 자료가 해당 주제와 관련된 지식의 구조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해당 학습 자료에서 다루는 내용이 임상, 기초의학 지식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 지도는 단순한 주제별 자료 제시, 위계적 리스트 형태의 자료 제시 등 자료들 사이의 관계가 명확히 나타나지 않거나 이를 학습자가 쉽게 파악하기 어려웠던 기존 온라인 학습 플랫폼의 자료 제시 방식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전체적이면서 직관적인 방식으로 지식의 전체 구조 및 자료 간 관계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지식의 통합적 학습에 효과적이다.Through the concept map,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where the material currently being studied is located within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lated to the subject and how the content covered by the learning material is connected with clinical and basic medical knowledge. That is, the conceptual ma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data presentation method of the existing online learning platform,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ials such as simple topical data presentation and hierarchical list format presentation is not clearly shown or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is. is effective for integrated learning of knowledge in that it represents the overall structure of knowledge and relationships between data in a differentiated, holistic and intuitive way.

또한, 전통적인 기초의학 지식 교육에서는 각각의 과목을 독립적으로 교수, 학습해 왔다. 예시적으로, 해부학 과정에서 심장의 구조를 배운 학생은 각기 다른 시간에, 즉 생리학 과정에서 심장의 기능을, 약리학 과정에서 심장과 관련된 약물을, 병리학 과정에서 심장의 이상을 배우게 된다. 따라서, 기초의학 내 다양한 영역 간의 개념적 연계 교육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In addition, in traditional basic medical knowledge education, each subject has been taught and learned independently. For example, a student who learns the structure of the heart in an anatomy course learns heart functions in a physiology course, a drug related to the heart in a pharmacology course, and heart abnormalities in a pathology course at different times. Therefore, conceptual linkage education between various fields in basic medicine is also requir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 지도는 임상의학 지식과 관련된 기초의학 지식 각 분야의 내용이 각각 추출되어 제공되므로, 학습자는 보건의료 지식의 수직적 통합 학습(기초의학 및 임상의학의 연계)뿐만 아니라 수평적 통합(기초의학 내 다양한 영역 간의 개념적 연계) 학습도 수행할 수 있다.In the conceptual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ents of each field of basic medical knowledge related to clinical medical knowledge are extracted and provided, the learner can learn not only vertical integration learning of health care knowledge (connection of basic medicine and clinical medicine) but also horizontal Integrative integration (conceptual linkages between various areas within basic medicine) can also be studied.

이러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의 개념 지도에서 표시되는 각 항목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각 항목을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스크린 터치 또는 마우스)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항목에 대응하는 학습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윈도우를 생성한다. 도 4b는 도 4a에의 개념 지도에서 기초의학 지식 중 해부학적 구조 항목을 선택하였을 때, 생성된 윈도우의 예시적인 화면이다. 스케일링/치주소파술과 관련된 해부학적 구조에 관련된 기초의학 지식의 학습 자료가 새로운 윈도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Each item displayed on the conceptual map of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may be selected through a user's manipulation.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each item through an input means (screen touch or mouse) of the user terminal.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creates a window for providing learning materials corresponding to each item selected by the user. 4B is an exemplary screen of a window generated when an anatomical structure item is selected from basic medical knowledge in the conceptual map of FIG. 4A . Learning materials of basic medical knowledge related to anatomical structures related to scaling/periodontal surgery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new window.

새로 생성된 윈도우는 개념 지도를 제공하는 초기 화면이 포함된 윈도우와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부학적 구조 항목과 관련된 복수의 학습 자료가 생성된 윈도우에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학습 자료를 선택하여 해당 부분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c는 도 4b의 복수의 학습 내용 중 첫번째 학습 자료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도 4c와 같은 영상 학습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텍스트로 구성된 학습 자료뿐만 아니라 음성으로 구성된 학습 자료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학습한 내용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컨텐츠도 제공할 수 있다. The newly created window may be configured to be distinguished from a window including an initial screen providing a concept map. As shown in FIG. 4B , a plurality of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anatomical structure items may be provided in the generated window.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learning material and perform learning on the corresponding part. FIG. 4C illustrates an exemplary screen provided when a first learning material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of FIG. 4B .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may provide video learning as shown in FIG. 4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may provide not only text-based learning materials but also audio-based learning materials. In addition,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provide test content for testing the learned content.

여기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선택된 각 항목에 대응한 개별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의 학습 자료와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학습 자료는 각각 다른 윈도우를 통해 동시에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학습 자료를 함께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의학 지식을 학습하던 도중 기초의학 지식에 대한 의문이 생긴 사용자는 다른 윈도우를 통해 관련 내용에 대한 학습을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학습환경에서 보건의료 지식의 수직적 통합 교육(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연계) 및 수평적 통합(기초의학 내 다양한 영역 간의 개념적 연계) 교육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Here,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may provide an individual window corresponding to each selected item. That is, the learning material of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and the learning material of the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may be provided simultaneously through different windows, respectively, and the user may learn the learning material together. For example, a user who has a question about basic medical knowledge while learning clinical medical knowledge may proceed by linking learning of related contents through another window. In other words, in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 for vertically integrated health care knowledge (connection between basic medicine and clinical medicine) and horizontal integration (conceptual connection between various fields within basic medicine) can be further promoted.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 지원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ine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 지원 방법의 순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통합 교육 지원 방법은 상술한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 지원을 위한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을 위해 도 1 내지 도 4c가 참조될 수 있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performed by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for supporting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he aforementioned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nd FIGS. 1 to 4C may be referred to for descrip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00); 의료 주제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110);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의료 주제 단위에 대응하는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receiving a request for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from a user terminal (S100); providing a plurality of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divided into medical subject units to the user terminal (S110); and providing (S120)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one medical subject unit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먼저,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S100). First, a request for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10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을 실행하거나, 웹(Web) 환경에 접속할 수 있으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송수신부(11)를 통해 이러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may execute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may access a web environment, and may request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may receive such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through the transceiver 11 .

의료 주제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S110).A plurality of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divided into medical subject units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S110).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의료 주제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 주제 단위는 다양한 의료 지식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병원의 전공과목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료 주제 단위는 보다 세부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질병, 질환 또는 시술에 따라 의료 행위를 구분할 수도 있으며, 질병 코드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다양한 의료 주제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may provide a plurality of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divided by medical subject units to the user terminal. Here, the medical subject unit is for classifying various medical knowledge, and may be classified based on a major subject of a hospit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edical subject unit may be set in more detail, and medical activitie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diseases, conditions, or procedures, or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disease codes.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rovide users with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each of various medical topics.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의료 주제 단위에 대응하는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S120).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one medical subject unit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S12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복수의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 중 하나의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선택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on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lection signal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10 may provide the selected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to the user.

여기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임상의학 지식과 이에 대응하는 기초의학 지식을 유기적,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개념 지도(컨셉맵)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념 지도는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과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을 도시하고,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과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의 관계를 나타낸다. 개념 지도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학습하는 자료가 해당 주제와 관련된 지식의 구조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해당 학습 자료에서 다루는 내용이 임상, 기초의학 지식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Here,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may include a conceptual map (concept map) that can organically and intuitively grasp clinical medicine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corresponding thereto. The concept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and the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and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configuration and the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configuration. Through the concept map,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where the material currently being studied is located within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lated to the subject and how the content covered by the learning material is connected with clinical and basic medical knowledge.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는 준비 항목, 치료 항목 및 심화 항목으로 분류되며, 분류된 각 항목별로 학습 자료가 제공되며,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는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와 관련된 기초의학 과목이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 지도는 임상의학 지식과 관련된 기초의학 지식 각 분야의 내용이 각각 추출되어 제공되므로, 학습자는 보건의료 지식의 수직적 통합 학습(기초의학 및 임상의학의 연계)뿐만 아니라 수평적 통합(기초의학 내 다양한 영역 간의 개념적 연계) 학습도 수행할 수 있다.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is classified into a preparation item, a treatment item, and an advanced item, and learning materials are provided for each classified item, and the basic medicine knowledge content is composed of basic medicine subjects related to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in parallel can be provided. In the conceptual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ents of each field of basic medical knowledge related to clinical medical knowledge are extracted and provided, the learner can learn not only vertical integration learning of health care knowledge (connection of basic medicine and clinical medicine) but also horizontal Integrative integration (conceptual linkages between various areas within basic medicine) can also be studied.

또한, 개념 지도에서 표시되는 각 항목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항목의 세부적인 교육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윈도우를 생성한다. 새로 생성된 윈도우는 개념 지도를 제공하는 초기 화면이 포함된 윈도우와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영상 학습을 윈도우를 통해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텍스트로 구성된 학습 컨텐츠뿐만 아니라 음성으로 구성된 학습 컨텐츠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학습한 내용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컨텐츠도 제공할 수 있다. Also, each item displayed on the concept map may be selected through a user's manipulation.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creates a window for providing detailed educational materials for each item selected by the user. The newly created window may be configured to be distinguished from a window including an initial screen providing a concept map.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may provide image learning through a window,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may provide not only learning content composed of text, but also learning content composed of voice. In addition,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provide test content for testing the learned content.

여기서,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선택된 각 항목에 대응한 개별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의 학습 자료와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학습 자료는 각각 다른 윈도우를 통해 동시에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를 함께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의학 지식을 학습하던 도중 기초의학 지식에 대한 의문이 생긴 사용자는 다른 윈도우를 통해 관련 내용에 대한 학습을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학습환경에서 보건의료 지식의 수직적 통합 교육(기초의학 및 임상의학의 연계) 및 수평적 통합(기초의학 내 다양한 영역 간의 개념적 연계) 교육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Here,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may provide an individual window corresponding to each selected item. That is, the learning data of the clinical medical knowledge content and the learning data of the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may be provided simultaneously through different windows, respectively, and the user may learn the content together. For example, a user who has a question about basic medical knowledge while learning clinical medical knowledge may proceed by linking learning of related contents through another window. In other words, vertical integration education (connection of basic medicine and clinical medicine) and horizontal integration (conceptual connection between various fields within basic medicine) education of health care knowledge can be further promoted in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 지원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 지원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for supporting the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at least partially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ll kinds of records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operation by the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ccording to embodiments is recorde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es computer-readable data includes the devic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 또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or drawing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
11: 송수신부
12: 컨텐츠 제공부
20: 사용자 단말
10: Digital navigation system that supports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ine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11: Transceiver
12: content provider
20: user terminal

Claims (11)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및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의료 주제 단위에 대응하는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상기 의료 주제와 관련된 임상의학 지식에 대한 임상의학 컨텐츠 및 상기 임상의학 지식과 관련된 기초의학 지식에 대한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의학 지식은 인체의 구조와 기능, 질병 발생의 기전과 관련된 지식을 포함하며, 임상의학 지식은 실제 진료 및 진단, 치료와 관련된 지식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과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을 도시하고,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과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 지도를 포함하며,
상기 개념 지도에서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는 준비 항목, 치료 항목 및 심화 항목으로 분류되며, 분류된 각 항목별로 학습 자료가 제공되고,
상기 개념 지도에서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는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기초의학 과목이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학습 자료로 제공되며,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의 학습 자료와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학습 자료는 상기 개념 지도를 제공하는 윈도우와 구분되도록 새로운 윈도우를 통해 개별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의 학습 자료와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학습 자료는 각각 다른 윈도우를 통해 동시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
a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and
Including a content provider for generating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s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one medical subject unit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termi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ceiver to the user terminal,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includes clinical medicine content for clinical medical knowledge related to the medical subject and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for basic medical knowledge related to the clinical medical knowledge,
The basic medical knowledge includes knowledge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and the mechanism of disease occurrence, and the clinical medical knowledge includes knowledge related to actual treatment, diagnosis, and treatment,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includes a conceptual map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and the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and indic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 of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and the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
In the concept map,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is classified into a preparation item, a treatment item, and an in-depth item, and learning materials are provided for each classified item,
In the concept map, the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s are provided as learning materials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basic medicine subjects related to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s in parallel,
The learning material of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and the learning material of the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are individually provided through a new window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window providing the concept map,
The digital navigation system supporting the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ine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rning material of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s and the learning material of the basic medicine knowledge contents are provided simultaneously through different windows,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는 디지털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 지원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의료 주제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의료 주제 단위에 대응하는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상기 의료 주제와 관련된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 및 상기 임상의학 지식과 관련된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의학 지식은 인체의 구조와 기능, 질병 발생의 기전과 관련된 지식을 포함하며, 임상의학 지식은 실제 진료 및 진단, 치료와 관련된 지식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의학 지식 교육 컨텐츠는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과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을 도시하고,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과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구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 지도를 포함하며,
상기 개념 지도에서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는 준비 항목, 치료 항목 및 심화 항목으로 분류되며, 분류된 각 항목별로 학습 자료가 제공되고,
상기 개념 지도에서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는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기초의학 과목이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학습 자료로 제공되며,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의 학습 자료와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학습 자료는 상기 개념 지도를 제공하는 윈도우와 구분되도록 새로운 윈도우를 통해 개별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임상의학 지식 컨텐츠의 학습 자료와 상기 기초의학 지식 컨텐츠의 학습 자료는 각각 다른 윈도우를 통해 동시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 지원 방법.
A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performed in a digital navigation system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request for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from a user terminal;
providing a plurality of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s divided into medical subject units to the user terminal; and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one medical subject unit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includes clinical medical knowledge content related to the medical subject and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related to the clinical medical knowledge,
The basic medical knowledge includes knowledge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and the mechanism of disease occurrence, and the clinical medical knowledge includes knowledge related to actual treatment, diagnosis, and treatment,
The integrated medic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includes a conceptual map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and the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and indic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 of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and the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
In the concept map,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is classified into a preparation item, a treatment item, and an in-depth item, and learning materials are provided for each classified item,
In the concept map, the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s are provided as learning materials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basic medicine subjects related to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s in parallel,
The learning material of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 and the learning material of the basic medical knowledge content are individually provided through a new window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window providing the concept map,
The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medicine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rning material of the clinical medicine knowledge contents and the learning material of the basic medicine knowledge contents are provided simultaneously through different windows,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6항에 따른 임상의학 지식과 기초의학 지식의 통합 교육 지원 방법을 실행하도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to be combined with hardware to execute the integrated education support method of clinical medicine knowledge and basic medical knowledge according to claim 6.
KR1020200005868A 2019-01-25 2020-01-16 Digit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and basic medical sciences KR1023385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9828 2019-01-25
KR1020190009828 2019-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877A KR20200092877A (en) 2020-08-04
KR102338572B1 true KR102338572B1 (en) 2021-12-15

Family

ID=7204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868A KR102338572B1 (en) 2019-01-25 2020-01-16 Digit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and basic medical scie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5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7425B (en) * 2023-11-09 2024-02-09 中国医学科学院医学信息研究所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pplica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76B1 (en) * 2013-12-20 2015-06-09 성승주 Medical informations providing system connected by subject and the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736A (en) * 2010-04-05 2011-10-12 주식회사 이디스넷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educational contents for medical human resources based on web
US20130280686A1 (en) 2012-04-19 2013-10-24 Martin Hetland Medical Procedure Training System
KR20150117165A (en) * 2014-04-09 2015-10-19 (주)라파로넷 Internet based education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surgical techniques and skills,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76B1 (en) * 2013-12-20 2015-06-09 성승주 Medical informations providing system connected by subject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877A (en)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ey et al. Mobile health apps: improving usability for older adult users
Fonteyn et al. A description of think aloud method and protocol analysis
Virzi Refining the test phase of usability evaluation: How many subjects is enough?
Albers et al. Implementation support skills: Findings from a systematic integrative review
Rosch et al. A review of eye-tracking applications as tools for training
Sharples et al. Socio-cognitive engineering: a methodology for the design of human-centred technology
Kjeldskov et al. Is it worth the hassle? Exploring the added value of evaluating the usability of context-aware mobile systems in the field
Medhi et al. Optimal audio-visual representations for illiterate users of computers
US9672618B1 (en) System and process for dyslexia screening and management
Auerbach et al. SSD for R: An R package for analyzing single-subject data
Papin et al. A study of vocabulary learning using annotated 360 pictures
Rivera et al. Increasing teacher praise and on task behavior for students with autism using mobile technology
Birbara et al. Instructional design of virtual learning resources for anatomy education
KR102338572B1 (en) Digit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of clinical and basic medical sciences
Sanderson et al. Rasmussen and the boundaries of empirical evaluation
Zheng et al. Wearable life: A wrist-worn application to assist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Peters et al. Usability of the PAL Objectives dashboard for children's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Alexander et al. 10 Guiding principles of a comprehensive Internet-based public health preparedness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
Farzana et al. An evaluation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research for ASD children in developing countries: Benefits and barriers
Robotti et al. Using digital environments to address students’ mathematical learning difficulties
Arachchi et al. LIFT: an eLearning introduction to web search for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Sri Lanka
Cunha et al. Web-based authoring of multimedia intervention programs for mobile devices: a case study on elderly digital literacy
Djawad et al. Innovation in learning through digital literacy at vocational school of health
Pearce Computers, patients, and doctors—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Kurillo et al. Multi-disciplinary design and in-home evaluation of Kinect-based exercise coaching system for elder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