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420B1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420B1
KR102329420B1 KR1020140062536A KR20140062536A KR102329420B1 KR 102329420 B1 KR102329420 B1 KR 102329420B1 KR 1020140062536 A KR1020140062536 A KR 1020140062536A KR 20140062536 A KR20140062536 A KR 20140062536A KR 102329420 B1 KR102329420 B1 KR 102329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ll
terminal
uni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972A (ko
Inventor
이돈근
곽해리
김성혁
양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2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420B1/ko
Priority to FR1554424A priority patent/FR3021425B1/fr
Priority to US14/717,929 priority patent/US10917508B2/en
Priority to EP15001539.4A priority patent/EP2947859B1/en
Priority to EP18168115.6A priority patent/EP3410678A1/en
Priority to CN201510266549.XA priority patent/CN105094662B/zh
Publication of KR2015013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출력을 보조해 줄 수 있는 외부 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호 신호 수신 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출력이 제 1 외부 단말기를 통해 수행되는 제 1 설정 상태에서, 호 신호의 수신 도중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제 1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수신되는 호 신호를 수락하고, 상기 수락된 호 신호에 대한 통화음을 외부 단말기가 아닌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 2 설정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보조해 줄 수 있는 보조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보조 단말기의 일례로는 사용자의 몸에 쉽게 착용 가능한 형태가 있으며, 별도로 구비하는 출력부를 통하여 음악 재생, 통화 등의 음향 출력 기능을 보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는,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과 연결시키는 형태로써, 마찬가지로 상술한 음향 출력 기능들을 보조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음향 출력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 및/또는 보조 단말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음향 출력을 보조하기 위한 외부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출력이 제 1 외부 단말기를 통해 수행되는 제 1 설정 상태에서, 호 신호의 수신 도중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제 1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수신되는 호 신호를 수락하고, 상기 수락된 호 신호에 대한 통화음을 외부 단말기가 아닌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 2 설정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센싱부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음향 출력이 제 1 외부 단말기를 통해 수행되는 제 1 설정 상태에서, 호 신호의 수신 도중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제 1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수신되는 호 신호를 수락하는 단계; 및 상기 수락된 호 신호에 대한 통화음을 외부 단말기가 아닌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 2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향 출력을 보조하기 위한 외부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1) 및 보조 단말기(100-2)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 경로를 전환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 경로를 전환하는 제어 방법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화가 종료됨에 따라서 기존의 소리 경로로 복귀하는 제어 방법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보조 단말기가 착용되지 않은 경우, 소리 경로를 전환하는 제어 방법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단말기를 통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도중 소리 경로를 전환하는 제어 방법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1)에 제 1 보조 단말기(100-2) 및 제 2 보조 단말기(100-3)가 연결되는 경우, 소리 경로를 결정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호 신호가 거부되는 경우 소리 경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1)를 이용하여 통화 도중, 보조 단말기(100-2)로 전환하여 통화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소리 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들어올리는 동작의 완성도를 나타내기 위한 진행 인디케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1) 및 보조 단말기(100-2)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에서 보조 단말기(100-2)는 해드셋 형태를 가지며, 이동 단말기(100-1)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1)는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보조 단말기(100-2)에 구비된 무선 통신부(미도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1)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해드셋 형태의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1)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경우,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하여 통화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두 가지 예시뿐만 아니라, 다양한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동 단말기(100-1)가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출력부(150)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부(150)로 전달하고, 전달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경우에서와 같이, 오디오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제 1 소리 경로(a first sound path)라고 부르기로 한다.
반대로, 이동 단말기(100-1)의 오디오 신호(음악 재생, 통화음 등)를 보조 단말기(100-2)에서 출력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부(110)을 제어하여 보조 단말기(10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렇게 오디오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제 2 소리 경로(a second sound path)라고 부르기로 한다.
두 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은, 근거리 통신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조 단말기(100-2)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기 위한 프래임(201) 및 프래임(201)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본체(200a 및 20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200a 및 200b)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이어폰(20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주변 환경에 적응적으로 상술한 제 1 및 제 2 소리 경로 간에 적절히 전환하는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 경로를 전환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 경로를 전환하는 제어 방법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S30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보조 단말기(100-2)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 통신의 연결이란, 연결되는 단말기 간에 서로를 식별하고, 바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의 연결은 페어링(pairing)이라고 호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조 단말기(100-2)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상태라면, 제어부(180)는 제 2 소리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제 2 소리 경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단말기(100-2)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로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보조 단말기(100-2)와 연결을 수립한 상태라면, 보조 단말기(100-2)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S3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 2 소리 경로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S303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소리 경로 전환 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한다. 소리 경로 전환 조건이란, 소리 경로를 전환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사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1)의 센싱부(140)를 통하여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관한 조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리 경로 전환 조건의 제 1 예시로, 이동 단말기(100-1)를 귀에 가져가는 동작의 감지이다. 제 2 소리 경로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하는 도중 전화가 수신되고, 이동 단말기(100-1)를 귀에 가져가는 동작이 감지된다면, 기존에 출력 중인 보조 단말기(100-2)가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1)를 통하여 전화를 받겠다는 의사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 (a)에 도시된 예시에서, 사용자는 보조 단말기(100-2)를 착용하고 있으나,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하여 음악은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1)와 보조 단말기(100-2) 간에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즉, 제어부(18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제 2 소리 경로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는 상태로 가정한다.
호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1) 및/또는 보조 단말기(100-2)의 출력부를 통하여, 호 신호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1)를 귀에 가져가는 동작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신 전화의 통화음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제 2 소리 경로에서 제 1 소리 경로로 전환하여 이동 단말기(100-1)의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S304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1)를 귀에 가져가는 동작은, 이동 단말기(100-1)를 이용하여 전화를 받겠다는 의사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호 신호의 알림에 응답하여, 통화 수락 명령이 수신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이동 단말기(100-1)를 귀에 가져가는 동작의 감지를 소리 경로 전환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통화 버튼을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이동 단말기(100-1)를 귀에 가져가는 동작의 감지될 경우, 소리 경로를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 (b)에서와 같이 통화를 하다가,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다시 원래 소리 경로로의 복귀가 요구된다. 이러한 조건이, 상기 소리 경로 전환 조건의 제 2 예시로, 이동 단말기(100-1)의 통화 종료 조건이다. 제 2 예시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화가 종료됨에 따라서 기존의 소리 경로로 복귀하는 제어 방법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4 (b)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1)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고 있다. 통화의 종료(소리 경로 전환 조건의 제 2 예시)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제 1 소리 경로에서 제 2 소리 경로로 전환할 수 있다.
만약, 호 신호가 수신되기 전 이동 단말기(100-1)가 제 2 소리 경로를 이용하여 음악을 재생 중이었다면, 제어부(180)는 다시 제 2 소리 경로로 복귀하였을 때 통화로 인하여 멈추었던 음악을 자동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상황은, 사용자가 보조 단말기를 차고 있는 상황이었으나, 보조 단말기를 착용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보조 단말기가 착용되지 않은 경우, 소리 경로를 전환하는 제어 방법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a)에 도시된 예시에서, 사용자는 보조 단말기(100-2)를 착용하고 있지 않으며,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하여 음악은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100-1)와 보조 단말기(100-2) 간에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즉, 제어부(18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제 2 소리 경로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는 상태로 가정한다.
호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1) 및/또는 보조 단말기(100-2)의 출력부를 통하여, 호 신호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1)를 귀에 가져가는 동작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신 전화의 통화음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제 2 소리 경로에서 제 1 소리 경로로 전환하여 이동 단말기(100-1)의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S304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1)를 귀에 가져가는 동작은, 이동 단말기(100-1)를 이용하여 전화를 받겠다는 의사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조 단말기(100-2)의 착용 여부를 더 감지하고, 착용 여부에 따라서 소리 경로를 전환하도록 제안한다.
사용자가 도 4 (a)에서와 같이 보조 단말기(100-2)를 착용하고 있다면, 착용을 감지한 이동 단말기(100-1)의 제어부(180)는 착용 중인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하여(제 2 소리 경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보조 단말기(100-2)의 착용이 해제되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착용이 해제된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한 출력 대신 이동 단말기(100-1) 자체의 출력부를 이용(제 1 소리 경로)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하여 음악이 재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음악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단말기를 통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도중 소리 경로를 전환하는 제어 방법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a)에 도시된 예시에서, 이동 단말기(100-1)와 보조 단말기(100-2) 간에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보조 단말기(100-2)를 착용하고 있으며, 착용된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악을 듣고 있다. 즉, 제어부(18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제 2 소리 경로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는 상태다.
호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1) 및/또는 보조 단말기(100-2)의 출력부를 통하여, 호 신호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1)를 귀에 가져가는 동작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신 전화의 통화음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제 2 소리 경로에서 제 1 소리 경로로 전환하여 이동 단말기(100-1)의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S304단계).
상술한 바에서와 같이, 통화가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원래 소리 경로인 제 1 소리 경로로 복귀하면서, 통화로 인하여 멈추었던 음악을 자동으로 다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원래 재생하고 있던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1)에 하나의 보조 단말기(100-2)가 연결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연결되는 보조 단말기(100-2)의 개수와는 상관이 없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연결되는 보조 단말기(100-2)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1)에 제 1 보조 단말기(100-2) 및 제 2 보조 단말기(100-3)가 연결되는 경우, 소리 경로를 결정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예시에서, 이동 단말기(100-1)는 제 1 및 제 2 보조 단말기(100-2 및 100-3)에 연결된 상태로 가정한다. 제 2 보조 단말기(100-3)의 예시로, 차량용 오디오 장치가 도시되고 있으며 차량용 오디오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소리의 경로를 제 3 소리 경로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보조 단말기(100-2 및 100-3)에 연결된 상태에서 호 신호가 수신될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내지 제 3 소리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이용하여 호 신호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1)를 귀에 가져가는 동작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신 전화의 통화음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제 3 소리 경로에서 제 1 소리 경로로 전환하여 이동 단말기(100-1)의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9 (a)는 도 8 (a)에서와 동일한 상태에서, 호 신호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제 1 보조 단말기(100-2)에 구비된 이어폰(202)의 착용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신 전화의 통화음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제 3 소리 경로에서 제 2 소리 경로로 전환하여 제 1 보조 단말기(100-2)의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보조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더라도, 특정 보조 단말기를 통하여 전화를 받겠다는 사용자의 의사를 감지하여, 그 특정 보조 단말기에 출력하기 위한 소리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안한다.
한편, 상술하는 실시예에서는, 호 신호를 수락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호 신호를 거부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호 신호가 거부되는 경우 소리 경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a)에 도시된 예시에서, 사용자는 보조 단말기(100-2)를 착용하고 있으며, 착용된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악을 듣고 있다. 즉, 제어부(18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제 2 소리 경로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는 상태다.
호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1) 및/또는 보조 단말기(100-2)의 출력부를 통하여, 호 신호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0 (b)에서와 같이 호 신호의 알림을 확인할 수 있다.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 또는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해서, 호 신호의 수신(또는 보류)을 거부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호 수신을 거부하고자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수신 거부 조건이 만족되면 기존의 소리 경로를 그대로 유지하고, 음악의 출력을 계속할 수 있다(도 10 (c) 참조). 더 나아가, 수신 거부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80)는 호 신호의 알림을 더 이상 출력하지 않고, 바로 기존 음악의 출력을 계속하도록 복귀할 수 있다.
수신 거부 조건이란, 사용자의 수신 거부 의사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으로써, 사용자가 호 신호가 수신됨을 확인한 후 (1) 원래 상태로 복귀를 감지 또는 (2) 주머니(또는 가방 등)에 넣는 동작을 감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원래 상태로 복귀란, 호 신호가 수신되기 전 상태로의 복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호 신호가 수신되기 전 평평한 바닥에 놓여져 있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호 신호의 알림을 확인 후 다시 평평한 바닥에 놓여지는 경우, 원래 상태로 복귀하였다고 볼 수 있다. 즉, 상기 상태는, 이동 단말기(100-1)의 각종 센싱부(140)를 통하여 감지되는 센싱 결과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100-1)의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원래 상태로의 복귀의 다른 예시로, 이동 단말기(100-1)의 높이의 복귀를 들 수 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면, 이동 단말기(100-1)의 개략적인 높이 변화의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사용자가 호 신호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1)를 들어올릴 경우, 이동 단말기(100-1)의 높이가 순간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즉, 중력 반대 방향으로 가속도 감지). 이 상태에서, 다시 이동 단말기(100-1)의 높이가 내려간다면, 호 신호를 거부하는 의사로 판단하고, 확인 후 이동 단말기(100-1)의 높이가 상승한다면, 호 신호를 수락하는 의사로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1)를 얼굴 근처로 가져가야 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1)의 센싱부(140)를 통하여 감지되는 각종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머니에 이동 단말기(100-1)가 위치하는 것을 판단할 경우, 제어부(180)는 호 신호를 거부하는 의사로 판단할 수 있다. 주머니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변화가, 사람의 걸음과 유사한 패턴을 나타낼 경우, 제어부(180)는 주머니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조도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밝기가, 순간적으로 어두워 질 경우, 주머니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근접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가, 근접한 것으로 나타날 경우, 제어부(180)는 주머니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1)를 이용하여 통화 중, 소리 경로 전환 조건이 만족할 경우, 보조 단말기(100-2)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을 도 11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1)를 이용하여 통화 도중, 보조 단말기(100-2)로 전환하여 통화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1)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100-1)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던 사용자는, 보조 단말기(100-2)로 옮겨서 통화를 계속하고자 할 수 있다. 보조 단말기(100-2)는 사용자에게 착용 가능한 해드셋과 같은 형태일 경우, 이동 단말기(100-1) 보다 통화가 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1과 함께 설명되는 예시에서, 소리 경로 전환 조건은 이동 단말기(100-1)를 통하여 평평한 바닥을 감지하는 조건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1)를 통하여 통화를 하는 도중, 평평한 바닥에 놓을 경우 다른 방법으로 통화하고자 하는 의사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소리 경로 전환 조건은 이동 단말기(100-1)를 통하여 평평한 바닥을 감지 및 보조 단말기(100-2)의 착용을 감지하는 조건일 수 있다. 보조 단말기(100-2)를 착용한 상태이어야지, 이를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제어부(180)는 소리 경로 전환 조건이 만족되면, 제 1 소리 경로에서 제 2 소리 경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통화음을 보조 단말기(100-2)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소리 경로가 전환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햅틱 모듈(153)을 통하여 진동 또는 출력부(140)을 통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및 안내 음성의 출력은, 이동 단말기(100-1)에서 뿐만 아니라,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하여도 출력 가능할 것이다.
한편, 현재까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 경로의 전환이 제어부(180)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한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소리 경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소리 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a) 및 (b) 각각은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출력되는 호 신호 수신을 알리는 상태도를 도시한다. 통화 수락 버튼(1201)에 제 1 터치 제스처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통화음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1)의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제 1 소리 경로)할 수 있다. 통화 수락 버튼(1201)에 제 2 터치 제스처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통화음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하여 출력(제 2 소리 경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조 단말기(100-2)는 이동 단말기(100-1)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가정한다.
상기 제 2 터치 제스처의 예시로, 도 1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수락 버튼(1201)이 터치(10a)된 후, 터치(10a)가 유지된 채 드래그(10b)되는 입력일 수 있다. 이 경우, 드래그되는 방향(또는 드래그 가능한 방향)에 따라서 색상을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다른 입력임을 안내해 줄 수 있다.
또는, 도 1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수락 버튼(1201)와 구분되는, 소정 버튼(1202)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통화음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하여 출력(제 2 소리 경로)할 수 있다. 즉, 보조 단말기(100-2)를 통하여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1)를 귀에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였다. 이하, 이러한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b를 참조하여 상술하였듯이, 이동 단말기(100-1)의 정면 외관에는 근접 센서(141)가 구비되는데, 이 근접 센서(141)가 제 1 음향 출력부(152a) 근처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 음향 출력부(152a)를 통하여 통화음이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제 1 음향 출력부(152a)로 귀를 가져가게 되고, 이에 따라서 근접 센서(141)를 통하여 감지되는 신호의 값이 변하게 될 것이다.
귀에 가져가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1)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하여 감지되는 이동 단말기(100-1)의 가속도 변화, 중력 방향 또는 기울기 변화 등이 소정 수치 이상일 경우, 들어올리는 동작임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1)를 들어올리는 동작이 감지되고, 이어서 근접 센서(141)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근접하였음을 감지하면, 이동 단말기(100-1)를 귀에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이동 단말기(100-1)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센싱부(140)를 통하여 감지되는 가속도, 중력 및/또는 기울기의 변화가 소정 수치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동작의 완성도를 나타내기 위한 진행 인디케이터(progressive indicator)를 제공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들어올리는 동작의 완성도를 나타내기 위한 진행 인디케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가속도 수치, 중력 수치 및/또는 기울기의 변화가 소정 수치 이상일 경우 들어올리는 동작임을 감지하고 있다. 즉, 상기 변화가 소정 수치에 도달해야지 동작이 완성된다고 볼 수 있는데, 사용자에게 해당 수치까지 도달 전 완성 정도가 요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완성 정도를 기준으로, 얼마만큼의 변화가 더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에 도시된 예시에서, 완성을 기준으로 (a) 상태는 30%, (b) 상태는 50%, (c) 상태는 80%의 완성 정도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상기 완성 정도를 나타내는 진행 인디케이터(1301a 내지 1301c)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행 인디케이터(1301a 내지 1301c)는, 사용자에게 완성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a) 상태에서 출력되는 진행 인디케이터(1301a)는 터치스크린(151)의 30%의 크기를 갖도록 출력되며, (b) 에서 (c) 상태로 진행할 수록 완성 정도에 따라서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Claims (20)

  1.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음향 데이터를 제 1 외부 단말기로 제공하고, 호(call)를 수신 도중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이 제 1 조건에 만족할 경우,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 상기 음향 데이터의 제공을 종료하고, 상기 수신되는 호를 수락하며, 상기 수락된 호에 대한 통화음을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가 아닌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를 수신 도중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이 제 2 조건에 만족할 경우,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 상기 음향 데이터의 제공을 계속 유지하고, 상기 수신되는 호를 거절하며,
    상기 제 2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수신되는 호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를 들어올려 상기 이동 단말기의 높이가 상승된 후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높이가 하강되는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들어올리는 움직임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들어올리는 움직임에 대한 완성 정도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를 수신 도중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이 제 1 조건에 만족할 경우, 상기 제공된 음향 데이터와 연관된 컨텐츠의 출력을 일시정지(pause)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데이터와 연관된 소정 컨텐츠를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도중 상기 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되는 소정 컨텐츠의 음량(volume)을 하향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이 제 3 조건에 만족할 경우, 상기 수락된 호를 종료하고, 상기 수락된 호에 대한 통화음의 제공을 종료하고, 상기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바닥에 놓여진 상태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2 외부 단말기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동작이 감지될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로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62536A 2014-05-23 2014-05-23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29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536A KR102329420B1 (ko) 2014-05-23 2014-05-23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R1554424A FR3021425B1 (fr) 2014-05-23 2015-05-18 Terminal mobile et procede de commande de celui-ci
US14/717,929 US10917508B2 (en) 2014-05-23 2015-05-20 Mobile terminal that switches audio paths based on detected movement of the terminal
EP15001539.4A EP2947859B1 (en) 2014-05-23 2015-05-2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8168115.6A EP3410678A1 (en) 2014-05-23 2015-05-2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510266549.XA CN105094662B (zh) 2014-05-23 2015-05-22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536A KR102329420B1 (ko) 2014-05-23 2014-05-23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972A KR20150134972A (ko) 2015-12-02
KR102329420B1 true KR102329420B1 (ko) 2021-11-22

Family

ID=5351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536A KR102329420B1 (ko) 2014-05-23 2014-05-23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17508B2 (ko)
EP (2) EP3410678A1 (ko)
KR (1) KR102329420B1 (ko)
CN (1) CN105094662B (ko)
FR (1) FR3021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20120311585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Organizing task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10417037B2 (en) 2012-05-15 2019-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KR102579086B1 (ko) 2013-02-07 2023-09-15 애플 인크. 디지털 어시스턴트를 위한 음성 트리거
US10652394B2 (en) 2013-03-14 2020-05-1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US10748529B1 (en) 2013-03-15 2020-08-18 Apple Inc. Voice activated device for use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EP3149728B1 (en) 2014-05-30 2019-01-16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KR102335910B1 (ko) * 2015-03-01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10200824B2 (en) 2015-05-27 2019-02-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9924010B2 (en) * 2015-06-05 2018-03-20 Apple Inc. Audio data routing between multiple wirelessly connected devices
US20160378747A1 (en) 2015-06-29 2016-12-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US10740384B2 (en) 2015-09-08 2020-08-11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search and playback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331312B2 (en) 2015-09-08 2019-06-25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956666B2 (en) 2015-11-09 2021-03-23 Apple Inc. Unconventional virtual assistant interactions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CN105554217B (zh) * 2015-12-24 2019-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以及电子设备
CN107371081B (zh) * 2016-02-03 2019-12-17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CN106535020B (zh) * 2016-12-02 2023-08-1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脖戴入耳式蓝牙耳机及其入耳检测方法
DK180048B1 (en) 2017-05-11 2020-02-04 Apple Inc. MAINTAINING THE DATA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S10726832B2 (en) 2017-05-11 2020-07-28 Apple Inc.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DK201770427A1 (en) 2017-05-12 2018-12-20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20180336892A1 (en) 2017-05-16 2018-11-22 Apple Inc. Detecting a trigger of a digital assistant
US10303715B2 (en) 2017-05-16 2019-05-28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CN107465825B (zh) * 2017-08-18 2020-10-27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的音频播放方法及系统
US10818288B2 (en) 2018-03-26 2020-10-27 Apple Inc.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US10892996B2 (en) 2018-06-01 2021-01-12 Apple Inc.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DK179822B1 (da) 2018-06-01 2019-07-12 Apple Inc.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CN113612957B (zh) * 2018-12-28 2022-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话方法以及相关设备
US11348573B2 (en) 2019-03-18 2022-05-31 Apple Inc.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307752B2 (en) 2019-05-06 2022-04-19 Apple Inc.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DK201970509A1 (en) 2019-05-06 2021-01-15 Apple Inc Spoken notifications
US11140099B2 (en) 2019-05-21 2021-10-05 Apple Inc.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DK180129B1 (en) 2019-05-31 2020-06-02 Apple Inc. USER ACTIVITY SHORTCUT SUGGESTIONS
DK201970511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Voice identification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227599B2 (en) 2019-06-01 2022-01-18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CN110601771B (zh) * 2019-09-18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超声波的丢帧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11183193B1 (en) 2020-05-11 2021-11-23 Apple Inc.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755276B2 (en) 2020-05-12 2023-09-12 Apple Inc. Reducing description length based on confidence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WO2023080401A1 (ko) * 2021-11-03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사운드 레코딩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4812A1 (en) * 2011-03-27 2012-09-27 Plantronics, Inc. Automatic Sensory Data Routing Based On Worn Stat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7770B2 (en) * 2000-01-05 2005-08-09 Apple Computer Inc. Interface providing continuous feedback on task progress in a computer operating system
JP2001333161A (ja) 2000-05-18 2001-11-30 Nec Corp 携帯端末
US20060030360A1 (en) 2004-08-04 2006-02-09 Ming-Hsiang Yeh Earphone type music broadcaster
US7956849B2 (en) * 2006-09-06 2011-06-07 Apple Inc. Video manager for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KR101122090B1 (ko) * 2006-11-14 201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표시 방법
US8006002B2 (en) 2006-12-12 2011-08-23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peripherals
US8572778B2 (en) * 2007-03-30 2013-11-05 Hill-Rom Services, Inc. User interface for hospital bed
US9992314B2 (en) 2008-01-24 2018-06-05 Garmin Switzerland Gmbh Automatic device mode switching
US8676224B2 (en) * 2008-02-19 2014-03-18 Apple Inc. Speakerphone control for mobile device
US8320578B2 (en) * 2008-04-30 2012-11-27 Dp Technologies, Inc. Headset
JP2010119019A (ja) * 2008-11-14 2010-05-27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音声出力制御方法及び音声出力制御プログラム
CN101751958A (zh) 2008-12-16 2010-06-23 扬均企业股份有限公司 多媒体装置与手机的互动方法
KR101672212B1 (ko) * 2010-06-15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EP2649782A2 (en) * 2010-12-10 2013-10-16 Yota Devices IPR Ltd Mobile device with user interface
US9560099B2 (en) * 2012-05-23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using motion and voice activate controls
CN102821203A (zh) * 2012-08-06 2012-12-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通话方法及移动终端
US8977269B2 (en) * 2012-11-08 2015-03-10 Apple Inc. Extending use of a cellular communication capabilities in a wireless device to another device
KR102060139B1 (ko) * 2013-02-19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리 입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8706162B1 (en) * 2013-03-05 2014-04-22 Sony Corporation Automatic routing of call audio at incoming ca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4812A1 (en) * 2011-03-27 2012-09-27 Plantronics, Inc. Automatic Sensory Data Routing Based On Worn S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972A (ko) 2015-12-02
EP3410678A1 (en) 2018-12-05
CN105094662B (zh) 2020-04-14
EP2947859B1 (en) 2018-07-04
US20150341482A1 (en) 2015-11-26
FR3021425B1 (fr) 2018-10-12
US10917508B2 (en) 2021-02-09
FR3021425A1 (ko) 2015-11-27
EP2947859A1 (en) 2015-11-25
CN105094662A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42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6408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00900B1 (ko) 시스템
KR10218240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81133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31168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1493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897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372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98834B1 (ko) 이동단말기
KR102367889B1 (ko) 이동 단말기
KR10236408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354595B1 (ko) 전자장치
KR1024571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86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413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15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123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기능 객체 정렬 방법
KR10224133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11476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42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907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69849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1329B1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54804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