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236B1 -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radio link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radio l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236B1
KR102331236B1 KR1020200097943A KR20200097943A KR102331236B1 KR 102331236 B1 KR102331236 B1 KR 102331236B1 KR 1020200097943 A KR1020200097943 A KR 1020200097943A KR 20200097943 A KR20200097943 A KR 20200097943A KR 102331236 B1 KR102331236 B1 KR 10233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ode
parameter
beamforming
movin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6467A (en
Inventor
오영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0391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44035B1/en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236B1/en
Publication of KR20200096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4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2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와 그 무선 링크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무선 통신 장치는 다수의 지향성 빔을 발생시키는 안테나와, 안테나를 이용하는 빔 스캐닝을 통해 커버리지 내의 무선 통신 노드를 탐색하며, 탐색된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를 획득하고, 탐색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빔포밍 파라미터를 이동 속도에 따라 조절하여 결정하는 제어기와, 결정된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성 있는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에 따라 빔포밍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주변 무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인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된 위치의 무선 통신 노드 뿐만 아니라 이동성 있는 무선 통신 노드에도 적용하여 무선 링크를 구성 및 운용할 수 있으며, 비용효율적이며 유연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radio link therefor, and the disclose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search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ithin coverage through an antenna generating a plurality of directional beams and beam scanning using the antenna, and the searched radio a controller for obtaining a movement speed of a communication node and adjusting and determining a beamforming parameter for communication with the discovered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the movement speed;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determined beamforming parameter. Therefore, since the beamforming paramet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to perform adaptive beamforming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wireless environment, not on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n a fixed location but also the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t can also be applied to configure and operate a wireless link, and has the advantage of constructing a cost-effective and flexible wireless network.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와 그 무선 링크 운용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RADIO LINK}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link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와 그 무선 링크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성 있는 무선 통신 노드 또는 고정된 위치의 무선 통신 노드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와 주변의 무선 통신 노드들과의 무선 링크를 구성하여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link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or a fixed-position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nd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ing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It relates to how to configure and operate a link.

현재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는 고성능 장치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보편화로 인하여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이 폭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한 셀 용량 증대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망은 셀의 크기를 줄이고, 펨토(femto) 기지국 등을 촘촘하게 설치하는 스몰 셀(Small Cell)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In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ince mobile data traffic is increasing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high-performance devices and multimedia services, there is a continuous need to increase cell capacity to cope with this. 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evolving toward a small cell in which the size of a cell is reduced and a femto base station is densely installed.

그런데 이러한 스몰 셀 구조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각 기지국들을 연결하는 백홀(Backhaul) 망을 유선으로 구성한다면, 백홀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망 구성의 변경(예컨대, 기지국의 생성/소멸, 기지국간 연결 변경 등)이 있을 때에 능동적인 대처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스몰 셀 환경에서는 무선 백홀의 중요성이 증가하게 된다.However, if a backhaul network connecting each base station is configured by wire in such a small cell structur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backhaul installation cost increases, and the network configuration changes (eg, creation/destruction of base stations, connection between base stations). It is difficult to actively respond when there is a change, etc.).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wireless backhaul increases in such a small cell environment.

그러나 기지국이 촘촘하게 설치됨에 따라 백홀 링크 간 거리가 가까워지면 무선 백홀 링크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무선 백홀은 유선 백홀처럼 케이블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However, as the base stations are densely installed, interference between the wireless backhaul links may occu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haul links becomes close. The reason is that wireless backhaul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cables like wired backhauls.

종래에는 이러한 백홀 링크 간의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빔을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시켜 무선 백홀을 구성함으로써, 백홀 링크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서로 간에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며, 기지국의 생성/소멸에 따른 대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e interference problem between backhaul links, by directing a beam in a desired direction through beamforming to configure a wireless backhaul, the backhaul links can be spatially separated to avoid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and the base station It was made easy to cope with the creation/disappearance of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고정된 기지국 상황만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성을 가지는 무선 통신 노드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is prior art considers only a fixed base station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92367, 등록일자 2013년 07월 26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92367, registration date July 26, 201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성 있는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에 따라 빔포밍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주변 무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인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선 통신 장치와 그 무선 링크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daptive beamforming according to a change in a surrounding wireless environment by adjusting a beamforming parameter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link thereof provides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관점으로서 무선 통신 장치는, 다수의 지향성 빔을 발생시키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는 빔 스캐닝을 통해 커버리지 내의 무선 통신 노드를 탐색하며, 탐색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를 획득하고, 탐색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빔포밍 파라미터를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조절하여 결정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에 의해 결정된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arch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ithin coverage through an antenna that generates a plurality of directional beams, and beam scanning using the antenna, and obtains a movement speed of the discovered wireless communication node, , a controller that determines a beamforming parameter for communication with the discovered wireless communication node by adjusting it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and a memory in which the beamforming parameter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is stored.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링크 운용 방법은, 빔 스캐닝을 통해 커버리지 내의 무선 통신 노드를 탐색하는 단계와, 탐색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빔포밍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탐색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operating a radio link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searching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ithin coverage through beam scanning; obtaining beamforming parameters for communication with the discovered wireless communication node; , obtaining a movement speed of the discovered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nd adjusting the beamforming parameter according to the obtained movement spe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성 있는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에 따라 빔포밍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주변 무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인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aptive beamform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 change in a surrounding wireless environment by adjusting a beamforming parameter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따라서, 고정된 위치의 무선 통신 노드 뿐만 아니라 이동성 있는 무선 통신 노드에도 적용하여 무선 링크를 구성 및 운용할 수 있으며, 비용효율적이며 유연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nd operate a wireless link by applying it to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s well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n a fixed location, and there is an effect that a cost-effective and flexible wireless network can be configu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링크 운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무선 통신 노드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백홀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링크 운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링크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backhaul network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wireless link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wireless link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operating a radio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링크 운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무선 통신 노드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백홀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backhaul network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wireless link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백홀 네트워크는 다수의 무선 통신 노드들이 일종의 그물망처럼 연결되며, 커버리지 내의 주변 무선 통신 노드들과 무선 링크를 구성하여 운용한다.As shown in the foregoing, in the wireless backhaul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are connected like a kind of mesh, and a wireless link with neighboring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within coverage is configured and operated.

도 1에서 도면부호 101은 고주파수 빔 분할 다중 접속 링크(high frequency BDMA link)이며, 103은 저주파수 빔 분할 다중 접속 링크(low frequency BDMA link)이고, 105는 기지국(Base Station)이며, 107은 스몰 셀 기지국이고, 109는 무빙 네트워크(moving network)이며, 111은 중계 노드(relay node)이고, 113은 빌딩(building)이며, 115는 노마딕 유저(nomadic user)이고, 117은 무빙 유저(moving user)이며, 119는 이동통신 단말(cell phone)이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01 denotes a high frequency BDMA link, 103 denotes a low frequency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link, 105 denotes a base station, and 107 denotes a small cell. A base station, 109 a moving network, 111 a relay node, 113 a building, 115 a nomadic user, 117 a moving user and 119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ell phone).

이러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스몰 셀 기지국(107)은 고주파수 빔 분할 다중 접속 링크(101)를 통해 중계 노드(111), 빌딩(113), 노마딕 유저(115) 등과 함께 이너 셀(inner cell)(201)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저주파수 빔 분할 다중 접속 링크(103)을 통해 무빙 유저(117), 이동통신 단말(119) 등과 함께 아우터 셀(outer cell)(203)을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one small cell base station 107 is an inner cell (with relay node 111, building 113, nomadic user 115, etc. inner cell) 201 may be formed. In addition, an outer cell 203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moving user 117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9 through the low frequency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link 103 .

도 1에 나타낸 무선 백홀 네트워크의 예시에서, 고주파수 빔 분할 다중 접속 링크(101)를 통해 이너셀(201)을 형성하고, 저주파수 빔 분할 다중 접속 링크(103)를 통해 아우터 셀(203)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빔포밍이 주파수에 의존적이지 않기 때문에 해당 주파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예컨대, 저주파수 빔 분할 다중 접속 링크(103)를 통해 이너셀(201)을 형성하고, 고주파수 빔 분할 다중 접속 링크(101)를 통해 아우터 셀(203)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example of the wireless backhaul network shown in FIG. 1 , the inner cell 201 is formed through the high frequency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link 101 and the outer cell 203 is formed through the low frequency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link 103 . However, since beamforming is not frequency dependent, the corresponding frequencies may be interchanged. For example, the inner cell 201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 frequency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link 103 , and the outer cell 203 may be formed through the high frequency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link 101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성 있는 무선 통신 노드 또는 고정된 위치의 무선 통신 노드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 장치(300)는 도 1의 기지국(105), 스몰 셀 기지국(107), 중계 노드(111), 노마딕 유저(115), 무빙 유저(117), 이동통신 단말(119)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or a fixed lo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includes the base station 105, the small cell base station 107, the relay node 111, the nomadic user 115, the moving user 117,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9 of FIG. Available.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300)는 안테나(310), 제어기(320) 및 메모리(330) 등을 포함한다.As show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n antenna 310 , a controller 320 , a memory 330 , and the like.

이 중에서, 안테나(310)는 제어기(320)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지향성 빔을 발생시키는 빔포밍을 수행하며, 제어기(320)의 빔 스캐닝을 위한 제어에 따라 빔을 360도의 전체 방향으로 회전시킨다.Among them, the antenna 310 performs beamforming to generate a plurality of directional beam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20 , and rotates the beams in a 360 degree overal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for beam scanning of the controller 320 . .

제어기(320)는 노드 탐색부(321), 이동 속도 획득부(323), 파라미터 결정부(325) 및 안테나 제어부(327) 등을 포함한다.The controller 320 includes a node search unit 321 , a movement speed obtainer 323 , a parameter determiner 325 , and an antenna controller 327 .

노드 탐색부(321)는 안테나(310)가 빔 스캐닝을 수행할 때에 커버리지 내에서 무선 통신 노드를 탐색한다.The node search unit 321 search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ithin coverage when the antenna 310 performs beam scanning.

이동 속도 획득부(323)는 노드 탐색부(321)에 의해 탐색된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를 획득한다. 예컨대, 이동 속도 획득부(323)는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에 의한 빔의 각도 변화 값과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변화 값에 따라 이동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The moving speed obtaining unit 323 obtains the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searched for by the node searching unit 321 . For example, the movement speed obtaining unit 323 may calculate the movement speed according to the change value of the beam angle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change value due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파라미터 결정부(325)는 노드 탐색부(321)에 의해 탐색된 무선 통신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빔포밍 파라미터, 나아가 통신 신호품질의 최적화를 위한 빔포밍 파라미터를 이동 속도에 따라 조절하여 결정한다. 예컨대, 파라미터 결정부(325)에 의해 결정되는 빔포밍 파라미터는 무선 통신 노드와의 통신에 이용하는 빔의 폭 조절을 위한 빔 폭 정보, 빔포밍 파라미터의 갱신을 위한 파라미터 갱신 주기 정보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빔포밍 파라미터에는 주변의 무선 통신 노드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 대 간섭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를 최대화할 수 있는 빔 방향 정보 및 빔 패턴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파라미터 결정부(325)는 이동 속도의 증감에 비례하게 빔포밍 파라미터 중에서 빔 폭을 증감 조절하거나, 이동 속도의 증감에 반비례하게 증감하도록 빔포밍 파라미터 중에서 파라미터 갱신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parameter determining unit 325 determines by adjusting the beamforming parameter for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searched by the node search unit 321, and further, the beamforming parameter for optimizing the communication signal quality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For example, the beamforming parameter determined by the parameter determiner 325 includes beam width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width of a beam used for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parameter update period information for updating the beamforming paramet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beamforming parameter may further include beam direction information and beam pattern information capable of maximizing a 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of a signal received from nearby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Here, the parameter determiner 325 may increase/decrease the beam width among the beamforming parameters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decrease in the moving speed, or adjust the parameter update period among the beamforming parameters to increase/decreas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increase/decrease in the moving speed.

안테나 제어부(327)는 안테나(310)를 제어하여 다수의 지향성 빔을 발생시키는 빔포밍을 수행하며, 빔을 360도의 전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빔 스캐닝을 수행하고, 메모리(330)에 기 저장된 무선 통신 노드의 위치 정보와 빔포밍 파라미터를 읽어 들이며, 읽어 들인 위치 정보와 빔포밍 파라미터에 따라 주변의 특정 무선 통신 노드와의 무선 링크를 구성하여 무선 백홀 네트워크를 구성한다.The antenna controller 327 controls the antenna 310 to perform beamforming to generate a plurality of directional beams, perform beam scanning to rotate the beams in an entire 360-degree dire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e-stored in the memory 330 . It reads the node's location information and beamforming parameters, and configures a wireless backhaul network by configuring a wireless link with a specific nearby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the read location information and beamforming parameters.

메모리(330)에는 제어기(320)에 의해 조절 및 결정된 빔포밍 파라미터가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330 may store the beamforming parameter adjusted and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32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링크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operating a radio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와 그 무선 링크 운용 방법은, 빔 스캐닝을 통해 커버리지 내의 무선 통신 노드를 탐색하는 단계(S410)를 포함한다.As shown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wireless link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 a step (S410) of searching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ithin coverage through beam scanning.

그리고, 탐색된 무선 통신 노드와의 통신 신호품질의 최적화를 위한 빔포밍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S420)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빔포밍 파라미터는 무선 통신 노드와의 통신에 이용하는 빔의 폭 조절을 위한 빔 폭 정보, 빔포밍 파라미터의 갱신을 위한 파라미터 갱신 주기 정보, 주변의 무선 통신 노드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 대 간섭 잡음 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빔 방향 정보 및 빔 패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obtaining beamforming parameters for optimizing communication signal quality with the discovered wireless communication node (S420). For example, the beamforming parameter includes beam width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width of a beam used for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parameter update period information for updating the beamforming parameter, and signal-to-interference of signals received from neighboring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It may include beam direction information and beam pattern information capable of maximizing the noise ratio.

아울러, 탐색된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S430)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는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에 의한 빔의 각도 변화 값과 수신전계강도 변화 값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obtaining the movement speed of the discovered wireless communication node (S430). For example, the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ngle of the beam and the change i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due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또, 획득된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에 따라 빔포밍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S440)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이동 속도의 증감에 비례하게 빔포밍 파라미터 중에서 빔 폭을 증감 조절하거나, 이동 속도의 증감에 반비례하게 증감하도록 빔포밍 파라미터 중에서 파라미터 갱신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djusting the beamforming parameter according to the obtained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S44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crease/decrease the beam width among the beamforming parameters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decrease in the moving speed, or adjust the parameter update period in the beamforming parameters to increase/decreas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increase/decrease in the moving speed.

아울러, 기 설정되거나 조절된 빔포밍 파라미터의 갱신 주기가 경과하면 빔포밍 파라미터의 갱신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450, S46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update period of the preset or adjusted beamforming parameter has elapse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performing the update procedure of the beamforming parameter ( S450 and S460 ).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무선 백홀 네트워크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 노드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가 무선 링크를 구성 및 운용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less backhaul network configures and operates a wireless lin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먼저, 무선 통신 장치(300)의 제어기(320)를 구성하는 안테나 제어부(327)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310)는 다수의 지향성 빔을 발생시키는 빔포밍을 수행하며, 빔을 360도의 전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빔 스캐닝을 수행한다.First, under the control of the antenna controller 327 constituting the controller 32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antenna 310 performs beamforming to generate a plurality of directional beams, and directs the beams in a 360 degree overall direction. Perform rotating beam scanning.

그러면, 제어기(320)를 구성하는 노드 탐색부(321)는 안테나(310)의 커버리지 내에서 무선 통신 노드들을 탐색한다. 여기서, 노드 탐색부(321)는 주변의 무선 통신 노드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변 기지국의 프리엠블(preamble) 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다(S410).Then, the node search unit 321 constituting the controller 320 search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within the coverage of the antenna 310 . Here, the node search unit 321 may utilize preamble information of a neighboring base station in order to identify neighboring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S410).

여기서, 제어기(320)를 구성하는 파라미터 결정부(325)는 노드 탐색부(321)에 의해 탐색된 무선 통신 노드, 예컨대 주변의 기지국과 통신할 때 어떤 빔포밍 방향의 빔을 사용하면 가장 신호품질이 좋은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가장 신호품질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 빔포밍의 방향 정보가 포함된 빔포밍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획득된 빔포밍 파라미터를 메모리(330)에 저장한다. 이때, 탐색된 무선 통신 노드의 위치 정보가 메모리(330)에 함께 저장된다(S420).Here, the parameter determining unit 325 constituting the controller 320 determines the best signal quality when using a beam in a certain beamforming direction when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searched by the node search unit 321, for example, a neighboring base station. judge whether this is good In addition, a beamforming parameter including direction information of beamforming determined to have the best signal quality is obtained, and the obtained beamforming parameter is stored in the memory 330 . At this 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covered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s stored together in the memory 330 (S420).

그러면, 안테나 제어부(327)는 주변의 특정 무선 통신 노드와 무선 링크를 구성할 때에는 메모리(330)에 기 저장된 무선 통신 노드의 위치 정보와 빔포밍 파라미터를 읽어 들이며, 읽어 들인 위치 정보와 빔포밍 파라미터에 따라 주변의 특정 무선 통신 노드와의 무선 링크를 구성하여 무선 백홀 네트워크를 초기 구성할 수 있다.Then, the antenna control unit 327 read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beamforming parameter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pre-stored in the memory 330 when configuring a wireless link with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node nearby, and reads the read location information and beamforming parameters. Accordingly, a wireless backhaul network may be initially configured by configuring a wireless link with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n the vicinity.

한편, 고정된 위치의 무선 통신 노드가 아니라 이동성 있는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빔포밍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갱신할 필요가 있다. 또, 메모리(330)에 저장된 빔포밍 파라미터는 빔의 패턴 정보, 빔 폭 정보 등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빔포밍 파라미터를 얼마만큼의 시간 간격으로 갱신할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갱신 주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update the beamforming parameter stored in the memory 330 in order to support the mobility of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rather than a fixed lo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n addition, the beamforming parameter stored in the memory 330 further includes beam pattern information, beam width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may further include a parameter update period indicating how many time intervals to update the beamforming parameter.

이러한 빔포밍 파라미터 중에서 빔포밍의 방향 정보와 빔 패턴 정보는 파라미터 결정부(325)에 의해 신호 대 간섭 잡음 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값으로 결정된다. 예컨대, 파라미터 결정부(325)는 계속 변화하는 무선 환경에서 주변 무선 통신 노드들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 대 간섭 잡음 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빔 방향 및 빔 패턴을 결정한다. 이때, 빔 방향 및 빔 패턴은 원하는 신호의 세기는 최대화 하고, 간섭 신호는 널링(nulling)할 수 있는 방향 및 패턴으로 선택된다. 예컨대, 위상 배열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에 빔 방향 및 빔 패턴은 위상(phase) 및 감쇄기(attenuator)를 조절하여 신호 대 간섭 잡음 비가 최대화되는 값을 결정된다.Among these beamforming parameters, beamform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beam pattern information are determined by the parameter determiner 325 as a value capable of maximizing the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For example, the parameter determiner 325 determines a beam direction and a beam pattern capable of maximizing a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of signals received from neighboring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in a continuously changing wireless environment. In this case, the beam direction and the beam pattern are selected as a direction and a pattern capable of maximizing the intensity of a desired signal and nulling the interference signal. For example, when a phased array antenna is used, a beam direction and a beam pattern adjust a phase and an attenuator to determine a value at which the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is maximized.

아울러, 파라미터 결정부(325)는 빔포밍 파라미터 중에서 빔의 폭 조절을 위한 빔 폭 정보, 빔포밍 파라미터의 갱신을 위한 파라미터 갱신 주기 정보 등은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조절 및 결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arameter determiner 325 adjusts and determines the beam width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beam and the parameter update period information for updating the beamforming parameter among the beamforming parameters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

이를 위해, 제어기(320)를 구성하는 이동 속도 획득부(323)는 노드 탐색부(321)에 의해 탐색된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를 획득한다.To this end, the movement speed obtaining unit 323 constituting the controller 320 obtains the movement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searched for by the node search unit 321 .

예컨대, 이동 속도 획득부(323)는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에 의한 빔의 각도 변화 값과 수신전계강도(RSSI) 변화 값에 따라 이동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 중인 무선 통신 노드와 통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빔의 방향을 조정할 때에 빔의 각도 변화가 크면 그만큼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수신전계강도가 높으면 그만큼 이동 중인 무선 통신 노드가 가까이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빔의 각도 변화를 가질 때에는 수신전계강도가 높을수록 그만큼 이동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동 속도 획득부(323)는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에 의한 빔의 각도 변화 값과 수신전계강도 변화 값에 따라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이동 속도 획득부(323)는 주변의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이동 속도 값을 수신 받을 수도 있으며, 다른 원리 및 방법으로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 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S430).For example, the movement speed obtaining unit 323 may calculate the movement speed according to the change value of the beam angle and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RSSI) change value due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hen the direction of the beam is adjusted in order to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the moving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f the angle change of the beam is large, it means that the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s fast. In addition, whe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high, it means that the moving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s located close to it, and when it has the same beam angle change, the higher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the slower the moving speed. Accordingly, the movement speed obtaining unit 323 may calculate the movement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ngle of the beam and the change i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due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lternatively, the movement speed obtaining unit 323 may receive a movement speed value from a neighboring wireless communication node, or may calculate the movement speed valu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by another principle and method (S430).

이렇게, 이동 속도 획득부(323)에 의해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가 획득되면, 파라미터 결정부(325)는 획득된 이동 속도의 증감에 비례하게 빔포밍 파라미터 중에서 빔 폭을 증감 조절하거나, 이동 속도의 증감에 반비례하게 증감하도록 빔포밍 파라미터 중에서 파라미터 갱신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파라미터 결정부(325)는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적절한 파라미터 갱신 주기가 저장된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s obtained by the moving speed obtaining unit 323, the parameter determining unit 325 increases/decreases the beam width among the beamforming parameters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decrease of the obtained moving speed, or the moving spe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arameter update period among the beamforming parameters so as to increase or decreas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 For example, the parameter determiner 325 may use a lookup table in which an appropriate parameter updat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moving speed is stored.

만약, 무선 통신 장치(300)가 이동하는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을 때에, 계속적인 접속 유지를 위해 빔 추적(beam tracking)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성능을 최대화 하기 위해 이동하는 기지국의 이동 속도에 따른 빔 폭 조절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의 송신 전력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빔 폭을 줄이면 특정 방향으로 신호의 신호 대 간섭 잡음 비를 높일 수 있지만, 이동하는 기지국에 대한 빔 추적 성능이 떨어지므로 결국 스루풋(throughput)이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빔 폭을 넓히면 특정 방향으로 신호의 신호 대 간섭 잡음 비는 낮아지지만, 이동하는 기지국에 대한 빔 추적 성능이 향상되므로 결국 스루풋이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이동하는 기지국의 속도가 낮다면 빔 폭을 줄이는 것이 신호 대 간섭 잡음 비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 그러므로 파라미터 결정부(325)는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에 따라 빔 폭을 적절하게 증감 조절한다.If,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is connected to a moving base station, a beam tracking function is required to maintain a continuous conne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beam width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base station. In general, since the transmit power of the base station is limited, reducing the beam width can increase the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of the signal in a specific direction, but the beam tracking performance for the moving base station is lowered, so the throughput may eventually drop. have. Conversely, if the beam width is widened, the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of the signal in a specific direction is lowered, but the beam tracking performance for a moving base station is improved, and thus the throughput may be increased. However, if the speed of the moving base station is low, reducing the beam width is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Therefore, the parameter determiner 325 appropriately increases or decreases the beam width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또한, 메모리(330)에 저장되는 빔포밍 파라미터는 주변의 무선 통신 노드와의 연결 시에 사용되는 빔 방향, 빔 패턴, 빔 폭, 물리적 속도(physical rate)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빔포밍 파라미터를 자주 갱신하면 부하를 주게 되므로, 해당 링크의 패킷 에러 율(PER, packet error ratio), 수신 신호 세기(예컨대, 수신전계강도), 신호 대 간섭 잡음 비 등이 특정 임계치(threshold) 이상으로 변경되면 갱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이를 위한 임계치들은 시스템 운영자 등에 의해 각 파라미터마다 설정되어 운영되거나, 하나의 임계치로 통합되어 운영될 수 있으며, 그 값은 무선 백홀이 설치된 주변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이러한 빔포밍 파라미터의 갱신은 새로운 기지국의 생성될 때와 기존 기지국의 소멸이 발생할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파라미터 결정부(325)는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에 따라 파라미터 갱신 주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이동하는 기지국의 속도가 높다면 빔포밍 파라미터의 갱신 주기를 더 짧게 조절할 수 있다(S440).In addition, the beamforming parameter stored in the memory 330 includes a beam direction, a beam pattern, a beam width, a physical rate, etc. used when connecting to a neighboring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n addition, frequent update of the beamforming parameter causes a load, so the packet error ratio (PER) of the corresponding link, received signal strength (eg,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etc. are set at a specific threshold. ) or above, it is necessary to perform an update. For example, thresholds for this purpose may be set and operated for each parameter by a system operator or the like, or may be integrated and operated as one threshold, and the value may be variably opera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which the wireless backhaul is installed. The update of the beamforming parameter may be performed when a new base station is created or when an existing base station is destroyed. In addition, the parameter determiner 325 may appropriately adjust the parameter update perio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That is, if the speed of the moving base station is high, the update period of the beamforming parameter can be adjusted to be shorter (S440).

이후, 파라미터 결정부(325)는 단계 S440에서 조절된 빔포밍 파라미터의 갱신 주기가 경과하는지를 판정하며(S450), 설정된 갱신 주기가 경과하면 빔포밍 파라미터의 갱신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빔포밍 파라미터의 갱신 절차라 함은 단계 S410 내지 S440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S460).Thereafter, the parameter determiner 325 determines whether the update period of the beamforming parameter adjusted in step S440 has elapsed ( S450 ), and when the set update period has elapsed, the update procedure of the beamforming parameter is performed. Here, the update procedure of the beamforming parameter may mean repeatedly performing steps S410 to S440 (S460).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성 있는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에 따라 빔포밍 파라미터를 조절하기 때문에 주변 무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인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so f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eamforming paramet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daptive beamform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surrounding wireless environment.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block in the block diagram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odi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be configured in the respective blocks in the block diagram or in the flowchart. Each step creates a means for performing the described fun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may also produce an item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chart.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carrying out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blocks or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blocks or step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at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성 있는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에 따라 빔포밍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주변 무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인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된 위치의 무선 통신 노드 뿐만 아니라 이동성 있는 무선 통신 노드에도 적용하여 무선 링크를 구성 및 운용할 수 있으며, 비용효율적이며 유연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eamforming parameter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to perform adaptive beamforming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wireless environment, not only the fixed lo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to configure and operate a wireless link, and can configure a cost-effective and flexible wireless network.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와 그 무선 링크 운용 방법은 무선 백홀 네트워크를 구성 및 운용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또,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 간의 무선 네트워크, 무선 통신 노드 간의 와이파이(Wi-Fi) 통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 및 운용할 때에도 이용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wireless link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hen configuring and operating a wireless backhaul network. In addition, it can be used to configure and operate a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less network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300 : 무선 통신 장치 310 : 안테나
320 : 제어기 321 : 노드 탐색부
323 : 이동 속도 획득부 325 : 파라미터 결정부
327 : 안테나 제어부 330 : 메모리
300: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10: antenna
320: controller 321: node search unit
323: movement speed acquisition unit 325: parameter determination unit
327: antenna control unit 330: memory

Claims (8)

다수의 지향성 빔을 발생시키는 안테나의 빔 스캐닝을 통해 커버리지 내의 무선 통신 노드를 탐색하며, 상기 빔 스캐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를 획득하고, 탐색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빔포밍 파라미터로서 파라미터 갱신 주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에 따라 결정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에 의해 결정된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빔 스캐닝은 상기 다수의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지향성 빔을 회전시키면서 수행되고,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는 상기 빔 스캐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에 의한 빔의 각도 변화 및 수신전계강도 변화로부터 산출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는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에 따라 결정된 상기 파라미터 갱신 주기 정보에 따라 갱신되는 것인
무선 통신 장치.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ithin coverage is searched for through beam scanning of an antenna generating a plurality of directional beams, and a movement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s obtained based on a result of the beam scanning, and communication with the discovered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parameter update period information as a beamforming parameter for
a memory in which the beamforming parameter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is stored;
The beam scanning is performed while rotating the directional beam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antennas,
The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s calculated from the change in the angle of the beam and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change due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based on the beam scanning,
The beamforming parameter stored in the memory is updated according to the parameter update period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파라미터 갱신 주기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arameter update period to be in inverse proportion to a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빔 스캐닝을 통해 커버리지 내의 무선 통신 노드를 탐색하는 단계와,
탐색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빔포밍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빔 스캐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로서 파라미터 갱신 주기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파라미터 갱신 주기가 경과하면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의 갱신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빔 스캐닝은 다수의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지향성 빔을 회전시키면서 수행되고,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는 상기 빔 스캐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에 의한 빔의 각도 변화 및 수신전계강도 변화로부터 산출되며,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의 갱신 절차는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에 따라 결정된 상기 파라미터 갱신 주기 정보에 따라 갱신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링크 운용 방법.
discove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ithin coverage through beam scanning;
obtaining beamforming parameters for communication with the discovered wireless communication node;
obtaining a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based on a result of the beam scanning;
determining parameter update period information as the beamforming parameter according to the obtained moving speed;
performing an update procedure of the beamforming parameter when the determined parameter update period elapses,
The beam scanning is performed while rotating a directional beam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antennas,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the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is calculated from the change in the angle of the beam and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change due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based on the beam scanning,
The method of operating a radio link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updating procedure of the beamforming parameter is updated according to the parameter update period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갱신 주기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이동 속도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파라미터 갱신 주기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링크 운용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arameter update period information includes:
A method of operating a radio link in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for determining the parameter update period to be in inverse proportion to a moving speed of the radio communication node.
KR1020200097943A 2014-01-13 2020-08-05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radio link KR1023312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943A KR102331236B1 (en) 2014-01-13 2020-08-05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radio l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912A KR102144035B1 (en) 2014-01-13 2014-01-13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radio link
KR1020200097943A KR102331236B1 (en) 2014-01-13 2020-08-05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radio lin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912A Division KR102144035B1 (en) 2014-01-13 2014-01-13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radio l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467A KR20200096467A (en) 2020-08-12
KR102331236B1 true KR102331236B1 (en) 2021-12-01

Family

ID=7893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943A KR102331236B1 (en) 2014-01-13 2020-08-05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radio l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236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11B1 (en) * 2001-12-26 2004-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a mobile tranceiver
KR100945880B1 (en) * 2007-09-28 2010-03-05 한국과학기술원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292367B1 (en) 2011-06-01 2013-08-0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Wireless mesh backhaul system for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service in wireless mesh network and establish method thereof
KR20130018079A (en) * 2011-08-10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lock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78857B2 (en) * 2012-03-02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daptive beamforming gai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467A (en)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7761B2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cell association and beamforming training with a mmwave capable small cell
TWI522001B (en) Mobile network, corresponding access node, processing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network
JP7254893B2 (en) Power control method for systems with objects of varying altitude
EP3097716B1 (en) Determining an adjustment of a tilt angle for an antenna serving a vertically sectorized cell of a radio network
CA2570167C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smart antennas in establishing a backhaul network
AU20202010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ance optimization in and through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AU2018264101A1 (en) Cluster-based beacon signal transmission
WO2006105300A1 (en) Communications handoff using an adaptive antenna
US20160227501A1 (en) Synchronization method,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10327201B2 (en) Mesh network selection and antenna alignment
EP3529910B1 (en) Method and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44453B2 (en) Object detection for beamforming configuration and coverage optimization
CN111436053B (en) Coverage area adjusting method and wireless access network node
KR10214403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radio link
KR10233123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radio link
US20170013475A1 (en) Performance Improv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US10708788B2 (en) Controlling an antenna beam optimization algorithm
CN1132730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array group selection and antenna array selection for device communication
KR10209660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beamforming path
US2014001150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rea designing method, computer readable non-transitory medium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rea designing device
US10985821B1 (en) Dynamic beam pattern control using device velocity
EP3503422A1 (en) Base station system for handling radio communications of a user entity
KR101579180B1 (en) Base st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overlapped clustering of base station
KR20150085720A (en) Control method for radiation beam direction of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JP2014158127A (en) Base station device and radio signal transmiss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