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779B1 -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779B1
KR102329779B1 KR1020180171042A KR20180171042A KR102329779B1 KR 102329779 B1 KR102329779 B1 KR 102329779B1 KR 1020180171042 A KR1020180171042 A KR 1020180171042A KR 20180171042 A KR20180171042 A KR 20180171042A KR 102329779 B1 KR102329779 B1 KR 102329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stment
server
information
terminal
specific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371A (ko
Inventor
이경찬
이다운
Original Assignee
애니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니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니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7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통해 암호화 화폐를 구매한 상태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을 수행한 후, 서버에서 투자 계약에 따른 투자 계약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를 블록체인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블록체인 서버상의 블록체인에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원본 데이터인 투자 계약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며, 투자자와 계약자 간의 권리관계에 대한 분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investing contents using crypto-currency based on blockchai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통해 암호화 화폐를 구매한 상태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을 수행한 후, 서버에서 투자 계약에 따른 투자 계약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를 블록체인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블록체인 서버상의 블록체인에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를 등록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분산화된 거래장부 방식이 도입된 거래 시스템을 의미한다.
즉, 블록체인은 거래 정보를 개인 간 거래(P2P) 네트워크에 분산해 거래장부에 기록하고 참가자가 공동 관리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중앙집중형 거래 기록 보관 방식보다 보안성이 높다.
이러한 블록체인의 경우, 현재 단순히 코인 위주에 적용되고 있어, 그 응용 범위에 한계가 있는 상태이다.
또한, 사용자 간의 투자 계약 시, 해당 투자 계약에 따른 투자 계약 정보가 프린트물 형태로 저장 및 관리됨에 따라, 해당 정보의 위/변조가 가능한 상태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15282호 [제목: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피어 - 투 - 피어 분산 장부에서 개체들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통해 암호화 화폐를 구매한 상태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을 수행한 후, 서버에서 투자 계약에 따른 투자 계약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를 블록체인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블록체인 서버상의 블록체인에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를 등록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은 단말과 연동하여,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하고, 투자 계약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블록체인 서버에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투자 계약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 내의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상기 블록체인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투자 정보에 따른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투자금 운용 기간이 지난 상태일 때,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모집된 암호화 화폐의 투자 운영에 따른 비용 정산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블록체인 서버와 연동하여 수익 분배에 따른 해당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 내의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투자 정보는,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 투자 목표 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 화폐 정보, 투자 마감 정보, 투자금 운용 기간 정보 및 투자 운용에 따른 비용 정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한 전자 지갑 정보, 투자 코인 종류 및 투자 코인량을 포함하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 중에서 일정 투자금에 대응하는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 및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를 상기 서버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미리 개설한 전자 지갑으로 이체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투자 계약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방법은 단말에 의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과의 투자 계약 기능 수행 후, 상기 서버에 의해, 투자 계약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블록체인 서버에 의해, 상기 투자 계약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 내의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투자 정보에 따른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투자금 운용 기간이 지난 상태일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모집된 암호화 화폐의 투자 운영에 따른 비용 정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수익 분배에 따른 해당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의해, 상기 수익 분배에 따른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 내의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한 전자 지갑 정보, 투자 코인 종류 및 투자 코인량을 포함하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 중에서 일정 투자금에 대응하는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 및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를 상기 서버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미리 개설한 전자 지갑으로 이체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투자 계약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투자 계약 정보는, 투자명, 투자자 정보, 계약자 정보, 투자 일시 정보, 투자 금액 정보 및 전체 투자 금액 중 투자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모집된 암호화 화폐의 투자 운영에 따른 비용 정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모집된 암호화 화폐의 투자 운영에 따른 수익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 결과, 투자 원금 보존 또는 투자 원금 일부 손실이 발생한 상태일 때, 상기 서버에 의해,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와 연동하여, 비용 정산 시점에 남은 투자 원금을 미리 설정된 암호화 화폐로 환전하는 과정; 상기 환전된 남은 투자 원금과 관련한 암호화 화폐를 단말별 배분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투자한 단말별로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분배금을 제공하는 과정; 상기 확인 결과, 수익이 발생한 상태일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와 연동하여, 수익 발생에 따른 이익의 일정 비율 및 투자 원금을 상기 미리 설정된 암호화 화폐로 환전하는 과정; 및 상기 환전된 수익 발생에 따른 이익의 일정 비율 및 투자 원금과 관련한 암호화 화폐를 상기 단말별 분배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투자한 단말별로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통해 암호화 화폐를 구매한 상태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을 수행한 후, 서버에서 투자 계약에 따른 투자 계약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를 블록체인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블록체인 서버상의 블록체인에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원본 데이터인 투자 계약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며, 투자자와 계약자 간의 권리관계에 대한 분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100)은 단말(110), 서버(120), 블록체인 서버(130) 및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투자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콘텐츠 투자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콘텐츠 투자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110), 상기 서버(120),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및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 각각은 다른 단말들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 상기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미도시), 각 단말의 다양한 구성 요소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11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10)은 상기 서버(120),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10)은 상기 서버(120)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투자 상품에 투자하거나 상기 서버(120)에 등록된 투자 서비스에 투자하기 위한 사용자로 회원 가입하며, 개인 정보 등을 상기 서버(120)에 등록한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 수행 시, 상기 단말(110)은 본인 인증 수단(예를 들어 이동 전화, 신용카드, 아이핀 등 포함)을 통한 인증 기능을 완료해야 상기 서버(120)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 상기 단말(110)은 상기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또는 애플리케이션/특정 앱)을 해당 단말(11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10)은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암호화 화폐(또는 가상 화폐)를 이용(예를 들어 구입, 판매 등의 환전 포함)하기 위한 사용자로 회원 가입하며, 개인 정보 등을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에 등록한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 수행 시, 상기 단말(110)은 본인 인증 수단(예를 들어 이동 전화, 신용카드, 아이핀 등 포함)을 통한 인증 기능을 완료해야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 상기 단말(110)은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특정 암호화 화폐에 대해 환전 기능을 수행하여, 일정 현금(예를 들어 한화, 미화 등 포함)을 실시간 시세를 반영하여 해당 암호화 화폐로 환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110)의 사용자는 Pre-sale, ICO(거래소 상장 전), IEO(거래소 상장 후) 등을 통하여 해당하는 암호화 화폐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10)은 상기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투자 정보는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영화, 음반, 웹툰, 애니메이션, 도서 등 포함)에 대한 상세 정보, 투자 목표 금액 정보(또는 투자 목표 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 화폐(또는 가상 화폐) 정보), 투자 마감 정보, 투자금 운용 기간 정보, 투자 운용에 따른 비용 정산 정보(예를 들어 투자 원금 정산 정보, 수익금 분배 정보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10)은 상기 수신된 투자 정보를 표시한다.
이후,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가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110)은 상기 서버(120)와의 연동에 의해,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110)의 사용자가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110)은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또는 가상 화폐) 중에서 일정 투자금에 대응하는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와 관련해서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에서 개설된 단말(110)의 전자 지갑 정보, 투자 코인 종류, 투자 코인량 등 포함), 단말(11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 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단말(110)은 상기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투자 계약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투자 계약 정보는 투자명(또는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정보 등 포함), 투자자 정보, 계약자 정보, 투자 일시 정보, 투자 금액 정보(암호화 화폐 단위), 전체 투자 금액 중 투자 비율 정보(또는 투자 목표 금액 중 단말(110)의 투자에 대응하는 투자 비율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10)은 상기 수신된 투자 계약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투자금 운용 기간이 지난 경우, 상기 단말(110)은 투자 수익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서버(120) 및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투자 원금, 수익금 등에 대한 분배금을 해당 단말(110)과 관련한 전자 지갑(또는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와 관련한 전자 지갑)으로 반환받는다.
또한, 상기 단말(110)은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 등록된(또는 저장된)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또는 블록체인) 중에서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10)은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하나 이상의 블록(또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110)에 설치된 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구성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말(110)은 상기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정보 확인 기능, 투자 계약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120)는 상기 단말(110),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콘텐츠 투자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장치(또는 단말/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단말(110)과의 연동에 의해, 상기 단말(110)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단말(110)의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 정보를 등록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투자 콘텐츠별로 암호화 화폐(또는 가상 화폐)를 거래하기 위한 전자 지갑을 개설(또는 생성/발급)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해당 서버(120)에 회원 가입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110),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정보를 요청한 상기 단말(110) 등에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투자 정보는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영화, 음반, 웹툰, 애니메이션, 도서 등 포함)에 대한 상세 정보, 투자 목표 금액 정보(또는 투자 목표 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 화폐(또는 가상 화폐) 정보), 투자 마감 정보, 투자금 운용 기간 정보, 투자 운용에 따른 비용 정산 정보(예를 들어 투자 원금 정산 정보, 수익금 분배 정보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가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서버(120)는 상기 단말(110)과의 연동에 의해,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110)의 사용자가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서버(120)는 상기 단말(110)로부터 제공되는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와 관련해서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에서 개설된 단말(110)의 전자 지갑 정보, 투자 코인 종류, 투자 코인량 등 포함), 단말(11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단말(110) 및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수신된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또는 가상 화폐)를 해당 서버(120)에서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미리 개설한 전자 지갑으로 이체하여, 상기 단말(110)에서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서버(120)는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110)과 관련한 전자 지갑에서 투자금 정보만큼의 특정 암호화 화폐를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미리 개설된 특정 전자 지갑으로 이체한다.
또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서버(120)는 투자 계약 정보를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해 투자를 수행한 상기 단말(110)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투자 계약 정보는 투자명(또는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정보 등 포함), 투자자 정보, 계약자 정보, 투자 일시 정보, 투자 금액 정보(암호화 화폐 단위), 전체 투자 금액 중 투자 비율 정보(또는 투자 목표 금액 중 단말(110)의 투자에 대응하는 투자 비율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한 주체인 상기 서버(120)는 상기와 같은 투자금 모집 과정을 통해 투자된 암호화 화폐를 현금화하여 콘텐츠 제작에 투자할 수 있는 자금 풀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단말(110)과의 투자 계약 기능 수행 후, 해당 투자 계약 정보,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120)는 미리 설정된 암호화 방식에 따른 공개키 또는 개인키를 이용하여 해당 투자 계약 정보에 대한 암호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 방식은 대칭형 암호화 방식, 비대칭형 암호화 방식 등의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자 마감 정보에 따라 투자가 마감된 이후, 상기 서버(120)는 최종적으로 실제 모집된 최종 전체 투자 금액에 따른 암호화 화폐 정보를 집계(또는 산출)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집계된 최종 전체 투자 금액에 따른 암호화 화폐 정보를 근거로 상기 투자 정보에 따른 투자 목표 금액 정보에 대응하는 암호화 화폐가 모두 모집되거나 초과한 경우, 최종 전체 투자 금액에 따른 암호화 화폐 정보, 투자 운용에 따른 비용 정산 정보(예를 들어 투자 원금 정산 정보, 수익금 분배 정보 등 포함), 투자자별 투자 금액 정보 등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집계된 최종 전체 투자 금액에 따른 암호화 화폐 정보를 근거로 상기 투자 정보에 따른 투자 목표 금액 정보에 대응하는 암호화 화폐가 미달된 경우, 상기 집계된 최종 전체 투자 금액에 따른 암호화 화폐가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투자 운용을 위해 미리 설정된 최소 금액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작은 경우, 펀딩 유치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해 투자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110)과 관련한 전자 지갑에 해당 단말(110)에서 투자한 암호화 화폐를 모두 반환한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서버(120)는 상기 집계된 최종 전체 투자 금액에 따른 암호화 화폐를 근거로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해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해 투자한 상기 단말(110)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해당 단말(110)에서 투자한 투자 원금 중 일부(예를 들어 투자 원금의 50%)에 대한 보증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단말(110)에 대한 보증 기능 수행을 위해서, 상기 서버(120)는 보험사 서버(미도시)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원금 중 일부에 대한 보증 계약(또는 보험 계약)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금 운용에 의해 일부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버(120)는 상기 보험사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복수의 단말(110)에서 투자한 투자 원금 중 일부에 대해 환불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120)는 복수의 단말(110)의 사용자 각각에 대해 설정된 회원 등급에 따라서 서로 다른 비율의 환불 조치(예를 들어 상기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다른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등에 따라 회원 등급이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회원 등급이 낮은 경우에 비해서 더 높은 환급 비율 - 1 등급 회원의 경우 최대 60% 환급, 상대적으로 낮은 최하위 5 등급 회원의 경우 최대 50% 환급 등 포함 - 을 적용)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투자금 운용 기간이 지난 경우, 상기 서버(120)는 앞서 모집된 암호화 화폐의 투자 운영에 따른 비용 정산 기능을 수행한다.
즉,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투자금 운용 기간이 지난 경우, 상기 서버(120)는 앞서 모집된 암호화 화폐의 투자 운영에 따른 수익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수익이 발생하지 않고, 투자 원금 보존 또는 투자 원금 일부 손실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서버(120)는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해당 시점(또는 비용 정산 시점)에 남은 투자 원금(또는 해당 시점에 남은 투자 원금 중 운영 비용을 제외한 투자 원금)을 미리 설정된 암호화 화폐로 환전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상기 환전된 남은 투자 원금과 관련한 암호화 화폐를 단말별 투자 비율(또는 배분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한 단말별로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해당 분배금(또는 상기 환전된 남은 투자 원금과 관련한 암호화 화폐에 대한 분배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 수익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서버(120)는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수익 발생에 따른 이익의 일정 비율을 미리 설정된 암호화 화폐로 환전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상기 환전된 암호화 화폐를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한 단말별 투자 비율(또는 배분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한 단말별로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해당 분배 비율에 따른 수익금을 제공(또는 반환)한다. 이때, 상기 서버(120)는 수익금뿐만 아니라 투자 원금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수익 분배에 따른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수익 분배 정보는 투자명(또는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정보 등 포함), 투자자 정보, 계약자 정보, 투자 일시 정보, 투자 금액 정보(암호화 화폐 단위), 전체 금액 중 투자 비율 정보, 수익 금액 정보, 수익 금액 중 일정 부분에 대한 수익 분배금 정보, 단말별/투자자별 수익금 반환 정보, 단말별/투자자별 원금 반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서버(12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암호화 방식에 따른 공개키 또는 개인키를 이용하여 해당 수익 분배 정보에 대한 암호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암호화된 수익 분배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120)는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와 연동하여,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투자 정보, 수익 여부에 따른 투자금을 포함한 수익금 분배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내의 블록체인(또는 블록체인 노드)에 저장하여, 투명한 정보 공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단말(110), 상기 서버(120),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서버(120)와 연동하여, 상기 서버(120)에 의해 생성된 투자 계약 정보(또는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 포함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내의 블록체인(또는 블록체인 노드/블록)에 등록(또는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투자 계약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내의 블록체인에 등록될 때, 해당 투자 계약 정보가 등록되는 시점의 TX HASH 값이 해당 투자 계약 정보와 함께 블록체인에 등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자 계약 정보는 투자명(또는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정보 등 포함), 투자자 정보, 계약자 정보, 투자 일시 정보, 투자 금액 정보(암호화 화폐 단위), 전체 투자 금액 중 투자 비율 정보(또는 투자 목표 금액 중 단말(110)의 투자에 대응하는 투자 비율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블록체인은 탈중앙화된(De-centralized)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이다. 즉, 상기 블록체인은 어느 한 주체가 시스템을 장악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노드(Node) 간의 합의에 의해서만 거래(Transaction)가 전송되고 검증되므로, 전체 시스템의 투명성, 공정성, 신뢰성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 화폐(또는 상기 가상 화폐)는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으로 운용되는 자산 가치를 지닌 화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익 분배에 따른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또는 암호화된 수익 분배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수신된 수익 분배에 따른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또는 암호화된 수익 분배 정보) 등을 해당 블록체인 서버(130) 내의 블록체인(또는 블록)에 등록(또는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내의 블록체인에 등록될 때,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가 등록되는 시점의 다른 TX HASH 값이 해당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와 함께 블록체인에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서 상기 단말(110), 상기 서버(120)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해당 블록체인 서버(130)에 저장된(또는 등록된)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또는 블록체인) 중에서 해당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을 추출(또는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된 정보(또는 추출 정보/암호화된 정보/추출된 암호화된 정보)는 상기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추출된 정보를 상기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 상기 단말(110), 상기 서버(120) 등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해당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 단말(110, 120)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이후에 상기 추출된 정보를 해당 단말(110, 1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버(120) 및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가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서버(120) 및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단일한 통합 서버(미도시)로 구성되어 상기 서버(120) 및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서 수행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는 상기 단말(110), 상기 서버(120),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는 상기 단말(110)과 연동하여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와 관련한 전자 지갑(또는 가상 계좌)을 생성(또는 발급)한다. 이때, 상기 생성된 해당 단말(110)과 관련한 전자 지갑(또는 가상 계좌)은 암호화되어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내의 블록체인에 저장(또는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는 상기 서버(120)와 연동하여 특정 투자 콘텐츠와 관련한 전자 지갑(또는 가상 계좌/투자 콘텐츠별 전자 지갑)을 생성(또는 발급)한다.
또한,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는 상기 단말(110), 상기 서버(120) 등과 연동하여 상기 단말(110) 또는 상기 서버(120)와 관련한 전자 지갑으로 입금된 현금에 대해 실시간 시세 정보를 적용하여 해당 현금을 특정 암호화 화폐(또는 가상 화폐)로 환전(또는 교환)한다.
또한,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는 상기 단말(110), 상기 서버(120),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등의 특정 가상 화폐에 대한 시세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실시간 특정 가상 화폐에 대한 시세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는 상기 단말(110) 및 상기 서버(120)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수신된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또는 가상 화폐)를 해당 서버(120)에서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미리 개설한 전자 지갑으로 이체하여, 상기 단말(110)에서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투자금 운용 기간이 지나 투자금에 대한 비용 정산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는 상기 서버(120)와 연동하여, 해당 시점(또는 비용 정산 시점)에 남은 투자 원금(또는 해당 시점에 남은 투자 원금 중 운영 비용을 제외한 투자 원금)을 미리 설정된 암호화 화폐로 환전한다.
또한,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는 상기 환전된 남은 투자 원금과 관련한 암호화 화폐를 단말별 투자 비율(또는 배분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한 단말별로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해당 분배금(또는 상기 환전된 남은 투자 원금과 관련한 암호화 화폐에 대한 분배금)을 제공(또는 입금 처리)한다.
또한,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투자금 운용 기간이 지나 투자금에 대한 비용 정산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는 상기 서버(120)와 연동하여, 수익 발생에 따른 이익의 일정 비율을 미리 설정된 암호화 화폐로 환전하고, 투자 원금을 해당 암호화 화폐로 환전한다.
또한,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는 상기 환전된 수익금에 따른 암호화 화폐, 투자 원금에 따른 암호화 화폐 등을 단말별 투자 비율(또는 배분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한 단말별로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해당 분배금(또는 원금과 수익금에 따른 분배금)을 제공(또는 입금 처리)한다.
이와 같이,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통해 암호화 화폐를 구매한 상태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을 수행한 후, 서버에서 투자 계약에 따른 투자 계약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를 블록체인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블록체인 서버상의 블록체인에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방법을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110)은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투자 정보는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영화, 음반, 웹툰, 애니메이션, 도서 등 포함)에 대한 상세 정보, 투자 목표 금액 정보(또는 투자 목표 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 화폐(또는 가상 화폐) 정보), 투자 마감 정보, 투자금 운용 기간 정보, 투자 운용에 따른 비용 정산 정보(예를 들어 투자 원금 정산 정보, 수익금 분배 정보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10)은 상기 수신된 투자 정보를 표시한다.
일 예로, 제 1 단말(110)은 상기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홍길동 가수가 참여하는 음반의 제작, 판매 등에 따른 제 1 투자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투자 정보는 해당 홍길동 가수와 관련한 음반 제작, 판매 등에 대한 제 1 상세 정보, 투자 목표 금액에 대응하는 제 1 암호화 화폐 정보(예를 들어 비트코인 100 BTC), 제 1 투자 마감 정보(예를 들어 2018년 11월 01일 ~ 2018년 12월 31일), 제 1 투자금 운용 기간 정보(예를 들어 2019년 01월 01일 ~ 2019년 11월 30일), 제 1 비용 정산 정보(예를 들어 2019년 12월 10일에 운용 수익에 따른 투자 원금, 수익금 등에 대한 비용 정산) 등을 포함한다(S210).
이후,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가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110)은 상기 서버(120)와의 연동에 의해,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110)의 사용자가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110)은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또는 가상 화폐) 중에서 일정 투자금에 대응하는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와 관련해서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에서 개설된 단말(110)의 전자 지갑 정보, 투자 코인 종류, 투자 코인량 등 포함), 단말(11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 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단말(110)로부터 제공되는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 단말(11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단말(110) 및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수신된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단말(110)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또는 가상 화폐)를 해당 서버(120)에서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미리 개설한 전자 지갑으로 이체하여, 상기 단말(110)에서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단말(110)은 상기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투자 계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투자 계약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투자 계약 정보는 투자명(또는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정보 등 포함), 투자자 정보, 계약자 정보, 투자 일시 정보, 투자 금액 정보(암호화 화폐 단위), 전체 투자 금액 중 투자 비율 정보(또는 투자 목표 금액 중 단말(110)의 투자에 대응하는 투자 비율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홍길동 가수와 관련한 음반 제작, 판매 등에 대한 제 1 투자 정보를 근거로 해당 음반 제작, 판매 등에 투자하고자 할 때, 상기 제 1 단말은 해당 제 1 단말의 사용자인 철수가 미리 구매하여 보관 중인 암호화 화폐 중에서 투자하고자 하는 제 1 투자금 정보(예를 들어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에서의 상기 철수와 관련한 전자 지갑 정보, 투자 코인 종류 및 투자 코인량인 비트코인 1 BTC 등 포함),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12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제 1 투자금 정보(예를 들어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에서의 상기 철수와 관련한 전자 지갑 정보, 투자 코인 종류 및 투자 코인량인 비트코인 1 BTC 등 포함) 등을 근거로 해당 제 1 단말 및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해당 제 1 단말로부터 해당 제 1 투자금 정보에 해당하는 비트코인 1 BTC를 상기 홍길동 가수와 관련하여 미리 개설한 제 1 전자 지갑으로 이체하여, 제 1 단말에서의 상기 홍길동 가수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제 1 단말의 투자 계약 기능 수행에 따른 제 1 투자 계약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투자 계약 정보는 투자명(예를 들어 홍길동 가수의 음반 제작 및 판매), 투자자 정보(예를 들어 홍길동, 연락처 010-1234-5678 등 포함), 계약자 정보(예를 들어 홍길동 가수의 소속사 정보인 ABCD 엔터테인먼트, 연락처 02-9876-5432 등 포함), 투자 일시 정보(예를 들어 2018년 11월 15일 오후 3시 30분 15초), 투자 금액 정보(예를 들어 비트코인 1 BTC), 전체 투자 금액 중 투자 비율 정보(예를 들어 전체 투자 목표 금액 중 1% 투자)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투자 계약 정보를 수신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된 제 1 투자 계약 정보(300)를 표시한다(S220).
이후, 상기 서버(120)는 상기 단말(110)과의 투자 계약 기능 수행 후, 해당 투자 계약 정보,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 등을 블록체인 서버(13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120)는 미리 설정된 암호화 방식에 따른 공개키 또는 개인키를 이용하여 해당 투자 계약 정보에 대한 암호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 방식은 대칭형 암호화 방식, 비대칭형 암호화 방식 등의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버(120)는 상기 제 1 투자 계약 정보를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방식을 통해 암호화하여 암호화된(또는 생성된) 제 1 투자 계약 정보,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 전송한다(S230).
이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투자 계약 정보(또는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투자 계약 정보(또는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 등을 해당 블록체인 서버(130) 내의 블록체인(또는 블록)에 등록(또는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투자 계약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내의 블록체인에 등록될 때, 해당 투자 계약 정보가 등록되는 시점의 TX HASH 값이 해당 투자 계약 정보와 함께 블록체인에 등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제 1 투자 계약 정보,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수신된 암호화된 제 1 투자 계약 정보,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내의 블록체인에 분산하여 저장한다(S240).
이후,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투자금 운용 기간이 지난 경우, 상기 서버(120)는 앞서 모집된 암호화 화폐의 투자 운영에 따른 비용 정산 기능을 수행한다.
즉,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투자금 운용 기간이 지난 경우, 상기 서버(120)는 앞서 모집된 암호화 화폐의 투자 운영에 따른 수익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수익이 발생하지 않고, 투자 원금 보존 또는 투자 원금 일부 손실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서버(120)는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해당 시점(또는 비용 정산 시점)에 남은 투자 원금(또는 해당 시점에 남은 투자 원금 중 운영 비용을 제외한 투자 원금)을 미리 설정된 암호화 화폐로 환전하고, 상기 환전된 남은 투자 원금과 관련한 암호화 화폐를 단말별 투자 비율(또는 배분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한 단말별로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해당 분배금(또는 상기 환전된 남은 투자 원금과 관련한 암호화 화폐에 대한 분배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 수익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서버(120)는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수익 발생에 따른 이익의 일정 비율을 미리 설정된 암호화 화폐로 환전하고, 상기 환전된 암호화 화폐를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한 단말별 투자 비율(또는 배분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해당 특정 콘텐츠에 투자한 단말별로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해당 분배 비율에 따른 수익금을 제공(또는 반환)한다. 이때, 상기 서버(120)는 수익금뿐만 아니라 투자 원금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홍길동 가수와 관련한 음반 제작, 판매 등에 따른 제 1 투자금 운용 기간 정보(예를 들어 2019년 01월 01일 ~ 2019년 11월 30일)에 따른 투자 기간이 지난 후, 제 1 비용 정산 정보(예를 들어 2019년 12월 10일에 운용 수익에 따른 비용 정산)에 따라 수익 정산 기일이 도래한 상태일 때, 상기 서버(120)는 총 운용 수익인 2억원 중 미리 설정된 일정 비율(예를 들어 60%)인 1억 2천만원을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미리 설정된 암호화 화폐인 비트코인(예를 들어 실시간 시세(300만원/1 BTC)에 따른 40 BTC)으로 환전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실시간 시세에 따라 일정 현금을 초기 투자금인 100 BTC로 환전한다. 이때, 암호화 화폐의 실시간 시세에 따라 환차손/환차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120)는 상기 환차손/환차익에 따른 추가 손실/추가 이익을 처리(또는 관리/부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단말별 투자 비율(예를 들어 제 1 단말의 1% 등 포함)에 따라, 상기 환전된 비트코인 40 BTC 중 1%인 0.4 BTC를 운영 수익으로 상기 제 1 단말의 전자 지갑(또는 상기 철수와 관련한 전자 지갑)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140)와 연동하여, 초기 투자금인 100 BTC에 대해서 단말별 투자 비율(예를 들어 제 1 단말의 1% 등 포함)에 따라, 상기 환전된 비트코인 100 BTC 중 1%인 1 BTC를 투자 원금으로 상기 제 1 단말의 전자 지갑에 제공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말은 해당 제 1 단말의 철수와 관련한 전자 지갑을 통해 상기 투자 원금 및 이익 분배에 따른 암호화 화폐 정보(400)를 표시한다(S250).
이후, 상기 서버(120)는 수익 분배에 따른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수익 분배 정보는 투자명(또는 해당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정보 등 포함), 투자자 정보, 계약자 정보, 투자 일시 정보, 투자 금액 정보(암호화 화폐 단위), 전체 금액 중 투자 비율 정보, 수익 금액 정보, 수익 금액 중 일정 부분에 대한 수익 분배금 정보, 단말별/투자자별 수익금 반환 정보, 단말별/투자자별 원금 반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서버(12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암호화 방식에 따른 공개키 또는 개인키를 이용하여 해당 수익 분배 정보에 대한 암호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20)는 상기 암호화된 수익 분배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버(120)는 수익 분배에 따른 해당 홍길동 가수의 음반 제작 및 판매에 따른 제 1 수익 분배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수익 분배 정보는 투자명(예를 들어 홍길동 가수의 음반 제작 및 판매), 투자자 정보(예를 들어 홍길동, 연락처 010-1234-5678 등 포함), 계약자 정보(예를 들어 홍길동 가수의 소속사 정보 등 포함), 투자 일시 정보(예를 들어 2018년 11월 15일 오후 3시 30분 15초), 투자 금액 정보(예를 들어 비트코인 1 BTC), 전체 금액 중 투자 비율 정보(예를 들어 전체 투자 금액 중 1% 투자), 수익 금액 정보(예를 들어 2억원), 수익 금액 중 일정 부분에 대한 수익 분배금 정보(예를 들어 60%인 1억 2천만원), 단말별 수익금 반환 정보(예를 들어 제 1 단말에 대한 4 BTC 등 포함), 단말별 원금 반환 정보(예를 들어 제 1 단말에 대한 1 BTC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S260).
이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익 분배에 따른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또는 암호화된 수익 분배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수신된 수익 분배에 따른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또는 암호화된 수익 분배 정보) 등을 해당 블록체인 서버(130) 내의 블록체인(또는 블록)에 등록(또는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내의 블록체인에 등록될 때,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가 등록되는 시점의 다른 TX HASH 값이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와 함께 블록체인에 등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수익 분배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는 상기 수신된 제 1 수익 분배 정보 등을 상기 블록체인 서버(130) 내의 블록체인에 분산하여 저장한다(S27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통해 암호화 화폐를 구매한 상태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을 수행한 후, 서버에서 투자 계약에 따른 투자 계약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를 블록체인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블록체인 서버상의 블록체인에 상기 암호화된 투자 계약 정보를 등록하여, 원본 데이터인 투자 계약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며, 투자자와 계약자 간의 권리관계에 대한 분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콘텐츠 투자 시스템 110: 단말
120: 서버 130: 블록체인 서버
140: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

Claims (6)

  1.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한 전자 지갑 정보, 투자 코인 종류 및 투자 코인량을 포함하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 중에서 일정 투자금에 대응하는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말;
    단말과 연동하여,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하고, 투자 계약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블록체인 서버에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투자 계약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 내의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상기 블록체인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 및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를 상기 서버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미리 개설한 전자 지갑으로 이체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투자 계약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투자 정보에 따른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투자금 운용 기간이 지난 상태일 때,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모집된 암호화 화폐의 투자 운영에 따른 비용 정산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블록체인 서버와 연동하여 수익 분배에 따른 해당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 내의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투자 정보는,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 투자 목표 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 화폐 정보, 투자 마감 정보, 투자금 운용 기간 정보 및 투자 운용에 따른 비용 정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해 투자한 상기 단말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해당 단말에서 투자한 투자 원금 중 일부에 대한 보증 기능을 수행하고,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금 운용에 의해 일부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보험사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단말의 사용자 각각에 대해 설정된 회원 등급에 따라서 서로 다른 비율로 환급 비율을 설정하고, 복수의 단말에서 투자한 투자 원금 중 일부에 대해 상기 환급 비율에 따른 환불 조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단말에 의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과의 투자 계약 기능 수행 후, 상기 서버에 의해, 투자 계약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블록체인 서버에 의해, 상기 투자 계약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 내의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투자 정보에 따른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투자금 운용 기간이 지난 상태일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모집된 암호화 화폐의 투자 운영에 따른 비용 정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수익 분배에 따른 해당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의해, 상기 수익 분배에 따른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수익 분배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 내의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해 투자한 상기 단말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해당 단말에서 투자한 투자 원금 중 일부에 대한 보증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한 전자 지갑 정보, 투자 코인 종류 및 투자 코인량을 포함하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 중에서 일정 투자금에 대응하는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 및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투자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암호화 화폐를 상기 서버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미리 개설한 전자 지갑으로 이체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 계약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투자 계약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투자 계약 정보는,
    투자명, 투자자 정보, 계약자 정보, 투자 일시 정보, 투자 금액 정보 및 전체 투자 금액 중 투자 비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모집된 암호화 화폐의 투자 운영에 따른 비용 정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모집된 암호화 화폐의 투자 운영에 따른 수익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 결과, 투자 원금 보존 또는 투자 원금 일부 손실이 발생한 상태일 때, 상기 서버에 의해,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와 연동하여, 비용 정산 시점에 남은 투자 원금을 미리 설정된 암호화 화폐로 환전하는 과정;
    상기 환전된 남은 투자 원금과 관련한 암호화 화폐를 단말별 배분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투자한 단말별로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분배금을 제공하는 과정;
    상기 확인 결과, 수익이 발생한 상태일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가상 화폐 거래소 서버와 연동하여, 수익 발생에 따른 이익의 일정 비율 및 투자 원금을 상기 미리 설정된 암호화 화폐로 환전하는 과정; 및
    상기 환전된 수익 발생에 따른 이익의 일정 비율 및 투자 원금과 관련한 암호화 화폐를 상기 단말별 분배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투자한 단말별로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해당 단말에서 투자한 투자 원금 중 일부에 대한 보증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보험사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단말의 사용자 각각에 대해 설정된 회원 등급에 따라서 서로 다른 비율로 환급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투자금 운용에 의해 일부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보험사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단말에서 투자한 투자 원금 중 일부에 대해 상기 환급 비율에 따른 환불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80171042A 2018-12-12 2018-12-27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9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9707 2018-12-12
KR1020180159707 2018-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371A KR20200072371A (ko) 2020-06-22
KR102329779B1 true KR102329779B1 (ko) 2021-11-23

Family

ID=7114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042A KR102329779B1 (ko) 2018-12-12 2018-12-27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808A (ko) 2021-11-11 2023-05-18 크립토 주식회사 가상 화폐 기반 투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68806A (ko) 2021-11-11 2023-05-18 크립토 주식회사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025B1 (ko) * 2017-01-03 2017-06-26 주식회사 온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증권업무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119B1 (ko) * 2006-12-01 2008-09-26 주식회사 넥서스이앤아이 포인트 펀드 시스템
EP3420518B1 (en) 2016-02-23 2023-08-23 nChain Licensing AG Methods and systems for efficient transfer of entities on a peer-to-peer distributed ledger using the blockchain
KR20180115402A (ko) * 2017-04-13 2018-10-23 현대비에스앤씨 (주) 블록체인 기반 p2p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025B1 (ko) * 2017-01-03 2017-06-26 주식회사 온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증권업무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371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796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 reward processing
US11210736B2 (en) Global liquidity and settlement system
Warren et al. 0x: An open protocol for decentralized exchange on the Ethereum blockchain
US20200143469A1 (en) Technological improvements to networked computer systems having particularized components that are specially programmed to unconventionally effectuate efficient blockchain storage
US11164228B2 (en) Method and medium for determining exchange item compliance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CN111640014B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应收账款债权融资系统及方法
CN108604344A (zh) 用于使用数字签名创建可信数字资产转移的方法和系统
WO2018060951A1 (en) A system for trading in a contract-free manner
CN107330789B (zh) 一种基于数字货币的投资筹资的交易方法、系统和装置
CN109816533A (zh) 一种虚拟资源分配方法及装置
CN113570350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票据数字化交互系统及其方法
CN107852333A (zh) 用于可公开验证的授权的系统和方法
KR102117063B1 (ko) 스타마케팅 시스템을 이용한 펀딩 유치 및 수익 재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977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
CA3058598C (en) Cross-funds management server-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therefor
US20230125124A1 (en) Obtaining conditions data for utilizing an exchange item
WO2023201360A2 (en) Method, controller,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placement of a cancelled repeating transfer data structure on a distributed transfer network
EP3489875A1 (en) Device for payment of vehicle based costs, a respective vehicle and a respective method
KR20230011197A (ko) Nft를 이용한 실제 예술품 거래 방법
CN112686652A (zh) 基于区块链的数字资产交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M595832U (zh) 基金整合交易系統
CN114066448A (zh) 贷款交易的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392117A (zh) 资源配置利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767185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反向保理融资方法、设备及存储介质
CA3094226A1 (en) Cross-funds management server-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