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179B1 -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 Google Patents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179B1
KR102333179B1 KR1020200184272A KR20200184272A KR102333179B1 KR 102333179 B1 KR102333179 B1 KR 102333179B1 KR 1020200184272 A KR1020200184272 A KR 1020200184272A KR 20200184272 A KR20200184272 A KR 20200184272A KR 102333179 B1 KR102333179 B1 KR 102333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emergency
user
user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2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경욱
고윤일
Original Assignee
신경욱
고윤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욱, 고윤일 filed Critical 신경욱
Priority to KR102020018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1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1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0/00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 G04C10/02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the power supply being a radioactive or photovoltaic sour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1Alarm cancelling procedures or alarm forwarding decisions, e.g. based on absence of alarm confi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comprises: a watch including a main body and a watch strap detachable from the watch and detecting an abnormal state according to a wearing state of a user to send an emergency alarm; a user terminal paired with the watch, receiving the emergency alarm from the watch, and sending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inclu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n institution server receiving the emergency occurrence alarm from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emergency confi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alarming an emergency call-out if unconfirmed.

Description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본 발명은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최근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용자의 위치기반의 서비스가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특히, 여성이나 어린이와 같이 각종 범죄에 대한 보호 능력이 취약한 겨우, 이를 위한 안전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various user location-based services are appearing. In particular, when protection against various crimes, such as women or children, is weak, safety services are emerging.

일례로, 안전 서비스는 사용자 또는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이상징후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으로 긴급 출동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 서비스는 사용자가 범죄자에게 직면하여 당황하기 때문에, 알람신호 또는 구조 요청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지연되므로 초기 대응이 미흡하였다. For example, the safety service is a service that monitors an abnormal symptom occurring in or around a user and urgently dispatches to the sit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afety service, the initial response was insufficient because the operation for sending the alarm signal or the rescue request signal was not made or delayed because the user was embarrassed by the face of the criminal.

따라서 사용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알람을 하기 위한 서비스 및 장치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Accordingly, the demand for services and devices for promptly and safely alarming users is increasing.

KRUS 2009-01074142009-0107414 A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시계의 착용상태에 따라 긴급상황을 감지하여 알람할 수 있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in which a user can detect and alarm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wearing state of the watch.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시계줄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착용상태에 따라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긴급상황 알람을 전송하는 시계; 상기 시계와 페어링되며, 상기 시계로부터 긴급상황 알람을 수신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발생 알람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긴급상황 발생 알람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긴급상황 확인을 요청하며 미확인시 긴급출동을 알람하는 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watch including a main body and a watch strap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and detecting an abnormal state according to a user's wearing state to transmit an emergency alarm; a user terminal paired with the watch and configured to receive an emergency alarm from the watch and transmit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inclu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n agency server that receives the emergency occurrence alarm from the user terminal, requests the user terminal to confirm the emergency situation, and alerts the emergency dispatch when uncheck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상상태는 상기 시계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상기 시계줄로부터 분리된 상태, 및 상기 시계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bnormal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is separated from the watch band in a state in which the watch is worn by the user, and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mo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e watch is worn by the user. may be any one of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계는 상기 본체와 상기 시계줄의 결합 부분에 각각 구비되는 단차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단차부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시계줄에서 상기 단차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자석; 상기 본체에서 상기 자석 사이에 구비되는 접촉 센서; 상기 시계줄에서 상기 접촉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접촉 단자;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근접감지 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상기 접촉 센서와 상기 접촉 단자의 연결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와 상기 시계줄의 분리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근접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시계의 착용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tch has a step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watch strap; Magne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step portion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tep portion in the watch strap; a contact sensor provided between the magnets in the body; a contact terminal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sensor in the watch strap; a proximity senso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 motion sensor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configured to detect a mo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ain body and the watch band are separ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touch sensor and the contact terminal are conn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watch is wor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roximity sensor, and detecting the motion sensor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n abnormal state according to the resul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계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시계표시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페어링 표시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마그네틱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tch includes a watch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a pairing display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 battery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a magnetic charging uni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charge the battery by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긴급상황 확인을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긴급상황 해제를 위해 기등록된 제1비밀번호를 전송하면 상기 긴급상황 알람을 해제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로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계로 알람 중지를 요청하면, 상기 시계는 상기 긴급상황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titution server requests a password for confirming the emergency situ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 pre-registered first password to release the emergency situation, the emergency alarm is canceled When a request is made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requests the watch to stop the alarm, the watch may release the emergency alarm.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긴급상황 해제로 기만하기 위해 기등록된 제2비밀번호를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계로 알람 중지를 요청하며, 상기 기관 서버는 상기 제2비밀번호가 기만용으로 판단하여 상기 긴급출동을 알람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 pre-registered second password to deceive by releasing an emergency situation, the user terminal requests to stop the alarm with the watch, and the institution server determines that the second password is for decep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dispatch can be alarm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시간 이내에 비밀번호를 수신하지 않거나 전송된 비밀번호가 틀린 경우 상기 긴급출동을 알람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institution server may alert the emergency call if the password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or the transmitted password is incorre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계의 기본정보, 사용자의 건강정보, 신체정보, 비상연락처 및 혈액형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긴급상황 알람에 포함하여 상기 기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기관 서버는 상기 긴급출동을 알람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정보를 확인가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receives and stores user information including basic information of the watch,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body information,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and blood type, and includes the user information in the emergency alarm. It is transmitted to an institution server, and the institution server may check the user information only when the emergency dispatch is alarm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은 상기 시계의 개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기관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계가 상기 기관 단말에 태깅되면, 상기 기관 단말은 상기 시계로 개인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시계는 상기 기관 단말이 등록된 경우, 상기 요청한 개인정보를 상기 기관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보호자 연락처, 건강정보 및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further comprises an institution terminal for check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tch, and when the watch is tagged to the institution terminal, the institution terminal request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watch, The watch transmits the request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institution terminal when the institution terminal is registered,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a guardian's contact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and an addres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은 사용자가 출입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중계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계가 상기 중계 단말에 태깅되면, 상기 중계 단말은 상기 시계를 인식하여 상기 시계에 대한 개인정보와 태깅 시간을 상기 기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기관 서버는 상기 태깅 시간과 상기 중계 단말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개인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further includes a relay terminal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user enters and exits, and when the watch is tagged to the relay terminal, the relay terminal recognizes the watch and provides personal information for the watch. The information and tagging time may be transmitted to the organization server, and the organization server may transmit the tagging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lay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계는 교통수단에 구비된 단말과 통신하여 교통비 지불을 처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watch may communicate with a terminal provided in a means of transportation to process payment of transportation cost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계와의 페어링후 상기 시계로부터 수신된 신호세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안전거리 이탈을 알람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may alarm the safety distance departure so that the user recognizes if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watch after pairing with the watch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계는 차량과 통신하여 스마트키로 기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tch may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and function as a smart ke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된 경우, 상기 차량으로 통신구축 요청시 상기 차량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상기 시계를 인증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watch is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when a communication establishment request is made to the vehicle, the vehicle may authenticate the watch through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계의 본체가 상기 시계줄로부터 분리된 상태, 또는 상기 시계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은 상기 시계로 사용자 확인을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고, 상기 시계가 상기 차량과의 통신을 구축하기 위해 기등록된 제3비밀번호를 전송하면 상기 차량은 상기 시계와의 통신을 구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main body of the watch is separated from the watch band, or the watch is not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the vehicle requests a password for user confirmation with the watch, and the watch When the third password registered in order to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is transmitted, the vehicle may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the watc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은 사용자가 시계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계의 본체가 시계줄로부터 분리되면 긴급상황으로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에 의해 긴급상황을 알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대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emergency when the body of the watch is separated from the watch strap while the user is wearing the watch and transmits it to the institution server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reby providing an emergency by a simple method. Since the situation can be alarmed, the user can quick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또한, 본 발명은 알람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와 알람 해제로 기만하기 위한 비밀번호와 같이 이중 비밀번호를 적용함으로써, 위급 상황에서 상대방을 기만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긴급상황을 관련 기관으로 알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긴급상황 대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double password such as a password for canceling an alarm and a password for deceiving by releasing an alarm, so that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reliably alarmed to a related organization while deceiving the other party in an emergency situation, so that the user responds to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done stabl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기관 서버로 긴급상황 발생 알람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기관 서버는 긴급출동을 알람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정보를 확인가능함으로써, 사용자 정보의 불필요한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 보호를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provides user informa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o the agency server, and the agency server can check user information only when an emergency dispatch is alarmed,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exposure of user information. Privacy can be guarante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시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시계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시계의 시계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시계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시계의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긴급출동 알람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개인정보 확인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출입확인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안전거리 이탈 알람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변형예의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스마트키 기능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스마트키 기능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ch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ch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ch band of the watch of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watch of Figure 2,
6 is a block diagram of a watch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dispatch alarm operation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heck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ess check operation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afety distance departure alarm operation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dified example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smart key function operation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smart key function operation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scop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so as to more fully and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recit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of those specified.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movement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os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regions and/or region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elements, parts, regions, layers and/or reg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 These terms do not imply a specific order, upper and lower, or superiority,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region or region from another. Accordingly, a first member, region, or reg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region or reg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r”, “at least one”, etc. may indicate one of the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example, "A or B" and "at least one of A and B" may include only one of A or B, or both A and B.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schematically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variations of the illustrated shape may be expected, for example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s. Therefo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shown in this specificatio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a change in shape caused by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10)은 시계(100), 사용자 단말(200) 및 기관 서버(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ch 100 , a user terminal 200 , and an institution server 300 .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시계(100)와 보편적으로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페어링하여 기관 서버(300)로 긴급상황을 알람하기 위한 것이다.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10 is for pairing the watch 100 worn by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200 that is commonly carried to alert the agency server 300 of an emergency situation.

시계(100)는 사용자의 착용상태에 따라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긴급상황 알람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시계(100)는 서로 분리가능한 본체와 시계줄을 포함한다. The watch 100 detects an abnormal state according to the wearing state of the user and transmits an emergency alarm to the user terminal 200 . Here, the watch 100 includes a body and a watch band that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이때, 시계(100)는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본체와 시계줄이 분리된 상태이면 이상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시계(100)는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이면 이상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ch 100 may detect an abnormal state when the main body and the watch strap are separated while worn by the user. In addition, the watch 100 may detect an abnormal state when there is no movement of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being worn by the user.

이에 의해, 긴급한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당황하지 않고 간단한 방법으로 긴급상황을 알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대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기관의 긴급출동으로 범죄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user can be aler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in a simple way without panicking. Therefore, users can respond quickly to emergency situations, and crimes can be suppressed at an early stage by emergency dispatch of related organizations.

사용자 단말(200)은 시계(100)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페어링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시계(100)로부터 긴급상황 알람을 수신하면 긴급상황 발생 알람을 기관 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긴급상황 발생 알람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획득한 현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The user terminal 200 is paired with the watch 100 in a Bluetooth manner. In addition, when receiving an emergency alarm from the watch 100 ,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to the institution server 300 . Here, the emergency occurrence alarm includ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긴급상황 발생 알람을 기관 서버(300)로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정보는 긴급상황 알람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기관 서버(300)는 긴급출동을 알람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정보를 확인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to the agency server 300 ,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together. That is, the user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emergency alert. In this case, the agency server 300 can check the user information only when an emergency dispatch is alarmed.

이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은 긴급상황 발생 알람을 전송할 때마다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지만, 사용자 정보는 알람 해제시에는 노출되지 않고 긴급출동하는 경우에만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 정보의 불필요한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 보호를 보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user information every time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is transmitted, but user information is not exposed when the alarm is released, but only when an emergency is dispatched, so unnecessary exposure of user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have. Therefore,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an be guaranteed.

기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긴급상황 발생 알람을 수신한다. 이때, 기관 서버(300)는 긴급상황 확인을 사용자 단말(200)로 요청할 수 있다. 기관 서버(300)는 긴급상황 확인 요청에 대하여 확인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구조요원이 출동하도록 긴급출동을 알람한다. 여기서, 구조요원은, 경찰, 소방대원 및 의료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gency server 300 receives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from the user terminal 200 . In this case, the institution server 300 may request the user terminal 200 to confirm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confirmation response to the emergency confirmation request is not received, the agency server 300 notifies the emergency dispatch so that rescue workers are dispatched. Here, the rescue personne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lice officer, a firefighter, and a medical team.

일례로, 기관 서버(300)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10)을 운영하는 서비스 공급사의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기관 서버(300)는 경찰서, 소방서 또는 병원 등과 같이 긴급상황 알람에 대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의 서버로 긴급출동을 알람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관 서버(300)는 경찰서, 소방서 또는 병원의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기관 서버(300)는 해당 기관의 구조요원에게 긴급출동을 알람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gency server 300 may be a server of a service provider operating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10 . In this case, the institution server 300 may alert the emergency dispatch to a server of an institution capable of performing an emergency alarm action, such as a police station, a fire department, or a hospital. As another example, the agency server 300 may be a server of a police station, a fire station, or a hospital. In this case, the institution server 300 may alert the rescue personnel of the institution to the emergency dispatch.

기관 서버(300)에서 사용자 단말(200)로의 긴급상황 확인시, 사용자 단말(200)은 이중 비밀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긴급상황 해제를 위한 제1비밀번호와 긴급상황 해제로 기만하기 위한 제2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긴급상황 알람이 전송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1비밀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이 눈치를 채지 못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실제 알람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제2비밀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When checking an emergency situation from the institution server 300 to the user terminal 200 , the user terminal 200 may use a double password. Here,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first password for releasing the emergency situation and a second password for deceiving the emergency situation release. That is, when an emergency alarm is transmitted due to a user's mistake, the user may transmit the first passwor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ducing the other party not to notice and at the same time performing an actual alarm, the user may transmit the second passwor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이에 의해, 위급 상황에서 상대방이 관심을 돌리도록 기만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긴급상황을 관련 기관으로 알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긴급상황 대처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alert the relevant organiz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while deceiving the other party to turn their attention. Therefore, the user can calmly and stably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without panicking.

또한,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10)은 기관 단말(400) 및 중계 단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n engine terminal 400 and a relay terminal 500 .

기관 단말(400)은 시계(100)의 개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기관 단말(400)은 시계(100)로부터의 긴급상황 알람에 의해 긴급출동하는 구조요원이 소속된 기관에 설치되는 단말일 수 있다.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is for check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tch 100 . Here, the engine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installed in an organization to which a rescue worker who is urgently dispatched by an emergency alarm from the watch 100 belongs.

보다 구체적으로, 기관 단말(400)은 구조요원에 의해 사용자의 신병이 확보되면, 시계(100)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보호자 연락처, 건강정보 및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관 단말(400)은 시계(100)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기관 서버(300)로부터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s recruit is secured by the rescue worker,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may check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atch 100 . 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a guardian's contact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and an address. Alternatively,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may check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institution server 300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atch 100 .

이에 의해, 사용자를 구조한 기관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즉시 알 수 있으므로 보호자에게 안전하고 신속하게 인도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조치 후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reby, since the user's information can be immediately known from the organization that rescued the user, it can be safely and quickly delivered to the guardian. Therefore, follow-up measures can be carried out quickly after rescue measures.

중계 단말(500)은 사용자가 출입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단말이다. 특히,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 중계 단말(500)은 학교 또는 학원에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The relay terminal 500 is a terminal installed at a place where a user enters and exits. In particular, when the user is a child, the relay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installed in a school or a private institute.

이때, 중계 단말(500)은 사용자의 출입 시간을 기관 서버(3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시계(100)는 어린이가 착용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보호자의 단말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lay terminal 500 may transmit the user's access time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institution server 300 . Here, the watch 100 may be worn by a child, and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 terminal of a guardian.

이에 의해, 어린이와 같은 사용자의 주요 생활 거점에 대한 정보를 도착 또는 출발 즉시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의 이동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주요 동선에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information on the main life base of the user, such as a child, can be provided to the guardian upon arrival or departu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children while they are moving and at the same time to check their location in the main movem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시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시계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시계의 시계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시계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ch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ch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ch band of the watch of Figure 2, Figure 5 is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watch of FIG. 2 .

도 2를 참조하면, 시계(100)는 본체(101) 및 시계줄(104, 10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1)는 그 전면에 시계표시부(102) 및 페어링 표시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watch 100 may include a main body 101 and watch bands 104 and 105 . Here, the main body 101 may include a watch display unit 102 and a pairing display unit 103 on the front thereof.

시계표시부(102)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방식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watch display unit 102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this case, the time may be displayed in a digital or analog manner.

페어링 표시부(103)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페어링 표시부(103)는 시계(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페어링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시계(100)와 사용자 단말(200)이 페어링된 상태에서 페어링 표시부(103)는 모두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시계(100)와 사용자 단말(200)이 페어링 중일 때는 페어링 표시부(103)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할 수 있다.The pairing display unit 103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In this case, the pairing display unit 103 may display a pairing state between the watch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watch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re paired, the pairing display unit 103 may be lit. In addition, when the watch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re being paired, the pairing display unit 103 may be turned on and off sequentially from one side to the other.

시계줄(104, 105)은 본체(101)의 양측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1)와 시계줄(104, 105)은 자석(106, 106a)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시계줄(104, 105)은 모두 본체(101)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지만, 어느 하나만 시계(1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The watch bands 104 and 105 may be resp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1 . 3 and 4 , the main body 101 and the watch bands 104 and 105 may be detachably coupled by the magnets 106 and 106a. Here, both the watch bands 104 and 105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1 , but only on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ch 100 .

본체(101)는 양측에 단차부(101a)가 구비되고, 시계줄(104, 105)은 본체(101)와 결합되는 일측에 단차부(105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단차부(101a, 105a)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101)의 단차부(101a)는 하단에 구비되고, 시계줄(105)의 단차부(105a)는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1 may be provided with stepped portions 101a on both sides, and the watch straps 104 and 105 may be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105a on one side coupled to the main body 101 . In this case, the step portions 101a and 105a may be provided to engag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stepped portion 101a of the main body 101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the stepped portion 105a of the watch strap 105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본체(101)는 단차부(101a)의 상단 양측에 자석(106)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시계줄(105)은 단차부(105a)의 양측에 자석(106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자석(106a)은 본체(101)와 시계줄(105)의 결합시 자석(106)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1 may be provided with magnets 106 on both upper ends of the stepped portion 101a. Similarly, the watch strap 105 may be provided with magnets 106a on both sides of the stepped portion 105a. At this time, the magnet 106a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magnet 106 when the main body 101 and the watch band 105 are coupled.

여기서, 본체(101)와 시계줄(105)의 결합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체(101)와 시계줄(104)의 결합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although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mbination of the main body 101 and the watch strap 105, this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combination of the main body 101 and the watch strap 104, of course.

이에 의해, 사용자가 시계(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본체(101)를 잡아 당김으로써, 본체(101)를 시계줄(104, 105)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ly, by pulling the main body 101 while the user wears the watch 100 , the main body 101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watch straps 104 and 105 .

이때, 본체(101)와 시계줄(104, 105)의 분리를 감지하기 위해 자석(106, 106a) 사이에 접촉 센서(107) 또는 접촉 단자(107a)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101)는 자석(106) 사이에 접촉 센서(107)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센서(107)는 자석(106)과 일자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contact sensor 107 or a contact terminal 107a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agnets 106 and 106a to detect the separation of the main body 101 and the watch bands 104 and 105 . For example, the body 101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sensor 107 between the magnets 106 . Here, the contact sensor 107 may be provided in line with the magnet 106 .

이와 유사하게, 시계줄(105)은 자석(106a) 사이에 접촉 단자(107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접촉 단자(107a)는 본체(101)와 시계줄(105)의 결합시 접촉 센서(107)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접촉 센서(107)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단자(107a)는 자석(106a)과 일차로 구비될 수 있다.Similarly, the watch strap 105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terminal 107a between the magnets 106a. In this case, the contact terminal 107a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ensor 107 so as to be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contact sensor 107 when the main body 101 and the watch strap 105 are coupled. Also, the contact terminal 107a may be provided primarily with the magnet 106a.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1)는 그 후면에 근접감지 센서(108) 및 마그네틱 충전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main body 101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08 and a magnetic charging unit 109 on a rear surface thereof.

근접감지 센서(108)는 시계(100)를 사용자가 착용하면, 사용자의 손목을 감지함으로써 시계(100) 착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근접감지 센서(108)는 인체를 감지하도록 열감지 센서일 수 있다. When the user wears the watch 100 , the proximity sensor 108 may detect whether the watch 100 is worn by detecting the user's wrist. For example, the proximity sensor 108 may be a thermal sensor to detect a human body.

마그네틱 충전부(109)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시계(100)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일례로, 마그네틱 충전부(109)는 외부전원과의 무선충전 방식으로 본체(101)의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그네틱 충전부(109)는 외부전원과 단자 접촉에 의해 본체(101)의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magnetic charging unit 109 may charge the battery inside the watch 100 by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magnetic charging unit 109 may supply charging power of the main body 101 in a wireless charging method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Alternatively, the magnetic charging unit 109 may supply charging power of the main body 101 by contacting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terminal.

시계줄(104, 105)은 체결수단(104b, 105b)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시계줄(104, 105) 각각은 본체(101)와 결합되지 않는 타측에 체결수단(104b, 105b)이 구비될 수 있다. The watch straps 104 and 105 may be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104b and 105b, respectively. Here, each of the watch bands 104 and 105 may be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104b and 105b on the other side that is not coupled to the main body 101 .

이때, 본체(101)의 좌측 시계줄(104)에 구비되는 체결수단(104b)은 복수의 구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1)의 우측 시계줄(105)에 구비되는 체결수단(105b)은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손목에 맞게 시계줄(104, 10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ans 104b provided on the left watch strap 104 of the main body 10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he fastening means 105b provided on the right watch strap 105 of the main body 101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pin inserted into the hole.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watch bands 104 and 105 to fit his/her wris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시계의 블록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of a watch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시계(100)는 본체(101)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거나 그 내부에 다양한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시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체(101)의 표면에 구비되는 시계표시부(102), 페어링 표시부(103), 접촉 센서(107), 근접감지 센서(108) 및 마그네틱 충전부(109) 이외에도, 움직임감지 센서(110), 배터리(120), 제어부(130), 제1통신부(150) 및 제2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ch 10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r rear of the main body 101 or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therein. That is, the watch 100 includes a watch display unit 102 , a pairing display unit 103 , a contact sensor 107 , a proximity sensor 108 and a magnetic charging unit 109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motion detection sensor 110 , a battery 120 , a control unit 130 , a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60 .

움직임감지 센서(110)는 본체(10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움직임감지 센서(110)는 시계(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움직임감지 센서(110)는 자이로센서 또는 3축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The motion sensor 1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1 . The motion sensor 110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watch 100 . For example, the motion sensor 110 may be a gyro sensor or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배터리(120)는 본체(10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20)는 마그네틱 충전부(109)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The battery 120 may supply power to the main body 101 . Here, the battery 120 may be charged by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magnetic charging unit 109 .

제어부(130)는 시계(100)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접촉 센서(107)와 접촉 단자(107a)의 연결여부에 따라 본체(101)와 시계줄(104, 105)의 분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접촉 센서(107)가 접촉 단자(107a)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면, 본체(101)와 시계줄(104, 105)의 결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30)는 접촉 센서(107)가 접촉 단자(107a)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면, 본체(101)와 시계줄(104, 105)의 분리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perform overall control of the watch 100 .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main body 101 and the watch straps 104 and 105 are separ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act sensor 107 and the contact terminal 107a are connected. That is, when the contact sensor 107 electrically contacts the contact terminal 107a,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at the main body 101 and the watch straps 104 and 105 are coupled. Conversely, when the contact sensor 107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ontact terminal 107a,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main body 101 and the watch bands 104 and 105 are separated.

또한, 제어부(130)는 근접감지 센서(108)의 감지 결과에 따라 시계(100)의 착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근접감지 센서(108)가 손목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 시계(100)의 착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30)는 근접감지 센서(108)가 손목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시계(100)의 미착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watch 100 is worn or no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roximity sensor 108 . That is, when the proximity sensor 108 detects the approach of the wrist,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wear state of the watch 100 . Conversely, when the proximity sensor 108 does not detect the approach of the wrist,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watch 100 is not worn.

또한, 제어부(130)는 움직임감지 센서(1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시계(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이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an abnormal stat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10 .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in an abnormal state if there is no movem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wearing the watch 100 .

이에 의해, 노인 등과 같이 일상 생활중 갑작스럽게 쓰러져 의식을 잃는 상황 등과 같은 긴급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관 서버(300)로 긴급상황 알람을 전송함으로써,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nse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situation in which the elderly suddenly collapses and loses consciousness during daily life, such as the elderly. Therefore, by transmitting an emergency alarm to the agency server 300 , it is possible to support prompt action.

이때,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긴급상황을 판단하면, 제1통신부(150)를 통하여 페어링 상태인 사용자 단말(200)로 긴급상황 알람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30)는 긴급상황 알람에 따라 시계표시부(102), 페어링 표시부(103) 또는 알람수단(미도시)에 의해 시계(100)에서 알람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determining the emergency situ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transmit an emergency alarm to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pairing stat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 Optionally,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watch 100 to display an alarm by the watch display unit 102 , the pairing display unit 103 , or an alarm means (not shown) according to the emergency alarm.

또한, 제어부(130)는 제1통신부(15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과의 페어링 상태를 페어링 표시부(103)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pair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o display the pairing state with the user terminal 200 on the pairing display unit 103 .

또한, 제어부(130)는 마그네틱 충전부(109)를 통하여 외부전원에 의해 배터리(120)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배터리(120)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완충될 때까지 충전지속하거나 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battery 120 to be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the magnetic charging unit 109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charging state to continue charging or stop charging until fully charged by sens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120 .

또한, 제어부(130)는 시계(100)가 교통카드로 기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30)는 제2통신부(160)를 통하여 교통수단에 구비된 단말과 통신하여 교통비 지불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watch 100 to function as a transportation car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o process the transportation fee payment by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provided in the transportation mean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60 .

또한, 제어부(130)는 시계(100)가 차량용 스마트키로 기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30)는 제1통신부(150)를 통하여 차량에 구비된 ECU(Electric Control Unit)와 통하여 스마트키로서 기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watch 100 to function as a smart key for a vehicl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o function as a smart key through an ECU (Electric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

또한, 제어부(130)는 기관 단말(400)로부터 정보요청을 수신하면, 정보를 요청한 기관 단말(400)이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정보 요청한 기관 단말(400)이 등록된 경우, 제2통신부(160)를 통하여 미리 저장된 개인정보를 기관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upon receiving the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requesting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is case, when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requesting information is registered,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transmit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to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60 .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알람 중지 요청을 수신하면, 긴급상황 알람의 전송을 중지하여 알람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시계(100)의 알람 기능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upon receiving a request to stop the alarm from the user terminal 200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cancel the alarm by 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emergency alarm.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release the alarm function of the watch 100 .

저장부(140)는 개인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보호자 연락처, 건강정보 및 주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personal information. 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guardian contact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and address.

제1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통신부(150)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00 . In this cas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제2통신부(160)는 기관 단말(400), 중계 단말(500) 및 교통수단에 구비된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통신부(160)는 NF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60 may communicate with the engine terminal 400 , the relay terminal 500 , and a terminal provided i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is cas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60 may perform NFC communic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200)은 제1통신부(210), GPS 수신부(220), 입력부(230), 제어부(240), 제2통신부(250), 저장부(260) 및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 a GPS receiving unit 220 , an input unit 230 , a control unit 240 ,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 a storage unit 260 , and a display unit 270 . can

제1통신부(210)는 시계(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통신부(210)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시계(100)와 페어링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may communicate with the watch 100 . In this cas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paired with the watch 10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GPS 수신부(220)는 GPS 위성과 통신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GPS receiver 22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a GPS satellite.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일례로, 입력부(230)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The input unit 230 may input user information by a user's manipulation. For example, the input unit 230 may be a touchpad.

제어부(240)는 제1통신부(210)를 통하여 시계(100)와 페어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40 may control to pair with the watch 1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

또한, 제어부(240)는 시계(100)로부터 긴급상황 알람을 수신하면, 제2통신부(250)를 통하여 긴급상황 발생 알람을 기관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GPS 수신부(220)에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긴급상황 발생 알람에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when receiving an emergency alarm from the watch 100 , 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o transmit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to the agency server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40 may control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GPS receiver 220 to be included in the emergency occurrence alarm and transmitted.

선택적으로, 제어부(240)는 긴급상황 발생 알람을 기관 서버(300)로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를 긴급상황 알람에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ptionally, when transmitting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to the agency server 300 , the controller 240 may control to include user information in the emergency situation alarm and transmit it.

또한, 제어부(240)는 기관 서버(300)가 긴급상황 확인을 요청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긴급상황 해제를 위한 제1비밀번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기만을 위한 제2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 기관 서버(300)로 긴급출동 하기 위해 제2비빈번호를 기관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40)는 시계(100)로 알람 중지를 요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gency server 300 requests to confirm the emergency situation, 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o transmit the first password for canceling the emergency situation input by the user. Optionally, when the user inputs the second password for deception, the controller 240 may control to transmit the second password to the institution server 300 in order to emergency dispatch to the institution server 30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240 may control the watch 100 to request an alarm stop.

또한, 제어부(240)는 기관 서버(300)로부터 긴급상황 확인요청에 따라 정상 해제가 입력된 경우, 시계(100)로 알람 중지를 요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normal release is input according to an emergency confirmation request from the institution server 300 , the controller 240 may control the watch 100 to request an alarm stop.

또한, 제어부(240)는 기관 서버(300)로부터 중계 단말(500)에 태깅한 시계(100)의 시간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하여 시간 및 위치를 알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tch 100 tagged to the relay terminal 500 from the agency server 300 , 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he time and location to be alarmed through the display unit 270 . have.

또한, 제어부(240)는 시계(100)와의 페어링후 제1통신부(210)를 통하여 시계(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신호세기가 임계값 이하이면, 안전거리 이탈을 알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거리 이탈의 알람은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안전거리 이탈의 알람은 스피커 또는 부저(미도시)에 의한 부저음 또는 경고음이나 진동자(미도시)에 의한 진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40 may control to measure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watch 1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after pairing with the watch 100 . At this time, if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o alarm the departure of the safety distance. Here, the alarm of deviation from the safe distance is for the user to recognize, and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isplay unit 270 . In addition, the alarm of deviation from the safe distance may be performed by a buzzer sound or a warning sound by a speaker or a buzzer (not shown) or vibration by a vibrator (not shown).

제2통신부(250)는 기관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통신부(250)는 무선 랜 또는 셀룰러 망과 같은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may communicate with the institution server 300 . In this cas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less LAN or a cellular network.

저장부(260)는 입력부(230)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시계(100)의 기본정보, 사용자의 건강정보, 신체정보, 비상연락처 및 혈액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torage unit 260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input by the input unit 230 . Her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basic information of the watch 100 ,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body information,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and blood 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디스플레이부(27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270)는 입력부(230)와 통합된 터치패드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70 may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270 may be a touchpad integrated with the input unit 230 .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10)은 간단한 방법에 의해 긴급상황을 알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대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위급 상황에서 상대방을 기만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긴급상황을 알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긴급상황 대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 정보의 불필요한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 보호를 보장할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arm an emergency situation in a simple way, so that a user can quick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and deceive the other party in an emergency situation. However, since it is possible to reliably alert an emergency situation, a user's emergency response can be made stably, and unnecessary exposure of user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thereby ensuring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긴급출동 알람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dispatch alarm operation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10)의 긴급출동 알람 동작(610)은 먼저, 시계(100)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1). 여기서, 시계(1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이다. 이때, 시계(100)는 본체(101)가 시계줄(104, 105)로부터 분리되었는지의 여부 및 일정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상황을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in the emergency dispatch alarm operation 610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10 , first, the watch 100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has occurred (step S611 ). Here, the watch 100 is worn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watch 100 may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has occurred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body 101 is separated from the watch straps 104 and 105 and whether there is no mov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단계 S611의 판단결과, 긴급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면, 시계(100)는 지속적으로 긴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11, if the emergency situation does not occur, the watch 100 may continuously determine whether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단계 S611의 판단결과,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으면, 시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긴급상황 알람을 전송한다(단계 S612). 일례로, 사용자가 본체(101)를 잡아당겨 시계줄(104, 105)과 분리한 경우, 또는,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가 움직임이 없는 경우, 시계(100)는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긴급상황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11, if an emergency has occurred, the watch 100 transmits an emergency alarm to the user terminal 200 (step S612). For example, when the user pulls the main body 101 and separates it from the watch straps 104 and 105, or when the user does not mo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watch 100 detects an abnormal state and generates an emergency alarm. can be transmitted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기관 서버(300)로 긴급상황 발생 알람을 전송한다(단계 S613).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긴급상황 발생 알람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to the institution server 300 (step S613).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0 may acquire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include it in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and transmit it.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긴급상황 발생 알람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시계(100)의 기본정보, 사용자의 건강정보, 신체정보, 비상연락처 및 혈액형을 포함할 수 있다.Optionally,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stored user information together with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Her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basic information of the watch 100 ,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body information,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and blood type.

다음으로, 기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 긴급상황 확인을 요청한다(단계 S614). 이때, 기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 긴급상황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할 수 있다.Next, the agency server 300 requests the user terminal 200 to confirm the emergency situation (step S614). In this case, the institution server 300 may request a password for releasing the emergency situ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기관 서버(300)로 확인응답을 전송한다(단계 S615).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기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an acknowledgment to the institution server 300 (step S615).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to the institution server 300 .

다음으로, 기관 서버(300)는 긴급상황이 해제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6). 이때, 기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일정시간 이내에 비밀번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 및 수신된 비밀번호가 적합한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상황의 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institution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emergency is released (step S616). In this case, the institution server 300 may determine whether to release the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whether a passwor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whether the received password is appropriate.

단계 S616의 판단결과, 긴급상황 해제인 경우, 기관 서버(300)는 정상 해제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7). 이때, 기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가 기등록된 이중 비밀번호중 긴급상황 해제를 위한 제1비밀번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16,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s released, the agency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normal release is performed (step S617). In this case, the institution server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s a first password for releasing an emergency from among the pre-registered double passwords.

단계 S617의 판단결과, 정상 해제인 경우, 기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을 경유하여 시계(100)로 알람 중지를 요청한다(단계 S618). 즉, 기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제1비밀번호가 수신되면, 알람 중지를 요청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17, when the normal release is determined, the institution server 300 requests the watch 100 to stop the alarm via the user terminal 200 (step S618). That is, when the first passwor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institution server 300 may request to stop the alarm.

다음으로, 시계(100)는 긴급상황 알람을 해제한다(단계 S618a). 시계(100)는 긴급상황이 사용자 의도와 무관하게 알람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 Next, the watch 100 releases the emergency alarm (step S618a). The watch 100 may cancel the alarm by determining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been alarmed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단계 S616의 판단결과, 긴급상황 해제가 아닌 경우, 기관 서버(300)는 긴급출동을 알람한다(단계 S619). 일례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비밀번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가 틀린 경우, 기관 서버(300)는 긴급출동을 알람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16, if the emergency situation is not released, the agency server 300 notifies the emergency dispatch (step S619). For example, when the password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r the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s incorrect, the agency server 300 may alert an emergency call.

단계 S617의 판단결과, 비정상 해제인 아닌 경우, 단계 S619로 진행하여 기관 서버(300)는 긴급출동을 알람한다. 즉,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기만용 제2비밀번호가 전송된 경우, 기관 서버(300)는 긴급출동을 알람할 수 있다. 이때, 기관 서버(300)는 단계 S618과 같이, 사용자 단말(200)을 경유하여 시계(100)로 알람 중지를 요청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17, if it is not abnormally releas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19 and the agency server 300 notifies the emergency dispatch. That is, when the second password for decep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the agency server 300 may alert the emergency dispatch. In this case, the institution server 300 may request to stop the alarm to the watch 100 via the user terminal 200 as in step S618.

여기서, 기관 서버(300)가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10)을 운영하는 서비스 공급사의 서버인 경우, 기관 서버(300)는 경찰서, 소방서 또는 병원 등과 같은 기관의 서버로 긴급출동을 알람할 수 있다. 또한, 기관 서버(300)가 경찰서, 소방서 또는 병원의 서버인 경우, 기관 서버(300)는 해당 기관의 구조요원에게 긴급출동을 알람할 수 있다.Here, when the institution server 300 is a server of a service provider operating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10 , the institution server 300 may notify an emergency dispatch to a server of an institution such as a police station, a fire department, or a hospital. In addition, when the agency server 300 is a server of a police station, a fire station, or a hospital, the agency server 300 may alert rescue personnel of the corresponding agency of emergency dispatch.

이때, 기관 서버(300)는 긴급상황 발생 알람과 함께 사용자 단말(200)에서 전송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기관 서버(300)는 구조요원의 신속한 조치를 위해 구조요원에게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stitution server 300 may check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gether with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That is, the agency server 300 may provide user information to the rescuer for quick action by the rescue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개인정보 확인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heck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10)의 개인정보 확인 동작(620)은 먼저, 시계(100)가 기관 단말(400)에 태깅한다(단계 S621). 여기서, 기관 단말(400)은 긴급출동 대기중인 구조요원이 소속된 기관에 설치되는 단말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in the personal information checking operation 620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10 , first, the watch 100 tags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step S621 ). Here, the engine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installed in an organization to which a rescue worker waiting for emergency dispatch belongs.

다음으로, 기관 단말(400)은 시계(100)로 개인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622). 이때. 기관 단말(400)은 자신의 식별정보를 시계(100)로 전송할 수 있다. Next,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request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watch 100 (step S622). At this time.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may transmit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atch 100 .

다음으로, 시계(100)는 개인정보를 요청한 기관 단말(400)이 등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23). 이때, 시계(100)는 기관 단말(40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등록된 기관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watch 100 determines whether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requesting personal information is registered (step S623). In this case, the watch 100 may determine whether it corresponds to a registered institu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

단계 S623의 판단결과, 기관 단말(400)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 시계(100)는 기관 단말(400)로 정보제공 거절을 통지한다(단계 S624). 이때, 기관 단말(400)은 시계(100)의 정보에 접근할 수 없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23, when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is not registered, the watch 100 notifies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of refusal to provide information (step S624). In this case,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cannot access information on the watch 100 .

단계 S623의 판단결과, 기관 단말(400)이 등록된 경우, 시계(100)는 개인정보를 기관 단말(400)로 전송한다(단계 S625). 여기서, 개인정보는 보호자 연락처, 건강정보 및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23, when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is registered, the watch 100 transmit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step S625). 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a guardian's contact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and an address.

다음으로, 기관 단말(400)은 시계(100)로부터 전송된 개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626).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시계(100)로부터 직접 전송될 개인정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관 단말(400)은 시계(100)에서 제공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기관 서버(300)로부터 상세한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Next,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displays the pers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atch 100 (step S626). In this case, the displayed information may be personal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directly from the watch 100 . Alternatively, the institution terminal 400 may check detailed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institution server 300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watch 100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출입확인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ess check operation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10)의 출입확인 동작(630)은 먼저, 시계(100)가 중계 단말(500)에 태깅한다(단계 S631). 여기서, 중계 단말(500)은 사용자가 출입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단말일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 중계 단말(500)은 학교 또는 학원에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in an access confirmation operation 630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10 , first, the watch 100 tags the relay terminal 500 (step S631 ). Here, the relay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installed at a place where a user enters and exits.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a child, the relay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installed in a school or a private institute.

다음으로, 중계 단말(500)은 사용자를 인식한다(단계 S632). 이때, 중계 단말(500)은 태깅시 전송되는 시계(100)의 정보를 기초로 시계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중계 단말(500)은 시계(100)로부터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시계(100)의 기본정보 및 보호자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relay terminal 500 recognizes the user (step S632). In this case, the relay terminal 500 may recognize the watch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watch 100 transmitted during tagging. That is, the relay terminal 500 may check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watch 100 . 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basic information of the watch 100 and contact information of a guardian.

다음으로, 중계 단말(500)은 인식된 개인정보와 태깅 시간을 기관 서버(300)로 전송한다(단계 S633). 이때, 중계 단말(500)은 시계(100)가 태깅된 시간을 출입 시간으로서 기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relay terminal 500 transmits the recognized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tagging time to the institution server 300 (step S633). In this case, the relay terminal 500 may transmit the time at which the watch 100 is tagged as the entry/exit time to the institution server 300 .

다음으로, 기관 서버(300)는 태깅 시간과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단계 S634). 여기서, 위치 정보는 중계 단말(500)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이는 중계 단말(500)의 설치시 기관 서버(300)에 등록된 정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치 정보는 중계 단말(500)에서 기관 서버(300)로 정보 전송시 중계 단말(500)의 식별 정보에 따라 알려진 정보일 수 있다. 이때, 기관 서버(300)는 시계(100)의 개인정보에 포함된 보호자 연락처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20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institution server 300 transmits the tagging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step S634).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lay terminal 500 . This may b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institution server 300 when the relay terminal 500 is installed. Alternatively,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known accor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terminal 500 wh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elay terminal 500 to the institution server 300 . In this case, the institution server 300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the guardian's conta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tch 100 .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시간 및 위치 정보를 알람한다(단계 S635).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Next, the user terminal 200 alarms the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step S635).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안전거리 이탈 알람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afety distance departure alarm operation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10)의 안전거리 이탈 알람 동작(640)은 먼저, 시계(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페어링한다(단계 S641). 이때, 시계(100)는 페어링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in the safety distance departure alarm operation 640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10 , first, the watch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re paired (step S641 ). In this case, the watch 100 may display a pairing state.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시계(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세기가 임계값 미만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642), 임계값 이상이면, 지속적으로 신호세기를 임계값과 비교한다. Next,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watch 100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step S642), and if it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continuously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threshold value.

단계 S642의 판단결과, 신호세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안전거리 이탈을 알람한다(단계 S643). 즉, 사용자 단말(200)은 신호세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시계(10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안전거리 밖으로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사용자에 알람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42, if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the threshold, the user terminal 200 alarms the departure of the safe distance so that the user recognizes (step S643). That is, when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user terminal 200 may determine that the watch 100 is out of the safe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may alarm the user.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알람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00)은 디스플레이, 진동, 부저음 또는 경고음으로 알람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0 may alarm in at least one of visual, auditory and tactile methods. 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alarm with a display, vibration, buzzer sound, or warning soun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변형예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1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dified example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10)의 변형예는 시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차량(7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 a modified example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ch 100 , a user terminal 200 , and a vehicle 700 .

시계(100)는 차량(700)과 통신하여 스마트키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시계(100)는 차량(700)의 도어락 해제 또는 시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시계(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차량(700)은 시계(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watch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700 and function as a smart key. Here, the watch 100 may control unlocking or starting of a door lock of the vehicle 700 . In this case, since the watch 100 is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 the vehicle 7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on the watch 100 by the user terminal 200 .

차량(700)은 ECU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700)에 대한 동작 설명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ECU 및 통신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때, 차량(700)의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시계(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700)의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시계(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될 수 있다.The vehicle 700 may include an ECU and a communication unit. He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operation description for the vehicle 700 is performed by the ECU and the communication unit unless specifically limited.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vehicle 700 may communicate with the watch 100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vehicle 700 may be paired with the watch 100 or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일례로, 시계(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된 경우, 차량(700)으로 통신구축 요청시, 차량(700)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시계(100)를 인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atch 100 is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 when a communication establishment request is made to the vehicle 700 , the vehicle 700 may authenticate the watch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다른 예로, 시계(100)의 본체(101)가 시계줄(104, 105)로부터 분리된 상태, 또는 시계(100)가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되지 않은 경우, 차량(700)은 시계(100)로 사용자 확인을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고, 시계(100)는 차량(700)과의 통신을 구축하기 위해 기등록된 제3비밀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700)은 시계(100)와의 통신을 구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main body 101 of the watch 100 is separated from the watch bands 104 and 105 , or when the watch 100 is not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 the vehicle 700 may display the watch 100 ) to request a password for user confirmation, and the watch 100 may transmit a pre-registered third password to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700 . In this case, the vehicle 700 may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the watch 100 .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스마트키 기능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mart key function operation of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스마트키 기능 동작(650)은 먼저, 시계(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페어링한다(단계 S651). 이때, 사용자는 시계(100)와 사용자 단말(200)을 동시에 휴대한 상태이다. Referring to FIG. 13 , in the smart key function operation 650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first, the watch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re paired (step S651 ). At this time, the user is in a state of carrying the watch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t the same time.

다음으로, 시계(100)는 차량(700)으로 통신구축을 요청한다(단계 S652). 이때, 시계(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차량(700) 부근에 접근하면 시계(100)는 차량(700)으로 통신구축을 요청할 수 있다.Next, the watch 100 requests to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700 (step S652). In this case, when the user wearing the watch 100 approaches the vehicle 700 , the watch 100 may request the vehicle 700 to establish communication.

다음으로, 차량(700)은 시계(100)의 통신구축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로 인증을 요청한다(단계 S653). 이때, 시계(100)와 함께 사용자 단말(200)을 휴대한 사용자가 차량(700) 부근에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700)과 페어링될 수 있다. 즉, 차량(700)은 이미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 된 상태이므로, 시계(100)가 적합한 사용자인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Next, the vehicle 700 requests authent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establishment request of the watch 100 (step S653). In this case, when a user carrying the user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watch 100 approaches the vehicle 700 ,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paired with the vehicle 700 . That is, since the vehicle 700 is already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watch 100 is a suitabl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700)으로 인증 확인을 응답한다(단계 S654).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페어링 상태인 시계(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user terminal 200 responds to the authentication confirmation to the vehicle 700 (step S654).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for the watch 100 in the pairing state.

다음으로, 차량(700)은 시계(100)로부터 통신구축 요청을 수락하여 시계(100)와의 통신구축을 수행한다(단계 S655). 이후, 시계(100)는 차량(700)의 스마트키로서 도어락 해제 또는 시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vehicle 700 accepts the communication establishment request from the clock 100 and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clock 100 (step S655 ). Thereafter, the watch 100 may control unlocking or starting of a door lock as a smart key of the vehicle 700 .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스마트키 기능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smart key function operation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의 스마트키 기능 동작(650)은 먼저, 시계(100)가 차량(700)으로 통신구축을 요청한다(단계 S661).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휴대하지 않아 시계(100)가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시계(100)를 분실하거나 타인이 시계(100)를 통하여 차량(700)을 제어하려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시계(100)의 본체(101)가 시계줄(104, 105)로부터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in the smart key function operation 650 of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first, the watch 100 requests the vehicle 700 to establish communication (step S661 ). In this case, the watch 100 may not be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because the user does not carry the user terminal 200 . Also, the user may lose the watch 100 or another person may be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700 is controlled through the watch 100 . Also, the main body 101 of the watch 100 may be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watch straps 104 and 105 .

다음으로, 차량(700)은 시계(100)로 사용자 확인을 질의한다(단계 S662). 이때, 차량(700)은 사용자 확인을 위한 비밀번호를 시계(100)로 요청할 수 있다.Next, the vehicle 700 queries the watch 100 for user confirmation (step S662). In this case, the vehicle 700 may request a password for user confirmation to the watch 100 .

다음으로, 시계(100)는 사용자 확인에 대한 응답을 차량(700)으로 응답한다(단계 S663). 이때, 시계(100)는 차량(700)과의 통신을 구축하기 위해 기등록된 제3비밀번호를 차량(700)으로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watch 100 responds to the user confirmation to the vehicle 700 (step S663). In this case, the watch 100 may transmit the third password registered in advance to the vehicle 700 in order to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700 .

다음으로, 차량(700)은 시계(100)에서 전송한 비밀번호가 기등록된 제3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시계(100)로부터 통신구축 요청을 수락하여 시계(100)와의 통신구축을 수행한다(단계 S664). 이후, 시계(100)는 차량(700)의 스마트키로서 도어락 해제 또는 시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Next, when the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watch 100 matches the registered third password, the vehicle 700 accepts the communication establishment request from the watch 100 and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watch 100 (step S664). Thereafter, the watch 100 may control unlocking or starting of a door lock as a smart key of the vehicle 700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100 : 시계
101 : 본체 102 : 시계표시부
103 : 페어링 표시부 104, 105 : 시계줄
101a , 105a : 단차부 104b, 105b : 체결수단
106, 106a : 자석 107 : 접촉 센서
107a : 접촉 단자 108 : 근접감지 센서
109 : 마그네틱 충전부 110 : 움직임감지 센서
120 : 배터리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150 : 제1통신부
160 : 제2통신부 200 : 사용자 단말
210 : 제1통신부 220 : GPS 수신부
230 : 입력부 240 : 제어부
250 : 제2통신부 260 : 저장부
270 : 디스플레이부 300 : 기관 서버
400 : 기관 단말 500 : 중계 단말
700 : 차량
10: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100: clock
101: body 102: clock display part
103: pairing display 104, 105: watch band
101a, 105a: step 104b, 105b: fastening means
106, 106a: magnet 107: contact sensor
107a: contact terminal 108: proximity sensor
109: magnetic charging unit 110: motion detection sensor
120: battery 130: control unit
140: storage unit 150: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user terminal
210: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GPS receiver
230: input unit 240: control unit
250: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storage unit
270: display unit 300: organization server
400: agency terminal 500: relay terminal
700: vehicle

Claims (15)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시계줄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착용상태에 따라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긴급상황 알람을 전송하는 시계;
상기 시계와 페어링되며, 상기 시계로부터 긴급상황 알람을 수신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발생 알람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긴급상황 발생 알람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긴급상황 확인을 요청하며 미확인시 긴급출동을 알람하는 기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상태는 상기 시계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상기 시계줄로부터 분리된 상태, 및 상기 시계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시계는,
상기 본체와 상기 시계줄의 결합 부분에 구비되는 자석;
상기 본체에서 상기 자석 사이에 구비되는 접촉 센서;
상기 시계줄에서 상기 접촉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접촉 단자;
상기 접촉 센서와 상기 접촉 단자의 연결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와 상기 시계줄의 분리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와 상기 시계줄의 결합 부분에 각각 구비되는 단차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근접감지 센서;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단차부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시계줄에서 상기 단차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시계의 착용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본체에 구비된 단차부와 상기 시계줄에 구비된 단차부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되, 상기 본체에 구비된 단차부는 상기 결합 부분에서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시계줄에 구비된 단차부는 상기 결합 부분에서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시계줄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시계줄에 구비된 단차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단차부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고,
상기 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긴급상황 확인을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긴급상황 해제를 위해 기등록된 제1비밀번호를 전송하면 상기 긴급상황 알람을 해제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로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계로 알람 중지를 요청하면, 상기 시계는 상기 긴급상황 알람을 해제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긴급상황 해제로 기만하기 위해 기등록된 제2비밀번호를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계로 알람 중지를 요청하며, 상기 기관 서버는 상기 제2비밀번호가 기만용으로 판단하여 상기 긴급출동을 알람하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a watch including a main body and a watch strap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and detecting an abnormal state according to a user's wearing state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alarm;
a user terminal paired with the watch and configured to receive an emergency alarm from the watch and transmit an emergency occurrence alarm inclu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nd an institution server for receiving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alarm from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user terminal to confirm the emergency situation, and alarming emergency dispatch when unconfirmed,
The abnormal state is any one of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is separated from the watch strap while the watch is worn by the user, and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movement of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watch is worn by the user,
The watch is
a magnet provided in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watch band;
a contact sensor provided between the magnets in the body;
a contact terminal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sensor on the watch strap;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main body and the watch band are separ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touch sensor and the contact terminal are connected;
a step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coupling portions of the main body and the watch band;
a proximity senso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and
I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motion,
The magne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step portion in the main body,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tep portion in the watch strap,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watch is wor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roximity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n abnormal stat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motion detection sensor,
The step portion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the step portion provided on the watch strap are provided to engage with each other, the step portion provided on the main body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step portion provided on the watch strap is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The step portion provided on the watch strap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watch strap are coupled, and the lower portion is supported by the step portion provided on the main body,
The agency server requests a password for confirming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 pre-registered first password to release the emergency situation, the user terminal requests the user terminal to release the emergency alarm, ,
When the user terminal requests to stop the alarm with the watch, the watch releases the emergency alarm,
Whe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 pre-registered second password to deceive by releasing the emergency situation, the user terminal requests to stop the alarm with the watch, and the agency server determines that the second password is for deception and the emergency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that alerts you to an emergenc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시계표시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페어링 표시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마그네틱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atch is
a clock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 pairing display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 battery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further comprising a magnetic charging uni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charge the battery by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시간 이내에 비밀번호를 수신하지 않거나 전송된 비밀번호가 틀린 경우 상기 긴급출동을 알람하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itution server is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for notifying the emergency call when the password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r the transmitted password is incorr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계의 기본정보, 사용자의 건강정보, 신체정보, 비상연락처 및 혈액형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긴급상황 알람에 포함하여 상기 기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기관 서버는 상기 긴급출동을 알람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정보를 확인가능한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ser terminal, user information including basic information of the watch,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body information,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and blood type is input and stored,
The us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emergency alarm and transmitted to the institution server,
The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the user information only when the agency server alarms the emergency disp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의 개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기관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계가 상기 기관 단말에 태깅되면, 상기 기관 단말은 상기 시계로 개인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시계는 상기 기관 단말이 등록된 경우, 상기 요청한 개인정보를 상기 기관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보호자 연락처, 건강정보 및 주소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stitution terminal for check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tch,
When the watch is tagged to the institution terminal, the institution terminal request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watch,
The watch transmits the request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institution terminal when the institution terminal is registered,
The personal information is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including guardian contact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and address.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출입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중계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계가 상기 중계 단말에 태깅되면, 상기 중계 단말은 상기 시계를 인식하여 상기 시계에 대한 개인정보와 태깅 시간을 상기 기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기관 서버는 상기 태깅 시간과 상기 중계 단말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개인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relay terminal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user enters and exits,
When the watch is tagged in the relay terminal, the relay terminal recognizes the watch and transmits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watch and a tagging time to the institution server,
The organization server transmits the tagging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lay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는 교통수단에 구비된 단말과 통신하여 교통비 지불을 처리하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atch is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for processing transportation payment by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provided in the transporta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계와의 페어링후 상기 시계로부터 수신된 신호세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안전거리 이탈을 알람하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is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for alarming a safe distance departure so that the user recognizes when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watch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after pairing with the w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는 차량과 통신하여 스마트키로 기능하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atch is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that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and functions as a smart ke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된 경우, 상기 차량으로 통신구축 요청시 상기 차량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상기 시계를 인증하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watch is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the vehicle authenticates the watch through the user terminal when a communication establishment request is made to the vehic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의 본체가 상기 시계줄로부터 분리된 상태, 또는 상기 시계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은 상기 시계로 사용자 확인을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고,
상기 시계가 상기 차량과의 통신을 구축하기 위해 기등록된 제3비밀번호를 전송하면 상기 차량은 상기 시계와의 통신을 구축하는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main body of the watch is separated from the watch band, or when the watch is not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the vehicle requests a password for user confirmation with the watch,
A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in which the vehicle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watch when the watch transmits a previously registered third password to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KR1020200184272A 2020-12-28 2020-12-28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KR102333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72A KR102333179B1 (en) 2020-12-28 2020-12-28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72A KR102333179B1 (en) 2020-12-28 2020-12-28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179B1 true KR102333179B1 (en) 2021-12-01

Family

ID=7889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272A KR102333179B1 (en) 2020-12-28 2020-12-28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17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414A (en) 2008-04-08 2009-10-13 현종철 Apparatus for notifying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 and Watch using by the same
KR101422234B1 (en) * 2014-02-18 2014-07-28 (주) 웰컴비즈 Emergency situation notice device using biometric and GPS information
KR20160102916A (en) * 2015-02-23 2016-08-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detecting seizure
KR20170063275A (en) * 2015-11-30 2017-06-08 폴스타헬스케어(주) System and method of patient management using wearable device
KR20180037502A (en) * 2016-10-04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00644B1 (en) * 2018-02-22 2019-07-16 주식회사 오션아이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olitude Oldster Health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414A (en) 2008-04-08 2009-10-13 현종철 Apparatus for notifying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 and Watch using by the same
KR101422234B1 (en) * 2014-02-18 2014-07-28 (주) 웰컴비즈 Emergency situation notice device using biometric and GPS information
KR20160102916A (en) * 2015-02-23 2016-08-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detecting seizure
KR20170063275A (en) * 2015-11-30 2017-06-08 폴스타헬스케어(주) System and method of patient management using wearable device
KR20180037502A (en) * 2016-10-04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00644B1 (en) * 2018-02-22 2019-07-16 주식회사 오션아이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olitude Oldster Heal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402B1 (en) Inegration security system using Bluetooth ID tag and GPS, Smart Phone for school zone
US7088252B2 (en) Systems and apparatus for personal security
US93680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a user
EP37108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a person
US8928479B2 (en)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alarm
US9736630B2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assistance in distress situations
KR100849204B1 (en) Danger signal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anger management system used thereof
US20150087259A1 (en) Person and propert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90035866A (en) Wearable transponder (s), warning and monitoring system
JP2004328018A (en) Area monitoring system
KR20140024712A (en) User location based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r surroundings image using smart device
KR102333179B1 (en) Wearable emergency alarm system
WO2008049202A1 (en) Person locating system and method
WO2014010815A1 (en) Wearable danger-sensing device and danger-notifying device
KR101453248B1 (en) Crime prevention monitoring system for electronic ankle bracelet wearers
KR100874839B1 (en) Ubiquitous network system for rescue and emergency statement based on lighting supervisory system
Kodieswari et al. Design of women smart safety and health reporting device using IOT and mobile mesh networking technologies
KR101997225B1 (en)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irm people
KR2014008789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nklets alerts service
TW201633264A (en) Wearable firefighting reminding equipment and escape reminding system
JP2000200397A (en) Emergency notifying device
NL2012080C2 (en) Paging system.
TWM505942U (en) Wearable fire-fighting reminding apparatus and escape reminding system
KR20220016755A (en) Electronic anklet management system
KR20210047044A (en) Divice for detecting signal of electronic ankle brace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