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893B1 - High resolution touch sensor - Google Patents

High resolution touch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893B1
KR102337893B1 KR1020200039820A KR20200039820A KR102337893B1 KR 102337893 B1 KR102337893 B1 KR 102337893B1 KR 1020200039820 A KR1020200039820 A KR 1020200039820A KR 20200039820 A KR20200039820 A KR 20200039820A KR 102337893 B1 KR102337893 B1 KR 10233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rt
electrode
touch sensor
display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2539A (en
Inventor
윤주인
안기환
유성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893B1/en
Publication of KR20210122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5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전극부,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 사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는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를 기준으로 0도 내지 14도의 틸팅 앵글(θ)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터치센서에 관한 것이다.transparent substrate; an electrode part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art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lectrode part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an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a touch panel including a display part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touch panel, wherein the electrode part is at 0 degrees to the pattern part of the pixel of the display part. It relates to a high-resolution touch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 tilting angle (θ) of 14 degrees.

Description

고해상도 터치센서{High resolution touch sensor}High resolution touch sensor

본 발명은 고해상도 터치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resolution touch sensor.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As computers using digital technology develop, computer auxiliary devices are also being developed, and personal computers, portable transmission devices, and other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use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keyboards and mice. to perform text and graphic processing.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However, with the rapid progress of the information society, the use of computers is gradually expand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drive products only with the keyboard and mouse, which currently serve as input devices.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device that is simple and has fewer erroneous operations, and that allows anyone to easily input information.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이 개발되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input device goes beyond the level that meets the general function, and the interest is changing to high reliability, durability, innovation, design and processing related technology, etc.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nformation input such as text and graphics is required A touch screen panel has been developed as a possible input device.

터치스크린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표시장치 위에 부가되거나 표시장치 내에 내장 설계되는 입력장치로서,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물체가 스크린에 접촉될 때 이를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근래 휴대전화(Mobile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많이 장착되고 있으며, 그 밖에도 내비게이션 장치, 넷북, 노트북, DID(Digital Information Device), 터치입력 지원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테스크탑 컴퓨터, IPTV(Internet Protocol TV), 최첨단 전투기, 탱크, 장갑차 등 많은 산업분야에 걸쳐 이용되고 있다.A touch screen panel is an input device designed to be built-in or added to a display device such as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tc. As an example, when an object such as a finger or a touch pen touches the screen, it is a device that recognizes it as an input signal. Such a touch screen panel has recently been widely installed in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smart phones, etc., and in addition to navigation devices, netbooks, notebook computers, digital information device (DID) ), desktop computers using touch input support operating systems, IPTV (Internet Protocol TV), cutting-edge fighters, tanks, and armored vehicles are used across many industrial fields.

터치스크린 패널은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인식하는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압력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인식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적외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적외선이 차단되는지 여부로 입력신호를 인식하는 적외선 감지식(Infrared Type) 등이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은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과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이다.The touch screen panel is a capacitive type that recognizes an input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a resistive type that recognizes an input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resistance by pressure, and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There are infrared sensing types that recognize input signals based on whether or not infrared rays are blocked using a light receiving element. These various types of touch panels have problems in signal amplification, differences in resolution, difficulty in design and processing technology, It is adopted in electronic products in consider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electrical characteristics, mechanic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resistance characteristics, input characteristics, dur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type).

터치패널은 ITO 전극이 아닌, 금속을 이용하여 전극패턴을 형성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으로 전극패턴을 형성하면, 기존의 ITO 전극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RC Delay Time 증가 문제를 억제할 수 있으며, 전기전도도가 우수하고, 수급이 원활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금속으로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전극패턴이 시인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의 화소패턴과 금속의 전극패턴 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모아레(Moire)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 10-1482401호는 전극패턴의 피치와 디스플레이부의 픽셀의 피치를 일정 비율로 조절하고, 전극패턴의 앵글을 조절하여 모아레(Moire)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1 Layer의 Metal mesh 전극을 이용함으로써, 전극 피치가 2 Layer에 비하여 크다는 문제점이 있고, 브릿지(Bridge)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접촉 저항(Contact Resistance)이 증가되어, 대면적 및 고해상도 터치센서 제품의 구현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the touch panel, research to form an electrode pattern using a metal rather than an ITO electrod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this way, when the electrode pattern is formed of metal, the problem of increasing RC Delay Time that may occur when using the existing ITO electrode can be suppressed, and there are advantages of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mooth supply and demand. However, when the electrode pattern is formed of met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lectrode pattern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moire phenomenon occurs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pixel pattern of the display and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metal. In this regard, Patent Registration No. 10-1482401 discloses a technique for minimizing the moire phenomenon by adjusting the pitch of the electrode pattern and the pitch of the pixels of the display unit at a certain ratio and adjusting the angle of the electrode pattern. , by using a metal mesh electrode of 1 lay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ode pitch is larger than that of 2 layers, and by using a bridge electrode, the contact resistance is increased, and the large area and high resolution touch sensor products There is a problem that implementation is difficult.

등록특허 제 10-1482401호Registered Patent No. 10-1482401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아레(Moire)현상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최소화하여 베젤(Bezel)이 차지하는 공간비율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접촉 저항(Contact Resistance)의 최소화를 통해 터치센서의 대면적화 및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해상도 터치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the moire phenomenon and minimizes the dead space to minimize the space ratio occupied by the bezel,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ct resistance (contact resistan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resolution touch sensor for realizing a large area and high resolution of the touch sensor through minimization of resistance).

본 발명은,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전극부,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 사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는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를 기준으로 0도(°) 내지 14도(°)의 틸팅 앵글(θ)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터치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부가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틸팅됨으로써, 모아레(Moire)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틸팅되는 방향은 시계방향이어도 좋고, 반시계방향이어도 좋다.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substrate; an electrode part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art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lectrode part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an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a touch panel including a display part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touch panel, wherein the electrode part is at 0 degrees ( °) to 14 degrees (°) provides a high-resolution touch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 a tilting angle (θ).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ilting the electrode 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pattern part of the pixel of the display part, the occurrence of the moire phenomenon can be suppressed, and the tilting direction may b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

또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부는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를 기준으로 5도(°) 내지 14도(°)의 틸팅 앵글(θ)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ilting angle (θ) of 5 degrees (°) to 14 degrees (°) based on the pattern portion of the pixel of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전극부는 구동신호가 공급되는 Tx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부는 구동신호에 동기하여 전하를 수신하는 Rx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ectrode part includes a Tx line to which a driving signal is supplied,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includes an Rx line that receives electric charg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riving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Tx라인이 터치패널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이하 "제1 신호 구동 방식") 것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에 대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비활성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x line may be driven by a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one side of the touch panel to the other side (hereinafter, “first signal driving method”), and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ccupied by the non-active area of the touch panel is 30%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Tx라인이 터치패널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공급되는 구동신호 및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이하 "제2 신호 구동 방식") 것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에 대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비활성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5%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in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x line is driven by a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touch panel and a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the other side to one si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signal driving method") The ratio of the non-active area of the touch panel to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is preferably 6.5% or less, and more preferably, 6.05%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전극부와 상기 제 2 전극부는 80도(°) 내지 100도(°)의 교차각(Φ)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도(°)의 교차각(Φ)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intersection angle (Φ) of 80 degrees (°) to 100 degrees (°), more preferably may be formed with an intersection angle (Φ) of 90 degrees (°).

상기 제 2 관점 내지 제 5 관점에 의하면, 모아레(Moire) 현상을 최소화 하면서도, 전극부의 틸팅에 의해 발생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최소화함으로써, 베젤(bezel)이 차지하는 공간 비율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to fifth aspects, the ratio of the space occupied by the bezel can be minimized by minimizing the dead space generated by the tilting of the electrode part while minimizing the moire phenomenon. There are advantages in terms of

또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전극부는, 제 1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금속 세선(細線)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전극부는, 제 2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금속 세선(細線)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thin metal wire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etal wires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ne metal wire of

또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부는, 제 1 전극부를 구성하는 전극패턴의 피치(T)와 제 2 전극부를 구성하는 전극패턴의 피치(T)가 각각 35㎛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ode part, the pitch (T) of the electrode patterns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pitch (T) of the electrode patterns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part are 35 µm to 80 µm,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또한,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부를 구성하는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는 각각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constituting the electrode portion are copper (Cu), aluminum (Al), gold (Au), silver (Ag), titanium (Ti), respectively. , palladium (Pd), chromium (Cr), nickel (Ni), and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loys thereof.

상기 제 6 관점 내지 제 8 관점에 의하면, 기존의 ITO전극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RC Delay Time 증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Bridge 전극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접촉 저항(Contact Resistance)을 낮추어 대면적화 및 고해상도의 터치센서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sixth to eighth aspect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RC Delay Time that may occur when using the existing ITO electrode, and by not using the bridge electrode, the contact resistance is lowered to increase the area and It enables the realization of a high-resolution touch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제 9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양자점발광다이오드(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QLED),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영동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및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a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QLED), Plasma Display Panel (PDP), Electrophoretic Display (EPD),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thode Ray Tube (C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제 10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기판은, 글라스(Glas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Copolymer; CO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및 아크릴(Acry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substrate, glass (Glas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olyCarbonate; PC),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ersulfone (PES), Cyclic Olefin Copolymer (COC), Triacetylcellulose (TAC) film, Polyvinyl alcohol (PVA) Film, polyimide (PI) film, polystyrene (PS), biaxially oriented polystyrene (Biaxially oriented PS containing K; BOPS), and acrylic (Acryl)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esirable.

상기 제 9 관점 및 제 10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를 LCD, LED, OLED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할 수 있으며, 플랙서블(Flexible) 및/또는 논플랙서블(Nonflexible)한 특성의 기재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ninth and tenth aspects,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display panels such as LCD, LED, and OLED, and has flexible and/or non-flexible characteristics.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ubstrate.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는,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부가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틸팅됨으로써, 모아레(Moire)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금속 세선(細線)을 포함하여 기존의 ITO전극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RC Delay Time 증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브릿지(Bridge) 전극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접촉 저항(Contact Resistance)을 낮추어 대면적화 및 고해상도의 터치센서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기존의 터치센서 대비 금속 세선(細線)의 피치가 더 작아, 더욱 향상된 터치 감도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part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pattern part of the pixel of the display part,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the moire phenomenon, Including a plurality of thin metal wires parallel to each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RC Delay Time that may occur when using an existing ITO electrode, and by not using a bridge electrode, the contact resistance ( Contact Resistance), enabling the realization of large-area and high-resolution touch sensors. In addition, the pitch of the fine metal wir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providing more improved touch sensitivity.

또한,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가 소정의 각도로 배치됨으로써, 모아레(Moire) 현상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전극부의 틸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최소화 할 수 있어, 베젤(Bezel)의 공간비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를 LCD, LED, OLED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소재의 투명기판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랙서블(Flexible) 및/또는 논플랙서블(Nonflexible)한 특성의 기재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oire phenomenon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 the dead space that may occur due to the tilting of the electrode part, so that the bezel ( Bezel) provide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space ratio, and allows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used in various display panels such as LCD, LED, and OLED, and to be used on transparent substrates of various materials. It enables use in combination with a substrate having a flexible and/or non-flexible characteristic.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기판 및 전극부 적층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의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응되게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화소 배열 패턴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설명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라인들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모아레(Moire)현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는 제1 신호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터치패널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발생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b는 제2 신호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터치패널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발생을 나타내는 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minated structure of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n electro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n electro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rtial pixel arrangement pattern of a display unit coupled to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ouch panel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ccurrence of a moire phenomenon.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generation of a dead space in a touch panel driven by a first signal driving method.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generation of a dead space in a touch panel driven by a second signal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와 소정의 틸팅 각도(θ)로 틸팅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터치센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전극부와,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전극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이,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와 소정의 틸팅 각도(θ)로 틸팅됨으로써, 모아레(Moire)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resolution touch sensor including a pattern part of a display pixel and an electrode part tilted at a predetermined tilting angle (θ). In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panel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art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lectrode part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is coupled to a pattern part of a pixel of the display unit and a predetermined tilting angle (θ). ), it is characterized by minimizing the Moire phenomenon.

모아레(Moire)현상이란,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모양을 여러 번 거듭하여 합쳐졌을 때, 이러한 주기의 차이에 따라 시각적인 무늬가 형성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디스플레이 화소 패턴이 전극패턴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모아레(Moire)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발생을 나타낸 도로써, 구체적으로, 도 6a는 제1 신호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발생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6b는 제2 신호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발생을 나타내는 도이다.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게 되면, 이에 따라 베젤(Bezel)의 공간비율 또한 증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The moire phenomen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visual pattern is form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period when regularly repeating shapes are repeatedly combined several times. Specifically, in FIG. 5 , the display pixel pattern is the electrode pattern It indicates that the Moire phenomenon occurs due to interference with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generation of a dead space. Specifically, 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generation of a dead space in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panel driven by the first signal driving method. , 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generation of a dead space for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panel driven by the second signal driving method. If the proportion of the dead space is increased, it means that the proportion of the space of the bezel is also increased accordingly.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는,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가 각각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금속 세선(細線)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전극부가 소정의 교차각(Φ)을 가지고 형성되어, 모아레(Moire) 현상을 최소화 하면서도,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최소화 하여 베젤(Bezel)의 공간비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나아가, 기존의 터치센서 대비 금속 세선(細線)의 피치가 더욱 작아, 기존의 터치센서 대비 정밀한 감도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include a plurality of thin metal wire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respectively, and each electrode part has a predetermined intersection angle (Φ)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ace ratio of the bezel by minimizing the dead space while minimizing the moire phenomenon. Furthermore, the pitch of fine metal wire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precise sensitivity than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는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에 내장될 수 있는 터치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들 각각은 정전용량(Capacitance) 타입의 터치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 용량 타입의 터치 센서들은 자기 정전 용량(self capacitance) 타입의 터치 센서들 또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타입의 터치 센서들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상호 정전 용량 타입의 터치 센서들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touch sensors that may be embedded in a display panel of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each of the touch sensors may be implemented as a capacitance-type touch sensor. Capacitive type touch sensors may be divided into self capacitance type touch sensors or mutual capacitance type touch sensor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mutual capacitance type touch sensors have been exempl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는, 투명기판(10); 상기 투명기판(10) 상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전극부(20-1),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전극부(20-2)를 포함하는 전극부(20); 및 상기 제 1 전극부(20-1)와 제 2 전극부(20-2) 사이에 절연층(30);을 포함하는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20)는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50)를 기준으로 0도(°) 내지 14도(°)의 틸팅 앵글(θ)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A first electrode portion 20-1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lectrode portion 20-2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electrode part 20; and an insulating layer 30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20-1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0-2; and a display part 40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touch panel. However, the electrode part 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 tilting angle θ of 0 degrees (°) to 14 degrees (°) with respect to the pattern part 50 of the pixel of the display unit.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Hereinafter,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it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As used herein, includ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t is used in the sense of not being excluded.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데드 스페이스"는 "dead space", "비활성 영역"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As used herein, "dead space" may be used synonymously with "dead space" and "inactive are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터치센서의 개략적인 구성」, 「투명기판」, 「전극부」, 「디스플레이부」, 「전극부의 틸팅 앵글」,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전극패턴의 모아레(Moire) 현상 평가방법 또는 시인성 평가방법」으로 항목을 분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ouch sensor” , “a transparent substrate” , “electrode unit” , “display unit” , “electrode tilting angle” , “dead space”, “ The items are classified into "Method for evaluating Moire phenomenon or Visibility evaluation method of electrode pattern" and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터치센서의 개략적인 구성」「Structure of touch sensor」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는, 투명기판(10) 상에 형성되는 전극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20)는 디스플레이부(40),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의 픽셀,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의 픽셀의 패턴부(50)를 기준으로, 0도(°) 내지 14도(°)의 틸팅 앵글(θ)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unit 20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10, wherein the electrode unit 20 is a display unit 40, preferably a pixel of the display unit, more preferab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 tilting angle θ of 0 degrees (°) to 14 degrees (°) with respect to the pattern part 50 of the pixel of the display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기판(10) 및 전극부(20)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라인들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터치센서의 전극부(20)와 디스플레이부(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극부(20)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전극부(20-1),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전극부(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극부(20-1)와 제 2 전극부(20-2) 사이에 절연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20) 상부에 분리층 및/또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여 터치패널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제 1 전극부(20-1)는 구동신호가 공급되는 Tx라인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전극부(20-2)는 구동신호에 동기하여 전하를 수신하는 Rx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부(20-1)에 포함되는 Tx라인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Tx구동회로(20-3)와, 상기 제 2 전극부(20-2)에 포함되는 Rx라인을 통해 전하를 수신하는 Rx구동회로(20-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부(20-1) 및 제 2 전극부(20-2)와 연결되는 연성회로필름(FPCB)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1 is a diagram show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 transparent substrate 10 and an electrode par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touch panel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ode unit 20 and the display unit 40 of the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1, 2, and 4, the electrode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part 20-1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part 20-2 formed of . In addition, the touch panel may be formed by further including a separation layer and/or a protective layer on the electrode part 20 . The first electrode part 20 - 1 may include a Tx line to which a driving signal is supplied,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0 - 2 may include an Rx line for receiving charg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riving signal. In addition, the Tx driving circuit 20-3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Tx line included in the first electrode part 20-1 and the Rx line included in the second electrode part 2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flexible circuit film (FPCB) including an Rx driving circuit 20-4 for receiving electric charge through the first electrode part 20-1 and a flexible circuit film (FPCB)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art 20-2 It can be configuration.

상기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40)를 결합하며, 이때 상기 터치패널에 포함되는 상기 전극부(2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포함되는 픽셀의 패턴부를 기준으로 0도(°) 내지 14도(°)의 틸팅 앵글(θ)을 가지고 틸팅되어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틸팅 앵글(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전극부의 틸팅 앵글」에서 서술한다.The touch panel and the display unit 40 ar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touch panel, and in this case, the electrode unit 20 included in the touch panel is at 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ixel pattern part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40 . (°) to 14 degrees (°) may be tilted with a tilting angle (θ).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ilting angle θ will be described in “Tilt angle of the electrode part” to be described later.

「투명기판」「Transparent substrate」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10)은 터치패널에 포함되는 전극부(20)의 기지(Base)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종래 또는 이후에 개발되는 터치패널에 이용되는 투명기판(10)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serves to provide a base of the electrode unit 20 included in the touch panel,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used for the touch panel may be used.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기판(10)은, 1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글라스(Glas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Copolymer; CO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및 아크릴(Acry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in one or more embodiments, glas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olyCarbonate; PC),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 PMMA),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ersulfone (PES), cyclic olefin polymer (COC), triacetylcellulose (TAC) film,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PVA) film, polyimide (PI) film, polystyrene (PS), biaxially oriented polystyrene (K-resin containing Biaxially oriented PS; BOPS),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 may include.

「전극부」"Electrode part"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20)는,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구동신호에 동기하여 전하를 수신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또는 이후에 개발되는 터치센서에 사용되는 전극부의 구성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unit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and receiving a charg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riving signal,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unit used in the touch sensor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에 포함되는 상기 전극부(20)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1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금속 세선(細線)을 포함하는 제 1 전극부(20-1)와,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2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금속 세선(細線)을 포함하는 제 2 전극부(20-2)를 포함한다.The electrode part 20 included in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electrode part 20-1 including a plurality of thin metal wire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electrode part 20 - 2 is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hin metal wires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상기 각각의 금속 세선(細線)의 선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nearity of each of the fine metal wir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aight shape.

상기 제 1 전극부(20-1)와 제 2 전극부(20-2)는 각각 절연층(30)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30)은 전기적 절연이 가능한 물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부(20-1)와, 제 2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극부(20-2)는 80도(°) 내지 100도(°)의 교차각(Φ)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구성, 즉 교차각(Φ)이 90도(°) 일 수 있다. 상기 교차각(Φ)이 80도 미만(°) 이거나, 100도(°)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아레(Moire)현상을 최소화 할 수 없고,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또한 최소화 할 수 없어, 베젤(Bezel)의 공간비율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first electrode part 20-1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0-2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n insulating layer 30, and the insulating layer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capable of electrically insulating. does not The first electrode part 20-1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0-2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have an intersection angle of 80 degrees (°) to 100 degrees (°) ( Φ), and preferably orthogonal configuration, that is, the intersection angle (Φ) may be 90 degrees (°). If the intersection angle (Φ) is less than 80 degrees (°) or exceeds 100 degrees (°), the Moire phenomenon cannot be minimized and the dead space cannot be minimized as well, so the bezel (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ratio of Bezel) increases.

상기 제 1 전극부(20-1)를 구성하는 복수의 금속 세선(細線)은 35㎛ 내지 80㎛의 피치(T)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부(20-2)를 구성하는 복수의 금속 세선(細線)은 35㎛ 내지 80㎛의 피치(T)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피치(T)는 임의의 금속 세선(細線)과, 이와 가장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금속 세선(細線)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전극패턴의 피치(T)가 해당 범위을 만족하는 경우, 더욱 향상된 감도의 터치센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thin metal wires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part 20-1 may be formed to have a pitch T of 35 μm to 80 μm, and constitute the second electrode part 20-2. The plurality of thin metal wires to be used may be formed with a pitch T of 35 μm to 80 μm. The pitch (T) means a distance between an arbitrary thin metal wire and any one of the thin metal wires most adjacent thereto. When the pitch T of the electrode pattern satisfies the corresponding r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uch sensor with improved sensitivity.

상기 전극부(20)를 구성하는 제 1 전극부(20-1)와 제 2 전극부(20-2)의 소재는 전기를 통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또는 이후에 개발되는 전극부에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부(20)를 구성하는 소재로써는, 1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리(Cu)일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first electrode part 20-1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0-2 constituting the electrode part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conduct electricity,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material used for the electrode part may be used. Specifically, as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de part 20, in one or more embodiments, copper (Cu), aluminum (Al), gold (Au), silver (Ag), titanium (Ti), palladium ( Pd), chromium (Cr), nickel (Ni), and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loys thereof, preferably copper (Cu).

상기 제 1 전극부(20-1)와 제 2 전극부(20-2)를 구성하는 금속 세선(細線)의 선폭은 시인성의 측면에서 2㎛ 내지 7㎛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일 수 있다.The line width of the fine metal wires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part 20-1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0-2 may be 2 µm to 7 µm in terms of visibility, preferably 2 µm to It may be 5 μm.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터치패널과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는 시각적이나 입체적인 수신, 저장, 전달을 위해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플랙서블(Flexible) 및/또는 논플랙서블(Nonflexi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In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touch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device that displays information for visual or three-dimensional reception, storage, and transmission, and is flexible and/or non-functional. Includes a flexible (Nonflexible) display.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40)는, 1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양자점발광다이오드(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QLED),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영동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및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or more embodiment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QLED), Plasma Display Panel (PDP), ElectroPhoretic Display (EPD), and Cathode Ray Tube (CRT)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는 패널 기판, 상기 패널 기판 상에 배치된 화소전극, 화소 정의막, 표시층, 대향전극 및 인캡슐레이션 층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panel substrate, a pixel electrode disposed on the panel substrate, a pixel defining layer, a display layer, a counter electrode, and an encapsulation layer.

패널 기판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화소 회로를 덮는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전극은 상기 절연막 상에서, 예를 들면, TFT의 드레인(drain)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은 상기 절연막 상에 형성되어 화소 전극을 노출시켜 화소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화소 전극 상에는 표시 층이 형성되며, 표시 층은 예를 들면, 액정층 또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 및 표시층 상에는 대향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대향 전극은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의 공통전극 또는 캐소드(Cathode)로 제공될 수 있다. 대향 전극 상에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인캡슐레이션 층이 적층될 수 있다.A pixel circuit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TFT) may be formed on the panel substrate, and an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to cover the pixel circuit. The pixel electrod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 example, a drain electrode of the TFT on the insulating layer. A pixel defin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to expose the pixel electrode to define a pixel area. A display layer is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and the display lay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layer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counter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the pixel defining layer and the display layer. The opposite electrode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s a common electrode or a cathod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 encapsulation layer for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may be stacked on the opposite electrode.

「전극부의 틸팅 앵글」「Tilt angle of electrode part」

본 발명의 고해상도 터치센서는 투명기판(10) 상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전극부(20-1)와 제 2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전극부(20-2)가 절연막을 사이에 포함하여, 소정의 교차각(Φ)를 가지고 형성된 터치패널과, 이에 대응되도록 결합한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부(20-1)와 제 2 전극부(20-2)를 포함하는 전극부(20)는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50)를 기준으로 소정의 틸팅 앵글(θ)을 가지고 틸팅되어 있다.In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art 20-1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0-2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include an insulating film therebetween. , including a touch panel formed with a predetermined intersection angle Φ, and a display unit 40 coupled thereto,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unit 20-1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20-2 The electrode unit 20 is tilted with a predetermined tilting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pattern unit 50 of the pixel of the display uni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본 발명의 제 1 전극부(20-1)와 제 2 전극부(20-2)를 포함하는 전극부(20)와, 디스플레이부(40) 및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50)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틸팅 앵글(θ)은 디스플레이부,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의 픽셀,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50)를 기준으로 틸팅된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50)를 제 2 방향과 직교하는 것일 수 있는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part 20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part 20-1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0-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rt 40, and the display part It is a view showing the pattern part 50 of the pixel, and referring to FIG. 3 , the tilting angle θ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part, preferably a pixel of the display part, and most preferably a pattern part 50 of a display part pixel. It indicates the degree of tilting based on , and based 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pattern part 50 of the display pixel in parallel along the first direction, which may be orthogonal to the second direction,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t indicates the degree of tilting in the direction.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50)의 일 면이 제 1 방향과 평행한 복수의 픽셀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50)의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기 일 면을, 제 1 방향을 따라 연결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Specifically, one surface of the pattern part 50 of the pixel of the display unit forms a plurality of pixel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pixels ar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pattern unit 50 of the pixels of the display unit. It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one surface is til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an imaginary line connected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전극부(20)와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50)가 형성하는 틸팅 앵글(θ)은 0도(°) 내지 14도(°)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도(°) 내지 14도(°)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도(°) 내지 7도(°) 일 수 있다. 상기 틸팅 앵글(θ)이 14도(°)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아레(Moire) 현상 방지 효과도 저하될 뿐만 아니라,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비율이 지나치게 커지게 되어 베젤(Bezel)의 공간 비율이 증가하게 된다. The tilting angle θ formed by the electrode unit 20 and the pattern unit 50 of the pixel of the display unit may be 0 degrees (°) to 14 degrees (°), preferably, 5 degrees (°) to It may be 14 degrees (°), and more preferably, 5 degrees (°) to 7 degrees (°). When the tilting angle (θ) exceeds 14 degrees (°), not only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moire phenomenon is reduced, but also the ratio of the dead space becomes excessively large, so that the space ratio of the bezel is increased. this will increase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Dead space」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는 터치패널이 디스플레이부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틸팅되어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된 터치패널의 비활성 영역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dead space refers to an inactive area of the touch panel coupled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touch panel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display uni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도 6a와 같이, 제1 신호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상기 구동신호를 공급받지 못하는 전극부의 금속 세선이 구비된 영역과 구동신호에 동기하여 전하를 수신하지 못하는 전극부의 금속 세선이 구비된 영역은 터치패널의 비활성 영역, 즉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A , when the driving signal is driven by the first signal driving method, a region provided with a fine metal wire of an electrode part that is not supplied with the driving signal and the electric charge are receiv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riving signal. The region in which the thin metal wire of the electrode part cannot be formed forms an inactive region of the touch panel, that is, a dead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6b와 같이, 제2 신호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도 6a의 경우에 비하여, 구동신호를 공급 받지 못하는 전극부의 금속 세선이 구비된 영역이 감소하게 되어, 비활성 영역, 즉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B , in the case of driving by the second signal driving method, compared to the case of FIG. 6A , the area provided with the thin metal wires of the electrode part to which the driving signal is not supplied is reduced. , an inactive area, that is, a dead space, can be minimized.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비율은 터치패널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의 면적에 대한, 결합된 터치패널의 비활성 영역의 면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비율은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아레(Moire)현상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유의미하게 형성될 수 있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비율은, 일 실시 예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 구동 방식의 경우에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신호 구동 방식의 경우에는 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5% 이하일 수 있다.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디바이스의 베젤(bezel)이 차지하는 영역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감소, 내지 디바이스의 소형화에 있어서 불리한 측면이 존재한다.The ratio of the dead space means the area of the non-active area of the coupled touch panel to the area of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coupled to the touch panel, preferably the display unit, The ratio is preferably minimized, and the ratio of the dead space that can be significantly formed while preventing the moire phenomenon is,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6A , the first signal driving method In the case of , it is preferably 30% or less, and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6B , in the case of the second signal driving method, it is preferably 6.5% or less, and more preferably, 6.05% or less. When the ratio of the dead space exceeds the above range, as the area occupied by the bezel of the device increas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e reduc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or the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do.

「전극패턴의 모아레(Moire) 현상 평가방법 또는 시인성 평가방법」「Method for evaluating the Moire phenomenon of electrode pattern or evaluation method for visi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전극패턴의 모아레(Moire) 현상 평가방법 또는 시인성 평가방법은, 1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부에 전극부의 전극패턴을 부착한 뒤,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A); 상기 측정된 이미지를 정량화 하는 단계(B); 및 상기 정량화된 이미지를 통하여 모아레 저감 효과를 측정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Moire phenomenon or the visibility evaluation method of a touch panel 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icroscope after attaching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electrode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to measure (A); quantifying the measured image (B); and measuring the moiré reduction effect through the quantified image (C).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계(A)는, 디스플레이 상부에 전극부의 전극패턴을 부착한 뒤, 현미경을 통하여 상기 중첩된 이미지를 측정하고,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step (A), after attaching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electrode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the superimposed image is measured through a microscope, and the image data is stored.

상기 단계(B)는, 단계(A)에서 측정 및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주파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B-a), 상기 주파수 데이터를 CSF(Contrast Sensitivity Function)로 필터링 하는 단계(B-b), 상기 필터링된 주파수 데이터를 주파수 역변환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B-c), 및 상기 주파수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tandard Deviation(이하 'STD')을 계산하는 단계(B-d)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ep (B) is a step (Ba) of converting the image data measured and stored in step (A) into a frequency form (Ba), filtering the frequency data with a CSF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Bb), the filtered frequency It may include a step (Bc) of forming image data by inverse frequency transforming the data, and a step (Bd) of calculating a standard deviation (hereinafter, 'STD') for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nverse frequency transforming.

상기 단계(C)는, 상기 단계(B)에서 계산된 STD 값이 작을수록, 모아레 저감 효과가 향상된 것으로 보아 목시로 재평가하여 전극패턴을 채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C) may include a step of re-evaluating visually and adopting the electrode pattern as it is seen that the moiré reduction effect is improved as the STD value calculated in the step (B) is smaller.

특히,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터치패널의 전극부의 전극패턴과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가 중첩되어 형성되는 이미지의 시인성과 더불어 모아레의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인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inimizing the moiré phenomenon as well as the visibility of an image formed by overlapping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electrode part of the touch panel and the pattern part of the display unit pixe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방법은, 전극부를 이루는 전극패턴이 인간의 시감 특성에 따라 얼마나 인지되는지 혹은 인식됨으로써 전극부의 전극패턴과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에 의한 모아레(Moire)가 시인되는지의 여부를 평가함으로써, 전극부의 전극패턴과,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가 이루는 틸팅 앵글(θ), 교차각(Φ) 및 피치(T)의 상관관계를 도출 가능하다.In th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 much the electrode pattern constituting the electrode part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or whether moire by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electrode part and the pattern part of the display part pixel is recognized by being recognized By evaluating whether or not , it is possible to derive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electrode part and the tilting angle (θ), the intersection angle (Φ) and the pitch (T) formed by the pattern part of the pixel of the display unit.

인간의 시감 특성은, 인간의 인식(구별)능력과 콘트라스트(contrast)를 나타내며, 공간주파수(spatial frequency)로 표현될 수 있다. 콘트라스트는 이미지의 일정 부분의 톤과 다른 부분의 톤의 강약의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이미지의 콘트라스트가 강하다는 것은 특정 이미지의 밝고 어두운 정도의 차이가 정상보다 심한 경우를 의미한다. 전극패턴의 시인성에서는, 콘트라스트가 커질수록, 즉, 그 톤의 강약의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날수록 인간의 시감 특성에 의한 구별능력은 비례관계로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인간의 시감 특성에 의한 콘트라스트에 대한 구별능력은 공간주파수의 단일 함수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그 구별능력은 공간주파수의 최고주파영역과 최저주파영역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Human vision characteristics represent human recognition (distinguishing) ability and contrast, and may be expressed as spatial frequency. Contrast refer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ne of a certain part of the image and the intensity of the tone of another part. The strong contrast of an image mean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and dark levels of a specific image is greater than normal. In the visibility of the electrode pattern, the greater the contrast, that is, the more clear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tone is revealed, the more the distinguishing ability according to the human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 increases in a proportional relationship.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ability to discriminate the contrast according to the human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 cannot be expressed as a single function of the spatial frequency, and the discrimination ability is rather reduced in the highest and lowest frequency domains of the spatial frequency.

여기서, 대비 민감도 함수(CSF: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Here, a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CSF) will be briefly described.

인간의 시계에는 경계가 분명한 상과 불분명한 상 그리고 명암의 차이가 많은 상과 적은 상들이 섞여 있다. 시력이란 이러한 여러 가지 경우의 상들에 대한 우리 눈의 전반적인 식별능력을 말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시력검사에 사용되고 있는 모든 시력표는 경계가 분명하고 명암의 차이가 많은 것들로만 만들어져 있다.In the human field of vision, there are a mixture of images with clear boundaries, images with unclear boundaries, and images with many and few contrasts in contrast. Visual acuity refers to the overall ability of our eyes to discriminate between these different types of images. However, all visual acuity charts that have been generally used for visual acuity tests so far are made only with clear boundaries and large differences in contrast.

그러므로 경계가 불분명하고 명암의 차이가 적은 상들에 대한 우리 눈의 식별능력은 무시되어 왔다. 이러한 경계가 불분명하고 명암의 차이가 적은 상들에 대한 눈의 식별능력을 contrast sensitivity라 한다. 상기 CSF 필터는 이러한 인간의 시감 특성을 잘 반영한 필터로서, 이 CSF 필터에서 사용되는 함수는 격자 자극의 공간주파수와 격자를 지각하는데 필요한 대비의 관계를 나타낸다. CSF를 측정하려면 먼저 매우 낮은 주파수(넓은 막대)의 정현파 격자로 시작하는데 그 대비가 너무 낮아서 격자를 볼 수 없고 단지 동질적인 회색 시야로 보이는 것이다. 격자의 대비를 조금 증가시키되 사람들이 그 막대를 간신히 볼 수 있을 때까지 증가시킨다. 바로 이 대비수준이 격자를 볼 수 있는 역치이다. CSF를 그리려면 대비 민감도 = 1/역치라는 관계에 의해 역치를 대비 민감도로 바꾼다. CSF 값은 밝기차를 인지하는 문턱치 값의 역수이며, 이 CSF 값이 클수록 밝기 변화를 쉽게 인지한다. 따라서 인간 시각은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약 6 내지 8[cpd; cycle per degree] 주변에서 밝기 변화를 가장 잘 인지하고, 주파수가 올라갈수록 밝기 변화를 잘 인지하지 못한다. 즉, 인간 시각은 상대적으로 저주파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잘 감지하지 못하는 반면 고주파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잘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CSF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전극부의 전극패턴의 인간에 의한 시인성의 정도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대비 민감도 함수(CSF)를 사용함으로써, 전극패턴의 사용자에 의한 구별능력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대비 민감도 함수(CSF)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Movshon CSF 모델, Barten CSF 모델 및 Daly CSF 모델에 대한 함수 중 어느 한 모델의 CSF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특정한 하나의 CSF모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our eye's ability to discriminate images with unclear boundaries and small differences in contrast has been neglected. Contrast sensitivity is the ability of the eye to discriminate images with unclear boundaries and small differences in contrast. The CSF filter is a filter that well reflects the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 function used in the CSF filter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frequency of the grating stimulus and the contrast required to perceive the grating. To measure CSF, we first start with a very low frequency (wide bar) sinusoidal grating, the contrast of which is so low that the grating cannot be seen and appears only as a homogeneous gray field of view. Increase the contrast of the grid slightly, but until people can barely see the bar. This level of contrast is the threshold at which the grid can be seen. To draw the CSF, the threshold is changed to the contrast sensitivity by the relation: contrast sensitivity = 1/threshold. The CSF value is the reciprocal of the threshold value for recognizing the brightness difference, and the larger the CSF value, the easier it is to recognize the brightness change. Therefore, according to various studies, human vision is about 6 to 8 [cpd; cycle per degree] It perceives the brightness change best in the vicinity, and as the frequency increases, the brightness change is not well recognized. That is, the human eye cannot detect changes that occur at relatively low frequencies well, whereas changes that occur at high frequencies can be detected well. By using such a CSF filter, the degree of human visibility of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electrode part can be know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CSF), the degree of discrimination ability by the user of the electrode pattern can be determined. CSF of any one model can be used among the functions for , and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e specific CSF model.

이하,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턴 시인성의 평가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evaluating electrode pattern vi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먼저, 터치패널에 형성된 전극부의 전극패턴과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의 중첩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1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에 형성된 전극부의 전극패턴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뒤, 중첩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First, it is a step of storing an overlapping image of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electrode portion formed on the touch panel and the pattern portion of the display pixel. In one or a plurality of embodiments, after observing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electrode formed on the display through a microscope, the superimposed image data is stored.

다음, 저장된 이미지를 주파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주파수 형태로 변환은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수식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Next, it is a step of converting the stored image into a frequency form. Here, the transformation into the frequency form may be performed using a Fourier transform equation.

다음, 상기 변환된 주파수 형태의 데이터를 CSF(Contrast Sensitivity Function)로 필터링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CSF는Next, it is a step of filtering the converted frequency data using a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CSF). Here, CSF is

Figure 112020034112535-pat00001
Figure 112020034112535-pat00001

이며, 상기ξ 및 η은 각각 2차원에서의 X축 방향과 Y축방향에서의 공간 각주파수(spatial angular frequency)를 의미하며, L은 시야거리를 의미한다. 여기서, 시야거리 L=400㎜정도에서 전극부(20)의 전극패턴을 시인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L은 전극패턴의 피치(T)의 크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일정한 비율로 그 시야거리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 wherein ξ and η mean spatial angular frequencies in the X-axis direction and Y-axis direction in two dimensions, respectively, and L means a viewing distance. Here, it means a case where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electrode part 20 is visually recognized at a viewing distance L=400 mm, where L is to adjust the viewing distance at a relatively constant ratio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itch T of the electrode pattern. Of course you can.

최초 원본 이미지 데이터를 주파수 변환하여 대비 민감도 함수(CSF)를 곱함으로써, 인간의 시감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주파수의 범위를 추출할 수 있다. By frequency-converting the original original image data and multiplying it by a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CSF), it is possible to extract a range of frequencies at which human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can be recognized.

다음, 상기 필터링된 주파수 데이터를 주파수 역변환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에도 주파수 역변환은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Next, the filtered frequency data is inversely frequency-transformed to generate image data. Even in this case, the inverse frequency transform may be performed using an inverse Fourier transform.

다음, 상기 필터링된 주파수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표준편차(STD, Standard Deviation)을 구하여, 전극부의 전극패턴과 디스플레이부의 결합에 의한 모아레 등의 저감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Next, by obtaining a standard deviation (STD) of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filtered inverse frequency transformation,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moiré, etc.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electrode part and the display part.

이하에서는, 상기 표준편차(STD)를 구하기 위한 관련 수식의 유도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derivation of a related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standard deviation (STD) will be briefly described.

인간의 시감 특성에 맞는 이미지에 대한 적절한 의미는 이미지 콘트라스트에 비례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콘트라스트에 대한 많은 정의가 있지만, 여기서는 가장 적합한 이미지에 대한 콘트라스트의 정의로써, 알엠에스(root-mean-square, RMS)로 정의할 수 있다. An appropriate meaning for an image that fits the human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 is that it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to the image contrast. Although there are many definitions of such contrast, here, it can be defined as a root-mean-square (RMS) as a definition of the most appropriate contrast for an image.

[식 1] [Equation 1]

Figure 112020034112535-pat00002
Figure 112020034112535-pat00002

여기서, N은 이미지의 각 별개의 지점(discrete points)의 개수, I n 은 상기 이미지의 n번째 지점의 명도레벨(intensity level)이며, 상기 식 1에 포함된 I′는 다음의 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Here, N is the number of discrete points in the image, I n is the intensity level of the n-th point of the image, and I′ included in Equation 1 is defined as can

[식 2][Equation 2]

Figure 112020034112535-pat00003
Figure 112020034112535-pat00003

상기 식 2의 I′는 전극부의 전극패턴의 전체 이미지에 걸친 명도(intensity)를 의미한다. 여기서, RMS로 정의되는 값은 곧 전체 이미지 영역에 분포된 명도의 표준편차(STD; Standard Deviation)로 정의될 수 있다. 대비 민감도 함수(CSF)는 주파수가 0인 지점에서 0의 값을 갖고, 이 때 인간에 의해 인식되는 이미지의 값도 또한 0이 되므로, 이를 다음의 식으로 다시 쓸 수 있다. I' in Equation 2 means the intensity over the entire image of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electrode part. Here, the value defined as RMS may be defined as a standard deviation (STD) of brightness distributed over the entire image area. The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CSF) has a value of 0 at the point where the frequency is 0, and 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image recognized by humans also becomes 0, so it can be rewritten as the following equation.

[식 3][Equation 3]

Figure 112020034112535-pat00004
Figure 112020034112535-pat00004

이렇게 콘트라스트의 정의로서 알 수 있는 값은 표준편차(STD; Standard Deviation)를 의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콘트라스트의 정의로써, 그 이미지의 밝고 어두운 정도에 따른 평균값에 대해 얼마나 차이를 두고 대비되는지의 값을 통해 인간의 시감 특성에 따라 그 패턴이 인간에게 얼마나 잘 구별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식 3은 시각성의 기준되는 것으로 '시각성(visibility)'로 호칭될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that can be known as the definition of the contrast means the standard deviation (STD). That is, as the definition of contrast, it is possible to know how well the pattern can be distinguished to huma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vision through the value of how much difference and contrast to the average value according to the light and dark levels of the image. . Equation 3 is a criterion for visibility and may be referred to as 'visibility'.

이미 살펴본 대비 민감도 함수(CSF)역시 밝기의 차이를 인식하는 것으로, 그 밝기의 변화를 잘 구별한다는 것은, 인간의 구별능력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이며, 공간주파수의 영역은 대비 민감도 함수(CSF)필터링을 통해 인간의 시감 특성에 맞는 주파수 영역을 필터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의 전극패턴 및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에 의한 인간의 구별능력을 반영하여 계산함으로써, 모아레 현상등에 의한 전극패턴의 시인성 저감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CSF) already looked at also recognizes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and distinguishing the change in brightness well means that human discrimination a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e area of spatial frequency is subjected to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CSF) filtering. By filtering the frequency region suitable for human visual perception through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visibility reduction characteristic.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하기 표 1의 내용으로, 150mm x 69mm 면적의 픽셀 피치(pitch)가 125㎛인 디스플레이와, 132mm x 64mm 면적의 픽셀 피치(pitch)가 70㎛인 디스플레이 각각에 대하여, 실시예와 비교예를 제작하여,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면적의 비율과, Moire 정량화 평가 결과와, Moire 목시검사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As the contents of Table 1 below, for each display having a pixel pitch of 150 mm x 69 mm and a pixel pitch of 125 μm and a display having a pixel pitch of 132 mm x 64 mm of 70 μm,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Thus, the ratio of the dead space area, the Moire quantification evaluation result, and the Moire visual test evaluation result are shown together in Table 1 below.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평가Dead space evaluation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평가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상부에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부 필름을, 일정한 틸팅 앵글(θ)을 형성하도록 틸팅 시킨 뒤, 제1 신호 구동 방식과, 제2 신호 구동 방식 각각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와의 결합 시 발생되는, 터치패널의 비활성 영역의 면적을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의 면적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어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Dead space evaluation is, after tilting the electrode part film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on each display to form a constant tilting angle (θ), a first signal driving method, For each of the second signal driving methods, the area of the non-active area of the touch panel, which is generated when combined with the display unit,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is shown in Table 1 below.

Moire 평가(1)Moire Rating(1)

Moire 평가(1)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상부에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부 필름을 점착제로 부착하여 정면 40cm 이격하여 현미경을 통해 Moire Image를 측정한 후, 상기 Image를 Mathworks社의 Matlab을 통해 2D-FFT변환하여 CSF 필터링으로 통해 정량화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Moire evaluation (1) was performed by attaching an electrode film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to the upper part of each display with an adhesive, and measuring the Moire Image through a microscope at a distance of 40 cm from the front, and then the image was obtained by Mathworks Table 1 shows the results of 2D-FFT transformation through Matlab and quantification through CSF filtering.

Moire 평가(2)Moire Rating(2)

Moire 평가(2)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상부에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부 필름을 점착제로 부착하여 정면 40cm 이격하여 목시 관측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Moire evaluation (2) was evaluated by attaching an electrode part film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art and a second electrode part to the upper part of each display with an adhesive, and visually observing the film at a distance of 40 cm from the fron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평가기준][Evaluation standard]

강: Moire 강하게 시인River: Moire strongly poet

중: Moire 시인Middle: Poet Moire

약: Moire 약하게 시인About: Moire weakly poet

구분division DisplayDisplay Metal ElectordeMetal Electorde Dead Space
면적 비율
Dead Space
area ratio
Moire 측정결과Moire measurement result
Pixel Pitch
(Green 기준, μm)
Pixel Pitch
(Green standard, μm)
Rx와 Tx
교차각(Φ °)
Rx and Tx
Intersection angle (Φ °)
Tilt 방향Tilt direction 선폭 [μm]Line width [μm] Pitch [μm]Pitch [μm] 틸팅 앵글(θ, °)Tilt angle (θ, °) 제1신호 구동방식1st signal driving method 제2신호구동방식2nd signal driving method Moire
평가(1)
Moire
Rating(1)
Moire
평가(2)
Moire
evaluation(2)
실시예1Example 1 7070 9090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2 4545 55 10.7610.76 2.122.12 0.0700.070 approximately 실시예2Example 2 9090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4545 55 10.7610.76 2.122.12 0.1200.120 approximately 실시예3Example 3 9090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5050 77 14.8914.89 2.982.98 0.0600.060 미약weak 실시예4Example 4 9090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8585 1010 20.9320.93 4.274.27 1.4201.420 middle 실시예5Example 5 9090 시계
방향
watch
direction
2.52.5 4545 55 10.7610.76 2.122.12 0.2000.200 approximately
실시예6Example 6 8585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5050 77 14.8914.89 2.982.98 0.1260.126 approximately 실시예7Example 7 9090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4545 1414 28.7428.74 6.046.04 2.0762.076 middle 실시예8Example 8 125125 9090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3535 55 11.1411.14 2.012.01 0.0100.010 미인지beauty 실시예9Example 9 9090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4545 1111 23.7423.74 4.474.47 1.0761.076 approximately 실시예10Example 10 9090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5555 1111 23.7423.74 4.474.47 0.1140.114 approximately 실시예11Example 11 9090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8585 99 19.6219.62 3.643.64 2.362.36 middle 실시예12Example 12 9090 시계
방향
watch
direction
2.52.5 5050 77 15.4215.42 2.822.82 0.8110.811 approximately
실시예13Example 13 9595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5555 1111 23.7423.74 4.474.47 0.0760.076 approximately 실시예14Example 14 9090 시계방향clockwise 2.52.5 5555 1414 29.8229.82 5.735.73 2.0032.003 middle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7070 9090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4545 1616 32.5732.57 6.956.95 5.4815.481 River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9090 시계
방향
watch
direction
2.52.5 8585 1515 30.6630.66 6.496.49 3.3783.378 River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7575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8585 1616 32.5732.57 6.956.95 4.2844.284 River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125125 9090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4545 1515 31.8231.82 6.166.16 3.4063.406 River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9090 시계
방향
watch
direction
2.52.5 8585 1818 37.7737.77 7.477.47 6.2606.260 River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7575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2.52.5 8585 1515 31.8231.82 6.166.16 4.0004.000 River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틸팅 앵글이 5도(°) 내지 14도(°) 를 형성하고 있는 실시예 1 내지 14의 경우, 틸팅 방향이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 여부와 상관 없이, 모아레 현상이 저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3 및 8의 경우, Moire 평가(1)의 결과가 0.06 및 0.01로 다른 실시예 대비 모아레 현상이 특히 저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비율이 최저 10.76%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제2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비율이 최저 2.01%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베젤(bezel)이 차지하는 영역의 비율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14 in which the tilting angle forms 5 degrees (°) to 14 degrees (°), regardless of whether the tilting direction i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moiré phenomenon is It can be seen that the reduc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xamples 3 and 8, the results of the Moire evaluation (1) were 0.06 and 0.01, confirming that the moire phenomenon was particularly reduced compared to the other examples. In addition, when driving by the first signal driving metho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atio of the dead space is at least 10.76%. In particular, when driving by the second driving method, the dead space (dead space) is formed. ) can be confirmed that the ratio is at least 2.01%, s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bezel can be minimized.

이에 반해, 틸팅 앵글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의 경우, Moire 평가(1)의 결과가 실시예 대비 최대 6.25까지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목시 평가 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아레 현상이 강하게 시인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 실시예 대비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비율이 최대 27.01%p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구동 방식에 의하더라도, 실시예 대비 최대 5.35%p 이상 차이가 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베젤(bezel)이 차지하는 영역의 비율이 실시예 대비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tilting angle is ou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sult of Moire evaluation (1) differs by up to 6.25 compared to the example, and as can be seen from the visual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this, moire It can be seen that the phenomenon is strongly recogniz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driving by the first driving method,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of the dead space compared to the embodiment differs by at most 27.01%p or more, and even by the second driving method, up to 5.35 compared to the embodi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p or mor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bezel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embodiment.

10: 투명기판
20: 전극부
20-1: 제 1 전극부
20-2: 제 2 전극부
20-3: Tx구동회로
20-4: Rx구동회로
30: 절연층
40: 디스플레이부
50: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
10: transparent substrate
20: electrode part
20-1: first electrode part
20-2: second electrode part
20-3: Tx drive circuit
20-4: Rx drive circuit
30: insulating layer
40: display unit
50: pattern portion of display pixels

Claims (12)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전극부,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 사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는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를 기준으로 0도 내지 14도의 틸팅 앵글(θ)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부는 구동신호가 공급되는 Tx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부는 구동신호에 동기하여 전하를 수신하는 Rx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Tx라인이 터치패널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에 대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비활성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30% 이하; 또는
상기 Tx라인이 터치패널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공급되는 구동신호 및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에 대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비활성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6.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터치센서.
transparent substrate;
an electrode part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art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lectrode part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A touch panel comprising a; an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Including a display unit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touch panel,
The electrode part is formed with a tilting angle (θ) of 0 degrees to 14 degrees based on the pattern part of the pixel of the display part,
The first electrode part includes a Tx line to which a driving signal is supplied,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includes an Rx line for receiving charg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riving signal,
The Tx line is driven by a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touch panel,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the ratio of the non-active area of the touch panel to 30% or less; or
The Tx line is driven by a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touch panel and a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the other side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ccupied by the inactive area of the touch panel is 6.5% or 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디스플레이부 픽셀의 패턴부를 기준으로 5도 내지 14도의 틸팅 앵글(θ)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터치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part is formed with a tilting angle (θ) of 5 to 14 degrees based on the pattern part of the pixel of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부는, 제 1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금속 세선(細線)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부는, 제 2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금속 세선(細線)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터치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ctrod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thin metal wire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thin metal wires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High-resolution touch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부와 상기 제 2 전극부는 80도 내지 100도의 교차각(Φ)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터치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re formed to have an intersection angle (Φ) of 80 degrees to 100 degree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는 90도의 교차각(Φ)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터치센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re formed to have an intersection angle (Φ) of 90 degre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제 1 전극부를 구성하는 전극패턴의 피치(T)와 제 2 전극부를 구성하는 전극패턴의 피치(T)가 각각 35㎛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터치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part, the high-resolution touch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itch (T) of the electrode pattern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pitch (T) of the electrode pattern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part are 35㎛ to 80㎛,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를 구성하는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는, 각각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터치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pper (Cu), aluminum (Al), gold (Au), silver (Ag), titanium (Ti), palladium (Pd), chromium (Cr), respectively,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constituting the electrode part , Nickel (Ni),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loys thereof, a high-resolution touch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양자점발광다이오드(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QLED),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영동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및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터치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QLED), and a plasma. A high-resolution touch senso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anel; PDP), an electrophoretic display (EPD), and a cathode ray tube (CRT).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은, 글라스(Glas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Copolymer; CO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및 아크릴(Acry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터치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glas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olyCarbonate; PC),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 Polyethersulfone (PES), Cyclic Olefin Copolymer (COC), Triacetylcellulose (TAC) film, Polyvinyl alcohol (PVA) film, Polyimide (PI) film, Polystyrene (PS), biaxially oriented polystyrene (K-resin containing Biaxially oriented PS; BOPS), and acryl (Acry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igh-resolution touch sensor.
KR1020200039820A 2020-04-01 2020-04-01 High resolution touch sensor KR102337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820A KR102337893B1 (en) 2020-04-01 2020-04-01 High resolution touch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820A KR102337893B1 (en) 2020-04-01 2020-04-01 High resolution touch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539A KR20210122539A (en) 2021-10-12
KR102337893B1 true KR102337893B1 (en) 2021-12-09

Family

ID=7807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820A KR102337893B1 (en) 2020-04-01 2020-04-01 High resolution touch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89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669B1 (en) 2014-11-26 2015-04-23 에스맥 (주) Touch Screen Panel for Preventing Moi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258B1 (en) * 2012-05-23 2018-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482401B1 (en) 2013-04-30 2015-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and Method for evaluation visibility of electorde pattern of the touch panel
KR20190015876A (en) * 2017-08-07 2019-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for reducing Moire and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669B1 (en) 2014-11-26 2015-04-23 에스맥 (주) Touch Screen Panel for Preventing Mo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539A (en)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4891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203818B2 (en) Touch screen panel including at least one dummy pattern
US9195336B2 (en) Touch-type input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307635B2 (en) Electrode pattern and touchscreen using the same
KR101482401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and Method for evaluation visibility of electorde pattern of the touch panel
US9958998B2 (en) Mesh-type electrode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panel including the same
US20160364048A1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US9830033B2 (en) Touch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007011A1 (en) Capacitive touch screen with a mesh electrode
US9304631B2 (en) Touch screen panel
US20120242606A1 (en) Trace design for reduced visibility in touch screen devices
US20130341070A1 (en) Touch panel
US20120169626A1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US10884557B2 (en) Touch input device
US9542053B2 (en) Touch screen, touch panel, display, and electronic apparatus
EP2500805A2 (en) Touch panel and touch screen having the same
KR20180067226A (en) touch sensor capable of detecting fingerprint, an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3270271A1 (en) In-cell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KR20170115507A (en) Sensors, input devices, keyboards and electronic devices
TW201520862A (en) Touch panel
US20150138453A1 (en) Touch panel
US10739923B2 (en) Touch panel member
EP3336670B1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244582B2 (en) Touch panel
KR102337893B1 (en) High resolution touch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