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501B1 - Secondary Battery Sorting System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Sor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501B1
KR102327501B1 KR1020190155066A KR20190155066A KR102327501B1 KR 102327501 B1 KR102327501 B1 KR 102327501B1 KR 1020190155066 A KR1020190155066 A KR 1020190155066A KR 20190155066 A KR20190155066 A KR 20190155066A KR 102327501 B1 KR102327501 B1 KR 102327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attery cells
sorting
buff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6163A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스타비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스타비에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스타비에스디
Priority to KR1020190155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501B1/en
Publication of KR2021006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1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5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된 전지를 각각의 용량 성능의 차이에 따라 분류된 각각의 등급별로 선별하는 용량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등급별로 나열된 배출트레이가 차지하는 공간 당 복수의 선별장치에 따른 선별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동일한 설비면적 대비 더욱 빠른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선별장치 각각에 따라 분류된 전지셀을 임시 저장하는 버퍼컨베이어 및 버퍼컨베이어에 저장된 전지셀을 각각의 배출트레이로 분류하기 위한 교번장치를 이용하여, 각기 구획된 영영의 복수의 선별장치의 선별작업에 따른 전지셀을 한 열의 배출트레이로 배출할 수 있는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acity sorting system for sorting produced batteries for each clas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capacity performance, and more specifically, a sorting operation according to a plurality of sorting devices per space occupied by the discharge trays listed by class By performing the sort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aster sorting operation compared to the same facility area, and a buffer conveyor that temporarily stores the battery cells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sorting devices and sorting the battery cells stored in the buffer conveyor into each discharge tray. It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sorting system capable of discharging battery cells according to a sorting operation of a plurality of sorting devices of each division into a single row of discharge trays using an alternating device for

Description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Secondary Battery Sorting System}Secondary Battery Capacity Sorting System {Secondary Battery Sorting System}

본 발명은 생산된 전지를 각각의 용량 성능의 차이에 따라 분류된 각각의 등급별로 선별하는 용량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acity screening system for selecting a produced battery for each grade classified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each capacity performance.

일반적으로 제조된 각각의 전지(battery)는 용량 성능에 있어 각기 차이가 발생하며, 전지의 제조사 마다 각기 다른 등급으로 전지의 용량을 분류한다.In general, each manufactured battery has a difference in capacity performance, and each manufacturer classifies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nto different grades.

이때, 원형 전지의 용량검출작업은 제조되어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전지셀의 이송라인에 구비된 용량검출기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순차적으로 용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각각의 전지셀을 16x16 트레이(tray)에 순차적으로 저장함으로써, 해당 트레이 배열에 따른 각각의 위치에 저장된 전지셀의 용량을 구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용량검출기를 통과한 전지셀이 저장된 트레이에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서로 다른 등급을 갖는 복수의 전지셀이 섞여 있게 되고,At this time, the capacity detection operation of the circular battery is performed by a capacity detector provided in the transfer line of the battery cells that are manufactured and sequentially discharged, and the capacity is sequentially detected and each detected battery cell is sequentially placed on a 16x16 tray. By storing as ,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capacity of the battery cells stored in each position according to the tray arrangement. Here, the battery cells passing through the capacity detector are sequentially stored in the stored tray, so that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having different grades are mixed,

전지의 용량선별시스템이란, 이와 같이 트레이에 섞여있는 복수의 전지셀을 각각의 등급에 따라 선별하기 위한 설비를 의미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검출이 완료된 전지셀들이 저장된 트레이(이하, 공급트레이라 함)에 배열위치에 따라 그 등급을 구분함에 따라서, 각각의 전지셀을 분류된 등급별로 구비되는 각각의 컨베이어에 선별하고, 각각의 컨베이어에 선별되어 저장된 전지셀을 등급별로 구별된 트레이(이하, 배출트레이라 함)에 저장하는 작업(Grouping)이 이루어진다.The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refers to a facility for sor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mixed in the tray according to each grade. In more detail, as the battery cells that have been detected are sor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in the storage tr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upply tray), each battery cell is sorted on each conveyor provided for each classified grade, and each The operation (Grouping) of storing the selected and stored battery cells on a conveyor of

이때, 종래의 용량선별시스템은 하나의 선별장치에 의해 공급트레이에 저장된 전지셀을 분류하고자 하는 등급별로 나열된 배출트레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버퍼컨베이어에 구별하여 운반함으로써, 순환되는 상기 버퍼컨베이어의 일면에 각기 구별되어 저장되고, 각각의 버퍼컨베이어에 소정의 전지셀이 누적되면, 이를 각기 대응되어 구비되는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트레이에 운반하는 선별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트레이에 저장된 전지셀을 선별하여 각각의 버퍼컨베이어에 운반할 시에, 상기 버퍼컨베이어의 상방에서 작업하는 로봇의 간섭 및, 각각의 버퍼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전지셀과 로봇에 의해 운반되는 전지셀간의 간섭등에 따른 작업 지연 없이 제어하기 위하여, 등급별로 구획된 복수의 버퍼컨베이어에 하나의 선별장치만이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capacity sorting system divides and transports battery cells stored in the supply tray by one sorting device to a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trays listed by grade to be sorted, thereby circulating on one surface of the buffer conveyor. Each is stored separately, and when a predetermined battery cell is accumulated in each buffer conveyor,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sorting operation of transporting it to the discharge tray using a transport devic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Therefore, when the battery cells stored in the supply tray are selected and transported to each buffer conveyor, the interference of the robot working above the buffer conveyor and the battery cells transported through each buffer conveyor and transported by the robot In order to control without delay in operation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battery cells, etc., only one sorting device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partitioned by grade.

즉, 종래의 용량선별시스템은 분류하고자 하는 등급의 기준이 많아질수록 공정라인의 너비가 증가하는데 반하여, 하나의 선별장치만 이용하여 선별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한계에 의해, 선별작업의 속도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pacity screening system, the width of the process line increases as the number of grade criteria to be classified increases, whereas the speed of the screening operation is limited by the limitation that the screening operation must be performed using only one screening device. A problem has arisen that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321250호(1998.12.04. 공개)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8-321250 (published on Aug. 2, 199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등급별로 나열된 배출트레이가 차지하는 공간 당 하나의 선별장치만 구비할 수 있던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여, 선별, 버퍼 및 저장을 수행하는 영역을 복수로 구획하고, 선별된 전지셀을 교번시켜 나열된 배출트레이의 등급에 대응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선별장치에 따른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vercomes the existing limitation of having only one sorting device per space occupied by the discharge trays listed by grade, and provides a plurality of areas for sorting, buffering and stor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sorting operation according to a plurality of sorting devices by dividing and alternating the sorted battery cells to correspond to the grades of the listed discharge tray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공급벨트 및 배출벨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벨트로 공급되는 전지셀을 각각의 등급별로 선별하는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급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공급트레이에 채워진 복수의 전지셀을 운반하여 각각의 등급별로 선별하는 선별장치, 상기 선별장치에 의해 선별된 전지셀을 각각의 등급에 따라 저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레일을 포함하는 버퍼컨베이어 및 상기 버퍼컨베이어에 저장된 소정의 전지셀을 상기 배출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배출트레이로 운반하는 저장장치을 포함하되, 상기 버퍼컨베이어는 각각의 레일의 일단이 상기 공급벨트를 향하고 타단이 상기 배출벨트를 향하도록 일직선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공급벨트 및 배출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supply belts and discharge belts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for sorting battery cells supplied to the supply belt for each grade A sorting device for transpor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filled in a supply tray transported through the supply belt and sorting them by grade, and having the battery cells sorted by the sorting device available for storage according to each grade A buffer conveyor including a plurality of rails and a storage device for transporting a predetermined battery cell stored in the buffer conveyor to a discharge tray transported through the discharge belt, wherein the buffer conveyor includes one end of each rail is the supply belt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in a straight line to face the discharge bel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upply belt and the discharge belt.

또한, 상기 선별장치, 버퍼컨베이어 및 저장장치는,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에 대응되어 배치된 복수의 배출트레이를 기준으로 분리된 각각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는 각기,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에 대응된 개수(n)를 갖는 레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orting device, the buffer conveyor and the storage device are made in plurality so as to be arranged in each area separated based on the plurality of discharge trays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grade (n) to be sorted,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Each of the rails having a number (n) corresponding to the grade (n) to be selecte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또한,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는 서로 갖은 길이를 갖는 소정의 레일이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레일 및 제2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서로 분리된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의 버퍼컨베이어의 길이가 짧은 제1레일에서, 다른 하나의 버퍼컨베이어의 길이가 긴 제2레일로, 저장된 소정의 전지셀을 운반하는 교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include a first rail and a second rail on which predetermined rails having different length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re made to have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disposed in the separated area, the first rail with a short length of one of the buffer conveyors to the second rail with a longer length of the other buffer conveyor alternately transports the stored predetermined battery cell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vice.

이때, 상기 복수의 저장장치는 각기 분리된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의 제2레일에 저장된 소정의 전지셀을 상기 분리된 각각의 영역에 배치된 소정의 배출트레이로 이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torage devices may transfer predetermined battery cells stored in the second rail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a predetermined discharge tray disposed in each of the separated areas.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교번장치는 상기 버퍼컨베이어의 제1레일에 상방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이송레일 및 상기 하나의 이송레일에 구비되는 한 쌍의 픽업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픽업장치는, 어느 하나의 픽업장치가 상기 제1레일에 저장된 전지셀을 들어올릴 시에, 다른 하나의 픽업장치는 상기 제2레일에 전지셀을 내려놓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alternating device includes one transfer rail provided upwardly on the first rail of the buffer conveyor and a pair of pickup devices provided on the one transfer rail. , The pair of pickup devices may be driven so that when one pickup device lifts the battery cells stored on the first rail, the other pickup device puts the battery cells down on the second rail. .

또는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버퍼컨베이어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는 제1레일, 제2레일 및 제3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의 길이(a), 제2레일의 길이(b), 및 제3레일의 길이(c)는 c > b > a의 순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번장치는 상기 제1레일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1이송레일, 및 상기 제1이송레일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의 제1레일에 저장된 전지셀을 다른 하나의 버퍼컨베이어의 제2레일로 운반하는 제1픽업장치와 상기 제2레일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2이송레일 및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의 제2레일에 저장된 전지셀을 다른 하나의 버퍼컨베이어의 제3레일로 운반하는 제2픽업장치를 포함하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uffer conveyor includes a first rail, a second rail, and a third rail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the length (a) of the first rail, the second The length (b) of the second rail and the length (c) of the third rail are made in the order of c > b > a, wherein the alternating device is a first transport rail provided above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 first pickup device provided on one transfer rail to transport the battery cells stored on one of the first rails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to the second rail of the other buffer conveyor, and a first pickup device provided above the second rail. It may be formed in plurality including two transfer rails and a second pickup device for transporting the battery cells stored on the second rail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to the third rail of the other buffer conveyor.

더하여, 상기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은 상기 공급벨트 및 배출벨트와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공급트레이를 상기 용량선별장치가 배치된 높이로 이송하는 제1워크스테이션 및 상기 배출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배출트레이를 상기 용량선별장치가 배치된 높이로 이송하는 제2워크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is made to be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supply belt and the discharge belt, a first workstation for transporting a supply tray transported through the supply belt to a height at which the capacity selection device is dispos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workstation for transferring the discharge tray conveyed through the discharge belt to the height at which the capacity screening device is arranged.

또한, 상기 제1워크스테이션 및 제2워크스테이션은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을 기준으로 분리된 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1워크스테이션은 상기 한 쌍의 버퍼트레이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공급트레이가 각각 배치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제1워크스테이션에 픽업된 공급트레이의 운송에 따른 작업지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workstation and the second workstation are arranged to form a pair separated based on the grade (n) to be selected, and the pair of first workstations corresponds to each of the pair of buffer trays. Thus, at least two or more are provided so that at least two or more supply trays are respectively arrange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work delay due to transportation of the supply tray picked up in the first workstation.

아울러,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은 상기 공급벨트 및 배출벨트의 이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벨트 및 배출벨트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the supply belt and the discharge belt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the supply belt and the discharge belt are shared.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을 구획한 영역에 각기 배치되는 버퍼컨베이어가 공급벨트 및 배출벨트를 가로지르는 일직선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동일한 설비면적 대비 더욱 빠른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uffer conveyors respectively arranged in the area dividing the grade to be sorted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crossing the supply belt and the discharge belt, so that a faster sor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compared to the same facility area. there are advantages to

또한, 본 발명은 각기 구획된 영영의 복수의 선별장치의 선별작업에 따른 전지셀을 한 열의 배출트레이로 배출하여, 하나의 선별장치는 선별하고자 하는 모든 등급을 선별하고, 저장장치는 구획된 영역에서의 저장만 수행함으로써, 버퍼 및 저장 작업에 따른 속도에 의해 선별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the battery cells according to the sorting operation of a plurality of sorting devices in each partitioned area to a discharge tray in a row, one sorting device sorts all the grades to be sorted, and the storage device is a partitioned area By performing only the storage in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rting operation from being delayed by the speed according to the buffer and storage operation.

더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선별장치 각각에 따라 분류된 전지셀을 임시 저장하는 버퍼컨베이어 및 버퍼컨베이어에 저장된 전지셀을 각각의 배출트레이로 분류하기 위한 교번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레일에 일정 개수만큼 전지셀이 저장되는 지연시간을 활용하여 각각의 버퍼컨베이어간에 전지셀을 교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uffer conveyo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battery cells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sorting devices and an alternating device for sorting the battery cells stored in the buffer conveyor into each discharge tray, a predetermined number on each rai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battery cells can be alternated between each buffer conveyor by utilizing the delay time for which the battery cells are stored.

도 1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워크스테이션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번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교번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버퍼컨베이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work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ltern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altern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buffer conveyo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shown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1000)은 제1워크스테이션(100), 제2워크스테이션(200), 버퍼컨베이어(300), 선별장치(400), 저장장치(500), 교번장치(600) 및 감지센서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orkstation 100 and a seco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orkstation 200 , a buffer conveyor 300 , a sorting device 400 , a storage device 500 , an alternating device 600 , and a detection sensor unit 700 .

이때, 상기 용량선별시스템(1000)은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공급벨트(20) 및 배출벨트(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벨트(20)로 공급되는 전지셀(1)을 각각의 등급별로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급벨트(20)를 통해 이송되는 공급트레이(11)에 저장된 전지셀(1)을 검출된 각각의 용량별로 선별하여, 상기 배출밸트(30)를 통해 이송되는 배출트레이(12)에 선별된 용량의 전지셀(1)을 저장하도록 작동되며, 하기에서는 상기 용량선별시스템(1000)의 작동 순서를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capacity selection system 1000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supply belts 20 and the discharge belt 30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to separate the battery cells 1 supplied to the supply belt 20 , respectively. The battery cells 1 stored in the supply tray 11 transported through the supply belt 20 are selected for each detected capacity, and transported through the discharge belt 30. It operates to store the battery cells 1 of the selected capacity in the discharge tray 12 ,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capacity selection system 1000 .

우선, 이차전지의 제조공정 이후, 제조된 각각의 전지셀(cell)의 충전용량을 검출하고, 이송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전지셀을 운반하기 위한 트레이(1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10)는 14x14 또는 16x16 등의 배열을 갖으며, 각각의 전지셀을 배열된 위치에 저장하고, 전지셀의 용량검출공정에서, 각각의 트레이에 저장된 배열위치에 따른 용량정보를 라벨링하여 이후, 선별작업을 위한 선별시스템으로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용량선별시스템(1000)은 상기 공급벨트(2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트레이(11)에 라벨링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각각의 공급트레이(11)의 배열위치에 따른 전지셀의 용량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First, 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the charge capacity of each manufactured battery cell is detected, and stored in the tray 10 for transporting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it is transported. At this time, the tray 10 has an arrangement such as 14x14 or 16x16, stores each battery cell in an arranged position, and in the capacity detection process of the battery cell, capac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stored in each tray After labeling, it is delivered to a sorting system for sorting operation. That is, the capacity selection system 1000 recognizes the barcode labeled on the supply tray 11 supplied through the supply belt 20 , and capacity information of the battery cell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supply tray 11 . can be input.

상기 선별장치(400)는 상기 공급벨트(20)를 통해 이송되는 공급트레이(11)에 채워진 복수의 전지셀(1)을 운반하여 각각의 등급별로 선별하기 위한 구성으로, 각각의 공급트레이(11)의 배열위치에 따른 용량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공급트레이(11)에 채워진 각각의 전지셀(1)을 상기 버퍼컨베이어(300)로 운반한다. 이때, 상기 버퍼컨베이어(300)는 상기 선별장치(400)에 의해 선별된 전지셀을 각각의 등급에 따라 저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일은 상기 공급벨트(20)로부터 배출벨트(30)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상기 선별장치(400)에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에 대응되는 개수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서.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복수의 레일은 각기 분류된 어느 하나의 등급에 대응되는 전지셀 만을 저장한다.The sorting device 400 is configured to transport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 filled in the supply tray 11 transferred through the supply belt 20 and sort them by grade, and each supply tray 11 ) receives the capac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ransports each battery cell 1 filled in the supply tray 11 to the buffer conveyor 300 . At this time, the buffer conveyor 300 includes a plurality of rails provided to store the battery cells selected by the sorting device 400 according to each grade, and the plurality of rails are the supply belt 20 . It is formed so as to face the discharge belt 30 from the one of the sorting device 400,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lass (n) to be sorted is arranged, here. The plurality of rails of the buffer conveyor 300 stores only battery cell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classified grades.

이때, 상기 하나의 선별장치(400)가 각각의 전지셀(1)을 선별하기 위해 이동되는 거리는 이차전지 용량선별 공정의 전체적인 생산 속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상기 공급트레이(11)의 하나의 열 또는 행에 해당되는 전지셀을 집어내어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복수의 레일에 각기 분류함에 따라서, 상기 선별장치(400)가 파지하는 전지셀들의 용량정보에 따라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상방에서 이동하며, 하나의 등급에 여러개의 전지셀이 존재할 경우 발생하는 지연 시간 등에 따른 동작 시간이 존재하고, 이때, 본 발명의 용량선별시스템(1000)은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복수의 레일의 일측에서 상기 선별장치(400)에 의해 저장된 전지셀이 타측으로 이동되어 저장되고, 각각의 레일의 타측에 저장된 전지셀이 소정 개수 저장되면,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타측의 상방에 구비된 저장장치(500)에 의해 상기 배출벨브(30)에 구비된 배출트레이(12)에 각기 운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저장장치(500)는 상기 선별장치(400)에 의해 선별되어 저장되는 전지셀이 일정 개수가 채워지면 상기 배출트레이(12)에 운반하도록 작동됨에 따라서, 상기 전지셀이 일정 개수 채워지기 위한 지연시간이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distance that the single sorting device 400 moves to sort each battery cell 1 is one of the biggest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production speed of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selection process, and in general, the supply tray ( 11) Picking up the battery cells corresponding to one column or row and sorting them on the plurality of rails of the buffer conveyor 300, according to the capacity information of the battery cells held by the sorting device 400, the buffer It moves above the conveyor 300, and there is an operation time according to a delay time that occurs when there are several battery cells in one grade, and at this time, the capacity selection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uffer conveyor 300 ) from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rails, the battery cells stored by the sorting device 400 are moved to the other side and stored, and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battery cells stored on the other side of each rail are stored, the other side of the buffer conveyor 300 Each is transported to the discharge tray 12 provided in the discharge valve 30 by the storage device 500 provided above the. Here, the storage device 500 is operated to transport to the discharge tray 12 when a certain number of battery cells selected and stored by the sorting device 400 are filled, so that the battery cells are filled with a certain number There will be a delay time to lose.

즉, 용량선별장치(1000)의 생산시간은 상기 선별장치(400)의 동작속도에 기인하게 되고, 종래에는 상기 버퍼컨베이어가 공급벨트로부터 배출벨트의 내측을 따라 선회하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선별하기 위한 등급이 늘어남에 따라서 시스템의 전체적인 길이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서 버퍼컨베이어의 길이 또한 증가되어, 증대되는 면적에 비해 생산속도가 향상되지 못하는 한계가 야기되었으며, 또한 선별장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하나의 선별장치가 하나의 배출트레이 내부의 전지셀들을 선별함에 따라서, 등급에 따라 분류된 버퍼컨베이어의 복수의 레일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고, 이때 같은 레일을 다른 하나의 선별장치가 공유하게 되면, 상기 선별장치간의 간섭 및 같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전지셀에 의해 이후에 작동하는 선별장치가 운반하는 전지셀과의 간섭이 발생하여, 선별작업의 불량 및 전체 공정이 중단되어야 하는 큰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적어도 둘 이상의 선별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동일한 면적대비 현저히 향상된 작업속도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하기에서 본 발명의 변형예를 들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at is, the production time of the capacity sorting device 1000 is due to the operating speed of the sorting device 400, and in the prior art, as the buffer conveyor is configured to turn from the supply belt along the inner side of the discharge belt, As the grade increases, the overall length of the system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buffer conveyor also increases, resulting in a limitation that the production speed cannot be improved compared to the increased area. As the battery selects the battery cells in one discharge tray, it is necessary to use all the rails of the buffer conveyor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ass. And interference with the battery cells carried by the sorting device that is operated later by the battery cells moving along the same rail occurs, resulting in a major problem in that the sorting operation is defective and the entire process has to be stoppe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while overcoming such a problem, at least two or more sorting devices can be used to achieve a remarkably improved working speed compared to the same area. In more detail,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giving examples of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상기 버퍼컨베이어(300)는 일측에서 상기 선별장치(400)에 의해 선별된 전지셀을 각각의 등급에 따라 저장하며, 저장된 전지셀을 상기 배출벨트(30)에 인접하도록 연장된 타측으로 운반하고, 상기 저장장치(500)에 의해 일정 개수 이상 채워진 전지셀을 각각의 등급에 해당되는 배출트레이(12)에 운반하기 위해, 상기 일정 개수가 채워지도록 전지셀을 임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때, 상기 버퍼컨베이어(300)는 각각의 레일의 일단이 상기 공급벨트(20)를 향하고 타단이 상기 배출벨트(30)를 향하도록 일직선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공급벨트(20) 및 배출벨트(30)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선별장치(400), 버퍼컨베이어(300) 및 저장장치(500)는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에 대응되어 배치된 복수의 배출트레이(200)를 기준으로 분리된 각각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300)는 각기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에 대응된 개수(n)를 갖는 레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선별장치(400)를 복수로 구비하여,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선별장치의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buffer conveyor 300 stores the battery cells selected by the sorting device 400 from one side according to each grade, and transports the stored battery cells to the other side extending adjacent to the discharge belt 30, In order to transport the battery cells filled by the storage device 500 to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to the discharge tray 12 corresponding to each grade, the battery cells are temporarily stored so that the predetermined number is filled, in this case, The buffer conveyor 300 is provided in a straight line so that one end of each rail faces the supply belt 20 and the other end faces the discharge belt 30, the supply belt 20 and the discharge belt 30 It is preferable to arrange in a plurality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At this time, the sorting device 400, the buffer conveyor 300, and the storage device 500 are arranged in each area separated based on the plurality of discharge trays 200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class n to be sorted. As many as possible,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30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rting devices 400 by rails having a number (n) corresponding to the class (n) to be sorted,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ing speed of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더하여, 상기 버퍼컨베이어(300), 선별장치(400), 저장장치(500) 및 교번장치(600)는 상기 공급벨트(20) 및 배출벨트(30)와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선별장치(400) 및 저장장치(500)의 작업에 따른 공급벨트(20) 및 배출밸트(30)의 지연을 방지하고, 상기 복수의 배출트레이(21)에 전지셀이 모두 채워지면 각기 독립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별작업 간의 지연시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워크스테이션(100)은 상기 공급벨트(20)를 통해 이송되는 공급트레이(11)를 상기 버퍼컨베이어(300)가 배치된 높이로 이송하여, 상기 선별장치(400)의 작업동안 이송된 공급트레이(11)를 지지하고, 이송된 공급트레이(11)내에 채워진 모든 전지셀의 선별작업이 종료되면, 비워진 트레이(10)를 상기 공급레일(20)에 안착하도록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도록 작동한다. 또한, 상기 제2워크스테이션(200)은 상기 배출벨트(30)를 통해 이송되는 배출트레이(12)를 상기 버퍼컨베이어(300)가 배치된 높이로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에 대응되는 개수의 배출트레이(12)에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배출레일(30)의 상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uffer conveyor 300 , the sorting device 400 , the storage device 500 and the alternating device 600 are formed to b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from the supply belt 20 and the discharge belt 30 , so that the sorting device To prevent the delay of the supply belt 20 and the discharge belt 3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400 and the storage device 500, and to discharge each independently when all the battery cells are filled in the plurality of discharge trays 21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lay time between sorting operations from occurring. At this time, the first workstation 100 transfers the supply tray 11 transferred through the supply belt 20 to the height at which the buffer conveyor 300 is arranged, an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orting device 400 . When the transported supply tray 11 is supported and the sorting operation of all the battery cells filled in the transported supply tray 11 is finished, the emptied tray 10 is transported to be seated on the supply rail 20 to the outside. works to eject. In addition, the second workstation 200 is configured to transport the discharge tray 12 transferred through the discharge belt 30 to the height at which the buffer conveyor 300 is disposed, and the grade (n) to be sorted ) is preferably provided above the discharge rail 30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ischarge trays 12 corresponding to the number.

또한, 상기 제1워크스테이션(100) 및 제2워크스테이션(200)은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을 기준으로 분리된 각각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1워크스테이션(100) 중 어느 하나의 제1워크스테이션(101, 102)은 상기 복수의 버퍼트레이(300)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공급트레이(11)가 각각 배치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제1워크스테이션(100)에 의해 파지된 공급트레이(11)의 운송에 따른 작업지연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workstation 100 and the second workstation 200 may be formed in plurality so as to be arranged in respective areas separated based on the grade n to be selected, as shown in FIG. 2 . , at least one of the first workstations 101 and 102 of the plurality of first workstations 100 so that at least two or more supply trays 11 are disposed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uffer trays 300 ,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are provided so as to prevent work delay due to transportation of the supply tray 11 held by the first workstation 100 .

더욱 자세하게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공급트레이(11)가 공급되면 상기 2개의 제1워크스테이션(101, 102)은 공급된 공급트레이(11)를 고정하여 상방으로 이송하고, 상방에 구비된 하나의 선별장치(410)가 하나의 제1워크스테이션(101)에 고정된 공급트레이(11)의 선별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제1워크스테이션(101)에 고정된 공급트레이(11)의 선별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선별장치(410)는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하나의 공급트레이(11)를 고정한 다른 하나의 제1워크스테이션(102)으로 이동하여 선별작업을 수행하고, 이때 선별작업이 완료된 상기 하나의 제1워크스테이션(101)은 선별이 완료된 공급트레이(11)를 공급벨트(20)에 안착되도록 이송하고 추가 공급되는 공급트레이(11)를 상방으로 재 이송시켜 다음 차례를 대기하도록 작동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a) of FIG. 2 , when two supply trays 11 are supplied, the two first workstations 101 and 102 fix the supplied supply tray 11 to the upper side. and one sorting device 410 provided above performs sorting of the supply tray 11 fixed to one first workstation 101 . Thereafter, as shown in (b) of FIG. 2 , when the sorting operation of the supply tray 11 fixed to the one first workstation 101 is completed, the sorting device 410 is disposed adjacent to another The sor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moving to the other first workstation 102 to which the one supply tray 11 is fixed, and at this time, the one first workstation 101 on which the sorting operation is completed is the supply tray ( 11) is transferred to be seated on the supply belt 20, and the additionally supplied supply tray 11 is re-transferred upward to wait for the next tur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번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교번장치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300)는 서로 같은 길이를 갖는 소정의 레일이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레일(311a, 312a, 313a, 314a, 325a, 326a, 327a. 328a, 이하 'a'로 통칭함) 및 제2레일(321b, 322b, 323b, 324b, 315b, 316b, 317b, 318b, 이하 'b'로 통칭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레일(a) 및 제2레일(b)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서로 분리된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310, 320) 중, 어느 하나의 버퍼컨베이어(310)의 길이가 짧은 제1레일(a)에서 다른 하나의 버퍼컨베이어(320)의 길이가 긴 제2레일로(b) 저장된 소정의 전지셀을 운반하는 교번장치(600)를 더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선별장치(400)를 이용함에 따른 종래의 간섭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선별장치(400)에 따라 독립되어 선별된 전지셀을 운반하는 복수의 버퍼컨베이어(3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저장장치(500)가 서로 간섭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교번장치(600))는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상방에 구비되는 이송레일(610)과 상기 이송레일(610)에 구비되어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복수의 레일이 배치되는 방향에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레일에 저장된 전지셀을 운반하는 픽업장치(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교번장치(600)의 이송레일(610)은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300)의 좌우방향으로의 폭을 아우르도록 이루어져, 상기 픽업장치(620)가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300)간의 제1레일(a) 및 제2레일(b)에 저장된 전지셀을 교번함으로써, 이후, 상기 복수의 저장장치(510, 520)에서 각기 분리된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b)에 저장된 소정의 전지셀을 상기 분리된 각각의 영역에 배치된 소정의 배출트레이(201 ~ 208)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ltern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altern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5,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300 are first rails 311a, 312a, 313a, 314a, 325a, 326a, 327a. ') and a second rail (321b, 322b, 323b, 324b, 315b, 316b, 317b, 318b, hereinafter referred to as 'b'), and the first rail (a) and the second rail ( b) is made to have different lengths, among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310 and 320 arranged in separate areas, the length of any one of the buffer conveyors 310 is short on the first rail (a). By further including an alternating device 600 for transporting a predetermined battery cell stored as a second rail (b) with a long length of one buffer conveyor 320, the conventional interference caused by using a plurality of sorting devices 400 The advantage of solving the problem is that the storage device 50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300 for transporting the battery cells independent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orting device 400 interferes with each other. have. Here, the alternating device 600) is provided on the transfer rail 610 and the transfer rail 610 provided above the buffer conveyor 300, a plurality of rails of the buffer conveyor 300 are disposed. It may include a pickup device 620 that moves left and right in the direction and transports the battery cells stored in the plurality of rails, wherein the transfer rail 610 of the alternating device 600 is configured with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300 ) by alternating the battery cells stored in the first rail (a) and the second rail (b) between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300 by the pickup device 620 to cover the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n , the predetermined battery cells stored in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b)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storage devices (510, 520) are transferred to the predetermined discharge trays (201 to 208) disposed in each of the separated areas. It is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be able to do so.

< 제1실시예 >< Example 1 >

이때, 상기 교번장치(600)는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복수의 레일이 구획되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개수에 대응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복수의 레일은 배치된 상기 제2워크스테이션(200)의 개수를 기준으로 분할 배치된 영역에 해당되는 제2워크스테이션(2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8개의 등급을 갖으며, 2개의 선별장치(400)가 구비되는 용량선별장치의 경우, 상기 배출벨트(30)의 상방으로 8개의 제2워크스테이션(200)이 배치되고, 이때, 각기 4개의 제2워크스테이션(200)을 기준으로 분할된 한 쌍의 영역을 형성하고, 각각 형성된 영역에 8개의 레일을 갖는 버퍼컨베이어(310, 320), 선별장치(410, 420) 및 저장장치(510, 520)가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버퍼컨베이어(310, 320)는 각기 분할된 영역에 구비되는 제2워크스테이션(200)의 선별기준에 대응되는 최소한 4개의 제2레일(b)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lternating device 600 is preferably made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rails of the buffer conveyor 300 are partitioned to have different lengths, and the plurality of rails having the longest length is the first It is preferable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second workstations 200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and arranged area based on the number of two workstations 200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pacity sorting device having eight grades and having two sorting devices 400 , eight second workstations 200 are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belt 30 , and , At this time, a pair of divided areas are formed based on the four second workstations 200, respectively, and buffer conveyors 310 and 320 having 8 rails in each formed area, and sorting devices 410 and 420. and storage devices 510 and 520 are provided to form a pair.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buffer conveyors 310 and 320 have at least four second rails b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second workstation 200 provided in each divided area. .

아울러, 상기 소정(n)의 제2워크스테이션(200)을 기준으로 분할되는 영역이 증가할수록, 복수의 선별장치(400) 및 저장장치(500)를 구비하여 작업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반면, 각각의 영역간의 버퍼컨베이어(300)의 전지셀을 교번하도록 운반하는 상기 교번장치(600)의 작업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설비가 복잡해 짐에 따라서, 전체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의 증가 및 상기 교번장치(600)에서의 작업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area divid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n) second workstation 200 increases, the work speed can be increas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orting devices 400 and storage devices 500 , As the amount of work of the alternating device 600 for transporting the battery cells of the buffer conveyor 300 between each area to alternately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equipment becomes more complicated, the cost incurred in constructing the overall system increases and the A work delay in the alternating device 600 may occur.

< 제2실시예 ><Second embodiment>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번장치(600)는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제1레일(a)에서 제2레일(b)로의 운반을 더욱 빠르게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제1레일(a)에 상방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이송레일(610) 및 상기 하나의 이송레일(6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픽업장치(621, 6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한 쌍의 픽업장치(621, 622)는, 어느 하나의 픽업장치(621)가 상기 제1레일(a)에 저장된 전지셀을 들어올릴 시에, 다른 하나의 픽업장치(622)는 상기 제2레일(b)에 전지셀을 내려놓도록 구동됨으로써, 상기 교번장치(600)의 동작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 the alternating device 600 is configured to move the buffer conveyor 300 from the first rail (a) to the second rail (b) more quickly, the buffer conveyor ( One transfer rail 610 provided upward on the first rail (a) of 300) and a pair of pickup devices 621 and 622 provided on the one transfer rail 610 may be included. , At this time, the pair of pickup devices 621 and 622 is, when any one pickup device 621 lifts the battery cell stored in the first rail (a), the other pickup device 622 is By driving the battery cells down on the second rail (b), the operating speed of the alternating device 600 can be increased.

< 제3실시예 >< 3rd embodiment >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퍼컨베이어(300), 선별장치(400) 및 저장장치(500)가 한 쌍으로 분할될 경우, 상기 한 쌍의 버퍼컨베이어(300)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는 제1레일(a), 제2레일(b) 및 제3레일(c)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a)의 길이, 제2레일(b)의 길이, 및 제3레일(c)의 길이는 c > b > a의 순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제1레일(a), 제2레일(b) 및 제3레일(c)이 배치되는 순서는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할 것이나, 상기 교번장치(600)의 이송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분할된 배출트레이(1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when the buffer conveyor 300, the sorting device 400, and the storage device 500 are divided into a pair, the pair of buffer conveyors 300 have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a first rail (a), a second rail (b) and a third rail (c) having a length of the first rail (a), a length of the second rail (b), and a third rail (c) ) may be made in the order of c > b > a, wherein the order in which the first rail (a), the second rail (b), and the third rail (c) are arranged is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viation, but it is preferable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tray 12 divided into a pair so as to minimize the transfer of the alternating device 600 .

이때, 상기 교번장치(600)는 상기 제1레일(a)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1이송레일(610a), 및 상기 제1이송레일(610a)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의 버퍼컨베이어(310)의 제1레일(a)에 저장된 전지셀을 다른 하나의 버퍼컨베이어(320)의 제2레일(b)로 운반하는 제1픽업장치(620a)를 포함하는 제1교번장치(600a) 및 상기 제2레일(b)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2이송레일(610b), 및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의 버퍼컨베이어(310)의 제2레일(b)에 저장된 전지셀을 다른 하나의 버퍼컨베이어(320)의 제3레일(c)로 운반하는 제2픽업장치(620b)를 포함하는 제2교번장치(600b)를 포함하는 복수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교번장치(600)의 작업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alternating device 600 is provided on the first transfer rail 610a provided above the first rail (a), and the first transfer rail 610a,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A first alternating device ( 600a) and a second transfer rail 610b provided above the second rail (b), and a battery cell stored in the second rail (b)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310). By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alternating devices 600b including a second pickup device 620b for transporting to the third rail c of the other buffer conveyor 320, It can increase the working speed.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선별장치(400)는 상기 공급트레이(11)에 채워진 진지셀을 선별하여 각기 분류된 레일로 운반하기 위해서,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레일을 갖는 버퍼컨베이어(300)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one sorting device 400 has a number of rai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grades to be sorted in order to sort the ginji cells filled in the supply tray 11 and transport them to each sorted rail. It is preferable to interlock with the buffer conveyor 300 .

도 6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워크스테이션(200)은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출벨트(30)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저장장치(500)는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에 대응되어 배치된 복수의 배출트레이(21)를 기준으로 분리된 각각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저장장치(500)는 각기 분리된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300)의 제2레일(b)에 저장된 소정의 전지셀을 상기 분리된 각각의 영역에 배치된 소정의 배출트레이(21)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 the second workstation 200 includes the discharge belt 30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grades n to be selected. It is disposed above the, and the plurality of storage devices 500 are made in plurality so as to be disposed in each area separated based on the plurality of discharge trays 21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grade (n) to be selected, The plurality of storage devices 500 transfer predetermined battery cells stored in the second rail (b)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300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a predetermined discharge tray 21 disposed in each of the separated areas. It can be configured to transfer to.

더욱 자세하게는, 8개의 등급을 갖으며, 2개의 선별장치(400)가 구비되는 용량선별장치의 경우, 상기 배출벨트(30)의 상방으로 8개의 제2워크스테이션(200)이 배치되고, 이때, 각기 4개의 제2워크스테이션(200)을 기준으로 분할된 한 쌍의 영역을 형성하고, 각각 형성된 영역에 8개의 레일을 갖는 버퍼컨베이어(310, 320), 선별장치(410, 420) 및 저장장치(510, 520)가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버퍼컨베이어(310, 320)는 각기 분할된 영역에 구비되는 제2워크스테이션(200)의 선별기준에 대응되는 최소한 4개의 제2레일(b)이 배치되며, 이때, 상기 저장장치(500)는 상기 제2레일(b)에 저장된 전지셀을 집어 대응되는 등급을 갖는 제2워크스테이션(200)의 배출트레이(21)에 운반하도록 상기 버퍼트레이(300)의 길이방향(전후방향) 및 상기 복수의 레일이 적층되는 방향(좌우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capacity sorting device having eight grades and having two sorting devices 400 , eight second workstations 200 are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belt 30 , and in this case , to form a pair of divided areas based on the four second workstations 200, respectively, and buffer conveyors 310 and 320 having 8 rails in each formed area, sorting devices 410 and 420, and storage Devices 510 and 520 are provided to form a pair. Here, in the pair of buffer conveyors 310 and 320, at least four second rails b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second workstation 200 provided in each divided area are disposed, at this time, The storage device 500 picks up the battery cells stored in the second rail b and transports them to the discharge tray 21 of the second workstation 200 having a corresponding gra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ffer tray 300 .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rail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 stacking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아울러, 상술한 상기 선별장치(400), 저장장치(500) 및 교번장치(600)는 상하,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되되, 상기 전지셀을 파지(把持)할 수 있는 로봇팔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선별장치(400)는 선별작업을 수행하는 공급트레이(11)에 배열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배열정보에 따라 저장된 전지셀을 선별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량선별시스템(1000)을 이루는 상기 제1워크스테이션(100), 제2워크스테이션(200), 상기 선별장치(400), 저장장치(500), 교번장치(600) 및 상기 공급벨트(20), 배출벨트(30)의 전반적인 작업순서와 각기 설정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orting device 400, the storage device 500, and the alternating device 600 are operated to move in the vertical, forward, and left-right directions, such as a robot arm capable of holding the battery cell. It is preferably made of a configuration. In this case, the sorting device 400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arrangement information from the supply tray 11 for performing a sorting operation, and selects stored battery cell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includes The first workstation 100 , the second workstation 200 , the sorting device 400 , the storage device 500 , the alternating device 600 , and the supply belt 20 constituting the capacity selection system 1000 . ), the overall work order of the discharge belt 30 and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each set work.

도 7은 본 발명의 버퍼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컨베이어(300)는 상기 선별장치(400)로부터 선별되어 운반되는 전지셀이 안착되는 공급부(300-1)와 상기 공급부(300-1)를 지나 일정 개수가 충족될 때까지 선별된 전지셀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300-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저장부(300-2)는 전지셀을 수용 가능한 복수의 선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300-1)를 지나 상기 복수의 선로를 갖는 저장부(300-2)로 이송되는 전지셀을 나누어 중계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300-1)와 저장부(300-2) 사이에 개재되는 중계부(30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buffer conveyo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 the buffer conveyor 300 is a supply unit 300-1 on which the battery cells selected and transported from the sorting device 400 are seated. and a storage unit 300-2 that temporarily stores the selected battery cells after passing through the supply unit 300-1 until a predetermined number is satisfied, wherein the storage unit 300-2 is a battery The supply unit 300-, which is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lines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ells, and passes through the supply unit 300-1, and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unit 300-2 having the plurality of lines so that the battery cells can be divided and relayed. 1) and a relay unit 300-3 interposed between the storage unit 300-2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1000)은 상기 버퍼컨베이어(300)를 통해 이송되는 전지셀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진 감지센서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센서부(700)는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저장부(300-2)의 타측 말단으로부터 저장된 전지셀의 개수를 감지하는 저장개수 감지부(710) 및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적어도 일부를 관측하며, 이송되는 전지셀이 넘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셀 넘어짐 감지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on sensor unit 700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the battery cells transferred through the buffer conveyor 300 , and the detection The sensor unit 700 includes a storage number detection unit 710 for detecting the number of battery cells stor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torage unit 300-2 of the buffer conveyor 30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uffer conveyor 300. It observes and may include a cell fall detection unit 720 that detects that the transferred battery cell falls.

상기 저장개수 감지부(710)는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타측 말단에 접근하는 전지셀을 감지하는 제1센서(711) 및 저장된 상기 일정 개수의 전지셀을 감지하는 제2센서(7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센서(711)로부터 일측으로 소정길이 이격되어, 관측되는 전지셀을 감지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711) 및 제2센서(712)로부터 모두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충분한 전지셀이 저장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저장장치(500)가 감지된 선로의 전지셀을 운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tored number detection unit 710 includes a first sensor 711 for detecting battery cells approaching the other end of the buffer conveyor 300 and a second sensor 712 for detec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tored battery cells. In this case, the second sensor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nsor 711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one side to detect the observed battery cells,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first sensor 711 and the second sensor ( 712), it is determined that sufficient battery cells are stored, and the storage device 500 can control to transport the battery cells of the detected line.

상기 셀 넘어짐 감지부(720)는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전지셀의 넘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퍼컨베이어(300)를 관측하는 복수의 센서(721, 722)를 일직선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센서(721, 722)로부터 인가되는 전지셀의 감지신로를 인가받아, 전지셀이 넘어진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복수의 센서(721, 722)는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높이 이격되어, 이송되는 전지셀의 상측을 관측하되, 상기 제어부는 전지셀이 이송되는 방향으로의 전방에 배치된 제3센서(721)으로부터 전지셀의 이동이 감지된 이후, 상기 제3센서(721) 및 후방에 배치된 제4센서(722)가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4센서(722)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이송되던 전지셀이 넘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용량선별시스템을 일시 중단하고, 관리자에게 경고신호를 전달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감지센서부(700)의 복수의 센서들은 상기 버퍼컨베이어(300)의 복수의 레일들 각각에 구비되거나 상기 복수의 레일들을 일괄적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The cell fall detection unit 720 is for detecting the fall of the battery cell that is seated on the buffer conveyor 300 and is transported. is provided,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battery cells appli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721 and 722, and determines whether the battery cells are overturned. In more detail, the plurality of sensors 721 and 722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buffer conveyor 300 to observe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red battery cells, and the controller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y cells are transferred. After the movement of the battery cell is sensed from the third sensor 721 disposed in front of If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fourth sensor 722 is not appli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ferred battery cell has falle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apacity selection system is temporarily stopped and a warning signal is delivered to the manager. Here, the plurality of sensors of the detection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rails of the buffer conveyor 300 or may be provided to collectively detect the plurality of rails.

더하여, 상기 버퍼컨베이어(300)는 이송되는 전지셀을 더욱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전지셀이 삽입될 수 있는 이송용 퍽(Puck)이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지셀의 넘어짐 및 전지셀의 이송시에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buffer conveyor 300 is configured such that a transport puck into which the battery cells can be inserted can be circulated in order to more safely transport the battery cells to be transported, so that the battery cells fall down and of the battery cells.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damage that occurs during transport.

도 8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1000)은, 상기 공급벨트(20) 및 배출벨트(30)의 이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1000)은 상기 한 쌍의 공급벨트(20) 및 배출벨트(30)를 공유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8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cludes the supply belt 20.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belts 30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ransport direction, in which case,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apacity selection systems 1000 may include the pair of supply belts 20 and discharge belts 30 . It is preferred that they are arranged to be shared.

이때, 본 발명의 용량선별시스템(1000)은 앞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상기 선별장치(400)의 작업속도에 따른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의 용량선별시스템(1000)은 선별하고자 하는 8등급을 기준으로 배치된 8개의 배출트레이(12)가 차지하는 면적 당, 2개의 선별장치(400)을 사용할 시에, 상기 선별장치(400) 하나가 250 PPM(분당 선별속도)의 작업 속도를 구현한다면, 본 발명은 하나의 용량선별시스템(1000a) 당 500 PPM의 작업 속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용량선별시스템(1000)이 1층의 상기 공급벨트(20) 및 배출벨트(30)를 공유하도록 2층에 구비되어, 인접하여 배치되는 용량선별시스템(1000a, 1000b)간에 간섭으로 인한 작업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apacity screening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a delay according to the operation speed of the sorting device 400 does not occur. 1000) per area occupied by the eight discharge trays 12 arranged based on the 8 grades to be sorted, when two sorting devices 400 are used, one sorting device 400 is 250 PPM (sorting per minute) speed),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working speed of 500 PPM per one capacity screening system 1000a, and in this case, the capacity screening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with the supply belt 20 on the first floor. ) and the discharge belt 30 are provided on the second floor to share,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work delay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capacity selection systems 1000a and 1000b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 : 전지셀
10 : 트레이 11 : 공급트레이
12 : 배출트레이
20 : 공급벨트 30 : 배출벨트
1000 : 전지 용량선별장치
100 : 제1워크스테이션 200 : 제1워크스테이션
300 : 버퍼컨베이어
300-1 : 공급부 300-2 : 저장부
300-3 : 중계부
310 : 제1버퍼컨베이어 320 : 제2버퍼컨베이어
311a, 312a, 313a, 314a, 325a, 326a, 327a, 328a : 제1레일
315b, 316b, 317b, 318b, 321b, 322b, 323b, 324b : 제2레일
315c, 316c, 317c, 318c, 321c, 322c, 323c, 324c : 제3레일
400 : 선별장치 500 : 저장장치
600 : 교번장치
610 : 이송레일 620 : 픽업장치
700 : 감지센서
710 : 저장개수 감지부 720 : 셀 넘어짐 감지부
1: battery cell
10: tray 11: supply tray
12: discharge tray
20: supply belt 30: discharge belt
1000: battery capacity selection device
100: first workstation 200: first workstation
300: buffer conveyor
300-1: supply unit 300-2: storage unit
300-3: relay unit
310: first buffer conveyor 320: second buffer conveyor
311a, 312a, 313a, 314a, 325a, 326a, 327a, 328a: first rail
315b, 316b, 317b, 318b, 321b, 322b, 323b, 324b: 2nd rail
315c, 316c, 317c, 318c, 321c, 322c, 323c, 324c: 3rd rail
400: sorting device 500: storage device
600: alternating device
610: transport rail 620: pickup device
700: detection sensor
710: storage number detection unit 720: cell fall detection unit

Claims (10)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공급벨트 및 배출벨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벨트로 공급되는 전지셀을 각각의 등급별로 선별하는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공급트레이에 채워진 복수의 전지셀을 운반하여 등급별로 선별하는 선별장치;
상기 선별장치에 의해 선별된 전지셀을 등급에 따라 저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레일을 포함하는 버퍼컨베이어; 및
상기 버퍼컨베이어에 저장된 소정의 전지셀을 상기 배출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배출트레이로 운반하는 저장장치;
을 포함하되,
상기 버퍼컨베이어는 각각의 레일의 일단이 상기 공급벨트를 향하고 타단이 상기 배출벨트를 향하도록 일직선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공급벨트 및 배출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선별장치, 버퍼컨베이어 및 저장장치는,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에 대응되어 배치된 복수의 배출트레이를 기준으로 분리된 각각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는,
각기,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에 대응된 개수(n)를 갖는 레일이 배치되며,
서로 같은 길이를 갖는 소정의 레일이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레일 및 제2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서로 분리된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의 버퍼컨베이어의 길이가 짧은 제1레일에서, 다른 하나의 버퍼컨베이어의 길이가 긴 제2레일로, 저장된 소정의 전지셀을 운반하는 교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
In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provided between a pair of supply belts and discharge belts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to select battery cells supplied to the supply belt for each grade,
a sorting device for transpor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filled in a supply tray transported through the supply belt and sorting them by grade;
a buffer conveyor including a plurality of rails provided to store the battery cells selected by th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grades; and
a storage device for transporting a predetermined battery cell stored in the buffer conveyor to a discharge tray transported through the discharge belt;
including,
The buffer conveyor is provided in a straight line such that one end of each rail faces the supply belt and the other end faces the discharge belt, and is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upply belt and the discharge belt,
The sorting device, the buffer conveyor and the storage device,
Doedoe made in plurality so as to be disposed in each area sepa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discharge tray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grade (n) to be sorted,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Rails each having a number (n) corresponding to the grade (n) to be selected is arranged,
It includes a first rail and a second rail in which predetermined rails having the same length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re made to have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arranged in area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rst rail with a short length of one of the buffer conveyors and the second rail with a longer length of the other buffer conveyor transport the stored predetermined battery cells. Alternating device; secondary battery capacity selection system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장치는, 각기 분리된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의 제2레일에 저장된 소정의 전지셀을 상기 분리된 각각의 영역에 배치된 소정의 배출트레이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storage devices are configured to transfer predetermined battery cells stored in the second rail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a predetermined discharge tray disposed in each of the separated areas.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번장치는,
상기 버퍼컨베이어의 제1레일에 상방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이송레일, 및
상기 하나의 이송레일에 구비되는 한 쌍의 픽업장치,
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픽업장치는, 어느 하나의 픽업장치가 상기 제1레일에 저장된 전지셀을 들어올릴 시에, 다른 하나의 픽업장치는 상기 제2레일에 전지셀을 내려놓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lternating device is
One transfer rail provided upwardly on the first rail of the buffer conveyor, and
A pair of pickup devices provided on the one transfer rail;
including,
The pair of pickup devices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one pickup device lifts the battery cells stored on the first rail, the other pickup device is driven to put the battery cells down on the second rail. secondary battery capacity selec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컨베이어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는 제1레일, 제2레일 및 제3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의 길이(a), 제2레일의 길이(b), 및 제3레일의 길이(c)는 c > b > a의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uffer conveyor includes a first rail, a second rail, and a third rail having different lengths, the length of the first rail (a), the length of the second rail (b), and the length of the third rail ( c) is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order of c > b >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번장치는,
상기 제1레일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1이송레일, 및 상기 제1이송레일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의 제1레일에 저장된 전지셀을 다른 하나의 버퍼컨베이어의 제2레일로 운반하는 제1픽업장치, 및
상기 제2레일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2이송레일, 및 상기 복수의 버퍼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의 제2레일에 저장된 전지셀을 다른 하나의 버퍼컨베이어의 제3레일로 운반하는 제2픽업장치,
를 포함하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전지 용량선별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lternating device is
A first transfer rail provided above the first rail, and a battery cell provided on the first transfer rail and stor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to the second rail of the other buffer conveyor a first pickup device for carrying; and
A second transport rail provided above the second rail, and a second pickup device for transporting the battery cells stored in any one of the second rails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nveyors to the third rail of the other buffer conveyor;
A previous battery capacity sel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lurality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컨베이어는 상기 한 쌍의 공급벨트 및 배출벨트와 서로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공급트레이를 상기 버퍼컨베이어가 배치된 높이로 이송하는 제1워크스테이션; 및
상기 배출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배출트레이를 상기 버퍼컨베이어가 배치된 높이로 이송하는 제2워크스테이션;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uffer conveyor is made to be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pair of supply and discharge belts,
a first workstation for transporting a supply tray transported through the supply belt to a height at which the buffer conveyor is disposed; and
a second workstation for transferring the discharge tray transferred through the discharge belt to a height at which the buffer conveyor is disposed;
Secondary battery capacity sel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워크스테이션 및 제2워크스테이션은,
선별하고자 하는 등급(n)에 대응되어 배치된 복수의 배출트레이를 기준으로 분리된 각각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제1워크스테이션은,
상기 한 쌍의 버퍼트레이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공급트레이가 각각 배치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제1워크스테이션에 픽업된 공급트레이의 운송에 따른 작업지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workstation and the second workstation,
Doedoe made in plurality so as to be disposed in each area sepa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discharge tray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grade (n) to be sorted,
The pair of first workst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air of buffer trays, at least two or more are provided so that at least two or more supply trays are respectively disposed,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work delay due to transportation of the supply tray picked up in the first workstation.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은,
상기 공급벨트 및 배출벨트의 이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벨트 및 배출벨트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용량선별시스템.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4 to 9,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selection system,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scree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upply belts and the discharge belt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the supply belt and the discharge belt are shared.
KR1020190155066A 2019-11-28 2019-11-28 Secondary Battery Sorting System KR1023275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066A KR102327501B1 (en) 2019-11-28 2019-11-28 Secondary Battery Sor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066A KR102327501B1 (en) 2019-11-28 2019-11-28 Secondary Battery Sor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163A KR20210066163A (en) 2021-06-07
KR102327501B1 true KR102327501B1 (en) 2021-11-17

Family

ID=7637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066A KR102327501B1 (en) 2019-11-28 2019-11-28 Secondary Battery Sor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5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6691A (en) * 2021-06-27 2021-09-24 广东工业大学 Sorting performance parameter measuring equipment based on lithium ion battery consistency
CN113877849B (en) * 2021-08-27 2023-04-18 安徽绿沃循环能源科技有限公司 Rapid sorting device for retired power batteries
CN114042649B (en) * 2021-11-17 2023-07-14 郑州煤机数耘智能科技有限公司 Steel plate part sorting and disc closing method based on limited cache
CN114955407A (en) * 2022-03-23 2022-08-30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Centralized blank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1348A (en) * 2014-04-08 2015-11-1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Battery conveyance device and battery rank sorting conveyance device
KR102039261B1 (en) * 2018-06-14 2019-10-31 서정록 battery cell selection and storage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1250A (en) 1997-05-15 1998-12-04 Fuji Photo Film Co Ltd Sorting device of article
KR102016811B1 (en) * 2017-11-23 2019-08-30 서정록 battery cell selection and storage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1348A (en) * 2014-04-08 2015-11-1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Battery conveyance device and battery rank sorting conveyance device
KR102039261B1 (en) * 2018-06-14 2019-10-31 서정록 battery cell selection and storag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163A (en)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501B1 (en) Secondary Battery Sorting System
US11702289B2 (en) Two-stage picking by means of sorter having high-dynamic sorter trays
US118399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sortation of objects
JP6679678B2 (en) Method for providing a transportation unit from a storage facility
US11649112B2 (en) Method for storing and retrieving objects, and storage syste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107640566B (en) Article rearrangement device and article storage facility provided with same
US11858743B2 (en) Method for the order-picking of articles, and order-picking station
ES2665674T3 (en) Method of compliance and replenishment of storage units
US8634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turned goods in an order-picking system
US20180127208A1 (en) Method for stockpiling piece goods in a storage rack, and storage system
US10625939B2 (en) Method for placing packets into and/or out of storage into/from a particular storage rack aisle of a storage rack
US20210130095A1 (en) Picking System
TW201930163A (en) Article rearranging apparatus
EP2952454A1 (en) Method of extending the load handling range of an automated storage/retrieval system
US20230241647A1 (en) Article Sorting Facility
JP6450178B2 (en) Container arrangement mechanism in article sorting device
JP6486658B2 (en) Container arrangement mechanism in article sorting device
CN114761337A (en) Picking system
JP2023130637A (en) Fruit/vegetable take-out device and fruit/vegetable take-out method
CA3219182A1 (en) Sor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30056746A (en) System for order fulfillment
JP2020189729A (en) Article sor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