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253B1 -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253B1
KR102321253B1 KR1020200171127A KR20200171127A KR102321253B1 KR 102321253 B1 KR102321253 B1 KR 102321253B1 KR 1020200171127 A KR1020200171127 A KR 1020200171127A KR 20200171127 A KR20200171127 A KR 20200171127A KR 102321253 B1 KR102321253 B1 KR 102321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nit
unit
solar battery
alarm signal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국
지재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온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온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온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71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2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2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which enables a transmitte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and a visual alarm unit receiving the alarm signal to generates a flash to transmit and receive the alarm signal through LoRa communication to reduce time, effort, and cost for expansion or new construction of visual alarms and prevent that the alarm signal cannot be transmitted due to disconnection, and is configured to enable the visual alarm unit to receive power by selecting any one of a main battery unit and a solar battery unit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the main battery unit, increase efficiency of power use, and reduce time, effort, and cost for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comprises: a plurality of detectors installed on each floor of a building to detect a fire; a plurality of repeater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to receive fire detection signals of a plurality of detectors installed on each floor; a controller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for each floor collected from the repeaters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a transmitter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repeater or the controller to receive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and transmit the received alarm signal through LoRA communication; and a visual alarm unit generating a flash by receiving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through the LoRA communication.

Description

자동화재 탐지 설비{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자동화재 탐지 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발신기와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섬광을 발생하는 시각 경보기가 로라 통신을 통해 경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각 경보기 증설 또는 신설을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키고 단선에 의해 경보신호가 전송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시각 경보기가 메인 배터리부와 솔라 배터리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인 배터리부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전력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재 탐지 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and in particular, by constructing a transmitter that transmits an alarm signal and a visual alarm that receives an alarm signal and generates a flash to transmit and receive an alarm signal through LoRa communication, expand or establish a visual alarm It can save time, effort, and cos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at the alarm signal is not transmitted due to disconnection, and the visual alarm selects any one of the main battery part and the solar battery part to supply power. By configuring so as to recei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ain battery uni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ower use, it relates to an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that can reduce the time, effort and cost for maintenance.

화재를 예방 및 경계하고 진압할 수 있는 소방 시스템 중 자동 화재 탐지 설비는 화재의 일차적인 감지 및 조기 경보를 통해 안전한 피난유도와 함께 연동된 소화설비 및 제연설비 등의 제어를 통해 화재의 초기 소화 및 조기 진압을 실시하고, 화재피해 규모를 판가름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소방설비이다.Among the firefighting systems capable of preventing, alerting, and suppressing fire,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provides safe evacuation guidance through the primary detection and early warning of fire, and controls the fire extinguishing and smoke control facilities linked to the initial fire extinguishing and fire fighting system. It is a firefighting system that plays a pivotal role in early suppression and determining the extent of fire damage.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화재 안전 기준(NFSC 203) 제3조 용어의 정의에 의하면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대표적인 기기로 화재 수신기, 중계기, 감지기, 발신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화재 수신기는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 및 경보하여 주는 장치를 말한다. 중계기는 감지기, 발신기 또는 전기적 접점 등의 작동에 따른 신호를 받아 이를 화재 수신기의 제어반에 전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감지기는 화재시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화재 수신기에 발신하는 장치를 말한다. 발신기는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장치를 말한다.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erms in Article 3 of the Fire Safety Standards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NFSC 203), fire receivers, repeaters, detectors, and transmitters are defined as the following as representative devices of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A fire receiver is a device that directly receives a fire signal from a detector or a transmitter or receives it through a repeater to indicate and warn the occurrence of a fire. A repeater is a device that receives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detector, transmitter, or electrical contac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panel of the fire receiver. A detector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detects heat, smoke, flame, or combustion products generated during a fire and sends it to a fire receiver. A transmitter is a device that manually transmits a fire signal to a receiver.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빌딩 등의 건물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소화하기 위한 소방시스템에 설치된다.In general,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such as a house or a building, it is installed in a fire fighting system for detecting and extinguishing the fire.

종래의 소방시스템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와, 감지기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에 의해 동작되는 경보장치, 스프링클러 및 방화셔터 등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 conventional fire fighting system generally includes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a control device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or, an alarm device operated by the control device, a sprinkler, a fire shutter, and the like.

상기 감지기는 건물 내의 층별로 다양한 곳에 다수가 설치되어 있으며, 건물의 층별로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기는 층별로 설치되는 중계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층별로 설치된 중계기들은 층별 감지기들에서 감지된 정보를 중계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층별로 설치되는 중계기들도 유선상 제어장치와 각각 연결된다.A plurality of the detectors ar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for each floor in the building, and the plurality of detector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re connected by wire to a repeater installed on each floor to transmit a detection signal. And the repeaters installed on each floor relay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detectors for each floo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device. For this purpose, the repeaters installed on each floor are also connected to the wired control device, respectively.

상기 제어장치는 통상적으로 건물의 저층(1층)에 설치되어 상기 층별 중계기들로부터 감지기들의 감지신호를 중계를 통해 전달받는다. 그리고 제어장치는 전달받은 화재 감지신호에 따라서 시각 경보기 등의 경보장치를 동작시켜서 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스프링클러와 방화셔터 등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device is typically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first floor) of a building and receives the sensing signals of the sensors through relays from the repeaters for each floor.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operates an alarm device such as a visual alarm according to the received fire detection signal to output an alarm signal, and controls driving of a sprinkler and a fire shutter.

이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41054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함)는 화재나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일반인뿐만 아니라 청각장애인들이 시각적인 공황상태에 빠지지 않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시각경보기를 구비한 비상유도장치 및 시각경보기 구동방법을 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4105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is designed to enable not only the general public but also the hearing impaired to safely evacuate without falling into a visual panic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power outage. An emergency guidance device equipped with a visual alarm and a visual alarm driving method are present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7378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함)는 수신기와 발신기가 정상 작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수신기 및 발신기가 항상 정상작동 되도록 관리할 수 있어 화재 발생 시 정확하게 화재를 알릴 수 있게 한 자동화재 탐지설비를 제시하고 있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7737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can check whether the receiver and the transmitter are operating normally, so that the receiver and the transmitter are always operated normally, so that the fire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that can accurately notify fire in the event of an occurrence is presented.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문헌1 및 선행기술문헌2는 중계기와 시각 경보기가 유선으로 연결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시각 경보기를 새롭게 증설하거나 기존 시각 경보기를 위치를 변경하여 교체하는 경우 새롭게 유선을 가설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the prior art document 1 and the prior art document 2 exemplify that the repeater and the visual alarm are connected by wire. In addition, when a visual alarm is newly installed or an existing visual alarm is replaced by changing its location, a problem arises in that a new wire must be installed.,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소방시스템에서 시각 경보기를 증설 또는 교체 설치 또는 처음 설치하는 경우, 각 층별로 다수의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시각 경보기를 층별로 설치되는 중계기에 유선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 작업이 복잡하고, 시공 시간이 오려 걸리는 것은 물론, 보수공사시 기술력 부족으로 인해 전체 소방시스템을 변질시켜 그로 인해 유지 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도 자주 벌어지고 있다.Specifically, when a visual alarm is installed or installed for the first time in a conventional firefighting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visual alarms installed at multiple locations on each floor are connected to a repeater installed on each floor by wire. Therefore, the installation work is complicated, the construction time is cut and the construction time is cut off, and the entire firefighting system is corrupted due to the lack of technical skills during the repair work, which is often happening at the present time, which causes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maintenance cost.

또한, 유선 방식을 통해 중계기에서 경보 신호를 시각 경보기까지 전송함에 있어서 접속부분 또는 유선 일부에서의 단락 발생시에 경보 신호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화재나 지진 등의 발생에 의해 유선 자체가 손상될 경우 경보 신호 자체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화재에 대해 초기에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돌이킬 수 없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in transmitting the alarm signal from the repeater to the visual alarm through the wired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larm signal cannot be properly transmitted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connection part or part of the wire. In particular, if the wire itself is damaged due to a fire or earthquake, the alarm signal itself may not be transmitted, so it may not be possible to respond to the fire in the initial stage, which may cause irreparable damage to human life and property. problems arise.

선행기술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41054호(공고일자 : 2006년 11월 03일, 발명의 명칭 : 시각경보기를 구비한 비상유도장치 및 시각경보기 구동방법)Prior ar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41054 (Announcement date: November 03, 2006, title of invention: emergency guidance device with visual alarm and visual alarm driving method) 선행기술문헌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7378호(공고일자 : 2017년 09월 11일, 발명의 명칭 : 자동화재 탐지설비)Prior Ar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77378 (Announcement Date: September 11, 2017, Title of Invention: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발신기와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섬광을 발생하는 시각 경보기가 로라 통신을 통해 경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각 경보기 증설 또는 신설을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키고 단선에 의해 경보신호가 전송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화재 탐지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by configuring a transmitter that transmits an alarm signal and a visual alarm that receives an alarm signal and generates a flash to transmit and receive an alarm signal through LoRa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n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that can reduce the time, effort and cost for the expansion or establishment of a visual alarm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a case where an alarm signal is not transmitted due to a disconnection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시각 경보기가 메인 배터리부와 솔라 배터리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인 배터리부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전력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재 탐지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ain battery unit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power use by configuring the visual alarm to receive power by selecting any one of the main battery unit and the solar battery unit.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n automated material detection facility that can reduce time, effort and cost for maintenanc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자동화재 탐지 설비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건물의 층별로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기와, 상기 건물의 층별로 설치되어 층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감지기들의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중계기와, 상기 중계기들로부터 수집된 층별 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경보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자동화재 탐지 설비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또는 상기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에서 전송한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로라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발신기 및 상기 발신기에서 전송된 경보신호를 로라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섬광을 발생시키는 시각 경보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plurality of detectors installed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to detect a fire, and a plurality of detectors installed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installed on each floor. In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comprising a plurality of repeaters for receiving the fire detection signals of the detectors,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floor-by-floor detectors collected from the repeaters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he repeater or the controller Among them, a transmitter connected to at least one to receive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and transmit it through LoRa communication, and a visual alarm configured to generate a flash by receiving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through LoRa communication characterized by being

여기서, 상기 시각 경보기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반 배터리에 해당하는 메인 배터리부와 실내 약광에 의해 충전되는 솔라 배터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배터리부와 상기 솔라 배터리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visual alarm includes a main battery unit corresponding to a general battery and a solar battery unit charged by indoor low light to supply power, and select any one of the main battery unit and the solar battery unit to supply power characterized by receiving.

여기서, 상기 시각 경보기는 상기 솔라 배터리부의 전압이 설정된 복귀 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솔라 배터리부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솔라 배터리부의 전압이 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메인 배터리부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시 솔라 배터리부의 전압이 설정된 복귀 전압 이상으로 올라가면 다시 상기 솔라 배터리부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visual alarm selects the solar battery unit to receive power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return voltage, and selects the main battery unit to supply power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falls below the set reference volt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rises above the set return voltage, the solar battery unit is selected again to receive power.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자동화재 탐지 설비에 의하면,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발신기와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섬광을 발생하는 시각 경보기가 로라 통신을 통해 경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시각 경보기 증설 또는 신설을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키고 단선에 의해 경보신호가 전송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having the above problems and solutions, the transmitter that transmits the alarm signal and the visual alarm that receives the alarm signal and generates a flash ar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alarm signal through the LoRa commun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ime, effort and cost for the expansion or establishment of a visual alarm can be saved, and a case where an alarm signal cannot be transmitted due to a disconnec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 경보기가 메인 배터리부와 솔라 배터리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메인 배터리부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전력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isual alarm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by selecting any one of the main battery unit and the solar battery unit, it is possibl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the main battery unit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power use.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time, effort, and cost for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 경보기가 상기 솔라 배터리부의 전압이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솔라 배터리부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솔라 배터리부의 전압이 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메인 배터리부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시 솔라 배터리부의 전압이 설정된 복귀 전압 이상으로 올라가면 다시 상기 솔라 배터리부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인 배터리부의 전력 소모를 더욱더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전력 사용의 효율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더욱더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 alarm selects the solar battery unit to receive power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reference voltage, and selects the main battery unit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falls below the set reference voltage. to receive power, and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rises above the set return voltage, select the solar battery unit again to receive power, thereby further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ain battery unit and efficiency of power use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ime, effort and cost for maintenance can be further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를 구성하는 발신기의 세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를 구성하는 발신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를 구성하는 시각 경보기의 세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를 구성하는 시각 경보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n automated material de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transmitter constituting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mitter constituting an automated material de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visual alarm constituting an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sual alarm constituting an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자동화재 탐지 설비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equipment having the above problems, solutions and effec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s not excluded in advanc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도 있다.In cases where certain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order of operations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order. For example, two operation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n automated material de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100)는 복수의 감지기(50), 복수의 중계기(70) 및 제어기(9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더 나아가 복수의 발신기(30) 및 복수의 시각 경보기(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detectors 50, a plurality of repeaters 70 and a controller 90, and furthermore, a plurality of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ransmitter 30 and a plurality of visual alarms 10 of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의 층별로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기(50)와, 상기 건물의 층별로 설치되어 층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감지기(50)들의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중계기(70)와, 상기 중계기(70)들로부터 수집된 층별 감지기(5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경보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제어기(90)를 포함하는 자동화재 탐지 설비(100)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detectors 50 installed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to detect a fire, and a plurality of detectors 50 installed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to receive a fire detection signal from a plurality of detectors 50 installed for each floor. It relates to an automated material detection facility 100 including a repeater 70 and a controller 90 that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50 for each floor collected from the repeaters 70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n alarm signal.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계기(70) 또는 상기 제어기(9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90)에서 전송한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로라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발신기(30) 및 상기 발신기(30)에서 전송된 경보신호를 로라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섬광을 발생시키는 시각 경보기(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신기(30)는 상기 중계기(3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시각 경보기(10) 역시 각 층에 출입구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복수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repeater 70 or the controller 90, and the transmitter 30 and the transmitter ( 3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visual alarm 10 for generating a flash by receiving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LoRa communication. Here, the transmitter 30 is configured in plurality because it can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repeater 30 , and the visual alarm 10 is also configured in plurality because it is also dispos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entrances and exits on each flo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감지기(50)는 감지기 본체와, 상기 감지기 본체에 설치되는 감지부와, 감지기 본체에 설치되는 감지기 배터리, 감지기 본체에 설치되는 감지기 유선 통신 모듈 및 감지부의 감지신호와 감지기 배터리의 잔류전원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유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감지기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detector 50 includes a detector body, a detector installed in the detector body, a detector battery installed in the detector body, a detector wired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detector body, and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or and residual power information of the detector battery and and a detec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상기 감지기 본체는 건물의 천정에 부착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내장된 감지기 배터리는 2차 전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는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층별 중계기(7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화재 상황을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는 차동식, 정온식 열감지센서, 광전식 연기 감지센서, 열 및 연기 복합 감지센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or body may be installed by being attached to the ceiling of a building, and the built-in detector battery may include a secondary battery. The detector detects a fire when it occurs, and senses a fire situation so that the sensed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repeater 70 for each floor.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a differential type, a constant temperature type heat sensor, a photoelectric smoke sensor, and a heat and smoke composite detection sensor.

상기 감지기(50)는 건물의 층별로 다수 설치되며, 화재를 감지하고자 하는 장소마다 설치된다. 각 감지기(50)는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ID)를 가지고 있으며, 감지된 신호를 전송시 고유 식별정보를 함께 매칭하여 중계기(70)로 전송한다.A plurality of the detectors 50 are installed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and are installed for each place where a fire is to be detected. Each detector 50 has respectiv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when transmitting the sensed signal,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matched together and transmitted to the repeater 70 .

상기 중계기(70)는 중계기 본체와, 중계기 본체에 설치되는 중계기 배터리와및 중계기 배터리의 잔류전원 정보와 고유 식별정보와 수신한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기(9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중계기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repeater 70 includes a repeater main body, a repeater battery installed in the repeater main body, and a repeate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transmit residual power informati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ived detection signal of the repeater battery to the controller 90 .

상기 중계기(70)는 층별로 설치되어, 층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감지기(50)와 유선 통신을 하여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를 제어기(90)로 전달한다. 상기 중계기 배터리는 교환 장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잔류전원 정보는 중계기 제어부에서 확인하여 제어기(90)로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중계기(70)는 배터리 이외에 건물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repeater 70 is installed for each floor, receives a fire detection signal through wired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detectors 50 installed on each floor, and transmits the received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90 . The repeater battery may be installed to be replaceable and installed, and residual power information may be confirmed by the repeater control unit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90 . Of course, the repeater 70 may use power supplied from a building in addition to a battery.

상기 제어기(90)는, 제어기 본체와, 중계기들(70)로부터 유선으로 감시 신호를 수신하는 유선수신모듈, 유선신호를 통해 감지된 감시 신호를 감지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저장 관리하는 저장부, 화재 감지신호와 상기 중계기(70) 및 감지기(50)의 상태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지정된 외부 관리처로 전송하는 통지부 및 수신된 감지 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 관리하고, 상기 통지부를 통해 외부 관리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주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controller 90 includes a controller body, a wired receiving module that receives a monitoring signal from the repeaters 70 by wire, a storage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the monitoring signal detected through the wired signal with a detector identification number, and a fire A notif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repeater 70 and the detector 50 to a designated external management destination through wire or wireless, and stores and manages the received detection signal in the storage unit, and an external management destination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to

상기 제어기(90)는 건물의 저층 예를 들어 1층 또는 지하에 설치되며, 층별 감지기들(50)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화재 발생시 외부로 화재 발생정보를 송신함은 물론, 시각 경보기(10), 스프링클러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90 is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for example, on the first floor or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s 50 for each floor, and transmits fire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outside when a fire occurs, as well as a visual alarm (10), control the operation of sprinklers, etc.

상기 유선수신모듈은 층별 중계기(70)와 유선통신을 통해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에는 층별 중계기(70)를 통해 수신된 감지기(50)의 감지신호와, 상태정보 및 식별정보가 매칭되어 저장 관리된다. 또한, 층별 시각 경보기(10), 경광등, 유도등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 receiving module is provided to receive a sensing signal through wire communication with the repeater 70 for each floor. In the storage unit,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or 50 received through the repeater 70 for each floor,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matched and stored and manag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information about the visual alarm 10, warning light, guidance light, etc. for each floor is stored and managed.

상기 통지부는 외부 관리처 즉, 소방서, 소방 관리자 휴대 단말기, 속도 등록자 단말기, 경찰서 등의 화재 관련 기관이나 관리자에게 화재 발생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며,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통지부는 랜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네트웍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is provided to transmit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to an external management agency, that is, a fire station, a fire manager portable terminal, a speed registrant terminal, a fire related organization or manager, such as a police station, and is provi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wired or wireless can be As an example, the notification unit may include a network interface to connect a LAN cable.

또한, 제어기(90)는 감지기(50), 경광등, 유도등 등의 상태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 출력부는 다수의 LED와 LC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90)는 외부전원을 공급받도록 연결되는 전원공급단자와, 외부 전원의 단락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예비 전원을 구비할 수 있다. 예비 전원은 예비 배터리로서 평소에는 충전되어 예비 전원을 저장하는 2차 전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90 further includes an output unit for notify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etector 50 , a warning light, an induction light, and the like.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and LCDs. In addition, the controller 90 may include a power supply terminal connected to receive external power, and a reserv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when the external power is short-circuited. The spare power preferably includes a secondary battery that is normally charged as a spare battery and stores the spare pow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100)는 상기 발신기(3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발신기(30)는 상기 중계기(70) 또는 상기 제어기(9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90)에서 전송한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로라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발신기(30)가 상기 제어기(90)에 연결된 경우에, 상기 발신기(30)는 상기 제어기(90)에서 발생하여 전송한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로라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각 경보기(1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발신기(30)가 상기 중계기(70)에 연결된 경우에, 상기 발신기(30)는 상기 제어기(90)에서 발생하여 전송한 경보신호를 상기 중계기(70)를 통해 수신하여 로라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각 경보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제어기(90)에서 발생한 경보신호가 상기 중계기(70)로 전송되고, 이 경보신호가 상기 중계기(70)에 연결된 발신기(30)에 의해 로라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각 경보기(10)에 전송되고, 이 경우가 더 일반적이다.The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transmitter 30, wherein the transmitter 3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repeater 70 or the controller 90, and the An operation of receiving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90 and transmitting it through the LoRa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at is, when the transmitter 3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90 , the transmitter 30 receives an alert signal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90 to the visual alert 10 through LoRa communication. When the transmitter 30 is connected to the repeater 70, the transmitter 30 receives the alarm signal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90 through the repeater 70 and receives the LoRa communic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visual alarm 10 through In the latter case,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90 is transmitted to the repeater 70, and this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LoRa communication by the transmitter 30 connected to the repeater 70 through the visual alarm 10. , and this case is more common.

상기 발신기(30)로부터 경보신호를 전송받은 시각 경보기(10)는 섬광을 발생시켜 화재 상황을 주변에 시각적으로 알리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역시 상기 발신기(30)와 로라 통신을 통해 상기 경보신호를 수신받는다.The visual alarm 10 that has received the alarm signal from the transmitter 30 generates a flash to visually inform the surroundings of the fire situation. The visual alarm 10 also receives the alarm signal through the transmitter 30 and LoRa communication.

이와 같이, 상기 발신기(30)와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로라 통신을 통해 경보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배터리 소모를 절약할 수 있고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transmitter 30 and the visual alarm 10 transmit and receive alarm signals through LoRa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visual alarm 10 can save battery consumption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이하에서는 상기 발신기(30)와 상기 시각 경보기(1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30 and the visual alarm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를 구성하는 발신기의 세부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를 구성하는 발신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발신기(30)가 상기 중계기(70)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신기(30)는 상기 제어기(90)에 연결될 수도 있다.Figur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transmitter constituting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mitter constituting the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llustrate that the transmitter 30 is connected to the repeater 70 , the transmitter 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90 as described abov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발신기(30)는 전원 입력부(31), 경보신호 입력부(32), 제1 제어부(33), 제1 로라 통신부(35), 제1 조작 스위치부(36), 제1 상태 표시부(37) 및 제1 안테나(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the transmitter 3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input unit 31, an alarm signal input unit 32, a first control unit 33, a first roller communication unit 35, and a first 1 operation switch unit 36 , a first status display unit 37 , and a first antenna 38 are included.

상기 전원 입력부(31)는 상기 중계기(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사용 가능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발신기(3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입력부(31)는 상기 중계기(70)로부터 DC 26V를 입력받아 이를 DC 3.3V로 변환하여 제1 제어부(33) 등 발신기(3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원 입력부(31)는 일반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The power input unit 31 may receive power from the repeater 70 , convert it into usable power, and supply it into the transmitter 30 . For example, the power input unit 31 may receive DC 26V from the repeater 70 , convert it to DC 3.3V, and supply it into the transmitter 30 such as the first control unit 33 . Of course, the power input unit 31 may receive power through a general battery.

상기 경보신호 입력부(32)는 상기 중계기(90)로부터 화재 경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사용 가능한 레벨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제어부(33)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경보신호 입력부(32)는 상기 중계기(70)로부터 DCV24V의 경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정해진 전압 레벨로 변환하고 쉬프트하여 상기 제1 제어부(33)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alarm signal input unit 32 receives the fire alarm signal from the repeater 90 , converts it to a usable level,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control unit 33 . For example, the alarm signal input unit 32 receives an alarm signal of DCV24V from the repeater 70 , converts it to a predetermined voltage level, shifts it,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control unit 33 .

상기 제1 제어부(33)는 상기 경보신호 입력부(32)로 전달받은 화재 경보신호를 상기 제1 로라 통신부(35)를 통해 상기 시각 경보기(1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1 제어부(33)는 주변의 시각 경보기(10)에 상기 경보신호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 unit 33 controls the fire alarm signal transmitted to the alarm signal input unit 32 to be transmitted to the visual alarm 10 through the first roller communication unit 35 . That is, the first control unit 33 controls the operation of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alarm signal to the visual alarm 10 in the vicinity.

상기 제1 로라 통신부(35)는 상기 제1 제어부(33)로부터 전달된 경보신호를 로라 통신 규격에 맞춰서 제1 안테나(38)를 통해 상기 시각 경보기(10)로 전송한다. 상기 제1 로라 통신부(35)는 로라 통신을 통해 경보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저전력으로 장거리에 있는 시각 경보기(10)에게도 시각 경보기(10)를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LoRa communication unit 35 transmits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33 to the visual alarm 10 through the first antenna 38 according to the LoRa communication standard. Since the first LoRa communication unit 35 transmits an alarm signal through LoRa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visual alarm 10 to the visual alarm 10 at a long distance with low power.

상기 발신기(30)는 동작 점검 및 리셋 등의 동작을 위한 제1 조작 스위치부(36)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조작 스위치부(36)는 제1 점검 스위치(36')와 제1 복구 스위치(36")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ransmitter 30 includes a first operation switch unit 36 for operation such as operation check and reset. Specifically, the first operation switch unit 36 may include a first check switch 36 ′ and a first recovery switch 36 ″.

관리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발신기(30)를 설치, 신설, 보수 등의 과정에서 작동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조작 스위치부(36)는 상기 제1 점검 스위치(36')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자 등이 상기 제1 점검 스위치(36')를 온(ON) 작동하면, 상기 발신기(30)에서 정상적으로 테스트 신호가 상기 시각 경보기(10)로 전송되는지 등의 테스트를 통해 발신기(30)의 작동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The manager or operator needs to check whether the transmitter 30 is operating in the process of installation, new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first operation switch unit 36 includes the first check switch 36'. Therefore, when the manager or the like turns on the first check switch 36 ′, the transmitter 30 is tested to see whether the test signal is normall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30 to the visual alarm 10 . ) can be checked to see if it works.

상기 점검을 중지하거나 상기 발신기(3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리셋을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조작 스위치부(36)는 상기 제1 복구 스위치(36")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자 등이 상기 발신기(30)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점검을 중지하기 위해 상기 발신기(30)를 리셋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복구 스위치(36")를 온(ON) 작동한다. 그러면, 상기 발신기(30)는 리셋 동작에 의해 정상 상태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inspection is stopped o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transmitter 30, it is necessary to reset. To this end, the first operation switch unit 36 is provided with the first recovery switch 36 ″. Therefore, the administrator or the like may cause a failure in the transmitter 30 or stop the inspection of the transmitter 30. ), the first recovery switch 36" is turned ON to reset it. Then, the transmitter 30 may perform an operation in a normal state by a reset operation.

상기 발신기(30)는 상기 제1 조작 스위치부(36)의 조작에 따른 동작 및 상기 발신기(30)의 경보신호 전송에 관한 동작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제1 상태 표시부(37)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상태 표시부(37)는 점검 표시등(37')과 동작 표시등(37")으로 구성된다.The transmitter 30 is provided with a first status display unit 37 capable of displaying the state of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on switch unit 36 and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larm signal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er 30. . Specifically, the first status display unit 37 includes a check indicator 37 ′ and an operation indicator 37 ″.

상기 점검 표시등(37')은 상기 제1 점검 스위치(36')의 작동에 따라 점검이 진행되는지 또는 점검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특정 색상으로 점등 또는 점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동작 표시등(37")은 발신기(30)의 경보신호 전송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또는 발신기(30)가 정상 상태로 동작하는지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특정 색상으로 점등 또는 점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inspection indicator 37' performs an operation of turning on or blinking in a specific color to visually indicate whether inspection is in progress or whether inspection is operating normal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inspection switch 36'. . In addition, the operation indicator 37 ″ is an operation of lighting or flickering in a specific color to visually indicate whether the alarm signal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30 is operating normally or the transmitter 30 is operating in a normal state. carry out

다음은 상기 시각 경보기(1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isual alarm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를 구성하는 시각 경보기의 세부 구성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를 구성하는 시각 경보기의 사시도이다.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visual alarm constituting an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sual alarm constituting an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두개의 배터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메인 배터리부(19)와 솔라 배터리부(11)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경보기(10)는 상기 일반 배터리에 해당하는 메인 배터리부(19)와 실내 약광에 의해 충전되는 솔라 배터리부(11)를 구비하되, 두개의 배터리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고,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동작을 수행한다.4 and 5, the visual alarm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battery units. That is, the visual alarm 10 includes a main battery unit 19 and a solar battery unit 11 . The visual alar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attery unit 19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battery and a solar battery unit 11 charged by indoor low light, but does not use two batteries at the same time, and only one Performs an operation that selectively uses .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반 배터리에 해당하는 메인 배터리부(19)와 실내 약광에 의해 충전되는 솔라 배터리부(11)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배터리부(19)와 상기 솔라 배터리부(1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동작을 수행한다.Specifically, the visual alarm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attery unit 19 corresponding to a general battery and a solar battery unit 11 charged by indoor low light to supply power, but the main An operation of receiving power is performed by selecting any one of the battery unit 19 and the solar battery unit 11 .

상기 메인 배터리부(19)는 일반 AAA 배터리 등으로 채택 적용할 수 있고, 1회용 또는 충전용의 배터리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배터리(19)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솔라 배터리부(11)를 추가 채택 적용한다. 상기 솔라 배터리부(11)는 상기 시각 경보기(10)가 건물 실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 약광에 의해 충전된다.The main battery unit 19 may be applied as a general AAA battery or the like, and a disposable or rechargeable battery may be applied. In order to extend the life of the main battery 19, the solar battery unit 11 is additionally adopted and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ar battery unit 11 is charged by indoor low light because the visual alarm 10 i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상기 메인 배터리부(19)와 상기 솔라 배터리부(1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제어부(13)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 경보기(10)는 상기 제2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부(19)와 상기 솔라 배터리부(11)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절환부(20)를 구비한다.The visual alarm 10 includes a second control unit 13 to control the operation of receiving power by selecting one of the main battery unit 19 and the solar battery unit 11 . In addition, the visual alar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witching unit so that any one of the main battery unit 19 and the solar battery unit 11 can be sel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13 . (20)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제2 제어부(13)는 상기 절환부(20)의 스위칭 또는 릴레이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부(19) 또는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에 의해 상기 시각 경보기(10) 내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부(19) 또는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시각 경보기(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전달되어 동작 가능하게 한다.Accordingly, the second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switching or relay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20 so that power is supplied into the visual alarm 10 by the main battery unit 19 or the solar battery unit 11 . to be supplied. Power supplied by the main battery unit 19 or the solar battery unit 11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13 is transmitted to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visual alarm 10 to be operable do.

상기 솔라 배터리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약광으로 충전되기 때문에,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솔라 패널(22)를 구비하고, 상기 솔라 패널(22)에 의해 집열된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 충전부(12)를 구비한다. 상기 솔라 충전부(12)는 상기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솔라 배터리(11)를 통해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olar battery unit 11 is charged with indoor low light, the visual alarm 10 includes a solar panel 22 and uses the light energy collected by the solar panel 22 to generate electricity. It has a solar charger 12 that converts it into energy. The solar charging unit 12 allows the converted electrical energy to be charged through the solar battery 11 .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상기 발신기(30)로부터 전송된 경보신호를 로라 통신을 통해 수신받는 제2 롤라 통신부(15)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로라 통신부(15)는 상기 발신기(30)로부터 전송된 경보신호를 제2 안테나(18)를 통해 전송받은 후 로라 통신 규격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2 제어부(13)로 전달한다.The visual alarm 10 includes a second roller communication unit 15 that receives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30 through the roller communication. The second LoRa communication unit 15 receives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30 through the second antenna 18 , converts it into a LoRa communication standard,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control unit 13 .

상기 제2 로라 통신부(15)로부터 상기 경보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2 제어부(13)는 섬광등(21)을 제어하여 발광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화재 상황이 인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섬광등(21)은 상기 제2 로라 통신부(15)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섬광을 발생하여 주변의 사람들에게 시각적으로 화재 발생 상황을 알리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13 receiving the warning signal from the second roller communication unit 15 controls the flashlight 21 to emit light so that a fire situation can be visually recognized. That is, the flashlight 21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LoRa communication unit 15 to generate a flash to visually notify the surrounding people of the occurrence of a fire.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동작 점검 및 리셋 등의 동작을 위한 제2 조작 스위치부(16)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조작 스위치부(16)는 제2 점검 스위치(16')와 제2 복구 스위치(16")로 구성될 수 있다. The visual alarm 10 includes a second operation switch unit 16 for operation check and reset operation. Specifically, the second operation switch unit 16 may include a second check switch 16' and a second recovery switch 16".

관리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시각 경보기(10)를 설치, 신설, 보수 등의 과정에서 작동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조작 스위치부(16)는 상기 제2 점검 스위치(16')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자 등이 상기 제2 점검 스위치(16')를 온(ON) 작동하면, 상기 시각 경보기(10)에 구비되는 상기 섬광등(21)을 통해 발광이 발생하는지 등의 테스트를 통해 시각 경보기(10)의 작동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A manager or an operator needs to check whether the visual alarm 10 is operating in the process of installation, new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second operation switch unit 16 includes the second check switch 16'. Therefore, when the manager or the like turns on the second inspection switch 16 ′, the visual alarm is performed through a test such as whether light emission is generated through the flash lamp 21 provided in the visual alarm 10 . You can check whether (10) works.

상기 점검을 중지하거나 상기 시각 경보기(1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리셋을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조작 스위치부(16)는 상기 제2 복구 스위치(16")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자 등이 상기 시각 경보기(10)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점검을 중지하기 위해 상기 시각 경보기(10)를 리셋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복구 스위치(16")를 온(ON) 작동한다. 그러면,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리셋 동작에 의해 정상 상태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inspection is stopped o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visual alarm 10, it is necessary to reset. To this end, the second operation switch unit 16 is provided with the second recovery switch 16". Therefore, the manager or the like may cause the visual alarm 10 to fail or stop the inspection. In order to reset (10), the second recovery switch 16" is turned ON. Then, the visual alarm 10 may operate in a normal state by a reset operation.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상기 제2 조작 스위치부(16)의 조작에 따른 동작 및 상기 시각 경보기(10)의 섬광등(21)의 섬광에 관한 동작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제2 상태 표시부(17)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상태 표시부(17)는 상기 제1 상태 표시부(37)와 같이 점검에 관한 표시와 동작에 관한 표시를 별도로 하기 위한 표시등을 각각 구비할 수도 있고, 하나의 표시등만으로 상표를 표시할 수도 있다.The visual alarm 10 includes a second status display unit ( 17) is provided. Like the first status display unit 37, the second status display unit 17 may be provided with an indicator light for separately displaying an inspection display and an operation display, or a trademark may be displayed with only one indicator light. .

도 5는 상기 제2 조작 스위치부(16)가 하나의 표시등으로만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2 조작 스위치부(16)는 상기 제2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두개의 색깔이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5 illustrates that the second operation switch unit 16 is configured with only one indicator light. In this case, the second operation switch unit 16 may be operated so that two colors ar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13 .

따라서, 상기 제2 조작 스위치부(16)는 상기 제2 점검 스위치(16')의 작동에 따라 점검이 진행되는지 또는 점검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제1 색상으로 점등 또는 점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조작 스위치부(16)는 시각 경보기(10)의 섬광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또는 시각 경보기(10)가 정상 상태로 동작하는지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제2 색상으로 점등 또는 점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second operation switch unit 16 is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control unit 13 in order to visually display whether the inspection proceeds or whether the inspection is norm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inspection switch 16'. An operation of turning on or flickering in the first color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rol. In addition, the second operation switch unit 16 is configured to visually display whether the flashing operation of the visual alarm 10 operates normally or whether the visual alarm 10 operates in a normal state. An operation of turning on or flickering in the second color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

한편,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상기 제2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와 상기 메인 배터리부(19)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되,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에 의해 우선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고,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의 충전량이 적으면 상기 메인 배터리부(19)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며, 상기 솔라 배터리부(11)가 다시 충분하게 충전되면 다시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visual alarm 10 selects any one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and the main battery unit 19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13 to receive power, and the solar battery unit (11) to receive power preferentially, and when the amount of charge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is small,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main battery unit 19, and the solar battery unit 11 is again sufficient When fully charged, power is supplied by the solar battery unit 11 again.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의 전압이 설정된 복귀 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솔라 배터리부(11)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의 전압이 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메인 배터리부(19)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시 솔라 배터리부(11)의 전압이 설정된 복귀 전압 이상으로 올라가면 다시 상기 솔라 배터리부(11)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Specifically, the visual alar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solar battery unit 11 to receive power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return voltage, and the solar battery unit ( When the voltage of 11) falls below the set reference voltage, the main battery unit 19 is selected to receive power, and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rises above the set return voltage, the solar battery unit 11 again Select to receive power.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제어부(13)는 상기 솔라 배터리부(11)를 감시하여 충전량 즉, 전압 레벨을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의 전압이 사전에 설정된 복귀 전압 이상이면 상기 절환부(20)를 제어하여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ntrol unit 13 monitors the solar battery unit 11 to periodically check the amount of charge, that is, the voltage level. As a result of checking, if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return voltage, the switching unit 20 is controlled to control power to be supplied by the solar battery unit 11 .

이후, 상기 제2 제어부(13)는 주기적으로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의 전압을 감시 확인하여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의 전압이 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절환부(20)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부(19)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reafter, the second control unit 13 periodically monitors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and controls the switching unit 20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falls below a set reference voltage. Thus, power is controlled to be supplied by the main battery unit 19 .

이후, 상기 제2 제어부(13)는 주기적으로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의 전압을 감시 확인하여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의 전압이 다시 설정된 복귀 전압 이상으로 올라가면, 상기 절환부(20)를 제어하여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reafter, the second control unit 13 periodically monitors and confirms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and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rises above the set return voltage again, the switching unit 20 is turned on. Control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by the solar battery unit 11 by controlling.

여기서, 상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상기 설정된 복귀 전압은 동일 전압일 수도 있고 상기 설정된 복귀 전압이 상기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더 높은 전압일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상기 설정된 복귀 전압은 동일 전압인 경우, 솔라 배터리부(11)가 실내 약광을 통해 충전되기 때문에 충전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와 상기 메인 배터리부(19) 사이의 절환이 너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설정된 복귀 전압은 상기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더 높은 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et reference voltage and the set return voltage may be the same voltage, or the set return voltage may be a higher voltage than the set reference voltage. However, when the set reference voltage and the set return voltage are the same voltage, the charging speed is inevitably slow because the solar battery unit 11 is charged through indoor low light, and as a result, the solar battery unit 11 and the A problem arises that switching between the main battery units 19 occurs too frequentl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 return vol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er voltage than the set reference voltag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각 경보기(10)는 하우징(23)을 구비하여 상기 제2 제어부(13) 등의 시각 경보기(10)의 구성요소들이 내장되어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섬광등(21)은 시각적으로 외부에 인식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23)의 상부면에 장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솔라 패널(22)은 상기 섬광등(21)과 교차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23)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 the visual alarm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3 so that the components of the visual alarm 10 such as the second control unit 13 are built-in and protected. make it possible However, since the flashlight 21 needs to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3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ar panel 22 is disposed and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23 so as not to intersect the flashlight 21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 설비(100)에 의하면,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발신기와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섬광을 발생하는 시각 경보기가 로라 통신을 통해 경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시각 경보기 증설 또는 신설을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키고 단선에 의해 경보신호가 전송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tter that transmits an alarm signal and a visual alarm that receives an alarm signal and generates a flash can transmit and receive an alarm signal through LoRa communication. Because of th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ime, effort and cost for the extension or establishment of a visual alarm, and to prevent a case in which an alarm signal is not transmitted due to disconnection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 경보기가 메인 배터리부와 솔라 배터리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메인 배터리부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전력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isual alarm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by selecting any one of the main battery unit and the solar battery unit, it is possibl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the main battery unit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power use.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time, effort, and cost for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 경보기가 상기 솔라 배터리부의 전압이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솔라 배터리부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솔라 배터리부의 전압이 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메인 배터리부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시 솔라 배터리부의 전압이 설정된 복귀 전압 이상으로 올라가면 다시 상기 솔라 배터리부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인 배터리부의 전력 소모를 더욱더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전력 사용의 효율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더욱더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 alarm selects the solar battery unit to receive power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reference voltage, and selects the main battery unit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falls below the set reference voltage. to receive power, and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rises above the set return voltage, select the solar battery unit again to receive power, thereby further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ain battery unit and efficiency of power use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ime, effort and cost for maintenance can be further re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시각 경보기 11 : 솔라 배터리부
12 : 솔라 충전부 13 : 제2 제어부
15 : 제2 로라 통신부 16 : 제2 조작 스위치부
16' : 제2 점검 스위치 16" : 제2 복구 스위치
17 : 제2 상태 표시부 18 : 제2 안테나
19 : 메인 배터리부 20 : 절환부
21 : 섬광등 22 : 솔라 패널
23 : 하우징
30 : 발신기 31 : 전원 입력부
32 : 경보신호 입력부 33 : 제1 제어부
35 : 제1 로라 통신부 36 : 제1 조작 스위치부
36' : 제1 점검 스위치 36" : 제1 복구 스위치
37 : 제1 상태 표시부 37' : 점검 표시등
37" : 동작 표시등 38 : 제1 안테나
50 : 감지기 70 : 중계기
90 : 제어기 100 : 자동화재 탐지 설비
10: visual alarm 11: solar battery unit
12: solar charging unit 13: second control unit
15: second roller communication unit 16: second operation switch unit
16': second check switch 16": second recovery switch
17: second status display unit 18: second antenna
19: main battery unit 20: switching unit
21: flashlight 22: solar panel
23: housing
30: transmitter 31: power input unit
32: alarm signal input unit 33: first control unit
35: first roller communication unit 36: first operation switch unit
36': first check switch 36": first recovery switch
37: first status display unit 37': check indicator light
37": operation indicator 38: first antenna
50: detector 70: repeater
90: controller 100: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equipment

Claims (3)

건물의 층별로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기(50)와, 상기 건물의 층별로 설치되어 층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감지기(50)들의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중계기(70)와, 상기 중계기(70)들로부터 수집된 층별 감지기(5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경보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제어기(90)를 포함하는 자동화재 탐지 설비(100)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70) 또는 상기 제어기(9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90)에서 전송한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로라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발신기(30) 및 상기 발신기(30)에서 전송된 경보신호를 로라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섬광을 발생시키는 시각 경보기(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반 배터리에 해당하는 메인 배터리부(19)와 실내 약광에 의해 충전되는 솔라 배터리부(11)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배터리부(19)와 상기 솔라 배터리부(11)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고, 상기 메인 배터리부(19)와 상기 솔라 배터리부(1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시각 경보기(10)는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에 의해 우선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고,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의 충전량이 적으면 상기 메인 배터리부(19)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되,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의 전압이 설정된 복귀 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솔라 배터리부(11)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솔라 배터리부(11)의 전압이 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메인 배터리부(19)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시 솔라 배터리부(11)의 전압이 설정된 복귀 전압 이상으로 올라가면 다시 상기 솔라 배터리부(11)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재 탐지 설비.
A plurality of detectors 50 installed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to detect a fire, and a plurality of repeaters 70 for receiving fire detecti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detectors 50 installed for each floor and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In the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100 including a controller 90 for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50 for each floor collected from the repeaters 70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ransmitter 30 and the transmitter 30 tha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repeater 70 or the controller 90 and receives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90 and transmits it through LoRa communication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visual alarm 10 that generates a flash by receiving an alarm signal through LoRa communication,
The visual alarm 10 includes a main battery unit 19 corresponding to a general battery and a solar battery unit 11 charged by indoor low light in order to supply power, but the main battery unit 19 and the solar The operation of receiving power by selecting any one of the main battery unit 19 and the solar battery unit 11 without using the battery unit 11 at the same time is performed,
The visual alarm 10 is preferentially supplied with power by the solar battery unit 11, and when the charge amount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is small,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main battery unit 19, but ,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return voltage, the solar battery unit 11 is selected to receive power, and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falls below the set reference voltage, the main Automat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unit 19 is selected to receive power, and when the voltage of the solar battery unit 11 rises above the set return voltage at all times, the solar battery unit 11 is selected again to receive power detection equip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71127A 2020-12-09 2020-12-09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KR1023212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127A KR102321253B1 (en) 2020-12-09 2020-12-09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127A KR102321253B1 (en) 2020-12-09 2020-12-09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253B1 true KR102321253B1 (en) 2021-11-03

Family

ID=7850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127A KR102321253B1 (en) 2020-12-09 2020-12-09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25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054B1 (en) 2004-06-26 2006-11-03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Emergency exit guide apparatus having sight alarm and driving method for sight alarm
JP2014021814A (en) * 2012-07-20 2014-02-03 Nohmi Bosai Ltd Alarm device
JP2014063207A (en) * 2012-09-19 2014-04-10 Nohmi Bosai Ltd Alarm system and alarm device
KR101777378B1 (en) 2016-02-05 2017-09-11 나흥주 auto-fire detection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054B1 (en) 2004-06-26 2006-11-03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Emergency exit guide apparatus having sight alarm and driving method for sight alarm
JP2014021814A (en) * 2012-07-20 2014-02-03 Nohmi Bosai Ltd Alarm device
JP2014063207A (en) * 2012-09-19 2014-04-10 Nohmi Bosai Ltd Alarm system and alarm device
KR101777378B1 (en) 2016-02-05 2017-09-11 나흥주 auto-fire detection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371B1 (en) Function Extension Type Fire Detector
US10553086B2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CN201927150U (en) Intelligent fire alarming extinguishing system
KR101841761B1 (en) fire sensing and evacuation guiding system for use in temporary fire fighting equipment at construction site
CN109819676B (en) LED illuminating lamp system with disaster alarm and disaster training functions
KR101725802B1 (en) ICT based intelligence type shunting incit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20180055468A (en) Control system for fire detection errors in p-type receiver and method thereof
KR101644084B1 (en) Fire fighting facility control system of apartment house
KR102212753B1 (en) Safety power supply device of architecture interion electricity
KR101950793B1 (en) A system for detecting fire automatic
KR102580356B1 (en) Emergency evacuation alarm and guidance system
GB2494151A (en) Emergency light fittings with remote mains monitoring
KR102321253B1 (en)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KR101663786B1 (en) Fire fighting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KR20100002104A (en) Unification wireless digital 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s
KR102060467B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peaker line, and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900203B1 (en) Fire detector and intelligent automatic fire dectec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40075119A (en) Management system of led lamp mounted fire sensing means
CN114364102B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building
KR101807261B1 (en) firefighting sensor having warning function display and fire-preven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20040087995A (en) Network Fire Preven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JP2012048632A (en) Illumination device and emergency illumination system
KR101750933B1 (en) Firefighting sensing and firehouse auto report system of apartment house
KR101807262B1 (en) firefighting sensor having warning function display and fire-preven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2251802B1 (en) Battery operat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 lights and it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